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0308B1 - 국수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성장 촉진 또는 탈모예방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국수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성장 촉진 또는 탈모예방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0308B1
KR102610308B1 KR1020210109180A KR20210109180A KR102610308B1 KR 102610308 B1 KR102610308 B1 KR 102610308B1 KR 1020210109180 A KR1020210109180 A KR 1020210109180A KR 20210109180 A KR20210109180 A KR 20210109180A KR 102610308 B1 KR102610308 B1 KR 102610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extract
hair loss
promoting
hair grow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9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7419A (ko
Inventor
김영철
박재석
Original Assignee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09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0308B1/ko
Publication of KR20230027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7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0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03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국수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성장 촉진 또는 탈모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국수나무 추출물이 항산화 활성뿐만 아니라, 인간모유두세포에서 모발성장 촉진인자인 Wnt3α와 Wnt5α의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키고 탈모인자인 IL-1α, TGF-β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시킴을 확인한 바, 상기와 같은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의 국수나무 추출물은 모발성장 촉진 또는 탈모예방용 약학 조성물, 모발성장 촉진 또는 탈모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모발성장 촉진 또는 탈모예방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등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국수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성장 촉진 또는 탈모예방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omoting hair growth or preventing hair loss comprising Stephanandra incisa extract}
본 발명은 국수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성장 촉진 또는 탈모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탈모는 인간에게 정서적 고통을 유발한다. 현재까지 탈모나 탈모증을 앓고 있는 환자의 수는 연령에 관계없이 남녀 모두에서 현저하게 증가하고 있다. 탈모가 생명을 위협하지는 않지만, 고통 받는 환자의 삶의 질을 저하시킨다.
탈모는 유전적 요인, 호르몬 변화, 심리적 스트레스 및 약물 부작용으로 인해 발생하며, 이는 모낭(HF) 주변의 성장인자 수준, 사이토카인 및 호르몬의 변화를 유발한다. 또한, 모낭의 성장기를 단축시키고 퇴행기로의 조기 진입을 유도한다. 높은 수준의 활성산소종(ROS)은 진피유두세포(DPC)의 조기 노화를 유도할 수 있다.
소형기관으로 간주되는 모낭은 진피유두세포와 상피세포의 두 가지 주요 세포로 구성된다. 모낭의 형성은 진피유두세포와 상피세포 사이의 신호 교환에 의하여 진피유두(DP) 분화를 초래한다. 모낭은 성장기(2-6년), 퇴행기(2-3주) 및 휴지기(10-12주)로 구성된 주기적인 모발 주기를 통해 스스로 재생된다.
모발 주기에 관여하는 인간진피유두세포(hDPC)는 성장인자 Wnt3α 및 Wnt5α의 활성뿐만 아니라 억제성 사이토카인 인터루킨-1α(IL-1α) 및 형질전환 성장인자-β(TGF-β)의 활성을 통해 세포의 증식, 분열 및 세포자연사(apoptosis)를 조절한다. Wnt3α는 표준 Wnt 신호전달경로를 매개하여 β-카테닌 안정화를 유도하여 모발성장에 영향을 미친다. Wnt5α는 특정 진피 유두 시그니처 유전자(DP signature gene)이며, 그 발현은 성장기 단계에서 가장 높다. IL-1α는 모낭의 성장을 억제하여 염증성 탈모와 모발세포 사멸을 유발한다. TGF-β은 진피유두세포(DPC)와 각질형성세포(KC)의 성장을 억제하여 세포자연사와 탈모를 유발한다.
미녹시딜(MXD)과 피나스테리드(finasteride)는 탈모증 치료를 위해 미국 식품의약국(US-FDA)에서 승인한 두 가지 약물이다. 그러나 장기간 사용하면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MXD 투여의 부작용에는 알레르기성 피부염, 발적, 가려움증 및 탈모 재발이 포함된다. 피나스테리드 투여에는 불임 및 기형아 출산이 포함된다. 따라서, 모발 성장 촉진 및 탈모 억제를 위한 안전하고 안정성 있는 천연물질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현재 국수나무(Stephanandra incisa)는 낙엽관목으로 한국, 일본, 중국에 널리 분포한다. 국수나무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고, 당뇨병 및 비만치료에 효과적이라는 것이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국수나무 추출물의 모발성장 및 탈모예방 효능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 보고된 바 없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90624호 (2017.02.02.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발성장 촉진 또는 탈모예방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발성장 촉진 또는 탈모예방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발성장 촉진 또는 탈모예방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국수나무(Stephanandra incis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성장 촉진 또는 탈모예방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국수나무(Stephanandra incis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성장 촉진 또는 탈모예방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더불어, 본 발명은 국수나무(Stephanandra incis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성장 촉진 또는 탈모예방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국수나무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뿐만 아니라, 인간모유두세포에서 모발성장 촉진인자인 Wnt3α와 Wnt5α의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키고 탈모인자인 IL-1α, TGF-β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시킴을 확인한 바, 상기와 같은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의 국수나무 추출물은 모발성장 촉진 또는 탈모예방용 약학 조성물, 모발성장 촉진 또는 탈모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모발성장 촉진 또는 탈모예방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등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국수나무 메탄올 추출물(SIME)과 국수나무 에탄올 추출물(SIEE)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로, 각 값은 3번 반복 측정한 데이터의 평균±SD 값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국수나무 메탄올 추출물(SIME)과 국수나무 에탄올 추출물(SIEE)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로, 각 값은 3번 반복 측정한 데이터의 평균±SD 