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7905A -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7905A
KR20110097905A KR1020117014674A KR20117014674A KR20110097905A KR 20110097905 A KR20110097905 A KR 20110097905A KR 1020117014674 A KR1020117014674 A KR 1020117014674A KR 20117014674 A KR20117014674 A KR 20117014674A KR 20110097905 A KR20110097905 A KR 20110097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main body
lighting device
metal member
device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4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4955B1 (ko
Inventor
노리오 야스오까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97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7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4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4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3Ceiling bases, e.g. ceiling r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6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20Controlling the colour of the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3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 F21S8/033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the surface being a wall or like vertical structure, e.g. building faca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F21V23/026Fastening of transformers or ballas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3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remote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6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coupling devices, e.g. conn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5/00Planar light sources
    • F21Y2105/10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3/0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 F21Y2113/1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of different colours
    • F21Y2113/13Combination of light sources of different colours comprising an assembly of point-lik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조명 장치는, 천장이나 벽 등의 필요한 곳에 고정되는 설치용 부재로서의 설치 금속 부재(100), 막대 형상의 유지 금속 부재(10), 또한, 유지 금속 부재(10)의 일단부측이 느슨하게 장착된 섀시(20), 섀시(20)에 고정되어 발광 소자로서의 발광 다이오드가 실장된 기판(30), 반사판(40), 발광 다이오드를 덮는 커버(확산판)(50) 등으로 구성되는 조명 장치 본체(200) 등을 구비하고 있다. 유지 금속 부재(10)의 타단부측의 걸림부를 삽입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하여 유지 금속 부재(10)를 설치 금속 부재(100)에 걺으로써, 조명 장치 본체(200)는, 설치 금속 부재(100)로부터 이격하여 유지된다.

Description

조명 장치{ILLUMINATION DEVICE}
본 발명은, 천장 등의 설치면에 설치되는 설치용 부재와, 설치용 부재를 통해 설치면에 설치되고, 광원을 갖는 조명 장치 본체를 구비하는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력 절약화 및 장기 수명화가 우수하다고 하여 형광등이나 백열등을 대신하여 발광 다이오드 등을 광원으로 하는 조명 장치의 개발이 행하여지고 있다. 이러한 조명 장치에서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ED)를 실장한 기판을 등기구의 하우징 저면에 설치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한편, 형광등이나 백열등을 사용하여, 천장 등에 직접 장착되는 조명 장치에서는, 천장에 고정한 설치 금속 부재에 조명 장치 본체를 설치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배선 작업 등의 설치 작업은, 미리 확산판 등의 커버를 제거함으로써 조명 장치 본체 내로 액세스할 수 있어, 비교적 용이하게 작업을 행할 수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 평5-74218호 공보
그러나, 종래와 같은 천장 등에 직접 장착되는 조명 장치에 광원으로서 발광 다이오드 등을 사용하는 경우, 가령 확산판 등의 커버를 제거하는 구조로 하여도 발광면에는 발광 다이오드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발광면측에서의 작업은 용이하지 않다. 특히, 가능한 넓은 발광면을 확보하기 위해서, 설치 작업에 필요한 부품을 발광면측에 설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조명 장치 본체에 고정된 기판에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실장된 경우에는, 조명 장치 본체 자체의 중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저하된다. 이로 인해, 조명 장치 본체의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조명 장치가 요망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는, 천장 등의 설치면에 설치되는 설치용 부재와, 상기 설치용 부재를 통해 상기 설치면에 설치되고, 광원을 갖는 조명 장치 본체를 구비하는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설치면과 상기 조명 장치 본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조명 장치 본체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설치용 부재와 조명 장치 본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조명 장치 본체를 유지하는 유지 부재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천장에 설치용 부재를 고정해 두고, 조명 장치 본체를 유지 부재로 설치용 부재에 유지한다. 이에 의해, 천장면과 조명 장치 본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한다. 조명 장치 본체의 상측(발광면과 반대측)에 배선 작업 등의 설치 작업에 필요한 부품을 설치하도록 하면, 조명 장치 본체를 유지 부재로 유지한 상태에서 설치 작업에 필요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발광면측에서의 작업이 불필요해져, 설치 작업에 필요한 부품을 발광면측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 넓은 발광면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는, 상기 조명 장치 본체를 상기 설치면에 설치한 경우, 상기 조명 장치 본체와 상기 설치용 부재 사이에 상기 유지 부재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조명 장치 본체를 유지 부재로 유지한 상태에서, 배선 작업 등의 설치 작업을 행한 후, 조명 장치 본체를 설치면에 설치했을 때에, 조명 장치 본체와 설치용 부재 사이에 유지 부재를 수납할 수 있으므로, 외부에서 유지 부재가 보이지 않게 하여 외관을 좋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는, 상기 유지 부재는 막대 형상을 이루고, 일단부측은 상기 조명 장치 본체에 설치되어 있고, 타단부측은 상기 설치용 부재에 걸리는 걸림부(lock section)를 구비하고, 상기 설치용 부재는 상기 유지 부재를 걸기 위하여 상기 걸림부를 삽입 관통하는 삽입 관통 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유지 부재는 막대 형상을 이루고, 일단부측은 조명 장치 본체에 느슨하게 장착하여 설치되어 있고, 타단부측은 설치용 부재에 걸리는 걸림부를 구비하고, 설치용 부재는 유지 부재를 걸기 위하여 걸림부를 삽입 관통하는 삽입 관통 구멍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조명 장치 본체의 배선 작업을 행하는 경우, 조명 장치 본체에 느슨하게 장착된 유지 부재의 타단부를 설치용 부재의 삽입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하여 유지 부재를 설치용 부재에 걸리게 함으로써, 조명 장치 본체와 설치용 부재 사이에 공간을 확보하여 조명 장치 본체를 유지한다. 유지 부재는, 막대 형상을 이루고 있으므로, 설치 작업에 방해될 일도 없다. 또한, 조명 장치 본체에 광원으로서 발광 다이오드 등의 발광 소자가 다수 실장되어, 중량이 무거운 경우라도 간편한 구조로 간단하게 조명 장치 본체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는, 상기 설치용 부재는 상기 삽입 관통 구멍으로부터 연장 설치된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가이드를 따라서 미끄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설치용 부재는 삽입 관통 구멍으로부터 연장 설치된 가이드를 구비하고, 유지 부재는 가이드를 따라서 미끄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조명 장치 본체를 설치용 부재로부터 이격하여 유지한 상태에서 배선 작업 등의 설치 작업이 종료된 경우, 조명 장치 본체를 하측으로부터 천장에 고정된 설치용 부재 쪽으로 밀어 올림으로써, 유지 부재의 걸림부측이 가이드를 따라서 미끄럼 이동하여, 조명 장치 본체를 설치용 부재 쪽으로 근접시킬 수 있다. 그리고, 조명 장치 본체가 설치용 부재에 설치된 상태에서, 유지 부재는 가이드를 따라서 수용된다. 또한, 조명 장치 본체를 설치용 부재에 설치하기 위하여는, 한쪽에 막힌 구멍, 뚫린 구멍 또는 절결부 등을 설치하고, 다른 쪽에 막힌 구멍, 뚫린 구멍 또는 절결부 등에 걸 수 있는 걸이부를 설치하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는, 상기 조명 장치 본체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유지 부재와 상기 가이드가 이루는 각도가 90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조명 장치 본체를 유지한 상태에서, 유지 부재와 가이드가 이루는 각도가 90도보다 크다. 이에 의해, 조명 장치 본체를 하측으로부터 천장에 고정된 설치용 부재 쪽으로 밀어 올린 경우, 유지 부재가 가이드를 따라서 미끄럼 이동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여, 조명 장치 본체를 하측으로부터 밀어 올리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유지 부재를 안내 구멍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는, 상기 조명 장치 본체는 상기 유지 부재가 설치된 섀시와, 상기 섀시에 설치되고, 발광 소자로 이루어지는 발광면과, 상기 발광면을 덮는 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발광 소자가 실장된 발광면측에서의 설치 작업은 불필요해진다. 또한, 조명 장치 본체의 중량이 큰 경우라도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발광면측에서의 작업이 불필요해지고, 설치 작업에 필요한 부품을 발광면측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 넓은 발광면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조명 장치의 개략 조립 사시도이다.
