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7362B1 - 고효율의 전단저항력 발휘 구조를 가지는 파형강판과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고효율의 전단저항력 발휘 구조를 가지는 파형강판과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7362B1
KR101127362B1 KR1020110109162A KR20110109162A KR101127362B1 KR 101127362 B1 KR101127362 B1 KR 101127362B1 KR 1020110109162 A KR1020110109162 A KR 1020110109162A KR 20110109162 A KR20110109162 A KR 20110109162A KR 101127362 B1 KR101127362 B1 KR 101127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ugated steel
steel sheet
concrete
connecting plate
concret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9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호
이종수
Original Assignee
이종수
박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614234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12736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박영호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1020110109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73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7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7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Abstract

본 발명은 파형강판의 폭방향 상측과 하측에 콘크리트 플랜지가 결합되어 있는 파형강판 거더 또는 파형강판의 폭방향 상측과 하측에 콘크리트 슬래브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박스거더 등과 같이, 파형강판의 일측 또는 양측에 콘크리트 부재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구성의 접합구조체에서, 불필요한 부속물을 사용하지 아니하면서도 콘크리트 부재와 파형강판 간의 일체성이 더욱 향상된 구성을 가지게 되는 파형강판과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파형강판(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판부재로 이루어진 연결판(11)이 파형강판(10)의 양면에 각각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판(11)에는 콘크리트가 통과하게 되는 관통공(12)이 형성되어 있고; 파형강판(10)에는, 파형강판(10)을 관통하는 철근공(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철근공(15)에는 파형강판(10)과 직교하는 관통철근(22)이 관통삽입되어 상기 관통철근(22)의 양단이 각각 파형강판(10)의 양면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파형강판(10)의 폭방향 일측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상기 관통공(12)에 콘크리트가 통과하여 지나간 채로 경화되고 상기 관통철근(22)과 연결판(11)이 상기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상태로 파형강판(10)의 일측에 콘크리트 부재(20)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과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구조체와, 그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고효율의 전단저항력 발휘 구조를 가지는 파형강판과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Composite Structural Member of Corrugated Steel Web and Concrete Member}
본 발명은 파형강판과 콘크리트 부재가 서로 일체가 되어 형성된 접합구조체와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파형강판의 상부와 하부에 콘크리트 플랜지가 결합되어 있는 파형강판 거더 또는 파형강판의 상부와 하부에 콘크리트 슬래브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박스 거더 구조물 등과 같이, 파형강판의 폭방향 일측 또는 양측에 콘크리트 부재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구성의 접합구조체에서, 불필요한 부속물을 사용하지 아니하면서도 콘크리트 부재와 파형강판 간의 일체성이 더욱 향상되며 고효율의 전단저항력을 발휘하게 되는 구성을 가지는 파형강판과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파형강판과 콘크리트 부재가 일체로 결합되어 형성된 접합구조체의 일예로는 파형강판 거더가 공지되어 있으며, 이러한 파형강판 거더 이외에도, 복부(Web)부분은 파형강판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파형강판의 상,하측에 콘크리트 슬래브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박스거더 구조물도 알려져 있다.
