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0921A - 계지, 금은화, 향유, 오미자, 우방자, 및 목단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또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 - Google Patents

계지, 금은화, 향유, 오미자, 우방자, 및 목단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또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0921A
KR20200140921A KR1020207034514A KR20207034514A KR20200140921A KR 20200140921 A KR20200140921 A KR 20200140921A KR 1020207034514 A KR1020207034514 A KR 1020207034514A KR 20207034514 A KR20207034514 A KR 20207034514A KR 20200140921 A KR20200140921 A KR 202001409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dermatitis
composition
extract
gyej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4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숙경
김찬숙
심윤민
Original Assignee
김숙경
심윤민
김찬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숙경, 심윤민, 김찬숙 filed Critical 김숙경
Publication of KR20200140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09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4Lauraceae (Laurel family), e.g. cinnamon or sassafr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5Caprifoliaceae (Honeysuckle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1Ranunculaceae (Buttercup family), e.g. larkspur, hepatica, hydrastis, columbine or goldense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9Schisandraceae (Schisandr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Abstract

본 발명은 계지(Cinnamomum aromaticum), 금은화(Lonicera japonica), 향유(Elsholtzia ciliate),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 우방자(Arctium lappa), 및 목단피(Paeonia Suffruticosa)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또는 피부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계지, 금은화, 향유, 오미자, 우방자, 및 목단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또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
계지, 금은화, 향유, 오미자, 우방자, 및 목단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또는 피부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노화 또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인체의 일차 방어막으로서 체내의 기관들을 온도·습도 변화, 자외선, 공해 물질 등 외부 환경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해 주며, 체온 조절 등의 생체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렇게 중요한 피부 역시 인체의 다른 장기와 마찬가지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점차 노화가 진행되게 되고, 그 결과로서 피부 탄력손실, 각질화, 주름 생성, 피부 위축 등의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피부 노화 현상의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세포의 유전자 변이, 조직 변화 등 내적 요인과 자외선, 습도 등 외적 요인으로 분류될 수 있다. 특히, 자외선에 의한 노화 현상을 광노화라고 하며, 이러한 광노화 현상은 자외선에 의하여 세포 내부에 활성 산소 라디칼을 생성하게 된다. 상기 활성 산소 라디컬은 염증성 반응을 일으키는 신호전달 체계를 통하여 진피층의 탄력 섬유인 콜라겐, 엘라스틴 등의 단백질 분해 효소 (MMP-1, MMP-3, MMP-9 등)의 합성을 촉진하여 진피층의 탄력을 감소시킴으로써 피부 주름이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피부는 피부는 신체의 표면을 덮고 있으므로 외계로부터 자극이나 여러 병원체에 직접 접촉될 기회가 많으므로, 염증성 질환이 자주 발생한다. 피부염(dermatitis)은 피부소양증, 지루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등 그 원인과 유형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이 중 아토피성 피부염은 심한 소양감(搔痒感)을 가지는 재발성의 만성 피부염으로 그 원인이 현재까지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았으나, 세계 전 인구의 10~20%가 이 피부염으로 고통받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한, 환경 오염 등에 의한 공기 알러지 원인 물질 (allergen)의 증가와 건조성 피부를 형성시키는 조건의 증가 등으로 인하여 최근 수십 년 동안 아토피성 피부염에 대한 유병율이 계속 상승하고 있다.
한편, 피부 노화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피부염에 대한 치료의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이를 치료하고, 예방하기 위한 제품이 다수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는 대부분 합성 물질로서, 자극, 트러블 등 피부 부작용을 유발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피부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는 천연 물질의 추출물을 사용하여 피부노화를 방지하고 피부염을 개선시키는 제품의 개발이 필요하다.
피부 노화 또는 피부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피부 노화 또는 피부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양상은 계지, 금은화, 향유, 오미자, 우방자, 및 목단피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또는 피부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계지, 금은화, 향유, 오미자, 우방자, 및 목단피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또는 피부염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계지, 금은화, 향유, 오미자, 우방자, 및 목단피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또는 피부염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한 식품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일 양상에 따른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의 피부 노화 또는 피부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계지, 금은화, 향유, 오미자, 우방자, 및 목단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양상에 따른 피부 노화 또는 피부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식품용 조성물은 항염증,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여 피부 노화 또는 피부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효과적이다. 또한, 피부의 탄력, 보습, 미백 등과 같은 피부 개선에도 효과적이다.
다른 양상에 따른 개체의 피부 노화 또는 피부염을 개선시키는 방법에 의하면, 개체의 피부 노화 또는 피부염을 효율적으로 억제, 지연, 또는 개선시킬 수 있다.
도 1은 제조예 1의 조성물의 농도에 따른 NO 생성 저해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제조예 1의 조성물의 농도에 따른 전자공여능을 양성대조군인 아스코르브산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제조예 1의 조성물의 농도에 따른 ABTS+ 라디칼 소거능을 양성대조군인 아스코르브산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 내지 9는 제조예 1의 조성물의 피부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조예 1의 사용 전, 후의 피실험자의 얼굴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10은 제조예 2의 로션 2를 17세 남성의 아토피 부위인 발에 매일 2회 처리하기 전(왼쪽), 처리한 4일 후(오른쪽)의 사진이다.
도 11은 제조예 2의 로션 2를 6세 여아의 아토피 부위인 손 및 팔에 매일 2회 처리하기 전(왼쪽), 처리한 13일 후(오른쪽)의 사진이다.
