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4058A - 텐트 - Google Patents

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4058A
KR20210014058A KR1020200008764A KR20200008764A KR20210014058A KR 20210014058 A KR20210014058 A KR 20210014058A KR 1020200008764 A KR1020200008764 A KR 1020200008764A KR 20200008764 A KR20200008764 A KR 20200008764A KR 20210014058 A KR20210014058 A KR 20210014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opening
eaves
tent
resp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8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게키 시바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로고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로고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로고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10014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40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8Closures; Awnings; Sunsh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4Covers of tents or canop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목적) 본 발명은 텐트의 처마의 하측 공간을 유효 이용 가능하게 한다.
(구성) 텐트(T1)는 텐트 본체(100), 처마 시트(300), 지지부(400) 및 전실부(500)를 구비하고 있다. 처마 시트(200)는 텐트 본체(100)의 개구(O)의 상부 가장자리부(111a)에 연결되고, 지지부(400)에 개구(O)의 Y방향측에서 처마가 되도록 지지된다. 전실부(500)는 처마 시트(200)의 하측에서 처마 시트(200) 및/또는 지지부(400)에 지지된다. 전실부(500)는 제 1, 제 2 측면 시트(510a, 510b) 및 전면 시트(520) 중 적어도 2개의 시트를 갖는다. 제 1 측면 시트(510a)는 개구(O)에 대하여 Y방향측 또한 X방향의 일방측에 위치한다. 제 2 측면 시트(510b)는 개구(O)에 대하여 Y방향측 또한 X'방향측에 위치한다. 전면 시트(520)는 개구(O)의 Y방향측에서 개구(O)에 대향한다. 적어도 2개의 시트가 개구(O)의 Y방향측에서 전실 공간을 구획한다.

Description

텐트{TENT}
본 발명은 텐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텐트가 일본 특허공표 2009-515068호 공보(명세서의 단락 0030∼0032 및 도 10∼도 12를 참조)에 기재되어 있다. 이 텐트는 개구를 갖는 텐트 본체와, 도어부를 구비하고 있다. 도어부는 클로스제의 힌지에 의해 텐트 본체의 개구의 상부 가장자리부에 접속되어 있고, 또한 상기 개구를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이 종류의 텐트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도어부가 상측으로 들어 올려져서, 지면과 대략 평행한 상태에서 한 쌍의 폴에 의해 지지되어 처마로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처마의 하측 공간을 보다 유효하게 이용 가능한 새로운 텐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텐트는 개구를 갖는 텐트 본체와, 처마 시트와, 지지부와, 전실부를 구비하고 있다. 처마 시트는 텐트 본체의 개구의 상부 가장자리부에 연결되어 있다. 지지부는 처마 시트가 텐트 본체의 개구에 대하여 상기 개구의 출방향측에서 처마가 되도록 처마 시트를 지지하고 있다. 전실부는 처마 시트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처마 시트 및 지지부의 적어도 일방에 지지된다. 이 전실부는 제 1 측면 시트, 제 2 측면 시트 및 전면 시트 중 적어도 2개의 시트를 갖고 있다. 제 1 측면 시트는 텐트 본체의 개구에 대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출방향측에 위치함과 아울러, 처마 시트의 대략 중심부를 통과해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선에 대하여 교차방향의 일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교차방향은 출방향에 교차하고 또한 상하방향에 대략 직교하고 있으면 좋다. 제 2 측면 시트는 텐트 본체의 개구에 대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출방향측에 위치함과 아울러, 가상선에 대하여 교차방향의 타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전면 시트는 텐트 본체의 개구에 대하여 출방향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개구에 대향하고 있다. 적어도 2개의 시트가 텐트 본체의 개구에 대하여 출방향측에서 전실 공간을 구획한다.
상기 텐트는 텐트 본체를 상측으로부터 덮는 아우터 시트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처마 시트는 텐트 본체의 개구의 상부 가장자리부가 아니라, 텐트 본체의 개구의 상측에서 아우터 시트에 연결되어 있어도 좋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어느 형태의 텐트에 의한 경우에 있어서도, 처마의 하측에 배치되는 전실부의 적어도 2개의 시트에 의해 텐트 본체의 개구의 출방향측에 전실 공간이 구획되므로, 상기 전실 공간을 텐트 내공간의 연장 공간으로서 보다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전실부는 처마 시트의 하측에서 처마 시트에 서스펜딩 지지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처마 시트는 자유단부를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자유단부는 교차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제 1, 제 2 부를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지부는 제 1, 제 2 지주를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제 2 지주는 처마 시트가 텐트 본체의 개구에 대하여 출방향측에서 처마가 되도록, 처마 시트의 자유단부의 제 1, 제 2 부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실부는 자유단부의 제 1, 제 2 부에 대하여 하측에 위치하는 제 1, 제 2 부를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제 2 지주는 상단면을 갖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상단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돌자부를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제 2 지주의 돌자부가 전실부의 제 1, 제 2 부 및 자유단부의 제 1, 제 2 부를 관통하고, 제 1, 제 2 지주의 본체부의 상단면의 돌자부 주위의 부분이 하측으로부터 전실부의 제 1, 제 2 부 및 자유단부의 제 1, 제 2 부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텐트 본체는 개구의 교차방향의 일방측의 제 1 측부 가장자리부를 더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측부 가장자리부는 출방향 및 하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비스듬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적어도 2개의 시트는 제 1 측면 시트를 포함하고 있으면 좋다. 제 1 측면 시트의 모두가 텐트 본체의 개구에 대하여 출방향측에 위치하고 있으면 좋다. 이 제 1 측면 시트는 출방향의 반대방향인 개구의 입방향측의 제 1 단부를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측면 시트의 제 1 단부가 제 1 측부 가장자리부를 따라 비스듬히 연장되어 있고, 또한 제 1 측부 가장자리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텐트 본체는 출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 시트를 더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연장 시트가 개구의 제 1 측부 가장자리부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제 1 측면 시트 및 제 1 연장 시트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처마 시트 및 지지부의 적어도 일방에 지지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텐트 본체는 개구의 교차방향의 타방측의 제 2 측부 가장자리부를 더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측부 가장자리부는 출방향 및 하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비스듬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적어도 2개의 시트는 제 1 측면 시트에 추가해서, 제 2 측면 시트를 포함하고 있으면 좋다. 제 2 측면 시트의 모두가 텐트 본체의 개구에 대하여 출방향측에 위치하고 있으면 좋다. 이 제 2 측면 시트는 출방향의 반대방향인 개구의 입방향측의 제 1 단부를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측면 시트의 제 1 단부가 제 2 측부 가장자리부를 따라 비스듬히 연장되어 있고, 또한 제 2 측부 가장자리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텐트 본체는 출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교차방향에 있어서 제 1 연장 시트에 대향하는 제 2 연장 시트를 더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연장 시트가 개구의 제 2 측부 가장자리부를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제 2 측면 시트 및 제 2 연장 시트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처마 시트 및 지지부의 적어도 일방에 지지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처마 시트는 텐트 본체의 개구를 개폐 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처마 시트는 개구를 개방한 상태에서 지지부에 지지되어 처마가 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처마 시트는 교차방향의 제 1, 제 2 단부를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처마 시트가 개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처마 시트의 제 1, 제 2 단부가 개구의 제 1, 제 2 측부 가장자리부를 따라 연장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실부는 처마 시트의 하측에서 처마 시트에 대향하는 천장 시트를 더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적어도 2개의 시트가 천장 시트로부터 수하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천장 시트는 처마 시트 및 지지부의 적어도 일방에 지지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어느 하나의 형태의 텐트는 처마 시트를 확장 상태로 유지하는 확장 프레임을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실 공간은 개구를 통해서 텐트 본체 내에 연통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상기 어느 하나의 형태의 텐트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형태의 처마 시트는 텐트 본체의 개구에 대하여 상기 개구의 출방향측에서 처마가 되는 구성이면 좋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텐트의 정면, 평면 및 우측면에서 본 사시도이며, 상기 텐트의 처마 시트가 처마로서 상기 텐트의 지지부에 지지되고, 또한 상기 처마 시트 하방으로 전실부가 서스펜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b는 상기 텐트의 정면, 평면 및 좌측면에서 본 사시도이며, 상기 텐트의 처마 시트가 처마로서 상기 텐트의 지지부에 지지되고, 또한 상기 처마 시트에 전실부가 서스펜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상기 텐트의 도 1a 중의 α부분의 부분 확대도이며, 상기 전실부의 측면 시트와 상기 텐트의 텐트 본체의 개구의 측부 가장자리부를 연결하는 선형 패스너가 부분적으로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상기 텐트의 상기 전실부 및 상기 지지부의 정면, 평면 및 우측면으로부터 본 확대 사시도이다.
도 3b는 상기 텐트의 상기 전실부 및 상기 지지부의 정면, 평면 및 좌측면으로부터 본 확대 사시도이다.
도 4a는 상기 텐트의 상기 처마 시트의 외면의 확대도이다.
도 4b는 상기 텐트의 상기 처마 시트의 내면의 확대도이다.
