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6555A - 용강 처리 장치 및 용강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용강 처리 장치 및 용강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6555A
KR20210026555A KR1020190107505A KR20190107505A KR20210026555A KR 20210026555 A KR20210026555 A KR 20210026555A KR 1020190107505 A KR1020190107505 A KR 1020190107505A KR 20190107505 A KR20190107505 A KR 20190107505A KR 20210026555 A KR20210026555 A KR 202100265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ten steel
lance
passage
height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7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1751B1 (ko
Inventor
하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90107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1751B1/ko
Publication of KR20210026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1/00Refining of pig-iron; Cast iron
    • C21C1/06Constructional features of mixers for pig-ir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9/00General processes of refining or remelting of metals; Apparatus for electroslag or arc remelting of metals
    • C22B9/02Refining by liquating, filtering, centrifuging, distilling, or supersonic wave action including acoustic wa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강 처리 장치는 용강의 수용이 가능한 내부 공간을 가지며, 하부에 가스를 취입하는 노즐이 마련된 용기, 내부에 용강의 통과가 가능한 통로부가 마련된 랜스 및 통로부를 감압 및 가압하도록 랜스의 통로부와 연결된 압력 조절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강 처리 장치 및 용강 처리 방법에 의하면, 용강에 회전류를 발생시킴에 따라, 기포들을 분산시켜 부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포들의 부상에 의해 용강 탕면 중 특정 영역에 탕면 유동이 크게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용강 탕면 상의 슬래그가 용강으로 유입되거나, 나탕에 의한 용강의 재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용강 처리 장치 및 용강 처리 방법{APPARATUS FOR TREATING MOLTEN STEEL AND METHOD FOR REATING MOLTEN STEEL}
본 발명은 용강 처리 장치 및 용강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강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용강 처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용강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로에서의 제선 공정을 통해 제조된 용선은 최종적으로 원하는 성분의 용강 및 제품을 얻기 위해 용선 중 일부 성분 예컨대 인(P) 및 탄소(C) 등의 함량을 조절하는 정련 과정을 거친다. 이때 일반적으로 용선으로 산소를 취입하는 취련 조업을 통해 일부 성분을 제거하여 그 함량을 조절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산소를 용선으로 취입하는 방법으로 정련을 실시함에 따라, 정련이 종료된 용선 즉, 용강에는 산소가 고농도로 함유되게 된다. 그리고, 용강 중에 산소 농도가 높으면 이는 제품의 특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에, 용강에 알루미늄(Al)과 같은 탈산제를 투입하여 산소를 제거하는 탈산 조업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용강으로 투입된 탈산제는 용강 중 산소와 반응하여 알루미나(Al2O3)와 같은 비금속 개재물을 발생시키며, 이 비금속 개재물은 주편에 결함을 발생시키는 인이 된다.
따라서, 탈산 과정에서 생성된 비금속 개재물을 제거할 필요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기포를 이용한 부상 분리 방법으로 비금속 개재물을 제거한다. 즉, 용선이 수용된 래들의 하부에 마련된 플러그를 통해 아르곤(Ar) 가스를 취입하는 버블링 공정으로 개재물을 제거한다. 플러그를 통해 아르곤(Ar) 가스가 취입되면 용강 중에 기포가 생성되며, 생성된 기포의 표면에 비금속 개재물이 흡착 또는 부착되어 포집된다. 그리고, 개재물이 부착된 상태로 기포가 탕면으로 부상됨에 따라 용강으로부터 개재물이 제거된다.
그런데, 기포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플러그로부터 분사되는 가스에 의해 생성되는 것으로, 이에 생성된 기포는 노즐 직상부에 집중적으로 분포되게 된다. 따라서 기포가 탕면으로 부상되는데 있어서, 탕면 중 플러그의 직상부 영역(plume zone)으로 집중되어 부상된다.
따라서, 탕면 중, 플러그 직상부에 해당하는 영역의 높이가 크게 상승하게 된다. 이에, 이 영역에 부유하고 있는 슬래그가 용강으로 권입 또는 유입되어 제품의 특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또한, 이렇게 탕면의 높이가 크게 상승되면, 해당 영역의 슬래그가 밀려나 용강이 노출되는 나탕(裸湯)이 발생된다. 나탕이 발생되면, 상기 나탕 발생 영역의 용강이 대기에 노출되며, 이에 용강이 재산화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KR1709134
본 발명은 기포 부상에 의한 용강 탕면 유동을 억제할 수 있는 용강 처리 장치 및 용강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용강으로의 슬래그 유입을 억제할 수 있는 용강 처리 장치 및 용강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포가 탕면의 특정 영역에 집중되어 부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용강 처리 장치 및 용강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개재물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용강 처리 장치 및 용강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강 처리 장치는 용강의 수용이 가능한 내부 공간을 가지며, 하부에 가스를 취입하는 노즐이 마련된 용기; 내부에 상기 용강의 통과가 가능한 통로부가 마련된 랜스; 상기 통로부를 감압 및 가압하도록 상기 랜스의 통로부와 연결된 압력 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통로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 1 통로; 및 상기 제 1 통로와 교차하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 1 통로에 연결된 제 2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통로는 그 연장 방향을 따라 이은 통로 연장선(Lp)이 상기 랜스의 폭 방향 중심(C)을 지나는 기준선(Lc)과 교차하도록 연장된 형상이다.
상기 제 2 통로는 곡률을 가지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통로는 상기 제 1 통로와 연결된 일단에 비해 반대 끝단인 타단의 높이가 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랜스는, 상기 제 2 통로와 상기 용기 내 바닥면 간의 이격 거리가 상기 용강의 상부 표면 높이(H)의 1/2 이하가 되도록 침지된다.
