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0784A - 구황작물 박피장치 - Google Patents

구황작물 박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0784A
KR20200140784A KR1020207000683A KR20207000683A KR20200140784A KR 20200140784 A KR20200140784 A KR 20200140784A KR 1020207000683 A KR1020207000683 A KR 1020207000683A KR 20207000683 A KR20207000683 A KR 20207000683A KR 20200140784 A KR20200140784 A KR 20200140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upper housing
disposed
housing
low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0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0467B1 (ko
Inventor
이백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엘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엘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엘티
Publication of KR20200140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0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0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0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7/00Peeling vegetables or fruit
    • A23N7/02Peeling potatoes, apples or similarly shaped vegetables or fruit
    • A23N7/023Peeling potatoes, apples or similarly shaped vegetables or fruit one by one
    • A23N7/026Peeling machines therefor with rotary fruit holding spindles and fixed or movable peeler bla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 A23N12/023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for washing potatoes, apples or similarly shaped vegetables or fruit
    • A23N12/026Stone-gatherers or cleaning devices for the wash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7/00Peeling vegetables or fruit
    • A23N7/02Peeling potatoes, apples or similarly shaped vegetables or frui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하우징; 상기 하부하우징에 배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측면 상에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샤프트; 상기 하부하우징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샤프트에 체결되어 동회전함으로써 구황작물의 껍질을 박피하는 원판 형상의 칼날부; 상기 칼날부를 수용하며, 상기 칼날부로써 구획되는 내부 공간에 구황작물이 수용되는 상부하우징; 및 상기 상부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된 구황작물을 교반하는 교반부;를 포함하는 구황작물 박피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구황작물 박피장치
본 발명은 구조가 개선된 구황작물 박피장치에 관한 것이다.
감자나 고구마와 같은 구황작물은 전세계적으로 많이 식용되고 있는 식재료이다. 이러한 구황작물은 표면이 비정형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껍질을 쉽게 벗길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감자와 고구마와 같은 구황작물의 껍질을 벗기기 위한 박피장치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120254호(발명의 명칭: 감자박피기)는 구황작물중 하나인 감자를 박피하기 위한 장치를 게재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종래기술은 돌기(16)가 형성된 바닥회전판(15)을 회전시켜 수용된 감자를 회전 이동시켜 벽면통(1)의 칼날(3)에 의해 박피되도록 하는 장치를 게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측면 칼날형 감자박피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일단, 측면에 칼날이 배치된 타입은 외통과 내통이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장치의 조립과 유지, 보수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제품 전체의 가격이 증가될 수 밖에 없다.
또한, 바닥회전판의 회전에 따라 수용된 감자가 측면 칼날에 의해 박피되는 구조는 상, 하 적층된 감자가 회전 속도와 튐 정도가 상이하기 때문에 균일한 감자의 박피를 구현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으며, 껍질뿐만 아니라 내용물까지 절삭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구조는 박피된 껍질의 제거 및 내부 청소가 어려운 구조를 가지므로 위생상의 문제와 사용에 따른 박피능력의 저하라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수용되는 구황작물의 종류 또는 컨디션에 관계없이 우수한 박피를 도모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구황작물 박피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껍질의 제거를 효과적으로 도모하여 위생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구황작물 박피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하부하우징; 상기 하부하우징에 배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측면 상에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샤프트; 상기 하부하우징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샤프트에 체결되어 동회전함으로써 구황작물의 껍질을 박피하는 원판 형상의 칼날부; 상기 칼날부를 수용하며, 상기 칼날부로써 구획되는 내부 공간에 구황작물이 수용되는 상부하우징; 및 상기 상부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된 구황작물을 교반하는 교반부;를 포함하는 구황작물 박피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칼날부의 상측면, 상부하우징의 내측면 또는 교반부는 실리콘이 코팅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칼날부는 상기 샤프트에 체결되는 디스크와 상기 디스크에서 부채꼴 