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5866A - 도포 용기 - Google Patents

도포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5866A
KR20210015866A KR1020207036695A KR20207036695A KR20210015866A KR 20210015866 A KR20210015866 A KR 20210015866A KR 1020207036695 A KR1020207036695 A KR 1020207036695A KR 20207036695 A KR20207036695 A KR 20207036695A KR 20210015866 A KR20210015866 A KR 20210015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ody
container
impregnating material
valve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6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타 사카타
Original Assignee
사토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토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사토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9/020799 external-priority patent/WO2019230619A1/ja
Publication of KR20210015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58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2Hand-actuated implements, e.g. hand-actuated spray heads
    • A45D19/028Hand-actuated implements, e.g. hand-actuated spray heads having applicators other than brushes or combs, e.g. rollers, balls or spo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42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with pads or like contents-apply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 B65D47/245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the valve being opened or closed by actuating a stopper-type element
    • B65D47/247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the valve being opened or closed by actuating a stopper-type element moving linearly, i.e. without rotational mo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36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ntaining a cosmetic substance, e.g. impregnated with liquid or containing a soluble solid sub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1/00Nibs; Writing-points
    • B43K1/006Porous n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 B43K5/18Arrangements for feeding the ink to the nibs
    • B43K5/1818Mechanical feeding means, e.g. valves; Pumps
    • B43K5/1827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용기 본체(2)와 중간 마개 부재(20)와 함침재(30)를 갖추고, 중간 마개 부재(20)는 함침재 수용부(21)와 함침재 수용부(21) 측에 밸브 시트(22a), 용기 본체(2) 측에 밸브체 지지부(22b)를 가지며, 밸브 시트(22a)와 밸브체 지지부(22b) 사이에 밸브체(22c)가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밸브체 수용부(22)를 갖추고, 밸브체(22c)가 밸브체 지지부(22b)에 지지된 상태에서 밸브체(22c)와 밸브체 수용부(22)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는 연통홈(50)이 형성되어 있는 도포 용기(1).

Description

도포 용기
본 발명은 도포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8년 5월 31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8-105125호와 2018년 7월 19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8-135943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종래부터, 약액 등의 내용액을, 예를 들면 인체의 두피나 피부 등의 피도포부에 도포하는 도포 용기가 알려져 있다. 이런 종류의 도포 용기는, 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도포 마개를 갖춘다. 이 도포 마개는 용기 본체의 구부(口部)에 장착되는 동시에,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연통하는 연통홀, 및 상기 연통홀에 연통하고 내용액을 토출하는 토출 구멍이 형성된 통 형상의 중간 마개 부재(中栓部材)와, 상기 중간 마개 부재의 안쪽에 선단부가 상기 토출 구멍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연통홀 측을 향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도포 부재(함침재)와, 상기 도포 부재를 상기 토출 구멍 측을 향하여 부세(付勢)하는 부세 부재를 갖추고, 상기 중간 마개 부재에는 상기 연통홀과 상기 토출 구멍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 상기 도포 부재에 형성된 밸브체가 상기 연통홀측으로부터 떨어질 수 있도록 맞닿는 밸브 시트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도포 용기에 의하면, 대기 상태에서 밸브를 닫아 용기 본체 내로부터 함침재측으로 내용액의 이동을 규제하는 동시에 함침재가 용기 본체의 안쪽을 향해서 밀려들어갔을 때에 밸브를 열어서 용기 본체 내로부터 함침재측으로의 내용액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18-34859호 공보
그런데, 상기 종래의 도포 용기에서는 대기 상태에서 밸브를 닫기 때문에, 예를 들면 손의 온도가 용기 본체에 전해지면 용기 본체 내부의 압력이 상승한다. 이 상태에서 함침재를 용기 본체의 안쪽으로 밀어넣어 밸브를 열면, 용기 본체의 압력이 개방되어 내용액이 강하게 분출되어, 피도포부에 내용액을 과도하게 도포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피도포부에 적정량의 내용액을 도포할 수가 있고, 사용성이 뛰어난 도포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1) 본 발명과 관련된 제1 양태로서, 내용액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구부에 장착된 통 형상의 중간 마개 부재와, 상기 중간 마개 부재의 안쪽에 끼워져서 상기 내용액을 함침 가능한 함침재를 갖추고, 상기 중간 마개 부재는 상기 함침재를 선단부가 돌출된 상태에서 수용하는 함침재 수용부와, 상기 함침재 수용부와 연통하는 동시에 상기 함침재 수용부 측에 밸브 시트, 상기 용기 본체 측에 밸브체 지지부를 가지며, 상기 밸브 시트와 상기 밸브체 지지부 사이에서 밸브체가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밸브체 수용부를 갖추고, 상기 밸브체가 상기 밸브체 지지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밸브체와 상기 밸브체 수용부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며, 상기 밸브체 수용부 및 상기 함침재 수용부를 통해서 상기 용기 본체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홈이 형성되어 있는 도포 용기를 채용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제1 양태에 의하면, 용기 본체가 아래쪽이고 함침재가 위쪽인 정립(正立) 상태에서는, 밸브체가 밸브체 지지부에 지지된 상태이고, 밸브체와 밸브체 수용부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는 연통홈에 의해서 용기 본체와 외부가 연통하기 때문에 용기 본체의 압력이 개방된다. 이 때문에, 도포 용기를 사용할 때, 용기 본체 내외의 압력차에 의한 내용액의 분출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도포 용기를 정립 상태에서 도립 상태로 하여 사용할 때는, 밸브체의 상하 이동에 의해서 밸브체 수용부 내의 일정량의 내용액이 함침재 수용부로 밀려나간다. 그리고 밸브체가 밸브 시트에 접촉하면, 밸브체 수용부에서 함침재로의 내용액 공급이 제한되기 때문에, 함침재가 과도하게 함침되는 경우가 없고, 누액을 방지할 수가 있다.
