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3761A - 적층체 보지 장치 - Google Patents
적층체 보지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23761A KR20210023761A KR1020200105276A KR20200105276A KR20210023761A KR 20210023761 A KR20210023761 A KR 20210023761A KR 1020200105276 A KR1020200105276 A KR 1020200105276A KR 20200105276 A KR20200105276 A KR 20200105276A KR 20210023761 A KR20210023761 A KR 2021002376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ide
- tilt
- clamp
- sheet
- electrod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68—Compression means for stacks of electrodes and separ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Pile Receiv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과제] 시트 부재의 적층 시에 있어서의 손상을 억제한다.
[해결 수단] 적층체 보지 장치(40)는, 시트 부재(1)가 적층되는 적층대(43)와, 적층대(43)를, 적층대(43)에 적층된 시트 부재(1)의 적층 방향 상측을 향하여 상시 가압하는 가압 기구(42)와, 적층대(43)의 좌우 양측에 대향하도록, 적층대(43)의 전후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클램프 로드(51)와, 클램프 로드(51)에 고정되며, 적층대(43)에 적층된 시트 부재(1)를 적층 방향 상측으로부터 누르기 위한 클램프 아암(52)과, 클램프 로드(51)를 적층 방향과 평행하게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기구(60)와, 클램프 아암(52)이 적층 방향 상측으로 개방되면서 적층대(43)로부터 멀어지도록, 또한 클램프 아암(52)이 적층대(43)에 접근하면서 적층 방향 하측을 향하여 폐쇄해 가도록, 클램프 로드(51)를 요동시키는 틸트 기구(70)를 구비한다.
[해결 수단] 적층체 보지 장치(40)는, 시트 부재(1)가 적층되는 적층대(43)와, 적층대(43)를, 적층대(43)에 적층된 시트 부재(1)의 적층 방향 상측을 향하여 상시 가압하는 가압 기구(42)와, 적층대(43)의 좌우 양측에 대향하도록, 적층대(43)의 전후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클램프 로드(51)와, 클램프 로드(51)에 고정되며, 적층대(43)에 적층된 시트 부재(1)를 적층 방향 상측으로부터 누르기 위한 클램프 아암(52)과, 클램프 로드(51)를 적층 방향과 평행하게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기구(60)와, 클램프 아암(52)이 적층 방향 상측으로 개방되면서 적층대(43)로부터 멀어지도록, 또한 클램프 아암(52)이 적층대(43)에 접근하면서 적층 방향 하측을 향하여 폐쇄해 가도록, 클램프 로드(51)를 요동시키는 틸트 기구(7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적층체 보지(保持)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종래의 적층체 보지 장치로서, 적층체의 측면을 가이드 부재에 의해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서술한 특허문헌 1과 같이, 적층체의 측면을 가이드 부재에 의해 지지하면, 시트 부재의 적층 시에 시트 부재가 가이드 부재에 맞닿아, 시트 부재의 주연부(周緣部)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에 착목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시트 부재의 적층 시에 시트 부재가 손상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어느 양태에 의한 적층체 보지 장치는, 시트 부재가 적층되는 적층대와, 적층대를, 적층대에 적층된 시트 부재의 적층 방향 상측을 향하여 상시 가압하는 가압 기구와, 적층대의 좌우 양측에 대향하도록 적층대의 전후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클램프 로드와, 클램프 로드에 고정되며, 적층대에 적층된 시트 부재를 적층 방향 상측으로부터 누르기 위한 클램프 아암과, 클램프 로드를, 적층 방향과 평행하게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기구와, 클램프 아암이 적층 방향 상측으로 개방되면서 적층대로부터 멀어지도록, 또한 클램프 아암이 적층대에 접근하면서 적층 방향 하측을 향하여 폐쇄되도록, 클램프 로드를 요동시키는 틸트 기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이 양태에 의하면, 클램프 아암을 개방하여 클램프 아암에 의한 시트 부재의 누름을 해제할 때는, 틸트 기구에 의해, 클램프 아암이 적층 방향 상측으로 개방되면서 적층대로부터 멀어지기 때문에, 시트 부재의 주연부의 표면이 클램프 아암에 의해 문질러져서, 시트 부재의 주연부가 손상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클램프 아암을 폐쇄하여 클램프 아암에 의해 시트 부재를 누를 때는, 슬라이드 기구에 의해, 일단 상승시킨 클램프 로드를 하강시킴으로써, 시트 부재를 클램프 아암에 의해 적층 방향 상측으로부터 누를 수 있다. 그 때문에, 클램프 아암에 의해 시트 부재를 누를 때도, 시트 부재의 주연부의 표면이 클램프 아암에 의해 문질러지는 일이 없기 때문에, 시트 부재의 주연부가 손상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단위 전지의 평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단위 전지의 단면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정극을 구비하는 시트상 전극의 단면도이다.
도 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정극이 없는 시트상 전극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시트상 전극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적층체 제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전극 반송 장치의 일부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선을 따라 본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가동자(可動子)의 단면도이다.
도 5는, 가동자에 장착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반송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6a는, 반송 플레이트의 클램프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6b는, 반송 플레이트의 클램프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7은, 시트상 전극의 적층 공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전극 반송 장치 및 지그 반송 장치를 도해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적층 지그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화살표 A 방향에서 본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슬라이드 기구 및 틸트 기구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슬라이드 기구의 개략 부분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틸트 기구의 개략 부분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틸트 기구의 동작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슬라이드 기구의 동작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이다.
도 15는, 적층 지그에 의한 적층체 보지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단위 전지의 단면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정극을 구비하는 시트상 전극의 단면도이다.
도 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정극이 없는 시트상 전극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시트상 전극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적층체 제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전극 반송 장치의 일부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선을 따라 본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가동자(可動子)의 단면도이다.
도 5는, 가동자에 장착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반송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6a는, 반송 플레이트의 클램프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6b는, 반송 플레이트의 클램프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7은, 시트상 전극의 적층 공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전극 반송 장치 및 지그 반송 장치를 도해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적층 지그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화살표 A 방향에서 본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슬라이드 기구 및 틸트 기구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슬라이드 기구의 개략 부분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틸트 기구의 개략 부분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틸트 기구의 동작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슬라이드 기구의 동작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이다.
도 15는, 적층 지그에 의한 적층체 보지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이다.
본 발명은, 시트상 전극의 적층체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 시트상 전극의 적층체로부터, 예를 들면, 차량에 탑재되는 전지가 형성된다. 그러면, 우선, 이 적층체를 형성하고 있는 시트상 전극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 이 시트상 전극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전지의 구성 요소, 즉, 단위 전지의 평면도와, 도 1a의 IB-IB선을 따라 본 단위 전지의 단면도를 도해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단위 전지의 두께는 1㎜ 이하이며, 따라서, 도 1b에서는 각 층의 두께가 상당히 과장되어 나타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2는 정극집전체층, 3은 정극활물질층, 4는 고체전해질층, 5는 부극활물질층, 6은 부극집전체층을 각각 나타낸다. 정극집전체층(2)은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정극집전체층(2)은 집전용 금속박, 예를 들면, 알루미늄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정극활물질층(3)은, 리튬 이온, 나트륨 이온, 칼슘 이온 등의 금속 이온을, 방전 시에 흡장시키고, 충전 시에 방출시킬 수 있는 정극활물질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체전해질층(4)은, 리튬 이온, 나트륨 이온, 칼슘 이온 등의 금속 이온에 대하여 전도성을 가지며, 전고체전지 재료로서 이용 가능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부극활물질층(5)은, 리튬 이온, 나트륨 이온, 칼슘 이온 등의 금속 이온을, 방전 시에 방출시키고, 충전 시에 흡장시킬 수 있는 부극활물질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부극집전체층(6)은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부극집전체층(6)은 집전용 금속박, 예를 들면, 구리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서술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조되는 전지는 전고체전지이며, 이 경우, 이 전지는, 전고체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용되는 시트상 전극은, 도 1a와 마찬가지인 직사각형상의 평면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도 1c 또는 도 1d에 나타내는 단면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것들 도 1c 및 도 1d는, 도 1a의 IB-IB선과 동일한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것들 도 1c 및 도 1d에 있어서도, 도 1b와 마찬가지로, 2는 정극집전체층, 3은 정극활물질층, 4는 고체전해질층, 5는 부극활물질층, 6은 부극집전체층을 나타내고 있다.
도 1c에 나타내는 시트상 전극은, 중심부에 부극집전체층(6)이 위치하고 있으며, 이 부극집전체층(6)으로부터 상방향을 향해서, 부극활물질층(5), 고체전해질층(4), 정극활물질층(3), 정극집전체층(2)이 순차 형성되어 있으며, 부극집전체층(6)으로부터 하방향을 향해서, 부극활물질층(5), 고체전해질층(4), 정극활물질층(3)이 순차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본 실시형태에서는, 부극집전체층(6)은 구리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정극집전체층(2)은 알루미늄박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1d에 나타내는 시트상 전극은, 중심부에 부극집전체층(6)이 위치하고 있으며, 이 부극집전체층(6)으로부터 상하 방향을 향하여 각각, 부극활물질층(5), 고체전해질층(4), 정극활물질층(3)이 순차 형성되어 있다. 즉, 도 1d에 나타내는 시트상 전극은 정극집전체층(2)을 가지고 있지 않다. 도 1d에 나타내는 경우에도, 부극집전체층(6)은 구리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d에 나타내는 단면 형상의 시트상 전극이 미리 형성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적층 공정의 도중에 도 1d에 나타내는 단면 형상의 시트상 전극 상에 알루미늄박(정극집전체)(2)이 첩부(貼付)되어, 그 결과, 도 1c에 나타내는 단면 형상의 시트상 전극, 즉, 알루미늄박(2)이 첩부된 시트상 전극이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알루미늄박(2)이 첩부된 시트상 전극을, 시트상 전극(1)이라고 칭하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특히 혼란되지 않는다고 생각되는 경우에는, 알루미늄박(2)이 첩부되어 있지 않은 도 1d에 나타내는 단면 형상의 시트상 전극도 시트상 전극(1)이라고 칭한다. 이에 대하여, 알루미늄박(2)이 첩부된 시트상 전극(1)과 알루미늄박(2)이 첩부되어 있지 않은 시트상 전극(1)을 구별하여 표현한 쪽이 바람직할 경우에는, 알루미늄박(2)이 첩부된 시트상 전극을 정극을 구비하는 시트상 전극(1)이라고 칭하고, 알루미늄박(2)이 첩부되어 있지 않은 시트상 전극을, 정극이 없는 시트상 전극(1)이라고 칭한다.
