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234A - 수명을 늘린 일체형 led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수명을 늘린 일체형 led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234A
KR20210002234A KR1020190077608A KR20190077608A KR20210002234A KR 20210002234 A KR20210002234 A KR 20210002234A KR 1020190077608 A KR1020190077608 A KR 1020190077608A KR 20190077608 A KR20190077608 A KR 20190077608A KR 20210002234 A KR20210002234 A KR 20210002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led light
led
power supply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7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인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우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우아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우아이티
Priority to KR1020190077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2234A/ko
Publication of KR20210002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2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21V21/041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 F21V21/042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 F21V21/044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with elastically deformable elements, e.g. spring tongues
    • F21V21/045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with elastically deformable elements, e.g. spring tongues being tensioned by translation of parts, e.g. by pushing or pu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2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AC powered loads
    • H02J9/06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AC powered loads for lighting purpos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명을 늘린 일체형 LED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면 일측에 상기 설치대상영역에 끼움결합되는 걸이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저면 일측에 고정설치되고, 하방으로 빛을 출사하는 LED광원과, 상기 본체 일측에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전력을 인가받고 상기 LED광원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와, 상기 본체의 저면 일측에 상기 LED광원을 차폐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LED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이 투과되는 광투과성 재질의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명을 늘린 일체형 LED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LED광원을 본체에 일체로 고정설치하고, 본체의 상부에 걸이부를 형성한 상태에서 본체를 기존 형광등 등기구가 설치영역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터널 또는 지하도와 같이 진동이 발생되는 장소에 설치되더라도 본체와 LED광원의 결합력이 유지되도록 하여 LED광원을 파손 또는 고장율을 현저하게 저하시킬 수 있으면서 그 수명을 현저하게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명을 늘린 일체형 LED 조명장치{Integrated LED lighting system with longer life}
본 발명은 수명을 늘린 일체형 LED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LED광원을 본체에 일체로 고정설치하고, 본체의 상부에 걸이부를 형성한 상태에서 본체를 기존 형광등 등기구 설치영역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터널 또는 지하도와 같이 진동이 발생되는 장소에 설치되더라도 본체와 LED광원의 결합력이 유지되도록 하여 LED광원을 파손 또는 고장율을 현저하게 저하시킬 수 있으면서 그 수명을 현저하게 증대시킬 수 있는 수명을 늘린 일체형 LED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기구는 사무실, 공장, 지하도등 기타 장소에 광범위하게 적용되어 광원의 빛을 반사, 굴절, 투과시켜 주변공간을 조명하는 것으로서, 내부에 안정기를 부착하고 안정기에서 형광등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여 형광등에서 빛을 출사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형광등을 이용한 등기구는 주파수가 60Hz를 사용하여 구동되는 것으로 형광등의 빛이 1초에 60회의 깜빡거림으로 인하여 장시간 사용시 사용자의 눈에 피로감이 누적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 아니라 자체의 발열로 인해 주변온도를 상승시킴에 따라 높은 전력손실을 초래하였고 과열시 등기구가 