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8118A - 마스크 - Google Patents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8118A
KR20200138118A KR1020200164030A KR20200164030A KR20200138118A KR 20200138118 A KR20200138118 A KR 20200138118A KR 1020200164030 A KR1020200164030 A KR 1020200164030A KR 20200164030 A KR20200164030 A KR 20200164030A KR 20200138118 A KR20200138118 A KR 20200138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ion
fiber nonwoven
nonwoven fabric
mask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4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0997B1 (ko
Inventor
김금옥
원정희
이혜지
이정래
이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ublication of KR20200138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8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animal or vegetable substances, e.g. cork, bamboo, star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7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made of fibres or fila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30Non-wo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0All layers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6Vegetal fibres
    • B32B2262/062Cellulose fibres, e.g. cot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6Vegetal fibres
    • B32B2262/062Cellulose fibres, e.g. cotton
    • B32B2262/065Lignocellulosic fibres, e.g. jute, sisal, hemp, flax, bamboo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사용자의 호흡기를 덮는 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천연섬유 부직포와 합성섬유 부직포가 적층된 구조를 가지며, 적어도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내면이 천연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마스크{Mask}
본 발명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천연섬유 부직포를 이용하여 착감을 향상시키고, 내면에 친수성 소재를 사용하여 피부 감촉을 개선한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내에서 발생되는 미세먼지와 함께 중국의 산업화에 따른 화석연료의 연소 증가로 국내로 유입되는 미세먼지가 늘어나고 있어 미세먼지로의 노출이 가중되고 있다. 미세먼지는 다량의 유독성 화합물과 중금속을 포함하고 있으며, 사람이 흡입하면 심장마비, 천식, 기관지염, 폐렴, 폐암 등의 질병을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 연구에 의하면 수도권에서만 미세먼지로 인하여 연간 2만 여명의 조기사망과 폐 관련 질환이 발생하고 있다는 보고도 있다. 이러한 미세먼지의 인체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마스크를 사용한다.
이외에도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SARS)이나 최근 국내에 유행하였던 중동 호흡기 증후군(MERS), 감기 등을 유발하는 전염성 병균으로부터 감염 또는 전염을 막기 위하여 일상생활에서 착용하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
통상 이러한 마스크는 착용자의 코와 입 등의 호흡기를 덮는 본체부와, 착용자에게 마스크를 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공하는 귀걸이부로 구성된다. 일부 마스크에서는 착용시 편안함이나 마스크와 안면의 밀착을 높여 외부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코를 덮는 코부와 턱을 감싸는 턱부가 구분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일반적으로 마스크는 평면형태로 접혀 보관될 수 있도록 평평하게 제작되고, 착용 시 형상이 입체적으로 변형되면서 호흡기관 주변을 덮을 수 있다. 이러한 마스크는, 코나 입과 마스크 사이에 충분한 호흡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입체적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여러 구조가 사용되었다.
그런데 종래의 마스크는, 융착 시 고정 강도의 확보가 어려운 천연섬유 부직포를 사용하는 대신 합성섬유 부직포를 주로 사용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마스크는 합성섬유를 사용하게 됨에 따라 피부에 닿는 착감이 좋지 못하여, 불편함을 발생시킨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섬유를 사용하더라도 융착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마스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용감 및 감촉 향상을 위해 내면을 순면과 같은 셀룰로오스계의 친수성 재질로 마련하고, 내면에 흡수된 수분이 정전처리된 필터로 이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필터의 대전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마스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사용자의 호흡기를 덮는 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천연섬유 부직포와 합성섬유 부직포가 적층된 구조를 가지며, 적어도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내면이 천연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는, 적어도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내면이 상기 천연섬유 부직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천연섬유 부직포의 평량 대비 상기 합성섬유 부직포의 평량이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합성섬유 부직포의 평량은, 상기 본체부의 전체 평량 중에서 50중량부 이상을 차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합성섬유 부직포의 평량은, 상기 본체부의 전체 평량 중에서 50 내지 83중량부를 차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사용자에 