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4053A - 부직포의 품질향상을 위한 부직포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부직포의 품질향상을 위한 부직포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4053A
KR20210004053A KR1020190079868A KR20190079868A KR20210004053A KR 20210004053 A KR20210004053 A KR 20210004053A KR 1020190079868 A KR1020190079868 A KR 1020190079868A KR 20190079868 A KR20190079868 A KR 20190079868A KR 20210004053 A KR20210004053 A KR 20210004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web
roller
contact
nozzl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9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5776B1 (ko
Inventor
정광영
Original Assignee
(주)정한섬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한섬유 filed Critical (주)정한섬유
Priority to KR1020190079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5776B1/ko
Publication of KR20210004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4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5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5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7/00Felting apparatus
    • D04H17/10Felting apparatus for felting between rollers, e.g. heated rollers
    • D04H17/12Multi-roller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applying, incorporating or activating chemical or thermoplastic bonding agents, e.g. adhes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착제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과잉된 접착제를 접착롤러의 외면에서 신속하게 제거함으로써 접착제를 웹의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시켜 부직포 원단의 상품성을 대폭 향상시킴은 물론 접착제에 의해 접착롤러의 표면에 과다의 점성이 발생해 웹이 접착롤러에 말려 겹쳐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부직포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부직포의 품질향상을 위한 부직포 제조장치{Manufacturing apparatus for non woven fabric}
본 발명은 부직포의 품질향상을 위한 부직포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솜을 순차적으로 가공하여 부직포 원단 형태로 제조하는 부직포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부직포는, 섬유를 짜지 않고 평행하게 놓거나 일정한 방향 없이 배열하여 만든 천으로서, 가로나 세로의 방향성이 없고 자른 가장자리의 올이 풀리는 일도 없기 때문에 의복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되며, 최근에는 공업용, 토목공사용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부직포는, 다양한 외관을 나타내어 종이, 펠트의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두께를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으며, 주름이 생기지 않으며, 사용섬유와 접착제가 합성고분자가 대부분이어서 주름방지성, 형태안정성이 크며, 직물과 같이 끝부분이 풀리는 일이 없으며, 어떠한 방향으로도 자유롭게 제단이 가능하며, 강도의범위가 넓으며, 벌키성(bulky; 부피가 늘어나는 특성)이 좋고 넓으며, 보온성이 있으며, 흡수성, 절연성, 전도성 등 다양한 특성을 보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부직포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다양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솜을 일정한 두께로 척층시킨 뒤 접착제를 도포한 후 이를 가열 압착시키는 방법으로 부직포 원단이 제조된다.
한편, 부직포 원단의 제조과정에서 접착제의 도포 두께를 균일하게 형성하지 못하면 부직포 원단 완제품의 두께 또한 균일해지지 못하여 완제품의 상품성 저하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종래의 부직포 제조장치는 통상 솜의 표면으로 접착제를 분사하거나 접착제가 도포된 한 쌍의 롤 사이에 솜을 통과하게 하여 접착제를 제조하고 있는데, 이러한 구조는 접착제를 균일하게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었을 뿐더러 접착제를 도포하는 과정에서 솜 찌꺼기가 혼합되어 완제품이 부풀어 일어나는 현상이 발생되거나 경우에 따라 솜이 롤에 감겨서 기계의 오작동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접착제의 두께를 조절하기 위해 도포된 접착제를 직접 수작업으로 걷어내기도 하지만 이 경우 작업의 위험성이 뒤따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856923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접착제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과잉된 접착제를 접착롤러의 외면에서 신속하게 제거함으로써 접착제를 웹의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시켜 부직포 원단의 상품성을 대폭 향상시킴은 물론 접착제에 의해 접착롤러의 표면에 과다의 점성이 발생해 웹이 접착롤러에 말려 겹쳐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부직포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해 얽힌 솜을 팽창시켜 저장하는 팽창부; 상기 팽창부에서 공급되는 솜을 수집해 웹 형태로 가공하는 웹형성부; 상기 웹형성부로부터 형성된 웹 상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도포부; 접착제가 도포된 웹을 열처리하여 부직포 원단을 형성하는 가열부; 및 상기 가열부를 통과한 부직포 원단을 보관롤에 권취시키는 권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팽창부는, 전면이 망사로 형성된 함체 형상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향해 압축공기와 솜을 혼합해 공급하는 