파손되면서 사용 수명이 현저하게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력소모를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으면서도 수명이 긴 LED(Light emitted diode: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등기구에 대한 연구 및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최근에 형광등의 외형구성인 G13베이스를 이용한 형광등형 LED램프를 개발하여 이를 기존 형광등 등기구에 사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진 바 있으나, 안정성 시험단계에서 감전 및 화재등과 같은 안정성에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은 이유로 당업계에서는 G13베이스를 이용하지 않는 LED등기구를 개발하고자 하는 노력이 이어지면서 별도의 등기구에 LED를 설치한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에 개발된 일반적인 종래의 LED등기구는 벽 또는 천정에 고정설치되는 등기구와, 다수개의 LED소자가 저면으로 돌출되고 등기구 내부 일측에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되는 LED모듈 및 LED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도광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LED등기구는 G13베이스를 이용하지 않아 안정성이 향상되면서도 LED을 이용함으로써 전력소모를 절감할 수 있고, 사용수명이 증대된 효과가 발생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LED등기구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등기구 일측에 LED모듈을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지하도 또는 터널과 같은 장소에 설치되는 경우 주행하는 차량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으로 인하여 LED모듈과 등기구의 결합력이 현저하게 저하되면서 LED모듈이 파손되거나 고장율이 현저하게 증대될 뿐 아니라 이로 인해 LED교체비용이 현저하게 증대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종래의 LED등기구는 LED로부터 출사된 빛을 확산하기 위해 도광판을 이용함으로써 도광판의 크기에 따라 등기구의 크기가 대형화될 뿐 아니라 LED로부터 출사된 빛이 도광판을 통과하면서 조명효율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LED광원을 본체에 일체로 고정설치하고, 본체의 상부에 걸이부를 형성한 상태에서 본체를 기존 형광등 등기구가 설치영역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터널 또는 지하도와 같이 진동이 발생되는 장소에 설치되더라도 본체와 LED광원의 결합력이 유지되도록 하여 LED광원을 파손 또는 고장율을 현저하게 저하시킬 수 있으면서도 그 수명을 현저하게 증대시킬 수 있는 수명을 늘린 일체형 LED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체 일측에 고정날개부를 결합하고, 본체에 결합된 고정날개부를 설치대상영역에 고정설치함으로써 본체를 설치대상영역에 보다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수명을 늘린 일체형 LED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체 일측에 색광을 출사하는 무드광원을 설치하고, 전원공급부로부터 LED광원 또는 무드광원으로 공급되는 전력의 양을 조절하는 밝기조절부를 설치함으로써 주변공간을 새로운 분위기로 연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LED광원 또는 무드광원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는 LED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아울러, LED광원에 결합되는 확산렌즈를 설치함으로써 LED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의 양을 증대시킬 수 있을뿐 아니라 기존의 도광판을 생략함으로써 본체의 크기를 소형화시킬 수 있는 수명을 늘린 일체형 LED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전원공급부로 인가되는 전력을 일부 축척한 후 정전시 축척된 전력을 LED광원 또는 무드광원으로 공급하는 보조전원부를 더 설치함으로써 정전시에도 주변공간을 조명할 수 있는 수명을 늘린 일체형 LED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건축물 실내 중 설치대상영역에 형성된 홈에 설치되어 건축물의 실내를 조명하는 수명을 늘린 일체형 LED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홈에 삽입설치되고, 상면 일측에 상기 설치대상영역에 끼움결합되는 걸이구가 형성되며, 내부 일측으로부터 돌출형성되고 상호 대향하는 한쌍의 전력공급부 장착부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저면 일측에 고정설치되고, 하방으로 빛을 출사하는 LED광원과, 상기 한쌍의 전력공급부 장착부에 끼움결합되고, 외부로부터 전력을 인가받아 상기 LED광원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와, 반구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저면 일측에 상기 LED광원을 차폐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LED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이 투과되는 광투과성 재질의 커버부재 및 일측이 상기 본체의 양측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설치대상영역에 고정결합되는 고정날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상면이 상기 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면 