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1787A - 보 구조용 거푸집의 스터럽 설치장치 - Google Patents

보 구조용 거푸집의 스터럽 설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1787A
KR20210021787A KR1020190101190A KR20190101190A KR20210021787A KR 20210021787 A KR20210021787 A KR 20210021787A KR 1020190101190 A KR1020190101190 A KR 1020190101190A KR 20190101190 A KR20190101190 A KR 20190101190A KR 20210021787 A KR20210021787 A KR 20210021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rrup
formwork
welding
moving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1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6212B1 (ko
Inventor
고미순
Original Assignee
고미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미순 filed Critical 고미순
Priority to KR1020190101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6212B1/ko
Publication of KR20210021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1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Abstract

본 발명은 보 구조용 거푸집의 스터럽 설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장방형의 하판과 한 쌍의 측판이 상기 하판의 길이방향 양측단에 세워져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모르타르의 타설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하판과 상기 측판들의 내주면에 폭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비드들이 형성되어 상기 타설공간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와 결합되어 보를 이루는 보 구조용 거푸집에 스터럽을 설치하는 스터럽 설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스터럽이 인출 가능하게 저장된 스터럽 박스를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장치; 상기 이동장치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장치가 상기 스터럽의 설치 위치에 도착하면, 상기 스터럽 박스로부터 상기 스터럽을 인출하여 상기 타설공간에 안착시키는 로딩장치; 및 상기 이동장치에 설치되며, 상기 타설공간에 안착된 스터럽과 상기 거푸집의 각 비드들과 맞닿는 부분을 용접하여 상기 거푸집에 상기 스터럽을 설치하는 웰딩장치를 포함하는 보 구조용 거푸집의 스터럽 설치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터럽의 설치 과정이 자동으로 진행됨으로써, 보 구조물의 타설 과정을 크게 간소화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보 구조물의 제작 단가를 크게 낮출 수 있다. 또한, 설치 과정의 간소화됨으로써, 건설인력의 노무량을 크게 줄일 수 있음은 물론, 건설인력의 안전사고를 경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 구조용 거푸집의 스터럽 설치장치{Equipment for installation of beam structural form}
본 발명은 보 구조용 거푸집의 스터럽 설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에 결합되어 보를 형성하는 보 구조용 거푸집에 스터럽을 자동으로 설치해 주는 보 구조용 거푸집의 스터럽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건축물을 짓는 과정은 구조물의 형상에 대응되는 거푸집을 형성한 후, 모르타르를 거푸집에 타설하는 과정을 수반한다. 종래의 보 구조물을 타설하는 과정은 합판 또는 유로폼으로 이루어진 장방형의 하판과 하판의 양측면으로 한 쌍의 측면판을 세워 모르타르의 타설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타설공간으로 모르타르를 타설한다. 이때, 타설공간에는 스터럽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스터럽의 내부로 복수 개의 주근이 현장에서 용접 등에 의하여 접합된다.
이러한 종래의 보 구조물을 타설하는 거푸집은 부족한 강성에 의해 동바리와 같은 보조적인 구조물을 필요로 한다거나 콘크리트 양생 후 거푸집을 제거하는 번거로움이 따른다. 이에,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954447호에 일정 강성을 지닌 강판을 거푸집으로 사용하여 콘크리트와 결합시켜 보를 이루는 기술이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제시된 기술 역시 거푸집을 설치한 후 스터럽을 설치하는 과정에 건설인력을 필요로 하여 인건비에 따른 제작 단가의 상승은 물론, 건설인력의 안전사고와 같은 문제를 안고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954447호』
본 발명은 콘크리트에 결합되어 보를 형성하는 보 구조용 거푸집에 스터럽을 자동으로 설치해 주는 스터럽 설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장방형의 하판과 한 쌍의 측판이 상기 하판의 길이방향 양측단에 세워져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모르타르의 타설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하판과 상기 측판들의 내주면에 폭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비드들이 형성되어 상기 타설공간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와 결합되어 보를 이루는 보 구조용 거푸집에 스터럽을 설치하는 스터럽 설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스터럽이 인출 가능하게 저장된 스터럽 박스를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장치; 상기 이동장치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장치가 상기 스터럽의 설치 위치에 도착하면, 상기 스터럽 박스로부터 상기 스터럽을 인출하여 상기 타설공간에 안착시키는 로딩장치; 및 상기 이동장치에 설치되며, 상기 타설공간에 안착된 스터럽과 상기 거푸집의 각 비드들과 맞닿는 부분을 용접하여 상기 거푸집에 상기 스터럽을 설치하는 웰딩장치를 포함하는 보 구조용 거푸집의 스터럽 설치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스터럽의 설치 과정이 자동으로 진행됨으로써, 보 구조물의 타설 과정을 크게 간소화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보 구조물의 제작 단가를 크게 낮출 수 있다.
