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8991B1 - 파형강판과 콘크리트 부재의 합성구조에서 유공판 결합재를 이용하여 구조적 합성효과를 향상시킨 파형강판과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파형강판과 콘크리트 부재의 합성구조에서 유공판 결합재를 이용하여 구조적 합성효과를 향상시킨 파형강판과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8991B1
KR101388991B1 KR1020130144244A KR20130144244A KR101388991B1 KR 101388991 B1 KR101388991 B1 KR 101388991B1 KR 1020130144244 A KR1020130144244 A KR 1020130144244A KR 20130144244 A KR20130144244 A KR 20130144244A KR 101388991 B1 KR101388991 B1 KR 101388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rrugated steel
hole
concrete member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4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호
Original Assignee
박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호 filed Critical 박영호
Priority to KR1020130144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89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8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8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형강판에 콘크리트 부재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구성의 접합구조체에서, 콘크리트 부재와 파형강판 사이에 응력의 흐름을 확실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부재와 파형강판 간의 구조적인 접합결합력이 향상되어 견고하게 일체화되도록 하는 구성을 가지는 파형강판과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파형강판(1)의 플랜지부(11)가 상면에는 유공판 결합재(3)가 일체로 결합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유공판 결합재(3)는, 횡단판(31)과 연직판(32)으로 이루어지고 관통공(33)이 형성된 역 U자 형상을 가지고 있고; 연직판(32)의 관통공(33)에는 주철근(21)이 관통 배치되며; 상기 횡단판(31)에는 미끄러짐 방지 종철근(22)이 설치되며; 상기 플랜지부(11)의 위쪽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관통공(33)에 콘크리트가 통과하여 지나간 채로 경화되어 콘크리트 부재(2)가 파형강판(1)에 일체로 결합 제작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과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구조체와, 그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파형강판과 콘크리트 부재의 합성구조에서 유공판 결합재를 이용하여 구조적 합성효과를 향상시킨 파형강판과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Composite Structural Member of Corrugated Steel Web and Concrete Member}
본 발명은 파형강판과 콘크리트 부재가 서로 일체가 되어 형성된 접합구조체와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파형강판의 상부와 하부에 콘크리트 플랜지가 결합되어 있는 파형강판 거더 또는 파형강판의 상부와 하부에 콘크리트 슬래브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박스 거더 구조물 등과 같이, 파형강판에 콘크리트 부재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구성의 접합구조체에서, 역 U자형 유공판 결합재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부재와 파형강판 사이에 응력의 흐름을 확실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부재와 파형강판 간의 구조적인 접합결합력이 향상되어 견고하게 일체화되도록 하는 구성을 가지는 파형강판과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파형강판과 콘크리트 부재가 일체로 결합되어 형성된 접합구조체의 일예로는 파형강판 거더가 공지되어 있으며, 이러한 파형강판 거더 이외에도, 복부(Web)부분은 파형강판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파형강판의 상,하측에 콘크리트 슬래브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박스거더 구조물도 알려져 있다.