또한, 도 1c 및 도 1d에 나타내는 시트상 전극(1)은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다양한 구조의 시트상 전극(1)의 사용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리박(6)의 일방의 측면 상에, 부극활물질층(5), 고체전해질층(4), 정극활물질층(3) 및 정극집전체층(2)을 형성하거나, 또는 부극활물질층(5), 고체전해질층(4) 및 정극활물질층(3)을 형성하거나, 또는 부극활물질층(5) 및 고체전해질층(4)을 형성하거나, 또는 부극활물질층(5)만을 형성하고, 구리박(6)의 타방의 측면 상에, 부극활물질층(5) 및 고체전해질층(4)을 형성하거나, 또는 부극활물질층(5)만을 형성하거나, 또는 아무것도 형성하지 않는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구리박(6) 대신에, 정극집전체층(2)을 형성하는 알루미늄박을 이용하고, 이 알루미늄박(2)의 일방의 측면 상에, 정극활물질층(3), 고체전해질층(4), 부극활물질층(5) 및 부극집전체층(6)을 형성하거나, 또는 정극활물질층(3), 고체전해질층(4) 및 부극활물질층(5)을 형성하거나, 또는 정극활물질층(3) 및 고체전해질층(4)을 형성하거나, 또는 정극활물질층(3)만을 형성하고, 타방의 측면 상에, 정극활물질층(3), 고체전해질층(4) 및 부극활물질층(5)을 형성하거나, 또는 정극활물질층(3) 및 고체전해질층(4)을 형성하거나, 또는 정극활물질층(3)만을 형성하거나, 또는 아무것도 형성하지 않는 구조로 할 수 있다.
따라서, 포괄적으로 표현하면, 본 발명에 있어서, 시트상 전극(1)은, 집전용 금속박(2 또는 6)과, 집전용 금속박(2 또는 6) 상에 형성된 정극활물질층(3) 및 부극활물질층(5) 중 적어도 일방을 포함하고 있게 된다. 또한, 이하에서는, 시트상 전극(1)이, 도 1c 및 도 1d 중 어느 것에 나타내는 구조를 가지는 경우를 예로 들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적층체 제조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시트상 전극(1)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제조하기 위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적층체 제조 장치(A)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체 제조 장치(A)는, 전극 반송 장치(B)와, 지그 반송 장치(C)와, 운전 제어 장치(D)를 구비한다.
전극 반송 장치(B)에는, 도 2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이재(移載) 위치에 있어서, 한 장의 정극이 없는 시트상 전극(1)이 이재된다. 전극 반송 장치(B)에 이재된 정극이 없는 시트상 전극(1)은, 이 정극이 없는 시트상 전극(1)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전극 반송 장치(B)에 의해 도 2에 나타내는 반송 방향으로 반송된다.
이하에서는 우선, 도 2에 추가하여 도 3에서 도 6b를 참조하여, 이 전극 반송 장치(B)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전극 반송 장치(B)의 일부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극 반송 장치(B)는, 수직면 내에 있어서 상하 방향에 간격을 사이에 둔 수평 직선 부분(10a) 및 한 쌍의 반원형 부분(10b)을 구비하는 장원형의 레일(10)과, 이 레일(10) 상을 주행 가능한 복수 개의 가동자(12)를 구비한다.
도 4는, 도 3의 Ⅳ-Ⅳ선을 따라 본 가동자(12)의 단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자(12)는, 가동자(12)에 대하여 축선(13a)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레일(10) 상을 전동(轉動)하는 한 쌍의 가이드 롤러(13)(진행 방향에 대하여 전과 후에 배치되어 있다)와, 가동자(12)에 대하여 축선(14a)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레일(10) 상을 전동하는 한 쌍의 가이드 롤러(14)(진행 방향에 대하여 전과 후에 배치되어 있다)와, 가동자(12)에 대하여 축선(15a)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레일(10) 상을 전동하는 가이드 롤러(15)와, 가동자(12)에 축선(16a)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레일(10) 상을 전동하는 가이드 롤러(16)를 구비한다.
또한, 가동자(12)는, 한 쌍의 영구 자석(17,18)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들 영구 자석(17,18)에 끼인 전극 반송 장치(B) 내에는, 코일이 권설(卷設)된 고정자(11)가 배치되어 있다. 이 고정자(11)와 영구 자석(17,18)에 의해, 즉 고정자(11)와 가동자(12)에 의하여 리니어 모터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극 반송 장치(B)에서는 리니어 모터의 가동자(12)가 레일(10) 상을 주행하게 된다. 전극 반송 장치(B)의 각 가동자(12)에는, 예를 들면, 번호가 첨부되어 있으며, 각 가동자(12)는, 가동자(12)마다 운전 제어 장치(D)에 의해 각각 독립으로 주행 속도나 위치 등이 제어된다.
또한, 가동자(12) 상에는 직사각형상을 이루는 반송 플레이트(20)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반송 플레이트(20) 상에 시트상 전극(1)이 재치된다.
도 5는, 가동자(12)에 장착된 반송 플레이트(20)의 사시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 플레이트(20)에는, 반송 플레이트(20) 상에 재치된 시트상 전극(1)을 반송 플레이트(20) 상에 눌러, 반송 중, 시트상 전극(1)을 반송 플레이트(20)의 재치 위치에 보지하는 복수의 클램프(21,22,23,24)가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송 방향에 대하여 전방에 위치하는 반송 플레이트(20)의 전단부에 간격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의 클램프(21,22)가 장착되어 있으며, 진행 방향에 대하여 후방에 위치하는 반송 플레이트(20)의 후단부에 간격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의 클램프(23,24)가 장착되어 있다.
이들 클램프(21,22,23,24)는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클램프(22)를 예로 들어서 클램프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6a는, 클램프(22)에 의해, 시트상 전극(1)이 반송 플레이트(20) 상에 눌려 있는 때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6b는, 클램프(22)가 시트상 전극(1)을 해방하였을 때를 나타내고 있다.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램프(22)는, 개략적으로 하면 L자형(型)을 이루는 클램프 아암(25)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클램프 아암(25)의 중앙부가, 지지핀(26)에 의해, 반송 플레이트(20)에 고정된 지지판(27)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클램프 아암(25)의 일단에는 반송 플레이트(20)의 표면 상까지 연장되는 누름부(25a)가 형성되어 있으며, 클램프 아암(25)의 타단에는 롤러(28)가 장착되어 있다. 클램프 아암(25)은, 클램프 아암(25)과 지지판(27) 사이에 장착된 인장스프링(29)에 의해 상시 시계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가동자(12)의 주행 경로에는, 클램프 아암(25)의 롤러(28)와 계합(engaging) 가능한 고정 캠(도시 생략)이 마련되어 있다. 클램프 아암(25)의 롤러(28)는, 통상, 이 고정 캠과 계합하고 있지 않으며, 이 때에는, 도 6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시트상 전극(1)은, 인장스프링(29)의 스프링력에 의해, 클램프 아암(25)의 누름부(25a)에 의해 반송 플레이트(20) 상에 눌려져 있다. 한편, 클램프 아암(25)의 롤러(28)가 고정 캠과 계합하면, 도 6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롤러(28)가 상승하여, 시트상 전극(1)이, 클램프 아암(25)의 누름부(25a)로부터 해방된다. 또한, 도 6a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클램프 아암(25)과 시트상 전극(1)의 외주연(外周緣)의 사이에는 공극이 존재하고 있으며, 따라서, 시트상 전극(1)의 외주연은 클램프 아암(25)과 접촉하고 있지 않다. 즉, 이 때, 시트상 전극(1)의 외주연은, 그 전체 외주연이 비접촉 상태에 있다. 따라서, 시트상 전극(1)이, 클램프 아암(25)의 누름부(25a)에 의해 반송 플레이트(20) 상에 눌러져 있을 때에, 시트상 전극(1)의 외주연이 손상될 일이 없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면서, 시트상 전극(1)의 적층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시트상 전극(1)의 적층 공정을 도해적으로 나타내고 있으며, 이 도 7에는, 반송 플레이트(20) 상에 재치된 시트상 전극(1)과, 반송 플레이트(20)에 장착된 클램프(21,22,23,24)가 도해적으로 나타나 있다. 다만, 도 7에서는, 반송 플레이트(20)는 생략되어 있다. 또한, 이 도 7에는, 시트상 전극(1)이 전극 반송 장치(B)에 의해 반송되고 있을 때에 행해지는 다양한 처리가 나타내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늘고 긴 구리박의 양측면 상에, 구리박의 긴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부극활물질층, 고체전해질층 및 정극활물질층이 순차적으로, 겹치도록 도포되고, 이어서, 이 구리박을, 소정의 길이마다 절단함으로써, 도 1d에 나타내는 단면 형상의 정극이 없는 시트상 전극(1)이 작성된다. 이 정극이 없는 시트상 전극(1)은 매거진(Z) 내에 겹쳐 쌓여져 보관된다. 이 매거진(Z) 내에 겹쳐 쌓아져 있는 시트상 전극(1)은, 전극 이재 장치(B)에 의해, 상기 서술한 이재 위치(도 2 참조)에 있어서, 한 장씩 순차적으로, 전극 반송 장치(B)의 상방의 수평 직선 부분(10a)에 있어서 반송 플레이트(20) 상에 이재된다.
상방의 수평 직선 부분(10a)에 있어서 반송 플레이트(20) 상에 재치된 시트상 전극(1)은, 전극 반송 장치(B)의 수평 직선 부분(10a)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우선, 접속용 전극 탭을 형성하기 위한 구리박(6)의 단부(端部)의 탭 재단 처리가 행해진다. 이어서, 알루미늄(정극)박의 단락을 저지하기 위하여 구리박(6)의 일부에 절연재를 도포하기 위한 단부 절연 처리가 행해진다. 이어서, 정극이 없는 시트상 전극(1)의 전극 검사가 행해져, 접속용 전극 탭이 정확하게 형성되어 있는지 아닌지, 및 절연재가 정확하게 도포되어 있는지 아닌지가 검출된다.
이어서, 알루미늄(정극)박(2)을 시트상 전극(1) 상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첩부하는 정극박 첩부 처리가 행해진다. 알루미늄(정극)박(2)이, 반송 플레이트(20) 상에 재치된 시트상 전극(1)에 첩부되면, 시트상 전극(1)은 도 1c에 나타내는 단면 형상의 정극을 구비하는 시트상 전극이 된다. 이어서, 알루미늄(정극)박(2)이 시트상 전극(1) 상에 적절하게 첩부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검사하는 박첩부 검사가 행해진다. 이어서, 정극을 구비하는 시트상 전극(1)을 적층하였을 때에, 적층한 시트상 전극(1) 사이에서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도록 알루미늄(정극)박(2) 상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어긋남 방지 도포 처리가 행해진다.
