KR20110011205U - 도어용 경첩 - Google Patents

도어용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1205U
KR20110011205U KR2020100005561U KR20100005561U KR20110011205U KR 20110011205 U KR20110011205 U KR 20110011205U KR 2020100005561 U KR2020100005561 U KR 2020100005561U KR 20100005561 U KR20100005561 U KR 20100005561U KR 20110011205 U KR20110011205 U KR 2011001120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 ring
door
fixed
hinge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55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규
Original Assignee
이병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규 filed Critical 이병규
Priority to KR20201000055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1205U/ko
Publication of KR201100112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20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4Flat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10Pins, sockets or sleeves; Removable pins
    • E05D5/12Securing pins in sockets, movably or not
    • E05D5/128Securing pins in sockets, movably or not the pin having a recess or through-hole engaged by a securing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near one edge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bottom, e.g. trun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용 경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 중심축을 고정하는 멈춤링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멈춤링의 부식을 예방함은 물론, 멈춤링의 신축용 개방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도 방지하여 외부로 부터 먼지 또는 이물질이 고정 연결관과 회전 연결관의 조립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용 경첩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도어용 경첩은, 도어가 설치되는 문틀의 일측에 볼트의 체결을 통해 고정되며 조립홀이 구비된 상,하부의 고정 연결관을 포함하는 고정부재와, 도어의 일측에 볼트의 체결을 통해 고정되며 상기 상,하부의 고정 연결관의 사이에 삽입되며 조립홀이 구비된 회전 연결관을 포함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 연결관의 상,하단부에 함몰되게 구비되고 둘레가 막혀있는 멈춤링 삽입홈과, 상기 상,하부의 멈춤링 삽입홈에 각각이 벌어짐이 가능하게 삽입되는 상,하부의 멈춤링과, 상,하부의 멈춤링이 상기 상,하부의 멈춤링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부의 고정 연결관과 회전 연결관 및 하부의 고정 연결관에 구비된 조립홀에 수직으로 관통 삽입되어 상기 상,하부의 멈춤링이 벌어진 후 좁혀져 상,하부 멈춤링 고정홈에 삽입 고정되는 연결 중심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어용 경첩{Hinge for door opening and closing}
본 고안은 도어용 경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 중심축을 고정하는 멈춤링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멈춤링의 부식을 예방함은 물론, 멈춤링의 신축용 개방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도 방지하여 외부로 부터 먼지 또는 이물질이 고정 연결관과 회전 연결관의 조립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용 경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용 경첩이라 함은, 출입문 또는 배전반등의 문짝을 다는 데 쓰이는 철물을 말하는 것으로, 겹첩 접철(摺鐵) 합엽(合葉)이라고도 하며, 모양이 같은 2개의 쇳조각을 맞물려 만든다.
이에, 종래의 도어용 경첩은 여러 종류가 알려져 있는데, 본 고안은 연결 중심축을 중심으로 문짝을 개폐하는 경첩을 개량한 것으로, 먼저 종래에 대표적으로 알려진 연결 중심축을 포함하는 경첩(이하, "종래의 경첩"이라 한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종래의 경첩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는 종래의 경첩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B-B선 단면도이다.
이에 종래의 경첩은, 도어가 설치되는 문틀(10)의 일측에 고정되며 상,하부에 고정 연결관(101)이 구비된 고정부재(100)와, 도어(20)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상,하부의 고정 연결관(101) 사이에 끼워지는 회전 연결관(201)이 구비된 회전부재(200)와, 상기 고정 연결관(101)과 회전 연결관(201)의 조립홀(H)에 삽입 관통되어 고정부재(100)와 회전부재(200)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 중심축(30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 중심축(300)의 상,하부에는 멈춤링 고정홈(30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하부에 위치된 고정 연결관(101)과 그 사이에 구비된 회전 연결관(201)의 사이인 상,하부에는 상기 멈춤링 고정홈(301)과 상응되는 위치에 멈춤링 삽입공간(400)을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한 경첩을 조립할 경우에는, 먼저, 상기 고정부재(100)의 상,하부에 구비된 고정 연결관(101)의 사이에 회전부재(200)의 회전 연결관(201)을 옆에서 끼운다.