도 12는 제조예 2의 로션 2를 22세 남성의 아토피 부위인 손 및 팔에 매일 2회 처리한 3일 후(아래쪽), 처리한 1 개월 후(중간), 및 처리한 2 개월 20 일 후(위른쪽)의 사진이다.
일 양상은 계지(Cinnamomum aromaticum), 금은화(Lonicera japonica), 향유(Elsholtzia ciliate),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 우방자(Arctium lappa), 및 목단피(Paeonia Suffruticosa)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또는 피부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계지는 장과(녹나무과 Lauraceae)에 속한 상록교목인 계수나무 (Cinnamomum cassia PRESL) 또는 월남육계(Cinnamomum loureiri NEES) 및 스리랑카 육계(Cinnamomum zeylanicum BLUME)의 이른 봄에 새로 돋아나는 어린 가지 (눈지: 嫩枝)를 건조시켜 수득한 것으로, 육계, 계피, 계피나무가지 등으로도 불릴 수 있다. 상기 계지는 진통작용, 강심작용, 피부 혈관 확장, 혈액 순환 촉진, 해열작용, 위액분비 촉진, 발한작용, 건위작용, 진정작용 등의 약리작용을 낼 수 있다. 또한, 대장간균, 장티푸스간균, 황색포도상구균, 및 유행성감기 바이러스에 대한 억제작용을 할 수 있다.
상기 금은화는 인동과(Caprifoliaceae)에 속한 다년생 반상록목질등본인 인동(Lonicera japonica THUNB), 홍선인동(Lonicera hypoglaus MIQ), 산은화(Lonicera confusa DC), 및 모화주인동(Lonicera dasystyla REHD)의 꽃이 피기 전의 꽃봉오리(화뢰: 花)를 건조시킨 것으로, 여름철 꽃이 피기 전에 채취하여 음지에서 건조하여 수득할 수 있다. 상기 금은화는 해독작용, 해열작용, 수렴작용, 이뇨작용 등의 약리작용을 낼 수 있다.
상기 향유는 꿀풀과(Lamiaceae)에 속한 일년생 초본식물로 상기 전초를 말려서 수득할 수 있다. 상기 향유는 발한작용, 해열작용, 이뇨작용, 소염작용 등의 약리작용을 낼 수 있으며, 복통, 설사, 소화불량 등의 증상에 쓰일 수 있다.
상기 오미자는 오미자과(Schisandraceae)의 잘 익은 열매일 수 있다. 상기 오미자는 심장을 강하게 하고 혈압을 내리며 면역력을 높여 주어 강장제로 쓰일 수 있다. 또한, 심장활동을 도와서 혈압을 조절하고 간장에 들어가서는 간장의 대사를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우방자는 국화과(compositae)에 속한 이년생 초본인 우엉(Arctium lappa L)의 성숙한 과실을 건조한 것으로, 8~9월에 과실이 성숙할 때 채취하여 잡질을 제거하고 햇볕에 말려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우방자는 향균작용, 해독작용, 소염작용, 배농(排膿)작용, 해열작용, 이뇨작용 등의 약리작용을 낼 수 있다.
상기 목단피는 모란과(Paeoniaceae)에 속한 목단의 뿌리껍질일 수 있다. 상기 목단피는 혈열로 인한 생리불순, 생리통, 멍들었을 때, 토혈, 코피, 반점이 나타나는 증상, 허열로 인해 뼛골이 쑤시는 증상, 혈압상승, 어혈제거, 타박상, 소염진통, 종기치료, 맹장염초기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목단피는 진통, 진정, 해열, 항경련, 항염증, 항혈전, 항알레르기, 위액분비억제, 자궁점막충혈, 항균작용의 약리작용을 낼 수 있다.
상기 계지, 금은화, 향유, 오미자, 우방자, 또는 목단피는 각 식물체의 전체 또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부분은 지상부, 또는 지하부일 수 있다. 상기 지상부는 잎, 꽃, 과실,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지하부는 지하의 줄기, 뿌리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식물체는 건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계지, 금은화, 향유, 오미자, 우방자, 또는 목단피는 상업적으로 구입하거나, 자연에서 채취 또는 재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추출물은 조추출물, 분획물,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조추출물은 상기 계지, 금은화, 향유, 오미자, 우방자, 또는 목단피를 추출 용매와 접촉시켜 얻어지는 것으로서 특정 성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분리하지 않은 것을 말한다. 상기 분획물은 상기 조추출물에 대하여 특정 성분을 포함하는 물질을 분리한 것을 말한다. 상기 분리는 유기 용매를 사용한 분리,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여과일 수 있다. 상기 크로마토그래피는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 크기배제 크로마토그래피, HPLC,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친수성 용매 (hydrophilic solvent)로 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친수성 용매는 물, C1 내지 C6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알코올은 C1 내지 C10, C1 내지 C6 또는 C1 내지 C4의 하나 이상의 -OH기를 갖는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sec-부탄올, 이소부탄올, tert-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추출은 가온된 액체 추출, 가압된 액체 추출 (pressurized liquid extraction: PLE), 초음파 도움을 받은 추출 (microwave assisted extraction: MAE), 아임계 추출 (subcritical extraction: SE),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아임계 추출은 아임계 수추출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SWE)일 수 있다. 아임계 수추출은 초가열된 수추출 (superheated water extraction) 또는 가압된 열수 추출 (pressurized hot water extraction: PHWE)라고도 한다. 상기 가온된 액체 추출은 환류 추출일 수 있다.
