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5890A -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 및 그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의 내부에 단열재가 구비된 무해체 거푸집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 및 그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의 내부에 단열재가 구비된 무해체 거푸집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5890A
KR20210125890A KR1020200179207A KR20200179207A KR20210125890A KR 20210125890 A KR20210125890 A KR 20210125890A KR 1020200179207 A KR1020200179207 A KR 1020200179207A KR 20200179207 A KR20200179207 A KR 20200179207A KR 20210125890 A KR20210125890 A KR 202101258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plate
bent
insulating material
b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9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4580B1 (ko
Inventor
고미순
Original Assignee
고미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미순 filed Critical 고미순
Priority to KR1020200179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4580B1/ko
Publication of KR20210125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5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3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08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comprising a prefabricated insulating layer, disposed between two other layers or panels
    • E04B1/761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comprising a prefabricated insulating layer, disposed between two other layers or panels in combination with an air sp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Abstract

본 발명은 평평하게 배치되는 하면판, 상기 하면판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고 있고, 하단부가 상기 하면판의 일측에 절곡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하면판의 일측에 세워지며, 상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접혀서 중첩되도록 형성되는 제1측면판 상부중첩부 및 하측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접혀서 중첩되도록 형성되는 제1측면판 하부 중첩부를 포함하는 제1측면판 및 상기 하면판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고 있고, 하단부가 상기 하면판의 타측에 고정되어 상기 하면판의 타측에 세워지며, 상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접혀서 중첩되도록 형성되는 제2측면판 상부중첩부 및 하측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접혀서 중첩되도록 형성되는 제2측면판 하부 중첩부를 포함하는 제2측면판을 포함하는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을 제공한다.
따라서 거푸집 하면을 단열하기 위해 배치되는 단열재는 거푸집의 내측면에 배치되기 때문에 공장에서 제작된 거푸집 어셈블리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단열재가 거푸집 외부에 배치될 때보다 파손되는 비율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 및 그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의 내부에 단열재가 구비된 무해체 거푸집 어셈블리{Non removing form with double structure and non removing form assembly with insulation inside the same}
본 발명은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 및 그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의 내부에 단열재가 구비된 무해체 거푸집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거푸집의 강성 강화를 위해 무해체 거푸집의 좌측면판 및 우측면판을 접어서 중첩시킨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 및 그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의 내부에 단열재가 구비된 무해체 거푸집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천장에는 천장 아래쪽으로 보가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보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는 거푸집을 설치한다. 종래의 거푸집은 주로 합판 소재로써, 콘크리트가 경화되면 제거되는 탈형 거푸집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이러한 탈형 거푸집은 작업 효율이 저하되고 거푸집 제거 시에 발생하는 콘크리트 외부면의 손상 등의 문제가 있어서 최근에는 비탈형 거푸집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최근 이용되는 비탈형 거푸집은 스틸 등과 같은 소재를 이용하는데, 경제성을 위해 얇은 플레이트 구조의 판을 용접하거나 절곡시켜서 사용한다. 하지만 이러한 얇은 플레이트 구조로 인해 충분한 강성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777979호
본 발명은 거푸집의 강성 강화를 위해 무해체 거푸집의 좌측면판 및 우측면판을 접어서 중첩시킨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 및 그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의 내부에 단열재가 구비된 무해체 거푸집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부로 돌출되게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면 비드가 형성되어 있는 하면판, 상기 하면판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고 있고, 하단부가 상기 하면판의 일측에 절곡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하면판의 일측에 세워지며, 내측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제1비드가 상하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1측면판, 상기 하면판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고 있고, 하단부가 상기 하면판의 타측에 절곡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하면판의 타측에 세워지며, 내측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마주보는 상기 제1비드의 위치에 대응하여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제2비드가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2측면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측면판은, 상기 제1비드 중에서 가장 아래쪽에 형성되어 있는 제1하단 비드보다 아래쪽 부분으로써, 상기 제2측면판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측면판 하부절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하단 비드와 연결되는 상기 제1측면판 하부절곡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1측면판 하측 단부인 상기 제1측면판 하부절곡부의 타측까지 접혀서 중첩되도록 형성되는 제1측면판 하부중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측면판은, 상기 제2비드 중에서 가장 아래쪽에 형성되어 있는 제2하단 비드보다 아래쪽 부분으로써, 상기 제1측면판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측면판 하부절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하단 비드와 연결되는 상기 제2측면판 하부절곡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2측면판 하측 단부인 상기 제2측면판 하부절곡부의 타측까지 접혀서 중첩되도록 형성되는 제2측면판 하부중첩부를 포함하는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평평하게 배치되는 하면판, 상기 하면판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고 있고, 하단부가 상기 하면판의 일측에 절곡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하면판의 일측에 세워지며, 상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접혀서 중첩되도록 형성되는 제1측면판 상부중첩부 및 하측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접혀서 중첩되도록 형성되는 제1측면판 하부 중첩부를 포함하는 제1측면판 및 상기 하면판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고 있고, 하단부가 상기 하면판의 타측에 고정되어 상기 하면판의 타측에 세워지며, 상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접혀서 중첩되도록 형성되는 제2측면판 상부중첩부 및 하측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접혀서 중첩되도록 형성되는 제2측면판 하부 중첩부를 포함하는 제2측면판을 포함하는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평평하게 배치되는 하판부 및 상기 하판부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도록 세워져서 연결되고, 상기 하판부와 함께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공간을 한정하는 제1측판부 및 제2측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판부와 상기 제1측판부가 연결되는 제1모서리로부터 위쪽 방향으로 설정 길이 연장된 부분 및 상기 제1모서리로부터 상기 제2측판부 방향으로 설정 길이 연장된 부분은 상기 제1측판부 및 상기 하판부가 중첩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판부와 상기 제2측판부가 연결되는 제2모서리로부터 위쪽 방향으로 설정 길이 연장된 부분 및 상기 제2모서리로부터 상기 제2측판부 방향으로 설정 길이 연장된 부분은 상기 제1측판부 및 상기 하판부가 중첩적으로 형성되는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 상기 하면 비드 상에 밀착되도록 배치되는 제1수평부, 상기 제1수평부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위쪽으로 굽어진 제1절곡부 및 상기 제1수평부의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위쪽으로 굽어진 제2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푸집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 개가 설치되는 하부 스트럽들, 상기 제1수평부로부터 위쪽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수평부, 상기 제2수평부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위쪽으로 굽어지고, 상부는 상기 제1비드에 밀착되며, 하부는 상기 제1절곡부에 밀착되어 결합되는 제3절곡부, 상기 제2수평부의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위쪽으로 굽어지고, 상부는 상기 제2비드에 밀착되며, 하부는 상기 제2절곡부에 밀착되어 결합되는 제4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 개가 설치되는 상부 스트럽들, 상기 하면판과 상기 하부 스트럽들 사이에 배치되는 제1단열재들, 상기 하부 스트럽이 배치되어 있는 상기 하면 비드 상에 배치되는 제2단열재들, 상기 타설 공간 방향으로 상기 제1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제1측면판과 