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1505A -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1505A
KR20200141505A KR1020207032869A KR20207032869A KR20200141505A KR 20200141505 A KR20200141505 A KR 20200141505A KR 1020207032869 A KR1020207032869 A KR 1020207032869A KR 20207032869 A KR20207032869 A KR 20207032869A KR 20200141505 A KR20200141505 A KR 20200141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ipulator
priority
elevator
unit
manipula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2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1290B1 (ko
Inventor
준 이노우에
노리히로 쵸토쿠
겐이치 고이즈미
소 미나키
신고 미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41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1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1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1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7/00Hoistway equipment
    • B66B17/14Applications of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
    • B66B17/16Applications of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 for loading and unloading mining-hoist cars or cages
    • B66B17/20Applications of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 for loading and unloading mining-hoist cars or cages by moving vehicles into, or out of, the cars or c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02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87Devices facilitating maintenance, repair or inspection tasks

Abstract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는, 통신 접속되어 있는 조작기인 접속 조작기를 검지하고, 접속 조작기의 각각으로부터, 조작기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와, 조작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조작기 정보를 취득하는 조작기 관리부와, 검지된 접속 조작기 중에서, 접속 조작기마다 취득된 조작기 정보에 기초하여, 우선적으로 엘리베이터를 원격 조작하는 권한인 우선권을 부여하는 우선 조작기를 결정하는 우선권 결정부와, 결정된 우선 조작기에 우선권을 부여하는 우선권 부여부와, 우선권이 부여된 우선 조작기로부터 송신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신호에 따라서,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본 발명은 통신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조작기 중에서, 우선적으로 엘리베이터를 원격 조작하는 권한을 부여하는 조작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를 보수하는 보수원이 조작하는 조작기와,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반이 통신 접속되어, 조작기측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제어반을 제어함으로써, 엘리베이터를 원격으로부터 조작 가능한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6-117375호
여기서, 복수의 보수원이 각각 소유하는 복수의 조작기가 동일한 엘리베이터 제어반에 통신 접속되는 경우에, 어느 조작기로부터도 엘리베이터를 원격으로부터 조작하는 것이 가능한 엘리베이터에 대해서 생각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에서는, 복수의 보수원은, 서로 구두에 의한 의사소통을 도모함으로써, 누구의 조작기로부터 엘리베이터를 조작할지를 결정하게 된다.
그렇지만, 복수의 보수원 사이에서 의사소통을 도모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 누구의 조작기로부터 엘리베이터를 조작할지를 적절히 결정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 위에 있는 보수원과, 승강장에 있는 보수원의 사이에서, 누구의 조작기로부터 엘리베이터를 조작할지를 결정하지 않은 상황에서, 승강장에 있는 보수원이, 엘리베이터 칸 위에 있는 보수원에게 확인하는 일 없이, 자신의 조작기에 의해서 엘리베이터를 조작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복수의 보수원 사이에서 의사소통을 도모하지 않아도, 엘리베이터 제어반에 통신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조작기 중에서, 우선적으로 엘리베이터를 원격 조작하는 권한(이하, 우선권이라고 칭함)을 부여하는 조작기를 자동적으로 결정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통신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조작기 중에서, 우선적으로 엘리베이터를 원격 조작하는 권한을 부여하는 조작기를 자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는, 복수의 조작기와 통신 접속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로서, 통신 접속되어 있는 조작기인 접속 조작기를 검지하고, 접속 조작기의 각각으로부터, 조작기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와, 조작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조작기 정보를 취득하는 조작기 관리부와, 조작기 관리부에 의해서 검지된 접속 조작기 중에서, 접속 조작기마다 취득된 조작기 정보에 기초하여, 우선적으로 엘리베이터를 원격 조작하는 권한인 우선권을 부여하는 우선 조작기를 결정하는 우선권 결정부와, 우선권 결정부에 의해서 결정된 우선 조작기에 우선권을 부여하는 우선권 부여부와, 우선권 부여부에 의해서 우선권이 부여된 우선 조작기로부터 송신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신호에 따라서,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부를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방법은, 복수의 조작기와 통신 접속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에 의해서 행해지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방법으로서, 통신 접속되어 있는 조작기인 접속 조작기를 검지하고, 접속 조작기의 각각으로부터, 조작기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와, 조작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조작기 정보를 취득하는 스텝과, 검지된 접속 조작기 중에서, 접속 조작기마다 취득된 조작기 정보에 기초하여, 우선적으로 엘리베이터를 원격 조작하는 권한인 우선권을 부여하는 우선 조작기를 결정하는 스텝과, 결정된 우선 조작기에 우선권을 부여하는 스텝과, 우선권이 부여된 우선 조작기로부터 송신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신호에 따라서,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스텝을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조작기 중에서, 우선적으로 엘리베이터를 원격 조작하는 권한을 부여하는 조작기를 자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조작기 관리부가 유지하는 조작기 관리 테이블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우선권 결정부가 유지하는 우선권 결정 테이블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에 의해서 행해지는 우선권 부여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에 의해서 행해지는 엘리베이터 제어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에 의해서 행해지는 우선권 부여 변경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에 의해서 행해지는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을,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라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덧붙여, 도면의 설명에 있어서는, 동일 부분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은 각각이 엘리베이터를 원격으로부터 조작 가능하게 구성된 복수의 조작기(1)와, 복수의 조작기(1)와 통신 접속 가능하게 구성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2)를 구비한다. 덧붙여, 도 1에서는, 조작기(1)의 수가 「2」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조작기(1)는 제어 장치(2)와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해서 통신 접속하는 통신 기능과, 통신 접속되어 있는 제어 장치(2)에, 엘리베이터를 원격으로부터 제어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제어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조작기(1)측으로부터 엘리베이터를 원격 조작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기능과, 우선권이 부여되어 있는 경우에 그 우선권을 소유하고 있는 것을 표시하는 표시 기능을 구비한다.
