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4473B1 - 엘리베이터 케이지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케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4473B1
KR102574473B1 KR1020210121806A KR20210121806A KR102574473B1 KR 102574473 B1 KR102574473 B1 KR 102574473B1 KR 1020210121806 A KR1020210121806 A KR 1020210121806A KR 20210121806 A KR20210121806 A KR 20210121806A KR 102574473 B1 KR102574473 B1 KR 102574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module
panel
ceiling
elevator cage
sid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1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9004A (ko
Inventor
박채우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1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4473B1/ko
Publication of KR20230039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9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4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4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66B11/0233Light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66B11/0253Fixation of wall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3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 F21S8/033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the surface being a wall or like vertical structure, e.g. building faca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 F21Y2103/1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comprising a linear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케이지에 관한 것으로, 실내 내부 공간에 바타입 램프 모듈을 장착하여 천장 패널, 좌측면 패널과 우측면 패널, 바닥 패널에 걸쳐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조명 라인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매우 신선하고 새로운 미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각 램프 모듈에 의한 조명 라인을 따라 배치된 복수개의 LED 램프를 순차적으로 발광하게 함으로써, 조명 라인을 따라 빛이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동적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더욱 새로운 이미지의 실내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케이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케이지{Elevator Cag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케이지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 내부 공간에 바타입 램프 모듈을 장착하여 천장 패널, 좌측면 패널과 우측면 패널, 바닥 패널에 걸쳐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조명 라인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매우 신선하고 새로운 미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각 램프 모듈에 의한 조명 라인을 따라 배치된 복수개의 LED 램프를 순차적으로 발광하게 함으로써, 조명 라인을 따라 빛이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동적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더욱 새로운 이미지의 실내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용도 및 업무용도 등으로 건축되는 다양한 종류의 고층 건물에는 해당 건물을 찾는 승객의 수직방향으로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엘리베이터 장치가 설치된다.
일반적인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 내에 승강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와, 엘리베이터 케이지와 와이어로프(wire rope)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균형추(counterweight)와, 승강로의 상측에 와이어로프와 마찰 접촉되어 정역 회전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케이지 및 균형추를 승강 구동시키는 권상기 등을 구비한 형태로 구성된다.
엘리베이터 케이지는 내부에 승객이 탑승할 수 있는 구조로 일반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지 형태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케이지는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측벽과, 측벽의 상단 및 하단에 천장 및 바닥이 결합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측벽, 천장 및 바닥이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전체적인 지지 구조를 이룬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케이지에는 실내 공간의 인테리어를 위해 측벽의 내측면에는 특정 문양 등이 형성된 전방 패널, 후방 패널, 좌측면 패널 및 우측면 패널이 배치되고, 천장 및 바닥의 내측면에도 마찬가지로 특정 문양이나 조명 등이 구비된 형태의 천장 패널 및 바닥 패널이 각각 배치된다.