도 5는 상기 텐트의 정면, 평면 및 우측면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며, 상기 텐트의 처마 시트가 처마로서 상기 텐트의 지지부에 지지되고, 또한 상기 처마 시트로부터 전실부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텐트의 정면, 평면 및 우측면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며, 상기 텐트의 처마 시트가 상기 텐트 본체의 상기 개구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실시예 1의 텐트의 제 1 설계 변형예를 나타내는 정면, 평면 및 우측면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며, 상기 텐트의 처마 시트가 처마로서 상기 텐트의 지지부에 지지되고, 또한 상기 처마 시트 하방으로 전실부가 서스펜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예 1의 텐트의 제 2 설계 변형예의 정면, 평면 및 우측면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며, 상기 텐트의 처마 시트가 처마로서 상기 텐트의 지지부에 지지되고, 또한 상기 처마 시트 하방으로 전실부가 서스펜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텐트의 정면, 평면 및 우측면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며, 상기 텐트의 아우터 시트에 연결된 처마 시트가 처마로서 상기 텐트의 지지부에 지지되고, 또한 상기 처마 시트 하방으로 전실부가 서스펜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상기 텐트의 아우터 시트 및 처마 시트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 실시예 2 및 그들의 설계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후술하는 실시예 및 설계 변경예의 각 구성 요소는 서로 모순되지 않는 한, 서로 조합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후술하는 실시예의 각 형태 및 설계 변형예에 있어서의 텐트의 각 구성 요소를 구성하는 소재, 형상, 치수, 수 및 배치 등은 그 일례를 설명한 것이며, 동일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그 설계 변형예를 포함하는 복수의 실시예에 관한 텐트(T1)에 대해서, 도 1a∼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a∼도 6에는 실시예 1의 텐트(T1)가 나타내어져 있다. 도 7에는 실시예 1의 텐트(T1)의 제 1 설계 변형예가 나타내어져 있다. 도 8에는 실시예 1의 텐트(T1)의 제 2 설계 변형예가 나타내어져 있다. 도 1a, 도 1b 및 도 5∼도 8에 나타내는 Y-Y'방향은 텐트(T1)의 개구(O)의 출입 방향이다. Y-Y'방향은 텐트(T1)의 개구(O)의 출방향인 Y방향과, 그 반대방향이며 또한 텐트(T1)의 개구(O)의 입방향인 Y'방향을 포함한다. 도 1a, 도 1b 및 도 5∼도 8에 나타내는 Z-Z'방향은 상하방향이다. Z-Z'방향은 상방향인 Z방향과, 하방향인 Z'방향을 포함한다. 도 1a, 도 1b 및 도 5∼도 8에 나타내는 X-X'방향은 Y-Y'방향에 대략 직교하고 또한 Z-Z'방향에 대략 직교하고 있지만, Y-Y'방향에 교차하고 또한 Z-Z'방향에 대략 직교하고 있으면 좋다.
텐트(T1)는 텐트 본체(100)를 구비하고 있다. 텐트 본체(100)는 텐트 시트(110)와, 텐트 시트(110)를 전개 상태에서 지지하는 텐트 프레임을 갖고 있으면 좋다. 텐트 시트(110)는 폴리에스테르 타프타, 폴리에스테르 옥스포드, 나일론 또는 코튼 등으로 구성된 가요성을 갖는 시트이며, 텐트 시트(110) 내외로 출입하기 위한 상기 개구(O)와, 개구(O)의 상부 가장자리부(111a)와, 개구(O)의 X방향측의 제 1 측부 가장자리부(131a)와, 개구(O)의 X'방향측의 제 2 측부 가장자리부(131b)를 갖는다. 텐트 시트(110) 및 텐트 프레임은 이하의 (1)∼(7)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을 갖고 있으면 좋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텐트 시트(110)는 대략 돔 형상의 시트 본체(111)를 갖고 있다. 이 시트 본체(111)의 외면 또는 내면 상에는 시트 본체(111)의 꼭대기부에서 X자 형상으로 교차한 가요성을 갖는 한 쌍의 슬리브(112)가 설치되어 있다. 텐트 프레임은 한 쌍의 폴(121)을 갖고 있다. 각 폴(121)이 대응하는 슬리브(112)에 삽입되어, 대략 U자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각 폴(121)의 양단 내에, 시트 본체(111)의 하단에 설치된 고정구가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또는, 각 폴(121)의 양단이 시트 본체(111)의 하단에 설치된 루프 또는 링에 각각 삽입되어 지면에 접촉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텐트 시트(110)가 폴(121)에 의해 대략 돔 형상으로 전개된 상태로 유지된다.
(2) 텐트 시트(110) 및 텐트 프레임은 상기 (1)의 구성에 추가해서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 텐트 시트(110)의 시트 본체(111)의 Y방향측의 단부 및/또는 Y'방향측의 단부에는 평면으로 보았을 때에 X-X'방향에 있어서 원호 형상으로 연장되는 가요성을 갖는 슬리브(113)가 설치되어 있다. 텐트 프레임은 폴(122)을 갖고 있다. 폴(122)은 슬리브(113)에 삽입되고, 대략 U자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시트 본체(111)의 Y방향측의 단부에 슬리브(113)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슬리브(113)에 삽입된 폴(122)의 양단부는 시트 본체(111)의 슬리브(112)에 삽입된 폴(121)의 Y방향측의 단부에 교차해도 좋지만, 교차하지 않아도 상관없다. 시트 본체(111)의 Y'방향측의 단부에 슬리브(113)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슬리브(113)에 삽입된 폴(122)의 양단부는 시트 본체(111)의 슬리브(112)에 삽입된 폴(121)의 Y'방향측의 단부에 교차해도 좋지만, 교차하지 않아도 상관없다. 폴(122)의 양단 내에, 시트 본체(111)의 하단에 설치된 다른 고정구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또는, 폴(122)의 양단이 시트 본체(111)의 하단에 설치된 다른 루프 또는 링에 삽입되어, 지면에 접촉하고 있다. 이 경우, 텐트 시트(110)는 폴(121, 122)에 의해 대략 돔 형상으로 전개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시트 본체(111)의 Y방향측의 단부에 슬리브(113)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슬리브(113)는 개구(O)의 상부 가장자리부(111a)에 대하여 Z방향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3) 텐트 시트(110)는 복수의 돔부가 Y-Y'방향으로 연접된 형상의 시트 본체(111)를 갖고 있다(도 1a∼도 6 참조). 각 돔부의 외면 또는 내면 상에는 각 돔부의 꼭대기부에서 X자 형상으로 교차한 가요성을 갖는 한 쌍의 슬리브(112)가 설치되어 있다. 즉, 한 쌍의 슬리브(112)는 복수조 설치되어 있다. 텐트 프레임은 복수조의 한 쌍의 폴(121)을 갖고 있다. 각 조의 폴(121)이 각 돔부의 슬리브(112)에 각각 삽입되어, 대략 U자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각 폴(121)의 양단 내에, 시트 본체(111)의 하단에 설치된 고정구가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또는, 각 폴(121)의 양단이 시트 본체(111)의 하단에 설치된 루프 또는 링에 각각 삽입되어, 지면에 접촉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텐트 시트(110)가 폴(121)에 의해 상기한 형상으로 전개된 상태로 유지된다. 복수의 돔부는 Y-Y'방향에 있어서 전후에 위치하는 제 1 돔부 및 제 2 돔부를 포함하고 있다. 제 1 돔부의 한 쌍의 슬리브(112)에 삽입된 한 쌍의 폴(121)의 Y'방향측의 단부와 제 2 돔부의 슬리브(112)에 삽입된 폴(121)의 Y방향측의 단부가 교차하고 있어도 좋지만, 교차하고 있지 않아도 상관없다.
(4) 텐트 시트(110) 및 텐트 프레임은 상기 (3)의 구성에 추가해서, 상기 (2)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시트 본체(111)의 Y방향측의 단부에 슬리브(113)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슬리브(113)에 삽입된 폴(122)의 양단부는 시트 본체(111)의 가장 Y방향측의 돔부의 슬리브(112)에 삽입된 폴(121)의 Y방향측의 단부에 교차해도 좋지만, 교차하지 않아도 상관없다. 시트 본체(111)의 Y'방향측의 단부에 슬리브(113)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슬리브(113)에 삽입된 폴(122)의 양단부는 시트 본체(111)의 가장 Y'방향측의 돔부의 슬리브(112)에 삽입된 폴(121)의 Y'방향측의 단부에 교차해도 좋지만, 교차하지 않아도 상관없다. 이것 이외의 슬리브(113) 및 폴(122)의 구성은 상기 (2)와 같다. 이 경우도, 텐트 시트(110)는 폴(121, 122)에 의해 대략 돔 형상으로 전개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시트 본체(111)의 Y방향측의 단부에 슬리브(113)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슬리브(113)는 개구(O)의 상부 가장자리부(111a)에 대하여 Z방향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5) 텐트 시트(110)는 대략 반원 형상(터널 형상)의 시트 본체(111)를 갖고 있다(도 7 참조). 시트 본체(111)의 외면 또는 내면 상에는 X-X'방향에 있어서 원호 형상으로 연장되는 가요성을 갖는 복수의 슬리브(112)가 Y-Y'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텐트 프레임은 복수의 폴(121)을 갖고 있다. 폴(121)이 슬리브(112)에 각각 삽입되어, 대략 U자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폴(121)의 양단 내에, 시트 본체(111)의 하단에 설치된 고정구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또는, 폴(121)의 양단이 시트 본체(111)의 하단에 설치된 루프 또는 링에 각각 삽입되어, 지면에 접촉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텐트 시트(110)가 폴(121)에 의해 대략 아치 형상으로 전개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시트 본체(111)의 Y방향측의 단부에 슬리브(112)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슬리브(112)는 개구(O)의 상부 가장자리부(111a)에 대하여 Z방향측에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
(6) 텐트 시트(110)는 대략 원추 형상 또는 다각추 형상의 시트 본체(111)를 갖고 있다(도 8 참조). 텐트 프레임은 시트 본체(111)의 꼭대기부와 지면 사이에 개재하는 하나의 폴(121)(도 8에서는 도시되지 않음)을 갖고 있다. 시트 본체(111)의 하단 및 시트 본체(111)의 중복부로부터 복수의 로프가 비스듬한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이 로프의 선단이 지면에 고정된 페그 등의 고정부에 고정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텐트 시트(110)가 폴(121) 및 로프에 의해 대략 원추 형상 또는 다각추 형상으로 전개된 상태로 유지된다.
(7) 텐트 시트(110) 및 텐트 프레임은 상기 (6)의 구성에 추가해서,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 시트 본체(111)의 개구(O)의 상부 가장자리부(111a)에 대하여 Z방향측 부분에 평면으로 보았을 때에 X-X'방향에 있어서 원호 형상으로 연장되는 가요성을 갖는 슬리브(113)가 설치되어 있다. 텐트 프레임은 폴(122)을 갖고 있다. 폴(122)은 슬리브(113)에 삽입되고, 대략 U자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폴(122)의 양단 내에, 시트 본체(111)의 하단에 설치된 다른 고정구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또는, 폴(122)의 양단이 시트 본체(111)의 하단에 설치된 다른 루프 또는 링에 삽입되어, 지면에 접촉되어 있다. 이 경우, 텐트 시트(110)는 폴(121, 122) 및 로프에 의해 대략 원추 형상 또는 다각추 형상으로 전개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상기 폴의 각각은 하나의 폴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복수의 폴이 길이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 것이어도 상관없다.
