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671Y1 -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코너 조명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코너 조명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671Y1
KR200489671Y1 KR2020170001613U KR20170001613U KR200489671Y1 KR 200489671 Y1 KR200489671 Y1 KR 200489671Y1 KR 2020170001613 U KR2020170001613 U KR 2020170001613U KR 20170001613 U KR20170001613 U KR 20170001613U KR 200489671 Y1 KR200489671 Y1 KR 2004896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llumination
groove
elevator car
vertical member
co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6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2907U (ko
Inventor
류원석
김경태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to KR20201700016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671Y1/ko
Publication of KR201800029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9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6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67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66B11/0233Ligh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 조명 어셈블리는, 엘리베이터 도어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내측면과 상기 제1내측면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2내측면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 설치되는 코너 조명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제1내측면 및 제2내측면 중 어느 하나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 상기 홈에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조명부 및 상기 홈 내에서 상기 조명부를 탈착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가 상기 고정부에 장착되면 상기 조명부는 상기 홈 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코너 조명 어셈블리{CORNER LIGHTING ASSEMBLY INSIDE ELEVATOR CAR}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카 내부를 조명하기 위하여 내부 코너에 설치되는 코너 조명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내부의 조명방식으로는 직접조명방식, 간접조명방식 및 직간접 조명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직접조명방식은 엘리베이터 천정에 형광등이나 백열등의 조명기구를 설치하되 이들이 엘리베이터 카 내부로 노출되게 함으로써, 형광등이나 백열등으로부터 발광하는 빛이 직접 엘리베이터 카 내부를 비추도록 이루어진다. 이 방식은 조명기구의 빛이 직접 탑승자에게 전달되기 때문에 눈부심이 있고, 형광등이나 백열등의 사용으로 인해 엘리베이터의 내부 온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간접조명방식은 엘리베이터 천정에 형광등이나 백열등 등의 조명기구를 설치하고 그 밑에 눈부심 방지를 위한 반투명 차폐판을 설치하거나, 조명기구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천정이나 벽면에 설치된 반사판을 통해 반사된 후 엘리베이터 카 내부를 비추도록 이루어진다.
직, 간접 조명방식은 직접조명방식과 간접조명방식을 혼합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어떠한 방식으로든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내부에 설치되는 조명은 천장에 설치되어 왔다. 천장에 설치되는 조명은 설치시공이 복잡하고 유지보수가 까다롭고 특별한 조명 효과를 내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설치시공 및 유지보수가 보다 용이하며 특별한 조명 효과를 갖는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코너 조명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 조명 어셈블리는, 엘리베이터 도어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내측면과 상기 제1내측면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2내측면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 설치되는 코너 조명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 조명 어셈블리는, 제1내측면 및 제2내측면 중 어느 하나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 상기 홈에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조명부 및 상기 홈 내에서 상기 조명부를 탈착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가 상기 고정부에 장착되면 상기 조명부는 상기 홈 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홈의 깊이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조명부에 소정 이상의 외력이 인가되면, 상기 조명부는 상기 고정부에서 분리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내측면 및 제2내측면 중 어느 하나에는 수직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직 부재와 상기 제1내측면 및 제2내측면 중 다른 하나 사이의 간격은 상기 조명부의 폭과 대응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내측면 및 제2내측면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수직부재는 서로 라운드지게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직 부재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엘리베이터 카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의 길이는 상기 수직 부재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대응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가 상기 홈 내에 위치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상기 조명부의 면에는 파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홈의 연장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서 양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체들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체들은, 상기 조명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탄성부재에 삽입 시, 상기 조명부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카 내부 코너에 조명부가 설치됨에 따라 종래에 없던 조명 효과를 갖는 엘리베이터 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조명부는 엘리베이터 카 코너에 형성된 홈의 고정부에 탈착가능하게 지지되므로, 작업자는 보다 용이하게 상기 조명부 등의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과 관련된 엘리베이터 도어 및 천장을 생략한 엘리베이터 카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사시도의 횡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와 따른 엘리베이터 카의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a에 표시된 C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고안과 관련된 고정부 및 조명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에 표시된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1에 표시된 B 영역의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과 관련된 엘리베이터 도어 및 천장을 생략한 엘리베이터 카의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사시도의 횡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2에 표시된 C 영역의 확대도이며, 도 4는 본 고안과 관련된 고정부 및 조명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에 표시된 A 영역의 확대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도 1에 포시된 B 영역의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엘리베이터 카(10)의 전체적인 외관 및 세부 구성요소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과 관련된 엘리베이터 카(10)는 승객이 탑승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을 갖는다. 내부 공간은 복수의 내측면, 바닥면 및 천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내측면 중 일면에는 엘리베이터 도어가 형성된다. 한편, 도 1에서는 천장 및 엘리베이터 도어가 형성되는 일면은 생략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엘리베이터 도어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내측면을 제1내측면(100)이라 지칭하고, 상기 제1내측면(100)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내측면을 제2내측면(200)이라 지칭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 하나의 엘리베이터 카에는 각각 한 쌍의 제1내측면들 및 제2내측면들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제1내측면들(또는 한 쌍의 제2내측면들)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즉, 엘리베이터 카(10)는 전체적으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정육면체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a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 조명 어셈블리를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도 2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너 조명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된다. 그리고 도 2a 및 도 2b에서 엘리베이터 도어는 생략되며 생략된 자리는 D로 표시된다.
