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3651A - 불출장치 - Google Patents

불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3651A
KR20210023651A KR1020200002596A KR20200002596A KR20210023651A KR 20210023651 A KR20210023651 A KR 20210023651A KR 1020200002596 A KR1020200002596 A KR 1020200002596A KR 20200002596 A KR20200002596 A KR 20200002596A KR 20210023651 A KR20210023651 A KR 20210023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ody
bucket
axis
rotation positio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2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5419B1 (ko
Inventor
류조 우라카미
Original Assignee
호소다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소다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호소다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23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3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5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5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23Devices for tilting and emptying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높이방향의 치수를 작게 억제할 수 있고, 버킷에 수용된 식자재를 작업자에 의한 부착물의 털어냄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고 불출할 수 있는 식자재의 불출장치가 제공된다. 기대와, 기대에 수평한 제1 축선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지탱된 제1 틀체와, 제1 틀체에 제1 축선에 평행한 제2 축선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지탱된 제2 틀체와, 제2 틀체에 제1 축선에 평행한 제3 축선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지탱된 제3 틀체와, 제2 회동위치와 버킷의 개구가 연직면에 대하여 더 하방으로 경사진 불출완료위치에 걸쳐 제3 틀체를 제3 축선 둘레에 회동시키는 제3 구동부와, 제3 구동부가 제3 틀체를 제3 회동위치에 회동시켰을 때 제3 틀체가 당접하는 제1 당접부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불출장치{DISCHARGE APPARATUS}
본 발명은 버킷에 수용된 식자재를 불출하는 불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상부가 개구된 컨테이너에 수용되어 있는 콩나물 등의 식자재를 예를 들어 세정장치에 투입하기 위해 설치된 컨베이어에 불출하기 위해서 포크리프트 등을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들어올린 후, 들어올린 컨테이너를 반전시키고 있다. 컨테이너의 내면에 콩나물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삽 등을 이용하여 부착되어 있는 콩나물을 털어 떨어뜨리고 있어 작업자의 부담이 크다.
이와 같은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하는 것으로서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3118677호 공보에는 상부투입구를 구비한 직방체의 바스켓을 회동시켜 바스켓 내의 수용물을 배출시키는 바스켓의 경전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바스켓의 경전장치는 바스켓이 상부투입구를 위로 하여 놓이는 탑재대를 구비한 메인프레임과, 메인프레임의 양측에 설치된 사이드지지부재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고, 탑재대 위의 바스켓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바스켓지지부와, 체인을 통해 바스켓지지부에 연결된 복수의 스프로킷과, 스프로킷을 회전구동하는 감속모터를 갖고 있다.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3118677호 공보에 기재된 바스켓의 경전장치에서는 경전된 바스켓이 최대경전위치까지 밀어 올려졌을 때의 바스켓의 위치가 높아 천정이 낮은 장소에는 설치할 수 없다. 또한 수용물이 예를 들어 컨테이너에 수용된 콩나물 등이라면 여전히 컨테이너의 내면에 수용물이 부착되는 경우가 있고, 부착된 수용물을 작업자가 털어 떨어뜨려야만 하므로 작업자의 부담이 크다.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이방향의 치수를 작게 억제할 수 있고, 버킷에 수용된 식자재를 작업자에 의한 부착물의 털어냄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고 불출할 수 있는 식자재의 불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식자재가 수용된 버킷을 반전하여 상기 버킷내의 식자재를 불출하는 불출장치로서,
기대와,
상기 기대에 수평한 제1 축선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 틀체와,
상기 제1 틀체에 상기 제1 축선에 평행한 제2 축선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2 틀체와,
상기 제2 틀체에 상기 제1 축선에 평행한 제3 축선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버킷을 지탱하는 제3 틀체와,
