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0721B1 - 위치 재조정이 가능한 라인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위치 재조정이 가능한 라인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0721B1
KR102100721B1 KR1020190044132A KR20190044132A KR102100721B1 KR 102100721 B1 KR102100721 B1 KR 102100721B1 KR 1020190044132 A KR1020190044132 A KR 1020190044132A KR 20190044132 A KR20190044132 A KR 20190044132A KR 102100721 B1 KR102100721 B1 KR 102100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member
sliding guide
sliding
lighting device
proce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4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기태
Original Assignee
시그마엘이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그마엘이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시그마엘이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4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07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0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0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4Supporting elements displaceable along a guid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 재조정이 가능한 라인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측면상 상부의 수용홈, 하부의 LED 모듈 장착홈과, 수용홈의 양측 내면에 마련된 슬라이딩 안내부를 구비한 일정 길이의 몸체;와 수용홈에 수용되고 하방 굴절된 양측부가 슬라이딩 안내부와 맞물리도록 슬라이딩부가 가공된 제1이동부재와, 평면상 제1이동부재의 상면이면서 양측 슬라이딩 안내부를 가로질러 가공된 끼움홀에 장착되는 제2이동부재를 구비한 행거수단;을 포함하고, 천장 또는 벽체에 고정된 제1이동부재를 통해 몸체가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제1이동수단에 의해 몸체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이로 인해 몸체가 최초 설치된 위치로부터 이동되어 위치가 재조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위치 재조정이 가능한 라인조명장치{Line illuminating instrument capable of posion readjustment}
본 발명은 라인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부재들로 제작된 행거수단을 매개로 몸체가 설치됨으로써, 설치된 몸체의 위치를 일정 범위 내에서 조정할 수 있도록 된 위치 재조정이 가능한 라인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ED(Light Emitting Diode, 발광다이오드)란 전기 에너지를 빛으로 변환하는 반도체 소자의 일종으로서, 형광등 및 백열등 등과 같은 기존의 광원에 비해 저소비전력, 반영구적인 수명, 빠른 응답속도, 안전성 및 환경친화성의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LED는 기판에 다수개 식립된 모듈형태로 사용되고, 특정 형태의 프레임에 확산판과 함께 결합되어 평판 조명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LED는 기존의 형광등이나 백열등을 광원으로 하는 조명장치에 비하여 저전력 작동 구조를 가짐과 동시에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건물 시공시 LED를 이용하여 다양한 조명 인테리어로 활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조명과 관련된 선행기술이 등록특허 제10-1765030호(발명의 명칭 : 라인형 조명장치용 프레임)에 개시되어 있다. 이에 대해 간략히 살펴 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모듈이 하부에 장착되는 몸체(10), 이 몸체(10)에 장착된 브라켓(20)과, 상단부가 천장에 고정되면서 하단부가 브라켓(20)과 체결된 행거볼트(3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몸체(10)는 행거볼트(30)를 매개로 브라켓(20)에 의해 천장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몸체(10)가 설계 도면의 위치에서 정위치에 설치되지 않은 경우, 행거볼트(30)를 천장으로부터 해체한 후 재설치해야 하는 작업상의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몸체(10)와 몸체(10)가 연속되어 설치되는 라인조명의 경우, 몸체(10)가 정위치에 설치되지 않으며 연속된 몸체(10)들 간의 연결부위에 틈새가 발생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볼트(30)를 천장에서 해체 및 재설치한 후 브라켓(20)에 다시 체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65030호(2017.08.03.