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4168B1 - 무타공 부착등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무타공 부착등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4168B1
KR101674168B1 KR1020160036209A KR20160036209A KR101674168B1 KR 101674168 B1 KR101674168 B1 KR 101674168B1 KR 1020160036209 A KR1020160036209 A KR 1020160036209A KR 20160036209 A KR20160036209 A KR 20160036209A KR 101674168 B1 KR101674168 B1 KR 101674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hole
light emitting
housing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6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원
Original Assignee
김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원 filed Critical 김종원
Priority to KR1020160036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41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4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4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치면, 특히 주방, 욕실, 거실 방 등의 다양한 설치공간의 천장에 설치되는 무타공 부착등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광유닛을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설치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유닛을 구비하되, 상기 하우징을 설치면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외부로 볼트 등의 고정장치가 돌출되지 않아 미관이 수려하며, 고정유닛이 고정핀과 고정공의 체결로 이루어짐에 따라 설치가 간편하고, 상기 발광유닛을 측면조사방식의 엘이디로 구성함에 따라 하우징의 두께를 최소화하여 미관이 수려한 무타공 부착등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타공 부착등 어셈블리{LAMP ASSEMBLY FOR FIXING ON CEILING}
본 발명은 설치면, 특히 주방, 욕실, 거실 방 등의 다양한 설치공간의 천장에 설치되는 무타공 부착등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광유닛을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설치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유닛을 구비하되, 상기 하우징을 설치면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외부로 볼트 등의 고정장치가 돌출되지 않아 미관이 수려하며, 고정유닛이 고정핀과 고정공의 체결로 이루어짐에 따라 설치가 간편하고, 상기 발광유닛을 측면조사방식의 엘이디로 구성함에 따라 하우징의 두께를 최소화하여 미관이 수려한 무타공 부착등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는 음식의 조리준비나 설거지, 또는 식사를 위하여 별도의 조명등이 설치되게 되고, 거실, 방, 등의 실내공간에도 다양한 설치등이 천장 또는 벽면 등에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조명등 특히 천장 등에 부착되는 부착등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213145호 『주방용 등기구』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싱크대 상부의 수납장이나 선반 등에 부착되는 결합프레임과 상기 결합프레임의 저면에 일 끝단이 결합되고, 타측 끝단이 결합프레임의 전방으로 절곡된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의 전방으로 절곡된 측끝단에 결합되며, 싱크대의 주변에 조명을 제공하기 위해 내부에 형광등이 장착되고, 형광등을 점멸하기 위한 버튼 스위치가 일측면에 형성된 형광등 조립체와, 상기 결합프레임과 형광등 조립체 사이의 연결구에 직교되도록 결합되어, 각종 주방기구를 걸어두기 위한 걸이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주방용 등기구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수납장이나 선반 등에 부착 설치되는 등기구로서, 천장에 부착되는 부착등과는 차이가 있으며, 수납장 및 선반 위치에 따라 설치장소의 한계가 있으며 이러한 등기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브라켓 또는 고정장치가 외부로 돌출되어 미관을 해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 등록실용신안 제20-0449984호 『엘이디가 장착되는 개폐식 주방등』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프레임바를 연속적으로 결합시켜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케이스를 형성하며, 상기 프레임바의 전면 내측단으로부터 지지면이 구비되도록 지지부를 이격되게 돌출 형성하여 상기 지지면에 다수의 엘이디가 장착된 엘이디바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부의 일측면에 삽입홈이 구비되도록 한 쌍의 삽입부를 하향 경사지게 돌출 형성하며, 측 단면이 원형인 회동축이 상부 내측으로 돌출되게 마감부를 프레임바의 외측단에 전후면으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회동축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져 내,외측으로 회동되도록 끼움홈이 요입 형성되면서 누름부가 상부 외측단에 돌출 형성된 회동지지부를 전면커버의 하측단에 돌출 형성하며, 상기 삽입홈과 회동지지부의 사이에 결합되어 탄성력에 의해 전면커버가 회동축을 중심으로 내,외측으로 회동되도록 측 단면이 판 형태의 탄성부를 적어도 2개 이상 결합 구성하여 주방등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주방등을 설치면에 결합함에 있어 고정부와 나사홀이 외부로 보여짐에 따라 미관을 해칠 수 있으며, 천정에 부착되는 경우에는 고정브라켓이 주방등의 측면을 지지함에 따라 중력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견디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종래기술로 공개특허 제10-2008-0040072호 『천정에 부착되는 조명기구』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조명램프에서 조사된 불칩이 장식판에 반사되게 이루어져 광도를 배가시키고 실내등 장식적 효과를 얻게 하며 소켓과 조명기구 본체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의해 조명램프에서 발산된 열에 의해 조명등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조명기구를 제시하고 있다.