이어서, 반송 플레이트(20)가, 전극 반송 장치(B)의 반원형 부분(10b)에 도달하여, 반원형 부분(10b)을 따라 진행되기 시작하면,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반송 플레이트(20)의 상하가 반전되기 시작하고, 반송 플레이트(20)가, 전극 반송 장치(B)의 반원형 부분(10b)의 하단부에 도달하면, 반송 플레이트(20)의 상하가 완전하게 반전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처럼 반송 플레이트(20)의 상하가 반전된 상태에서, 정극을 구비하는 시트상 전극(1)의 적층 작용이 행해진다. 이 적층 작용에 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한, 적층 작용이 이루어지면, 정극을 구비하는 시트상 전극(1)은 반송 플레이트(20) 상에서 제거되어, 반송 플레이트(20) 상은 빈 상태가 된다. 이 빈 상태가 된 반송 플레이트(20)는, 순차적으로, 도 2에 나타내는 이재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지그 반송 장치(C)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하면서, 정극을 구비하는 시트상 전극(1)의 적층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지그 반송 장치(C)를 도해적으로 그린 평면도이며, 이 도 8에는 전극 반송 장치(B)가 쇄선으로 나타내져 있다.
도 2 및 도 8을 참조하면, 지그 반송 장치(C)는, 전극 반송 장치(B)의 소형판으로서 전극 반송 장치(B)와 마찬가지인 기능을 가지고 있다. 즉, 지그 반송 장치(C)는, 병렬 배치된 한 쌍의 직선 부분과 한 쌍의 반원형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장원형의 레일(30)과, 이 레일(30) 상을 주행하는 리니어 모터의 가동자(31)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가동자(31)는, 도 4에 나타내는 가동자(12)와 마찬가지인 구조를 가진다. 이 가동자(31)에는 장원형의 레일(30)로부터 수평 방향 외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반송대(32)의 단부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 반송대(32) 상에 적층 지그(40)가 탑재된다. 이 적층 지그(40)의 상세에 대해서는,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송 플레이트(20)의 상하가 반전된 상태에서, 정극을 구비하는 시트상 전극(1)의 적층 작용이 행해진다. 이 때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반송 플레이트(20) 상에 재치된 시트상 전극(1)에 적층 지그(40)의 상면을 대면시킨 상태에서, 반송 플레이트(20)의 클램프(21,22,23,24)에 의한 시트상 전극의 보지를 해제함으로써, 반송 플레이트(20) 상에 재치된 시트상 전극(1)이 적층 지그(40) 내에 낙하시켜져, 시트상 전극(1)이 적층 지그(40)에 적층된다. 이 경우,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송 플레이트(20)를 진행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적층 작용을 행하므로, 적층 작용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 반송 플레이트(20) 상에 재치된 시트상 전극(1)에 적층 지그(40)의 상면이 계속하여 대면하도록 적층 지그(40)가 반송된다.
지그 반송 장치(C)의 가동자(31)에는, 반송대(32)의 단부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 반송대(32) 상에 적층 지그(40)가 탑재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적층 작용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 반송 플레이트(20) 상에 재치된 시트상 전극(1)에 적층 지그(40)의 상면이 계속하여 대면할 수 있도록, 즉, 적층 작용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 반송대(32)에 탑재된 적층 지그(40)가 전극 반송 장치(B)의 바로 아래를 계속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지그 반송 장치(C)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적층 작용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 반송 플레이트(20) 상에 재치된 시트상 전극(1)에 적층 지그(40)의 상면이 계속하여 대면하도록, 반송 플레이트(20)와 반송대(32)가 동기하여 이동된다.
도 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지그 반송 장치(C)는, 가동자(31)에 의해 지지된 세개의 반송대(32)를 가지고 있으며, 각 반송대(32) 상에 적층 지그(40)가 탑재되어 있다. 이들 반송대(32)는 가동자(31)에 의해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8에 있어서, 예를 들면, 어떤 반송 플레이트(20)에 재치되어 있는 시트상 전극(1)의 적층 지그(40)로의 적층 작업이, AX로 나타내는 반송대(32) 상의 적층 지그(40)에 대하여 행해지고 있을 때에는, 이 반송 플레이트(20)에 후속하고 있는 반송 플레이트(20)로부터의 적층 지그(40)에 대한 시트상 전극(1)의 적층 작업은, BX로 나타내는 반송대(32) 상의 적층 지그(40)에 대하여 행해진다. 한편, CX로 나타내는 반송대(32) 상의 적층 지그(40)는, 적층 지그(40)에 대한 시트상 전극(1)의 적층 작업이 이미 완료된 적층 지그(40)를 나타내고 있으며, 반송대(32)는, 적층 지그(40)에 대한 시트상 전극(1)의 적층 작업이 완료되면, 고속도로, 선행하는 반송대(32), 도 8에 있어서는 BX로 나타내는 반송대(32)의 뒤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반송 플레이트(20)에 의해 차례차례로 반송되어 오는 시트상 전극(1)은, 순차 반송되어 오는 반송대(32) 상의 적층 지그(40) 내에 차례차례로 한 장씩 적층된다. 이 시트상 전극(1)의 적층 지그(40)로의 적층 작업은 고속으로 행해지며, 따라서, 각 적층 지그(40)에는 단시간에, 미리 설정된 매수의 시트상 전극(1)의 적층체가 형성된다. 미리 설정된 매수의 시트상 전극(1)의 적층체가 생성되면, 적층 지그(40)는, 다음 처리를 행하기 위하여, 시트상 전극(1)의 적층체를 보지한 채 지그 반송 장치(C)의 반송대(32)로부터 제거되고, 빈 적층 지그(40)가 반송대(32) 상에 재치된다.
지그 반송 장치(C)의 반송대(32)로부터 제거된 적층 지그(40)는, 도시하지 않은 프레스 장치로 운반되어, 시트상 전극(1)의 적층체의 압축 작업이 행해진다. 이어서, 시트상 전극(1)의 적층체가 압축된 상태에서 시트상 전극(1)의 적층체의 측면부에 수지가 도포되고, 그에 의해, 시트상 전극(1)의 측면부가 서로 수지에 의해 고착(固着)된다. 이어서, 알루미늄(정극)박(2)을 시트상 전극(1) 상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첩부하는 정극박 첩부 처리가 행해진다. 이어서, 시트상 전극(1)의 접속용 전극 탭에 전력 취출용 단자를 접합하기 위한 단자 접합 처리가 행해진다. 그에 의해, 시트상 전극(1)의 전극 적층체가 생성된다. 이렇게 하여 형성된 전극 적층체는, 예를 들면, 라미네이트 필름에 의해 파우치상(狀)으로 덮이고, 라미네이트 필름에 의해 파우치상으로 덮인 복수의 전극 적층체를 직렬 또는 병렬로 전기적으로 접속함으로써, 예를 들면, 차량에 탑재되는 전지가 형성된다.
이처럼, 시트상 전극(1)의 적층 지그(40)로의 적층 작업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은, 시트상 전극(1)의 적층체의 측면부가 아직 수지에 의해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적층 작업 중에 있어서는, 적층된 시트상 전극(1)이 어긋나지 않도록 적층체를 보지하면서, 반송 플레이트(20)에 의해 반송되어 온 시트상 전극(1)을 손상시키지 않고 수취할 수 있도록, 적층 지그(40)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하, 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적층 지그(40)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가동자(31)에 의해 지지된 각 반송대(32) 상에 탑재된 적층 지그(40)의 개략 사시도이다.
적층 지그(40)는, 기대(基台)(41)와, 기대(41) 상에 장착된 팬더 그래프식 승강 기구(42)와, 팬더 그래프식 승강 기구(42)에 의해 지지된 바닥판(43)을 구비하고, 팬더 그래프식 승강 기구(42)에 의해, 바닥판(43)을, 바닥판(43) 상에 적층되는 시트상 전극(1)의 적층 방향과 일치하는 연직 방향 상측으로 상시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9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판(43)의 짧은 길이 방향을 X축방향이라고 정의하는 것과 함께, 바닥판(43)의 짧은 길이 방향의 일단측 및 타단측을, 각각 우측 및 좌측이라고 정의한다. 또한, 바닥판(43)의 긴 길이 방향을 Y축방향이라고 정의하는 것과 함께, 바닥판(43)의 긴 길이 방향의 일단측 및 타단측을, 각각 전측(前側) 및 후측이라고 정의한다. 추가로, 연직 방향을 Z축방향이라고 정의하고, 연직 방향의 상측 및 하측을, 각각 상측 및 하측이라고 정의한다.
적층 지그(40)는, 바닥판(43)의 우측과 좌측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적층체 보지 기구(50)를 추가로 구비하고, 적층체 보지 기구(50)에 의해, 전극 반송 장치(B)의 반송 플레이트(20)로부터 바닥판(43) 상에 낙하된 시트상 전극(1)의 수취와, 순차 수취한 시트상 전극(1)에 의해 바닥판(43) 상에 형성되는 시트상 전극(1)의 적층체의 보지를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9에 있어서, 적층 지그(40)는, 이 적층 지그(40)가 탑재된 반송대(32)를 지지하는 가동자(31)에 의해, X축방향과 평행하게 우측으로 이동된다.
이하, 적층체 보지 기구(50)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체 보지 기구(50)는, 바닥판(43)을 따르도록 Y축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클램프 로드(51)와, 클램프 로드(51)에 고정되어서 바닥판(43) 상에 적층된 최상층의 시트상 전극(1)을 Z축방향 상측으로부터 누르기 위한 클램프 아암(52)을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클램프 로드(51)에 3개의 클램프 아암(52)이 고정되어 있지만, 고정하는 클램프 아암(52)의 수는 3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적층체 보지 기구(50)는, 클램프 로드(51)의 일단측(Y축방향 전측) 및 타단측(Y축방향 후측)에, 클램프 로드(51)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드 기구(60)와, 클램프 로드(51)를 상하 좌우로 요동시키기 위한 틸트 기구(70)와, 슬라이드 기구(60) 및 틸트 기구(70)를 각각 지지하는 L자 형상의 지지 기대(80)를, 각각 구비한다.
