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5027B1 - 화끈거림 개선제, 화장료 및 화장료의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화끈거림 개선제, 화장료 및 화장료의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5027B1
KR102495027B1 KR1020210061907A KR20210061907A KR102495027B1 KR 102495027 B1 KR102495027 B1 KR 102495027B1 KR 1020210061907 A KR1020210061907 A KR 1020210061907A KR 20210061907 A KR20210061907 A KR 20210061907A KR 102495027 B1 KR102495027 B1 KR 102495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extract
agent
mallow
burning sens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1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6208A (ko
Inventor
하야미 타베
아키히토 후지타
마유미 코타니
야스시 타가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블룸 클래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블룸 클래식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블룸 클래식
Publication of KR20210156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6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5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50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12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climacter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8Two- or multipart kits
    • A61K2800/884Sequential appli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rd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docrin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월경전 증후군(PMS)에 기인하는 화끈거림의 개선이 우수한 작용을 가지는 화끈거림 개선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끈거림 개선제의 유효 성분으로서 당아욱 추출물을 이용한다.

Description

화끈거림 개선제, 화장료 및 화장료의 사용 방법{AGENT FOR MITIGATING HOT FLASH, COSMETIC PRODUCT, AND METHOD OF USING COSMETIC PRODUCT}
본 발명은 월경전 증후군(PMS)에 기인하는 화끈거림 개선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월경전 증후군(PMS)에 기인하는 화끈거림을 개선하는 용도에 이용되는 화장료 및 상기 화장료의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성의 신체는 호르몬 밸런스에 의하여, 일정한 사이클을 반복하고 있다. 이 호르몬 밸런스가 변화하면, 월경전 증후군(PMS)에 기인하는 여러 가지 신체 증상이 나타난다. 이 월경전 증후군(PMS)에 기인하여, 월경 전후의 피부는 피지의 분비량 증가, 건조에 의한 피부의 거침, 기미의 악화, 화끈거림 등이 일어난다. 실제, 그 시기에 일어나는 피부 트러블로서 피부가 기름지게 되고, 피부가 거칠어지며, 칙칙해지는 등의 모든 증상이 나타난다. 또, 피부가 몹시 민감해져 있기 때문에, 가려움 등을 느끼는 경우도 있다.
화끈거림은, 호르몬 밸런스의 변화가 부교감성 혈관 확장 섬유 작용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생긴다고 생각되고 있다. 화끈거림이란, 안면 홍조, 발한, 혹은, 하반신은 시린데 얼굴이 몹시 화끈거리는, 대양증이라고 일컫는 증상 등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렇지만, 종래의 화장료에는 피지의 분비 증가에 의한 번들거림, 건조에 의한 거친 피부, 기미의 악화에 의한 칙칙함, 민감에 의한 가려움과 같은 월경 전후의 피부에 사용하는데 적합한 화장료는 있지만, 화끈거림에 적합한 화장료는 존재하지 않았다(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보 제 3390868호
그래서, 본 발명은 월경전 증후군(PMS)에 기인하는 화끈거림 개선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 1에 본 발명은, 당아욱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경전 증후군(PMS)에 기인하는 화끈거림 개선제를 제공한다(발명 1).
제 2에 본 발명은, 당아욱 추출물을 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경전 증후군(PMS)에 기인하는 화끈거림 개선 용도에 이용되는 화장료를 제공한다(발명 2).
상기 발명(발명 2)은, 당아욱 추출물을 배합한 에센스인 제 1 화장료와, 당아욱 추출물을 배합한 젤인 제 2 화장료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화장료와 상기 제 2 화장료는 다른 용기에 수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발명 3).
상기 발명(발명 3)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화장료, 상기 제 2 화장료의 순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발명 4).
본 발명에 의하면, 당아욱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으로써, 작용 효과가 우수한 월경전 증후군(PMS)에 기인하는 화끈거림 개선제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월경전 증후군(PMS)에 기인하는 화끈거림 개선제(이하, 「화끈거림 개선제」로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는 당아욱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추출물」에는, 당아욱을 추출 원료로 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 혹은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또는 이들의 조정제물(粗精製物) 혹은 정제물 모두가 포함된다.
