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2077A - 필름 인서트 성형용 가식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필름 인서트 성형용 가식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2077A
KR20210022077A KR1020217001709A KR20217001709A KR20210022077A KR 20210022077 A KR20210022077 A KR 20210022077A KR 1020217001709 A KR1020217001709 A KR 1020217001709A KR 20217001709 A KR20217001709 A KR 20217001709A KR 20210022077 A KR20210022077 A KR 20210022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orine
based resin
film
resin layer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1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타 나가오카
게이지 다카노
Original Assignee
덴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덴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덴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022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20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18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inserts being deformed or preformed, e.g. by the injection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polydienes homopolymers or poly-halodienes hom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4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B32B37/0053Constructional details of laminating machines comprising rollers;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32B37/1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at least one layer is extruded and immediately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6Embo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2Five-membered rings
    • C08K5/3475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7Six-membered rings
    • C08K5/3492Triaz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18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inserts being deformed or preformed, e.g. by the injection pressure
    • B29C2045/1421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inserts being deformed or preformed, e.g. by the injection pressure deforming by gas or fluid pressure in the mould c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627/00Use of polyvinylhalogenides or derivatives thereof for preformed parts, e.g. for inserts
    • B29K2627/12Use of polyvinylhalogenides or derivatives thereof for preformed parts, e.g. for inserts containing fluorine
    • B29K2627/16PVDF, i.e. polyvinylidene fluor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05Body finishings
    • B29L2031/3008Instrument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2Oxide or hydroxide
    • B32B2264/1022Titan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2Mixture of at least two particle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32B2307/4026Coloured within the layer by addition of a colorant, e.g. pigments, d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38R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6Flexural strength; Flexion stiff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8Thermoform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3Interior fini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7/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J2327/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J23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7/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J2327/1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8J2327/1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idene flu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333/0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J23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J23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Landscapes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필름 인서트 성형용 가식 필름의 표면 요철을 유지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불소계 수지 100∼80질량부 및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 0∼20질량부를 함유하는 불소계 수지층, 불소계 수지 50∼0질량부 및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 50∼100질량부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수지층, 및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가식층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고, 상기 불소계 수지층의 두께가 10μm∼200μm이고, 상기 불소계 수지층의 상기 아크릴계 수지층에 접촉하지 않는 측의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필름 인서트 성형용 가식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당해 필름 인서트 성형용 가식 필름의 제조 방법도 제공한다.

Description

필름 인서트 성형용 가식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필름 인서트 성형용 가식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요철 구조를 갖는 필름 인서트 성형용 가식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당해 필름 인서트 성형용 가식 필름을 포함하는 자동차 내외장 부품에도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필름 인서트 성형용 가식 필름을 포함하는 성형체 및 그의 제조 방법에도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필름 인서트 성형용 가식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적층 필름에도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내장 또는 외장용 부품의 표면에 모양을 마련함으로써, 자동차의 의장성 또는 미감을 향상시키는 일이 행해진다. 당해 부품은, 수지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 그 때문에, 당해 부품을 제조하기 위해서, 수지 조성물의 표면에 모양을 마련하기 위한 기술이 이용된다.
당해 기술에 관해서, 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합성 수지 표피재가 기재되어 있다. 당해 합성 수지 표피재는, 폴리염화 바이닐 수지와 착색제를 함유하는 기재층과, 기재층의 한쪽 면에 접촉하는 아크릴 수지 함유층, 및 해당 아크릴 수지 함유층과 접촉하지 않는 측의 표면에 요철을 갖는 불소 수지 함유층을 포함하는 표피층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하기 특허문헌 2에는, 합성 수지 표피재가 기재되어 있다. 당해 합성 수지 표피재는, 합성 수지 기재를 갖는 접착층 보호 시트 상에, 접착층과, 착색제와 합성 수지를 함유하는 기재층과, 아크릴 수지 및 불소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수지를 함유하고, 상기 기재층과 접촉하지 않는 측의 표면에 요철이 형성된 표피층을 이 순서로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접착층 보호 시트의 합성 수지 기재는, 연화점이 80℃ 이상 150℃ 이하이고, 또한 JIS K6734에 준거해서, 인장 압축 시험기를 이용하여, 온도 150℃, 인장 속도 500mm/min의 조건에서 측정한 연신성이 150% 이상인 합성 수지 기재이다.
일본 특허공개 2016-137612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6-203436호 공보
자동차의 내장 또는 외장용 부품을 제조하기 위해서, 각 부품에 따라서 성형 방법 및 재료가 선택된다. 예를 들면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차내 공간측의 표면은, 모양이 마련되어 있고 또한/또는 부드러운 감촉을 갖는 재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한편으로, 당해 차내 공간측과 반대측의 면은 단단한 재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이한 특성을 갖는 재료에 의해 형성된 부품을 제조하기 위해서, 몇 가지의 성형 수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와 같은 성형 수법 중 하나에, 필름 인서트 성형이 있다. 필름 인서트 성형에 의해 요철 모양을 표면에 갖는 부품을 제조하기 위해서, 미리 요철 모양이 마련된 가식 필름이 이용된다. 그러나, 필름 인서트 성형에서는 가식 필름에 열이 주어지므로, 표면의 요철 모양이 유지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표면 요철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가식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특정한 구성을 갖는 가식 필름이 요철 모양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즉, 본 발명은, 불소계 수지 100∼80질량부 및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 0∼20질량부를 함유하는 불소계 수지층, 불소계 수지 50∼0질량부 및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 50∼100질량부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수지층, 및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가식층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고, 상기 불소계 수지층의 두께가 10μm∼200μm이고, 상기 불소계 수지층의 상기 아크릴계 수지층에 접촉하지 않는 측의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필름 인서트 성형용 가식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태양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수지층의 두께가 10μm∼80μ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태양에 있어서, 상기 요철의 깊이가 5μm∼100μ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태양에 있어서, 상기 불소계 수지층의 140℃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1.0×107∼1.0×109dyn/cm2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태양에 있어서, 상기 불소계 수지층에 포함되는 상기 불소계 수지가, 폴리불화 바이닐리덴, 불화 바이닐리덴-6불화 프로필렌 공중합체, 불화 바이닐리덴-6불화 프로필렌-4불화 에틸렌 공중합체, 에틸렌-염화 3불화 에틸렌 공중합체, 및 에틸렌-4불화 에틸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불소계 수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태양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수지층이 자외선 흡수제를 추가로 함유하고, 상기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이, 상기 아크릴계 수지층에 포함되는 상기 불소계 수지의 질량과 상기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의 질량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해, 0.1∼10질량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태양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흡수제가, 트라이아진계 화합물 또는 벤조트라이아졸계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태양에 있어서, 상기 가식층에 포함되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아크릴로나이트릴-뷰타다이엔-스타이렌 공중합체, 폴리염화 바이닐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폴리유레테인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수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태양에 있어서, 상기 가식층이 착색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필름 인서트 성형용 가식 필름을 포함하는, 자동차 내외장 부품도 제공한다.
당해 자동차 내외장 부품은, 자동차 내장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부품, 콘솔 부품, 혹은 필러 부품, 또는 자동차 외장의 사이드 미러 커버 혹은 범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불소계 수지 100∼80질량부 및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 0∼20질량부를 함유하는 불소계 수지층과, 불소계 수지 50∼0질량부 및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 50∼100질량부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수지층을, 공압출법에 의해 적층하는 적층 공정, 상기 적층 공정에서 얻어진 적층물의, 상기 아크릴계 수지층의 상기 불소계 수지층과 접촉하지 않는 측의 표면에,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가식층을 가열 롤로 압착하는 압착 공정, 및 상기 압착 공정의 직후에, 상기 불소계 수지층의 상기 아크릴계 수지층과 접촉하지 않는 측의 표면에 요철 가열 롤을 압착시킴으로써 요철 구조가 당해 표면에 형성되는 요철 구조 형성 공정을 포함하는, 필름 인서트 성형용 가식 필름의 제조 방법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불소계 수지 100∼80질량부 및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 0∼20질량부를 함유하는 불소계 수지층, 불소계 수지 50∼0질량부 및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 50∼100질량부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수지층,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가식층, 및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기재층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고, 상기 불소계 수지층의 두께가 10∼200μm이고, 상기 불소계 수지층의 상기 아크릴계 수지층에 접촉하지 않는 측의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성형체도 제공한다.
