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0079B1 - 콘크리트 에어 포켓 제거 및 콘크리트 유출 방지를 위한 거푸집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에어 포켓 제거 및 콘크리트 유출 방지를 위한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0079B1
KR102530079B1 KR1020210172624A KR20210172624A KR102530079B1 KR 102530079 B1 KR102530079 B1 KR 102530079B1 KR 1020210172624 A KR1020210172624 A KR 1020210172624A KR 20210172624 A KR20210172624 A KR 20210172624A KR 102530079 B1 KR102530079 B1 KR 102530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formwork
bent
body plate
vertica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2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묵
이승호
길철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솔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솔라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솔라텍
Priority to KR1020210172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00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0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0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4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lintels, beams, or transoms to be encased separately;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04Prismatic or cylindrical reinforcement cages composed of longitudinal bars and open or closed stirrup ro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에어 포켓 제거 및 콘크리트 유출 방지를 위한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하부에 구비되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재; 상기 수평부재의 일측과 타측에 결합되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부재와 상기 수직부재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본체판과, 상기 본체판의 일측과 타측에서 절곡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조립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 에어 포켓 제거 및 콘크리트 유출 방지를 위한 거푸집 {Mold for removing concrete air pocket and preventing concrete spillage}
본 발명은 콘크리트 에어 포켓 제거 및 콘크리트 유출 방지를 위한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푸집의 수평부재 및 수직부재를 조립부재로 제작함에 따라 제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조립부재에 에어밴트 홀과 씰링부를 구비함에 따라 콘크리트의 에어 포켓을 제거하면서 콘크리트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거푸집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공사에서 유동성을 가지고 있는 콘크리트를 소정의 형태 및 치수로 제작하기 위해 설치되는 구조물이다. 거푸집은 콘크리트를 양생시키기 위해 필요한 구조물로, 콘크리트의 양생이 진행된 이후에는 거푸집이 제거될 수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공사에 있어서, 거푸집을 제작하여 설치하는 공정은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거푸집을 제작하고 설치하는 공정에서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절감시키면, 콘크리트 구조물 공사의 비용과 시간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거푸집은 복수 개의 부재가 결합되어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복수 개의 부재를 결합하여 거푸집을 제작하면, 결합지점에서 콘크리트의 유출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부재를 결합하여 거푸집을 제작할 때, 부재가 절곡되는 지점에서 콘크리트의 에어 포켓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콘크리트에 에어 포켓이 발생하게 되면, 콘크리트가 특정 지점에 유입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거푸집의 제작이 용이하고, 콘크리트의 에어 포켓을 제거할 수 있으면서, 콘크리트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거푸집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푸집의 수평부재 및 수직부재를 조립부재로 제작함에 따라 제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조립부재에 에어밴트 홀과 씰링부를 구비함에 따라 콘크리트의 에어 포켓을 제거하면서 콘크리트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에어 포켓 제거 및 콘크리트 유출 방지를 위한 거푸집은, 스터럽이 내부에 배치되는 거푸집으로, 하부에 구비되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재; 상기 수평부재의 일측과 타측에 결합되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부재와 상기 수직부재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본체판과, 상기 본체판의 일측과 타측에서 절곡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조립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에어 포켓 제거 및 콘크리트 유출 방지를 위한 거푸집의 상기 절곡부는, 상기 본체판의 일측과 타측에서 수직 방향으로 절곡된 이후, 수평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에어 포켓 제거 및 콘크리트 유출 방지를 위한 거푸집의 상기 수평부재와 상기 수직부재는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조립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평부재의 절곡부와 상기 수직부재의 