값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국수나무 추출물과 비타민 C의 전자공여능을 나타낸 그래프로, 각 값은 3번 반복 측정한 데이터의 평균±SD 값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험예에 따른 국수나무 추출물과 비타민 C의 ABTS+ 라디칼 제거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로, 각 값은 3번 반복 측정한 데이터의 평균±SD 값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험예에 따른 국수나무 추출물과 비타민 C의 잔틴 산화효소 억제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로, 각 값은 3번 반복 측정한 데이터의 평균±SD 값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험예에 따른 국수나무 추출물과 비타민 C의 SOD 유사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로, 각 값은 3번 반복 측정한 데이터의 평균±SD 값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험예에 따른 국수나무 추출물과 비타민 C의 과산화수소 제거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로, 각 값은 3번 반복 측정한 데이터의 평균±SD 값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험예에 따른 국수나무 추출물과 비타민 C의 제이철 환원 항산화력을 나타낸 그래프로, 각 값은 3번 반복 측정한 데이터의 평균±SD 값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험예에 따른 인간진피유두세포에서의 국수나무 에탄올 추출물(SIEE)의 세포생존율을 나타낸 것으로, 각 값은 3번 반복 측정한 데이터의 평균±SD 값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험예에 따른 인간진피유두세포에서의 국수나무 에탄올 추출물(SIEE)의 Wnt3α 유전자 발현을 나타낸 그래프로, 각 값은 3번 반복 측정한 데이터의 평균±SD 값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험예에 따른 인간진피유두세포에서의 국수나무 에탄올 추출물(SIEE)의 Wnt5α 유전자 발현을 나타낸 그래프로, 각 값은 3번 반복 측정한 데이터의 평균±SD 값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험예에 따른 인간진피유두세포에서의 국수나무 에탄올 추출물(SIEE)의 IL-1α 유전자 발현을 나타낸 그래프로, 각 값은 3번 반복 측정한 데이터의 평균±SD 값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험예에 따른 인간진피유두세포에서의 국수나무 에탄올 추출물(SIEE)의 TGF-β 유전자 발현을 나타낸 그래프로, 각 값은 3번 반복 측정한 데이터의 평균±SD 값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국수나무 에탄올 추출물(SIEE)이 모발성장 촉진인자의 유전자 발현을 촉진시키고 탈모인자의 유전자 발현을 저해시키는 것을 확인하며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국수나무(Stephanandra incis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성장 촉진 또는 탈모예방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국수나무(Stephanandra incisa)”란 낙엽관목으로 한국, 일본, 중국에 널리 분포하는 식물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고, 당뇨병 및 비만치료약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본 명세서에서, "추출물"이란, 추출 방법, 추출 용매, 추출된 성분 또는 추출물의 형태를 불문하고 천연물의 성분을 뽑아냄으로써 얻어진 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천연물의 성분을 뽑아내어 얻어진 물질을 추출 후 다른 방법으로 가공 또는 처리하여 얻어질 수 있는 물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추출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열수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환류 추출법 등이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수행되거나 2종 이상의 방법을 병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국수나무 추출물은 C1 내지 C4의 알코올 또는 이의 수용액을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또는 이의 수용액 등을 상기 용매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또는 80 내지 99.9 중량%의 메탄올 수용액 또는 60 내지 80 중량%의 에탄올 수용액을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국수나무 추출물은 국수나무의 뿌리, 줄기, 잎, 열매, 종자, 꽃 또는 이들 부위의 혼합물을 추출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국수나무는 자연에서 채취 또는 재배된 것일 수 있고,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한 것일 수 있다.
상기 국수나무 추출물은 모발성장 촉진인자인 Wnt3α 및 Wnt5α 발현을 증가시켜 모발성장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국수나무 추출물은 탈모인자인 IL-1α 및 TGF-β 발현을 감소시켜 탈모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국수나무 추출물은 인간진피유두세포에서 모발성장 촉진인자인 Wnt3α 및 Wnt5α의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표준 Wnt 신호전달경로를 매개하고 β-카테닌 안정화를 유도하여 모발 성장을 촉진시키고, 탈모인자인 IL-1α 및 TGF-β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시킴으로써 염증성 탈모와 모발세포 사멸을 억제하고 진피 유두세포와 각질형성세포의 성장을 촉진하여 탈모억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학 조성물인 경우, 투여를 위하여,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소르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형화할 경우 통상 사용하는 충진제, 중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로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유효성분 외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보네이트,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을 첨가하여 조제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과제를 포함한다. 비수성 용제 및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오일,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마크로솔,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 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는 바, 상기 조성물의 일일 투여량은 바람직하게는 0.001 mg/kg 내지 50 mg/kg이며, 필요에 따라 일일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국수나무(Stephanandra incis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성장 촉진 또는 탈모예방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국수나무 추출물은 C1 내지 C4의 알코올 또는 이의 수용액을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또는 이의 수용액 등을 상기 용매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또는 80 내지 99.9 중량%의 메탄올 수용액 또는 60 내지 80 중량%의 에탄올 수용액을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국수나무 추출물은 인간 진피 유두 세포에서 모발성장 촉진인자인 Wnt3α 및 Wnt5α의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표준 Wnt 신호전달경로를 매개하고 β-카테닌 안정화를 유도하여 모발 성장을 촉진시키고, 탈모인자인 IL-1α 및 TGF-β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시킴으로써 염증성 탈모와 모발세포 사멸을 억제하고 진피유두세포와 각질형성세포의 성장을 촉진하여 탈모억제 효과를 나타내어, 모발성장 촉진 또는 탈모예방용 화장료 조성물로 활용할 수 있다.