상기 기재층에 포함되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아크릴로나이트릴-뷰타다이엔-스타이렌 공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아마이드 수지, 및 폴리유레테인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수지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불소계 수지 100∼80질량부 및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 0∼20질량부를 함유하는 불소계 수지층, 불소계 수지 50∼0질량부 및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 50∼100질량부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수지층, 및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가식층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고, 상기 불소계 수지층의 두께가 10∼200μm이고, 또한 상기 불소계 수지층의 상기 아크릴계 수지층에 접촉하지 않는 측의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필름 인서트 성형용 가식 필름을 금형 내에서 가열하여 연화시키는 연화 공정, 상기 연화 공정에서 연화된 상기 가식 필름을, 진공압 또는 압축 공기로 최종 형상으로 성형하는 포밍 공정, 상기 포밍 공정 후에, 기재층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를 상기 금형 내에 흘려 넣고, 그리고 냉각하여 고화시켜, 상기 필름 인서트 성형용 가식 필름과 상기 기재층이 일체화된 성형체가 얻어지는 인젝션 공정을 포함하는, 성형체의 제조 방법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불소계 수지 100∼80질량부 및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 0∼20질량부를 함유하는 불소계 수지층, 및 불소계 수지 50∼0질량부 및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 50∼100질량부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수지층이 적층되어 있고, 상기 불소계 수지층의 두께가 10∼200μm인, 필름 인서트 성형용 가식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적층 필름으로서, 상기 가식 필름의 제조에 있어서, 상기 적층 필름에,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가식층이 가열 롤로 압착되고, 그리고 당해 압착의 직후에, 상기 불소계 수지층의 상기 아크릴계 수지층과 접촉하지 않는 측의 표면에 요철 가열 롤을 압착시킴으로써 요철 구조가 당해 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식 필름이 제조되는, 상기 적층 필름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해, 필름 인서트 성형에 있어서 표면 요철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가식 필름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여기에 기재된 효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명세서 중에 기재된 어느 효과여도 된다.
[도 1] 본 발명에 따른 가식 필름의 일례의 모식도이다.
[도 2] 본 발명에 따른 가식 필름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압착 공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본 발명에 따른 가식 필름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요철 구조 형성 공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본 발명에 따른 성형체의 일례의 모식도이다.
[도 5] 본 발명에 따른 성형체 제조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본 발명에 따른 가식 필름 제조 방법에 있어서, 압착 공정 및 요철 구조 형성 공정을 동시에 행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형태의 예를 나타낸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는 이들 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필름 인서트 성형용 가식 필름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인서트 성형용 가식 필름은, 특정한 불소계 수지층과 특정한 아크릴계 수지층과 특정한 가식층을 포함하고, 이들 3층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다. 또, 상기 불소계 수지층의 두께가 10μm∼200μm이고, 또한 상기 불소계 수지층의 상기 아크릴계 수지층에 접촉하지 않는 측의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인서트 성형용 가식 필름의 일례의 모식도를 도 1에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나는 대로,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인서트 성형용 가식 필름(100)은,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불소계 수지층(101)과 아크릴계 수지층(102)과 가식층(103)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다.
필름 인서트 성형이란, 필름이 금형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당해 금형에 수지를 넣어, 당해 필름에 의해 당해 수지가 덮인 성형체를 얻는 성형 방법을 말한다.
당해 성형 방법의 구체예는 이하대로이다. 즉, 우선 금형 내에 부형된 필름이 배치된다. 필름을 부형하기 위해서, 당해 필름은, 예를 들면 상기 금형 내에서 가열되고, 그리고, 예를 들면 흡인 등에 의해, 상기 금형의 내면에 붙여진다. 그리고 다음으로, 당해 필름이 금형의 내면에 붙여진 상태에서, 당해 금형 내에 수지가 사출된다. 당해 수지를 냉각하여 고화시키면, 당해 금형으로부터, 당해 필름에 의해 당해 수지의 표면이 피복된 성형체가 취출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필름은, 부형될 때에 가열된다. 또, 상기 필름은, 당해 사출된 수지가 갖는 열에 의해서도 가열된다. 이와 같이, 필름 인서트 성형에 있어서 이용되는 필름에는, 성형체를 제조할 때에 열이 부여된다. 그 때문에, 당해 필름이 표면에 요철을 갖는 경우, 당해 열이 부여되더라도 당해 요철이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인서트 성형용 가식 필름은, 필름 인서트 성형에 있어서 적용되는 것과 같은 열이 부여되더라도, 당해 필름이 갖는 표면 요철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가식 필름은, 필름 인서트 성형에 있어서 성형체를 피복하기 위해서 적합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가식 필름을 구성하는 각 층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불소계 수지층]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인서트 성형용 가식 필름은, 불소계 수지 100∼80질량부 및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 0∼20질량부를 함유하는 불소계 수지층을 포함한다. 당해 불소계 수지층은, 주로 수지(특히 불소계 수지)로 구성되는 층이다. 당해 불소계 수지층은, 수지만으로 구성되어도 되고, 또는 수지와 수지 이외의 성분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불소계 수지층 중의 불소계 수지의 함유량은 100∼80질량부, 바람직하게는 95∼80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90∼80질량부이고, 또한 상기 불소계 수지층 중의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의 함유량은 0∼20질량부, 바람직하게는 5∼20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0∼20질량부일 수 있다.
상기 불소계 수지의 상기 함유량 및 상기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의 상기 함유량은, 상기 불소계 수지층 중의 수지 성분 100질량부 중의, 상기 불소계 수지 및 상기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가 각각 차지하는 구성 비율이다. 상기 불소계 수지층 중의 수지 성분은, 상기 불소계 수지 및 상기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불소계 수지의 상기 함유량 및 상기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의 상기 함유량은, 이들 2개의 수지의 합계 함유량을 100질량부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당해 100질량부의 내역이다. 예를 들면, 상기 불소계 수지의 함유량이 90질량부인 경우는 상기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의 함유량은 10질량부이고, 상기 불소계 수지의 함유량이 80질량부인 경우는 상기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의 함유량은 20질량부이다.
상기 불소계 수지층 중의 불소계 수지 및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의 상기 함유량에 의해, 필름 인서트 성형 시의 표면 요철이 양호하게 유지된다. 또한, 상기 함유량에 의해, 예를 들면 자동차 내장 또는 외장에 요구되는 내약품성이, 상기 불소계 수지층에 주어진다.
상기 불소계 수지층 중의 불소계 수지 및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의 함유량은, 1HNMR 측정(장치: Bruker사제 NMR 분광계 「AVANCE III HD NanoBay 400MHz」, 용매: Dimethyl sulfoxide(DMSO), 측정 온도: 70℃, 적산 횟수: 64회)에 의해 측정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아크릴계 수지층 중의 불소계 수지 및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의 함유량도, 동일한 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상기 불소계 수지층에 포함되는 불소계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폴리불화 바이닐리덴, 불화 바이닐리덴-6불화 프로필렌 공중합체, 불화 바이닐리덴-6불화 프로필렌-4불화 에틸렌 공중합체, 에틸렌-염화 3불화 에틸렌 공중합체, 및 에틸렌-4불화 에틸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불소계 수지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불소계 수지층에 포함되는 불소계 수지는, 적어도 폴리불화 바이닐리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따라, 당해 불소계 수지는, 폴리불화 바이닐리덴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불소계 수지층에 포함되는 불소계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10∼25kpoise의 용융 점도를 갖는 폴리불화 바이닐리덴, 보다 바람직하게는 15∼20kpoise의 용융 점도를 갖는 폴리불화 바이닐리덴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폴리불화 바이닐리덴으로서, 예를 들면 카이나 1000HD(용융 점도 15∼20kpoise)를 들 수 있다. 용융 점도는, ASTM D3835에 따라 232℃ 및 100sec-1의 조건하에서 측정된다.