(2) 본 발명과 관련된 제2 양태로서, 상기 제1 형태에서 상기 밸브 시트에는 상기 밸브체와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밸브체 수용부로부터 상기 함침재로 내용액을 공급하는 내용액 공급홈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과 관련된 제2 양태에 의하면, 용기 본체를 도립(倒立) 상태로 하고, 밸브체가 밸브 시트에 접촉한 상태에서도 밸브체 수용부로부터 함침재로 내용액을 공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도포 용기를 사용하는 중에 내용액이 잘 나오지 않게 되어도 일단 도포 용기를 정립 상태에서 도립 상태로 함으로써 다시 함침재로 내용액을 함침시켜 조작 횟수를 줄일 수 있다.
(3) 본 발명과 관련된 제3 양태로서, 상기 제1 양태 또는 제2 양태에서 상기 밸브체 수용부는 상기 밸브 시트와 상기 밸브체 지지부 사이를 연결하는 둘레벽을 가지고, 상기 밸브체는 비구상(非球狀)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밸브체 수용부의 둘레벽으로 가이드되는 가이드면을 가지며, 상기 밸브체의 가이드면에 상기 연통홈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과 관련된 제3 양태에 의하면, 용기 본체가 정립 상태일 때, 밸브체에 형성된 연통홈에 의해서 용기 본체와 외부가 연통하기 때문에 용기 본체의 압력이 개방된다. 이 때문에, 도포 용기를 사용할 때에 용기 본체 내외의 압력차에 의한 내용액의 분출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밸브체는 비구상(非球狀)이고, 밸브체 수용부의 둘레벽에 가이드되는 가이드면을 가진다. 이 때문에, 밸브체가 상하로 이동해도 밸브체의 자세가 일정한 자세로 유지되어 상기 밸브체에 형성된 연통홈을 통한 용기 본체 압력을 확실하게 개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피도포부에 대해서 적당량의 내용액을 도포할 수 있고, 사용성이 뛰어난 도포 용기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와 관련된 도포 용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도포 용기로부터 오버 캡을 떼어낸 후, 도립 상태로 한 도포 용기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와 관련된 도포 용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와 관련된 도포 용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와 관련된 밸브체의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와 관련된 도포 용기를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에 나타내듯이, 본 실시형태의 도포 용기(1)는 피도포부에 도포하는 내용액이 수용되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용기 본체(2)와, 용기 본체(2)의 구부(口部, 10)의 안쪽에 장착된 통 형상의 도포 마개(3)와, 용기 본체(2)의 구부(10)에 이탈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도포 마개(3)를 덮는 천정이 있는 통 형상의 오버 캡(4)을 갖추고 있다. 또한, 내용액으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인체나 피부 등의 피도포부에 도포되는 육모제, 무좀약 등의 약제, 화장료 등의 액체를 들 수 있다.
도 1에서 용기 본체(2), 도포 마개(3) 및 오버 캡(4)은 각각의 중심축선이 공통축상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공통축을 용기축(O)이라고 하고, 용기축(O) 방향에 따른 오버 캡(4) 측을 위쪽, 그 반대측(용기 본체(2)측)을 아래쪽이라고한다. 또한, 용기축(O)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고 하고, 용기축(O) 방향 중에서 용기 본체(2)의 후술하는 바닥부로부터 오버 캡(4)의 후술하는 캡 천정벽(61)을 향하는 방향을 위쪽이라고 하며, 그 반대 방향을 아래쪽이라고 할 수도 있다. 즉, 용기 본체(2)의 바닥부로부터 함침재(30)의 후술하는 상단부(30a, 선단부)를 향하는 방향을 위쪽이라고 하고, 그 반대 방향을 아래쪽이라고 할 수도 있다. 또한, 용기축(O)에서 본 평면시에서 용기축(O)과 교차하는 방향을 지름 방향이라고 하고, 용기축(O) 둘레를 도는 방향을 둘레 방향이라고 한다.
용기 본체(2)의 구부(10)는 용기 본체(2) 중에서 구부(10) 이외의 부위(견부, 몸체부 및 바닥부)보다 지름이 작게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용기 본체(2)의 구부(10)의 외주면에 오버 캡(4)을 비틀어 박을 수 있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오버 캡(4)은 용기 본체(2)의 구부(10) 및 도포 마개(3)를 지름 방향 바깥쪽에서 둘러싸는 캡통(60)과, 캡통(60)의 상단 개구부를 막는 캡 천정벽(61)을 갖춘 천정이 있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캡통(60) 중에서, 용기 본체(2)의 구부(10)를 둘러싸는 부분의 내주면에는 용기 본체(2)의 구부(10)의 수나사에 비틀려서 박히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오버 캡(4)은 용기 본체(2)의 구부(10)에 대해서 자유롭게 이탈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또한, 오버 캡(4)의 장착 방법은 비틀려서 박히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용기 본체(2)의 구부(10)에 대해서 언더 컷으로 맞물리게 하여 오버 캡(4)을 장착해도 상관없다.
캡 천정벽(61)에는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동시에 도포 마개(3)의 후술하는 제2 통부(43)의 외주면에 대해서 이탈 가능하도록 맞물리게 하는 서포트 통부(63)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서포트 통부(63)를 제2 통부(43)에 맞물리게 한 상태로 오버 캡(4)을 용기축(O) 둘레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용기 본체(2)의 구부(10)에 대한 오버 캡(4)의 장착 조작 및 제거 조작을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도포 마개(3)는 용기 본체(2)의 구부(10)에 장착된 통 형상의 중간 마개 부재(20)와, 중간 마개 부재(20)의 안쪽에 끼워져서 내용액을 함침시킬 수 있는 함침재(30)를 갖춘다. 함침재(30)로는 예를 들면 스펀지 등의 다공질 재료나, 합성 섬유가 수지 용액에 의해 고화되고,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내용액을 함침시킬 수 있는 섬유체 등을 들 수 있다. 다만, 함침재(30)는 이들의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내용액을 함침시킬 수 있으면 된다.
