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9566A - 오핀 바이오센서 및 이를 이용한 뿌리혹병과 뿌리혹선충병 진단방법 - Google Patents

오핀 바이오센서 및 이를 이용한 뿌리혹병과 뿌리혹선충병 진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9566A
KR20200139566A KR1020190066217A KR20190066217A KR20200139566A KR 20200139566 A KR20200139566 A KR 20200139566A KR 1020190066217 A KR1020190066217 A KR 1020190066217A KR 20190066217 A KR20190066217 A KR 20190066217A KR 20200139566 A KR20200139566 A KR 20200139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t
disease
biosensor
seq
l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6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6019B1 (ko
Inventor
김진우
Original Assignee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66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6019B1/ko
Priority to PCT/KR2020/002504 priority patent/WO2020246688A1/ko
Publication of KR20200139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9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4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rokaryotic hosts other than E. coli, e.g. Lactobacillus, Micromonospora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2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plant cells, e.g. plant artificial chromosomes (PAC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2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plant cells, e.g. plant artificial chromosomes (PACs)
    • C12N15/8201Methods for introducing genetic material into plant cells, e.g. DNA, RNA, stable or transient incorporation, tissue culture methods adapted for transformation
    • C12N15/8202Methods for introducing genetic material into plant cells, e.g. DNA, RNA, stable or transient incorporation, tissue culture methods adapted for transformation by biological means, e.g. cell mediated or natural vector
    • C12N15/8205Agrobacterium mediated transform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0004Oxidoreductases (1.)
    • C12N9/0012Oxidoreductases (1.) acting on nitrogen containing compounds as donors (1.4, 1.5, 1.6, 1.7)
    • C12N9/0026Oxidoreductases (1.) acting on nitrogen containing compounds as donors (1.4, 1.5, 1.6, 1.7) acting on CH-NH groups of donors (1.5)
    • C12N9/0028Oxidoreductases (1.) acting on nitrogen containing compounds as donors (1.4, 1.5, 1.6, 1.7) acting on CH-NH groups of donors (1.5) with NAD or NADP as acceptor (1.5.1)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34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hydrolas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334/00O-linked chromogens for determinations of hydrolase enzymes, e.g. glycosidases, phosphatases, esterases
    • C12Q2334/50Indoles
    • C12Q2334/525-Bromo-4-chloro-3-indolyl, i.e. BCI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105/00Oxidoreductases acting on the CH-NH group of donors (1.5)
    • C12Y105/01Oxidoreductases acting on the CH-NH group of donors (1.5) with NAD+ or NADP+ as acceptor (1.5.1)
    • C12Y105/01011D-Octopine dehydrogenase (1.5.1.11)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105/00Oxidoreductases acting on the CH-NH group of donors (1.5)
    • C12Y105/01Oxidoreductases acting on the CH-NH group of donors (1.5) with NAD+ or NADP+ as acceptor (1.5.1)
    • C12Y105/01019D-Nopaline dehydrogenase (1.5.1.19), i.e. D-nopaline syntha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Cell 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핀 바이오센서 및 이를 이용한 뿌리혹병과 뿌리혹선충병 진단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noxB 염기서열 또는 ooxB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뿌리혹병 검출용 조성물은 구별하여 진단하기 어려운 뿌리혹선충병과 뿌리혹병을 쉽게 구별하여 진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어, 식물 질병 치료 및 방제에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오핀 바이오센서 및 이를 이용한 뿌리혹병과 뿌리혹선충병 진단방법{Opine biosensor and its application for diagnosis of crown gall diseases and root-knot nematodes}
본 발명은 오핀 바이오센서 및 이를 이용한 뿌리혹병과 뿌리혹선충병 진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뿌리혹병은 전세계적으로 발생하여 큰 피해를 주고 있는 토양전염병이다. 그 중 뿌리혹병으로 알려져 있는 근두암종병(crown gall)은 배, 사과, 장미 등에 주로 생기는 병을 그 병원균은 아그로박테리움 투메파시엔스(Agrobacterium tumefaciens)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근도암종병인 뿌리혹병은 다른 뿌리혹병의 증상이 유사하여 육안으로 구분하기 어렵다. 특히, 뿌리혹선충의 진단법은 현재 전무하고 뿌리혹병의 진단은 주로 분리배양법, PCR 검정법, 혈청학적 방법으로 통해 이루어지는데, 감염부위에서 뿌리혹병균의 밀도가 매우 낮아 이러한 방법으로는 한계가 있다. 게다가 뿌리혹병은 흔히 뿌리혹선충병 증상과 오진될 수 있고, 전문가들도 진단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적절한 치료 및 방제 방법 선택에 한계가 발생되고 있다.