당아욱(Malva mauritiana L)은, 유럽 남부를 원산지로 하는 아욱과 당아욱속의 다년초이며, 커먼멜로(Common Mallow)라고도 불리며, 일본에서도 허브로서 재배되고 있다. 추출 원료로서 사용할 수 있는 당아욱의 구성 부위로서는, 예를 들면, 꽃 부분, 잎 부분, 줄기 부분 등의 지상부, 뿌리 부분 등의 지하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꽃 부분, 잎 부분 및 줄기 부분이다.
당아욱의 추출물은, 추출 원료를 건조한 후, 그대로 또는 조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하고,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에 제공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건조는 햇볕으로 말려도 좋고, 통상 사용되는 건조기를 이용해도 좋다.
추출 용매로서는, 극성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물, 친수성 유기 용매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실온 또는 용매의 비점 이하의 온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 용매로서 사용할 수 있는 물로서는, 순수, 수도물, 우물물, 광천수, 광수, 온천수, 용수, 담수 등 외, 이들에 각종 처리를 실시한 것이 포함된다. 물에 실시하는 처리로서는, 예를 들면, 정제, 가열, 살균, 여과, 이온 교환, 침투압 조정, 완충화 등이 포함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추출 용매로서 사용할 수 있는 물에는, 정제수, 열수, 이온 교환수, 생리 식염수, 인산 완충액, 인산 완충 생리 식염수 등도 포함된다.
추출 용매로서 사용할 수 있는 친수성 유기 용매로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의 탄소수 1∼5의 저급 지방족 알코올;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저급 지방족 케톤;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의 탄소수 2∼5의 다가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2종 이상의 극성 용매의 혼합액을 추출 용매로서 사용하는 경우, 그 혼합비는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물과 저급 지방족 알코올과의 혼합액을 추출 용매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물과 저급 지방족 알코올과의 혼합비가 9:1∼1:9(용량비)인 것이 바람직하고, 7:3∼2:8(용량비)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물과 저급 지방족 케톤과의 혼합액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물과 저급 지방족 케톤과의 혼합비가 9:1∼2:8(용량비)인 것이 바람직하고, 물과 다가 알코올과의 혼합액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물과 다가 알코올과의 혼합비가 8:2∼1:9(용량비)인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 처리는, 추출 원료에 포함되는 가용성 성분을 추출 용매에 용출시킬 수 있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통상법에 따라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추출 원료의 50∼250배량(질량비)의 추출 용매에, 추출 원료를 침지하여, 상온 또는 환류 가열하에서 가용성 성분을 추출시킨 후, 여과하여 추출 잔사를 제거함으로써 추출액을 얻을 수 있다. 얻어진 추출액으로부터 용매를 증류하면 페이스트 형상의 농축물이 얻어지며, 이 농축물을 더 건조하면 건조물이 얻어진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얻어진 추출액은 그대로 화끈거림 개선제의 유효 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농축액 또는 건조물로 한 쪽이 사용하기 쉬운 경우도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당아욱 추출물은, 월경전 증후군(PMS)에 기인하는 화끈거림을 개선하는 우수한 작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월경전 증후군(PMS)에 기인하는 화끈거림 개선제의 유효 성분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상기 화끈거림 개선제는, 의약품, 의약부외품, 화장료, 음식품 등의 폭 넓은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화끈거림 개선제는, 당아욱 추출물만으로 이루어진 것이라도 좋고, 당아욱 추출물을 제제화한 것이라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화끈거림 개선제는,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의 약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캐리어 그 외 임의의 조제(助劑)를 이용하여, 통상법에 따라, 분말 형상, 과립 형상, 정제 형상, 액상 등의 임의의 제형으로 제제화할 수 있다. 이 때, 조제로서는 예를 들면 부형제, 결합제, 붕괴제, 활택제, 안정제, 교미·교취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화끈거림 개선제는, 다른 조성물(예를 들면, 피부 외용제, 경구 조성물 등)에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 외에 연고제, 외용액제, 시트제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화끈거림 개선제를 제제화한 경우, 당아욱 추출물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화끈거림 개선제는, 필요에 따라서 화끈거림을 개선하는 작용을 가지는 다른 천연 추출물 등을, 당아욱 추출물과 함께 배합하여 유효 성분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화끈거림 개선제의 환자에 대한 투여 방법으로서는, 경피투여, 경구투여 등을 들 수 있고, 질환의 종류에 따라, 그 예방·치료 등에 적합한 방법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경피투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형태의 화끈거림 개선제의 투여량은, 질환의 종류, 중증도, 환자의 개인차, 투여 방법, 투여 기간 등에 따라 적절히 증감하면 좋다.