아울러 종래기술로 등록실용신안 제20-0419752호 『슬림형 천장부착용 형광등기구』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형광등기구의 몸체와 고조도반사갓의 개념을 역으로 적용하고 초슬림형 고효율 고파주형 전자식안정기를 채택, 크기를 최대한 줄여 생산비의 절감을 도모하고, 설치 및 교체 작업의 간편성을 확보하면서도, 조도의 향상 및 외관의 미려함을 가능케 한 새로운 구조의 천정부착용 직관형광등기구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두 종래기술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등기구를 천장에 부착함에 있어서 볼트 등의 체결장치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시야에 체결장치가 보여 미관상 수려하지 못하고, 등기구의 탈부착을 하는 경우에도 이러한 체결장치를 분리하여야 하는 등의 작업의 어려움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무타공 부착등 어셈블리에 있어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발광유닛을 구성하여 빛을 조사하되, 상기 하우징을 설치면에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체결되는 고정핀으로 이루어지는 고정유닛을 구성하여 볼트 등의 체결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하우징을 설치면에 고정시키면 내측으로 숨겨질 수 있도록 하는 무타공 부착등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핀을 헤드부와 기둥부로 구성하고, 고정부재의 고정공을 진입공과 고정공으로 구성하여 고정핀을 삽입 후 슬라이딩 이동시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고정공에 스토핑돌기를 더 구성하여 고정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무타공 부착등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발광유닛을 발광부재와 상기 발광부재가 측면에 구비되도록 구성된 조사부재로 이루어져 측면조사방식을 이용하여 하우징의 두께를 얇게 구성할 수 있어 디자인적 심미감을 보다 높일 수 있는 무타공 부착등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타공 부착등 어셈블리는
함몰된 삽입부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하부에 체결되되 개방부가 형성된 커버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발광부재와, 상기 발광부재가 측면에 구비되도록 구성하여 발광부재의 빛을 개방부로 조사하는 조사부재를 포함하는 발광유닛; 및
하나 이상의 고정공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삽입부 또는 설치면에 구비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공에 삽입되도록 설치면 또는 본체의 삽입부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핀으로 구성되는 고정유닛;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타공 부착등 어셈블리는
본체와 커버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발광유닛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우징을 설치면에 고정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고정공이 구비되는 고정부재와 고정공에 삽입되는 고정핀으로 이루어지는 고정유닛을 구비하여 외부로 볼트 등의 체결장치가 돌출되지 않아 미관을 해치지 않으며 단순히 고정공에 고정핀을 넣어 체결하는 방식으로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여 손쉽게 유지보수가 가능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고정핀을 헤드부와 기둥부로 구성하고, 고정공을 진입공과 고정공으로 구성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손쉽게 고정핀을 고정공에 체결할 수 있으며, 이 때 스토핑돌기를 더 구비함으로서 고정핀이 고정공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견고하게 체결이 가능하여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발광유닛을 직접조사방식이 아니라 발광부재와 발광부재를 측면에 구비하여 발광부재로부터 발산된 빛을 조사하는 조사부재로 구성함에 따라 조사균일한 광량을 확보할 수 있으며, 나아가 측면조사방식으로 조사부재의 두께를 얇게 구성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하우징의 두께가 얇아 설치면에 부착 시 보다 깔끔하게 구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타공 부착등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타공 부착등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타공 부착등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타공 부착등 어셈블리의 실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무타공 부착등 어셈블리(A)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에 구비되는 발광유닛(20) 및 상기 하우징(10)을 설치면(S)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유닛(3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대략적인 방향을 도2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부착등 어셈블 리가 설치면(S), 즉 천장에 부착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빛이 조사되는 방향을 하부로 정하도록 한다.
다시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하우징(10)은 본체(11)와 상기 본체(11)에 체결되는 커버프레임(13)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하우징(10)에 발광유닛(20)이 구비되게 된다.