둘째, 설치 과정의 간소화됨으로써, 건설인력의 노무량을 크게 줄일 수 있음은 물론, 건설인력의 안전사고를 경감할 수 있다.
셋째, 건설인력의 숙련도에 의존했던 스터럽의 설치 과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스터럽의 설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에 결합되어 보를 이루는 거푸집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터럽 설치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가 스터럽과 비드의 맞닿는 부분을 식별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이동장치가 스터럽의 설치 위치로 이동된 후, 로딩장치에 의해 스터럽이 모르타르의 타설공간에 안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동작도이다.
도 5는 도 2의 사이드푸셔에 의해 이동장치가 고정되고, 업다운 푸셔에 의해 타설공간에 안착된 스터럽이 고정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동작도이다.
도 6은 도 2의 웰딩장치가 타설공간에 안착된 스터럽을 용접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동작도이다.
도 7은 도 2의 스터럽 설치장치가 설정된 위치에 스터럽을 설치하고 다음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동작도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터럽(ST)이 설치되는 보 구조용 거푸집(10)(이하, ‘거푸집(10)’이라 함)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 구조용 거푸집(10)의 스터럽 설치장치(100)(이하, ‘스터럽 설치장치(100)’라 함)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거푸집(10)은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형상 및 구조를 제공함은 물론, 콘크리트와 결합되어 보 구조를 형성하는 것으로 하판(11), 한 쌍의 측판(12) 및 복수 개의 비드(13)들을 포함한다.
하판(11)과 한 쌍의 측판(12)은 각각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하판(11)을 기준으로 한 쌍의 측판(12)이 하판(11)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하판(11)의 양측단에 세워짐으로써 내부에 모르타르의 타설공간(IS)을 형성한다. 이때, 거푸집(10)의 내주면, 즉, 타설공간(IS)에는 하판(11)과 한 쌍의 측판(12)으로부터 거푸집(10)의 폭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어 거푸집(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 개의 비드(13)들이 더 형성된다.
이러한 비드(13)들은 거푸집(10)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모르타르가 타설공간(IS)에서 콘크리트로 양생되면, 콘크리트 내부에 삽입되어 거푸집(10)이 콘크리트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각 비드(13)들의 돌출된 끝단은 돌출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 즉, 구부러진 구조로 형성되어, 거푸집(10)이 콘크리트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은 물론, 후술될 스터럽(ST)이 용접되어 접합될 때, 일정 크기의 접합면을 제공한다. 여기서, 비드(13) 끝단의 굴절 방향은 하판(11)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중심선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어 제작의 편의는 물론, 굴절에 따른 타설공간(IS)의 사각지대를 경감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거푸집(10)의 하판(11)과 한 쌍의 측판(12)에는 거푸집(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요철문양(14)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타설공간(IS) 내 콘크리트의 길이방향 유동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10)은 하나의 플레이트를 폭 방향으로 접어 하판(11)과 한 쌍의 측판(12)을 일체화된 형태로 제조함은 물론, 동일한 방식으로 비드(13)들 역시 형성한다. 이에, 제작 과정 상 비드(13)의 끝단을 거푸집(10)의 길이방향으로 굴절시키기 힘든 일체화된 비드(13)의 구조적인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요철문양(14)들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거푸집(10)에는 타설되는 모르타르의 하중에 의한 타설공간(IS)의 변형을 경감하기 위해 스터럽(ST)이 설치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본 발명의 스터럽 설치장치(100)는 거푸집(10)을 따라 이동하며 설정된 위치에 건설인력을 대신하여 스터럽(ST)을 자동으로 설치한다. 이때, 설치되는 스터럽(ST)은 U형 스터럽, 개방형 스터럽 또는 폐합형 스터럽일 수 있다. 다만, 설치되는 스터럽이 U형 스터럽(US)일 경우, 양단이 거푸집(10)의 측판(12)들에 각각 맞닿아 용접되어 접합되는 보강재(RI)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나아가, 측판(12)들에 형성되는 비드(13)들을 연결하여 거푸집(10)의 폭방향 벌어짐을 경감할 수 있도록 측판(12)의 비드(13)에는 거푸집(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관통공(13a)들이 일정 간격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며, 대칭된 관통공(13a)에 U형 스터럽이 거꾸로 끼워져 측판(12)의 비드(13)들을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보강재(RI)와 관통공(13a)에 추가적으로 끼워지는 U형 스터럽 역시 스터럽 설치장치(100)에 의해 용접되어 접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터럽 설치장치(100)는, 가이드 레일(110), 이동장치(120), 로딩장치(130), 사이드 푸셔(140), 업다운 푸셔(150) 및 웰딩장치(160)를 포함한다.