상기 압력 조절부는, 상기 랜스의 통로부와 연통되도록 일단이 상기 랜스에 연결된 연결관; 상기 연결관의 타단에 연결된 펌프; 상기 연결관의 연장 경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펌프와의 연통을 제어하는 제 1 밸브; 상기 연결관의 연장 경로 상에서 상기 랜스와 제 1 밸브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랜스 내부로의 기체 유입을 제어하는 제 2 밸브;를 포함한다.
용기 내에 용강을 마련하는 과정; 상기 용기 하부에 마련된 노즐로 가스를 취입시켜 기포를 발생시키는 버블링 과정; 및 상기 용강으로 침지된 랜스 내부로 용강을 유입시키고, 상기 랜스 내 용강을 배출시켜 상기 랜스 외측의 용강에 회전류를 발생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랜스 외측의 용강에 발생된 회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가스에 의해 생성된 기포를 분산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류를 발생시키는 과정은, 상기 랜스 내부를 감압시켜, 상기 랜스 내부로 용강을 유입시키는 과정; 및 상기 랜스 내부를 가압시켜, 상기 랜스 내부의 용강을 배출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랜스 내부의 감압 및 가압을 교대로 복수번 반복하여, 상기 랜스 내부로의 용강의 유입 및 배출을 교대로 반복시킨다.
상기 랜스 내부를 통과하는 용강의 흐름이 상기 랜스의 폭 방향 중심(C)을 지나는 기준선(Lc)과 교차하도록 한다.
상기 랜스 내부로 용강을 유입시키는데 있어서, 상기 랜스 내 용강의 높이가 상기 랜스 외측 용강의 높이에 비해 높도록 조절하고, 상기 랜스 내부의 용강을 배출시키는데 있어서, 상기 랜스 내 용강의 높이가 상기 랜스 외측 용강의 높이와 같거나, 낮도록 조절한다.
상기 랜스 내 용강의 높이가 상기 랜스 외측 용강의 높이에 비해 높도록 상기 랜스 내부로 용강을 유입시키는데 있어서, 상기 랜스 내 압력을 진공 압력으로 조절하고, 상기 랜스 내 용강의 높이가 상기 랜스 외측 용강의 높이와 같거나, 낮도록, 상기 랜스 내부의 용강을 배출시키는데 있어서, 상기 랜스 내 압력을 대기압 이상으로 조절한다.
상기 용강은 탈산이 종료된 용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강 처리 장치 및 용강 처리 방법에 의하면, 용강에 회전류를 발생시킴에 따라, 기포들을 분산시켜 부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포들의 부상에 의해 용강 탕면 중 특정 영역에 탕면 유동이 크게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용강 탕면 상의 슬래그가 용강으로 유입되거나, 나탕에 의한 용강의 재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포를 이용하여 개재물을 제거하는 조업시에, 용강에 회전류를 형성하여 기포 부상에 의한 탕면 유동이 억제됨에 따라, 개재물 제거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용강의 회전류에 의해 기포가 용강 내에 체류하는 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기포의 표면에 포집되는 개재물량이 증가되고, 이에 따라 기포를 이용한 개재물 제거 효율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강 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랜스의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류 발생 장치의 동작에 의한 용강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회전류 발생에 따른 액상물의 표면 높이 변동량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 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유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기포 부상에 의한 용강 탕면 유동을 억제할 수 있는 용강 처리 장치 및 용강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포가 탕면의 특정 영역에 집중되어 부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용강 처리 장치 및 용강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강 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랜스의 횡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강 처리 장치는 용강(M)이 수용되며, 하부에 가스의 통과가 가능한 노즐(1300)이 마련된 용기(1000), 노즐(1300)로 가스를 공급하는 공급관(2000) 및 용기(1000) 내 용강(M)으로 침지되며, 압력 조절을 통해 내부로 용강(M)을 유입시키거나, 유입된 용강(M)을 배출시키는 동작으로 용기(1000) 내 용강(M)에 회전류를 발생시키는 랜스(3100)를 구비하는 회전류 발생 장치(3000)를 포함한다.
용기(1000)는 용강(M)이 수용될 있는 내부 공간(1200)을 가지며, 상측이 개방된 형태의 몸체(1100) 및 몸체(1100)의 하부에 마련되어, 몸체(1100) 내부로 가스를 취입하는 노즐(1300)을 포함한다.
몸체(1100)는 고온의 용강 처리가 용이한 내열성의 특성을 가지도록 내화물을 포함하는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몸체(1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철피(1110) 및 내화물을 포함하는 벽돌을 철피(1110)의 내측면에 축조하여 형성한 연와(1120)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1300)은 몸체(1100)의 하부 바닥의 일부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노즐(1300)은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된 가스를 통과시킬 수 있는 유로를 가지는 구성으로 예컨대, 다공성의 내화물을 포함하는 플러그 타입(plug) 타입일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노즐(1300)은 배관을 용기(1000) 하부에 삽입시켜 마련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따른 용기(1000)는 제철 기술 분야에서 용선 또는 용강이 수강되는 래들(ladle)일 수 있다.
공급관(2000)은 노즐(1300)로 불활성 가스 예컨대 아르곤(Ar) 가스를 공급하는 수단으로, 일단은 가스 저장부(미도시)에 연결되고 타단은 노즐(1300)에 연결된다.
한편, 용기(1000) 내 수용된 용강(M)은 탈산제 예컨대 알루미늄(Al)을 이용하여 탈산 조업이 종료된 용강일 수 있고, 용강(M) 상부 표면(이하, 탕면) 상부에는 슬래그(S)가 부유하고 있다. 또한, 탈산이 종료된 용강(M)에는 탈산제와 용강 중 산소와의 반응에 의한 비금속 개재물(이하, 개재물)이 잔류하고 있다.