아래에서 선행특허문헌으로 기재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61510호에 개시된 파형강판 거더의 경우, 파형강판의 상단에 ㄱ자 형강을 결합하고, ㄱ자 형강의 상면에 스터드를 용접 결합하여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ㄱ자 형강과 스터드가 콘크리트 플랜지에 매립되도록 하여 파형강판의 상단에 콘크리트 플랜지를 결합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ㄱ자 형강과 스터드를 이용한 종래의 파형강판 거더는, ㄱ자로 절곡된 형강을 이용하게 되므로, 형강의 성형을 위한 시간과 비용이 추가로 더 소요되며, 파형강판이 매립되도록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콘크리트 부재가 결합될 때, ㄱ자 형강의 수평부분 아래쪽 즉, ㄱ자 형강의 내측 모서리 부분에는 콘크리트가 불충분하게 채워지거나 또는 불충분하게 다져지는 현상이 유발되고, 그로 인하여 균열 발생, 내구성 저하 등의 하자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ㄱ자 형강을 이용하는 종래의 기술에서는, 구조적으로 불필요한 스터드를 용접에 의해 ㄱ자 형강의 상면에 일체 접합하고 있으므로, 스터드의 용접과정에서 발생하는 용접열에 의해 ㄱ자 형강에 변형이나 손상을 가져오게 될 뿐만 아니라, 용접작업의 과다로 인한 비용 및 작업시간 증가의 단점이 존재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61510호(2006. 03. 21. 공고) 참조.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파형강판과 콘크리트 부재가 결합된 "파형강판-콘크리트 접합구조체"를 제작함에 있어서, 불필요한 부재를 구비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가공과 용접작업을 최소화시켜 제작비용 및 제작기간을 줄여서 시공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키면서도 파형강판과 콘크리트 부재가 견고하게 일체화되도록 하여 콘크리트 부재와 파형강판 사이에 수평전단 저항력을 증대시켜 응력의 흐름을 확실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차량반복하중에 의한 콘크리트 부재의 꺾임모멘트 저항력을 증대시켜 구조적 내구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파형강판의 상단에 플랜지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플랜지부의 상면에는 유공판 결합재가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일체로 결합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유공판 결합재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횡단판과, 상기 횡단판의 양단 각각에서 연직 하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연직판으로 이루어진 역 U자 형상을 가지고 있고, 상기 연직판의 단부가 플랜지부의 상면에 결합되며; 상기 횡단판과 상기 연직판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연직판의 관통공에는 파형강판과 결합되는 콘크리트 부재 내에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주철근이 관통 배치되며; 상기 횡단판에는, 종방향으로 배치되어 횡방향으로의 미끄러짐에 대한 저항력을 발휘하는 미끄러짐 방지 종철근이 설치되며; 상기 플랜지부의 위쪽으로, 유공판 결합재, 미끄러짐 방지 종철근 및 주철근이 매립되도록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관통공에 콘크리트가 통과하여 지나간 채로 경화되어 콘크리트 부재가 파형강판에 일체로 결합 제작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과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구조체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파형강판의 상단에 구비된 플랜지부의 상부에 콘크리트 부재(2)가 결합되어 있는 접합구조체를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플랜지부의 상면에는 유공판 결합재를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일체 결합설치하는데, 상기 유공판 결합재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횡단판과, 상기 횡단판의 양단 각각에서 연직 하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연직판으로 이루어진 역 U자 형상을 가지고 있고; 상기 연직판의 단부를 플랜지부의 상면에 결합시키며; 상기 횡단판과 상기 연직판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콘크리트 부재 내에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주철근을 연직판의 관통공에 관통 배치하며; 종방향으로 배치되어 횡방향으로의 미끄러짐에 대한 저항력을 발휘하는 미끄러짐 방지 종철근을 상기 횡단판에 설치하며; 상기 플랜지부의 위쪽으로, 유공판 결합재, 미끄러짐 방지 종철근 및 주철근이 매립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관통공에 콘크리트가 통과하여 지나간 채로 경화되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부재를 파형강판에 일체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과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구조체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구조체에서는 전단저항력을 발휘하는 유공판 결합재를 플랜지부에 설치하는 작업이, 종래 기술에서 스터드를 용접 설치하는 것에 비하여 매우 간단할 뿐만 아니라 설치 개소도 종래 기술의 스터드보다 월등히 줄일 수 있게 되므로, 스터드 설치에 따른 작업비용 및 작업시간을 절감할 수 있게 되고, 더 나아가 용접으로 인한 플랜지부의 변형 발생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파형강판에 이미 일체화되어 있는 유공판 결합재가 콘크리트 부재에 매립되어 있으므로, 콘크리트 부재와 파형강판 사이에 응력의 흐름을 확실하게 전달될 수 있으며, 파형강판과 콘크리트 부재 사이에 가해지는 전단력에 대해 매우 큰 저항력을 발휘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유공판 결합재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콘크리트가 경화된 상태를 이루게 되어 콘크리트 