상기 가온된 액체 추출은 약 80℃ 내지 약 140℃, 예를 들어, 약 85℃ 내지 약 135℃, 약 90℃ 내지 약 130℃, 약 95℃ 내지 약 125℃, 약 100℃ 내지 약 120℃, 또는 약 105℃ 내지 약 115℃에서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 시간은 선택된 온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약 1 시간 내지 약 12 시간, 예를 들어, 약 1 시간 내지 약 10 시간, 약 1 시간 내지 약 8 시간, 약 2 시간 내지 약 6 시간, 또는 약 3 시간 내지 약 5 시간일 수 있다. 상기 추출은 상기 용매 중에 인동 계지, 금은화, 향유, 오미자, 우방자, 또는 목단피를 혼합하고 일정 시간 동안 방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치는 적당한 교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1회 이상, 예를 들면, 1 내지 5회 반복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식물체 잔사 및 추출액을 여과에 의하여 정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과는 공극 크기가 약 10 ㎛인 여과 필터를 사용하여, 약 100℃ 내지 약 150℃의 정제수, 약 70℃ 내지 약 90℃의 정제수, 약 50℃ 내지 약 70℃의 정제수, 약 20℃ 내지 약 40℃의 정제수, 약 10℃ 내지 약 15℃의 정제수에서 연속적으로 여과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또한 얻어진 추출액으로부터 감압 농축과 같은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용매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또한 얻어진 추출물을 동결건조와 같은 건조에 의하여 건조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추출물은 추출된 액상 형태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나, 농축한 엑스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농축한 다음 동결 건조한 파우더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혼합 추출물은 상기 계지 추출물, 금은화 추출물, 향유 추출물, 오미자 추출물, 우방자 추출물, 및 목단피 추출물을 각각 제조한 후, 일정 비율로 혼합한 것일 수 있고, 상기 계지, 금은화, 향유, 오미자, 우방자, 및 목단피를 혼합한 후, 혼합 재료를 상기한 바와 같이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혼합 추출물에 있어서, 상기 계지, 금은화, 향유, 오미자, 우방자, 및 목단피는 약 4~5 : 약 2~4 : 약 2~8 : 약 2~4 : 약 2~5 : 약 4~7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계지, 금은화, 향유, 오미자, 우방자, 및 목단피는 약 2 : 약 1 : 약 1 : 약 1 : 약 1 : 약 2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추출물은 DPPH(diphenyl-2-picrylhydrazyl) 전자공여능 및 ABTS+(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자유라디칼 소거능이 높아 항산화 활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추출물은 NO(산화질소: Nitric oxide) 형성을 억제하여 항염 활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피부 노화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내인성 노화 및 외부 환경에 의한 외인성 노화를 포함한다. 상기 피부 노화는 주름, 피부종양, 피부 건조증, 피부 탄력 감소, 피부 색소 침착, 기미, 주근깨, 흑자, 검버섯, 및 광선각화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피부염은 피부에 일어나는 염증으로, 습진, 또는 발진이라고도 불릴 수 있다. 상기 피부염은 피부 소양증, 지루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당뇨병성 피부염, 모낭염, 여드름, 알레르기성 피부염 및 신경성 피부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피부염은 외부 공기에 직접적으로 노출된 부위, 예를 들면, 두피, 얼굴 표면, 손 표면, 발 표면과 같은 신체 외부 표면에 존재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 또는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가능한 담체"는 활성 성분의 적용을 돕기 위하여 활성 성분과 조합되어 사용되는 물질, 일반적으로 불활성 물질을 나타낸다. 상기 담체는 부형제, 붕해제, 결합제, 활택제, 희석제,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부형제는 미결정 셀룰로오즈, 유당, 저치환도 히드록시셀룰로오즈,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붕해제는 전분글리콜산 나트륨, 무수인산일수소 칼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결합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활택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이산화규소, 탈크,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비경구 또는 경구 투여 제형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 제형은 주사제, 또는 피부외용제일 수 있다. 피부외용제는 크림, 겔, 연고, 피부 유화제, 피부 현탁액, 경피전달성 패치, 약물 함유 붕대, 로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통상 화장품이나 의약품 등의 피부외용제에 사용되는 성분, 예를 들면 수성성분, 유성성분, 분말성분, 알코올류, 보습제, 증점제, 자외선흡수제, 미백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계면활성제, 향료, 색제, 각종 피부 영양제등을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배합할 수 있다. 경구 투여 제형은 정제, 캡슐제, 수성액제 또는 현탁제일 수 있다. 정제의 경우 락토즈, 옥수수 전분 등의 부형제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활택제가 통상 가해질 수 있다. 캡슐제의 경우, 락토즈 및/또는 건조 옥수수 전분이 희석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현탁제가 필요할 경우, 활성성분을 유화제 및/또는 현탁화제와 결합시킬 수 있다. 필요할 경우, 특정 감미제 및/또는 향미제를 가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피부 노화 또는 피부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효과가 있는 다른 유효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 중에 상기 혼합 추출물은 항염증 또는 항산화 효과를 갖거나, 구체적으로, 피부염을 예방 또는 치료시키거나, 피부 노화를 예방 또는 치료시키거나, 또는 그로부터 야기되는 2차 질병을 예방 또는 치료시키기에 유효한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2차 질병은 피부 기능 약화로 인한 피부 감염증일 수 있다. 상기 유효한 양은 당업자가 선택되는 세포 또는 개체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질환의 중증도,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성별, 환자의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사용된 조성물과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유효한 양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 당 약 0.5 ㎍ 내지 약 2 g, 약 1 ㎍ 내지 약 1 g, 약 10 ㎍ 내지 약 500 mg, 약 100 ㎍ 내지 약 100 mg, 또는 약 1 mg 내지 약 50 mg일 수 있다. 투여는 상기 권장 투여량을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경피, 피하, 직장,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흉골내, 국소,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예를 들어, 성인 기준으로 약 0.001 ㎎/kg 내지 약 100 ㎎/kg, 약 0.01 ㎎/kg 내지 약 10 ㎎/kg, 또는 약 0.1 ㎎/kg 내지 약 1 ㎎/kg의 범위 내 일 수 있다. 