이에, 탈산 조업이 종료되면, 용강(M) 중 개재물 제거를 위한 버블링을 실시한다. 즉, 공급관(2000)을 통해 노즐(1300)로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여, 노즐(1300)로부터 분사되는 불활성 가스 예컨대 아르곤(Ar) 가스에 의해 용강(M) 중에 기포(B)를 발생시키는 버블링을 실시한다.
용강(M) 중에 기포(B)가 발생되면, 상기 기포(B)는 상측으로 부상하는데, 이 과정에서 용강(M) 중 개재물이 상기 기포(B)의 표면에 흡착 또는 부착되어 포집된다. 그리고 탕면으로 부유된 기포(B)는 탕면 상의 슬래그로 유입된다. 이후, 슬래그를 배재시키면 용강으로부터 개재물의 제거가 완료된다.
여기서, 기포(B)는 노즐(1300)로부터 분사되는 불활성 가스에 의해 생성되는 것이므로, 용기(1000) 내부에서 노즐(1300)의 직상부 영역에 다량의 기포(B)들이 집중되어 존재하게 된다. 이에, 기포(B)들이 상측으로 부유하는데 있어서, 탕면 중 노즐(1300) 직상부에 해당하는 영역(plume zone)으로 집중하여 부유하게 된다.
이에, 탕면 중, 노즐(1300) 직상부에 해당하는 영역의 높이가 크게 상승하는 탕면 유동이 일어날 수 있다. 한편, 슬래그에는 비금속 개재물이 포함되어 있는데, 탕면 유동이 크게 일어나면 슬래그가 용강(M)으로 권입 또는 유입될 수 있다.
또한, 탕면 중, 기포(B)들이 집중되어 부유하는 영역에서는 탕면 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슬래그가 밀려나 용강(M)이 노출되는 나탕(裸湯)이 발생될 수 있다. 나탕이 발생되면, 나탕 발생 영역의 용강(M)이 대기에 노출되며, 이때 용강(M) 중 알루미늄(Al)등의 금속이 대기 중의 산소와 반응하여 용강 중에 알루미나(Al2O3) 와 같은 비금속 개재물이 추가로 생성된다. 이에, 기포에 의해 탕면 유동에 크게 발생되는 경우, 개재물 제거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용기(1000) 내 하부로 불활성 가스를 저취하는 조업에 있어서, 기포(B)가 특정 위치로 집중되어 부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탕면 유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회전류 발생 장치(3000)를 제공한다.
회전류 발생 장치(3000)는 용강(M)에 회전류(또는 선회류)를 발생시켜, 기포(B)들을 분산시키는 수단이다. 이러한 회전류 발생 장치(3000)는 용기(1000) 내 용강(M)으로 침지 가능하며, 용강(M)의 통과가 가능한 내부 공간을 가지는 랜스(3100) 및 랜스(3100) 내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부(3200)를 포함한다.
랜스(310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그 내부에는 용강(M)의 통과가 가능한 빈 공간인 통로부(3110)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랜스(3100)는 내열성의 특성을 가지도록 내화물을 포함하는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통로부(311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압력 조절부(3200)와 연결된 제 1 통로(3111) 및 제 1 통로(3111)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일단이 제 1 통로(3111)에 연결되고, 타단이 랜스(3100)의 외주면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된 제 2 통로(3112)를 포함한다.
제 1 통로(3111)는 용강(M)이 통과하는 메인 통로로서, 제 2 통로(3112)와 교차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 1 통로(3111)의 상하 연장 길이는 제 2 통로(3112)에 비해 길고, 제 1 통로(3111)의 상하 연장 길이는 랜스(3100) 전체의 상하 연장 길이의 80% 이상(100% 미만)일 수 있다.
제 2 통로(3112)는 랜스(3100) 외측과 제 1 통로(3111) 간을 연통시키는 통로로서, 제 2 통로(3112)를 통해 용강(M)이 유입되거나, 유입된 용강(M)이 배출된다. 이러한 제 2 통로(3112)는 제 1 통로(3111)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 1 통로(3111)의 하부에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 2 통로(3112)의 일단은 제 1 통로(3111)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랜스(3100)의 외측벽으로 노출되도록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통로(3112)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스(3100) 또는 제 1 통로(3111)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 즉, 제 2 통로(3112)는, 제 1 통로(3111)와 연결된 일단에서 랜스(3100)의 외측벽으로 노출되는 타단까지 연장되는데 있어서, 제 1 통로(3111)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2(b)를 참조하여, 제 2 통로(3112)의 형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설명을 위해 랜스(3100)의 폭 방향 또는 직경 방향 중심(C)을 지나는 직선을 기준선(Lc)으로 명명한다. 또한, 제 2 통로(3112)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은 선을 통로 연장선(Lp)이라 명명한다.
제 2 통로(3112)는 그 통로 연장선(Lp)이 기준선(Lc)과 나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통로(31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통로(3111)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는다. 이를 다른 말로 설명하면, 제 2 통로(3112)는 그 통로 연장선(Lp)이 기준선(Lc)과 교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또 다른 말로 설명하면, 제 2 통로(3112)는 그 통로 연장선(Lp)이 랜스(3100)의 접선(Lt)이 이루는 각도(θ)가 수직(90°)을 이루지 않고, 예각 또는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제 2 통로(31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률을 가지도록 또는 곡선 형태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 2 통로(3112)의 형상은 나선형으로 설명될 수 있다. 물론, 제 2 통로(3112)는 곡률이 없이 직선 형태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그 통로 연장선(Lp)이 기준선(Lc)과 교차하도록 또는 접선((Lt)과 이루는 각도(θ)가 수직(90°)을 이루지 않도록 직선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제 2 통로(3112)는 제 1 통로(3111)와 연결된 일단과 랜스(3100)의 외측면으로 노출된 타단의 높이가 다르도록 형성될수 있다. 즉, 제 2 통로(3112)는 일단에 비해 타단의 높이가 낮도록 형성될 수 있고, 타단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통로(3112)는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 1 통로(3111)를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제 2 통로(3112)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랜스(3100) 내부로 용강이 유입되거나, 배출되는데, 제 2 통로(3112)로부터 용강이 배출되는 힘에 의해 랜스(3100) 외부의 용강에 회전류와 같은 흐름이 발생된다. 이때 용강에 발생된 흐름은 그 방향이 불규칙한 와류일 수 있다.
