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3309A - 증강현실기반 주차 안내시스템 - Google Patents

증강현실기반 주차 안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3309A
KR20210023309A KR1020190103349A KR20190103349A KR20210023309A KR 20210023309 A KR20210023309 A KR 20210023309A KR 1020190103349 A KR1020190103349 A KR 1020190103349A KR 20190103349 A KR20190103349 A KR 20190103349A KR 20210023309 A KR20210023309 A KR 20210023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information
vehicle
vehicle number
ro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3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7138B1 (ko
Inventor
이준서
Original Assignee
이준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서 filed Critical 이준서
Priority to KR1020190103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7138B1/ko
Publication of KR20210023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3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7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7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rchitectur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카메라를 이용하지 않으면서도 주차 면의 주차 유무와 차량 번호를 인식하고, 주차장에 설치된 전광판을 이용하여 주차 정보를 제공해주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주차할 수 있도록 하며,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을 통해 내차 위치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해주어, 사용자가 주차장 입구에서 주차장의 주차 현황을 일목요연하게 인식하여 선호하는 주차 면에 주차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해주고, 내차 찾기 기능 시 증강현실을 통해 경로 안내 정보를 제공해주어,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면서도 정확하게 그리고 쉽게 주차 차량을 찾을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증강현실기반 주차 안내시스템{Augmented Reality Based Parking Guidance System}
본 발명은 증강현실기반 주차 안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메라를 이용하지 않으면서도 주차 면의 주차 유무와 차량 번호를 인식하고, 주차장에 설치된 전광판을 이용하여 주차 정보를 제공해주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주차할 수 있도록 하며,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을 통해 내차 위치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해줄 수 있도록 한 증강현실기반 주차 안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차장의 주차 관제는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예컨대, 주차 면마다 상단에 CCTV 카메라(closed circuit television camera)를 설치하여 각 주차 면의 주차 차량을 감지하고 해당 차량 번호판의 차량 번호를 인식하여 주차 가능 여부나 주차 위치 확인, 주차료 산정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CCTV 카메라를 주차 면마다 설치하는 경우, 상당한 설치 및 관리 비용의 부담이 생기며, 지속적인 관리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른 주차 관제 방법으로서, 주차 면마다 차량 주차 유무를 감지할 수 있는 차량 감지 센서(예를 들어, 초음파 센서)를 설치하고, 이를 통해 해당 주차 면의 차량 주차 유무를 감지한다. 이어, 주차 관제 서버에서 분석하여 해당 주차 면의 주차 유무 표시장치나 전광판을 통해 주차 현황 정보를 제공해주는 방식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주차 정보를 제공해주는 것은 가능하나, 차량 번호 인식이 불가능하여 내차 찾기 등과 같은 서비스는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또한, 주차 관제의 다른 방법으로서, 주차 면 이동 통로에는 해당 이동 통로의 주차 면 주차 대수를 표시해주고, 각각의 주차 면마다 램프 등을 이용하여 주차 가능 또는 불가능 상태를 램프(예를 들어, 녹색램프, 적색램프)를 통해 알려주는 방식도 있다. 이 경우에도 차량 번호 인식이 불가능하여 내차 찾기 등과 같은 서비스는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한편, 주차장의 주차 관제를 위한 또 다른 종래기술들이 하기와 같이 제안되었다.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사용자 단말에 부착되어 있는 카메라 등의 영상 획득 수단을 이용하여 실내에 부착되어 있는 마커를 인식함으로써 획득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실내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특허문헌 2>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사용자가 위치한 건물 내부에서 수집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wireless access point)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고, 건물 내부를 이동하는 사용자의 이동 거리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보정하는 과정을 통해, 사용자가 위치한 건물 내부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이동 경로를 안내한다.
또한, <특허문헌 3>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목적지 건물까지의 외부경로를 안내하는 것과 동시에 목적지 건물 내 사용자가 실제 방문하려는 특정위치를 기반으로 최적의 주차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내부 경로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주차로 인해 발생되는 시간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목적지 건물 내 실제 방문하려는 특정위치로의 접근성 향상을 통해 내비게이션 서비스의 활용도를 다양화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한다.