함께 관통되고, 상기 제1측면판의 외부면을 덮도록 고정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3단열재들, 상기 타설 공간 방향으로 상기 제2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제2측면판과 함께 관통되고, 상기 제2측면판의 외부면을 덮도록 고정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4단열재들, 상기 제2단열재들은, 상기 하부 스트럽의 제1절곡부 및 제2절곡부를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제1단열재들, 상기 하면 비드, 상기 제1측면판 및 상기 제2측면판과 밀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타설 공간 방향으로 상기 제1측면판과 상기 제3단열재들을 관통하는 제3연결부재 및 상기 타설 공간 방향으로 상기 제2측면판과 상기 제4단열재를 관통하는 제4연결부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 상기 하면 비드 상에 밀착되도록 배치되는 제1수평부, 상기 제1비드에 밀착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1수평부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위쪽으로 굽어진 제1절곡부, 상기 제2비드에 밀착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1수평부의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위쪽으로 굽어진 제2절곡부를 포함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 개가 배치되는 제1스트럽들, 제1몸체부, 상기 제1몸체부의 일측 단부가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굽어진 제1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1측면판의 내측과 결합되어 있는 상기 제1스트럽의 내측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1몸체부는 상기 타설 공간 내부로 설정 길이 돌출되는 제1고정 바, 제2몸체부, 상기 제2몸체부의 일측 단부가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굽어진 제2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2측면판의 내측과 결합되어 있는 상기 제1스트럽의 내측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2몸체부는 상기 타설 공간 내부로 설정 길이 돌출되는 제2고정 바, 상기 제1측면판과 상기 제1비드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단열재들, 상기 제2측면판과 상기 제2비드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단열재들, 상기 하면판과 상기 하면 비드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3단열재들, 상기 제1측면판의 내부면을 덮도록 상기 제1단열재들 및 상기 제1절곡부에 밀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고정 바에 의해 관통되는 복수 개의 제4단열재들, 상기 제2측면판의 내부면을 덮도록 상기 제2단열재들 및 상기 제2절곡부에 밀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2고정 바에 의해 관통되는 복수 개의 제5단열재들, 상기 하면판의 내부면을 덮도록 상기 제3단열재들 및 상기 제1수평부에 밀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6단열재들, 제3몸체부, 상기 제3몸체부의 일측 단부가 아래쪽으로 굽어진 제3결합부 및 상기 제3몸체부의 타측 단부가 아래쪽으로 굽어진 제4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결합부는 상기 제1고정 바의 제1결합부와 결합하고, 상기 제4결합부는 상기 제2고정 바의 제2결합부와 결합하여 고정되는 스트럽 고정부재 및 상기 제6단열재의 상부에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2수평부, 상기 스트럽 고정부재의 제3몸체부 일측에 밀착되어 결합되되, 상기 제2수평부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위쪽으로 굽어진 제3절곡부, 상기 스트럽 고정부재의 제3몸체부 타측에 밀착되어 결합되되, 상기 제2수평부의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위쪽으로 굽어진 제4절곡부를 포함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 개가 배치되는 제2스트럽들을 포함하는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 및 그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의 내부에 단열재가 구비된 무해체 거푸집 어셈블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무해체 거푸집의 측면판들이 접혀서 중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강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별개의 측면판을 결합시켜서 중첩시키는 것이 아니라, 측면판을 접어서 중첩시키기 때문에 용접 등의 작업이 필요없는 장점이 있다.
셋째, 측면판 전체를 중첩시키는 것이 아니라, 강한 강성이 요구되는 상부와 하부에 중첩되는 구조를 형성하기 때문에 전체를 중첩시키는 경우에 비해 비용 효율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의 단면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의 제1측면판을 확대하여 나탄낸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의 하면판을 확대하여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의 단면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의 내부에 단열재가 구비된 무해체 거푸집 어셈블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따른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의 내부에 단열재가 구비된 무해체 거푸집 어셈블리의 Ⅶ-Ⅶ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따른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의 내부에 단열재가 구비된 무해체 거푸집 어셈블리의 분해도이다.
도 9는 도 6에 따른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의 내부에 단열재가 구비된 무해체 거푸집 어셈블리의 제2단열재가 하부 스트럽과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내부 구조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의 내부에 단열재가 구비된 무해체 거푸집 어셈블리가 도시된 모식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따른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의 내부에 단열재가 구비된 무해체 거푸집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따른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의 내부에 단열재가 구비된 무해체 거푸집 어셈블리의 XⅡ-XⅡ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에 따른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의 내부에 단열재가 구비된 무해체 거푸집 어셈블리의 제4단열재, 제5단열재, 제6단열재에 형성되어 있는 홀과 홈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1000)은 제1측면판(1110), 제2측면판(1120) 및 하면판(1130)을 포함한다. 상기 제1측면판(1110) 및 상기 제2측면판(1120)은 상기 하면판(1130)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세워져서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공간을 한정한다. 상기 거푸집(1000)은 정면, 배면 및 상면이 개구된 구조이다.
상기 거푸집(1000)은 내식성의 강판이나 알루미늄 판으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거푸집(1000)은 시공되는 건축물에 그대로 잔존하여도 부식되지 않는다. 따라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경화가 완료된 후에 상기 거푸집(1000)을 해체하지 않고, 상기 거푸집(1000)에 직접 설비 작업을 할 수 있다.
상기 제1측면판(1110)은 제1비드(1111), 제1측면판 상부절곡부(1112), 제1측면판 상부중첩부(1112'), 제1측면판 하부절곡부(1113) 및 제1측면판 하부중첩부(1113')를 포함한다. 상기 제1측면판(1110)은 상기 하면판(1130)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고, 상기 하면판(1130)의 좌측 단부에 고정되어 상하 방향으로 세워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비드(1111) 중에서 가장 위쪽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제1상단 비드라고 하고, 상기 제1비드(1111) 중에서 가장 아래쪽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제1하단 비드라고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측면판(1110) 중에서 상기 제1상단 비드보다 위쪽 부분을 제1측면판 상부라고 하고, 상기 제1측면판(1110) 중에서 상기 제1하단 비드보다 아래쪽 부분을 제1측면판 하부라고 한다.
상기 제1비드(1111)는 상기 제1측면판(1110)의 내측에 형성되되, 상기 타설 공간 내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설정 길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비드(1111)는 설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거푸집(1100)의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된다. 물론 상기 제1비드(1111)는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비드(1111)는 상기 제1측면판(1110)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측면판(1110)을 내측으로 접어서 돌출되도록 형성한 것이다. 즉, 상기 제1비드(1111)는 상기 제1측면판(1110)에 외측에서 상기 타설 공간 방향으로 힘을 가할 때, 상기 제1측면판(1110)의 내측이 상기 타설 공간 방향으로 돌출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비드(1111)는 상기 제1측면판(1110)의 외측이 접힐 때, 접히는 부분의 위쪽과 아래쪽이 서로 밀착되어 중첩됨으로써 이중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1비드(1111)는 상기 타설 공간 방향으로 수평하게 돌출되다고 위쪽으로 절곡되는 "┛"구조를 갖는다. 물론 상기 제1비드(1111)는 구조적인 강성과 콘크리트와의 접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구조나 그 외 다른 구조로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1측면판 상부절곡부(1112)는 상기 제1상단 비드보다 위쪽 부분을 의미한다. 즉, 상기 제1측면판 상부절곡부(1112)는 상기 제1상단 비드와 연결되는 부분을 일측, 그 반대쪽을 타측이라 할 때, 상기 제1측면판 상부절곡부(1112)의 일측의 위쪽인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는 부분부터 상기 제2측면판(1120) 방향으로 절곡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측면판 상부절곡부(1112)의 타측은 상기 이중 구조의 무해체 거푸집(1000)이 슬라브에 연결될 때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제1측면판 상부절곡부(1112)의 타측은 상기 제2측면판(1120) 방향으로 절곡되고, 그런 다음 상기 하면판(1130) 방향, 그리고 다시 상기 제2측면판(1120) 방향, 그리고 다시 상기 하면판(1130) 방향으로 절곡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측면판 상부절곡부(1112)의 타측 아래쪽에 제1측면판 돌출부(1112b)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1측면판 돌출부(1112b)는 상기 제1측면판 상부절곡부(1112)의 일측과 타측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제1측면판 돌출부(1112b)는 일측이 상기 제1측면판 상부절곡부(1112)의 일측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1측면판 상부절곡부(1112)의 타측(1112a)과 연결된다.