착용 시 상기 천연섬유 부직포와 상기 합성섬유 부직포가 적층된 구조가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천연섬유 부직포와 상기 합성섬유 부직포 중 적어도 일부가 융착부에 의해 서로 고정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천연섬유 부직포가 서로 맞닿는 부분을 가지며, 상기 천연섬유 부직포가 서로 맞닿는 부분은, 상기 합성섬유 부직포가 용융되는 융착부에 의해 서로 고정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융착부는, 다수의 융착단위가 선의 형태로 배열되며, 선폭이 0.5mm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융착부는, 다수의 융착단위가 배열되는 형태이며, 상기 융착단위의 면적이 0.25mm2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사용자의 피부의 반대편인 외면이 합성섬유 부직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는, 외부로 노출되는 외면, 상기 외면의 내측에 마련되는 필터, 및 상기 필터의 내측에 마련되어 상기 호흡기와 마주하는 내면이 적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면은, 순면, 마, 모, 견, 레이온, 텐셀 및모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천연섬유 부직포 또는 천연 유래부직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면 및 상기 필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합성섬유 부직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사용자의 코를 덮는 코부; 및 상기 코부의 아래에 마련되며 상기 사용자의 입을 덮는 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코부와 상기 입부 사이에는, 상기 천연섬유 부직포가 서로 맞닿아 융착되는 상기 융착부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사용자의 코를 덮는 코부; 상기 코부의 아래에 마련되며 상기 사용자의 입을 덮는 입부; 및 상기 입부의 아래에 마련되며 상기 사용자의 턱을 감싸는 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턱부는, 상하로 절개되었다가 상기 천연섬유 부직포가 서로 맞닿아 융착되는 상기 융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융착부는, 선폭이 0.5mm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융착부는, 다수의 융착단위가 배열되는 형태이며, 상기 융착단위는, 합성섬유 부직포의 용융을 통한 천연섬유 부직포 간의 융착이 구현되는 부분으로서 면적이 0.25mm2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필터는, 정전처리된 필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필터와 상기 내면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내면에 흡수된 수분이 상기 필터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소수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천연섬유로 이루어진 천연섬유 부직포를 내면에 적용함으로써, 착용자가 마스크를 장시간 착용하더라도 포근한 착감을 부여해 착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고, 동시에 합성섬유 부직포의 평량 비율을 높이고 융착 크기를 한정하여 융착에 의한 고정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내면을 친수성의 재질로 하여 피부 감촉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내면에 흡수된 수분이 필터로 이전되는 것을 방지해 정화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융착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융착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융착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는, 본체부(10), 고정부(20)를 포함한다.
본체부(10)는, 사용자의 호흡기를 덮는다. 이때 본체부(10)는 좌우 중심을 기준으로 접힐 수 있게 마련되며, 본체부(10)가 접히면서 마스크(1)는 평평한 상태가 되어 보관이 편리해질 수 있다.
본체부(10)는, 코부(11), 입부(12), 턱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코부(11)는 본체부(10)의 상변을 이루며 사용자의 코를 덮는 부분으로, 좌우 중심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마스크(1)가 접힌 상태로 보관되었다가 양측이 펴지면, 코부(11)가 좌우 중심을 기준으로 둔각으로 펼쳐지면서 사용자의 콧날과 좌우 부분을 덮으면서 얼굴에 밀착되어, 이물질 등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다만 코부(11)는 콧날을 덮으면서 코 주변의 얼굴에 밀착되기 위해, 단순한 산 모양이 아닌, 곡선인 언덕 모양을 가짐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코부(11)가 이러한 모양을 유지할 수 있도록 코부(11)에는 강선(111)이 마련될 수 있다.
강선(111)은 코부(11)의 상변에 마련되거나 또는 상변에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고, 금속심에 폴리올레핀 등의 합성수지가 코팅되어 제작될 수 있지만, 강선(111)의 재질을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강선(111)은 좌우 대칭되도록 마련되며 외부 압력에 의해 형상이 변경되면 변경된 형상을 유지하는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체부(10)를 펼쳐 코부(11)를 콧날에 댄 후, 콧날 좌우에 인접한 강선(111)을 눌러 변형시켜서, 강선(111)이 콧날 주변의 얼굴 형태에 대응되도록 변형되게 할 수 있다. 이때 변형된 강선(111)에 의해 코부(11)가 얼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코부(11)의 내면에는 코스펀지(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는 강선(111)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코스펀지는 폴리우레탄 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강선(111)과 얼굴 사이에 쿠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금속 등의 경질로 이루어지는 강선(111)에 의해 얼굴에 불편한 촉감이 부여되는 것을 차단하고, 코스펀지를 통해 콧날 주변에 형성되는 굴곡에 본체부(10)가 충분히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입부(12)는, 코부(11)의 아래에 마련되며 본체부(10)의 양측변을 이루며, 사용자의 입을 덮는다. 입부(12)는 코부(11)와 일체형으로 마련되며 코부(11)와 경계선을 형성하지 않을 수 있지만, 후술할 레이어고정부(121)가 입부(12)와 코부(11)의 경계에 마련될 수는 있다.