최근에는 건물의 고급화 경향에 따라 엘리베이터에 대한 고급화 경향 또한 증가하고 있는데, 이러한 경향에 따라 최근에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내부의 실내 공간에 대한 다양한 미감을 제공하거나 기능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실내 패널들에 대한 다양한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직육면체 내부 공간을 이루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구조적인 특성상 다양한 구조 변화가 어렵고, 실내 패널들에 대한 다양한 이미지 개발 또한 단순히 문양을 변형하는 정도에 불과하여 승객들에게 새롭고 신선한 이미지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등록특허 제10-2086247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 내부 공간에 바타입 램프 모듈을 장착하여 천장 패널, 좌측면 패널과 우측면 패널, 바닥 패널에 걸쳐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조명 라인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매우 신선하고 새로운 미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각 램프 모듈에 의한 조명 라인을 따라 배치된 복수개의 LED 램프를 순차적으로 발광하게 함으로써, 조명 라인을 따라 빛이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동적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더욱 새로운 이미지의 실내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케이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타입 램프 모듈을 기준으로 내부 패널을 양측으로 분리 형성하고, 분리된 패널을 램프 모듈과 밀봉 결합함으로써, 램프 모듈에 대한 수분 및 이물질 유입을 방지함과 동시에 분리된 패널의 결합 부위에서 발생하는 패널의 들뜸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어 실내 공간에 대한 더욱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케이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측벽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전방 패널, 후방 패널, 좌측면 패널 및 우측면 패널과, 천장 및 바닥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천장 패널 및 바닥 패널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에 있어서, 상기 천장 패널에는 상기 천장 패널의 좌측단에서 우측단까지 가로지르는 경로로 연장 형성되는 천장 램프 모듈이 외부 노출되게 장착되어 조명광을 발광하고, 상기 좌측면 패널 및 우측면 패널에는 상기 좌측면 패널 또는 우측면 패널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가로지르는 경로로 연장 형성되는 좌측면 램프 모듈 및 우측면 램프 모듈이 각각 외부 노출되게 장착되어 조명광을 발광하며, 상기 좌측면 램프 모듈 및 우측면 램프 모듈은 그 상단부가 상기 천장 램프 모듈의 좌우 양끝단에 각각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천장 램프 모듈의 좌우 양끝단으로부터 상기 천장 램프 모듈의 경로를 따라 연장되는 가상의 연장선상에 각각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천장 패널은 상기 천장의 내측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게 장착되며 좌우측 양단이 상기 좌측면 패널 및 우측면 패널의 내측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천장 패널과 상기 좌측면 패널의 사이 공간 및 상기 천장 패널과 상기 우측면 패널의 사이 공간을 통해 별도의 조명광이 방출되도록 상기 천장 패널의 상부에는 별도의 조명 램프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장 램프 모듈은 직선 경로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천장 패널의 양단과 경사지게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좌측면 램프 모듈 및 우측면 램프 모듈은 그 상단부가 상기 천장 램프 모듈의 가상의 연장선상에 각각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장 패널은 상기 천장 램프 모듈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분리 형성되며, 상기 천장 램프 모듈은 2개로 분리된 상기 천장 패널의 사이 공간을 차단하도록 상기 천장 패널에 결합되는 조명 커버와, 2개로 분리된 상기 천장 패널의 사이 공간을 따라 배치되어 그 사이 공간으로 조명광을 조사하는 복수개의 LED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LED 램프의 조명광은 상기 조명 커버를 통과하여 외부 방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 커버와 상기 천장 패널은 서로 밀봉되게 접착 결합되도록 상호 결합 부위에 별도의 밀봉 접착 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면 램프 모듈은 상단부가 상기 천장 램프 모듈의 가상의 연장선상에 연결되게 배치되며 수직 방향으로 하향 연장되는 제 1 발광부와, 상기 제 1 발광부의 하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발광부와, 상기 제 2 발광부의 일단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하향 연장되는 제 3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면 패널은 상기 제 2 발광부를 기준으로 상부 측면 패널과 하부 측면 패널로 분리 형성되고, 상기 상부 측면 패널은 상기 제 1 