이하, 도 9에 추가하여 도 10에서 도 12를 참조하여, 바닥판(43)의 우측이면서, 또한 클램프 로드(51)의 일단측(Y축방향 전측)에 배치된 슬라이드 기구(60) 및 틸트 기구(70)의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0은, 도 9의 화살표 A 방향에서 본, 바닥판(43)의 우측이면서, 또한 클램프 로드(51)의 일단측(Y축방향 전측)의 슬라이드 기구(60) 및 틸트 기구(70)의 개략도이다. 또한, 도 10에 있어서는,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지지 기대(80)에 대해서는 2점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1은, 바닥판(43)의 우측이면서, 또한 클램프 로드(51)의 일단측(Y축방향 전측)의 슬라이드 기구(60)의 개략 부분 사시도이다. 도 12는, 바닥판(43)의 우측이면서, 또한 클램프 로드(51)의 일단측(Y축방향 전측)의 틸트 기구(70)의 개략 부분 사시도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대(41)의 4귀퉁이에 고정된 지지 기대(80)는, 기대(41)측으로부터 Z축방향과 평행하게 상측으로 연장되며, 슬라이드 기구(60) 및 틸트 기구(70)의 각 부품이 고정되는 고정부(81)를 구비한다.
지지 기대(80)의 고정부(81)의 상측에는, Z축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리니어 레일(82)이 고정되어 있으며, 이 리니어 레일(82)에는, 리니어 레일(82)을 따라 Z축방향으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후술하는 틸트용 구동축(71)(도 12 참조)을 지지하는 가동 지지 부재(83)가 장착된다. 또한 지지 기대(80)의 고정부(81)의 하측에는, 후술하는 슬라이드용 구동축(61)(도 10 및 도 11 참조)을 지지하는 한 쌍의 고정 지지 부재(84)가 고정되어 있다.
도 9에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기구(60)는, 슬라이드용 구동축(61)과, 슬라이드용 레버(62)와, 슬라이드용 캠(63)과, 슬라이드용 아암(64)을 구비한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용 구동축(61)은, Y축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지지 기대(80)에 고정된 한 쌍의 고정 지지 부재(84)의 베어링 구멍(도시 생략)에 피(被)축지지부(61a)(도 11 참조)가 삽입 통과되어서, 고정 지지 부재(84)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도 9에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용 레버(62)는, 슬라이드용 구동축(61)을 그 축심 P1 둘레로 소정의 회전 각도 범위 내에서 양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봉형상의 부재로서, 그 기단측이, 슬라이드용 구동축(61)의 Y축방향 전측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슬라이드용 레버(62)의 선단측에는, 롤러 팔로워(621)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롤러 팔로워(621)를, 적층 지그(40)가 탑재된 반송대(32)를 레일(30)(도 8 참조)을 따라 이동시키는 가동자(31)의 주행 경로 상에 배치된 슬라이드용 고정 캠(91)(도 9 참조)에 계합함으로써, 슬라이드용 레버(62)를, 축심 P1을 지지점으로 하여 밀어 내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슬라이드용 레버(62)가, 축심 P1을 지지점으로 하여 밀어 내려짐으로써, 슬라이드용 구동축(61)이, 축심 P1 둘레로 소정의 회전 각도 범위 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슬라이드용 레버(62)의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이 내장되어 있으며, 이 내장 스프링에 의해, 슬라이드용 레버(62)에는, 슬라이드용 레버(62)를 상시 밀어 올리는 힘, 즉 슬라이드용 구동축(61)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하는 힘이 작용하고 있다. 그 때문에, 슬라이드용 레버(62)의 롤러 팔로워(621)와 슬라이드용 고정 캠(91)이 계합하고 있지 않을 때에, 슬라이드용 구동축(61)의 반시계방향의 회전을 도중에 멈추기 위한 슬라이드용 로크 부재(68)(도 11 참조)가, 슬라이드용 구동축(61)이 회전하여도 슬라이드용 로크 부재 자체가 회전하지 않도록, 슬라이드용 구동축(61)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 9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램프 로드(51)의 일단측(Y축방향 전측)의 슬라이드 기구(60)가 구비하는 슬라이드용 구동축(61)의 Y축방향 후측의 단부에는, 슬라이드용 연결 로드(65)의 Y축방향 전측의 단부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 슬라이드용 연결 로드(65)의 Y축방향 후측의 단부에는, 클램프 로드(51)의 타단측(Y축방향 후측)의 슬라이드 기구(60)가 구비하는 슬라이드용 구동축(61)의 Y축방향 전측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클램프 로드(51)의 일단측(Y축방향 전측)의 슬라이드용 구동축(61)의 Y축방향 전측의 단부에 고정된 슬라이드용 레버(62)를 슬라이드용 고정 캠(91)과 계합시키고, 클램프 로드(51)의 일단측(Y축방향 전측)의 슬라이드용 구동축(61)을 축심 P1 둘레로 회전시킴으로써, 슬라이드용 연결 로드(65)를 개재하여, 클램프 로드(51)의 타단측(Y축방향 후측)의 슬라이드용 구동축(61)을 더불어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클램프 로드(51)의 타단측(Y축방향 후측)의 슬라이드 기구(60)가 구비하는 슬라이드용 구동축(61)의 Y축방향 후측의 단부에는, 슬라이드용 레버(62)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 점 이외에는, 클램프 로드(51)의 일단측의 슬라이드 기구(60)의 구성과, 클램프 로드(51)의 타단측의 슬라이드 기구(60)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마찬가지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슬라이드용 레버(62)가 마련된 슬라이드 기구(60)를 「레버를 구비한 슬라이드 기구(60A)」라고 하고, 슬라이드용 레버(62)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슬라이드 기구(60)를 「레버가 없는 슬라이드 기구(60B)」라고 한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용 캠(63)은, 한 쌍의 고정 지지 부재(84)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압입(壓入) 등에 의해 슬라이드용 구동축(61)의 외주면에 고정된다.
도 9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용 아암(64)은, Z축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어서 가동 지지 부재(83)의 표면에 고정되는 아암 고정부(641)와, 아암 고정부(641)의 하단으로부터 X축방향과 평행하게 슬라이드용 구동축(61)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것과 함께 슬라이드용 캠(63)의 하방에 배치되어서 슬라이드용 캠(63)과 맞닿는 슬라이드용 롤러 팔로워(66)가 장착되는 롤러 팔로워 장착부(642)를 구비한다. 이 롤러 팔로워 장착부(642)의 하단면과, 기대(41)의 사이에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용 아암(64)을 Z축방향 상측으로 상시 가압하기 위한 스프링(67)이 장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슬라이드용 구동축(61)과 함께 슬라이드용 캠(63)을 축심 P1 둘레로 소정의 회전 각도 범위 내에서 양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슬라이드용 캠(63)의 움직임을, 슬라이드용 롤러 팔로워(66)를 개재하여 슬라이드용 아암(64)에 전달하고, 슬라이드용 아암(64), 나아가서는 그 슬라이드용 아암(64)의 아암 고정부(641)가 고정되어 있는 가동 지지 부재(83)를 리니어 레일(82)을 따라 Z축방향으로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 기구(60)의 상세한 동작에 대해서는, 도 1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틸트 기구(70)는, 틸트용 구동축(71)과, 틸트용 레버(72)와, 틸트용 캠(73)과, 틸트용 고정축(74)과, 틸트용 아암(75)을 구비한다.
틸트용 구동축(71)은, Y축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가동 지지 부재(83)의 베어링 구멍(도시 생략)에 피축지지부(71a)가 삽입 통과되어서, 가동 지지 부재(83)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틸트용 레버(72)는, 틸트용 구동축(71)을 그 축심 P2 둘레로 소정의 회전 각도 범위 내에서 양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봉형상의 부재로서, 그 기단측이, 틸트용 구동축(71)의 Y축방향 전측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틸트용 레버(72)의 선단측에는, 롤러 팔로워(721)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롤러 팔로워(721)를, 적층 지그(40)가 탑재된 반송대(32)를 레일(30)(도 8 참조)을 따라 이동시키는 가동자(31)의 주행 경로 상에 배치된 틸트용 고정 캠(92)(도 9 참조)에 계합함으로써, 틸트용 레버(72)를, 축심 P2을 지지점으로 하여 밀어 올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틸트용 레버(72)를, 축심 P2을 지지점으로 하여 밀어 올려짐으로써, 틸트용 구동축(71)이 그 축심 P2 둘레로 소정의 회전 각도 범위 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틸트용 레버(72)의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이 내장되어 있으며, 이 내장 스프링에 의해, 틸트용 레버(72)는, 틸트용 레버(72)를 상시 밀어 내리는 힘, 즉 틸트용 구동축(71)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하는 힘이 작용하고 있다. 그 때문에, 틸트용 레버(72)의 롤러 팔로워(721)와 틸트용 고정 캠(92)이 계합하고 있지 않을 때에, 틸트용 구동축(71)의 반시계방향의 회전을 도중에 멈추기 위한 틸트용 로크 부재(78)(도 10 참조)가, 틸트용 구동축(71)이 회전하여도 슬라이드용 로크 부재 자체가 회전하지 않도록, 틸트용 구동축(71)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 9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램프 로드(51)의 일단측(Y축방향 전측)의 틸트 기구(70)가 구비하는 틸트용 구동축(71)의 Y축방향 후측의 단부에는, 틸트용 연결 로드(76)의 Y축방향 전측의 단부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 틸트용 연결 로드(76)의 Y축방향 후측의 단부에는, 클램프 로드(51)의 타단측(Y축방향 후측)의 틸트 기구(70)가 구비하는 틸트용 구동축(71)의 Y축방향 전측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클램프 로드(51)의 일단측(Y축방향 전측)의 틸트용 구동축(71)의 Y축방향 전측의 단부에 고정된 틸트용 레버(72)를 틸트용 고정 캠(92)과 계합시키고, 클램프 로드(51)의 일단측(Y축방향 전측)의 틸트용 구동축(71)을 축심 P2 둘레로 회전시킴으로써, 틸트용 연결 로드(76)를 개재하여, 클램프 로드(51)의 타단측(Y축방향 후측)의 틸트용 구동축(71)을 더불어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클램프 로드(51)의 타단측(Y축방향 후측)의 틸트 기구(70)가 구비하는 틸트용 구동축(71)의 Y축방향 후측의 단부에는, 틸트용 레버(72)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 점 이외에는, 클램프 로드(51)의 일단측의 틸트 기구(70)의 구성과, 클램프 로드(51)의 타단측의 틸트 기구(70)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마찬가지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틸트용 레버(72)가 마련된 틸트 기구(70)를 「레버를 구비한 틸트 기구(70A)」라고 하고, 틸트용 레버(72)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틸트 기구(70)를 「레버가 없는 틸트 기구(70B)」라고 한다.
틸트용 캠(73)은, 압입 등에 의해 틸트용 구동축(71)의 외주면에 고정된다.
