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2470B1 - 벽체와 연결보의 프레임유닛 및 이를 이용한 건축구조물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벽체와 연결보의 프레임유닛 및 이를 이용한 건축구조물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2470B1
KR102012470B1 KR1020150138283A KR20150138283A KR102012470B1 KR 102012470 B1 KR102012470 B1 KR 102012470B1 KR 1020150138283 A KR1020150138283 A KR 1020150138283A KR 20150138283 A KR20150138283 A KR 20150138283A KR 102012470 B1 KR102012470 B1 KR 102012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ring
wall
space
frame unit
connecting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8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9321A (ko
Inventor
이강민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38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2470B1/ko
Publication of KR20170039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9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2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2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3Connection of concrete parts using adhesive materials, e.g. mortar or glu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벽체와 연결보의 프레임유닛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타설재가 수용되는 제1타설공간이 형성되며, 연결보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연결보대응부 및 상기 연결보대응부의 양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타설재가 수용되는 제2타설공간이 형성되며, 벽체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벽체대응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를 이용한 건축구조물 시공방법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제1타설공간이 형성되며, 연결보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연결보대응부와, 상기 연결보대응부의 양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제2타설공간이 형성되며, 벽체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벽체대응부를 포함하는 프레임유닛을 시공 영역에 위치시키는 (a)단계, 상기 제1타설공간 및 상기 제2타설공간에 타설재를 타설하는 (c)단계 및 상기 타설재를 양생하는 (d)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벽체와 연결보의 프레임유닛 및 이를 이용한 건축구조물 시공방법{Frame Unit of Wall and Coupling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for Building Structure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벽체와 연결보를 시공하기 위한 프레임유닛 및 이를 이용한 건축구조물 시공방법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철근의 배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벽체와 연결보를 시공하기 위한 프레임유닛 및 이를 이용한 건축구조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구조물을 시공함에 있어, 건축구조물의 둘레를 형성하는 벽체와, 벽체 간을 연결하는 연결보의 시공 과정이 필수적으로 수행된다.
도 1은 종래 벽체 및 연결보를 시공하는 과정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벽체 및 연결보를 시공하는 과정은, 시공될 벽체에 대응되는 영역(10)에 벽체 철근(12)을 종횡으로 배근하고, 이후 이들의 사이에서 연결보에 대응되는 영역(20)에 대각 보강근(22)을 배근한다.
이후 벽체 철근(12) 및 대각 보강근(22)의 둘레에 거푸집을 설치한 뒤, 콘크리트를 부어 양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벽체 및 연결보 시공 과정은, 벽체 철근(12) 및 대각 보강근(22)이 다량 소요되므로, 시공비가 크게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시공 난이도가 높아 시공 기간 역시 매우 길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벽체와 연결보의 시공 난이도를 크게 낮추고, 시공 비용 및 시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벽체와 연결보의 프레임유닛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타설재가 수용되는 제1타설공간이 형성되며, 연결보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연결보대응부 및 상기 연결보대응부의 양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타설재가 수용되는 제2타설공간이 형성되며, 벽체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벽체대응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타설공간은 상부가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타설공간은 외측부가 개구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벽체대응부는, 상기 제2타설공간의 개구된 외측부를 차폐하는 차폐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폐패널의 하단부에는, 타설재가 유동되는 제1개구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패널에는, 상기 제1개구홀보다 상부에 형성되고, 타설재가 유동되는 제2개구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타설공간 및 상기 제2타설공간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를 이용한 건축구조물 시공방법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제1타설공간이 형성되며, 연결보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연결보대응부와, 상기 연결보대응부의 양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제2타설공간이 형성되며, 벽체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벽체대응부를 포함하는 프레임유닛을 시공 영역에 위치시키는 (a)단계, 상기 제1타설공간 및 상기 제2타설공간에 타설재를 타설하는 (c)단계 및 상기 타설재를 양생하는 (d)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시공될 벽체의 폭은 상기 벽체대응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a)단계 및 상기 (c)단계 사이에는, 상기 벽체대응부의 외측에 철근을 배근하는 (b)단계가 더 포함되며, 상기 (c)단계는, 상기 (b)단계에 의해 배근된 철근 영역까지 상기 타설재를 타설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벽체와 연결보의 프레임유닛 및 이를 이용한 건축구조물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프레임유닛이 위치되는 영역에 철근 배근이 생략되므로, 사용되는 철근량이 크게 감소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둘째, 종래 연결보 시공을 위해 사용되던 대각 보강근을 전면 생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시공 난이도를 크게 낮출 수 있으며, 시공 기간 역시 최소화되는 장점이 있다.