먼저 상기 본체(11)에는 상기 발광유닛(20)을 설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안정기, 감압기 등의 장비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111)가 구비되고, 상기 삽입부(111)의 테두리에는 외플랜지(113)가 구비되어 후술하는 커버프레임(13)과 체결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본체(11)의 하부에는 커버프레임(13)이 체결되어 하나의 하우징(10)을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커버프레임(13)은 내측측에 빛이 조사될 수 있는 개방부(131)가 형성된 사각형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커버프레임(13)에는 발광유닛(20)이 체결될 수 있는 안착부(13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안착부(133)에 대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먼저 발광유닛(20)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발광유닛(20)은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재(21)와, 상기 발광부재(21)의 빛을 조사하는 조사부재(23), 상기 조사부재(23) 하부에 구비되어 조사부재(23)를 보호하기 위한 투광성 커버부재(25) 및 상기 조사부재(23)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부로 발산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부재(27)로 이루어지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발광유닛(20)의 조사부재(23)는 발광부재(21)로부터 빛을 받아 조사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때 상기 발광부재(21)는 상기 조사부재(23)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어 조사부재(23)의 측방향에서 빛을 발산하게 되고, 빛을 받은 조사부재(23)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빛이 조사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조사부재(23)는 상기 하우징(10), 특히 상기 커버프레임(13)의 개방부(131)에 위치하게 되어 개방부(131)를 통해 빛이 조사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조사부재(23)의 하면에는 개방부(131)를 막으며 상기 조사부재(23)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부재(25)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부재(25)는 유리, 아크릴 등의 투광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황에 따라 다양한 색상의 투광성 소재로 이루어져 빛에 색상을 부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상기 조사부재(23)의 상부에는 상부방향으로 발산되는 빛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부재(27)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반사부재(27)는 상기 커버프레임(13)에 체결되는 본체(11)에 밀착되도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커버프레임(13)에는 상기 발광유닛(20)의 각 구성요소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133)가 구비되게 되는데, 상기 안착부(133)는 도 3의 확대도를 참고하여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상기 커버부재(25)의 테두리가 안착될 수 있는 제1 안착부(133A)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안착부(133A)의 측면에 커버부재(25)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지지돌기(133E)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돌기(133E) 상부에는 조사부재(23)의 테두리가 위치할 수 있는 제2 안착부(133B)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돌기(133E)의 측면에는 발광부재(21)가 구비될 수 있는 제3 안착부(133C)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3 안착부(133C)에 구비되는 발광부재(21)의 빛이 상기 조사부재(23)의 측방향으로 발산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3 안착부(133C)에 구비되는 발광부재(21)는 테이프, 접착제 등으로 제3 안착부(133C)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발광유닛(20)은 커버프레임(13)에 구비되게 되고, 상기 발광유닛(20)의 상부에는 커버프레임(13)에 체결되는 본체(11)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발광유닛(20)이 커버프레임(13) 내측에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본 발명은 상기 커버프레임(13)에 상기 본체(11)를 결합시키기 위해서 체결유닛(40)이 더 구비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체결유닛(40)은 상기 본체(11)의 외플랜지(113)에 구비되는 제1 체결공(41)과, 상기 커버프레임(13)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체결공(41)에 대응되는 제2 체결공(42) 및 상기 제1 체결공(41)과 제2 체결공(42)을 결합하는 체결볼트(44)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상기 제2 체결공(42)은 커버프레임(13)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공으로서, 상기 체결볼트(44)가 억지끼움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체결유닛(40)에 의하여 상기 본체(11)는 커버프레임(13)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체결볼트(44)가 수직방향으로 체결됨에 따라 체결볼트(44)의 헤드부(331)가 설치면(S)에 닿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프레임(13)에 구비되는 제2 체결공(42)은 제4 안착부(133D)에 형성되게 되고, 상기 제4 안착부(133D) 외측에 외벽(133F)이 형성되어 하우징(10)이 설치면(S)에 부착되는 경우, 그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앞서 설명한 하우징(10)은 도면에는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정사각형, 직사각형, 원형 등의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그 크기 또한 설치 장소 등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고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무타공 부착등 어셈블리(A)는 상기 발광유닛(20)이 결합된 하우징(10)이 설치면(S)에 결합되는 경우 볼트 등의 구성요소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10)을 설치면(S)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유닛(30)을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고정유닛(3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고정유닛(30)은 상기 하우징(10) 또는 설치면(S)에 구비되어 복수개의 고정공(315)이 형성되는 고정부재(31)와, 상기 고정공(315)에 삽입되도록 설치면(S) 또는 하우징(10)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고정핀(33)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로서, 상기 하우징(10), 특히 상기 본체(11)의 삽입부(111) 중앙에는 본체(1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고정부재(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재(31)는 도 3을 기준으로 양측에 지지부(311)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311)를 연결하는 평탄부(312)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지지부(311)에 의하여 상기 평탄부(312)와 본체(11)의 삽입부(111) 하면 사이에는 공간부(313)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고정부재(31)는 상기 본체(11)에 볼트, 용접 등을 통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 제작 시 함께 성형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된다.