형상으로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어 연장 형성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몸체; 길이 방향이 상기 몸체의 방사 방향과 수평하게 상기 블레이드에 체결되어 구황작물을 박피하는 절삭편; 및 적어도 한 개의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블레이드 사이에 체결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연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에는 방사 방향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안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절삭편은 칼날이 상기 블레이드의 상측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칼날부는 상기 블레이드를 상기 안치홈에 배치되도록 상기 블레이드와 절삭편의 하측면에 체결되는 제1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칼날부는 상기 블레이드의 하측면과 연결판의 하측면에 체결되는 제2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판은 상기 하부하우징 방향으로 경사진 제1 경사부; 상기 제1 경사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하부하우징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제2 경사부; 및 상기 제2 경사부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하부하우징과 수평면을 형성하는 수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경사부 또는 제2 경사부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경사부는 제2 경사부보다 많은 면적을 가지며, 상기 제2 경사부는 수평부보다 많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칼날부의 지름은 상기 상부하우징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측면에는 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하부하우징에 배치되어 세척수 또는 박피된 껍질이 배출되는 배출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칼날부의 하측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청소브라켓과,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측면과 접하거나 인접하도록 상기 청소브라켓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탄성편을 포함하는 세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하우징에는 투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투입홀과 연통되도록 상기 상부하우징의 내부로 배치되는 유입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하우징에는 개폐홀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홀을 개방 패쇄하는 도어와, 상기 상부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는 도어브라켓과, 상기 도어브라켓과 도어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도어어셈블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부는 상기 샤프트를 수용하여 동회전함으로써 상기 상부하우징 내부 공간에 수용된 구황작물을 상기 상부하우징의 내주면 쪽으로 튕겨내는 드럼; 및 상기 상부하우징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튕김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튕김판은 삼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길이 방향이 상기 샤프트와 수평하게 상기 상부하우징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칼날부가 하부에 배치되며, 연결판의 형상과 교반부의 구조에 따라 구황작물의 교반이 효과적으로 구현됨으로써 구황작물의 박피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칼날부의 절삭편의 배치, 칼날부와 상부하우징의 크기, 세척부와 배출홀의 배치구조로 인해 박피 후 껍질과 세척수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절삭편, 연결판, 튕김판의 용이한 탈착구조를 가짐으로써 유지, 보수에 이점이 있으며, 구황작물의 종류 또는 크기에 따라 신속하게 구성요소를 교체하여 생산성 및 박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황작물 박피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황작물 박피장치의 절단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칼날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칼날부의 디스크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칼날부의 연결판의 사시도.
도 6은 도 3을 하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반부의 튕김판의 체결상태도.
도 8은 도 7의 체결판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당업자가 이해하는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다만, 이하에 기술될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황작물 박피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황작물 박피장치의 절단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의 세부도면으로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칼날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칼날부의 디스크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칼날부의 연결판의 사시도, 도 6은 도 3을 하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반부의 튕김판의 체결상태도이며, 도 8은 도 7의 체결판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황작물 박피장치는 크게 하부하우징(100), 구동부(200), 칼날부(300), 상부하우징(400) 및 교반부(5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세척부(600) 또는 도어어셈블리(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하우징(100)은 내부에 후술할 구동모터(210)를 수용할 수 있으며, 다른 구성요소를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하부하우징(100)의 형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황작물 박피장치가 배치될 공간에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기본적인 형상인 육면체로서 도시하였다.