상기 투여는 1일 1회, 1일 2회 내지 24회, 3일 1회 내지 2회, 1주일에 1회 내지 6회, 2주일에 1회 내지 10회, 3주일에 1회 내지 15회, 4주일에 1회 내지 3회, 또는 1년에 1회 내지 12회 투여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계지, 금은화, 향유, 오미자, 우방자, 및 목단피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또는 피부염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인체를 청결, 미화하여 매력을 더하고 용모를 밝게 변화시키거나 피부, 모발의 건강을 유지 또는 증진하기 위하여 인체에 사용되는 물품으로서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노화 또는 피부염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효과를 갖는 기능성 화장품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피부 탄력 증대, 피부 주름 개선, 피부 보습, 피부 각질 제거, 피부 미백,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 효과를 더 갖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피부가 건조해지고 표면이 거칠게 되며, 피부가 윤기를 잃어 칙칙하게 보이는 등의 현상을 완화시키고, 피부의 전반적인 탄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의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성분, 예를 들면 보습제, 분말 성분,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미용 성분, 당지질, 식물 추출액, 방부제, 향료, pH 조정제, 색소, 점도 조정제 또는 겔화제 등을 보조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스킨, 로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팩,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영양에센스, 비누, 샴푸,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또는 아이섀도의 제형인 것일 수 있다.
계지, 금은화, 향유, 오미자, 우방자, 목단피, 피부 노화, 피부염, 추출, 및 추출물에 대하여는 상기한 바와 같다.
다른 양상은 계지, 금은화, 향유, 오미자, 우방자, 및 목단피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또는 피부염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한 식품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식품용 조성물”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및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한다. 상기 식품용 조성물은 피부 노화 또는 피부염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효과를 갖는 건강기능식품 또는 기능성 식품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유효성분 이외에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식품보조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품보조첨가제"는 식품에 보조적으로 첨가될 수 있는 구성 요소를 의미하며,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는데 첨가되는 것으로서 통상의 기술자가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식품용 조성물은 예를 들면,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충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식품보조첨가제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품용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약학적 조성물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나, 피부염 또는 피부 노화를 예방 또는 개선시키기 위한 보조제로 섭취가 가능하다.
계지, 금은화, 향유, 오미자, 우방자, 목단피, 피부 노화, 피부염, 추출, 및 추출물에 대하여는 상기한 바와 같다.
다른 양상은 상기 조성물을 피부 노화 또는 피부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에 유효한 양으로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의 피부 노화 또는 피부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에 대하여는 상술한 바와 같다.
투여는 당업계에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투여될 수 있다. 투여는 예를 들면, 정맥내, 근육내, 경구, 경피 (transdermal), 점막, 코안 (intranasal), 기관내 (intratracheal) 또는 피하 투여와 같은 경로로, 임의의 수단에 의하여 개체로 직접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투여는 전신적으로 또는 국부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투여는 피부 노화 또는 피부염이 존재하는 부위에 국소적으로 투여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투여는 예를 들면 도포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도포는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의 피부에 상기 조성물을 접촉시키는 모든 방법을 의미하며, 이를 통하여 상기 조성물을 피부 내부로 흡수시킬 수 있다.
상기 개체는 포유동물, 예를 들면, 사람, 소, 말, 돼지, 개, 양, 염소, 또는 고양이일 수 있다. 상기 개체는 피부 노화를 치료 또는 예방시키는 것을 필요로 하는 개체일 수 있다. 상기 개체는 세포 사멸을 억제시키는 것, 또는 항산화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필요로 하는 개체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피부 노화와 관련된 질병을 효율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해 항산화제, 및 항암제와 같은 약물과 함께 복합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개체는 또한 피부염 예를 들면, 아토피성 피부염의 증상이 있는 개체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개체의 피부염 또는 그로부터 야기되는 2차 질병을 효율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시키기 위해 스테로이드, 항염증제, 항히스타민제, 항생제, 및 항진균제와 같은 약물과 함께 복합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복합 투여는 순차적, 동시적, 또는 개별적으로 개체에 투여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 형태, 투여 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투여량은 예를 들어, 성인 기준으로 약 0.001 ㎎/kg 내지 약 100 ㎎/kg, 약 0.01 ㎎/kg 내지 약 10 ㎎/kg, 또는 약 0.1 ㎎/kg 내지 약 1 ㎎/kg의 범위 내 일 수 있다. 상기 투여는 1일 1회, 1일 2회 내지 24회, 3일 1회 내지 2회, 1주일에 1회 내지 6회, 2주일에 1회 내지 10회, 3주일에 1회 내지 15회, 4주일에 1회 내지 3회, 또는 1년에 1회 내지 12회 투여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a) 계지, 금은화, 향유, 오미자, 우방자, 및 목단피를 정제수와 함께 추출기에 넣는 단계, 및 (b) 상기 추출기를 가열하여 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a) 단계에서 사용되는 정제수는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 방식의 정수 시스템에 의해 정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b) 단계의 상기 가열은 온도가 약 90℃ 내지 약 120℃이고, 시간이 약 3 내지 약 5 시간일 수 있다. 상기 (b) 단계의 수득된 추출액을 10-6m 이하의 공극크기를 갖는 필터를 사용하여 여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과하는 단계는 약 100℃ 내지 약 150℃의 정제수, 약 70℃ 내지 약 90℃의 정제수, 약 50℃ 내지 약 70℃의 정제수, 약 20℃ 내지 약 40℃의 정제수, 약 10℃ 내지 약 15℃의 정제수에서 연속적으로 여과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조성물의 제조
아래 표 1의 생약재를 각 중량에 맞게 준비하여, 이를 깨끗한 부직포 (non-woven fabric) 주머니에 넣고 주머니 입구를 봉한 후, 다시 한번 부직포 주머니에 넣어 봉하였다. 즉, 아래 표 1의 각 중량에 따른 생약재를 이중으로 부직포 주머니에 넣었다.