상기 제1측면판 돌출부(1112b)는, 상기 제1측면판 상부 중에서 수직 상방으로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 상기 제2측면판(1120)의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면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측면판 돌출부(1112b)는 상기 제1측면판(1110)의 외측면보다 바깥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는,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콘크리트에서 흘러나오는 콘크리트액체가 상기 제1측면판(1110)의 외측면을 타고 흘러내리지 않고 상기 제1측면판 돌출부(1112b)를 타고 바로 낙하하게 하여, 후에 시행하는 상기 제1측면판(1110)의 청소 및 표면처리와 같은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측면판 돌출부(1112b)는, 최외측면이 상기 콘크리트 액체가 원활하게 타고 흘러내릴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최외측면과 상기 제1측면판(1110)과 연결되는 부분은 흘러내리는 상기 콘크리트 액체가 상기 제1측면판(1110)으로 흐르지 않도록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기 제1측면판 돌출부(1112b)는 상기 제1측면판 상부가 바깥방향으로 돌출되게 절곡되고 그런 다음 상방향에 대하여 절곡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상기 제1측면판 돌출부(1112b)의 형상은, 돌출된 외측 끝단부가 상기 제1측면판(1110)의 외측면보다 바깥방향으로만 돌출되는 것이라면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상기 제1측면판 상부중첩부(1112')는 상기 제1측면판 상부절곡부(1112)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1측면판 상부절곡부(1112)의 타측(1112a)까지 상기 제1측면판(1110)이 접혀서 상기 제1측면판 상부절곡부(1112)와 밀착되어 중첩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측면판 상부중첩부(1112')는 상기 제1측면판 상부절곡부(1112)는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측면판(1110)의 상기 제1상단 비드 위쪽 부분은, 상기 제1측면판(1110)을 접어서 상기 제1측면판 상부절곡부(1112) 및 상기 제1측면판 상부 절곡부(1112)와 동일한 형상의 상기 제1측면판 상부중첩부(1112')를 형성해서 밀착시킴으로써 상기 제1측면판(1110)의 두 부분이 맞닿아 있는 구조이다. 이를 통해 상기 제1측면판(1110)의 상부는 큰 외력도 견딜 수 있는 강한 강성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측면판 상부중첩부(1112')를 상기 제1측면판(1110)을 접어서 형성한 것을 예로 들었지만, 상기 제1측면판 상부중첩부(1112')는 상기 제1측면판 상부절곡부(1112)와 동일한 형상의 별도의 부재를 밀착시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측면판 하부절곡부(1113)는 상기 제1하단 비드보다 아래쪽 부분을 의미한다. 즉, 상기 제1측면판 하부절곡부(1113)는 상기 제1하단 비드와 연결되는 부분을 일측, 그 반대쪽을 타측이라 할 때, 상기 제1측면판 하부절곡부(1113)의 일측의 애래쪽인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부분부터 상기 제2측면판(1120) 방향으로 절곡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측면판 하부절곡부(1113)의 타측은 상기 하면판(1130)의 일측(1132)과 연결된다. 상기 제1측면판 하부절곡부(1113)의 타측은 상기 제2측면판(1120) 방향으로 절곡되는 하부 제1절곡부(1113a1), 그런 다음 위쪽 방향으로 절곡되는 하부 제2절곡부(1113a2), 그리고 다시 상기 제1측면판(1110) 방향으로 절곡되는 하부 제3절곡부(1113a3), 그리고 다시 상기 하면판(1130) 방향으로 절곡되는 하부 제4절곡부(1113a4)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제1측면판 하부중첩부(1113')는 상기 제1측면판 하부절곡부(1113)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1측면판 하부절곡부(1113)의 타측까지 상기 제1측면판(1110)이 접혀서 상기 제1측면판 하부절곡부(1113)와 밀착되어 중첩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측면판 하부중첩부(1113')는 상기 제1측면판 하부절곡부(1112)와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측면판(1110)의 상기 제1하단 비드 아래쪽 부분은, 상기 제1측면판(1110)을 접어서 상기 제1측면판 하부절곡부(1113) 및 상기 제1측면판 하부 절곡부(1113)와 동일한 형상의 상기 제1측면판 하부중첩부(1113')를 형성해서 밀착시킴으로써 상기 제1측면판(1110)의 두 부분이 맞닿아 있는 구조이다. 이를 통해 상기 제1측면판(1110)의 하부는 큰 외력도 견딜 수 있는 강한 강성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측면판 하부중첩부(1113')를 상기 제1측면판(1110)을 접어서 형성한 것을 예로 들었지만, 상기 제1측면판 하부중첩부(1113')는 상기 제1측면판 하부절곡부(1112)와 동일한 형상의 별도의 부재를 밀착시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2측면판(1120)은 제2비드(1121), 제2측면판 상부절곡부(1122), 제2측면판 상부중첩부(1122'), 제2측면판 하부절곡부(1123) 및 제1측면판 하부중첩부(1123')를 포함한다. 상기 제2측면판(1110)은 상기 하면판(1230)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고, 상기 하면판(1230)의 우측 단부에 고정되어 상하 방향으로 세워진다. 상기 제2비드(1121)는 상기 제1비드(1111)와 대응하여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비드(1121)는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되어 형성된다. 물론 상기 제2비드(1121)은 단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측면판 상부절곡부(1122)의 타측(1122a) 및 상기 제2측면판 상부중첩부(1122a')의 타측에는 상기 제1측면판 상부절곡부(1112)의 타측 및 상기 제1측면판 상부중첩부(1112a')와 유사한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측면판(1120)은 상기 제1측면판(1110)과 대칭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제2측면판(112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하면판(1130)은 시공되는 보 구조물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는다. 상기 하면판(1130)은 상기 제1측면판(1110)과 결합하는 하면판 일측(1132), 상기 제2측면판(1120)과 결합하는 하면판 타측(1133) 및 상기 타설 공간 내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설정 길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하면 비드(1131)를 포함한다. 상기 하면 비드(1131)는 설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거푸집(1100)의 수평 방향을 따라 하나 또는 복수 개가 형성된다. 상기 하면 비드(1131)는 상기 거푸집(1110)의 강성을 강화하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하면 비드(1131)는 상기 하면판(1131)을 외측에서 상기 콘크리트 타설 공간 방향으로 밀어 접음으로써, 상기 하면판(1131)의 내측이 상기 콘크리트 타설 공간 으로 돌출되는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면 비드(1131)는 "┻" 구조로 형성되지만, 상기 하면 비드(1131)의 구조는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하면판 일측(1132)은 상기 하면판(1130)이 상기 제1측면판(1110)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평평하게 연장되다가 위쪽으로 절곡되는 하면판 제1절곡부(1132a), 그런 다음 상기 제1측면판(1110) 방향으로 절곡되는 하면판 제2절곡부(1132b), 그리고 상기 하면판(1130) 방향으로 절곡되는 하면판 제3절곡부(1132c)를 포함한다. 상기 하면판 일측(1132)은 상기 제1측면판 하부 절곡부(1113)와 밀착하여 결합된다.
