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2342A - 항산화 활성을 갖는 꽃향유 추출물 - Google Patents

항산화 활성을 갖는 꽃향유 추출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2342A
KR20090062342A KR1020070129533A KR20070129533A KR20090062342A KR 20090062342 A KR20090062342 A KR 20090062342A KR 1020070129533 A KR1020070129533 A KR 1020070129533A KR 20070129533 A KR20070129533 A KR 20070129533A KR 20090062342 A KR20090062342 A KR 20090062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oxygen species
present
flower
reactive oxyg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9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건희
이용수
최은정
Original Assignee
덕성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성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덕성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129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2342A/ko
Publication of KR20090062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23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1Concentration or drying of the extract, e.g. Lyophilisation, freeze-drying or spray-dr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꽃향유(Elsholtzia splendens)의 항산화성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원 발명에 따른 꽃향유 추출물은 낮은 농도에서는 활성산소 종의 생성으로 세포 신호 전달을 자극하여 세포 성장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고, 높은 농도에서는 세포 성장을 유의성 있게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활성산소 종의 생성을 억제하였다. 또한, 본원 발명에 따른 꽃향유 추출물은 카탈라제와 CuZnSOD와 MnSOD mRNA 발현을 촉진하여 활성산소 종을 제거하는 항산화 활성이 있다.
꽃향유, 항산화 활성

Description

항산화 활성을 갖는 꽃향유 추출물{Extracts from Elsholtzia splendens having antioxidative activity}
본원 발명은 꽃향유(Elsholtzia splendens)의 항산화성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원 발명은 동결 건조법, 용매 추출법 등을 이용하여 꽃향유로부터 분리된 항산화성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또는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슈퍼옥사이드 라디칼(.O2-), 히드록시 라디칼(OH.), 페옥시 라디칼(ROOH.)과 같은 활성산소 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과 활성질소 종 및 황을 포함한 라디칼은 다양한 질병의 원인과 관련이 있는 산화적 스트레스(oxidative stress) 조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슈퍼옥사이드 라디칼을 포함하는 활성산소 종은 생체 내에서 계속해서 만들어진다. 식균 세포(phagocytic cell)가 호흡 방출하는 동안 생성되는 슈퍼옥사이드 라디칼은 외부에서 침입한 박테리아나 바이러스 등을 파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활성산소 종이 특정 요인에 의하여 생체 내에서 필요 이상 으로 생성될 경우, 사용되고 남은 활성산소 종은 지질의 과산화작용, 단백질 변형 즉, 아미노산 측쇄의 산화, 단백질 교차 결합 형성, 단백질 단편화의 원인이 되는 폴리펩티드 기본 구조의 산화, 단일가닥 DNA의 절단을 유발한다. 이러한 활성산소 종은 효소의 불활성 또는 변성, 세포막 분열, 저밀도 콜레스테롤로 인한 혈관 장애 증가, 미토콘드리아의 역기능, 세포 사멸 등을 초래하여 결과적으로, 노화, 만성 질병, 염증, 퇴행성 질병, 노인성 질병을 유발하게 된다(Beckman KB, Ames BN. Mitochondrial aging: open questions. Ann. NY Acad. Sci. 854: 118-127(1998), Finkel T, Holbrook NJ. Oxidants, oxidative stress and the biology of aging, Nature 408: 239-247(2000), McCord JM. The evolution of free radicals and oxidative stress. Am. J. Med. Assoc. 108: 652-659(2000)).
이에 따라, 우리 신체는 남아있는 불필요한 활성산소 종을 제거하기 위한 방어 시스템을 가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시스템으로는 효소에 의한 시스템과 비 효소에 의한 시스템이 있다. 효소에 의한 시스템인 항산화 효소로는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Superoxide dismutase, SOD), 카탈라제(catalase), 글루타치온 퍼옥시다제, 글루타치온-S-트란스퍼라제 등이 있다. 특히,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는 슈퍼옥사이드 라디칼을 산소와 과산화수소로 분해하는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로서, 구리와 아연을 갖는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CuZnSOD)와 망간을 갖는 디스뮤타제(MnSOD)가 있다. 또한, 카탈라제는 과산화수소를 물과 산소로 분해하는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이다.