KR 10-1876273 B KR 10-2015-0056922 A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뿌리혹선충병과 뿌리혹병 증상을 진단하기 위하여 바이오센서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통한 뿌리혹선충병과 뿌리혹병을 구별하여 진단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뿌리혹병을 구별 및 진단할 수 있는 뿌리혹병 검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뿌리혹병을 구별 및 진단할 수 있는 뿌리혹병 검출용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뿌리혹병을 구별 및 진단할 수 있는 뿌리혹병 검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의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후술할 실시예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을 통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분명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noxB 염기서열 또는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ooxB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뿌리혹병 검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noxB는 서열번호 3과 서열번호 4로 표시되는 프라이머 세트로부터 제조되는 것이고, 상기 ooxB는 서열번호 5와 서열번호 6으로 표시되는 프라이머 세트로부터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검출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뿌리혹병 검출용 키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noxB 염기서열 또는 ooxB 염기서열로 돌연변이된 뿌리혹병 검출용 아그로박테리움 투메파시엔스(Agrobacterium tumefaciens) 균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검출용 조성물이 담긴 배양기에 식물 뿌리혹 조직을 올려두고 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배양기에 5-bromo-4-chloro-3-indolyl b-D-galactopyranoside을 첨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뿌리혹병 검출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검출 방법은 색상이 변화하는 경우 뿌리혹병균에 의한 뿌리혹병 으로 진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뿌리혹선충과 뿌리혹병을 구별하여 쉽고 간단하게 진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타 본 발명의 효과들은 후술할 실시예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을 통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분명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뿌리혹병-뿌리혹선충 진단 바이오센서 제작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뿌리혹병-뿌리혹선충 진단용 바이오센서 적용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뿌리혹병-뿌리혹선충 진단용 바이오센서의 합성 오핀(Opine)에 대한 반응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뿌리혹병-뿌리혹선충 진단용 바이오센서의 식물 오핀(Opine)에 대한 반응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뿌리혹병-뿌리혹선충 진단용 바이오센서의 TLC 검정에 따른 반응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뿌리혹병-뿌리혹선충 진단용 바이오센서의 β-Galactosidase 활성검정을 통한 오핀 정량화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오핀 바이오센서 및 이를 이용한 뿌리혹병과 뿌리혹선충병 진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별하여 진단하기 어려운 뿌리혹선충병과 뿌리혹병을 쉽게 구별하여 진단할 수 있도록 하는 오핀 바이오센서 및 이를 이용한 뿌리혹병과 뿌리혹선충병 진단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생물검정방법은 뿌리혹병균에 감염된 식물조직으로부터 뿌리혹병과 뿌리선혹충병을 구별하여 진단할 수 있다.
뿌리혹병은 아그로박테리움 투메파시엔스(Agrobacterium tumefaciens)에 의해 발병되는 혹조직으로부터 오핀(Opine)이 생산되고, 뿌리혹선충병의 혹조직에서는 오핀(Opine)이 생산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의 바이오센서는 식물조직이 만들어낸 오핀(Opine)을 인식하여 구분할 수 있다. 외부로부터 유입된 노팔린(nopaline)은 전사조절 단백질 NocR와 결합한다. NocR/nopaline 결합체는 noxB-lacZY 전사를 활성화시켜 β-galactosidase 발현을 유도한다. β-Galactosidase는 기질인 5-bromo-4-chloro-3-indolyl b-D-galactopyranoside(X-gal)을 분해하고 여기에서 나온 산물이 파란색을 띄게 한다.
