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3735A - 결속기 - Google Patents

결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3735A
KR20210023735A KR1020200103876A KR20200103876A KR20210023735A KR 20210023735 A KR20210023735 A KR 20210023735A KR 1020200103876 A KR1020200103876 A KR 1020200103876A KR 20200103876 A KR20200103876 A KR 20200103876A KR 20210023735 A KR20210023735 A KR 20210023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ncher
tape
staple
regulating
main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3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지메 다케무라
Original Assignee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23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37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5/00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 B25C5/02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with provision for bending the ends of the staples on to the work
    • B25C5/0207Particular clinch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06Trellis-work
    • A01G17/08Tools e.g. clips for attaching hops, vines, or boughs to trellis-work; T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06Trellis-work
    • A01G17/08Tools e.g. clips for attaching hops, vines, or boughs to trellis-work; Tying devices
    • A01G17/085Espalier machines; Ty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8Fixing of plants to supports, e.g. by means of 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5/00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 B25C5/02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with provision for bending the ends of the staples on to the work
    • B25C5/0285Hand-held stapling tools, e.g. manually operated, i.e. not resting on a working surface dur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5/00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 B25C5/16Staple-feeding devices, e.g. with feeding means, supports for staples or accessories concerning feeding devices
    • B25C5/1686Staple-feeding devices, e.g. with feeding means, supports for staples or accessories concerning feeding devices using pre-loaded casset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65B13/025Hand-hel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24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 B65B13/34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by applying separate securing members, e.g. deformable clips
    • B65B13/345Hand too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Abstract

결속기는, 크라운부와 한 쌍의 다리부를 구비한 스테이플을 수용하는 스테이플 매거진 유닛과, 크라운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된 스테이플 드라이버와, 다리부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다리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클린처와, 다리부를 향하는 클린처의 이동량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구비하고, 클린처가 연장 방향을 따라 다리부를 향해 이동함으로써, 클린처와 스테이플 드라이버가 스테이플을 이들 사이에서 끼움 지지하여 절곡한다.

Description

결속기{BINDING MACHINE}
본 발명은, 결속기에 관한 것이다.
농작물을 재배할 때의 결속 작업에 원예용 결속기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오이, 포도, 토마토, 배, 자두 등의 농작물 재배에 있어서, 식물의 덩굴이나 줄기를 지주나 네트 등에 결속하기 위해, 원예용 결속기가 사용되고 있다. 결속기는, 스테이플 매거진 유닛으로부터 스테이플을 타출하여 결속용 테이프의 단부를 고정한다. 결속기는, 스테이플을 하나씩 타출하기 위한 스테이플 드라이버를 구비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2017-222396호 공보에 기재된 원예용 결속기는, 확실하게 테이프를 파지할 수 있는 테이프 파지 장치를 구비한다. 일본 특허 공개 2017-222396호 공보의 도 21 및 도 22는, 조작 핸들(50)이 파지되어 클린처 암(30)이 메인 핸들(11)에 대하여 폐쇄 방향으로 회동된 때, 스테이플 드라이버(18)에 의해 스테이플(61)이 타입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스테이플(61)의 다리부는, 클린처 암(30)의 클린처(33)에 의해 클린치된다.
일본 특허 공개 2004-175377호 공보에 기재된 원예용 결속기는, 테이프의 역행을 방지하기 위한 판 스프링을 구비한다. 일본 특허 공개 2004-175377호 공보의 도 3은, 스테이플 매거진(7)의 전방벽에 선단이 접하도록 배치된 스테이플 드라이버(11)를 도시하고 있다. 스테이플 드라이버(11)에 의해 타입된 스테이플의 다리부는, 클린처(12)에 의해 클린치된다.