입부(12)는 사용자의 입과 볼 등을 덮기 위해 코부(11)보다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갖도록 마련되며, 입부(12)의 양측에는 고정부(20)가 마련될 수 있다. 물론 고정부(20)는 입부(12)와 코부(11)에 걸쳐서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입부(12)에는 레이어고정부(121)가 마련된다. 레이어고정부(121)는 본체부(10)를 구성하는 레이어들을 선 등의 형태로 융착하여 그 형태가 고정되도록 한 것으로, 중앙에서 양측을 향하면서 아래로 경사진 선 형태로 융착된 부분일 수 있으며, 레이어고정부(121)는 본체부(10)가 펼쳐질 때, 절곡되는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본체부(10)가 펼쳐지면 레이어고정부(121)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가 둔각을 이루도록 펼쳐지며, 이 경우 본체부(10)가 볼 윗부분과 충분한 간격을 갖도록 이격될 수 있다. 즉 레이어고정부(121)는, 본체부(10)가 펼쳐지면 호흡기의 전방에 호흡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때 레이어고정부(121)는, 좌우 중심에는 마련되지 않을 수 있으며, 좌우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레이어고정부(121)는 좌우 중심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이는 본체부(10)가 평평하게 접힐 때 레이어고정부(121)에 의해 접힘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레이어고정부(121)는 입부(12)에 마련될 수 있고, 입부(12)와 코부(11)의 경계선에 마련되는 것으로 볼 수도 있으며, 도면에서 레이어고정부(121)는 좌우에 각각 마련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레이어고정부(121)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 레이어고정부(121)는, 본체부(10)가 펼쳐져 호흡기에 고정될 때 호흡기와 본체부(10) 사이의 호흡공간을 더욱 넓게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나 배치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부(10)의 내면은 천연섬유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본체부(10)의 외면은 합성섬유 부직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천연섬유 부직포 간에는 융착에 의한 고정에 불가능하지만, 레이어고정부(121)는 서로 적층된 천연섬유 부직포와 합성섬유 부직포를 융착하는 것이므로, 융착이 문제없이 가능하다.
턱부(13)는, 입부(12)의 아래에 마련되어 본체부(10)의 하변을 이루며 사용자의 턱을 감싼다. 턱부(13)와 입부(12) 및 코부(11)는 모두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 있으므로, 입부(12)와 턱부(13)는 경계선에 의해 구분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턱부(13)와 입부(12) 사이에는 레이어고정부(121)가 마련되거나 마련되지 않을 수 있으며, 레이어고정부(121)가 마련되지 않는 경우 턱부(13)와 입부(12)는 육안으로 구별되지 않도록 일체화되어 있을 수 있다.
턱부(13)는, 상하로 절개되었다가 접합되는 융착부(131)를 포함한다. 융착부(131)는 턱부(13)의 하변에서 좌우 중심을 기준으로 상방으로 일정 길이만큼 형성되며, 융착부(131)는 접합되기 이전에 삼각형의 모양을 이루었다가, 접합되면서 선의 모양을 이룰 수 있다.
이 경우 본체부(10)가 펼쳐지면 턱부(13)는 융착부(131)를 기준으로 좌우로 둔각을 이루도록 벌어지면서, 턱을 안정적으로 감쌀 수 있다. 이때 융착부(131)의 길이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으며, 융착부(131)가 절개 후 접합되는 방식 역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융착부(131)가 융착 등에 의해 접합될 경우, 턱부(13)에서 절개되어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변은 외측을 향하여 돌출된 후 내면이 서로 겹치게 배치되어 융착될 수 있다. 그런데 본체부(10)는 내면이 천연섬유 부직포로 이루어지므로, 융착부(131)는 천연섬유 부직포가 서로 맞닿는 부분이 된다.
이 경우 천연섬유 부직포는 용융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지만, 본 실시예는 융착부(131)의 융착 크기 등을 한정하여 천연섬유 부직포에 적층된 합성섬유 부직포의 용융이 일어나도록 하여, 합성섬유 부직포의 용융을 통한 천연섬유 부직포 간의 융착을 구현할 수 있다.
융착부(131)는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수의 융착단위(131a)가 선 등의 형태로 배열되는 형태를 갖도록 융착될 수 있다. 융착단위(131a)는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원형, 사다리꼴, 오각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융착단위(131a)에서 가장 긴 변의 길이는 융착부(131)의 선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다만 융착단위(131a)가 원형 또는 타원형일 경우, 가장 긴 지름 길이가 융착부(131)의 선폭이 될 수 있다.