압축부재;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비산되는 솜을 수집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시켜 수납하는 배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웹형성부는, 상기 배출부재에 수납된 솜을 전달받아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복수의 가압이송롤러; 상기 가압이송롤러에 의해 형성된 웹을 상부로 상승시키는 상승컨베이어; 및 상기 상승컨베이어에 의해 상승된 웹을 전달받으며 일단은 상기 상승컨베이어의 상단 주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자유단 형태로 하향 배치되어 스윙동작에 따라 웹을 하방으로 배출하여 접철시키는 스윙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착제도포부는, 웹이 통과되는 한 쌍의 접착롤러; 상기 접착롤러의 상부에서 접착롤러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된 가이드프레임;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왕복 이동되며 상기 접착롤러의 상부로 접착제를 공급하는 노즐조립체; 상기 가이드프레임 상에 서로 이격 설치되며 상기 노즐조립체가 접촉되면 접촉신호를 생성하는 한 쌍의 리턴스위치;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노즐조립체를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접착롤러 하방으로 낙하되는 접착제가 수납되는 저장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가이드프레임 상에서 서로 이격 설치된 한 쌍의 풀리에 무한궤도 형태로 감겨지며 외측으로 상기 노즐조립체가 장착되는 이송벨트; 및 상기 한 쌍의 풀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정, 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스텝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스텝모터는 접촉신호에 따라 회전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이송벨트(362)에 장착된 노즐조립체를 왕복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접착제도포부는, 상기 노즐조립체에서부터 상기 한 쌍의 접착롤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향해 연장되어 접촉되며 상기 노즐조립체를 따라 왕복 이동하여 접착롤러의 표면에 잔류된 접착제를 접착롤러의 양측 끝단으로 밀착시키는 밀착부재;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밀착부재와 연동하여 상기 접착롤러의 양 끝단에 교번적으로 접촉해 밀착부재에 의해 밀착된 접착제를 접착롤러에서 제거하는 제거부재; 및 상기 저장탱크의 상부에 배치되는 거름망;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거부재는, 양 끝단으로 갈수록 접착롤러를 향해 하향 경사지며 중앙의 회동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회동바; 및 상기 회동바의 양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접착롤러에 접촉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에서 하향 절곡되며 배출공이 타공되는 제2 면으로 구성되는 주걱;을 포함하며, 상기 주걱으로 퍼올려진 접착제는 제1 면에서 제2 면으로 유동되어 배출공으로 배출된 뒤 거름망을 통과해 저장탱크로 유입되며,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노즐조립체에서 접착롤러 측으로 연장되며 끝단에 와이퍼수단이 형성된 메인암; 및 상기 메인암에서 제거부재 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회동바에 접촉되는 서브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접착제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과잉된 접착제를 접착롤러의 외면에서 신속하게 제거함으로써 접착제를 웹의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시켜 부직포 원단의 상품성을 대폭 향상시킴은 물론 접착제에 의해 접착롤러의 표면에 과다의 점성이 발생해 웹이 접착롤러에 말려 겹쳐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 제조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스윙컨베이어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접착제도포부의 개략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방향에서 바라본 접착제도포부를 도시한 도면.
도 5 내지 도 6은 접착제도포부의 구동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접착롤러의 상부로 접착제가 과잉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8은 도 4에 도시된 A-A 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9는 회동바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밀착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실시 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 제조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스윙컨베이어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접착제도포부의 개략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방향에서 바라본 접착제도포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 내지 도 6은 접착제도포부의 구동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접착롤러의 상부로 접착제가 과잉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8은 도 4에 도시된 A-A 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 제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압축공기를 공급해 얽힌 솜을 팽창시켜 저장하는 팽창부(100), 상기 팽창부(100)에서 공급되는 솜을 수집해 웹 형태로 가공하는 웹형성부(200), 상기 웹형성부(200)로부터 형성된 웹 상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도포부(300), 접착제가 도포된 웹을 열처리하여 부직포 원단을 형성하는 가열부(400) 및 상기 가열부(400)를 통과한 부직포 원단을 보관롤에 권취시키는 권취부(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팽창부(100)를 기준으로 웹형성부(200), 접착제도포부(300), 가열부(400) 및 권취부가 순서대로 일렬 배치 구성될 수 있다.