중앙에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명을 늘린 일체형 LED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저면 중 상기 LED광원이 설치되지 않은 일측에 설치되어 하방으로 색광을 출사하는 무드광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전력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력공급부로부터 상기 LED광원 또는 상기 무드광원으로 전달되는 전류값을 조절하고, 상기 LED광원 또는 상기 무드광원의 밝기를 조절하는 밝기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력공급부는 외부로부터 전력이 인가되는 경우 인가되는 전력의 일부를 축척하고,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력이 차단되는 경우 축척된 전력을 상기 LED광원으로 공급하는 보조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LED광원이 결합되고, 일측에 상기 LED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확산하는 확산부가 형성된 확산렌즈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LED광원은 저면에 회로패턴이 형성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의 저면에 복수개가 실장되는 LED 및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 일측에 후크결합되는 후크부를 포함하되, 상기 후크부는 상기 기판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상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상단부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형성되고, 하부에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된 걸림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LED광원을 본체에 일체로 고정설치하고, 본체의 상부에 걸이부를 형성한 상태에서 본체를 기존 형광등 등기구가 설치영역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터널 또는 지하도와 같이 진동이 발생되는 장소에 설치되더라도 본체와 LED광원의 결합력이 유지되도록 하여 LED광원을 파손 또는 고장율을 현저하게 저하시킬 수 있으면서도 그 수명을 현저하게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체 일측에 고정날개부를 결합하고, 본체에 결합된 고정날개부를 설치대상영역에 고정설치함으로써 본체를 설치대상영역에 보다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 일측에 색광을 출사하는 무드광원을 설치하고, 전원공급부로부터 LED광원 또는 무드광원으로 공급되는 전력의 양을 조절하는 밝기조절부를 설치함으로써 주변공간을 새로운 분위기로 연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LED광원 또는 무드광원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LED광원에 결합되는 확산렌즈를 설치함으로써 LED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의 양을 증대시킬 수 있을뿐 아니라 기존의 도광판을 생략함으로써 본체의 크기를 소형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전원공급부로 인가되는 전력을 일부 축척한 후 정전시 축척된 전력을 LED광원 또는 무드광원으로 공급하는 보조전원부를 더 설치함으로써 정전시에도 주변공간을 조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명을 늘린 일체형 LED 조명장치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명을 늘린 일체형 LED 조명장치의 분해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명을 늘린 일체형 LED 조명장치의 단면도,
도4 내지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 일체형 LED부 조명장치의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 일체형 LED부 조명장치의 단면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명을 늘린 일체형 LED 조명장치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명을 늘린 일체형 LED 조명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명을 늘린 일체형 LED 조명장치의 단면도이다.
도1 내지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명을 늘린 일체형 LED 조명장치(1)는 본체(10)와, LED(Light emitted diode:발광다이오드)광원(20)과, 무드광원(30)과, 전력공급부(40)와, 커버부재(50)와, 확산렌즈(60) 및 밝기조절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0)는 상면이 기존 형광등 등기구가 설치되는 천장(200)의 설치홈(21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면 양측부에 각각 후술하는 LED광원(20)이 삽입결합되는 삽입부(11)가 형성되며, 하면 중앙에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부(16)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기존 형광등 등기구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10)는 상면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형성되는 걸림부(12)가 형성되는데, 걸림부(12)는 천장(200)의 설치홈(210)에 형성되는 걸림돌기(220)와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단부가 외측으로 절곡형성되어 본체(10)가 천장(200)의 설치홈(210)에 설치되는 경우 천장(200)의 걸림돌기(220)와 결합된다.