발광부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분리 형성되고, 상기 하부 측면 패널은 상기 제 3 발광부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분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면 패널에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 레일이 외부 돌출되게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 레일은 상기 제 2 발광부와 동일 수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면 램프 모듈은 2개로 분리된 좌측면 패널의 사이 공간을 차단하도록 상기 좌측면 패널에 결합되는 조명 커버와, 2개로 분리된 상기 좌측면 패널의 사이 공간을 따라 배치되어 그 사이 공간으로 조명광을 조사하는 복수개의 LED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LED 램프의 조명광은 상기 조명 커버를 통과하여 외부 방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면 램프 모듈의 제 2 발광부는 상기 손잡이 레일을 살균할 수 있도록 2개로 분리된 상기 좌측면 패널 사이 공간을 향해 살균광을 조사하는 복수개의 살균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 패널에는 상기 바닥 패널의 좌측단에서 우측단까지 가로지르는 경로로 연장 형성되는 바닥 램프 모듈이 외부 노출되게 장착되어 조명광을 발광하고, 상기 바닥 램프 모듈은 좌우 양측단이 상기 좌측면 램프 모듈 및 우측면 램프 모듈의 하단에 각각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좌측면 램프 모듈 및 우측면 램프 모듈의 하단으로부터 각각의 경로를 따라 연장되는 가상의 연장선상에 각각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천장 램프 모듈, 좌측면 램프 모듈, 우측면 램프 모듈 및 바닥 램프 모듈은 각 램프 모듈의 경로를 따라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 배치되는 LED 램프를 포함하고, 복수개의 상기 LED 램프는 각 램프 모듈의 경로를 따라 순차적으로 발광하도록 별도의 제어부에 의해 동작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 내부 공간에 바타입 램프 모듈을 장착하여 천장 패널, 좌측면 패널과 우측면 패널, 바닥 패널에 걸쳐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조명 라인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매우 신선하고 새로운 미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각 램프 모듈에 의한 조명 라인을 따라 배치된 복수개의 LED 램프를 순차적으로 발광하게 함으로써, 조명 라인을 따라 빛이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동적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더욱 새로운 이미지의 실내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타입 램프 모듈을 기준으로 내부 패널을 양측으로 분리 형성하고, 분리된 패널을 램프 모듈과 밀봉 결합함으로써, 램프 모듈에 대한 수분 및 이물질 유입을 방지함과 동시에 분리된 패널의 결합 부위에서 발생하는 패널의 들뜸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어 실내 공간에 대한 더욱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 벽면에 대한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또 다른 일부 벽면에 대한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램프 모듈에 대한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천장 패널에 형성된 천장 램프 모듈에 대한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좌측면 패널에 형성된 좌측면 램프 모듈에 대한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 벽면에 대한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또 다른 일부 벽면에 대한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램프 모듈에 대한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천장 패널에 형성된 천장 램프 모듈에 대한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좌측면 패널에 형성된 좌측면 램프 모듈에 대한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케이지는 일반적인 엘리베이터 케이지와 마찬가지로 실내 인테리어를 위한 복수의 패널을 포함하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의 내측면에는 측벽 패널(10)이 배치되는데, 측벽 패널(10)은 도어(110)가 형성되는 전방 패널(100)과, 전방 패널(100)과 대향되게 배치되는 후방 패널(200)과, 전방 패널(100) 및 후방 패널(200) 사이에 배치되는 좌측면 패널(300) 및 우측면 패널(400)로 이루어진다. 천장 및 바닥의 내측면에는 각각 천장 패널(500)과 바닥 패널(600)이 배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 패널(500)에는 천장 패널(500)의 좌측단에서 우측단까지 가로지르는 경로로 연장 형성되는 천장 램프 모듈(710)이 외부 노출되게 장착되어 조명광을 발광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면 패널(300) 및 우측면 패널(400)에는 좌측면 패널(300) 또는 우측면 패널(400)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가로지르는 경로로 연장 형성되는 좌측면 램프 모듈(720) 및 우측면 램프 모듈(730)이 각각 외부 노출되게 장착되어 조명광을 발광한다.