통상, 솜 공급업체로부터 공급된 솜은 서로 뭉쳐져 압축된 형태로 공급되는데, 압축된 솜을 그대로 이용해 웹을 형성하게 되면 균일한 밀도를 가지는 부직포 원단을 형성할 수 없다는 이유로, 상기 팽창부(100)에서 솜을 팽창시키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설명에서 의미하는 웹은 접착제가 도포되기 전 솜이 서로 영겨붙어 원단 형태로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
다시, 상기 팽창부(100)는 전면이 망사로 형성된 함체 형상의 케이스(110),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를 향해 압축공기와 솜을 혼합해 공급하는 압축부재(120) 및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서 비산되는 솜을 수집해 상기 케이스(110)의 외부로 배출시켜 수납하는 배출부재(13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솜 공급업자로부터 공급받은 솜을 압축부재(120)에 투입한 뒤 압축공기와 함께 솜을 케이스(110)로 압송하게 되면 케이스(110) 내부에서 솜이 비산되고, 이 상태의 솜들은 배출부재(130)에 의해 포집되어 다시 케이스(11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케이스(110)는 전면이 망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통기성이 부여되나 내부에서 비산되는 솜은 케이스(110)의 외부로 쉽게 배출되지 않는 구성을 갖출 수 있다.
배출부재(130)는 컨베이어벨트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져 케이스(110) 내부에서 비산되는 솜들을 포집해 케이스(11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배출부재(130)에 의해 케이스(110) 내부로 배출된 솜은 웹형성부(200)로 투입된다.
다음으로, 웹형성부(200)는 배출부재(130)로부터 전달받은 솜을 가압해 원단 구조의 웹을 형성하게 된다. 웹형성부(200)는 솜을 순차적으로 반복 가압해 웹을 형성하고 접착제 도포의 편의를 위해 웹을 접철 보관되도록 하는 구조를 갖춘다.
이를 위해, 웹형성부(200)는 상기 배출부재(130)에 수납된 솜을 전달받아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복수의 가압이송롤러, 상기 가압이송롤러에 의해 형성된 웹을 상부로 상승시키는 상승컨베이어(230) 및 상기 상승컨베이어(230)에 의해 상승된 웹을 전달받으며 일단은 상기 상승컨베이어(230)의 상단 주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자유단 형태로 하향 배치되어 스윙동작에 따라 웹을 하방으로 배출하여 접철시키는 스윙컨베이어(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수의 가압이송롤러는 메인가압롤러(210)와 메인가압롤러(210) 주변으로 배치되는 보조가압롤러(220)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솜이 메인가압롤러(210)와 보조가압롤러(220) 사이를 통과하면서 서로 엉겨붙어 압착된 형태로 가공된다.
이렇게 가공된 웹은 상승컨베이어(230)를 타고 상부로 이동하였다가 다시 스윙컨베이어(240)에 의해 하방으로 선회되어 보관함(250)에 절첩 보관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윙컨베이어(240)는 일단이 스윙회동축(26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타단이 일정 곡률을 그리며 스윙하게 된다. 즉, 웹이 스윙컨베이어(240)를 타고 하방으로 배출될 때 스윙컨베이어(240)가 스윙하게 되면 보관함(250)의 내부로 웹이 자연스럽게 접철되며 저장되는 구조를 갖추게 된다.
상기 스윙회동축(260)은 도시되지 않은 철근구조물 상에 마련되어 상승컨베이어(230)가 지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된 상태로 구축될 수 있다.
보관함(250)에 절첩 보관된 웹은 접착제도포부(300) 측으로 투입되어 표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부직포 특유의 질긴 질감을 부여받게 된다.