또한, 본체(10)는 양측부에 한쌍의 고정날개부(14)를 고정결합하고, 결합된 고정날개부(14)의 일측을 천정(200)일측에 고정설치함으로써 천정과의 결합력을 보다 향상시킴과 아울러 미관이 향상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체(10)는 내부에 설치되는 구성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미감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양단부에 각각 마감재(15)를 결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체(10)는 등기구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룰 뿐 아니라 후술하는 LED광원(20) 및 전력공급부(40)등 각 구성이 설치되는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체(10)는 내부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한쌍의 전력공급부 장착부(17)가 상호 대향되게 돌출형성되어 전력공급부(4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전력공급부 장착부(17)에 전력공급부(40)를 끼움결합하는 이유는 전력공급부(40)를 견고하게 고정하면서도 전력공급부(40)의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LED광원(20)은 회로패턴이 형성되고 본체(10)의 삽입부(11)에 끼움결합되는 회로기판(21)과, 회로기판(21)에 설치되는 다수의 LED부(22)(Light emitted diode)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본체(10)의 하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LED부(22)는 백색의 광을 조사하는 단일의 백색LED를 사용할 수 있으나, 3종류의 LED, 즉 적색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적색LED와, 녹색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녹색LED와, 청색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청색LED를 포함하고 회로기판(21)의 상면에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건축물 실내를 조명하기 위해 앞서 설명한 적색LED와 녹색LED 및 청색LED의 광이 혼합되어 백색의 광이 출사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10)의 저면 중 한쌍의 LED광원(20) 사이에 무드광원(30)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무드광원(30)은 LED광원(20)과 같이 본체(10)의 저면에 설치되는 회로기판(21)과 다수의 LED부(22)(Light emitted diode)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LED부(22)는 적색, 녹색, 청색의 LED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무드광원(30)은 LED광원(20)과는 달리 적색, 녹색, 청색의 광을 모두 혼합하여 백색의 광을 내보내는 것이 아니라 적색, 녹색, 청색의 광을 각각 단일로 출사하거나 적절하게 혼합하여 색광을 출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력공급부(40)는 회로패턴이 형성된 판상의 인쇄회로기판(PCB:printed circuit board)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10)에 형성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인가받고, 인가된 전력을 LED광원(20) 및 무드광원(30)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러한 전력공급부(40)는 일측에 보조전원부(41)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전원부(41)는 외부로부터 전력공급부(40)로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 이 중 일부를 축척한 후 동작 중 전력공급부(40)로 전력이 차단되는 경우 축척된 전력을 LED광원(20) 및 무드광원(30)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보조전원부(41)를 설치함으로써 정전되는 경우와 같이 외부로부터 전력이 인가되지 않더라도 축척된 전력을 사용하여 LED광원(20) 및 무드광원(30)에 전력을 공급하여 실내를 조명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한편, 상기한 전력공급부(40)는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방식으로 제어가 이루어 질 수 있는데, 여기서 SMPS 전력공급방식은 입력(input)단과 출력(output)단이 같은 접지를 공유하는 회로에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일정한 주기로 스위칭하는(on/off를 반복하는)스위칭 소자를 이용하여 스위치가 온(on)되어 있는 동안 입력전원이 회로에 연결되고 오프(off)되어 있는 동안은 끊어지게 되는데, 이와 같이 주기적으로 연결되었다 끊어졌다하는 펄스모양의 전압을 LC필터(미도시)를 통해 평활시켜 직류전압을 출력한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SMPS 전원공급방식은 효율이 좋고 높은 신뢰성을 가지며, 특히, 리플(Ripple)과 노이즈(Noise)가 낮고 과전류 보호기능이 우수하다.
커버부재(50)는 광을 투과할 수 있는 재질로 대략 반구형상으로 형성되며, LED광원(20)을 차폐하도록 본체(10)의 저면 일측에 설치되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LED광원(2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확산렌즈(60)는 LED광원(20)이 삽입되는 삽입홈(61a)이 형성되어 삽입홈(61a)에 LED광원(20)이 삽입되는 렌즈몸체(61)와, 렌즈몸체(61)의 하부에 형성된 확산부(6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LED광원(20)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확산하는 역할을 한다.
밝기조절부(70)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진 않으나 아날로그 방식의 다이얼이 사용될 수 있으며, 건축물의 실내 중 사용자가 조작하기 용이한 일측에 설치되고 전력공급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력공급부(40)에서 LED광원(20) 및 무드광원(30)으로 공급되는 전력의 양을 조절하여 LED광원(20)과 무드광원(30)의 밝기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러한 밝기조절부(70)은 통상의 리모콘을 사용하여 조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명을 늘린 일체형 LED 조명장치(1)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외부로부터 전력공급부(40)로 전력이 공급되면, 일부 전력이 보조전원부(41)에 축척되고, 나머지 전력이 LED광원(20) 또는 무드광원(30)으로 전달된다.
전달된 전력에 의해 LED광원(20) 또는 무드광원(30)으로부터 빛이 출사되고, 출사된 빛은 확산렌즈(60)를 투과 하면서 확산부(62)에 의해 확산되면서 빛의 양이 증대된다.