틸트용 고정축(74)은, 틸트용 구동축(71)의 비스듬하게 상방에 Y축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그 Y축방향 전측의 단부가 가동 지지 부재(83)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 기구(60)에 의해 가동 지지 부재(83)가 상하로 이동되면, 그와 연동하여, 가동 지지 부재(83)에 지지되어 있는 틸트용 구동축(71)과, 가동 지지 부재(83)에 고정되어 있는 틸트용 고정축(74)이, 그 위치 관계를 보지한 채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틸트용 아암(75)은, 틸트용 고정축(74)의 외주면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이 틸트용 아암(75)의 상단면에, 클램프 로드(51)의 일단부(Y축방향 전측의 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틸트용 아암(75)에는, 틸트용 캠(73)의 상방에 배치되며 슬라이드용 캠(63)과 맞닿는 틸트용 롤러 팔로워(77)가 장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틸트용 구동축(71)과 함께 틸트용 캠(73)을 축심 P2 둘레로 소정의 회전 각도 범위 내에서 양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틸트용 캠(73)의 움직임을, 틸트용 롤러 팔로워(77)를 개재하여 틸트용 아암(75)에 전달하고, 틸트용 아암(75)을 틸트용 고정축(74)의 축심 P3을 지지점으로 하여 X축방향 좌우로 요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틸트 기구(70)의 상세한 동작에 대해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상, 도 9에서 도 12를 참조하여 바닥판(43)의 우측에 배치된 적층체 보지 기구(5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해 왔지만, 계속해서, 도 9를 참조하여 바닥판(43)의 좌측에 배치된 적층체 보지 기구(50)에 대해서도 간단하게 설명한다.
바닥판(43)의 우측 및 좌측에 배치된 적층체 보지 기구(50)는 각각 동일한 구성이지만,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바닥판(43)의 우측에 배치한 적층체 보지 기구(50)에 대해서는, 클램프 로드(51)의 일단측(Y축방향 전측)에 레버를 구비한 슬라이드 기구(60A) 및 레버를 구비한 틸트 기구(70A)를 배치하고, 클램프 로드(51)의 타단측(Y축방향 후측)에 레버가 없는 슬라이드 기구(60B) 및 레버가 없는 틸트 기구(70B)를 배치하고 있었다.
이에 비하여, 바닥판(43)의 좌측에 배치한 적층체 보지 기구(50)에 대해서는, 클램프 로드(51)의 일단측(Y축방향 전측)에 레버가 없는 슬라이드 기구(60B) 및 레버가 없는 틸트 기구(70B)를 배치하고, 클램프 로드(51)의 타단측(Y축방향 후측)에 레버를 구비한 슬라이드 기구(60A) 및 레버를 구비한 틸트 기구(70A)를 배치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바닥판(43)의 좌측에 배치한 적층체 보지 기구(50)에 대해서는, 도 9에 있어서, Y축방향 후측에 도시된 슬라이드용 고정 캠(91)이, 클램프 로드(51)의 타단측(Y축방향 후측)의 레버를 구비한 슬라이드 기구(60A)의 슬라이드용 레버(62)와 계합하였을 때에, 슬라이드용 구동축(61)이 회전되게 된다. 또한 도 9에 있어서, Y축방향 후측에 도시된 틸트용 고정 캠(92)이, 클램프 로드(51)의 타단측(Y축방향 후측)의 레버를 구비한 틸트 기구(70A)의 틸트용 레버(72)와 계합하였을 때에, 틸트용 구동축(71)이 회전되게 된다.
이처럼, 본 실시형태에서는, 바닥판(43)의 X축방향의 우측 및 좌측에 배치된 한 쌍의 적층체 보지 기구(50)에 있어서, 일방(우측)의 적층체 보지 기구(50)에 관해서는, 바닥판(43)의 Y축방향 전측에 배치한 각 레버(62,72)에 의해 슬라이드 기구(60) 및 틸트 기구(70)를 구동하고, 타방(좌측)의 적층체 보지 기구(50)에 관해서는, 바닥판(43)의 Y축방향의 후측에 배치한 각 레버(62,72)에 의해 슬라이드 기구(60) 및 틸트 기구(70)를 구동하도록 하고 있다. 즉, 한 쌍의 적층체 보지 기구(50)를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3은, 바닥판(43)의 우측에 배치된 적층체 보지 기구(50)가 구비하는 틸트 기구(70)의 동작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이다.
도 13의 (A)는, 틸트용 레버(72)의 롤러 팔로워가 틸트용 고정 캠(92)과 계합하고 있지 않은 상태, 즉 틸트용 레버(72)가 밀어 올려져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일 때는, 도 1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틸트용 아암(75)의 상단면에 고정된 클램프 로드(51)가 수평으로 유지되도록, 틸트용 캠(73)에 의해 틸트용 아암(75)이 지지된다. 그 결과, 바닥판(43) 상에 적층된 최상층의 시트상 전극(1)을, 클램프 로드(51)에 고정된 클램프 아암(52)에 의해 Z축방향 상측으로부터 누른 상태가 된다. 이하에서는, 이 상태일 때를, 「클램프 상태」라고 말한다.
도 13의 (B)에서 도 13의 (D)는, 틸트용 레버(72)의 롤러 팔로워가 틸트용 고정 캠(92)의 제 1 캠면(92a)(도 9 참조)과 계합하고, 틸트용 레버(72)가 밀어올려지는 과정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틸트용 레버(72)가 밀어 올려지면, 도 13의 (B)에서 도 13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틸트용 구동축(71)과 함께 틸트용 캠(73)이 축심 P2 둘레로 시계 방향으로 서서히 회전한다. 그 결과, 틸트용 아암(75)에 장착된 틸트용 롤러 팔로워(77)가 틸트용 캠(73)의 캠면을 따라 회전하고, 이에 의해, 틸트용 아암(75)이 틸트용 고정축(74)의 축심 P3을 지지점으로 하여 도면 중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결과, 클램프 아암(52)을 X축방향 우측, 즉 바닥판(4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퇴피시키면서, 클램프 아암(52)을 상측으로 개방할 수 있다. 즉, 클램프 아암(52)에 의한 최상층의 시트상 전극(1)의 누름을 해제하여, 도 13의 (E)에 나타내는 「언클램프 상태」로 이행시킬 수 있다.
도 13의 (E)는, 틸트용 캠(73)의 틸트용 레버(72)의 롤러 팔로워가 틸트용 고정 캠(92)의 제 2 캠면과 계합하고, 틸트용 레버(72)가 최대까지 밀어 올려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가 되면, 클램프 아암(52)의 선단이, 바닥판(43)의 Z축방향 상측으로부터 완전하게 퇴피한 상태가 된다. 이하에서는, 이 상태일 때를, 「언클램프 상태」라고 한다.
도 14는, 바닥판(43)의 우측에 배치된 적층체 보지 기구(50)가 구비하는 슬라이드 기구(6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이다.
도 14의 (A)는, 틸트용 레버(72)의 롤러 팔로워가 틸트용 고정 캠(92)과 계합하고 있지 않으며, 또한, 슬라이드용 레버(62)의 롤러 팔로워가 슬라이드용 고정 캠(91)과 계합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틸트용 레버(72)가 밀어 올려져 있지 않으며, 틸트 기구(70)에 의해 클램프 아암(52)이 클램프 상태로 되어 있으면서, 또한, 슬라이드용 레버(62)가 밀어 내려져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일 때에는, 도 1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용 캠(63)에 의해, 클램프 아암(52)을 Z축방향 상측으로 밀어 올리는 스프링(67)의 가압력과, 후술하는 클램프 아암(52)을 Z축방향 상측으로 밀어 올리려고 하는 반력에 저항하여 슬라이드용 아암(64)이 최하방까지 밀어 내려진 상태가 된다. 바꾸어 말하면, 틸트용 레버(72)가 밀어 올려져 있지 않으며, 틸트 기구(70)에 의해 클램프 아암(52)이 클램프 상태로 되어 있으면서, 또한, 슬라이드용 레버(62)가 밀어 내려져 있지 않은 상태일 때는, 슬라이드용 캠(63)에 의해 슬라이드용 아암(64)을 적층 방향 하측을 향하여 가압하여 슬라이드용 아암(64)을 최하방까지 밀어 내릴 수 있도록, 슬라이드용 캠(63)이 슬라이드용 구동축(61)에 고정되어 있다.
이하, 클램프 아암(52)을 Z축방향 상측으로 밀어 올리려고 하는 반력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바닥판(43)은, 팬더 그래프식 승강 기구(42)에 의해 Z축방향 상측으로 상시 가압되어 있다. 그 때문에, 틸트 기구(70)에 의해 클램프 아암(52)이 클램프 상태로 되어 있을 때, 즉, 바닥판(43) 상에 적층된 최상층의 시트상 전극을 클램프 아암(52)에 의해 누르고 있을 때는, 클램프 아암(52)에는 클램프 아암(52)을 Z축방향 상측으로 밀어 올리려고 하는 반력이 작용한다. 그 결과, 틸트 기구(70)에 의해 클램프 아암(52)이 클램프 상태로 되어 있을 때는, 이 반력이, 클램프 아암(52)을 Z축방향 상측으로 밀어 올리려고 하는 반력으로서, 클램프 로드(51), 틸트 기구(70), 및 틸트 기구(70)의 틸트용 구동축(71)을 지지하는 가동 지지 부재(83)를 개재하여 클램프 아암(52)에 작용하는 것이다.
도 14의 (B)에서 도 14의 (D)는, 틸트 기구(70)에 의해 클램프 아암(52)이 언클램프 상태로 되어 있을 때에, 슬라이드용 레버(62)의 롤러 팔로워가 슬라이드용 고정 캠(91)의 제 1 캠면(91a)과 계합하고, 슬라이드용 레버(62)가 밀어 내려져 가는 과정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슬라이드용 레버(62)가 밀어 내려지면, 도 14의 (B)에서 도 14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용 구동축(61)과 함께 슬라이드용 캠(63)이 축심 P1 둘레로 시계 방향으로 서서히 회전한다. 그 결과, 스프링(67)에 의해 슬라이드용 아암(64)을 개재하여 슬라이드용 캠(63)의 캠면에 눌러져 있는 슬라이드용 롤러 팔로워(66)가, 슬라이드용 캠(63)의 캠면을 따라 회전하고, 슬라이드용 캠(63)의 캠면과 슬라이드용 롤러 팔로워(66)의 맞닿음면의 높이가 서서히 상방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슬라이드용 아암(64)을 Z축방향 상측으로 이동시키고, 나아가서는, 클램프 아암(52)이 고정된 가동 지지 부재(83) 등을 개재하여 클램프 로드(51)와 함께 클램프 아암(52)을 Z축방향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4의 (E)는, 슬라이드용 레버(62)의 롤러 팔로워가 슬라이드용 고정 캠(91)의 제 2 캠면(9lb)과 계합하고 있어서, 슬라이드용 레버(62)가 완전하게 밀어 내려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가 되면, 슬라이드용 아암(64), 나아가서는 클램프 로드(51)에 고정된 클램프 아암(52)이, 가장 상측까지 이동된다.