상술한 섬유체를 함침재(30)로 채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수㎛~수십㎛의 섬유 지름을 가지는 합성 섬유(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섬유, 나일론 섬유나 아크릴 섬유 등)를 복수개 묶은 상태에서 수지 용액을 이용하여 다발 형상의 합성 섬유를 고화시키면 좋다. 그 때, 기공률(고체 부분인 합성 섬유와 기공(공극)의 용적 비율 혹은 체적 비율)이 예를 들면 40%~80% 정도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합성 섬유의 밀도를 조정하면 좋다. 이에 따라,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내용액을 적절히 함침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수지 용액으로는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수지를 용액화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이 함침재(30)는 용기축(O)과 동축에 설치된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함침재(30)의 상단부(30a, 선단부)는 중간 마개 부재(20)보다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함침재(30)의 상단부(30a)는 반타원의 구상(球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함침재(30) 상단부(30a)의 형상은 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피도포부에 따라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한편, 함침재(30)의 하단부(30b)는 중간 마개 부재(20)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다. 함침재(30)의 하단부(30b)는 아래쪽을 향하면서 점차 지름이 줄어들 수 있다.
중간 마개 부재(20)는 링 형상의 날밑부(40)와, 통 형상의 감합 통부(41)와, 천정이 있는 통 형상의 제1 통부(42)와,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제2 통부(43)를 가진다. 날밑부(40), 감합 통부(41), 제1 통부(42), 및 제2 통부(43)는 용기축(O)을 공통의 축으로 하는 동축상에 배치되어 있다. 날밑부(40)는 용기 본체(2)의 구부(10)의 상단 개구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상기 상단 개구 가장자리에서 지름 방향 안쪽을 향해 연장되고 있다. 감합 통부(41)는 날밑부(40)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하고, 그 외주면은 구부(10)의 내주면에 맞물려 있다.
제1 통부(42)는 감합 통부(41)보다 지름 방향 안쪽에 배치되는 동시에, 날밑부(40)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하고 있다. 제2 통부(43)는 감합 통부(41)보다 지름 방향 안쪽에 배치되는 동시에, 날밑부(40)로부터 위쪽으로 연장하고 있다. 제2 통부(43)의 바닥부는 제1 통부(42)의 천정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제2 통부(43)의 외경은 감합 통부(41)의 내경보다 작으며 제1 통부(42)의 외경보다 크다. 천정이 있는 통 형상의 제1 통부(42) 및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제2 통부(43)는 용기축(O)과 동축상에 형성된 연통홀(23)에 의해 서로 연통하고 있다.
제2 통부(43)는 함침재(30)를 상단부(30a)가 돌출한 상태에서 수용하는 함침재 수용부(21)를 형성하고 있다. 함침재 수용부(21)는 함침재(30) 전체 높이의 약 2/3를 수용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진다. 즉, 함침재 수용부(21)는 함침재(30) 중 용기축(O) 방향의 함침재(30) 전체 길이의 약 2/3에 상당하는 부분을 수용할 수 있다. 함침재 수용부(21)에는 복수의 감합 리브(21a)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감합 리브(21a)는 제2 통부(43)의 내주면을 따라서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동시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함침재(30)는 복수의 감합 리브(21a)에 의해서 외주면을 지름 방향 안쪽으로 조금 변형시킨 상태로 함침재 수용부(21)에 끼우고 있다.
함침재(30)의 하단면은 제2 통부(43)의 바닥부에 돌출하여 설치된 복수의 지지 리브(45)에 의해서 지지되고 있다. 복수의 지지 리브(45)는 제2 통부(43)의 바닥부에서 연통홀(23)의 개구 가장자리를 따라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제1 통부(42)는 함침재 수용부(21) 측에 밸브 시트(22a), 용기 본체(2) 측에 밸브체 지지부(22b)를 가지고, 밸브 시트(22a)와 밸브체 지지부(22b) 사이에서 밸브체(22c)가 자체 무게로 인해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밸브체 수용부(22)를 형성하고 있다. 즉, 밸브 시트(22a)는 제1 통부(42) 중 함침재 수용부(21) 근처에 형성되고, 밸브체 지지부(22b)는 제1 통부(42) 중 용기 본체(2) 근처에 형성되며, 밸브체 수용부(22)는 제1 통부(42) 중 밸브 시트(22a)와 밸브체 지지부(22b) 사이에 형성되고, 밸브체 수용부(22)에서 밸브 시트(22a)와 밸브체 지지부(22b) 사이에 밸브체(22c)가 자체 무게로 인해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밸브 시트(22a)는 제1 통부(42)의 천정부에서 연통홀(23)의 주연부에 형성되어 있다. 밸브 시트(22a)는 연통홀(23)과 동축상에 형성되어 위쪽으로 향함에 따라 지름이 줄어드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밸브 시트(22a)의 최대 지름은 밸브체(22c)의 외경보다 크다. 또한, 밸브 시트(22a)의 최소 지름은 밸브체(22c)의 외경보다 작다. 따라서, 밸브체(22c)는 밸브 시트(22a)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착석할 수가 있다.