이에 따라, 합성에 의해 제조되는 항산화제로부터 벗어나 활성산소 종을 제 거하는 활성이 있는 항산화 물질들을 다양한 천연물에서 발견하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예를 들면, 생열귀나무(Rosa davurica Pall)로부터 항산화 활성이 있는 추출물을 분리하였고(대한민국 등록번호 10-4460133호), 쿠스쿠타 치넨시스(Cuscuta chinensis)로부터 항산화 활성이 있는 추출물을 분리한 예(대한민국 등록번호 10-329828호)가 있으며, 뱀딸기 초본(Duchesnea chrysanthaherb)으로부터 항산화 활성이 있는 추출물을 분리한 예(대한민국 등록번호 10-338119호)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알려진 추출물들은 슈퍼옥사이드 라디칼과 같은 활성산소 종을 제거할 수 있는 활성 또는 저밀도 지방 단백질(low-density lipoprotein)의 산화를 억제하는 활성만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단순히 활성산소 종을 제거할 수 있는 능력뿐만 아니라, 활성산소 종의 제거 반응을 촉매하는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와 카탈라제와 같은 효소의 발현을 촉진함으로써 활성산소 종의 제거를 근본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활성을 가진 추출물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꽃향유는 꿀풀과(Labiatae family)에 속하는 식물로서 아시아와 북동 지역에서 서식하며 한방에서는 감기, 오한, 발열, 두통, 복통, 구토, 설사, 전신 부종, 각기, 종기 등을 치료하는 약용식물로서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꽃향유의 특유한 향기로 인하여 특정 방향 성분을 정유로 분리함으로써 방향제로 사용되고 있다.
본원 발명자들은 동결건조법 또는 용매 추출법을 이용하여 꽃향유로부터 추출물을 분리하였고, 얻은 추출물이 활성산소 종을 제거할 수 있는 활성뿐만 아니라 활성산소 종의 제거를 촉진할 수 있는 효소의 발현을 촉진하는 활성을 가져, 항산화물질로서의 용도가 있음을 밝힘으로써 본원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원 발명의 목적은 항산화 활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는 새로운 식물 추출물과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은 꽃향유의 항산화성 추출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원 발명은 꽃향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원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원 발명은 동결 건조법, 또는 용매 추출법을 이용하여 꽃향유로부터 분리한 항산화성 추출물을 제공한다.
상기 동결 건조법은 꽃향유를 동결시키고 가압함으로써 수분을 제거하여 추출물의 분말을 얻는 방법이다.
상기 용매 추출법에서 사용되는 용매로는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클로로포름, 아세톤 등의 유기 용매를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사용한다.
에탄올을 용매로 이용하는 경우, 상기 용매 추출법은 꽃향유를 건조시켜 마쇄하고, 마쇄한 시료 5 g 당 500 ml의 에탄올을 첨가한 후, 실온에서 방치하여 항산화성 물질을 추출하였다.
꽃향유 추출물 제조시에, 동결 건조법 또는 용매 추출법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동결 건조법에 의하여 꽃향유의 분말을 수득한 다음, 수득한 분 말을 용매 추출법을 사용하여 꽃향유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물을 분리할 때에는, 꽃향유 중에서도 꽃 부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꽃 부분은 꽃향유의 다른 부분에 비하여 채취하기가 쉽고 채취한 꽃 부분에 용매만을 첨가하여 추출하면 되므로 추출물을 얻기가 용이하다.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예는 꽃향유의 꽃 부분에 용매로서 에탄올을 첨가하여 추출한 추출물이다.
또한, 본원 발명은 꽃향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꽃향유 추출물로는 동결 건조법과 용매 추출법을 모두 거쳐 얻은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지만, 단순히 동결 건조법만을 거쳐 얻은 추출물 분말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임상 투여시에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실제 임상 투여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본원 발명의 꽃향유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보네이트,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히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 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서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 건조제, 좌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 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 올레이트와 같은 주사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마크로골,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꽃향유 추출물의 유효 용량은 0.1-10 mg/kg이고, 하루 1-3회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다량의 활성산소 종의 발생이 문제가 되는 다양한 질병의 예방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질병은 과다한 활성산소 종의 발생으로 인하여 문제가 되고, 생성된 불필요한 활성산소 종을 제거함으로써 예방될 수 있는 질병으로서, 대표적인 예로는 노화, 만성 질병, 염증, 퇴행성 질병, 노인성 질병 등이 있고, 활성산소와 관련이 있는 암, 당뇨병, 뇌졸중, 심근경색, 간염, 신장염, 교원병, 아토피성 피부염, 파킨슨 병, 허혈, 동맥경화, 피부질환, 소화기질환, 류마티스 등이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의 꽃향유 추출물은 기능성 식품에 포함되어 항산화 활성을 강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능성 식품 제조시에 본원 발명에 따른 꽃향유 추출물을 첨가하여 항산화 활성을 얻을 수 있다.