다시 상기 고정부재(31)의 평탄부(312)에는 복수개의 고정공(315)이 형성되게 되는 데 상기 고정공(315)은 후술하는 고정핀(33)이 삽입되기 위한 것으로서, 진입공(315A)과 상기 진입공(315A)보다 직경이 작은 안착공(315B)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고정공(315)을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설치면(S)에는 고정핀(33)이 체결되게 되는데, 상기 고정핀(33)은 기둥부(333)와 상기 기둥부(333)보다 직경이 큰 헤드부(331)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고정핀(33)을 보다 손쉽게 설치면(S)에 고정하기 위하여 별도의 고정브라켓(B)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나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된다.
이렇게 설치면(S)에는 고정핀(33)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0)에는 고정공(315)이 구비되어 상기 고정핀(33)이 상기 고정공(315)에 내삽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상기 하우징(10)이 설치면(S)에 고정될 수 있으며, 볼트 등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미관을 해치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 고정공(315)은 상기 고정부재(31)에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하우징(10)의 크기에 따라 가변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고정공(315) 주위에는 살빼기공(317)을 더 구비하여 경량화 및 제조단가 절감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더 나아가 상기 살빼기공(317)을 통하여 발광유닛(20)으로부터 발산되는 열을 방출시켜 방열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고정핀(33)을 고정공(315)에 체결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서, 먼저 상기 고정공(315)은 진입공(315A)과 안착공(315B)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핀(33)의 헤드부(331)는 진입공(315A)보다는 작고 안착공(315B)보다는 크게 구성되며, 상기 고정핀(33)의 기둥부(333)는 상기 안착공(315B)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고정핀(33)의 헤드부(331)에 고정공(315)의 진입공(315A)이 맞도록 하우징(10)을 정위치 시킨 후, 상기 하우징(10)을 일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고정핀(33)이 안착공(315B)에 위치하도록 하면, 헤드부(331)가 상기 안착공(315B)보다 크게 구성됨에 따라 고정핀(33)이 고정공(315)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보다 안전하고 견고한 고정을 위하여 상기 진입공(315A)에서 안착공(315B)으로 이동하는 구역에 스토핑돌기(315b)를 더 구비하여, 상기 헤드부(331)가 스토핑돌기(315b)를 넘어 안착공(315B)에 위치하게 되면, 외력이 발생하지 않는 한 상기 헤드부(331)가 진입공(315A)으로 이동하는 것을 스토핑돌기(315b)가 막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더 나아가 상기 하우징(10)을 설치면(S)에 고정하는 경우에, 상기 고정유닛(30)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상기 고정공(315)의 위치를 고정핀(33)에 정위치 시키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진입공(315A)은 상기 헤드부(331)보다 더 크게 구성하여 고정핀(33)이 손쉽게 진입공(315A)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진입공(315A)에는 안착공(315B)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완만한 만곡부(315a)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곡선형의 만곡부(315a)에 의해 사용자가 하우징(10)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자연스럽게 고정핀(33)이 안착공(315B)으로 이동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로, 제1 실시예와는 반대로 상기 고정부재(31)가 설치면(S)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핀(33)이 고정부재(31)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구성은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것으로서, 이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무타공 부착등 어셈블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무타공 부착등 어셈블리 S : 설치면
B : 고정브라켓 10 : 하우징
11 : 본체 111 : 삽입부
113 : 외플랜지 13 : 커버프레임
131 : 개방부 133 : 안착부
133A : 제1 안착부 133B : 제2 안착부
133C : 제3 안착부 133D : 제4 안착부
133E : 지지돌기 133F : 외벽
20 : 발광유닛 21 : 발광부재
23 : 조사부재 25 : 커버부재