좌측면 램프 모듈(720) 및 우측면 램프 모듈(730)은 그 상단부가 천장 램프 모듈(710)의 좌우 양끝단에 각각 연결되거나 또는 천장 램프 모듈(710)의 좌우 양끝단으로부터 천장 램프 모듈(710)의 경로를 따라 연장되는 가상의 연장선(L1)상에 각각 연결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천장 패널(500)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의 내측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게 장착되며 좌우측 양단이 좌측면 패널(300) 및 우측면 패널(400)의 내측면으로부터 일정 간격(d)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천장 램프 모듈(710)은 직선 경로를 갖도록 형성되어 천장 패널(500)의 양단과 경사지게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좌측면 램프 모듈(720) 및 우측면 램프 모듈(730)은 그 상단부가 천장 램프 모듈(710)의 가상의 연장선(L1)상에 각각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이와 달리 천장 패널(500)의 좌우측 양단이 좌측면 패널(300) 및 우측면 패널(400)의 내측면과 접촉하도록 형성되고, 이 경우, 좌측면 램프 모듈(720) 및 우측면 램프 모듈(730)은 그 상단부가 천장 램프 모듈(710)의 좌우 양끝단에 각각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천장 패널(500)의 좌우측 양단이 좌측면 패널(300) 및 우측면 패널(400)의 내측면으로부터 일정 간격(d) 이격되게 형성됨으로써, 천장 패널(500)과 좌측면 패널(300) 및 우측면 패널(400)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고, 천장 패널(500)과 좌측면 패널(300)의 사이 공간 및 천장 패널(500)과 우측면 패널(400)의 사이 공간을 통해 별도의 조명광이 방출되도록 천장 패널(500)의 상부에는 별도의 조명 램프(9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을 통한 조명 발광은 간접 조명 방식으로 실내 공간을 비춰줄 수 있어 실내 공간에 은은함을 연출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패널(600)에는 바닥 패널(600)의 좌측단에서 우측단까지 가로지르는 경로로 연장 형성되는 바닥 램프 모듈(740)이 외부 노출되게 장착되어 조명광을 발광한다.
바닥 램프 모듈(740)은 좌우 양측단이 좌측면 램프 모듈(720) 및 우측면 램프 모듈(730)의 하단에 각각 연결되거나 또는 좌측면 램프 모듈(720) 및 우측면 램프 모듈(730)의 하단으로부터 각각의 경로를 따라 연장되는 가상의 연장선(L2)상에 각각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좌측면 패널(300) 및 우측면 패널(400)의 하단이 외벽 방향으로 함몰된 형태로 단턱지게 형성됨으로써, 바닥 램프 모듈(740)의 좌우 양측단이 좌측면 램프 모듈(720) 및 우측면 램프 모듈(730)의 하단으로부터 각각의 경로를 따라 연장되는 가상의 연장선(L2)상에 각각 연결되는 형태로 도시된다.
물론, 이와 달리 좌측면 패널(300) 및 우측면 패널(400)의 하단에 단턱이 없이 형성되고, 이 경우, 바닥 램프 모듈(740)의 좌우 양측단이 좌측면 램프 모듈(720) 및 우측면 램프 모듈(730)의 하단에 각각 연결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바닥 램프 모듈(740) 또한 천장 램프 모듈(710)과 마찬가지로 직선 경로를 갖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좌측면 램프 모듈(720) 및 우측면 램프 모듈(73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절된 직선 경로를 갖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천장 램프 모듈(710), 좌측면 램프 모듈(720), 우측면 램프 모듈(730) 및 바닥 램프 모듈(740)은 각 램프 모듈의 경로를 따라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 배치되는 LED 램프(701)를 포함하는 바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LED 램프(701)는 각 램프 모듈의 경로를 따라 순차적으로 발광하도록 별도의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동작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케이지는 실내 내부 공간에 천장 패널(500), 좌측면 패널(300)과 우측면 패널(400), 바닥 패널(600)에 걸쳐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조명 라인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실내 공간에서 천장과 바닥을 포함한 4개의 측면을 연속적으로 이어주는 조명 라인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에게 매우 신선하고 새로운 미감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각 램프 모듈에 의한 조명 라인을 따라 복수개의 LED 램프(701)가 배치되는데, 이러한 LED 램프(701)가 경로를 따라 순차적으로 발광하게 되면, 조명 라인을 따라 빛이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동적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더욱 새로운 이미지의 실내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각각의 램프 모듈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먼저, 천장 패널(500)은 천장 램프 모듈(710)이 천장 패널(500)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므로, 이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분리 형성된다.