텐트 시트(110)는 이하의 (8) 또는 (9)의 구성을 더 갖고 있으면 좋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8) 텐트 시트(110)는 제 1, 제 2 연장 시트(130a, 130b)를 더 갖고 있다(도 1a∼도 2 및 도 5∼도 8 참조). 제 1, 제 2 연장 시트(130a, 130b)의 각각은 텐트 시트(110)의 시트 본체(111)로부터 Y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예를 들면 Y방향, Y방향 및 X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비스듬한 방향, 또는 Y방향 및 X'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비스듬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어느 경우도, 제 1, 제 2 연장 시트(130a, 130b)는 X-X'방향에서 서로 대향하고 있다. 이 경우, 제 1 연장 시트(130a)의 Y방향측의 단부가 제 1 측부 가장자리부(131a)로 되어 있고, 제 2 연장 시트(130b)의 Y방향측의 단부가 제 2 측부 가장자리부(131b)로 되어 있고, 제 1 측부 가장자리부(131a) 및 제 2 측부 가장자리부(131b)의 사이에 개구(O)가 형성되어 있다. 시트 본체(111)의 제 1 측부 가장자리부(131a)와 제 2 측부 가장자리부(131b)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이며, 개구(O)의 상측의 가장자리부가 상부 가장자리부(111a)가 된다. 제 1 측부 가장자리부(131a) 및 제 2 측부 가장자리부(131b)는 Y방향 및 Z'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비스듬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지만, Z-Z'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전자의 경우, 개구(O)는 상기 비스듬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 1, 제 2 연장 시트(130a, 130b)는 대략 삼각형상 또는 대략 사다리꼴상으로 하면 좋다. 후자의 경우, 개구(O)는 Z-Z'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 1, 제 2 연장 시트(130a, 130b)는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하면 좋다.
(9) 텐트 시트(110)의 시트 본체(111)가 Y방향측의 시트부를 갖고, 이 시트부에 개구(O)가 형성되어 있다(도시하지 않음). 이 경우, 시트부의 개구(O)의 X방향측의 가장자리부가 제 1 측부 가장자리부(131a)가 되고, 시트부의 개구(O)의 X'방향측의 가장자리부가 제 2 측부 가장자리부(131b)가 되고, 시트부의 개구(O)의 상측의 가장자리부가 상부 가장자리부(111a)가 된다. 시트부는 상기 비스듬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제 1 측부 가장자리부(131a), 제 2 측부 가장자리부(131b) 및 개구(O)가 시트부의 경사를 따라 상기 비스듬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는, 시트부가 Z-Z'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제 1 측부 가장자리부(131a), 제 2 측부 가장자리부(131b) 및 개구(O)가 상기 시트 부분을 따라 Z-Z'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텐트(T1)는 처마 시트(200)를 더 구비하고 있다. 처마 시트(200)는 폴리에스테르 타프타, 폴리에스테르 옥스포드, 나일론 또는 코튼 등으로 구성된 가요성을 갖는 원형 또는 다각형상(도 1a∼도 8에서는 사다리꼴상)의 시트이며, 텐트 본체(100)의 개구(O)에 대하여 Y방향측에서 확장되어 처마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처마 시트(200)는 연결단부(210)와, 자유단부(220)와, X방향측의 제 1 단부(260)와, X방향측의 제 2 단부(270)를 갖고 있다. 처마 시트(200)의 연결단부(210)가 시트 본체(111)의 개구(O)의 상부 가장자리부(111a)에 연결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처마 시트(200)의 연결단부(210)는 개구(O)의 상부 가장자리부(111a)에 대하여, 면 패스너 등에 의해 착탈 가능해도 상관없다. 처마 시트(200)의 자유단부(220)는 X-X'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제 1 부(221) 및 제 2 부(222)를 갖는다. 처마 시트(200)가 직사각형상 또는 사다리꼴상일 경우, 제 1 부(221)가 자유단부(220)의 X방향측의 코너부, 제 2 부(222)가 자유단부(220)의 X'방향측의 코너부로 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처마 시트(200)는 개구(O)를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도 6 참조). 처마 시트(200)의 외형 및 그 사이즈는 개구(O)의 형상 및 그 사이즈에 대응하고 있다. 처마 시트(200)가 개구(O)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 처마 시트(200)의 제 1 단부(260), 제 2 단부(270)는 상기 개구(O)의 제 1 측부 가장자리부(131a), 제 2 측부 가장자리부(131b)를 따라 연장되어 있고 또한 접촉되어 있다. 제 1 측부 가장자리부(131a), 제 2 측부 가장자리부(131b)가 상기한 바와 같이 경사져 있을 경우의 제 1 단부(260), 제 2 단부(270)의 길이는 제 1 측부 가장자리부(131a), 제 2 측부 가장자리부(131b)가 상기한 바와 같이 Z-Z'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경우의 제 1 단부(260), 제 2 단부(270)의 길이보다 길어진다. 전자의 경우의 처마 시트(200)의 길이는 후자의 경우의 처마 시트(200)의 길이보다 길어진다. 처마 시트(200)의 제 1 단부(260), 제 2 단부(270)는 상기 개구(O)의 제 1 측부 가장자리부(131a), 제 2 측부 가장자리부(131b)에 선형 패스너, 면 패스너, 스냅버튼 등의 제 1 연결 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되어 있어도 좋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텐트(T1)는 확장 프레임(300)을 더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확장 프레임(300)은 처마 시트(200)를 확장 상태로 유지하는 구성이면 좋다. 예를 들면 처마 시트(200) 및 확장 프레임(300)은 이하의 (A), (B) 및 (C) 중 어느 하나의 구성, 이하의 (A) 및 (B)의 구성, 또는 (B) 및 (C)의 구성을 갖고 있으면 좋다.
(A) 처마 시트(200)의 외면 또는 내면 상에는 X자 형상으로 교차한 가요성을 갖는 한 쌍의 슬리브(230)가 설치되어 있다(도 1a, 도 1b 및 도 4a∼도 7 참조). 또한, 처마 시트(200)의 연결단부(210)의 외면 또는 내면 상에는 한 쌍의 슬리브(230) 중 일방의 슬리브(230)의 일단부에 대하여 상기 슬리브(230)의 길이방향의 일방측에 제 1 고정부(240a)가 설치되고, 일방의 슬리브(230)의 타단부에 대하여 상기 길이방향의 타방측에 제 2 고정부(240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처마 시트(200)의 자유단부(220)의 외면 또는 내면 상에는 타방의 슬리브(230)의 일단부에 대하여 상기 슬리브(230)의 길이방향의 일방측에 제 3 고정부(250a)가 설치되고, 타방의 슬리브(230)의 타단부에 대하여 상기 길이방향의 타방측에 제 4 고정부(250b)가 설치되어 있다. 확장 프레임(300)은 한 쌍의 폴(310)을 갖고 있다. 한 쌍의 폴(310) 중 일방의 폴(310)은 일방의 슬리브(230)에 삽입되어 원호 형상으로 만곡된 상태에서, 상기 폴(310)의 일단부가 처마 시트(200)의 제 1 고정부(240a)에 고정되고, 상기 폴(310)의 타단부가 처마 시트(200)의 제 2 고정부(240b)에 고정되어 있다. 타방의 폴(310)은 타방의 슬리브(230)에 삽입되어 원호 형상으로 만곡된 상태에서, 상기 폴(310)의 일단부가 처마 시트(200)의 제 3 고정부(250a)에 고정되고, 상기 폴(310)의 타단부가 처마 시트(200)의 제 4 고정부(250b)에 고정되어 있다(도 4a 참조). 이렇게 하여, 처마 시트(200)가 확장 프레임(300)의 폴(310)에 의해 확장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B) 처마 시트(200)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도시하지 않은 대략 환형상의 슬리브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슬리브는 부분적으로 파단되어 있다. 확장 프레임(300)은 슬리브에 삽입된 복수의 파이프를 조합시킨 환형상체이며, 처마 시트(200)를 확장 상태로 유지하고 있다.
(C) 확장 프레임(300)은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보강봉을 갖고 있다. 처마 시트(200)의 외면 또는 내면 상에 보강봉이 격자형상 또는 직사각형상으로 고정되어, 처마 시트(200)를 확장 상태로 유지하고 있다.
또한, 확장 프레임(300)은 생략 가능하다(도 8 참조).
텐트(T1)는 지지부(400)를 더 구비하고 있다. 지지부(400)는 처마 시트(200)를 확장 상태에서 지지하는 것이면 좋다. 확장 프레임(300)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도 1a, 도 1b 및 도 7 참조), 확장 프레임(300)에 의해 처마 시트(200)는 확장 상태가 유지되어 있으므로, 지지부(400)는 처마 시트(200)가 텐트 본체(100)의 개구(O)에 대하여 Y방향측에서 처마가 되도록 처마 시트(200)를 지지한다. 확장 프레임(300)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도 8 참조), 처마 시트(200)는 확장 상태가 유지되어 있지 않으므로, 지지부(400)는 처마 시트(200)를 Y방향으로 인장 확장시킨 상태에서, 상기 처마 시트(200)를 개구(O)에 대하여 Y방향측에서 지지하면서, 처마 시트(200)의 확장 상태를 유지한다. 확장 프레임(300)의 유무에 관계없이, 지지부(400) 및 처마 시트(200)는, 예를 들면 이하의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하 확장 프레임(300)의 유무에 관계없이, 처마 시트(200)가 지지부(400)에 지지되고 또한 처마가 된 상태를 처마 상태라고 칭한다. 처마 시트(200)는 처마 상태에서 지면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면 좋지만, Y방향 및 Z'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 또는 Y방향 및 Z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어도 좋다.