아래에서 선행특허문헌으로 기재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61510호에 개시된 파형강판 거더의 경우, 파형강판의 상단에 ㄱ자 형강을 결합하고, ㄱ자 형강의 상면에 스터드를 용접 결합하여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ㄱ자 형강과 스터드가 콘크리트 플랜지에 매립되도록 하여 파형강판의 상단에 콘크리트 플랜지를 결합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ㄱ자 형강과 스터드를 이용한 종래의 파형강판 거더는, ㄱ자로 절곡된 형강을 이용하게 되므로, 형강의 성형을 위한 시간과 비용이 추가로 더 소요되며, 파형강판이 매립되도록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콘크리트 부재가 결합될 때, ㄱ자 형강의 수평부분 아래쪽 즉, ㄱ자 형강의 내측 모서리 부분에는 콘크리트가 불충분하게 채워지거나 또는 불충분하게 다져지는 현상이 유발되고, 그로 인하여 균열 발생, 내구성 저하 등의 하자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ㄱ자 형강을 이용하는 종래의 기술에서는, 구조적으로 불필요한 스터드를 용접에 의해 ㄱ자 형강의 상면에 일체 접합하고 있으므로, 스터드의 용접과정에서 발생하는 용접열에 의해 ㄱ자 형강에 변형이나 손상을 가져오게 될 뿐만 아니라, 용접작업에 따른 비용 및 작업시간 증가의 단점이 존재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615106호(2006. 03. 21. 공고)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파형강판과 콘크리트 부재가 결합된 "파형강판-콘크리트 접합구조체"를 제작함에 있어서, 불필요한 부재를 구비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가공을 최소화시켜 제작비용 및 제작기간을 줄여서 시공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키면서도 파형강판과 콘크리트 부재가 견고하게 일체화되어 우수한 내구성과 고효율의 전단저항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파형강판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판부재로 이루어진 연결판이, 파형강판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으로 콘크리트 부재에 매립되는 영역에서 파형강판의 양면에 각각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판에서 파형강판과 포개지지 않는 부분에는 콘크리트가 통과하게 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파형강판에서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될 영역에 해당하지만 연결판이 포개어지지 않는 영역에는, 파형강판을 관통하는 철근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철근공에는 파형강판과 직교하는 관통철근이 관통삽입되어 상기 관통철근의 양단이 각각 파형강판의 양면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판이 결합되어 있는 파형강판의 일측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상기 관통공에 콘크리트가 통과하여 지나간 채로 경화되고 상기 관통철근과 연결판이 상기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상태로 파형강판에 콘크리트 부재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과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구조체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파형강판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으로 콘크리트 부재가 결합되어 있는 접합구조체를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콘크리트 부재에 매립되는 파형강판의 영역에서 파형강판의 양면에는, 파형강판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판부재로 이루어지며 파형강판과 포개지지 않는 부분에는 콘크리트가 통과하게 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판을 각각 결합하며; 파형강판에서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될 영역에 해당하지만 연결판이 포개어지지 않는 영역에 관통 형성되어 있는 철근공에, 파형강판과 직교하는 관통철근을 관통삽입하여 상기 관통철근의 양단이 각각 파형강판의 양면으로 돌출되어 있도록 하고; 상기 연결판이 결합되어 있는 파형강판의 일측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관통공에 콘크리트가 통과하여 지나간 채로 경화되며 상기 관통철근과 연결판이 상기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상태로, 파형강판에 콘크리트 부재를 일체로 결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과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구조체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파형강판과 포개지는 상기 연결판에 볼트공을 형성하고, 연결판(11)이 파형강판과 포개져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볼트공에 관통볼트가 관통되어 너트로 고정됨으로써, 파형강판과 연결판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합구조체는 콘크리트 부재로서 상,하부 플랜지가 존재하고, 웨브가 파형강판으로 이루어진 거더일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복수개의 파형강판이 나란하게 배치되어 웨브를 이루고 있고, 콘크리트 부재로서, 상,하부의 슬래브가 상기 파형강판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웨브 상,하측에 결합되어 있는 박스거더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구조체에서는 파형강판과 콘크리트 부재를 결합함에 있어서, 절곡되지 않은 판형태의 연결판을 사용하게 되므로, 종래 기술처럼 ㄱ자 형강의 준비를 위한 성형작업 등이 필요하지 않게 되며, 그에 따라 ㄱ자 형강 사용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용접에 의해 설치되는 스터드가 전혀 필요하지 않으며, 따라서 스터드의 용접설치로 인한 비용발생, 작업시간 소요 및 용접열로 인한 파형강판이나 ㄱ자 형강의 손상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연결판을 관통하여 콘크리트가 경화된 상태를 이루게 되어 콘크리트 부재와 연결판 사이에 매우 큰 수평전단저항력을 가질 수 있게 되며, 콘크리트 부재와 연결판간의 더욱 견고한 일체화가 이루어진다.
