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8866A - 디스펜싱 제어 장치 및 그에 의한 접착제 토출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펜싱 제어 장치 및 그에 의한 접착제 토출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8866A
KR20210018866A KR1020207037841A KR20207037841A KR20210018866A KR 20210018866 A KR20210018866 A KR 20210018866A KR 1020207037841 A KR1020207037841 A KR 1020207037841A KR 20207037841 A KR20207037841 A KR 20207037841A KR 20210018866 A KR20210018866 A KR 20210018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device
exhaust valve
adhesive
atmospheric pressure
disp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7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0258B1 (ko
Inventor
진 장
페이 순
동셩 취
야쥔 짜오
Original Assignee
창저우 밍실 로봇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910557123.8A external-priority patent/CN110102443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910555990.8A external-priority patent/CN110170426B/zh
Application filed by 창저우 밍실 로봇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창저우 밍실 로봇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18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8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02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 B05C11/1007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13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sponsive to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02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 B05C11/1026Valv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05D7/06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7/0617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 G05D7/0629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egulator means
    • G05D7/0635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egulator means by action on throttling mea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05D7/06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7/0617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 G05D7/0629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egulator means
    • G05D7/0635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egulator means by action on throttling means
    • G05D7/0641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egulator means by action on throttling means using a plurality of throttling means
    • G05D7/0664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egulator means by action on throttling means using a plurality of throttling means the plurality of throttling means being arranged for the control of a plurality of diverging flows from a single flow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74Apparatus for manufacturing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 H01L24/741Apparatus for manufacturing means for bonding, e.g. connectors
    • H01L24/743Apparatus for manufacturing layer conn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디스펜싱 제어 장치(1000)는 제1 입력 인터페이스(110), 제1 출력 인터페이스(120) 및 제2 출력 인터페이스(130)가 구비된 본체, 본체 내에 설치된 제1 감압 장치(200), 제1 배기 밸브(300), 제2 배기 밸브(400), 제1 기압 센서(500) 및 제어 장치(600)를 포함하며, 제1 기압 센서(500)는 상기 제1 배기 밸브(300)의 가스 유출구와 상기 제1 출력 인터페이스(1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배기 밸브(300)와 상기 제1 출력 인터페이스(120) 사이의 관로의 실시간 기압을 수집하고, 상기 제어 장치(600)는 상기 제1 기압 센서(500)에 의해 수집된 실시간 기압을 연속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실시간 기압을 실시간으로 처리한 후 기압 상승의 특징 파라미터를 추출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디스펜싱 제어 장치 및 그에 의한 접착제 토출 제어 방법
본 발명은 디스펜싱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스펜싱 제어 장치 및 그에 의한 접착제 토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가스 작동식 디스펜싱 컨트롤러에 있어서, 이에 내장된 아날로그 기압계, 디지털 기압계 또는 기압 센서는 제1 감압 장치의 가스 유출구와 제1 배기 밸브의 가스 유입구 사이의 관로에 연결되어 설정된 기압을 측정하고 표시하기 위한 것이고, 접착제 탱크 관로 중의 기압 파형을 모니터링 할 수 없으며, 접착제 탱크내의 기압을 모니터링하는 기능을 구비하지 않는다.
구체적인 디스펜싱 공정에 있어서, 접착제가 접착제 탱크 내에 가득 찰 때 결정된 디스펜싱 파라미터는, 접착제 토출의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접착제 탱크내의 액체 접착제 잔여량이 점차 감소되고 접착제 토출량도 점차 감소된다. 접착제 토출량이 접착제 양의 요구 사항보다 작을 때까지 크게 감소되면, 작업자는 디스펜싱 파라미터를 변경해야 한다(일반적으로 접착제 토출 지속시간을 적절하게 증가시킴). 이 디스펜싱 응용의 핵심 문제는, 첫 번째 작업자는 디스펜싱 파라미터를 여러 번 변경해야 하고, 변경 후의 파라미터가 적절한 지 여부를 테스트하고 검증해야 하며, 두번째 작업자가 디스펜싱 파라미터를 여러 번 변경시키면 접착제 토출량이 크게 변동되는 것으로, 즉 접착제 토출량이 크게 감소되면 디스펜싱 파라미터가 갑자기 변경되어 다음 접착제 토출량이 크게 증가되는 것이다.
요약하면, 이러한 디스펜싱 작업은 작업자가 파라미터를 여러 번 조정해야 할뿐만 아니라, 디스펜싱의 일치성도 향상시키기 어렵다. 액체 접착제의 잔여량이 액체 접착제가 남지 않을 때까지 점차적으로 감소되면, 갑자기 접착제가 없어 디스펜싱 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해 자동 디스펜싱 장치 또는 생산 라인에서 비정상적인 디스펜싱 프로세스가 발생하고 전체 프로세서 흐름에 직접적인 영향이 미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디스펜싱 파라미터의 자기 적응 조정과 액체 접착제 잔여량 부족의 경보 기능 및 흡입 백 기압의 자기 적응 피드백 제어를 구현할 수 있는 디스펜싱 제어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또한 디스펜싱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측면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제어 장치는,
가스 소스 연결에 적합한 제1 입력 인터페이스, 외부 접착제 탱크 연결에 적합한 제1 출력 인터페이스 및 제2 출력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된 제1 감압 장치,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된 제1 배기 밸브,
제2 배기 밸브,
상기 제1 배기 밸브의 가스 유출구와 상기 제1 출력 인터페이스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배기 밸브와 상기 제1 출력 인터페이스 사이의 관로의 실시간 기압을 수집하는 제1 기압 센서, 및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감압 장치, 상기 제1 배기 밸브, 상기 제2 배기 밸브 및 제1 기압 센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제어하며, 상기 제1 기압 센서에 의해 수집된 실시간 기압을 연속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실시간 기압을 실시간으로 처리한 후 기압 상승의 특징 파라미터를 추출하도록 구성된 제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감압 장치의 가스 유입단은 상기 제1 입력 인터페이스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배기 밸브의 가스 유입구는 상기 감압 장치의 가스 유출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2 배기 밸브의 유입구는 상기 제1 배기 밸브의 가스 유출구 및 상기 제1 출력 인터페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배기 밸브의 유출구는 상기 제2 출력 인터페이스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에는 제3 출력 인터페이스가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디스펜싱 제어 장치는 제2 감압 장치 및 진공 발생기를 포함하는 흡입 백 기압 생성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감압 장치의 가스 유입구는 상기 제1 입력 인터페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진공 발생기의 진공 생성구는 상기 제1 배기 밸브의 배기구에 연결되고, 상기 진공 발생기의 가스 유입구는 상기 제2 감압 장치의 가스 유출구에 연결되며, 상기 진공 발생기의 가스 유출구는 상기 제3 출력 인터페이스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진공 발생기의 진공 생성구와 제1 배기 밸브의 배기구를 연결하는 관로는 상기 흡입 백 기압 생성 장치의 흡기구이며, 상기 디스펜싱 제어 장치는 제2 기압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압 센서는 상기 흡입 백 기압 생성 장치의 흡기구에 연결되어 상기 흡입 백 기압 생성 장치에서 생성된 흡입 백 기압을 수집하고, 상기 제2 기압 센서는 상기 제어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 그 수집 신호가 연속적으로 수신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감압 장치는 전기 비례 밸브 또는 전공 감압 밸브이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감압 장치는 정밀 감압 밸브, 전기 비례 밸브 또는 전공 감압 밸브이며; 및/또는 상기 제1 배기 밸브 및 제2 배기 밸브 중 적어도 하나는 2위치 3방향 솔레노이드 밸브이고, 상기 제2 배기 밸브의 유량은 상기 제1 배기 밸브의 유량보다 크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감압 장치는 적어도 가스 유입구 및 가스 유출구가 구비된 제1 감압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 유입구는 상기 제1 감압 장치의 가스 유입단을 구성하고, 상기 가스 유출구는 상기 제1 배기 밸브의 가스 유입구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감압 장치는 이형 파이프 조인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형 파이프 조인트 내부는 그 축 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관강에 의해 한정되며, 상기 이형 파이프 조인트의 외벽면에는 상기 관강과 연통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기류 채널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형 파이프 조인트는 상기 제1 감압 밸브의 가스 유출구와 상기 제1 배기 밸브의 가스 유입구 사이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류 채널의 최소 직경은 1mm보다 크지 않거나 또는 최소 횡단면적은 1mm2를 초과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펜싱 제어 장치는 상기 이형 파이프 조인트와 상기 제1 배기 밸브 사이에 연통되는 가스 저장 탱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펜싱 제어 장치는 상기 이형 파이프 조인트와 상기 제1 배기 밸브 사이에 연통되어 상기 제1 감압 장치에서 출력되는 최대 유량을 조정하기에 적합한 속도 제어 밸브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펜싱 제어 장치는 상기 이형 파이프 조인트와 상기 가스 저장 탱크 사이에 연통되는 이경관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의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 토출 제어 방법은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제어 장치를 사용한다.