지지부(400)는 제 1 지주(410) 및 제 2 지주(420)를 갖고 있다(도 5 참조). 제 1 지주(410) 및 제 2 지주(420)는 Z-Z'방향으로 연장된 폴 또는 봉이며, 상단면을 갖는 지주 본체와, 이 지주 본체의 상단면으로부터 Z방향으로 연장된 돌자부를 갖고 있다. Z방향측에서 보았을 때에(평면으로 보았을 때에), 돌자부의 외경은 지주 본체의 상단면의 외경보다 작다. 처마 시트(200)의 제 1 부(221), 제 2 부(222)에는 상기 제 1 부(221), 제 2 부(222)를 Z-Z'방향으로 관통한 도시하지 않은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지주(410)의 돌자부, 제 2 지주(420)의 돌자부가 처마 시트(200)의 제 1 부(221), 제 2 부(222)의 관통공에 삽입되고, 제 1 지주(410)의 지주 본체, 제 2 지주(420)의 지주 본체가 처마 시트(200)의 제 1 부(221), 제 2 부(222)와 지면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제 1 지주(410)의 지주 본체의 상단면의 돌자부 주위의 부분, 제 2 지주(420)의 지주 본체의 상단면의 돌자부 주위의 부분이 처마 시트(200)의 제 1 부(221), 제 2 부(222)에 Z'방향측으로부터 접촉되어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제 1 지주(410) 및 제 2 지주(420)의 지주 본체는 삼각 또는 사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텐트(T1)는 전실부(500)를 더 구비하고 있다. 전실부(500)는 지지부(400) 및 상기 처마 상태의 처마 시트(200)의 적어도 일방에 지지되고, 또한 상기 처마 상태의 처마 시트(200)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전실부(500)는 처마 시트(200)와는 별체이다.
전실부(500)는 제 1 측면 시트(510a), 제 2 측면 시트(510b) 및 전면 시트(520) 중 적어도 2개의 시트를 갖고 있다. 이 적어도 2개의 시트가 텐트 본체(100)의 개구(O)에 대하여 Y방향측에서 전실 공간을 구획한다. 이 전실 공간은 상기 처마 상태의 처마 시트(200)에 대하여 Z'방향측에 설치된다.
적어도 2개의 시트는 전체가 메시 생지로 구성되어도 좋고, 전체가 폴리에스테르 타프타, 폴리에스테르 옥스포드, 나일론 또는 코튼 등으로 구성된 가요성을 갖는 시트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일부가 상기 시트로 구성되고, 다른 부분이 메시 생지로 구성되어도 좋다.
적어도 2개의 시트가 제 1 측면 시트(510a), 제 2 측면 시트(510b) 및 전면 시트(520)를 포함하는 경우(이하, 전실부(500)의 제 1 예라고 칭함), 제 1 측면 시트(510a) 및 제 2 측면 시트(510b)는 개구(O)에 대하여 Y방향측에 위치하고 있고 또한 서로 X-X'방향에서 대향하고 있다. 제 1 측면 시트(510a)는 상기 처마 상태의 처마 시트(200)의 대략 중심부를 통과하는 가상선(L)(도 5 참조)에 대하여 X방향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측면 시트(510a)는 상기 처마 상태의 처마 시트(200)의 제 1 단부(260)의 Z'방향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고, 상기 처마 상태의 처마 시트(200)의 제 1 단부(260)보다 X'방향측 부분의 Z'방향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제 2 측면 시트(510b)는 가상선(L)에 대하여 X'방향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 2 측면 시트(510b)는 상기 처마 상태의 처마 시트(200)의 제 2 단부(270)의 Z'방향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고, 상기 처마 상태의 처마 시트(200)의 제 2 단부(270)보다 X'방향측 부분의 Z'방향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제 1 측면 시트(510a)는 Y'방향측의 제 1 단부(511a)와, Y방향측의 제 2 단부(512a)와, Z방향측의 제 3 단부(513a)를 갖고 있다. 제 1 단부(511a)는 선형 패스너, 면 패스너, 스냅버튼 등의 제 2 연결 수단에 의해 개구(O)의 제 1 측부 가장자리부(131a)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 1 측부 가장자리부(131a)가 상기한 바와 같이 경사져 있을 경우, 제 1 단부(511a)는 제 1 측부 가장자리부(131a)를 따라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있다. 이 경우, 제 1 측면 시트(510a)는 대략 사다리꼴 또는 대략 삼각형으로 하면 좋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측부 가장자리부(131a)가 상기한 바와 같이 Z-Z'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경우, 제 1 단부(511a)는 Z-Z'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경우, 제 1 측면 시트(510a)는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하면 좋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2 측면 시트(510b)는 Y'방향측의 제 1 단부(511b)와, Y방향측의 제 2 단부(512b)와, Z방향측의 제 3 단부(513b)를 갖고 있다. 제 1 단부(511b)는 상기 제 2 연결 수단에 의해 개구(O)의 제 2 측부 가장자리부(131b)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 2 측부 가장자리부(131b)가 상기한 바와 같이 경사져 있는 경우, 제 1 단부(511b)는 제 2 측부 가장자리부(131b)를 따라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있다. 이 경우, 제 2 측면 시트(510b)는 대략 사다리꼴 또는 대략 삼각형으로 하면 좋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2 측부 가장자리부(131b)가 상기한 바와 같이 Z-Z'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경우, 제 1 단부(511b)는 Z-Z'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경우, 제 2 측면 시트(510b)는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하면 좋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면 시트(520)는 개구(O)에 대하여 Y방향측에 위치하고 또한 개구(O)에 대하여 대향하고 있다. 전면 시트(520)는 제 1 측면 시트(510a) 및 제 2 측면 시트(510b)에 대하여 Y방향측, 또는 제 1 측면 시트(510a)와 제 2 측면 시트(510b)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전면 시트(520)는 상기 처마 상태의 처마 시트(200)의 자유단부(220)에 대하여 Z'방향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고, 상기 처마 상태의 처마 시트(200)의 자유단부(220)보다 Y'방향측 부분에 대하여 Z'방향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전면 시트(520)는 X방향측의 제 1 단부(521)와, X'방향측의 제 2 단부(522)와, Z방향측의 제 3 단부(523)를 갖고 있다. 전면 시트(520)의 제 1 단부(521), 제 2 단부(522)는 상기 제 2 연결 수단에 의해 제 1 측면 시트(510a)의 제 2 단부(512a), 제 2 측면 시트(510b)의 제 2 단부(512b)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도 좋고, 착탈 불능하게 연결되어 있어도 좋고, 연결되어 있지 않아도 상관없다.
제 1 측면 시트(510a), 제 2 측면 시트(510b) 및 전면 시트(520) 내의 공간이 전실 공간이 된다. 이 전실 공간은 Y'방향으로 개방되고, 개구(O)를 통해서 텐트 본체(100) 내부에 연통한다.
전면 시트(520)는 그 중앙에서 Z-Z'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개로부터 전실 공간 내로 완전히 나갈 수 있게 되어 있어도 좋지만, 상기 절개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상관없다. 이 절개의 양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 2 연결 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측면 시트(510a) 및 제 2 측면 시트(510b), 및/또는 전면 시트(520)는 하기 (I) 및/또는 (II)와 같이 상기 처마 상태의 처마 시트(200)에 지지되고, 및/또는 하기 (III) 및/또는 (IV)와 같이 지지부(400)에 지지된다.
(I) 제 1 측면 시트(510a)의 제 3 단부(513a) 및 제 2 측면 시트(510b)의 제 3 단부(513b), 및/또는 전면 시트(520)의 제 3 단부(523)에, 후크나 T자 형상의 토글 등의 1개 또는 복수의 피결합부가 설치되어 있고, 처마 시트(200)의 내면의 피결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링이나 후크 등의 1개 또는 복수의 결합부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측면 시트(510a)의 제 3 단부(513a) 및 제 2 측면 시트(510b)의 제 3 단부(513b)에 피결합부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결합부가 대응하는 피결합부에 걸림으로써, 제 1 측면 시트(510a)의 제 3 단부(513a) 및 제 2 측면 시트(510b)의 제 3 단부(513b)가 상기 처마 상태의 처마 시트(200)에 서스펜딩 지지되고, 제 1 측면 시트(510a)의 제 2 단부(512a) 및 제 2 측면 시트(510b)의 제 2 단부(512b)에 연결된 전면 시트(520)가 제 1 측면 시트(510a)와 제 2 측면 시트(510b) 사이에서 지지된다.
전면 시트(520)의 제 3 단부(523)에 피결합부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결합부가 대응하는 피결합부에 걸림으로써, 전면 시트(520)가 상기 처마 상태의 처마 시트(200)에 서스펜딩 지지되고, 전면 시트(520)의 제 1 단부(521), 제 2 단부(522)에 연결된 제 1 측면 시트(510a) 및 제 2 측면 시트(510b)가 전면 시트(520)에 지지된다.
제 1 측면 시트(510a)의 제 3 단부(513a), 제 2 측면 시트(510b)의 제 3 단부(513b) 및 전면 시트(520)의 제 3 단부(523)에 피결합부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결합부가 대응하는 피결합부에 걸림으로써, 제 1 측면 시트(510a)의 제 3 단부(513a), 제 2 측면 시트(510b)의 제 3 단부(513b) 및 전면 시트(520)의 제 3 단부(523)가 상기 처마 상태의 처마 시트(200)에 서스펜딩 지지된다.
제 1 측면 시트(510a)의 제 3 단부(513a) 및 제 2 측면 시트(510b)의 제 3 단부(513b), 및/또는 전면 시트(520)의 제 3 단부(523)에 결합부가 설치되고, 처마 시트(200)의 내면에 피결합부가 설치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또한, 결합부 및/또는 피결합부가 설치된 부분은 보강 시트 등에 의해 보강되어 있으면 좋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I) 제 1 측면 시트(510a)의 제 3 단부(513a) 및 제 2 측면 시트(510b)의 제 3 단부(513b), 및/또는 전면 시트(520)의 제 3 단부(523)와 처마 시트(200)의 내면은 결합부 및 피결합부 대신에, 면 패스너 또는 스냅버튼에 의해 접합된다. 이것에 의해서도, 상기 (I) 중 어느 하나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상기 처마 상태의 처마 시트(200)에 서스펜딩 지지된다.