본 실시형태의 화끈거림 개선제는 유효 성분인 당아욱 추출물이 가지는 화끈거림 개선 작용을 통하여, 월경전 증후군(PMS)에 기인하는 화끈거림을 개선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끈거림 개선제는, 이들 용도 이외에도 화끈거림 개선 작용을 발휘하는 것에 의의가 있는 모든 용도에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화끈거림 개선제는 화끈거림을 개선하는 우수한 작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피부 외용제, 경구 조성물에 배합하는데 적합하다. 이 경우에, 배합하는 화끈거림 개선제는, 당아욱 추출물을 그대로 배합해도 좋고, 당아욱 추출물로부터 제제화한 것을 배합해도 좋다.
여기서, 피부 외용제로서는 그 구분에 제한은 없고, 후술하는 화장료 외, 경피적으로 사용되는 의약부외품, 의약품 등을 폭 넓게 포함하는 것이다.
경구 조성물이란, 사람의 건강에 위해를 가할 우려가 적고, 통상의 사회 생활에 있어서, 경구 또는 소화관 투여에 의해 섭취되는 것을 말하며, 행정구분상의 식품, 의약품, 의약부외품 등의 구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경구 조성물」은 경구적으로 섭취되는 일반 식품, 사료, 건강 식품, 보건 기능 식품(특정 보건용 식품, 영양 기능 식품, 기능성 표시 식품), 의약부외품, 의약품 등을 폭 넓게 포함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경구 조성물은 상기 경구 조성물 또는 그 포장에, 당아욱 추출물이 가지는 바람직한 작용을 표시할 수 있는 경구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건 기능 식품(특정 보건용 식품, 영양 기능 식품, 기능성 표시 식품), 의약부외품 또는 의약품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당아욱 추출물을 경구 조성물에 배합하는 경우, 그들에 있어서의 유효 성분의 배합량은, 사용 목적, 증상, 성별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변경할 수 있지만, 첨가 대상이 되는 경구 조성물의 일반적인 섭취량을 고려하여, 성인 1일당 추출물 섭취량이 약 1∼1000㎎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첨가 대상 경구 조성물이 과립 형상, 정제 형상 또는 캡슐 형상인 경우, 당아욱 추출물의 첨가량은 첨가 대상 경구 조성물에 대하여 통상 0.1∼100질량%이고, 바람직하게는 5∼100질량%이다.