한편, 종래기술에서는 ㄱ자 형강의 사용으로 인하여 ㄱ자 형강의 내측 모서리에 콘크리트가 불충분하게 채워지거나 불충분하게 다져지는 현상이 발생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평판 형태의 연결판을 이용하므로, 종래와 같은 콘크리트의 불충분한 채움이나 불충분한 다짐의 문제가 전혀 발생되지 아니하며, 따라서 종래기술보다 더욱 우수한 피로 내구성을 발휘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에 결합구조물을 이루는 파형강판의 상단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와 조립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파형강판의 상단에 콘크리트 부재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합구조체의 일예로서 T형 거더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합구조체의 또다른 예로서 I형 거더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합구조의 또다른 예로서 박스거더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에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접합구조체를 이루는 파형강판(10)의 상단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사시도(도 1)와 조립사시도(도 2)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파형강판(10)의 상단에 콘크리트 부재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접합구조체는 파형강판의 폭방향 일측 또는 양측 모두에 콘크리트 부재로 이루어진 플랜지가 결합되어 있는 파형강판 거더일 수도 있고, 파형강판의 폭방향 양측 모두에 콘크리트 슬래브가 결합된 박스거더일 수도 있다. 그러나 후술하는 것처럼, 본 발명의 기본 구성은 파형강판(10)과 콘크리트 부재가 결합된 것이므로, 위에서 예시하는 거더나 박스거더 뿐만 아니라, 파형강판(10)과 콘크리트 부재가 결합된 것이라면 구조적인 용도와 무관하게 본 발명의 접합구조체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만, 편의상 도 1 및 도 2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접합구조체의 일예로서, 파형강판(10)의 상단에만 콘크리트 부재가 결합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며,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접합구조체에서는, 파형강판(1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양측 또는 일측으로 콘크리트 부재(20)와 결합될 파형강판(10)의 영역에는 각각 파형강판(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판부재로 이루어진 연결판(11)이 파형강판(10)의 양면에 각각 결합된다. 예를 들면, 거더의 복부(web)가 파형강판(10)으로 이루어진 파형강판 거더의 경우, 플랜지가 결합되는 파형강판(10)의 상단이나 하단 중 어느 한 곳 또는 상단과 하단 모두에 각각 거더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판부재로 이루어진 연결판(11)이 파형강판(10)의 양면(정면과 배면)에 각각 결합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판(11)은 파형강판(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판부재인데, 상기 연결판(11)의 폭방향으로 연결판(11)의 일측이 상기 파형강판(10)의 폭방향의 일측에 겹쳐지도록 파형강판(10)의 정면과 배면에 배치되어 파형강판(10)과 결합된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연결판(11)에서 상기 파형강판(10)의 일측과 포개지는 위치에 볼트공을 형성하고, 연결판(11)의 일부가 파형강판(10)의 일측 정면 또는 배면과 포개져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볼트공에 관통볼트(40)를 관통시킨 후 너트로 체결함으로써, 파형강판(10)과 연결판(11)을 일체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연결판(11)에는 파형강판(10)과 포개지지 않는 부분에는 콘크리트가 통과하게 되는 관통공(1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관통공(12)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는데, 관통공(12)을 연결판(11)에 형성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파형강판(10)과 포개어지지 않는 연결판(11)의 영역에 형성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파형강판(10)과 포개어지는 위치이지만 파형강판(10)이 파형으로 구부러짐으로 인하여 파형강판(10)과 직접 접촉하지 않게 되는 연결판(11)의 영역에도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파형강판(10)의 일측에서 콘크리트 부재(20)내에 매립되는 영역에 해당하지만 연결판(11)이 포개어지지 않는 영역에는, 파형강판(10)을 관통하는 철근공(15)을 형성하고, 파형강판(10)과 직교하는 관통철근(22)을 상기 철근공(15)에 관통삽입하여 상기 관통철근(22)의 양단이 각각 파형강판(10)의 정면과 배면으로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관통철근(22)은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별도의 봉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콘크리트 부재(20) 내에 배근되는 보강철근일 수도 있다. 즉, 콘크리트 부재(20)의 보강을 위하여 콘크리트 부재(20) 내에 보강철근을 배근할 때, 상기 보강철근이 상기 파형강판(10)에 형성된 철근공(15)을 삽입하게 만들 수도 있는 것이다. 도면에서 부재번호 30이 부여되고 점선으로 도시된 선은 파형강판(10)의 상단이 콘크리트 부재(20)에 매립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매립위치선(30)이다.