접착제도포부(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웹이 통과되는 한 쌍의 접착롤러(310), 상기 접착롤러(310)의 상부에서 접착롤러(310)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된 가이드프레임(320), 상기 가이드프레임(320)을 따라 왕복 이동되며 상기 접착롤러(310)의 상부로 접착제를 공급하는 노즐조립체(340), 상기 가이드프레임(320) 상에 서로 이격 설치되며 상기 노즐조립체(340)가 접촉되면 접촉신호를 생성하는 한 쌍의 리턴스위치(250), 상기 가이드프레임(320)을 따라 노즐조립체(340)를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부재(360), 상기 한 쌍의 접착롤러(310) 하방으로 낙하되는 접착제가 수납되는 저장탱크(37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접착롤러(310)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그 사이로 투입되는 웹의 양면에 각각 접촉해 노즐조립체(340)로부터 공급되는 접착제를 웹의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한 쌍의 접착롤러(310)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킬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이드프레임(320)은 노즐조립체(340), 구동부재(360) 등을 지지하며, 특히 노즐조립체(340)의 왕복 이동 경로를 제공한다. 가이드프레임(320)의 양단은 메인프레임(330)에 의해 지지되어 지면으로부터 상부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노즐조립체(340)는 별도 접착제공급원에 의해 접착제를 공급받아 가이드프레임(320)의 하부에 배치된 접착롤러(310)를 향해 접착제를 공급한다.
공급된 접착제는 한 쌍의 접착롤러(310) 사이를 통과하는 웹의 표면에 도포되며, 도포하고 남은 잔량은 접착롤러(310) 표면에 잔류하여 후술 될 밀착부재(380)와 제거부재(390)의 상호작용에 의해 접착롤러(310)의 표면에서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노즐조립체(340)는 가이드프레임(320)에 장착된 상태에서 구동부재(360)와 맞물려 있으며, 상기 구동부재(360)는 노즐조립체(340)를 상기 한 쌍의 리턴스위치(250)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키게 되는 구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한 쌍의 리턴스위치(250) 각각은 가이드프레임(320)의 양 끝단에 배치되며 노즐조립체(340)가 구동부재(360)에 의해 가이드프레임(320)을 주행하다가 어느 하나의 리턴스위치(250)와 접촉되면 접촉신호를 생성해 구동부재(360)의 구동방향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구동부재(360)는 상기 가이드프레임(320) 상에서 서로 이격 설치된 한 쌍의 풀리(361)에 무한궤도 형태로 감겨지며 외측으로 상기 노즐조립체(340)가 장착되는 이송벨트(362) 및 상기 한 쌍의 풀리(36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정, 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스텝모터(363)를 포함하며, 상기 스텝모터(363)는 접촉신호에 따라 회전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이송벨트(362)에 장착된 노즐조립체(340)를 왕복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스텝모터(363)는 한 쌍의 풀리(361) 중 어느 하나와 연동되어 있으며 스텝모터(363)가 회전하면 이와 연동하여 풀리(361)가 회전하고, 풀리(361)에 무한궤도 형태로 감긴 이송벨트(362)가 회전하면서 노즐조립체(340)를 직선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원리이다.
이때 스텝모터(363)는 상기 접촉신호의 발생에 따라 회전 방향을 전환하게 되는데, 일례로, 노즐조립체(340)가 도 5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다가 일측의 리턴스위치(250)에 접촉해 접촉신호가 생성되면 스텝모터(363)의 회전구동방향이 역방향으로 전환되면서 노즐조립체(340)의 이동방향이 도 6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선회하여 주행하게 된다.
즉, 노즐조립체(340)는 한 쌍의 리턴스위치(250) 사이 거리에서 왕복 이동하면서 접착롤러(310)의 상부로 접착제를 고루 제공하게 된다.
한편, 접착롤러(310) 상부로 제공되는 접착제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접착롤러(310)의 상부에 쌓이게 된다. 접착제가 원활히 배출되지 못하고 접착롤러(310)에 쌓이게 될 경우 접착제가 접착롤러(310)의 외면을 타고 흘러내려 한 쌍의 접착롤러(310) 사이를 통과하는 웹의 표면에 불규칙하게 침투되거나 접착롤러(310)의 표면에 점성을 야기시켜 웹이 다층으로 겹쳐지는 현상이 발생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 제조장치는 접착롤러(310)에 쌓이는 접착제를 신속하게 제거함으로써 웹의 표면으로 균일한 접착제의 공급이 가능토록 하였다.