절곡부가 서로 맞닿으면서 상기 수평부재와 상기 수직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에어 포켓 제거 및 콘크리트 유출 방지를 위한 거푸집의 상기 조립부재로 이루어진 상기 수평부재의 절곡부에는, 상기 본체판에 대하여 상향 연장되는 구멍 또는 홈 형상의 배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에어 포켓 제거 및 콘크리트 유출 방지를 위한 거푸집의 상기 수직부재는 복수 개가 구비되면서 적층되며, 상기 조립부재로 이루어진 상기 수직부재의 절곡부에는, 상기 본체판이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 형상의 씰링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에어 포켓 제거 및 콘크리트 유출 방지를 위한 거푸집의 상기 씰링부에는 씰링재가 삽입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에어 포켓 제거 및 콘크리트 유출 방지를 위한 거푸집의 상기 조립부재의 절곡부에는 구멍 형상으로 이루어진 에어밴트 홀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에어 포켓 제거 및 콘크리트 유출 방지를 위한 거푸집의 상기 에어밴트 홀은, 상기 절곡부의 절곡 지점의 일측 또는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에어 포켓 제거 및 콘크리트 유출 방지를 위한 거푸집의 상기 조립부재로 이루어지는 상기 수평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본체판에는, 상기 본체판의 외측으로 돌출되되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결합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조립부재로 이루어지는 상기 수평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본체판에는, 상기 본체판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스터럽 고정 절곡부가 구비되며, 상기 스터럽 고정 절곡부는, 한 쌍의 상기 결합 돌기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에어 포켓 제거 및 콘크리트 유출 방지를 위한 거푸집의 상기 스터럽 고정 절곡부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본체판이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본체판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결합부의 일측에서 수직으로 절곡되는 연장부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연장부에 대하여 수직으로 절곡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며,상기 결합부는 한 쌍의 상기 결합 돌기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에어 포켓 제거 및 콘크리트 유출 방지를 위한 거푸집의 상기 스터럽 고정 절곡부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결합부의 타측에서 수직으로 절곡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에어 포켓 제거 및 콘크리트 유출 방지를 위한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거푸집의 수평부재 및 수직부재를 서로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조립부재로 제작함에 따라 거푸집 생산 소요 시간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거푸집 제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립부재의 절곡부에 에어밴트 홀을 구비함에 따라 콘크리트의 에어 포켓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조립부재의 절곡부에 씰링부를 구비함에 따라 콘크리트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립부재의 절곡부에 배출부를 구비함에 따라 콘크리트 타설시 발생하는 물을 외부로 배출시켜 원활할 양생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은 한 쌍의 결합 돌기를 통해 스터럽 고정 절곡부를 결합시킴에 따라 작업을 간소화 시키면서 작업 여건을 개선할 수 있으며, 환경적 측면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에어 포켓 제거 및 콘크리트 유출 방지를 위한 거푸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부재로 이루어진 수평부재와 수직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부재의 절곡부에 배출부가 구비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수직부재가 적층되면서 거푸집의 높이가 변경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조립부재의 절곡부에 씰링부가 구비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조립부재의 절곡부에 에어밴트 홀이 구비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한 쌍의 결합 돌기를 통해 스터럽 고정 절곡부를 결합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명확히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고, 실시 예들을 개시한다. 개시된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발명(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에어 포켓 제거 및 콘크리트 유출 방지를 위한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거푸집의 수평부재 및 수직부재를 조립부재로 제작함에 따라 제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조립부재에 에어밴트 홀과 씰링부를 구비함에 따라 콘크리트의 에어 포켓을 제거하면서 콘크리트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에어 포켓 제거 및 콘크리트 유출 방지를 위한 거푸집은 콘크리트 보를 제작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에어 포켓 제거 및 콘크리트 유출 방지를 위한 거푸집은 다양한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작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에어 포켓 제거 및 콘크리트 유출 방지를 위한 거푸집은 스터럽(10)이 내부에 배치되는 거푸집으로, 수평부재(120), 수직부재(13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수평부재(120)는 거푸집의 하부에 구비되면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상기 수평부재(12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수평부재(120)는 거푸집의 바닥판일 수 있다.