통신 기능은, 예를 들면, 유선 통신기, 무선 통신기 등에 의해서 실현된다. 엘리베이터 제어 기능은, 예를 들면, 연산 처리를 실행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와, 프로그램 데이터, 고정값 데이터 등의 데이터를 기억하는 ROM(Read Only Memory)과, 격납되어 있는 데이터를 갱신하여 차례로 고쳐 쓸 수 있는 RAM(Random Access Memory) 등에 의해서 실현된다. 표시 기능은, 예를 들면, GUI(Graphical User Interface), LED(Light Emitting Diode), 기계적 스위치 등에 의해서 실현된다.
조작기(1)는 상술한 통신 기능 및 엘리베이터 제어 기능을 구비한 구성이면, 어떻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조작기(1)로서, 예를 들면, 건물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를 보수하는 보수원이 소유하는 휴대 단말,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건물의 외부로부터 엘리베이터를 원격 감시하는 정보 센터에 마련되는 단말, 엘리베이터를 자율적으로 보수하는 자율 로봇 등을 들 수 있다. 보수원이 소유하는 휴대 단말로서는, 예를 들면, 유선 리모콘, 무선 리모콘, 스마트 폰, 퍼스널 컴퓨터 등을 들 수 있다.
조작기(1)에는, 조작기(1)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11)와, 조작기(1)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검출하는 상태 검출부(12)가 마련된다. 조작기(1)는 위치 검출부(11)에 의해서 검출되는 위치 정보와, 상태 검출부(12)에 의해서 검출되는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조작기 정보를, 통신 접속되어 있는 제어 장치(2)에 송신한다.
조작기(1)의 위치 정보는, 조작기(1)가 엘리베이터의 어느 장소에 위치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위치 검출부(11)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의 피트,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위,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내,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건물의 외부 등에 조작기(1)가 위치하는 것을, 조작기(1)의 위치 정보로서 검출한다.
위치 검출부(11)는, 예를 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비콘, Wi-Fi, 조작기(1)가 받는 기압, 조작기(1)의 IP(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 등을 이용하여, 조작기(1)의 위치 정보를 검출한다.
조작기(1)의 상태 정보는, 조작기(1)에 의해서 엘리베이터가 원격으로부터 조작되는 경우의 조작기(1)의 조작 상태가 정상인지 이상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조작기(1)가 보수원, 즉 사람에 의해서 조작되는 구성인 경우, 상태 검출부(12)는 조작기(1)를 조작하는 보수원의 신체의 상태가 정상인지 이상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조작기(1)의 상태 정보로서 검출한다. 즉, 조작기(1)의 상태 정보는, 조작기(1)를 조작하는 사람의 신체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이 경우, 상태 검출부(12)는, 예를 들면, 조작기(1)의 가속도나 기압, 조작기(1)를 조작하는 보수원의 심박수 등을 검출함으로써, 보수원의 신체의 상태가 정상인지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상태 검출부(12)는 외부의 활동량계 등이어도 된다.
조작기(1)가 사람에 의해서 조작되는 구성이 아닌 경우, 즉, 조작기(1)가 자율 로봇인 경우, 조작기(1)의 기능이 정상인지 이상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조작기(1)의 상태 정보로서 검출한다.
제어 장치(2)는, 예를 들면, 연산 처리를 실행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와, 프로그램 데이터, 고정값 데이터 등의 데이터를 기억하는 ROM(Read Only Memory)과, 격납되어 있는 데이터를 갱신하여 차례로 고쳐 쓸 수 있는 RAM(Random Access Memory) 등에 의해서 실현된다.
제어 장치(2)는 조작기 관리부(21), 우선권 결정부(22), 우선권 부여부(23) 및 엘리베이터 제어부(24)를 구비한다. 제어 장치(2)의 기능은, 예를 들면 기계실에 마련되는 엘리베이터 제어반에 실장된다.
조작기 관리부(21)는 제어 장치(2)와 통신 접속되어 있는 조작기(1)인 접속 조작기로의 우선권의 부여 상황을 관리하기 위한 조작기 관리 테이블을 유지한다. 조작기 관리부(21)는 접속 조작기를 검지하고, 검지된 접속 조작기의 각각으로부터 조작기 정보를 취득한다. 구체적인 예로서, 조작기 관리부(21)는 접속 조작기와 무선 통신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폴링에 의해서 그 접속 조작기를 검지하고, 접속 조작기와 유선 통신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접점 입력을 검출함으로써 그 접속 조작기를 검지한다.