상기 접착제 토출 제어 방법은,
작업 기압, 흡입 백 기압, 접착제 토출 지속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S1;
비어있는 접착제 탱크가 상기 제1 출력 인터페이스에 연결될 때의 제1 기압 파형 및 가득 찬 접착제 탱크가 상기 제1 출력 인터페이스에 연결될 때의 제2 기압 파형을 미리 설정하는 단계S2;
잔여량 경보 역치를 미리 설정하는 단계S3;
상기 제1 출력 인터페이스가 디스펜싱 수행 대기 중 인 접착제 탱크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디스펜싱 트리거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S4;
상기 디스펜싱 트리거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작업 기압 P01을 출력하고, 상기 접착제 토출 지속 시간 내에 상기 제1 기압 센서에 의해 수집된 실시간 기압 파형을 실시간으로 검출하며, 상기 실시간 기압 파형, 제1 기압 파형 및 제2 기압 파형에 따라 접착제 탱크내의 액체 접착제 잔여량을 미리 판단하는 단계S5;
상기 액체 접착제 잔여량에 기반하여, 단계S1에서의 작업 기압, 흡입 백 기압, 접착제 토출 지속 시간을 조정하고, 단계S5로 반복적으로 이전하는 단계S6; 및
단계S5에서의 액체 접착제 잔여량이 상기 잔여량 경보 역치보다 작으면, 미리 경고 신호를 발송하여 접착제 토출을 중지시키고 단계S4로 이전하는 단계S7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S2에서, 상기 제1 기압 파형 및 제2 기압 파형 각각을 검출할 때는,
상기 제1 출력 인터페이스가 검출 대기중 인 접착제 탱크에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수행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S21;
상기 수행 신호가 수신된 후, 상기 제1 기압 센서를 시동하여 미리 설정된 검출 시간 내에 기압 파형을 수집하는 단계S22; 및
상응하는 상기 기압 파형을 저장하는 단계S2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측면 및 이점은 아래의 설명에서 일부 제공될 것이며, 일부는 아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 지거나 본 발명의 실시를 통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및/또는 부가적인 측면 및 이점은 하기 도면을 결부시켜 설명된 실시예로부터 명백하고 이해하기 쉽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제어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제어 장치의 제1 감압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제어 장치의 제1 감압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제1 감압 장치에서의 이형 파이프 조인트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제어 장치의 제1 감압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제어 장치의 제1 감압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제어 장치의 제1 감압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제어 장치의 제1 감압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제어 장치의 제1 감압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제어 장치의 제1 감압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제어 장치의 접착제 토출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제1 또는 제2 기압 파형을 검출할 때의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제어 장치의 동작 설명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고, 상기 실시예의 예를 첨부된 도면에 나타내며,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 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을 해석하기 위해서만 사용된 것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용어 "중앙", "상", "하", "전", "후", "좌", "우", "연직", "수평", "톱", "보텀", "내", "외" 등으로 표시된 방향 또는 위치 관계는 도면에 도시된 방향 또는 위치 관계를 기반으로 하며,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시키고 편의하기 위한 것이고, 언급된 장치 또는 구성 요소가 반드시 특정 방향을 가지고 특정 방향으로 구성되고 작동되도록 지시하거나 암시하는 것이 아니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아니된다.
또한, 용어 "제1" 및 "제2"는 단지 목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상대적인 중요성을 지시하거나 암시하며 또는 지시된 기술 특징의 수를 암시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될 수 없다. 따라서, "제1" 및 "제2"로 한정된 특징은 이러한 특징 중 하나 또는 복수개를 명시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설명에서 특별히 명시하지 않는 한 "복수"는 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제어 장치(1000)는 본체(100), 제1 감압 장치(200), 제1 배기 밸브(300), 제2 배기 밸브(400), 제1 기압 센서(500) 및 제어 장치(600)를 포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에는 가스 소스(gas source) 연결에 적합한 제1 입력 인터페이스(110), 외부 접착제 탱크(2000) 연결에 적합한 제1 출력 인터페이스(1200) 및 제2 출력 인터페이스(130)가 구비된다. 제1 감압 장치(200)는 본체(100)내에 설치되고, 제1 감압 장치(200)의 가스 유입단(210)은 제1 입력 인터페이스(110)에 연결된다. 제1 배기 밸브(300)는 본체(100)내에 설치되고, 제1 배기 밸브(300)의 가스 유입구(310)는 감압 장치의 가스 유출단(220)에 연결된다. 접착제 토출의 원리는 디스펜싱 제어 장치(1000)가 작업하지 않을 때 제1 배기 밸브(300)가 닫힌 상태에 있다는 것이다. 디스펜싱(Dispensing)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 제1 감압 장치(220)에서 출력되는 설정된 작업 기압은 제1 배기 밸브(22)를 통해 접착제 탱크의 캐비티 내로 유입되며, 액체 접착제를 접착제 탱크 말단의 액체 접착제 출력단으로부터 압출시킨다. 접착제 토출 작업이 종료되면, 제1 배기 밸브(22)는 도통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전환된다.
제2 배기 밸브(400)의 유입구(410)는 제1 배기 밸브(300)의 가스 유출구(320) 및 제1 출력 인터페이스(1200)에 연결되고, 제2 배기 밸브(400)의 유출구(420)는 제2 출력 인터페이스(130)에 연결된다. 제1 기압 센서(500)는 제1 배기 밸브(300)의 가스 유출구(320)와 제1 출력 인터페이스(1200) 사이에 설치되어 제1 배기 밸브(300)와 제1 출력 인터페이스(1200) 사이의 관로(330)의 실시간 기압을 수집한다.