생약재 생약명(학명) 중량(g)
계지 Cinnamomum aromaticum 4
금은화 Lonicera japonica 2
향유 Elsholtzia ciliate 2
오미자 Schisandra chinensis 2
우방자 Arctium lappa 2
목단피 Elsholtzia ciliate 4
상기 생약재를 담은 부직포 주머니 및 180 L의 정제수를 추출기 (Cosmos - 660)에 넣고, 추출기를 가열하여 정제수가 끓게 하였다. 이후, 100℃ 내지 120℃에서, 3 시간 내지 5 시간 동안 더 가열하여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액을 공극 크기가 10 ㎛인 여과 필터를 사용하여, 100 내지 150℃의 정제수, 70 내지 90℃의 정제수, 50 내지 70℃의 정제수, 20 내지 40℃의 정제수, 10 내지 15℃의 정제수에서 연속적으로 여과하였다. 여과한 후, 여과된 추출액을 멸균된 용기에 담아, 액상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정제수는 역삼투압 멤프레인 필터 방식의 정수 시스템에 의하여 정제된 물을 사용하였다. 상기 추출액을 동결 건조하여 파우더 제형으로도 제조하였다. 상기 건조한 파우더 형태의 조성물을 하기 실시예의 농도에 따라 정제수에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제조예 2. 제조예 1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로션의 제조
로션 1: 제조예 1의 액상 조성물 10 mL에 하기 표 2의 로션 1의 성분을 각 중량으로 포함하여 유상으로 하고, 제조예 1의 액상 조성물 150 mL와 정제수 300mL를 혼합하여 수상으로 하였다.
로션 2: 제조예 1의 액상 조성물 10 mL에 하기 표 2의 로션 2의 성분을 각 중량으로 포함하여 유상으로 하고, 제조예 1의 액상 조성물 40 mL와 정제수 50mL를 혼합하여 수상으로 하였다.
유상 및 수상을 배합기에서 약 80℃ 로 가온하여 준비한 후, 유상에 수상을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시킨 후, 실온까지 식히면서 교반하여 제조예 1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로션 1 및 로션 2를 제조하였다.
성분 로션 1 유상 로션 2 유상
제조예1의 액상 조성물 10 mL 10 mL
소르비탄 올리베이트 2 g 1 g
세틸 알콜 3 g 0.5 g
시어 버터 2 g 2 g
호호바오일 1 g -
아로마오일(향) 적량 적량
실시예 1. 항염증 효과
항염증 효과 및 피부트러블 완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RAW264.7 세포주(ATCC number: CRL-2278)를 이용한 Griess 법으로 산화질소(Nitric oxide: NO) 형성억제력 실험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마우스의 대식세포인 RAW264.7 세포를 한국세포주은행로부터 분양받아 10% FBS 및 1% 페니실린 스트렙토마이신이 함유된 DMEM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 항온기에서 배양하였으며, 세포가 80% 이상 존재할 때 계대배양을 시행하였다. 지질다당류 (Lipopolysaccharide: LPS, E. coli serotype 0111:B4)를 SIGMA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마우스의 대식세포인 RAW264.7 세포를 웰 하나에 2 X 105개씩 들어가도록 96-웰 프레이트에 넣은 후, 37℃, 5% CO2조건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한 후, 1㎍/mL LPS와 제조예 1의 조성물(6.25, 12.5, 25, 50, 및 100 ㎍/mL의 농도)을 처리하여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LPS 및 시험 물질을 처리하지 않은 군을 대조군(NC)으로 하였다. 배양 종료 후, 세포배양 상등액 50 mL와 Griess(2.5% 인산 중 1% 술파닐아미드, 및 0.1% 나프틸에틸렌디아민) 시약 50 mL를 혼합하여 96 welll plate에서 10분 동안 반응시키고,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제조예 1의 조성물의 농도에 따른 산화질소(NO) 저해 효과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NC(Negative control) LPS 100 50 25 12.5 6.25
NO 생성 저해율(%) 100.0±4.22 0.0±8.03 95.5±6.15 85.1±9.90 50.7±6.16 28.4±9.90 23.9±6.2
상기 표 3 및 도 1의 결과에 따르면, 제조예 1의 조성물은 천연물질로서 상당한 NO 생성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특히, 농도가 높아질수록 NO 생성이 되지 않은 대조군과 유사한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피부 항염증 및 피부 트러블 개선 용도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항염증 효과는 피부 탄력 또는 주름 개선에도 보조적인 역할로 작용하여 상승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실시예 2. 항산화 효과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DPPH 전자공여능 및 ABTS+ 자유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시험군으로 제조예 1의 액상 조성물을 1000 ㎍/mL부터 31.25 ㎍/mL까지 6개의 농도로 반수 희석하여 사용하였으며, 양성대조군으로 아스코르브산을 사용하였다.