상기 하면판 타측(1133)은 상기 하면판(1130)이 제2측면판(1120)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평평하게 연장되다가 위쪽으로 절곡되는 하면판 제4절곡부(1133a), 그런 다음 상기 제2측면판(1120) 방향으로 절곡되는 하면판 제5절곡부(1133b), 그리고 상기 하면판(1130) 방향으로 절곡되는 하면판 제6절곡부(1133c)를 포함한다. 상기 하면판 타측(1133)은 상기 제2측면판 하부 절곡부(1123)와 밀착하여 결합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4에 따른 무해체 거푸집(1000)의 변형 가능한 구조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따른 무해체 거푸집(1000)의 제1측면판(1110)은 제2측면판(1120)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제1측면판 하부절곡부(1113)를 포함한다. 하지만 상기 제1측면판(1110)이 상기 제2측면판(1120) 방향으로 절곡되지 않은 부분까지만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제1측면판(1110)의 상단부부터 상기 제1측면판(1110)이 상기 제2측면판(1120) 방향으로 절곡되기 전까지의 부분을 제1측판부(1110A)라 한다. 그리고 이와 유사한 구조로써 상기 제2측면판(1110)의 상단부부터 상기 제2측면판(1120)이 상기 제1측면판(1110) 방향으로 절곡되기 전까지의 부분을 제2측판부(1120A)라 한다. 그리고 상기 하면판(1130)이 연장되어 상기 제1측판부(1110A) 및 상기 제2측판부(1120A)와 연결되는 부분까지를 하판부(1130A)라 한다. 또한 상기 제1측판부(1110A)와 상기 하판부(1130A)가 맞닿아서 연결되는 부분을 제1모서리라 하고, 상기 제2측판부(1120A)와 상기 하판부(1130A)가 맞닿아서 연결되는 부분을 제2모서리라 한다.
도 1에 따른 무해체 거푸집(1000)의 제1측면판 하부중첩부(1113')는 상기 제1측판부(1110A)의 하부 및 상기 하판부(1130A)의 좌측부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써, 상기 제1측면판(1110)이 접혀서 중첩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제1측면판 하부 중첩부(1113')에 해당하는 부분은 상기 제1측판부(1110A)의 하부가 접혀서 중첩되고, 상기 하판부(1130A)의 좌측이 접혀서 각각 중첩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2측면판 하부중첩부(1123')에 해당하는 부분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즉, 상기 제2측판부(1120A)의 하부가 접혀서 중첩되고, 상기 하판부(1130A)의 우측이 접혀서 각각 중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측판부(1110A), 제2측판부(1120A) 및 상기 하판부(1130A)는 처음부터 하나의 일체형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고, 처음에는 각각 개별적으로 분리되어 있던 것이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측면판 하부중첩부(1113') 및 상기 제2측면판 하부중첩부(1123')에 해당하는 부분은 상기 제1측판부(1110A), 상기 제2측판부(1120A) 및 상기 하판부(1130A)를 접어서 중첩시킬 수도 있고, 별도의 새로운 판 부재를 상기 제1측판부(1110A), 상기 제2측판부(1120A) 및 상기 하판부(1130A)에 부착 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도 1에 따른 무해체 거푸집(1000)은 상기 제1모서리와 상기 제2모서리를 중첩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측판부(1110A)를 상기 제1측면판(1110)의 상단부부터 상기 제1하단 비드 부분까지로 형성하고, 상기 제2측판부(1110A)를 상기 제2측면판(1120)의 상단부부터 상기 제2하단 비드 부분까지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 때는 상기 하판부(1130A)는 좌측 단부와 우측 단부에서 각각 절곡되어 "∪"와 같은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때는 상기 하판부(1130A)의 좌측과 우측을 접어서 중첩되도록 형성하거나, 상기 하판부(1130A)에 별도의 판 부재를 부착하여 중첩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2000)은 제1측면판(2110), 제2측면판(2120) 및 하면판(2130)을 포함한다. 상기 제1측면판(2110) 및 상기 제2측면판(2120)은 상기 하면판(2130)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세워져서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공간을 한정한다. 상기 거푸집(2000)은 정면, 배면 및 상면이 개구된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해체 거푸집(2000)은 전체적인 구조가 도 1에 따른 무해체 거푸집(1000)과 유사하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 이외에는 도 1에 따른 무해체 거푸집(1000)에서 설명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1측면판(2110)은 제1비드(2111), 제1측면판 상부절곡부(2112), 제1측면판 상부중첩부(2112'), 제1측면판 하부절곡부(2113) 및 제1측면판 하부중첩부(211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해체 거푸집(2000)의 상기 제1측면판(2110)은 도 1에 따른 무해체 거푸집(1000)의 제1측면판(1110)과 비교할 때, 상기 제1측면판 상부중첩부(2112') 및 상기 제1측면판 하부중첩부(2113')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나머지 부분은 도 1의 제1측면판(1110)과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고 상기 제1측면판 상부중첩부(2112') 및 상기 제1측면판 하부중첩부(2113')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측면판 하부중첩부(2113')는 상기 제1측면판 하부절곡부(2113)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접혀있는 구조이다. 즉 도 1의 무해체 거푸집(1000)에서 제1측면판 하부중첩부(1113')는 상기 제1측면판 하부절곡부(1113)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접혀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측면판 하부중첩부(2113')는 상기 제1측면판(2110)을 접어서 상기 제1측면판 하부절곡부(2113)의 외측에 밀착되는 구조이다.
상기 제2측면판(2120)은 제2비드(2111), 제2측면판 상부절곡부(2122), 제2측면판 상부중첩부(2122'), 제2측면판 하부절곡부(2123) 및 제2측면판 하부중첩부(212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해체 거푸집(2000)의 상기 제2측면판(2120)은 도 1에 따른 무해체 거푸집(1000)의 제2측면판(1120)과 비교할 때, 상기 제2측면판 상부중첩부(2122') 및 상기 제1측면판 하부중첩부(2123')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나머지 부분은 도 1의 제2측면판(1120)과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고 상기 제2측면판 상부중첩부(2122') 및 상기 제1측면판 하부중첩부(2123')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측면판 상부중첩부(2122')는 상기 제2측면판 상부절곡부(2122)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접혀있는 구조이다. 즉 도 1의 무해체 거푸집(1000)에서 제2측면판 상부중첩부(1122')는 상기 제1측면판 상부절곡부(1122)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접혀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측면판 상부중첩부(2122')는 상기 제2측면판(2120)을 접어서 상기 제2측면판 상부절곡부(2122)의 외측에 밀착되는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측면판 상부중첩부(2112')는 상기 제2측면판 상부중첩부(2122')와 대칭되는 구조를 가져서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2측면판 하부중첩부(2123')는 상기 제1측면판 하부중첩부(2113')와 대칭되는 구조를 가져서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의 내부에 단열재가 구비된 무해체 거푸집 어셈블리(3000)는 거푸집(3100), 스트럽(3200), 단열재(3300) 및 코너 철판(340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무해체 거푸집 어셈블리(3000)의 거푸집(3100)은 도 1의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1000)과 구조가 유사하다. 따라서 상기 거푸집(3100)의 설명은 생략하고, 그 외 부분에 대해 이하에서 설명한다.
상기 스트럽(3200)은 하부 스트럽(3210) 및 상부 스트럽(3220)을 포함한다. 상기 스트럽(3200)은 전단 보강근 역할을 하고, 콘크리트 타설시 측압 저항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부 스트럽(3210)은 제1수평부(3211), 제1절곡부(3212) 및 제2절곡부(3213)를 포함하는 "U"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 스트럽(3210)은 상기 거푸집(3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 개가 설치된다.