상기 불소계 수지층에 포함되는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는, 메타크릴산 에스터 단량체 단위를 주성분으로서 갖는 중합체이다. 당해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는, 1종의 메타크릴산 에스터 단량체의 단독중합체여도 되고, 2종 이상의 메타크릴산 에스터 단량체의 공중합체여도 되고, 또는 1종의 또는 2종 이상의 메타크릴산 에스터 단량체와 메타크릴산 에스터 단량체 이외의 바이닐 화합물의 공중합체여도 된다. 메타크릴산 에스터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에틸, 메타크릴산 프로필, 메타크릴산 뷰틸, 메타크릴산 펜틸, 및 메타크릴산 헥실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메타크릴산 에스터 단량체에 있어서의 프로필기, 뷰틸기, 펜틸기 및 헥실기 등의 알킬기는, 직쇄여도 되고 또는 분기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메타크릴산 에스터 이외의 바이닐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에스터, 스타이렌, 에틸렌, 뷰타다이엔, 아이소프렌, α-메틸스타이렌, 아크릴로나이트릴, 아크릴산, 및 프로필렌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를 구성하는 메타크릴산 에스터 단량체 단위는 바람직하게는, 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에틸, 및 메타크릴산 프로필로부터 선택되는 1개, 2개, 또는 3개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타크릴산 메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따라, 상기 불소계 수지층에 포함되는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는, 폴리메타크릴산 메틸(PMMA)이어도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불소계 수지층에 포함되는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200∼5,000Pa·sec의 용융 점도를 갖는 PMMA,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2,000Pa·sec의 용융 점도를 갖는 PMMA여도 된다. 이와 같은 PMMA로서, 예를 들면 스미펙스 MGSS(용융 점도 1,050Pa·sec)를 들 수 있다. 용융 점도는, 주식회사 도요세이키제작소제 캐필로그래프 1D를 이용하여, 수지 온도 230℃, 전단 속도 122sec-1의 조건하에서 측정된다.
상기에서 기술한 특정한 용융 점도를 갖는 폴리불화 바이닐리덴 및 상기에서 기술한 특정한 용융 점도를 갖는 PMMA를 포함하는 불소계 수지층과, 이하 [아크릴계 수지층]에서 설명하는 특정한 용융 점도를 갖는 폴리불화 바이닐리덴 및 특정한용융 점도를 갖는 PMMA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수지층을 적층한 경우, 이들 층은 보다 균일해지고 및/또는 멜트 프랙처 등의 외관 불량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이들 층의 적층물의 불소계 수지층에 형성된 요철 구조는, 필름 인서트 성형에 있어서 양호하게 유지된다.
상기 불소계 수지층의 두께는, 예를 들면 10μm∼200μm이고, 바람직하게는 10μm∼80μ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μm∼50μm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0μm∼40μm이다. 상기 불소계 수지층의 두께가 지나치게 얇은 경우, 가열 시에 당해 불소계 수지층의 표면 요철이 양호하게 유지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불소계 수지층의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운 경우, 가식층과 열 라미네이트할 때, 아크릴계 수지층에 열이 전해지기 어려워지고, 그 때문에 열 라미네이트의 온도를 올리거나 또는 라인 속도를 느리게 할 필요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즉, 생산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단위 면적당의 불소계 수지 사용량을 보다 적게 하여 필름의 제조 비용을 억제하기 위해서도, 상기 수치 범위 내의 두께가 바람직하다.
상기 불소계 수지층의 140℃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바람직하게는 1.0×107∼1.0×109dyn/cm2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07∼5.0×108dyn/cm2이다. 당해 저장 탄성률은,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 RSA-G2(TA 인스트루먼트 재팬 주식회사제)에 의해, 이하의 조건하에서 측정된다.
측정 모드: 동적 측정 모드(온도 소인)
측정 온도 범위: 23∼200℃
승온 속도: 10℃/min
주파수: 1Hz
샘플 형상: 필름의 흐름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해서, 길이 30mm×폭 5mm의 단책(短冊)상
척간 거리: 10mm
당해 저장 탄성률이 상기 수치 범위 내에 있는 경우, 불소계 수지층의 내열성이 높기 때문에, 필름 인서트 성형 시에 불소계 수지층 표면의 요철이 양호하게 유지된다는 효과가 나타난다.
상기 불소계 수지층 중의 상기 불소계 수지와 상기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의 합계 함유 비율이, 상기 불소계 수지층의 질량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8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5질량%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상이어도 된다. 상기 불소계 수지층은, 상기 2개의 수지만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불소계 수지층은, 수지 성분 이외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지 성분 이외의 성분으로서, 예를 들면 가소제, 활제, 대전 방지제, 방담제, 유적(流滴)제, 친수제, 및 발액제 등을 들 수 있다. 당해 수지 성분 이외의 각 성분의 함유 비율은, 상기 불소계 수지 및 상기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의 합계량을 100질량부로 한 경우에, 예를 들면 0.001질량부∼20질량부, 바람직하게는 0.01질량부∼10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질량부∼3질량부여도 된다. 상기 불소계 수지층은, 안료를 포함해도 된다. 그러나, 안료로서 타이타늄계 안료를 이용한 경우는, 불소계 수지층이 백색조가 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상기 불소계 수지층은 타이타늄계 안료를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 불소계 수지층은, 상기 아크릴계 수지층에 접촉하지 않는 측의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당해 요철의 깊이는, 바람직하게는 5μm∼100μ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μm∼50μm이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μm∼30μm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2μm∼28μ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식 필름은, 이와 같은 깊이를 갖는 요철을 유지하기 위해서 특히 적합하다.
또한, 당해 요철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10μm∼300μ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μm∼200μm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75μm∼150μm일 수 있다.
또한, 당해 요철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깊이 및 상기 폭을 갖는 선상(예를 들면 직선상 또는 곡선상)의 홈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당해 요철은, 당해 홈이, 예를 들면 10μm∼300μm, 바람직하게는 30μm∼200μm, 보다 바람직하게는 40μm∼150μm의 간격으로(보다 바람직하게는 등간격으로) 배치된 요철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식 필름은, 필름 인서트 성형에 있어서, 당해 가식 필름 표면상의 이와 같은 요철 구조를 유지하는 데 특히 적합하다.
상기 불소계 수지층은, 바람직하게는 투명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가식층을 시인 가능한 것과 같은 투명성을 갖는다. 이에 의해, 가식층의 색 또는 모양을 유저에게 제시할 수 있다.
[아크릴계 수지층]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인서트 성형용 가식 필름은, 불소계 수지 50∼0질량부 및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 50∼100질량부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수지층을 포함한다. 당해 아크릴계 수지층은, 주로 수지(특히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로 구성되는 층이다. 당해 아크릴계 수지층은, 수지만으로 구성되어도 되고, 또는 수지와 수지 이외의 성분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층 중의 불소계 수지의 함유량은 50∼0질량부, 바람직하게는 40∼5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30∼10질량부이고, 또한 상기 불소계 수지층 중의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의 함유량은 50∼100질량부, 바람직하게는 60∼95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70∼90질량부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층 중의 불소계 수지 및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의 상기 함유량에 의해, 불소계 수지층과의 접착 강도가 향상된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상기 불소계 수지의 상기 함유량 및 상기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의 상기 함유량은, 상기 아크릴계 수지층 중의 수지 성분 100질량부 중의, 상기 불소계 수지 및 상기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가 각각 차지하는 구성 비율이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층 중의 수지 성분은, 상기 불소계 수지 및 상기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불소계 수지의 상기 함유량 및 상기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의 상기 함유량은, 이들 2개의 수지의 합계 함유량을 100질량부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당해 100질량부의 내역이다. 예를 들면, 상기 불소계 수지의 함유량이 10질량부인 경우는 상기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의 함유량은 90질량부이고, 상기 불소계 수지의 함유량이 20질량부인 경우는 상기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의 함유량은 80질량부이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층에 포함되는 불소계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폴리불화 바이닐리덴, 불화 바이닐리덴-6불화 프로필렌 공중합체, 불화 바이닐리덴-6불화 프로필렌-4불화 에틸렌 공중합체, 에틸렌-염화 3불화 에틸렌 공중합체, 및 에틸렌-4불화 에틸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불소계 수지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크릴계 수지층에 포함되는 불소계 수지는, 적어도 폴리불화 바이닐리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따라, 당해 불소계 수지는, 폴리불화 바이닐리덴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따라, 상기 불소계 수지층에 포함되는 불소계 수지는, (a) 13∼25kpoise의 용융 점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15∼23kpoise의 용융 점도를 갖는 폴리불화 바이닐리덴과, (b) 4∼13kpoise의 용융 점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6∼12kpoise의 용융 점도를 갖는 폴리불화 바이닐리덴을 포함하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이들 (a) 및 (b)의 폴리불화 바이닐리덴만으로 구성된다. (a)의 폴리불화 바이닐리덴으로서, 예를 들면 카이나 1000HD(용융 점도 15∼20kpoise) 및 카이나 K741(용융 점도 15∼23kpoise)을 들 수 있다. (b)의 폴리불화 바이닐리덴으로서, 예를 들면 카이나 K720(용융 점도 6∼12kpoise)을 들 수 있다. 