도 2는 기판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섀시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4는 섀시에 기판을 배치한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조명 장치 본체를 유지 금속 부재로 유지한 상태를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6은 조명 장치 본체를 설치 금속 부재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7은 전원 유닛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의 조명 장치의 조도와 광원의 색 온도와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의 조명 장치의 제어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의 조명 장치의 리모콘을 사용한 경우의 처리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 형태의 조명 장치의 리모콘을 사용한 경우의 처리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실시 형태의 조명 장치의 벽 스위치를 사용한 경우의 처리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실시 형태의 조명 장치의 조도와 광원의 색 온도와의 관계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4는 실시 형태 2의 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실시 형태 3의 기판의 평면도이다.
<실시 형태 1>
이하, 본 발명을 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조명 장치의 개략 조립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는, 천장이나 벽 등의 설치면의 필요한 곳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설치용 부재로서의 설치 금속 부재(100), 유지 부재로서의 유지 금속 부재(10), 또한 유지 금속 부재(10)가 느슨하게 장착(느슨하게 부착)되어 설치된 섀시(20), 섀시(20)에 고정되어 발광 소자로서의 발광 다이오드가 실장된 기판(30), 반사판(40),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지는 발광면을 덮는 커버(확산판)(50) 등으로 구성되는 조명 장치 본체(200) 등을 구비하고 있다. 조명 장치 본체(200)는, 유지 금속 부재(10)에 의해 설치 금속 부재(100)로부터 이격되어 유지된다. 반사판(40)에는, 발광 다이오드를 삽입 관통하는 뚫린 구멍(41)이 형성되어 있다.
조명 장치 본체(200)를 유지 금속 부재(10)로 유지함으로써, 예를 들어, 천장 등의 설치면과 조명 장치 본체(200) 사이에 간극(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조명 장치 본체(200)의 상측(발광면과 반대측)에 배선 작업 등의 설치 작업에 필요한 부품을 설치하도록 하면, 조명 장치 본체(200)를 유지 금속 부재(10)로 유지한 상태에서 설치 작업에 필요한 간극을 확보할 수 있어,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발광면측에서의 작업이 불필요해져, 설치 작업에 필요한 부품을 발광면측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 넓은 발광면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기판(30)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30)은 예를 들어 직사각 형상을 이루고, 색 온도가 상이한 발광 소자로서의 발광 다이오드(1, 2)를 이격 거리 d(예를 들어, 0.5mm, 1mm 등)로 인접하여 배치한 세트를, 가로 방향(x 방향)으로 이격 치수 x로, 세로 방향(y 방향)으로 이격 치수 y로, 격자 형상으로 복수 배치하고 있다. 이 경우, 1개의 세트를 구성하는 발광 다이오드(1)와 발광 다이오드(2)의 이격 치수 d는, 세트의 이격 치수 x, y(예를 들어, 10mm, 20mm 정도)에 비하여 짧게 되어 있다. 반대로 말하면, 1개의 세트를 구성하는 발광 다이오드(1)와 발광 다이오드(2)의 이격 치수 d보다도 세트의 이격 치수 x, y를 길게 하고 있다. 이 경우, x와 y는 동일한 치수이어도 좋고, 혹은 다른 치수이어도 좋다. 또한, 도 2의 예에서는, 각 세트를 연결하는 직선이 90도가 되도록 각 세트를 배치하고 있지만, 90도가 아닌 격자 형상의 배치이어도 좋다. 이에 의해, 발광면이 임의의 형상이더라도, 균일하게 발광하는 발광면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x와 y가 동일한 치수가 되도록 하여, 세트를 등간격으로 배치함으로써, 보다 균일하게 발광하는 발광면을 실현할 수 있다.
기판(30)의 최외곽에 배치된 발광 다이오드(1, 2)의 세트는, 다른 기판(30)을 인접하여 배치한 경우, 최외곽의 세트끼리의 이격 치수가, 가로 방향(x 방향)이면 x가 되도록 되어 있고, 세로 방향(y 방향)이면 y가 되도록, 최외곽의 세트의 기판(30) 상의 위치, 기판(30)끼리의 이격 거리 등을 미리 결정하고 있다. 이에 의해, 기판(30)을 복수매 배치하여, 발광면을 넓게 하는 경우라도, 기판(30) 내의 세트의 이격 치수가 기판(30)을 걸친 세트의 이격 치수와 동일한 치수로 할 수 있어, 넓은 발광면이더라도 발광면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1)는, 예를 들어, 전구색의 발광 다이오드이며, 색 온도가 2800K 정도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전구색의 발광 다이오드는, 예를 들어, 청색의 발광 다이오드, 황색 형광체 및 적색 형광체 내지 백색의 발광 다이오드이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2)는, 색 온도가 4000K 정도의 고연색(高演色)의 백색 발광 다이오드이며, 예를 들어, 청색 발광 다이오드, 녹색 형광체 및 적색 형광체로 이루어지는 백색의 발광 다이오드이다. 또한, 상기 전구색의 발광 다이오드와 고연색의 발광 다이오드에 포함되는 형광체의 구성은 일례이며,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세트의 한쪽의 발광 다이오드에 고연색의 백색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함으로써, 다른 쪽의 발광 다이오드의 연색성(演色性)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고연색의 백색이라면, 발광 스펙트럼은, 어떤한 것이라도 좋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를 대신하여, EL(Electro-Luminescence) 등의 다른 광원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기판(30)의 외주부에는, 발광 다이오드(1, 2)에 필요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배선용 커넥터(31)를 설치하고 있다. 커넥터(31)를 기판(30)의 외주부에 설치함으로써, 발광 다이오드(1, 2)로부터 발생되는 광이 배선 등에 의해 차폐되어, 발광면에 그림자 등을 생기게 하여 발광면이 불균일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격 치수 d보다도 이격 치수 x, y를 길게함으로써, 색 온도가 상이한 발광 소자 각각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색이 혼합되어, 단일색의 광원으로서 보이기 때문에, 위화감이 없어 미관을 손상시키는 일도 없다. 또한, 1개의 세트 내의 발광 소자끼리의 이격 치수를 작게함으로써, 각각의 발광 소자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색이 혼합되는데 필요한 거리를 짧게 할 수 있어, 발광 소자를 덮는 확산판 등의 커버를 발광 소자에 근접시켜서 배치할 수 있어, 박형의 조명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세트를 등간격(x와 y가 동일함)으로 배치한 경우, 발광 소자와 확산판의 간격을 세트끼리의 간격보다도 길게함으로써, 색 온도가 상이한 발광 소자의 광의 색을 균일하게 혼합시키면서, 광원이 커버를 통하여 보이지 않게 할 수 있으므로, 단일색으로 균일하게 발광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할 수 있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 단체로서 통상의 색 온도가 상이한 발광 다이오드끼리를 인접 배치(예를 들어, 짧은 이격 거리 d로 인접 배치)할 뿐이므로, 재차 특수한 발광 다이오드를 준비할 필요가 없고, 조명 장치 전체로서의 제조 비용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발광 다이오드를 인접 배치하고 있으므로,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발생되는 열도 개개의 패키지로 분리되어, 방열 효과도 좋아진다.
