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8927A - 조명기구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기구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8927A
KR20200138927A KR1020190065293A KR20190065293A KR20200138927A KR 20200138927 A KR20200138927 A KR 20200138927A KR 1020190065293 A KR1020190065293 A KR 1020190065293A KR 20190065293 A KR20190065293 A KR 20190065293A KR 20200138927 A KR20200138927 A KR 20200138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fixture
locking member
fixing device
bracket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5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8128B1 (ko
Inventor
허윤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토
Priority to KR1020190065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8128B1/ko
Publication of KR20200138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8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21V21/041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 F21V21/042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 고정장치는, 조명기구를 천장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조명기구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명기구의 일측에 배치되는 걸림부재; 상기 걸림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는 브라켓; 및 상기 지지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브라켓과 상하방향으로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고정부재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조명기구를 고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명기구 고정 장치{APPRATUS FOR FIXING LIGHTING DEVICE}
본 발명은, 조명기구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별도의 도구 없이 사용자가 손쉽게 조명기구를 장착할 수 있는 조명기구 고정장치에 관한 것입니다.
실내 인테리어에 있어서, 조명기구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조명기구는 실내의 벽체 특히 천장에 설치될 수 있다. 실내 분위기의 전환이나, 유지 보수를 위해 조명기구는 손쉬운 탈착이 필요하다.
특히, 천장에 설치하는 조명기구의 경우, 광원부를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 또는 고정장치가 천장에 미리 설치될 수 있다. 설치과정에서 사용자가 광원부를 머리위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천장에 설치된 고정장치에 장착하게 되는데, 이 때 장착을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광원부를 든 상태에서 고정장치의 조작을 필요로 하게 되어, 탈착이 용이하지 못하고, 사용자가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공개특허 제10-2018-0060580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별도의 도구 없이 사용자가 손쉽게 조명기구를 장착할 수 있는 조명기구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합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 고정장치는, 조명기구를 천장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조명기구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명기구의 일측에 배치되는 걸림부재; 상기 걸림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는 브라켓; 및 상기 지지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브라켓과 상하방향으로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고정부재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조명기구를 고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는 일측이 개방된 슬릿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로부터 연장되고,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레그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한쌍의 레그부 사이로 수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쌍의 레그부는 상기 바디부와 인접하여 상기 걸림부재가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로 상기 걸림부재를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착부는 대체로 상기 걸림부재의 둘레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안착부로 향할수록 상기 한쌍의 레그부가 이격되는 간격이 좁아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쌍의 레그부는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일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에 대해 상기 조명기구를 지지하는 헤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헤드부는 상기 수용부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으로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조명기구를 천장 또는 벽면에 장착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별도의 도구없이 손쉽게 탈착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습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 고정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 고정장치의 브라켓을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브라켓의 지지부(A영역)에 고정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하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도 4의 지지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4의 고정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 고정장치의 조명기구에 걸림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걸림부재(B영역)을 확대한 사시도.