제어 장치(600)는 본체(100)내에 설치되어 있고, 제어 장치(600)는 제1 감압 장치(200), 제1 배기 밸브(300), 제2 배기 밸브(400) 및 제1 기압 센서(5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제어하며, 제어 장치(600)는 제1 기압 센서(500)에 의해 수집된 실시간 기압을 연속적으로 수신하고, 실시간 기압을 실시간으로 처리한 후 기압 상승의 특징 파라미터(Characteristic Parameters)를 추출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한번 디스펜싱 작업에서, 제1 기압 센서(500)는 작업 기압의 상승, 안정화 및 강하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제어 장치(600)는 수집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완전한 기압 파형 곡선을 형성한다.
선택적으로, 제1 기압 센서(500)는 제1 배기 밸브(300)의 가스 유출구와 작업 기압 출력구 사이의 작업 기압의 출력 가스 경로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작업 기압 출력구는 컨트롤러 패널에 관통되는 가스 경로 조인트를 의미하고, 이 가스 경로 조인트는 제어 장치(600) 내부에서 제1 배기 밸브(300)의 가스 유출구(320)에 연결된다.
디스펜싱 제어 장치(1000)의 구체적인 작업 과정은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선택된 접착제 탱크(2000)의 용적 및 연결관의 길이에 따라, 접착제 탱크(2000)는 연결관을 통해 디스펜싱 제어 장치(1000)의 제1 출력 인터페이스(120)에 연결되고, 디스펜싱 제어 장치(1000)는 설정된 작업 파라미터(접착제 토출 지속시간, 작업 기압 및 흡입 백 기압을 포함함)에 따라 디스펜싱 작업을 수행한다. 접착제 탱크내에 액체 접착제의 잔여량이 감소함에 따라, 제1 기압 센서(500)에서 수집된 전체 작업 기압 파형에서 기압 상승 과정이 점차 느려지고, 기압의 안정화 및 강하 과정은 뚜렷한 차이가 없다. 따라서, 제1 기압 센서(500)에서 수집된 기압 상승 과정의 파형 차이에서 주요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내장된 예측 알고리즘을 통해 접착제 탱크내의 액체 접착제의 잔여량을 계산하여 획득함으로써, 접착제 탱크내의 액체 접착제 잔여량에 대한 정확한 예측을 구현할 수 있다.
액체 접착제 잔여량의 정확한 예측에 기반하여, 디스펜싱 작업할 때, 디스펜싱 제어 장치(1000)는 액체 접착제 토출량의 매우 높은 일치성을 구현하기 위해 상이한 액체 접착제 잔여량에 따라 디스펜싱 파라미터를 연속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디스펜싱 제어 장치(1000)는 또한 액체 접착제 잔여량 부족의 경보 기능을 켤 수 있다. 액체 접착제 잔여량이 설정된 경보 역치보다 낮으면, 디스펜싱 제어 장치(1000)는 액체 접착제 잔여량이 부족하다는 경보 신호를 출력하여 작업자에게 액체 접착제를 충전시키거나 교체하도록 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제어 장치(1000)는 제1 기압 센서(500)를 설정함으로써, 디스펜싱 작업할 때 제1 기압 센서(500)는 한번 접착제 토출에 의한 기압 파형을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기압 상승의 특징 파라미터를 추출함으로써 현재 액체 접착제 잔여량에 대한 예측을 구현할 수 있고, 디스펜싱 컨트롤러의 작업 파라미터를 자동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접착제 탱크의 액체 접착제가 가득 찬 상태에서 비어있는 상태까지의 전체 디스펜싱 과정에서 액체 접착제 토출량의 매우 높은 일치성을 구현할 수 있다.
제1 기압 센서(500)의 접착제 탱크 내 액체 접착제 잔여량의 예측 기능에 기반하여, 디스펜싱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가득 찬 및 비어있는 접착제 탱크의 두 작업 조건하에서 기압 상승의 특징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교정(Calibration)해야 함을 설명할 필요가. 디스펜싱 작업전에, 가득 찬 접착제 탱크 및 비어있는 접착제 탱크는 연결관을 통해 제1 출력 인터페이스(120)에 각각 연결되어야 하며, 디스펜싱 제어 장치(1000)는 교정모드로 진입하고, 제어 장치(600)가 제1 기압 센서(500), 제1 배기 밸브(300), 제1 감압 장치(80), 제2 배기 밸브(400)와 교호하여 가득 찬 접착제 탱크(또는 비어있는 접착제 탱크)를 연결하였을 때의 작업 기압을 수집함으로써, 비어있는 접착제 탱크 작업 조건하에서의 제1 기압 파형 및 가득 찬 접착제 탱크 작업조건하에서의 제2 기압 파형을 각각 얻고, 수집된 파형에서 기압 상승 속도를 추출하여 각각 가득 찬 및 비어있는 접착제 탱크의 두 작업 조건하에서의 기압 상승의 특징 파라미터에 대한 추출 및 교정을 완료한다.
디스펜싱 작업할 때, 제어 장치(600)가 제1 기압 센서(500), 제1 배기 밸브(300), 제1 감압 장치(80), 제2 배기 밸브(400)와 교호하여 한번 접착제 토출에 의한 기압 파형을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기압 상승의 특징 파라미터를 추출하며, 제어 장치(600)에 내장된 접착제 탱크내의 액체 접착제 잔여량에 대한 예측 알고리즘에 의해 현재 액체 접착제 잔여량에 대한 정확한 예측이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에는 제3 출력 인터페이스(140)가 더 설치되어 있고, 디스펜싱 제어 장치(1000)는 제2 감압 장치(710) 및 진공 발생기(720)를 포함하는 흡입 백 기압 생성 장치(700)가 더 구비된다. 제2 감압 장치(710)의 가스 유입구(711)는 제1 입력 인터페이스(110)에 연결된다. 진공 발생기(720)의 진공 생성구(723)는 제1 배기 밸브(300)의 배기구(330)에 연결되고, 진공 발생기(720)의 가스 유입구(721)는 제2 감압 장치(710)의 가스 유출구(712)에 연결되며, 진공 발생기(720)의 가스 유출구(722)는 제3 출력 인터페이스(140)에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제2 감압 장치(710)는 전기 비례 밸브 또는 전공 감압 밸브이다.