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51358호(2014.01.23.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13054호(2017.03.09.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7150호(2004.11.11 공고)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장 또는 벽체에 고정된 제1이동플레이트와, 제1이동플레이트에 일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장착된 제2이동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한 행거수단에 몸체가 설치됨으로써, 몸체가 제1이동부재와 제2이동부재를 통해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가 재조정되도록 한 위치 재조정이 가능한 라인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재조정이 가능한 라인조명장치는 측면상 상부의 수용홈, 하부의 LED 모듈 장착홈과, 수용홈의 양측 내면에 마련된 슬라이딩 안내부를 구비한 일정 길이의 몸체; 수용홈에 수용되고 하방 굴절된 양측부가 슬라이딩 안내부와 맞물리도록 슬라이딩부가 가공된 제1이동부재와, 평면상 제1이동부재의 상면이면서 양측 슬라이딩 안내부를 가로질러 가공된 끼움홀에 장착되는 제2이동부재를 구비한 행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2이동부재는 평면상 중앙에 행거볼트가 체결되도록 가공된 체결홀, 평면상 상, 하단 양측부위가 하방으로 계단 형태로 굴절된 하부끼움편과, 평면상 하부끼움편 사이에 마련된 중앙 부위의 상부끼움편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여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끼움편과 상부끼움편 사이에 끼움홀의 테두리가 끼워지고, 제2이동부재가 끼움홀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천장 또는 벽체에 고정된 제1이동부재 및 제2이동부재를 통해 몸체가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안내부는 측면상 몸체의 상단이 하방 굴절되고, 하측에 체결부가 길이 방향으로 가공되며, 이들 상단과 체결부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끼움홀은 제2이동부재가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평면상 양측 슬라이딩 안내부측 일측단부 또는 양측단부에 다른 부위보다 더 넓게 가공될 수 있다.
한편, 몸체의 개방된 양측단부에 끼워지는 엔드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엔드캡은 체결부와 체결되는 나사가 관통하도록 가공된 관통홀을 구비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1이동수단과 제2이동수단을 구비한 행거수단이 천장 또는 벽체에 고정되고, 행거수단에 몸체가 장착됨으로써, 제1이동수단에 의해 몸체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제2수단에 의해 몸체가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이로 인해 몸체가 최초 설치된 위치로부터 이동되어 위치가 재조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몸체가 최초 설계 위치에 정확히 위치되지 않더라도 몸체의 위치 재조정을 통해 보완이 가능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몸체의 위치 재조정이 가능함으로써, 몸체의 최초 설치 위치가 설계 위치에서 이탈한 경우, 행거볼트를 천장 또는 벽체에서 제거한 후 다시 고정해야 하고, 다시 몸체를 설치해야 하는 등 종래의 작업의 번거로움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몸체들을 연속하여 배치하면서 서로 맞닿아 설치하는 라인 조명장치의 경우, 종래에는 정확한 몸체의 설치 위치가 요구되고, 필요시 재작업이 요구되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몸체의 설치 위치가 일정 범위 내에 위치되면 몸체의 위치 재조정을 통해 재작업 없이 후속 작업이 진행될 수 있는 작업의 편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1이동부재의 슬라이딩부의 탄성력에 의해 '딸깍'하는 소리와 함께 제1이동부재에 몸체가 간단하게 장착됨으로써, 작업의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종래의 라인조명장치의 행거 구조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재조정이 가능한 라인조명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일부위각 확대 도시된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몸체의 끝단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행거수단이 확대 도시된 분리 사시도이다.
도 6과 도 7은 도 3에서 행거수단의 이동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몸체의 길이 방향'과 '횡방향'은 동일한 방향이고, '몸체의 폭 방향'과 '종방향'은 동일한 방향으로 기재할 수 있다. 그리고 '측면'은 엔드캡이 있는 측에서 바라보는 방향이고, '정면'은 측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이며, '평면상'은 정면에 대해 위에서 바라보는 방향이고, '측부'는 측면에서 바라보는 위치이고, '상, 하'는 평면에서 바라는 위치이다.