도 3은 섀시(20)의 외관 사시도이다. 섀시(20)는, 기판(30)이 인접하여 종횡 2매씩 합계 4매 고정할 수 있는 정도의 치수를 갖는다. 섀시(20)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제이며, 발광 다이오드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는 방열판으로도 기능한다. 섀시(20)의 외주부 근방에는, 기판(30)의 커넥터(31)에 접속되는 배선을 수용하기 위한 홈(21)을 주위 형성하고 있고, 또한, 중심부를 가로 방향에도 배선을 수용하기 위한 홈(21)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기판(30)을 고정하는 고정면(22)에는, 기판(30)을 나사 고정하기 위한 나사 구멍(23)을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하고 있다. 또한, 홈(21)이 필요한 위치에 기판(30) 장착면측(발광면측)으로부터 조명 장치 본체(200)의 상면측(기판(30)과 반대측)에 배선을 통과시키기 위한 뚫린 구멍(24)을 형성하고 있다.
섀시(20)의 기판(30) 장착면측에 홈(21)을 형성함으로써, 배선에 의해 발광 다이오드(1, 2)로부터 발생되는 광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발광면에 배선에 의한 그림자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발광면이 불균일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섀시(20)에 기판(30)을 배치한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의 예에서는, 기판(30)을 4매 배치하는 예이지만, 기판(30)의 수나 배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기판(30)의 최외곽에 배치된 발광 다이오드(1, 2)의 세트는, 다른 기판(30)을 인접하여 배치한 경우, 최외곽의 세트끼리의 이격 치수가, 가로 방향(x 방향)이면 x가 되도록 하고 있고, 세로 방향(y 방향)이면 y가 되도록, 최외곽의 세트의 기판(30) 상의 위치, 기판(30)끼리의 이격 거리 등을 미리 결정하고 있다. 이에 의해, 기판(30)을 복수매 배치하여, 발광면을 넓게 하는 경우라도, 기판(30) 내의 세트의 이격 치수가, 기판(30)을 걸친 세트의 이격 치수와 동일한 치수로 할 수 있어, 넓은 발광면이더라도 발광면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4 중, 우측의 2매의 기판(30)의 배치는, 좌측의 2매의 기판(30)의 배치에 비하여 180도 회전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커넥터(31)의 위치를 발광면의 외주부에 설치할 수 있어, 전면 발광이 가능하게 됨과 함께, 4매의 동일한 기판(30)을 사용할 수 있어, 기판(30)을 공통화하여 비용 저감을 실현할 수 있다.
도 5는 조명 장치 본체(200)를 유지 금속 부재(10)로 유지한 상태를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또한, 설치 금속 부재(100)는, 천장이나 벽 등에 고정되어 있지만, 도 5에서는, 간략화를 위하여 천장 등을 생략하고 있다.
설치 금속 부재(100)는, 금속제를 평면에서 본 직사각 형상의 프레임이며, 외주부는 단면이 대략 역 ㄷ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다. 설치 금속 부재(100)의 중앙 부근에는, 전원선을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부(107)를 구비한 고정부(108)가 설치되어 있고, 고정부(108)를 천장이나 벽의 필요한 곳에 나사 고정함으로써 설치 금속 부재(100)를 천장 등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설치 금속 부재(100)는, 금속제가 아니어도 좋고, 필요한 유지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이라면, 합성 수지제 등 다른 재료를 사용하여도 좋다.
설치 금속 부재(100)의 긴 길이 측의 외주부에는, 조명 장치 본체(200)가 설치되는 방향을 향하여 직선 형상으로 세워 설치된 상승부(103, …)를 구비하고 있다. 상승부(103)의 일방측(설치 금속 부재(100)의 짧은 길이 측의 외주부에 가까운 쪽)에는, 필요한 치수의 삽입 관통 구멍(101)이 형성되어 있고, 삽입 관통 구멍(101)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승부(103)를 따라서 직선 형상(장축 형상)으로 형성되어, 삽입 관통 구멍(101)보다 폭 치수가 작은 가이드로서의 안내 구멍(102)을 형성하고 있다.
설치 금속 부재(100)의 짧은 길이 측의 외주부에는, 적정 길이가 이격된 직사각 형상의 개구부(106)를 형성하고 있다. 개구부(106)는, 도 5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막힌 구멍, 뚫린 구멍, 절결부 등이어도 좋다.
섀시(20)의 이면(기판(30) 장착면의 반대측, 발광면의 반대측)에는, 상술한 개구부(106)의 위치에 맞춘 위치에 단면 형상이 대략 S자 형상의 걸이부(26)를 설치하고 있다. 걸이부(26)의 선단부가 상술한 개구부(106)에 걸쳐짐으로써, 조명 장치 본체(200)는 설치 금속 부재(200)에 설치된다. 또한, 개구부(106)의 치수는, 걸이부(26)의 선단부보다도 크게 되어 있어, 걸이부(26)의 선단부를 개구부(106)에 걺으로써, 조명 장치 본체의 분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 장치 본체(200)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걸이부(26)의 선단부를 개구부(106)에 걺으로써, 조명 장치 본체(200)의 자중에 의해 조명 장치 본체(200)가 설치 금속 부재(100)에 설치된다. 또한, 조명 장치 본체(200)를 분리하는 경우에는, 조명 장치 본체(200)를 약간 들어올림으로써, 걸이부(26)의 선단부를 개구부(106)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설치 상태에서의 덜걱거림이나 조명 장치 본체가 잘못하여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로크 기구 등을 설치할 수도 있다.