또한, <특허문헌 4>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근거리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거리 측정의 오차를 최소화하고 사용자의 이동 정보 및 실내의 맵 데이터(map data)에 따라 다른 내비게이션 맵을 생성하여 제공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091908(2013.08.20. 공개)(실내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장치 및 그 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004779(2016.01.13. 공개)(실내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7-0048833(2017.05.10. 공개)(내비게이션 서비스 장치 및 그 동작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7-0130234(2017.11.28. 공개)(실내 내비게이션을 제공하는 전자장치 및 이의 방법)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주차장 외부에서 주차장 내의 주차장 현황을 일목요연하게 제공해주는 것은 불가능하고, 주차 면마다 카메라와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차량 번호를 인식하지 않는 한 주차 면의 차량 정보(예를 들어, 차량 번호)를 인식하는 것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들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AR 기반으로 본인의 차량 위치 정보를 제공해주는 것도 불가능한 단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카메라를 이용하지 않으면서도 주차 면의 주차 유무와 차량 번호를 인식하고, 주차장에 설치된 전광판을 이용하여 주차 정보를 제공해주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주차할 수 있도록 하며,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을 통해 내차 위치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해줄 수 있도록 한 증강현실기반 주차 안내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기반 주차 안내시스템은, 주차 면의 차량 주차 유무와 차량 번호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한 차량 주차 유무 정보를 기초로 전광판 주차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며, 내차 찾기 요청시 차량 위치 정보와 경로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주차장 시스템; 상기 주차장 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되는 전광판 주차 정보를 화면에 표시해주는 전광판; 경로 안내 앱을 설치하고, 설치한 경로 안내 앱을 통해 상기 주차장 시스템에 내차 찾기를 요청하며, 상기 주차장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경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해주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주차장 시스템은 생성한 경로 정보를 주차장의 2D 모델링 정보를 이용하여 증강현실(AR)로 구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주차장 시스템은 주차 면의 차량 주차 유무 정보와 차량 번호 이미지를 획득하는 스마트 스토퍼; 상기 스마트 스토퍼에서 획득한 차량 주차 유무 정보와 차량 번호 이미지를 수집하여 전송하는 중계장치; 상기 중계장치에서 전송된 차량 주차 유무 정보로 전광판 주차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며, 차량 번호 이미지를 기초로 차량번호를 인식하고 인식한 차량 번호와 위치 정보와 매핑하여 저장하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내차 찾기 요청시 저장한 차량 번호 및 위치 정보를 기초로 경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주차장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를 이용하지 않으면서도 주차 면의 주차 유무와 차량 번호를 인식하고, 주차장에 설치된 전광판을 이용하여 주차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주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을 통해 내차 위치 정보를 구현해주어, 사용자가 더욱 쉽게 차량 위치를 인지하며, 주차된 차량 위치까지 쉽고 정확하게 갈 수 있도록 도모해주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기반 주차 안내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기반 주차 안내시스템의 실시 예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전광판을 통해 안내되는 주차 정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서비스되는 증강현실기반 경로 안내 정보의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기반 주차 안내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기반 주차 안내시스템의 개략 구성도로서, 주차 면의 차량 주차 유무와 차량 번호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한 차량 주차 유무 정보를 기초로 전광판 주차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며, 내차 찾기 요청시 차량 위치 정보와 경로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주차장 시스템(100), 상기 주차장 시스템(100)으로부터 출력되는 전광판 주차 정보를 화면에 표시해주는 전광판(300), 경로 안내 앱(App)을 설치하고, 설치한 경로 안내 앱을 통해 상기 주차장 시스템(100)에 내차 찾기를 요청하며, 상기 주차장 시스템(100)으로부터 제공되는 경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해주는 사용자 단말기(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주차장 시스템(100)은 생성한 경로 정보를 주차장의 3D 모델링 정보를 이용하여 증강현실(AR)로 구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해준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용자가 휴대하며 주차장의 경로를 서비스받거나 내차 위치를 확인하는 용도로 활용되며,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기기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전광판(300)은 주차장 입구에 설치되어 주차 현황 등의 주차장 정보를 안내해주고, 주차장의 주차 정보를 제공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주차장 시스템(100)은 출입 차량을 촬영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차량번호 인식장치(101), 주차 면의 차량 주차 유무 정보와 차량 번호 이미지를 획득하는 스마트 스토퍼(1030, 상기 스마트 스토퍼(103)에서 획득한 차량 주차 유무 정보와 차량 번호 이미지를 수집하여 전송하는 중계장치(104), 상기 중계장치(104)에서 전송된 차량 주차 유무 정보로 전광판 주차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며, 차량 번호 이미지를 기초로 차량번호를 인식하고 인식한 차량 번호와 위치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며,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내차 찾기 요청시 저장한 차량 번호 및 위치 정보를 기초로 경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에 전송하는 주차장 서버(105)를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 스토퍼(103)는 몸체(103d),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원부(103a), 상기 전원부(103a)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 구동하여 레이저 빔을 발사하고, 물체로부터 반사되는 레이저 빛을 다중 배열 수신소자를 통하여 수집하여 차량번호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한 차량번호 이미지와 미리 등록된 위치 정보를 주차면 정보로 출력하는 사물인터넷(IoT) 센서(103b), 상기 사물인터넷 센서(103b)에서 출력되는 주차면 정보를 중계장치(104)로 출력하는 통신 모듈(103c)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부(103a)와 사물인터넷 센서(103b) 및 통신 모듈(103c)은 상기 몸체(103d)에 내장된다.