도 2a를 참조하면, 코너 조명 어셈블리는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코너(corner)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코너는, 제1내측면(100)과 제2내측면(200)이 교차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정육면체 형태의 엘리베이터 카(10)는 네 개의 코너를 가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코너 조명 어셈블리는 홈(210), 조명부(300), 고정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홈(210)은 제1내측면(100) 및 제2내측면(200) 중 어느 하나의 일단(201)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3에서는 홈(210)이 제2내측면(200)의 일단에 형성된 예가 도시되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2b에서는 상기 홈은 제1내측면(100)의 일단에 형성되는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며, 당업자라면 청구 범위의 범주 내에서 가능한 많은 구성의 추가 및 변형을 인식할 것이다.
조명부(300)는 상기 홈(210)에 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조명부(300)는 크기 및/또는 형상이 상기 홈(210)의 크기 및/또는 형상과 대체로 대응되도록 이루어져, 보다 용이하게 상기 홈(210)에 안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조명부(300)는 LED(light emitting diode) 조명으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부(400)는 상기 홈(210) 내에서 상기 조명부(300)를 탈착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조명부(300)가 고정부(400)에 장착되면, 조명부(300)는 상기 홈(210) 내에 위치된다. 즉, 조명부(300)는 고정부(400)에 장착될 시, 상기 홈(210) 외부로 돌출됨이 없이 전체가 상기 홈(21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고정부(400)는 제1내측면(100) 및 제2내측면(200) 중 어느 하나의 일단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3을 참조하면, 고정부(400)는 제2내측면(200)의 일단(201)에 고정된 것이 도시된다. 한편, 도 2b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부는 제1내측면의 일단에 고정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 조명 어셈블리는 수직 부재(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 부재(220)는 제1내측면(100) 및 제2내측면(20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직 부재(220)는 상기 제1내측면(100) 및 제2내측면(200) 중 어느 하나로부터 대체로 수직하게 돌출될 수 있다.
나아가, 수직 부재(220)는 상기 제1내측면(100) 및 제2내측면(200) 중 다른 하나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부재(220)가 제2내측면(200)에 형성된 경우, 수직 부재(220)는 제1내측면(100)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이때, 홈(210)은 수직 부재(220), 제2내측면(200)의 일단(201), 제1내측면(100)으로 둘러 쌓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직 부재(220)와 상기 제1내측면(100) 및 제2내측면(200) 중 다른 하나 사이의 간격(W1)은 조명부(300)의 폭(W2)과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대응의 의미는 두 수치가 동일한 경우뿐 아니라, 기설정된 범위 내의 차이를 가지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내측면(100) 및 제2내측면(200)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수직 부재(220)는 서로 라운드지게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는 라운드 코너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부재(220)를 이루는 면 중 제1내측면(100)과 마주보는 면의 반대편에 배치된 면(R)은, 제2내측면(200)과 소정의 곡률을 형성하며 연결된다.