본 실시형태의 화끈거림 개선제는 화끈거림을 개선하는 우수한 작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들 작용 기구에 관한 연구를 위한 시약으로서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당아욱 추출물은 화끈거림을 개선하는 우수한 작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월경전 증후군(PMS)에 기인하는 피부 화끈거림을 개선하는 용도에 이용되는 화장료(이하, 「화끈거림 개선용 화장료」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에 배합하는데 적합하다. 본 실시형태의 화끈거림 개선용 화장료는 당아욱 추출물이 가지는 화끈거림 개선 작용을 통하여, 월경전 증후군(PMS)에 기인하는 화끈거림을 개선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끈거림 개선용 화장료는 이들 용도 이외에도 화끈거림 개선 작용을 발휘하는 것에 의의가 있는 모든 용도에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끈거림 개선용 화장료에는 당아욱 추출물을 그대로 배합해도 좋고, 당아욱 추출물로부터 제제화한 화끈거림 개선제를 배합해도 좋다. 당아욱 추출물 또는 상기 화끈거림 개선제를 화장료에 배합함으로써, 화장료에 화끈거림 개선 작용을 부여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화끈거림 개선용 화장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에센스, 젤, 크림, 화장수, 유액, 올인원 화장료, 로션, 팩, 파운데이션, 립 크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화끈거림을 개선함과 함께, 촉촉함을 부여하여 부드럽고 탄력이 있는 민낯으로 유도하기 위해, 에센스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화끈거림을 개선함과 함께, 수분 이외에 유성의 보습 성분을 피부에 부여하여, 피부의 배리어 기능을 강화시켜, 외계의 자극으로부터 피부를 지키기 위해, 젤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화끈거림 개선용 화장료는 당아욱 추출물을 배합한 올인원 화장료와 같이, 1단계의 화장료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당아욱 추출물을 배합한 에센스인 제 1 화장료와, 당아욱 추출물을 배합한 젤인 제 2 화장료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제 1 화장료와 제 2 화장료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화장료와 상기 제 2 화장료는 다른 용기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아욱 추출물 또는 상기 화끈거림 개선제를 화끈거림 개선용 화장료에 배합하는 경우, 그 배합량은 화끈거림 개선용 화장료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조정할 수 있지만, 적합한 배합률은 0.00001∼5질량%(고형분 환산)이고, 특히 적합한 배합률은 0.0001∼0.01질량%(고형분 환산)이다.
본 실시형태의 화끈거림 개선용 화장료는 당아욱 추출물이 가지는 화끈거림 개선 작용을 방해하지 않는 한, 통상의 화장료의 제조에 이용되는 주제(主劑), 조제(助劑) 또는 그 외의 성분, 예를 들면, 수렴제, 살균·항균제, 자외선 흡수제, 보습제, 세포 부활제, 소염·항 알레르기제, 항산화·활성 산소 제거제, 유지류, 왁스류, 탄화수소류, 지방산류, 알코올류, 에스테르류, 계면활성제, 향료 등을 병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병용함으로써, 보다 일반성 있는 제품이 되고, 또, 병용된 다른 유효 성분과의 사이의 상승 작용이 통상 기대되는 이상의 우수한 효과를 가져오는 경우가 있다.
제 1 화장료와 제 2 화장료를 구비하는 경우, 상기 제 1 화장료로서는, 당아욱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고, 필요에 따라, 정제수,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을 함유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2 화장료로서는, 당아욱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고, 필요에 따라, 정제수, 글리세린, 아크릴·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 수산화나트륨 등을 함유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화끈거림 개선용 화장료는, 올인원 화장료와 같이, 1단계로 사용되어도 좋고, 제 1 화장료와 제 2 화장료와 2단계로 사용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여성의 평소 화장 행동과 맞춘 것으로 할 수 있어, 사용시에 당혹감을 느끼지 않고,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2단계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화장료와 상기 제 2 화장료 중 어느 한쪽을 먼저 사용하고, 다른 한쪽을 나중에 사용하는 것으로 할 수 있지만, 상기 제 1 화장료, 상기 제 2 화장료의 순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형태의 화끈거림 개선용 화장료의 사용 방법에 있어서, 이와 같이 제 1 화장료와 제 2 화장료를 2단계로 사용함으로써, 각각의 화장료의 효능을 유효하게 발휘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제 2 화장료를 젤로 함으로써, 유효 성분에 의한 화끈거림의 개선 효과에 더하여, 제 1 화장료로 부여한 촉촉함도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화끈거림 개선용 화장료의 사용량은, 개인차, 사용 방법, 사용 시기, 사용 기간 등에 따라 적절히 증감하면 좋다. 사용 시기는, 월경 예정일 전이 바람직하고, 월경 예정일의 9일전∼5일전이 특히 바람직하다. 사용 기간으로서는, 2일∼10일이 바람직하고, 4일∼8일이 특히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시험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의 각 예로 하등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당아욱 추출물의 제조
당아욱(Malva mauritiana L)의 꽃 부분, 잎 부분 및 줄기 부분의 건조물 20g에 대해, 50%BG(1,3부틸렌글리콜, 하이슈가케인 BG, KOKYU ALCOHOL KOGYO CO., LTD.제) 4㎏을 혼합하여, 7일간 침지했다. ADVANTEC 정성 여과지(No. Toyo Roshi Kaisha, Ltd.제) 및 멤브레인(0.45㎛)을 이용하여 여과하고, 여과액으로서 당아욱 추출물(고형분:0.15질량%)을 얻었다.