그러나, 스테이플을 클린치하는 결속 조작 시, 조작 핸들이 과도하게 파지되면, 클린처로부터 스테이플 드라이버로 큰 하중이 가해져 버린다. 필요 이상으로 조작 핸들이 파지되지 않도록 조작 핸들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것은, 스테이플 드라이버에 큰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제품의 치수 공차를 고려하면, 상정되는 클린치 완료 위치보다도 스테이플 드라이버의 선단이 크게 변위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 스테이플 드라이버에 과잉의 부하가 걸리기 때문에, 스테이플 드라이버가 파손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스테이플 드라이버에 작용하는 부하를 제한하여, 스테이플 드라이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결속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결속기는, 크라운부와 한 쌍의 다리부를 구비한 스테이플을 수용하는 스테이플 매거진 유닛과, 크라운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된 스테이플 드라이버와, 다리부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다리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클린처와, 다리부를 향하는 클린처의 이동량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구비하고, 클린처가 연장 방향을 따라 다리부를 향해 이동함으로써, 클린처와 스테이플 드라이버가 스테이플을 이들 사이에 끼움 지지하여 절곡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 공통되는 결속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스테이플의 타출을 개시한 상태에 있어서의 스테이플 드라이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규제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규제부를 우측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규제부가 메인 핸들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규제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규제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규제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규제부를 우측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규제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규제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규제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고, 본 발명을 그 실시 형태에만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편의적으로, 결속용 테이프 TP가 수용되는 테이프 매거진 유닛(26)으로부터, 테이프 홀더(28A)가 연장되고, 테이프 TP가 인출되는 결속기(10)의 선단에 마련되는 테이프 가이드(28B)를 향하는 측(도 1에 있어서의 지면 우측 방향)을, 「전방」이라고 칭하고, 반대측(도 1에 있어서의 지면 좌측 방향)을, 「후방」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테이프 TP가 테이프 가이드(28B)로부터 인출되어 대기 상태에 있어서의 테이프 파지 유닛(56)을 향하는 측(도 1에 있어서의 지면 상방)을, 「상방」이라고 칭하고, 반대측(도 1에 있어서의 지면 하방)을 「하방」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 공통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 공통되는 결속기(1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원예용 결속기(10)는, 예를 들어 농작물(「피결속물 S」의 일례)의 유인 결속 작업에 사용될 수 있다. 결속기(10)는, 메인 핸들(20)과, 메인 핸들(2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스테이플 매거진 유닛(22)과, 메인 핸들(2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클린처 암(50)과, 클린처 암(5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조작 핸들(70)을 구비하고 있다.
메인 핸들(20)은, 가늘고 긴 직선상으로 형성된 부재이다. 메인 핸들(20)은, 테이프 반송 유닛(28)과, 테이프 절단부(30)와, 스테이플 드라이버(3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메인 핸들(20)의 후단부에는, 테이프 매거진 유닛(26)이 설치된다. 메인 핸들(20)과 테이프 매거진 유닛(26)은, 일체적으로 형성해도 된다.
테이프 매거진 유닛(26)은, 릴 상에 권회된 테이프 TP(이하, 권회된 테이프 TP를, 테이프 릴 TR(「권회된 결속 테이프」의 일례)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를 수용하기 위한 기구이다. 테이프 매거진 유닛(26)은, 메인 핸들(20)의 후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테이프 반송 유닛(28)은, 테이프 홀더(28A)와, 테이프 가이드(28B)를 구비하고 있다. 테이프 홀더(28A)는, 테이프 매거진 유닛(26)으로부터 테이프 가이드(28B)까지 테이프 TP를 반송하기 위한 경로이고, 메인 핸들(20)의 길이 방향 X를 따라 부설되어 있다. 테이프 홀더(28A)는, 테이프 TP의 한쪽의 표면을 마주보는 저부와, 테이프 TP의 다른 쪽의 표면(이하, 테이프 TP의 다른 쪽의 표면을 「이면」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을 마주보는 덮개부를 구비하고 있다. 저부와 덮개부는, 예를 들어 길이 방향 X를 따르는 1변측을 지지점으로 하여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테이프 가이드(28B)는, 테이프 TP의 선단을 테이프 홀더(28A)로부터 상방측으로 가이드하여 인출하기 위한 부재이다. 테이프 가이드(28B)는, 메인 핸들(20)의 전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테이프 가이드(28B)는, 삽입 관통한 테이프 TP가 용이하게 빠지지 않도록, 테이프 TP의 표면, 이면, 양 측부 각각의 적어도 일부를 마주보는 벽면을 갖고 있다.
테이프 절단부(30)는, 테이프 TP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날(30A)과, 절단날(30A)을 로크 및 로크 해제하기 위한 로크 기구(30B)를 구비하고 있다. 절단날(30A)을 교환할 때는, 로크 기구(30B)에 의해 로크 해제를 행하여 절단날(30A)을 분리한다. 절단날(30A)은, 테이프 가이드(28B)와 일체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대기 상태 및 파지 동작 시에 후방을 향하도록 도시하지 않은 탄성 부재에 의해 가압된다. 결속 동작을 실행할 때는, 테이프 가이드(28B)가 테이프 캐치(60)의 선단부(60B)에 압박되어, 테이프 가이드(28B)와 절단날(30A)은 도시하지 않은 탄성 부재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회동하고, 절단날(30A)의 날끝 상방이 테이프 TP에 면하도록 이동한다.