이와 같이 그 양이 증대된 빛은 커버부재(50)를 통과하여 건축물의 실내로 출사되어 건축물의 실내를 조명하게 된다.
아울러 정전시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수명을 늘린 일체형 LED 조명장치에 외부로부터 급작스럽게 전력공급이 끊기는 경우에도 보조전원부(41)에서 축척된 전력을 LED광원(20) 또는 무드광원(30)으로 공급하여 건축물의 실내를 조명하도록 한다.
도4 내지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 일체형 LED부 조명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한쌍의 LED광원(20)이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도5 및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내의 조명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3개 또는 4개의 LED광원(20)이 설치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도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10)의 외측에 구비된 한쌍의 LED광원(20)을 외측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할 수 있다.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 일체형 LED부 조명장치의 단면도이다.
도7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2 및 도4의 실시예와 동일하나 LED광원(20)을 본체(10)에 보다 용이하고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본체(10)는 LED광원(20)이 결합되는 영역에 통과공(13)이 형성되고, LED 광원(20)은 전 실시예와 달리 회로기판(21)의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형성되어 본체(10)의 일측에 후크결합되는 후크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후크부(23)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회로기판(21)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형성되고 상단부에 수직으로 절개된 절개부(23aa)가 형성된 연장부(23a) 및 연장부(23a)의 상단부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형성되고 하부에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부(23ba)가 형성된 걸림수단(23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크부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LED광원(20)이 본체(10)에 결합되는 방법을 살펴보면, LED광원(20)의 연장부(23a)가 본체(10)의 통과공(13)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한 걸림수단(23b)이 본체(10)의 내부 일측에 지지된다.
이때, 도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절개부(23aa)의 의해 발생되는 탄성력에 의해 연장부(23a)의 상단부가 외측으로 벌어지려는 힘이 발생되며, 이에 걸림수단(23b)의 경사부(23ba)가 본체(10)의 내부 일측('A')을 가압하면서 상부로 이동된다.
그리고, 후크부(23)가 결합된 회로기판(21) 또한 걸림수단(23b)의 상승과 동반상승하여 LED광원(20)이 본체(10)에 보다 견고하게 밀착고정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LED광원(20)은 본체(10)에 결합되는 경우 절개부(23aa)에 의한 탄성력과 걸림수단(23b)의 경사부(23ba)로 인해 회로기판(21)을 상방으로 이동시켜 회로기판(21)을 본체(10)에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에 의한 LED광원(20)과 본체(10)의 결합력이 저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이에 따라 LED광원(20)이 파손되거나 고장율이 증가되는 것이 방지되어 LED광원(20)의 수명이 현저하게 증대되는 특징이 있다.
그 외의 구조는 전술한 기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수명을 늘린 일체형 LED 조명장치 10 : 본체
11 : 삽입부 12 : 걸림부
13 : 통과공 14 : 고정날개
20 : LED광원 21 : 회로기판
22 : LED부 30 : 무드광원
40 : 전력공급부 41 : 보조전원부
50 : 커버부재 60 : 확산렌즈
61 : 렌즈몸체 62 : 확산부
70 : 밝기조절부

Claims (6)

  1. 건축물 실내 중 설치대상영역에 형성된 홈에 설치되어 건축물의 실내를 조명하는 수명을 늘린 일체형 LED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홈에 삽입설치되고, 상면 일측에 상기 설치대상영역에 끼움결합되는 걸이구가 형성되며, 내부 일측으로부터 돌출형성되고 상호 대향하는 한쌍의 전력공급부 장착부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저면 일측에 고정설치되고, 하방으로 빛을 출사하는 LED광원과;
    상기 한쌍의 전력공급부 장착부에 끼움결합되고, 외부로부터 전력을 인가받아 상기 LED광원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와;
    반구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저면 일측에 상기 LED광원을 차폐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LED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이 투과되는 광투과성 재질의 커버부재; 및
    일측이 상기 본체의 양측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설치대상영역에 고정결합되는 고정날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상면이 상기 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면 중앙에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명을 늘린 일체형 LED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저면 중 상기 LED광원이 설치되지 않은 일측에 설치되어 하방으로 색광을 출사하는 무드광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명을 늘린 일체형 LED 조명장치.