<구성>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재조정이 가능한 라인조명장치는 도 2와 도 3에서 보듯이, 몸체(100), 엔드캡(200)과 행거수단(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외에 몸체(100)의 상부에 체결되는 전원단자모듈(400) 및 안정기(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몸체(100)는 LED 모듈(미도시)을 수용하고, 천장 또는 벽에 고정되도록 제작된다. 이 몸체(100)는 도 3과 도 4에서 보듯이, 측면상 상부의 수용홈(110)과, 격벽(120)의 나뉜 하부의 장착홈(130)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수용홈(110)은 행거수단(300), 전원단자모듈(400) 및 안정기(500)가 수용되는 부위로, 몸체(100)의 상면을 따라 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성형될 수 있다. 이때, 수용홈(110)은 1개의 긴 홈으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에 수용홈(110)은 행거수단(300)의 이동 범위만큼의 크기와, 전원단자모듈(400)과 안정기(500)가 수용되는 크기 및 기타 구성요소가 수용되는 크기 등으로 2개 이상 가공될 수도 있다.
또한, 수용홈(110)의 내측면에는 슬라이딩 안내부(140)가 마련될 수 있다. 이 슬라이딩 안내부(140)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듯이, 몸체(100)의 길이 방향인 수용홈(110)의 내측면에 성형된다. 이 슬라이딩 안내부(140)는 수용홈(110)에 행거수단(300)이 수용된 상태에서 행거수단(300)의 슬라이딩부(311)와 맞물리고, 행거수단(300)이 이동하는 동안 슬라이딩부(311)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성형될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슬라이딩 안내부(140)는 몸체(100)의 상단이 하방 굴절되고, 후술된 엔드캡(200)의 관통홀(210)과 동심을 이루도록 가공된 체결부(150)가 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가공되며, 이들 굴절된 상단부와 체결부(150)로 인해 마련될 수 있다. 이외에 슬라이딩 안내부(140)는 맞물리는 슬라이딩부(31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별도 제작되어 수용홈(110) 내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딩 안내부(140)는 일례로 측단면상 대략 곡면의 파형 또는 굴절된 형태의 파형 형상이거나, 이외에 계단 형상을 포함한 통상의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장착홈(130)은 LED 모듈이 수용되는 곳으로, 수용홈(110)과 격벽(120)을 통해 구분될 수 있다. 이때, 격벽(120)은 측면상 몸체(100)의 중앙부위에서 길이 방향으로 성형될 수 있다.
한편, 엔드캡(200)은 몸체(100)의 양측 끝단을 마구리하는 부재이다. 이 엔드캡(200)은 몸체(100)의 양측 끝단에 장착되어 행거수단(30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고, 이웃한 몸체(100)들을 연결하는 부재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엔드캡(200)은 다수의 테두리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관통홀(210)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관통홀(210)을 통과한 나사 등을 포함한 체결부재가 몸체(100)의 수용홈(110)과 장착홈(130)의 측벽에 길이 방향으로 가공된 체결부(150)와 체결됨으로써, 엔드캡(200)이 몸체(100)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행거수단(300)은 도 3 및 도 5에서 보듯이, 몸체(100)의 수용홈(110)에 수용되면서 몸체(100)에 장착된다. 이 행거수단(300)은 제1이동부재(310)와 제2이동부재(32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이동부재(310)는 몸체(100)의 수용홈(110)에 수용되어 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이동부재(310)는 측면상 양측부가 굴절된 대략 "ㄷ"자 형상이고, 굴절된 양측부의 슬라이딩부(311)와, 평면상 대략 중앙 부위에 제2이동부재(320)가 끼워지도록 가공된 끼움홀(312)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딩부(311)는 수용홈(110)의 내측면에 가공된 슬라이딩 안내부(140)와 맞물리도록 가공될 수 있다. 즉, 슬라이딩부(311)는 슬라이딩 안내부(14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가공되고, 일례로 측면상 대략 곡면의 파형 또는 굴절된 형태의 파형 형상이면서 슬라이딩 안내부(140)에 끼워지도록 약간 외향 돌출될 수 있다. 이외에 슬라이딩부(311)는 슬라이딩 안내부(140)에 끼워질 수 있는 형상으로, 측면상 "ㄷ" 또는 "ㄴ"자 형상을 포함한 통상의 다양한 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부(311)는 외향으로 약간의 탄성이 있을 수 있고, 이로 인해 슬라이딩부(311)와 슬라이딩 안내부(140)의 체결이 탄성력에 의해 견고히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이동부재(310)는 엔드캡(200)이 제거된 상태에서 몸체(100)의 측단을 통해 길이 방향으로 끼워지면서 슬라이딩부(311)와 슬라이딩 안내부(140)가 맞물리도록 몸체(100)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서 보듯이, 제1이동부재(310)는 슬라이딩부(311)와 슬라이딩 안내부(140)의 체결에 의해 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끼움홀(312)은 상면에 평면상 양측부의 슬라이딩부(311)를 가로질러 가공될 수 있다. 또한, 끼움홀(312)은 평면상 끼움홀(312)의 슬라이딩부(311)측 양측단부 또는 일측단부가 나머지 부위보다 더 넓게 가공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끼움홀(312)에서 넓은 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가 후술된 제2이동부재(320)의 상부끼움편(323)과 하부끼움편(322) 사이에 끼워지는 끼움부(313)로 성형될 수 있다. 따라서, 끼움홀(312)의 넓은 양측단부 또는 일측단부를 통해 제2이동부재(320)가 삽입되고, 제2이동부재(320)의 상부끼움편(323)과 하부끼움편(322) 사이에 끼움부(313)가 끼워질 수 있다.