용융 점도는, ASTM D3835에 따라 232℃ 및 100sec-1의 조건하에서 측정된다. (a)의 폴리불화 바이닐리덴 및 (b)의 폴리불화 바이닐리덴의 함유량의 질량비는, 바람직하게는 30:70∼70:30, 보다 바람직하게는 40:60∼60:40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층에 포함되는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는, 메타크릴산 에스터 단량체 단위를 주성분으로서 갖는 중합체이다. 당해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는, 1종의 메타크릴산 에스터 단량체의 단독중합체여도 되고, 2종 이상의 메타크릴산 에스터 단량체의 공중합체여도 되고, 또는 1종의 또는 2종 이상의 메타크릴산 에스터 단량체와 메타크릴산 에스터 단량체 이외의 바이닐 화합물의 공중합체여도 된다. 메타크릴산 에스터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에틸, 메타크릴산 프로필, 메타크릴산 뷰틸, 메타크릴산 펜틸, 및 메타크릴산 헥실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메타크릴산 에스터 단량체에 있어서의 프로필기, 뷰틸기, 펜틸기 및 헥실기 등의 알킬기는, 직쇄여도 되고 또는 분기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메타크릴산 에스터 이외의 바이닐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에스터, 스타이렌, 에틸렌, 뷰타다이엔, 아이소프렌, α-메틸스타이렌, 아크릴로나이트릴, 아크릴산, 및 프로필렌 등을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를 구성하는 메타크릴산 에스터 단량체 단위는 바람직하게는, 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에틸, 및 메타크릴산 프로필로부터 선택되는 1개, 2개, 또는 3개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타크릴산 메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따라, 상기 아크릴계 수지층에 포함되는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는, 폴리메타크릴산 메틸(PMMA)이어도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크릴계 수지층에 포함되는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200∼3,000Pa·sec의 용융 점도를 갖는 PMMA,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2,000Pa·sec의 용융 점도를 갖는 PMMA여도 된다. 이와 같은 PMMA로서, 예를 들면 하이페트 HBS000(용융 점도 1378Pa·sec)을 들 수 있다. 용융 점도는, 주식회사 도요세이키제작소제 캐필로그래프 1D를 이용하여, 수지 온도 240℃, 전단 속도 122sec-1의 조건하에서 측정된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층의 두께는, 예를 들면 10μm∼80μm이고, 바람직하게는 10μm∼80μ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μm∼50μm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4μm∼40μm이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층의 두께가, 상기 수치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당해 불소계 수지층의 표면에 형성된 요철을 보다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층 중의 상기 불소계 수지와 상기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의 합계 함유 비율이, 상기 아크릴계 수지층의 질량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8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5질량%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상이어도 된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층은, 수지 성분 이외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지 성분 이외의 성분으로서, 예를 들면 자외선 흡수제, 가소제, 활제, 대전 방지제, 방담제, 유적제, 친수제, 및 발액제 등을 들 수 있다. 당해 수지 성분 이외의 각 성분의 함유 비율은, 상기 불소계 수지 및 상기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의 합계량을 100질량부로 한 경우에, 예를 들면 0.001질량부∼20질량부, 바람직하게는 0.01질량부∼20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질량부∼3질량부여도 된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층은, 바람직하게는 투명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가식층을 시인 가능한 것과 같은 투명성을 갖는다. 이에 의해, 가식층의 색 또는 모양을 유저에게 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따라, 상기 아크릴계 수지층은,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할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 예를 들면 트라이아진계 화합물, 벤조트라이아졸계 화합물, 및 벤조페논계 화합물 등의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층에 포함되는 자외선 흡수제는, 바람직하게는 트라이아진계 화합물 및 벤조트라이아졸계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다. 이들 화합물은, 습열 환경 및 자외선에 대한 장기 색상 안정성, 불화 바이닐리덴계 수지와의 상용성, 또는 자외선 차단 효과의 지속성이 우수하다.
상기 트라이아진계 화합물로서, 2-(4,6-다이페닐-1,3,5-트라이아진-2-일)-5-[2-(2-에틸헥사노일옥시)에톡시]페놀, 2-(4,6-다이페닐-1,3,5-트라이아진-2-일)-5-[(헥실)옥시]페놀, 2-(4,6-다이페닐-1,3,5-트라이아진-2-일)-5-[(헥실)옥시]-페놀, 2-[4-[(2-하이드록시-3-도데실옥시프로필)옥시]-2-하이드록시페닐]-4,6-비스(2,4-다이메틸페닐)-1,3,5-트라이아진, 2-[4-[(2-하이드록시-3-트라이데실옥시프로필)옥시]-2-하이드록시페닐]-4,6-비스(2,4-다이메틸페닐)-1,3,5-트라이아진, 및 2,4-비스(2,4-다이메틸페닐)-6-(2-하이드록시-4-아이소-옥틸옥시페닐)-s-트라이아진, 및 이들의 변성물, 중합물 및 유도체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용되는 자외선 흡수제는, 이들 화합물 중 1개여도 되고 또는 2개 이상의 조합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따라, 상기 아크릴계 수지층은, 자외선 흡수제로서 2-(4,6-다이페닐-1,3,5-트라이아진-2-일)-5-(헥실옥시)-페놀을 포함한다.
벤조트라이아졸계 화합물로서, 2-(2'-하이드록시-3'-tert-뷰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라이아졸, 2-(2H-벤조트라이아졸-2-일)-4,6-비스(1-메틸-1-페닐에틸)페놀, 2-(5'-메틸-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라이아졸, 2-(5'-t-뷰틸-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라이아졸, 2-[2'-하이드록시-3',5'-비스(α,α-다이메틸벤질)페닐]벤조트라이아졸, 2-(3',5'-다이-t-뷰틸-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라이아졸, 2-(3'-t-뷰틸-5'-메틸-2'-하이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라이아졸, 2-(3',5'-다이-t-뷰틸-2'-하이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라이아졸, 2-(3',5'-다이-t-아밀-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라이아졸, 2-[3'-(3",4",5",6"-테트라하이드로프탈이미드메틸)-5'-메틸-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라이아졸, 및 2,2'-메틸렌비스[4-(1,1,3,3-테트라메틸뷰틸)-6-(2H-벤조트라이아졸-2-일)페놀], 및 이들의 변성물, 중합물 및 유도체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용되는 자외선 흡수제는, 이들 화합물 중 1개여도 되고 또는 2개 이상의 조합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따라, 상기 아크릴계 수지층은, 자외선 흡수제로서 2-(2H-벤조트라이아졸-2-일)-4,6-비스(1-메틸-1-페닐에틸)페놀을 포함한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은, 수지 성분 100질량부(특히 상기 불소계 수지 및 상기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의 합계량 100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1∼10질량부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질량부∼8질량부,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질량부∼5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흡수제의 양이 상기 수치 범위의 하한치 이상인 것에 의해, 충분한 자외선 커트 성능이 얻어지고, 및/또는 내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흡수제의 양이 상기 수치 범위의 상한치 이하인 것에 의해, 자외선 흡수제가 이면층의 표면에 블리드 아웃되는 것을 방지하고, 및/또는 상기 불소계 수지층 또는 상기 가식층과의 밀착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자외선 흡수제의 양이 상기 수치 범위의 상한치 이하인 것에 의해, 아크릴계 수지층의 투명성을 높일 수 있어, 가식층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고 및/또는 가식층의 색조 악화를 억제할 수 있다.
[가식층]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인서트 성형용 가식 필름은,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가식층을 포함한다. 당해 열가소성 수지는, 예를 들면 아크릴로나이트릴-뷰타다이엔-스타이렌 공중합체, 폴리염화 바이닐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폴리유레테인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수지일 수 있다.
상기 가식층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 필름이다. 당해 수지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0μm∼500μ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μm∼300μm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두께를 가짐으로써, 가식층에 의장성을 주기 쉬워진다.
상기 가식층에는, 예를 들면 착색, 인쇄, 또는 주름 등의 디자인이 입혀져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따라, 상기 가식층은 착색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가식층이 착색된다. 착색제는, 원하는 디자인에 따라서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되어도 된다. 착색제로서, 예를 들면 산화 타이타늄 등을 들 수 있다. 착색제의 함유량은, 가식층의 수지 성분 100질량부(특히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10질량부∼40질량부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질량부∼30질량부,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0질량부∼25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식 필름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인서트 성형용 가식 필름은, 예를 들면 이하 「2. 필름 인서트 성형용 가식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설명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어도 된다.