작업 과정에서, 디스펜싱 제어 장치(1000)가 흡입 백 기능(suck-back function)을 킨 후, 제어 장치(600)가 제1 기압 센서(500), 제2 감압 장치(90)와 교호하여 실시간으로 피드백 및 조정함으로써, 흡입 백 기압의 자기 적응 제어를 구현한다. 흡입 백 기압의 자기 적응 제어는, 디스펜싱 작업의 간헐 시간 내에, 접착제 탱크 말단 핀헤드의 접착제 토출구에는 액체 접착제의 드립(drip) 및 기포 혼입이 없도록 확보하고, 디스펜싱 작업시 정확한 접착제 토출의 일치성을 확보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진공 발생기(720)의진공 생성구(723)와 제1 배기 밸브(300)의 배기구(330)를 연결하는 관로는 흡입 백 기압 생성 장치(700)의 흡기구(730)이다. 디스펜싱 제어 장치(1000)는 제2 기압 센서(800) 더 포함한다. 제2 기압 센서(800)는 흡입 백 기압 생성 장치(700)의 흡기구(730)에 연결되어 흡입 백 기압 생성 장치(700)에서 생성된 흡입 백 기압을 수집하고, 제2 기압 센서(800)는 제어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어 장치에 의해 그 수집 신호가 연속적으로 수신된다. 즉, 진공 발생기(60)와 제1 배기 밸브(300) 배기구 사이의 흡입 백 기압 생성 장치의 흡기구에 제2 기압 센서(70)가 설치되며, 흡입 백 기압을 킨 후, 제2 기압 센서(70)는 흡입 백 기압을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제어 장치(600)와 교호하여 흡입 백 기압의 자기 적응 피드백 제어를 구현한다.
본 발명의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감압 장치(200)는 정밀 감압 밸브, 전기 비례 밸브 또는 전공 감압 밸브이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제1 배기 밸브(300) 및 제2 배기 밸브(400) 중 적어도 하나는 2위치 3방향 솔레노이드 밸브이고, 제2 배기 밸브(400)의 유량은 제1 배기 밸브(300)의 유량보다 크다. 제1 배기 밸브(300)는 2위치 3방향 솔레노이드 밸브로 형성되고, 제1 배기 밸브(300)는 일반 소자로 취재가 편리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배기 밸브(400)는 2위치 3방향 솔레노이드 밸브로 형성되고, 제2 배기 밸브(400)의 유량은 제1 배기 밸브(300)의 유량보다 크다. 제2 배기 밸브(400)도 일반 소자로 취재가 편리하다.
복수개 소자의 조인트 사이는 연결이 편리하고 장착하기 쉬운 호스(900)를 통해 각각 연결된다.
제1 배기 밸브(300)는 접착제 토출 작업이 완료되면 도통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전환되기 때문에, 이때 제1 배기 밸브(22)의 기체 출력 유량이 갑자기 0으로 떨어지고, 이로 인해 그 가스 유출단에 연결되는 부하단의 기체 유량이 갑자기 0으로 떨어지며, 이로 인해 제1 감압 밸브(230)의 출력 기압에 오버슈트(overshoot)가 발생하며, 제1 감압 장치는 그 출력 기압이 오버슈트에서 설정 기압과 일치할 때까지 떨어지는 소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아래 실시예에서는 제1 감압 장치(200)를 상세히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제어 장치는, 이러한 제1 감압 장치를 채택함으로써, 더 짧은 디스펜싱 반복 사이클로 디스펜싱 작업을 수행될 수 있고, 디스펜싱 효율을 증가시키고 일치한 디스펜싱 정밀도를 확보시켰다.
본 발명의 일부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감압 장치(200)는 적어도 가스 유입구(231) 및 가스 유출구(232)가 구비된 제1 감압 밸브(230)를 포함하고, 가스 유입구(231)는 제1 감압 장치(200)의 가스 유입단(210)을 구성하고, 가스 유출구(232)는 제1 배기 밸브(300)의 가스 유입구(310)에 연결된다. 제1 감압 밸브(230)는 배기구를 더 갖고, 감압 밸브(10)의 배기구는 비워 두거나 또는 소음기를 장착할 수 있다(미도시).
도 1에 도시된 디스펜싱 제어 장치(1000)에서, 제1 감압 장치(200)는 제1 감압 밸브(230)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부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제1 감압 장치(200)는 이형 파이프 조인트(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형 파이프 조인트(240) 내부는 그 축 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관강(241)에 의해 한정되며, 이형 파이프 조인트(240)의 외벽면에는 관강(241)과 연통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기류 채널(242)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제어 장치에서, 제1 감압 장치(200)의 작동 원리는 다음과 같다. 그 가스 유출단(220)에 연결된 단말 부하 즉 접착제 탱크(2000)가 소모하지 않거나 일정한 유량으로 기체를 소모할 때, 제1 감압 장치(220)의 안정된 출력 기압은 설정 기압과 일치하다. 부하단에서 소모되는 기체의 유량이 갑자기 감소되면(심지어 유량이 0으로 떨어짐), 제1 감압 장치(200)의 출력 기압은 설정 기압보다 높게 되어, 감압 밸브(230)의 기압 출력구에 연결되는 이형 파이프 조인트(240)에서, 감압 밸브(230)의 출력 기압을 고정 유량으로 일부 유출시키며, 접착제 탱크단의 유량이 감소되면, 감압 밸브(230)의 출력 기압이 오버슈트에서 설정 기압과 일치할 때까지 떨어지는 소요 시간을 줄인다.
이형 파이프 조인트(240)는 시중에 나와있는 표준품에 기반하여 기류 채널을 개선한 것일 수도 있고, 간단한 구조로 설계 가공된 자체 제작품 일 수도 있다. 파이프 조인트 표준품의 개선 구현에 기반하여, 파이프 조인트 표준품이 제1 감압 밸브(230)의 가스 유출구에 밀봉 연결되면, 파이프 조인트 표준품이 출력 기압에 직접 접촉하는 챔버체의 표면에 타공하고, 이형 파이프 조인트 표준품의 외표면까지 직접 또는 만곡으로 관통시켜 이형 파이프 조인트(240)를 형성하며, 외표면의 구멍은 이형 파이프 조인트(240)가 제1 감압 밸브(230) 및 연결 부하(21)에 밀봉 연결된 후 가리거나 막히지 않도록 확보해야 한다(목적은 제1 감압 밸브(230)의 출력 기압이 이 기류 채널에서 계속 원활하게 누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제1 감압 밸브(230)의 가스 유출구에서 출력되는 기압은, 일부가 기류 채널에서 고정 유량으로 지속적으로 유출된다.
부하단에 기체 유량이 필요한지 여부에 관계없이 제1 감압 밸브(230)는 항상 흐름 출력 상태(즉, 명백한 피드백 조정)에 있으며, 이점은 다음과 같다. 부하단의 기압 유량이 감소(심지어 유량이 0으로 떨어짐)되면, 제1 감압 밸브(230)의 피드백 조정은 신속하게 구현될 수 없어, 순식간에 명백한 기압 과조정이 발생하여 출력 기압이 오버슈트하게 된다. 감압 밸브 표준품의 적용과 비표하면, 기류 채널은 출력 압력을 고정 유량으로 지속적으로 소모하였으며, 이는 출력 기압과 조정의 복구 프로세스를 직접 가속화시켰고, 출력 기압이 오버슈트에서 설정 기압과 일치할 때까지 떨어지는 소요 시간을 줄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제어 장치는 종래 기술과 비교하면, 이형 파이프 조인트(240)에 기류 채널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제1 감압 장치는 더 짧은 시간으로 설정 기압보다 높은 제1 감압 장치의 출력 기압을 설정 기압과 일치하도록 복원 함으로써, 반복 디스펜싱하는 간격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고, 고도로 일치한 디스펜싱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기류 채널(242)의 최소 직경은 1mm보다 크지 않거나 또는 최소 횡단면적은 1mm2를 초과하지 않는다. 기류 채널은 저유량으로 고압 공기를 지속적으로 누출하는 데 사용되며, 저유량 누출의 핵심은 상기 기류 채널의 가장 좁은 부위가 너무 클 수 없다는 것이다. 즉, 구체적인 접착제 탱크단의 조건에 따라 상이한 기류 채널의 가장 좁은 홀 직경을 설정할 수 있고, 출력 기압이 오버슈트에서 설정 기압과 일치할 때까지 떨어지는 소요 시간을 자세히 테스트할 수 있으며, 테스트 과정에서 특정 조건에 적용되는 최적의 기류 채널의 유량 및 기류 채널의 가장 좁은 홀 직경을 얻어낼 수 있다.