여기서, 조작기 관리부(21)가 유지하는 조작기 관리 테이블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조작기 관리부(21)가 유지하는 조작기 관리 테이블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기 관리 테이블은, 접속 조작기와, 그 접속 조작기로의 우선권의 부여 상황이 관련지어진 테이블이다.
도 2에 나타내는 「조작기」는, 제어 장치(2)와 통신 접속되어 있는 접속 조작기를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식별 번호#1~#5의 5개의 조작기(1)가 접속 조작기로서 등록되어 있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우선권 부여」는, 「조작기」에 등록되어 있는 조작기(1)로의 우선권의 부여 상황을 나타내고, 우선권이 부여되어 있는 조작기(1)에 대응하는 「우선권 부여」에 「1」이 설정되고, 우선권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조작기(1)에 대응하는 「우선권 부여」에 「0」이 설정된다. 여기에서는, 조작기#1에 대응하는 「우선권 부여」에 「1」이 설정되고, 나머지의 조작기#2~#5에 대응하는 「우선권 부여」에 「0」이 설정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우선권 결정부(22)는 접속 조작기 중에서, 우선권을 부여하는 조작기(1)(이하, 우선 조작기를 칭함)를 결정하기 위한 우선권 결정 테이블을 유지한다. 우선권 결정부(22)는 우선권 결정 테이블을 참조하여, 접속 조작기마다 우선 순위를 산출하고, 그 산출 결과에 기초하여, 접속 조작기 중에서,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접속 조작기를 우선 조작기로서 결정한다.
여기서, 우선권 결정부(22)가 유지하는 우선권 결정 테이블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우선권 결정부(22)가 유지하는 우선권 결정 테이블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권 결정 테이블은 접속 조작기와, 그 접속 조작기에 대응하는 조작기 정보와, 그 접속 조작기에 우선권을 부여하는 우선 순위와, 그 접속 조작기로의 우선권의 부여 상황이 관련지어진 테이블이다.
도 3에 나타내는 「조작기」는 제어 장치(2)와 통신 접속되어 있는 접속 조작기를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식별 번호#1~#5의 5개의 조작기(1)가 접속 조작기로서 등록되어 있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조작기 정보」는, 「조작기」에 등록되어 있는 조작기(1)마다 취득되는 조작기 정보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조작기#1의 위치 검출부(11)에 의해서 조작기#1이 엘리베이터의 피트에 위치하는 것이 위치 정보로서 검출되었을 경우,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기#1에 대응하는 「조작기 정보」의 「위치」가 「피트」가 된다. 또, 조작기#1의 상태 검출부(12)에 의해서 조작기#1의 조작 상태가 정상인 것이 상태 정보로서 검출되었을 경우,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기#1에 대응하는 「조작기 정보」의 「상태」가 「정상」이 된다.
도 3에 나타내는 「우선 순위」는, 「조작기」에 등록되어 있는 조작기(1)마다 산출되는 우선 순위를 나타낸다.
접속 조작기마다 우선 순위를 산출하는 룰은, 미리 규정되는 것이며, 어떻게 규정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룰로서, 예를 들면, 이하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조작기(1)의 위치 정보에 따라서, 보수원에게 미치는 위험의 레벨이 높은 조작기(1)로부터 차례로 우선 순위를 부여하는 룰을 생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작기(1)의 위치, 즉 조작기(1)를 조작하는 보수원의 위치에 따라서, 보수원에게 미치는 위험의 레벨을 생각한다.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외부, 엘리베이터 승강장,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내,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위, 엘리베이터의 피트의 순으로, 보수원에게 미치는 위험의 레벨이 높아지도록 규정된다. 이 경우, 보수원에게 미치는 위험의 레벨이 높은 조작기(1)의 순서, 즉, 조작기#1, 조작기#3, 조작기#4, 조작기#2, 조작기#5의 순으로 우선 순위가 최상위부터 차례로 부여된다.
이와 같이, 조작기(1)의 위치 정보에 따라서, 보수원에게 미치는 위험의 레벨이 높은 조작기(1)부터 차례로 우선 순위가 최상위부터 차례대로 부여되는 룰이 규정되는 경우, 위험의 레벨이 가장 높은 「피트」에 위치하는 조작기#1의 우선 순위가 최상위, 즉 1위가 되고, 위험의 레벨이 가장 낮은 「외부」에 위치하는 조작기#5의 우선 순위가 최하위, 즉 5위가 된다. 이 경우,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조작기#1이 우선 조작기로서 결정된다.
또, 조작기(1)의 상태가 정상이 아니고, 이상이면, 이러한 조작기(1)로부터 엘리베이터가 원격 조작될 때, 오조작이 행해질 가능성이 있다. 이에, 상술한 룰에 있어서, 보수원에게 미치는 위험의 레벨에 상관없이, 상태가 이상인 조작기(1)의 우선 순위가 최하위가 되도록 규정된다. 또한, 조작기(1)가 자율 로봇인 경우, 이러한 조작기(1)로부터 엘리베이터가 원격 조작될 때, 오조작이 행해질 가능성이 있다. 이에, 상술의 룰에 있어서, 사람에 의해서 조작되는 구성의 조작기(1)의 우선 순위는, 사람에 의해서 조작되지 않는 구성의 조작기(1)의 우선 순위보다도 높아지도록 규정된다.