〔시험예 1〕화끈거림의 개선 효과의 검증
이하의 에센스 및 젤을 조제했다.
〔에센스 A의 조제〕
정제수 74.96g
디프로필렌글리콜 10.0g
1,3-부틸렌글리콜 7.0g
농글리세린 6.0g
디글리세린 1.0g
당아욱 추출물(제조예 1) 0.4g
페녹시에탄올 0.4g
카보머 0.2g
수산화나트륨 0.04g
〔에센스 B의 조제〕
정제수 75.36g
디프로필렌글리콜 10.0g
1,3-부틸렌글리콜 7.0g
농글리세린 6.0g
디글리세린 1.0g
페녹시에탄올 0.4g
카보머 0.2g
수산화나트륨 0.04g
〔젤 A의 조제〕
정제수 85.55g
1,3-부틸렌글리콜 7.0g
농글리세린 5.0g
디글리세린 1.0g
아크릴산메타크릴산알킬 공중합체 0.5g
페녹시에탄올 0.4g
당아욱 추출물(제조예 1) 0.4g
수산화나트륨 0.15g
〔젤 B의 조제〕
정제수 85.95g
1,3-부틸렌글리콜 7.0g
농글리세린 5.0g
디글리세린 1.0g
아크릴산·메타크릴산알킬 공중합체 0.5g
페녹시에탄올 0.4g
수산화나트륨 0.15g
이상과 같이 조제한 에센스 A, B 및 젤 A, B를 이용하여, 이하와 같이 하여 화끈거림의 개선 효과를 검증했다. 또한, 화끈거리는 느낌의 평가에는, 자기 평가 척도인 VAS(Visual Analog Scale)를 이용했다.
월경 전에 화끈거림을 느끼는 30대에서 40대의 여성, 4명에게 월경 예정 7일 전부터 5일간, 통상 사용하고 있는 클렌징료, 세안료 및 화장수를 사용 후, 좌 반쪽 얼굴에 에센스 A, 젤 A의 순서로 사용했다(실시예 1). 또, 우 반쪽 얼굴에 에센스 B, 젤 B의 순서로 사용했다(비교예 1).
사용 5일 후, 화끈거림을 강하게 느낀다:10, 화끈거림을 전혀 느끼지 않는다:0으로 하여 VAS에 의한 앙케이트를 실시했다. 통상 월경 전 화끈거리는 느낌(통상 사용하고 있는 클렌징료, 세안료, 화장수, 에센스 및 젤 사용)의 VAS에 의한 앙케이트를 비교예 2로 하여 실시했다. 결과를 표 1 및 2에 나타낸다.
연령 비교예 2(좌 반쪽 얼굴) 실시예 1(좌 반쪽 얼굴)
35 3.9 0.5
33 1.8 0
41 1.9 0.1
32 4.7 0
평균 3.1 0.2
t-test 0.025
연령 비교예 2(우 반쪽 얼굴) 비교예 1(우 반쪽 얼굴)
35 1.8 1.8
33 0.2 0
41 0.4 0.1
32 5.0 0
평균 1.9 0.5
t-test 0.338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 2(좌 반쪽 얼굴)의 평균 VAS가 3.1인 것에 대해, 실시예 1의 평균 VAS는 0.2로 유의미하게 저하하여, 월경전 증후군(PMS)에 기인하는 화끈거림의 개선이 인정되었다. 한편, 표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비교예 2(우 반쪽 얼굴)의 평균 VAS가 1.9인 것에 대해, 비교예 1의 평균 VAS는 0.5이고, 유의미한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배합예 1〕
하기 조성 크림을 통상법에 의해 제조했다.