이를 위해, 상기 접착제도포부(300)는 상기 노즐조립체(340)에서부터 상기 한 쌍의 접착롤러(3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향해 연장되어 접촉되며 상기 노즐조립체(340)를 따라 왕복 이동하여 접착롤러(310)의 표면에 잔류된 접착제를 접착롤러(310)의 양측 끝단으로 밀착시키는 밀착부재(380), 상기 가이드프레임(32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밀착부재(380)와 연동하여 상기 접착롤러(310)의 양 끝단에 교번적으로 접촉해 밀착부재(380)에 의해 밀착된 접착제를 접착롤러(310)에서 제거하는 제거부재(390) 및 상기 저장탱크(370)의 상부에 배치되는 거름망(M)을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갖춘다.
상기 밀착부재(380)는 자동차 유리의 와이퍼 개념과 유사하며 상기 노즐조립체(340)의 왕복 이동방향을 따라 함께 이동하면서 접착롤러(310)의 표면에 쌓인 과잉된 접착제를 접착롤러(310)의 양 끝단으로 밀착시키게 된다.
그리고, 제거부재(390)는 밀착부재(380)에 의해 접착롤러(310)의 양 끝단으로 밀착된 과잉 접착제를 퍼올린 후 이를 저장탱크(370)를 향해 낙하시킨다.
상기 제거부재(390)는 양 끝단으로 갈수록 접착롤러(310)를 향해 하향 경사지며 중앙의 회동축(391)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회동바(392) 및 상기 회동바(392)의 양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접착롤러(310)에 접촉되는 제1 면(393)과 상기 제1 면(393)에서 하향 절곡되며 배출공(395)이 타공되는 제2 면(394)으로 구성되는 주걱(396)을 포함하며, 상기 주걱(396)으로 퍼올려진 접착제는 제1 면(393)에서 제2 면(394)으로 유동되어 배출공(395)으로 배출된 뒤 거름망(M)을 통과해 저장탱크(370)로 유입되는 구조를 갖춘다.
회동바(392)는 중심의 회동축(391)을 기준으로 양단이 점진적으로 하방을 향해 경사 절곡되어 있다. 회동바(392)는 노즐조립체(340)의 이동에 따라 이와 연동하여 회동될 수 있으며, 특히, 회동바(392)가 회동되면 회동바(392)의 양 끝단에 형성된 주걱(396)이 교번적으로 접착롤러(310)의 끝단에 접촉된다.
노즐조립체(340)가 도 5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면 밀착부재(380)의 일부가 회동바(392)의 일측을 들어올리면서 회동바(392)의 타단이 접착롤러(310) 방향으로 하강하여 된다. 회동바(392)의 타단이 접착롤러(310) 방향으로 하강하게 되면 회동바(392)의 타단에 마련된 주걱(396)이 밀착부재(380)에 의해 끝단으로 밀착된 과잉 접착제를 퍼 올릴 준비가 완료된다.
그 다음, 도 6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노즐조립체(340)의 이동방향이 전환되면 밀착부재(380)의 일부가 회동바(392)의 타측을 들어올리면서 회동바(392)의 타단에 마련된 주걱(396)이 과잉 접착제를 퍼 올리게 되는 원리이다.
즉, 노즐조립체(340)가 왕복 이동되면 이에 따라 제거부재(390)가 시소와 같은 원리로 반복 회동되면서 주걱(396)이 접착롤러(310)의 양 끝단으로 밀려난 과잉 접착제를 퍼 올리게 되는 것이다.
주걱(396)으로 퍼 올려진 과잉 접착제는 제2 면(394)의 배출공(395)으로 배출되어 저장탱크(370)로 낙하되는데, 저장탱크(370)로 낙하되는 과정에서 거름망(M)을 통과하게 된다.
거름망(M)을 통과한 접착제는 접착제에 포함된 이물질이 걸러진 상태로 저장탱크(370)에 저장되고, 상기 저장탱크(370)에 저장된 접착제는 접착제공급원으로 귀환되는 순환구조를 갖출 수 있다.