도 3에 나타내는 「우선권 부여」는, 「조작기」에 등록되어 있는 조작기(1)로의 우선권의 부여 상황을 나타내고, 우선권이 부여되어 있는 조작기(1)에 대응하는 「우선권 부여」에 「1」이 설정되고, 우선권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조작기(1)에 대응하는 「우선권 부여」에 「0」이 설정된다. 여기에서는, 조작기#1에 대응하는 「우선권 부여」에 「1」이 설정되고, 나머지의 조작기#2~#5에 대응하는 「우선권 부여」에 「0」이 설정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우선권 결정부(22)는 조작기 관리부(21)에 의해서 검지된 접속 조작기 중에서, 접속 조작기마다 취득된 조작기 정보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부여하는 우선 조작기를 결정한다.
우선권 부여부(23)는 우선권 결정부(22)에 의해서 결정된 우선 조작기에 우선권을 부여한다. 이 경우, 우선권이 부여되어 있는 조작기(1)는, 표시 기능에 의해서, 우선권을 소유하고 있는 것을 표시한다.
엘리베이터 제어부(24)는 엘리베이터 전체를 제어한다. 엘리베이터 제어부(24)는 우선권이 부여되어 있는 조작기(1)로부터 수신한 엘리베이터 제어 신호에 따라서, 엘리베이터를 제어한다. 한편, 엘리베이터 제어부(24)는 우선권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조작기(1)로부터 수신한 엘리베이터 제어 신호를 무시한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제어부(24)는 우선권 부여부(23)에 의해서 우선권이 부여된 우선 조작기로부터 송신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신호에 따라서, 엘리베이터를 제어한다. 즉, 엘리베이터 제어부(24)는 엘리베이터 제어 신호를 송신한 조작기(1)에 우선권이 부여되어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그 엘리베이터 제어 신호에 따라서, 엘리베이터를 제어한다. 따라서, 제어 장치(2)와 통신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조작기(1) 중에서, 우선권이 부여되어 있는 조작기(1)만이 엘리베이터를 원격으로부터 조작할 수 있다.
다음에, 제어 장치(2)가 정기적으로 행하는 우선권 부여 처리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2)에 의해서 행해지는 우선권 부여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스텝 S101에 있어서, 조작기 관리부(21)는 통신 접속되어 있는 접속 조작기를 검지한다. 그 후, 처리가 스텝 S102로 진행한다.
스텝 S102에 있어서, 조작기 관리부(21)는, 스텝 S101에서 검지된 접속 조작기 중에서, 조작기 관리 테이블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조작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102에 있어서, 검지된 접속 조작기 중에서, 조작기 관리 테이블에 미등록된 조작기가 존재한다(즉, YES)고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103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다(즉, NO)고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104로 진행한다.
스텝 S103에 있어서, 조작기 관리부(21)는, 스텝 S102에서 존재한다고 판단된 미등록된 조작기를 조작기 관리 테이블에 새롭게 등록한다. 조작기 관리부(21)는 조작기 관리 테이블에 등록한 조작기를 우선권 결정부(22)에 통지한다. 우선권 결정부(22)는 조작기 관리부(21)로부터 통지된 조작기를, 우선권 결정 테이블에 새롭게 등록한다. 그 후, 처리가 스텝 S104로 진행한다.
조작기 관리부(21)는 조작기 관리 테이블에 조작기를 새롭게 등록할 때, 그 조작기에 대응하는 「우선권 부여」를 「0」으로 설정한다. 마찬가지로, 우선권 결정부(22)는 우선권 결정 테이블에 조작기를 새롭게 등록할 때, 그 조작기에 대응하는 「우선권 부여」를 「0」으로 설정한다.
스텝 S104에 있어서, 조작기 관리부(21)는 조작기 관리 테이블에 등록되어 있는 조작기 중에서, 스텝 S101에서 검지되지 않았던 조작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104에 있어서, 조작기 관리 테이블에 등록되어 있는 조작기 중에서, 검지되지 않았던 조작기가 존재한다(즉, YES)고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105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다(즉, NO)고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106으로 진행한다.
스텝 S105에 있어서, 조작기 관리부(21)는 스텝 S101에서 검지되지 않았던 조작기를 조작기 관리 테이블로부터 삭제한다. 조작기 관리부(21)는 조작기 관리 테이블로부터 삭제한 조작기를 우선권 결정부(22)에 통지한다. 우선권 결정부(22)는 조작기 관리부(21)로부터 통지된 조작기를, 우선권 결정 테이블로부터 삭제한다. 그 후, 처리가 스텝 S106으로 진행한다.
스텝 S106에 있어서, 조작기 관리부(21)는 스텝 S101에서 검지된 접속 조작기의 각각으로부터, 조작기 정보를 취득한다. 조작기 관리부(21)는 취득된 조작기 정보를 우선권 결정부(22)에 통지한다. 그 후, 처리가 스텝 S107로 진행한다.
이와 같이, 조작기 관리부(21)는 통신 접속되어 있는 접속 조작기를 검지하고, 검지한 접속 조작기의 각각으로부터, 조작기(1)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와, 조작기(1)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조작기 정보를 취득한다.