여기서, 제1이동부재(310)는 몸체(100)를 길이 방향으로만 이동할 경우에는 제2이동부재(320)가 배제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끼움홀(312) 대신 행거볼트(도 1의 30 참조)와 체결되는 홀을 구비하도록 제작하면 된다.
한편, 제2이동부재(320)는 제1이동부재(310)의 끼움홀(312)에 끼워지고, 끼움홀(312)의 길이 방향 즉, 몸체(100)의 폭 방향으로 이동하게 장착될 수 있다. 좀 더 자세하게는, 제2이동부재(320)는 평면상 중앙에 행거볼트가 체결되는 체결홀(321)이 가공되고, 상, 하단측 부위가 하방으로 계단 형태로 굴절되어 하부끼움편(322)이 마련되며, 굴절되지 않은 중앙부위에 상부끼움편(323)이 마련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때, 하부끼움편(322)과 상부끼움편(323) 사이에는 약간의 간격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부끼움편(323)과 하부끼움편(322) 사이에 제1이동부재(310)의 끼움부(313)가 끼워질 수 있다. 이로 인해, 도 7에서 보듯이, 제2이동부재(320)는 끼움홀(312)의 끼움부(313)를 따라 왕복 이동 즉, 몸체(100)의 폭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설치방법>
이하에서는, 천장 또는 벽체에 몸체(100)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행거수단(300)은 제1이동부재(310)와 제2이동부재(320)가 미리 조립된 상태이다. 그리고 천장 또는 벽체의 설치면에 몸체(100)를 고정할 가상의 선을 긋고, 행거볼트를 고정시킨 전처리 공정이 완료된 상태이다.
먼저, 천장이나 벽체에 고정된 행거볼트의 선단부에 행거수단(300)을 체결한다. 이때, 행거볼트의 선단부가 제2이동부재(320)의 체결홀(321)에 나사 체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이동부재(310)에 몸체(100)를 끼워 장착한다. 몸체(100)의 개방된 일측단부를 통해 제1이동부재(310)가 몸체(100)의 수용홈(110)에 끼워지고, 슬라이딩부(311)가 슬라이딩 안내부(140)에 탄성적으로 '딸깍'하는 소리와 함께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부(311)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딩부(311)와 슬라이딩 안내부(140)의 체결이 안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1개 또는 2개 이상의 제1이동부재(310)에 몸체(100)를 끼울 수 있다.
여기서, 몸체(100)의 끝단에는 엔드캡(200)이 장착되어 있다. 몸체(100)의 끝단에 엔드캡(200)이 끼워지고, 나사가 엔드캡(200)의 관통홀(210)을 관통하여 몸체(100)의 체결부(150)에 체결될 수 있다.