융착부(131)의 선폭은, 0.5mm 이상일 수 있지만, 0.7mm 이상, 0.9mm 이상 또는 1.2mm 이상 등일 수도 있다. 또한 융착부(131)를 구성하는 융착단위(131a)는, 면적이 0.25mm2 이상일 수 있지만 0.40mm2 이상, 0.54mm2 이상 또는 1.0mm2 이상 등일 수도 있다.
융착단위(131a)의 면적이 0.25mm2 미만이거나 융착부(131)의 선폭이 0.5mm 미만일 경우 천연섬유 부직포가 맞닿는 부분에 대한 융착이 불가능하고, 가능하더라도 융착 강도가 확보되지 않아 쉽게 떨어진다.
반면 융착단위(131a)의 면적이 0.25mm2 이상이고 융착부(131)의 선폭이 0.5mm 이상일 경우 천연섬유 부직포가 서로 맞닿는 부분이라 하더라도 천연섬유 부직포에 덧대어져 있는 합성섬유 부직포가 일부 용융됨에 따라, 용융된 합성섬유 부직포에 의하여 천연섬유 부직포간의 융착이 가능할 수 있다.
다만 융착단위(131a)의 면적이 1.5mm2를 초과하거나 융착부(131)의 선폭이 1.5mm 이상이 되면, 합성섬유 부직포의 용융을 이용한 천연섬유 부직포 간의 융착은 가능할 수 있지만, 융착에 의해 단단해진 부분(융착부(131) 및 융착단위(131a))의 크기가 지나치게 커지면서 착용 시 이물감을 부여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융착단위(131a)의 면적이 0.25mm2 이상, 융착부(131)의 선폭이 0.5mm 이상이 되도록 하여, 천연섬유 부직포 간의 융착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면서, 융착단위(131a) 및 융착부(131)의 크기를 너무 크지 않게 하여 착용감을 보장할 수 있다.
이러한 한정을 통해 본 실시예는, 천연섬유 부직포가 서로 접하여 융착이 어려운 부분에 대해, 합성섬유 부직포의 용융을 통한 천연섬유 부직포 간의 융착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으면서 융착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융착에 의해 형성되는 융착부(131)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선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본 실시예는 턱부(13)에 융착부(131)를 형성할 때 얼굴에 이물감을 부여하지 않을 수 있다.
코부(11)와 입부(12) 및 턱부(13)를 포함하는 본체부(10)는, 코부(11)나 턱부(13) 등을 생략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본체부(10)는, 코부(11)와 입부(12) 및 턱부(13)가 개별적으로 마련된 후 조립되거나, 또는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본체부(10)는 상기에서 언급한 구조 외에도, 입체적인 형상을 부여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든 채용이 가능하며, 일부 다른 구조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일례로 본체부(10)는 가로 방향의 주름이 접힌 평면 형태를 갖고 있다가, 주름이 위아래로 펴지면서 입체적인 형상을 이룰 수도 있다. 또는 본체부(10)는 그 자체로 입체적인 형상을 유지하는 것일 수도 있다.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는 본체부(10)는, 천연섬유 부직포와 합성섬유 부직포가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적어도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내면은 천연섬유 부직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내면이 천연섬유 부직포로만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을 알려둔다. 일례로 내면은 천연섬유 부직포에 합성섬유 부직포가 혼섬(fiber blending)된 것을 포괄할 수 있다.
부직포는 섬유를 날실과 씨실로 구분하여 서로 교차시켜 직조하는 직포공정을 거치는 직물과 달리, 섬유를 일정한 방향 또는 부정방향 등으로 겹치게 배열한 뒤 이를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고정하는 면 부재이다. 즉 부직포는 섬유를 실로 변화하는 과정과 실을 서로 엮는 과정 등인 방적, 제직, 편조 등을 거치지 않고, 화학적 또는 기계적 방법인 접착, 융착, 포락 등으로 섬유 집합체를 결합시킨 포 형태의 물질이다.
부직포를 이루는 섬유가 합성섬유인지 또는 천연섬유인지에 따라, 부직포는 천연섬유 부직포와 합성섬유 부직포로 나뉠 수 있다. 그런데 천연섬유로 이루어지는 천연섬유 부직포는 용융이 되지 않아 융착을 사용할 수 없는 바, 종래 마스크의 재료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았다.