(III) 제 1 측면 시트(510a)의 제 3 단부(513a)의 Y방향측 부분(이하, 제 1 측면 시트(510a)의 제 1 부 또는 전실부(500)의 제 1 부라고 함), 제 2 측면 시트(510b)의 제 3 단부(513b)의 Y방향측 부분(이하, 제 2 측면 시트(510b)의 제 2 부 또는 전실부(500)의 제 2 부라고도 함)은 처마 시트(200)의 제 1 부(221), 제 2 부(222)의 Z'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측면 시트(510a)의 제 1 부, 제 2 측면 시트(510b)의 제 2 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지주(410)의 돌자부, 제 2 지주(420)의 돌자부가 제 1 측면 시트(510a)의 제 1 부의 관통공, 제 2 측면 시트(510b)의 제 2 부의 관통공에 삽입되고, 이어서 처마 시트(200)의 제 1 부(221), 제 2 부(222)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있다. 제 1 지주(410)의 지주 본체, 제 2 지주(420)의 지주 본체가 제 1 측면 시트(510a)의 제 1 부, 제 2 측면 시트(510b)의 제 2 부와 지면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제 1 지주(410)의 지주 본체의 상단면의 돌자부 주위의 부분, 제 2 지주(420)의 지주 본체의 상단면의 돌자부 주위의 부분이 제 1 측면 시트(510a)의 제 1 부, 제 2 측면 시트(510b)의 제 2 부에 Z'방향측으로부터 접촉하여 지지하고 있다.
또는, 전면 시트(520)의 제 3 단부(523)의 X방향의 단부(이하, 전면 시트(520)의 제 1 부 또는 전실부(500)의 제 1 부라고 함), X'방향의 단부(이하, 전면 시트(520)의 제 2 부 또는 전실부의 제 2 부라고 함)는 처마 시트(200)의 제 1 부(221), 제 2 부(222)의 Z'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전면 시트(520)의 제 1 부, 제 2 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지주(410)의 돌자부, 제 2 지주(420)의 돌자부가 전면 시트(520)의 제 1 부, 제 2 부의 관통공에 삽입되고, 이어서 처마 시트(200)의 제 1 부(221), 제 2 부(222)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있다. 제 1 지주(410)의 지주 본체, 제 2 지주(420)의 지주 본체가 전면 시트(520)의 제 1 부, 제 2 부와 지면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제 1 지주(410)의 지주 본체의 상단면의 돌자부 주위의 부분, 제 2 지주(420)의 지주 본체의 상단면의 돌자부 주위의 부분이 전면 시트(520)의 제 1 부, 제 2 부에 Z'방향측으로부터 접촉하여 지지하고 있다.
또한, 관통공 주위의 부분이 보강 시트 등에 의해 보강되어 있으면 좋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V) 제 1 측면 시트(510a) 및 제 2 측면 시트(510b), 및/또는 전면 시트(520)가 로프나 벨트 등에 의해 제 1 지주(410), 제 2 지주(420)에 서스펜딩 지지된다.
적어도 2개의 시트가 제 1 측면 시트(510a) 및 제 2 측면 시트(510b)를 포함하는 경우(이하, 이것을 전실부(500)의 제 2 예라고 칭함), 전실부(500)의 제 1 예에 있어서, 전면 시트(520)를 생략하면 좋다. 이 경우, 제 1 측면 시트(510a) 및 제 2 측면 시트(510b) 사이의 공간이 전실 공간이 된다. 이 전실 공간은 Y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고, 또한 Y'방향으로 개방되고, 개구(O)를 통해서 텐트 본체(100) 내부에 연통되어 있다.
적어도 2개의 시트가 제 1 측면 시트(510a) 및 전면 시트(520)를 포함하는 경우(이하, 이것을 전실부(500)의 제 3 예라고 칭함), 전실부(500)의 제 1 예에 있어서, 제 2 측면 시트(510b)를 생략하면 좋다. 이 경우, 제 1 측면 시트(510a) 및 전면 시트(520)의 내측의 공간이 전실 공간이 된다. 이 전실 공간은 X'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고, 또한 Y'방향으로 개방되고, 개구(O)를 통해서 텐트 본체(100) 내부에 연통되어 있다.
적어도 2개의 시트가 제 2 측면 시트(510b) 및 전면 시트(520)를 갖는 경우(이하, 이것을 전실부(500)의 제 4 예라고 칭함), 전실부(500)의 제 1 예에 있어서, 제 1 측면 시트(510a)를 생략하면 좋다. 제 2 측면 시트(510b) 및 전면 시트(520)의 내측의 공간이 전실 공간이 된다. 이 전실 공간은 X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고, 또한 Y'방향으로 개방되고, 개구(O)를 통해서 텐트 본체(100) 내부에 연통되어 있다.
전실부(500)는 천장 시트(530)를 더 갖고 있어도 좋다. 천장 시트(530)는 전체가 메시 생지로 구성되어도 좋고, 전체가 폴리에스테르 타프타, 폴리에스테르 옥스포드, 나일론 또는 코튼 등으로 구성된 가요성을 갖는 시트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일부가 상기 시트에서 구성되고 다른 부분이 메시 생지로 구성되어도 좋다. 천장 시트(530)는 X방향측의 제 1 단부(531a)와, X'방향측의 제 2 단부(531b)와, Y방향측의 제 3 단부(532)와, Y'방향측의 제 4 단부(533)를 갖고 있다.
천장 시트(530)는 상기 처마 상태의 처마 시트(200)에 대하여 Z'방향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처마 시트(200)의 내면에 대향하고 있다. 천장 시트(530)는 상기 (a) 및/또는 (b)와 마찬가지로 상기 처마 상태의 처마 시트(200)에 서스펜딩 지지되고, 및/또는 상기 (c) 및/또는 (d)와 마찬가지로 지지부(400)에 지지된다.
도 3a 및 도 3b에서는, 천장 시트(530)는 한 쌍의 대각선 상에 보강 시트 등이 부착 또는 꿰매어져 있고, 이 보강 시트에 상기 (I)의 복수의 토글(534)이 설치되어 있고, 천장 시트(530)의 제 1 부(535a), 제 2 부(535b)에도 보강 시트 등이 부착 또는 꿰매 꿰매어져 있고, 이 보강 시트에 상기 (III)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도 4b에서는 처마 시트(200)의 내면에 토글(534)이 걸리는 링(280)이 토글(534)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천장 시트(530)가 상기 (III)와 마찬가지로 지지부(400)에 지지되는 경우, 천장 시트(530)의 제 3 단부(532)의 X방향의 단부(이하, 천장 시트(530)의 제 1 부 또는 전실부(500)의 제 1 부라고 함), X'방향의 단부(이하, 천장 시트(530)의 제 2 부 또는 전실부의 제 2 부라고 함)는 처마 시트(200)의 제 1 부(221), 제 2 부(222)의 Z'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천장 시트(530)의 제 1 부, 제 2 부에는 상기 (III)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지주(410)의 돌자부, 제 2 지주(420)의 돌자부가 천장 시트(530)의 제 1, 제 2 부의 관통공에 삽입되고, 이어서 처마 시트(200)의 제 1 부(221), 제 2 부(222)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있다. 제 1 지주(410), 제 2 지주(420)의 지주 본체가 천장 시트(530)의 제 1, 제 2 부와 지면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제 1 지주(410)의 상단면의 돌자부 주위의 부분, 제 2 지주(420)의 지주 본체의 상단면의 돌자부 주위의 부분이 천장 시트(530)의 제 1, 제 2 부에 Z'방향측으로부터 접촉되어 지지되어 있다. 또한, 관통공 주위의 부분이 보강 시트 등에 의해 보강되어 있으면 좋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천장 시트(530)의 Y'방향측의 단부가 처마 시트(200) 또는 텐트 본체(100)의 상부 가장자리부(111a)에 서스펜딩 지지되어 있어도 좋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실부(500)가 제 1 측면 시트(510a), 제 2 측면 시트(510b), 전면 시트(520) 및 천장 시트(530)를 갖는 경우(이하, 이것을 전실부(500)의 제 5 예라고 칭함), 천장 시트(530)의 제 1 단부(531a), 제 2 단부(531b), 제 3 단부(532)는 상기 제 2 연결 수단에 의해 제 1 측면 시트(510a)의 제 3 단부(513a), 제 2 측면 시트(510b)의 제 3 단부(513b), 전면 시트(520)의 제 3 단부(523)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도 좋고, 착탈 불능하게 연결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제 1 측면 시트(510a), 제 2 측면 시트(510b) 및 전면 시트(520)는 천장 시트(530)에 서스펜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1 측면 시트(510a), 제 2 측면 시트(510b) 및 전면 시트(520)는 천장 시트(530)를 통해서 처마 시트(200) 및 지지부(400)의 적어도 일방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전실부(500)가 제 1 측면 시트(510a), 제 2 측면 시트(510b) 및 천장 시트(530)를 갖는 경우, 전실부(500)의 제 5 예에 있어서 전면 시트(520)를 생략하면 좋다. 전실부(500)가 제 1 측면 시트(510a), 전면 시트(520) 및 천장 시트(530)를 갖는 경우, 전실부(500)의 제 5 예에 있어서 제 2 측면 시트(510b)를 생략하면 좋다. 전실부(500)가 제 2 측면 시트(510b), 전면 시트(520) 및 천장 시트(530)를 갖는 경우, 전실부(500)의 제 5 예에 있어서 제 1 측면 시트(510a)를 생략하면 좋다.
또한, 제 1 측면 시트(510a), 제 2 측면 시트(510b) 및/또는 전면 시트(520)와 천장 시트(530)의 연결 부분은 보강 시트 등이 부착 또는 꿰매어져 보강되어 있어도 좋지만, 보강되어 있지 않아도 상관없다.
이하, 텐트(T1)의 사용 방법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텐트 본체(100)를 준비한다. 이 텐트 본체(100)를 조립하고, 전개시킨다.
확장 프레임(300)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확장 프레임(300)으로 처마 시트(200)를 상기 어느 하나와 같이 확장시킨다. 그리고, 전실부(500)를 처마 시트(200)에 서스펜딩 지지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전실부(500)를 상기 어느 하나의 (I) 및/또는 (II)와 같이 처마 시트(200)에 부착한다. 그 후, 확장 프레임(300) 및 처마 시트(200)를 들어올리면서, 제 1 지주(410)의 돌자부, 제 2 지주(420)의 돌자부를 처마 시트(200)의 제 1 부(221), 제 2 부(222)의 관통공에 삽입하고, 제 1 지주(410), 제 2 지주(420)로 처마 시트(200) 및 확장 프레임(300)을 지지시킨다. 또는, 확장 프레임(300) 및 처마 시트(200)를 들어올리면서, 제 1 지주(410)의 돌자부, 제 2 지주(420)의 돌자부를 전실부(500)의 제 1, 제 2 부의 관통공과, 처마 시트(200)의 제 1 부(221), 제 2 부(222)의 관통공에 삽입하여, 제 1 지주(410), 제 2 지주(420)로 처마 시트(200), 확장 프레임(300) 및 전실부(500)를 지지시킨다. 어느 경우도, 처마 시트(200)가 제 1 지주(410), 제 2 지주(420)에 지지됨으로써, 처마 시트(200)가 상기 처마 상태가 되고, 상기한 바와 같이 부착된 전실부(500)가 처마 시트(200)에 서스펜딩 지지된다.