스텝 S107에 있어서, 우선권 결정부(22)는, 스텝 S106에서 취득된 접속 조작기마다의 조작기 정보에 기초하여, 우선권 결정 테이블의 「조작기 정보」를 갱신한다. 즉, 우선권 결정부(22)는 우선권 결정 테이블에 등록되어 있는 조작기의 각각에 대해, 우선권 결정 테이블의 「조작기 정보」에 격납되어 있는 조작기 정보를, 스텝 S106에서 취득된 조작기 정보로 갱신한다. 그 후, 처리가 스텝 S108로 진행한다.
스텝 S108에 있어서, 우선권 결정부(22)는 우선권 결정 테이블을 참조하여, 접속 조작기마다 우선 순위를 산출한다. 우선권 결정부(22)는 산출된 접속 조작기마다의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우선권 결정 테이블의 「우선 순위」를 갱신한다. 즉, 우선권 결정부(22)는 우선권 결정 테이블에 등록되어 있는 조작기의 각각에 대해, 우선권 결정 테이블의 「우선 순위」에 격납되어 있는 우선 순위를, 산출된 우선 순위로 갱신한다. 그 후, 처리가 스텝 S109로 진행한다.
스텝 S109에 있어서, 우선권 결정부(22)는 우선권 결정 테이블을 참조하여,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접속 조작기를, 우선권을 부여하는 우선 조작기로서 결정한다. 우선권 결정부(22)는 결정한 우선 조작기를 조작기 관리부(21)에 통지한다. 그 후, 처리가 스텝 S110으로 진행한다.
이와 같이, 우선권 결정부(22)는 조작기 관리부(21)에 의해서 검지된 접속 조작기 중에서, 접속 조작기마다 취득된 조작기 정보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부여하는 우선 조작기를 결정한다.
스텝 S110에 있어서, 조작기 관리부(21)는 스텝 S109에서 결정된 우선 조작기에 기초하여, 조작기 관리 테이블의 「우선권 부여」를 갱신한다. 즉, 조작기 관리부(21)는, 조작기 관리 테이블에 있어서, 결정된 우선 조작기에 대응하는 「우선권 부여」를 「1」로 설정하고, 그 우선 조작기 이외의 나머지의 조작기에 대응하는 「우선권 부여」를 「0」으로 설정한다. 조작기 관리부(21)는 조작기 관리 테이블의 「우선권 부여」가 「1」인 조작기, 즉, 우선 조작기를 우선권 부여부(23)에 통지한다. 그 후, 처리가 스텝 S111로 진행한다.
스텝 S111에 있어서, 우선권 부여부(23)는 스텝 S109에서 결정된 우선 조작기에 우선권을 부여하고, 처리가 종료된다. 이와 같이, 우선권 부여부(23)는 우선권 결정부(22)에 의해서 결정된 우선 조작기에 우선권을 부여한다.
다음에, 제어 장치(2)가 조작기(1)로부터 엘리베이터 제어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에 행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처리에 대해서,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2)에 의해서 행해지는 엘리베이터 제어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스텝 S201에 있어서, 조작기 관리부(21)는 조작기 관리 테이블을 참조하여, 수신한 엘리베이터 제어 신호를 송신한 조작기(1)에 우선권이 부여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20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제어 신호를 송신한 조작기(1)에 우선권이 부여되어 있다(즉, YES)고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202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다(즉, NO)고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처리가 종료된다.
조작기 관리부(21)는 엘리베이터 제어 신호를 송신한 조작기(1)에 우선권이 부여되고 있다고 판단했을 경우, 그 엘리베이터 제어 신호를 엘리베이터 제어부(24)에 준다.
스텝 S202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제어부(24)는 조작기 관리부(21)로부터 주어진 엘리베이터 제어 신호, 즉, 우선권이 부여되어 있는 조작기(1)로부터 송신된 엘리베이터 제어 신호에 따라서, 엘리베이터를 제어하고, 처리가 종료된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제어부(24)는 우선권 부여부(23)에 의해서 우선권이 부여된 우선 조작기로부터 송신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신호에 따라서, 엘리베이터를 제어한다.
이상, 본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는 검지한 접속 조작기 중에서, 접속 조작기마다 취득한 조작기 정보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부여하는 우선 조작기를 결정하고, 결정한 우선 조작기에 우선권을 부여하고, 우선권이 부여된 우선 조작기로부터 송신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신호에 따라서,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통신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조작기 중에서, 우선적으로 엘리베이터를 원격 조작하는 권한을 부여하는 조작기를 자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복수의 조작기로부터 엘리베이터를 동시에 조작 가능한 상태를 배제할 수 있다. 또, 우선권이 부여되어 있는 조작기의 상태가 이상이 되었을 경우, 우선권의 부여처를 다른 조작기로 자동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서는, 앞의 실시 형태 1의 구성에 대해서, 조작기(1)로부터 우선권 요구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에 우선권 부여 변경 처리를 더 행하도록 구성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2)에 대해 설명한다. 덧붙여, 본 실시 형태 2에서는, 앞의 실시 형태 1과 같은 점의 설명을 생략하고, 앞의 실시 형태 1과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조작기(1)는, 앞의 실시 형태 1에서 언급한 통신 기능, 엘리베이터 제어 기능 및 표시 기능에 더하여, 통신 접속되어 있는 제어 장치(2)에 우선권의 부여를 요구하는 우선권 요구 기능과, 제어 장치(2)로부터 우선권 변경 신청이 통지되었을 경우에 그 신청에 대해서 변경 승낙 또는 변경 거부를 응답하는 우선권 이양 기능을 더 구비한다.