당아욱 추출물(제조예 1) 0.5g
고삼 엑기스 0.1g
울금 엑기스 0.1g
유동 파라핀 5.0g
화이트 비즈왁스 4.0g
스쿠알렌 10.0g
세탄올 3.0g
라놀린 2.0g
스테아린산 1.0g
올레인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20E.O.) 1.5g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릴 3.0g
유용성 감초 엑기스 0.1g
1,3-부틸렌글리콜 6.0g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1.5g
향료 0.1g
정제수 잔부(전량을 100g으로 함)
〔배합예 2〕
하기 조성에 따라, 유액을 통상법에 의해 제조했다.
당아욱 추출물(제조예 1) 1.0g
호호바 오일 4.00g
1,3-부틸렌글리콜 3.00g
알부틴 3.00g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20E.O.) 2.50g
올리브 오일 2.00g
스쿠알렌 2.00g
세탄올 2.00g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릴 2.00g
올레인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20E.O.) 2.00g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15g
글리틸레틴산스테아릴 0.10g
황기 엑기스 0.10g
다이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10g
은행나무잎 엑기스 0.10g
콘키올린 0.10g
황벽나무 엑기스 0.10g
카밀레 엑기스 0.10g
향료 0.05g
정제수 잔부(전량을 100g으로 함)
〔배합예 3〕
하기 조성의 미용액을 통상법에 의해 제조했다.
당아욱 추출물(제조예 1) 0.05g
카밀레 엑기스 0.1g
당근 엑기스 0.1g
잔탄검 0.3g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0.1g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g
1,3-부틸렌글리콜 4.0g
다이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1g
글리세린 2.0g
수산화칼륨 0.25g
향료 0.01g
방부제(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15g
에탄올 2.0g
정제수 잔부(전량을 100g으로 함)
본 발명의 화끈거림 개선제는 월경전 증후군(PMS)에 기인하는 화끈거림의 개선에 크게 공헌할 수 있다.

Claims (4)

  1. 당아욱의 꽃 부분, 잎 부분 및 줄기 부분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극성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월경전 증후군(PMS)에 기인하는 화끈거림 개선제로서,
    상기 극성 용매는, 물, 탄소수 1~5의 저급 지방족 알코올, 탄소수 3~4의 저급 지방족 케톤 및 탄소수 2~5의 다가 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용매 또는 2종 이상의 혼합 용매인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월경전 증후군(PMS)에 기인하는 화끈거림 개선제.
  2. 당아욱의 꽃 부분, 잎 부분, 줄기 부분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극성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배합한 화장료로서,
    상기 화장료는 월경전 증후군(PMS)에 기인하는 화끈거림 개선 용도에 이용되고,
    상기 극성 용매는, 물, 탄소수 1~5의 저급 지방족 알코올, 탄소수 3~4의 저급 지방족 케톤 및 탄소수 2~5의 다가 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용매 또는 2종 이상의 혼합 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3. 제 2 항에 있어서,
    당아욱 추출물을 배합한 에센스인 제 1 화장료와,
    당아욱 추출물을 배합한 젤인 제 2 화장료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화장료와 상기 제 2 화장료는 다른 용기에 수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4. 제 3 항에 기재된 화장료를 상기 제 1 화장료, 상기 제 2 화장료의 순서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의 사용 방법.