또는 종래 마스크의 재료로 천연섬유 부직포를 사용할 경우에는, 융착이 불가능한 점을 고려하여 바느질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는데, 이 경우 부직포는 직포공정을 거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바느질에 의한 고정 시 고정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고, 바느질 공정을 사용함에 따라 제조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천연섬유로 이루어진 천연섬유 부직포를 본체부(10)의 내면에 적용함으로써, 사용자가 마스크(1)를 착용할 때 피부에 닿는 느낌을 편안하고 부드러운 방향으로 개선할 수 있는 동시에, 본체부(10)의 내면 외의 부분에는 합성섬유 부직포를 적용하여, 본체부(10)의 내면간의 융착이나 본체부(10)의 내면과 그 외 부분의 융착이 모두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체부(10)에서 사용자의 피부의 반대편인 외면은 합성섬유 부직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체부(10)는 사용자에 착용 시 천연섬유 부직포와 합성섬유 부직포가 적층된 구조가 유지될 수 있도록, 적어도 본체부(10)의 둘레에서 천연섬유 부직포와 합성섬유 부직포가 적층된 상태로 레이어고정부(14)에 의해 서로 고정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본체부(10)는, 천연섬유 부직포로 이루어진 내면과, 합성섬유 부직포로 이루어진 외면이 레이어고정부(14)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부(10)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는 레이어가 서로 융착된 레이어고정부(14)를 가질 수 있고, 레이어고정부(14)는 다른 부분 대비 감소된 두께 및 증가된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레이어고정부(14)는 서로 맞닿게 적층된 천연섬유 부직포와 합성섬유 부직포를 융착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융착은 앞서 설명한 레이어고정부(121)와 동일/유사하지만, 천연섬유 부직포가 서로 맞닿아 융착된 융착부(131)와는 상이할 수 있다.
융착부(131)는 천연섬유 부직포가 서로 맞닿는 부분이어서, 천연섬유 부직포에 맞닿는 합성섬유 부직포를 용융시켜 천연섬유 부직포를 융착시키기 위해 융착 크기 등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한정하여야 하지만, 레이어고정부(14, 121)의 경우 서로 적층된 천연섬유 부직포와 합성섬유 부직포 간의 융착이므로, 레이어고정부(14, 121)의 융착 크기는 융착부(131)의 융착 크기와 다를 수 있다. 일례로 레이어고정부(14, 121)의 융착 크기(선폭이나 융착단위(14a, 121a)의 융착 면적 등)는 융착부(131)의 융착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본체부(10)는,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내면 전체가 천연섬유 부직포로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천연섬유 부직포의 평량 대비 합성섬유 부직포의 평량이 상대적으로 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는 레이어고정부(14, 121)의 융착보다는, 융착부(131)의 융착을 가능케 하기 위함이다.
일례로 합성섬유 부직포의 평량은, 본체부(10)의 전체 평량 중에서 50중량부 이상(일례로 50 내지 83중량부)을 차지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본체부(10)를 구성하는 레이어를 설명하는 아래 부분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체부(10)는, 적어도 셋 이상의 레이어가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본체부(10)는, 외면(101), 강성부(102), 필터(103), 내면(104)이 적층되어 이루어질 수 있고 여기서 강성부(102) 등은 생략될 수 있다.
외면(101)은 외부로 노출되며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된 스펀본드 부직포 등과 같은 합성섬유 부직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외면(101)은 평량 10gsm 내지 80gsm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지만, 외면(101)의 소재와 평량을 위와 같이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외면(101)은 외부의 이물질을 1차로 걸러내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외면(101)은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안쪽에 마련되는 외면(101)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고, 가장 바깥쪽에 마련되는 외면(101)은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된 스펀본드 부직포 등과 같은 합성섬유 부직포로 이루어지며, 평량이 10gsm 내지 70gsm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지만, 외면(101)의 소재와 평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외면(101)은, 종류가 한정되지 않는 합성섬유 부직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강성부(102)는, 본체부(10)가 펼쳐질 때 호흡기와 본체부(10) 사이에서 호흡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본체부(10)가 입체적인 형상을 유지하도록 한다.
강성부(102)는 외면(101)과 필터(103) 사이에 마련되지만 적층 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강성부(102)는 외면(101)과 필터(103) 사이 및/또는 내면(104)과 필터(103) 사이에 마련될 수도 있다.