상기 수직부재(130)는 상기 수평부재(120)의 일측과 타측에 결합되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상기 수직부재(13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수직부재(130)는 거푸집의 측면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수평부재(120)와 상기 수직부재(130)는 조립부재(1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조립부재(11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본체판(111)과 상기 본체판(111)의 일측과 타측에서 절곡되는 절곡부(112)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본체판(111)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연장되는 것이며, 상기 절곡부(112)는 상기 본체판(111)의 일측과 타측에서 상기 본체판(111)에 대하여 수직으로 절곡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절곡부(112)는 상기 본체판(111)의 일측과 타측에서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어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절곡부(112)는 상기 본체판(111)의 일측과 타측에서 수직 방향으로 절곡된 이후, 수평 방향으로 다시 절곡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곡부(112)가 구비된 상기 본체판(111)의 일측과 타측은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절곡부(112)는 ㄴ자 형상 또는 ㄷ 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ㄴ자 형상과 ㄷ자 형상이 혼재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수평부재(120)와 상기 수직부재(130)는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조립부재(110)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수평부재(120)와 상기 수직부재(130)는 한 가지 형태를 가지는 상기 조립부재(110)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조립부재(110)를 상기 수평부재(120)와 상기 수직부재(130)에 모두 적용함에 따라 거푸집의 생산 시간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제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수직부재(130)가 하나의 판재 형상인 상기 조립부재(110)로 이루어짐에 따라 콘크리트 액이 흘러나오지 않게 되며, 상기 수평부재(120)도 상기 수직부재(130)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콘크리트 액이 상기 수평부재(120)의 외측으로 흘러나오지 않을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콘크리트 타설 이후에 외관을 추가로 청소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부재(120)와 상기 수직부재(130)는 동일한 상기 조립부재(110)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서로 상응하는(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조립부재(110)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평부재(120)와 상기 수직부재(130)는 형상과 크기와 동일한 상기 조립부재(110)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수평부재(120)와 상기 수직부재(130)는 형상은 동일하지만, 크기가 다른 조립부재(110)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수평부재(120)의 절곡부(112)와 상기 수직부재(130)의 절곡부(112)가 서로 맞닿으면서 상기 수평부재(120)와 상기 수직부재(130)가 결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수평부재(120)의 절곡부(112)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부분과, 상기 수직부재(130)의 절곡부(112)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부분이 서로 맞닿으면서 상기 수평부재(120)와 상기 수직부재(130)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거푸집에는 스터럽(1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조립부재(110)로 이루어진 상기 수평부재(120)와 상기 수직부재(130)의 본체판(111)에는 상기 본체판(11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스터럽 고정 절곡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터럽(10)은 상기 스터럽 고정 절곡부(140)를 통해 고정될 수 있으나, 스페이서를 통해 상기 스터럽 고정 절곡부(140)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터럽(10)이 스페이서를 통해 상기 스터럽 고정 절곡부(140)에 고정되면, 상기 스터럽(10)에 의해 상기 수평부재(120)와 상기 수직부재(130)가 밀착되면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수평부재(120)의 절곡부(112)와 상기 수직부재(130)의 절곡부(112)는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별도의 나사, 볼트 등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조립부재(110)로 이루어진 상기 수평부재(120)의 절곡부(112)에는 상기 본체판(111)에 대하여 상향 연장되는 구멍 또는 홈 형상의 배출부(1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부(121)는 상기 수평부재(120)의 절곡부(112)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배출부(121)는 콘크리트 양생 도중 발생하는 물을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콘크리트가 거푸집에 타설된 이후에는, 콘크리트 내부의 물이 배출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평부재(120)가 하나의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 배출부(121)는 이를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배출부(121)는 상기 수평부재(120)와 상기 수직부재(130)가 서로 맞닿는 지점에서, 상기 수평부재(120)의 절곡부(112)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부(121)는 구멍 또는 홈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배출부(121)는 비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평부재(120)의 절곡부(112)에 상기 배출부(121)를 구비함에 따라 원활한 양생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배출부(121)는 상기 수평부재(120)의 절곡부(112)에 구비되는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배출부(121)는 상기 수평부재(120)에 본체판(111)에 구비되는 상기 스터럽 고정 절곡부(140)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배출부(121)는 상기 수직부재(130)의 절곡부(112)에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수직부재(130)는 복수 개가 구비되면서 적층될 수도 있다. 