이에 상응하는 특징들은 상술된 부분에서 대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화장료"란, 모발성장 촉진 또는 탈모예방의 효과를 가지는 기능성 화장료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성 화장료는 화장품법에 정의된 바에 따라 특정 효능과 효과가 강조된 화장료로 모발의 성장 또는 탈모의 개선에 도움을 주거나 상기 증상을 완화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국수나무 추출물은 전체 화장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의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고,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젤,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샴푸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모발, 두피에 사용하는 모든 형태의 화장료로 제조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른 국수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헤어토닉, 헤어크림, 헤어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스프레이, 헤어에어졸, 포마드, 분말, 또는 젤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추출물 외에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등록된 화장품 원료 리스트 및 ICID(국제화장품 원료집)에 등재되어 있는 성분 등 모발 화장료 제제로 수용 가능한 성분을 1종 이상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방부제,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 차단제, 발색제, 향료, 희석제 등이 담체로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방부제,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 차단제, 발색제, 향료, 희석제 등으로 사용될 수 있는 구체적인 화합물 또는 조성물은 이미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당업자라면 적절한 해당 화합물 또는 조성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그 효과를 증진시키고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피부 흡수 촉진제, 두피 또는 모발 보호제, 활성제 등을 더 포함하거나 모발에 도포하기에 적당한 담체를 포함하여 두피 또는 모발 보호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용매와 다른 담체 또는 두피나 모발 보호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비히클(vehicle) 성분을 포함하며, 전체 조성물의 조성물 중 약 0.5% 내지 99.5%,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99.5%,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0% 내지 90.0%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담체로서 용매는 상기 조성물이 헤어스프레이, 무스, 토닉 등과 같이 사용 후 모발에 남는 것이거나 샴푸, 컨디셔너 등과 같이 세정되는 것에 관계없이 사용하는 유효성분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 저급 알코올(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 하이드로알콜계 혼합물, 탄화수소(이소부탄, 헥산, 데센등), 아세톤, 할로겐화 탄화수소(프레온 등), 탄화수소 에스테르(에틸 아세테이트, 디부틸프탈레이트 등), 휘발성 실리콘 유도체, 실록산(페닐 펜타메틸 디실록산, 메톡시프로필 헵타메틸 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클로로프로필 펜타메틸 디실록산, 하이드록시프로필 펜타메틸디실록산, 옥타메틸 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등)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단독 또는 중복으로 도포하여 사용하거나, 본 발명 이외의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국수나무(Stephanandra incis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성장 촉진 또는 탈모예방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국수나무 추출물은 C1 내지 C4의 알코올 또는 이의 수용액을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또는 이의 수용액 등을 상기 용매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또는 80 내지 99.9 중량%의 메탄올 수용액 또는 60 내지 80 중량%의 에탄올 수용액을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국수나무 추출물은 인간진피유두세포에서 모발성장 촉진인자인 Wnt3α 및 Wnt5α의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표준 Wnt 신호전달경로를 매개하고 β-카테닌 안정화를 유도하여 모발 성장을 촉진시키고, 탈모인자인 IL-1α 및 TGF-β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시킴으로써 염증성 탈모와 모발세포 사멸을 억제하고 진피유두 세포와 각질형성세포의 성장을 촉진하여 탈모억제 효과를 나타내어, 모발성장 촉진 또는 탈모예방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 활용할 수 있다.
이에 상응하는 특징들은 상술된 부분에서 대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건강기능식품"이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으로, 영양 공급 외에도 생체 조절 기능이 효율적으로 나타나도록 가공된 의학, 의료 효과가 높은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 식품 등 당업계에 알려진 용어와 혼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강보조식품, 특수 영양 보충용 식품, 기능성 음료 등으로 제조될 수 있고, 또는 천연식품, 가공식품 등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첨가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시럽 또는 음료 등으로 제조될 수 있고, 상기 건강기능식품이 취할 수 있는 형태에는 제한이 없으며, 통상적인 의미의 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료 및 각종 드링크, 과실 및 그의 가공식품(과일통조림, 잼 등), 어류, 육류 및 그 가공식품(햄, 베이컨 등), 빵류 및 면류, 쿠키 및 스낵류, 유제품(버터, 치즈 등) 등이 가능하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기능성 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동물을 위한 사료로 이용되는 식품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첨가제 및 적절한 기타 보조 성분을 더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향미제, 천연 탄수화물, 감미제, 비타민, 전해질, 착색제, 펙트산, 알긴산,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화제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천연 탄수화물로는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수크로오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식품 첨가제 및 기타 보조 성분 등은 그것이 첨가되는 용도를 달성할 수 있는 한 극미량으로 첨가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극미량이란 수치적으로 표현할 때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05 중량% 내지 약 0.5 중량%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나, 백모 개선 또는 광 손상 보호를 위한 보조제로 섭취될 수 있다.
