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9332B1 - 패널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패널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9332B1
KR101959332B1 KR1020170048454A KR20170048454A KR101959332B1 KR 101959332 B1 KR101959332 B1 KR 101959332B1 KR 1020170048454 A KR1020170048454 A KR 1020170048454A KR 20170048454 A KR20170048454 A KR 20170048454A KR 101959332 B1 KR101959332 B1 KR 101959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eeder bar
guide unit
holder bas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8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5939A (ko
Inventor
신승복
Original Assignee
신승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승복 filed Critical 신승복
Priority to KR1020170048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9332B1/ko
Publication of KR20180115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5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99Conveyor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ramework For Endless Conveyors (AREA)

Abstract

패널 이송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 이송장치는, 홀더 베이스(holder base); 이송 대상의 패널이 결합되며, 홀더 베이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 가능하게 홀더 베이스에 연결되는 피더 바아(feeder bar); 및 홀더 베이스에 결합되며, 패널이 결합되는 피더 바아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피더 바아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하중 지지용 정심 가이드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패널 이송장치{APPARATUS FOR TRANSPORTING THE PANELS}
본 발명은, 패널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와는 차별화된 효율적인 구조를 통해 패널이 결합되는 피더 바아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피더 바아의 이송을 가이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패널을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패널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패널 이송장치는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소정의 패널(panel)을 공정에서 요구하는 원하는 장소로 이송(운반)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패널 이송장치는 이송 대상의 패널이 결합된 패널 캐리지(이하, 피더 바아라 함)가 이송 트랙(이하, 홀더 베이스라 함)을 따라 이송되도록 하는 구조로 적용되며, 이의 동작으로 패널이 운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피더 바아는 다수의 롤러가 홀더 베이스에 상하로 지지된 상태에서 이송될 수 있는데, 일반적인 종래의 패널 이송장치에 대해 도 1 및 도 2를 통해 간략하게 알아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패널 이송장치에서 홀더 베이스(a)의 하단에는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상하방 롤러(b),(c)가 설치된다.
이송 대상의 패널이 결합되는 피더 바아(d)는 상하방 롤러(b),(c)에 지지된 상태에서 홀더 베이스(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된다. 상하방 롤러(b),(c)는 피더 바아(d)의 좌우 측면에 설치된 홈 내에 배치되되 홀더 베이스(a)의 좌우 양 측벽(e),(f)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상하방 롤러(b),(c)는 높이가 서로 다르게 배치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일측의 롤러(b)는 피더 바아(d)의 일측에 형성되는 홈의 상면 벽(g)에 지지되어 피더 바아(d)가 하방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겸하고, 타측의 롤러(c)는 피더 바아(d)의 타측에 형성되는 홈의 저면 벽(h)에 지지되어 피더 바아(d)가 상방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겸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기술에 따른 패널 이송장치는 피더 바아(d)가 일반적인 상하방 롤러(b),(c)에 단순히 지지된 상태로 좌우 이동하는 구조라서 상하방 롤러(b),(c)의 좌우 이동 거리가 제한적이며, 또한 상하방 롤러(b),(c)의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피더 바아(d)가 안정적이지 못하게 이동될 수밖에 없을 뿐만 아니라 피더 바아(d)의 이동 거리가 짧을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3과 같은 구조의 패널 이송장치(선행기술의 도 5)가 제안된 바 있다.
도 3과 같은 구조의 패널 이송장치는 도 1 및 도 2의 패널 이송장치보다 패널을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피더 바아의 이동 거리를 길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초점이 맞춰져 있다.
한편, 종전의 패널 이송장치를 통해 이송되는 패널은 그 중량이 수 내지 십 킬로그램(kg) 정도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에는 패널의 중량이 수십 혹은 수백 킬로그램(kg)에 이르기 때문에 이와 같은 고중량의 패널을 이송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고중량의 패널이 결합되는 피더 바아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피더 바아의 이송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해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이에 적합한 구조가 적용되어야 한다.