강성부(102)는 외면(101) 등에 대응되는 크기로 마련되거나, 또는 외면(101)보다 다소 작은 크기를 가져서 외면(101)의 일부에만 적층되어 강성부(102)에 의해 마스크(1)가 접힐 때 입체성이 더욱 향상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일례로 강성부(102)는, 호흡기를 덮지만 코부(11)의 상변이나 입부(12)의 좌우변 및/또는 턱부(13)의 하변과는 이격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강성부(102)는 레이어고정부(121)의 적어도 일부와 겹치게 배치될 수 있고, 레이어고정부(121)와 함께 마스크(1)를 입체적인 형상이 되도록 하여 호흡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강성부(102)는, 스펀본드 부직포 등과 같은 합성섬유 부직포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30gsm 내지 70gsm의 평량을 가질 수 있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강성부(102)는 접힘이나 휘어짐이 가능하지만 본체부(10)보다 밀도가 높거나 강도가 높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강성부(102)는, 외면(101), 필터(103) 및 내면(104)보다 상대적으로 섬유 두께가 굵거나, 및/또는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본체부(10)가 펼쳐질 때, 강성부(102)의 둘레가 본체부(10)의 입체적인 형상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필터(103)는, 외면(101)의 내측에 마련되고, 멜트블로운(Meltblown) 부직포 등과 같은 합성섬유 부직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평량은 10gsm 내지 60gsm을 가질 수 있지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소재와 평량이 위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필터(103)는 이중 외면(101)을 관통하여 유입되는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
미세먼지와 황사 등의 오염물질은, 외면(101)과 필터(103)를 통해 걸러내지면서, 호흡기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내면(104)은, 필터(103)의 내측에 마련되어 호흡기와 마주한다. 내면(104)은 외면(101) 및 필터(103)와 달리, 순면 등과 같은 천연섬유로 만들어진 천연섬유 부직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내면(104)의 평량은 20gsm 내지 80gsm일 수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내면(104)은 본체부(10)에서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내면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순면 등의 천연섬유가 물리적 및/또는 화학적으로 결속된 천연섬유 부직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천연섬유는 식물성 섬유의 순면, 마, 동물성 섬유의 모, 견이나, 레이온(rayon), 텐셀(Tencel), 모달(Modal) 등의 천연섬유 부직포 또는 천연 유래부직포일 수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반면 내면(104) 대비 외측에 적층된 필터(103), 외면(101) 등은 합성섬유 부직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본체부(10)를 구성하는 외면(101), 필터(103) 및 내면(104) 등은, 서로 적층된 상태에서 본체부(10)의 둘레에 마련되는 레이어고정부(14) 및/또는 레이어고정부(121)에서 융착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순면과 같은 천연섬유 부직포는 용융되지 않는 반면, PP, PE, PET 등과 같은 합성섬유로 이루어진 합성섬유 부직포는 초음파 융착 시 용융이 이루어지면서 강한 결합 강도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레이어고정부(14, 121)의 경우 천연섬유 부직포와 합성섬유 부직포가 서로 적층된 부분에 대하여 융착이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융착 크기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더라도 합성섬유 부직포가 용융됨에 따라 천연섬유 부직포와 합성섬유 부직포가 적층된 구조가(일례로 본체부(10)가 사용자에 착용되기 위해 형태 변형될 시)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본체부(10)에서 융착부(131)와 같이 천연섬유 부직포가 서로 맞닿는 부분은, 천연섬유 부직포가 용융되지 않는 문제에도 불구하고, 내면(104) 외의 구성 중 적어도 일부를 합성섬유 부직포로 구성하여, 융착 과정에서 합성섬유 부직포가 용융되면서 천연섬유 부직포 간의 융착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천연섬유 부직포 간의 융착이 불가능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합성섬유 부직포의 용융을 이용할 수 있다.
즉 본체부(10)는, 천연섬유 부직포와 합성섬유 부직포가 서로 적층된 부분에 대해 레이어고정부(14, 121)를 적용하여 본체부(10)가 사용자에 착용 시 적층 구조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천연섬유 부직포가 서로 맞닿는 부분에 대해 융착 크기가 일정 이상인 융착부(131)를 적용하여 천연섬유 부직포 간의 융착이 불가능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체부(10)는 전체 평량 중 합성섬유 부직포의 평량이 천연섬유 부직포의 평량보다 상대적으로 많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내면(104)의 평량이 40gsm이고 필터(103)의 평량이 30gsm, 외면(101)의 평량이 20gsm이면, 내면(104)을 이루는 천연섬유 부직포의 평량은 본체부(10)의 전체 평량 중에서 44중량부를 차지하고, 반대로 외면(101)과 필터(103)를 이루는 합성섬유 부직포의 평량은 본체부(10)의 전체 평량 중에서 56중량부를 차지할 수 있다.