이와 같이, 파형강판(10)의 일측에서 매립위치선(30)의 외곽쪽으로 연결판(11)과 관통철근(22)이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매립위치선(30)까지 콘크리트의 타설용 거푸집이 설치되어 콘크리트가 타설됨으로써, 매립위치선(30)의 외곽쪽에 해당하는 파형강판(10)의 일측 영역이 콘크리트에 매립된 채로 콘크리트 부재(20)가 형성된다. 콘크리트가 거푸집에 타설되면, 굳지 않은 콘크리트는 상기 연결판(11)의 관통공(12)을 통과하여 연결판(11)의 양면 즉, 연결판(11)의 정면과 배면으로 흘러가게 된다. 즉, 상기 연결판(11)의 관통공(12)을 통해서 연결판(11)의 정면에 있던 콘크리트가 배면으로 흘러가고 또 반대로 배면에 있던 콘크리트가 관통공(12)을 통해 연결판(11)의 정면으로 흘러가게 되어, 연결판(11)의 정면과 배면에 콘크리트가 상기 관통공(12)을 통해서 서로 연통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콘크리트가 양생되어 콘크리트 부재(20)로 만들어지게 되면 연결판(11)이 단순하게 콘크리트 부재(20)에 매립되어 있는 상태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관통공(12)을 통과하여 연결판(11)의 양면으로 서로 연통된 상태로 경화된 콘크리트는 큰 수평전단저항력을 발휘하게 되고, 그에 따라 연결판(11)이 콘크리트 부재(20)와 더욱 견고하게 일체화로 상태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서 사용되던 별도의 스터드가 본 발명에서는 전혀 필요 없게 되며, 그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스터드를 용접하여 설치하는 작업이 필요하지 않으며, 스터드 설치에 따른 작업비용 및 작업시간을 절감할 수 있게 되고, 더 나아가 스터드의 용접으로 인한 강재의 변형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한편, 파형강판(10)의 상단에는 관통철근(22)이 파형강판(10)을 직교하여 철근공(15)을 관통함으로써 그 양단이 각각 파형강판(10)의 양면으로 돌출되어 있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콘크리트가 파형강판(10)의 상단에 타설되므로, 관통철근(22) 역시 콘크리트 부재(20)에 완전히 매립된 상태가 되며, 그에 따라 더욱 견고하게 파형강판(10)과 콘크리트 부재(20)의 일체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합구조체에서는 파형강판(10)과 콘크리트 부재(20)를 결합함에 있어서, 절곡되지 않은 판형태의 연결판(11)을 사용하게 되므로, 종래 기술처럼 ㄱ자 형강의 준비를 위한 성형작업 등이 필요하지 않게 되며, 그에 따라 ㄱ자 형강 사용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 파형강판(10)에 결합되는 연결판(11)은 평판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ㄱ자 형강을 이용하는 종래기술에서 문제가 되었던 ㄱ자 형강의 내부 모서리에서의 콘크리트 불충분 채움 및 불충분 다짐 현상이, 본 발명에서는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용접에 의해 설치되는 스터드가 전혀 필요하지 않으며, 따라서 스터드의 용접설치로 인한 비용발생, 작업시간 소요 및 용접열로 인한 파형강판이나 ㄱ자 형강의 손상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연결판(11)을 관통하여 콘크리트가 경화된 상태를 이루게 되어 콘크리트 부재(20)와 연결판(11) 사이에 매우 큰 수평전단저항력을 가질 수 있게 되며, 콘크리트 부재(20)와 연결판(11)간의 더욱 견고한 일체화는 물론이고 더욱 우수한 피로 내구성을 발휘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는 파형강판(10)의 폭방향으로 일측에만 연결판(11)이 구비되어 콘크리트 부재(20)가 접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앞서 언급한 것처럼, 파형강판(10)의 폭방향으로 양측에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접합구조체의 일예로서 T형 거더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접합구조체의 또다른 예로서 I형 거더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파형강판(10)의 폭방향 양측, 즉, 파형강판(10)을 수직하게 배치한 경우 파형강판(10)의 상단 및 하단 모두에 각각 연결판(11)과 관통철근(22)이 앞서 설명한 방식으로 구비되고, 상기 연결판(11)과 상기 관통철근(22)이 매립되도록 콘크리트 부재(20)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각각의 콘크리트 부재(20)가 거더의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를 이루어서 거더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접합구조의 또다른 예로서 박스거더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 판형상의 콘크리트 부재(20)로 이루어진 상부판과 하부판, 그리고 나란하게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개의 웨브(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2개의 웨브)로 이루어진 박스거더를 형성함에 있어서, 웨브를 앞서 설명한 것처럼 파형강판(10)으로 형성하고, 파형강판(10)의 폭방향 양측 즉, 