27 : 반사부재 30 : 고정유닛
31 : 고정부재 311 : 지지부
312 : 평탄부 313 : 공간부
315 : 고정공 315A : 진입공
315a : 만곡부 315B : 안착공
315b : 스토핑돌기 317 : 살빼기공
33 : 고정핀 331 : 헤드부
333 : 기둥부 40 : 체결유닛
41 : 제1 체결공 42 : 제2 체결공
44 : 체결볼트

Claims (4)

  1. 함몰된 삽입부(111)가 구비되는 본체(11)와, 상기 본체(11) 하부에 체결되되 개방부(131)가 형성된 커버프레임(13)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에 구비되는 발광부재(21)와, 상기 발광부재(21)가 측면에 구비되도록 구성하여 발광부재(21)의 빛을 개방부(131)로 조사하는 조사부재(23)를 포함하는 발광유닛(20); 및
    하나 이상의 고정공(315)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11)의 삽입부(111)에 구비되는 고정부재(31)와, 상기 고정공(315)에 삽입되도록 설치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핀(33)으로 구성되는 고정유닛(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10)을 설치면에 고정하면 고정유닛(30)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재(31)는
    상기 본체 제작시 함께 성형되는 것으로,
    양측에 지지부(311)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311)를 연결하되 상기 고정공(315)이 형성되는 평탄부(312)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부(311)에 의해 상기 평탄부(312)와 본체(11)의 삽입부(111) 하면 사이에 공간부(313)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고정핀(33)은
    헤드부(331)와, 상기 헤드부(331)보다 직경이 작은 기둥부(333)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공(315)가 삽입되는 진입공(315A)과, 상기 진입공(315A) 일측에 연통되어 상기 기둥부(333)가 관통되되 헤드부(331)보다 직경이 작은 안착공(315B)로 이루어지되,
    상기 진입공(315A)은 상기 헤드부(331)의 직경보다 크게 구성하여 상기 진입공(315A)에 상기 고정핀(33)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진입공(315A)에는 상기 안착공(315B)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만곡부(315a)가 더 구비되어, 고정핀(33)을 일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 상기 고정핀(33)이 만곡부(315a)를 따라 상기 안착공(315B)으로 이동되고,

    상기 발광유닛(20)은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재(21)와, 상기 발광부재(21)의 빛을 조사하는 조사부재(23), 상기 조사부재(23) 하부에 구비되어 조사부재(23)를 보호하기 위한 투광성 커버부재(25) 및 상기 조사부재(23)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부로 발산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부재(27)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프레임(13)에는 안착부(133)가 구비되며,
    상기 안착부(133)에는
    상기 커버부재(25)의 테두리가 안착되도록 구비되는 제1 안착부(133A)와, 상기 제1 안착부(133A)의 측면에 구비되어 커버부재(25)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지지돌기(133E)와, 상기 지지돌기(133E) 상부에 구비되어 조사부재(23)의 테두리가 위치하는 제2 안착부(133B)와, 상기 지지돌기(133E)의 측면에 구비되어 발광부재(21)가 구비되는 제3 안착부(133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11)에는 외플랜지(113)가 구비되고,
    상기 외플랜지(113)에 구비되는 제1 체결공(41)과, 상기 커버프레임(13)에 구비되는 제2 체결공(42) 및 상기 제1 체결공(41)과 제2 체결공(42)을 결합하는 체결볼트(44)로 이루어지는 체결유닛(40)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 체결공(41)(42)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볼트(44)가 외플랜지(113)의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어 커버프레임(13)과 체결되며,
    상기 제2 체결공(42)은
    상기 커버프레임(13)에 구비되는 제4 안착부(133D)에 형성되며, 상기 제4 안착부(133D)의 외측에는 외벽(133F)이 형성되어 하우징(10)과 설치면이 밀착되며,
    상기 고정유닛(30)의 고정공(315)에는 상기 고정핀(33)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핑돌기(315b)가 더 구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타공 부착등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60036209A 2016-03-25 2016-03-25 무타공 부착등 어셈블리 KR101674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6209A KR101674168B1 (ko) 2016-03-25 2016-03-25 무타공 부착등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6209A KR101674168B1 (ko) 2016-03-25 2016-03-25 무타공 부착등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4168B1 true KR101674168B1 (ko) 2016-11-08