예를 들어, 상기 하부하우징(100)은 뼈대를 구성하는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 하측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배치된 레그(120)와, 이동의 용이성을 위해 상기 프레임(110) 하측에 배치된 복수 개의 롤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하우징(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에 개폐 가능한 도어(14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140)를 열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거나, 후술할 구동모터(210) 및/또는 샤프트(220) 등을 유지, 보수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하우징(100)의 상측면 상에는 후술할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 있으며, 하측면에는 상기 롤러(13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하우징(100)은 상측면에 배출홀(151)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홀(151)과 연통되도록 상기 하부하우징(100)에 배치되어 세척수 또는 박피된 껍질이 배출되는 배출덕트(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덕트(150)의 배출구는 상기 하부하우징(100)의 어느 일측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하우징(100)의 내부, 측면 또는 상측면에는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도시된 것과 같은 컨트롤패널(16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00)는 구동모터(210)와 샤프트(2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210)는 상기 하부하우징(100)에 배치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어 외부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220)는 상기 하부하우징(100)의 상측면 상에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구동모터(210)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샤프트(220)는 상기 구동모터(210)와 커플링 등으로 직접 결합되어 회전되거나, 또는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구동모터(210)와 풀리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으며, 후술할 칼날부(300) 및/또는 드럼(510)이 회전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샤프트(220)를 상기 하부하우징(100)의 상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도록 샤프트하우징(230) 및/또는 베어링(24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칼날부(300)는 상기 하부하우징(100)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샤프트(220)에 체결되어 동회전함으로써 구황작물의 껍질을 박피할 수 있다.
이러한 칼날부(300)는 상기 샤프트(220)에 체결되어 동회전하므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칼날부(300)는 몸체(310), 절삭편(320) 및 연결판(3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브라켓(340)과 제2 브라켓(3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310)는 상기 샤프트(220)에 체결되는 디스크(311)와 상기 디스크(311)에서 부채꼴 형상으로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어 연장 형성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블레이드(3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삭편(320)은 길이 방향이 상기 몸체(310)의 방사 방향과 수평하게 상기 블레이드(312)에 체결되어 구황작물을 박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블레이드(312)에는 방사 방향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안치홈(312a)이 형성되고, 상기 절삭편(320)은 칼날이 상기 블레이드(312)의 상측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칼날부(300)는 상기 블레이드(312)를 상기 안치홈(312a)에 배치되도록 상기 블레이드(312)와 절삭편(320)의 하측면에 체결되는 제1 브라켓(34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절삭편(320)의 교체를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제1 브라켓(340)에 의한 체결 구조에 따라 구황작물에서 박피된 껍질은 1차적으로 상기 안치홈(312a)과 절삭편(320) 사이를 통해 상기 하부하우징(100)의 상측면과 상기 칼날부(300)의 하측면이 형성하는 배출공간으로 낙하되어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연결판(330)은 적어도 한 개의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블레이드(312) 사이에 체결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예를 들어, 상기 칼날부(300)는 상기 블레이드(312)의 하측면과 연결판(330)의 하측면에 체결되는 제2 브라켓(3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판(330)은 적어도 한 개 이상이 배치될 수 있으며,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블레이드(312)가 5개가 형성된 경우 상기 블레이드(312)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판(330)은 5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브라켓(350)의 체결구조에 따라, 구황작물의 크기, 종류 또는 컨디션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연결판(330)을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판(330)은 상기 하부하우징(100) 방향으로 경사진 제1 경사부(331)와, 상기 제1 경사부(331)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하부하우징(100)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제2 경사부(332)와, 상기 제2 경사부(332)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하부하우징(100)과 수평면을 형성하는 수평부(333)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하는 상기 칼날부(300)의 상측에 배치되는 구황작물의 이동 및 회전이 효과적으로 구현되어야 상기 절삭편(320)에 의해 구황작물의 박피가 효과적으로 구현되므로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판(330) 