2-1. DPPH 전자공여능
전자공여능(electron donating ability, EDA)은 Blois(1958) 법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각 농도별로 준비한 제조예 1의 용액 및 양성대조군인 아스코르브산 100 ㎕에 0.2mM의 DPPH 50 ㎕를 첨가하여 교반한 후, 암실에서 30분간 방치한 다음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517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전자공여능(%)은 하기 식과 같이 대조군과 시험군(제조예 1의 용액)의 흡광도 측정값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상기 실험을 3번 반복한 결과를 표 4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01
31.25ppm 62.5ppm 125ppm 250ppm 500ppm 1000ppm
1st 18.6 28.9 41.6 72.2 93.0 103.8
2nd 16.9 26.7 43.4 74.2 89.4 104.0
3rd 16.3 24.2 44.3 75.2 90.6 102.7
평균 17.3 26.6 43.1 73.9 91.0 103.5
표준편차 1.2 2.3 1.4 1.5 1.8 0.7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예 1의 전자공여능은 농도 의존적으로 양-반응 관계를 나타내었다. 특히, 1000 ppm에서 103.5%의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으며, 양성대조군인 아스코르브산과 비교하였을 때, 500ppm 이후부터 아스코르브산과 유사한 전자공여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2-2. ABTS+ 라디칼 소거능
자유 라디칼(free radical) 소거능(scavenging ability)은 ABTS+ 양이온 탈색 분석법(cation decolorization assay)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7 mM ABTS(2,2-azino-bis(3-ethylbenzthiazoline-6-sulfonic acid)) 및 2.45 mM 과황산칼륨(potassium persulfate)을 동량으로 혼합하고 실온의 암실에서 12시간 동안 방치하여 ABTS+ 자유 라디칼을 형성시켰다. 이후, 734 nM 파장에서 흡광도 값이 0.7(±0.02)이 되게 에탄올로 희석하였다. 각 농도 별로 준비한 제조예 1의 시험물질 및 양성대조군인 아스코르브산 100 ㎕에 희석된 ABTS+ 용액 100 ㎕를 첨가하고, 암실에서 7분 동안 방치하였다. 반응 종료 후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734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ABTS+ 라디칼 소거능 (%)은 하기 식과 같이 계산하였으며, 상기 실험을 3번 반복한 결과를 표 5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02
31.25μg/mL 62.5μg/mL 12 μg/mL 250μg/mL 500μg/mL 1000μg/mL
1st 9.2 23.1 49.6 91.1 100.1 101.0
2nd 7.6 23.0 49.9 89.3 99.2 101.1
3rd 10.9 23.7 48.7 90.6 99.0 100.8
평균 9.2 23.3 49.4 90.3 99.4 101.0
표준편차 1.6 0.4 0.6 0.9 0.6 0.1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예 1의 자유 라디칼 소거능은 농도 의존적으로 양-반응 관계를 나타내었다. 특히, 1000 ppm에서 101%의 자유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양성대조군인 아스코르브산과 비교하였을 때, 500ppm 이후부터 아스코르브산과 유사한 자유 라디칼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소양증 억제 효과
소양증에 대한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Compound 48/80으로 유도한 국소적 부위의 소양증 동물모델에서 소양증에 대한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소양증에 대한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Compound 48/80으로 유도한 국소적 부위의 소양증 동물모델에서 소양증에 대한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20 내지 30 g의 6주령 마우스를 효창사이언스로부터 구입하여 실험동물로 사용하였다. 300 ㎕의 정제수에 표 4의 마우스 kg당 시험물질을 녹인 후, 상기 시험물질을 녹인 300 ㎕ 실험동물에 경구 투여하였다. 투여 1 시간 후, 비만세포 탈과립인자인 compound 48/80(Sigma, C2313, 1mg/mL)를 100 ㎕, 즉, 0.1mg씩 마우스의 등 부위에 피내 주사하여 소양감을 유도하였다. 주사 후 30 분 동안 마우스의 스크래칭 횟수 즉, 긁는 횟수를 측정하여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이 때, 긁는 횟수는 주사 부위로 향한 긁기 등을 측정하였으며, 얼굴 긁기와 같은 다른 행동은 제외시켰다.
시험군 시험물질(마우스 kg당) 긁는 횟수
PC 세티리진 (10mg/kg) 138회
C -(대조군) 159회
T1 제조예 50 (mg/kg) 157±7.07회
T2 제조예 100 (mg/kg) 102±11.31회
T3 제조예 200 (mg/kg) 87±4.24회
T4 제조예 400 (mg/kg) 55±5.66회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험 물질의 소양증에 대한 억제 효과는 그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향상되었으며, 특히 대표적인 항히스타민제인 세티리진과 비교하였을 때도 소양증 억제 효과가 뛰어났다.