부재와 유공판 결합재 사이에 매우 큰 전단저항력을 가질 수 있게 되며, 콘크리트 부재와 파형강판 간의 더욱 견고한 일체화는 물론이고 더욱 우수한 피로 내구성을 발휘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합구조체를 이루는 파형강판의 상단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 A-A에 따른 종방향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접합구조체의 일예로서 파형강판 거더를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합구조체의 또다른 예로서 박스거더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유공판 결합재에서 횡단판의 평평한 면이 종방향을 바라보는 형태로 구비되어 있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합구조체에서 파형강판의 상단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구조체를 이루는 파형강판(1)의 상단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도 1의 선 A-A에 따른 종방향의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 및 도 4에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구조체의 일예로서 파형강판 거더를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구조체는, 도 3 및 도 4에 예시된 것과 같이 파형강판의 폭방향 일측 또는 양측 모두에 콘크리트 부재로 이루어진 플랜지가 결합되어 있는 파형강판 거더일 수도 있지만, 후술하는 것처럼, 파형강판의 폭방향 양측 모두에 콘크리트 슬래브가 결합된 박스거더일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본 구성은 파형강판(1)과 콘크리트 부재가 결합된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예시하고 있는 거더나 박스거더 뿐만 아니라, 파형강판(1)과 콘크리트 부재가 결합된 것이라면 구조적인 용도와 무관하게 본 발명의 접합구조체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접합구조체에서, 파형강판(1)은 그 상단에 수평한 플랜지부(1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플랜지부(11)의 상면에는 유공판 결합재(3)가 파형강판(1)의 길이방향(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일체로 결합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유공판 결합재(3)는, 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횡단판(31)과, 상기 횡단판(31)의 양단 각각에서 연직 하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연직판(32)으로 구성되어 종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 한글의 ㄷ자의 형상 또는 영문자의 U자 형상을 가지고 있되 ㄷ자 형상 또는 U자 형상의 개방된 부분이 아래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연직판(32)의 단부가 플랜지부(11)의 상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구비된다. 즉, 본 발명에서 유공판 결합재(3)는 영문자 U가 뒤집어진 것 즉, "역 U자"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연직판(32)의 단부가 플랜지부(11)의 상면에 결합됨으로써, 유공판 결합재(3)가 파형강판(1)의 플랜지부(11)에 구비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유공판 결합재(3)는, 소정 폭을 가지고 있으며 길게 연장되어 있는 띠형태의 판부재를 각각 절곡 성형하여,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횡단판(31)과 그 양단의 연직판(32)을 가지도록 제작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횡단판(31)의 양단에서 연직판(32)을 각각 용접하여 붙여서 유공판 결합재(3)를 제작할 수도 있다. 유공판 결합재(3)는 강재(steel)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연직판(32)의 단부를 플랜지부(11)의 상면에 일체로 결합할 수 있다.
유공판 결합재(3)의 횡단판(31)과 연직판(32)에는 각각 복수개의 관통공(33)이 형성되어 있는데, 연직판(32)에 형성된 관통공(33)의 일부에는 파형강판(1)과 결합되는 콘크리트 부재(2) 내에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주철근(21)이 관통하게 된다. 연직판(32)에 형성된 관통공(33) 중 주철근(21)이 관통하지 않은 관통공(33)에는 추가적으로 결합봉(도시되지 않음)을 횡방향으로 더 삽입할 수도 있으며, 관통공(33)에 결합봉을 삽입하지 않은 채 관통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유공판 결합재(3)의 횡단판(31)에는, 종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파형강판(1)의 상면과 콘크리트 간의 횡방향으로의 미끄러짐에 대한 저항력을 발휘하는 미끄러짐 방지 종철근(22)이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횡단판(31)은 평평한 면이 상부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미끄러짐 방지 종철근(22)은 횡단판(31)의 평평한 상면에 놓이는 형태로 설치되는데, 미리 횡단판(31)의 평평한 상면에 오목부를 형성해두어서 미끄러짐 방지 종철근(22)이 횡단판(31)의 상면에서 오목부 내에 위치하게 되고, 그에 따라 파형강판(1)과 콘크리트 부재(2) 사이에 가해지는 횡방향으로의 전단력으로 인한 미끄러짐에 대해, 상기 미끄러짐 방지 종철근(22)이 효과적으로 저항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유공판 결합재(3)의 횡단판(31)에도 복수개의 관통공(33)이 형성되어 있다. 횡단판(31)에 형성된 관통공(33)과, 연직판(32)에 형성된 관통공(33) 중 주철근(21)이나 결합봉이 관통하지 않은 관통공(33)은, 유공판 결합재(3)가 콘크리트 부재(2) 내에 매립될 때, 콘크리트가 관통공(33)을 통과한 상태로 콘크리트가 경화되도록 함으로써, 유공판 결합재(3)와 콘크리트 부재(2)가 일체화되는데 기여하게 된다. 물론 연직판(32)에 형성된 관통공(33)에 주철근(21)이나 결합봉이 관통하였더라도, 관통공(33)과 주철근(21) 또는 결합봉 간의 직경차이가 있는 경우, 그 빈 틈으로 콘크리트가 통과하게 된다.