또는 상기 칼날부(300) 상측면 전체에는 상측면에 마찰계수가 높고 구황작물의 내부에 손상을 입히지 않도록 실리콘이 코팅되거나 부착되어 더욱 효과적인 구황작물의 회전과 교반을 도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경사부(331) 또는 제2 경사부(332)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홈(334)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홈(334)은 구황작물의 회전과 이동을 더욱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경사부(331)는 제2 경사부(332)보다 많은 면적을 가지며, 상기 제2 경사부(332)는 수평부(333)보다 많은 면적을 가지게 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2 경사부(332)의 경사각이 제1 경사부(331)의 경사각보다 커지에 되어 구황작물의 회전과 튕김을 더욱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칼날부(300)의 지름은 후술할 상부하우징(40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에 따라 구황작물에서 박피된 껍질은 2차적으로 상기 상부하우징(400)과 칼날부(300)의 외측에 형성된 공간 사이를 통해 상기 하부하우징(100)의 상측면과 상기 칼날부(300)의 하측면이 형성하는 공간으로 낙하되어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상부하우징(400)은 상기 칼날부(300)를 수용하며, 상기 칼날부(300)로써 구획되는 내부 공간에 구황작물이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하우징(400)은 회전하는 상기 칼날부(300)가 수용되므로 내부가 원통형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하우징(400)에는 투입홀(411)이 형성되고, 상기 투입홀(411)과 연통되도록 상기 상부하우징(400)의 내부로 배치되는 유입덕트(41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구황작물의 용이한 공급을 계속해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하우징(400)의 상측면은 적어도 일측이 개폐될 수 있는 개폐부(420)가 형성되며, 이를 통해 내부의 유지, 보수가 용이해 질 수 있으며, 후술할 튕김판(520)의 신속한 교체가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상측면 중 일부 또는 개폐부(420)는 투명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내부의 구동상황을 잘 볼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부하우징(400)의 내측면은 마찰계수가 높고 구황작물의 내부에 손상을 입히지 않도록 실리콘이 코팅되거나 부착되어 더욱 효과적인 구황작물의 회전과 교반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박피가 완료된 구황작물의 배출을 위해, 상기 상부하우징(400)의 일측면에는 개폐홀(41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개폐홀(412)은 도어어셈블리(700)로써 개폐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어셈블리(700)는 상기 개폐홀(412)을 개방 패쇄하는 도어(710)와, 상기 상부하우징(400)의 일측에 배치되는 도어브라켓(720)과, 상기 도어브라켓(720)과 도어(710)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도어(710)를 개폐하는 실린더(7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730)의 구동은 상기 컨트롤패널(16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황작물 박피장치는 상부하우징(400) 내부가 상기 칼날부(300)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칼날부(300)를 기준으로 상측은 구황작물이 박피되며, 하측은 박피된 구황작물의 껍질과 세척수 등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공간을 형성한다.
상술한 것과 같이, 박피된 껍질 또는 세척수는 1차적으로 상기 절삭편(320)과 안치홈(312a) 사이로 상기 배출공간에 유입되고, 2차적으로 상기 칼날부(300)의 외측과 상부하우징(400)의 내측면 사이로 상기 배출공간에 유입된다.
상기 배출공간에 유입된 껍질 및 세척수는 상기 하부하우징(100)의 상측면에 형성된 배출홀(151)을 따라 배출덕트(1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배출을 효과적으로 도모하기 위한 세척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세척부(600)는 상기 칼날부(300)의 하측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청소브라켓(610)과, 상기 하부하우징(100)의 상측면과 접하거나 인접하도록 상기 청소브라켓(610)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탄성편(6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편(620)은 상기 청소브라켓(610)에 착탈 가능하므로, 구황작물의 종류 등 상황에 따라 브러쉬 형상 또는 구조가 변형된 다른 구성요소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세척부(600)를 참조하면, 상기 청소브라켓(610)은 상기 블레이드(312)의 말단 하측면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탄성편(620)의 일측 상에 전부 또는 일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청소브라켓(610)의 형상에 의해 상기 칼날부(300)의 블레이드(312)의 하측면에 고정되어 회전되는 탄성편(620)을 따라 원심력에 의해 껍질 등이 외측으로 밀리게 되고, 이 후 상기 청소브라켓(610)의 말단에 의해 상기 배출홀(151)로 가이드되어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교반부(500)는 상기 샤프트(220)를 수용하여 동회전함으로써 상기 상부하우징(400) 내부 공간에 수용된 구황작물을 상기 상부하우징(400)의 내주면 쪽으로 튕겨내는 드럼(510)과, 상기 상부하우징(400)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튕김판(5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교반부(500)는 회전하는 칼날판의 연결판(330)과 절삭편(320)과 함께 내부에 수용된 구황작물의 교반을 도모하여 균일한 박피를 위하여 상기 상부하우징(4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부(500)는 마찰계수가 높고 구황작물의 내부에 손상을 입히지 않도록 실리콘이 코팅되거나 부착되어 더욱 효과적인 구황작물의 회전과 교반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구황작물의 크기, 종류, 또는 형상에 따른 효과적인 교반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튕김판(520)은 상기 상부하우징(400)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도시된 것과 동일하거나 변형된 형상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튕김판(520)은 