도 9는 걸림부재가 지지부 및 고정부재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상태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또는 '결합'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또는 '결합'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천장을 향하는 방향을 상방 또는 상측으로 설명하고, 이와 반대되는 방향을 하방 또는 하측으로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상하 방향을 수직 방향과 혼용할 수 있으며, 수직방향에 수평한 방향을 수평 방향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100) 고정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100) 고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100)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100) 고정장치의 브라켓(200)을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브라켓(200)의 지지부(250)(A영역)에 고정부재(300)가 결합된 상태를 하측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지지부(25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4의 고정부재(30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100) 고정장치의 조명기구(100)에 걸림부재(400)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걸림부재(400)(B영역)을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 9는 걸림부재(400)가 지지부(250) 및 고정부재(300)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상태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100) 고정장치는 브라켓(200), 고정부재(300) 및 걸림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브라켓(200)에 형성된 지지부(250)에 고정부재(300)가 결합되고, 조명기구(100)에 결합된 걸림부재(400)가 지지부(250)와 고정부재(300)에 수용됨으로써 조명기구(100)가 천장 또는 벽체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브라켓(20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천장이나 벽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브라켓(20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부(250)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250)는 브라켓(20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250)는 브라켓(200)과 물리적으로 분리되는 구성이 아니라 브라켓(200)과 일체로 형성되되 개념적으로 분리되는 구성으로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250)가 조명기구(10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강성이 우수한 금속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과 같이 브라켓(200)이 직사각 형상으로 구비되는 경우, 조명기구(100)의 한쌍의 모서리와 대응되는 모서리부(252)에 지지부(250)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부(250)가 형성되는 브라켓(200)의 모서리부(252)는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브라켓(200)의 중앙부는 천장에 밀착 고정되고, 단차지게 형성되는 모서리부(252)는 천장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될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이 이격된 공간에 걸림부재(400)의 헤드부(420)가 삽입됨으로써 조명기구(100)를 지지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지지부(250)는 브라켓(20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250)는 하방을 향해 단차지게 형성되는 브라켓(200)의 대칭되는 양측 모서리부(252)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250)는 브라켓(200)을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슬릿의 일측은 걸림부재(400)가 삽입되기 위해 개방될 수 있다. 즉, 지지부(250)는 일측이 개방된 슬릿홀(253)과 슬릿홀(253)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레그(251)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지지부(250)가 형성되는 브라켓(200)의 모서리부(252)에는 조명기구(100)에 배치되는 걸림부재(400)가 하측으로부터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240)가 형성될 수 있고, 삽입부(240)는 지지부(250)와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조명기구(100)의 고정을 위해 걸림부재(400)가 수직 상방으로 삽입부(240)에 삽입된 상태에서, 조명기구(10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걸림부재(400)가 지지부(250)의 슬릿홀(253)에 수용될 수 있다. 수용된 상태에서 걸림부재(400)의 헤드부(420)가 브라켓(200)의 모서리부(252) 및 지지레그(251)에 의해 지지되어, 조명기구(100)의 낙하가 방지되는 것이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고정부재(300)는 브라켓(200)의 모서리부(252)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재(300)는 모서리부(252)에 형성되는 지지부(25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재(300)는 지지부(250)와 대응되는 위치에 브라켓(200)과 수직하게 상하방향으로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부재(300)는 모서리부(252)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조명기구(100)의 하중을 직접 지지하는 지지부(250)가 걸림부재(400)의 헤드부(420)와 맞닿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고정부재(300)는 브라켓(200)과 고정볼트를 통해 결합되는 바디부(310)와 바디부(310)에서 연장되는 한쌍의 레그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쌍의 레그부(320)는 수평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걸림부재(400)의 수용부(410)가 레그부(320) 사이로 수용될 수 있다. 한 쌍의 레그부(320)는 바디부(310)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걸림부재(400)의 수용부(410)가 안착될수 있는 안착부(323)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323)는 수용부(410)의 외주면을 밀착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부(410)의 횡단면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부(410)가 원기둥 형상인 경우 안착부(323)도 횡단면이 대체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323)의 직경은 수용부(410)의 직경과 대체로 갖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안착부(323)의 일측은 수용부(410)가 내측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될 수 있다. 한 쌍의 레그부에 있어서 안착부(323)의 개방되는 일측으로부터 바디부(3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안내부(322)가 형성될 수 있다. 안내부(322)를 이루는 한쌍의 레그부(320)가 이격되는 간격은 안착부(323)와 멀어질수록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안내부(322)는 걸림부재(400)의 수용부(410)를 유도하기 위해 넓은 간격을 갖고, 안착부(323)와 가까워 질수록 점점 좁은 간격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안내부(322)의 일단부와 인접한 안착부(323)의 상기 개방된 영역에서는 한쌍의 레그부(320)의 간격이 수용부(41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한쌍의 레그부(320)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탄성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수용부(410)재가 안내부(322)를 통해 안착부(323)와 가까워질수록 한쌍의 레그부(320)가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 될 수 있고, 비로소 수용부(410)는 개방된 영역을 지나 안착부(323)에 수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수용부(410)가 안착부(323)에 완전히 수용된 이후에는 한쌍의 레그부(320)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다시 원래 위치로 복귀하고, 개방부의 간격이 수용부(410)의 직경보다 작기 때문에 수용부(410)가 다시 이탈하지 못하도록 탄력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수용부(410)의 수평방향의 이동이 안착부(323)에 의해 제한되는 것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걸림부재(400)는 조명기구(10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걸림부재(400)는 조명기구(10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프레임부(120)에 결합되는 헤드부(420) 및 일단은 헤드부(420)와 결합되고 타단은 조명기구(100)의 광원부(110)를 보호하는 후면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수용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재(400)는 조명기구(100)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 배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브라켓(200)의 양측 모서리부(252)와 대응되는 모서리에 배치될 수 있다.