외부로부터 유입된 옥토핀(Octopine)은 전사조절 단백질 OccR과 결합한다. OccR/Octopine 결합체는 ooxB-lacZY 전사를 활성화시켜 β-galactosidase 발현을 유도한다. β-Galactosidase는 기질인 5-bromo-4-chloro-3-indolyl b-D-galactopyranoside (X-gal)을 분해하고 여기에서 나온 산물이 파란색을 띄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뿌리혹병 검출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바이오센서를 혼합한 배양기에 뿌리혹 조직 일부를 올려두고 28℃에서 6~12시간 배양한 후 β-galactosidase 활성을 검정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검출용 조성물이 담긴 배양기에 식물 뿌리혹 조직을 올려두고 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배양기에 5-bromo-4-chloro-3-indolyl-beta-D-galactopyranoside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뿌리혹병균에 의해 형성된 혹에서만 β-galactosidase 활성 반응이 나타나 파란색을 띄고, 이를 통해 뿌리혹병균으로 발병된 뿌리혹병을 진단할 수 있다. 파란색으로 변하면 양성반응으로 뿌리혹병균으로 진단하고 파란색으로 변하지 않으면 음성반응으로 뿌리혹선충병으로 진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
<실시예 1> 뿌리혹병-뿌리혹선충병 진단용 바이오센서 제작
lacZY transcriptional fusion을 통한 뿌리혹병-선충 진단바이오센서 균주를 제작하였다.
두 가지 프라이머 NoxBE(5'-GAATTCGCAATTGGATACGGGTTA-3', 서열번호 3)와 NoxBK(5'-GGTACCGCGATAGTCAGGATGAAT-3', 서열번호 4)를 이용하여 noxB(nopaline oxidase) 유전자의 일부를 PCR을 이용하여 증폭하여 318 bp(서열번호 1)의 절편을 확보하였다. 두 가지 제한효소로, EcoRI과 KpnI를 이용하여 절편을 vector pVIK112에 클로닝하여 pBY34 plasmid를 제작하였다. pBY34를 아그로박테리움 투메파시엔스(Agrobacterium tumefaciens) C58 균주에 돌연변이(Kalogeraki 등 1997, Gene 188:69-75)시켜 뿌리혹병-뿌리혹선충병 진단 바이오센서 균주 C58 noxB-lacZY를 제작하였다(도 1A).
lacZY transcriptional fusion을 통한 뿌리혹병-선충 진단바이오센서 균주를 제작하였다.
두 가지 프라이머 OoxBE(5'-GAATTCCAGCAAGACGGAGCATTT-3', 서열번호 5)와 OoxBK(5'-GGTACCGCGTGACAGGATAGAAAA-3', 서열번호 6)를 이용하여 ooxB(Octopine oxidase) 유전자의 일부를 PCR을 이용하여 증폭하여 345 bp(서열번호 2)의 절편을 확보하였다. 두 가지 제한효소로, EcoRI과 KpnI를 이용하여 절편을 vector pVIK112에 클로닝하여 pBY36 plasmid를 제작하였다. pBY36를 아그로박테리움 투메파시엔스(Agrobacterium tumefaciens) 15955 균주에 돌연변이(Kalogeraki 등 1997, Gene 188:69-75)시켜 뿌리혹병-뿌리혹선충병 진단 바이오센서 균주 15955 ooxB-lacZY를 제작하였다(도 1B).
본 실시예에서 제작한 애그로박테리움 투메파시엔스(Agrobacterium tumefaciens) NS19 (C58 noxB-lacZY) 균주 및 애그로박테리움 투메파시엔스(Agrobacterium tumefaciens) OS19 (15955 ooxB-lacZY)균주를 각각 한국농업미생물자원센터 (Korean Agricultural Culture Collection, KACC)에 2019년 5월 21일자로 기탁하였다.