한편, 제1내측면(100) 및 제2내측면(200)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조명부(300)에서 방출된 빛을 일정 영역에 걸쳐 분산시켜주기 위한 도광 기능을 갖는 코팅면이 코팅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는 제1내측면(100)에 코팅면이 코팅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고정부(400)와 조명부(300)의 구체적인 세부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고정부(400)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거나 탄성부재 자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부재(400)는 베이스부(410) 및 상기 베이스부(410)에서 양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체들(420)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체들(420)에는 걸림부(4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421)는, 조명부(30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탄성체들(420) 사이로 삽입 시, 상기 조명부(300)가 걸리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조명부(300)의 일측에는 상기 탄성체들(420) 사이로 삽입되기 위한 돌출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10)의 외측에는, 상기 탄성부재(400)에 삽입 시 상기 탄성부재(보다 구체적으로, 걸림부(421))에 걸리도록 미세돌기들(311)이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탄성체들(420)은 상기 조명부(30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탄성부재(400)에 삽입 시 상기 조명부(300)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돌출부(41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탄성체들(420) 사이로 삽입되면, 탄성체들(420)은 돌출부(310)를 조이는 방향으로 돌출부(310)에 탄성력을 가함으로써 조명부(30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210)의 깊이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조명부(300)에 소정 이상의 외력이 인가되면 조명부(300)는 고정부(400)에서 분리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관한 동작과 관련된 설명은 추후 다시 한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에 표시된 A 부분을 서로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것들이고, 도 6a 및 도 6b는 도 1에 표시된 B 부분을 서로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것들이다.
도 5a 내지 도 5b, 도 6a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본 고안과 관련된 홈(210) 및 수직 부재(220) 등은 엘리베이터 카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홈(210)에 안착되기 위한 조명부(300) 역시 바(bar)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조명부(300)의 길이는 수직 부재(220)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실질적 대응이란 두 수치가 일치하는 경우뿐 아니라 기설정된 오차범위를 갖는 경우를 포함한다.
한편, 도 5a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고정부(400)는 체결부재(401)를 통해 제1내측면(100) 및 제2내측면(200)의 어느 하나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400)의 베이스부(410)에는 제1체결공(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내측면(100) 및 제2내측면(200)의 어느 하나의 일단에는 제2체결공(201a)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401)가 제1 및 제2체결공(201a)을 관통함으로써, 고정부(400)는 제1내측면(100) 및 제2내측면(200)의 어느 하나의 일단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5a 내지 도 5b, 도 6a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고정부(400)는 복수개로 구비되며, 복수개의 고정부(400)는 홈(2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즉 엘리베이터의 높이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부(400)는 홈(210)의 상단 및 하단측에 각각 하나씩, 적어도 2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조명부(300)가 복수의 고정부(400)에 장착되므로, 조명부(300)는 홈(210) 내에 보다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한편, 도 5a 내지 도 5b, 도 6a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조명부(300)의 상측 및 하측 중 적어도 하나에는 캡(33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캡(330)에는 파지부(320)가 연결될 수 있다.
파지부(320)는, 조명부(300)가 홈(210) 내에 위치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일면에는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상기 파지부(320)를 파지하여 조명부(300)를 고정부(400)에서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용이하게 유지 보수 작업을 할 수 있다.