유지 금속 부재(10)는, 금속제의 막대 형상을 이루고, 일단부측(11)은 섀시(20)에 느슨하게 장착하여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부측(11)을 걸이부(26)에 느슨하게 장착하여도 좋다. 일단부측(11)을 느슨하게 장착하는 곳은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유지 금속 부재(10)의 타단부측에는, 설치 금속 부재(100)의 삽입 관통 구멍(101)에 삽입 관통할 수 있는 걸림부(12)를 설치하고 있다. 걸림부(12)는, 예를 들어, 막대 형상의 단부를 소정의 직경으로 코일 형상으로 권회하여 형성할 수 있다. 걸림부(12)의 치수는 삽입 관통 구멍(101)보다 작고, 안내 구멍(102)의 폭 치수보다 크다. 또한, 유지 금속 부재(10)는, 금속제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한 강도를 갖는 것이라면 합성 수지 등의 다른 재료를 사용하여도 좋다.
유지 금속 부재(10)는, 섀시(20)에 느슨하게 장착된 일단부측(11)을 중심으로 하여, 섀시(20)의 길이 방향에 따른 상하 방향의 가상 평면 상에서 회동할 수 있다.
또한, 섀시(20)의 이면에는, 상용 전원 등의 외부 전원으로부터의 전원선을 접속하기 위한 단자대(70), 전원 유닛(60), 단자대(70)로부터 전원 유닛(60)까지의 배선(71), 전원 유닛(60)으로부터 기판(30)까지의 배선(72) 등의 배선에 필요한 부품을 설치하고 있다.
섀시(20)의 긴 길이 측의 외주부의 대략 중앙부에는, 커버(5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금속 부재(25, 25)를 설치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조명 장치 본체(200)의 배선 작업을 행하는 경우, 조명 장치 본체(200)에 느슨하게 장착된 유지 금속 부재(10)의 걸림부(12)를 설치 금속 부재(100)의 삽입 관통 구멍(101)에 삽입 관통하여 유지 금속 부재(10)를 설치 금속 부재(100)에 걸리게 함으로써 조명 장치 본체(200)를 설치 금속 부재(100)로부터 이격하여 유지한다. 또한, 유지 금속 부재(10)는 막대 형상이며 약간의 가요성을 가지므로, 걸림부(12)를 용이하게 삽입 관통 구멍(101)에 삽입 관통시킬 수 있다. 또한, 유지 금속 부재(10)는, 막대 형상을 이루고 있으므로, 설치 작업에 방해될 일도 없다. 또한, 조명 장치 본체(200)는, 발광 다이오드(1, 2) 등의 발광 소자가 다수 실장되어, 중량이 무거운 경우라도, 간편한 구조로 간단하게 조명 장치 본체(200)를 유지할 수 있어, 조명 장치 본체(200)의 설치 작업을 한 사람이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명 장치 본체(200)를 유지한 상태에서 배선 작업 등의 설치 작업이 종료된 경우, 조명 장치 본체(200)를 하측으로부터 천장에 고정된 설치 금속 부재(100) 쪽으로 밀어 올림으로써, 유지 금속 부재(10)의 걸림부(12) 측이 가이드로서의 안내 구멍(103)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하고, 조명 장치 본체(200)를 설치 금속 부재(100) 쪽으로 근접시킬 수 있다. 그리고, 조명 장치 본체(200)가 설치 금속 부재(100)에 설치된 상태에서, 유지 금속 부재(10)는 설치 금속 부재(100)와 조명 장치 본체(200) 사이에서 안내 구멍(103)을 따라서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조명 장치 본체(200)를 설치면에 설치했을 때에, 조명 장치 본체(200)와 설치 금속 부재(100) 사이에 유지 금속 부재(10)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갖고 있게 되어, 외부로부터 유지 부재가 보이지 않게 하여 외관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명 장치 본체(200)를 유지한 상태에서, 유지 금속 부재(10)와 가이드로서의 안내 구멍(103)(안내 구멍(103)의 장축)이 이루는 각도 θ가 90도보다 크다. 이에 의해, 조명 장치 본체(200)를 하측으로부터 천장에 고정된 설치 금속 부재(100) 쪽으로 밀어 올린 경우, 유지 금속 부재(10)를 안내 구멍(103)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여, 조명 장치 본체(200)를 하측으로부터 밀어 올리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유지 금속 부재(10)를 안내 구멍(103)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시켜, 유지 금속 부재(10)를 설치 금속 부재(100)와 조명 장치 본체(200) 사이에 수용할 수 있다.
도 6은 조명 장치 본체(200)를 설치 금속 부재(100)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상태에서는, 걸이부(26)의 선단부를 개구부(106)에 걺으로써, 조명 장치 본체(200)의 중량에 의해 조명 장치 본체(200)가 설치 금속 부재(100)에 설치된다. 또한, 걸림부(12)는, 안내 구멍(102)의 삽입 관통 구멍(101)과 반대 측으로 이동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가령 걸이부(26)의 선단부가 개구부(106)로부터 분리되었다고 해도, 유지 금속 부재(10)에 의해 조명 장치 본체(200)는 유지되므로, 천장으로부터 조명 장치 본체(200)가 잘못하여 낙하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명 장치 본체(200)를 천장면 등으로부터 이격하여 유지할 수 있으므로, 배선 작업에 필요한 부품을 섀시(20)의 이면측에 설치하여도 배선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기판(30) 장착면에는 배선용의 부품을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조명 장치의 평면 형상과 대략 동일한 크기의 전면 발광을 실현할 수 있어, 넓은 발광면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막대 형상의 유지 금속 부재(10)의 일단부측이 조명 장치 본체(200)에 설치되어 있고, 타단부측이 설치 금속 부재(100)에 걸리는 걸림부(12)를 구비하고, 설치 금속 부재(100)의 삽입 관통 구멍(101)에 삽입 관통시켜서 걸려 있고, 또한, 가이드로서의 안내 구멍(102)을 따라서 유지 금속 부재(10)를 미끄럼 이동시키는 구성이지만, 일단부와 타단부가 반대의 관계의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조명 장치 본체(200)는, 유지 금속 부재(10)가 느슨하게 장착된 섀시(20)와, 섀시(20)에 고정되어, 발광 소자가 실장된 기판(30)과, 기판(30)을 덮는 커버(50)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발광 소자가 실장된 발광면측에서의 설치 작업은 불필요해진다. 또한, 조명 장치 본체의 중량이 큰 경우라도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5의 예에서는, 전원 유닛(60)을 섀시(20)의 이면에 설치하는 구성이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천장 이면 등에 설치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특히 전원 유닛의 형상이 큰 경우에는, 외부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천장면으로부터 발광면까지의 간격을 짧게 할 수 있어 박형의 조명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유닛(60)을 소형화할 수 있으면, 섀시(20)의 이면에 고정하도록 해도 박형의 조명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단자대(70)를 섀시(20)의 이면에 설치하는 구성이었지만, 단자대(70)를 대신하여, 로제트(rosette)로 천장면에 배선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단자대(70)를 사용하는 구성에서도 로제트를 사용하는 구성에서도, 섀시(20)의 이면측(조명 장치 본체(200)의 상측)에 설치되므로, 전면 발광을 실현할 수 있다.