그리고, 제 2 통로(31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그 통로 연장선(Lp)이 기준선(Lc)과 교차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제 2 통로(3112)로부터 용강(M)이 배출되는 힘에 의해 랜스(3100) 외측의 용강(M)에 회전류를 발생시키는데 있어서, 보다 강한 회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함이다.
즉, 통로 연장선(Lp)이 기준선(Lc)과 교차하도록 제 2 통로(3112)를 형성하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보다 강한 세기의 회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특정 방향으로의 흐름을 가지는 또는 규칙성을 가지는 회전류를 형성할 수 있고, 보다 넓은 범위의 흐름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랜스(3100) 외측의 용강(M)에서 회전류가 형성되면, 그 힘에 의해 기포(B)들이 분산 이동하면서 부상한다. 즉, 용강 회전류에 의해 기포(B)들이 노즐(1300) 직상부에 집중되어 있지 않고, 용기(1000) 내에 전체적으로 퍼지도록 분산된다. 따라서, 기포(B)들이 탕면 전체에 퍼지도록 부상되며, 이로 인해 탕면의 높이 변화량 또는 탕면 유동량이 감소된다.
랜스(3100)는 용기(1000) 내 용강(M)으로 침지되는데, 랜스(3100)의 침지 깊이(D)가 깊을수록 기포(B)를 분산시키는데 유리할 수 있다. 여기서, 랜스(3100)의 침지 깊이(D)는 랜스(3100)와 용기(1000) 내 바닥면 간의 이격 거리를 의미하며, 랜스(3100)와 용기(1000) 내 바닥면의 이격 거리가 짧을수록 침지 깊이(D)가 깊은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이를 반영하여 다시 설명하면, 랜스(3100)와 용기(1000) 내 바닥면 간의 이격 거리가 작을수록 기포(B)를 분산시키는데 유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용강(M)이 배출되는 제 2 통로(3112)와 가스를 취입하는 노즐(1300)과의 이격 거리가 가까울수록 기포(B)를 분산시키는데 유리할 수 있다. 이때, 랜스(3100)의 침지 깊이 즉, 제 2 통로와 용기(1000) 내 바닥면 간의 이격 거리(D)가 탕면 높이(H)의 1/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랜스(3100)의 하부면이 용기(1000) 내 바닥면과 이격되지 않고 접하도록 침지될 수도 있다.
압력 조절부(3200)는 랜스(3100) 외측의 용강(M)에 회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해, 랜스(3100) 내부(즉, 통로부(3110))로 용강(M)을 유입시키고, 랜스(3100) 내부의 용강(M)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단이다. 이러한 압력 조절부(3200)는 제 1 통로(3111)와 연결된 제 1 연결관(3210), 제 1 연결관(3210)의 타단에 연결된 펌프(3220), 제 1 연결관(3210)의 연장 경로 상에 설치되어 펌프(3220)와의 연통을 제어하는 제 1 밸브(3230), 제 1 연결관(3210)의 연장 경로 상에서 랜스(3100)와 제 1 밸브(3230) 사이에 위치되며, 제 1 연결관(3210)으로 기체가 유입되도록 제어하는 제 2 밸브(32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2 밸브(3230)의 제어를 통해 제 1 연결관(3230)으로 유입되는 기체는 고압 예컨대 대기압 이상의 공기(air)일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아르곤(Ar)과 같은 불활성 가스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압력 조절부(3200)는 제 1 밸브(3230)와 제 2 밸브(3240) 사이에 위치하도록 제 1 연결관(3210)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연결관(3210) 내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3250) 및 제 2 밸브(3240)와 제 1 연결관(3210)을 연결하는 제 2 연결관(326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류 발생 장치의 동작에 의한 용강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압력 조절부(3200)의 동작에 의한 랜스(3100) 내부의 압력 변화 및 랜스(3100) 내부로의 용선 유입, 배출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제 1 및 제 2 밸브(3230, 3240)를 닫고, 랜스(3100)를 용기(1000) 내 용강(M)으로 침지시킨다. 그리고, 랜스(3100) 내부 즉, 통로부(3110)를 감압시킨다. 이를 위해, 제 1 및 제 2 밸브(3230, 3240)를 닫은 상태에서 펌프(3220)를 동작시키고, 이후 제 1 밸브(3230)를 오픈한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2 밸브(3240)를 닫고, 제 1 밸브(3230)를 오픈한 상태에서 펌프(3220)를 동작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랜스(3100) 내 통로부(3110)가 감압되며, 압력 차에 의해 용강(M)이 통로부(3110)로 유입된다. 즉, 랜스(3100) 외부의 용강이 제 2 통로(3112)를 거쳐 제 1 통로(3111)로 유입된다. 이렇게 랜스(3100) 내 통로부(3110)로 용강(M)을 유입시키는데 있어서, 통로부(3110)의 압력이 진공 압력이 되도록 하여, 도 3(a)와 같이 통로부(3110) 내 용강(M)의 높이가 랜스(3100) 외측의 용강(M) 높이에 비해 높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제 1 밸브(3230)를 닫고 제 2 밸브(3240)를 열면, 제 1 연결관(3210)을 통해 랜스(3100) 내 통로부(3110)로 기체 예컨대 공기(Air)가 유입되어 가압된다. 랜스(3100)의 통로부(3110)가 가압되면, 상기 통로부(3110) 내부의 용강이 외부로 배출된다. 이렇게 랜스(3100)의 통로부(3110)를 가압할 때, 기체가 랜스(3100) 외부로 배출되면 기포가 발생되기 때문에, 통로부(3110) 내 용강이 모두 배출되지 않고 소정 높이를 유지하도록 상기 통로부(3110)의 압력을 조절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감압 및 가압 동작은 노즐(1300)로부터 불활성 가스가 취입되는 동안 교대로 복수번 반복하여 실시된다. 이에, 랜스(3100) 내부로의 용강(M)의 유입 및 배출이 교대로 반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랜스(3100) 내부 즉, 통로부(3110)를 가압하면 용강(M)이 외부로 배출되는데, 압력에 따른 통로부(3110)의 용강 높이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랜스(3100) 내 통로부(3110)를 가압할 때, 상기 통로부(3110)가 대기압(또는, 상압) 상태가 되면(제 1 가압), 도 3(b)와 같이, 통로부(3110)의 용강(M)의 높이가 랜스(3100) 외부의 용강(M) 탕면 높이와 동일하게 될 수 있다.