밸브체 지지부(22b)는 제1 통부(42)의 바닥부 개구(즉, 바닥부에 설치된 개구)로부터 용기 본체(2)측으로의 밸브체(22c)의 낙하를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밸브체 지지부(22b)는 밸브체 수용부(22)에서의 밸브체(22c)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것이다. 밸브체 지지부(22b)는 제1 통부(42)의 천정부로부터 내주면을 따라 용기축(O) 방향 중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리브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밸브체 지지부(22b)는 제1 통부(42)의 내주면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밸브체 지지부(22b)의 하단부는 지름 방향 안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복수의 밸브체 지지부(22b)의 하단부의 지름 방향 안쪽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가상의 원은 밸브체(22c)의 외경보다 작다. 따라서, 밸브체(22c)는 복수의 밸브체 지지부(22b)의 하단부에 지지된다. 밸브체(22c)는 내용액보다 비중이 큰 강구(鋼球)이다. 또한, 밸브체(22c)는 내용액보다 비중이 크면 수지구(樹脂球)여도 좋다. 또한, 밸브체 지지부(22b)는 그 하단부만으로 구성해도 좋다. 즉, 밸브체 지지부(22b)는 제1 통부(42)의 천정부로부터 용기축(O) 방향 중에서 아래쪽으로 리브 형상으로 연장하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 밸브체(22c)의 외경은 밸브체 수용부(22)의 내경보다 작으면 좋다. 상기 구성의 중간 마개 부재(20)에는 밸브체(22c)가 밸브체 지지부(22b)에 지지된 상태에서 밸브체 수용부(22) 및 함침재 수용부(21)를 통해서 용기 본체(2)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홈(50)이 형성되어 있다.
연통홈(50)은 제1 연통홈(51), 제2 연통홈(52), 제3 연통홈(53)을 가진다. 제1 연통홈(51)은 제1 통부(42)의 밸브체 수용부(22)에 형성되어 있다. 제1 연통홈(51)은 상술한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리브 형상의 밸브체 지지부(22b)의 틈새에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연통홈(51)은 제1 통부(42)의 내주면을 따라서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복수 형성되고, 각각이 제1 통부(42)의 천정부를 향해 축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제2 연통홈(52) 및 제3 연통홈(53)은 제2 통부(43)의 함침재 수용부(21)에 형성되어 있다. 제2 연통홈(52)은 상술한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지지 리브(45)의 틈새에 형성되어 있다. 즉, 제2 연통홈(52)은 제2 통부(43)의 바닥부에서 연통홀(23)에 대해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3 연통홈(53)은 상술한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감합 리브(21a)의 틈새에 형성되어 있다. 즉, 제3 연통홈(53)은 제2 통부(43)의 내주면을 따라서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복수 형성되고, 각각이 제2 통부(43)의 천정부 개구(즉, 천정부에 설치된 개구)를 향해 축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밸브 시트(22a)에는 밸브 시트(22a)가 밸브체(22c)와 접촉한 상태로 밸브체 수용부(22)로부터 함침재(30)로 내용액을 공급하는 내용액 공급홈(22a1)이 형성되어 있다. 내용액 공급홈(22a1)은 상술한 연통홈(50)보다 충분히 작다. 내용액 공급홈(22a1)은 밸브체(22c)가 환형으로 접촉하는 밸브 시트(22a)의 실링면을 지름 방향으로 횡단하듯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내용액 공급홈(22a1)은 밸브체(22c)가 밸브 시트(22a)에 접촉한 상태에서도 밸브체 수용부(22)로부터 함침재(30)로 미량의 내용액을 공급할 수가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도포 용기(1)를 이용하여 피도포부에 내용액을 도포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내용액을 도포하는 경우에는, 우선, 오버 캡(4)을 용기 본체(2)의 구부(10)로부터 떼어낸다. 예를 들면, 용기 본체(2)에 휘발성 내용액(무좀약 등)을 수용하고 있는 경우, 손의 열이 용기 본체(2)에 전해져서 용기 본체(2)의 내압이 상승하기 쉽다. 그러나 도 1에 나타내듯이, 즉 용기 본체(2)가 아래쪽이고, 함침재(30)가 위쪽인 정립 상태에서는, 밸브체(22c)가 밸브체 지지부(22b)에 지지된 상태가 되고, 중간 마개 부재(20)에 설치된 연통홈(50)에 의해서 용기 본체(2)와 외부가 연통한다. 또한, 정립 상태란, 용기 본체(2)가 함침재(30)보다 연직 방향 아래쪽에 위치하여 함침재(30)가 용기 본체(2)보다 연직 방향 위쪽에 위치하도록 하는 자세를 도포 용기(1)가 취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하고, 함침재(30)의 선단부가 연직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위쪽을 향하는 자세를 도포 용기(1)가 취하고 있는 상태를 포함한다.
즉, 용기 본체(2)의 안쪽에서 승압한 기체는 제1 통부(42)의 바닥부 개구로부터 밸브체 수용부(22) 내로 들어가고, 밸브체 지지부(22b) 틈새의 제1 연통홈(51)을 축방향으로 빠져나간 후, 연통홀(23)을 통해서 함침재 수용부(21)로 들어간다. 함침재 수용부(21)에 들어간 기체는 지지 리브(45) 틈새의 제2 연통홈(52)을 지름 방향으로 빠져나간 후, 감합 리브(21a) 틈새의 제3 연통홈(53)을 축방향으로 빠져나가 제2 통부(43)의 천정부 개구에서 외부로 빠져나간다. 이 때문에, 오버 캡(4)을 용기 본체(2)로부터 떼어내는 동시에 용기 본체(2)의 압력이 개방되어 용기 본체(2) 내외의 압력차가 생기지 않게 된다.