우선권 요구 기능은, 예를 들면, GUI, 기계적 스위치 등에 의해서 실현된다. 보수원은, 우선권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자신의 조작기(1)로부터 엘리베이터를 조작하는 것을 희망하는 경우, 제어 장치(2)에 대해서 자신의 조작기(1)로의 우선권의 부여를 요구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조작기(1)는, 보수원의 조작에 따라서, 우선권 요구 신호를 제어 장치(2)에 송신한다.
우선권 이양 기능은, 예를 들면, GUI, 기계적 스위치 등에 의해서 실현된다. 보수원은, 제어 장치(2)로부터 우선권 변경 신청이 통지되었을 경우, 자신의 조작기(1)에 부여되어 있는 우선권을 다른 조작기(1)로 이양할지 여부를, 제어 장치(2)에 알릴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조작기(1)는, 보수원의 조작에 따라서, 제어 장치(2)로부터 통지된 우선권 변경 신청에 대해서, 변경 승낙 또는 변경 거부를 응답한다.
조작기 관리부(21)는 조작기(1)로부터 우선권 요구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 우선권 부여 변경 처리를 행한다.
다음에, 제어 장치(2)가 조작기(1)로부터 우선권 요구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에 행하는 우선권 부여 변경 처리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2)에 의해서 행해지는 우선권 부여 변경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스텝 S301에 있어서, 조작기 관리부(21)는 조작기 관리 테이블을 참조하여, 우선권이 부여되어 있는 우선 조작기로 우선권 변경 신청을 통지한다. 그 후, 처리가 스텝 S302로 진행한다. 이와 같이, 조작기 관리부(21)는, 조작기(1)로부터 우선권 요구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 우선 조작기로 우선권 변경 신청을 통지한다.
스텝 S302에 있어서, 조작기 관리부(21)는 스텝 S301에서 통지된 우선권 변경 신청에 대한 응답이 우선 조작기로부터 회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302에 있어서, 우선권 변경 신청에 대한 응답이 회신되었다(즉, YES)고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303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다(즉, NO)라고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S302로 돌아간다.
스텝 S303에 있어서, 조작기 관리부(21)는 스텝 S301에서 통지된 우선권 변경 신청에 대한 응답의 내용이 변경 승낙인지 변경 거부인지를 판단한다. 스텝 S303에 있어서, 응답의 내용이 변경 승낙인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305로 진행하고, 응답의 내용이 변경 거부인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304로 진행한다.
스텝 S304에 있어서, 조작기 관리부(21)는 우선권 요구 신호를 송신한 접속 조작기로 우선권 변경 거부를 통지하고, 처리가 종료된다. 이 경우, 우선권 요구 신호를 송신한 조작기(1)에 우선권이 부여되지 않는다.
스텝 S305에 있어서, 조작기 관리부(21)는 우선권 요구 신호를 송신한 접속 조작기에 기초하여, 조작기 관리 테이블의 「우선권 부여」를 갱신한다. 즉, 조작기 관리부(21)는 조작기 관리 테이블에 있어서, 우선권 요구 신호를 송신한 조작기(1)에 대응하는 「우선권 부여」를 「1」로 설정하고, 그 조작기(1) 이외의 나머지의 조작기(1)에 대응하는 「우선권 부여」를 「0」으로 설정한다. 조작기 관리부(21)는 조작기 관리 테이블의 「우선권 부여」가 「1」인 조작기(1), 즉, 우선권 요구 신호를 송신한 조작기(1)를, 새로운 우선 조작기로서 우선권 부여부(23)에 통지한다.
스텝 S306에 있어서, 우선권 부여부(23)는 우선권 요구 신호를 송신한 접속 조작기에 우선권을 부여하고, 처리가 종료된다. 이 경우, 우선권 변경 신청에 대해서 변경 승낙의 응답을 회신한 우선 조작기로의 우선권의 부여가 삭제되고, 우선권 요구 신호를 송신한 접속 조작기에 우선권이 부여된다.
이와 같이, 우선권 부여부(23)는 우선 조작기로부터의 우선권 변경 신청에 대한 응답이 변경 승낙이었을 경우, 우선 조작기로의 우선권의 부여를 취소하고, 우선권 요구 신호를 송신한 조작기(1)에 우선권을 부여한다.