1) Agrobacterium tumefaciens NS19 (C58 noxB-lacZY) (KACC 81094BP)
2) Agrobacterium tumefaciens OS19 (15955 ooxB-lacZY) (KACC 81095BP)
<실시예 2> 뿌리혹병-뿌리혹선충 진단용 바이오센서 적용
진단을 위해 사용된 산딸기뿌리혹과 애호박뿌리혹 증상은 육안으로 구분하기 어렵다.
각각 노팔린(nopaline) 바이오센서(C58 noxB-lacZY)와 옥토핀(Octopine) 바이오센서(15955 ooxB-lacZY)를 ABX-gal(Agrobacterium mannitol media + X-gal; Kim 등 2012, PloS One 8, e56682)배양기 속에 넣고 굳힌 다음, 진단을 위한 혹조직 일부를 치상하고, 12시간 배양하였다.
산딸기뿌리혹 조직은 노팔린(nopaline) 기반 바이오센서에서 청색을 나타내지만 옥토핀(Octopine) 기반 바이오센서에서는 반응이 없다. 이로써, 산딸기뿌리혹은 옥토핀(Octopine) 기반 A. tumefaciens에 의한 뿌리혹병으로 진단하였다(도 2A).
유사한 방법으로 애호박뿌리혹 조직도 검정하였는데, 애호박뿌리혹 조직은 어떠한 바이오센서에도 반응을 보이지 않았고(도 2B), 양성 대조군에서만 청색을 형성하였다. 이로써, 애호박뿌리혹은 뿌리혹선충에 의해 발생한 뿌리혹선충병으로 최종 진단하였다. 현미경 검정을 통한 애호박뿌리혹의 조직 검사에서 뿌리혹선충이 검경 되었다.
<실시예 3> 합성 오핀(Opine)에 대한 바이오센서의 반응
바이오센서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합성 오핀(Opine)을 사용하였다. 각각 노팔린(nopaline) 바이오센서(C58 noxB-lacZY)와 옥토핀(Octopine) 바이오센서(15955 ooxB-lacZY)를 ABX-gal(Agrobacterium mannitol media + X-gal; Kim 등 2012, PloS One 8, e56682)배양기 속에 넣고 굳힌 다음, 합성 노팔린(nopaline)과 옥토핀(Octopine) 10 μM가 각각 함유된 페이퍼디스크를 준비한 배양기에 올려 두었다. 12시간 배양 후 노팔린(nopaline) 바이오센서(C58 noxB-lacZY)는 노팔린(nopaline)에서, 그리고 옥토핀(Octopine) 바이오센서(15955 ooxB-lacZY)는 옥토핀(Octopine)에서만 반응을 보이고 파란색으로 변색된 것을 확인하였다(도 3). 이로써, 바이오센서가 오핀(Opine)에 반응하여 제대로 작동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식물 오핀(Opine)에 대한 바이오센서의 반응
바이오센서가 식물유래 오핀(Opine)에 반영하여 오핀(Opine)의 존재 유무를 센싱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식물 오핀(Opine)을 사용하였다. 식물 오핀(Opine)은 아그로박테리움 투메파시엔스(Agrobacterium tumefaciens) C58 균주와 아그로박테리움 투메파시엔스(Agrobacterium tumefaciens) 15955 균주를 각각 토마토줄기와 감자에 인공접종한 후 혹형성을 유도하는 일반적인 방법에 따랐다(Kim 등 2012, PloS One 8, e56682). 노팔린(nopaline) 바이오센서(C58 noxB-lacZY)와 옥토핀(Octopine) 바이오센서(15955 ooxB-lacZY)를 ABX-gal 배양기 속에 넣고 굳힌 다음, 식물유래 혹조직을 준비한 배양기에 올려 두었다. 12시간 배양 후 노팔린(nopaline) 바이오센서(C58 noxB-lacZY)는 노팔린(nopaline) 기반 A. tumefaciens C58균주가 만든 혹조직만 X-gal을 분해하여 파란색으로 변하였고, 옥토핀(Octopine) 바이오센서(15955 ooxB-lacZY)는 옥토핀(Octopine) 기반 A. tumefaciens 15955 균주가 만든 혹조직에서만 반응을 보이고 파란색으로 변색된 것을 확인하였다(도 4). 이로써, 바이오센서가 식물 오핀(Opine)에 반응하여 제대로 작동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5> TLC 검정에 따른 바이오센서의 반응
오핀(Opine) 검정은 종이전기영동에 의존하였는데, 이 방법은 현재 사용되지 않거나 쉽게 사용할 수 없다. 시료(1-5 μl)를 역상 TLC(Merck)에 치상하고 전개용매는 클로로포름/아세트산/물(2.8/3.5/0.7)을 사용하였다. 전개 후, 용매를 증발시키고, 건조된 플레이트에 본 발명에서 개발한 2개 바이오센서와 X-gal을 함유하는 ABX-gal 배지를 부어 실온에서 굳혔다. TLC는 28도에서 배양하였다. 합성 노팔린(N)과 식물 노팔린(1)의 Rf수치는 0.35이었고 합성 옥토핀(O)과 식물 옥토핀(2)의 Rf 수치는 0.4였다. 이로써, TLC검정을 통한 오핀(Opine) 분석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도 5).
<실시예 6> β-Galactosidase 활성검정을 통한 오핀(Opine) 정량화