그리고, 랜스(3100) 내 통로부(3110)의 압력을 대기압을 초과하도록 더 가압시키면(제 2 가압), 통로부(3110)의 용강이 더 배출되어, 도 3(c)와 같이 통로부(3110)의 용강(M) 높이가 랜스(3100) 외부의 용강 탕면 높이에 비해 낮아질 수 있다.
상기에서는 랜스(3100) 내 통로부(3110)의 용강(M)을 배출시키는데 있어서, 통로부(3110) 내 용강(M) 높이가 랜스(3100) 외부의 용강(M) 높이와 동일하도록, 통로부(3110)의 압력이 대기압이 되도록 가압하는 단계(제 1 가압)(도 3(a))와, 통로부(3110) 내 용강(M) 높이가 랜스(3100) 외부의 용강(M) 높이에 비해 낮도록, 통로부(3110)의 압력이 대기압을 초과하도록 가압하는 단계(제 2 가압)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하지만, 랜스(3100) 내 통로부(3110)의 용강 배출시키는데 있어서, 진공 압력에서 대기압을 초과하는 압력으로 한번에 조절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압력 조절부(3200)의 동작에 의하면, 랜스(3100) 내 통로부(3110)가 감압 및 가압되고, 이로 인해 통로부(3110)로 용강(M)이 유입되고, 유입된 용강(M)이 배출된다.
이때, 용강(M)이 제 2 통로(3112)로부터 배출되는 힘에 의해 랜스(3100) 외부의 용강(M)에 회전류가 발생된다. 그리고, 제 2 통로()가 랜스(3100)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경우, 제 2 통로(3112)를 통과하는 용강(M)은 랜스(3100)의 둘레 방향으로의 흐름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제 2 통로(3112)로부터 용강(M)이 배출되는데 있어서, 랜스(3100) 둘레 방향으로의 흐름을 가지도록 배출되며, 이로 인해 랜스(3100) 외부의 용강(M)에 보다 강한 세기의 회전류가 발생된다.
용기(1000) 내부에서 랜스(3100)의 외부의 용강(M)에 회전류가 발생되면, 그 힘에 의해 기포(B)들이 분산 이동된다. 즉, 기포(B)들이 어느 한쪽, 예컨대 노즐(1300) 직상부에 집중되어 있지 않고, 분산되도록 이동된다. 이에, 기포(B)들이 탕면으로 부상하는데 있어서, 노즐(1300) 직상부에 해당하는 영역에 집중되도록 부상하지 않고, 탕면 전체로 분산되어 부상한다. 따라서, 기포(B)의 부상에 의해 탕면 높이가 크게 상승하거나, 나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탕면 상의 슬래그가 용강(M)으로 유입되거나, 나탕 발생에 따른 용강 재산화를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기포(B)에 의한 개재물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용강(M)의 회전류는 기포(B)의 부상을 저지 또는 방해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 인해 회전류가 형성되지 않을 때에 비해 기포(B)가 용강(M) 내에 체류하는 시간이 증가된다. 기포(B)가 용강(M) 내에 체류하는 시간이 증가된다는 것은, 상기 기포(B)의 표면에 개재물이 부착 또는 포집되는 시간이 증가된다는 의미이다. 이에, 기포(B)가 용강(M) 내에 체류하는 시간이 증가될 수록 상기 기포(B)에 부착되는 개재물량이 증가하므로, 개재물 제거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회전류 발생에 따른 액상물의 표면 높이 변동량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 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실험 장치는 내부 공간(120)을 가지며, 하부에 가스의 통과가 가능한 노즐(130)이 마련된 수조(100) 및 수조(100) 내 액상물(W)로 침지되며, 내부로 액상물(W)을 유입시키거나, 유입된 액상물(W)을 배출시켜 수조(100) 내 액상물에 회전류를 발생시키는 튜브(310)를 구비하는 회전류 발생부(300)를 포함한다.
수조(100)는 실시예에 따른 용강 처리 장치의 용기(1000)와 대응하는 구성으로,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투광성의 재질 예컨대 투명 아크릴로 제조된다. 그리고, 수조(100)를 구성하는 벽체(110)는 그 내부로 물과 같은 액상물이 채워질 수 있도록 이중 구조로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조(100)의 벽체(110)는 최외각 벽체인 외벽(111) 및 외벽(111)의 내측에서 상기 외벽(11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내벽(112)을 포함한다. 그리고, 그 사이에 빈 공간이 마련되도록 외벽(111)과 내벽(112)이 이격 배치되며, 외벽(111)과 내벽(112) 사이에는 투광성의 액상물 예컨대 물을 채운다. 외벽(111)과 내벽(112) 사이에 투광성의 유체를 채우는 것은, 수조(100) 내부의 관찰시에 왜곡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회전류 발생부(300)는 실시예에 따른 용강 처리 장치의 회전류 발생 장치(3000)와 대응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회전류 발생부(300)는 수조(100) 내 액상물(W)로 침지 가능하며, 액상물(W)의 통과가 가능한 내부 공간을 가지는 튜브(310) 및 튜브(310) 내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부(320)를 포함한다.