파형강판(10)의 상단과 하단 모두에 대해, 연결판(10)과 관통철근(22)을 위에서 설명한 방식으로 설치한 후, 상기 연결판(11)과 상기 관통철근(22)이 매립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파형강판(10) 상단에 공통적으로 상부판이 결합되고, 마찬가지로 복수개의 파형강판(10) 하단에 공통적으로 하부판이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것처럼, 연결판(11)과 관통철근(22)은 파형강판(10)의 폭방향 일측에만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므로, 위에서 예시한 것처럼 파형강판 거더를 제작함에 있어서, 상부플랜지와 결합되는 파형강판의 상단과 하부플랜지와 결합되는 파형강판의 하단 중 어느 한 곳에만 연결판(11)과 관통철근(22)을 구비하여 접합하게 되는 구성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는 박스거더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합구조체는, 파형강판의 폭방향 양측에 본 발명에서 제시한 접합구조에 의해 콘크리트 부재(20)가 접합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파형강판의 폭방향 일측에만 본 발명에서 제시한 접합구조에 의해 콘크리트 부재(20)가 접합되어 있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접합구조체의 예에서는 앞서 언급한 것처럼, 콘크리트 부재(20) 내에 보강철근이 관통철근(22)으로서 철근공(15)에 삽입되어 있다. 다만, 편의상 철근공(15)에 삽입되어 있는 관통철근(22)은 한 개만 도시하였고 나머지는 생략하였다.
10: 파형강판
11: 연결판
12: 관통공
15: 철근공
20: 콘크리트 부재
22: 관통철근
30: 매립위치선

Claims (5)

  1. 파형강판(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판부재로 이루어진 연결판(11)이, 파형강판(1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으로 콘크리트 부재(20)에 매립되는 영역에서 파형강판(10)의 양면에 각각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판(11)에서 파형강판(10)과 포개지지 않는 부분에는 콘크리트가 통과하게 되는 관통공(12)이 형성되어 있고;
    파형강판(10)에서 콘크리트 부재(20)내에 매립될 영역에 해당하지만 연결판(11)이 포개어지지 않는 영역에는, 파형강판(10)을 관통하는 철근공(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철근공(15)에는 파형강판(10)과 직교하는 관통철근(22)이 관통삽입되어 상기 관통철근(22)의 양단이 각각 파형강판(10)의 양면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판(11)이 결합되어 있는 파형강판(10)의 일측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상기 관통공(12)에 콘크리트가 통과하여 지나간 채로 경화되고 상기 관통철근(22)과 연결판(11)이 상기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상태로 파형강판(10)에 콘크리트 부재(20)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과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강판(10)과 포개지는 상기 연결판(11)에 볼트공을 형성하고, 연결판(11)이 파형강판(10)과 포개져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볼트공에 관통볼트가 관통되어 너트로 고정됨으로써, 파형강판(10)과 연결판(11)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과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구조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11)이 결합되고 철근공(15)에 관통철근(22)이 관통하는 구성이 파형강판(10)의 폭방향 양측에 모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파형강판(10)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플랜지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부재(20)가 결합되어 거더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과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구조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11)이 결합되고 철근공(15)에 관통철근(22)이 관통하는 구성이 파형강판(10)의 폭방향 양측에 모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파형강판(10)은 복수개가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개의 파형강판(10)의 폭방향 일측에 판형상의 콘크리트 부재(20)가 공통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개의 파형강판(10)의 폭방향 타측에도 판형상의 콘크리트 부재(20)가 공통적으로 결합되어 박스거더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과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구조체.