[가식 필름의 용도]
본 발명에 따른 가식 필름은, 필름 인서트 성형을 위해서 이용되어도 되고, 예를 들면 자동차 내외장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필름 인서트 성형에 있어서 이용되어도 된다. 즉,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인서트 성형용 가식 필름을 포함하는 자동차 내외장 부품도 제공한다. 당해 자동차 내외장 부품은, 예를 들면 자동차 내장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부품, 콘솔 부품, 혹은 필러 부품, 또는 자동차 외장의 사이드 미러 커버 혹은 범퍼이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2. 필름 인서트 성형용 가식 필름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필름 인서트 성형용 가식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식 필름의 제조 방법에 의해, 필름 인서트 성형 시에 필름 표면의 요철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필름 인서트 성형용 가식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가식 필름의 제조 방법에 포함되는 각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은, 불소계 수지 100∼80질량부 및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 0∼20질량부를 함유하는 불소계 수지층과, 불소계 수지 50∼0질량부 및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 50∼100질량부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수지층을, 공압출법에 의해 적층하는 적층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적층 공정에서 이용되는 상기 불소계 수지층 및 상기 아크릴계 수지층은, 상기 「1. 필름 인서트 성형용 가식 필름」에 있어서 기술한 대로이다. 당해 적층 공정에서, 이들 수지층이 공압출법에 의해 적층된다. 공압출법으로서, 당업자에게 기지된 수법이 이용되어도 된다. 공압출법에 있어서, 예를 들면 당해 불소계 수지층을 형성하는 수지 및 당해 아크릴계 수지층을 형성하는 수지가 각각 다른 압출기로부터 압출되어 필름을 형성하고, 그리고, 필름 형성과 거의 동시에 2개의 필름이 적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은, 상기 적층 공정에서 얻어진 적층물의, 상기 아크릴계 수지층의 상기 불소계 수지층과 접촉하지 않는 측의 표면에,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가식층을 가열 롤로 압착하는 압착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압착 공정에서 이용되는 상기 가식층은, 상기 「1. 필름 인서트 성형용 가식 필름」에 있어서 기술한 대로이다. 당해 압착은, 가열 롤에 의해 행해진다. 가열 롤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적층물과 상기 가식층이 압착됨과 함께, 상기 적층물이 가열된다. 상기 적층물이 가열됨으로써, 다음의 요철 구조 형성 공정에 있어서의 요철 형성이 보다 효율적으로 행해질 수 있다. 가열 롤로서, 당업자에게 기지된 장치가 이용되어도 된다.
상기 압착 공정의 일례를 도 2에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나는 대로, 불소계 수지층(201) 및 아크릴계 수지층(202)의 적층물과, 가식층(203)이, 가열 롤(210) 및 가열 롤(211)에 의해 압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은, 상기 압착 공정의 직후에, 상기 불소계 수지층의 상기 아크릴계 수지층과 접촉하지 않는 측의 표면에 요철 가열 롤을 압착시킴으로써 요철 구조가 당해 표면에 형성되는 요철 구조 형성 공정을 포함한다. 당해 요철 구조가 당해 표면에 형성되어, 본 발명에 따른 가식 필름이 얻어진다.
상기 요철 구조 형성 공정에서 이용되는 요철 가열 롤은, 가열 롤의 표면에, 상기 불소계 수지층의 상기 아크릴계 수지층과 접촉하지 않는 측의 표면에 형성되어야 할 요철에 대응하는 요철을 갖는다. 가열 롤 표면의 요철은, 당해 표면에 형성되어야 할 요철에 따라서,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되어도 된다. 가열 롤 표면의 요철의 깊이는, 바람직하게는 10μm∼30μ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μm∼28μm일 수 있다. 요철 가열 롤로서, 당업자에게 기지된 장치가 이용되어도 된다.
상기 요철 구조 형성 공정의 일례를 도 3에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나는 대로, 상기 압착 공정에서 얻어진 불소계 수지층(201), 아크릴계 수지층(202), 및 가식층(203)의 적층물이, 가열 롤(310) 및 가열 롤(311)에 의해 처리된다. 가열 롤(310)은 표면에 요철을 갖는다. 그 때문에, 당해 처리에 의해, 불소계 수지층(201)의 표면에 요철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압착 공정 및 상기 요철 구조 형성 공정은 동시에 행해져도 된다. 상기 압착 공정 및 상기 요철 구조 형성 공정을 동시에 행하는 경우의 예를 도 6에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나는 대로, 불소계 수지층(601) 및 아크릴계 수지층(602)의 적층물과, 가식층(603)이, 한쪽 롤이 요철 구조를 갖는 요철 롤(610)이고 또한 다른 쪽 롤이 요철 구조를 갖지 않는 롤(611)인 한 쌍의 가열 롤에 의해, 라미네이트되고 또한 엠보스 처리된다. 불소계 수지층(601)이, 요철 롤(610)에 접촉되어, 요철 구조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한 쌍의 가열 롤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압착 공정 및 상기 요철 구조 형성 공정이 동시에 행해질 수 있다.
3. 성형체
본 발명은, 상기 불소계 수지층, 상기 아크릴계 수지층, 상기 가식층, 및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기재층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는 성형체를 제공한다. 즉, 당해 성형체는, 본 발명에 따른 가식 필름에 의해 기재층의 표면이 피복된 성형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체의 모식도를 도 4에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나는 대로, 본 발명에 따른 성형체(400)는,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불소계 수지층(401)과 아크릴계 수지층(402)과 가식층(403)과 기재층(404)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다.
상기 성형체를 구성하는 상기 불소계 수지층, 상기 아크릴계 수지층, 및 상기 가식층은, 상기 「1. 필름 인서트 성형용 가식 필름」에 있어서 기술한 대로이다.
상기 성형체는,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기재층을 포함한다. 당해 열가소성 수지는, 필름 인서트 성형에서 금형에 사출된 수지일 수 있다. 당해 열가소성 수지는, 예를 들면 아크릴로나이트릴-뷰타다이엔-스타이렌 공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아마이드 수지, 및 폴리유레테인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수지일 수 있다.
상기 성형체는,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인서트용 가식 필름을 이용하여 필름 인서트 성형을 행하는 것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성형체는, 하기 「4. 성형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설명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4. 성형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성형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당해 성형체는, 예를 들면 상기 「3. 성형체」에 있어서 기술한 대로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체의 제조 방법은, 불소계 수지 100∼80질량부 및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 0∼20질량부를 함유하는 불소계 수지층, 불소계 수지 50∼0질량부 및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 50∼100질량부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수지층, 및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가식층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고, 상기 불소계 수지층의 두께가 10∼200μm이고, 또한 상기 불소계 수지층의 상기 아크릴계 수지층에 접촉하지 않는 측의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필름 인서트 성형용 가식 필름을 금형 내에서 가열하여 연화시키는 연화 공정을 포함한다. 즉, 당해 연화 공정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인서트 성형용 가식 필름을 금형 내에서 가열하는 것에 의해 연화된다.
상기 연화 공정에서 이용되는 필름 인서트 성형용 가식 필름 및 당해 필름을 구성하는 각 층은, 상기 「1. 필름 인서트 성형용 가식 필름」에 있어서 기술한 대로이다. 상기 연화 공정에서 이용되는 금형은, 원하는 성형체의 형상에 따라서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작성 또는 준비되어도 된다.
상기 연화 공정에 있어서, 상기 가식 필름을 연화시키기 위해서, 당해 가식 필름은, 예를 들면 100℃∼160℃, 바람직하게는 110℃∼150℃,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140℃로 가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체의 제조 방법은, 상기 연화 공정에서 연화된 상기 필름을, 진공압 또는 압축 공기로 최종 형상으로 성형하는 포밍 공정을 포함한다. 당해 포밍 공정에 의해, 연화된 상기 필름이 금형 내면에 붙는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체의 제조 방법은, 상기 포밍 공정 후에, 기재층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를 상기 금형 내에 흘려 넣고, 그리고 냉각하여 고화시켜, 상기 필름 인서트 성형용 가식 필름과 상기 기재층이 일체화된 성형체가 얻어지는 인젝션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인젝션 공정에서 이용되는 열가소성 수지는, 상기 「3. 성형체」에 있어서 기술한 대로이다. 당해 열가소성은, 예를 들면 사출하는 것에 의해 금형 내에 흘려 넣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체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도 5에 나타낸다. 도 5의 (a)에 나타나는 대로, 본 발명에 따른 가식 필름(500)이, 금형(501) 및 금형(502) 사이에 삽입된다. 그리고, 가식 필름(500)이 가열되어 연화된다. 당해 연화 후, 도 5의 (b)에 나타나는 대로, 가식 필름(500)이, 예를 들면 흡인에 의해 금형(501)의 내면에 붙여지고, 부형된다. 당해 부형 후, 도 5의 (c)에 나타나는 대로, 기재층을 형성하는 수지(503)가 금형 내에 사출된다. 당해 사출 후, 수지가 고화되면, 도 5의 (d)에 나타나는 대로, 가식 필름(500)으로 덮인 성형체(504)가 얻어진다.