그렇지만, 현재까지 알려져 있는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도 1 및 도 2처럼 높이가 서로 다르게 배치되는 상하방 롤러(b),(c)를 양측에 하나씩 단순히 적용하는 구조이거나 도 3처럼 통상의 상하방 롤러(19),(20)를 이중으로 단순히 적용하는 구조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고중량의 패널이 결합되는 피더 바아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피더 바아의 이송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없다는 점에서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신개념의 패널 이송장치에 대한 기술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선행기술 ; 대한민국특허청 공개번호 제10-2009-0021763호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와는 차별화된 효율적인 구조를 통해 패널이 결합되는 피더 바아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피더 바아의 이송을 가이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패널을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패널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홀더 베이스(holder base); 이송 대상의 패널이 결합되며, 상기 홀더 베이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 가능하게 상기 홀더 베이스에 연결되는 피더 바아(feeder bar); 및 상기 홀더 베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패널이 결합되는 상기 피더 바아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상기 피더 바아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하중 지지용 정심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이송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하중 지지용 정심 가이드 유닛은 샤프트 일체형 캠 팔로워(cam follower)일 수 있다.
상기 피더 바아는, 상기 하중 지지용 정심 가이드 유닛이 배치되기 위한 유닛 배치 공간부가 양 사이드 영역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바아 바디; 상기 유닛 배치 공간부 영역에서 상기 바아 바디의 상부를 형성하되 상기 하중 지지용 정심 가이드 유닛이 접촉지지되는 상부 벽체부; 및 상기 유닛 배치 공간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상부 벽체부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하부 벽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 베이스의 내측벽에서 상기 홀더 베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하중 지지용 정심 가이드 유닛을 지지하는 유닛 서포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중 지지용 정심 가이드 유닛은, 상기 상부 벽체부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캠 팔로워 헤드; 및 상기 캠 팔로워 헤드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캠 팔로워 헤드와 일체로 연결되며, 단부가 상기 유닛 서포터를 지나 상기 홀더 베이스의 측벽에 배치되어 제1 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캠 팔로워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닛 서포터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 벽체부의 상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피더 바아의 이송을 가이드하며, 상기 피더 바아의 이송 시 좌우 편심 발생을 저지시키는 편심 발생 저지용 가이드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심 발생 저지용 가이드 유닛은 가이드 볼 베어링(guide ball bearing)일 수 있으며, 상기 편심 발생 저지용 가이드 유닛과 상기 하중 지지용 정심 가이드 유닛의 높이차가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편심 발생 저지용 가이드 유닛의 외벽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되어 돌출형 볼 레일에 가이드되는 레일 그루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편심 발생 저지용 가이드 유닛을 상기 유닛 서포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유닛 결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닛 결합부재는, 상기 바아 바디와 상기 편심 발생 저지용 가이드 유닛 사이에서 상기 편심 발생 저지용 가이드 유닛의 단부에 배치되는 결합용 헤드; 상기 결합용 헤드와 연결되며, 상기 편심 발생 저지용 가이드 유닛 내에 배치되어 상기 편심 발생 저지용 가이드 유닛의 회전을 허용하는 회전 샤프트; 및 상기 회전 샤프트와 동축적으로 형성되되 상기 회전 샤프트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유닛 서포터에 배치되어 제2 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샤프트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결합부는 외벽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외부 탭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 샤프트와 상기 유닛 서포터 사이에는 이격 조절부재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바아 바디의 일측 외벽에는 상기 피더 바아와 연결되어 상기 피더 바아에 동력을 제공하는 벨트(belt)가 자리 배치되는 벨트 자리 배치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아 바디의 내부에는 상기 피더 바아의 전체 중량은 감소시키면서 수직 항력 모멘트는 상승시키기 위한 십자형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더 바아와 접하는 상기 십자형 리브의 단부는 다른 영역에 비해 살 두께가 큰 덧살부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화된 효율적인 구조를 통해 패널이 결합되는 피더 바아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피더 바아의 이송을 가이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패널을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 이송장치에서 롤러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널 이송장치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 이송장치의 측면 구조도이다.
도 5는 도 4의 A-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홀더 베이스의 확대 구조도이다.
도 7은 피더 바아의 확대 구조도이다.