도 5의 예에서는, 유지 금속 부재(10)를 4개 설치하는 구성이었지만, 유지 금속 부재(10)의 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1개이어도 좋고, 혹은, 긴 길이 측의 외주부에 각각 1개씩 합계 2개를 설치하는 구성이어도 좋고, 짧은 길이 측의 외주부에 각각 1개씩 합계 2개를 설치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도 7은 전원 유닛(6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전원 유닛(60)은, 벽 스위치(도시하지 않음)의 온/오프 상태를 검지하기 위한 입력부(61), 리모콘(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의 신호(예를 들어, 적외선광 등)을 수신하는 수광부(62), 전원 유닛(60) 전체를 제어함과 함께 타이머 등을 내장한 CPU(63), 소정의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64), 정전류 회로 등을 구비하는 전원 회로(65, 66), PWM 제어에 의해 전구색의 발광 다이오드(LED)(1)에 필요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PWM 제어부(67), PWM 제어에 의해 고연색의 백색 발광 다이오드(LED)(2)에 필요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PWM 제어부(68) 등을 구비하고 있다.
색 온도 제어 수단은, CPU(63), PWM 제어부(67, 68)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61)와 수광부(62)는, 양쪽 모두 구비하는 구성이어도 좋고, 어느 한쪽 만을 구비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전원 회로(65, 66)는 1개로 통합하여도 좋다.
이어서, 전원 유닛(6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의 조명 장치의 조도와 광원의 색 온도와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9는 본 실시 형태의 조명 장치의 제어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축은 조명 장치에 의한 조명의 밝기의 일례인 조도이며, 종축은 발광면으로부터 얻어지는 광원(발광 다이오드(1, 2))의 색 온도를 나타냄과 함께, 발광 다이오드(1)(전구색의 LED), 발광 다이오드(2)(백색의 LED)에 인가하는 전압의 듀티비를 나타낸다. 도 8 중, A로 나타내는 그래프는, 조명 장치의 광원의 색 온도와 조도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명이 밝은 경우, 즉, 고조도측(조도가 E4보다 높은 경우)은, 발광 다이오드(1)(전구색의 LED), 발광 다이오드(2)(백색의 LED) 양자가 점등하고 있는 상태이다. 또한, 조명이 어두운 경우, 즉, 저조도측(조도가 E4보다 낮은 경우)은, 발광 다이오드(1)(전구색의 LED)만이 점등하고, 발광 다이오드(2)(백색의 LED)는 소등하고 있는 상태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명의 밝기(조도)는, 단계적으로 제어된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상태가 S1(전체 점등)에서는, 조도는 E1으로 가장 높고, 이 상태에서는, 발광 다이오드(1)(전구색의 LED), 발광 다이오드(2)(백색의 LED)에 인가하는 전압의 듀티비는 100%이다.
제어 상태가 S2에서는, 조도가 E2(<E1)이며, 발광 다이오드(1)(전구색의 LED)에 인가하는 전압의 듀티비는 100%이며, 발광 다이오드(2)(백색의 LED)에 인가하는 전압의 듀티비는 60%가 된다.
제어 상태가 S3에서는, 조도가 E3(<E2)이며, 발광 다이오드(1)(전구색의 LED)에 인가하는 전압의 듀티비는 100%이며, 발광 다이오드(2)(백색의 LED)에 인가하는 전압의 듀티비는 30%가 된다.
제어 상태가 S4에서는, 조도가 E4(<E3)이며, 발광 다이오드(1)(전구색의 LED)에 인가하는 전압의 듀티비는 100%이며, 발광 다이오드(2)(백색의 LED)에 인가하는 전압의 듀티비는 0%, 즉 소등이 된다.
제어 상태가 S5에서는, 조도가 E5(<E4)이며, 발광 다이오드(1)(전구색의 LED)에 인가하는 전압의 듀티비는 30%이며, 발광 다이오드(2)(백색의 LED)는 소등이다. 또한, 제어 상태 S6는 소등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색 온도 제어 수단으로서의 CPU(63), PWM 제어부(67, 68)는, 조명이 어두운 경우(예를 들어, 저조도 시)에는 발광 다이오드(1, 2)에 의한 광원의 색 온도를 저온도로 변화시키고, 조명이 밝은 경우(예를 들어, 고조도 시)에는 광원의 색 온도를 고온도로 변화시킨다. 예를 들어, 실내의 조도를 낮추어서 어둡게 했을 때에는, 전구색이 되도록 변화시키고, 실내의 조도를 높이고 싶은 경우에는, 고연색 백색이 되도록 변화시킴으로써, 시간대나 생활에 따라서 적절한 색 온도의 조명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조명이 밝은 경우, 밝기에 따라서 색 온도를 변화하도록 되어 있고, 조명이 어두운 경우, 소정의 색 온도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실내의 밝기를 어느 정도 밝게 하고 싶은 고조도측에서는, 조도가 높아질수록 색 온도를 높게 하고, 조도가 낮을수록 색 온도를 낮게 한다. 또한, 실내의 밝기를 어둡게 하고 싶은 저조도측에서는, 소정의 색 온도(예를 들어, 색 온도가 2800K, 전구색)로 한다. 이에 의해, 시간대나 생활에 따라서 적절한 색 온도의 조명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8의 예에서는, 소정의 색 온도로서 2800K을 사용하고 있지만, 색 온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조명이 밝은 경우(예를 들어, 고조도측), 전구색의 발광 다이오드(1)에 소정의 듀티비(예를 들어, 100%)의 전압을 인가하도록 되어 있고, 고연색의 백색 발광 다이오드(2)에 밝기에 따른 듀티비(100 내지 0%)의 전압을 인가한다. 이에 의해, 조명이 밝은 경우, 조명 장치로서의 색 온도를 조도에 따라서 변화시킬 수 있어, 시간대나 생활에 따라서 적절한 색 온도의 조명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조명이 어두운 경우(예를 들어, 저조도측), 전구색의 발광 다이오드(1)에 밝기에 따른 듀티비(100 내지 0%)의 전압을 인가하여, 고연색의 백색 발광 다이오드(2)를 소등한다. 이에 의해, 조명이 어두운 경우, 조명 장치로서의 색 온도를 일정하게 하면서 조도를 낮출 수 있어, 시간대나 생활에 따라서 적절한 색 온도의 조명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은 리모콘에는, 「전체 점등」, 「순차 조작」, 「소등」, 「조도 증가 조정」, 「조도 감소 조정」 등의 조작 버튼을 설치해 두고, 예를 들어, 「순차 조작」의 조작을 행할 때마다, 제어 상태가 S1부터 S5까지의 사이를 순서대로 천이한다. 또한, 「조도 증가 조정」의 조작을 행한 경우에는, 발광 다이오드(1, 2)에 인가하는 전압의 듀티비를 소정값만큼 증가시켜, 「조도 감소 조정」의 조작을 행한 경우에는, 발광 다이오드(1, 2)에 인가하는 전압의 듀티비를 소정값만큼 감소시킨다. 이에 의해, 조명의 밝기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은 벽 스위치의 온/오프 조작을 행함으로써, 제어 상태를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벽 스위치를 오프로 한 후, 2초 이하로 온으로 한 경우, 제어 상태가 S1부터 S5까지의 사이를 순서대로 천이한다. 또한, 시간 경과는, CPU(63)에 내장된 타이머에 의해 계시할 수 있다. 또한, 2초는 일례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벽 스위치를 오프로 하여 2초 경과 후에 온으로 한 경우에는, 전체 점등(S1) 상태로 점등시킨다. 또한, 최근에 점등하고 있던 상태에서 점등시킬 수도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실시 형태의 조명 장치의 리모콘을 사용한 경우의 처리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CPU(63)는, 제어 상태 등의 정보의 초기 설정 등을 실시하는 초기화를 행하고(S11), 리모콘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S12), 리모콘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있지 않은 경우(S12에서 "아니오"), 스텝 S12의 처리를 계속한다.