실시예 4. 피부개선 효과
4-1. 관능시험 (사진)
제조예 1의 액상 조성물에 대한 피부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30대 중반의 여성, 30 대 중반의 남성, 20 대 후반의 남성을 피실험자로 하였다. 각 피실험자의 아무런 처리도 하지 않은 얼굴을 대조군으로 하여 사진을 촬영하고, 일부는 대조군으로 물을 적신후에도 촬영하였다. 제조예 1의 액상 조성물을 용기에 넣고 물로 10배 희석하여 각 피실험자의 얼굴 및 손을 적신 후 10 초 뒤 촬영하였고. 상기 촬영은 광학현미경(ViTiny Pro10 Portable Digital Microscope)을 사용, 광학저배율 10 배, 광학고배율 40 배로 촬영을 하여, 정밀한 피부개선효과를 확인하였다.
전반적으로, 맨 얼굴 또는 맨손에 비하여 제조예 1의 액상 조성물을 적신 후에 각질이 개선되고, 주름이 줄어들고, 모공이 줄어든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도 4에서는 맨 얼굴에 하얗게 일어났던 각질이 제거되고, 피부가 피부가 밝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도 5에서도 하얗게 일어났던 각질이 제거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피부가 촘촘해진 것으로 보아 모공이 줄어든 것을 확인하였고, 도 6에서는 맨 얼굴에서 가운데 세로로 있던 큰 주름이 실험 후에 개선되고 다른 주름들 또한 옅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7에서는 실험 후에 맨손 또는 물을 적신 결과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주름이 옅어진 것을 확인하였고, 도 8에서는 맨손에 비하여 물과 실험 후에서 주름이 옅어졌으며, 특히 실험 후에는 물에 비하여 각질이 줄어든 것을 확인하였고, 도 9에서는 중간에 큰 주름이 실험 후에 눈에 띄게 줄어든 것을 확인하였다.
4-2. 관능시험 (통계)
제조예 1의 액상 조성물에 대한 피부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조예 2의 로션 2에서 제조예 1의 액상 조성물 10 mL를 제외한 로션을 비교예로 하여, 제조예 1의 액상 조성물 10 mL가 정상적으로 포함된 제조예 2의 로션 2와 비교 실험하였다. 상기 로션을 연령 및 성별에 관계없이 지원자 15명을 대상으로 1 주 동안 매일 1회 이상 안면에 사용하게 하여, 피부 주름 개선 정도, 보습 정도, 각질 제거 정도, 피부 미백 정도, 및 피부 탄력 정도에 대하여 5점 척도법에 의해 평가하도록 한 결과를 평균하여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실험항목 제조예 2의 로션 2 비교예
피부 주름 개선 정도 4.53 1.26
보습 정도 4.31 2.28
각질 제거 정도 3.96 1.59
피부 미백 정도 3.65 0.84
피부 탄력 정도 4.19 1.67
5: 매우 만족, 4: 만족, 3: 보통, 2: 불만족, 1: 매우 불만족
실시예 5.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효과
구체적으로,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가려움증, 홍반, 염증 등을 수반하는 아토피 피부염을 10년 이상 앓고 있는 10명의 환자들을 피실험자로 하여, 5명은 2주 동안, 5 명은 3달 동안 실험을 하였다. 피실험자들에게 매일 아침, 저녁 2회 이상 제조예 2의 로션 2를 아토피 피부염이 심한 부위에 바르도록 하였다.
그 결과, 도 10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실험 전(왼쪽 사진)에 비하여, 실험 후 4일 째(오른쪽 사진) 아토피 부위가 감소하였으며, 각질, 홍반이 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실험 전(왼쪽사진)에 비하여 실험 후 13일 째(오른쪽 사진) 아토피 부위가 감소하고, 홍반도 전체적으로 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2는 3달 동안 실험한 환자의 사진인데 가장 아래쪽은 실험 후 3일 째, 중간은 실험 후 1개월 째, 위쪽 사진은 실험 후 2개월 20일 째 사진이다. 도 12를 보면 아토피 피부염으로 생긴 딱지, 홍반, 등의 증상이 날이 갈수록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피부염이 진행된 부위도 나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실험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아토피 환자에게 제조예 2의 로션 2를 처리한 결과, 육안적으로 나타나는 홍반, 발진, 염증 등이 현저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고, 5세 여아와 6세 남아의 보호자로부터, 아토피 부위를 긁는 행위가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화장료 조성물이 유아 및 어른에 있어서까지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20)

  1. 계지(Cinnamomum aromaticum), 금은화(Lonicera japonica), 향유(Elsholtzia ciliate),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 우방자(Arctium lappa), 및 목단피(Paeonia Suffruticosa)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또는 피부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계지, 금은화, 향유, 오미자, 우방자, 및 목단피는 4~5:2~4:2~8:2~4:2~5:4~7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인 약학적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친수성 용매(hydrophilic solvent)로 하여 추출된 것인 약학적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을 갖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항염 활성을 갖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부 노화는 주름, 피부종양, 피부 건조증, 피부 탄력 감소, 피부 색소 침착, 기미, 주근깨, 흑자, 검버섯, 및 광선각화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약학적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부염은 피부 소양증, 지루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당뇨병성 피부염, 모낭염, 여드름, 알레르기성 피부염 및 신경성 피부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약학적 조성물.
  8. 계지, 금은화, 향유, 오미자, 우방자, 및 목단피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또는 피부염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피부 노화는 주름, 피부종양, 피부 건조증, 피부 탄력 감소, 피부 색소 침착, 기미, 주근깨, 흑자, 검버섯, 및 광선각화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화장료 조성물.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피부염은 피부 소양증, 지루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당뇨병성 피부염, 모낭염, 여드름, 알레르기성 피부염 및 신경성 피부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약학적 조성물.