또한, 국수나무(Stephanandra incis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성장 촉진용 또는 탈모인자 억제용 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국수나무(Stephanandra incis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Wnt3α 및 Wnt5α mRNA 발현 촉진용 또는 IL-1 및 TGF-β mRNA 발현 억제용 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에 상응하는 특징들은 상술된 부분에서 대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험준비>
1. 시약 및 기기
1,1-디페닐-2-피크릴히드라질 라디칼(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DPPH), 2,2‘-아지노비스(3-에틸 벤조티아졸린-6-술폰산)(2,2’-azinobis(3-ethyl 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부틸화 히드록시아니솔(butylated hydroxyanisole, BHA), 과황산칼륨(potassium persulfate), 트리즈마 염기(trizma base), 1,2,3-트리하이드록시벤젠(trihydroxybenzene, pyrogallol), 잔틴(xanthine), 잔틴 산화효소(xanthine oxidase),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및 탄닌산(tanninc acid)은 Sigma-Aldrich 사 (St. Louis, MO, USA)에서 구입하였다.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streptomycin, P/S), 트립판 블루 염색 및 3-(4,5-디메틸티아졸-2-일)-2,5-디페닐-테트라졸륨 브로마이드(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는 Gibco BRL 사 (Rockville, NE, USA)에서 구입하였다. 페놀 시약은 Junsei Chemical 사 (Tokyo, Japan)에서, 과산화수소(H2O2), 일염기성 인산나트륨 및 이염기성 인산나트륨은 Duksan Chemical 사 (Ansan, Korea)에서 구입하였다. Transcriptor first strand cDNA synthesis kit와 실시간 PCR(real-time PCR, Fast Start Essential DNA Green Master Kit)는 Roche Molecular Biochemicals 사(Mannheim, Germany)로부터 구입하였다.
UV/Vis 분광 광도계 (Shimadzu 사, Tokyo, Japan), ELISA 판독기 (BioTek Instruments 사, Winooski, VT, USA), pH 측정기 (Hanna 사, Romania), CO2 인큐베이터(Forma, Thermo Fisher Scientific Inc., Waltham, MA, USA) 및 Light Cyberⓡ Nano Real-Time PCR System (Roche Diagnostics, Pleasanton, CA, USA) 기기를 사용하였다.
2. 시료
2018년 제주도 제주시 조천읍에서 채취한 국수나무(Stephanandra incisa) 식물을 메탄올 추출한 메탄올 추출물(SIME)과 에탄올로 추출한 에탄올 추출물(SIEE)을 한국식물추출물은행 (Daejeon, Korea)에서 분양받았다.
추출 방법은 다음과 같다. 분쇄한 시료 101g에 1L의 99.9% 메탄올을 첨가하고, 분쇄한 시료 50g에 70% 에탄올 5L을 첨가하여 각각 실온에서 3회 추출하였다. 그런 다음, 추출물을 여과지로 여과하고 회전식 진공 증발기를 이용하여 농축하고 건조시켰다. SIME와 SIEE의 수율은 각각 5.9%와 10.0%였다.
에 1L의 99.9% 메탄올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3회 추출한 다음 초음파 추출기를 사용하여 여과 및 감압 건조시켰다. SAME의 수율은 10.46%였다. SAME는 사용하기 전에 DMSO에 용해하여 사용하였다. 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수행하여 AIE(20 mg/mL)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3. 통계 분석
SPSS 21.0 (IBM Corp., Armonk, NY, USA)을 이용하여 일원분산분석(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하였고 Duncan 다중범위분석으로 군 간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평가하였다. 통계적 유의성은 P < 0.05로 실시하였다.
<실험예 1> 국수나무 추출물의 항산화능 확인 ( in vitro )
1-1. 총 폴리페놀(polyphenol) 및 총 플라보노이드(flavonoid) 함량 확인
SIME 및 SIEE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Folin-Denis법 (Folin and Denis 1912)에 의해 비색 정량하였다. SAME 1 mL (200 μg/mL)와 Folin-시약 1 mL와 10 μg/mL, 50 μg/mL, 100 μg/mL, 500 μg/mL 및 1000 μg/mL의 시료를 시험관에 넣고 20℃에서 3분간 혼합한 후, 10% NaOH 1 mL를 첨가하여 상온에서 60분간 반응시킨 후 72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검량곡선은 탄닌산(tannic acid)을 이용하여 작성하였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냈다.