상기 하부 스트럽(3210)의 수평한 바 부분인 상기 제1수평부(3211)는 하면 비드(3131)에 밀착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수평부(3211)는 상기 하면 비드(3131)와 용접을 통해 결합되는 것을 예로 든다. 물론 상기 제1수평부(3211)와 상기 하면 비드(3131)의 결합 방법은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제1절곡부(3212)는 상기 제1수평부(3211)의 왼쪽인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위쪽으로 굽어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절곡부(3212)는 제1비드(3111)와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절곡부(3212)가 상기 제1비드(3111)와 밀착되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절곡부(3213)는 상기 제1수평부(3211)의 오른쪽인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위쪽으로 굽어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절곡부(3213)는 상기 제2비드(3121)와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2절곡부(3213)가 상기 제2비드(3121)와 밀착되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상기 하부 스트럽(3210)은 상기 거푸집(3100)의 상하 방향 길이에 따라 길이가 다르게 형성된다. 즉, 상기 하부 스트럽(3210)은 상기 거푸집(3100)의 상하 방향의 길이가 길면 상기 제1절곡부(3212) 및 상기 제2절곡부(3213)의 길이가 길어지고, 상기 거푸집(3100)의 상하 방향의 길이가 짧아지면 상기 제1절곡부(3212) 및 상기 제2절곡부(3213)의 길이가 짧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상부 스트럽(3220)의 사이즈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하부 스트럽(3210)의 사이즈를 변경 시킴으로써, 상기 거푸집(3100)의 사이즈 변화에 대응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스트럽(3210)은 하나의 바 구조의 철근의 양측을 굽힐 때, 굽어지지 않은 직선 구조의 수평 부분이 제1수평부(3211), 왼쪽의 굽어진 부분이 제1절곡부(3212), 오른쪽의 굽어진 부분이 제2절곡부(3213)가 되는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바 구조의 철근의 양측에 바 구조의 다른 철근을 각각 결합하여 상기 하부 스트럽(3210)을 제작할 수도 있다.
상기 상부 스트럽(3220)은 제2수평부(3221), 제3절곡부(3222) 및 제4절곡부(3223)를 포함하는 "U"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 스트럽(3220)은 상기 거푸집(3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 개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 스트럽(3220)의 수평한 바 부분인 상기 제2수평부(3221)는 상기 제1수평부(3211)로부터 위쪽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제3절곡부(3222)는 상기 제2수평부(3221)의 왼쪽인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위쪽으로 굽어져 있다. 상기 제3절곡부(3222)는 상기 제1비드(3111)에 밀착된다. 또한 상기 제3절곡부(3222)는 상기 제1절곡부(3112)에 밀착하여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3절곡부(3222)의 하부는 상기 제1절곡부(3112)의 상부와 중첩되어 겹쳐지고, 상기 겹쳐지는 부분을 용접하여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제4절곡부(3223)는 상기 제2수평부(3221)의 오른쪽인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위쪽으로 굽어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4절곡부(3223)는 상기 제2비드(3121)에 밀착된다. 또한 상기 제4절곡부(3223)는 상기 제2절곡부(3213)에 밀착하여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4절곡부(3223)의 하부는 상기 제2절곡부(3213)의 상부와 중첩되어 겹쳐지고, 상기 겹쳐지는 부분을 용접하여 결합한다. 물론 상기 제1절곡부(3212)와 상기 제3절곡부(3222)의 결합 방법 및 상기 제2절곡부(3222)와 상기 제4절곡부(3223)의 결합 방법은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상부 스트럽(3220)은 사이즈가 고정되어 있다. 즉, 상기 상부 스트럽(3220)은 상기 거푸집(3100)의 상하 방향의 길이가 길어지더라도 상기 제3절곡부(3222) 및 상기 제4절곡부(3223)의 길이가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상부 스트럽(3220)은 규격화하여 호환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 단열재(3300)는 제1단열재(3310), 제2단열재(3320), 제3단열재(3330) 및 제4단열재(3340)을 포함한다. 상기 단열재(3300)는 단열성을 갖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단열재라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1단열재(3310)는 상기 하면판(3130)과 상기 하부 스트럽(3210) 사이에 배치된다. 즉, 상기 거푸집(3100)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하면판(3130)의 내측과 상기 하면 비드(3131)로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된다. 상기 제1단열재(3310)는 상기 제1측면판(3110)의 내측, 상기 제2측면판(3120)의 내측, 상기 하면판(3130)의 내측, 상기 하면 비드(3131) 및 상기 하부 스트럽(3210)의 제1수평부(3211)와 밀착된다. 상기 제1단열재(3310)는 상기 하면판(3130) 및 상기 하면 비드(3131) 사이에 끼움 결합 구조로 결합된다. 물론 상기 제1단열재(3310)를 상기 하면판(3130)에 밀착되도록 결합하는 방법은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단열재(3310)는 상기 거푸집(3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밀착되어 배치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단열재(3310)가 하나의 일체형으로 형성되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상기 제2단열재(3320)는 상기 하부 스트럽(3210)이 배치되어 있는 상기 하면 비드(3131) 상에 배치된다. 즉, 상기 제2단열재(3320)는 상기 하부 스트럽(3210)이 상기 하면 비드(3131) 상에 밀착하여 결합된 후에, 상기 제1절곡부(3212) 및 상기 제2절곡부(3213)가 상기 제2단열재(3320)의 하면에서 상면으로 관통하면서 결합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2단열재(3320)는 상기 하부 스트럽(3210)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제1관통홀(3321), 제2관통홀(3322) 및 제1삽입홈(33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관통홀(3321)로는 상기 하부 스트럽(3210)의 제1절곡부(3212)가 관통하여 결합하고, 상기 제2관통홀(3322)로는 상기 하부 스트럽(3210)의 제2절곡부(3213)가 관통하여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제1삽입홈(3323)에는 상기 하부 스트럽(3210)의 제1수평부(3211)가 끼워져서 삽입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2단열재(3320)를 먼저 상기 제3돌출부(3131) 상에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스트럽(3210)이 상기 제2단열재(3320)의 상면에서 하면 방향으로 관통하면서 결합되는 구조로 변경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단열재(3320)는 상기 거푸집(3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밀착되어 배치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2단열재(3320)가 하나의 일체형으로 형성되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상기 제3단열재(3330)는 상기 제1측면판(3110)의 외측에 밀착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3단열재(3330)는 상기 제3단열재(3330) 및 상기 제1측면판(3110)을 관통하여 상기 타설 공간 내부로 설정 길이 돌출되는 제1연결부재(3331)에 의해 상기 제1측면판(3110)에 고정된다.
상기 제1연결부재(3331)는 단열재 시공을 위한 단열재 고정용 파스너(fastener)로 형성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연결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제3단열재(3330)를 상기 제1측면판(3110)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3331)는 상기 제3단열재(3330)에 복수 개가 상하 방향으로 설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4단열재(3340)는 상기 제2측면판(3120)의 외측에 밀착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4단열재(3340)는 상기 제4단열재(3340) 및 상기 제2측면판(3120)을 관통하여 상기 타설 공간 내부로 설정 길이 돌출되는 제2연결부재(3341)에 의해 상기 제2측면판(3120)에 고정된다.