계속해서, 도 15를 참조하여, 적층 지그(40)에 의한 적층체 보지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필요에 따라, 반송 플레이트(20) 상에 보지되어 있는 시트상 전극(1)을 「새로운 시트상 전극(1)」이라고 하고, 적층 지그(40)의 바닥판(43) 상에 이미 존재하는 시트상 전극(1)을 「적층이 끝난 시트상 전극(1)」이라고 한다.
도 15의 (A)에서 도 15의 (J)는, 반송 플레이트(20) 상에 보지된 시트상 전극(1)과, 적층 지그(40)의 바닥판(43)의 상면을 대면시킨 상태에서, 반송 플레이트(20)와 적층 지그(40)가 탑재된 반송대(32)가 동기하여 도면 중 우측으로 이동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 플레이트(20) 상에 재치된 시트상 전극(1)과, 적층 지그(40)의 바닥판(43)의 상면이 대면한 상태가 되면, 도면 중 좌측의 클램프 아암(52)에 의해 적층이 끝난 시트상 전극(1)의 좌측 주변부가 눌린 상태에서, 우선 도면 중 우측의 일방의 적층체 보지 기구(50)의 틸트용 레버(72)의 롤러 팔로워(721)가, (도 9의 Y축방향 전측의) 틸트용 고정 캠(92)과 계합한다. 이에 의해, 틸트용 레버(72)가 밀어 올려져 틸트용 구동축(71)이 회전하고, 도 1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면 중 우측의 일방의 적층체 보지 기구(50)의 클램프 아암(52)이 개방된다.
도면 중 우측의 일방의 적층체 보지 기구(50)의 클램프 아암(52)이 개방되면, 다음은, 그 일방의 적층체 보지 기구(50)의 슬라이드용 레버(62)의 롤러 팔로워(621)가, (도 9의 Y축방향 전측의) 슬라이드용 고정 캠(91)과 계합한다. 이에 의해, 슬라이드용 레버(62)가 밀어 내려져 슬라이드용 구동축(61)이 회전하고, 도 15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면 중 우측의 일방의 적층체 보지 기구(50)의 클램프 아암(52)이 상방으로 이동한다. 또한, 이와 더불어, 반송 플레이트(20)의 클램프(21,22)에 의한 새로운 시트상 전극(1)의 보지가 해제되어, 이에 의해, 반송 플레이트(20)의 클램프(21,22)에 의해 보지되어 있었던 새로운 시트상 전극(1)의 우측 주변부가, 적층이 끝난 시트상 전극(1) 상에 낙하된다.
그리고, 도 15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면 중 우측의 일방의 적층체 보지 기구(50)의 클램프 아암(52)의 상방으로의 이동이 완료되면, 틸트용 레버(72)의 롤러 팔로워(721)와 (도 9의 Y축방향 전측의) 틸트용 고정 캠(92)의 계합이 해제된다. 이에 의해, 틸트용 레버(72)가 내장 스프링에 의해 계합 전의 위치로 되돌려지고, 도면 중 우측의 일방의 적층체 보지 기구(50)의 클램프 아암(52)이 폐쇄 상태로 되돌려진다.
그리고, 도 15의 (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면 중 우측의 일방의 적층체 보지 기구(50)의 클램프 아암(52)이 폐쇄 상태로 되돌려지면, 슬라이드용 레버(62)의 롤러 팔로워(621)와 (도 9의 Y축방향 전측의) 슬라이드용 고정 캠(91)의 계합이 해제된다. 이에 의해, 슬라이드용 레버(62)가 내장 스프링에 의해 계합 전의 위치로 되돌려지고, 도면 중 우측의 일방의 적층체 보지 기구(50)의 클램프 아암(52)이 하방으로 이동되고, 그 클램프 아암(52)에 의해, 적층이 끝난 시트상 전극(1) 상에 낙하한 새로운 시트상 전극(1)의 우측 주변부가 눌린다.
그리고, 도 15의 (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면 중 우측의 클램프 아암(52)에 의해 적층이 끝난 시트상 전극(1)의 우측 주변부가 눌린 상태가 되면, 다음은, 도면 중 좌측의 타방의 적층체 보지 기구(50)의 틸트용 레버(72)의 롤러 팔로워(721)가, (도 9의 Y축방향 후측의) 틸트용 고정 캠(92)과 계합한다. 이에 의해, 틸트용 레버(72)가 밀어 올려져 틸트용 구동축(71)이 회전하고, 도면 중 좌측의 타방의 적층체 보지 기구(50)의 클램프 아암(52)이 개방된다.
도면 중 좌측의 타방의 적층체 보지 기구(50)의 클램프 아암(52)이 개방되면, 다음은, 그 타방의 적층체 보지 기구(50)의 슬라이드용 레버(62)의 롤러 팔로워(621)가, (도 9의 Y축방향 후측의) 슬라이드용 고정 캠(91)과 계합한다. 이에 의해, 슬라이드용 레버(62)가 밀어 내려져 슬라이드용 구동축(61)이 회전하고, 도 15의 (G)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면 중 좌측의 타방의 적층체 보지 기구(50)의 클램프 아암(52)이 상방으로 이동한다. 또한, 이와 더불어, 반송 플레이트(20)의 클램프(23,24)에 의한 새로운 시트상 전극(1)의 보지가 해제되어, 이에 의해, 반송 플레이트(20)의 클램프(23,24)에 의해 보지되어 있었던 새로운 시트상 전극(1)의 좌측 주변부가, 적층이 끝난 시트상 전극(1) 상에 낙하된다.
그리고, 도 15의 (H)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면 중 좌측의 타방의 적층체 보지 기구(50)의 클램프 아암(52)의 상방으로의 이동이 완료하면, 틸트용 레버(72)의 롤러 팔로워(721)와 (도 9의 Y축방향 후측의) 틸트용 고정 캠(92)의 계합이 해제된다. 이에 의해, 틸트용 레버(72)가 내장 스프링에 의해 계합 전의 위치로 되돌려지고, 도면 중 좌측의 타방의 적층체 보지 기구(50)의 클램프 아암(52)이 폐쇄 상태로 되돌려진다.
그리고, 도 15의 (I)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면 중 좌측의 타방의 적층체 보지 기구(50)의 클램프 아암(52)이 폐쇄 상태로 되돌려지면, 슬라이드용 레버(62)의 롤러 팔로워(621)와 (도 9의 Y축방향 후측의) 슬라이드용 고정 캠(91)의 계합이 해제된다. 이에 의해, 슬라이드용 레버(62)가 내장 스프링에 의해 계합 전의 위치로 되돌려지고, 도면 중 좌측의 일방의 적층체 보지 기구(50)의 클램프 아암(52)이 하방으로 이동되고, 그 클램프 아암(52)에 의해, 적층이 끝난 시트상 전극(1) 상에 낙하한 새로운 시트상 전극(1)의 우측 주변부가 눌린다. 이에 의해, 적층 지그(40)로의 한 장의 시트상 전극(1)의 적층 작업이 완료된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적층 지그(40)(적층체 보지 장치)는, 시트상 전극(1)(시트 부재)이 적층되는 바닥판(43)(적층대)과, 바닥판(43)을 바닥판(43)에 적층된 시트상 전극(1)의 적층 방향 상측을 향하여 상시 가압하는 팬더 그래프식 승강 기구(42)(가압 기구)와, 바닥판(43)의 좌우 양측에 대향하도록, 바닥판(43)의 전후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클램프 로드(51)와, 클램프 로드(51)에 고정되며, 바닥판(43)에 적층된 시트상 전극(1)을 적층 방향 상측으로부터 누르기 위한 클램프 아암(52)과, 클램프 로드(51)를 적층 방향과 평행하게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기구(60)와, 클램프 아암(52)이 적층 방향 상측으로 개방되면서 바닥판(43)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또한 클램프 아암(52)이 바닥판(43)에 접근하면서 적층 방향 하측을 향하여 폐쇄해 가도록, 클램프 로드(51)를 요동시키는 틸트 기구(70)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클램프 아암(52)에 의한 시트상 전극(1)의 누름을 해제할 때는, 틸트 기구(70)에 의해, 클램프 아암(52)이 적층 방향 상측으로 개방되면서 바닥판(43)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클램프 로드(51)를 요동시켜서 클램프 아암(52)을 언클램프 상태로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클램프 아암(52)을 개방할 때에, 시트상 전극(1)의 주연부의 표면이 클램프 아암(52)에 의해 문질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시트상 전극(1)의 주연부를 손상시켜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클램프 아암(52)에 의해 시트상 전극(1)을 누를 때에는, 슬라이드 기구(60)에 의해 일단 클램프 로드(51)와 함께 클램프 아암(52)을 상승시키면서, 틸트 기구(70)에 의해 클램프 아암(52)을 클램프 상태로 한 후, 슬라이드 기구(60)에 의해 클램프 로드(51)와 함께 클램프 아암(52)을 하강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클램프 아암(52)에 의해 시트상 전극(1)을 누를 때에도, 시트상 전극(1)의 주연부의 표면을 클램프 아암(52)에 의해 문지르는 일 없이, 클램프 아암(52)에 의해 시트상 전극(1)을 상측으로부터 누를 수 있다.
추가로, 틸트 기구(70)는, 클램프 아암(52)이 적층 방향 상측으로 개방되면서 바닥판(43)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클램프 로드(51)를 요동시키기 때문에, 클램프 아암(52)과 시트상 전극(1)의 외주연(적층체의 측면)이 접촉할 일이 없다. 그 때문에, 클램프 아암(52)을 개폐할 때에, 클램프 아암(52)에 의해 시트상 전극(1)의 외주연을 손상시켜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적층 지그(40)(적층체 보지 장치)는 한 쌍의 클램프 로드(51) 중 일방의 클램프 로드용의 슬라이드 기구(60) 및 틸트 기구(70)와, 타방의 클램프 로드용의 슬라이드 기구(60) 및 틸트 기구(70)를, 각각 독립하여 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한 쌍의 클램프 로드(51) 중 일방의 클램프 로드(51)에 고정된 클램프 아암(52)에 의해 바닥판(43)에 적층된 적층이 끝난 시트상 전극(1)의 일방측 주변부를 누르면서, 타방의 클램프 로드용의 슬라이드 기구(60) 및 틸트 기구(70)를 구동하여 클램프 아암(52)을 개방할 수 있다. 그리고, 적층이 끝난 시트상 전극(1) 상에 새로운 시트상 전극(1)의 타방측 주변부를 낙하시킨 후, 타방의 클램프 로드용의 슬라이드 기구(60) 및 틸트 기구(70)를 구동함으로써, 타방의 클램프 로드(51)에 고정된 클램프 아암(52)에 의해, 적층이 끝난 시트상 전극(1) 상에 타방측 주변부가 낙하된 새로운 시트상 전극(1)의, 그 타방측 주변부를 누를 수 있다.