본원 발명에 따르면, 꽃향유 추출물은 활성산소 종의 억제 효과(실험예 1과 도 1 참조), 세포 성장 촉진 효과(실험예 2와 도 2 참조)가 있다. 특히, 꽃향유 추출물은 낮은 농도에서는 활성산소 종의 생성을 촉진하여 바이러스나 세균을 파괴함으로써 세포 성장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고, 높은 농도에서는 세포 성장을 유의성 있게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활성산소 종의 생성을 억제하였다. 따라서, 소량으로 적용되었을 때와 다량으로 적용되었을 때 모두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본원 발명에 따르면, 꽃향유 추출물은 생성된 활성산소 종을 제거하는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인 카탈라제(실험예 3과 도 3 참조)와 CuZnSOD와 MnSOD(실험예 3과 도 4 참조) mRNA 발현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본원 발명에 따른 꽃향유 추출물은 단순히 활성산소 종을 제거할 수 있는 능력뿐만 아니라, 활성산소 종 제거 반응을 촉매하는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와 카탈라제 발현을 촉진함으로써 활성산소 종의 제거를 근본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활성이 있다.
본원 발명에 따른 꽃향유 추출물은 낮은 농도에서는 활성산소 종의 생성으로 세포 신호 전달을 자극하여 세포 성장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고, 높은 농도에서는 세포 성장을 유의성 있게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활성산소 종의 생성을 억제하였다. 또한, 본원 발명에 따른 꽃향유 추출물은 카탈라제와 CuZnSOD와 MnSOD mRNA 발현을 촉진하여 활성산소 종을 제거하는 항산화활성이 있다. 따라서, 본원 발명에 따른 꽃향유 추출물은 활성산소 종을 제거할 수 있는 능력뿐만 아니라,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와 카탈라제 발현을 촉진함으로써 활성산소 종의 제거를 근본적으로 촉진 할 수 있다.
이하, 본원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원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원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꽃향유 추출물의 제조
꽃향유의 꽃 부분을 동결 건조하여 마쇄하였다. 마쇄한 시료 5g과 80% 에탄올 500 ml를 혼합한 후, 실온에서 30분 동안 방치하였다. 얻은 혼합물을 여과하여 추출물을 포함하는 에탄올 층을 분리하고, 에탄올을 증발시켜 꽃향유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꽃 향유 추출물이 활성산소 종 생성에 미치는 영향
(1) 활성산소 종 측정 방법
a. 세포 배양
Chinese hamster ovary(CHO-K1 세포, 한국 세포주 은행(KCLB, Korean Cell Line Bank))를 10%의 FBS와 항생제(페니실린 50 U/ml과 스트렙토마이신 50 ㎍/ml)가 포함된 RPMI1640(Gibco; Invitrogen, CA, USA) 배지에 넣었다. 사용하기 전까지, 5% CO2, 37℃의 환경을 유지하면서 세포를 배양하였다.
b. 본원 발명의 꽃향유 추출물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꽃향유 추출물을 DMSO에 10 mg/ml의 농도로 희석한 다음 세포에 사용하였다. 세포에 처리된 꽃향유 추출물의 최종 농도는 6.25-100 ㎍/ml 이었다.
c. 활성산소 종의 측정
활성산소 종은 형광 염료인 디클로로디히드로-플루오로세인 디아세이트(dichlorodihydro-fluorescein diacetate, H2DCFDA)와 디히드로로다민 123(DHR 123; Molecular Probes, Eugene, OR, USA)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세포 내에 활성산소 종이 있는 경우, H2DCFDA는 활성산소 종에 의해 산화되어 강한 형광을 나타내는 디클로로플루오레세인(dichlorofluorescein, DCF)로 되고, DHR123은 활성산소종에 의해 산화되어 로다민 123(rhodamine 123, DH123)을 형성하여 형광을 나타내게 된다. 형광은 여기 파장 529 nm/536 nm, 발광 파장 503 nm/500 nm에서 형광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fluorescence microplate reader, spectra max geminiXS; 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 USA)로 측정하였다.