거푸집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기에 맞게 거푸집을 설치하기 위해, 상기 수직부재(130)는 복수 개가 구비되면서 적층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수직부재(130)는 하부 수직부재(130b)와 상기 하부 수직부재(130b) 상부에 적층되는 상부 수직부재(130a)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부재(130)는 2개 이상이 적층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하부 수직부재(130b)와 상기 상부 수직부재(130a)가 적층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수 개의 상기 수직부재(130)가 적층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하부 수직부재(130b)와 상기 상부 수직부재(130a)가 적층되는 방법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상기 수직부재(130)가 적층될 때, 상기 하부 수직부재(130b)의 절곡부(112)와 상기 상부 수직부재(130a)의 절곡부(112)가 서로 맞닿으면서 상기 하부 수직부재(130b)와 상기 상부 수직부재(130a)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일한 부재 형상인 상기 조립부재(110)로 이루어진 상기 수직부재(130)를 적층하면서 별도의 높이로 거푸집을 제작함에 따라, 거푸집 높이에 따른 수직부재를 별도로 제작하지 않아도 되며, 이에 따라 거푸집 제작 시간을 저감시키면서 제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다만, 복수 개의 상기 수직부재(130)를 적층할 경우에, 상기 하부 수직부재(130b)와 상기 상부 수직부재(130a)가 맞닿는 부분에서 콘크리트 액이 유출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에어 포켓 제거 및 콘크리트 유출 방지를 위한 거푸집은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조립부재(110)로 이루어진 상기 수직부재(130)의 절곡부(112)에 씰링부(131)를 구비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씰링부(131)는 상기 절곡부(112)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판(111)이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씰링부(131)는 상기 절곡부(112)의 내측으로 돌기가 생성되면서 형성되는 홈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 수직부재(130b)의 절곡부(112)와 상기 상부 수직부재(130a)의 절곡부(112)에는 상기 씰링부(13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수직부재(130b)의 절곡부(112)에 형성된 씰링부(131)와 상기 상부 수직부재(130a)의 절곡부(112)에 형성된 씰링부(131)는 서로 맞닿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씰링부(131)에는 씰링재(132)가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씰링부(131)에 상기 씰링재(132)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하부 수직부재(130b)와 상기 상부 수직부재(130a)가 맞닿는 부분에서 콘크리트 액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씰링부(131)에 삽입된 상기 씰링재(132)가 상기 하부 수직부재(130b)와 상기 상부 수직부재(130a)가 맞닿는 부분에서 발생하는 틈을 막고 있음에 따라 콘크리트 액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씰링재(132)는 콘크리트 액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조립부재(110)의 절곡부(112)에는 구멍 형상으로 이루어진 에어밴트 홀(152)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시, 상기 조립부재(110)로 이루어진 상기 수직부재(130)의 절곡부(112)로 인해 거푸집 내부에 에어 포켓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곡부(112)의 절곡에 의해 콘크리트가 채워지지 않는 에어 포켓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 포켓에는 콘크리트가 유입되지 않으며, 에어 포켓이 형성된 채 콘크리트가 타설되면, 콘크리트가 구조물의 전체 형상에 유입되지 않음에 따라 구조물의 강도에 심각한 영향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에어밴트 홀(152)은 이를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절곡부(112)에 구멍으로 이루어진 상기 에어밴트 홀(152)을 구비함에 따라 거푸집 내부에 에어 포켓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에어밴트 홀(152)은 상기 절곡부(112)의 절곡 지점의 일측 또는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절곡부(112)는 상기 본체판(111)의 일측과 타측에서 수직 방향으로 절곡된 이후, 수평 방향으로 다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에어밴트 홀(152)은, 상기 절곡부(112)가 수직 방향에서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 지점의 일측 또는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에어밴트 홀(152)은 상기 절곡 지점의 일측에 형성된 수평 방향 연장 지점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에어밴트 홀(152)은 상기 절곡 지점의 타측에 형성된 수직 방향 연장 지점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에어밴트 홀(152)은 상기 수직부재(130)의 전체 형상에 일정 간격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상기 수직부재(130)가 적층되더라도 