도 3a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형 파이프 조인트(240)는 제1 감압 밸브(230)의 가스 유출구와 제1 배기 밸브(300)의 가스 유입구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감압 밸브(230) 및 이형 파이프 조인트(240)를 포함하는 제1 감압 장치는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출력 기압의 오버슈트를 줄일 수 있고 더 짧은 시간 내에 설정 기압보다 높은 출력 기압을 설정 기압과 일치하도록 복원할 수 있으며, 특히 디스펜싱 제어 장치가 빠르게 디스펜싱을 반복할 때 작업 기압의 일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펜싱 제어 장치(1000)는 이형 파이프 조인트(240)와 제1 배기 밸브(300)사이에 연통되는 가스 저장 탱크(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스 저장 탱크(23)는 디스펜싱 제어 장치가 접착제 토출을 시작하는 순간에 제1 감압 장치(200)의 출력 기압의 강하를 억제할 수 있고, 디스펜싱 제어 장치가 접착제 토출을 종료하는 순간에 제1 감압 장치(200)의 출력 기압의 오버슈트를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감압 장치는 그 출력 기압을 오버슈트에서 설정 기압과 일치할 때까지 떨어지는 소요 시간을 진일보 줄일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펜싱 제어 장치(1000)는 이형 파이프 조인트(240)와 제1 배기 밸브(300)사이에 연통되는 속도 제어 밸브(9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속도 제어 밸브(24)는 제1 감압 장치에서 출력되는 최대 유량을 조정하기에 적합한 것이고, 응용의 특정 디스펜싱 파라미터에 따라 속도 제어 밸브(24)의 특정 기류 속도가 테스트되고 결정된다. 이에 따라, 응용의 특정 디스펜싱 파라미터에 대해 제1 감압 장치(220)에 의해 출력되는 최대 유량을 조정하고, 제1 감압 장치(220)는 그 출력 기압을 오버슈트에서 설정 기압과 일치할 때까지 떨어지는 소요 시간을 진일보 줄인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속도 제어 밸브(910)와 상기 가스 저장 탱크(800) 중 택일하여 이형 파이프 조인트(240)와 제1 배기 밸브(300) 사이에 별도로 설치될 수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저장 탱크(800)와 동시에 이형 파이프 조인트(240)와 제1 배기 밸브(300)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제1 감압 장치는 그 출력 기압을 오버슈트에서 설정 기압과 일치할 때까지 떨어지는 소요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일부 선택적인 예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도 제어 밸브(910)는 이형 파이프 조인트(240)와 일체로 연결되어 성형될 수 있고 제1 감압 밸브(230)와 밀봉되도록 하드 연결(hard connection)될 수 있으며, 소자 통합을 통해 소자의 수 및 점용공간이 감소된다.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펜싱 제어 장치(1000)는 이경관(92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경관(920)은 이형 파이프 조인트(240)와 가스 저장 탱크(800)사이에 연통되어, 속도 제어 밸브(24)와 같은 성능 효과에 도달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이경관(920)은 이형 파이프 조인트(240)와 일체로 연결되어 성형될 수 있다.
이하, 도 10~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싱 제어 장치(1000)의 접착제 토출 제어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펜싱 제어 장치(1000)의 접착제 토출 제어 방법은,
작업 기압, 흡입 백 기압, 접착제 토출 지속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S1;
비어있는 접착제 탱크가 제1 출력 인터페이스(1200)에 연결될 때의 제1 기압 파형 및 가득 찬 접착제 탱크가 제1 출력 인터페이스(1200)에 연결될 때의 제2 기압 파형을 미리 설정하는 단계S2;
잔여량 경보 역치를 미리 설정하는 단계S3;
제1 출력 인터페이스(1200)가 디스펜싱 수행 대기중 인 접착제 탱크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디스펜싱 트리거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S4;
디스펜싱 트리거 신호가 수신되면, 작업 기압을 출력하고, 접착제 토출 지속 시간내에 제1 기압 센서(500)에 의해 수집된 실시간 기압 파형을 실시간으로 검출하며, 실기간 기압 파형, 제1 기압 파형 및 제2 기압 파형에 따라 접착제 탱크내의 액체 접착제 잔여량을 미리 판단하는 단계S5;
액체 접착제 잔여량에 기반하여, 단계S1에서의 작업 기압, 흡입 백 기압, 접착제 토출 지속 시간을 조정하고, 단계S5로 반복적으로 이전하는 단계S6; 및
단계S5에서의 액체 접착제 잔여량이 잔여량 경보 역치보다 작으면, 미리 경고 신호를 발송하여 접착제 토출을 중지시키고 단계S4로 이전하는 단계S7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 토출 제어 방법은 접착제 탱크내의 액체 접착제 잔여량을 실시간으로 예측할 수 있고, 디스펜싱 컨트롤러의 작업 파라미터를 자동으로 조정하여, 접착제 탱크의 액체 접착제가 가득 찬 상태에서 비어있는 상태로 되는 전체 디스펜싱 과정에서 액체 접착제 디스펜서량의 매우 높은 일치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 탱크내의 액체 접착제 잔여량을 실시간으로 예측할 수 있고, 액체 접착제 잔여량에 대한 경보 역치를 설정하고 액체 접착제 잔여량과 계산하여 판단하며, 예를 들어 현재 접착제 탱크내의 액체 접착제 잔여량이 부족할 경우 경보 신호를 발송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함으로써, 접착제 적은 또는 접착제 없는 상태의 디스펜싱 작업을 피한다. 또한, 흡입 백 기압에 기반하는 자기 적응 피드백 제어는, 디스펜싱 작업의 간헐 시간 내에, 접착제 탱크 말단 핀헤드의 접착제 토출구에는 액체 접착제의 드립 및 기포 혼입이 없도록 확보하고, 디스펜싱 작업시 정확한 접착제 토출의 일치성을 확보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단계S2에서, 제1 기압 파형 및 제2 기압 파형 각각을 검출할 때는,
제1 출력 인터페이스(1200)가 검출 대기 중 인 접착제 탱크에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수행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S21;
수행 신호가 수신된 후, 제1 센서를 시동하여 미리 설정된 검출 시간 내에 기압 파형을 수집하는 단계S22; 및
상응하는 기압 파형을 저장하는 단계S23을 포함한다.
작업자의 각도에서 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 토출 제어 장치를 사용하여 접착제 토출 제어를 수행하는 작업 방법은 아래와 같다.