처마 시트(200), 또는 전실부(500) 및 처마 시트(200)를 제 1, 제 2 지주(410, 420)에 지지시키기 전후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시트가 제 1 측면 시트(510a)를 포함하는 경우, 제 1 측면 시트(510a)의 제 1 단부(511a)를 상기 연결 수단에 의해 개구(O)의 제 1 측부 가장자리부(131a)에 연결시킨다. 상기 적어도 2개의 시트가 제 2 측면 시트(510b)를 포함하는 경우, 제 2 측면 시트(510b)의 제 1 단부(511b)를 상기 연결 수단에 의해 개구(O)의 제 2 측부 가장자리부(131b)에 연결시킨다. 이렇게 하여, 전실부(500) 내의 전실 공간이 처마 시트(200) 하방에 형성되고 또한 개구(O)를 통해서 텐트 본체(100)에 연통된다.
또는, 확장 프레임(300)에 의해 처마 시트(200)를 상기 어느 하나와 같이 확장시킨 후에, 전실부(500)를 처마 시트(200)에 서스펜딩 지지시키지 않고, 확장 프레임(300) 및 처마 시트(200)를 들어올리면서, 제 1 지주(410)의 돌자부, 제 2 지주(420)의 돌자부를 처마 시트(200)의 제 1 부(221), 제 2 부(222)의 관통공에 삽입하고, 제 1 지주(410), 제 2 지주(420)에 의해 처마 시트(200), 확장 프레임(300) 및 전실부(500)를 지지시킨다. 이것에 의해, 처마 시트(200)가 상기 처마 상태가 된다. 그 후, 상기 적어도 2개의 시트가 제 1 측면 시트(510a)를 포함하는 경우, 제 1 측면 시트(510a)의 제 1 단부(511a)를 상기 연결 수단에 의해 개구(O)의 제 1 측부 가장자리부(131a)에 연결시킨다. 상기 적어도 2개의 시트가 제 2 측면 시트(510b)를 포함하는 경우, 제 2 측면 시트(510b)의 제 1 단부(511b)를 상기 연결 수단에 의해 개구(O)의 제 2 측부 가장자리부(131b)에 연결시킨다. 전실부(500)를 상기 (IV)와 같이 제 1 지주(410), 제 2 지주(420)에 부착한다. 이것에 의해, 전실부(500) 내의 전실 공간이 처마 시트(200) 하방에 형성되고, 또한 개구(O)를 통해서 텐트 본체(100)에 연통된다.
확장 프레임(300)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처마 시트(200)를 들어올릴 때에, 처마 시트(200)를 Y방향으로 잡아당겨서 연장하면 좋고, 그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 1 지주(410), 제 2 지주(420)에 의해 처마 시트(200)를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시키면 좋다.
처마 시트(200)로 텐트 본체(100)의 개구(O)를 폐쇄할 때에는 제 1 지주(410), 제 2 지주(420)를 떼어내고, 또한 전실부(500)를 처마 시트(200) 및/또는 제 1, 제 2 지주(410, 420)로부터 분리한다. 그 후, 처마 시트(200)로 텐트 본체(100)의 개구(O)를 폐쇄하면 좋다.
이상과 같은 텐트(T)에 의한 경우, 이하의 기술적 특징 및 효과를 발휘한다.
기술적 특징 및 효과 (1)
전실부(500)의 적어도 2개의 시트에 의해, 상기 처마 시트(200)의 하측 또한 텐트 본체(100)의 개구(O)의 Y방향측에 전실 공간이 구획되므로, 상기 전실 공간을 텐트 본체(100)의 내공간의 연장 공간으로서 보다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기술적 특징 및 효과 (2)
전실부(500)가 처마 시트(200)에 서스펜딩 지지되어 있고, 및 지지부(400)에 지지되어 있는 또는 지지되어 있지 않은 경우, 처마 시트(200)를 처마 상태로 들어올리기 전에, 전실부(500)를 처마 시트(200)의 내면에 부착해 둠으로써, 처마 시트(200)를 처마 상태로 들어올릴 때에, 처마 시트(200)와 함께 전실부(500)를 들어올릴 수 있다. 그 상태에서, 지지부(400)의 제 1, 제 2 지주(410, 420)에 의해 처마 시트(200) 및 전실부(500), 또는 처마 시트(200)를 지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실부(500)의 설치가 용이해진다.
기술적 특징 및 효과 (3)
전실부(500)가 처마 시트(200)에 서스펜딩 지지되어 있고, 또한 지지부(400)에 지지되어 있지 않은 경우, 처마 시트(200)를 처마 상태로 들어올리고, 지지부(400)의 제 1, 제 2 지주(410, 420)로 처마 시트(200)를 지지시킨 후에, 전실부(500)를 처마 시트(200)의 내면에 부착할 수 있다. 이 경우도, 전실부(500)의 설치가 용이해진다.
기술적 특징 및 효과 (4)
지지부(400)의 제 1 지주(410), 제 2 지주(420)가 전실부(500) 및 처마 시트(200)를 지지하고 있는 경우, 제 1 지주(410)의 돌자부, 제 2 지주(420)의 돌자부를 전실부(500)의 제 1, 제 2 부의 관통공 및 처마 시트(200)의 제 1 부(221), 제 2 부(222)의 관통공에 삽입하고, 제 1 지주(410)의 지주 본체, 제 2 지주(420)의 지주 본체를 전실부(500)의 제 1, 제 2 부와 지면 사이에 개재시키는 것만으로, 제 1 지주(410), 제 2 지주(420)에 전실부(500) 및 처마 시트(200)를 동시에 지지시킬 수 있다.
기술적 특징 및 효과 (5)
텐트 본체(100)가 제 1 연장 시트(130a)를 갖고 있고, 또한 전실부(500)가 제 1 측면 시트(510a)를 갖고 있는 경우, 제 1 측면 시트(510a)의 제 1 단부(511a)가 제 1 연장 시트(130a)의 제 1 측부 가장자리부(131a)에 연결됨으로써, 제 1 측면 시트(510a) 및 제 1 연장 시트(130a)가 지지부(400) 및 처마 시트(200)의 적어도 일방에 지지된다. 따라서, 제 1 연장 시트(130a)를 확장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 제 1 연장 시트(130a)로부터 지면으로 연장되는 로프 및 이 로프를 고정하기 위한 페그 등의 고정구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Y방향 및 Z'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제 1 측면 시트(510a)의 제 1 단부(511a) 및 제 1 연장 시트(130a)의 제 1 측부 가장자리부(131a)가 연결되는 경우, 제 1 연장 시트(130a)가 제 1 측면 시트(510a)를 통해서 지지부(400) 및 처마 시트(200)의 적어도 일방에 지지된 상태가 안정하다.
또한, 텐트 본체(100)가 제 2 연장 시트(130b)를 갖고 있고, 또한 전실부(500)가 제 2 측면 시트(510b)를 갖고 있는 경우, 제 2 측면 시트(510b)의 제 1 단부(511b)가 제 2 연장 시트(130b)의 제 2 측부 가장자리부(131b)에 연결됨으로써, 제 2 측면 시트(510b) 및 제 2 연장 시트(130b)가 지지부(400) 및 처마 시트(200)의 적어도 일방에 지지된다. 따라서, 제 2 연장 시트(130b)를 확장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 제 2 연장 시트(130b)로부터 지면으로 연장되는 로프 및 이 로프를 고정하기 위한 페그 등의 고정구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Y방향 및 Z'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제 2 측면 시트(510b)의 제 1 단부(511b) 및 제 2 연장 시트(130b)의 제 2 측부 가장자리부(131b)가 연결되는 경우, 제 2 연장 시트(130b)가 제 2 측면 시트(510b)를 개재해서 지지부(400) 및 처마 시트(200)의 적어도 일방에 지지된 상태가 안정해진다.
기술적 특징 및 효과 (6)
전실부(500)가 천장 시트(530)를 갖고 있는 경우, 천장 시트(530)가 처마 시트(200) 및 지지부(400)의 적어도 일방에 지지됨으로써, 천장 시트(530)로부터 수하된 전실부(500)의 적어도 2개의 시트도 처마 시트(200) 및 지지부(400)의 적어도 일방에 지지된다. 따라서, 전실부(500)의 설치가 용이해진다.
기술적 특징 및 효과 (7)
처마 시트(200)가 텐트 본체(100)의 개구(O)를 개폐 가능한 구성인 경우, 전실부(500)가 별체이기 때문에 전실부(500)를 분리함으로써, 처마 시트(200)에 의해 텐트 본체(100)의 개구(O)를 폐쇄할 때에 전실부(500)가 방해되지 않는다. 특히, 처마 시트(200)의 제 1 단부(260), 제 2 단부(270)가 상기 개구(O)의 제 1 측부 가장자리부(131a), 제 2 측부 가장자리부(131b)에 제 1 연결 수단에 의해 연결되는 경우, 전실부(500)를 분리함으로써, 전실부(500)의 적어도 2개의 시트가 제 1 연결 수단에 간섭하지 않으므로, 제 1 연결 수단에 의한 연결이 행해지기 쉬워진다.
실시예 2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2 및 그 설계 변형예를 포함하는 복수의 실시예에 관한 텐트(T2)에 대해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9∼도 10에는 실시예 2의 텐트(T2)가 나타내어져 있다. 도 9에는 텐트(T2)와 마찬가지로 Y-Y'방향, Z-Z'방향 및 X-X'방향이 나타내어져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X-X'방향은 Y-Y'방향에 대략 직교하고 또한 Z-Z'방향에 대략 직교하고 있지만, Y-Y'방향에 교차하고 또한 Z-Z'방향에 대략 직교하고 있으면 좋다.