가이드 레일(110)은, 거푸집(10)의 양 측면, 즉, 한 쌍의 측판(12)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게 배치되어 거푸집(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됨으로써, 후술될 이동장치(120)의 이동경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가이드 레일(110)은 거푸집(10)을 중심으로 대칭된 한 쌍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하나의 레일만을 갖는 형태 또는 복수 개의 레일을 갖는 형태로 제공되는 것 역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 있다 할 것이다. 아울러, 거푸집(10) 한 쌍의 측판(12)의 상부를 레일 형태로 형성하여 이동장치(120)의 이동경로를 제공하거나, 한 쌍의 측판(12)에 형성되는 비드(13)들 중 일부를 레일 형태로 형성하여 이동장치(120)의 이동경로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동장치(120)는 스터럽(ST)을 설정된 위치에 배치하기 위해 상술한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거푸집(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 수직 프레임(121), 수평 프레임(122) 및 스터럽 박스(123)를 포함한다.
수직 프레임(121)은 대칭된 한 쌍으로 마련되며, 각 하단이 상술한 가이드 레일(110)에 각각 안착되어 기립된 상태로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한 쌍의 수직 프레임(121)에는 푸셔 안내홀(121a)이 수직 프레임(121)의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각 수직 프레임(121)에 형성되어 후술될 사이드 푸셔(140)가 거푸집(10)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한다. 수평 프레임(122)은 한 쌍의 수직 프레임(121)의 상단들을 연결하여, 한 쌍의 수직 프레임(121)이 동시에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이동하게 하며, 수평 프레임(122)의 길이방향 양측면에는 전면 레일(122a)과 후면 레일(122b)이 각각 형성되어 로딩장치(130), 업다운 푸셔(150) 및 웰딩장치(160)의 설치공간 및 이동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이동장치(120)에는 타설공간(IS)에 설치되는 스터럽(ST)이 수용된 스터럽 박스(123)가 어느 하나의 수직 프레임(121)상에 설치된다.
로딩장치(130)는 이동장치(120)가 타설공간(IS) 내 스터럽(ST)의 설치 위치에 도착하면, 스터럽(ST) 박스(123)에서 스터럽(ST)을 인출하여 타설공간(IS) 내 설정된 위치에 안착시키는 것으로, 로딩이동암(131), 로딩회동암(132) 및 지그(133)를 포함한다.
로딩이동암(131)은 시작단이 상술한 이동장치(120)의 전면 레일(122a) 또는 후면 레일(122b)에 회동가능하게 안착되어 수평 프레임(122)을 따라 이동 또는 회동하여 스터럽(ST) 박스(123)로부터 인출된 스터럽(ST)을 타설공간(IS)의 폭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 또한, 로딩회동암(132)은 로딩이동암(131)의 끝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타설공간(IS)의 폭방향을 따라 이동된 스터럽(ST)을 타설공간(IS)의 높이(깊이)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타설공간(IS) 내 스터럽(ST)의 설정된 위치에 안착시킨다. 로딩회동암(132)의 끝단에는 스터럽(ST)을 파지할 수 있는 지그(133)가 구비된다.