상기 버킷의 개구가 상방을 향하도록 해당 버킷을 지지하는 불출개시위치와 상기 버킷의 개구가 횡방향을 향하도록 해당 버킷을 회동시킨 상태에서 지지하는 제1 회동위치에 걸쳐 상기 제1 틀체를 상기 제1 축선 둘레에 회동시키는 제1 구동부와,
상기 제1 회동위치와 상기 버킷의 개구가 비스듬하게 하방을 향하도록 회동한 제2 회동위치에 걸쳐 상기 제2 틀체를 상기 제2 축선 둘레에 회동시키는 제2 구동부와,
상기 제2 회동위치와 상기 버킷의 개구가 상기 제2 회동위치보다 더 하방으로 회동한 불출완료위치에 걸쳐 상기 제3 틀체를 상기 제3 축선 둘레에 회동시키는 제3 구동부와,
상기 제3 구동부가 상기 제3 틀체를 상기 제2 회동위치로부터 상기 불출완료위치에 회동시켰을 때 상기 제3 틀체가 당접하여 지지되는 제1 당접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출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불출장치는 상기 제2 구동부가 상기 제2 틀체를 상기 제1 회동위치로부터 상기 제2 회동위치에 회동시켰을 때 상기 제2 틀체가 당접하여 지지되는 제2 당접부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불출장치는 상기 제1 구동부가 상기 제1 틀체를 상기 불출개시위치로부터 상기 제1 회동위치에 회동시켰을 때 상기 제1 틀체가 당접하여 지지되는 제3 당접부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틀체, 제2 틀체 및 제3 틀체를 수평한 제1 축선, 제1 축선에 평행한 제2 축선 및 제1 축선에 평행한 제3 축선 둘레에 낮은 위치에서 회동시키기 때문에 제1 틀체, 제2 틀체 및 제3 틀체를 회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높이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설치장소의 높이를 억제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천정이 낮은 실내에 설치할 수 있다.
제3 구동부가 제3 틀체를 제2 회동위치로부터 불출완료위치에 회동시켰을 때 제3 틀체는 제1 당접부에 당접하여 충격력을 받는다. 제3 틀체는 버킷을 지탱하고 있고, 제3 틀체에 작용한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버킷에 작용시킬 수 있다. 버킷에 충격력이 작용함으로써 버킷의 내면에 부착되어 있는 식자재를 내면으로부터 박리시킬 수 있다. 불출완료위치에서는 버킷의 개구가 하방을 향한 상태에서 충격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버킷에 수용된 식자재를 불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불출장치는 제2 구동부가 제2 틀체를 제1 회동위치로부터 제2 회동위치에 회동시켰을 때 제2 틀체가 당접하여 지지되는 제2 당접부를 더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제2 틀체를 제1 회동위치로부터 제2 회동위치에 회동시켰을 때 제2 틀체는 제2 당접부에 당접하여 충격력을 받는다. 제2 틀체에 작용한 충격력이 버킷에 작용함으로써 버킷에 부착되어 있는 식자재를 효과적으로 내면으로부터 박리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불출장치는 제1 구동부가 제1 틀체를 불출개시위치로부터 제1 회동위치에 회동시켰을 때 제1 틀체가 당접하여 지지되는 제3 당접부를 더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제1 틀체를 불출개시위치로부터 제1 회동위치에 회동시켰을 때 제1 틀체는 제3 당접부에 당접하여 충격력을 받는다. 제1 틀체에 작용한 충격력이 버킷에 작용함으로써 버킷에 부착되어 있는 식자재를 더 효과적으로 내면으로부터 박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색 및 이점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더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제1 틀체(3)가 불출개시위치에 있는 불출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제1 구동부가 제1 틀체를 제1 회동위치에 회동시킨 상태의 불출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제2 구동부가 제2 틀체를 제2 회동위치에 회동시킨 상태의 불출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제3 구동부가 제3 틀체를 불출완료위치에 회동시킨 상태의 불출장치의 측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제1 틀체(3)가 불출개시위치에 있는 불출장치(1)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린더(2)가 제1 틀체(3)를 제1 회동위치에 회동시킨 상태의 불출장치(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제2 실린더(4)가 제2 틀체(5)를 제2 회동위치에 회동시킨 상태의 불출장치(1)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제3 실린더(7)가 제3 틀체(8)를 불출완료위치에 회동시킨 상태의 불출장치(1)의 측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불출장치(1)는 식자재가 수용된 버킷(11)을 반전하여 버킷(11)내의 식자재를 불출하는 불출장치(1)이다. 불출장치(1)는 기대(12)와, 기대(12)에 수평한 제1 축선(13)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 틀체(3)와, 제1 틀체(3)에 제1 축선(13)에 평행한 제2 축선(14)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2 틀체(5)와, 제2 틀체(5)에 제1 축선(13)에 평행한 제3 축선(17)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버킷(11)을 지탱하는 제3 틀체(8)를 구비한다.