도 8은 도 5의 C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8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10은 유닛 결합부재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 및 첨부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 이송장치의 측면 구조도이고, 도 5는 도 4의 A-B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6은 홀더 베이스의 확대 구조도이고, 도 7은 피더 바아의 확대 구조도이며, 도 8은 도 5의 C 영역의 확대도이고, 도 9는 도 8의 요부 확대도이며, 도 10은 유닛 결합부재의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패널 이송장치는 종래와는 차별화된 효율적인 구조를 통해 패널이 결합되는 피더 바아(120, feeder bar)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피더 바아(120)의 이송을 가이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패널을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패널 이송장치는 홀더 베이스(110, holder base)와, 홀더 베이스(110)에 이송 가능하게 연결되는 피더 바아(120)와, 패널이 결합되는 피더 바아(120)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피더 바아(120)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하중 지지용 정심 가이드 유닛(140)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 베이스(110)는 도 4 내지 도 6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패널 이송장치에서 외관 고정 구조를 이룬다. 즉 홀더 베이스(110)는 패널 이송장치를 요하는 공정 설비의 천장 등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프레임 구조물이다.
이러한 홀더 베이스(110) 내에 피더 바아(120)가 이송 가능하게 결합되어야 하고, 또한 피더 바아(120)에 이송 대상의 패널, 특히 수십 혹은 수백 킬로그램(kg)에 이르는 고중량의 패널이 결합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들을 모두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홀더 베이스(110)는 강성이 우수한 금속 프레임으로 적용될 수 있다.
홀더 베이스(110)는 상판부(112)와, 상판부(112)의 단부에서 상판부(112)에 대해 교차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스커트부(113)를 포함하는 한글 ㄷ자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홀더 베이스(110)에는 다수의 통공(111)이 형성된다. 통공(111)은 홀더 베이스(110)의 전체 중량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판부(112)에는 설비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 브래킷(B)이 결합된다. 그리고 스커트부(113)에는 다수의 나사홀(115)이 형성된다. 나사홀(115)을 통해 별도의 나사를 체결해서 스커트부(113)의 내벽에 유닛 서포터(13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유닛 서포터(130) 역시, 홀더 베이스(110)와 마찬가지로 축 방향으로 긴 부재로서 후술할 하중 지지용 정심 가이드 유닛(140)과, 편심 발생 저지용 가이드 유닛(150)이 결합되면서 지지되는 장소를 이룬다.
피더 바아(120)는 도 4, 도 5, 도 7 및 도 8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 베이스(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 가능하게 홀더 베이스(110)에 연결되는 무빙(moving) 구조물이다.
피더 바아(120)에 이송 대상의 패널(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앞서 기술한 것처럼 패널은 수십 혹은 수백 킬로그램(kg)에 이르는 고중량의 패널일 수 있지만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즉 수 킬로그램(kg)의 패널이어도 무방하다.
피더 바아(120)는 하중 지지용 정심 가이드 유닛(140)이 배치되기 위한 유닛 배치 공간부(121a)가 양 사이드 영역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바아 바디(121)와, 유닛 배치 공간부(121a) 영역에서 바아 바디(121)의 상부를 형성하되 하중 지지용 정심 가이드 유닛(140)이 접촉지지되는 상부 벽체부(122)와, 유닛 배치 공간부(121a)를 사이에 두고 상부 벽체부(122)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하부 벽체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바아 바디(121)의 일측 외벽, 즉 상부 외벽에는 피더 바아(120)와 연결되어 피더 바아(120)에 동력을 제공하는 벨트(belt, 미도시)가 자리 배치되는 벨트 자리 배치홈부(124)가 형성된다.