5. 필름 인서트 성형용 가식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적층 필름
본 발명은, 필름 인서트 성형용 가식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적층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 필름에 의해, 필름 인서트 성형에 있어서 표면 요철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가식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당해 적층 필름은, 상기 「1. 필름 인서트 성형용 가식 필름」에 있어서 기술한 대로의 불소계 수지층과 아크릴계 수지층의 적층물이다. 당해 적층 필름을 이용한 상기 필름 인서트 성형용 가식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2. 필름 인서트 성형용 가식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기술한 대로이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는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원재료>
(불소계 수지)
·알케마사제 폴리불화 바이닐리덴 Kynar "1000HD"
·알케마사제 폴리불화 바이닐리덴 Kynar "K720"
·알케마사제 폴리불화 바이닐리덴 Kynar "K741"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
·스미토모 화학사제 폴리메타크릴산 메틸(PMMA) 스미펙스 "MGSS"
·미쓰비시 케미컬사제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 하이페트 "HBS000"
(자외선 흡수제)
·BASF사제 트라이아진계 자외선 흡수제 "티누빈 1577ED"
·BASF사제 벤조트라이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티누빈 234"
(PVC 수지)
·주식회사 가네카제 폴리염화 바이닐(PVC) S1008C
(산화 타이타늄)
·DuPont사제 산화 타이타늄 D101
<콤파운드 공정>
2종류 이상의 원료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는, 각각의 원료를 미용융 상태로 예비 혼합시킨 후, 용융 혼합 설비 내에서 용융시키고, 균일하게 혼합시켰다. 그 후, 스트랜드상으로 압출하고, 냉각한 후, 펠릿상으로 절단한 것을 원료로서 사용했다.
<용융 혼합 설비>
·고베 세이코사제 "KTX30" 2축 압출기(스크루 길이(L[mm])/스크루 직경(D[mm])=46.8)
·스크루 혼련부 구성 ··· 실린더 내 C5∼C8 프로세스부에 VCMT 혼련부, 니딩 혼련부 있음
·스크린 메시 ··· 스크루측으로부터, 각각의 메시의 개구가 0.25mm, 0.075mm, 0.25mm인 것을 3매 겹침으로 한 것을 사용했다.
<적층 공정>
적층 공정에 있어서, 불소계 수지층과 아크릴계 수지층을 적층하여, 적층물을 얻었다. 구체적으로는, 적층 공정은 이하와 같이 행해졌다. 즉, 상기 콤파운드 공정에 의해 얻은 원료를 이하의 압출기로 충분히 용융시킨 후, 피드 블록 내에서 각각의 압출기의 수지끼리를 적층시키고, 코트 행어 타입의 T 다이 내부에서 광폭화하고, 필름상으로 압출했다. 상기 필름상 수지는, 하방으로 토출된 후, 즉시 온도 조절된 하드 크로뮴 도금 롤(표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 Ra=0.2μm)과 화이트 미러 롤에 의해 협지되고 인취되면서 냉각시켜 얻었다.
이때, T 다이의 립 간극의 폭을 나타내는 립 개도를 필름 두께로 나눈 값으로 정의되는 드래프트비를 15로 했다.
여기에서, T 다이로부터 압출된 수지가 접촉하여 냉각되는 제 1 냉각 롤의 표면 온도를 50℃로 했다.
또한, 필름의 권취 속도를 상기 제 1 냉각 롤의 회전 속도로 나눈 값으로 정의되는 드로비를 1.1로 했다.
<압출기 A(다층 구성에 있어서의 표면층측)>
·다나베 플라스틱스 기계 주식회사 단축 압출기(L/D=25)
·스크루 타입: 풀 플라이트 스크루
<압출기 B(다층 구성에 있어서의 이면층측)>
·주식회사 플라스틱 공학 연구소제 단축 압출기(L/D=25)
·스크루 타입: 풀 플라이트 스크루
<T 다이>
·선 엔지니어링 주식회사제 코트 행어 방식 폭: 550mm 립 개도: 0.5mm
<압착 공정 및 요철 구조 형성 공정>
전술한 불소계 수지층과 아크릴계 수지층의 적층물의 아크릴계 수지층측에, PVC 수지[S1008C(상품명), 주식회사 가네카] 및 산화 타이타늄[D101(상품명), DuPont 주식회사]으로 이루어지는 가식층을 접촉시키고, 한 쌍의 엠보스 롤의 한쪽이 요철 구조를 갖는 요철 롤인 엠보스 롤을 이용하여, 불소계 수지층측을 요철 롤에 접촉시켜 라미네이트 엠보스를 행하여, 불소계 수지층의 표면에 요철 구조를 갖는 필름 인서트 성형용 가식 필름을 형성했다. 형성된 요철 구조는, 깊이 20μm 및 폭 100μm의 선상의 홈을 50μm의 간격으로 등간격으로 갖는 것이다. 라미네이트 엠보스에 있어서의 온도 조건은, 불소계 수지층의 표면 온도가 170℃이고, 속도는 5m/분이었다.
<실시예 및 비교예>
이하의 표 1 및 2에 나타나는 실시예 1∼8 및 비교예 1∼3의 각각의 조성을 갖는 가식 필름을, 전술한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했다. 한편, 자외선 흡수제 및 산화 타이타늄에 관한 표 중의 수치의 단위(PHR)는, 수지 성분 100질량부당의 질량부이다. 제조된 가식 필름의 각 층의 두께, 및 불소계 수지층만의 경우의 140℃에서의 저장 탄성률도 이하의 표 1 및 2에 나타나 있다.
제조된 가식 필름에 대하여, 이하의 평가를 행했다. 평가 결과도 이하의 표 1 및 2에 나타나 있다.
<표면 요철의 내열성 평가>
오븐(Fine Oven DH610, 야마토 과학 주식회사제) 내에서, 조(槽) 내 온도 130℃라는 조건하에서, 제조된 가식 필름의 표면 온도가 130℃가 되도록 2분간 가열하고, 냉각 고화된 후의 홈 깊이를 레이저 현미경에 의한 단면 관찰에 의해 계측했다.
<아크릴계 수지층과 가식층 사이의 라미네이트 강도 평가>
상기에서 제조된 가식 필름과는 별개로, 이하의 표 1 및 2에 나타나는 실시예 1∼8 및 비교예 1∼3의 각각의 조성 및 두께를 갖는 불소계 수지층과 아크릴계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필름의 아크릴계 수지층측에, 폴리염화 바이닐을 포함하는 가식층을 겹치고, 표면 온도가 140℃인 금속 롤과 고무 롤로 협지하고 1m/min의 속도로 열 라미네이트하여, 라미네이트 강도 평가용 샘플을 제작했다. 이 샘플을 폭 15mm, 길이 80mm의 단책상으로 잘라냈다. 당해 단책상 샘플의 길이 방향의 단부 20mm 분을 박리하고, 상기 적층 필름을 스트로그래프 VE1D(주식회사 도요세이키제작소제) 위의 척에, 상기 가식층을 아래의 척에 각각 끼우고, 200mm/min의 속도로 박리했을 때의 척간의 하중을 측정했다. 한편, 박리 거리 10∼30mm의 척간의 하중의 평균치를, 박리 강도(라미네이트 강도)로서 산출했다.
<가식 필름의 불소계 수지층측 표면의 광택도 변화의 평가>
가식 필름의 불소계 수지층측에 자외선을 조사한 경우의 광택도 변화를 평가했다. 당해 조사는, 메탈 웨더 자외선 조사 시험기(다이플라·윈테스 주식회사제)에 의해 행해졌다. 조사 조건은, 이하대로였다.