넷째, 시공 소요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프레임유닛 자체가 거푸집을 대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벽체 및 연결보의 시공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유닛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구조물 시공방법에 있어서, 프레임유닛을 시공 영역에 위치시킨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구조물 시공방법에 있어서, 프레임유닛의 벽체대응부 외측에 철근을 배근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구조물 시공방법에 있어서, 프레임유닛의 제1타설공간 및 제2타설공간에 타설재를 타설 및 양생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구조물 시공방법에 있어서, 기 시공된 프레임유닛 상부로 다른 프레임유닛을 위치시킨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유닛(100)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유닛(100)의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유닛(100)은 연결보대응부(110)와, 벽체대응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보대응부(110)는 시공될 건축구조물의 연결보에 대응되어 프레임을 형성하는 구성요소로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타설재가 수용되는 제1타설공간(111)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타설공간(111)은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부가 개구된 형태로 형성된다. 다만, 상기 연결보대응부(110)의 형상은 본 실시예와 달리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타설재라 함은, 콘크리트, 모르타르 등 건축 재료로 사용될 수 있는 모든 재료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벽체대응부(120)는 시공될 건축구조물의 벽체에 대응되어 프레임을 형성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연결보대응부(110)의 양측에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타설재가 수용되는 제2타설공간(121)이 형성된다. 즉 상기 벽체대응부(120)는 한 쌍이 서로 이격된 형태로 상기 연결보대응부(110)에 연결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타설공간(121)은 전술한 제1타설공간(111)과 마찬가지로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외측부가 개구된 형태로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유닛(100)은 전체적으로 둘레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제1타설공간(111)과 제2타설공간(121)이 연통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프레임유닛(100)은 건축구조물의 시공 과정에서 연결보 및 벽체에 대응되는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유닛(100)은 강재로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재질이라면 모두 상기 프레임유닛(110)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이와 같은 프레임유닛(100)을 이용하여 건축구조물을 시공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유닛(100)을 시공 영역에 위치시키는 단계가 수행된다. 즉 본 단계에서는 상기 연결보대응부(110)를 건축구조물의 연결보에 해당하는 영역에, 상기 벽체대응부(120)를 건축구조물의 벽체에 해당하는 영역에 맞추어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프레임유닛(100)은 크레인 등의 건설 장비를 이용하여 해당 위치에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유닛(100)의 벽체대응부(120) 외측에 철근을 배근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이와 같은 과정은 건축구조물의 벽체 폭이 상기 벽체대응부(12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경우에 이루어지는 과정으로, 전체 벽체의 폭에서 상기 벽체대응부(120)의 폭을 뺀 만큼의 영역에 철근을 배근할 수 있다.
만일 건축구조물의 벽체 폭이 상기 벽체대응부(120)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될 경우, 본 단계는 생략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유닛(100)의 제1타설공간(111) 및 제2타설공간(121)에 타설재를 타설하는 단계와, 이를 양생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본 단계에서는 벽체와 연결보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타설공간(111) 및 상기 제2타설공간(121)에 타설재를 부어 넣어 채우고, 이를 양생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벽체대응부(120)의 외측에 철근이 배근되므로, 본 단계는 상기 제1타설공간(111) 및 상기 제2타설공간(121)을 포함하여 철근이 배근된 영역까지 상기 타설재를 타설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철근의 둘레로 거푸집을 설치한 뒤 상기 타설재를 타설하게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은 각 단계를 거쳐, 건축구조물의 1개 층에 대응되는 연결보와 벽체를 형성하게 된다.