튜브(310)는 실시예에 따른 용강 처리 장치의 랜스(3100)에 대응하는 구성으로, 랜스(3100)와 동일한 구성 및 형상을 가지도록 소형화시킨 것이다. 이러한 튜브(31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그 내부에는 액상물(W)의 통과가 가능한 빈 공간인 통로부(311)가 마련되어 있다.
통로부(31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압력 조절부(320)와 연결된 제 1 통로(311a) 및 제 1 통로(311a)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일단이 제 1 통로(311a)에 연결되고, 타단이 튜브(310)의 외주면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된 제 2 통로(311b)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2 통로(311b)는 일단이 제 1 통로(311a)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튜브(310)의 외측벽으로 노출되도록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통로(311b)는 튜브(310)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하였다. 즉, 튜브(310)의 제 2 통로(311b)는 상술한 랜스(3100)의 제 2 통로(3112)와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다른 말로 설명하면, 튜브(310)의 제 2 통로(311b)는 그 통로 연장선(Lp)이 기준선(Lc)과 교차하도록 형성되었다. 또 다른 말로 설명하면, 튜브(310)의 제 2 통로(311b)는 그 통로 연장선(Lp)이 랜스(3100)의 접선(Lt)과 이루는 각도(θ)가 수직(90°)을 이루지 않도록 형성되었다.
압력 조절부(320)는 실시예에 따른 용강 처리 장치의 압력 조절부(3200)에 대응하는 구성으로, 상기 용강 처리 장치의 압력 조절부(3200)와 동일한 구성 및 형상을 가지도록 소형화시킨 것이다. 즉, 압력 조절부(320)는 튜브(310)의 제 1 통로(311a)와 연결된 제 1 연결관(321), 제 1 연결관(321)의 타단에 연결된 펌프(322), 제 1 연결관(321)의 연장 경로 상에 설치되어 펌프(322)와의 연통을 제어하는 제 1 밸브(323), 제 1 연결관(321)의 연장 경로 상에서 튜브(310)와 제 1 밸브(323) 사이에 위치되며, 제 1 연결관(321)으로 기체가 유입되도록 제어하는 제 2 밸브(324)를 포함한다.
또한, 압력 조절부(320)는 제 1 밸브(323)와 제 2 밸브(324) 사이에 위치하도록 제 1 연결관(321)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연결관(321) 내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325) 및 제 2 밸브(324)와 제 1 연결관(321)을 연결하는 제 2 연결관(326)을 포함한다.
표 1은 상술한 실험 장치를 이용하여 회전류 발생부(300)의 사용시와, 그렇지 않은 경우, 액상물(W) 표면의 최대 높이 변동량을 나타낸 표이다.
실험을 위해 수조(100) 내로 액상물(W)인 물을 장입하고, 수조(100) 하부에 마련된 노즐(130)로 불활성 가스인 아르곤(Ar)를 취입하였다. 그리고, 실험 장치의 회전류 발생부(300)의 사용 여부, 노즐(130)로부터 취입되는 가스의 유량, 튜브(310)의 침지 높이(D)를 다르게 하여 실험하였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실험예는 실험 장치의 회전류 발생부(300)를 사용하지 않은 실험예이다. 즉, 제 1 및 제 2 실험예는 노즐(130)로부터 아르곤(Ar) 가스를 취입하여 기포를 발생시키면서, 회전류 발생부(300)를 동작시키지 않은 실험예이다.
그리고, 제 3 내지 제 6 실험예는 노즐(130)로부터 아르곤(Ar) 가스를 취입하여 기포를 발생시키면서, 회전류 발생부(300)를 동작시킨 실험예이다.
실험 장치의 회전류 발생부(300)의 동작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류 발생 장치(3000)의 동작과 유사하다.
제 3 내지 제 6 실험예의 실험 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제 1 및 제 2 밸브(3230, 3240)를 닫은 상태에서 튜브(310)를 수조(100) 내 액상물(W)로 침지시킨다.
그리고, 튜브(310) 내 통로부(311)를 진공 압력으로 감압한다. 이를 위해, 제 1 및 제 2 밸브(3230, 3240)를 닫은 상태에서 펌프(322)를 동작시키고, 이후 제 1 밸브(323)를 오픈한다. 이에, 제 1 밸브(323)에 연결된 제 1 연결관(321) 및 튜브(310) 내 통로부(311)가 진공 압력으로 감압되며, 이로 인해, 액상물(W)이 튜브(310)의 통로부(311)로 유입된다. 그리고 이때 통로부(311) 내 액상물(W)의 높이가 튜브(310) 외부의 액상물(W)의 높이에 비해 높도록 유입된다.
이후에 제 1 밸브(323)를 닫고, 제 2 밸브(324)를 오픈하면, 고압의 공기가 제 1 연결관(321)을 통과하여 튜브(310) 내 통로부(311)로 유입되면서 튜브(310) 내부가 가압된다. 이에, 튜브(310) 내부에 있던 액상물(W)이 밖으로 배출된다.
이때, 용강(M)이 제 2 통로(311b)로부터 배출되는 힘에 의해 튜브(310) 외부의 용강(M)에 회전류가 발생된다. 그리고, 제 2 통로(311b)가 튜브(310)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므로, 강한 세기의 회전류가 발생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튜브(310) 내부를 감압 및 가압하는 동작은 30초 주기로 교대로 반복하여 실험하였다.