조사 강도: 132mW/cm2
자외선 조사면: 표면층
블랙 패널 온도 63℃
습도 50%Rh
조사/결로 사이클=6시간/2시간
조사 전후의 샘플의 불소계 수지층측의 60° 광택도를 핸디형 광택계 PG-IIM(닛폰 덴쇼쿠 공업 주식회사제)을 이용해서 측정하여, 조사 전후의 광택도의 변화를 얻었다.
<가식 필름의 황색도 변화의 평가>
가식 필름의 불소계 수지층측에 자외선을 조사한 경우의 황색도 변화를 평가했다. 당해 조사는, 메탈 웨더 자외선 조사 시험기(다이 플라스틱·윈테스 주식회사제)에 의해 행해졌다. 조사 조건은, 이하대로였다.
조사 강도: 132mW/cm2
자외선 조사면: 표면층
블랙 패널 온도 63℃
습도 50%Rh
조사/결로 사이클=6시간/2시간
조사 전후의 샘플의 불소계 수지층측의 색을 분광 색차계(색차계 Color Meter ZE6000, 닛폰 덴쇼쿠 공업 주식회사제)를 이용해서 측정하여, 불소계 수지층측의 황색도의 변화 Δb를 얻었다.
<방오성 평가>
하기의 방오 재료 I종 시험에 따라, 가식 필름의 불소계 수지층측의 방오성을 평가했다.
(1) 시험 전의 명도(L0)를 색차계(색차계 Color Meter ZE6000, 닛폰 덴쇼쿠 공업 주식회사제)로 평가했다.
(2) 현탁 용액(카본 블랙 FW-200(데구사사제)/탈이온수=5질량%/95질량%)을 에어 스프레이로 가식 필름의 표면이 균일하게 은폐될 때까지 도포했다.
(3) 가식 필름을 60℃에서 1시간 건조시킨 후, 실온까지 방랭했다.
(4) 유수하에서, 가식 필름 표면의 오염 물질을 거즈(BENCOT M-3(아사히 카세이 공업 주식회사제))에 떨어뜨리면서 세정했다.
(5) 시험 후의 명도(L1)를 상기 색차계로 평가했다.
(6) 오염의 정도(명도차 ΔL)를 하기 식에 의해 구했다.
명도차 ΔL=시험 후의 명도 L1-시험 전의 명도 L0
<내약품성 평가>
자외선 차단제(뉴트로지나(등록상표)), 선 오일(코퍼톤(등록상표)), 가솔린, 및 가소홀(가솔린 90질량% 및 에탄올 10질량%)을 가식 필름 표면에 적하하고, 적하 부분을 커버 유리로 덮고, 80℃에서 1시간 정치했다. 정치 후, 적하된 약액을 닦아내고, 적하 부분의 외관을 이하의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했다.
외관 변화 없음: A
적하한 부분이 약간 팽윤됨: B
백탁 또는 천공이 생김: C
<각 층의 두께 측정 방법>
소형의 금속제 바이스에 가식 필름을 끼워 고정하고, 한쪽 날 나이프를 이용하여 필름의 단면이 평활해지도록 커트했다. 바이스에 필름을 끼운 상태로, 공초점식 레이저 현미경(기엔스사제 VK-X110)을 이용해서 필름 단면을 확대 배율 50배로 관찰하여, 각 층의 두께를 계측했다.
한편,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불소계 수지층에 관해서는, 불소계 수지층의 요철의 볼록부의 정부(頂部)로부터 아크릴계 수지층의 접촉면까지의, 필름면에 대한 수직 거리를 두께로 했다.
또한, 아크릴계 수지층에 대해서도, 요철 형성 구조 공정에 있어서, 불소계 수지층과의 접촉면에 요철이 형성된다. 그 때문에, 아크릴계 수지층에 관해서도, 아크릴계 수지층의 요철의 볼록부의 정부로부터 가식층의 접촉면까지의, 필름면에 대한 수직 거리를 두께로 했다.
<저장 탄성률>
가식 필름의 저장 탄성률은, 이하의 측정 장치를 이용하고 또한 이하의 측정 조건에서 측정되었다.
측정 장치: TA 인스트루먼트 재팬(주)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 RSA-G2
측정 모드: 동적 측정 모드(온도 소인)
측정 온도 범위: 23∼200℃
승온 속도: 10℃/min
주파수: 1Hz
샘플 형상: 필름의 흐름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해서, 길이 30mm×폭 5mm의 단책상
척간 거리: 10mm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표 1 및 표 2에 나타나는 대로, 실시예 1∼8의 가식 필름은, 가열한 경우에 표면 요철이 양호하게 유지되었다. 게다가, 실시예 1∼8의 가식 필름은, 아크릴계 수지층과 가식층 사이의 라미네이트 강도가 우수하고, 또한 내광성, 방오성, 및 내약품성도 우수했다. 한편으로, 비교예 1의 가식 필름은, 가열한 경우에 표면 요철이 유지되지 않았다. 또한, 비교예 1의 가식 필름은, 광택도의 변화가 커, 내광성이 뒤떨어져 있었다. 또한, 비교예 1의 가식 필름은, 방오성 및 내약품성도 뒤떨어져 있었다. 또한, 비교예 2의 가식 필름은, 가열한 경우에 표면 요철이 유지되지 않았다. 또한, 비교예 3의 가식 필름은, 아크릴계 수지층과 가식층 사이의 라미네이트 강도가 뒤떨어져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가식 필름은, 가열한 경우에 표면 요철이 양호하게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가식 필름은, 층간 접착성, 내광성, 방오성, 및 내약품성도 우수하다.
100 가식 필름
101 불소계 수지층
102 아크릴계 수지층
103 가식층

Claims (16)

  1. 불소계 수지 100∼80질량부 및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 0∼20질량부를 함유하는 불소계 수지층,
    불소계 수지 50∼0질량부 및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 50∼100질량부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수지층, 및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가식층
    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고,
    상기 불소계 수지층의 두께가 10μm∼200μm이고,
    상기 불소계 수지층의 상기 아크릴계 수지층에 접촉하지 않는 측의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필름 인서트 성형용 가식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수지층의 두께가 10μm∼80μm인, 필름 인서트 성형용 가식 필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의 깊이가 5μm∼100μm인, 필름 인서트 성형용 가식 필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계 수지층의 140℃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1.0×107∼1.0×109dyn/cm2인, 필름 인서트 성형용 가식 필름.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계 수지층에 포함되는 상기 불소계 수지가, 폴리불화 바이닐리덴, 불화 바이닐리덴-6불화 프로필렌 공중합체, 불화 바이닐리덴-6불화 프로필렌-4불화 에틸렌 공중합체, 에틸렌-염화 3불화 에틸렌 공중합체, 및 에틸렌-4불화 에틸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불소계 수지인, 필름 인서트 성형용 가식 필름.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수지층이 자외선 흡수제를 추가로 함유하고,
    상기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이, 상기 아크릴계 수지층에 포함되는 상기 불소계 수지의 질량과 상기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의 질량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해, 0.1∼10질량부인,
    필름 인서트 성형용 가식 필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흡수제가, 트라이아진계 화합물 또는 벤조트라이아졸계 화합물인, 필름 인서트 성형용 가식 필름.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식층에 포함되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아크릴로나이트릴-뷰타다이엔-스타이렌 공중합체, 폴리염화 바이닐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폴리유레테인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수지인, 필름 인서트 성형용 가식 필름.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식층이 착색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필름 인서트 성형용 가식 필름.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필름 인서트 성형용 가식 필름을 포함하는, 자동차 내외장 부품.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내외장 부품이, 자동차 내장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부품, 콘솔 부품, 혹은 필러 부품, 또는 자동차 외장의 사이드 미러 커버 혹은 범퍼인, 자동차 내외장 부품.
  12. 불소계 수지 100∼80질량부 및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 0∼20질량부를 함유하는 불소계 수지층과, 불소계 수지 50∼0질량부 및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 50∼100질량부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수지층을, 공압출법에 의해 적층하는 적층 공정,
    상기 적층 공정에서 얻어진 적층물의, 상기 아크릴계 수지층의 상기 불소계 수지층과 접촉하지 않는 측의 표면에,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가식층을 가열 롤로 압착하는 압착 공정, 및
    상기 압착 공정의 직후에, 상기 불소계 수지층의 상기 아크릴계 수지층과 접촉하지 않는 측의 표면에 요철 가열 롤을 압착시킴으로써 요철 구조가 당해 표면에 형성되는 요철 구조 형성 공정
    을 포함하는, 필름 인서트 성형용 가식 필름의 제조 방법.