상기 주차장 서버(105)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계장치(104)를 통해 스마트 스토퍼(103)에서 출력되는 주차면 정보를 수집하는 주차면 정보 수집부(105a), 상기 주차면 정보 수집부(105a)에서 수집한 주차면 정보를 주차 위치 정보와 차량번호 이미지로 분류하는 주차면 정보 분류부(105b), 상기 주차면 정보 분류부(105b)에서 분류한 주차 위치 정보로 주차 면을 인식하고, 주차면 인식 정보를 주차 정보로 출력하는 주차면 인식부(105c), 상기 주차면 정보 분류부(105b)에서 분류한 차량번호 이미지의 윤곽선을 추출하고, 추출한 윤곽선으로부터 특징을 추출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차량번호 인식부(105d), 상기 주차면 인식부(105c)에서 인식한 위치 정보 및 주차 면 정보를 기초로 전광판 주차 정보를 생성하여 주차 정보 데이터베이스(105i)에 저장하고, 상기 인식한 주차 정보 및 주차면 정보와 상기 차량번호 인식부(105d)에서 인식한 차량 번호를 매핑하여 주차 정보를 생성하여 주차 정보 데이터베이스(105i)에 등록하는 주차 정보 생성부(105e),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전송된 내차 찾기 요청 정보를 사용자 요청정보로 수신하는 사용자 요청정보 수신부(105g), 상기 사용자 요청정보 수신부(105g)에 의해 내차 찾기 요청시 상기 주차 정보 데이터베이스(105i)에 등록된 차량 번호를 기초로 주차 정보를 추출하여 경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경로 정보를 주차장의 2D 모델링 정보와 매칭시켜 증강현실(AR)로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경로정보 생성부(105h), 상기 전광판 주차 정보를 전광판(300)으로 전송하며, 상기 증강현실 경로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에 전송하는 주차정보 전송부(105f)를 포함한다.
여기서 주차정보 전송부(105f)는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전광판(300)과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전광판 주차 정보를 송수신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기반 주차 안내시스템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주차장에서 내차 찾기나 내차 확인 등의 서비스를 받기 위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주차장 시스템(100)에 접속하고, 주차장 시스템(100)에서 제공하는 경로 안내 애플리케이션(App)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한다. 이때,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등록할 차량 번호와 연락처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주차장 시스템(100)의 주차장 서버(105)는 경로 안내 및 주차 관제를 시작하기 이전에 주차장의 설계 정보를 기초로 2D 모델링을 수행하여 주차장 2D 모델링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주차 정보 데이터베이스(105i)에 저장한다. 여기서 생성되는 2D 모델링 정보는 실제 주차장을 육안으로 보는 것과 같은 2D 영상 데이터를 의미한다.