불출장치(1)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버킷(11)의 개구(18)가 상방을 향하도록 해당 버킷(11)을 지지하는 불출개시위치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버킷(11)의 개구(18)가 횡방향을 향하도록 해당 버킷(11)을 회동시킨 상태에서 지지하는 제1 회동위치에 걸쳐 제1 틀체(3)를 제1 축선(13) 둘레에 회동시키는 제1 실린더(2)를 더 구비한다.
불출장치(1)는 제1 회동위치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버킷(11)의 개구(18)가 비스듬하게 하방을 향하도록 회동한 제2 회동위치에 걸쳐 제2 틀체(5)를 제2 축선(14) 둘레에 회동시키는 제2 실린더(4)를 더 구비한다. 불출장치(1)는 제2 회동위치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버킷(11)의 개구(18)가 제2 회동위치보다 더 하방에 회동한 불출완료위치에 걸쳐 제3 틀체(8)를 제3 축선(17) 둘레에 회동시키는 제3 실린더(7)를 더 구비한다.
불출장치(1)는 제3 실린더(7)가 제3 틀체(8)를 제2 회동위치로부터 불출완료위치에 회동시켰을 때 제3 틀체(8)가 당접하여 지지되는 제1 당접부(20)를 더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틀체(3), 제2 틀체(5) 및 제3 틀체(8)를 수평한 제1 축선(13), 제1 축선(13)에 평행한 제2 축선(14) 및 제1 축선(13)에 평행한 제3 축선(17) 둘레에 낮은 위치에서 회동시키기 때문에 제1 틀체(3), 제2 틀체(5) 및 제3 틀체(8)를 회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높이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설치장소의 높이를 억제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천정이 낮은 실내에 설치할 수 있다.
제3 실린더(7)가 제3 틀체(8)를 제2 회동위치로부터 불출완료위치에 회동시켰을 때 제3 틀체(8)는 제1 당접부(20)에 당접하여 충격력을 받는다. 제3 틀체(8)는 버킷(11)을 지탱하고 있고, 제3 틀체(8)에 작용한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버킷(11)에 전할 수 있다. 버킷(11)에 충격력이 작용함으로써 버킷(11)의 내면(22)에 부착되어 있는 식자재를 해당 내면(22)으로부터 박리시킬 수 있다. 불출완료위치에서는 버킷(11)의 개구(18)는 하방을 향한 상태에서 충격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버킷(11)에 수용된 식자재를 불출할 수 있다.
불출장치(1)는 제2 실린더(4)가 제2 틀체(5)를 제1 회동위치로부터 제2 회동위치에 회동시켰을 때 제2 틀체(5)가 당접하여 지지되는 제2 당접부(24)를 더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제2 틀체(5)를 제1 회동위치로부터 제2 회동위치에 회동시켰을 때 제2 틀체(5)는 제2 당접부(24)에 당접하여 충격력을 받는다. 제2 틀체(5)에 작용한 충격력이 버킷(11)에 작용함으로써 버킷(11)의 내면(22)에 부착되어 있는 식자재를 효과적으로 해당 내면(22)으로부터 박리시킬 수 있다.