SIME 및 SIEE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Davis 변법 (Davies et al. 1980)을 이용하였다. 디에틸렌 글리콜 시약(diethylene glycol reagent) 1 mL와 10 μg/mL, 50 μg/mL, 100 μg/mL, 500 μg/mL 및 1000 μg/mL의 시료를 시험관에 넣고 25℃에서 5분간 혼합한 후, 1N NaOH 100 μL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60분간 반응시킨 후 4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검량곡선은 쿼세틴(quercetin)을 이용하여 작성하였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국수나무 메탄올 추출물(SIME)과 국수나무 에탄올 추출물(SIEE)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로, 각 값은 3번 반복 측정한 데이터의 평균±SD 값이다.
도 1을 살펴보면, 국수나무 메탄올 추출물(SIME) 및 국수나무 에탄올 추출물(SIEE)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12.8 탄닌산 당량 (TAE) mg/g, 17.9 탄닌산 당량 (TAE) mg/g이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국수나무 추출물은 에탄올로 추출하는 경우의 항산화능이 더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국수나무 메탄올 추출물(SIME)과 국수나무 에탄올 추출물(SIEE)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로, 각 값은 3번 반복 측정한 데이터의 평균±SD 값이다.
도 2를 살펴보면, 같이 국수나무 메탄올 추출물(SIME) 및 국수나무 에탄올 추출물(SIEE)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0.38 쿼세틴 당량 (QE) mg/g, 0.39 쿼세틴 당량 (QE) mg/g임을 확인할 수 있다.
1-2. 전자공여능
SIME 및 SIEE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Blois의 방법 (Blois 1958)으로 측정하였다. 각 적정 농도 (10, 50, 100, 500, 1000 μg/mL)의 시료 100μL를 96-웰 플레이트에 취하여 0.2 M의 DPPH 용액 50 μL를 첨가하고 상온의 차광조건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 아스코르브산(AA)을 사용하였고, 하기 식 1과 같이 계산하였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냈다.
<식 1>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국수나무 추출물과 비타민 C의 전자공여능을 나타낸 그래프로, 각 값은 3번 반복 측정한 데이터의 평균±SD 값이다 (ANOVA 및 Duncan multiple range test로 분석한 바와 같이, 동일한 농도에서 다른 글자 a, b의 값은 서로 유의하게(p<0.05) 다르다).
도 3을 살펴보면, SIME 및 SIEE의 전자공여능은 각각 1,000 μg/mL에서 80.1%, 83.7%이었다. 상기 값은 같은 농도에서 양성대조군인 AA의 전자공여능인 98.63%보다 낮았다.
1-3. ABTS + 라디칼 소거 활성
SIME 및 SIEE의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Brand-Williams 방법 (Brand-Williams et al.)으로 측정하였다. ABTS+ 라디칼은 암실에서 25℃에서 24시간 동안 7.4 mM ABTS와 2.6 mM 과황산칼륨(K2S3O8)을 1:1 비율로 혼합하였다. 사용하기 전에 ABTS+ 용액을 에탄올로 희석하여 734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0.706±0.001의 값을 얻었고, 그 결과는 도 4에 나타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험예에 따른 국수나무 추출물과 비타민 C의 ABTS+ 라디칼 제거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로, 각 값은 3번 반복 측정한 데이터의 평균±SD 값이다 (ANOVA 및 Duncan multiple range test로 분석한 바와 같이, 동일한 농도에서 다른 글자 a, b, c의 값은 서로 유의하게(p<0.05) 다르다).
도 4를 살펴보면, SIME 및 SIEE의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각각 1,000μg/mL에서 97.4%, 99.1%이었다. 상기 값은 같은 농도에서 양성대조군인 AA의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인 100%와 유사했다.
1-4. 잔틴 산화효소 억제 활성
SIME 및 SIEE의 잔틴 산화효소 억제 활성은 Strip의 방법 (Stripe and Corte 1969)에 의해 측정되었다. 간략하게 기질 0.2 mL를 잔틴(2 mM)에 용해시킨 다음, 각 샘플 0.1 mL 및 0.1 M 인산화칼륨 완충액(pH 7.5) 0.6 mL에 첨가한 후, 0.1 mL의 산화잔틴(0.2 U/mL)를 15분 동안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시켰고, 그 결과는 도 5에 나타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험예에 따른 국수나무 추출물과 비타민 C의 잔틴 산화효소 억제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로, 각 값은 3번 반복 측정한 데이터의 평균±SD 값이다 (ANOVA 및 Duncan multiple range test로 분석한 바와 같이, 동일한 농도에서 다른 글자 a, b, c의 값은 서로 유의하게(p<0.05) 다르다).
도 5를 살펴보면, SIME 및 SIEE의 잔틴 산화효소 억제 활성은 각각 1,000 μg/mL에서 61.3%, 57.1%이었다. 상기 값은 같은 농도에서 양성대조군인 AA의 잔틴 산화효소 억제 활성인 73.2%보다 낮았다.