사이드 푸셔(140)는 상술한 한 쌍의 푸셔 안내홀(121a)에 각각 끼워져 수직 프레임(121)으로부터 거푸집(10)의 외주면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거푸집(10)의 외주면, 즉, 측판(12)의 외주면을 마주하여 가압함으로써, 거푸집(10)이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스터럽(ST)의 설치 위치에 도달한 이동장치(120)에 지지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업다운 푸셔(150)는 상술한 전면 레일(122a) 또는 후면 레일(122b)을 따라 이동하여 로딩장치(130)에 의해 타설공간(IS) 내 안착된 스터럽(ST)을 거푸집(10)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업다운이동암(151) 및 업다운고정암(152)을 포함한다.
업다운이동암(151)은 시작단이 전면 레일(122a) 또는 후면 레일(122b)에 끼워져 수평 프레임(122)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이동하며, 업다운고정암(152)은 업다운이동암(151)의 끝단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결합되어 업다운이동암(151)이 수평 프레임(122)을 따라 설정된 위치에 도달하면 업다운이동암(151)의 끝단으로부터 슬라이딩 연장되어 돌출된 끝단이 타설공간(IS)에 안착된 스터럽(ST)을 가압하여 가압된 스터럽(ST)이 거푸집(10)에 고정되게 한다. 이때, 업다운 푸셔(150)의 가압 위치는 스터럽(ST)의 무게 중심을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사이드 푸셔(140)와 업다운 푸셔(150)는 후술될 웰딩장치(160)가 거푸집(10) 내주면의 비드(13)에 안착된 스터럽(ST)을 용접함에 앞서, 거푸집(10)과 거푸집(10)에 안착된 스터럽(ST)이 이동장치(120)에 설치된 각 푸셔(140, 150)에 의해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여 웰딩장치(160)가 스터럽(ST)과 비드(13)의 맞닿는 부분인 용접 위치를 정확하게 식별하게 할 수 있다.
웰딩장치(160)는 거푸집(10) 내 안착된 스터럽(ST)과 비드(13)를 용접하는 것으로, 제1 웰딩기(161) 및 제2 웰딩기(162)를 포함한다.
제1 웰딩기(161)는 수평 프레임(122)의 하부에 설치되어 스터럽(ST)과 비드(13)가 맞닿는 부분 중, 이동장치(120)의 이동방향으로 형성된 일측의 맞닿는 부분을 용접하며, 제2 웰딩기(162)는 제1 웰딩기(161)와 마찬가지로 수평 프레임(122)의 하부에 설치되어 스터럽(ST)과 비드(13)가 맞닿는 부분 중, 이동장치(120) 이동방향의 역방향으로 형성된 대칭된 타측의 맞닿는 부분을 용접한다. 여기서, 각 웰딩기는 상술한 용접 동작을 실시하기 위해, 웰딩회동암(163), 웰딩연계암(164) 및 웰딩전극암(165)을 포함한다.
웰딩회동암(163)은 시작단이 수평 프레임(122)의 하부에 설치되어 수평방향으로 회동하고, 웰딩연계암(164)은 시작단이 웰딩회동암(163)의 끝단에 연결되어 수직방향으로 회동하며, 웰딩전극암(165)은 끝단에 용접수단을 구비하되 시작단이 웰딩연계암(164)에 연결되어 수직방향으로 회동한다. 웰딩회동암(163)의 수평회동에 의해 각 웰딩기는 용접수단을 타설공간(IS)의 폭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웰딩연계암(164)과 웰딩전극암(165)의 연동된 수직회동에 의해 각 웰딩기는 용접수단을 타설공간(IS) 내 안착된 스터럽(ST)과 비드(13)가 맞닿는 부분에 근접시킬 수 있다.
여기서, 로딩장치(130), 사이드 푸셔(140), 업다운 푸셔(150) 및 웰딩장치(160)의 설치 위치와 동작을 수평 프레임(122)과 수직 프레임(121) 상의 슬라이딩 및 회동 동작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각 기술 구성들이 설계 변경되어 다른 동작을 통해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로딩장치(130)는 슬라이딩 동작 없이 회동동작만으로 스터럽(ST)을 타설공간(IS)에 안착시킬 수 있거나, 웰딩장치(160)가 회동동작에 앞서 수평 프레임(122) 상으로 슬라이딩되어 이동되게 하는 기술 구성 역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 있음은 자명하다.