동일한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조립부재(110)로 이루어진 상기 수평부재(120)와 상기 수직부재(130)의 본체판(111)에는, 상기 본체판(111)의 외측으로 돌출되되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결합 돌기(15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돌기(151)는 상기 수평부재(120)와 상기 수직부재(130)의 본체판(111)에 상기 스터럽 고정 절곡부(140)를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한 쌍의 상기 결합 돌기(151)는 이격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본체판(111)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스터럽 고정 절곡부(140)는 상기 조립부재(110)로 이루어지는 상기 수평부재(120)와 상기 수직부재(130)의 본체판(111)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스터럽 고정 절곡부(140)는 상기 본체판(11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상기 스터럽 고정 절곡부(140)는 스터럽(1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스터럽 고정 절곡부(140)는 스터럽(10)과 접촉되면서 스터럽(10)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별도의 스페이서를 통해 상기 스터럽 고정 절곡부(140)와 스터럽(10)을 연결하면서 상기 스터럽 고정 절곡부(140)를 통해 스터럽(10)을 지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스터럽 고정 절곡부(140)는 한 쌍의 상기 결합 돌기(151)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터럽 고정 절곡부(140)는 한 쌍의 상기 결합 돌기(151)가 이격되는 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스터럽 고정 절곡부(140)는 결합부(141), 연장부(142), 접촉부(143)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141)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본체판(111)이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상기 결합부(141)는 상기 본체판(111)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스터럽 고정 절곡부(140)의 상기 결합부(141)가 한 쌍의 상기 결합 돌기(151)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142)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결합부(141)의 일측에서 수직으로 절곡되는 것이다. 상기 접촉부(143)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연장부(142)에 대하여 수직으로 절곡되는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접촉부(143)는 스터럽(10)에 접촉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접촉부(143)를 스터럽(10)에 접촉시킴에 따라 상기 스터럽 고정 절곡부(140)를 통해 스터럽(10)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스터럽 고정 절곡부(14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결합부(141)의 타측에서 수직으로 절곡되는 고정부(1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44)는 상기 결합부(141)의 타측에서 수직으로 절곡되는 것으로, 상기 결합부(141)의 일측에서는 상기 연장부(142)가 수직으로 절곡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부(141)의 타측에서는 상기 고정부(144)가 수직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41)의 일측과 타측에 상기 연장부(142)와 상기 고정부(144)가 수직으로 절곡됨에 따라, 상기 스터럽 고정 절곡부(140)의 결합지점은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스터럽 고정 절곡부(140)의 결합지점이 한 쌍의 상기 결합 돌기(151) 사이에 삽입되면서, 상기 스터럽 고정 절곡부(140)가 상기 본체판(111)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141)의 일측에 구비된 상기 연장부(142)는 하나의 상기 결합 돌기(151)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결합부(141)의 타측에 구비된 상기 고정부(144)는 다른 하나의 상기 결합 돌기(151)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상기 스터럽 고정 절곡부(140)를 상기 본체판(111)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터럽 고정 절곡부(140)를 상기 본체판(111)에 결합할 때, 한 쌍의 상기 결합 돌기(151) 없이 상기 스터럽 고정 절곡부(140)를 결합시키면, 외측면에 결합 흔적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결합 흔적은 녹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스터럽 고정 절곡부(140)의 결합 후에 녹발생 억제를 위한 별도의 후처리(페이팅) 작업을 진행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에어 포켓 제거 및 콘크리트 유출 방지를 위한 거푸집은, 상기 본체판(111)에 구비된 한 쌍의 상기 결합 돌기(151)를 통해 상기 스터럽 고정 절곡부(140)를 결합함에 따라 외측면에 결합 흔적을 없앨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터럽 고정 절곡부(140)가 상기 본체판(111)에 결합되는 위치는 한 쌍의 상기 결합 돌기(151) 위치에 따라 정해질 수 있으며, 한 쌍의 상기 결합 돌기(151) 사이에 상기 스터럽 고정 절곡부(140)의 상기 결합부(141)를 삽입하면서 상기 본체판(111)에 상기 스터럽 고정 절곡부(140)를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스터럽 고정 절곡부(140)의 상기 결합부(141)를 한 쌍의 상기 결합 돌기(151) 사이에 삽입하면서 상기 스터럽 고정 절곡부(140)를 결합함에 따라 외측면에 결합 흔적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거푸집은, 한 쌍의 상기 결합 돌기(151)를 통해 상기 스터럽 고정 절곡부(140)를 상기 본체판(111)에 결합시킴에 따라 후처리를 진행하지 않을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스터럽 고정 절곡부(140)를 결합시키는 작업을 간소화 시키면서 작업 여건을 개선할 수 있으며, 환경적 측면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에어 포켓 제거 및 콘크리트 