P1에서, 디스펜싱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P2에서, 가득 찬 접착제 탱크 또는 비어있는 접착제 탱크 중 하나는 연결관을 통해 디스펜싱 제어 장치(1000)의 제1 출력 인터페이스(120)에 연결되며;
P3에서, 디스펜싱 제어 장치(1000)의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메뉴 항목 프롬프트에 따라, 디스펜싱 제어 장치(1000)를 작동시켜 가득 찬 접착제 탱크 또는 비어있는 접착제 탱크 중 하나가 수행될 때의 기압 파형을 수집하며;
P4에서, 비어있는 접착제 탱크 또는 가득 찬 접착제 탱크 중 다른 하나는 연결관을 통해 디스펜싱 제어 장치(1000)의 제1 출력 인터페이스(120)에 연결되며;
P5에서, 디스펜싱 제어 장치(1000)의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메뉴 항목 프롬프트에 따라, 디스펜싱 제어 장치(1000)를 작동시켜 비어있는 접착제 탱크 또는 가득 찬 접착제 탱크 중 다른 하나가 수행될 때의 기압 파형을 수집하며;
P6에서, 디스펜싱 제어 장치(1000)는 가득 찬 접착제 탱크 및 비어있는 접착제 탱크에 의해 이미 수집된 기압 파형에 따라, 교정 파라미터의 계산 및 저장을 자동으로 수행한다.
즉,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펜싱 작업전에, 가득 찬 접착제 탱크 및 비어있는 접착제 탱크는 연결관을 통해 제1 출력 인터페이스(120)에 각각 연결되어야 하며, 디스펜싱 제어 장치(1000)는 교정모드로 진입하고, 제어 장치(600)가 제1 기압 센서(500), 제1 배기 밸브(300), 제1 감압 장치(80), 제2 배기 밸브(400)와 교호하여 가득 찬 접착제 탱크(또는 비어있는 접착제 탱크)를 연결하였을 때의 작업 기압을 수집하고 수집된 파형에서 기압 상승 속도를 추출하여, 각각 가득 찬 및 비어있는 접착제 탱크의 두 작업 조건하에서의 기압 상승의 특징 파라미터에 대한 추출 및 교정을 완료한다.
진일보로, 아래의 작업 단계를 더 포함한다.
P7에서, 잔여량 경보 기능의 요구에 따라, 이 기능을 켤지 여부를 결정하며; 이 기능을 켜면, 킨 후에 디스펜싱 제어 장치(1000)의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메뉴 항목을 통해 잔여량 경보 역치 및 관련되는 파라미터를 설정하며;
P8에서, 액체 접착제를 담은 접착제 탱크를 연결관을 통해 디스펜싱 제어 장치(1000)의 제1 출력 인터페이스(120)에 연결시키며;
P9에서, 디스펜싱 제어 장치(1000)는 디스펜싱 준비하는 대기 상태에 진입하여, 디스펜싱 트리거 신호를 기다리며;
P10에서, 디스펜싱 제어 장치(1000)에서 디스펜싱 트리거 신호가 수신되면, 현재의 디스펜싱 파라미터에 따라 제1 출력 인터페이스(120)로부터 디스펜싱 기압을 출력하는 동시에, 제1 기압 센서(500)가 기압 파형을 수집하고, 디스펜싱 제어 장치(1000)는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기압 파형 및 이미 저장된 교정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접착제 탱크내의 액체 접착제 잔여량을 예측하며;
P11에서, 디스펜싱 제어 장치(1000)는 이미 예측된 접착제 탱크내의 액체 접착제 잔여량에 기반하여, 디스펜싱 파라미터를 수정하고 자동으로 업데이트하며;
P12에서, 잔여량 경보 기능이 이미 켜져 있고, 예측된 접착제 탱크내의 액체 접착제 잔여량이 설정된 액체 접착제 잔여량 경보 역치보다 낮으면, 디스펜싱 제어 장치(1000)는 액체 적은 경보 신호를 생성하고; 단계P9로 이전된다.
구체적으로, 디스펜싱 작업할 때, 제어 장치(600)가 제1 기압 센서(500), 제1 배기 밸브(300), 제1 감압 장치(80), 제2 배기 밸브(400)와 교호하여 한번 접착제 토출에 의한 기압 파형을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기압 상승의 특징 파라미터를 추출하며, 제어 장치(600)에 내장된 접착제 탱크내의 액체 접착제 잔여량에 대한 예측 알고리즘에 의해 현재 액체 접착제 잔여량에 대한 정확한 예측이 구현된다.
액체 접착제 잔여량에 대한 정확한 예측에 기반하여, 디스펜싱 작업할 때, 디스펜싱 제어 장치(1000)는 액체 접착제 토출량의 매우 높은 일치성을 구현하기 위해 상이한 액체 접착제 잔여량에 따라 디스펜싱 파라미터를 연속적으로 조정할 수 있고; 액체 접착제 잔여량 부족의 경보 기능을 켤 수 있으며, 액체 접착제 잔여량이 설정된 경보 역치보다 낮으면, 디스펜싱 제어 장치(1000)는 액체 접착제 잔여량 부족의 경보 신호를 출력하여 액체 접착제를 충전시키거나 교체하도록 제시한다.
디스펜싱 제어 장치(1000)가 흡입 백 기능을 킨 후, 제어 장치(600)가 제1 기압 센서(500), 제2 감압 장치(90)와 교호하여 실시간으로 피드백 및 조정함으로써, 흡입 백 기압의 자기 적응 제어를 구현함을 설명할 필요가 있다. 흡입 백 기압의 자기 적응 제어는, 디스펜싱 작업의 간헐 시간내에, 접착제 탱크 말단 핀헤드의 접착제 토출구에는 액체 접착제의 드립 및 기포 혼입이 없도록 확보하고, 디스펜싱 작업시 정확한 접착제 토출의 일치성을 확보한다.
바람직하게, 디스펜싱 파라미터는 접착제 토출 지속 시간, 작업 기압 및 흡입 백 기압을 포함하고, 이 디스펜싱 파라미터는 측정 및 조정이 쉽고 작업하기 편리하다.
총괄적으로 말하면,이 방법은 접착제 탱크내의 액체 접착제 잔여량을 실시간으로 예측할 수 있고, 디스펜싱 컨트롤러의 작업 파라미터를 자동으로 조정하여, 접착제 탱크의 액체 접착제가 가득 찬 상태에서 비어있는 상태로 되는 전체 디스펜싱 과정에서 액체 접착제 디스펜서량의 매우 높은 일치성을 구현할 수 있으며; 접착제 탱크내의 액체 접착제 잔여량을 실시간으로 예측하고, 액체 접착제 잔여량에 대한 경보 역치를 설정하여 현재 접착제 탱크내의 액체 접착제 잔여량이 부족함을 제시함으로써, 접착제 적은 또는 접착제 없는 상태의 디스펜싱 작업을 피하며; 흡입 백 기압에 기반하는 자기 적응 피드백 제어는, 디스펜싱 작업의 간헐 시간내에, 접착제 탱크 말단 핀헤드의 접착제 토출구에는 액체 접착제의 드립 및 기포 혼입이 없도록 확보하고, 디스펜싱 작업시 정확한 접착제 토출의 일치성을 확보한다.