또한, 테이프 TP를 절단하기 위한 기구로서, 다양한 기구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테이프 TP를 테이프 가이드(28B)와 연동하여 회동함으로써, 테이프 TP를 절단하도록 해도 되고, 테이프 가이드(28B) 및 절단날(30A)을 직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고, 절단날(30A)을 직선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테이프 TP를 절단하도록 해도 되고, 테이프 가이드(28B) 등 테이프 TP를 구속하는 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정지하는 절단날(30A)에 테이프 TP가 절단되도록 해도 된다.
스테이플 드라이버(32)는, 스테이플 매거진 유닛(22)의 스테이플 수용부(23) 전단 부근에 면하도록 메인 핸들(20)에 설치된 판상의 플레이트이다. 스테이플 드라이버(32)는, 스테이플 ST를 하나만 타출시키도록, 예를 들어 스테이플 ST의 폭과 대략 동일한 두께 또는 스테이플 ST의 폭보다도 작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클린처 암(50)이 메인 핸들(20)에 대하여 폐쇄되는 방향으로 회동하면, 클린처 암(50)에 눌림으로써 스테이플 매거진 유닛(22)은, 메인 핸들(2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때문에, 메인 핸들(20)에 설치된 스테이플 드라이버(32)의 상단은, 상대적으로, 스테이플 수용부(23) 내의 공간에 진입하고, 스테이플 수용부(23) 내의 선두의 스테이플 ST를 상방으로 타출한다. 스테이플 드라이버(32)의 구성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타출된 스테이플 ST는, 테이프 TP를 관통한 후에, 클린처(54)에 클린치된다. 스테이플 ST가 절곡된 다리부는, 스테이플 ST의 크라운부(100)와의 사이에서, 중첩된 2매의 테이프 TP를 파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스테이플 매거진 유닛(22)은, 가늘고 긴 직선상으로 형성된 부재이다. 스테이플 매거진 유닛(22)의 후단부는, 메인 핸들(20)의 후단부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단 회전 각도가 작은 점에서, 스테이플 매거진 유닛(22)은, 메인 핸들(20)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다고 표현하는 경우도 있다.
스테이플 매거진 유닛(22)의 선단에는, 훅(22A)이 부설되어 있다. 해당 훅(22A)은, 메인 핸들(20)에 고정된 축부(14)에 걸림 지지된다. 스테이플 매거진 유닛(22)은, 코일 스프링(13)에 의해 메인 핸들(2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스테이플 매거진 유닛(22)은, 코일 스프링(13)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메인 핸들(2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한편, 축부(14)에 훅(22A)이 맞닿으면, 그 위치보다도 메인 핸들(20)로부터 이격될 수 없다.
스테이플 매거진 유닛(22)은, 스테이플 ST를 수용하기 위한 스테이플 수용부(23)와, 푸셔 유닛(24)을 구비하고 있다. 스테이플 수용부(23)는, 메인 핸들(20)의 길이 방향 X를 따라 배치되어 있고, 내부에 스테이플 ST를 수용하기 위해, 메인 핸들(20)의 길이 방향 X를 따라 가늘고 길게 형성된 저면과, 저면으로부터 세워 설치하여 서로 대향하는 두 측벽면과, 선두의 스테이플 ST의 측면이 압박되는 전방벽면을 구비하고 있다. 스테이플 매거진 유닛(22)의 구성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스테이플 수용부(23) 내에는, 복수의 스테이플 ST를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인접하는 스테이플 ST는, 예를 들어 서로 접착제로 접속되어, 전체적으로 일렬의 스테이플군을 구성할 수 있다.