차량 정보를 등록한 사용자는 자신의 차량의 주차를 위해 주차장 입구에 도착하면, 주차장의 입구에 설치된 전광판(300)을 통해 해당 주차장의 주차 현황을 확인한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주차장에 입구에 설치된 전광판은 주차장이 여러 층으로 구획된 경우, 층마다 주차 가능한 대수를 숫자로만 표시해주는 방식이다. 이렇게 숫자로 주차 정보를 표시해주는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위치를 찾는 것이 어려웁고, 일단 주차장 내에 들어가서 주차 면을 찾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광판(300)에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층별 주차장 주차 가능 대수를 숫자로 표시해줌과 동시에 층별 2D 모델링된 주차장의 모습과 실제 주차된 차량 상태, 그리고 빈 주차면 상태를 현재 주차장을 육안으로 보는 것과 동일한 2D 모델링 이미지로 디스플레이해준다. 이는 주차정보 생성부(105e)에서 각각의 주차 면마다 설치된 스마트 스토퍼와 연동하여 해당 주차 면의 차량 주차 유무 정보를 기초로 주차장의 2D 모델링 이미지를 주차 정보로 생성함으로써,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주차장 입구에서 자신이 선호하는 주차 층이나 주차 면의 차량 주차 유무를 일목요연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자신이 선호하는 주차 위치를 선택하여 자신의 차량을 주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대형 건물에는 주차 위치별로 특정 몰이나 위치를 쉽게 찾아갈 수 있도록 구분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럴 경우, 주차장 입구에서 찾아가고자 하는 위치에 가장 근접한 주차 면의 주차 유무를 미리 확인하고, 주차할 주차 면을 사전에 선택함으로써, 사용자의 전체 이동 거리를 단축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한다.
주차할 위치의 주차 면을 육안으로 확인한 사용자가 주차장 입구로 차량을 진입시키면, 차량번호 인식기(101)에서 차량 번호판 촬영을 통해 차량 번호를 인식하고, 이후 차단기를 열어 차량이 주차장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차단기가 열리면, 사용자는 차량을 운전하여 사전에 미리 선택해 놓은 주차 면 위치로 차량을 이동시키고, 해당 주차 면에 차량을 주차한다.
차량이 주차 면에 주차를 할 때 스마트 스토퍼(103)에 내장된 사물인터넷 센서(105b)에서 차량의 번호판을 향해 레이저 빔을 발사하고, 차량으로부터 반사되는 레이저 빔을 수신하여 신호 처리를 한다. 여기서 사물인터넷 센서(105b)는 차량 감지 및 차량번호 인식을 위한 다양한 센서를 이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실시 예로 라이다(LiDAR) 센서를 이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라이다 센서의 레이저 빔 투사 영역 및 반사 영역은 사전에 다양한 차량의 실험을 통해 해당 차량의 번호판 위치를 캡처할 수 있는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라이다 센서의 레이저 빔 발사 각도를 적절하게 미리 설정하여, 높이가 낮은 차량이나 높은 차량 모두가 차량 번호판이 유효 범위에 들어가도록 한다. 대형 차량일 경우, 대형 차량 주차 면이 별도로 있으므로, 이 경우에도 대형 차량의 종류에 따라 차량 번호판 영역이 모두 유효 범위(라이다 센서의 레이저 빔이 차량 번호판 위치에 입사될 수 있는 범위)에 포함되도록 라이다 센서의 각도 및 설치 위치 등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이 주차 면에 주차를 시도할 때, 상기 라이다 센서는 레이저 빔을 발사하고, 물체로부터 반사되는 레이저 빛을 다중 배열 수신소자를 통하여 수집하여 차량번호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한 차량번호 이미지와 미리 등록된 위치 정보를 주차면 정보로 출력한다. 이때, 차량 이미지 정보의 생성 시 차량 주차 정보로 함께 생성한다.
여기서 라이다(LiDAR)는 Light Detection And Ranging의 약자이며, 빛으로 탐지하고 거리를 측정한다는 뜻이다. 때로는 LADAR(Laser Detection And Ranging)라는 이름으로 사용되지만, Lidar가 더욱 일반적인 용어이다. 레이저라고 하는 광원을 목표물(예를 들어, 차량)에 비춤으로써 사물까지의 거리, 방향, 속도, 온도, 물질분포 및 농도 특성, 이미지 등을 감지할 수 있는 기술이다. 라이다 센서는 일반적으로 높은 에너지 밀도와 짧은 주기를 가지는 펄스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레이저의 장점을 활용하여 더욱 정밀한 대기 중의 물성 관측 및 거리 측정 등에 활용된다. 최근에는 3D reverse engineering 및 미래 무인자동차를 위한 laser scanner 및 3D 영상 카메라의 핵심 기술로 활용되면서 그 활용성과 중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라이다 기술 중 Imaging lidar의 기능을 이용하여, 차량 번호판의 이미지 정보를 획득한다. 즉, Imaging lidar 기능은 레이저 빔의 진행 방향에 대한 거리 정보를 포함하여 공간에 대한 영상 모델링이 가능한 기술로써, laser range finder 기술을 기반으로 point-scanning을 통하여 point cloud 정보를 수집하거나 광각의 flash-laser에 대하여 반사되는 레이저 빛을 다중 배열 수신소자를 통하여 수집함으로써 3차원 영상 구현이 가능하다.