즉 본체부(10)에서 천연섬유 부직포의 평량은, 본체부(10)의 전체 평량중 50중량부 이상(일례로 50 내지 83중량부)을 차지할 수 있다. 이는 외면(101)이 복수 개이거나, 합성섬유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강성부(102)를 부가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본체부(10)를 구성하는 레이어에 대해 천연섬유 부직포의 평량 비율이 합성섬유 부직포의 평량 비율보다는 상대적으로 같거나 적게 하여, 융착 시 합성섬유 부직포의 용융을 통한 융착 강도를 보장할 수 있다.
이러한 본체부(10)의 강도(일례로 고정강도)는 아래 표와 같이 나타난다. 고정강도는 융착된 부분 중 면적 2mm*25mm에 대해 기기를 사용하여 양쪽의 클램프에 구김없는 자연 상태로 고정시킨 뒤, 20cm/min의 속도로 잡아당겨 실험하였다.
합성섬유 부직포 함량(%) 47 50 53 62 65 68
고정강도(N) 미융착 7.3 10.5 14.4 19.6 21.4
상기 표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합성섬유 부직포의 함량은 적어도 50중량부를 넘겨야 융착이 가능하며, 고정강도는 당연하게도 합성섬유 부직포의 함량이 많으면 많을수록 증가한다.
그런데 식약처 기준 '보건용 마스크의 기준 규격에 대한 가이드라인'에서, 머리끈 접합부의 인장강도의 기준은 10N으로 정의하고 있다. 이 기준을 준용하여 접합 부분의 인장강도 기준은 10N 이상일 경우 융착이 되었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합성섬유 부직포의 함량이 본체부(10)에서 53중량부 이상이 되도록 하여, 고정강도가 10N 이상이 되도록 하면서 본체부(10)의 내면에는 천연섬유 부직포를 적용해 착감을 높일 수 있다.
고정부(20)는, 본체부(10)의 양측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호흡기에 본체부(10)를 고정한다. 고정부(20)는 사용자의 머리를 두르는 밴드이거나, 또는 사용자의 귀에 걸 수 있는 귀걸이 형태 등일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고정부(20)가 귀걸이 형태임을 한정해 설명하도록 한다.
고정부(20)는, 스판덱스 등과 같이 탄성력을 갖는 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끈의 양단은, 코부(11)와 입부(12) 사이에서 본체부(10)의 양측변에 인접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20)는, 끈의 양단을 융착이나 압착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고정할 수 있고, 이때 끈의 양단이 고정된 부분을 연결부(21)라 지칭할 수 있다. 즉 고정부(20)는 연결부(21)를 기준으로 하는 폐루프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21)는 천연섬유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내면(104)까지 융착되는 부분일 수 있지만, 본체부(10)는 천연섬유 부직포보다 합성섬유 부직포의 평량 비율이 높게 되도록 하였는바, 연결부(21)는 고정 방식으로 융착을 사용하여도 문제가 없다.
이때 고정부(20)는, 입부(12)의 양측변에 마련되는 걸이부(22)에 의하여 끈의 중간 부분이 걸리게 될 수 있다. 걸이부(22)는 입부(12)의 양측변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며, 끈을 걸어 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부(20)는, 입부(12)의 양측변 상단과 하단에서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폐루프를 구성할 수 있다. 다만 끈은 고정부(20)에서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되고, 걸이부(22)에서 이동 가능하게 걸려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고정부(20)를 잡아당겨서 귀에 걸어 본체부(10)를 호흡기에 인접하게 위치시킬 수 있으며, 반대로 귀에서 고정부(20)의 걸림을 해제하여 본체부(10)를 호흡기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20)는, 도면이나 상기 내용으로 구성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체부(10)가 사용자의 호흡기를 덮도록 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고정부(20)는 본체부(10)의 둘레변에 마련되는 접착부(도시하지 않음)일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측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는, 본 실시예와 대비할 때 코부(11)와 입부(12)가 분리 제작되었다가 융착부(122)에 의해 연결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입부(12)의 상변은 코부(11)의 하변보다 상측에 위치하여, 코부(11)의 하측과 입부(12)의 상측이 중첩될 수 있다.