상기 제2연결부재(3341)는 단열재 시공을 위한 단열재 고정용 파스너(fastener)로 형성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연결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제4단열재(3340)를 상기 제2측면판(3120)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3341)는 상기 제4단열재(3340)에 복수 개가 상하 방향으로 설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3단열재(3330)는 상기 제3단열재(3330), 상기 제1측면판(3110) 및 상기 제2단열재(3320)와 동시에 결합하는 제3연결부재(3332)에 의해서도 함께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4단열재(3340)는 상기 제4단열재(3340), 상기 제2측면판(3120) 및 상기 제2단열재(3320)와 동시에 결합하는 제4연결부재(3342)에 의해서도 함께 고정된다. 상기 제3연결부재(3332)는 상기 제3단열재(3330) 및 상기 제1측면판(3110)을 관통하여 상기 제2단열재(3320)의 좌측에 삽입되고, 상기 제4연결부재(3342)는 상기 제4단열재(3340) 및 상기 제2측면판(3120)을 관통하여 상기 제2단열재(3320)의 우측에 삽입된다. 상기 제3연결부재(3332) 및 상기 제4연결부재(3342)는 상기 제1연결부재(3331)와 유사한 파스너로 형성된다.
상기 코너 철판(3400)은 제1코너 철판(3410) 및 제2코너 철판(3420)을 포함한다. 상기 코너 철판(3400)은 상기 제3단열재(3330) 및 상기 제4단열재(334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다. 상기 코너 철판(3400)은 기존의 합판을 소재로 한 플레이트 구조의 단열재 보호부재보다 강성이 커서 상기 제3단열재(3330) 및 상기 제4단열재(3340)의 보호에 더 효율적이다. 상기 제1코너 철판(3410)은 상기 제3단열재(3330)의 좌측면 및 하면이 접하는 모서리를 감싸면서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제2코너 철판(3420)은 상기 제4단열재(3340)의 우측면 및 하면이 접하는 모서리를 감싸면서 고정되도록 "┛"형상을 갖는다. 이 때 상기 코너 철판(3400)은 상기 제1연결부재(3331, 3332) 또는 상기 제2연결부재(3341, 3342)와 유사한 파스너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코너 철판(3410) 및 상기 제2코너 철판(3420)은 각각 상기 제3단열재(3330) 및 상기 제4단열재(3340)의 전면에서 후면까지 길이 방향을 따라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코너 철판(3400)은 상기 제3단열재(3330)의 하면과 좌측면이 접하는 모서리 중 꼭지점 부분, 상기 제4단열재(3340)의 하면과 우측면이 접하는 모서리 중 꼭지점 부분 및 동바리(3500)가 설치되는 부분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가 분리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코너 철판(3400)은 분리되어 복수 개로 제작되면 비용이 절감되고 운반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 때, 공장에서 상기 코너 철판(3400)이 상기 제3단열재(3330) 및 상기 제4단열재(3340)에 부착된 상태에서 건축 현장에 이송되기 때문에 동바리(3500)를 직접 상기 단열재가 구비된 무해체 거푸집 어셈블리(3000)의 하면에 설치하더라도 상기 제3단열재(3330) 및 상기 제4단열재(334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의 내부에 단열재가 구비된 무해체 거푸집 어셈블리(4000)는 거푸집(4100), 외측 단열재(4200), 제1스트럽(4300), 제1고정 바(4311), 제2고정 바(4321), 내측 단열재(4400), 스트럽 고정부재(4500) 및 제2스트럽(460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무해체 거푸집 어셈블리(4000)의 거푸집(4100)은 도 1의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1000)과 구조가 유사하다. 따라서 상기 거푸집(4100)의 설명은 생략하고, 그 외 부분에 대해 이하에서 설명한다.
상기 외측 단열재(4200)는 제1단열재(4210), 제2단열재(4220) 및 제3단열재(4230)를 포함한다. 상기 외측 단열재(4200)는 단열성을 갖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단열재라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1단열재(4210)는 제1측면판(4110)과 제1비드(4111)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된다. 즉, 상기 거푸집(4100)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1측면판(4110)의 내측과 상기 제1비드(4111)로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된다.
상기 제1단열재(4210)는 직육면체 구조를 갖되, 상기 직육면체 하면의 우측 절반이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유닛(4211) 및 직육면체 구조를 갖되, 상기 직육면체 상면의 좌측 절반이 위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2유닛(4212)을 포함한다. 상기 제1유닛(4211)의 연장된 부분과 상기 제2유닛(4212)의 연장된 부분은 서로 밀착하여 상보적으로 결합한다. 따라서 상기 제1단열재(4210)를 일체형으로 된 하나의 단열재로 형성하는 경우보다 취급이 간편하면서도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고, 상기 제1단열재(4210) 일부에 손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쉽게 교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물론 상기 제1유닛(4211)은 상기 직육면체 하면의 좌측 절반이 아래쪽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이 때는 상기 제2유닛(4212)이 상기 직육면체 상면의 우측 절반이 위쪽으로 연장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2단열재(4220)는 제2측면판(4120)과 제2비드(4121)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된다. 즉, 상기 거푸집(4100)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2측면판(4120)의 내측과 상기 제2비드(4121)로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된다. 상기 제2단열재(4220)의 구조는 상기 제1단열재(4210)의 구조와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3단열재(4230)는 하면판(4130)과 하면 비드(4131)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된다. 즉, 상기 거푸집(4100)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하면판(4130)의 내측과 상기 하면 비드(4131)로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된다.
상기 제1스트럽(4300)은 전단 보강근 역할을 하고, 콘크리트 타설시 측압 저항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스트럽(4300)은 제1수평부(4310), 제1절곡부(4320) 및 제2절곡부(4330)를 포함하는 "U"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1스트럽(4300)은 상기 거푸집(4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 개가 설치된다.
상기 제1스트럽(4300)의 수평한 바 부분인 상기 제1수평부(4310)는 상기 하면 비드(4131)에 밀착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수평부(4310)는 상기 하면 비드(4131)와 용접을 통해 결합되는 것을 예로 든다. 물론 상기 제1수평부(4310)와 상기 하면 비드(4131)의 결합 방법은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제1절곡부(4320)는 상기 제1수평부(4310)의 왼쪽인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위쪽으로 굽어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절곡부(4320)는 상기 제1비드(4111)와 밀착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제2절곡부(4330)는 상기 제1수평부(4310)의 오른쪽인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위쪽으로 굽어져 있다. 상기 제2절곡부(4330)는 상기 제2비드(4121)와 밀착 결합한다.
상기 제1스트럽(4300)의 제1절곡부(4320) 내측에는 제1고정 바(4321)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스트럽(4300)의 제2절곡부(4320) 내측에는 제2고정 바(4331)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고정 바(4321)는 제1몸체부(4321a) 및 상기 제1몸체부(4321a)의 일측 단부가 위쪽으로 굽어진 제1결합부(4321b)를 포함한다. 물론 상기 제1결합부(4321b)는 아래쪽으로 굽어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몸체부(4321a)와 상기 제1결합부(4321b)는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부(4321b)는 상기 제1절곡부(4320)의 내측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몸체부(4311a)는 상기 타설 공간 내부로 설정 길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고정 바(4331)는 제2몸체부(4331a) 및 상기 제2몸체부(4331a)의 일측 단부가 위쪽으로 굽어진 제2결합부(4331b)를 포함한다. 물론 상기 제2결합부(4331b)는 아래쪽으로 굽어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몸체부(4331a)와 상기 제2결합부(4331b)는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결합부(4331b)는 상기 제2절곡부(4330)의 내측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2몸체부(4331a)는 상기 타설 공간 내부로 설정 길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내측 단열재(4400)는 제4단열재(4410), 제5단열재(4420) 및 제6단열재(4430) 를 포함한다. 상기 내측 단열재(4400)는 단열성을 갖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단열재라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4단열재(4410)는 상기 제1측면판(4110)의 내부면을 덮도록 상기 제1단열재(4210)에 밀착되어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4단열재(4410)는 상기 제1절곡부(4310)를 덮도록 밀착하여 배치된다. 이 때 상기 제4단열재(4410)는 상기 제1고정 바(4321)의 제1몸체부(4321a)를 관통하여 상기 제1단열재(4210) 및 상기 제1절곡부(1310)에 밀착된다.