이러한 Imaging lidar 기능을 통해 차량 번호판 영역으로부터 반사되는 레이저 빔을 신호처리하여, 차량 번호판의 이미지 정보를 획득한다. 이렇게 획득한 차량 번호판의 이미지 정보와 차량 주차 유무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스마트 스토퍼 정보(ID 정보)를 주차면 정보로 통신 모듈(103c)에 전달한다. 통신 모듈(103c)은 미리 정해진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차량 번호판의 이미지 정보, 차량 주차 유무 정보, 스마트 스토퍼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면 정보를 중계장치(104)를 통해 주차장 서버(105)에 전달한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통신프로토콜은 유선 통신 프로토콜 또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다.
주차장 서버(105)의 주차면 정보 수집부(105a)는 상기 중계장치(104)를 통해 스마트 스토퍼(103)로부터 전송된 주차면 정보를 수집하여 주차면 정보 분류부(105b)에 전달한다. 여기서 주차면 정보 수집부(105a)는 주차장에 마련된 모든 스마트 스토퍼로부터 전송된 주차면 정보를 수집하는 역할을 한다. 각각의 스마트 스토퍼는 주차 차량이 감지되는 시점에만 주차면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주차 면에 차량이 주차하여 주차면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한 상태에서, 주차장 서버(105)는 출구 차량번호 인식기와 지속적으로 통신을 하여, 주차 차량의 출차가 이루어지면 주차정보 데이터베이스(105i)에 등록된 주차 차량의 정보를 자동으로 삭제한다. 이로써 주차 면에 설치된 스마트 스토퍼는 주차 차량이 주차 면을 벗어나는 경우를 감지하여 주차장 서버(105)에 전달할 필요가 없게 되는 것이다.
다른 방법으로, 스마트 스토퍼에서 주차 차량의 감지에 따른 주차면 정보를 발생하면, 스마트 스토퍼의 동작을 오프하고, 주차장 서버(105)에서 주차 차량의 출차가 감지되면 해당 차량의 주차 정보를 삭제하고, 동시에 해당 스마트 스토퍼에 인터럽트를 주어 동작을 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주차장 서버(105)에서 주차 면에 설치된 복수의 스마트 스토퍼를 서버-클라이언트 개념으로 통합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서버-클라이언트 제어 개념을 이용하면 불필요한 동작과 데이터 낭비 초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주차장 서버(105)의 주차면 정보 분류부(105b)는 상기 주차면 정보 수집부(105a)에서 수집한 주차면 정보로부터 스마트 스토퍼 정보를 이용하여 주차 위치 정보를 분류하고, 차량번호 이미지 정보를 분류한다.
이어, 주차면 인식부(105c)는 상기 주차면 정보 분류부(105b)에서 분류한 주차 위치 정보로 주차 면을 인식하고, 주차면 인식 정보를 주차 정보로 출력하여 주차정보 데이터베이스(105i) 및 주차정보 생성부(105e)에 전달한다. 즉, 주차면 정보가 전달되면 스마트 스토퍼 정보를 이용하여 주차 차량의 위치 정보를 인식하고, 해당 주차 면에 차량이 주차되었다는 주차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스마트 스토퍼 정보는 주차장에서 해당 스마트 스토퍼가 설치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며, 이러한 위치 정보는 전체 주차장을 2D 모델링한 주차장 모델링 데이터에서 위치를 찾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주차장 모델링 데이터는 모든 주차면 정보를 포함하는 설계 도면을 2D 데이터로 모델링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아울러 차량번호 인식부(105d)는 상기 주차면 정보 분류부(105b)에서 분류한 차량번호 이미지의 윤곽선을 추출하고, 추출한 윤곽선으로부터 특징을 추출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한다. 차량번호 이미지로부터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방식은 영상 처리 방법을 이용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통상의 차량번호 인식 알고리즘을 그대로 채택하여 사용하므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인식된 차량번호는 주차정보 생성부(105e)에 전달되고, 동시에 주차 정보 데이터베이스(105i)에 등록된다.