텐트(T2)는 (1) 아우터 시트(600)를 더 구비하고 있고, 또한 (2) 처마 시트(200)가 텐트 본체(100)가 아니라, 아우터 시트(600)에 연결되어 있는 점에서 상위하는 것 이외에는, 텐트(T1)와 동일한 구성이다. 따라서, 이하 그 상위점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하고, 텐트(T2)의 설명 중 텐트(T1)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아우터 시트(600)는 텐트 본체(100)의 텐트 시트(110)와 동일한 소재로 구성된 가요성 및 방수성을 갖는 시트이다. 아우터 시트(600)의 외형은 텐트 시트(110)의 Z방향측 부분의 형상 또는 전부의 형상에 대응하고 있으면 좋다. 환언하면, 아우터 시트(600)의 외형은 텐트 시트(110)의 Z방향측 부분의 형상 또는 전부의 형상에 따라 적당하게 변경 가능하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서는, 아우터 시트(600)의 외형은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는 텐트 본체(100)의 Z방향측 부분의 형상에 대응하고 있지만, 상기 텐트 본체(100)의 전체 형상, 도 7에 나타내는 텐트 본체(100)의 Z방향측 부분의 형상, 도 8에 나타내는 텐트 본체(100)의 Z방향측 부분의 형상, 도 7에 나타내는 텐트 본체(100)의 전체 형상, 또는 도 8에 나타내는 텐트 본체(100)의 전체 형상에 대응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당연히 가능하다. 아우터 시트(600)가 텐트 본체(100)를 Z방향측으로부터 덮고 있다.
아우터 시트(600)는 상기 아우터 시트(600)로부터 연장되는 또는 아우터 시트(600)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로프에 의해, 지면이나 나무들 등에 고정되어 있으면 좋다.
처마 시트(200)는 텐트 본체(100)의 개구(O)의 Z방향측에서 아우터 시트(600)에 연결되어 있다. 처마 시트(200)는 텐트 본체(100)의 개구(O)를 개폐 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실부(500)는 상기한 어느 하나의 형태에 의해 처마 시트(200) 및 지지부(400) 중 적어도 일방에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텐트(T2)에 의한 경우도, 텐트(T1)와 동일한 기술적 특징 및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의 텐트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범위에 있어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지지부는 상기 제 1 지주 및 제 2 지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지지부는 이하의 (a)∼(c) 중 어느 하나의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a) 지지부는 제 1 흡반 및 제 2 흡반을 갖고 있다. 제 1 흡반, 제 2 흡반은 후크나 로프를 갖고 있다. 후크나 로프가 처마 시트(200)의 제 1 부(221), 제 2 부(222)의 관통공, 또는 후크나 로프가 처마 시트(200)의 제 1 부(221), 제 2 부(222)의 관통공 및 전실부(500)의 제 1, 제 2 부의 관통공에 걸리고, 제 1 흡반 및 제 2 흡반이 자동차의 천장, 코티지 등의 건축물의 천장에 흡착된다. 전자의 경우, 지지부는 처마 시트(200)를 개구(O)에 대하여 Y방향측에서 지지한다. 후자의 경우, 지지부는 처마 시트(200)를 개구(O)에 대하여 Y방향측에서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전실부(500)를 지지한다.
(b) 지지부는 제 1 결합부 및 제 2 결합부를 갖고 있다. 제 1 결합부, 제 2 결합부는 로프 또는 벨트이며, 처마 시트(200)의 제 1 부(221), 제 2 부(222)의 관통공, 또는 처마 시트(200)의 제 1 부(221), 제 2 부(222)의 관통공 및 전실부(500)의 제 1, 제 2 부의 관통공을 통과하고 있다. 이 로프 또는 벨트가 건축물의 일부, 전등 또는 나무 등에 걸려 있다. 전자의 경우, 지지부는 처마 시트(200)를 개구(O)에 대하여 Y방향측에서 지지한다. 후자의 경우, 지지부는 처마 시트(200)를 개구(O)에 대하여 Y방향측에서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전실부(500)를 지지한다.
(c) 지지부(400)는 텐트(T1)와는 다른 텐트이다. 이 다른 텐트가 처마 시트(200)의 자유단부(220)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관통공, 또는 처마 시트(200)의 자유단부(220)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관통공 및 전실부(500)에 설치된 관통공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전자의 경우, 지지부는 처마 시트(200)를 개구(O)에 대하여 Y방향측에서 지지한다. 후자의 경우, 지지부는 처마 시트(200)를 개구(O)에 대하여 Y방향측에서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전실부(500)를 지지한다.
본 발명의 지지부는 생략 가능하다. 이 경우, 확장 프레임에 의해 확장된 처마 시트는 텐트 본체의 개구에 대하여 상기 개구의 출방향측에서 처마가 되도록, 자동차, 코티지 등의 건축물, 나무 또는 텐트 등에 적재되면 좋고, 확장 프레임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처마 시트는 그 자유단부가 자동차, 코티지 등의 건축물 또는 텐트 등에 설치된 결합부에 결합되고, 텐트 본체의 개구에 대하여 상기 개구의 출방향측에서 처마가 되도록 지지되면 좋다.
본 발명의 전실부의 제 1 측면 시트 및/또는 제 2 측면 시트는 개구에 대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출방향측에 위치하고 있으면 좋다. 따라서, 제 1 측면 시트 및/또는 제 2 측면 시트는 그 출방향측 부분이 개구에 대하여 출방향측에 배치되고, 그 입방향측 부분이 개구로부터 텐트 본체 내로 삽입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상기한 어느 하나의 형태의 전실부는 후면 시트를 더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후면 시트는 제 1 측면 시트 및/또는 제 2 측면 시트에 대하여 입방향측, 또는 제 1 측면 시트와 제 2 측면 시트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처마 상태의 처마 시트의 연결단부의 하측 또는 연결단부보다 출방향측 부분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
본 발명의 텐트의 개구는 텐트 시트의 임의의 개소에 개설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텐트 시트(110)의 시트 본체(111)의 X방향, X'방향 또는 Y'방향측의 시트부에 개구가 개설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이 경우, 개구의 제 1, 제 2 측부 가장자리부 및 상부 가장자리부는 상기 (6)과 동일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텐트는 제 1 연장 시트 및 제 2 연장 시트 중 어느 일방을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텐트는 인너텐트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너텐트는 상기 어느 하나의 형태의 텐트 본체 내에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 이너텐트는 상기 어느 하나의 형태의 텐트 본체에 서스펜딩 지지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텐트는 상기 한 어느 하나의 형태의 시트 본체의 저면을 이루는 저면 시트를 더 갖고 있어도 좋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처마 시트는 텐트 본체의 개구의 상부 가장자리부 또는 텐트 본체의 개구의 상측에서 아우터 시트에 연결되어 있고, 개구의 출방향측에서 처마가 되는 것인 한 임의로 설계 변경이 가능이다. 본 발명의 처마 시트는 개구를 개폐하는 것이 아니고 단지 처마로서 사용되는 것이어도 좋다. 이 경우의 처마 시트의 길이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출방향은 본 발명의 텐트 내로부터 개구를 통해서 텐트 밖으로 나오는 방향인 한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본 발명의 입방향은 출방향의 반대방향인 한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본 발명의 교차방향은 출방향에 교차하는 한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텐트: T1, T2
100: 텐트 본체
110: 텐트 시트
111: 시트 본체
112: 슬리브
113: 슬리브
121: 텐트 프레임의 폴
122: 텐트 프레임의 폴
130a: 제 1 연장 시트
130b: 제 2 연장 시트
O: 개구
111a: 개구의 상부 가장자리부
131a: 개구의 제 1 측부 가장자리부
131b: 개구의 제 2 측부 가장자리부
200: 처마 시트
210: 연결단부
220: 자유단부
221: 제 1 부
222: 제 2 부
230: 슬리브
240a: 제 1 고정부
240b: 제 2 고정부
250a: 제 3 고정부
250b: 제 4 고정부
260: 제 1 단부
270: 제 2 단부
280: 링
300: 확장 프레임
310: 폴
400: 지지부
410: 제 1 지주
420: 제 2 지주
500: 전실부
510a: 제 1 측면 시트
511a: 제 1 단부
512a: 제 2 단부
513a: 제 3 단부
510b: 제 2 측면 시트
511b: 제 1 단부
512b: 제 2 단부
513b: 제 3 단부
520: 전면 시트
521: 제 1 단부
522: 제 2 단부
523: 제 3 단부
530: 천장 시트
531a: 제 1 단부
531b: 제 2 단부
532: 제 3 단부
533: 제 4 단부
534: 토글
535a: 제 1 부
535b: 제 2 부
600: 아우터 시트

Claims (14)

  1. 개구를 갖는 텐트 본체와,
    상기 텐트 본체의 상기 개구의 상부 가장자리부에 연결된 처마 시트와,
    상기 처마 시트가 상기 텐트 본체의 상기 개구에 대하여 상기 개구의 출방향측에서 처마가 되도록 상기 처마 시트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처마 시트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처마 시트 및 상기 지지부의 적어도 일방에 지지되는 전실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전실부는 제 1 측면 시트, 제 2 측면 시트 및 전면 시트 중 적어도 2개의 시트를 갖고 있고,
    상기 제 1 측면 시트는 상기 텐트 본체의 상기 개구에 대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출방향측에 위치함과 아울러, 상기 처마 시트의 대략 중심부를 통과해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선에 대하여 교차방향의 일방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교차방향은 상기 출방향에 대하여 교차하고 또한 상기 상하방향에 대략 직교하고 있고,
    상기 제 2 측면 시트는 상기 텐트 본체의 상기 개구에 대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출방향측에 위치함과 아울러, 상기 가상선에 대하여 상기 교차방향의 타방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전면 시트는 상기 텐트 본체의 상기 개구에 대하여 상기 출방향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개구에 대향하고 있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시트가 상기 텐트 본체의 상기 개구에 대하여 상기 출방향측에서 전실 공간을 구획하는 텐트.