삼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길이 방향이 상기 샤프트(220)와 수평하게 상기 상부하우징(400)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하우징(400) 내측면에는 가이드브라켓(430)이 배치되고, 상기 튕김판(520)은 상기 가이드브라켓(430)을 따라 슬라이딩 체결될 수 있도록 삼각기둥의 일측면의 중간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은 칼날부(300)가 하부에 배치되며, 연결판(330)의 형상과 교반부(500)의 구조에 따라 구황작물의 교반이 효과적으로 구현됨으로써 구황작물의 박피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칼날부(300)의 절삭편(320)의 배치, 칼날부(300)와 상부하우징(400)의 크기, 세척부(600)와 배출홀(151)의 배치구조로 인해 박피 후 껍질과 세척수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절삭편(320), 연결판(330), 튕김판(520)의 용이한 탈착구조를 가짐으로써 유지, 보수에 이점이 있으며, 구황작물의 종류 또는 크기에 따라 신속하게 구성요소를 교체하여 생산성 및 박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상기 설명에 의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15)

  1. 하부하우징;
    상기 하부하우징에 배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측면 상에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샤프트;
    상기 하부하우징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샤프트에 체결되어 동회전함으로써 구황작물의 껍질을 박피하는 원판 형상의 칼날부;
    상기 칼날부를 수용하며, 상기 칼날부로써 구획되는 내부 공간에 구황작물이 수용되는 상부하우징; 및
    상기 상부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된 구황작물을 교반하는 교반부;를 포함하는 구황작물 박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부의 상측면, 상부하우징의 내측면 또는 교반부는 실리콘이 코팅되거나 부착되는 구황작물 박피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부는,
    상기 샤프트에 체결되는 디스크와 상기 디스크에서 부채꼴 형상으로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어 연장 형성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몸체;
    길이 방향이 상기 몸체의 방사 방향과 수평하게 상기 블레이드에 체결되어 구황작물을 박피하는 절삭편; 및
    적어도 한 개의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블레이드 사이에 체결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연결판;을 포함하는 구황작물 박피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에는 방사 방향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안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절삭편은 칼날이 상기 블레이드의 상측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칼날부는 상기 블레이드를 상기 안치홈에 배치되도록 상기 블레이드와 절삭편의 하측면에 체결되는 제1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구황작물 박피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부는 상기 블레이드의 하측면과 연결판의 하측면에 체결되는 제2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구황작물 박피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은,
    상기 하부하우징 방향으로 경사진 제1 경사부;
    상기 제1 경사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하부하우징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제2 경사부; 및
    상기 제2 경사부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하부하우징과 수평면을 형성하는 수평부;를 포함하는 구황작물 박피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부 또는 제2 경사부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홈이 형성되는 구황작물 박피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부는 제2 경사부보다 많은 면적을 가지며, 상기 제2 경사부는 수평부보다 많은 면적을 가지는 구황작물 박피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부의 지름은 상기 상부하우징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구황작물 박피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측면에는 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하부하우징에 배치되어 세척수 또는 박피된 껍질이 배출되는 배출덕트를 더 포함하는 구황작물 박피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부의 하측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청소브라켓과,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측면과 접하거나 인접하도록 상기 청소브라켓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탄성편을 포함하는 세척부를 더 포함하는 구황작물 박피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에는 투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투입홀과 연통되도록 상기 상부하우징의 내부로 배치되는 유입덕트를 더 포함하는 구황작물 박피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에는 개폐홀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홀을 개방 패쇄하는 도어와, 상기 상부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는 도어브라켓과, 상기 도어브라켓과 도어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도어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구황작물 박피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는,
    상기 샤프트를 수용하여 동회전함으로써 상기 상부하우징 내부 공간에 수용된 구황작물을 상기 상부하우징의 내주면 쪽으로 튕겨내는 드럼; 및
    상기 상부하우징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튕김판;을 포함하는 구황작물 박피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튕김판은 삼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길이 방향이 상기 샤프트와 수평하게 상기 상부하우징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구황작물 박피장치.