  11. 청구항 8에 있어서, 화장수, 스킨, 로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또는 팩 중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12. 청구항 8에 있어서, 피부 탄력 증대, 피부 주름 개선, 피부 보습, 피부 각질 제거, 피부 미백,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 효과를 더 갖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13. 계지, 금은화, 향유, 오미자, 우방자, 및 목단피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또는 피부염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한 식품용 조성물.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피부 노화는 주름, 피부종양, 피부 건조증, 피부 탄력 감소, 피부 색소 침착, 기미, 주근깨, 흑자, 검버섯, 및 광선각화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식품용 조성물.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피부염은 피부 소양증, 지루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당뇨병성 피부염, 모낭염, 여드름, 알레르기성 피부염 및 신경성 피부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약학적 조성물.
  16.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조성물을 피부 노화 또는 피부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에 유효한 양으로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의 피부 노화 또는 피부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
  17. (a) 계지, 금은화, 향유, 오미자, 우방자, 및 목단피를 정제수와 함께 추출기에 넣는 단계, 및
    (b) 상기 추출기를 가열하여 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상기 가열은 온도가 90℃ 내지 120℃이고, 시간이 3 내지 5 시간인 것인 제조 방법.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수득된 추출액을 10-6m 이하의 공극크기를 갖는 필터를 사용하여 여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제조 방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여과하는 단계는 100℃ 내지 150℃의 정제수, 70℃ 내지 90℃의 정제수, 50℃ 내지 70℃의 정제수, 20℃ 내지 40℃의 정제수, 10℃ 내지 15℃의 정제수에서 연속적으로 여과하는 것인 제조 방법.
KR1020207034514A 2018-09-20 2018-09-20 계지, 금은화, 향유, 오미자, 우방자, 및 목단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또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202001409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11125 WO2020059906A1 (ko) 2018-09-20 2018-09-20 계지, 금은화, 향유, 오미자, 우방자, 및 목단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또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0921A true KR20200140921A (ko) 2020-12-16

Family

ID=69887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4514A KR20200140921A (ko) 2018-09-20 2018-09-20 계지, 금은화, 향유, 오미자, 우방자, 및 목단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또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140921A (ko)
WO (1) WO202005990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8901A (ko) * 2021-11-26 2023-06-05 (주)엔비바이오컴퍼니 커먼자스민, 흰버드나무껍질 및 가지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 조절 및 모공 개선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78462A (zh) * 2021-06-18 2021-08-20 汪谦 一种芝麻香油的提取方法及在皮肤修复领域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0118B1 (ko) * 1998-12-30 2006-07-27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우방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화장료
KR100443588B1 (ko) * 2002-01-25 2004-08-09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목단피추출물과 자귀나무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화장료 조성물
KR20040011236A (ko) * 2002-07-29 2004-02-0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우방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알러지 완화 및 예방용조성물
KR20050002715A (ko) * 2004-11-26 2005-01-10 주식회사 수목기획 구강용 티슈
KR100851408B1 (ko) * 2007-03-02 2008-08-11 주식회사 도화 생약 미용조성물
KR20090062342A (ko) * 2007-12-13 2009-06-17 덕성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산화 활성을 갖는 꽃향유 추출물
KR101616169B1 (ko) * 2013-12-10 2016-05-1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활성 증진용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170065956A (ko) * 2015-12-04 2017-06-14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육계나무 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 조성물
KR101816816B1 (ko) * 2017-06-29 2018-01-10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금은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신생, 미백 및 항염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8901A (ko) * 2021-11-26 2023-06-05 (주)엔비바이오컴퍼니 커먼자스민, 흰버드나무껍질 및 가지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 조절 및 모공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59906A1 (ko) 2020-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4045614A (ja) モリンガ・オレイフェラ種子のタンパク質抽出物の美容的使用
US20220287956A1 (en) Composition containing cirsium japonicum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for stimulating melanogenesis
KR102142930B1 (ko) 밀크씨슬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KR101189989B1 (ko) 문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050310A (ko) 청호, 님잎,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JP4495406B2 (ja) センダングサ属植物抽出物含有組成物
KR101787406B1 (ko) 브로멜라인, 부처브룸, 포도씨, 아르니카 및 레몬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00581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037927B1 (ko) 골쇄보 추출물로 이루어진 복합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1257435B1 (ko) 세이지 추출물, 레몬밤 추출물,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양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70736B1 (ko) 한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소양증 개선용 조성물
KR20200140921A (ko) 계지, 금은화, 향유, 오미자, 우방자, 및 목단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또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2214985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JP7338842B2 (ja) しわ改善用組成物およびしわ改善用皮膚化粧料
KR20090107342A (ko) 어성초, 금전초, 차전초, 느릅나무 및 상엽 혼합추출물을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및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816265B1 (ko) 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KR102127771B1 (ko) 한방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노화 또는 피부진정을 위한 조성물
KR101402753B1 (ko) 불미나리 추출물 및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화장료
JP5325727B2 (ja) センダングサ属植物抽出物含有組成物
KR20060074038A (ko)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
KR102650364B1 (ko) 석산(꽃무릇)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아토피, 항주름 및 보습 증진용 조성물
KR102495027B1 (ko) 화끈거림 개선제, 화장료 및 화장료의 사용 방법
KR102431820B1 (ko) 당유자 및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72725B1 (ko) 시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102442714B1 (ko) 중/원적외선 조사를 이용한 에키네시아 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