도포 용기(1)를 사용할 때는, 도 2에 나타내듯이, 용기 본체(2)가 위쪽이고 함침재(30)가 아래쪽인 도립 상태로 한다. 또한, 도립 상태란 함침재(30)가 비스듬하게 아래를 향해 기울어져 넘어지는 자세를 포함한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도립 상태란 용기 본체(2)가 함침재(30)보다 연직 방향 위쪽에 위치하고 함침재(30)가 용기 본체(2)보다 연직 방향 아래쪽에 위치하는 자세를 도포 용기(1)가 취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하며, 함침재(30)의 선단부가 연직 방향에 대한 비스듬하게 아래방향을 향하는 자세를 도포 용기(1)가 취하고 있는 상태를 포함한다. 이 도립 상태에서는, 밸브체(22c)가 자체 무게에 의해 밸브체 지지부(22b)의 하단부로부터 멀어져서 밸브 시트(22a)를 향해 이동한다. 이 밸브체(22c)의 이동에 의해 밸브체 수용부(22) 내의 내용액이 함침재 수용부(21)로 밀려나와 함침재(30)로 함침된다. 그리고 밸브체(22c)가 밸브 시트(22a)에 접촉하면, 밸브체 수용부(22)로부터 함침재(30)로의 내용액 공급이 제한된다. 즉, 밸브체(22c)의 상하 이동에 의해서 일정량의 내용액이 함침재(30)로 공급된다. 이 상태에서 함침재(30)를 피도포부에 눌러서 내용액을 피도포부에 적당량 도포할 수 있다. 또한, 오버 캡(4)을 장착한 용기 본체(2)를 도립 상태로 하여 적당히 흔들어서 미리 함침재(30)로 내용액을 함침시켜도 좋다.
도포 용기(1)의 사용중에 내용액이 잘 나오지 않게 되면, 한 번 용기 본체(2)를 정립 상태로 하였다가 도립 상태로 하여 사용함으로써 다시 함침재(30)로 내용액을 함침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밸브 시트(22a)에 내용액 공급홈(22a1)이 형성되어 있다. 내용액 공급홈(22a1)은 밸브체(22c)가 밸브 시트(22a)에 접촉한 상태여도 밸브체 수용부(22)로부터 함침재(30)로 미량의 내용액을 공급한다. 이 때문에, 도포 용기(1)의 사용중에 내용액이 잘 나오지 않게 되어도 상술한 용기 본체(2)를 정립 상태에서 도립 상태로 함으로써 다시 함침재(30)로 내용액을 함침시키는 것과 같이 조작 횟수를 줄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용기 본체(2)가 아래쪽이고 함침재(30)가 위쪽인 정립 상태에서는 밸브체(22c)가 밸브체 지지부(22b)에 지지된 상태가 되고, 중간 마개 부재(20)에 설치된 연통홈(50)에 의해 용기 본체(2)와 외부가 연통하기 때문에, 용기 본체(2) 내의 압력이 개방된다. 이 때문에, 도포 용기(1)를 사용할 때, 용기 본체(2) 내외의 압력차에 의한 내용액의 분출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용기 본체(2)가 정립 상태에서 도립 상태가 되면, 밸브체(22c)의 상하 이동에 의해 밸브체 수용부(22) 내의 일정량의 내용액이 함침재 수용부(21)로 밀려나온다. 그리고 밸브체(22c)가 밸브 시트(22a)에 접촉하면, 밸브체 수용부(22)로부터 함침재(30)로의 내용액의 공급이 제한되기 때문에, 과도하게 함침재(30)의 함침이 진행되지 않아서 누액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실시형태의 도포 용기(1)에 의하면, 내용액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2)와, 용기 본체(2)의 구부(10)에 장착된 통 형상의 중간 마개 부재(20)와, 중간 마개 부재(20)의 안쪽에 끼워져서 내용액을 함침시킬 수 있는 함침재(30)를 갖추고, 중간 마개 부재(20)는 함침재(30)를 상단부(30a)가 돌출된 상태에서 수용하는 함침재 수용부(21)와, 함침재 수용부(21)와 연통하는 동시에 함침재 수용부(21) 측에 밸브 시트(22a), 용기 본체(2) 측에 밸브체 지지부(22b)를 가지며, 밸브 시트(22a)와 밸브체 지지부(22b) 사이에서 밸브체(22c)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밸브체 수용부(22)를 갖추고, 밸브체(22c)가 밸브체 지지부(22b)에 지지된 상태에서 밸브체(22c)와 밸브체 수용부(22)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며, 밸브체 수용부(22) 및 함침재 수용부(21)를 통해서 용기 본체(2)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홈(50)이 형성되어 있다는 구성을 채용한다. 이에 따라, 피도포부에 대해서 적당량의 내용액을 도포할 수 있고, 사용성이 뛰어난 도포 용기(1)를 얻을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술한 실시형태와 동일 또는 동등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간략하게 하거나 혹은 생략한다.
도 3에 나타내듯이, 제2 실시형태의 도포 용기(1A)는 중간 마개 부재(20)가 제1 중간 마개 부재(20A)와 제2 중간 마개 부재(20B)를 가지는 점에서 상기 실시형태와 다르다.
제1 중간 마개 부재(20A)는 함침재 수용부(21)를 형성하고 있다. 제2 실시형태의 함침재 수용부(21)는 상술한 감합 리브(21a)와 지지 리브(45)를 일체로 형성하고, 서로를 연결하여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제1 중간 마개 부재(20A)는 상술한 날밑부(40)와 감합 통부(41)와 제2 통부(43)를 가진다.