수용부(410)는 일정한 직경을 갖는 기둥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41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410)는 안내부(322)를 따라 안착부(323)를 향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고정부재(300)의 한쌍의 레그부(320)가 탄성 변형됨으로써 안착부(323)까지 이동하여 안착부(323)의 내측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300)의 직경이 안착부(323)의 개방된 영역의 간격보다 크기 때문에 레그부(320)가 탄성복원된 후에는 한쌍의 레그부(320)에 의해 탄성 지지될 수 있다.
헤드부(420)의 단면적은 수용부(410)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헤드부(420)의 폭은 지지부(250)의 슬릿홀(253)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용부(410)가 안착부(323)에 수용된 상태에서 수용부(410)의 일단부에 결합된 헤드부(420)가 브라켓(200)의 지지레그(25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로써 조명기구(100)의 수직방향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도 1 및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조명기구(100)가 고정장치에 의해 고정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둘레를 따라 지지부(250)가 형성된 브라켓(200)이 천장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조명기구(100)의 프레임 모서리에 배치되는 걸림부재(400)의 헤드부(420)가 지지부(250)와 인접하게 형성되는 삽입부(240)를 통해 상측으로 이동하여 브라켓(200) 모서리부(252)의 단차로 인해 형성된 이격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조명기구(10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걸림부재(400)의 수용부(410)가 고정부재(300)의 안내부(322)를 따라 안착부(323)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300)는 지지부(250)의 하면에 오버랩되게 배치되기 때문에 수용부(410)가 고정부재(300)에 수용되는 동시에 지지부(250)의 슬릿홀(253)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지지레그(251)의 길이는 고정부의 한쌍의 레그부(32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수용부(410)가 고정부재(300)에 수용되는 과정은 헤드부(420)를 통해 지지레그(251)에 지지된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용부(410)가 안착부(323)에 안착되어 안착되면, 조명기구(100)의 수평방향 이동은 안착부(323)를 이루는 한쌍의 레그부(320)에 의해 제한될 수 있고, 수직방향 이동은 지지부(250)에 지지되는 헤드부(420)를 통해 제한될 수 있다. 이로써, 조명기구(100)의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이동이 모두 제한됨으로써 천장에 고정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정리하건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조명기구의 장착시 사용자가 별도의 도구없이 조명기구를 브라켓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지지부 및 고정부재에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이와 반대되는 순서로, 한쌍의 레그부(320)의 탄성력에 대항하는 약간의 외력을 안내부(322)를 향하는 방향으로 제공함으로써 손쉽게 조명기구(100)를 탈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100) 고정장치는 별도의 도구나 큰 외력 없이도 손쉽게 조명기구(100)를 천장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300)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손쉽게 조명기구(100)의 탈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조명기구
110: 광원부
120: 프레임부
200: 브라켓
240: 삽입부
250: 지지부
251: 지지레그
252: 모서리부
253: 슬릿홀
300: 고정부재
310: 바디부
320: 한쌍의 레그부(320a, 320b)
322: 안내부
323: 안착부
400: 걸림부재
410: 수용부
420: 헤드부

Claims (8)

  1. 조명기구를 천장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조명기구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명기구의 일측에 배치되는 걸림부재;
    상기 걸림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는 브라켓; 및
    상기 지지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브라켓과 상하방향으로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고정부재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조명기구를 고정하는 조명기구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일측이 개방된 슬릿 형태로 형성되는 조명기구 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로부터 연장되고,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레그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한쌍의 레그부 사이로 수용되는 조명기구 고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레그부는 상기 바디부와 인접하여 상기 걸림부재가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로 상기 걸림부재를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조명기구 고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대체로 상기 걸림부재의 둘레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안착부로 향할수록 상기 한쌍의 레그부가 이격되는 간격이 좁아지는 조명기구 고정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레그부는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조명기구 고정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일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에 대해 상기 조명기구를 지지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조명기구 고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수용부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으로 갖도록 형성되는 조명기구 고정장치.