다음으로, 주차 정보 생성부(105e)는 상기 주차면 인식부(105c)에서 인식한 위치 정보를 기초로 전광판 주차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인식한 주차 정보 및 주차면 정보와 상기 차량번호 인식부(105d)에서 인식한 차량 번호를 매핑하여 경로 안내를 위한 주차 정보를 생성하여 주차 정보 데이터베이스(105i)에 저장한다. 예컨대, 주차 면 정보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기초로 주차 면을 인식하고, 동시에 인식한 주차 면에 차량이 주차되었음을 인식한 후, 주차정보 데이터베이스(105i)에 저장된 주차장 설계 도면을 모델링한 모델링 데이터의 해당 주차 면 위치에 차량이 주차되었다는 정보를 표시하여 전광판 주차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전광판 주차 정보는 주차장이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졌을 경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층별로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생성되는 전광판 주차 정보는 주차정보 전송부(105f)를 통해 전광판(300)으로 전송되어, 주차장 입구에 설치된 대형 전광판에 디스플레이되어, 해당 주차장을 방문한 사용자가 주차장 입구에서 일목요연하게 주차장의 주차 현황 및 자신이 주차하고자 하는 주차 면의 주차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전광판 주차 정보는 층별 또는 층별에서 다시 주차 영역이 구획된 주차 구획 영역별로 설치된 소형 전광판을 통해 디스플레이되어, 주차를 위한 사용자는 층별 또는 해당 층의 구획된 주차 영역별 차량 주차 상태를 일목요연하게 확인할 수 있다.
주차를 마친 사용자는 자신의 업무를 보게 되고, 업무 종료 후 출차를 위해 사용자 단말기(200)에 설치된 경로 안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마련된 기능 중 내차 찾기 기능을 선택한다.
내차 찾기 기능이 선택되면 내차 찾기에 대한 사용자 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게 되고, 이렇게 전송된 사용자 요청정보는 네트워크를 통해 주차장 서버(105)로 전송된다. 여기사 사용자 요청정보에는 현재 위치 정보(GPS 정보)와 차량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주차장 서버(105) 내의 사용자 요청정보 수신부(105g)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전송된 내차 찾기 요청 정보를 사용자 요청정보로 수신하여 경로정보 생성부(105h)에 전달한다.
상기 경로정보 생성부(105h)는 상기 사용자 요청정보 수신부(105g)에 의해 내차 찾기 요청시 사용자 요청정보에 포함된 차량번호를 추출하고, 추출한 차량번호와 상기 주차 정보 데이터베이스(105i)에 등록된 차량 번호를 대조하여 주차 정보를 탐색한다. 이 탐색 결과 추출한 차량번호에 대응하는 주차 정보가 주차 정보 데이터베이스(105i)에 존재하면 주차 정보를 추출한다. 이어 추출한 주차 정보의 주차 위치 정보와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기초로 경로 안내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경로 안내 정보는 최단거리, 편한 길 등과 같이 일반적인 내비게이션에서 경로를 생성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생성한 경로 정보를 주차장의 3D 모델링 정보와 매칭시켜 증강현실(AR)로 경로 정보를 생성한다.
이어, 주차정보 전송부(105f)는 상기 증강현실 경로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에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기(200)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강현실로 경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며, 사용자는 증강현실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경로 안내 정보를 보고 내차 위치를 찾아가면 된다. 여기서 경로 안내시 화살표나 기타 지시자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경로를 안내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카메라와 같은 비전 장치를 이용하지 않으면서도 쉽게 주차 차량 및 주차 차량 번호를 인식하여 주차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주차장 주차 정보 현황을 주차장 입구의 전광판을 통해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면서 자신이 선호하는 위치의 주차 현황을 쉽게 인지하고, 자신이 선호하는 위치의 주차 면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도모해주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내차 찾기 요청시 현재 위치부터 주차 위치 정보까지 경로를 생성하고, 생성한 경로를 증강현실(AR)로 구현해주어, 사용자가 더욱 쉽게 차량 위치를 인지하고, 주차된 차량 위치까지 쉽고 정확하게 갈 수 있도록 도모해주게 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100: 주차장 시스템
102: 차량번호 인식기
103: 스마트 스토퍼
104: 중계장치
105: 주차장 서버
105a: 주차면 정보 수집부
105b: 주차면 정보 분류부
105c: 주차면 인식부
105d: 차량정보 인식부
105e: 주차정보 생성부
105f: 주차정보 전송부
105g: 사용자 요청정보 수신부
105h: 경로정보 생성부
105i: 주차 정보 데이터베이스(DB)
200: 사용자 단말기
300: 전광판

Claims (5)

  1. 주차장에서 주차 정보를 제공해주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주차 면의 차량 주차 유무와 차량 번호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한 차량 주차 유무 정보를 기초로 전광판 주차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며, 내차 찾기 요청시 차량 위치 정보와 경로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주차장 시스템;
    상기 주차장 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되는 전광판 주차 정보를 화면에 표시해주는 전광판;
    경로 안내 앱을 설치하고, 설치한 경로 안내 앱을 통해 상기 주차장 시스템에 내차 찾기를 요청하며, 상기 주차장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경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해주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주차장 시스템은 생성한 경로 정보를 주차장의 3D 모델링 정보를 이용하여 증강현실(AR)로 구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기반 주차 안내시스템.