끝으로, 몸체(100)의 위치를 조정한다. 몸체(100)를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밀거나 잡아당기면 행거수단(300)의 고정된 제1이동부재(310)를 통해 몸체(100)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1이동부재(310)에 대해 제2이동부재(320)가 이동하여 궁극적으로 몸체(100)가 폭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몸체(100)가 최초 설치된 위치에서 약간의 위치 재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천장 또는 벽체에 설치된 라인조명장치는 몸체(100)의 길이 방향 및/또는 폭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위치가 재설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몸체
110:수용홈 120:격벽
130:장착홈 140:슬라이딩 안내부
150:체결부
200:엔드캡
210:관통홀
300:행거수단
310:제1이동부재 311:슬라이딩부
312:끼움홀 320:제2이동부재
321:끼움홀 322:하부끼움편
323:상부끼움편
400:전원단자모듈.
500:안정기.

Claims (6)

  1. 측면상 상부의 수용홈(110), 하부의 LED 모듈 장착홈(130)과, 수용홈(110)의 양측 내면에 마련된 슬라이딩 안내부(140)를 구비한 일정 길이의 몸체(100);와
    상기 수용홈(110)에 수용되고 하방 굴절된 양측부가 슬라이딩 안내부(140)와 맞물리도록 슬라이딩부(311)가 가공된 제1이동부재(310)과, 평면상 제1이동부재(310)의 상면이면서 양측 슬라이딩 안내부(140)를 가로질러 가공된 끼움홀(312)에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 제2이동부재(320)를 구비한 행거수단(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위치 재조정이 가능한 라인조명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제2이동부재(320)는 평면상 중앙에 행거볼트가 체결되도록 가공된 체결홀(321), 평면상 상, 하단 양측부위가 하방으로 계단 형태로 굴절된 하부끼움편(322)과, 평면상 하부끼움편(322) 사이에 마련된 중앙 부위의 상부끼움편(323)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여 제작되고,
    상기 제2이동부재(320)가 끼움홀(312)을 따라 왕복 이동하도록 하부끼움편(322)과 상부끼움편(323) 사이에 끼움홀(312)의 테두리가 끼워지고,
    천장 또는 벽체에 행거볼트를 매개로 고정된 제1이동부재(310) 및 제2이동부재(320)를 통해 몸체(100)가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이루어진 위치 재조정이 가능한 라인조명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슬라이딩 안내부(140)는 측면상 몸체(100)의 상단이 하방 굴절되고, 하측에 체결부(150)가 길이 방향으로 가공되며, 이들 상단과 체결부(150) 사이에 마련되어 이루어진 위치 재조정이 가능한 라인조명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슬라이딩부(311)는 슬라이딩 안내부(140)에 끼워지도록 일부위가 외향 돌출되어 이루어진 위치 재조정이 가능한 라인조명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끼움홀(312)은 제2이동부재(320)가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평면상 양측 슬라이딩 안내부(140)측 일측단부 또는 양측단부에 다른 부위보다 더 넓게 가공되어 이루어진 위치 재조정이 가능한 라인조명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몸체(100)의 개방된 양측단부에 끼워지는 엔드캡(2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엔드캡(200)은 체결부(150)와 체결되는 나사가 관통하도록 가공된 관통홀(21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위치 재조정이 가능한 라인조명장치.