유출 방지를 위한 거푸집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에어 포켓 제거 및 콘크리트 유출 방지를 위한 거푸집은 수평부재 및 수직부재를 서로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조립부재로 제작함에 따라 거푸집 생산 소요 시간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거푸집 제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에어 포켓 제거 및 콘크리트 유출 방지를 위한 거푸집은 조립부재의 절곡부에 에어밴트 홀을 구비함에 따라 콘크리트의 에어 포켓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조립부재의 절곡부에 씰링부를 구비함에 따라 콘크리트의 유출을 방지하면서 수직부재를 적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에어 포켓 제거 및 콘크리트 유출 방지를 위한 거푸집은 조립부재의 절곡부에 배출부를 구비함에 따라 콘크리트 타설시 발생하는 물을 외부로 배출시켜 원활할 양생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에어 포켓 제거 및 콘크리트 유출 방지를 위한 거푸집은 한 쌍의 결합 돌기를 통해 스터럽 고정 절곡부를 결합시킴에 따라 작업을 간소화 시키면서 작업 여건을 개선할 수 있으며, 환경적 측면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 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스터럽 110...조립부재
111...본체판 112...절곡부
120...수평부재 121...배출부
130...수직부재 130a...상부 수직부재
130b...하부 수직부재 131...씰링부
132...씰링재 140...스터럽 고정 절곡부
141...결합부 142...연장부
143...접촉부 144...고정부
151...결합 돌기 152...에어밴트 홀

Claims (11)

  1. 스터럽이 내부에 배치되는 거푸집에 있어서,
    하부에 구비되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재;
    상기 수평부재의 일측과 타측에 결합되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부재와 상기 수직부재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본체판과, 상기 본체판의 일측과 타측에서 절곡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조립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립부재로 이루어진 상기 수평부재의 절곡부에는,
    상기 본체판에 대하여 상향 연장되는 구멍 또는 홈 형상의 배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배출부는, 상기 수평부재와 상기 수직부재가 서로 맞닿는 지점에 구비되며,
    상기 배출부를 통해 콘트리트 양생 도중 발생하는 물을 배출하며,
    상기 조립부재의 절곡부에는 구멍 형상으로 이루어진 에어밴트 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에어 포켓 제거 및 콘크리트 유출 방지를 위한 거푸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본체판의 일측과 타측에서 수직 방향으로 절곡된 이후,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에어 포켓 제거 및 콘크리트 유출 방지를 위한 거푸집.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와 상기 수직부재는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조립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평부재의 절곡부와 상기 수직부재의 절곡부가 서로 맞닿으면서 상기 수평부재와 상기 수직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에어 포켓 제거 및 콘크리트 유출 방지를 위한 거푸집.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는 복수 개가 구비되면서 적층되며,
    상기 조립부재로 이루어진 상기 수직부재의 절곡부에는,
    상기 본체판이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 형상의 씰링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에어 포켓 제거 및 콘크리트 유출 방지를 위한 거푸집.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에는 씰링재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에어 포켓 제거 및 콘크리트 유출 방지를 위한 거푸집.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밴트 홀은,
    상기 절곡부의 절곡 지점의 일측 또는 타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에어 포켓 제거 및 콘크리트 유출 방지를 위한 거푸집.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재로 이루어지는 상기 수평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본체판에는, 상기 본체판의 외측으로 돌출되되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결합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조립부재로 이루어지는 상기 수평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본체판에는, 상기 본체판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스터럽 고정 절곡부가 구비되며,
    상기 스터럽 고정 절곡부는, 한 쌍의 상기 결합 돌기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에어 포켓 제거 및 콘크리트 유출 방지를 위한 거푸집.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럽 고정 절곡부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본체판이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본체판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결합부의 일측에서 수직으로 절곡되는 연장부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연장부에 대하여 수직으로 절곡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는 한 쌍의 상기 결합 돌기 사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에어 포켓 제거 및 콘크리트 유출 방지를 위한 거푸집.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럽 고정 절곡부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결합부의 타측에서 수직으로 절곡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에어 포켓 제거 및 콘크리트 유출 방지를 위한 거푸집.