β-Galactosidase 활성검정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따랐다(Miller, 1972;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β-galactosidase 효소활성을 측정함으로써 오핀(Opine) 기반 바이오센서의 감도를 평가했다. 선형선량 반응은 합성 노팔린(nopaline)과 옥토핀(Octopine)을 사용하여 계산되었다. 노팔린(nopaline) 기반 바이오센서(C58 noxB-lacZY)의 결과는 0-100 및 100-500 nM의 범위에서 양호한 선형관계를 나타내었고, 낮은 농도범위 (0-100 nM)의 경우가 큰 기울기를 보였다(도 6). 옥토핀(Octopine) 기반의 바이오센서 (15955 ooxB-lacZY)는 옥토핀(Octopine)에 민감도가 강하였다(도 6). 옥토핀(Octopine) 기반 바이오센서의 결과는 C58 noxB-lacZY가 나타내는 동일한 패턴을 따르는 기울기와 함께 0-50 및 50-200 nM의 범위에서 우수한 선형관계를 나타냈다. 옥토핀(Octopine) 기반의 바이오센서는 옥토핀(Octopine) 검출에 탁월한 감도를 보였으며 노팔린(nopaline) 기반의 바이오센서보다 다소 민감하였다(도 6).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농업생명공학연구원 KACC81094BP 20190521 농업생명공학연구원 KACC81095BP 20190521
<110>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120> Opine biosensor and its application for diagnosis of crown gall diseases and root-knot nematodes <130> PN1903-180 <160> 6 <170> KoPatentIn 3.0 <210> 1 <211> 3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he internal fragment (318 bp) of the noxB gene of Agrobacterium tumefaciens C58 <400> 1 gcaattggat acgggttagc caagttgggg cgccgggtga tcatcatcga tggcgcggac 60 gatgcgctgc gtgcgtcccg aacgaatttc ggcctgatct gggttcaggg caagggcgac 120 gaatatcctg catatcatcg catcacgcgg caaagcgctg agctgtggcc cggttttgca 180 tccgagttga aagaactgac gggtgtcgac gtggagtacc gccgcaacgg tggtttgctc 240 ttctgtgcgt cggaagctca ggcagaagaa gaaaaagcga tcggcgagaa gatggctgcc 300 attcatcctg actatcgc 318 <210> 2 <211> 34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he internal fragment (345 bp) of the ooxB gene of Agrobacterium tumefaciens 15955 <400> 2 cagcaagacg gagcatttac attcgctctt tctgaagagg aactcgaggc aaatcgccaa 60 gatatggaaa gcattgagct cgaaacaaat ggtcgagctc cacaatttga agttttggat 120 cgccagcaga cgcttgaccg cgtgctgggt atcggccccg aagttgtagg ctcaatctat 180 tgcgctgcgg acgggcacgt gaatgcgctc cgcctgtttc atgcgctgca tgccgcgatg 240 gaaaggcaag gagcgactta tcgtccgaac catcccgtgc agtccatcga gccaacgact 300 ggaggcttca ttctcaaggg cgaggcgttt tctatcctgt cacgc 345 <210> 3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oxBE <400> 3 gaattcgcaa ttggatacgg gtta 24 <210> 4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oxBK <400> 4 ggtaccgcga tagtcaggat gaat 24 <210> 5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OoxBE <400> 5 gaattccagc aagacggagc attt 24 <210> 6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OoxBK <400> 6 ggtaccgcgt gacaggatag aaaa 24

Claims (7)

  1.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noxB 염기서열 또는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ooxB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뿌리혹병 검출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oxB는 서열번호 3과 서열번호 4로 표시되는 프라이머 세트로부터 제조되는 것이고,