이상, 본 실시 형태 2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는, 앞의 실시 형태 1의 구성에 대해서, 조작기로부터 우선권 요구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 우선 조작기로 우선권 변경 신청을 통지하고, 우선 조작기로부터의 우선권 변경 신청에 대한 응답이 변경 승낙이었을 경우, 우선 조작기로의 우선권의 부여를 취소하고, 우선권 요구 신호를 송신한 조작기에 우선권을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우선권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조작기측으로부터, 우선권의 부여처의 전환을 시도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서는, 앞의 실시 형태 1 및 2의 각 구성에 대해서, 조작기(1)로부터 비상 정지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에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 처리를 더 행하도록 구성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2)에 대해 설명한다. 덧붙여, 본 실시 형태 3에서는, 앞의 실시 형태 1 및 2와 같은 점의 설명을 생략하고, 앞의 실시 형태 1 및 2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조작기(1)는, 앞의 실시 형태 1에서 언급한 기능, 또는 앞의 실시 형태 2에서 언급한 기능에 더하여, 제어 장치(2)와 통신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엘리베이터를 비상 정지시키는 비상 정지 기능을 더 구비한다.
비상 정지 기능은, 예를 들면, 관성 센서값의 변동, 음성 조작, 화면 조작, 기계식 스위치, 추출 핀 등에 의해서 실현된다. 보수원은 엘리베이터를 비상 정지시키는 것을 희망하는 경우, 제어 장치(2)에 대해서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키는 것을 요구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조작기(1)는, 보수원의 조작에 따라서, 비상 정지 신호를 제어 장치(2)에 송신한다.
조작기 관리부(21)는 접속 조작기로부터 비상 정지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 비상 정지 신호를 송신한 조작기(1)에 우선권이 부여되어 있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 커맨드를 생성하고, 그 정지 커맨드를 엘리베이터 제어부(24)에 준다.
엘리베이터 제어부(24)는 조작기 관리부(21)로부터 정지 커맨드가 주어졌을 경우, 그 정지 커맨드에 따라서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킨다.
다음에, 제어 장치(2)가 조작기(1)로부터 비상 정지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에 행하는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 처리에 대해서,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2)에 의해서 행해지는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스텝 S401에 있어서, 조작기 관리부(21)는 정지 커맨드를 생성한다. 조작기 관리부(21)는 생성한 정지 커맨드를 엘리베이터 제어부(24)에 준다. 그 후, 처리가 스텝 S402로 진행한다. 이와 같이, 조작기 관리부(21)는 조작기(1)로부터 비상 정지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 정지 커맨드를 생성한다.
스텝 S402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제어부(24)는, 스텝 S401에서 생성된 정지 커맨드에 따라서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킨다. 그 후, 처리가 종료된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제어부(24)는 조작기 관리부(21)에 의해서 생성된 정지 커맨드에 따라서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킨다.
이상, 실시 형태 3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는, 앞의 실시 형태 1 및 2의 각 구성에 대해서, 조작기로부터 비상 정지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 정지 커맨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정지 커맨드에 따라서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조작기로의 우선권의 부여의 유무에 상관없이, 어느 조작기로부터라도, 엘리베이터를 비상 정지시키는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덧붙여, 실시 형태 1~3에 대해 개별로 설명해 왔지만, 실시 형태 1~3의 각각에서 개시한 구성예는, 임의로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1: 조작기 11: 위치 검출부
12: 상태 검출부 2: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21: 조작기 관리부 22: 우선권 결정부
23: 우선권 부여부 24: 엘리베이터 제어부

Claims (5)

  1. 복수의 조작기와 통신 접속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로서,
    통신 접속되어 있는 상기 조작기인 접속 조작기를 검지하고, 상기 접속 조작기의 각각으로부터, 상기 조작기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와, 상기 조작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조작기 정보를 취득하는 조작기 관리부와,
    상기 조작기 관리부에 의해서 검지된 상기 접속 조작기 중에서, 상기 접속 조작기마다 취득된 상기 조작기 정보에 기초하여, 우선적으로 상기 엘리베이터를 원격 조작하는 권한인 우선권을 부여하는 우선 조작기를 결정하는 우선권 결정부와,
    상기 우선권 결정부에 의해서 결정된 상기 우선 조작기에 상기 우선권을 부여하는 우선권 부여부와,
    상기 우선권 부여부에 의해서 상기 우선권이 부여된 상기 우선 조작기로부터 송신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신호에 따라서, 상기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부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조작기를 조작하는 사람의 신체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인,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작기 관리부는
    상기 조작기로부터 우선권 요구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 상기 우선 조작기로 우선권 변경 신청을 통지하고,
    상기 우선권 부여부는
    상기 우선 조작기로부터의 상기 우선권 변경 신청에 대한 응답이 변경 승낙이었을 경우, 상기 우선 조작기로의 상기 우선권의 부여를 취소하고, 상기 우선권 요구 신호를 송신한 상기 조작기에 상기 우선권을 부여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기 관리부는
    상기 조작기로부터 비상 정지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 정지 커맨드를 생성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부는
    상기 조작기 관리부에 의해서 생성된 상기 정지 커맨드에 따라서 상기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키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5. 복수의 조작기와 통신 접속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에 의해서 행해지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방법으로서,
    통신 접속되어 있는 상기 조작기인 접속 조작기를 검지하고, 상기 접속 조작기의 각각으로부터, 상기 조작기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와, 상기 조작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조작기 정보를 취득하는 스텝과,
    검지된 상기 접속 조작기 중에서, 상기 접속 조작기마다 취득된 상기 조작기 정보에 기초하여, 우선적으로 상기 엘리베이터를 원격 조작하는 권한인 우선권을 부여하는 우선 조작기를 결정하는 스텝과,
    결정된 상기 우선 조작기에 상기 우선권을 부여하는 스텝과,
    상기 우선권이 부여된 상기 우선 조작기로부터 송신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신호에 따라서, 상기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스텝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 방법.