불출장치(1)는 제1 실린더(2)가 제1 틀체(3)를 불출개시위치로부터 제1 회동위치에 회동시켰을 때 제1 틀체(3)가 당접하여 지지되는 제3 당접부(27)를 더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제1 틀체(3)를 불출개시위치로부터 제1 회동위치에 회동시켰을 때 제1 틀체(3)는 제3 당접부(27)에 당접하여 충격력을 받는다. 제1 틀체(3)에 작용한 충격력이 버킷(11)에 작용함으로써 버킷(11)의 내면(22)에 부착되어 있는 식자재를 더 효과적으로 해당 내면(22)으로부터 박리시킬 수 있다.
제1 당접부(20), 제2 당접부(24), 제3 당접부(27)는 예를 들어 연직방향으로 길이가 긴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기대(12)에 장착되어 있고, 제1 틀체(3), 제2 틀체(5), 제3 틀체(8)는 볼트의 머리부에 당접한다. 제2 당접부(24)의 장착장소는 기대(12)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제1 틀체(3)에 장착되어도 된다. 제3 당접부(27)의 장착장소는 기대(12)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제1 틀체(3) 또는 제2 틀체(5)에 장착되어도 된다. 볼트의 머리부의 위치는 너트에 나사결합되는 볼트의 길이를 조정하여 변경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제1 회동위치, 제2 회동위치, 회동완료위치의 미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당접부(20) 내지 제3 당접부(27)는 볼트를 너트로 장착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원기둥형상의 강재를 이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대(12)에는 수평한 고정축(31)이 배설되어 있고, 제1 축선(13) 및 제2 축선(14)은 모두 고정축(31)의 축심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제1 틀체(3)가 불출개시위치와 제1 회동위치에 걸쳐 제1 축선(13) 둘레에 회동한 후, 제2 틀체(5)가 제1 회동위치와 제2 회동위치에 걸쳐 제1 축선(13)과 동일위치에 있는 제2 축선(14) 둘레에 회동하는데, 물론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제1 축선(13)과 제2 축선(14)을 상이한 위치로 할 수 있다.
제1 구동부로서 제1 실린더(2)가 사용되고, 제2 구동부로서 제2 실린더(4)가 사용되고, 제3 구동부로서 제3 실린더(7)가 사용된다. 제1 실린더(2)는 실린더튜브(41)의 단부가 제1 축선(13)으로부터 멀어진 기대(12)의 단부(95)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피스톤로드(42)가 제1 축선(13)이 위치하는 제1 틀체(3)의 일방측에 대하여 제1 틀체(3)의 타방측에 배설되어 있다. 피스톤로드(42)는 제1 축선(13)으로부터 멀어진 위치에서 제1 틀체(3)를 구동하기 때문에 제1 실린더(2)로서 구성이 간단한 공기압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다. 제2 실린더(4)는 실린더튜브(51)의 단부가 제1 틀체(3)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실린더로드(52)가 제2 틀체(5)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3 실린더(7)는 실린더튜브(61)의 단부가 제2 틀체(5)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실린더로드(62)가 제3 틀체(8)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불출장치(1)의 버킷(11)에 수용된 식자재를 불출하는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작업자는 우선 식자재가 수용된 바닥이 있는 통형상의 버킷(11)을 개구(18)가 상방을 향한 상태에서 불출장치(1)에 지탱한다. 버킷(11)은 개구(18)의 주위에 턱부(71)가 설치되어 있고, 제2 틀체(5)의 수평한 1쌍의 도시하지 않은 암부에 턱부(71)의 하면이 지지된 상태로 지탱된다. 버킷(11)의 저벽에는 캐스터(81)가 배설되어 있어 작업자는 개구(18)가 상방을 향한 상태에서 버킷(11)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버킷(11)이 제2 틀체(5)의 암부와 제3 틀체(8)의 사이에 지탱된 상태에서 제1 실린더(2)가 기대(12)가 갖는 수평한 제1 축선(13)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지탱된 제1 틀체(3)를 버킷(11)의 개구(18)가 상방을 향하도록 해당 버킷(11)을 지지하는 불출개시위치로부터 버킷(11)의 개구(18)가 횡방향을 향하도록 해당 버킷(11)을 경사지게 한 상태에서 지지하는 제1 회동위치까지 제2 틀체(5) 및 제3 틀체(8)와 함께 제1 축선(13) 둘레에 회동시킨다.