푸셔 유닛(24)은, 스테이플 수용부(23)에 수용된 스테이플 ST를 전방으로 압박하기 위해 스테이플 수용부(23)에 대하여, 예를 들어 삽입 인발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재이다. 푸셔 유닛(24)은, 복수의 스테이플 ST 중, 후단의 스테이플 ST를 전방으로 압박하기 위한 압축 스프링과, 스테이플 수용부(23)의 상방을 덮는 커버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푸셔 유닛(24)을 스테이플 수용부(23)로부터 발출하고, 스테이플 수용부(23)의 상방을 개방시킴으로써, 상방으로부터 스테이플 ST를 스테이플 수용부(23) 내에 세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클린처 암(50)은, 후단부 부근에 마련된 회전축부(11)에 의해 메인 핸들(2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또한 인장 스프링(12)에 의해 메인 핸들(20)과의 각도가 커지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설치되어 있다. 클린처 암(50)은, 암부(52)와, 클린처(54)와, 테이프 파지 유닛(56)(「파지부」의 일례)을 구비하고 있다. 암부(52)는, 메인 핸들(20)과의 사이에 C자형의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선단부에 이르기까지 곡선적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하고 있다.
클린처(54)는, 스테이플 ST의 다리부를 절곡하여 클린치하기 위한 부재이다. 클린처(54)는, 클린처 암(50)이 폐쇄되는 방향으로 회동한 때에, 스테이플 드라이버(32)의 선단에 대향하도록, 클린처 암(50)의 선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스테이플 드라이버(32)에 의해 타출된 스테이플 ST의 다리부는, 클린처(54)에 의해 클린치되어 내측으로 절곡된다. 클린처 암(50)에 마련되고, 결속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클린처(54)를 포함하는 구성을 「결속부」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테이프 파지 유닛(56)은, 메인 핸들(20)의 선단의 테이프 가이드(28B)로부터 인출된 테이프 TP의 단부를 파지하기 위한 기구이다. 테이프 파지 유닛(56)은, 클린처 암(50)의 암부(52)의 선단에 마련된다. 테이프 파지 유닛(56)은, 로크 플레이트(58)와, 테이프 캐치(60)와, 테이프 플레이트(62)를 갖고 있다.
로크 플레이트(58)는, 일단측에 마련된 축부(58A)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성됨과 함께, 타단측이 코일 스프링(59)에 의해 테이프 캐치(60)측으로 가압되어 있다. 로크 플레이트(58)는, 코일 스프링(59)의 가압에 의해, 테이프 캐치(60)에 걸림 결합함으로써 테이프 캐치(60)를 로크하고, 테이프 캐치(60)를 테이프 플레이트(62)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테이프 캐치(60)는, 축부(60A)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됨과 함께, 비틀림 코일 스프링(61)에 의해 테이프 플레이트(62)측에 가압되어 있다. 테이프 캐치(60)는, 테이프의 인출 시에 로크 플레이트(58)에 의한 로크가 해제되면, 비틀림 코일 스프링(61)의 가압에 의해, 끝이 가는 형상을 이루는 선단부(60B)가 테이프 플레이트(62)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테이프 플레이트(62)는, 테이프 캐치(60)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그 선단부가 로크 플레이트(58)로부터 테이프 절단부(30)를 향해 연장 돌출되어 있다. 테이프 플레이트(62)는, 연장 돌출된 부위와 테이프 캐치(60)의 선단부(60B)에서 테이프 TP를 끼움 지지한다. 테이프 TP가 파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 핸들(70)을 파지하는 힘을 약하게 하면, 인장 스프링(12)에 의해 클린처 암(50)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테이프 가이드(28B)를 개재하여 테이프 TP를 상방으로 인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조작 핸들(70)은,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위이고, 그 대략 중간의 축부(70A)가 클린처 암(5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전단부가 메인 핸들(20)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위를 힘점, 클린처 암(50)과의 회전축을 지지점으로 하고, 메인 핸들(20)에 설치되는 전단부를 작용점으로 하는 지레의 원리에 의해, 조작 핸들(70)의 개폐 동작에 수반하여 클린처 암(50)이 메인 핸들(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개폐 동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클린처 암(50)은, 인장 스프링(12)에 의해 상시 가압되어 있고, 대기 상태에 있어서는 메인 핸들(20)에 대하여 개방된 상태로 되어 있다. 사용자가 조작 핸들(70)과 메인 핸들(20)을 파지함으로써,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린처 암(50)이 메인 핸들(20)에 대하여 폐쇄되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1회째의 파지 동작에서는 파지 동작이 실행되고, 2회째의 파지 동작에서는 결속 동작이 실행된다. 결속기(10)는, 파지 동작과 결속 동작을 교대로 실행함으로써, 피결속물 S를 결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는, 2회째의 파지 동작으로 스테이플 ST를 타출하는 스테이플 드라이버(32)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테이플 드라이버(32)는, L자형으로 절곡된 판 스프링 등으로 구성되어, 스테이플 ST를 타출하는 타출부(33)와, 메인 핸들(20)에 고정되는 설치부(34)를 갖고 있다.