이와 같이, 플랜지부(11)의 상면에 역U자 형상의 유공판 결합재(3)가 일체로 결합 설치되고, 주철근(21)이 연직판(32)을 횡방향으로 관통하며 미끄러짐 방지 종철근(22)이 횡단판(31)의 상면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부(11)의 상면 위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플랜지부(11)의 상면 위에 존재하는 부재가 모두 콘크리트에 매립된 채로 콘크리트 부재(2)가 형성된다. 콘크리트가 거푸집에 타설되면, 굳지 않은 콘크리트는 유공판 결합재(3)의 관통공(33)을 통과하게 되고, 이렇게 콘크리트가 관통공(33)을 통해서 서로 연통된 상태에서 콘크리트가 양생되어 콘크리트 부재(2)로 만들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파형강판(1)과 콘크리트 부재(2)의 결합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접합구조체는, 콘크리트 부재(2)를 보강하는 주철근(21)이 유공판 결합재(3)를 관통하고 있다. 따라서 단순히 콘크리트와 플랜지부(11)의 상면 사이의 부착에 의한 결합이 아니라, 강재가 서로 일체화된 상태로 콘크리트 부재(2)와 파형강판(1)이 일체화되는 것이며, 따라서 파형강판(1)과 콘크리트 부재(2)는 매우 강한 일체화를 이루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파형강판(1)에 이미 일체화되어 있는 유공판 결합재(3)가 콘크리트 부재(2)에 매립되어 있으므로, 파형강판(1)과 콘크리트 부재(2) 사이에 가해지는 전단력에 대해 매우 큰 저항력을 발휘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유공판 결합재(3)의 관통공(33)을 관통하여 콘크리트가 경화된 상태를 이루게 되어 콘크리트 부재(2)와 유공판 결합재(3) 사이에 매우 큰 전단저항력을 가질 수 있게 되며, 콘크리트 부재(2)와 파형강판(1)간의 더욱 견고한 일체화는 물론이고 더욱 우수한 피로 내구성을 발휘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전단저항력을 발휘하는 유공판 결합재(3)를 플랜지부(11)에 설치하는 작업이, 종래 기술에서 스터드를 용접 설치하는 것에 비하여 매우 간단할 뿐만 아니라 설치 개소도 종래 기술의 스터드보다 월등히 줄일 수 있게 되므로, 스터드 설치에 따른 작업비용 및 작업시간을 절감할 수 있게 되고, 더 나아가 용접으로 인한 플랜지부의 변형 발생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접합구조체가 파형강판 거더일 경우, 플랜지부(11)에 유공판 결합재(3) 등을 설치하여 콘크리트 부재(2)와 일체화를 이루는 접합구조는, 거더의 상부뿐만 아니라, 거더의 하부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물론, 거더의 상부와 하부 중 어느 한 부분에만 본 발명의 유공판 결합재(3)를 이용한 일체화 접합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에서, 콘크리트 부재(2)에 배치되는 주철근(21)은 편의상 1개씩만 각각 도시하였고, 나머지는 도시를 생략하였지만, 이러한 주철근(21)은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거더가 교량의 상부구조물로 사용될 경우, 전단력은 교대 및 교각위치에서 가장 크게 발생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유공판 결합재(3)의 설치개수는 필요에 따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전단력이 작은 교량 경간 중앙부에서는 유공판 결합재(3)의 종방향 설치 간격을 넓히고, 교대나 교각 위치처럼 