다음 상기 고정 연결관(101)과 회전 연결관(201)의 조립홀(H)에 연결 중심축(300)을 삽입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상기 상,하부의 고정 연결관(101)과 회전 연결관(201)의 사이에 형성된 상,하부의 멈춤링 삽입공간(400)에 멈춤링(500)을 옆에서 삽입시키는 과정을 통해 연결 중심축(300)의 상,하부에 형성된 멈춤링 고정홈(31)에 멈춤링(500)을 끼움으로써, 연결 중심축(300)을 회전 연결관(201)의 상,하부에 고정함에 따라 경첩을 완성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경첩을 사용할 경우에는, 멈춤링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쉽게 부식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멈춤링의 신축용 개방부에 먼지 또는 이물질 등이 삽입된 후, 고정 연결관 및 회전 연결관의 조립홀에 먼지 또는 이물질이 침투됨에 따라, 시간이 경과되면 먼지 또는 이물질이 굳어져 도어의 개폐시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연결 중심축을 고정하는 멈춤링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멈춤링의 부식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용 경첩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멈춤링의 신축용 개방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도 방지함으로써, 외부로 부터 먼지 또는 이물질이 고정 연결관과 회전 연결관의 조립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용 경첩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도어가 설치되는 문틀의 일측에 볼트의 체결을 통해 고정되며 조립홀이 구비된 상,하부의 고정 연결관을 포함하는 고정부재와, 도어의 일측에 볼트의 체결을 통해 고정되며 상기 상,하부의 고정 연결관의 사이에 삽입되며 조립홀이 구비된 회전 연결관을 포함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 연결관의 상,하단부에 함몰되게 구비되고 둘레가 막혀있는 멈춤링 삽입홈과, 상기 상,하부의 멈춤링 삽입홈에 각각이 벌어짐이 가능하게 삽입되는 상,하부의 멈춤링과, 상,하부의 멈춤링이 상기 상,하부의 멈춤링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부의 고정 연결관과 회전 연결관 및 하부의 고정 연결관에 구비된 조립홀에 수직으로 관통 삽입되어 상기 상,하부의 멈춤링이 벌어진 후 좁혀져 상,하부 멈춤링 고정홈에 삽입 고정되는 연결 중심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하부의 멈춤링은 조립시 직경이 확장되었다가 원상태로 줄어들수 있도록 일측에 신축용 개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멈춤링 삽입홈의 내경은, 상기 연결 중심축이 조립홀들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멈춤링이 외측으로 벌어진 후 좁아들어 연결 중심축에 형성된 상기 멈춤링 고정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멈춤링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연결 중심축을 고정하는 멈춤링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멈춤링의 부식을 예방함으로써, 경첩의 수명을 최대로 연장할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로 부터 먼지 또는 이물질이 고정 연결관과 회전 연결관의 조립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먼지 또는 이물질이 조립홀에 침투되어 굳어짐에 따라 발생되는 도어의 개폐 소음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경첩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경첩을 후방에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경첩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종래의 경첩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B-B선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고안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경첩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경첩을 후방에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이에 본 고안의 도어용 경첩은, 도어(20)가 설치되는 문틀(10)의 일측에 볼트(B)의 체결을 통해 고정되며 조립홀(H)이 구비된 상,하부의 고정 연결관(11)을 포함하는 고정부재(1)와, 도어(20)의 일측에 볼트(B)의 체결을 통해 고정되며 상기 고정 연결관(11)의 사이에 삽입되며 조립홀(H)이 구비된 회전 연결관(21)을 포함하는 회전부재(2)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도어용 경첩은, 상기 회전 