이에 대해 부연하면, 본 실시예에서 홀더 베이스(110)에 대해 피더 바아(120)가 이송(주행)되는 동력은 벨트 구동방식이다. 즉 벨트를 피더 바아(120)에 연결시킨 후, 벨트의 일측에서 모터를 이용해서 벨트를 당기거나 푸는 방식으로 피더 바아(120)를 이송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피더 바아(120)의 구동을 위해 벨트가 적용되는데, 벨트의 적용을 위해 바아 바디(121)의 일측 외벽, 즉 상부 외벽에는 벨트 자리 배치홈부(124)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처럼 바아 바디(121)에 벨트 자리 배치홈부(124)가 형성되고, 벨트 자리 배치홈부(124)에 벨트가 배치되어 동작됨으로써 벨트가 탈선되지 않고 정위치에서 안정적인 동작을 이끌어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처럼 바아 바디(121)의 상부 외벽에 벨트 자리 배치홈부(124)가 형성될 경우에는 피더 바아(120)의 높이를 낮출 수 있어 패널 이송장치를 콤팩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벨트 자리 배치홈부(124) 영역에는 벨트 자리 배치홈부(124)에 배치되는 벨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납잡머리볼트가 삽입되는 다수의 납잡머리볼트홈(124a)이 형성된다.
한편, 이송 대상의 패널은 피더 바아(120)의 저면에 전자석 등의 자력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피더 바아(120)의 저면에는 전자석 등의 자석부재를 탑재시키기 위한 탑재홈(128)이 형성된다. 탑재홈(128)의 주변에는 무게 감소를 위한 다수의 홀(H)이 형성된다.
바아 바디(121)의 내부에는 피더 바아(120)의 전체 중량은 감소시키면서 수직 항력 모멘트는 상승시키기 위한 십자형 리브(125)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처럼 십자형 리브(125)를 바아 바디(121)의 내부에 적용하면 종전의 X자 형에 비해 수직 항력 모멘트가 상승될 수 있다. 따라서 고중량의 패널을 지지하여 이송시키는 데에 탁월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피더 바아(120)와 접하는 십자형 리브(125)의 단부는 다른 영역에 비해 살 두께가 큰 덧살부(126)를 이룬다. 따라서 십자형 리브(125)가 쉽게 부러지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앞서 기술한 것처럼 상부 벽체부(122)와 하부 벽체부(123)는 바아 바디(121)의 상부와 하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상부 벽체부(122)는 유닛 배치 공간부(121a) 영역에서 바아 바디(121)의 상부를 형성하되 하중 지지용 정심 가이드 유닛(140)이 접촉지지되는 부분이고, 하부 벽체부(123)는 유닛 배치 공간부(121a)를 사이에 두고 상부 벽체부(122)의 반대편에 형성되되 편심 발생 저지용 가이드 유닛(150)이 접촉지지되는 부분이다.
특히, 상부 벽체부(122)와 달리 하부 벽체부(123)의 상면에는 레일 그루브(127a)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레일 그루브(127a)에 돌출형 볼 레일(127)이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돌출형 볼 레일(127)은 레일 그루브(127a)에 돌출되게 결합된 후, 하부 벽체부(123)의 측방향에 형성되는 나사홈(123b)을 통해 삽입되는 나사(미도시)로 고정될 수 있다.
돌출형 볼 레일(127)에는 편심 발생 저지용 가이드 유닛(150)의 레일 그루브(151)가 맞닿아 배치된다. 이처럼 돌출형 볼 레일(127)에 편심 발생 저지용 가이드 유닛(150)의 레일 그루브(151)가 맞닿아 배치됨으로써 피더 바아(120)의 주행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즉 피더 바아(120)의 좌우 편심 발생을 예방하면서 피더 바아(120)의 주행을 안정적으로 이끌어낼 수 있다.
한편, 하중 지지용 정심 가이드 유닛(140)은 홀더 베이스(110)의 스커트부(113) 영역에서 유닛 서포터(130)를 매개로 홀더 베이스(110)에 결합되며, 패널이 결합되는 피더 바아(120)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피더 바아(120)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중 지지용 정심 가이드 유닛(140)은 샤프트 일체형 캠 팔로워(cam follower)로 적용된다. 이러한 하중 지지용 정심 가이드 유닛(140)은 피더 바아(120)를 이루는 상부 벽체부(122)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캠 팔로워 헤드(141)와, 캠 팔로워 헤드(141)와 연결되는 캠 팔로워 샤프트(142)를 포함할 수 있다.