  2. 개구를 갖는 텐트 본체와,
    상기 텐트 본체를 상측으로부터 덮는 아우터 시트와,
    상기 텐트 본체의 상기 개구의 상측에서 상기 아우터 시트에 연결된 처마 시트와,
    상기 처마 시트가 상기 텐트 본체의 상기 개구에 대하여 상기 개구의 출방향측에서 처마가 되도록 상기 처마 시트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처마 시트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처마 시트 및 상기 지지부의 적어도 일방에 지지되는 전실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전실부는 제 1 측면 시트, 제 2 측면 시트 및 전면 시트 중 적어도 2개의 시트를 갖고 있고,
    상기 제 1 측면 시트는 상기 텐트 본체의 상기 개구에 대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출방향측에 위치함과 아울러, 상기 처마 시트의 대략 중심부를 통과해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선에 대하여 교차방향의 일방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교차방향은 상기 출방향에 대하여 교차하고 또한 상기 상하방향에 대략 직교하고 있고,
    상기 제 2 측면 시트는 상기 텐트 본체의 상기 개구에 대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출방향측에 위치함과 아울러, 상기 가상선에 대하여 상기 교차방향의 타방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전면 시트는 상기 텐트 본체의 상기 개구에 대하여 상기 출방향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개구에 대향하고 있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시트가 상기 텐트 본체의 상기 개구에 대하여 상기 출방향측에서 전실 공간을 구획하는 텐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실부는 상기 처마 시트의 하측에서 상기 처마 시트에 서스펜딩 지지되는 텐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마 시트는 자유단부를 갖고 있고, 상기 자유단부는 상기 교차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제 1, 제 2 부를 갖고 있고,
    상기 지지부는 제 1, 제 2 지주를 갖고 있고, 상기 제 1, 제 2 지주는 상기 처마 시트가 상기 텐트 본체의 상기 개구에 대하여 상기 출방향측에서 처마가 되도록 상기 처마 시트의 상기 자유단부의 상기 제 1, 제 2 부를 지지하는 텐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실부는 상기 자유단부의 상기 제 1, 제 2 부에 대하여 하측에 위치하는 제 1, 제 2 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 1, 제 2 지주는 상단면을 갖는 지주 본체와,
    상기 지주 본체의 상기 상단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된 돌자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 1, 제 2 지주의 상기 돌자부가 상기 전실부의 상기 제 1, 제 2 부 및 상기 자유단부의 상기 제 1, 제 2 부를 관통하고, 상기 제 1, 제 2 지주의 상기 지주 본체의 상기 상단면의 상기 돌자부 주위의 부분이 하측으로부터 상기 전실부의 상기 제 1, 제 2 부 및 상기 자유단부의 상기 제 1, 제 2 부를 지지하는 텐트.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텐트 본체는 상기 개구의 상기 교차방향의 일방측의 제 1 측부 가장자리부를 더 갖고 있고, 상기 제 1 측부 가장자리부는 상기 출방향 및 하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비스듬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시트는 상기 제 1 측면 시트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전실부의 상기 제 1 측면 시트의 모두가 상기 텐트 본체의 상기 개구에 대하여 상기 출방향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제 1 측면 시트는 상기 출방향의 반대방향인 상기 개구의 입방향측의 제 1 단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 1 측면 시트의 상기 제 1 단부가 상기 제 1 측부 가장자리부를 따라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 1 측부 가장자리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텐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텐트 본체는 상기 출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 시트를 더 갖고 있고, 상기 제 1 연장 시트가 상기 개구의 상기 제 1 측부 가장자리부를 갖고,
    상기 제 1 측면 시트 및 상기 제 1 연장 시트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처마 시트 및 상기 지지부의 적어도 일방에 지지되는 텐트.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마 시트는 상기 텐트 본체의 상기 개구를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고, 또한 상기 개구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어 상기 처마가 되어 있고,
    상기 텐트 본체는 상기 개구의 상기 교차방향의 제 1, 제 2 측부 가장자리부를 더 갖고 있고, 상기 제 1, 제 2 측부 가장자리부는 상기 출방향 및 하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비스듬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처마 시트는 상기 교차방향의 제 1, 제 2 단부를 갖고 있고,
    상기 처마 시트가 상기 개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처마 시트의 상기 제 1, 제 2 단부가 상기 개구의 상기 제 1, 제 2 측부 가장자리부를 따라 연장되어 있는 텐트.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실부는 상기 처마 시트의 하측에서 상기 처마 시트에 대향하는 천장 시트를 더 갖고 있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시트는 상기 천장 시트로부터 수하되어 있는 텐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 시트는 상기 처마 시트 및 상기 지지부의 적어도 일방에 지지되는 텐트.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마 시트를 확장 상태로 유지하는 확장 프레임을 더 구비하고 있는 텐트.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실 공간은 상기 개구를 통해서 상기 텐트 본체 내에 연통되어 있는 텐트.
  13. 개구를 갖는 텐트 본체와,
    상기 텐트 본체의 상기 개구의 상부 가장자리부에 연결되어 있고 또한 상기 텐트 본체의 상기 개구에 대하여 상기 개구의 출방향측에서 처마가 되는 처마 시트와,
    상기 처마 시트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처마 시트에 서스펜딩 지지되는 전실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전실부는 제 1 측면 시트, 제 2 측면 시트 및 전면 시트 중 적어도 2개의 시트를 갖고 있고,
    상기 제 1 측면 시트는 상기 텐트 본체의 상기 개구에 대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출방향측에 위치함과 아울러, 상기 개구의 대략 중심부를 통과해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선에 대하여 교차방향의 일방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교차방향은 상기 출방향에 대하여 교차하고 또한 상기 상하방향에 대략 직교하고 있고,
    상기 제 2 측면 시트는 상기 텐트 본체의 상기 개구에 대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출방향측에 위치함과 아울러, 상기 가상선에 대하여 상기 교차방향의 타방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전면 시트는 상기 텐트 본체의 상기 개구에 대하여 상기 출방향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개구에 대향하고 있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시트가 상기 텐트 본체의 상기 개구에 대하여 상기 출방향측에서 전실 공간을 구획하는 텐트.
  14. 개구를 갖는 텐트 본체와,
    상기 텐트 본체를 상측으로부터 덮는 아우터 시트와,
    상기 텐트 본체의 상기 개구의 상부 가장자리부에 연결되어 있고 또한 상기 텐트 본체의 상기 개구에 대하여 상기 개구의 출방향측에서 처마가 되는 처마 시트와,
    상기 처마 시트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처마 시트에 서스펜딩 지지되는 전실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전실부는 제 1 측면 시트, 제 2 측면 시트 및 전면 시트 중 적어도 2개의 시트를 갖고 있고,
    상기 제 1 측면 시트는 상기 텐트 본체의 상기 개구에 대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출방향측에 위치함과 아울러, 상기 개구의 대략 중심부를 통과해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선에 대하여 교차방향의 일방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교차방향은 상기 출방향에 대하여 교차하고 또한 상기 상하방향에 대략 직교하고 있고,
    상기 제 2 측면 시트는 상기 텐트 본체의 상기 개구에 대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출방향측에 위치함과 아울러, 상기 가상선에 대하여 상기 교차방향의 타방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전면 시트는 상기 텐트 본체의 상기 개구에 대하여 상기 출방향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개구에 대향하고 있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시트가 상기 텐트 본체의 상기 개구에 대하여 상기 출방향측에서 전실 공간을 구획하는 텐트.
KR1020200008764A 2019-07-29 2020-01-22 텐트 KR202100140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38447 2019-07-29
JP2019138447A JP7353620B2 (ja) 2019-07-29 2019-07-29 テン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4058A true KR20210014058A (ko) 2021-02-08

Family

ID=74560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8764A KR20210014058A (ko) 2019-07-29 2020-01-22 텐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353620B2 (ko)
KR (1) KR20210014058A (ko)
TW (1) TWI819178B (k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6584Y2 (ko) * 1977-06-09 1981-06-24
JPS59101Y2 (ja) * 1981-12-28 1984-01-05 株式会社 トヤマゴ−ルドウイン テント
CA1315643C (en) * 1989-02-20 1993-04-06 John Tsatsos Tent construction
JPH05202642A (ja) * 1991-11-15 1993-08-10 Touhei Shoji Kk テント類用防虫具
JPH0756461Y2 (ja) * 1992-05-07 1995-12-25 シンセイワ株式会社 タープテント
JPH08158707A (ja) * 1994-12-06 1996-06-18 Riken Light Metal Ind Co Ltd テント用フライシ−ト
CN101331284B (zh) 2005-11-03 2011-02-02 科尔曼公司 带有铰接的门或者窗的帐篷
US20120186618A1 (en) * 2011-01-25 2012-07-26 Reginaldo Arredondo Multi-Use Disaster Relief Tent
JP5779035B2 (ja) * 2011-08-02 2015-09-16 株式会社ロゴスコーポレーション テント
TWM525377U (zh) * 2016-03-18 2016-07-11 Bin-Shi Huang 可調式外帳結構改良
CN206409020U (zh) * 2016-12-13 2017-08-15 江苏省阿珂姆野营用品有限公司 一种野营帐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53620B2 (ja) 2023-10-02
TWI819178B (zh) 2023-10-21
JP2021021247A (ja) 2021-02-18
TW202104734A (zh) 2021-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21355A (en) Tent assembly having multiple configurations
KR100478642B1 (ko) 팽창식 텐트
CN100464050C (zh) 包括内室体的自动铺展式帐篷
US6363955B1 (en) Self-deploying tubular enclosure
AU2005200980B2 (en) Tent with window having an internal shelf
US20070295377A1 (en) Battery pack for powering multiple electrical appliances in a tent
WO2001048338A1 (en) Unitary, collapsible tri-panel structures__
US9512631B2 (en) Trampoline cover
KR20210014058A (ko) 텐트
US4198997A (en) Tension ridge tent
ES2269228T3 (es) Una tienda modular.
JP3240454U (ja) テント
JP6566777B2 (ja) ロッジ型テント
KR101929880B1 (ko) 텐트
JP2018021447A (ja) テント
JP3169545U (ja) 災害避難用仮設テント
KR102008391B1 (ko) 다기능 텐트형 모기장
RU98455U1 (ru) Павильон сборно-разборный тентовый (варианты)
KR0131336Y1 (ko) 텐트용 푸라이
JP2021055403A (ja) テント
KR102574424B1 (ko) 확장 가능한 텐트
CN210598385U (zh) 一种单人帐篷
US20220265031A1 (en) Hammock Accessory For Diverting Rain Flow
CN213710615U (zh) 可拼接、易收纳野营帐篷
JP6806391B1 (ja) テ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