    상기 ooxB는 서열번호 5와 서열번호 6으로 표시되는 프라이머 세트로부터 제조되는 것인 뿌리혹병 검출용 조성물.
  3. 제1항의 검출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뿌리혹병 검출용 키트.
  4. 제1항의 noxB 염기서열로 돌연변이된 뿌리혹병 검출용 기탁번호 KACC 81094BP 아그로박테리움 투메파시엔스 NS19(Agrobacterium tumefaciens NS19) 균주.
  5. 제1항의 ooxB 염기서열로 돌연변이된 뿌리혹병 검출용 기탁번호 KACC 81095BP 아그로박테리움 투메파시엔스 OS19(grobacterium tumefaciens OS19) 균주.
  6. 제1항의 검출용 조성물이 담긴 배양기에 식물 뿌리혹 조직을 올려두고 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배양기에 5-bromo-4-chloro-3-indolyl b-D-galactopyranoside을 첨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뿌리혹병 검출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방법은 색상이 변화하는 경우 뿌리혹병균에 의한 뿌리혹병으로 진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뿌리혹병 검출방법.
KR1020190066217A 2019-06-04 2019-06-04 오핀 바이오센서 및 이를 이용한 뿌리혹병과 뿌리혹선충병 진단방법 KR102266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217A KR102266019B1 (ko) 2019-06-04 2019-06-04 오핀 바이오센서 및 이를 이용한 뿌리혹병과 뿌리혹선충병 진단방법
PCT/KR2020/002504 WO2020246688A1 (ko) 2019-06-04 2020-02-21 오핀 바이오센서 및 이를 이용한 뿌리혹병과 뿌리혹선충병 진단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217A KR102266019B1 (ko) 2019-06-04 2019-06-04 오핀 바이오센서 및 이를 이용한 뿌리혹병과 뿌리혹선충병 진단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9566A true KR20200139566A (ko) 2020-12-14
KR102266019B1 KR102266019B1 (ko) 2021-06-18

Family

ID=73653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6217A KR102266019B1 (ko) 2019-06-04 2019-06-04 오핀 바이오센서 및 이를 이용한 뿌리혹병과 뿌리혹선충병 진단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66019B1 (ko)
WO (1) WO2020246688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9355A (en) * 1982-07-12 1984-07-10 International Paper Company Method for transforming plant cells
US20100050293A1 (en) * 2008-08-21 2010-02-25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Improvement of nitrogen responsiveness in plants through the expression of pathways for the formation and catabolism of novel n-rich compounds
US20100081133A1 (en) * 2006-07-10 2010-04-01 Wageningen Universiteit Methods of Detecting Root Knot Nematodes
KR20130071516A (ko) * 2011-12-21 2013-07-01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톡소플라빈 검출용 바이오센스 균주 및 이를 이용한 톡소플라빈 검출방법
KR20150056922A (ko) 2013-11-18 2015-05-2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배추 뿌리혹병 진단용 프라이머 및 이의 용도
KR101876273B1 (ko) 2017-08-10 2018-07-09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배추 뿌리혹병 판별용 분자마커 및 이를 이용한 배추 뿌리혹병 판별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6114A (ko) * 2013-04-22 2014-10-3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배추 뿌리혹병 및 모자이크바이러스 병저항성 및 뿌리 연관 snp 분자마커 개발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9355A (en) * 1982-07-12 1984-07-10 International Paper Company Method for transforming plant cells