1-5. SOD 유사 활성(SOD-like activity)
SIME 및 SIEE의 SOD 유사 활성은 Marklund의 방법 (Marklund 및 Marklund 1974)에 따라 측정되었다. 간략하게 각 시료의 0.2 mL을 2600 μL Tris-HCl 완충액 (50 mM 트리스+10 mM EDTA, pH 8.5) 및 200 μL의 7.2 mM 피로갈롤로 이루어졌고, 37℃에서 10분간 반응을 억제하고 4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반응에서 산화된 피로갈롤의 양을 결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험예에 따른 국수나무 추출물과 비타민 C의 SOD 유사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로, 각 값은 3번 반복 측정한 데이터의 평균±SD 값이다 (ANOVA 및 Duncan multiple range test로 분석한 바와 같이, 동일한 농도에서 다른 글자 a, b, c의 값은 서로 유의하게(p<0.05) 다르다).
도 6을 살펴보면, SIME 및 SIEE의 SOD 유사 활성은 각각 1,000 μg/mL에서 59..8%, 73.8%이었다. 상기 값은 같은 농도에서 AA의 SOD 유사 활성인 77.5%보다 낮았다.
1-6. 과산화수소 제거 활성
SIME 및 SIEE의 과산화수소 제거 활성은 Gulcin의 방법(Gulcin et al. 2003)에 따라 측정되었다. 이 실험에서는 500 μL의 4 mM H2O2를 500 mL의 희석된 시료에 첨가하고 37℃에서 10분간 배양했다. 그런 다음, ELISA 판독기를 사용하여 230 nm에서 츱광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험예에 따른 국수나무 추출물과 비타민 C의 과산화수소 제거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로, 각 값은 3번 반복 측정한 데이터의 평균±SD 값이다 (ANOVA 및 Duncan multiple range test로 분석한 바와 같이, 동일한 농도에서 다른 글자 a, b, c의 값은 서로 유의하게(p<0.05) 다르다).
도 7을 살펴보면, SIME 및 SIEE의 과산화수소 제거 활성은 각각 1,000 μg/mL에서 28.4%, 32.8%이었다. 상기 값은 같은 농도에서 AA의 과산화수소 제거 활성인 48.9%보다 낮았다.
1-7. 제이철 환원 항산화력(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SIME 및 SIEE의 항산화능은 Oyaizu의 방법 (Oyaizu 1986)에 따라 측정되었다. 약 1 mL의 10 μg/mL, 50 μg/mL, 100 μg/mL, 500 μg/mL 및 1000 μg/mL 시료와 1 mL의 페리시안화물 용액(1% v/v)에 1 mL의 인산염 완충액(0.2 M, pH 6.6)을 50℃에서 20분 동안 첨가했다. 그런 다음, 10% 트리클로로아세트산 1 m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2,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 1 mL 및 1% 클로라이드 0.2 mL에 증류수 1 mL를 첨가하였다. 10분 후 7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8에 나타냈다. 각 시료의 제이철 환원 항산화력은 건조 시료와 동등한 아스코르브산(AA) mM로 표시되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험예에 따른 국수나무 추출물과 비타민 C의 제이철 환원 항산화력을 나타낸 그래프로, 각 값은 3번 반복 측정한 데이터의 평균±SD 값이다 (ANOVA 및 Duncan multiple range test로 분석한 바와 같이, 동일한 농도에서 다른 글자 a, b, c의 값은 서로 유의하게(p<0.05) 다르다).
도 8을 살펴보면, SIME 및 SIEE의 제이철 환원 항산화력은 각각 1,000 μg/mL에서 28.1%, 37.9%이었다. 상기 값은 같은 농도에서 AA의 항산화능인 77.2%보다 낮았다.
<실험예 2> 국수나무 추출물의 활성 분석 ( in vitro )
2-1. MTT assay을 통한 세포생존율 확인
이 실험에 사용된 hDPC는 PromoCell GmbH(Heidelberg, Germany)에서 구입했으며 37℃의 가습된 5% CO2 인큐베이터에서 10% FBS와 1% P/S가 보충된 여포 진피 유두 세포 성장 배지 (PromoCell GmbH)에서 배양하였다.
세포 생존 측정을 위한 분석은 다음과 같이 수행되었다: hDPC (180 10μL)를 96-웰 플레이트에 적정세포수 (1×105 cells/well)로 분주하고 5% CO2 인큐베이터에서 37℃,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한 후, 6.25, 12.5, 25, 50 및 100 μg/mL의 농도로 SIEE의 각 시료 20 μL를 첨가하고 플레이트를 48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대조군은 동일한 부피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제조하고 동일한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배양한 후, 20 μL의 MTT 용액 (5 mg/mL)을 각 웰에 첨가하고, 배양 배지를 4시간 배양한 후에 제거하였다. 그런 다음, DMSO(디메틸설폭사이드)와 에탄올을 1:1 비율의 혼합물 200 μL를 각 웰에 첨가하였다. 30분 후, ELISA 판독기에서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9에 나타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험예에 따른 인간진피유두세포에서의 국수나무 추출물 및 비타민 C 처리에 따른 세포생존율을 나타낸 것으로, 각 값은 3번 반복 측정한 데이터의 평균±SD 값이다.