나아가,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수직 부재(220)와 조명부(300)는 엘리베이터 카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다. 다시 말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 조명 어셈블리와 바닥면 사이에는 일정 공간(S)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작업자는 일정 공간(S)에 손을 넣고 상기 파지부(320)를 바깥으로 당김에 따라 조명부(300)를 고정부(400)에서 보다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됨은 아니고,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특허청구범위로부터 파악되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와 비교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 수준에서 변형, 부가, 삭제, 치환 가능한 고안 등 모든 균등한 수준의 고안에 대하여는 모두 본 고안의 권리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 엘리베이터 카 100: 제1내측면
200: 제2내측면 201: 제2내측면의 일단
201a: 체결공 210: 홈
220: 수직 부재 300: 조명부
310: 돌출부 311: 미세돌기
320: 파지부 330: 캡
400: 고정부 401: 체결부재
410: 베이스부 420: 탄성체
421: 걸림부

Claims (10)

  1. 엘리베이터 도어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내측면과, 상기 제1내측면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2내측면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코너 조명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제1내측면 및 제2내측면 중 어느 하나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
    상기 홈에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조명부; 및
    상기 홈 내에서 상기 조명부를 탈착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가 상기 고정부에 장착되면 상기 조명부는 상기 홈 내에 위치되고,
    상기 조명부가 상기 홈 내에 위치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상기 조명부의 면에는 파지부가 형성되는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코너 조명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깊이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조명부에 소정 이상의 외력이 인가되면, 상기 조명부는 상기 고정부에서 분리되도록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코너 조명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측면 및 제2내측면 중 어느 하나에는 수직 부재가 형성되는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코너 조명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부재와 상기 제1내측면 및 제2내측면 중 다른 하나 사이의 간격은 상기 조명부의 폭과 대응되는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코너 조명 어셈블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측면 및 제2내측면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수직 부재는 서로 라운드지게 연결되는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코너 조명 어셈블리.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부재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엘리베이터 카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코너 조명 어셈블리.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의 길이는 상기 수직 부재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대응되는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코너 조명 어셈블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홈의 연장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코너 조명 어셈블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서 양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체들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체들은, 상기 조명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탄성부재에 삽입 시, 상기 조명부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코너 조명 어셈블리.
  10. 삭제
KR2020170001613U 2017-03-31 2017-03-31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코너 조명 어셈블리 KR2004896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613U KR200489671Y1 (ko) 2017-03-31 2017-03-31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코너 조명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613U KR200489671Y1 (ko) 2017-03-31 2017-03-31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코너 조명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907U KR20180002907U (ko) 2018-10-11
KR200489671Y1 true KR200489671Y1 (ko) 2019-07-19

Family

ID=63861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613U KR200489671Y1 (ko) 2017-03-31 2017-03-31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코너 조명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67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9004A (ko) * 2021-09-13 2023-03-21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케이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91165B2 (ja) * 1995-10-04 2003-03-3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カゴ室天井照明装置
JP2014097850A (ja) * 2012-11-13 2014-05-29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乗りかご内照明装置
WO2016138963A1 (en) * 2015-03-05 2016-09-0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91165B2 (ja) * 1995-10-04 2003-03-3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カゴ室天井照明装置
JP2014097850A (ja) * 2012-11-13 2014-05-29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乗りかご内照明装置
WO2016138963A1 (en) * 2015-03-05 2016-09-0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9004A (ko) * 2021-09-13 2023-03-21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케이지
KR102574473B1 (ko) 2021-09-13 2023-09-06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케이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907U (ko) 2018-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03825B2 (en) Lighting device for a vehicle headlight
US20150204491A1 (en) Lighting Device Utilizing a Double Fresnel Lens
CN114829836A (zh) 具有对准特征的纵向灯具
JP6851151B2 (ja) 照明器具
KR200489671Y1 (ko)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코너 조명 어셈블리
KR101912379B1 (ko) 면조명용 코너 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led 면조명
CN105987299B (zh) 一种照明装置
US10302256B2 (en) Lighting apparatus and lighting system
KR102100721B1 (ko) 위치 재조정이 가능한 라인조명장치
JP6799937B2 (ja) 照明器具
JP2016131102A (ja) 照明装置、照明機器及び照明装置用器具本体
US11098880B2 (en) Luminaire with improved assembly, installation, and wireless functionality
KR20220024293A (ko) 차량용 램프
JP5819497B1 (ja) 照明装置用発光ユニット及び照明装置
JP6238164B2 (ja) Led照明器具
KR101955234B1 (ko) 천장용 조명기구
JP2015181125A (ja) 照明装置
KR101104855B1 (ko) 빔 조절가능 벽등
KR101931972B1 (ko) 조명장치
KR200497713Y1 (ko) 음영 및 도트를 방지할 수 있는 led 조명기구
JP5909697B2 (ja) 発光装置および照明器具
JP2016131100A (ja) 照明装置、照明機器及び照明装置用器具本体
KR102345057B1 (ko) Led 엣지등
JP2019054001A (ja) 照明器具
US1179614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unting recessed light fix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