캠 팔로워 샤프트(142)는 캠 팔로워 헤드(141)가 회전 가능하도록 캠 팔로워 헤드(141)와 일체로 연결되며, 단부는 유닛 서포터(130)를 지나 홀더 베이스(110)의 스커트부(113) 영역에 배치되어 제1 너트(171)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샤프트 일체형 캠 팔로워로 적용될 수 있는 하중 지지용 정심 가이드 유닛(140)을 적용하고, 하중 지지용 정심 가이드 유닛(140)이 피더 바아(120)를 이루는 상부 벽체부(122)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면서 패널을 비롯한 피더 바아(120)의 전체 하중을 지지하면서 피더 바아(120)의 이송을 가이드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종전과 달리, 패널이 고중량일지라도 패널이 연결되는 피더 바아(120)의 이송을 가이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패널의 이송을 안정적으로 이끌어낼 수 있다.
한편, 피더 바아(120)를 이루는 상부 벽체부(122)에 전술한 하중 지지용 정심 가이드 유닛(140)이 접촉지지되어 회전되는 반면, 하부 벽체부(123)에는 편심 발생 저지용 가이드 유닛(150)이 접촉지지되어 회전된다.
이때, 편심 발생 저지용 가이드 유닛(150)은 피더 바아(120)의 하중을 지지하는 하중 지지용 정심 가이드 유닛(140)과는 달리 피더 바아(120)의 주행 시 좌우 편심 발생을 저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편심 발생 저지용 가이드 유닛(150)은 유닛 서포터(130)에 결합되고 하부 벽체부(123)의 상단부에 배치되어 피더 바아(120)의 이송을 가이드하며, 피더 바아(120)의 이송 시 좌우 편심 발생을 저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편심 발생 저지용 가이드 유닛(150)은 가이드 볼 베어링(guide ball bearing)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때, 편심 발생 저지용 가이드 유닛(150)과 하중 지지용 정심 가이드 유닛(140)의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그 높이차가 다르게 배치된다. 따라서 편심 발생 저지용 가이드 유닛(150)과 하중 지지용 정심 가이드 유닛(140)이 작용할 때, 서로 간의 간섭현상은 발생되지 않는다.
가이드 볼 베어링으로 적용될 수 있는 편심 발생 저지용 가이드 유닛(150)의 외벽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되어 돌출형 볼 레일(127)에 가이드되는 레일 그루브(151)가 형성된다.
편심 발생 저지용 가이드 유닛(150)의 외벽에 형성되는 레일 그루브(151)가 돌출형 볼 레일(127)에 올라 탄 상태로 편심 발생 저지용 가이드 유닛(150)이 회전되기 때문에 피더 바아(120)가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음은 물론 이송 시 좌우 편심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이러한 편심 발생 저지용 가이드 유닛(150)을 유닛 서포터(1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유닛 결합부재(160)가 사용된다.
유닛 결합부재(160)는 도 9 및 도 10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바아 바디(121)와 편심 발생 저지용 가이드 유닛(150) 사이에서 편심 발생 저지용 가이드 유닛(150)의 단부에 배치되는 결합용 헤드(161)와, 결합용 헤드(161)와 연결되며, 편심 발생 저지용 가이드 유닛(150) 내에 배치되어 편심 발생 저지용 가이드 유닛(150)의 회전을 허용하는 회전 샤프트(162)와, 회전 샤프트(162)와 동축적으로 형성되되 회전 샤프트(162)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유닛 서포터(130)에 배치되어 제2 너트(172)에 의해 고정되는 샤프트 결합부(163)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샤프트(162)와 유닛 서포터(130) 사이에는 이격 조절부재(164)가 개재될 수 있다. 이격 조절부재(164)의 두께 조절을 통해 편심 발생 저지용 가이드 유닛(150)에 대한 최적의 조립 구조를 이끌어낼 수 있다.
그리고 샤프트 결합부(163)는 외벽에 나사산(163a)이 형성되는 외부 탭 방식으로 마련된다.