천장 램프 모듈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로 분리된 천장 패널(500)의 사이 공간을 차단하도록 2개로 분리된 천장 패널(500)의 사이 공간에 결합되는 조명 커버(702)와, 2개로 분리된 천장 패널의 사이 공간을 따라 배치되어 그 사이 공간으로 조명광을 조사하는 복수개의 LED 램프(701)를 포함하고, LED 램프(701)의 조명광은 조명 커버(702)를 통과하여 외부 방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조명 커버(702)와 천장 패널(500)은 서로 밀봉되게 접착 결합되도록 상호 결합 부위에 별도의 밀봉 접착 부재(703)가 삽입된다. 이러한 밀봉 접착 부재(703)에 의해 조명 커버(702)의 내부 공간으로 수분이나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2개의 분리된 천장 패널(500) 또한 조명 커버(702)와 더욱 완벽하게 접착되어 장시간 사용에 따른 들뜸 현상 등이 방지된다.
좌측면 램프 모듈(72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가 천장 램프 모듈(710)의 가상의 연장선(L1)상에 연결되게 배치되며 수직 방향으로 하향 연장되는 제 1 발광부(721)와, 제 1 발광부(721)의 하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발광부(722)와, 제 2 발광부(722)의 일단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하향 연장되는 제 3 발광부(7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좌측면 패널(300)은 제 2 발광부(722)를 기준으로 상부 측면 패널(310)과 하부 측면 패널(320)로 분리 형성되고, 상부 측면 패널(310)은 제 1 발광부(721)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분리 형성되고, 하부 측면 패널(320)은 제 3 발광부(723)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분리 형성된다.
이러한 좌측면 램프 모듈(720)은, 도 6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로 분리된 좌측면 패널(300)의 사이 공간을 차단하도록 좌측면 패널(300)에 결합되는 조명 커버(702)와, 2개로 분리된 좌측면 패널(300)의 사이 공간을 따라 배치되어 그 사이 공간으로 조명광을 조사하는 복수개의 LED 램프(701)를 포함하고, LED 램프(701)의 조명광은 조명 커버(702)를 통과하여 외부 방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조명 커버(702)와 좌측면 패널(300)은 서로 밀봉되게 접착 결합되도록 상호 결합 부위에 별도의 밀봉 접착 부재(703)가 삽입된다. 이러한 밀봉 접착 부재(703)에 의해 조명 커버(702)의 내부 공간으로 수분이나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2개의 분리된 좌측면 패널(300) 또한 조명 커버(702)와 더욱 완벽하게 접착되어 장시간 사용에 따른 결합 부위 들뜸 현상 등이 방지되어 더욱 안정적인 구조를 이루게 된다.
우측면 램프 모듈(730) 또한 좌측면 램프 모듈(720)과 마찬가지로 제 1 발광부, 제 2 발광부 및 제 3 발광부를 포함하고, 우측면 패널(400) 또한 제 2 발광부를 기준으로 상부 측면 패널과 하부 측면 패널로 분리 형성되며, 상부 측면 패널과 하부 측면 패널은 각각 제 1 발광부 및 제 3 발광부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분리 형성된다. 우측면 램프 모듈(730) 또한 조명 커버와 복수개의 LED 램프로 구성되며, 결합 부위에 밀봉 접착 부재가 삽입된다. 이러한 우측면 램프 모듈(730)은 좌측면 램프 모듈(720)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지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좌측면 패널(300)에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 레일(800)이 외부 돌출되게 결합되고, 손잡이 레일(800)은 제 2 발광부(722)와 동일 수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우측면 패널(400)의 손잡이 레일 또한 마찬가지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좌측면 램프 모듈(720)의 제 2 발광부(722)는 손잡이 레일(800)을 살균할 수 있도록 2개로 분리된 좌측면 패널(300) 사이 공간을 향해 살균광을 조사하는 복수개의 살균 램프(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좌측면 램프 모듈(720)의 제 2 발광부(722)를 통해 손잡이 레일(800)을 살균할 수 있어 더욱 위생적인 실내 공간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케이지는 전체 실내 벽면을 통해 연속 이어지는 조명 라인을 통해 신선하고 새로운 미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조명 라인을 이루는 램프 모듈을 기준으로 각 패널을 분리 형성하고, 분리된 패널을 램프 모듈과 밀봉 결합함으로써, 분리된 패널의 결합 부위에서 발생하는 패널의 들뜸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고 더욱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전방 패널
200: 후방 패널
300: 좌측면 패널
400: 우측면 패널