스테이플 ST는,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크라운부(100)와, 크라운부(100)의 양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다리부(101, 102)를 가진 역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타출부(33)는, 크라운부(100)와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클린처(54)는, 다리부(101, 102)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클린처(54)는, 조작 핸들(70)과 메인 핸들(20)의 파지 동작에 종동하여, 다리부(101, 102)의 연장 방향 Z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클린처(54)가 다리부(101, 102)의 연장 방향 Z를 따라 다리부(101, 102)를 향해 이동하면, 스테이플 ST는, 클린처(54)와 스테이플 드라이버(32)에 끼움 지지되어 절곡된다.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의 결속기(10)의 특징적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의 결속기(10)는, 다리부(101, 102)를 향하는 클린처(54)의 이동량 δ를 규제하는 규제부(75)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특징의 하나이다. 제1 내지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규제부(75)는, 클린처(54)의 클린치면(54A)에 맞닿음으로써, 클린처(54)의 이동량 δ를 규제한다. 제5 내지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규제부(75)는, 클린처 암(50)의 회동량을 규제함으로써 클린처(54)의 이동량 δ를 규제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규제부(75)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규제부(75)는, 클린처(54)의 클린치면(54A)에 맞닿고, 스테이플 ST의 다리부(101, 102)의 연장 방향, 즉 클린처 암(50)의 회동 방향 Z에 있어서, 클린처(54)의 이동을 저해한다. 도시한 예에서는, 규제부(75)가, 독립된 판금 부재로서 구성되고, 메인 핸들(20)의 골격을 구성하는 강성 부재(205) 상에 적재되어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규제부(75)를 우측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시한 예에서는, 규제부(75)가, 메인 핸들(20)에 지지된 기부(753)와, 기부(753)로부터 돌출된 맞닿음부(751) 및 좌우 한 쌍의 베어링부(752)를 갖고 있다.
기부(753)는, 메인 핸들(20)의 강성 부재(205)를 따라 연장되고, U자형으로 구부러진 중앙부(753A)와, 해당 중앙부의 양단으로부터 메인 핸들(20)의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블레이드부(753B)를 갖고 있다. 맞닿음부(751)는, 클린처(54)의 클린치면(54A)에 맞닿아 해당 클린치면(54A)의 높이를 규제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규제부(75)가 메인 핸들(20)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어링부(752)는, 메인 핸들(20)의 축부(14)에 맞닿아 있다. 베어링부(752)가 축부(14)에 맞닿음으로써, 규제부(75)가 메인 핸들(20)의 길이 방향(전후 방향) X 및 클린처 암의 회동 방향(상하 방향) Z에 있어서 위치 결정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결속기(10)에 의하면, 클린처(54)의 클린치면(54A)에 맞닿는 규제부(75)에 의해 클린처(54)의 이동량 δ를 규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스테이플 드라이버(32)에 작용하는 부하를 제한하여, 스테이플 드라이버(3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규제부(75)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제2 실시 형태는, 규제부(75)가 메인 핸들(20)의 강성 부재(205)와 일체 구조물로서 구성되어 있는 점이 제1 실시 형태와 다르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클린처(54)의 이동량 δ를 규제하여 스테이플 드라이버(32)에 작용하는 부하를 제한할 수 있다.
규제부(75)가 메인 핸들(20)의 강성 부재(205)와 일체 구조물이기 때문에, 규제부(75)가 메인 핸들(20)로부터 위치 어긋나는 경우가 없다. 더 정확하게 클린치면(54A)의 높이를 규제할 수 있다. 부품 개수가 줄어들기 때문에, 결속기(10)의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규제부(75)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제3 실시 형태는, 규제부(75)가 클린처(54)의 일부인 점이 제1 실시 형태와 다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실시 형태에서는, 클린처(54)의 일부가 돌출되어 메인 핸들(20)(예를 들어, 축부(14))에 맞닿음으로써 클린처(54)의 이동량 δ를 규제한다.