제2 중간 마개 부재(20B)는 밸브체 수용부(22)를 형성하고 있다. 제2 중간 마개 부재(20B)는 상술한 제1 통부(42)에 상당하는 것으로, 제1 중간 마개 부재(20A)와는 별도 부재이다. 제2 중간 마개 부재(20B)는 천정벽에 관통홀(24)이 형성된 천정이 있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중간 마개 부재(20B) 및 관통홀(24)은 용기축(O)을 공통 축으로 하는 동축상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중간 마개 부재(20B)는 감합 통부(41)의 하단 개구 가장자리에 접하는 제2 날밑부(71)와, 제2 날밑부(71)의 지름 방향 안쪽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설치되고, 감합 통부(41)의 하단부 내주면에 맞물리는 제2 감합 통부(72)와, 제2 감합 통부(72)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설치된 천정이 있는 통부(73)를 가진다. 제2 날밑부(71)는 제2 감합 통부(72)의 하단 개구 가장자리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을 향해서 연장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감합 통부(72)는 제2 날밑부(71)로부터 위쪽으로 연장하고, 그 외주면은 감합 통부(41)의 내주면에 언더 컷으로 맞물려 있다.
천정이 있는 통부(73)는 제2 감합 통부(72)보다 지름이 작아진다. 즉, 천정이 있는 통부(73)의 외경이 제2 감합 통부(72)의 외경보다 작다. 천정이 있는 통부(73)와 제2 감합 통부(72)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이 천정이 있는 통부(73)는 감합 통부(41, 제1 중간 마개 부재(20A))와 비접촉으로 배치되어 있다. 천정이 있는 통부(73)에는 상술한 관통홀(24), 밸브 시트(22a) 및 내용액 공급홈(22a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천정이 있는 통부(73)로부터 제2 감합 통부(72)에 걸쳐서 상술한 리브 형상의 밸브체 지지부(22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도포 용기(1A)에 의하면, 오버 캡(4)을 용기 본체(2)의 구부(10)로부터 떼어내면, 용기 본체(2)의 안쪽에서 승압한 기체가 제2 중간 마개 부재(20B)의 바닥부 개구로부터 밸브체 수용부(22) 내로 들어가 밸브체 지지부(22b)의 틈새의 제1 연통홈(51)을 축방향으로 빠져나간 후, 관통홀(24), 연통홀(23)을 통해서 함침재 수용부(21)로 들어간다. 함침재 수용부(21)로 들어간 기체는 지지 리브(45) 틈새의 제2 연통홈(52)을 지름 방향으로 빠져나간 후, 감합 리브(21a) 틈새의 제3 연통홈(53)을 축방향으로 빠져나가서 제1 중간 마개 부재(20A)의 천정부 개구에서 외부로 빠져나간다. 이 때문에, 오버 캡(4)을 떼어내는 동시에 용기 본체(2)의 압력이 개방되어 용기 본체(2) 내외의 압력차가 생기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 제2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술한 실시형태와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 중간 마개 부재(20A)와 제2 중간 마개 부재(20B)를 다른 재질로 구성할 수도 있다.
(제3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술한 실시형태와 동일 또는 동등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간략하게 하거나 혹은 생략한다.
도 4에 나타내듯이, 제3 실시형태의 도포 용기(1B)는 연통홈(50)이 밸브체(22c1)에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상기 실시형태와 다르다.
제3 실시형태의 밸브체(22c1)는 비구상(非球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밸브체(22c1)는 용기축(O)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체로서, 가마니 형상 내지 탄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밸브체(22c1)는 밸브체 수용부(22)의 둘레벽(22d)으로 가이드되는 원통 형상의 가이드면(22c2)을 가지고, 이 가이드면(22c2)에 연통홈(50)이 형성되어 있다. 제3 실시형태의 연통홈(50)은 상술한 함침재 수용부(21)에 형성된 제2 연통홈(52)과, 마찬가지로 상술한 함침재 수용부(21)에 형성된 제3 연통홈(53)과, 밸브체 수용부(22)에서 밸브체(22c1)에 형성된 제4 연통홈(54)을 가진다.
밸브체 수용부(22)의 둘레벽(22d)은 용기축(O) 방향으로 원통 형상으로 연장하고, 상술한 밸브 시트(22a)와 밸브체 지지부(22b) 사이를 접속한다. 둘레벽(22d)의 내벽면은 평활한 둘레면으로 되어 있고, 용기축(O) 방향으로 연장하는 홈 등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제3 실시형태의 밸브체 지지부(22b)는 둘레벽(22d)의 내벽면으로부터 지름 방향 안쪽으로 환형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밸브체 지지부(22b)에는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용기축(O) 방향으로 연장하는 홈 등이 형성되고, 밸브체 지지부(22b)가 리브 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밸브체(22c1) 중 가이드면(22c2)에서의 외경은 둘레벽(22d)의 내경보다 조금 작다. 이에 따라, 밸브체 수용부(22)에서 용기축(O) 둘레의 밸브체(22c1) 회전은 가능하지만, 예를 들면 밸브체(22c1)의 상하가 거꾸로 되는 것 같은 회전, 즉, 용기축(O)과 교차한 축 둘레의 밸브체(22c1)의 회전은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밸브체(22c1)는 밸브체 수용부(22)에서 용기축(O) 둘레를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밸브체(22c1)는 밸브체 수용부(22)에서 예를 들면 밸브체(22c1)의 상부 및 하부가 거꾸로 되도록 회전할 수 없는, 즉, 용기축(O)과 교차한 축 둘레로 회전할 수 없다. 제4 연통홈(54)은 이 원통 형상의 가이드면(22c2)의 상하에 걸쳐서 형성되는 동시에 이 가이드면(22c2)의 하단에 연결되어 설치된 하반구 형상의 하단면(22c3)까지 형성되어 있다.
제4 연통홈(54)은 도 5의 밸브체(22c1) 평면도에 나타내듯이, 밸브체(22c1)의 가이드면(22c2)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6개) 형성되어 있다. 6개의 제4 연통홈(54)은 하단면(22c3)의 중앙(용기축(O))에서 서로 합류한다. 또한, 6개의 제4 연통홈(54) 전부가 하단면(22c3)의 중앙에서 합류할 필요는 없고, 적어도 용기축(O)를 지름 방향으로 사이에 두어 점대칭으로 배치된 1세트의 제4 연통홈(54)이 합류하고 있으면 좋다.