연결관(21)의 상,하단부에 함몰되게 구비되고 둘레가 막혀있는 멈춤링 삽입홈(22)과, 상기 상,하부의 멈춤링 삽입홈(22)에 각각이 벌어짐이 가능하게 삽입되는 상,하부의 멈춤링(4)과, 상,하부의 멈춤링(4)이 상기 상,하부의 멈춤링 삽입홈(2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부의 고정 연결관(11)과 회전 연결관(21) 및 하부의 고정 연결관(11)에 구비된 조립홀(H)에 수직으로 관통 삽입되어 상,하부의 멈춤링(4)이 벌어진 후 좁혀져 상,하부 멈춤링 고정홈(31)에 삽입 고정되는 연결 중심축(3)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상,하부의 멈춤링(4)은 조립시 직경이 확장되었다가 원상태로 줄어들수 있도록 일측에 신축용 개방부(41)가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상,하부의 멈춤링 삽입홈(22)에 삽입되는 멈춤링(4)의 일측에는 신축용 개방부(41)가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연결 중심축(3)이 조립홀(H)에 관통 삽입되는 과정에서 직경이 확장되었다가 원상태로 줄어들면서 상,하부의 멈춤링(4)이 연결 중심축(3)의 상,하부에 형성된 멈춤링 고정홈(31)에 삽입되게 되는데, 그 구체적인 조립 과정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이 구성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와 회전부재(2)는 다수 볼트(B)의 체결을 통해 문틀(10)의 일측과 도어(20)의 일측에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 연결관(21)의 상,하부 단부에 원형으로 형성된 상,하부의 멈춤링 삽입홈(22)의 내경은, 상기 연결 중심축(3)이 조립홀(H)들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멈춤링(5)이 외측으로 벌어진 후 좁아들어 연결 중심축(3)에 형성된 상기 멈춤링 고정홈(31)에 삽입될 수 있도록 멈춤링(4)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멈춤링 삽입홈(22)의 깊이는, 멈춤링(4)의 높이와 같거나 높게 형성함으로써, 멈춤링(4)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도어용 경첩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도어용 경첩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회전부재(2)의 회전 연결관(21)을 고정부재(1)의 상,하부에 구비된 고정 연결관(11)의 사이에 끼우기에 앞서, 회전 연결관(21)의 상,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멈춤링 삽입홈(22)에 2개의 멈춤링(4)을 수평으로 삽입한다.
다음 상기 회전 연결관(21)의 상,하단부에 형성된 멈춤링 삽입홈(22)에 멈춤링(4)을 끼운 상태에서, 회전부재(2)의 회전 연결관(21)을 고정부재(1)의 상,하부에 구비된 고정 연결관(11)의 사이에 삽입함으로써, 상,하부에 위치된 고정 연결관(11)과 회전 연결관(21)의 조립홀(H)의 위치를 수직으로 일치시킨다.
다음 상부로 부터 수직으로 상부의 고정 연결관(11)과 회전 연결관(21) 및 하부의 고정 연결관(11)에 구비된 조립홀(H)에 상,하부에 멈춤링 고정홈(31)이 형성된 연결 중심축(3)을 순차적으로 삽입하게 되면, 상,하부의 멈춤링(4)이 벌어진 후 다시 원상태로 복귀되는 과정을 통해 상,하부 멈춤링 고정홈(31)에 상,하부의 멈춤링(4)이 삽입 장착됨으로써, 도어용 경첩의 조립을 완료하는 것이다.
다시말해 상기와 같이 상부의 고정 연결관(11)과 회전 연결관(21) 및 하부의 고정 연결관(11)의 조립홀(H)에 연결 중심축(3)을 삽입하게 되면, 상부에 위치된 멈춤링(4)은 연결 중심축(3)의 하부에 위치된 멈춤링 고정홈(31)으로 인하여 최초에는 직경이 확장되었다가 다시 축소된 후 재차 확장된 다음 연결 중심축(3)의 상부에 위치된 멈춤링 고정홈(31)에 축소되면서 삽입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하부에 위치된 멈춤링(4)은 한 번의 확장후 바로 연결 중심축(3)의 하부에 위치된 멈춤링 고정홈(31)에 고정됨으로써, 경첩의 조립을 완료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상,하부의 멈춤링(4)이 회전 연결관(21)의 상,하단부에 함몰되어 둘레가 막히게 형성된 멈춤링 삽입홈(22)에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됨으로써, 멈춤링(4)의 부식을 예방함에 따라 경첩의 수명을 최대로 연장할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멈춤링(4)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여 멈춤링(4)의 신축용 개방부(41)로 외부에서 먼지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먼지 또는 이물질이 고정 연결관(11)과 회전 연결관(21)의 조립홀(H)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먼지 또는 이물질이 조립홀에 침투되어 굳어짐에 따라 발생되는 도어의 개폐 소음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고정부재
11 : 고정 연결관
2 : 회전부재
21 : 회전 연결관
22 : 멈춤링 삽입홈