또한, 슈퍼옥사이드 라디칼 생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NBT(니트로블루 테트라졸리윰) 분석을 수행하였다. 세포에 본원 발명의 꽃향유 추출물을 6.25-100 ㎍/ml의 농도로 24시간 동안 처리한 후, 니트로블루 테트라졸리윰(Sigma St. Louis, MO, USA)을 첨가하였다. 4시간 후, PBS로 수세하고 DMSO 200 ㎕로 녹였다. 생성된 슈퍼옥사이드 라디칼과 NBT의 반응으로 형성된 포르마잔은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spectra max geminiXS; Molecular Devices)를 사용하여 흡광도 540 nm에서 측정하였다.
본원 발명에 따른 꽃향유 추출물이 활성산소 종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대 조군과 비교 평가하였다. 상기 대조군은 꽃향유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기술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활성산소 종을 측정하였다.
(2) 활성산소 종 측정
대조군에 대한 본원 발명에 따른 꽃향유 추출물이 첨가된 세포의 활성산소 종의 생성 비율을 NBT, H2DCFDA 또는 DHR123 값으로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따른 꽃향유 추출물을 낮은 농도로 첨가하였을 때에는 NBT, H2DCFDA 또는 DHR123 값이 약간 증가하였고, 높은 농도로 첨가하였을 때에는 NBT, H2DCFDA 또는 DHR123 값이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세포 성장 측정
(1) 세포 성장 측정 방법
a. 본원 발명에 따른 꽃향유 추출물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꽃향유 추출물을 DMSO에 10 mg/ml의 농도로 희석한 다음 세포에 사용하였다. 세포에 처리된 꽃향유 추출물의 최종 농도는 6.25-100 ㎍/ml 이었고, 세포 성장과 활성산소 종의 측정을 동시에 비교하기 위하여 상기 활성산소 종의 측정과 동일한 농도로 사용하였다.
b. 세포 성장 측정 방법
배양한 세포에 본원 발명에 따른 꽃향유 추출물을 6.25-100 ㎍/ml로 첨가하고 24시간 동안 처리한 후, MTT(메틸 티아질릴)를 첨가하였다. 세포가 성장함에 따라 탈수소 효소 작용에 의하여 형성된 청자색의 MTT 포르마잔을 DMSO에 녹인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spectra max geminiXS; Molecular Devices)를 사용하여 흡 광도 490 nm에서 측정하였다.
본원 발명에 따른 꽃향유 추출물이 세포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대조군과 비교 평가하였다. 상기 대조군은 본원 발명에 따른 꽃향유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기술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세포 성장을 측정하였다.
(2) 세포 성장 측정
대조군에 대한 본원 발명에 따른 꽃향유 추출물이 첨가된 세포의 세포 성장 비율을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따른 꽃향유 추출물을 낮은 농도로 첨가하였을 때에는 세포 성장이 약간 증가하였고, 높은 농도로 첨가하였을 때에는 세포 성장이 천천히 감소하였지만 대조군과의 비교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3) 활성산소 종과 세포 성장 검토
도 1과 도 2를 함께 살펴보면, 본원 발명의 꽃향유 추출물을 동일한 낮은 농도로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에는, 활성산소 종의 생성이 증가함과 동시에 세포 성장이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본원 발명의 꽃향유 추출물을 동일한 낮은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에는, 추출물이 세포의 활성산소 종의 생성을 촉진시켜 외부에서 침입한 박테리아나 바이러스 등을 파괴함으로써 세포 성장을 촉진하였기 때문이다. 반면에, 본원 발명의 꽃향유 추출물을 동일한 높은 농도로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에는, 세포 성장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키지 않으면서도 활성산소 종을 제거하여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음을 보여준다.