그리고 계속해서, 타방의 클램프 로드(51)에 고정된 클램프 아암(52)에 의해, 적층이 끝난 시트상 전극(1) 상에 타방측 주변부가 낙하된 새로운 시트상 전극(1)의 타방측 주변부를 누르면서, 일방의 클램프 로드용의 슬라이드 기구(60) 및 틸트 기구(70)를 구동하여 클램프 아암(52)을 개방할 수 있다. 그리고, 적층이 끝난 시트상 전극(1) 상에 새로운 시트상 전극(1)의 일방측 주변부를 낙하시킨 후, 일방의 클램프 로드용의 슬라이드 기구(60) 및 틸트 기구(70)를 구동함으로써, 일방의 클램프 로드(51)에 고정된 클램프 아암(52)에 의해, 적층이 끝난 시트상 전극(1) 상에 일방측 주변부가 낙하된 새로운 시트상 전극(1)의, 그 일방측 주변부를 누를 수 있다.
즉, 적층이 끝난 시트상 전극(1)의 일방측을 누르면서, 그 적층이 끝난 시트상 전극(1) 상에 새로운 시트상 전극(1)의 타측 주변부를 낙하시켜서, 적층이 끝난 시트상 전극(1) 상에 타측 주변부가 낙하된 새로운 시트상 전극(1)의, 그 타측 주변부를 누를 수 있다.
그리고 계속해서, 적층이 끝난 시트상 전극(1) 상에 타측 주변부가 낙하된 새로운 시트상 전극(1)의 타측 주변부를 누르면서, 적층이 끝난 시트상 전극(1) 상에 새로운 시트상 전극(1)의 일측 주변부를 낙하시켜서, 적층이 끝난 시트상 전극(1) 상에 일측 주변부가 낙하된 새로운 시트상 전극(1)의, 그 일측 주변부를 눌러, 적층이 끝난 시트상 전극(1) 상에 대한 새로운 시트상 전극(1)의 적층을 완료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적층 지그(40)에 의하면, 바닥판(43) 상의 적층이 끝난 시트상 전극(1) 상에 새로운 시트상 전극(1)을 적층할 때에, 항상 적층이 끝난 시트상 전극(1) 상의 일단측 또는 타단측을 클램프 아암(52)으로 눌러 둘 수 있으므로, 적층 작업 중에, 적층이 끝난 시트상 전극(1)이 어긋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적층 지그(40)(적층체 보지 장치)의 슬라이드 기구(60)는, 구체적으로는, 바닥판(43)(적층대)의 전후 방향과 평행하게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슬라이드용 구동축(61)과, 슬라이드용 구동축(61)에 고정된 슬라이드용 캠(63)과, 슬라이드용 캠(63)과 맞닿으며, 슬라이드용 캠(63)의 회전 운동을 적층 방향과 평행한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슬라이드용 아암(64)과, 슬라이드용 아암(64)에 고정되어서 슬라이드용 아암(64)과 함께 적층 방향과 평행하게 이동하는 가동 지지 부재(83)(가동 부재)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틸트 기구(70)는, 바닥판(43)의 전후 방향과 평행하게, 가동 지지 부재(8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틸트용 구동축(71)과, 가동 지지 부재(83)에 고정되어서 틸트용 구동축(71)과 평행하게 배치된 틸트용 고정축(74)과, 틸트용 구동축(71)에 고정된 틸트용 캠(73)과, 일단측이 틸트용 고정축(7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타단측이 틸트용 캠(73)과 맞닿으며, 틸트용 캠(73)의 회전 운동을, 틸트용 고정축(74)을 지지점으로 하는 요동 운동으로 변환하는 틸트용 아암(75)을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클램프 로드(51)는, 틸트용 아암(75)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슬라이드용 구동축(61)을 회전시킴으로써, 슬라이드용 아암(64) 및 가동 지지 부재(83)를 개재하여, 가동 지지 부재(83)에 지지되어 있는 틸트용 구동축(71)과, 가동 지지 부재(83)에 고정되어 있는 틸트용 고정축(74)을, 그 위치 관계를 유지한 채 상하로 이동시켜, 틸트용 아암(75)에 고정된 클램프 로드(51), 나아가서는 클램프 아암(52)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또한, 틸트용 구동축(71)을 회전시킴으로써, 틸트용 고정축(74)을 지지점으로 하여 틸트용 아암(75)을 요동시켜서, 클램프 아암(52)이 적층 방향 상측으로 개방되면서 바닥판(43)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또한 클램프 아암(52)이 바닥판(43)에 접근하면서 적층 방향 하측을 향하여 폐쇄해 가도록, 클램프 로드(51)를 요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드용 캠(63)은, 슬라이드용 아암(64)이 적층 방향 하측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슬라이드용 아암(64)을 적층 방향 하측을 향하여 가압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용 구동축(61)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클램프 아암(52)에 클램프 아암(52)을 적층 방향 상측으로 밀어 올리려고 하는 반력이 작용하였다고 하여도, 슬라이드용 캠(63)에 의해 슬라이드용 아암(64)이 적층 방향 상측으로 이동해버리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적층 지그(40)(적층체 보지 장치)의 슬라이드 기구(60) 및 틸트 기구(70)는, 바닥판(43)(적층대)의 전후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클램프 로드(51)의 일단측(바닥판(43)의 전측) 및 타단측(바닥판(43)의 후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적층 지그(40)는, 클램프 로드(51)의 일단측 및 타단측에 각각 배치된 슬라이드 기구(60) 중, 어느 일방의 슬라이드 기구(60A)의 슬라이드용 구동축(61)에 마련되며, 그 슬라이드용 구동축(61)을 회전시키기 위한 슬라이드용 레버(62)와, 클램프 로드(51)의 일단측 및 타단측에 각각 배치된 틸트 기구(70) 중, 어느 일방의 틸트 기구(70A)의 틸트용 구동축(71)에 마련되며, 그 틸트용 구동축(71)을 회전시키기 위한 틸트용 레버(72)와, 클램프 로드(51)의 일단측 및 타단측에 각각 배치된 슬라이드 기구(60)의 슬라이드용 구동축(61)끼리를 연결하여 슬라이드용 구동축(61)과 함께 회전하는 슬라이드용 연결 로드(65)와, 클램프 로드(51)의 일단측 및 타단측에 각각 배치된 틸트 기구(70)의 틸트용 구동축(71)끼리를 연결하여 틸트용 구동축(71)과 함께 회전하는 틸트용 연결 로드(76)를 추가로 구비한다.
그리고, 슬라이드용 레버(62) 및 틸트용 레버(72)는, 바닥판(43)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클램프 로드(51) 중, 일방(바닥판(43)의 우측)의 클램프 로드(51)측에서는, 그 클램프 로드(51)의 일단측(바닥판(43)의 전측)의 슬라이드 기구(60A) 및 틸트 기구(70A)에 각각 마련되어 있고, 타방(바닥판(43)의 좌측)의 클램프 로드(51)측에서는, 그 클램프 로드(51)의 타단측(바닥판(43)의 후측)의 슬라이드 기구(60A) 및 틸트 기구(70A)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즉, 바닥판(43)의 우측에 배치되는 슬라이드 기구(60A) 및 틸트 기구(70A)에 대해서는, 바닥판(43)의 전측에 슬라이드용 레버(62) 및 틸트용 레버(72)가 배치되고, 바닥판(43)의 우측에 배치되는 슬라이드 기구(60A) 및 틸트 기구(70A)에 대해서는, 바닥판(43)의 후측에 슬라이드용 레버(62) 및 틸트용 레버(72)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바닥판(43)의 전측(Y축방향 전측)의 슬라이드용 레버(62) 및 틸트용 레버(72)와 계합하는 슬라이드용 고정 캠(91) 및 틸트용 고정 캠(92)과, 바닥판(43)의 후측(Y축방향 후측)의 슬라이드용 레버(62) 및 틸트용 레버(72)와 계합하는 슬라이드용 고정 캠(91) 및 틸트용 고정 캠(92)을 각각 독립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바닥판(43)의 전측과 후측의 슬라이드용 고정 캠(91) 및 틸트용 고정 캠(92)의 각 캠면(91a,9lb,92a,92b)의 X축방향 길이를 개별적으로 임의의 길이로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틸트용 고정 캠(92)의 각 캠면(91a,9lb,92a,92b)의 X축방향 길이를 길게 함으로써, 클램프 아암(52)에 의한 시트상 전극(1)의 누름을 해제하고 나서, 다시 클램프 아암(52)에 의해 시트상 전극(1)의 누름을 행할 때까지의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반송 플레이트(20) 상에 보지된 시트상 전극(1)과, 적층 지그(40)의 바닥판(43)의 상면을 대면시킨 상태에서 적층 작용을 행하기 위한 시간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상기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적용예의 일부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상기 실시형태의 구체적 구성으로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1
시트상 전극(시트 부재)
40 적층 지그(적층체 보지 장치)
42 팬더 그래프식 승강 기구(가압 기구)
43 바닥판(적층대)
51 클램프 로드
52 클램프 아암
60 슬라이드 기구
61 슬라이드용 구동축
62 슬라이드용 레버
63 슬라이드용 캠
64 슬라이드용 아암
65 슬라이드용 연결 로드
70 틸트 기구
71 틸트용 구동축
73 틸트용 캠
74 틸트용 고정축
75 틸트용 아암
76 틸트용 연결 로드
83 가동 지지 부재(가동 부재)
40 적층 지그(적층체 보지 장치)
42 팬더 그래프식 승강 기구(가압 기구)
43 바닥판(적층대)
51 클램프 로드
52 클램프 아암
60 슬라이드 기구
61 슬라이드용 구동축
62 슬라이드용 레버
63 슬라이드용 캠
64 슬라이드용 아암
65 슬라이드용 연결 로드
70 틸트 기구
71 틸트용 구동축
73 틸트용 캠
74 틸트용 고정축
75 틸트용 아암
76 틸트용 연결 로드
83 가동 지지 부재(가동 부재)
Claims (6)
- 시트 부재가 적층되는 적층대와,
상기 적층대를, 상기 적층대에 적층된 시트 부재의 적층 방향 상측을 향하여 상시 가압하는 가압 기구와,
상기 적층대의 좌우 양측에 대향하도록, 상기 적층대의 전후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클램프 로드와,
상기 클램프 로드에 고정되며, 상기 적층대에 적층된 시트 부재를 상기 적층 방향 상측으로부터 누르기 위한 클램프 아암과,
상기 클램프 로드를, 상기 적층 방향과 평행하게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기구와,
상기 클램프 아암이 상기 적층 방향 상측으로 개방되면서 상기 적층대로부터 멀어지도록, 또한 상기 클램프 아암이 상기 적층대에 접근하면서 상기 적층 방향 하측을 향하여 폐쇄해 가도록, 상기 클램프 로드를 요동시키는 틸트 기구를 구비하는 적층체 보지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클램프 로드 중 일방의 상기 클램프 로드용의 상기 슬라이드 기구 및 상기 틸트 기구와, 타방의 상기 클램프 로드용의 상기 슬라이드 기구 및 상기 틸트 기구는, 각각 독립하여 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적층체 보지 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기구는,
상기 적층대의 전후 방향과 평행하게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슬라이드용 구동축과,
상기 슬라이드용 구동축에 고정된 슬라이드용 캠과,
상기 슬라이드용 캠과 맞닿으며, 상기 슬라이드용 캠의 회전 운동을 상기 적층 방향과 평행한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슬라이드용 아암과,
상기 슬라이드용 아암에 고정되어서 상기 슬라이드용 아암과 함께 상기 적층 방향과 평행하게 이동하는 가동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틸트 기구는,
상기 적층대의 전후 방향과 평행하게, 상기 가동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틸트용 구동축과,