한편, 도 3을 참조하여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스터럽 설치장치(100)는 상술한 스터럽(ST)과 비드(13)의 맞닿는 부분을 식별하기 위한 CCD(Charge Couple device) 센서,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센서 등의 이미지 센서(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의 이미지 센서는 이동장치(120)에 설치되어 이동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터럽 설치장치(100)의 설치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터럽 설치장치(100)는 보 구조용 거푸집(10)에 스터럽(ST)을 설치하기 위해, 한 쌍의 가이드 레일(110)이 거푸집(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거푸집(10)의 측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다. 한 쌍의 가이드 레일(110)이 설치되면, 한 쌍의 가이드 레일(110)에 스터럽 박스(123)가 구비된 이동장치(120)가 설치된다. 이때, 이동장치(120)에는 로딩장치(130), 사이드 푸셔(140), 업다운 푸셔(150), 웰딩장치(160) 및 이미지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110)에 이동장치(120)가 설치되면, 이동장치(120)는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거푸집(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스터럽(ST)의 설치 위치에 도착하여 정지한다. 이때, 스터럽(ST)의 설치 위치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일정 간격의 위치일 수 있으나, 설정에 따른 임의의 위치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동장치(120)가 정지되면, 로딩장치(130)는 스터럽 박스(123)로부터 스터럽(ST)을 인출하여 거푸집(10)의 타설공간(IS)에 스터럽(ST)을 안착시킨다.
도 5를 참조하면, 타설공간(IS)에 스터럽(ST)이 안착된 후, 사이드 푸셔(140)는 이동장치(120)로부터 대칭되게 한 쌍으로 돌출되어 거푸집(10)의 외주면을 마주하여 가압함으로써, 거푸집(10)이 이동장치(120)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며, 업다운 푸셔(150) 역시 이동장치(120)로부터 연장되어 스터럽(ST)을 가압함으로써, 스터럽(ST)이 거푸집(10)에 고정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러한 거푸집(10)과 스터럽(ST)이 함께 고정된 후, 웰딩장치(160)의 제1 웰딩기(161)는 이동장치(120)의 이동방향인 일측에 형성된 스터럽(ST)과 비드(13)의 맞닿는 부분을 용접하며, 동시에 제2 웰딩기(162) 역시 이동장치(120) 이동방향의 역방향인 타측에 형성된 스터럽(ST)과 비드(13)의 맞닿는 부분을 용접한다. 이때, 각 웰딩기의 용접 순서 및 방향은 동일하게 설정되어, 마주보았을 때 엇갈린 순서 또는 방향으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마주보았을 때 동일한 순서 또는 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하나의 스터럽(ST)이 거푸집(10)에 설치되면 웰딩장치(160), 사이드 푸셔(140), 업다운 푸셔(150)는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며, 이후, 이동장치(120)는 거푸집(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음으로 설정된 스터럽(ST)의 설치 위치로 이동하여 다음 스터럽(ST)을 설치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거푸집
11 : 하판 12 : 한 쌍의 측판
13 : 비드 13a : 관통공
14 : 요철문양
100 : 스터럽 설치장치
110 : 가이드 레일 120 : 이동장치
121 : 수직 프레임 121a : 푸셔 안내홀
122 : 수평 프레임 122a : 전면 레일
122b : 후면 레일 123 : 스터럽 박스
130 : 로딩장치 131 : 로딩이동암
132 : 로딩회동암 133 : 지그
140 : 사이드 푸셔 150 : 업다운 푸셔
151 : 업다운이동암 152 : 업다운고정암
160 : 웰딩장치 161 : 제1 웰딩기
162 : 제2 웰딩기 163 : 웰딩회동암
164 : 웰딩연계암 165 : 웰딩전극암
ST : 스터럽 US : U형 스터럽
RI : 보강재 IS : 타설공간

Claims (14)

  1. 장방형의 하판과 한 쌍의 측판이 상기 하판의 길이방향 양측단에 세워져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모르타르의 타설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하판과 상기 측판들의 내주면에 폭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비드들이 형성되어 상기 타설공간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와 결합되어 보를 이루는 보 구조용 거푸집에 스터럽을 설치하는 스터럽 설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스터럽이 인출 가능하게 저장된 스터럽 박스를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장치;