도 9를 살펴보면, SIEE의 세포독성을 조사하기 위해, SIEE의 여러 농도에서 hDPC 생존력을 평가하였다. 12.5, 25 및 50 mg/mL의 SIEE 처리는 세포 생존율을 각각 2.0%, 11.9% 및 21.6% 감소하였다. MTT 분석을 사용하여 hDPC에 대한 SIEE의 최대허용농도(maximum permissible level, MPL)는 25 μg/mL로 확인되었다
2-2. 실시간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Real-time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qPCR)
hDPC를 100 mm 접시에 5×105 cells/mL의 밀도로 균일하게 분배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적절한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대조군 웰을 제외하고 각 웰에 6.25, 12.5, 25 μg/mL의 SIEE를 처리하고 플레이트를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런 다음 배양 배지를 제거하고 1 mL의 TRI 시약을 각 웰에 첨가하였다: 그 후, 세포를 용해시키고, 8000 rpm에서 1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수집하였다. 다음으로, 클로로포름 200 μL를 첨가하고 튜브를 20초 동안 혼합하고, 13,000 rpm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상등액을 500 μL 이소프로판올이 포함된 튜브로 옮겼다. 15분 동안 13,000 rpm에서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제거하였다. 그 후 70% 에탄올 1 mL를 각 튜브에 분취하고(aliquoted), 13,000 rpm에서 5분간 더 원심분리하고 상층액을 버리고 펠렛을 25℃에서 건조시켰다. 다음으로, 추출된 RNA 5 μL에 0.1% 디에틸 피로카보네이트(diethyl pyrocatbonate) 955 μL를 첨가하고, 260 및 28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총 RNA 량을 결정하였다. mRNA는 Transcriptor First Strand cDNA Synthesis Kit를 사용하여 cDNA로 역전사되었다. 요약하면, 올리고(dT) 프라이머(500 μg/mL; 1 μL), RNase free water(10 μL) 및 추출된 RNA(2 μg)를 혼합하고 25℃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그런 다음, 4 μL의 transcriptor RT reaction buffer, 0.5 μL의 Protector RNase inhibitor, 2 μL의 deoxynucleotide mix, 0.5 μL의 transcriptor reverse transcriptase를 튜브에 첨가하였다. 55℃에서 30분, 85℃에서 5분, 4℃에서 1시간의 조건으로 반응 혼합물을 합성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다음으로, 2 μL의 희석된 cDNA, 10 μL의 SYBR green 및 1 μL의 프라이머가 들어있는 튜브에 qPCR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는 도 10 내지 도 13에 나타냈다. 설계된 프라이머의 서열은 하기 표 1에 요약되어 있다.
Genes Primers Expected
size (bp)
Wnt 3a Forward (5'→3') AGTGCAAATGCCACGGACTA
Reverse (5'→3') TTGGGCTCGCAGAAGTTAGG
110
Wnt 5a Forward (5'→3') TTGAAGCCAATTCTTGGTGGTCGC
Reverse (5'→3') TGGTCCTGATACAAGTGGCACAGT
101
IL-1α Forward (5'→3') CTTCTGGAAACTCACGGCA
Reverse (5'→3') GTGAGACTCCAGACCTACGC
215
TGF-β Forward (5'→3') ACCGCCGCAACTCCGGTGAC
Reverse (5'→3') ATCTATGACAAGTTCAAGCAGAGTA
159
GAPDH Forward (5'→3') CGGAGTCAACGGATTTGGTCGTAT
Reverse (5'→3') AGCCTTCTCCATGGTGAAGAC
210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험예에 따른 인간진피유두세포에서의 Wnt3α 유전자 발현을 나타낸 그래프로, 각 값은 3번 반복 측정한 데이터의 평균±SD 값이다(ANOVA 및 Duncan multiple range test로 분석한 바와 같이, 동일한 농도에서 다른 글자 a, b의 값은 서로 유의하게(p<0.05) 다르다). 도 10을 살펴보면, 25 ㎍/mL의 SIEE 및 1 μM의 MXD 처리는 대조군에 비해 Wnt3a mRNA 발현 수준을 각각 6.0% 및 62.7%(p<0.05) 상향 조절하였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험예에 따른 인간진피유두세포에서의 Wnt5α 유전자 발현을 나타낸 그래프로, 각 값은 3번 반복 측정한 데이터의 평균±SD 값이다(ANOVA 및 Duncan multiple range test로 분석한 바와 같이, 동일한 농도에서 다른 글자 a, b의 값은 서로 유의하게(p<0.05) 다르다). 도 11을 살펴보면, 25 ㎍/mL SIEE 및 1 μM MXD 처리는 대조군에 비해 Wnt5a mRNA 발현을 각각 46.3% 및 70.3%까지 유의하게 상향 조절하였다(p<0.05).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험예에 따른 인간진피유두세포에서의 IL-1α 유전자 발현을 나타낸 그래프로, 각 값은 3번 반복 측정한 데이터의 평균±SD 값이다(ANOVA 및 Duncan multiple range test로 분석한 바와 같이, 동일한 농도에서 다른 글자 a, b의 값은 서로 유의하게(p<0.05) 다르다). 도 12를 살펴보면, 25 ㎍/mL SIEE 및 1 μM MXD 처리는 대조군에 비해 IL-1α mRNA 발현을 각각 31.7% 및 42.7%로 유의하게 하향 조절하였다(p<0.05).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험예에 따른 인간진피유두세포에서의 TGF-β 유전자 발현을 나타낸 그래프로, 각 값은 3번 반복 측정한 데이터의 평균±SD 값이다(ANOVA 및 Duncan multiple range test로 분석한 바와 같이, 동일한 농도에서 다른 글자 a, b, c의 값은 서로 유의하게(p<0.05) 다르다). 도 13을 살펴보면, 25 ㎍/mL SIEE 및 1 μM MXD 처리는 대조군에 비해 TGF-β mRNA 발현을 각각 31.3% 및 46.3%까지 유의하게 하향 조절하였다(p<0.05).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한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국수나무(Stephanandra incis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성장 촉진 또는 탈모예방용 약학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국수나무 추출물은,
    C1 내지 C4의 알코올 또는 이의 수용액을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성장 촉진 또는 탈모예방용 약학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국수나무 추출물은 Wnt3α 및 Wnt5α 발현을 증가시켜 모발성장을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성장 촉진 또는 탈모예방용 약학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국수나무 추출물은 IL-1α 및 TGF-β 발현을 감소시켜 탈모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성장 촉진 또는 탈모예방용 약학 조성물.