본 실시예처럼 유닛 결합부재(160)의 샤프트 결합부(163)가 외부 탭 방식으로 마련될 경우, 종전의 내부 탭 방식보다 회전 샤프트(162)의 파손을 저지시키는 데에 보다 유리할 수 있다. 즉 제2 너트(172)가 바깥에서 샤프트 결합부(163)에 결합되어 회전 샤프트(162)를 고정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에 회전 샤프트(162)의 파손을 감소키는 데에 유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처럼 유닛 결합부재(160)를 종전의 단순 볼트 구조에서 벗어난 효율적인 구조를 갖도록 제작함으로써, 조립이 원활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편심 발생 저지용 가이드 유닛(150)이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하중 지지용 정심 가이드 유닛(140)을 적용하여 하중 지지용 정심 가이드 유닛(140)이 피더 바아(120)를 이루는 상부 벽체부(122)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면서 패널을 비롯한 피더 바아(120)의 전체 하중을 지지하면서 피더 바아(120)의 이송을 가이드함으로써 패널의 이송을 안정적으로 이끌어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하중 지지용 정심 가이드 유닛(140)의 하부 영역으로 편심 발생 저지용 가이드 유닛(150)을 적용하고, 편심 발생 저지용 가이드 유닛(150)의 레일 그루브(151)가 돌출형 볼 레일(127)에 로딩된 상태로 편심 발생 저지용 가이드 유닛(150)이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과도한 편심 발생 없이 패널을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화된 효율적인 구조를 통해 패널이 결합되는 피더 바아(120, feeder bar)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피더 바아(120)의 이송을 가이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패널을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 홀더 베이스 111 : 통공
120 : 피더 바아 121 : 바아 바디
121a : 유닛 배치 공간부 122 : 상부 벽체부
123 : 하부 벽체부 124 : 벨트 자리 배치홈부
125 : 십자형 리브 126 : 덧살부
127 : 돌출형 볼 레일 130 : 유닛 서포터
140 : 하중 지지용 정심 가이드 유닛 141 : 캠 팔로워 헤드
142 : 캠 팔로워 샤프트 150 : 편심 발생 저지용 가이드 유닛
151 : 레일 그루브 160 : 유닛 결합부재
161 : 결합용 헤드 162 : 회전 샤프트
163 : 샤프트 결합부 163a : 나사산
164 : 이격 조절부재 171 : 제1 너트
172 : 제2 너트

Claims (14)

  1. 홀더 베이스(holder base);
    유닛 배치 공간부가 양 사이드 영역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바아 바디와, 상기 유닛 배치 공간부 영역에서 상기 바아 바디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 벽체부와, 상기 유닛 배치 공간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상부 벽체부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하부 벽체부를 구비하며, 이송 대상의 패널이 결합되되 상기 홀더 베이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 가능하게 상기 홀더 베이스에 연결되는 피더 바아(feeder bar);
    상기 홀더 베이스에 결합되되 상기 유닛 배치 공간부에 배치되며, 상기 패널이 결합되는 상기 피더 바아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상기 피더 바아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하중 지지용 정심 가이드 유닛;
    상기 홀더 베이스의 내측벽에서 상기 홀더 베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하중 지지용 정심 가이드 유닛을 지지하는 유닛 서포터; 및
    상기 유닛 서포터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 벽체부의 상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피더 바아의 이송을 가이드하며, 상기 피더 바아의 이송 시 좌우 편심 발생을 저지시키는 편심 발생 저지용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하중 지지용 정심 가이드 유닛은 샤프트 일체형 캠 팔로워(cam follower)를 포함하되 상기 하중 지지용 정심 가이드 유닛은,
    상기 상부 벽체부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캠 팔로워 헤드; 및
    상기 캠 팔로워 헤드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캠 팔로워 헤드와 일체로 연결되며, 단부가 상기 유닛 서포터를 지나 상기 홀더 베이스의 측벽에 배치되어 제1 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캠 팔로워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편심 발생 저지용 가이드 유닛은 가이드 볼 베어링(guide ball bearing)을 포함하되 상기 편심 발생 저지용 가이드 유닛과 상기 하중 지지용 정심 가이드 유닛의 높이차가 다르게 배치되며,