  5. 파형강판(1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으로 콘크리트 부재(20)가 결합되어 있는 접합구조체를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콘크리트 부재(20)에 매립되는 파형강판(10)의 영역에서 파형강판(10)의 양면에는, 파형강판(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판부재로 이루어지며 파형강판(10)과 포개지지 않는 부분에는 콘크리트가 통과하게 되는 관통공(12)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판(11)을 각각 결합하며;
    파형강판(10)에서 상기 콘크리트 부재(20)내에 매립될 영역에 해당하지만 연결판(11)이 포개어지지 않는 영역에 관통 형성되어 있는 철근공(15)에, 파형강판(10)과 직교하는 관통철근(22)을 관통삽입하여 상기 관통철근(22)의 양단이 각각 파형강판(10)의 양면으로 돌출되어 있도록 하고;
    상기 연결판(11)이 결합되어 있는 파형강판(10)의 일측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관통공(12)에 콘크리트가 통과하여 지나간 채로 경화되며 상기 관통철근(22)과 연결판(11)이 상기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상태로, 파형강판(10)에 콘크리트 부재(20)를 일체로 결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과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구조체 시공방법.
KR1020110109162A 2011-10-25 2011-10-25 고효율의 전단저항력 발휘 구조를 가지는 파형강판과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127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162A KR101127362B1 (ko) 2011-10-25 2011-10-25 고효율의 전단저항력 발휘 구조를 가지는 파형강판과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162A KR101127362B1 (ko) 2011-10-25 2011-10-25 고효율의 전단저항력 발휘 구조를 가지는 파형강판과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7362B1 true KR101127362B1 (ko) 2012-03-29

Family

ID=46142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9162A KR101127362B1 (ko) 2011-10-25 2011-10-25 고효율의 전단저항력 발휘 구조를 가지는 파형강판과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736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785B1 (ko) * 2014-01-23 2015-06-25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영구거푸집이 구비된 날개벽을 기둥에 증설하는 내진 보강 방법
CN109457815A (zh) * 2018-12-28 2019-03-12 上海应用技术大学 一种波纹钢预埋节点
CN110004816A (zh) * 2019-05-20 2019-07-12 福州大学 波形钢腹板预应力uhpc组合箱梁及其施工方法
CN110029569A (zh) * 2019-05-20 2019-07-19 福州大学 一种波形钢腹板-桁式弦杆uhpc组合箱梁及其施工方法
CN112195778A (zh) * 2020-09-22 2021-01-08 浙江大学 一种t型钢组成的韧性组合桥面板
RU223720U1 (ru) * 2023-10-11 2024-02-29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ЛСТК-САЯНЫ" Гофробалк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1808A (ja) 2002-01-30 2003-08-08 Kawada Industries Inc 波形鋼板ウエブ桁
JP2005256341A (ja) 2004-03-10 2005-09-22 Oriental Construction Co Ltd 波形鋼板ウエブuコンポ橋
KR100609304B1 (ko) 2004-06-14 2006-08-03 주식회사 동양피에스씨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 아이-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1808A (ja) 2002-01-30 2003-08-08 Kawada Industries Inc 波形鋼板ウエブ桁