도 13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제4단열재(4410)는 상기 제1고정 바(4321)가 관통하여 결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제1고정 바 결합홀(4411)이 상기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4단열재(4410) 재의 일측에는 상기 제1스트럽(4300)의 제1절곡부(4320)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제1절곡부 삽입홈(4412)이 상기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4단열재(4410)는 상기 제1고정 바(4321) 및 상기 제1절곡부(4320)와 쉽게 밀착되어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5단열재(4420)는 상기 제2측면판(4120)의 내부면을 덮도록 상기 제2단열재(4220)에 밀착되어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5단열재(4420)는 상기 제2절곡부(4330)를 덮도록 밀착하여 배치된다. 이 때 상기 제5단열재(4420)는 상기 제2고정 바(4331)의 제2몸체부(4331a)를 관통하여 상기 제2단열재(4220) 및 상기 제2절곡부(4330)에 밀착된다.
도 13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제5단열재(4420)는 상기 제2고정 바(4331) 및 상기 제2절곡부(4330)와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2고정바 결합부(4422) 및 제2절곡부 삽입 홈(44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고정바 결합부(4422) 및 제2절곡부 삽입 홈(4422)의 구조는 상기 제1고정바 결합부(4411) 및 제1절곡부 삽입 홈(4412)와 유사하다.
상기 제6단열재(4430)는 상기 하면판(4130)의 내부면을 덮도록 상기 제3단열재(4230)에 밀착되어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6단열재(4430)는 상기 제1수평부(4310)를 덮도록 밀착하여 배치된다. 도 13의 (c)를 참조하면, 상기 제6단열재(4430)는 하면에 상기 제1수평부(4310)가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1수평부 삽입 홈(4431)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4단열재(4410) 및 상기 제5단열재(4420)는 상기 제6단열재(4430) 상에 밀착하여 배치되는 것을 예로 든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4단열재(4410)가 상기 제1절곡부(4320) 및 제1수평부(4310)와 밀착하여 결합되고, 상기 제5단열재(4420)가 상기 제2절곡부(4330) 및 상기 제1수평부(4310)와 밀착하여 결합되며, 상기 제6단열재(4430)가 상기 제4단열재(4410) 및 상기 제5단열재(4420)의 사이에 밀착하여 배치되는 구조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스트럽 고정부재(4500)는 제3몸체부(4510), 상기 제3몸체부(4510)의 왼쪽인 일측 단부가 아래쪽으로 굽어진 제3결합부(4520) 및 상기 제3몸체부(4510)의 오른쪽인 타측 단부가 아래쪽으로 굽어진 제4결합부(4530)를 포함한다. 상기 제3몸체부(4510)는 상기 제6단열재(4430)으로부터 위쪽으로 설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제3결합부(4520)는 상기 제1고정 바(4321)의 제1결합부(4321a)와 결합한다. 이 때 상기 제3결합부(4520)는 상기 제1결합부(4321)의 제1몸체부(4321a)에 형성되어 있는 제1홀(4321a')을 위쪽에서 아래쪽 방향으로 관통하여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3결합부(4520)와 상기 제1홀(4321a')은 끼움 결합되는 것을 예로 든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3결합부(4520)과 상기 제1홀(4321a')을 용접하거나 타이를 이용하여 묶어서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제4결합부(4530)는 상기 제2결합부(4331)의 제2몸체부(4331a)에 형성되어 있는 제2홀(4331a')과 결합한다. 상기 제4결합부(4530)과 상기 제2홀(4331a')의 결합 구조는 상기 제3결합부(4520)와 상기 제1홀(4321a')의 결합 구조와 유사하다.
상기 제2스트럽(4600)은 제2수평부(4610), 제3절곡부(4620) 및 제4절곡부(4630)를 포함한다. 상기 제2수평부(4610)는 상기 제6단열재(4430)와 상기 스트럽 고정부재(4500)의 제3몸체부(4510)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제6단열재(4430)의 상부에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3절곡부(4620)는 상기 제2수평부(4610)의 왼쪽인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위쪽으로 굽어져 있다. 상기 제3절곡부(4620)는 상기 스트럽 고정부재(4500)의 제3몸체부(4510)의 일측에 밀착되어 결합된다. 상기 제4절곡부(4630)는 상기 제2수평부(4610)의 오른쪽인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위쪽으로 굽어져 있다. 상기 제4절곡부(4630)는 상기 스트럽 고정부재(4500)의 제3몸체부(4510)의 타측에 밀착되어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3절곡부(4620)와 상기 제3몸체부(4510)의 결합 및 상기 제4절곡부(4630)와 상기 제3몸체부(4510)의 결합은 용접 결합하는 것을 예로 들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타이 결합 또는 그 외 다른 결합으로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0, 2000: 무해체 거푸집
1100, 2100, 3100, 4100: 거푸집
1110, 2110, 3110, 4110: 제1측면판
1111, 2111, 3111, 4111: 제1비드
1112, 2112: 제1측면판 상부절곡부
1112a: 제1측면판 상부절곡부 타측
1112b: 제1측면판 돌출부
1112', 2112': 제1측면판 상부중첩부
1112a': 제1측면판 상부중첩부 타측
1112b': 제1측면판 돌출중첩부
1113, 2113: 제1측면판 하부절곡부
1113a1, 2113a1: 하부 제1절곡부
1113a2, 2113a2: 하부 제2절곡부
1113a3, 2113a3: 하부 제3절곡부
1113a4, 2113a4: 하부 제4절곡부
1113', 2113': 제1측면판 하부중첩부
1120, 2120, 3120, 4120: 제2측면판
1121, 2121, 3121, 4121: 제2비드
1122, 2122: 제2측면판 상부절곡부
1122', 2122': 제2측면판 상부중첩부
1123, 2123: 제2측면판 하부절곡부
1123', 2123': 제2측면판 하부중첩부
1130, 2130, 3130, 4130: 하면판
1131, 2131, 3131, 4131: 하면 비드
1132, 2132: 하면판 일측
1132a, 2132a: 하면판 제1절곡부
1132b, 2132b: 하면판 제2절곡부
1132c, 2132c: 하면판 제3절곡부
1133, 2133: 하면판 타측
1133a, 2133a: 하면판 제4절곡부
1133b, 2133b: 하면판 제5절곡부
1133c, 2133c: 하면판 제6절곡부
1110A: 제1측판부
1120A: 제2측판부
1130A: 하판부
3200: 스트럽
3210: 하부 스트럽
3211: 제1수평부
3212: 제1절곡부
3213: 제2절곡부
3220: 상부 스트럽
3221: 제2수평부
3222: 제3절곡부
3223: 제4절곡부
3300: 단열재
3310: 제1단열재
3320: 제2단열재
3321: 제1관통홀
3322: 제2관통홀
3323: 제1삽입홈
3330: 제3단열재
3331: 제1연결부재
3332: 제3연결부재
3340: 제4단열재
3341: 제2연결부재
3342: 제4연결부재
3400: 코너 철판
3410: 제1코너 철판
3420: 제2코너 철판
3500: 동바리
3510: 제1동바리
3520: 제2동바리
3530: 제3동바리
4200: 외측 단열재
4210: 제1단열재
4211, 4221: 제1유닛
4212, 4222: 제2유닛
4220: 제2단열재
4230: 제3단열재
4300: 제1스트럽
4310: 제1수평부
4320: 제1절곡부
4321: 제1고정바
4321a: 제1몸체부
4321a': 제1홀
4321b: 제1결합부
4330: 제2절곡부
4331: 제2고정바
4331a: 제2몸체부
4331a': 제2홀
4331b: 제2결합부
4400: 내측 단열재
4410: 제4단열재
4411: 제1고정바 결합홀
4412: 제1절곡부 삽입홈
4420: 제5단열재
4421: 제2고정바 결합부
4422: 제2절곡부 삽입홈
4430: 제6단열재
4431: 제1수평부 삽입홈
4500: 스트럽 고정부재
4510: 제3몸체부
4520: 제3결합부
4530: 제4결합부
4600: 제2스트럽
4610: 제2수평부
4620: 제3절곡부
4630: 제4절곡부

Claims (2)

  1. 평평하게 배치되는 하면판;
    상기 하면판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고 있고, 하단부가 상기 하면판의 일측에 절곡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하면판의 일측에 세워지며, 단일한 판이 연장되다가 상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접혀서 중첩되도록 형성되는 제1측면판 상부중첩부를 포함하는 제1측면판; 및
    상기 하면판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고 있고, 하단부가 상기 하면판의 타측에 절곡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하면판의 타측에 세워지며, 단일한 판이 연장되다가 상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접혀서 중첩되도록 형성되는 제2측면판 상부 중첩부를 포함하는 제2측면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측면판 상부 중첩부는,
    일측은 상기 하면판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중첩되고, 상기 일측과 연결되어 있는 타측은 상기 제2측면판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면서 중첩되며,
    상기 제2측면판 상부 중첩부는,