  3. 제1항 및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력공급부로부터 상기 LED광원 또는 상기 무드광원으로 전달되는 전류값을 조절하여 상기 LED광원 또는 상기 무드광원의 밝기를 조절하는 밝기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명을 늘린 일체형 LED 조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공급부는 외부로부터 전력이 인가되는 경우 인가되는 전력의 일부를 축척하고,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력이 차단되는 경우 축척된 전력을 상기 LED광원으로 공급하는 보조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명을 늘린 일체형 LED 조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광원이 결합되고, 일측에 상기 LED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확산하는 확산부가 형성된 확산렌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명을 늘린 일체형 LED 조명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광원은
    저면에 회로패턴이 형성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의 저면에 복수개가 실장되는 LED 및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 일측에 후크결합되는 후크부를 포함하되,
    상기 후크부는
    상기 기판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상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상단부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형성되고, 하부에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된 걸림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명을 늘린 일체형 LED 조명장치.
KR1020190077608A 2019-06-28 2019-06-28 수명을 늘린 일체형 led 조명장치 KR202100022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7608A KR20210002234A (ko) 2019-06-28 2019-06-28 수명을 늘린 일체형 led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7608A KR20210002234A (ko) 2019-06-28 2019-06-28 수명을 늘린 일체형 led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234A true KR20210002234A (ko) 2021-01-07

Family

ID=74126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7608A KR20210002234A (ko) 2019-06-28 2019-06-28 수명을 늘린 일체형 led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223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1015A (ko) * 2021-02-24 2022-08-31 이상미 평판형 조명장치
KR20220121016A (ko) * 2021-02-24 2022-08-31 이상미 평판형 조명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1015A (ko) * 2021-02-24 2022-08-31 이상미 평판형 조명장치
KR20220121016A (ko) * 2021-02-24 2022-08-31 이상미 평판형 조명장치
WO2022181924A1 (ko) * 2021-02-24 2022-09-01 이상미 평판형 조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1361B2 (en) Light emitting diode lamp
US10514139B2 (en) LED fixture with integrated driver circuitry
US9777897B2 (en) Multiple panel troffer-style fixture
US10247372B2 (en) LED troffer lens assembly mount
US10941909B2 (en) Luminaire with independently controlled light output
US9285099B2 (en) Parabolic troffer-style light fixture
KR100924095B1 (ko) 엘이디를 이용한 등기구
KR20210002234A (ko) 수명을 늘린 일체형 led 조명장치
KR101055177B1 (ko) Led 조명장치
KR101055176B1 (ko) Led 조명장치
KR101347718B1 (ko) 색온도, 색상 및 밝기 조절이 가능한 조명 시스템
KR100970110B1 (ko) 등기구 일체형 led 조명장치
KR101756540B1 (ko) 수평 확장형 결합구조를 갖춘 조명장치
CA2983117C (en) Luminaire with independently controlled light output
KR101697420B1 (ko) 조명장치
KR20090106210A (ko) 엘이디 램프 및 엘이디 조명 장치
KR101325635B1 (ko) Led 조명장치
KR20140021189A (ko) 엘이디 조명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91340B1 (ko) 전면 및 후면 조사가 가능한 엘이디 조명제품
KR102073567B1 (ko) Fpl등기구 호환형 led 조명기구
KR102194216B1 (ko) 선박용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00965U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수배전반용 등기구
KR101246601B1 (ko) 엘이디 형광등의 연결장치
KR101676256B1 (ko) 다양한 형태의 led 조명장치에 적용 가능한 led 모듈
KR20150059888A (ko) 선박의 조명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