  2. 청구항 1에서, 상기 주차장 시스템은 주차 면의 차량 주차 유무 정보와 차량 번호 이미지를 획득하는 스마트 스토퍼; 상기 스마트 스토퍼에서 획득한 차량 주차 유무 정보와 차량 번호 이미지를 수집하여 전송하는 중계장치; 상기 중계장치에서 전송된 차량 주차 유무 정보로 전광판 주차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며, 차량 번호 이미지를 기초로 차량번호를 인식하고 인식한 차량 번호와 위치 정보와 매핑하여 저장하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내차 찾기 요청시 저장한 차량 번호 및 위치 정보를 기초로 경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주차장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기반 주차 안내시스템.
  3. 청구항 2에서, 상기 스마트 스토퍼는 몸체;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 구동하고, 차량 감지 신호로 차량번호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한 차량번호 이미지와 미리 등록된 위치 정보를 주차면 정보로 출력하는 사물인터넷 센서; 상기 사물인터넷 센서에서 출력되는 주차면 정보를 중계장치로 출력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와 사물인터넷 센서 및 통신 모듈은 상기 몸체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기반 주차 안내시스템.
  4. 청구항 2에서, 상기 주차장 서버는 수집한 주차면 정보를 주차 위치 정보와 차량번호 이미지로 분류하는 주차면 정보 분류부; 상기 주차면 정보 분류부에서 분류한 주차 위치 정보로 주차 면을 인식하고, 주차면 인식 정보를 주차 정보로 출력하는 주차면 인식부; 상기 주차면 정보 분류부에서 분류한 차량번호 이미지의 윤곽선을 추출하고, 추출한 윤곽선으로부터 특징을 추출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차량번호 인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기반 주차 안내시스템.
  5. 청구항 4에서, 상기 주차장 서버는 상기 주차면 인식부에서 인식한 위치 정보 및 주차 정보를 기초로 전광판 주차 정보를 생성하여 주차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인식한 주차 정보 및 주차면 정보와 상기 차량번호 인식부에서 인식한 차량 번호를 매핑하여 주차 정보를 생성하여 주차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주차 정보 생성부;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내차 찾기 요청시 상기 주차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차량 번호를 기초로 주차 정보를 추출하여 경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경로 정보를 주차장의 모델링 정보와 매칭시켜 증강현실(AR)로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경로정보 생성부; 상기 전광판 주차 정보를 전광판으로 전송하며, 상기 증강현실 경로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주차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기반 주차 안내시스템.