전단력이 큰 부분에서는 유공판 결합재(3)의 종방향 설치 간격을 좁히는 방식으로, 필요에 맞추어서 용이하게 유공판 결합재(3)의 설치 간격 및 설치 개수를 조정함으로써, 전단력의 크기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불필요한 유공판 결합재(3)의 사용을 예방함으로써 경제성 및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접합구조체는 I형 또는 T형 단면의 거더일 수도 있지만, 파형강판(1)의 폭방향 양측 모두에 슬래브 형태의 콘크리트 부재가 가 결합된 박스거더일 수도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접합구조체의 또다른 예로서 박스거더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 판형상의 콘크리트 부재(2)로 이루어진 상부판과 하부판, 그리고 나란하게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개의 웨브(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2개의 웨브)로 이루어진 박스거더를 형성함에 있어서, 웨브를 앞서 설명한 유공판 결합재(3), 미끄러짐 방지 종철근(22) 등이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파형강판(1)으로 형성하고, 파형강판(1)의 플랜지부(11) 위에 상부판과 하부판을 결합하여 박스거더를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6 및 도 7에는 각각 본 발명의 접합구조체에서 유공판 결합재(3)를 변형한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파형강판(1)의 상단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처럼, 유공판 결합재(3)에서 횡단판(31)은 그 평평한 면이 종방향을 바라보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앞서 살펴본 도 1 내지 도 5의 실시예의 경우, 유공판 결합재(3)의 횡단판(31)은 그 평평한 면이 연직한 방향을 바라보도록 즉, 플랜지부(11)의 상면과 횡단판(31)의 평평한 면이 나란하였으나,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횡단판(31)의 평평한 면이 종방향을 바라보는 형태가 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횡단판(31)의 평평한 면이 종방향을 바라보는 실시예의 경우, 미끄러짐 방지 종철근(22)은 횡단판(31)의 관통공(33)을 관통하여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횡단판(31)의 평평한 면이 연직한 방향을 바라보는 형태가 되면, 종방향으로 작용하는 전단력에 대해 횡단판(31)이 저항하는 면적이 커지게 되어 종방향의 전단력에 대한 저항력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이 경우 미끄러짐 방지 종철근(22)이 관통공(33) 내에 위치하고 있어서 횡방향으로의 이동이 완전히 차단되므로, 미끄럼 방지 종철근(22)에 의한 미끄럼 방지 효과가 더욱 향상되는 장점도 가지게 된다.
한편, 유공판 결합재(3)를 제작함에 있어서,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띠 형태의 판에 대해 그 중앙부만을 비틀어서, 중앙부에 해당하는 횡단판(31)의 평평한 면이 종방향을 바라보는 형태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띠 형태의 판의 중앙부를 비트는 작업만으로도 이와 같이 횡단판(31)의 평평한 면이 종방향을 바라보는 형태를 용이하게 만들 수 있게 된다.