이후에는, 상부 층의 연결보 및 벽체를 형성하기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시공된 프레임유닛(100) 상부로 다른 프레임유닛(100)을 위치시키고, 전술한 각 과정을 반복하여 건축구조물의 전체 벽체 및 연결보를 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프레임유닛(100)의 변형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유닛(100)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1실시예의 프레임유닛(100)과 연결보대응부(110) 및 벽체대응부(120)가 모두 동일하게 형성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벽체대응부(120)는, 상기 제2타설공간(121)의 개구된 외측부를 차폐하는 차폐패널(122)을 더 포함하는 것이 다르다. 그리고 상기 차폐패널(122)의 하단부에는, 타설재가 유동되는 제1개구홀(123)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형태의 프레임유닛(100)은, 시공될 건축구조물의 벽체 폭이 상기 벽체대응부(120)의 폭과 동일할 경우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즉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 시공될 건축구조물의 벽체 폭이 상기 벽체대응부(120)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될 경우 제2타설공간(121)의 개구된 외측 영역을 모두 차폐하여야 하는 것과 달리, 본 실시예의 경우 별도의 거푸집으로 제1개구홀(123)에 해당하는 영역만을 차폐하는 것으로 타설재를 제2타설공간(121)에 용이하게 타설할 수 있게 되어, 시공 상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의 경우 시공될 건축구조물의 벽체 폭이 상기 벽체대응부(120)의 폭보다 넓다고 하더라도, 제1개구홀(123)을 통해 타설재가 유동될 수 있어 시공에 지장을 가져오지 않는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2실시예의 프레임유닛(100)과 연결보대응부(110) 및 벽체대응부(120)가 모두 동일하게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 역시 벽체대응부(120)에 차폐패널(122)이 구비되며, 상기 차폐패널(122)의 하단부에는 제1개구홀(123)이 형성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차폐패널(122)에는, 상기 제1개구홀(123)보다 상부에 형성되고, 타설재가 유동되는 제2개구홀(124)이 더 형성된다는 것이 다르다.
즉 본 실시예는 상기 제2개구홀(124)을 통해 전술한 제2실시예에 비해 타설재의 유동량을 보다 증가시키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2개구홀(124)은 하나만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복수 개가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경우, 차폐패널(122)이 벽체대응부(120)의 개구된 외측을 완전히 차폐하도록 형성된다는 것이 전술한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와 다르다.
즉 본 실시예는 시공될 건축구조물의 벽체 폭이 상기 벽체대응부(120)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될 경우에 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시공 과정에서 별도의 거푸집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프레임유닛 110: 연결보대응부
111: 제1타설공간 120: 벽체대응부
121: 제2타설공간 122: 차폐패널
123: 제1개구홀 124: 제2개구홀

Claims (8)

  1.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타설재가 수용되는 제1타설공간이 형성되며, 연결보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연결보대응부; 및
    상기 연결보대응부의 양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타설재가 수용되는 제2타설공간이 형성되며, 벽체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벽체대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타설공간은 상부가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타설공간은 상기 제1타설공간과 연통되며, 좌, 우 외측부가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벽체대응부는,
    상기 제2타설공간의 개구된 외측부를 차폐하는 차폐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차폐패널의 하단부에는,
    타설재가 유동되는 제1개구홀이 형성되고,
    상기 차폐패널에는,
    상기 제1개구홀보다 상부에 형성되고, 타설재가 유동되는 제2개구홀이 형성된 프레임유닛.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제1타설공간이 형성되며, 연결보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연결보대응부와, 상기 연결보대응부의 양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제2타설공간이 형성되며, 벽체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벽체대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타설공간은 상부가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타설공간은 상기 제1타설공간과 연통되며, 좌, 우 외측부가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고, 개구된 좌, 우 외측부를 차폐하는 차폐내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차폐패널의 하단부에는 제1개구홀이 형성되고, 차폐패널의 제1개구홀보다 상부에 형성되고 타설재가 유동하는 제2개구홀이 형성된 프레임유닛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프레임유닛을 시공 영역에 위치시키는 (a)단계;
    상기 제1타설공간 및 상기 제2타설공간에 타설재를 타설하는 (c)단계; 및
    상기 타설재를 양생하는 (d)단계를 포함하고,
    시공될 벽체의 폭은 상기 벽체대응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a)단계 및 상기 (c)단계 사이에는,
    상기 벽체대응부의 외측에 철근을 배근하는 (b)단계가 더 포함되며,
    상기 (c)단계는,
    상기 (b)단계에 의해 상기 차폐패널의 상기 제1개구홀 및 상기 제2개구홀을 통하여 배근된 철근 영역까지 상기 타설재를 타설하는 것으로 하는 건축구조물 시공방법.