KR1020190103349A 2019-08-22 2019-08-22 증강현실기반 주차 안내시스템 KR102357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349A KR102357138B1 (ko) 2019-08-22 2019-08-22 증강현실기반 주차 안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349A KR102357138B1 (ko) 2019-08-22 2019-08-22 증강현실기반 주차 안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309A true KR20210023309A (ko) 2021-03-04
KR102357138B1 KR102357138B1 (ko) 2022-01-28

Family

ID=75174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3349A KR102357138B1 (ko) 2019-08-22 2019-08-22 증강현실기반 주차 안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71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70428A (zh) * 2021-07-26 2021-10-01 浙江联义智能科技有限公司 车牌识别一体机
US20230236659A1 (en) * 2022-01-25 2023-07-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Delivery Assistance Service Having An Augmented-Reality Digital Companion
KR102611569B1 (ko) * 2022-09-08 2023-12-08 주식회사 글로벌이엔씨 주차예약관제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3999A (ja) * 1996-08-27 1998-03-06 Space Atsupu:Kk 駐車管理方法及び装置
KR20130091908A (ko) 2012-02-09 2013-08-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내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04779A (ko) 2014-07-04 2016-01-13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실내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60150280A (ko) * 2016-11-21 2016-12-29 (주) 하나텍시스템 스마트 카-스토퍼를 이용한 주차정보 처리장치
KR20170048833A (ko) 2015-10-27 2017-05-1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130234A (ko) 2016-05-18 2017-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실내 네비게이션을 제공하는 전자장치 및 이의 방법
KR20190046616A (ko) * 2017-10-25 2019-05-07 주식회사 지엠케이정보통신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KR101957446B1 (ko) * 2017-03-08 2019-06-19 주식회사 아트뷰 증강현실을 이용한 실내 내비게이션 방법 및 장치
KR101976110B1 (ko) * 2018-07-27 2019-08-28 주식회사 에이디테크 스마트시티를 위한 IoT 표준기반 주차 유도 최적화시스템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3999A (ja) * 1996-08-27 1998-03-06 Space Atsupu:Kk 駐車管理方法及び装置
KR20130091908A (ko) 2012-02-09 2013-08-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내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04779A (ko) 2014-07-04 2016-01-13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실내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70048833A (ko) 2015-10-27 2017-05-1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130234A (ko) 2016-05-18 2017-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실내 네비게이션을 제공하는 전자장치 및 이의 방법
KR20160150280A (ko) * 2016-11-21 2016-12-29 (주) 하나텍시스템 스마트 카-스토퍼를 이용한 주차정보 처리장치
KR101957446B1 (ko) * 2017-03-08 2019-06-19 주식회사 아트뷰 증강현실을 이용한 실내 내비게이션 방법 및 장치
KR20190046616A (ko) * 2017-10-25 2019-05-07 주식회사 지엠케이정보통신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KR101976110B1 (ko) * 2018-07-27 2019-08-28 주식회사 에이디테크 스마트시티를 위한 IoT 표준기반 주차 유도 최적화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70428A (zh) * 2021-07-26 2021-10-01 浙江联义智能科技有限公司 车牌识别一体机
CN113470428B (zh) * 2021-07-26 2024-05-24 浙江联义智能科技有限公司 车牌识别一体机
US20230236659A1 (en) * 2022-01-25 2023-07-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Delivery Assistance Service Having An Augmented-Reality Digital Companion
KR102611569B1 (ko) * 2022-09-08 2023-12-08 주식회사 글로벌이엔씨 주차예약관제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7138B1 (ko) 2022-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01779B2 (ja) 画像データベース地図サービスからアシストシステム内にデータを移す方法
CN105637321B (zh) 用于求得移动单元的绝对位置的方法和移动单元
CN108271408B (zh) 使用被动和主动测量生成场景的三维地图
KR102357138B1 (ko) 증강현실기반 주차 안내시스템
US20130057686A1 (en) Crowd sourcing parking management using vehicles as mobile sensors
KR101857421B1 (ko) 스마트 카-스토퍼를 이용한 주차정보 처리장치
KR102223572B1 (ko)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KR102197704B1 (ko) 실내주차장에서 증강현실기반 주차 안내시스템
CN103287339A (zh) 停车支援系统
JP2007232690A (ja) 現在地検出装置、地図表示装置、および現在地検出方法
CN110293965A (zh) 泊车方法和控制装置、车载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KR20180094493A (ko) 실내지도 생성시스템 및 생성방법
CN110942662A (zh) 一种停车场实时反向寻车系统及其方法
KR102181032B1 (ko) 실시간 도로교통정보 제공 서버 및 이의 동작 방법
JP2022176234A (ja) 情報表示制御装置、情報表示制御方法及び情報表示制御プログラム
KR20160089580A (ko) 무인지상차량을 이용한 주차차량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3950020A (zh) 用于自主车辆的车辆共乘定位和乘客识别
CN110741425A (zh) 地图更新装置、地图更新系统、地图更新方法及程序
CN109448386B (zh) 车库定位导航系统及其定位导航方法
CN105283873B (zh) 用于发现经过车辆的一个或多个人员的方法和系统
US20220281486A1 (en) Automated driving vehicle, vehicle allocation management device, and terminal device
WO2019155557A1 (ja) 情報表示制御装置、情報表示制御方法及び情報表示制御プログラム
EP3273408B1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distance to a vehicle
KR20220124046A (ko) 이동차량 추적에 의한 주차위치 안내시스템
KR102309833B1 (ko) 자율 주행 차량에서 자율 주행 중 광고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