다음에 제2 실린더(4)가 제1 틀체(3)가 갖는 제1 축선(13)에 평행한 제2 축선(14)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지탱된 제2 틀체(5)를 제1 회동위치로부터 버킷(11)의 개구(18)가 비스듬하게 하방을 향하도록 회동한 제2 회동위치까지 제3 틀체(8)와 함께 제2 축선(14) 둘레에 회동시킨다.
다음에 제3 실린더(7)가 제1 틀체(3)가 갖는 제1 축선(13)에 평행한 제3 축선(17)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지탱된 제3 틀체(8)를 제2 회동위치로부터 버킷(11)의 개구(18)가 횡방향을 향하는 제2 회동위치보다 더 하방으로 경사진 불출완료위치까지 제3 축선(17) 둘레에 회동시킨다. 이에 의해 버킷(11)에 수용된 식자재는 예를 들어 불출장치(1)에 인접하여 배치된 식자재를 반송하는 컨베이어장치(91)에 불출된다.
식자재가 컨베이어장치(91)에 불출된 후, 제3 실린더(7)가 제3 축선(17)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지탱된 제3 틀체(8)를 불출완료위치로부터 제2 회동위치까지 제3 축선(17) 둘레에 회동시킨다.
다음에 제2 실린더(4)가 제1 틀체(3)가 갖는 제1 축선(13)에 평행한 제2 축선(14)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지탱된 제2 틀체(5)를 버킷(11)의 개구(18)가 비스듬하게 하방을 향하는 제2 회동위치로부터 버킷(11)의 개구(18)가 횡방향을 향하는 제1 회동위치까지 제3 틀체(8)와 함께 제2 축선(14) 둘레에 회동시킨다.
또한 제1 실린더(2)가 수평한 제1 축선(13)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지탱된 제1 틀체(3)를 제1 회동위치로부터 불출개시위치까지 제2 틀체 및 제3 틀체와 함께 제1 축선(13) 둘레에 회동시킨다. 그 후 작업자는 턱부(71)가 제2 틀체(5)의 수평한 1쌍의 암부에 지지된 버킷(11)을 불출장치(1)로부터 분해한다.
불출장치(1)는 제1 틀체(3)가 제2 틀체(5) 및 제3 틀체(8)와 함께 제1 축선(13) 둘레에 회동하고, 제2 틀체(5)가 제3 틀체(8)와 함께 제2 축선(14) 둘레에 회동하고, 제3 틀체(8)가 제3 축선(17) 둘레에 회동한다. 불출장치(1)는 제1 틀체(3), 제2 틀체(5), 제3 틀체(8)가 각각의 회동축선 둘레에 회동하고 있고, 제1 틀체(3), 제2 틀체(5), 제3 틀체(8)의 축선(13, 14, 17)을 적당한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불출장치(1)의 버킷(11)이 이동하는 이동경로를 원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불출장치(1)가 설치되는 설치장소의 천정이 낮은 경우여도 버킷(11)의 이동경로를 설치장소의 천정의 높이에 맞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불출장치(1)에 인접하여 불출한 식자재를 반송하는 컨베이어장치(91)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제1 틀체(3), 제2 틀체(5), 제3 틀체(8)의 축선(13, 14, 17)을 적당한 위치로 함으로써 식자재를 컨베이어장치(91)의 원하는 위치에 불출할 수 있다.