500: 천장 패널
600: 바닥 패널
701: LED 램프
702: 조명 커버
703: 밀봉 접착 부재
710: 천장 램프 모듈
720: 좌측면 램프 모듈
730: 우측면 램프 모듈
740: 바닥 램프 모듈
800: 손잡이 레일

Claims (11)

  1. 측벽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전방 패널, 후방 패널, 좌측면 패널 및 우측면 패널과, 천장 및 바닥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천장 패널 및 바닥 패널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에 있어서,
    상기 천장 패널에는 상기 천장 패널의 좌측단에서 우측단까지 가로지르는 경로로 연장 형성되는 천장 램프 모듈이 외부 노출되게 장착되어 조명광을 발광하고,
    상기 좌측면 패널 및 우측면 패널에는 상기 좌측면 패널 또는 우측면 패널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가로지르는 경로로 연장 형성되는 좌측면 램프 모듈 및 우측면 램프 모듈이 각각 외부 노출되게 장착되어 조명광을 발광하며,
    상기 좌측면 램프 모듈 및 우측면 램프 모듈은 그 상단부가 상기 천장 램프 모듈의 좌우 양끝단에 각각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천장 램프 모듈의 좌우 양끝단으로부터 상기 천장 램프 모듈의 경로를 따라 연장되는 가상의 연장선상에 각각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천장 패널은 상기 천장의 내측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게 장착되며 좌우측 양단이 상기 좌측면 패널 및 우측면 패널의 내측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천장 패널과 상기 좌측면 패널의 사이 공간 및 상기 천장 패널과 상기 우측면 패널의 사이 공간을 통해 별도의 조명광이 방출되도록 상기 천장 패널의 상부에는 별도의 조명 램프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 램프 모듈은 직선 경로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천장 패널의 양단과 경사지게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좌측면 램프 모듈 및 우측면 램프 모듈은 그 상단부가 상기 천장 램프 모듈의 가상의 연장선상에 각각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 패널은 상기 천장 램프 모듈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분리 형성되며,
    상기 천장 램프 모듈은
    2개로 분리된 상기 천장 패널의 사이 공간을 차단하도록 상기 천장 패널에 결합되는 조명 커버와, 2개로 분리된 상기 천장 패널의 사이 공간을 따라 배치되어 그 사이 공간으로 조명광을 조사하는 복수개의 LED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LED 램프의 조명광은 상기 조명 커버를 통과하여 외부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커버와 상기 천장 패널은 서로 밀봉되게 접착 결합되도록 상호 결합 부위에 별도의 밀봉 접착 부재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면 램프 모듈은
    상단부가 상기 천장 램프 모듈의 가상의 연장선상에 연결되게 배치되며 수직 방향으로 하향 연장되는 제 1 발광부와, 상기 제 1 발광부의 하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발광부와, 상기 제 2 발광부의 일단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하향 연장되는 제 3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면 패널은 상기 제 2 발광부를 기준으로 상부 측면 패널과 하부 측면 패널로 분리 형성되고, 상기 상부 측면 패널은 상기 제 1 발광부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분리 형성되고, 상기 하부 측면 패널은 상기 제 3 발광부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분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면 패널에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 레일이 외부 돌출되게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 레일은 상기 제 2 발광부와 동일 수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면 램프 모듈은
    2개로 분리된 좌측면 패널의 사이 공간을 차단하도록 상기 좌측면 패널에 결합되는 조명 커버와, 2개로 분리된 상기 좌측면 패널의 사이 공간을 따라 배치되어 그 사이 공간으로 조명광을 조사하는 복수개의 LED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LED 램프의 조명광은 상기 조명 커버를 통과하여 외부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면 램프 모듈의 제 2 발광부는
    상기 손잡이 레일을 살균할 수 있도록 2개로 분리된 상기 좌측면 패널 사이 공간을 향해 살균광을 조사하는 복수개의 살균 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패널에는 상기 바닥 패널의 좌측단에서 우측단까지 가로지르는 경로로 연장 형성되는 바닥 램프 모듈이 외부 노출되게 장착되어 조명광을 발광하고,