한편, 상기 밀착부재(38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조립체(340)에서 접착롤러(310) 측으로 연장되며 끝단에 와이퍼수단(381)이 형성된 메인암(382) 및 상기 메인암(382)에서 제거부재(390) 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회동바(392)에 접촉되는 서브암(383)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예시될 수 있다.
와이퍼수단(381)은 실리콘재질로 형성되어 접착롤러(310)의 표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상기 서브암(383)은 회동바(392)에 접촉해 회동바(392)를 밀어 올리는 작용을 담당하게 된다.
접착제도포부(300)를 통과해 접착제를 머금은 웹은 가열부(400)로 전달된다. 가열부(400)는 복수의 가열롤러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복수의 가열롤러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접착제가 건조되어 부직포 특유의 질기고 거친 질감을 형성한 부직포 원단이 형성된다.
가열부(400)를 통과한 부직포 원단은 권취부로 전달되어 적정 량 보관롤에 권취된 상태로 보관이 이루어진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바(392)의 양 끝 지점 하부에는 상기 서브암(383)과의 접촉에 따라 제거부재(390) 전체에 진동을 형성하기 위한 진동발생돌기(397)가 돌출될 수도 있다.
서브암(383)이 회동바(392)를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상기 진동발생돌기(397)에 반복적으로 접촉되어 제거부재(390) 자체에 진동을 가하게 되면 이 진동이 주걱(396)까지 전이되어 주걱(396)으로 퍼올려진 접착제에 흐름성이 향상되어 보다 신속하게 배출공(395)으로 접착제가 흘러들어갈 수 있다.
또한, 도 4의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면(393)에는 주걱(396)으로 퍼올려진 접착제가 재2 면(394)이 형성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범람되지 않도록 방지턱(398)이 형성될 수 있다.
만일 접착제가 제2 면(394)이 형성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범람되면 주걱(396)에 의해 퍼올려진 접착제가 다시 접착롤러(310)를 향해 유입될 수 있다.
도 10은 밀착부재(38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밀착부재(380)가 상기 메인암(382)에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접착롤러(310)에서 배출되는 웹을 가압해 접착롤러(310)에서 이격시키는 이격부재(384)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이격부재(384)는 접착롤러(310)로 배출되는 웹이 접착롤러(310)에 다시 감겨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접착롤러(310)와 웹을 서로 이격시키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일례로, 상기 이격부재(383)는, 상기 메인암(382)에서부터 연장되는 제1 이격암(385), 상기 제1 이격암(385)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끝단에는 웹과 접촉되는 볼캐스터부재(388)가 마련되는 제2 이격암(386) 및 상기 제1 이격암(385)과 제2 이격암(386)에 상호 연결 설치되는 탄성스프링(387)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예시될 수 있다.
즉, 이격부재(384)는 접착롤러(310)에서 배출되는 웹을 가압하되, 탄성적으로 회동되는 관절구조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최소한의 압력으로 웹을 가압할 수 있으며, 특히, 볼캐스터부재(388)는 이격부재(384)가 노즐조립체(340)를 따라 왕복 이동되면서 웹을 가압할 때 웹의 표면에 미끄럽게 접촉되어 접착제가 도포된 웹의 밀도를 시키는 등의 문제점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상기 볼캐스터부재(388)는, 일례로, 스틸볼(388a), 상기 스틸볼(388a)을 수용하는 채널(388b)을 형성하고 상기 스틸볼(388a)의 일부를 하부로 노출시키는 하우징(388c) 및 상기 채널(388b)의 벽면과 스틸볼(388a) 사이에 개재되는 이격볼(388d)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으나, 공지된 다양한 볼캐스터의 구조로 변형실시가 가능함을 밝힌다.