리모콘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경우(S12에서 "예"), CPU(63)는 전체 점등 조작인지 여부를 판정하여(S13), 전체 점등 조작인 경우(S13에서 "예"), 제어 상태를 전체 점등으로 하여(S14), 제어 상태에 따라서 LED를 구동한다(S15).
전체 점등 조작이 아닌 경우(S13에서 "아니오"), CPU(63)는, 순차 조작인지 여부를 판정하여(S16), 순차 조작인 경우(S16에서 "예"), 제어 상태를 다음 상태로 천이하여(S17), 스텝 S15의 처리를 행한다.
순차 조작이 아닌 경우(S16에서 "아니오"), CPU(63)는, 조도 증가 조정 조작인지 여부를 판정하여(S18), 조도 증가 조정 조작인 경우(S18에서 "예"), LED(백색)의 듀티비가 0%인지 여부를 판정한다(S19). LED(백색)의 듀티비가 0%인 경우(S19에서 "예"), CPU(63)는, LED(전구색)의 듀티비를 소정값만큼 증가시켜(S20), 스텝 S15의 처리를 행한다. LED(백색)의 듀티비가 0%가 아닌 경우(S19에서 "아니오"), CPU(63)는, LED(백색)의 듀티비를 소정값만큼 증가시켜(S21), 스텝 S15의 처리를 행한다.
조도 증가 조정 조작이 아닌 경우(S18에서 "아니오"), CPU(63)는, 조도 감소 조정 조작인지 여부를 판정하여(S22), 조도 감소 조정 조작인 경우(S22에서 "예"), LED(백색)의 듀티비가 0% 인지 여부를 판정한다(S23). LED(백색)의 듀티비가 0%인 경우(S23에서 "예"), CPU(63)는, LED(전구색)의 듀티비를 소정값만큼 감소시켜(S24), 스텝 S15의 처리를 행한다. LED(백색)의 듀티비가 0%가 아닌 경우(S23에서 "아니오"), CPU(63)는, LED(백색)의 듀티비를 소정값만큼 감소시켜(S25), 스텝 S15의 처리를 행한다.
조도 감소 조정 조작이 아닌 경우(S22에서 "아니오"), CPU(63)는, 소등 조작인지 여부를 판정하여(S26), 소등 조작이 아닌 경우(S26에서 "아니오"), 스텝 S12 이후의 처리를 계속한다. 소등 조작인 경우(S26에서 "예"), CPU(63)는, LED를 소등하여(S27),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스텝 S27에서 LED를 소등한 후, 처리를 종료시키지 않고, 다시 스텝 S12으로 복귀하도록 하여, 리모콘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스텝 S12의 처리를 계속시켜도 좋다.
도 12는 본 실시 형태의 조명 장치의 벽 스위치를 사용한 경우의 처리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CPU(63)는, 제어 상태 등의 정보의 초기 설정 등을 실시하는 초기화를 행하고(S41), 벽 스위치의 온 조작의 유무를 판정하여(S42), 온 조작이 없는 경우(S42에서 "아니오"), 스텝 S42의 처리를 계속한다.
벽 스위치의 온 조작이 있었던 경우(S42에서 "예"), CPU(63)는, 최근의 오프 조작으로부터 2초 이상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여(S43), 2초 이상 경과한 경우(S43에서 "예"), 제어 상태에 따라서 LED를 구동한다(S44).
최근의 오프 조작으로부터 2초 이상 경과 하지 않은 경우(S43에서 "아니오"), CPU(63)는, 제어 상태를 다음 상태로 천이하여(S45), 스텝 S44의 처리를 행한다. CPU(63)는, 벽 스위치의 오프 조작의 유무를 판정하여(S46), 오프 조작이 없는 경우(S46에서 "아니오"), 스텝 S46의 처리를 계속한다.
벽 스위치의 오프 조작이 있었던 경우(S46에서 "예"), CPU(63)는, LED를 소등하여(S47), 오프 조작으로부터 2초 이내에 온 조작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S48), 2초 이내에 온 조작이 있었던 경우(S48에서 "예"), 스텝 S45 이후의 처리를 계속한다. 오프 조작으로부터 2초 이내에 온 조작이 없었던 경우(S48에서 "아니오"), CPU(63)는, 제어 상태를 전체 점등으로 설정하여(S49),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스텝 S49에서 제어 상태를 전체 점등으로 설정한 후, 처리를 종료시키지 않고, 다시 스텝 S42로 복귀하도록 하여, 벽 스위치 온 조작이 있을 때 까지, 스텝 S42의 처리를 계속시켜도 좋다.
도 8의 예에서는, 조명의 밝기에 따라서 LED에 인가하는 전압의 듀티비를 단계적으로 변화시켰지만, 광원의 색 온도의 제어 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3은 본 실시 형태의 조명 장치의 조도와 광원의 색 온도와의 관계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축은 조명 장치에 의한 조명의 밝기의 일례인 조도이며, 종축은 발광면으로부터 얻어지는 광원(발광 다이오드(1, 2))의 색 온도를 나타냄과 함께, 발광 다이오드(1)(전구색의 LED), 발광 다이오드(2)(백색의 LED)에 인가하는 전압의 듀티비를 나타낸다. 도 13 중, A로 나타내는 그래프는, 조명 장치의 광원의 색 온도와 조도와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8과의 차이점은, 조명의 밝기에 따라서 LED에 인가하는 전압의 듀티비를 단계적이지 않고, 리니어하게 변화시킨 점이다.