제3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클린처(54)의 이동량 δ를 규제하여 스테이플 드라이버(32)에 작용하는 부하를 제한할 수 있다. 클린처(54)와 규제부(75)가 일체 구조물이기 때문에, 클린처(54)에 대하여 규제부(75)의 위치가 어긋나는 경우가 없다. 더 정확하게 클린치면(54)의 높이를 규제할 수 있다. 부품 개수가 줄어들기 때문에, 결속기(10)의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규제부(75)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한 규제부(75)를 우측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제4 실시 형태에서는, 규제부(75)가, 스테이플 매거진 유닛(22)을 개재하여 클린처(54)의 클린치면(54A)에 맞닿는 점이 제1 실시 형태와 다르다. 어떻게 보면, 규제부(75)가, 제1 부재(75)와 제2 부재(22)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고도 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클린처(54)의 이동량 δ를 규제하여 스테이플 드라이버(32)에 작용하는 부하를 제한할 수 있다. 규제부(75)가 직접 클린처(54)의 클린치면(54A)에 맞닿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결속기(10)의 설계 자유도가 향상된다.
반면, 규제부(75)가 직접 클린처(54)에 맞닿아 있지 않기 때문에, 규제부(75)와 클린처(54) 사이에 개재하는 다른 부재의 치수 오차가 클린처(54)의 위치 결정 정밀도에 포함되어 버린다. 또한, 조작 핸들(70)을 강하게 파지하면, 규제부(75)와 클린처(54) 사이에 끼워진 부재가 변형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제5 실시 형태]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규제부(75)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제5 실시 형태는, 규제부(75)가 클린처(54)가 아니고 조작 핸들(70) 또는 조작 핸들(70)에 대향하는 부위에 있어서의 메인 핸들(20)에 맞닿는 점이 지금까지 설명한 제1 내지 제4 실시 형태와 다르다. 조작 핸들(70) 또는 메인 핸들(20)에 규제부(75)가 맞닿으면, 이들 핸들을 그 이상 파지할 수 없게 된다. 조작 핸들(70)에 종동하는 클린처 암(50)의 회동량이 규제되기 때문에, 클린처(54)의 이동량 δ가 규제된다.
제5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클린처(54)의 이동량 δ를 규제하여 스테이플 드라이버(32)에 작용하는 부하를 제한할 수 있다. 스페이스의 제약이 큰 메인 핸들(20)의 선단부(201)가 아니라, 스페이스에 여유가 있는 조작 핸들(70)측에 규제부(75)를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결속기(10)의 설계 자유도가 향상된다. 반면, 조작 핸들(70)의 위치와 클린처 암(50)의 회동량은 오차가 있기 때문에, 제1 실시 형태에 비해 클린처(54)의 이동량 δ를 정확하게 규제하기 어려워진다.
[제6 실시 형태]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규제부(75)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제6 실시 형태는, 규제부(75)가 조작 핸들(70)과 일체 구조물로서 구성되어 있는 점이 제5 실시 형태와 다르다. 제6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5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클린처 암(50)의 회동량을 규제하여 스테이플 드라이버(32)에 작용하는 부하를 제한할 수 있다.
조작 핸들(70)과 규제부(75)가 일체 구조물이라면, 조작 핸들(70)에 대하여 규제부(75)의 위치가 어긋나는 경우가 없다. 메인 핸들(20)과 규제부(75)가 일체 구조물이라면, 메인 핸들(20)에 대하여 규제부(75)의 위치가 어긋나는 경우가 없다. 더 정확하게 클린처 암(50)의 회동량을 규제할 수 있다. 부품 개수가 줄어들기 때문에, 결속기(10)의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규제부(75)를 메인 핸들(20)에 맞닿게 하는 대신에, 규제부(75)를 클린처 암(50)과 맞닿도록 하여, 클린처 암(50)의 회동량을 규제하여 스테이플 드라이버(32)에 작용하는 부하를 제한할 수 있도록 구성 해도 된다.
[제7 실시 형태]
도 1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규제부(75)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제7 실시 형태는, 규제부(75)와 규제부(75)에 맞닿아지는 피맞닿음 부재(77)와의 간격이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점이 제5 실시 형태와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나사 부재(77A)를 풀어 피맞닿음 부재(77)의 위치를 변경한 후에 나사 부재(77A)를 체결함으로써, 피맞닿음 부재(77)의 돌기부(77B)의 위치를 변경한다. 이에 의해, 피맞닿음 부재(77)의 경사면(77C)과 규제부(75)의 간격을 조정한다. 제7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5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클린처 암(50)의 회동량을 규제하여 스테이플 드라이버(32)에 작용하는 부하를 제한할 수 있다.