도 4로 돌아와서, 가이드면(22c2)의 상단에 연결되어 설치된 상반구 형상의 상단면(22c4)에는 용기축(O) 방향으로 연장하는 바닥이 있는 홀(22c5)이 형성되어 있다. 바닥이 있는 홀(22c5)은 밸브체(22c1) 중심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바닥이 있는 홀(22c5)은 밸브체(22c1)의 지름 방향에서의 중심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밸브체(22c1)를 수지 성형했을 때에는, 바닥이 있는 홀(22c5)은 경량화 시킨 구멍이다. 또한, 바닥이 있는 홀(22c5)은 밸브체(22c1)를 밸브체 수용부(22)의 하단으로부터 삽입할 때, 밸브체(22c1)가 밸브체 지지부(22b)를 통과하기 위한 지름 단축 변형을 가능하도록 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즉, 밸브체(22c1)가 밸브체 지지부(22b)를 통과할 때, 밸브체 지지부(22b)에 의해 일시적으로 밸브체(22c1) 지름이 줄어들도록 탄성변형한다, 바꾸어 말하면, 일시적으로 바닥이 있는 홀(22c5)이 형성하는 공간이 지름 방향 안쪽을 향해서 축소된다. 또한, 바닥이 있는 홀(22c5)의 지름은 연통홀(23)의 지름보다 작다. 이에 따라, 밸브체(22c1)의 상단면(22c4)이 밸브 시트(22a)와 둘레 방향에 걸쳐서 밀착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도포 용기(1B)에 의하면, 용기 본체(2)가 정립 상태일 때, 밸브체(22c)가 밸브체 지지부(22b)에 지지된 상태로서, 연통홈(50)에 의해 용기 본체(2)와 외부가 연통한다. 즉, 용기 본체(2)의 안쪽에서 승압한 기체는 제1 통부(42)의 바닥부 개구로부터 밸브체 수용부(22) 내로 들어가고, 밸브체(22c1)에 형성된 제4 연통홈(54)에 의해서 밸브체(22c1)와 둘레벽(22d)의 틈새를 축방향으로 빠져나간 후, 연통홀(23)을 통해서 함침재 수용부(21)로 들어간다. 함침재 수용부(21)에 들어간 기체는 지지 리브(45) 틈새의 제2 연통홈(52)을 지름 방향으로 빠져나간 후, 감합 리브(21a)의 틈새의 제3 연통홈(53)을 축방향으로 빠져나가고, 제2 통부(43)의 천정부 개구로부터 외부로 빠져나간다. 이 때문에, 용기 본체(2)의 압력이 개방되어 용기 본체(2) 내외의 압력차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여기서, 밸브체(c1)는 비구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밸브체 수용부(22)의 둘레벽(22d)으로 가이드되는 가이드면(22c2)을 가지고, 상기 밸브체(22c1)의 가이드면(22c2)에 제4 연통홈(54)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도포 용기(1B)를 사용할 때에 용기 본체(2)를 도립 상태로 함으로써, 밸브체(22c1)가 상하 이동해도 밸브체(22c1)는 밸브체 수용부(22)에서 용기축(O) 둘레로 회전하지만, 밸브체(22c1)의 상하가 반대로 되는 회전, 즉, 용기축(O)과 교차한 축 둘레의 회전은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밸브체(22c1)의 자세가 일정한 자세로 유지되고, 상기 밸브체(22c1)에 형성된 제4 연통홈(54)을 통한 용기 본체(2)의 압력을 확실하게 개방할 수 있게 된다.
그 외,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실시형태에서의 구성요소를 주지의 구성요소로 대체하는 것은 적당히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밸브체가 자체 무게에 의해 밸브체 수용부 내를 이동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밸브체가 용기 본체의 스퀴즈 변형에 의한 가압으로 밸브체 수용부 내를 이동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제 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에서는, 밸브체가 구체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고, 상기 제3 실시형태에서는 밸브체가 용기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체(가마니 형상 내지 탄환 형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밸브체가 원기둥 형상 등인 구성이어도 좋다. 즉, 밸브체가 밸브체 수용부 내를 이동할 수 있으면 밸브체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연통홈을 밸브체 수용부 또는 밸브체의 한쪽에만 형성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의 구성과, 상기 제3 실시형태의 구성을 조합하는 등, 밸브체 수용부와 밸브체 양쪽 모두에 연통홈을 형성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피도포부에 대해서 적당량의 내용액을 도포할 수 있고, 사용성이 뛰어난 도포 용기를 얻을 수 있다.