KR1020210172624A 2021-12-06 2021-12-06 콘크리트 에어 포켓 제거 및 콘크리트 유출 방지를 위한 거푸집 KR102530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2624A KR102530079B1 (ko) 2021-12-06 2021-12-06 콘크리트 에어 포켓 제거 및 콘크리트 유출 방지를 위한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2624A KR102530079B1 (ko) 2021-12-06 2021-12-06 콘크리트 에어 포켓 제거 및 콘크리트 유출 방지를 위한 거푸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0079B1 true KR102530079B1 (ko) 2023-05-09

Family

ID=86408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2624A KR102530079B1 (ko) 2021-12-06 2021-12-06 콘크리트 에어 포켓 제거 및 콘크리트 유출 방지를 위한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007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8707Y1 (ko) * 2002-08-19 2003-03-28 장혁수 철근과 거푸집이 매트릭스 구조로 이루어진 경량 단열거푸집
KR102003025B1 (ko) * 2018-10-24 2019-07-24 주식회사 미라클디앤씨 보 구조용 거푸집 및 그 제조방법
KR102179516B1 (ko) * 2019-09-27 2020-11-1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조립식 영구 거푸집 및 그 시공 방법
KR20210093114A (ko) * 2020-01-17 2021-07-27 주식회사 제일테크노스 절곡강판을 이용한 비탈형 보 거푸집
KR20210125890A (ko) * 2020-04-09 2021-10-19 고미순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 및 그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의 내부에 단열재가 구비된 무해체 거푸집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8707Y1 (ko) * 2002-08-19 2003-03-28 장혁수 철근과 거푸집이 매트릭스 구조로 이루어진 경량 단열거푸집
KR102003025B1 (ko) * 2018-10-24 2019-07-24 주식회사 미라클디앤씨 보 구조용 거푸집 및 그 제조방법
KR102179516B1 (ko) * 2019-09-27 2020-11-1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조립식 영구 거푸집 및 그 시공 방법
KR20210093114A (ko) * 2020-01-17 2021-07-27 주식회사 제일테크노스 절곡강판을 이용한 비탈형 보 거푸집
KR20210125890A (ko) * 2020-04-09 2021-10-19 고미순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 및 그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의 내부에 단열재가 구비된 무해체 거푸집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3641B1 (ko) 거푸집 선조립형 기둥 구조물
KR101683670B1 (ko) 거푸집 선조립형 보 구조물
KR101781603B1 (ko) 거푸집 선조립형 보 구조물
KR102401463B1 (ko) 절곡강판을 이용한 비탈형 보 거푸집
KR102341842B1 (ko) 무해체 보거푸집
KR101962362B1 (ko) 단열재가 구비된 무해체 거푸집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보 구조물 시공방법
KR102530079B1 (ko) 콘크리트 에어 포켓 제거 및 콘크리트 유출 방지를 위한 거푸집
KR100798101B1 (ko) 고강성형 강재 거푸집
KR102530078B1 (ko) 조립부재를 사용하는 무용접 거푸집
KR102012470B1 (ko) 벽체와 연결보의 프레임유닛 및 이를 이용한 건축구조물 시공방법
KR102064451B1 (ko) 시멘트 페이스트의 누출 방지를 위한 건축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CN214034133U (zh) 一种用于连接墙板构件的水平连接装置及墙板组件
CN110617106B (zh) 隧道横向排水管固定装置及施工方法
CN105222791B (zh) 用于容置导航电路主板的箱体结构
CN106320692A (zh) 一种建筑拼接模板
KR102175920B1 (ko) 교량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218462497U (zh) 叠合板边模
JP2006290103A (ja) 建設機械のキャノピ構造
CN103321254A (zh) 内井盖支撑件、检查井的内井盖及检查井井盖组件
KR102470545B1 (ko) 누출 방지용 무해체 보 거푸집
CN210483016U (zh) 一种用于缩墙处的铝模板转角机构
KR102424623B1 (ko) 콘크리트 충전 기둥의 철골 매입형 합성 가로보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 기둥과 철골 매입형 합성 가로보를 연결하는 방법
JP7441055B2 (ja) 仮設開口部用型枠
KR102286212B1 (ko) 보 구조용 거푸집의 스터럽 설치장치
KR102599781B1 (ko) 데크탈락을 방지하여 안전성이 확보된 데크받이가 구성된 비탈형 거푸집 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