    상기 바아 바디의 일측 외벽에는 상기 피더 바아와 연결되어 상기 피더 바아에 동력을 제공하는 벨트(belt)가 자리 배치되는 벨트 자리 배치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바아 바디의 내부에는 상기 피더 바아의 전체 중량은 감소시키면서 수직 항력 모멘트는 상승시키기 위한 십자형 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피더 바아와 접하는 상기 십자형 리브의 단부는 다른 영역에 비해 살 두께가 큰 덧살부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이송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 발생 저지용 가이드 유닛의 외벽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되어 돌출형 볼 레일에 가이드되는 레일 그루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이송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 발생 저지용 가이드 유닛을 상기 유닛 서포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유닛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이송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 결합부재는,
    상기 바아 바디와 상기 편심 발생 저지용 가이드 유닛 사이에서 상기 편심 발생 저지용 가이드 유닛의 단부에 배치되는 결합용 헤드;
    상기 결합용 헤드와 연결되며, 상기 편심 발생 저지용 가이드 유닛 내에 배치되어 상기 편심 발생 저지용 가이드 유닛의 회전을 허용하는 회전 샤프트; 및
    상기 회전 샤프트와 동축적으로 형성되되 상기 회전 샤프트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유닛 서포터에 배치되어 제2 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샤프트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이송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결합부는 외벽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외부 탭 방식으로 마련되며,
    상기 회전 샤프트와 상기 유닛 서포터 사이에는 이격 조절부재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이송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70048454A 2017-04-14 2017-04-14 패널 이송장치 KR101959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454A KR101959332B1 (ko) 2017-04-14 2017-04-14 패널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454A KR101959332B1 (ko) 2017-04-14 2017-04-14 패널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939A KR20180115939A (ko) 2018-10-24
KR101959332B1 true KR101959332B1 (ko) 2019-03-18

Family

ID=64132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8454A KR101959332B1 (ko) 2017-04-14 2017-04-14 패널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93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73508B (zh) * 2019-01-27 2020-12-04 李楠 一种悬挂摩擦输送机运送台车导向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8623A (ja) 1998-10-06 2000-04-25 Toyota Autom Loom Works Ltd 荷移載装置及びスタッカクレーン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347B1 (ko) 2007-08-28 2009-06-23 주식회사 인맥 패널 이송장치
KR101473832B1 (ko) * 2013-03-28 2014-12-18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반송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8623A (ja) 1998-10-06 2000-04-25 Toyota Autom Loom Works Ltd 荷移載装置及びスタッカクレー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939A (ko) 2018-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0119B1 (ko) 변압기 이송용 휠블럭 장치
KR101550541B1 (ko) 호차
KR101163969B1 (ko) 무인반송대차
TWI461677B (zh) 振動試驗裝置
JP2012051680A (ja) 移載装置
KR101959332B1 (ko) 패널 이송장치
JP6471671B2 (ja) 物品搬送車
CN209904755U (zh) 吊装轨道机器人及其快装快卸式承重导向机构
KR101421108B1 (ko) 반송 장치
JP2013103782A (ja) 乗客運搬装置
CN204606933U (zh) 一种v型座可旋转的上卸料小车
KR101118506B1 (ko) 캐리지 서포트 롤러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로봇 이송용 캐리지
KR100783680B1 (ko) 승강장치
CN110466934B (zh) 一种顶升移载机
CN104555390A (zh) 自动升降移行机构
JP6721997B2 (ja) キャリアローラー交換用治具及びキャリアローラー交換方法
CN210527558U (zh) 一种顶升移载机
CN111532696A (zh) 室内水平传输机构及医院物流系统
KR200485424Y1 (ko) 산업용 로봇 운반 시스템
KR101336414B1 (ko) 공작 기계
JP2009120298A (ja) スタッカークレーン
CN211229380U (zh) 加装电梯的模块化井道
CN219689209U (zh) 一种丝杆升降机
CN217349435U (zh) 一种输送装置
KR102536554B1 (ko) 이송대차 및 그를 구비하는 이송대차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