본 명세서의 설명에서, "일 실시예”, "일부 실시예”, "예시적인 실시예”, "예”, "구체적인 예” 또는 "일부 예” 등에 의해 설명되는 참조 용어는 이 실시예 또는 예에서 설명되는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성에 결합하여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일시예 또는 예에 포함됨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전술한 용어의 예시적인 표현은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 또는 예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설명된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성은 임의의 하나 또는 복수의 실시예 또는 예에서 적합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는 본 발명의 원리 및 취지를 벗어나지 않고 이러한 실시예에 대해 다양한 변경, 수정, 대체 및 변형을 수행할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 범위 및 그 동등물에 의해 제한됨을 이해할 수 있다.

Claims (13)

  1. 디스펜싱 제어 장치에 있어서,
    가스 소스 연결을 위한 제1 입력 인터페이스, 외부 접착제 탱크 연결을 위한 제1 출력 인터페이스 및 제2 출력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된 제1 감압 장치;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된 제1 배기 밸브;
    제2 배기 밸브;
    상기 제1 배기 밸브의 가스 유출구와 상기 제1 출력 인터페이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배기 밸브와 상기 제1 출력 인터페이스 사이의 관로의 실시간 기압을 수집하는 제1 기압 센서; 및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감압 장치, 상기 제1 배기 밸브, 상기 제2 배기 밸브 및 제1 기압 센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제어하며, 상기 제1 기압 센서에 의해 수집된 실시간 기압을 연속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실시간 기압을 실시간으로 처리한 후 기압 상승의 특징 파라미터를 추출하도록 구성된 제어 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감압 장치의 가스 유입단은 상기 제1 입력 인터페이스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배기 밸브의 가스 유입구는 상기 감압 장치의 가스 유출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2 배기 밸브의 유입구는 상기 제1 배기 밸브의 가스 유출구 및 상기 제1 출력 인터페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배기 밸브의 유출구는 상기 제2 출력 인터페이스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싱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제3 출력 인터페이스가 더 설치되고,
    상기 디스펜싱 제어 장치는 제2 감압 장치 및 진공 발생기를 포함하는 흡입 백 기압 생성 장치;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감압 장치의 가스 유입구는 상기 제1 입력 인터페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진공 발생기의 진공 생성구는 상기 제1 배기 밸브의 배기구에 연결되고,
    상기 진공 발생기의 가스 유입구는 상기 제2 감압 장치의 가스 유출구에 연결되며,
    상기 진공 발생기의 가스 유출구는 상기 제3 출력 인터페이스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싱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발생기의 진공 생성구와 제1 배기 밸브의 배기구를 연결하는 관로는 상기 흡입 백 기압 생성 장치의 흡기구이며,
    상기 디스펜싱 제어 장치는 제2 기압 센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압 센서는 상기 흡입 백 기압 생성 장치의 흡기구에 연결되어 상기 흡입 백 기압 생성 장치에서 생성된 흡입 백 기압을 수집하고, 상기 제2 기압 센서는 상기 제어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 상기 수집 신호가 연속적으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싱 제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감압 장치는 전기 비례 밸브 또는 전공 감압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싱 제어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압 장치는 정밀 감압 밸브, 전기 비례 밸브 또는 전공 감압 밸브이며; 및/또는
    상기 제1 배기 밸브 및 제2 배기 밸브 중 적어도 하나는 2위치 3방향 솔레노이드 밸브이고, 상기 제2 배기 밸브의 유량은 상기 제1 배기 밸브의 유량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싱 제어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압 장치는 적어도 가스 유입구 및 가스 유출구가 구비된 제1 감압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 유입구는 상기 제1 감압 장치의 가스 유입단을 구성하고, 상기 가스 유출구는 상기 제1 배기 밸브의 가스 유입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싱 제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압 장치는 이형 파이프 조인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형 파이프 조인트 내부는 그 축 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관강에 의해 한정되며, 상기 이형 파이프 조인트의 외벽면에는 상기 관강과 연통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기류 채널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형 파이프 조인트는 상기 제1 감압 밸브의 가스 유출구와 상기 제1 배기 밸브의 가스 유입구 사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싱 제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채널의 최소 직경은 1mm보다 크지 않거나 또는 최소 횡단면적은 1mm2를 초과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싱 제어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 파이프 조인트와 상기 제1 배기 밸브 사이에 연통되는 가스 저장 탱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싱 제어 장치.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 파이프 조인트와 상기 제1 배기 밸브 사이에 연통되어 상기 제1 감압 장치에서 출력되는 최대 유량을 조정하기에 적합한 속도 제어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싱 제어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 파이프 조인트와 상기 가스 저장 탱크 사이에 연통되는 이경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싱 제어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디스펜싱 제어 장치에 의한 접착제 토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작업 기압, 흡입 백 기압, 접착제 토출 지속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S1;
    비어있는 접착제 탱크가 상기 제1 출력 인터페이스에 연결될 때의 제1 기압 파형 및 가득 찬 접착제 탱크가 상기 제1 출력 인터페이스에 연결될 때의 제2 기압 파형을 미리 설정하는 단계S2;
    잔여량 경보 역치를 미리 설정하는 단계S3;
    상기 제1 출력 인터페이스가 디스펜싱 수행 대기 중 인 접착제 탱크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디스펜싱 트리거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S4;
    상기 디스펜싱 트리거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작업 기압을 출력하고, 상기 접착제 토출 지속 시간 내에 상기 제1 기압 센서에 의해 수집된 실시간 기압 파형을 실시간으로 검출하며, 상기 실시간 기압 파형, 제1 기압 파형 및 제2 기압 파형에 따라 접착제 탱크내의 액체 접착제 잔여량을 미리 판단하는 단계S5;
    상기 액체 접착제 잔여량에 기반하여, 단계S1에서의 작업 기압, 흡입 백 기압, 접착제 토출 지속 시간을 조정하고, 단계S5로 반복적으로 이전하는 단계S6; 및
    단계S5에서의 액체 접착제 잔여량이 상기 잔여량 경보 역치보다 작으면, 미리 경고 신호를 발송하여 접착제 토출을 중지시키고 단계S4로 이전하는 단계S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토출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2에서, 상기 제1 기압 파형 및 제2 기압 파형 각각을 검출할 때는,
    상기 제1 출력 인터페이스가 검출 대기 중 인 접착제 탱크에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수행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S21;
    상기 수행 신호가 수신된 후, 상기 제1 기압 센서를 시동하여 미리 설정된 검출 시간 내에 기압 파형을 수집하는 단계S22; 및
    상응하는 상기 기압 파형을 저장하는 단계S2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토출 제어 방법.