    상기 이동장치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장치가 상기 스터럽의 설치 위치에 도착하면, 상기 스터럽 박스로부터 상기 스터럽을 인출하여 상기 타설공간에 안착시키는 로딩장치; 및
    상기 이동장치에 설치되며, 상기 타설공간에 안착된 스터럽과 상기 거푸집의 각 비드들과 맞닿는 부분을 용접하여 상기 거푸집에 상기 스터럽을 설치하는 웰딩장치를 포함하는 보 구조용 거푸집의 스터럽 설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타설공간과 상기 타설공간에 안착된 스터럽의 형상과 구조를 측정하여 상기 스터럽과 상기 비드들의 맞닿는 부분을 식별하는 이미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보 구조용 거푸집의 스터럽 설치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는,
    하단이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에 각각 안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의 상단을 연결하는 수평 프레임을 포함하는 보 구조용 거푸집의 스터럽 설치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딩장치는,
    시작단이 상기 이동장치에 결합되어, 상기 스터럽 박스로부터 상기 타설공간 방향으로 회동하는 로딩이동암; 및
    시작단이 상기 로딩이동암의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로딩이동암의 끝단을 기준으로 회동하며, 끝단에 상기 스터럽을 파지하는 지그가 구비된 로딩회동암을 포함하는 보 구조용 거푸집의 스터럽 설치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웰딩장치는,
    시작단이 상기 이동장치에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회동하는 웰딩회동암;
    시작단이 상기 웰딩회동암의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웰딩회동암의 끝단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회동하는 웰딩연계암; 및
    시작단이 상기 웰딩연계암의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웰딩연계암의 끝단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회동하며, 끝단에 용접수단을 구비하는 웰딩전극암을 포함하는 보 구조용 거푸집의 스터럽 설치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웰딩장치는,
    상기 스터럽과 상기 비드가 맞닿는 부분 중, 상기 이동장치의 이동방향으로 형성되는 일측의 맞닿는 부분을 용접하는 제1 웰딩기; 및
    상기 스터럽과 비드가 맞닿는 부분 중, 상기 이동장치 이동방향의 역방향으로 형성되는 타측의 맞닿는 부분을 용접하는 제2 웰딩기를 포함하는 보 구조용 거푸집의 스터럽 설치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에 한 쌍으로 설치되며, 상기 거푸집을 향해 슬라이딩되어 돌출된 각 끝단이 상기 거푸집의 외주면을 각각 마주하여 가압함으로써, 상기 거푸집이 상기 이동장치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사이드 푸셔를 더 포함하는 보 구조용 거푸집의 스터럽 설치장치.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에 설치되며, 상기 타설공간에 안착된 스터럽을 향해 슬라이딩되어 돌출된 끝단이 상기 타설공간에 안착된 스터럽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스터럽이 상기 거푸집의 타설공간에 고정되도록 하는 업다운 푸셔를 더 포함하는 보 구조용 거푸집의 스터럽 설치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업다운 푸셔는,
    시작단이 상기 이동장치에 결합되는 업다운이동암; 및
    상기 업다운이동암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타설공간에 안착된 스터럽을 향해 슬라이딩되어 연장됨으로써, 끝단이 상기 타설공간에 안착된 스터럽을 가압하는 업다운고정암을 포함하는 보 구조용 거푸집의 스터럽 설치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터럽은,
    U형 스터럽, 개방형 스터럽 또는 폐합형 스터럽인 보 구조용 거푸집의 스터럽 설치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터럽이 U형 스터럽인 경우, 양단이 상기 거푸집의 측판들에 각각 맞닿아 상기 웰딩장치에 의해 각각 용접되어 접합됨으로써, 상기 거푸집의 타설공간이 변형되지 않도록 하는 보강재를 더 포함하는 보 구조용 거푸집의 스터럽 설치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의 측판들에 형성된 비드들에는 상기 거푸집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공들이 일정 간격으로 대칭되게 복수 개로 형성되며,
    U형 스터럽이 일정 간격으로 대칭되게 형성된 관통공들에 거꾸로 끼워져 상기 측판들에 형성된 비드들을 연결함으로써, 상기 거푸집의 타설공간이 변형되지 않도록 하는 보 구조용 거푸집의 스터럽 설치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드들은,
    돌출된 끝단이 구부러진 구조인 보 구조용 거푸집의 스터럽 설치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은,
    내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 개의 요철문양을 포함하는 보 구조용 거푸집의 스터럽 설치장치.