KR1020190065293A 2019-06-03 2019-06-03 조명기구 고정 장치 KR102348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293A KR102348128B1 (ko) 2019-06-03 2019-06-03 조명기구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293A KR102348128B1 (ko) 2019-06-03 2019-06-03 조명기구 고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8927A true KR20200138927A (ko) 2020-12-11
KR102348128B1 KR102348128B1 (ko) 2022-01-07

Family

ID=73786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5293A KR102348128B1 (ko) 2019-06-03 2019-06-03 조명기구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812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3205A (ja) * 2006-03-31 2007-10-18 Mitsubishi Electric Corp 照明器具
JP2012186030A (ja) * 2011-03-07 2012-09-27 Mitsubishi Electric Corp 光源ユニット及び器具本体及び照明器具
JP3187702U (ja) * 2013-07-08 2013-12-12 ユー. ケイ. テクノロジー コーポレーション 脱落防止固定フレーム構造及びそれを用いた吊り下げ式led灯具
KR20160077296A (ko) * 2014-12-22 2016-07-04 박지훈 엣지형 led조명등 설비
KR101674168B1 (ko) * 2016-03-25 2016-11-08 김종원 무타공 부착등 어셈블리
KR20180060580A (ko) 2016-11-29 2018-06-07 양문선 조명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7702B2 (ja) 1996-01-10 2001-07-11 株式会社クボタ 脱穀装置のコンケーブ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3205A (ja) * 2006-03-31 2007-10-18 Mitsubishi Electric Corp 照明器具
JP2012186030A (ja) * 2011-03-07 2012-09-27 Mitsubishi Electric Corp 光源ユニット及び器具本体及び照明器具
JP5686634B2 (ja) * 2011-03-07 2015-03-18 三菱電機株式会社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JP3187702U (ja) * 2013-07-08 2013-12-12 ユー. ケイ. テクノロジー コーポレーション 脱落防止固定フレーム構造及びそれを用いた吊り下げ式led灯具
KR20160077296A (ko) * 2014-12-22 2016-07-04 박지훈 엣지형 led조명등 설비
KR101674168B1 (ko) * 2016-03-25 2016-11-08 김종원 무타공 부착등 어셈블리
KR20180060580A (ko) 2016-11-29 2018-06-07 양문선 조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8128B1 (ko) 2022-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1709B1 (ko) 패널 컴포넌트 홀더
RU138236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верей
US10520169B2 (en) Snap in retrofit panel
KR20180079549A (ko) 조명등 장착장치 및 그를 이용한 조명등
JP6215908B2 (ja) 梁の結合部材、及び結合装置
WO2016051613A1 (ja) 支持装置
KR20200138927A (ko) 조명기구 고정 장치
JP2009095374A (ja) 棚装置
KR200489671Y1 (ko)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코너 조명 어셈블리
JP5587587B2 (ja) エンドブラケット
JP2005139805A (ja) 共有空間構造体におけるパネル体取付構造
JP2017089242A (ja) 空間構造体
JP2008080109A (ja) 高さ調整装置を具える肘掛
JP2008277191A (ja) 配線器具
JP2006296607A (ja) 天板付家具
KR101946024B1 (ko) 슬라이딩 브라켓이 적용된 등기구
JP2016122602A (ja) 照明器具
CN220623435U (zh) 安装组件及消防报警器
JP6692470B2 (ja) 照明器具
US1179614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unting recessed light fixtures
JP2856301B2 (ja) 照明器具
JP2003252551A (ja) エレベータかご室照明装置
KR200486622Y1 (ko) 유도등 고정장치
JPH10248706A (ja) パネル統合体
KR102403112B1 (ko) 조명기구 고정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