    일측은 상기 하면판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중첩되고, 상기 일측과 연결되어 있는 타측은 상기 제1측면판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면서 중첩되는,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
  2. 평평하게 배치되는 하면판;
    상기 하면판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고 있고, 하단부가 상기 하면판의 일측에 절곡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하면판의 일측에 세워지며, 단일한 판이 연장되다가 하측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접혀서 중첩되도록 형성되는 제1측면판 하부중첩부를 포함하는 제1측면판; 및
    상기 하면판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고 있고, 하단부가 상기 하면판의 타측에 절곡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하면판의 타측에 세워지며, 단일한 판이 연장되다가 하측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접혀서 중첩되도록 형성되는 제2측면판 하부 중첩부를 포함하는 제2측면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측면판 하부 중첩부는,
    일측은 상기 하면판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중첩되고, 상기 일측과 연결되어 있는 타측은 상기 제2측면판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면서 상기 하면판의 일측에 고정되는 부분까지 중첩되며,
    상기 제2측면판 하부 중첩부는,
    일측은 상기 하면판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중첩되고, 상기 일측과 연결되어 있는 타측은 상기 제1측면판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면서 상기 하면판의 타측에 고정되는 부분까지 중첩되는,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
KR1020200179207A 2020-04-09 2020-12-21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 및 그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의 내부에 단열재가 구비된 무해체 거푸집 어셈블리 KR102444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207A KR102444580B1 (ko) 2020-04-09 2020-12-21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 및 그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의 내부에 단열재가 구비된 무해체 거푸집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220A KR102195990B1 (ko) 2020-04-09 2020-04-09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 및 그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의 내부에 단열재가 구비된 무해체 거푸집 어셈블리
KR1020200179207A KR102444580B1 (ko) 2020-04-09 2020-12-21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 및 그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의 내부에 단열재가 구비된 무해체 거푸집 어셈블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3220A Division KR102195990B1 (ko) 2020-04-09 2020-04-09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 및 그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의 내부에 단열재가 구비된 무해체 거푸집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5890A true KR20210125890A (ko) 2021-10-19
KR102444580B1 KR102444580B1 (ko) 2022-09-16

Family

ID=7409012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3220A KR102195990B1 (ko) 2020-04-09 2020-04-09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 및 그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의 내부에 단열재가 구비된 무해체 거푸집 어셈블리
KR1020200179207A KR102444580B1 (ko) 2020-04-09 2020-12-21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 및 그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의 내부에 단열재가 구비된 무해체 거푸집 어셈블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3220A KR102195990B1 (ko) 2020-04-09 2020-04-09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 및 그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의 내부에 단열재가 구비된 무해체 거푸집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1959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078B1 (ko) * 2021-12-06 2023-05-09 주식회사 네오솔라텍 조립부재를 사용하는 무용접 거푸집
KR102530079B1 (ko) * 2021-12-06 2023-05-09 주식회사 네오솔라텍 콘크리트 에어 포켓 제거 및 콘크리트 유출 방지를 위한 거푸집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753B1 (ko) * 2010-07-21 2011-01-19 (주)동하이엔지 보 구조용 거푸집
KR101777979B1 (ko) 2016-12-16 2017-09-12 티앤에스슈퍼데크(주) 비탈형 보 거푸집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753B1 (ko) * 2010-07-21 2011-01-19 (주)동하이엔지 보 구조용 거푸집
KR101777979B1 (ko) 2016-12-16 2017-09-12 티앤에스슈퍼데크(주) 비탈형 보 거푸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078B1 (ko) * 2021-12-06 2023-05-09 주식회사 네오솔라텍 조립부재를 사용하는 무용접 거푸집
KR102530079B1 (ko) * 2021-12-06 2023-05-09 주식회사 네오솔라텍 콘크리트 에어 포켓 제거 및 콘크리트 유출 방지를 위한 거푸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5990B1 (ko) 2020-12-29
KR102444580B1 (ko) 2022-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4580B1 (ko)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 및 그 이중 구조로 형성된 무해체 거푸집의 내부에 단열재가 구비된 무해체 거푸집 어셈블리
KR200426483Y1 (ko) 콘크리트 슬래브용 데크패널의 데크 플레이트
KR102177360B1 (ko) 전단벽 시공용 피씨 더블월,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단벽 시공방법
KR101578902B1 (ko) 건축용 pc슬래브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6108595B2 (ja) リブ付き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と、それを用いた合成床スラブと梁のコンクリート打ち分け方法
CN110820928A (zh) 墙板与梁的连接节点及其施工方法
KR101513055B1 (ko) 강-콘크리트 합성부재용 선조립 골조
KR20190063645A (ko) 폐단면 합성 기둥과 철골보 연결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672991B1 (ko) 철근 콘크리트 기둥용 선조립 구조물
JP7169836B2 (ja) 建物の柱梁接合部構造
KR101127362B1 (ko) 고효율의 전단저항력 발휘 구조를 가지는 파형강판과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115986B1 (ko) 거푸집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선조립 기둥 구조물
KR102444579B1 (ko) 단열재가 구비된 무해체 거푸집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보 구조물 시공방법
JP5757510B1 (ja) 鋼材柱の補強構造
KR101846501B1 (ko) 철근래티스 콘크리트 스틸합성 박스형 기둥 구조체
KR200469319Y1 (ko) 철골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과 철근콘크리트로 보강된 단부를 갖는 철골 보의 접합구조
CN211735733U (zh) 墙板与梁的连接节点
FI91654C (fi) Seinämämuotti
JP6590571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梁端部の接合構造及び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梁柱架構
JP3791887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ト基礎梁の接合方法及び壁構築用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ト部材の接合方法
JP2007063936A (ja) 壁付き柱の補強構造
KR102270884B1 (ko) 3회 이상 중첩된 구조를 갖는 무해체 거푸집
KR102196893B1 (ko) 일체형 드롭 패널 및 그 일체형 드롭 패널을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102154622B1 (ko) 단열재가 내부에 구비된 무해체 거푸집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보 구조물 시공방법
CN216840600U (zh) 一种构造柱免支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