상기 가동 부재에 고정되어서 상기 틸트용 구동축과 평행하게 배치된 틸트용 고정축과,
상기 틸트용 구동축에 고정된 틸트용 캠과,
일단측이 상기 틸트용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타단측이 상기 틸트용 캠과 맞닿으며, 상기 틸트용 캠의 회전 운동을, 상기 틸트용 고정축을 지지점으로 하는 요동 운동으로 변환하는 틸트용 아암을 구비하고,
상기 클램프 로드는, 상기 틸트용 아암에 고정되는, 적층체 보지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용 캠은, 상기 슬라이드용 아암이 상기 적층 방향 하측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상기 슬라이드용 아암을 상기 적층 방향 하측을 향하여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드용 구동축에 고정되는, 적층체 보지 장치. -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기구 및 상기 틸트 기구는, 상기 적층대의 전후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상기 클램프 로드의 일단측 및 타단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클램프 로드의 일단측 및 타단측에 각각 배치된 상기 슬라이드 기구 중, 어느 일방의 상기 슬라이드 기구의 상기 슬라이드용 구동축에 마련되며, 그 슬라이드용 구동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슬라이드용 레버와,
상기 클램프 로드의 일단측 및 타단측에 각각 배치된 상기 틸트 기구 중, 어느 일방의 상기 틸트 기구의 상기 틸트용 구동축에 마련되며, 그 틸트용 구동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틸트용 레버와,
상기 클램프 로드의 일단측 및 타단측에 각각 배치된 상기 슬라이드 기구의 상기 슬라이드용 구동축끼리를 연결하여 상기 슬라이드용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는 슬라이드용 연결 로드와,
상기 클램프 로드의 일단측 및 타단측에 각각 배치된 상기 틸트 기구의 상기 틸트용 구동축끼리를 연결하여 상기 틸트용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는 틸트용 연결 로드를 추가로 구비하는 적층체 보지 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용 레버 및 상기 틸트용 레버는, 상기 적층대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상기 클램프 로드 중, 일방의 상기 클램프 로드측에서는, 각각 상기 클램프 로드의 일단측에 마련되어 있고, 타방의 상기 클램프 로드측에서는, 각각 상기 클램프 로드의 타단측에 마련되어 있는, 적층체 보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9-153021 | 2019-08-23 | ||
JP2019153021A JP6888654B2 (ja) | 2019-08-23 | 2019-08-23 | 積層体保持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23761A true KR20210023761A (ko) | 2021-03-04 |
KR102507572B1 KR102507572B1 (ko) | 2023-03-07 |
Family
ID=74645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05276A KR102507572B1 (ko) | 2019-08-23 | 2020-08-21 | 적층체 보지 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11223062B2 (ko) |
JP (1) | JP6888654B2 (ko) |
KR (1) | KR102507572B1 (ko) |
CN (1) | CN112421126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20403B1 (ko) * | 2020-02-21 | 2020-06-08 | 주식회사 우원기술 | 이차전지용 셀 스택 제조장치 |
DE102022105394A1 (de) * | 2022-03-08 | 2023-09-14 | Körber Technologies Gmbh |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ilden und Befördern von durch Segmente gebildeten Zellstapeln für die Energiezellen produzierende Industri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16536A (ko) * | 2000-08-25 | 2002-03-04 | 요시무라 마사오 | 압접커넥터의 수취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압접기 |
KR100966231B1 (ko) * | 2007-06-14 | 2010-06-25 | 다이니폰 스크린 세이조우 가부시키가이샤 | 리프트 핀 승강 장치 |
KR101378456B1 (ko) * | 2009-12-01 | 2014-03-26 | 미쓰비시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 슬라이드 틸트기구 |
JP2017185675A (ja) | 2016-04-05 | 2017-10-12 | 株式会社日本マイクロニクス | シート積層治具、積層製品の製造方法、及びシート状二次電池の製造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56279Y2 (ja) * | 1990-07-25 | 1995-12-25 | グローリー工業株式会社 | 紙葉類収納装置 |
DE19719935A1 (de) * | 1997-05-13 | 1998-11-19 | Eltex Elektrostatik Gmbh | Vorrichtung sowie Verfahren zum Verblocken eines Stapels von gestapelten Gegenständen |
JP3565539B2 (ja) | 1997-07-25 | 2004-09-15 | 株式会社リコー | 電池製造装置 |
JP2005229779A (ja) * | 2004-02-16 | 2005-08-25 | Aisin Aw Co Ltd | 積層ワーク転積装置 |
JP5164422B2 (ja) * | 2007-04-26 | 2013-03-21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燃料電池用膜電極構造体及びセパレータの積層方法及びその積層装置 |
JP2010113997A (ja) | 2008-11-07 | 2010-05-20 | Toyota Motor Corp | 燃料電池セルの積層方法及び積層装置 |
JP2010212139A (ja) * | 2009-03-11 | 2010-09-24 | Toyota Motor Corp | 燃料電池セルの積層治具、積層装置及び製造方法 |
JP5593097B2 (ja) * | 2010-03-15 | 2014-09-17 | 株式会社Fdkエンジニアリング | 積層体の拘束治具、積層体の拘束・拘束解除方法、および積層体の拘束解除装置 |
JP5953083B2 (ja) * | 2011-04-07 | 2016-07-13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積層装置および積層方法 |
JP5997877B2 (ja) * | 2011-04-07 | 2016-09-28 | 株式会社京都製作所 | 積層装置および積層方法 |
JP6079773B2 (ja) * | 2012-03-30 | 2017-02-15 | 日本電気株式会社 | シート積層装置およびシート積層方法 |
JP5942126B2 (ja) * | 2013-07-18 | 2016-06-29 | Smc株式会社 | クランプ装置 |
JP6819652B2 (ja) | 2018-06-12 | 2021-01-27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電池材料積層装置 |
JP6947136B2 (ja) | 2018-08-06 | 2021-10-13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電極積層体製造装置 |
JP2020138854A (ja) * | 2019-02-28 | 2020-09-03 |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 積層装置 |
-
2019
- 2019-08-23 JP JP2019153021A patent/JP6888654B2/ja active Active
-
2020
- 2020-07-23 US US16/936,505 patent/US11223062B2/en active Active
- 2020-08-19 CN CN202010837034.1A patent/CN112421126B/zh active Active
- 2020-08-21 KR KR1020200105276A patent/KR10250757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16536A (ko) * | 2000-08-25 | 2002-03-04 | 요시무라 마사오 | 압접커넥터의 수취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압접기 |
KR100966231B1 (ko) * | 2007-06-14 | 2010-06-25 | 다이니폰 스크린 세이조우 가부시키가이샤 | 리프트 핀 승강 장치 |
KR101378456B1 (ko) * | 2009-12-01 | 2014-03-26 | 미쓰비시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 슬라이드 틸트기구 |
JP2017185675A (ja) | 2016-04-05 | 2017-10-12 | 株式会社日本マイクロニクス | シート積層治具、積層製品の製造方法、及びシート状二次電池の製造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2421126B (zh) | 2024-02-09 |
KR102507572B1 (ko) | 2023-03-07 |
JP6888654B2 (ja) | 2021-06-16 |
US11223062B2 (en) | 2022-01-11 |
US20210057775A1 (en) | 2021-02-25 |
CN112421126A (zh) | 2021-02-26 |
JP2021030566A (ja) | 2021-03-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0808420B (zh) | 电极层叠体制造装置 | |
KR102576622B1 (ko) | 적층 장치 및 적층 방법 | |
KR101220981B1 (ko) | 이차전지용 전극판 적층장치 | |
EP1261061B1 (en) | Packing apparatus for an automated manufacturing system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 |
KR102044363B1 (ko) | 전극 적층 로더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극 적층 시스템 | |
KR20210023761A (ko) | 적층체 보지 장치 | |
JP2012221715A (ja) | 積層装置および積層方法 | |
US10910664B2 (en) |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tack of sheet-shaped electrodes | |
KR102044367B1 (ko) | 전극 적층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극 적층 시스템 | |
JP6879282B2 (ja) | シート状電極の積層体製造装置 | |
JP7147678B2 (ja) | 移載方法 | |
CN108461797B (zh) | 二次电池的高速电池堆制造装置 | |
KR101280068B1 (ko) | 전극 적층 시스템 | |
KR101287414B1 (ko) | 소형 폴리머 이차전지 제조 시스템의 전극 적층장치 | |
JP2020077491A (ja) | 電池製造装置 | |
JP7206959B2 (ja) | 積層装置 | |
JP2017147043A (ja) | 積層パレット搬送装置 | |
JP2023009895A (ja) | 全固体電池用シート状電極の積層装置 | |
JP2023009916A (ja) | 全固体電池用シート状電極の積層装置 | |
KR102724204B1 (ko) | 이차전지 제조 장치 | |
JP2023177539A (ja) | 積層体搬送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