KR1020207032869A 2018-05-22 2018-05-22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24012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19675 WO2019224914A1 (ja) 2018-05-22 2018-05-22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1505A true KR20200141505A (ko) 2020-12-18
KR102401290B1 KR102401290B1 (ko) 2022-05-24

Family

ID=67473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2869A KR102401290B1 (ko) 2018-05-22 2018-05-22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552755B1 (ko)
KR (1) KR102401290B1 (ko)
CN (1) CN112119026B (ko)
WO (1) WO201922491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6387A (ko) * 2021-11-24 2023-05-31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디바이스간 통신 데이터 동기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01750A (zh) * 2020-03-16 2021-09-17 奥的斯电梯公司 电梯系统与机器乘客之间的交互安全控制
CN113401751A (zh) * 2020-03-16 2021-09-17 奥的斯电梯公司 机器乘客的运行状态监测
JP7207816B2 (ja) * 2021-06-15 2023-01-18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制御システム、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CN114644262B (zh) * 2022-03-17 2023-08-01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电梯系统与电梯系统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1918A (ja) * 1999-12-21 2001-06-26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KR20060024271A (ko) * 2004-09-13 2006-03-16 조미동 안전기능이 구비된 리프트 장치
JP2006117375A (ja) 2004-10-21 2006-05-11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運転装置
JP2012018646A (ja) * 2010-07-09 2012-01-26 Murata Mach Ltd 自律走行体移動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6021A (ja) * 1999-04-20 2000-11-02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設備機器の部品管理装置
JP2003252544A (ja) * 2002-03-06 2003-09-10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の保守運転操作装置
ES2446916T3 (es) * 2003-03-26 2014-03-10 Inventio Ag Procedimiento para la gestión de una instalación de ascensor o de escalera mecánica
JP2004315140A (ja) * 2003-04-15 2004-11-11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非常連絡システム
JP2012012162A (ja) * 2010-06-30 2012-01-19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RU2564433C2 (ru) * 2011-05-10 2015-09-27 Отис Элевэйтор Компани Контроль за удаленным управлением подъёмной системой
CN103217692A (zh) * 2012-01-20 2013-07-24 广州市中海达测绘仪器有限公司 一种远程控制gnss接收机系统
CN102923538A (zh) * 2012-07-06 2013-02-13 天津大学 基于物联网的电梯健康管理与维护系统及采集和评估方法
CN102765642B (zh) * 2012-07-23 2014-12-10 广州日滨科技发展有限公司 电梯故障分级处理的方法及装置
WO2014112070A1 (ja) * 2013-01-17 2014-07-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制御装置
JP2015054742A (ja) * 2013-09-11 2015-03-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DE102014017487A1 (de) * 2014-11-27 2016-06-02 Thyssenkrupp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Aufzuganlage sowie zur Ausführung des Verfahrens ausgebildete Aufzugsanlag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1918A (ja) * 1999-12-21 2001-06-26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KR20060024271A (ko) * 2004-09-13 2006-03-16 조미동 안전기능이 구비된 리프트 장치
JP2006117375A (ja) 2004-10-21 2006-05-11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運転装置
JP2012018646A (ja) * 2010-07-09 2012-01-26 Murata Mach Ltd 自律走行体移動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6387A (ko) * 2021-11-24 2023-05-31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디바이스간 통신 데이터 동기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119026A (zh) 2020-12-22
JPWO2019224914A1 (ja) 2020-05-28
KR102401290B1 (ko) 2022-05-24
JP6552755B1 (ja) 2019-07-31
WO2019224914A1 (ja) 2019-11-28
CN112119026B (zh) 202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1290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2548844B1 (ko) 모바일 디바이스 사용자를 위한 엘리베이터의 재할당
JP6592602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2411485B1 (ko) 엘리베이터 동작 환경에서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WO2017090187A1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通信端末、および、制御装置
EP3505474B1 (en) Method of dispatching optimization based on sensing
JP5273567B2 (ja) 行先階登録装置
JP7294988B2 (ja) エレベーターの遠隔制御システム
EP3403965A1 (en) Destination entry using building floor plan
JP2015202916A (ja) エレベータの非常通報システム
CN114314217A (zh) 乘梯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JP2006056678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22128045A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および移動体の管理装置
JP6194061B1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制御方法
KR20190134479A (ko) 위치 표시 시스템 및 위치 표시 방법
JP5413759B2 (ja) 行先予約案内システムおよび行先階案内装置
JP6073945B2 (ja) 群管理制御装置及び行先階制御システム
JP5711090B2 (ja) 統合制御装置、及び統合管理システム
CN110606415A (zh) 楼层设定系统
US20240025699A1 (en) Elevator controller, elevator system, storage medium, and mobile terminal
JP2018199540A (ja) 携帯端末、プログラム、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20170139272A (ko) 개인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행선층 예약장치의 재할당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22072488A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ー制御方法
JP2022077065A (ja) エレベーター呼び登録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ー呼び登録方法
JP2024001604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及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