정리하면, 본 발명은 접착제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과잉된 접착제를 접착롤러의 외면에서 신속하게 제거함으로써 접착제를 웹의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시켜 부직포 원단의 상품성을 대폭 향상시킴은 물론 접착제에 의해 접착롤러의 표면에 과다의 점성이 발생해 웹이 접착롤러에 말려 겹쳐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팽창부 200: 웹형성부
300: 접착제도포부 400: 가열부
310: 접착롤러 320: 가이드프레임
340: 노즐조립체 350: 리턴스위치
360: 구동부재 370: 저장탱크
380: 밀착부재 390: 제거부재

Claims (5)

  1. 압축공기를 공급해 얽힌 솜을 팽창시켜 저장하는 팽창부;
    상기 팽창부에서 공급되는 솜을 수집해 웹 형태로 가공하는 웹형성부;
    상기 웹형성부로부터 형성된 웹 상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도포부;
    접착제가 도포된 웹을 열처리하여 부직포 원단을 형성하는 가열부; 및
    상기 가열부를 통과한 부직포 원단을 보관롤에 권취시키는 권취부;를 포함하며,
    상기 팽창부는,
    전면이 망사로 형성된 함체 형상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향해 압축공기와 솜을 혼합해 공급하는 압축부재;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비산되는 솜을 수집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시켜 수납하는 배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의 품질향상을 위한 부직포 제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웹형성부는,
    상기 배출부재에 수납된 솜을 전달받아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복수의 가압이송롤러;
    상기 가압이송롤러에 의해 형성된 웹을 상부로 상승시키는 상승컨베이어; 및
    상기 상승컨베이어에 의해 상승된 웹을 전달받으며 일단은 상기 상승컨베이어의 상단 주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자유단 형태로 하향 배치되어 스윙동작에 따라 웹을 하방으로 배출하여 접철시키는 스윙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의 품질향상을 위한 부직포 제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도포부는,
    웹이 통과되는 한 쌍의 접착롤러;
    상기 접착롤러의 상부에서 접착롤러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된 가이드프레임;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왕복 이동되며 상기 접착롤러의 상부로 접착제를 공급하는 노즐조립체;
    상기 가이드프레임 상에 서로 이격 설치되며 상기 노즐조립체가 접촉되면 접촉신호를 생성하는 한 쌍의 리턴스위치;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노즐조립체를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접착롤러 하방으로 낙하되는 접착제가 수납되는 저장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가이드프레임 상에서 서로 이격 설치된 한 쌍의 풀리에 무한궤도 형태로 감겨지며 외측으로 상기 노즐조립체가 장착되는 이송벨트; 및
    상기 한 쌍의 풀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정, 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스텝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스텝모터는 접촉신호에 따라 회전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이송벨트에 장착된 노즐조립체를 왕복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의 품질향상을 위한 부직포 제조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도포부는,
    상기 노즐조립체에서부터 상기 한 쌍의 접착롤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향해 연장되어 접촉되며 상기 노즐조립체를 따라 왕복 이동하여 접착롤러의 표면에 잔류된 접착제를 접착롤러의 양측 끝단으로 밀착시키는 밀착부재;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밀착부재와 연동하여 상기 접착롤러의 양 끝단에 교번적으로 접촉해 밀착부재에 의해 밀착된 접착제를 접착롤러에서 제거하는 제거부재; 및
    상기 저장탱크의 상부에 배치되는 거름망;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거부재는,
    양 끝단으로 갈수록 접착롤러를 향해 하향 경사지며 중앙의 회동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회동바; 및
    상기 회동바의 양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접착롤러에 접촉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에서 하향 절곡되며 배출공이 타공되는 제2 면으로 구성되는 주걱;을 포함하며,
    상기 주걱으로 퍼올려진 접착제는 제1 면에서 제2 면으로 유동되어 배출공으로 배출된 뒤 거름망을 통과해 저장탱크로 유입되며,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노즐조립체에서 접착롤러 측으로 연장되며 끝단에 와이퍼수단이 형성된 메인암; 및
    상기 메인암에서 제거부재 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회동바에 접촉되는 서브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의 품질향상을 위한 부직포 제조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회동바의 양 끝 지점 하부에는 상기 서브암과의 접촉에 따라 제거부재 전체에 진동을 형성하기 위한 진동발생돌기가 돌출되며, 상기 제1 면에는 주걱으로 퍼올려진 접착제가 재2 면이 형성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범람되지 않도록 방지턱이 형성되며,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메인암에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접착롤러에서 배출되는 웹을 가압해 접착롤러에서 이격시키는 이격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격부재는,
    상기 메인암에서부터 연장되는 제1 이격암;
    상기 제1 이격암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끝단에는 웹과 접촉되는 볼캐스터부재가 마련되는 제2 이격암; 및
    상기 제1 이격암과 제2 이격암에 상호 연결 설치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의 품질향상을 위한 부직포 제조장치.