US20100081133A1 (en) * 2006-07-10 2010-04-01 Wageningen Universiteit Methods of Detecting Root Knot Nematodes
US20100050293A1 (en) * 2008-08-21 2010-02-25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Improvement of nitrogen responsiveness in plants through the expression of pathways for the formation and catabolism of novel n-rich compounds
KR20130071516A (ko) * 2011-12-21 2013-07-01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톡소플라빈 검출용 바이오센스 균주 및 이를 이용한 톡소플라빈 검출방법
KR20150056922A (ko) 2013-11-18 2015-05-2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배추 뿌리혹병 진단용 프라이머 및 이의 용도
KR101876273B1 (ko) 2017-08-10 2018-07-09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배추 뿌리혹병 판별용 분자마커 및 이를 이용한 배추 뿌리혹병 판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6019B1 (ko) 2021-06-18
WO2020246688A1 (ko) 2020-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hakimov et al. Traditional and current-prospective methods of agricultural plant diseases detection: A review
CN111537742B (zh) 可用于检测新型冠状病毒的中和抗体的检测试剂盒
Chen et al. Use of green fluorescent protein to quantify the growth of Colletotrichum during infection of tobacco
JP6952188B2 (ja) ジオトリカム変異株およびその用途
JP2011509680A5 (ko)
KR102266019B1 (ko) 오핀 바이오센서 및 이를 이용한 뿌리혹병과 뿌리혹선충병 진단방법
CN111088394A (zh) 小麦根腐病菌索氏平脐蠕孢lamp检测引物组及其应用
Nambiar et al. Enumeration of rhizobia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JP6300222B2 (ja) 遺伝子組換えウイルスによる微生物の迅速検出法
CN104673817A (zh) 一种脂肪酶的原核表达及应用和固定化方法
Feng et al. A simple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assay to detect Phytophthora colocasiae in infected taro plants
CN108949785B (zh) 芽孢形成相关基因spo0A在产酶中的应用
JP5882330B2 (ja) C.difficileを検出および/または同定するための、β−グルコシダーゼ活性化剤の使用
CN112708690A (zh) 念珠菌检测及分型的方法和试剂盒
KR101292375B1 (ko) 톡소플라빈 검출용 바이오센스 균주 및 이를 이용한 톡소플라빈 검출방법
CN109897911A (zh) 疫霉菌P.hydropathica的LAMP检测引物、检测试剂盒及其应用
Chapman et al. Detection methods for faecal contamination events: The gap for Australia
Kanzaki et al. Improved bioassay method for plant transformation inhibitors
CN115161319B (zh) 一种响应潜艇金属Ni2+离子的启动子元件及其制备的电化学信号输出传感器和应用
CN114940993B (zh) 一种基于无细胞转录翻译系统的核糖开关与应用
WO2008076452A1 (en) Chromogenic medium for the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vancomycin resistant enterococci and method therfor
CN110791584A (zh) 检测山茶花腐病菌的引物对cm、检测试剂及其应用
CN117604129A (zh) 用于猕猴桃细菌性溃疡病菌lamp-lfd检测的引物探针组合、试剂盒和检测方法
CN118086550A (zh) 检测痰液中真菌的荧光探针组合、检测试剂盒和应用
CN114107526A (zh) 一种检测西瓜嗜酸菌的RPA引物对和crRNA及其试剂盒和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