    상기 바닥 램프 모듈은 좌우 양측단이 상기 좌측면 램프 모듈 및 우측면 램프 모듈의 하단에 각각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좌측면 램프 모듈 및 우측면 램프 모듈의 하단으로부터 각각의 경로를 따라 연장되는 가상의 연장선상에 각각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 램프 모듈, 좌측면 램프 모듈, 우측면 램프 모듈 및 바닥 램프 모듈은 각 램프 모듈의 경로를 따라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 배치되는 LED 램프를 포함하고,
    복수개의 상기 LED 램프는 각 램프 모듈의 경로를 따라 순차적으로 발광하도록 별도의 제어부에 의해 동작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KR1020210121806A 2021-09-13 2021-09-13 엘리베이터 케이지 KR102574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806A KR102574473B1 (ko) 2021-09-13 2021-09-13 엘리베이터 케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806A KR102574473B1 (ko) 2021-09-13 2021-09-13 엘리베이터 케이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004A KR20230039004A (ko) 2023-03-21
KR102574473B1 true KR102574473B1 (ko) 2023-09-06

Family

ID=85801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1806A KR102574473B1 (ko) 2021-09-13 2021-09-13 엘리베이터 케이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447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373Y1 (ko) 2005-12-20 2006-03-08 정준원 문 손잡이용 살균건조기
JP2012082044A (ja) 2010-10-08 2012-04-26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の乗かご内照明装置
JP2014097850A (ja) 2012-11-13 2014-05-29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乗りかご内照明装置
KR200489671Y1 (ko) 2017-03-31 2019-07-19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코너 조명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247B1 (ko) 2018-09-06 2020-03-06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케이지
KR102374361B1 (ko) * 2020-04-29 2022-03-15 이장문 소독설비가 구비된 엘리베이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373Y1 (ko) 2005-12-20 2006-03-08 정준원 문 손잡이용 살균건조기
JP2012082044A (ja) 2010-10-08 2012-04-26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の乗かご内照明装置
JP2014097850A (ja) 2012-11-13 2014-05-29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乗りかご内照明装置
KR200489671Y1 (ko) 2017-03-31 2019-07-19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코너 조명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004A (ko) 2023-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9399B2 (en) Light-emitting panel with transparent cellular support panel
KR102228150B1 (ko) 조명매립이 간편한 히든 라인조명몰딩
JP5276496B2 (ja) 面発光機能付き建築用壁パネル
KR102574473B1 (ko) 엘리베이터 케이지
JP2017091828A (ja) 照明装置
KR200469863Y1 (ko) 벽부형 진열장
JP4731823B2 (ja) 発光幅木構造
KR102574472B1 (ko) 엘리베이터 케이지
JP6723825B2 (ja) パネル装置
KR102580885B1 (ko) 엘리베이터 천장 조명 장치
JP6700023B2 (ja) 建物
JP4394025B2 (ja) 間接照明装置
KR20140003114U (ko) 살균기능을 갖는 등박스
JP6958715B1 (ja) エレベーターの発光器具
CN114572796B (zh) 一种带有侧投光电梯吊顶的电梯轿厢及其光斑测试装置
KR102582549B1 (ko) 천장 반사조명 프레임 코너 연결부재
JP2012231992A (ja) 間仕切家具
JP2019197656A (ja) 住宅用内装品、室内用作業装置、手摺装置、洗面台ユニット、框構造、並びに、梁構造
KR102489709B1 (ko) 자외선램프 겸용 조명장치
JP5751921B2 (ja) 間仕切家具
JP6360732B2 (ja) 建物
JP6485599B2 (ja) エレベータかごの照明装置
JPH04174166A (ja) 廻り縁並びに幅木
JPH11189382A (ja) エレベータのかご室照明装置
JP2017115523A (ja) 住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