JP2005256341A (ja) 2004-03-10 2005-09-22 Oriental Construction Co Ltd 波形鋼板ウエブuコンポ橋
KR100609304B1 (ko) 2004-06-14 2006-08-03 주식회사 동양피에스씨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 아이-빔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785B1 (ko) * 2014-01-23 2015-06-25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영구거푸집이 구비된 날개벽을 기둥에 증설하는 내진 보강 방법
CN109457815A (zh) * 2018-12-28 2019-03-12 上海应用技术大学 一种波纹钢预埋节点
CN110004816A (zh) * 2019-05-20 2019-07-12 福州大学 波形钢腹板预应力uhpc组合箱梁及其施工方法
CN110029569A (zh) * 2019-05-20 2019-07-19 福州大学 一种波形钢腹板-桁式弦杆uhpc组合箱梁及其施工方法
CN110029569B (zh) * 2019-05-20 2023-12-08 福州大学 一种波形钢腹板-桁式弦杆uhpc组合箱梁及其施工方法
CN110004816B (zh) * 2019-05-20 2023-12-08 福州大学 波形钢腹板预应力uhpc组合箱梁及其施工方法
CN112195778A (zh) * 2020-09-22 2021-01-08 浙江大学 一种t型钢组成的韧性组合桥面板
RU223720U1 (ru) * 2023-10-11 2024-02-29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ЛСТК-САЯНЫ" Гофробалк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06563B2 (ja) 合成梁、建築物、及び合成梁の施工方法
KR101476290B1 (ko) 강합성 psc 파형강판 u거더
KR101144586B1 (ko) 장스팬 적용 및 층고 절감을 위한 폐단면 강재 보 및 그를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 합성보 시스템
KR101127362B1 (ko) 고효율의 전단저항력 발휘 구조를 가지는 파형강판과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JP2010101094A (ja) 橋脚とコンクリート桁の剛結合構造
KR101178381B1 (ko) 각형강관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 및 이의 제작방법
KR101533576B1 (ko) 반채움 pc 트러스보강재 합성보
JP2006316580A (ja) 波形鋼板ウエブpc合成桁及びその波形鋼板ウエブpc合成桁を使用した橋梁構築方法
JP4279739B2 (ja) 既存建物の耐震補強方法と耐震壁
JP6108595B2 (ja) リブ付き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と、それを用いた合成床スラブと梁のコンクリート打ち分け方法
KR101834006B1 (ko)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재 조립보와 이를 이용한 철골골조
JP2009052283A (ja) 鋼部材と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方法及び装置
KR101808909B1 (ko) 철골 보 접합부 시공방법
JP4563872B2 (ja) 耐震壁
JP5901008B2 (ja) 壁板接合構造
JP6428027B2 (ja) 柱鉄筋接続パネルおよび鉄筋構造物
JP5268470B2 (ja) 鉄筋かごの揚重方法
CN214353235U (zh) 叠合板装配式预制构件的钢筋抗浮固定装置
KR101752285B1 (ko) 광폭 psc 하부플랜지와 단면확대용 상부플랜지를 갖는 하이브리드 보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KR101591808B1 (ko) 합성pc보, 이와 합성pc기둥과의 연결구조
KR101388991B1 (ko) 파형강판과 콘크리트 부재의 합성구조에서 유공판 결합재를 이용하여 구조적 합성효과를 향상시킨 파형강판과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JP6174984B2 (ja) 鉄骨梁
KR101355147B1 (ko) 기둥―슬래브 접합부의 수직걸림형 전단보강체
KR101513598B1 (ko)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격점부 연결구조를 향상시키기 위한 복부재
KR101908700B1 (ko) 압축개방 u형 플랜지와 단부 h접합블럭으로 구성된 복합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0516

Effective date: 2014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