이와 달리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횡단판(31)과 연직판(32)을 각각 분리하여 준비한 후, 용접 등의 방법으로 서로 일체화시킴으로써 단판(31)의 평평한 면이 종방향을 바라보는 형태를 가지는 유공판 결합재(3)를 제작할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효과 등에 대한 기타 사항은 앞서 살펴본 도 1 내지 도 5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1: 파형강판
2: 콘크리트 부재
3: 유공판 결합재
31: 횡단판
32: 연직판

Claims (4)

  1. 파형강판(1)의 상단에는 플랜지부(1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플랜지부(11)의 상면에는 유공판 결합재(3)가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일체로 결합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유공판 결합재(3)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횡단판(31)과, 상기 횡단판(31)의 양단 각각에서 연직 하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연직판(32)으로 이루어진 역 U자 형상을 가지고 있고, 상기 연직판(32)의 단부가 플랜지부(11)의 상면에 결합되며;
    상기 횡단판(31)과 상기 연직판(32)에는 관통공(33)이 형성되어 있고;
    연직판(32)의 관통공(33)에는 파형강판(1)과 결합되는 콘크리트 부재(2) 내에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주철근(21)이 관통 배치되며;
    상기 횡단판(31)에는, 종방향으로 배치되어 횡방향으로의 미끄러짐에 대한 저항력을 발휘하는 미끄러짐 방지 종철근(22)이 설치되며;
    상기 플랜지부(11)의 위쪽으로, 유공판 결합재(3), 미끄러짐 방지 종철근(22) 및 주철근(21)이 매립되도록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관통공(33)에 콘크리트가 통과하여 지나간 채로 경화되어 콘크리트 부재(2)가 파형강판(1)에 일체로 결합 제작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과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횡단판(31)은 평평한 면이 상부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횡단판(31)의 평평한 상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미끄러짐 방지 종철근(22)은 횡단판(31)의 상면에서 오목부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과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횡단판(31)은 평평한 면이 종방향을 바라보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미끄러짐 방지 종철근(22)은 횡단판(31)의 관통공(33)을 통과하여 종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과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구조체.
  4. 파형강판(1)의 상단에 구비된 플랜지부(11)에 콘크리트 부재(2)가 결합되어 있는 접합구조체를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플랜지부(11)의 상면에는 유공판 결합재(3)를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일체 결합설치하는데, 상기 유공판 결합재(3)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횡단판(31)과, 상기 횡단판(31)의 양단 각각에서 연직 하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연직판(32)으로 이루어진 역 U자 형상을 가지고 있고; 상기 연직판(32)의 단부를 플랜지부(11)의 상면에 결합시키며; 상기 횡단판(31)과 상기 연직판(32)에는 관통공(33)이 형성되어 있고; 콘크리트 부재(2) 내에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주철근(21)을 연직판(32)의 관통공(33)에 관통 배치하며; 종방향으로 배치되어 횡방향으로의 미끄러짐에 대한 저항력을 발휘하는 미끄러짐 방지 종철근(22)을 상기 횡단판(31)에 설치하며;
    상기 플랜지부(11)의 위쪽으로, 유공판 결합재(3), 미끄러짐 방지 종철근(22) 및 주철근(21)이 매립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관통공(33)에 콘크리트가 통과하여 지나간 채로 경화되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부재(2)를 파형강판(1)에 일체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과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구조체 시공방법.
KR1020130144244A 2013-11-26 2013-11-26 파형강판과 콘크리트 부재의 합성구조에서 유공판 결합재를 이용하여 구조적 합성효과를 향상시킨 파형강판과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388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4244A KR101388991B1 (ko) 2013-11-26 2013-11-26 파형강판과 콘크리트 부재의 합성구조에서 유공판 결합재를 이용하여 구조적 합성효과를 향상시킨 파형강판과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4244A KR101388991B1 (ko) 2013-11-26 2013-11-26 파형강판과 콘크리트 부재의 합성구조에서 유공판 결합재를 이용하여 구조적 합성효과를 향상시킨 파형강판과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8991B1 true KR101388991B1 (ko) 2014-04-24