실험예 3: 항산화 시스템과 관련되는 효소의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
(1)효소의 mRNA 발현 측정 방법
a. 본원 발명에 따른 꽃향유 추출물
본원 발명의 꽃향유 추출물을 1.25-20 ㎍/ml의 농도로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b. 효소의 mRNA 발현 측정 방법
세포는 Trizol(Gibco-BRL; Invitrogen)과 함께 시험관에 보관하였고, 생성된 mRNA 추출은 제조회사의 프로토콜에 따라 수행하였다. First strand cDNA는 2 ㎍의 total DNA와 oligo(dT) 프라이머, SuperScropt first-strand Synthesis system for RT-PCR(Invitrogen)을 사용하여 제조 회사의 프로토콜에 따라 합성하였다. mRNA 발현은 CFB-3120 MiniOption TM system(Bio-Rad Laboratories, Inc., Hercules, CA, USA)를 사용한 실시간 PCR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CFB-3120 MiniOption TMsystem은 48-light-emmitting diodes(LED)를 사용하였고, 측정 가능한 형광 염료의 파장은 470-505 nm 이었다.
PCR 반응은 10 ㎕의 2 x SYBR Green mix(Finnzymes Oy, Finland), 1 ㎕의 first strand cDNA, 각각 1 ㎕의 forward primer와 reverse primer(카탈라제, CuZnSOD, MnSOD, GAPDH)를 포함한 총 20 ㎕의 용량으로 시행하였다. 모든 PCR 반응은 0.1 ㎕의 시험관에서 3회 반복 수행하였다. PCR은 변성(94℃에서 20초), 어닐링(54.5℃에서 20초), 확장(72℃에서 40초)로 총 35회 진행하였다. 카탈라제 mRNA 발현은 제조사의 프로토콜에 따라 2-△△ Ct를 사용한 cycle threshold(Ct) 값의 비교를 통하여 계산하였다. GAPDH(탈수소효소)는 내재성 대조군(endogenous control)으로 사용하였다.
(2) 발현된 효소의 mRNA 측정
상기 방법에 따라 측정한 카탈라제의 mRNA 발현 비율을 도 3에 나타내었고, CuZnSOD와 MnSOD mRNA 발현 비율을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3과 도 4에서 ESE(Elsholtzia splendens extract)는 꽃향유 추출물을 나타낸다.
도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따른 꽃향유 추출물을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매우 낮은 농도(2.5 ㎍/ml 이하의 농도)에서는 카탈라제의 mRNA 발현이 감소하였지만, 높은 농도(10 또는 20 ㎍/ml의 농도)에서는 카탈라제의 mRNA 발현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꽃향유 추출물을 낮은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에는 카탈라제 mRNA 발현이 감소되면서 라디칼 생성이 촉진되었지만, 본원 발명에 따른 꽃향유 추출물은 산화 촉진제(prooxidant)로서 작용하지 않았다.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따른 꽃향유 추출물을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꽃향유 추출물은 대조군에 비하여 CuZnSOD와 MnSOD mRNA 발현을 꽃향유 추출물의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다. 특히 20 ㎍/ml로 처리하였을 때에는 대조군에 비해 CuZnSOD와 MnSOD mRNA 발현이 두 배 정도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 발명에 따른 꽃향유 추출물이 첨가된 세포의 활성산소 종의 생성 비율을 NBT, H2DCFDA 또는 DHR123 값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원 발명에 따른 꽃향유 추출물이 첨가된 세포의 성장 촉진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원 발명에 따른 꽃향유 추출물이 첨가된 세포의 카탈라제 mRNA 발현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원 발명에 따른 꽃향유 추출물이 첨가된 세포의 CuZnSOD와 MnSOD mRNA 발현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Claims (6)

  1. 꽃향유(Elsholtzia splendens)에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클로로포름, 아세톤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를 첨가하여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성 꽃향유 추출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동결 건조 단계를 거친 다음 상기 하나 이상의 용매를 첨가하여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꽃향유의 꽃 부분을 사용하여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노화, 만성 질병, 염증, 퇴행성 질병, 노인성 질병 예방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활성 강화 기능성 식품.