1: 도포 용기
1A: 도포 용기
1B: 도포 용기
2: 용기 본체
3: 도포 마개
4: 오버 캡
10: 구부
20: 중간 마개 부재
20A: 제1 중간 마개 부재
20B: 제2 중간 마개 부재
21: 함침재 수용부
21a: 감합(嵌合) 리브
22: 밸브체 수용부
22a: 밸브 시트
22a1: 내용액 공급홈
22b: 밸브체 지지부
22c: 밸브체
22c1: 밸브체
22c2: 가이드면
22c3: 하단면(下端面)
22c4: 상단면(上端面)
22c5: 바닥이 있는 홀(有底孔)
22d: 둘레벽(周壁)
23: 연통홀
24: 관통홀
30: 함침재
30a: 상단부(上端部, 선단부(先端部))
30b: 하단부(下端部)
40: 날밑부(鍔部)
41: 감합 통부(嵌合筒部)
42: 제1 통부
43: 제2 통부
45: 지지 리브
50: 연통홈
51: 제1 연통홈
52: 제2 연통홈
53: 제3 연통홈
54: 제4 연통홈
60: 캡통
61: 캡 천정벽
63: 서포트 통부
71: 제2 날밑부
72: 제2 감합 통부
73: 천정이 있는 통부(有頂筒部)
O: 용기축

Claims (3)

  1. 내용액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구부에 장착된 통 형상의 중간 마개 부재와,
    상기 중간 마개 부재의 안쪽에 끼워져서 상기 내용액을 함침 가능한 함침재를 갖추고,
    상기 중간 마개 부재는,
    상기 함침재를 선단부가 돌출된 상태에서 수용하는 함침재 수용부와,
    상기 함침재 수용부와 연통하는 동시에 상기 함침재 수용부 측에 밸브 시트, 상기 용기 본체 측에 밸브체 지지부를 가지며, 상기 밸브 시트와 상기 밸브체 지지부 사이에 밸브체가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밸브체 수용부를 갖추고,
    상기 밸브체가 상기 밸브체 지지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밸브체와 상기 밸브체 수용부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여, 상기 밸브체 수용부 및 상기 함침재 수용부를 통해서 상기 용기 본체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홈이 형성되어 있는, 도포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시트에는 상기 밸브체와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밸브체 수용부로부터 상기 함침재로 내용액을 공급하는 내용액 공급홈이 형성되어 있는, 도포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 수용부는 상기 밸브 시트와 상기 밸브체 지지부 사이를 연결하는 둘레벽을 가지고,
    상기 밸브체는 비구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밸브체 수용부의 둘레벽으로 가이드되는 가이드면을 가지며,
    상기 밸브체의 가이드면에 상기 연통홈이 형성되어 있는, 도포 용기.
KR1020207036695A 2018-05-31 2019-05-27 도포 용기 KR202100158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05125 2018-05-31
JPJP-P-2018-105125 2018-05-31
JP2018135943A JP6678206B2 (ja) 2018-05-31 2018-07-19 塗布容器
JPJP-P-2018-135943 2018-07-19
PCT/JP2019/020799 WO2019230619A1 (ja) 2018-05-31 2019-05-27 塗布容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5866A true KR20210015866A (ko) 2021-02-10

Family

ID=68846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6695A KR20210015866A (ko) 2018-05-31 2019-05-27 도포 용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JP (1) JP6678206B2 (ko)
KR (1) KR20210015866A (ko)
CN (1) CN112203949B (ko)
AU (1) AU2019278558A1 (ko)
CA (1) CA3101780A1 (ko)
PH (1) PH12020552035A1 (ko)
SG (1) SG11202011746UA (ko)
TW (1) TWI791839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34859A (ja) 2016-08-31 2018-03-0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塗布栓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11453U (ko) * 1987-01-13 1988-07-18
US4960340A (en) * 1987-01-23 1990-10-02 Kabushiki Kaisha Sakurakurepasu Implement for applying liquid
JPH062785Y2 (ja) * 1987-04-10 1994-01-26 株式会社サクラクレパス 塗布具
JP2574624Y2 (ja) * 1992-03-25 1998-06-1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液体定量注出容器
JPH07121382B2 (ja) * 1992-07-07 1995-12-25 丸十化成株式会社 液剤塗布器
JP4546134B2 (ja) * 2004-04-19 2010-09-15 ライオン株式会社 液状物の塗布容器
JP6088885B2 (ja) * 2013-03-29 2017-03-0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塗布容器
JP6159590B2 (ja) * 2013-06-25 2017-07-05 三菱鉛筆株式会社 マッサージ機能付き液体塗布具
JP2016155571A (ja) * 2015-02-25 2016-09-01 興和株式会社 塗布容器と、それを使用する医薬
JP6670569B2 (ja) * 2015-08-28 2020-03-25 武内プレス工業株式会社 ノック式容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34859A (ja) 2016-08-31 2018-03-0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塗布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101780A1 (en) 2019-12-05
JP2019210050A (ja) 2019-12-12
PH12020552035A1 (en) 2021-06-07
CN112203949A (zh) 2021-01-08
CN112203949B (zh) 2022-06-21
AU2019278558A1 (en) 2021-01-07
SG11202011746UA (en) 2020-12-30
TW202003348A (zh) 2020-01-16
TWI791839B (zh) 2023-02-11
JP6678206B2 (ja) 2020-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1544B2 (en) Applicator and a device for applying a cosmetic
US5018894A (en) Applicator device for a liquid comprising a dome made of a porous material
US4841996A (en) Applicator device for a liquid product, nail varnish in particular
JP6873631B2 (ja) 塗布栓
EP3718914B1 (en) Liquid contents discharge container
KR101483652B1 (ko) 드로퍼
US20090269120A1 (en) Cosmetic container
CN104603019A (zh) 用于自动填充和固定量分配的注射器式容器盖
CN111542244A (zh) 化妆品的包装服务囊壳以及相关的包装装置
KR20210015866A (ko) 도포 용기
JP7370132B2 (ja) 塗布容器
WO2019230619A1 (ja) 塗布容器
JP7026579B2 (ja) 塗布容器
RU2779918C2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выполнения аппликации
JP7394522B2 (ja) 塗布容器
EP3422897B1 (en) Applicator for applying a liquid cosmetic product
CN107074005A (zh) 墨水充填工具
KR200370137Y1 (ko) 액체 어플리케이터
KR20140022878A (ko) 도포 용기
JP5961536B2 (ja) 泡出し容器
KR101958146B1 (ko) 마스카라 용기
JP2019077477A (ja) 塗布栓
KR102356600B1 (ko) 화장품 용기
WO2022238984A1 (ja) 塗布容器
JP2024052312A (ja) 塗布栓及び塗布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