KR1020190101190A 2019-08-19 2019-08-19 보 구조용 거푸집의 스터럽 설치장치 KR102286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190A KR102286212B1 (ko) 2019-08-19 2019-08-19 보 구조용 거푸집의 스터럽 설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190A KR102286212B1 (ko) 2019-08-19 2019-08-19 보 구조용 거푸집의 스터럽 설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1787A true KR20210021787A (ko) 2021-03-02
KR102286212B1 KR102286212B1 (ko) 2021-08-04

Family

ID=75169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1190A KR102286212B1 (ko) 2019-08-19 2019-08-19 보 구조용 거푸집의 스터럽 설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621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5691A (ja) * 1993-04-06 1994-10-11 Toshio Takemoto 型枠付立体溶接鉄筋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KR100954447B1 (ko) 2010-01-12 2010-04-27 (주)동하이엔지 보 구조용 거푸집
JP2013204257A (ja) * 2012-03-27 2013-10-07 Ohbayashi Corp 鉄筋組立て装置及び鉄筋組立て方法
KR101681544B1 (ko) * 2015-11-24 2016-12-01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콘크리트 구조물 건축 자동화 장치
KR101777979B1 (ko) * 2016-12-16 2017-09-12 티앤에스슈퍼데크(주) 비탈형 보 거푸집
KR102008724B1 (ko) * 2018-11-29 2019-08-08 임환빈 비탈형 보 거푸집 및 비탈형 보 거푸집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5691A (ja) * 1993-04-06 1994-10-11 Toshio Takemoto 型枠付立体溶接鉄筋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KR100954447B1 (ko) 2010-01-12 2010-04-27 (주)동하이엔지 보 구조용 거푸집
JP2013204257A (ja) * 2012-03-27 2013-10-07 Ohbayashi Corp 鉄筋組立て装置及び鉄筋組立て方法
KR101681544B1 (ko) * 2015-11-24 2016-12-01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콘크리트 구조물 건축 자동화 장치
KR101777979B1 (ko) * 2016-12-16 2017-09-12 티앤에스슈퍼데크(주) 비탈형 보 거푸집
KR102008724B1 (ko) * 2018-11-29 2019-08-08 임환빈 비탈형 보 거푸집 및 비탈형 보 거푸집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6212B1 (ko) 202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43293B2 (ja) 覆工コンクリートの打設装置及び方法、並びに移動式セントル
KR101207580B1 (ko) 헤드 분리형 드롭헤드를 이용한 슬래브 폼 장치 및 이의 사용방법
KR20210021787A (ko) 보 구조용 거푸집의 스터럽 설치장치
KR101558992B1 (ko) 건축구조물용 거푸집 보강 시설물
KR102294219B1 (ko) 가이드부재를 갖는 자동 거푸집 인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 거푸집 인양 방법
CN113047160A (zh) 一种桥梁伸缩缝槽口构造及其施工和维修方法
KR20190143702A (ko) 지수판 지지부재 및 그것을 포함하는 지수판 설치구조
KR20090123388A (ko) 피씨 보 제작용 몰드
RU2449888C2 (ru) Батарейная опалубка для вертикально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плоских готовых деталей из бетона
CN115573597A (zh) 一种全装配式混凝土雨棚及其施工方法
JPH07279417A (ja) 梁型枠装置および梁の施工方法
JPH11323835A (ja) 橋梁用波形鋼板
JP6549499B2 (ja) 移動作業車および構造物の施工方法
CN110617106B (zh) 隧道横向排水管固定装置及施工方法
CN111794446A (zh) 一种立式pc构件及其制作方法和安装方法
KR101990733B1 (ko) 유로폼을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JP2017150132A (ja) デッキプレート及びデッキプレートのエンドクローズ加工方法
KR20080020727A (ko) 철근 조립대
KR20220053098A (ko) 제진대용 콘크리트 패드의 제조방법
KR102530079B1 (ko) 콘크리트 에어 포켓 제거 및 콘크리트 유출 방지를 위한 거푸집
CN214939231U (zh) 一种桥梁伸缩缝槽口构造
JP7021808B2 (ja) 冶具、及び、その冶具を用いた鉄筋かごの製造方法
JP6856844B2 (ja) 冶具、及び、その冶具を用いた鉄筋かごの製造方法
JP4862802B2 (ja) 曲面パネル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KR100302161B1 (ko) 벽체/슬라브 구축용 거푸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