<실시 형태 2>
상술한 실시 형태 1에서는, 조명 장치를 평면에서 본 형상이 직사각 형상이었지만, 직사각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원 형상이어도 좋다. 이 경우, 섀시(20)는 원 형상을 이루고, 설치 금속 부재(100)의 길이 방향의 치수는, 원 형상의 섀시(20)의 직경과 동일한 정도의 치수가 된다. 설치 금속 부재(100)의 구조나 유지 금속 부재(10)의 구성은 상술한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도 14는 실시 형태 2의 기판(30)의 평면도이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30)은 4분의 1 원 형상을 이루고, 4매의 기판(30)을 인접하여 배치함으로써, 원 형상의 발광면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색 온도가 상이한 발광 소자로서의 발광 다이오드(1, 2)를 이격 거리 d(예를 들어, 0.5mm, 1mm 등)로 인접하여 배치한 세트를, 가로 방향(x 방향)으로 이격 치수 x로, 세로 방향(y 방향)으로 이격 치수 y로, 격자 형상으로 복수 배치하고 있다. 이 경우, 1개의 세트를 구성하는 발광 다이오드(1)와 발광 다이오드(2)의 이격 치수 d는, 세트의 이격 치수 x, y(예를 들어, 10mm, 20mm 정도)에 비하여 짧게 되어 있다. 반대로 말하면, 1개의 세트를 구성하는 발광 다이오드(1)와 발광 다이오드(2)의 이격 치수 d보다도 세트의 이격 치수 x, y를 길게 하고 있다. 이 경우, x와 y는 동일한 치수이어도 좋고, 혹은 다른 치수이어도 좋다. 또한, 도 2의 예에서는, 각 세트를 연결하는 직선이 90도가 되도록 각 세트를 배치하고 있지만, 90도가 아닌 격자 형상의 배치이어도 좋다. 이에 의해, 발광면이 임의의 형상이더라도, 균일하게 발광하는 발광면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x와 y가 동일한 치수가 되도록 하여, 세트를 등간격으로 배치함으로써, 보다 균일하게 발광하는 발광면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세트를 방사형으로 배치하여도 좋다. 이에 의해, 발광면이 원 형상이더라도 균일한 발광면을 실현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도 15는 실시 형태 3의 기판(30)의 평면도이다. 실시 형태 1과의 차이점은, 각 세트의 색 온도가 상이한 발광 소자로서의 발광 다이오드(1, 2)를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한 점이다. 즉,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30)을 배치하여 본 경우에, 좌측 상단의 세트는, 상측이 발광 다이오드(1)이며, 하측이 발광 다이오드(2)이다. 그리고, 우측에서 인접하는 세트에서는, 상측이 발광 다이오드(2)이며, 하측이 발광 다이오드(1)이다. 마찬가지로, 가로 방향, 세로 방향에 인접하는 세트의 발광 다이오드(1, 2)의 배치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 세트를 구성하는 발광 다이오드(1, 2)가 인접함으로써, 서로의 발광 다이오드의 패키지에 의해 발광 부분이 그림자가 되고, 발광면을 경사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그 방향에 따라서는 광색이 미묘하게 상이하게 보이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즉, 발광면을 어느 방향으로부터 보아도 균일한 발광색을 얻을 수 있고, 발광색의 지향성이 생기지 않는다.
1, 2: 발광 다이오드
10: 유지 금속 부재
12: 걸림부
20: 섀시
21: 홈
26: 걸이부
30: 기판
31: 커넥터
32: 배선
40: 반사판
50: 커버
60: 전원 유닛
61: 입력부
62: 수광부
63: CPU
64: 메모리
65, 66: 전원 회로
67, 68: PWM 제어부
100: 설치 금속 부재
101: 삽입 관통 구멍
102: 안내 구멍
103: 상승부
106: 개구부

Claims (6)

  1. 천장 등의 설치면에 설치되는 설치용 부재와, 상기 설치용 부재를 통해 상기 설치면에 설치되고, 광원을 갖는 조명 장치 본체를 구비하는 조명 장치로서,
    상기 설치면과 상기 조명 장치 본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조명 장치 본체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 본체를 상기 설치면에 설치한 경우, 상기 조명 장치 본체와 상기 설치용 부재 사이에 상기 유지 부재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는 막대 형상을 이루고,
    일단부측은 상기 조명 장치 본체에 설치되어 있고,
    타단부측은 상기 설치용 부재에 걸리는 걸림부(lock section)를 구비하고,
    상기 설치용 부재는,
    상기 유지 부재를 걸기 위하여 상기 걸림부를 삽입 관통하는 삽입 관통 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용 부재는,
    상기 삽입 관통 구멍으로부터 연장 설치된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가이드를 따라서 미끄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 본체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유지 부재와 상기 가이드가 이루는 각도가 90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 본체는,
    상기 유지 부재가 설치된 섀시와,
    상기 섀시에 설치되고 발광 소자로 이루어지는 발광면과,
    상기 발광면을 덮는 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KR1020117014674A 2008-11-25 2009-11-02 조명 장치 KR1012449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99718 2008-11-25
JP2008299718A JP4757294B2 (ja) 2008-11-25 2008-11-25 照明装置
PCT/JP2009/005825 WO2010061531A1 (ja) 2008-11-25 2009-11-02 照明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7905A true KR20110097905A (ko) 2011-08-31
KR101244955B1 KR101244955B1 (ko) 2013-03-18

Family

ID=42225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4674A KR101244955B1 (ko) 2008-11-25 2009-11-02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444286B2 (ko)
EP (1) EP2360431A4 (ko)
JP (1) JP4757294B2 (ko)
KR (1) KR101244955B1 (ko)
CN (1) CN102216681B (ko)
WO (1) WO2010061531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168B1 (ko) * 2016-03-25 2016-11-08 김종원 무타공 부착등 어셈블리
KR20180079549A (ko) * 2016-12-30 2018-07-11 (주)서전라이팅 조명등 장착장치 및 그를 이용한 조명등
KR20200045816A (ko) * 2018-10-23 2020-05-06 박병기 엣지형 조명등
KR102144794B1 (ko) * 2019-10-15 2020-08-14 엘이디라이팅 주식회사 승강형 조명등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92448B2 (en) 2010-09-24 2012-10-23 Lg Innotek Co., Ltd. Flat lighting assembly apparatus including flat lighting module
JP2012124011A (ja) * 2010-12-08 2012-06-28 Dime Engineering:Kk 照明部品、及びこの照明部品を備えた照明装置
JP5640751B2 (ja) * 2011-01-11 2014-12-17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照明器具
KR101321306B1 (ko) 2011-01-11 2013-10-28 도시바 라이텍쿠 가부시키가이샤 조명기구
KR101092541B1 (ko) 2011-02-24 2011-12-14 태원전기산업 주식회사 매립용 led 조명기구
KR101187833B1 (ko) * 2011-03-11 2012-10-08 나노엘이디(주) 슬라이드 체결형 엘이디 조명장치
US8686661B2 (en) 2011-07-26 2014-04-01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LED dimming method and LED dimming system
CN102280088A (zh) * 2011-07-26 2011-12-14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led调光的方法及led调光系统
JP5884027B2 (ja) * 2011-08-30 2016-03-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照明装置