  5. 국수나무(Stephanandra incis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성장 촉진 또는 탈모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국수나무 추출물은 C1 내지 C4의 알코올 또는 이의 수용액을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성장 촉진 또는 탈모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국수나무 추출물은 전체 화장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성장 촉진 또는 탈모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헤어토닉, 헤어크림, 헤어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스프레이, 헤어에어졸, 포마드, 분말, 또는 젤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성장 촉진 또는 탈모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9. 국수나무(Stephanandra incis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성장 촉진 또는 탈모예방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국수나무 추출물은 C1 내지 C4의 알코올 또는 이의 수용액을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성장 촉진 또는 탈모예방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0210109180A 2021-08-19 2021-08-19 국수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성장 촉진 또는 탈모예방용 조성물 KR102610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180A KR102610308B1 (ko) 2021-08-19 2021-08-19 국수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성장 촉진 또는 탈모예방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180A KR102610308B1 (ko) 2021-08-19 2021-08-19 국수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성장 촉진 또는 탈모예방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7419A KR20230027419A (ko) 2023-02-28
KR102610308B1 true KR102610308B1 (ko) 2023-12-06

Family

ID=85326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9180A KR102610308B1 (ko) 2021-08-19 2021-08-19 국수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성장 촉진 또는 탈모예방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030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4340A1 (ko) 2015-07-22 2017-01-26 한국콜마주식회사 항노화 효능을 가지는 국수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및 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6886B1 (ko) * 2017-08-16 2019-03-11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미세먼지 또는 황사에 의해 손상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4340A1 (ko) 2015-07-22 2017-01-26 한국콜마주식회사 항노화 효능을 가지는 국수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및 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7419A (ko) 202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6872B1 (ko) 우유 엑소좀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JP2011201788A (ja) 抗炎症剤
KR20170037570A (ko) 들깻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EP2620492B1 (en)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bb production promoter, and mesenchymal stem cell production promoter, stem cell stabilizer and dermis regenerator each comprising same
KR102343705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3151451A (ja) ツリフネソウ抽出物を含む抗酸化・抗アレルギー剤
JP4672269B2 (ja) 抗老化剤、血小板凝集抑制剤、抗酸化剤、抗アレルギー剤、皮膚化粧料及び飲食品
KR102610308B1 (ko) 국수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성장 촉진 또는 탈모예방용 조성물
KR102122614B1 (ko) 테트라셀미스 테트라셀레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두피 개선 및 탈모 방지용 조성물
EP4321518A1 (en) Novel polyphenol compound
WO2014171333A1 (ja) ミトコンドリア活性化剤
KR100864203B1 (ko) 미백활성을 나타내는 제주아그배 추출물
KR102058022B1 (ko) 백산차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102106440B1 (ko) 블루베리 및 흑미 추출물 배양 유산균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037039B1 (ko) 플록쿨린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을 위한 조성물
KR20160119309A (ko) 돌단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또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20170025363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JP5085198B2 (ja) 抗酸化剤
KR102638147B1 (ko) 망고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KR101933835B1 (ko) 플럼바긴 및 생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572769B1 (ko) 초고압 전처리된 메밀새싹 및 캐모마일의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부 자극으로 손상된 두피 케어용 또는 스트레스성 탈모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13083B1 (ko) 등수국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CN116370382A (zh) 含有黑树莓提取物的黑素细胞中的酪氨酸酶的活性抑制剂及其制造方法
EP4137143A1 (en) Composition for anti-oxidation and anti-inflammation comprising salvia plebeia r br extract and centella asiatica extract
KR102073337B1 (ko) 후피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