  8. 삭제
KR1020150138283A 2015-10-01 2015-10-01 벽체와 연결보의 프레임유닛 및 이를 이용한 건축구조물 시공방법 KR102012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283A KR102012470B1 (ko) 2015-10-01 2015-10-01 벽체와 연결보의 프레임유닛 및 이를 이용한 건축구조물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283A KR102012470B1 (ko) 2015-10-01 2015-10-01 벽체와 연결보의 프레임유닛 및 이를 이용한 건축구조물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321A KR20170039321A (ko) 2017-04-11
KR102012470B1 true KR102012470B1 (ko) 2019-08-20

Family

ID=58580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8283A KR102012470B1 (ko) 2015-10-01 2015-10-01 벽체와 연결보의 프레임유닛 및 이를 이용한 건축구조물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24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8242B1 (ko) * 2021-04-08 2022-05-17 (주)에이톰엔지니어링 거푸집 일체형 문틀 시공방법 및 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56091A (zh) * 2019-03-09 2019-07-26 中铁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钢筋模板一体化墙体与连梁拼接连接构造与安装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7788B2 (ja) * 1991-04-15 1998-03-18 株式会社大林組 Pc梁型枠
JP2000226888A (ja) * 1999-02-04 2000-08-15 Taisei Corp コンクリート充填鋼管柱と梁との仕口部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2066A (ko) * 2001-04-23 2002-10-30 박정규 거푸집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7788B2 (ja) * 1991-04-15 1998-03-18 株式会社大林組 Pc梁型枠
JP2000226888A (ja) * 1999-02-04 2000-08-15 Taisei Corp コンクリート充填鋼管柱と梁との仕口部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8242B1 (ko) * 2021-04-08 2022-05-17 (주)에이톰엔지니어링 거푸집 일체형 문틀 시공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321A (ko) 2017-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84478B2 (en) Building frame structure having edge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867300B1 (ko) 조립식 전단벽체의 결합구조
KR101903628B1 (ko) 내진 성능이 강화된 더블 pc벽체 및 이를 이용한 pc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011412B1 (ko) 매립철근의 일체화를 위한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공법
KR101011070B1 (ko) 강판콘크리트 구조와 이질 구조간의 접합 방법
KR101933471B1 (ko) 파형의 보강철근을 이용한 연결부재가 구비된 내외측패널을 포함하는 더블월
KR20210099495A (ko) 데크가 용접 설치될 수 있는 보 거푸집
KR102012470B1 (ko) 벽체와 연결보의 프레임유닛 및 이를 이용한 건축구조물 시공방법
KR101770381B1 (ko) 슬리브이음을 위한 모르타르 주입 방법
KR101672991B1 (ko) 철근 콘크리트 기둥용 선조립 구조물
KR101636473B1 (ko) L형강을 이용한 중심부재가 구비된 개량형 콘크리트 충전 기둥(lfc 5) 및 이의 시공방법
JP5869717B1 (ja) 既存コンクリート構造物補強構造
KR20120132095A (ko) 헤드 커플러 폼타이 거푸집 및 상기 거푸집이 적용된 기둥 시공 방법
KR101534641B1 (ko) 건축물 지하 시공 방법
JP6851686B2 (ja) 梁の構築方法
KR102444579B1 (ko) 단열재가 구비된 무해체 거푸집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보 구조물 시공방법
JP6590571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梁端部の接合構造及び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梁柱架構
CN111980203A (zh) 一种预制构件及上下层预制构件的连接结构和方法
JP7386036B2 (ja) 接合構造体
KR101577704B1 (ko) 모서리 보강부재가 구비된 개량형 콘크리트 충전 기둥 및 이의 시공방법
JP2019207169A (ja) 放射線遮蔽壁の開口部閉塞構造
KR20150095356A (ko) 거푸집 조립체
KR101868809B1 (ko) 이질(異質) 구조 기둥의 접합 시스템 및 방법
JP2017197957A (ja) 型枠システムおよ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施工方法
KR101897506B1 (ko) Pc와 현장타설에 의한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