KR1020207037841A 2019-06-25 2019-12-31 디스펜싱 제어 장치 및 그에 의한 접착제 토출 제어 방법 KR1024502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557123.8A CN110102443B (zh) 2019-06-25 2019-06-25 减压装置和具有其的点胶控制器
CN2019105571238 2019-06-25
CN201910555990.8A CN110170426B (zh) 2019-06-25 2019-06-25 精密点胶控制器及其出胶控制方法
CN2019105559908 2019-06-25
PCT/CN2019/130259 WO2020258815A1 (zh) 2019-06-25 2019-12-31 点胶控制设备及其出胶控制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8866A true KR20210018866A (ko) 2021-02-18
KR102450258B1 KR102450258B1 (ko) 2022-09-30

Family

ID=74060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7841A KR102450258B1 (ko) 2019-06-25 2019-12-31 디스펜싱 제어 장치 및 그에 의한 접착제 토출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991855B1 (ko)
JP (1) JP7100719B2 (ko)
KR (1) KR102450258B1 (ko)
PL (1) PL3991855T3 (ko)
SG (1) SG11202101447VA (ko)
WO (1) WO20202588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50604B (zh) * 2021-03-12 2022-04-19 深圳市鑫路远电子设备有限公司 一种精密点胶的信息处理方法及系统
CN112958399B (zh) * 2021-04-07 2023-12-01 浙江仕金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灌胶机的压力检测系统及其检测方法
CN113976400B (zh) * 2021-09-30 2022-09-20 歌尔股份有限公司 一种涂胶方法、装置、设备及系统
CN114433435A (zh) * 2022-01-13 2022-05-06 深圳市轴心自控技术有限公司 一种胶量补偿控制系统
CN114522858B (zh) * 2022-01-25 2023-03-17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点胶控制方法、控制器和点胶装置
CN114669442A (zh) * 2022-03-18 2022-06-28 中国兵器装备集团自动化研究所有限公司 一种基于驱动气压补偿的大比重胶液点胶装置及控制方法
CN115155988B (zh) * 2022-09-05 2022-11-29 常州铭赛机器人科技股份有限公司 双路稳压供胶系统及其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6916A (ja) * 1994-01-26 1994-10-25 Shinkawa Ltd ペースト吐出装置及び方法
JP2010279895A (ja) * 2009-06-04 2010-12-16 Panasonic Corp ペースト塗布装置
US20120168457A1 (en) * 2003-10-06 2012-07-05 Nordson Corporation Compensating pressure controller for fluid dispenser and method
JP2014108414A (ja) * 2012-12-04 2014-06-12 Nidec Machinery Corp 液剤吐出装置および液剤吐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77530A (ja) * 1987-01-19 1988-07-21 Toshiba Corp ダイボンデイング方法とその装置
JP2804951B2 (ja) * 1996-02-23 1998-09-30 九州日本電気株式会社 精密定量吐出方法および吐出装置
CN1431134A (zh) * 2002-01-11 2003-07-23 英业达股份有限公司 定量式点胶装置
JP2006192371A (ja) * 2005-01-13 2006-07-27 Shinwa Shokai:Kk 液体定量吐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488945B2 (ja) * 2005-03-31 2010-06-23 大阪瓦斯株式会社 整圧装置
DE102005044796A1 (de) * 2005-09-19 2007-03-29 Hilger U. Kern Gmbh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Dosiereinrichtung für flüssige oder pasteuse Medien
US8505566B2 (en) * 2007-10-17 2013-08-13 The Toro Company Valve glue diverter
JP2010090845A (ja) * 2008-10-09 2010-04-22 Mitsubishi Fuso Truck & Bus Corp コモンレール式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レール圧制御装置
US8608025B2 (en) * 2010-11-02 2013-12-17 Nordson Corporation Pneumatic liquid dispensing apparatus and method
JP2012219949A (ja) * 2011-04-12 2012-11-12 Honda Motor Co Ltd 流体供給システム
TWI496623B (zh) * 2013-07-09 2015-08-21 All Ring Tech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the amount of residual glue in valve
CN103721893B (zh) * 2013-12-16 2016-01-20 华中科技大学 一种用于rfid标签生产的点胶控制设备
JP2016001455A (ja) * 2014-05-21 2016-01-07 愛三工業株式会社 燃料供給システム及び減圧装置
CN204583600U (zh) * 2015-01-06 2015-08-26 谢俊 一种点胶机
CN106423754A (zh) * 2016-10-20 2017-02-22 常州铭赛机器人科技股份有限公司 点胶控制器及其出胶气压闭环控制方法
CN110102443B (zh) * 2019-06-25 2024-05-17 常州铭赛机器人科技股份有限公司 减压装置和具有其的点胶控制器
CN110170426B (zh) * 2019-06-25 2023-04-25 常州铭赛机器人科技股份有限公司 精密点胶控制器及其出胶控制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6916A (ja) * 1994-01-26 1994-10-25 Shinkawa Ltd ペースト吐出装置及び方法
US20120168457A1 (en) * 2003-10-06 2012-07-05 Nordson Corporation Compensating pressure controller for fluid dispenser and method
JP2010279895A (ja) * 2009-06-04 2010-12-16 Panasonic Corp ペースト塗布装置
JP2014108414A (ja) * 2012-12-04 2014-06-12 Nidec Machinery Corp 液剤吐出装置および液剤吐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531157A (ja) 2021-11-18
EP3991855A1 (en) 2022-05-04
EP3991855A4 (en) 2022-08-17
KR102450258B1 (ko) 2022-09-30
JP7100719B2 (ja) 2022-07-13
PL3991855T3 (pl) 2024-03-04
SG11202101447VA (en) 2021-03-30
EP3991855B1 (en) 2023-10-18
WO2020258815A1 (zh) 202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18866A (ko) 디스펜싱 제어 장치 및 그에 의한 접착제 토출 제어 방법
CN110170426B (zh) 精密点胶控制器及其出胶控制方法
JP5911500B2 (ja) 空気圧式液体吐出装置及び方法
US7686588B2 (en) Liquid chemical supply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pressure detectors
CN108808102B (zh) 用于锂离子电池化成过程的间歇式负压调节系统和负压调节方法
WO2007139106A1 (ja) 加圧タンク、粉体の輸送管への送込み装置およびその送込み方法、並びに粉体の輸送管への送込み間隔の決定方法
JP2007120497A (ja) 空気圧縮装置の制御装置
WO2022142505A1 (zh) 加热装置的控制方法、加热装置和可读存储介质
WO2014145584A1 (en) Refrigeration purger monitor
KR101943128B1 (ko) 액체 계량 장치의 충전 중에 이상의 검출하기 위한 방법 및 액체 계량 장치
CN111185347A (zh) 定量排放装置
CN109113130A (zh) 一种二次供水加压泵持续加压的方法
CN210159896U (zh) 精密点胶控制器
CN102951589B (zh) 单孔密闭小容器灌装传导介质装置
CN205738840U (zh) 一种化学液体分配控制箱
CN109596324B (zh) 一种燃气热水器水路耐压测试设备及其测试方法
CN111623855A (zh) 流量计算系统、存储介质、流量计算方法及流量计算装置
CN111006737A (zh) 物液体积测量装置及测量方法
CN115933773A (zh) 压力控制方法、检测主机和压力控制装置
KR102356550B1 (ko) 디스펜서 및 이를 통한 시린지 내 액체 잔량에 따른 미세 정량 토출 방법
US8657263B2 (en) Decontamination liquid supply device
AU2019476360B2 (en) Device for detecting breakages in high-pressure processing bags
JP3584367B2 (ja) 定液圧供給装置
CN106460831B (zh) 压缩装置以及压缩装置的控制方法
CN116759117A (zh) 一种供热反应堆的自动补氮系统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