KR1020207000683A 2019-06-04 2019-06-04 구황작물 박피장치 KR1023704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6728 WO2020246629A1 (ko) 2019-06-04 2019-06-04 구황작물 박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0784A true KR20200140784A (ko) 2020-12-16
KR102370467B1 KR102370467B1 (ko) 2022-03-04

Family

ID=73652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0683A KR102370467B1 (ko) 2019-06-04 2019-06-04 구황작물 박피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70467B1 (ko)
WO (1) WO20202466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41343B (zh) * 2020-12-18 2023-08-25 湖南元气果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种植业用转动式果实清洗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642Y1 (ko) * 2005-09-12 2005-12-12 이용환 밤 내피 제거 장치
KR100915727B1 (ko) * 2008-06-04 2009-09-04 김성숙 밤껍질 제거장치
KR20100116437A (ko) * 2009-04-22 2010-11-01 정석권 껍질 탈피 장치
KR20160032544A (ko) * 2014-09-16 2016-03-24 최병국 회전 커터를 이용하는 탈피 장치
KR101619755B1 (ko) * 2015-07-07 2016-05-12 장회식 구근류 박피기 및 상기 구근류 박피기에 적용되는 박피 칼날 부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498B1 (ko) * 2007-08-23 2008-07-31 윤기석 껍질탈피장치 및 그를 이용한 껍질탈피방법
KR20170055853A (ko) * 2015-11-12 2017-05-22 신용수 밤 박피기
KR20180042618A (ko) * 2016-10-18 2018-04-26 김신 밤 껍질 박피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642Y1 (ko) * 2005-09-12 2005-12-12 이용환 밤 내피 제거 장치
KR100915727B1 (ko) * 2008-06-04 2009-09-04 김성숙 밤껍질 제거장치
KR20100116437A (ko) * 2009-04-22 2010-11-01 정석권 껍질 탈피 장치
KR20160032544A (ko) * 2014-09-16 2016-03-24 최병국 회전 커터를 이용하는 탈피 장치
KR101619755B1 (ko) * 2015-07-07 2016-05-12 장회식 구근류 박피기 및 상기 구근류 박피기에 적용되는 박피 칼날 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46629A1 (ko) 2020-12-10
KR102370467B1 (ko) 2022-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63619C (zh) 剥皮装置
KR100653887B1 (ko) 옥수수 탈곡장치
KR20200140784A (ko) 구황작물 박피장치
JP6004546B2 (ja) 米飯撹拌装置および米飯撹拌方法
KR101087716B1 (ko) 마늘 박피기
WO2015156388A1 (ja) 食品処理装置
KR100452091B1 (ko) 튀각류의 양념처리용 혼합장치
JP5530228B2 (ja) 麺生地用ミキサ装置
JP3514988B2 (ja) 穀類用粉取り器とそのアタッチメント
CN216823069U (zh) 打蛋棒及料理机
KR101919992B1 (ko) 오징어 자동 자숙 배합기
CN218683926U (zh) 搅拌机构及食品处理机
CN211833876U (zh) 剥皮机
RU144485U1 (ru) Кукурузолущилка
JP6114218B2 (ja) 食材洗浄器
CN212232874U (zh) 和面刀、和面桶及和面机
CN220654074U (zh) 一种粉碎机
JP2001162181A (ja) 穀粒処理装置用アタッチメントおよび穀粒処理装置
CN115736282A (zh) 大蒜去皮设备
JP3657797B2 (ja) 穀粒処理装置とそのかき回し具
JP3683730B2 (ja) 穀粒処理装置
US3090989A (en) Bone cleaning machines
JP3600748B2 (ja) 穀粒処理装置
KR20210156543A (ko) 농산물 박피기
KR20230083535A (ko) 은행 껍질탈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