제1 실린더(2)가 수평한 제1 축선(13)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지탱된 제1 틀체(3)를 버킷(11)의 개구(18)가 상방을 향하도록 해당 버킷(11)을 지지하는 불출개시위치로부터 버킷(11)의 개구(18)가 횡방향을 향하도록 해당 버킷(11)을 경사지게 한 상태에서 지지하는 제1 회동위치까지 제2 틀체(5) 및 제3 틀체(8)와 함께 제1 축선(13) 둘레에 회동시키는 동작과, 제2 실린더(4)가 수평한 제2 축선(14)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지탱된 제2 틀체(5)를 제1 회동위치로부터 제2 회동위치까지 제3 틀체와 함께 제2 축선(14) 둘레에 회동시키는 동작과, 제3 실린더(7)가 제3 축선(17)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지탱된 제3 틀체(8)를 제2 회동위치로부터 버킷(11)의 개구가 횡방향을 향하는 제2 회동위치보다 더 하방으로 경사진 불출완료위치까지 제3 틀체(17) 둘레에 회동시키는 동작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이라면 단시간내에 제3 틀체(8)를 제1 당접부(20)에 당접시키고, 제2 틀체(5)를 제2 당접부(24)에 당접시키고, 제1 틀체(3)를 제3 당접부(27)에 당접시켜 버킷(11)의 내면에 부착되어 있는 식자재를 더 효과적으로 박리시킬 수 있다.
또한 식자재를 반송하는 컨베이어장치(91)에 불출된 후, 제3 실린더(7)가 제3 축선(17)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지탱된 제3 틀체(8)를 불출완료위치로부터 제2 회동위치까지 제3 축선(17) 둘레에 회동시키는 동작과, 제2 실린더(4)가 제2 축선(14)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지탱된 제2 틀체(5)를 버킷(11)의 개구(18)가 비스듬하게 하방을 향하는 제2 회동위치로부터 제1 회동위치까지 제3 틀체와 함께 제2 축선(14) 둘레에 회동시키는 동작과, 제1 실린더(2)가 수평한 제1 축선(13)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지탱된 제1 틀체(3)를 제1 회동위치로부터 불출개시위치까지 제2 틀체(5) 및 제3 틀체(8)와 함께 제1 축선(13) 둘레에 회동시키는 동작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내는 것으로서 명세서 본문에는 전혀 구속되지 않는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내의 것이다.
1 불출장치
2 제1 실린더
3 제1 틀체
4 제2 실린더
5 제2 틀체
7 제3 실린더
8 제3 틀체
11 버킷
12 기대
13 제1 축선
14 제2 축선
17 제3 축선
18 개구
20 제1 당접부
22 내면
24 제2 당접부
27 제3 당접부
31 고정축
41 실린더튜브
42 피스톤로드

Claims (3)

  1. 식자재가 수용된 버킷을 반전하여 상기 버킷 내의 식자재를 불출하는 불출장치로서,
    기대와,
    상기 기대에 수평한 제1 축선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 틀체와,
    상기 제1 틀체에 상기 제1 축선에 평행한 제2 축선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2 틀체와,
    상기 제2 틀체에 상기 제1 축선에 평행한 제3 축선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버킷을 지탱하는 제3 틀체와,
    상기 버킷의 개구가 상방을 향하도록 해당 버킷을 지지하는 불출개시위치와 상기 버킷의 개구가 횡방향을 향하도록 해당 버킷을 회동시킨 상태에서 지지하는 제1 회동위치에 걸쳐 상기 제1 틀체를 상기 제1 축선 둘레에 회동시키는 제1 구동부와,
    상기 제1 회동위치와 상기 버킷의 개구가 비스듬하게 하방을 향하도록 회동한 제2 회동위치에 걸쳐 상기 제2 틀체를 상기 제2 축선 둘레에 회동시키는 제2 구동부와,
    상기 제2 회동위치와 상기 버킷의 개구가 상기 제2 회동위치보다 더 하방으로 회동한 불출완료위치에 걸쳐 상기 제3 틀체를 상기 제3 축선 둘레에 회동시키는 제3 구동부와,
    상기 제3 구동부가 상기 제3 틀체를 상기 제2 회동위치로부터 상기 불출완료위치에 회동시켰을 때 상기 제3 틀체가 당접하여 지지되는 제1 당접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부가 상기 제2 틀체를 상기 제1 회동위치로부터 상기 제2 회동위치에 회동시켰을 때 상기 제2 틀체가 당접하여 지지되는 제2 당접부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출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가 상기 제1 틀체를 상기 불출개시위치로부터 상기 제1 회동위치에 회동시켰을 때 상기 제1 틀체가 당접하여 지지되는 제3 당접부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출장치.