KR1020070129533A 2007-12-13 2007-12-13 항산화 활성을 갖는 꽃향유 추출물 KR200900623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9533A KR20090062342A (ko) 2007-12-13 2007-12-13 항산화 활성을 갖는 꽃향유 추출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9533A KR20090062342A (ko) 2007-12-13 2007-12-13 항산화 활성을 갖는 꽃향유 추출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2342A true KR20090062342A (ko) 2009-06-17

Family

ID=40991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9533A KR20090062342A (ko) 2007-12-13 2007-12-13 항산화 활성을 갖는 꽃향유 추출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234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94022A (zh) * 2010-06-28 2011-12-28 北京龙裔生物科技有限公司 Sod制剂及其制取方法
KR101350495B1 (ko) * 2010-07-27 2014-01-15 한국 한의학 연구원 유효성분으로 향유 추출물을 함유하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4073854A1 (ko) * 2012-11-08 2014-05-15 한국한의학연구원 천연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급성신부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0059906A1 (ko) * 2018-09-20 2020-03-26 김숙경 계지, 금은화, 향유, 오미자, 우방자, 및 목단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또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94022A (zh) * 2010-06-28 2011-12-28 北京龙裔生物科技有限公司 Sod制剂及其制取方法
CN102294022B (zh) * 2010-06-28 2013-11-20 北京龙裔生物科技有限公司 Sod制剂及其制取方法
KR101350495B1 (ko) * 2010-07-27 2014-01-15 한국 한의학 연구원 유효성분으로 향유 추출물을 함유하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4073854A1 (ko) * 2012-11-08 2014-05-15 한국한의학연구원 천연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급성신부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40290B1 (ko) * 2012-11-08 2014-09-17 한국 한의학 연구원 천연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급성신부전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9433655B2 (en) 2012-11-08 2016-09-06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Composition comprising natural substance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acute renal failure
WO2020059906A1 (ko) * 2018-09-20 2020-03-26 김숙경 계지, 금은화, 향유, 오미자, 우방자, 및 목단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또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an de Velde et al. Anti-inflammatory and wound healing properties of polyphenolic extracts from strawberry and blackberry fruits
Quiñones et al. Low-molecular procyanidin rich grape seed extract exerts antihypertensive effect in males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US20230024908A1 (en) Specific nutritional or therapeutic agent including a mixture of grape and blueberry
EP1243586B1 (fr) Fraction phénolique riche en phloridzine et son utilisation en tant qu'agent cosmétique, alimentaire ou nutraceutique.
WO2006115321A1 (en)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salvia miltiorrhiza bge showing enhancing activity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blood circulatory disease.
Afonso et al. Inhibitory effect of phenolic compounds from grape seeds (Vitis vinifera L.) on the activity of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KR20090062342A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꽃향유 추출물
KR20140000030A (ko) 새싹땅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090035605A (ko) 메티오니나아제 저해제 및 그것을 함유하는 조성물 그리고 음식품
Hemagirri et al. In vitro antiaging activity of polyphenol rich Polyalthia longifolia (Annonaceae) leaf extract in Saccharomyces cerevisiae BY611 yeast cells
KR20140029646A (ko) Pge2 활성을 조절하는 해방풍 추출물의 용도
ES2604110T3 (es) Activador de la producción del factor de crecimiento derivado de plaquetas-BB, y activador de la producción de células madre mesenquimatosas, estabilizador de células madre y regenerador de la dermis comprendiendo cada uno el mismo
JP5220346B2 (ja) 皮膚化粧料
KR101554343B1 (ko) 퇴행성 뇌신경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841901B1 (ko) 플라보노이드 계열 화합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강진향추출물을 함유한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 활성저해제 및 기능성 식품
KR101986948B1 (ko) 고로쇠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2058022B1 (ko) 백산차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101900480B1 (ko) 물여뀌 추출물을 이용한 항산화용 조성물
BR112021003857A2 (pt) extrato botânico para cuidados com a pele
JP5885902B2 (ja) デヒドロアスコルビン酸レダクターゼ活性促進剤並びに該促進剤を含有する組成物
KR101696684B1 (ko) 활성 카보닐기 억제제를 스크리닝하는 방법
KR100937394B1 (ko) 유백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관 이완용 조성물
JP5138330B2 (ja) マコモタケの発酵処理物
WO2004080379A2 (fr) Extrait de pangium edule et lignanes utilisables comme inhibiteur de cathepsines ou ayant une action anti-necrotique
KR102610308B1 (ko) 국수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성장 촉진 또는 탈모예방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