KR1020210061907A 2020-06-17 2021-05-13 화끈거림 개선제, 화장료 및 화장료의 사용 방법 KR1024950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04685 2020-06-17
JP2020104685A JP6971500B1 (ja) 2020-06-17 2020-06-17 ほてり改善剤、化粧料および化粧料の使用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6208A KR20210156208A (ko) 2021-12-24
KR102495027B1 true KR102495027B1 (ko) 2023-02-06

Family

ID=78605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1907A KR102495027B1 (ko) 2020-06-17 2021-05-13 화끈거림 개선제, 화장료 및 화장료의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393509A1 (ko)
JP (1) JP6971500B1 (ko)
KR (1) KR102495027B1 (ko)
CN (1) CN113797125A (ko)
MY (1) MY196753A (ko)
TW (1) TW202200178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5007167U1 (de) 2015-10-15 2015-11-16 Dr. Willmar Schwabe Gmbh & Co. Kg Zubereitung zur Anwendung in der Mundhöhle bei Zahnungsbeschwerden
KR101587447B1 (ko) 2015-06-12 2016-01-21 조영희 초임계추출조건으로 추출한 추출물, bl-s를 포함하는 피부유분조절, 피부장벽강화, 피부수분조절, 피부보호효과를 지닌 화장료 조성물
JP2016020362A (ja) 2015-08-11 2016-02-04 一丸ファルコス株式会社 キネシン抑制剤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90868B2 (ja) 2000-02-08 2003-03-31 株式会社ブルームフォーラム 化粧料及びその使用方法
JP2002205950A (ja) * 2001-01-10 2002-07-23 Ichimaru Pharcos Co Ltd エラスターゼ活性阻害剤及び化粧料組成物
KR100782517B1 (ko) * 2006-03-22 2007-12-06 (주)아르떼르화장품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또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JP7280676B2 (ja) * 2018-09-26 2023-05-24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コラーゲン線維の結束度を指標とする、低酸素条件及び/又は加齢による、コラーゲン構造の悪化を抑制する成分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447B1 (ko) 2015-06-12 2016-01-21 조영희 초임계추출조건으로 추출한 추출물, bl-s를 포함하는 피부유분조절, 피부장벽강화, 피부수분조절, 피부보호효과를 지닌 화장료 조성물
JP2016020362A (ja) 2015-08-11 2016-02-04 一丸ファルコス株式会社 キネシン抑制剤の製造方法
DE202015007167U1 (de) 2015-10-15 2015-11-16 Dr. Willmar Schwabe Gmbh & Co. Kg Zubereitung zur Anwendung in der Mundhöhle bei Zahnungsbeschwerde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ttp://www.womansense.org/sub_read.html?uid=19051, 송봉근교수의 한방클리닉 당아욱, 해피우먼전북, 2017.09.1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195351A (ja) 2021-12-27
CN113797125A (zh) 2021-12-17
US20210393509A1 (en) 2021-12-23
TW202200178A (zh) 2022-01-01
KR20210156208A (ko) 2021-12-24
MY196753A (en) 2023-05-03
JP6971500B1 (ja) 2021-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6946B1 (ko) 식물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US20080085333A1 (en)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Anemarrhena Asphodeloides and Aralia Elata,and Use Thereof
JP4495406B2 (ja) センダングサ属植物抽出物含有組成物
JPH1095735A (ja) ヒアルロン酸産生能増強剤
KR2017013755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270736B1 (ko) 한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소양증 개선용 조성물
US20100166683A1 (en) Composition of external preparation for uv-protection comprising rehmannia glutinosa extracts
JP7338842B2 (ja) しわ改善用組成物およびしわ改善用皮膚化粧料
KR20150112103A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JP2007045733A (ja) ヒアルロニダーゼ阻害剤
JPH0138762B2 (ko)
KR102495027B1 (ko) 화끈거림 개선제, 화장료 및 화장료의 사용 방법
JP6723979B2 (ja) しわ改善剤
JP4716497B2 (ja) 皮膚外用剤およびヒアルロニダーゼ阻害剤
KR100816265B1 (ko) 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JP5325727B2 (ja) センダングサ属植物抽出物含有組成物
WO2020059906A1 (ko) 계지, 금은화, 향유, 오미자, 우방자, 및 목단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또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N115844784B (zh) 一种用于干燥皮肤舒敏抗炎的组合物及其应用和制备方法
KR102431820B1 (ko) 당유자 및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5993724B2 (ja) エラスチン産生促進剤及び皮膚化粧料
KR100805854B1 (ko) 아토피성 피부염에 대한 치료 또는 예방 조성물
JP2020073585A (ja) しわ改善剤
KR20110094859A (ko) 카바 추출물을 포함하는 콜라겐 합성 촉진용 조성물
JP2000256174A (ja) 化粧料組成物
KR102585725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