KR1020200002596A 2019-08-23 2020-01-08 불출장치 KR1022554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53281 2019-08-23
JPJP-P-2019-153281 2019-08-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651A true KR20210023651A (ko) 2021-03-04
KR102255419B1 KR102255419B1 (ko) 2021-05-24

Family

ID=74716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2596A KR102255419B1 (ko) 2019-08-23 2020-01-08 불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899604B2 (ko)
KR (1) KR102255419B1 (ko)
CN (1) CN112407984B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1886A (ja) * 1996-12-20 1998-07-07 Shinko Techno Kk 混練製品製造設備におけるバケットコンベヤ
JP3118677U (ja) * 2005-11-17 2006-02-02 平和技研株式会社 籠の傾転装置
JP2019017294A (ja) * 2017-07-14 2019-02-07 細田工業株式会社 搬送装置、食材処理装置および食材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8677B2 (ja) 1992-11-30 2000-12-18 昭和アルミニウム株式会社 オイルクーラ
JP2002220120A (ja) * 2001-01-25 2002-08-06 Nippon Kayaku Co Ltd ドラム缶転倒機
CN201932725U (zh) * 2011-01-13 2011-08-17 刘振实 一种胶塞或铝塑盖加料装置
CN202030333U (zh) * 2011-04-13 2011-11-09 上海东风汽车专用件有限公司 自动上料机构
CN105502012B (zh) * 2016-01-05 2017-11-17 上海交通大学 一种金属热熔渣处理的自动化转运翻转倾倒装置
US10457535B2 (en) * 2016-11-15 2019-10-29 Roura Material Handling, Inc. Rotary dumps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1886A (ja) * 1996-12-20 1998-07-07 Shinko Techno Kk 混練製品製造設備におけるバケットコンベヤ
JP3118677U (ja) * 2005-11-17 2006-02-02 平和技研株式会社 籠の傾転装置
JP2019017294A (ja) * 2017-07-14 2019-02-07 細田工業株式会社 搬送装置、食材処理装置および食材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5419B1 (ko) 2021-05-24
CN112407984A (zh) 2021-02-26
JP6899604B2 (ja) 2021-07-07
JP2021035885A (ja) 2021-03-04
CN112407984B (zh) 202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7890B2 (en) Modular bag filling apparatus
RU2020117751A (ru) Узел грохочения и передвижная машин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материала
KR101538536B1 (ko) 드럼 세정장치
KR102255419B1 (ko) 불출장치
JP4008958B2 (ja) 粉状体を搬送しかつ混合するための装置
JP2020153845A (ja) 容器検査装置
US4718537A (en) Feeder head assembly
WO2017059663A1 (zh) 一种建筑工程用斗式提升机
KR101914155B1 (ko) 유리포장블록 반전장치
US20180229280A1 (en) Bin cleaning systems and methods of use
JP2015231334A (ja) 脱水処理装置
JP2009214211A (ja) 産業用ロボット及び産業用ロボットを用いた搬送装置
KR200334208Y1 (ko) 주조품의 불용물 제거장치
KR101954039B1 (ko) 프레임 제조용 작업대
EP0197961A1 (de) Vorrichtung zum reinigen von behältern, insbesondere flaschen
JPH06269717A (ja) 浸漬塗装方法および装置
NL1016712C2 (nl) Wasinrichting voor kisten en kratten en werkwijze voor het wassen van kisten en kratten.
US6848878B2 (en) Two stage dumper apparatus and method
US2159050A (en) Tall can aligning device
KR102138101B1 (ko) 바스켓 리프트장치
JPH0822690B2 (ja) 処理物の搬送方法
ES2148060A1 (es) Maquina para la recoleccion de fruta.
JP2583083Y2 (ja) 竪型揺動スクリュウコンベヤのブレード装置
JPH10328549A (ja) 粉体、液体等混合容器の自動処理方法および自動処理装置
JP2600772Y2 (ja) 堆積物の再流動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