또한, 제 3 내지 제 6 실험예는 노즐(130)을 통해 취입되는 아르곤(Ar) 가스의 유량 및 튜브(310)의 침지 깊이(D)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르도록 조절하여 실험하였다. 여기서, 튜브(310)의 침지 깊이(D)란, 튜브(310)의 제 2 통로(311b)와 수조(100) 내 바닥면 간의 이격 거리이다.
제 1 내지 제 6 실험예에 따른 액상물(W)의 표면 높이 최대 변동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액상물(W) 상측에 높이 변동량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기(400)를 배치하였다. 그리고, 측정기(400)로 초음파 거리계를 사용하였다. 이때, 액상물(W)의 상측에서 노즐(130)의 직상부에 위치하도록 측정기(400)를 배치하여, 액상물(W)의 표면 중, 노즐(130) 직상부 영역의 높이 최대 변동량을 측정하였다.
여기서, '표면 높이 최대 변동량'은 실험 중 실시간으로 액상물(W) 표면의 높이를 측정하고, 측정된 높이값 중 최저 높이와 최대 높이 간의 차이를 산출하는 방법으로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측정기(400)를 액상물(W)의 상측에서 노즐(130)의 직상부에 설치하였으므로, '표면 높이 최대 변동량'은 액상물의 표면 중, 노즐(130) 직상부 영역에서의 높이 최대 변동량이다.
구분 가스 유량
(Nl/min)
회전류 발생부 사용 여부 튜브 높이(mm)
표면 높이 최대 변동량(mm)
제 1 실험예 20 미사용 - 58.0
제 2 실험예 50 미사용 - 85.0
제 3 실험예 20 사용 100 13.0
제 4 실험예 20 사용 200 21.0
제 5 실험예 50 사용 100 19.0
제 6 실험예 50 사용 200 32.0
표 1을 참조하면, 제 3 내지 제 6 실험예의 표면 높이 최대 변동량이 제 1 및 제 2 실험예에 비해 작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실험예와 제 3 및 제 4 실험예를 비교하면, 노즐(130)로부터 취입되는 가스의 유량은 동일하나, 제 3 및 제 4 실험예의 표면 높이 최대 변동량이 제 1 실험예에 비해 작다. 또한, 제 2 실험예와 제 5 및 제 6 실험예를 비교하면, 노즐(130)로부터 취입되는 가스의 유량은 동일하나, 제 5 및 제 6 실험예의 표면 높이 최대 변동량이 제 2 실험예에 비해 작다. 이는, 제 3 내지 제 6 실험예의 경우, 회전류 발생부(300)를 사용하여 튜브(310) 외부의 액상물(W)에 회전류를 발생시켰기 때문이다. 즉, 튜브(310) 내부의 감압 및 가압에 따라 상기 튜브(310) 외부의 액상물(W)에 회전류가 발생되어, 노즐(130)로부터 분사되는 가스에 의해 생성된 기포들이 분산되어 부상되기 때문이다.
또한, 제 3 내지 제 6 실험예들을 비교하면, 노즐(130)로부터 취입되는 가스의 유량이 동일한 조건에서, 튜브(310)의 침지 깊이(D)가 깊을수록 액상물의 표면 높이 최대 변동량이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험 장치를 이용한 실험 결과를 통해, 액상물(W)로 가스를 취입시켜 기포를 발생시키는 조업시에 액상물(W)에 회전류를 발생시키면, 기포에 의한 액상물 표면의 높이 변동량 또는 유동을 저감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또한, 용강 처리 장치의 랜스(3100)의 침지 깊이를 깊게할수록 기포들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강 처리 장치 및 용강 처리 방법에 에 의하면, 용기(1000)의 노즐(1300)로부터 불활성 가스를 취입하여 기포(B)를 발생시킬 때, 회전류 발생 장치(3000)를 이용하여 용강(M)에 회전류를 발생시켜, 상기 용강(M) 내 기포(B)들을 분산시켜 부상시킨다. 즉, 기포(B)들이 노즐(1300) 직상부에 집중되게 부상하지 않고, 용강 탕면 전체에 고르게 퍼지도록 분산되어 부상된다.
따라서, 기포(B)들의 부상에 의해 용강 탕면 중 특정 영역의 높이가 크게 상승하는 탕면 유동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탕면 상의 슬래그가 용강으로 유입되거나, 나탕에 의한 용강의 재산화를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개재물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용강(M)의 회전류에 의해 기포(B)가 용강(M) 내에 체류하는 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기포(B)의 표면에 포집되는 개재물량이 증가되고, 이에 따라 기포를 이용한 개재물 제거 효율이 향상된다.
1000: 용기 1300: 노즐
3000: 회전류 발생 장치 3100: 랜스
3110: 통로부 3111: 제 1 통로
3112: 제 2 통로 3200: 압력 조절부
M: 용강 B: 기포

Claims (14)

  1. 용강의 수용이 가능한 내부 공간을 가지며, 하부에 가스를 취입하는 노즐이 마련된 용기;
    내부에 상기 용강의 통과가 가능한 통로부가 마련된 랜스;
    상기 통로부를 감압 및 가압하도록 상기 랜스의 통로부와 연결된 압력 조절부;
    를 포함하는 용강 처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로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 1 통로; 및
    상기 제 1 통로와 교차하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 1 통로에 연결된 제 2 통로;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통로는 그 연장 방향을 따라 이은 통로 연장선(Lp)이 상기 랜스의 폭 방향 중심(C)을 지나는 기준선(Lc)과 교차하도록 연장된 형상인 용강 처리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로는 곡률을 가지도록 연장 형성된 용강 처리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로는 상기 제 1 통로와 연결된 일단에 비해 반대 끝단인 타단의 높이가 낮도록 형성된 용강 처리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랜스는, 상기 제 2 통로와 상기 용기 내 바닥면 간의 이격 거리가 상기 용강의 상부 표면 높이(H)의 1/2 이하가 되도록 침지된 용강 처리 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조절부는,
    상기 랜스의 통로부와 연통되도록 일단이 상기 랜스에 연결된 연결관;
    상기 연결관의 타단에 연결된 펌프;
    상기 연결관의 연장 경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펌프와의 연통을 제어하는 제 1 밸브;
    상기 연결관의 연장 경로 상에서 상기 랜스와 제 1 밸브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랜스 내부로의 기체 유입을 제어하는 제 2 밸브;
    를 포함하는 용강 처리 장치.