KR1020190044132A 2019-04-16 2019-04-16 위치 재조정이 가능한 라인조명장치 KR102100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132A KR102100721B1 (ko) 2019-04-16 2019-04-16 위치 재조정이 가능한 라인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132A KR102100721B1 (ko) 2019-04-16 2019-04-16 위치 재조정이 가능한 라인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0721B1 true KR102100721B1 (ko) 2020-05-15

Family

ID=70678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4132A KR102100721B1 (ko) 2019-04-16 2019-04-16 위치 재조정이 가능한 라인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07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0173B1 (ko) * 2020-04-29 2020-10-28 주식회사 루테크 주차장용 레이스웨이의 내진 설치구조
KR102483483B1 (ko) * 2022-07-21 2022-12-30 주식회사 파인테크닉스 라인조명 클립 및 이를 포함하는 라인조명 장치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7150Y1 (ko) 2004-08-09 2004-11-11 금호전기주식회사 냉음극형광램프용 조명장치의 연결구조
JP2013069434A (ja) * 2011-09-21 2013-04-18 Panasonic Corp 照明器具
KR20130003263U (ko) * 2011-11-24 2013-06-03 희성전자 주식회사 조명등
KR101351358B1 (ko) 2013-03-05 2014-01-23 주식회사 린노 라인 타입 조명장치
KR20160003909U (ko) * 2015-05-06 2016-11-16 김진해 레이스웨이 조명 시스템
JP2016212992A (ja) * 2015-04-30 2016-12-15 コイズミ照明株式会社 照明器具および取付金具
KR101713054B1 (ko) 2015-02-03 2017-03-09 주식회사 린노 라인 타입 조명장치
KR200483716Y1 (ko) * 2017-03-23 2017-06-15 박은진 Led 모듈 장착장치
KR101765030B1 (ko) 2017-03-15 2017-08-03 이용권 펜던트 라인 조명장치용 프레임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7150Y1 (ko) 2004-08-09 2004-11-11 금호전기주식회사 냉음극형광램프용 조명장치의 연결구조
JP2013069434A (ja) * 2011-09-21 2013-04-18 Panasonic Corp 照明器具
KR20130003263U (ko) * 2011-11-24 2013-06-03 희성전자 주식회사 조명등
KR101351358B1 (ko) 2013-03-05 2014-01-23 주식회사 린노 라인 타입 조명장치
KR101713054B1 (ko) 2015-02-03 2017-03-09 주식회사 린노 라인 타입 조명장치
JP2016212992A (ja) * 2015-04-30 2016-12-15 コイズミ照明株式会社 照明器具および取付金具
KR20160003909U (ko) * 2015-05-06 2016-11-16 김진해 레이스웨이 조명 시스템
KR101765030B1 (ko) 2017-03-15 2017-08-03 이용권 펜던트 라인 조명장치용 프레임
KR200483716Y1 (ko) * 2017-03-23 2017-06-15 박은진 Led 모듈 장착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0173B1 (ko) * 2020-04-29 2020-10-28 주식회사 루테크 주차장용 레이스웨이의 내진 설치구조
KR102483483B1 (ko) * 2022-07-21 2022-12-30 주식회사 파인테크닉스 라인조명 클립 및 이를 포함하는 라인조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21368B2 (en) Edge-lit light guide panel
US11131443B2 (en) Horizontal light guide based lighting fixture
US20130235568A1 (en) Light Emitting Diode Troffer Door Assembly
KR102100721B1 (ko) 위치 재조정이 가능한 라인조명장치
JP2015032431A (ja) Led照明装置
KR20140142969A (ko) Led 천정매입등의 리플렉터 조립구조
CN105987299B (zh) 一种照明装置
CN108204574B (zh) 可调式固定结构以及照明装置
JP2016212992A (ja) 照明器具および取付金具
US10859242B2 (en) Downlight for ceiling system
KR200483716Y1 (ko) Led 모듈 장착장치
KR101046600B1 (ko) 공간활용도가 우수한 엘이디 센서등
KR101697540B1 (ko) 엘이디 조명등의 천장 고정구조
KR200486297Y1 (ko) 결합 길이가 가변 되는 후면 커버 일체형 등기구 결합 장치
EP2863116B1 (en) Inclination adjustment structure of lamp
WO2013070109A1 (ru) Система освещения
KR101931972B1 (ko) 조명장치
KR200489671Y1 (ko)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코너 조명 어셈블리
CN107461619B (zh) 灯具及其灯具组件
US20200182437A1 (en) Luminaire with Improved Assembly, Installation, and Wireless Functionality
KR101587914B1 (ko) 조명등 구조물을 재활용하는 엘이디 조명등
CN217540522U (zh) 灯盘
JP6750938B2 (ja) 照明装置及び光源ユニット
US11713856B2 (en) Lighting lamp
KR101384234B1 (ko) 광 반도체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