Family

ID=50658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4244A KR101388991B1 (ko) 2013-11-26 2013-11-26 파형강판과 콘크리트 부재의 합성구조에서 유공판 결합재를 이용하여 구조적 합성효과를 향상시킨 파형강판과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89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05763A (zh) * 2015-04-08 2015-07-29 中铁六局集团天津铁路建设有限公司 一种带有辅助张拉孔洞的超大规模道岔梁及其施工方法
KR102284855B1 (ko) * 2021-01-29 2021-08-02 박영호 긴장재 설치가 가능한 전단저항관을 포함한 파형강판 빔과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구조체로 이루어진 거더를 이용한 다경간 교량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5516A (ja) 1999-06-09 2000-12-12 Yokogawa Koji Kk 波形鋼板ウェブ橋におけるコンクリート床版と波形鋼板との接合方法
JP2002302908A (ja) 2001-04-10 2002-10-18 Nippon Steel Corp 上下部複合部材の剛結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5516A (ja) 1999-06-09 2000-12-12 Yokogawa Koji Kk 波形鋼板ウェブ橋におけるコンクリート床版と波形鋼板との接合方法
JP2002302908A (ja) 2001-04-10 2002-10-18 Nippon Steel Corp 上下部複合部材の剛結構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05763A (zh) * 2015-04-08 2015-07-29 中铁六局集团天津铁路建设有限公司 一种带有辅助张拉孔洞的超大规模道岔梁及其施工方法
CN104805763B (zh) * 2015-04-08 2016-06-22 中铁六局集团天津铁路建设有限公司 一种带有辅助张拉孔洞的超大规模道岔梁及其施工方法
KR102284855B1 (ko) * 2021-01-29 2021-08-02 박영호 긴장재 설치가 가능한 전단저항관을 포함한 파형강판 빔과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구조체로 이루어진 거더를 이용한 다경간 교량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3227435B2 (en) Anti-spalling edging
KR101272116B1 (ko) 파형강판 복부 피에스씨 거더의 파형강판 복부와 콘크리트의 결합구조
CN105803925A (zh) 一种预制钢管约束型钢混凝土墩柱与盖梁的快速连接方法
KR101107300B1 (ko) 강판전단벽
WO2010047096A1 (ja) 橋脚とコンクリート桁の剛結合構造
KR101144586B1 (ko) 장스팬 적용 및 층고 절감을 위한 폐단면 강재 보 및 그를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 합성보 시스템
KR101275754B1 (ko) 전단블록이 상면에 형성된 피에스씨 거더와 그 제작방법 및 전단블록이 상면에 형성된 피에스씨 거더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1816767B1 (ko) 철근콘크리트 강합형 파형강판 보강 구조물
KR101127362B1 (ko) 고효율의 전단저항력 발휘 구조를 가지는 파형강판과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388991B1 (ko) 파형강판과 콘크리트 부재의 합성구조에서 유공판 결합재를 이용하여 구조적 합성효과를 향상시킨 파형강판과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940876B1 (ko) 합성보 및 이의 시공방법
JP5833616B2 (ja) 橋梁用コンクリートプレキャスト床版の目地構造の構築方法
CN106088437B (zh) 一种增强双向传力性能的叠合板
KR101105404B1 (ko) 캡 플레이트를 활용한 단부 연속화 데크 플레이트 시스템
KR101191545B1 (ko) 다수 개의 캡 플레이트를 갖는 데크 플레이트
KR101752285B1 (ko) 광폭 psc 하부플랜지와 단면확대용 상부플랜지를 갖는 하이브리드 보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JP2009243134A (ja) 鋼部材のコンクリート部材接合用ジベル装置
KR102175546B1 (ko) 하프피씨 바닥판 및, 바닥판구조체
KR101355147B1 (ko) 기둥―슬래브 접합부의 수직걸림형 전단보강체
KR101188367B1 (ko) 무량판 슬래브 펀칭 전단보강체
KR101177316B1 (ko) 기둥?슬래브 접합부의 수직걸림형 전단보강체
KR20090001754U (ko) 홈을 가지는 전단연결재
KR101832291B1 (ko) 강성 향상을 위한 체결부재가 결합하는 철근콘크리트 강합형 파형강판 보강 구조물
KR101665357B1 (ko) 미끄럼 방지 종철근 및 횡방향 돌출 접합강판의 이용에 의한 견고한 합성효과를 가지는 파형강판과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JP2015178761A (ja) H形鋼用補強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0003978;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0720

Effective date: 2017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