Family

ID=57528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6209A KR101674168B1 (ko) 2016-03-25 2016-03-25 무타공 부착등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416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8681B1 (ko) 2017-03-21 2017-06-19 주식회사 송촌조명 조명등 천장 결합장치
KR20200095065A (ko) 2019-01-31 2020-08-10 주식회사 뉴포스코리아 Led 엣지평판 천장등장치 설치방법
KR20200095064A (ko) 2019-01-31 2020-08-10 주식회사 뉴포스코리아 Led 엣지평판형 천장등
KR20200095063A (ko) 2019-01-31 2020-08-10 주식회사 뉴포스코리아 Led 엣지평판 천장등장치
KR20200095660A (ko) 2019-02-01 2020-08-11 주식회사 뉴포스코리아 직부형 led 엣지평판 천장등장치
KR20200136087A (ko) 2019-05-27 2020-12-07 주식회사 뉴포스코리아 빛샘 현상 방지구조를 갖는 led 엣지평판형 천장등
KR20200138927A (ko) * 2019-06-03 2020-12-11 주식회사 알토 조명기구 고정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7788Y1 (ko) * 2002-09-03 2002-12-11 김기성 몸체와 커버 결합시 역풀림 방지 및 탈착이 용이한조명기구
KR20110097905A (ko) * 2008-11-25 2011-08-31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조명 장치
KR101160816B1 (ko) * 2010-12-23 2012-06-29 (주)디에스일렉트론 에지형 발광 다이오드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7788Y1 (ko) * 2002-09-03 2002-12-11 김기성 몸체와 커버 결합시 역풀림 방지 및 탈착이 용이한조명기구
KR20110097905A (ko) * 2008-11-25 2011-08-31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조명 장치
KR101160816B1 (ko) * 2010-12-23 2012-06-29 (주)디에스일렉트론 에지형 발광 다이오드 조명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8681B1 (ko) 2017-03-21 2017-06-19 주식회사 송촌조명 조명등 천장 결합장치
KR20200095065A (ko) 2019-01-31 2020-08-10 주식회사 뉴포스코리아 Led 엣지평판 천장등장치 설치방법
KR20200095064A (ko) 2019-01-31 2020-08-10 주식회사 뉴포스코리아 Led 엣지평판형 천장등
KR20200095063A (ko) 2019-01-31 2020-08-10 주식회사 뉴포스코리아 Led 엣지평판 천장등장치
KR20200095660A (ko) 2019-02-01 2020-08-11 주식회사 뉴포스코리아 직부형 led 엣지평판 천장등장치
KR20200136087A (ko) 2019-05-27 2020-12-07 주식회사 뉴포스코리아 빛샘 현상 방지구조를 갖는 led 엣지평판형 천장등
KR20200138927A (ko) * 2019-06-03 2020-12-11 주식회사 알토 조명기구 고정 장치
KR102348128B1 (ko) 2019-06-03 2022-01-07 주식회사 알토 조명기구 고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4168B1 (ko) 무타공 부착등 어셈블리
US7476008B2 (en) Recessed light fixture
WO2009102563A1 (en) Led light fixture with frame and leds module
WO2007130631A2 (en) Light-emitting diode panel fixture
CA2906013C (en) Led architectural luminaire having improved illumination characteristics
US10429052B2 (en) LED lighting fixture
JP3142490U (ja) 照明ランプ
US11112091B2 (en) Lighting fixture
KR20100079538A (ko) 기판의 조립이 용이한 엘이디 조명등
KR20100091421A (ko) 엘이디를 이용한 간접조명장치용 등기구
KR20170000511U (ko) 시스템 조명등기구
KR20170003299U (ko) 천장등기구용 장착브라켓
KR200387711Y1 (ko) 조명등
KR20170128734A (ko) 부착등 어셈블리
KR20170001178U (ko) 천장형 led 조명 장치
US8469537B2 (en) Shade for a recessed light fixture
KR101115549B1 (ko) 조명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조명장치
WO2015051699A1 (zh) 一种壁灯
JP2014056804A (ja) 照明器具
CN204201666U (zh) 用于吊扇的led灯具及具有该灯具的吊扇
JP6080041B2 (ja) Led照明器具
EP3693657A1 (en) Housing for a light emitting source
KR200316325Y1 (ko) 매입형 조명기구
CN108444199B (zh) 一种装饰灯安装结构及冰箱
KR101409807B1 (ko) 원뿔대 형상의 반사갓을 이용한 에너지절약형 조명등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