JP5828079B2 (ja) * 2011-08-30 2015-12-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照明装置及び照明システム
EP2813749A4 (en) * 2012-02-06 2015-08-05 Yoshinao IRII LIGHTING SYSTEM
JP2013182732A (ja) * 2012-02-29 2013-09-12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照明器具
US9062838B1 (en) * 2012-10-26 2015-06-23 Jack K. Merrill, Jr. Downwardly-extending light fixture
JP2014154300A (ja) * 2013-02-07 2014-08-25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発光モジュール、直管形ランプおよび照明装置
CN105265022B (zh) * 2013-06-10 2018-04-06 飞利浦灯具控股公司 具有自适应天花板亮度分布的嵌入式照明天花板瓦片
JP2015022934A (ja) * 2013-07-19 2015-02-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発光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装置
CN203258532U (zh) * 2013-08-16 2013-10-30 欧普照明电器(中山)有限公司 一种灯具
JP1525466S (ko) * 2014-05-30 2015-06-08
JP1525467S (ko) * 2014-05-30 2015-06-08
JP6817688B2 (ja) * 2015-02-24 2021-01-20 三菱電機株式会社 光源ユニット、照明器具及び照明装置
KR200479344Y1 (ko) * 2015-03-19 2016-01-21 서성완 엘이디 조명장치
DE102016104465A1 (de) * 2016-03-11 2017-09-14 Trilux Gmbh & Co. Kg Flachleuchte
JP6419754B2 (ja) * 2016-06-22 2018-11-07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照明装置
US9835307B1 (en) * 2016-08-17 2017-12-05 The LED Source, Inc. Retrofit LED light panel
KR101881649B1 (ko) * 2016-09-26 2018-07-24 송인실 조립형 실내등
JP6241563B2 (ja) * 2017-07-07 2017-12-06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照明器具
FR3071902B1 (fr) * 2017-09-29 2020-02-14 Daniel Le Bon Plafonnier ou applique murale multi eclairage d'ambiance
CN109556061A (zh) * 2018-12-21 2019-04-02 苏州爱华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流线型led灯幕
WO2020245029A1 (en) * 2019-06-03 2020-12-10 Signify Holding B.V. Luminaire, suspension means and methods for suspending, respectively demounting a luminaire
JP2022003651A (ja) * 2019-10-15 2022-01-11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照明器具
JP7036965B2 (ja) * 2021-03-04 2022-03-15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照明装置
US11624483B2 (en) * 2021-08-12 2023-04-11 William Paylor Decorative lighting panel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95969A (en) * 1984-08-29 1986-06-17 Scientific Component Systems, Inc. Lamp mounting apparatus and method
JPH0527765Y2 (ko) * 1986-07-25 1993-07-15
JPH02123609A (ja) * 1988-10-31 1990-05-11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昇降形照明装置
US5261645A (en) * 1989-07-31 1993-11-16 Huffman Charles E Projector ceiling lift
JPH0574218A (ja) 1991-09-10 1993-03-26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天井直付型照明器具
JPH0617034U (ja) * 1992-08-06 1994-03-04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天井取付型照明器具
JP3042306B2 (ja) 1994-07-13 2000-05-15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照明器具
JPH09231829A (ja) * 1996-02-20 1997-09-05 Meitetsu Sumisho Kogyo Kk ライト昇降用金具
US5758959A (en) * 1996-05-17 1998-06-02 Progress Lighting, Inc. Recessed lamp fixture
JPH11134927A (ja) * 1997-10-30 1999-05-2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照明器具
JP2000100235A (ja) * 1998-09-25 2000-04-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照明器具
AU7583400A (en) * 1999-09-17 2001-04-17 Brightline, L.P. Adjustable fluorescent lighting fixtures
US6464190B1 (en) * 1999-11-10 2002-10-15 Aramaki Technica Co., Ltd. Self-winding-type fixture-lifting/lowering device
JP2004008042A (ja) * 2002-06-05 2004-01-15 Hiroshi Sato 観賞魚用水槽照明架台
JP2004171900A (ja) * 2002-11-19 2004-06-17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照明器具昇降装置、照明装置
JP4244688B2 (ja) * 2003-04-22 2009-03-25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照明器具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168B1 (ko) * 2016-03-25 2016-11-08 김종원 무타공 부착등 어셈블리
KR20180079549A (ko) * 2016-12-30 2018-07-11 (주)서전라이팅 조명등 장착장치 및 그를 이용한 조명등
KR20200045816A (ko) * 2018-10-23 2020-05-06 박병기 엣지형 조명등
KR102144794B1 (ko) * 2019-10-15 2020-08-14 엘이디라이팅 주식회사 승강형 조명등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757294B2 (ja) 2011-08-24
WO2010061531A1 (ja) 2010-06-03
CN102216681B (zh) 2014-07-16
US20120026743A1 (en) 2012-02-02
US8444286B2 (en) 2013-05-21
EP2360431A4 (en) 2015-03-18
KR101244955B1 (ko) 2013-03-18
EP2360431A1 (en) 2011-08-24
JP2010129212A (ja) 2010-06-10
CN102216681A (zh) 201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4955B1 (ko) 조명 장치
US10982821B2 (en) Downlight with selectable lumens and correlated color temperature
JP5178475B2 (ja) 照明装置
JP6443507B2 (ja) 照明器具
JP5794473B2 (ja) 照明装置
EP2388642A2 (en) Luminaire
TW201312041A (zh) 發光裝置以及照明裝置
JP6041167B2 (ja) 照明装置
KR20140120088A (ko) 천장직착식 led조명등기구
KR20210002234A (ko) 수명을 늘린 일체형 led 조명장치
KR100888955B1 (ko) Led 매입등
JP2004214036A (ja) 遠隔制御可能な可変色発光体
CN210485472U (zh) Led灯具
KR101654688B1 (ko) 온보드 플랫형 제어 회로부를 갖는 엣지형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
KR101520225B1 (ko) 엘이디 조명등의 전선 접속장치
KR101616818B1 (ko) 엘이디 조명 타일 및 그 조립체
JP2019009056A (ja) 照明装置
KR200439054Y1 (ko) 고내등
KR101281620B1 (ko) 매립형 엘이디 조명등
KR100950851B1 (ko) 삼색 엘이디 조명등
KR100888953B1 (ko) Led 난간등
JP2013118150A (ja) 照明装置
KR20080002606U (ko) 조명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