조작 핸들(70) 또는 조작 핸들(70)에 대향하는 부위에 있어서의 메인 핸들(20)에 규제부(75)를 배치하는 경우, 결속기(10)의 개체 차인 조작 핸들(70)의 위치와 클린처 암(50)의 회동량의 오차에 좌우되어, 클린처(54)의 이동량 δ를 정확하게 규제하기 어렵다는 과제가 있었다. 제7 실시 형태에 따르면, 결속기(10)의 개체마다 오차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클린처(54)의 이동량 δ를 정확하게 규제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을 한정하여 해석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가 구비하는 각 요소, 그리고 그의 배치, 재료, 조건, 형상 및 사이즈 등은, 예시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구성끼리를 부분적으로 치환하거나 또는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테이프 루프의 양단을 결착하는 수단으로서 스테이플 ST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수단에 의해 테이프 루프를 결착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결속기(10)는, 크라운부(100)와 한 쌍의 다리부(101, 102)를 구비한 스테이플(ST)을 수용하는 스테이플 매거진 유닛(22)과, 크라운부(100)와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된 스테이플 드라이버(32)와, 다리부(101, 102)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다리부(101, 102)의 연장 방향(Z)을 따라 이동 가능한 클린처(54)와, 다리부(101, 102)를 향하는 클린처(54)의 이동량을 규제하는 규제부(75)를 구비하고, 클린처(54)가 연장 방향(Z)을 따라 다리부(101, 102)를 향해 이동함으로써, 클린처(54)와 스테이플 드라이버(32)가 스테이플(ST)을 이들 사이에 끼움 지지하여 절곡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규제부(75)는, 클린처(54)의 클린치면(54A)에 맞닿음으로써, 클린처(54)의 이동량(δ)을 규제해도 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스테이플 매거진 유닛(22)이 설치되는 메인 핸들(20)과, 클린처(54)를 갖고, 메인 핸들(2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린처 암(50)을 더 구비하고, 규제부(75)는, 클린처 암(50)의 회동량을 규제함으로써 클린처(54)의 이동량(δ)을 규제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테이플 드라이버에 작용하는 부하를 제한하여, 스테이플 드라이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결속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크라운부와 한 쌍의 다리부를 구비한 스테이플을 수용하는 스테이플 매거진 유닛과,
    상기 크라운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된 스테이플 드라이버와,
    상기 다리부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다리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클린처와,
    상기 다리부를 향하는 상기 클린처의 이동량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구비하고,
    상기 클린처가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다리부를 향해 이동함으로써, 상기 클린처와 상기 스테이플 드라이버가 상기 스테이플을 이들 사이에 끼움 지지하여 절곡하는, 결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클린처의 클린치면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클린처의 이동량을 규제하는, 결속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플 매거진 유닛이 설치되는 메인 핸들과,
    상기 클린처를 갖고, 상기 메인 핸들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린처 암을 더 구비하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클린처 암의 회동량을 규제함으로써 상기 클린처의 이동량을 규제하는, 결속기.
KR1020200103876A 2019-08-23 2020-08-19 결속기 KR202100237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53174A JP7324400B2 (ja) 2019-08-23 2019-08-23 結束機
JPJP-P-2019-153174 2019-08-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735A true KR20210023735A (ko) 2021-03-04

Family

ID=72178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876A KR20210023735A (ko) 2019-08-23 2020-08-19 결속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370096B2 (ko)
EP (1) EP3782459B1 (ko)
JP (1) JP7324400B2 (ko)
KR (1) KR20210023735A (ko)
CN (1) CN112400518B (ko)
AU (1) AU2020220155A1 (ko)
TW (1) TWI82534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1695948S (ko) * 2021-02-18 2021-09-27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03497A (en) * 1968-12-25 1971-09-07 Max Corp Binder for grape vines
AU427630B2 (en) * 1970-11-13 1972-08-30 Max Company Limited Binders