  13. 불소계 수지 100∼80질량부 및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 0∼20질량부를 함유하는 불소계 수지층,
    불소계 수지 50∼0질량부 및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 50∼100질량부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수지층,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가식층, 및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기재층
    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고,
    상기 불소계 수지층의 두께가 10∼200μm이고,
    상기 불소계 수지층의 상기 아크릴계 수지층에 접촉하지 않는 측의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성형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에 포함되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아크릴로나이트릴-뷰타다이엔-스타이렌 공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아마이드 수지, 및 폴리유레테인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수지인, 성형체.
  15. 불소계 수지 100∼80질량부 및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 0∼20질량부를 함유하는 불소계 수지층, 불소계 수지 50∼0질량부 및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 50∼100질량부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수지층, 및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가식층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고, 상기 불소계 수지층의 두께가 10∼200μm이고, 또한 상기 불소계 수지층의 상기 아크릴계 수지층에 접촉하지 않는 측의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필름 인서트 성형용 가식 필름을 금형 내에서 가열하여 연화시키는 연화 공정,
    상기 연화 공정에서 연화된 상기 가식 필름을, 진공압 또는 압축 공기로 최종 형상으로 성형하는 포밍 공정,
    상기 포밍 공정 후에, 기재층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를 상기 금형 내에 흘려 넣고, 그리고 냉각하여 고화시켜, 상기 필름 인서트 성형용 가식 필름과 상기 기재층이 일체화된 성형체가 얻어지는 인젝션 공정
    을 포함하는, 성형체의 제조 방법.
  16. 불소계 수지 100∼80질량부 및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 0∼20질량부를 함유하는 불소계 수지층, 및
    불소계 수지 50∼0질량부 및 메타크릴산 에스터계 수지 50∼100질량부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수지층
    이 적층되어 있고, 상기 불소계 수지층의 두께가 10∼200μm인,
    필름 인서트 성형용 가식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적층 필름으로서,
    상기 가식 필름의 제조에 있어서, 상기 적층 필름에,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가식층이 가열 롤로 압착되고, 그리고, 당해 압착의 직후에, 상기 불소계 수지층의 상기 아크릴계 수지층과 접촉하지 않는 측의 표면에 요철 가열 롤을 압착시킴으로써 요철 구조가 당해 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식 필름이 제조되는,
    상기 적층 필름.
KR1020217001709A 2018-06-22 2019-06-19 필름 인서트 성형용 가식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100220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18526 2018-06-22
JP2018118526 2018-06-22
PCT/JP2019/024187 WO2019244909A1 (ja) 2018-06-22 2019-06-19 フィルムインサート成形用加飾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2077A true KR20210022077A (ko) 2021-03-02

Family

ID=68984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1709A KR20210022077A (ko) 2018-06-22 2019-06-19 필름 인서트 성형용 가식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07872B2 (ko)
EP (1) EP3795354B1 (ko)
JP (1) JP7455742B2 (ko)
KR (1) KR20210022077A (ko)
CN (1) CN112313076B (ko)
WO (1) WO2019244909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37612A (ja) 2015-01-27 2016-08-04 共和レザー株式会社 合成樹脂表皮材、合成樹脂表皮材の製造方法、合成樹脂表皮材を用いた成形体、及び成形体の製造方法
JP2016203436A (ja) 2015-04-17 2016-12-08 共和レザー株式会社 合成樹脂表皮材、その製造方法及び合成樹脂表皮材を用いた成形体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1428A (ja) 1999-09-06 2001-03-21 Denki Kagaku Kogyo Kk 自動車加飾用積層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260169A (ja) 2000-03-17 2001-09-25 Dainippon Printing Co Ltd 射出成形同時加飾用シート
JP4462738B2 (ja) 2000-09-08 2010-05-12 株式会社クレハ フッ化ビニリデン系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からなる成形体
JP4357804B2 (ja) * 2002-07-10 2009-11-0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成形加飾用シート及び射出成形同時加飾方法
JP5318546B2 (ja) * 2008-12-02 2013-10-16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フッ素系樹脂積層艶消し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3063537A (ja) * 2011-09-16 2013-04-11 Mitsubishi Rayon Co Ltd フッ化ビニリデン系樹脂積層フィルム、フッ化ビニリデン系樹脂加飾積層フィルム、積層シート、積層体、化粧材用積層シート状物及び車両用成形体
JP2014061705A (ja) 2012-08-31 2014-04-10 Mitsubishi Rayon Co Ltd 樹脂積層透明フィルム及び積層成形品
JP6151994B2 (ja) * 2013-07-08 2017-06-21 共和レザー株式会社 加熱成形用合成樹脂表皮材、その製造方法及び加熱成形用合成樹脂表皮材を用いた成形体の製造方法
JP2015160874A (ja) * 2014-02-26 2015-09-07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艶消しフィルム用樹脂組成物、艶消しフィルム、艶消し積層フィルム、艶消し加飾フィルム、積層シート、及び積層成形品
EP3170874B1 (en) * 2014-07-14 2019-04-10 Denka Company Limited Polyvinylidene fluoride resin adhesive film
US20190217586A1 (en) * 2016-05-18 2019-07-18 Kuraray Co., Ltd. Multilayer film
KR102008476B1 (ko) * 2016-05-30 2019-08-08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보호 필름을 구비하는 수지 적층체
CN110662792B (zh) * 2017-06-01 2022-04-15 电化株式会社 偏二氟乙烯系树脂膜
KR102574541B1 (ko) * 2017-09-22 2023-09-04 덴카 주식회사 진공 성형용 수지 필름
CN111386197B (zh) * 2017-11-28 2022-02-15 电化株式会社 偏氟乙烯系树脂多层薄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37612A (ja) 2015-01-27 2016-08-04 共和レザー株式会社 合成樹脂表皮材、合成樹脂表皮材の製造方法、合成樹脂表皮材を用いた成形体、及び成形体の製造方法
JP2016203436A (ja) 2015-04-17 2016-12-08 共和レザー株式会社 合成樹脂表皮材、その製造方法及び合成樹脂表皮材を用いた成形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95354A4 (en) 2021-07-14
EP3795354A1 (en) 2021-03-24
US20210268780A1 (en) 2021-09-02
JPWO2019244909A1 (ja) 2021-07-15
CN112313076B (zh) 2023-02-17
JP7455742B2 (ja) 2024-03-26
CN112313076A (zh) 2021-02-02
WO2019244909A1 (ja) 2019-12-26
EP3795354B1 (en) 2024-04-24
US11207872B2 (en) 202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60676B2 (ja) 押出樹脂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積層体
KR102574541B1 (ko) 진공 성형용 수지 필름
WO2009104399A1 (ja) 成形用樹脂シート及び成形体
JP7117298B2 (ja) 積層フィルム、及び、自動車又は自動車用部品
EP2881253B1 (en) Multilayer film, film for decorative molding, and molded body
KR102290576B1 (ko) 내찰상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적층체
MXPA05001423A (es) Metodo para la produccion de pelicula termoplastica de orientacion baja, la pelicula que se elabora de ese modo y el uso de la misma.
JP2011093258A (ja) 艶消し樹脂フィルム
JP7244879B2 (ja) 金属調加飾フィルム、金属調車両内外装部材、金属調成形体
KR102566588B1 (ko) 아크릴계 수지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022077A (ko) 필름 인서트 성형용 가식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11031498A (ja) 多層フィルム
KR101786149B1 (ko) 성형성이 우수한 고광택 인테리어용 장식필름
JP2007161735A (ja) 熱成形用艶消しアクリル樹脂フィルム状物、熱成形用艶消しアクリル樹脂フィルム状物の製造方法、および、この熱成形用艶消しアクリル樹脂フィルム状物を含む積層体
AU620295B2 (en) Thermoformable polyaryletherketone/polyvinyl fluoride laminates
KR20080071914A (ko) 적층 필름
JP2019167433A (ja) 艶消し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艶消し積層フィルム等
JP7441743B2 (ja) 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
JP7241088B2 (ja) 熱可塑性樹脂多層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積層体
JP7497228B2 (ja) アクリル系樹脂組成物
JP2018079591A (ja) フッ素系樹脂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CN116096567A (zh) 多层片和多层膜、以及使用它们的装饰成型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