KR1020190079868A 2019-07-03 2019-07-03 부직포의 품질향상을 위한 부직포 제조장치 KR102225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868A KR102225776B1 (ko) 2019-07-03 2019-07-03 부직포의 품질향상을 위한 부직포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868A KR102225776B1 (ko) 2019-07-03 2019-07-03 부직포의 품질향상을 위한 부직포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053A true KR20210004053A (ko) 2021-01-13
KR102225776B1 KR102225776B1 (ko) 2021-04-01

Family

ID=74142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9868A KR102225776B1 (ko) 2019-07-03 2019-07-03 부직포의 품질향상을 위한 부직포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57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34137A (zh) * 2022-05-23 2022-08-02 任静文 压合式隔音棉用板状棉卷无纺布贴合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9369A (ja) * 1994-09-21 1996-04-09 Watahoshi Sangyo Kk 繊維製クッション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00063741A (ko) * 2000-07-27 2000-11-06 이홍기 삼베를 포함하는 인조솜 및 그 제조 방법
KR100755958B1 (ko) * 2006-05-29 2007-09-06 이권혁 대나무 섬유용 펄프를 이용한 부직포 제조공정
KR101856923B1 (ko) 2018-02-08 2018-05-10 박진성 폭 조절이 가능한 부직포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9369A (ja) * 1994-09-21 1996-04-09 Watahoshi Sangyo Kk 繊維製クッション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00063741A (ko) * 2000-07-27 2000-11-06 이홍기 삼베를 포함하는 인조솜 및 그 제조 방법
KR100755958B1 (ko) * 2006-05-29 2007-09-06 이권혁 대나무 섬유용 펄프를 이용한 부직포 제조공정
KR101856923B1 (ko) 2018-02-08 2018-05-10 박진성 폭 조절이 가능한 부직포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34137A (zh) * 2022-05-23 2022-08-02 任静文 压合式隔音棉用板状棉卷无纺布贴合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5776B1 (ko) 2021-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525435A (ja) 布材を乾式形成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03249884A (zh) 无纺布及其制造方法以及擦拭材料
KR102225776B1 (ko) 부직포의 품질향상을 위한 부직포 제조장치
JP4594536B2 (ja) シュープレス用ベ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7611594B2 (en) Method of making a fiber laminate
JP7128682B2 (ja) 不織布ワイパ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CA2080487C (fr) Procede d'impregnation d'une nappe textile
JP6615535B2 (ja) 不織布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2020128602A (ja) 複合型不織布とその製造方法
CN112981727A (zh) 一种水刺机
JP7461739B2 (ja) 複合型不織布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WO2021139945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verbundvlieswarenbah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verbundvlieswarenbahn
US1953457A (en) Process of building fibrous sheets
JP7509539B2 (ja) 複合型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8044260A (ja) 複合型不織布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EP1359241A1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multi-layer non-woven fabric material provided with at least one layer with areas having a different fibre density, non-woven fabric material produced with said method and moistened cloth prepared with this material, in particular for cleaning floors
CN112877915A (zh) 有吸毛边系统无纺布铺网装置及在非织造布生产中的应用
KR100299747B1 (ko) 정전기 제거용 펠트 및 그 제조방법과 장치
JP6473312B2 (ja) 交絡不織布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4958447B2 (ja) 抄紙搬送フェルト
CN218948641U (zh) 一种擦拭用水刺无纺布
EP3359379B1 (en) Method for fabricating cleaning cloths for printing cylinders
JP2017008424A (ja) 塗剤塗付用クロスの製造方法
KR101945832B1 (ko) 부직포원단의 격자상 입체무늬 성형방법, 이에 사용되는 제조장치
JP2017136154A (ja) 清掃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