GB1331380A (en) * 1970-12-31 1973-09-26 Max Co Ltd Binding device
JPS5848313B2 (ja) * 1979-12-17 1983-10-27 明邦商事株式会社 ステ−プラ−
CN2033733U (zh) * 1988-01-14 1989-03-08 唐明华 手动钉钉机
JP3467684B2 (ja) * 1999-08-13 2003-11-17 南善 趙 園芸用結束機
JP2003020005A (ja) * 2001-07-05 2003-01-21 Max Co Ltd 園芸用結束機のテープガイド装置
WO2003004358A1 (en) * 2001-07-05 2003-01-16 Max Co., Ltd. Tape guide device for gardening buncher
KR100598212B1 (ko) * 2001-07-11 2006-07-07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원예용 결속기
US6923360B2 (en) * 2002-07-31 2005-08-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djustable stapler and methods associated therewith
JP4081668B2 (ja) 2002-11-25 2008-04-30 マックス株式会社 園芸用結束機
US7311236B2 (en) * 2005-04-25 2007-12-25 Tsi Manufacturing Llc Electric stapler having two anvil plates and workpiece sensing controller
JP3127988U (ja) 2006-10-06 2006-12-21 忠雄 谷澤 ステープラー
JP4826479B2 (ja) 2007-01-12 2011-11-30 マックス株式会社 ステープラ
WO2009031667A1 (ja) * 2007-09-05 2009-03-12 Max Co., Ltd. ステープラ
US8186552B2 (en) * 2009-10-02 2012-05-29 Sdi Corporation Stapler with leg-flatting and anvil-guiding capability
JP5521215B2 (ja) * 2009-12-25 2014-06-11 コクヨ株式会社 フラットクリンチ型ステープラ
SE534656C2 (sv) 2010-02-11 2011-11-08 Isaberg Rapid Ab Bockstansarrangemang
KR101027960B1 (ko) * 2010-09-28 2011-04-13 서해영 원예용 결속기
US9114518B2 (en) * 2011-07-01 2015-08-25 Max Co., Ltd. Stapler
TWI432295B (zh) * 2012-08-27 2014-04-01 Sdi Corp A flat needle stapler with a cushioning mechanism
JP2014155995A (ja) * 2013-02-18 2014-08-28 Plus Corp ステープラ
CN104275711A (zh) * 2013-07-09 2015-01-14 苏州迅承企业服务有限公司 一种剪刀
KR101509623B1 (ko) * 2013-11-12 2015-04-07 조남선 농업용 결속기
CN203527553U (zh) * 2013-11-26 2014-04-09 吴建平 档案打孔机
US9736997B2 (en) * 2014-01-02 2017-08-22 Nam Sun CHO Binding machine for agriculture
CN104369202A (zh) * 2014-11-13 2015-02-25 梁祺辉 一种环保可伸缩剪刀
CN104772730A (zh) * 2015-04-17 2015-07-15 柳州市乾阳机电设备有限公司 管子钳
CN205455006U (zh) * 2016-01-28 2016-08-17 杭州龙华生态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藤蔓绑枝机
JP6702008B2 (ja) * 2016-06-15 2020-05-27 マックス株式会社 園芸用結束機
JP6638568B2 (ja) * 2016-06-15 2020-01-29 マックス株式会社 園芸用結束機
JP6677091B2 (ja) * 2016-06-15 2020-04-08 マックス株式会社 園芸用結束機
JP6677089B2 (ja) 2016-06-15 2020-04-08 マックス株式会社 園芸用結束機
JP6673041B2 (ja) * 2016-06-15 2020-03-25 マックス株式会社 園芸用結束機
JP6737119B2 (ja) * 2016-10-11 2020-08-05 マックス株式会社 キャップおよびキャップユニット
CN207564521U (zh) * 2017-04-14 2018-07-03 3M新设资产公司 剪刀
CN207534748U (zh) * 2017-10-21 2018-06-26 孟鑫 一种智能订书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82459A1 (en) 2021-02-24
TW202116627A (zh) 2021-05-01
US11370096B2 (en) 2022-06-28
JP7324400B2 (ja) 2023-08-10
CN112400518B (zh) 2023-11-14
AU2020220155A1 (en) 2021-03-11
CN112400518A (zh) 2021-02-26
US20210053199A1 (en) 2021-02-25
JP2021031118A (ja) 2021-03-01
EP3782459B1 (en) 2023-10-18
TWI825344B (zh) 2023-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57357B1 (en) Binding machine for gardening
EP3257358B1 (en) Binding machine for gardening
EP3257359B1 (en) Binding machine for gardening
KR102299044B1 (ko) 캡 및 캡 유닛
US7124561B2 (en) Tape guide device for gardening buncher
EP3782460A1 (en) Binding machine
KR20210023735A (ko) 결속기
US11623776B2 (en) Binding machine and binding method
US11597548B2 (en) Binding machine
EP3794936A1 (en) Binding machine and tape reel
JP7422981B2 (ja) 結束機
JP7422982B2 (ja) 結束機
JP4081657B2 (ja) 園芸用結束機のテープガイ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