3 : 연결 중심축
31 : 멈춤링 고정홈
4 : 멈춤링
41 : 신축용 개방부
10 : 문틀
20 : 도어
H : 조립홀
B : 볼트

Claims (3)

  1. 도어(20)가 설치되는 문틀(10)의 일측에 볼트(B)의 체결을 통해 고정되며 조립홀(H)이 구비된 상,하부의 고정 연결관(11)을 포함하는 고정부재(1)와,
    도어(20)의 일측에 볼트(B)의 체결을 통해 고정되며 상기 상,하부의 고정 연결관(11)의 사이에 삽입되며 조립홀(H)이 구비된 회전 연결관(21)을 포함하는 회전부재(2)와,
    상기 회전 연결관(21)의 상,하단부에 함몰되게 구비되고 둘레가 막혀있는 멈춤링 삽입홈(22)과,
    상기 상,하부의 멈춤링 삽입홈(22)에 각각이 벌어짐이 가능하게 삽입되는 상,하부의 멈춤링(4)과,
    상,하부의 멈춤링(4)이 상기 상,하부의 멈춤링 삽입홈(2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부의 고정 연결관(11)과 회전 연결관(21) 및 하부의 고정 연결관(11)에 구비된 조립홀(H)에 수직으로 관통 삽입되어 상기 상,하부의 멈춤링(4)이 벌어진 후 좁혀져 상,하부 멈춤링 고정홈(31)에 삽입 고정되는 연결 중심축(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경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의 멈춤링(4)은 조립시 직경이 확장되었다가 원상태로 줄어들수 있도록 일측에 신축용 개방부(4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경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링 삽입홈(22)의 내경은,
    상기 연결 중심축(3)이 조립홀(H)들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멈춤링(4)이 외측으로 벌어진 후 좁아들어 연결 중심축(3)에 형성된 상기 멈춤링 고정홈(31)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멈춤링(4)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경첩.
KR2020100005561U 2010-05-27 2010-05-27 도어용 경첩 KR2011001120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561U KR20110011205U (ko) 2010-05-27 2010-05-27 도어용 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561U KR20110011205U (ko) 2010-05-27 2010-05-27 도어용 경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205U true KR20110011205U (ko) 2011-12-05

Family

ID=72887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5561U KR20110011205U (ko) 2010-05-27 2010-05-27 도어용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120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060B1 (ko) * 2014-04-21 2014-09-17 (주)디에스이 박스의 힌지 록킹장치
KR20210134570A (ko) * 2019-09-10 2021-11-10 박영수 화물 이송용 구조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060B1 (ko) * 2014-04-21 2014-09-17 (주)디에스이 박스의 힌지 록킹장치
KR20210134570A (ko) * 2019-09-10 2021-11-10 박영수 화물 이송용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3155862A (ja) 管状バネちょうつがい
CA2298775A1 (en) Lockable hinge device
KR20110011205U (ko) 도어용 경첩
KR100899239B1 (ko) 회전 각도 제한 기능을 갖는 경첩
CN110872779A (zh) 衣物处理设备
KR200491312Y1 (ko) 미닫이 도어용 손잡이
KR101230667B1 (ko) 착탈식 안전봉
KR20110007329A (ko) 경첩
KR100917314B1 (ko) 회전식 파이프 지지 고정구
KR101523417B1 (ko) 창호용 경첩
KR100881291B1 (ko) 장착이 용이한 도어록 구조
KR200489879Y1 (ko) 외풍차단용 경첩
KR200380539Y1 (ko) 레이디얼 베어링이 삽입된 도어용 힌지
CN107217926B (zh) 具有可枢转锁部件的机动车锁
KR100961232B1 (ko) 힌지 조립체
JP2020190183A (ja) 水密扉ユニット
KR20200089475A (ko) 도어용 힌지 구조
CN219690106U (zh) 一种带切口的洗衣机外桶的密封结构以及洗衣机
KR200484681Y1 (ko) 출입문 도어용 힌지장치
JP6633768B2 (ja) 扉体ブッシュの固定構造およびドラム式洗濯機
KR200458087Y1 (ko) 유리문용 디지털 도어록의 분리식 브라켓
JP4822823B2 (ja) ピアノ用の蝶番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403694B2 (ja) 改装建具及び改装建具の施工方法
US7921749B2 (en) Case
KR102271428B1 (ko) 방범 기능이 강화된 루버 시스템용 블레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