  7. 용기 내에 용강을 마련하는 과정;
    상기 용기 하부에 마련된 노즐로 가스를 취입시켜 기포를 발생시키는 버블링 과정; 및
    상기 용강으로 침지된 랜스 내부로 용강을 유입시키고, 상기 랜스 내 용강을 배출시켜 상기 랜스 외측의 용강에 회전류를 발생시키는 과정;
    을 포함하는 용강 처리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랜스 외측의 용강에 발생된 회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가스에 의해 생성된 기포를 분산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용강 처리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회전류를 발생시키는 과정은,
    상기 랜스 내부를 감압시켜, 상기 랜스 내부로 용강을 유입시키는 과정; 및
    상기 랜스 내부를 가압시켜, 상기 랜스 내부의 용강을 배출시키는 과정;
    을 포함하는 용강 처리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랜스 내부의 감압 및 가압을 교대로 복수번 반복하여, 상기 랜스 내부로의 용강의 유입 및 배출을 교대로 반복시키는 용강 처리 방법.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랜스 내부를 통과하는 용강의 흐름이 상기 랜스의 폭 방향 중심(C)을 지나는 기준선(Lc)과 교차하도록 하는 용강 처리 방법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랜스 내부로 용강을 유입시키는데 있어서, 상기 랜스 내 용강의 높이가 상기 랜스 외측 용강의 높이에 비해 높도록 조절하고,
    상기 랜스 내부의 용강을 배출시키는데 있어서, 상기 랜스 내 용강의 높이가 상기 랜스 외측 용강의 높이와 같거나, 낮도록 조절하는 용강 처리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랜스 내 용강의 높이가 상기 랜스 외측 용강의 높이에 비해 높도록 상기 랜스 내부로 용강을 유입시키는데 있어서, 상기 랜스 내 압력을 진공 압력으로 조절하고,
    상기 랜스 내 용강의 높이가 상기 랜스 외측 용강의 높이와 같거나, 낮도록, 상기 랜스 내부의 용강을 배출시키는데 있어서, 상기 랜스 내 압력을 대기압 이상으로 조절하는 용강 처리 방법.
  14.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강은 탈산이 종료된 용강인 용강 처리 방법.
KR1020190107505A 2019-08-30 2019-08-30 용강 처리 장치 및 용강 처리 방법 KR102241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505A KR102241751B1 (ko) 2019-08-30 2019-08-30 용강 처리 장치 및 용강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505A KR102241751B1 (ko) 2019-08-30 2019-08-30 용강 처리 장치 및 용강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555A true KR20210026555A (ko) 2021-03-10
KR102241751B1 KR102241751B1 (ko) 2021-04-19

Family

ID=75148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7505A KR102241751B1 (ko) 2019-08-30 2019-08-30 용강 처리 장치 및 용강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175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8469A (ko) * 2012-08-29 2014-03-10 주식회사 포스코 용탕 처리 장치 및 그 처리 방법
JP6063017B2 (ja) * 2014-10-02 2017-01-18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
KR101709134B1 (ko) 2015-12-04 2017-02-23 주식회사 포스코 정련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정련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8469A (ko) * 2012-08-29 2014-03-10 주식회사 포스코 용탕 처리 장치 및 그 처리 방법
JP6063017B2 (ja) * 2014-10-02 2017-01-18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
KR101709134B1 (ko) 2015-12-04 2017-02-23 주식회사 포스코 정련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정련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1751B1 (ko) 2021-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61452B (zh) 一种底喷粉单嘴真空脱气精炼钢液的装置及方法
KR102241751B1 (ko) 용강 처리 장치 및 용강 처리 방법
RU247370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егазации стального расплава, снабженное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м выпускным рукавом
KR940006490B1 (ko) 극저탄소강의 제조방법
JP2007031820A (ja) 溶鋼の真空脱ガス処理方法
CN207498409U (zh) 一种rh精炼炉用浸渍管
JPH11315315A (ja) 液体金属を減圧下で処理するための冶金反応装置
JP4806863B2 (ja) Rh真空脱ガス装置における溶鋼の精錬方法
JP4096635B2 (ja) 溶融金属の精錬装置と方法ならびに微細気泡生成装置
JPH05214430A (ja) 溶鋼の真空精錬方法
KR20150071387A (ko) 용강처리장치
JPH08269534A (ja) 溶鋼の真空脱ガス処理装置
CN110331256B (zh) 一种可提高脱碳速率的真空循环脱气精炼装置
KR100921500B1 (ko) 극저탄소강의 탈황방법
JPH0754034A (ja) 極低炭素鋼の溶製方法
JPH0741835A (ja) ガスインジェクションによる溶鋼の真空精錬方法
JP2648769B2 (ja) 溶鋼の真空精錬方法
JP5079005B2 (ja) 吸酸及び吸窒が減少した合金鉄投入装置及び投入方法
JP2002180124A (ja) 溶融金属の精錬方法
JP4938246B2 (ja) 減圧下における溶融金属の精錬方法及び精錬用上吹きランス
JP4466287B2 (ja) 減圧下における溶鋼の精錬方法及び精錬用上吹きランス
JPH1161237A (ja) 極低炭素鋼の真空精錬による製造方法
JPH0499119A (ja) 極低炭素鋼の溶製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4470673B2 (ja) 溶鋼の真空脱炭精錬方法
JP3706451B2 (ja) 高クロム鋼の減圧脱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