앞선 실시예에서의 레이어고정부(121)는 천연섬유 부직포와 합성섬유 부직포가 적층된 부분을 융착하는 것으로 천연섬유 부직포가 서로 맞닿는 부분에 대한 융착은 아닐 수 있으나, 이와 달리 본 실시예에서의 융착부(122)는, 앞선 실시예의 레이어고정부(121)와 동일/유사한 위치에 마련되는 것이라 하더라도 코부(11)의 천연섬유 부직포와 입부(12)의 천연섬유 부직포가 서로 맞닿는 부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천연섬유 부직포가 맞닿는 부분에서의 융착을 구현하기 위해, 융착부(122)의 선폭 및 융착부(122)를 구성하는 다수의 융착단위(122a)의 면적이, 앞서 언급한 융착부(131)의 선폭 및 융착부(131)를 구성하는 융착단위(131a)의 면적과 동일/유사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코부(11)와 입부(12)를 따로 제작한 뒤 융착에 의해 결합하더라도, 천연섬유 부직포 간의 융착이 불가능한 문제를 해소하여 코부(11)와 입부(12)의 결합 강도를 보장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는, 코부(11), 입부(12), 턱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며, 입부(12)의 양측에는 고정부(20)가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가 앞선 실시예들 대비 달라지는 점 위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코부(11)와 입부(12)가 서로 분리 제작되었다가, 융착부(122)에 의해 융착 고정된다는 점에서 제2 실시예와 동일/유사하다. 이때 융착부(122)는 천연섬유 부직포가 서로 맞닿는 부분일 수 있으므로, 선폭 및/또는 융착단위(122a)의 면적 등이 한정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입부(12)와 턱부(도시하지 않음) 역시 분리 제작된 후, 융착부(132)에 의하여 융착될 수 있다. 융착부(132)는 입부(12)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융착부(122)와 대칭되게 마련될 수 있으며, 다수의 융착단위(132a)가 배열되는 형태를 갖고, 융착부(132)의 선폭과 융착단위(132a)의 면적 등은 앞서 융착부(131)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유사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코부(11)의 둘레에는 레이어고정부(14)가 마련될 수 있으며, 레이어고정부(14)는 서로 맞닿도록 적층되어 코부(11)를 이루는 천연섬유 부직포와 합성섬유 부직포를 융착하는 부분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는, 본체부(10)에서 코부(11), 입부(12), 턱부(13)가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가 앞선 실시예들 대비 달라지는 점 위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부(10)는, 코부(11), 입부(12), 턱부(13)를 한꺼번에 형성하도록, 하나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본체부(10)의 둘레에는 서로 적층된 부직포들을 융착 고정하는 레이어고정부(14)가 마련되어, 본체부(10)의 형상이 유지될 수 있다.
코부(11)에는 강선(도시하지 않음)을 수용하는 공간을 구획하기 위하여 다수의 융착단위(112a)로 이루어지는 레이어고정부(112)가 마련될 수 있다. 레이어고정부(112)는 강선을 두르는 형태로 마련된다.
코부(11)의 중앙은 세로 방향으로 절개되었다가 접합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때 코부(11)의 중앙 부분에는 융착부(113)가 마련된다. 융착부(113)는 코부(11)의 중앙이 절개되었다가 내면의 천연섬유 부직포가 서로 맞닿도록 하면서 융착되는 부분으로, 코부(11)의 중앙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입부(12)의 중앙에도 코부(11)와 동일/유사하게 융착부(123)가 마련될 수 있다. 융착부(123)는 입부의 중앙이 세로 방향으로 절개되었다가 융착에 의해 접합되는 부분이며, 코부(11)의 융착부(113)와 상하로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입부(12)의 중앙과 코부(11)의 중앙은, 절개되었다가 천연섬유 부직포가 서로 맞닿도록 융착부(113, 123)에 의해 융착 고정되어, 본체부(10)가 사용자에게 착용되었을 때 호흡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턱부(13)는 입부(12)와 일체로 마련될 수 있으며, 턱부(13)의 중앙에도 세로 방향으로 절개되었다가 접합되는 융착부(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될 수 있으며, 턱부(13)에 융착부가 마련될 경우 코부(11)의 융착부(113), 입부(12)의 융착부(123), 턱부(13)의 융착부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어져서 마련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는, 제3 실시예의 마스크(1)와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제3 실시예 대비 달라지는 점 위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마스크(1)는, 코부(11)와 턱부(13)가 각각 융착부(122, 132)에 의하여 입부(12)에 융착 고정된다는 점에서 제3 실시예의 마스크(1)와 유사할 수 있다.
여기에 더하여 본 실시예의 마스크(1)는, 입부(12)에 가로 방향으로 융착되는 융착부(124)가 마련될 수 있다. 융착부(124)는 입부(12)에서 가로 방향으로 절개되었다가 접합되는 부분이거나, 또는 입부(12)의 상부와 하부가 각각 제작된 후 서로 접합되는 부분일 수 있다.
이때 융착부(124)는, 입부(12)의 좌측에서 우측까지 연속적으로 마련되는 형태일 수 있고(융착단위(124a)에 의한 끊어짐 제외), 또는 입부(12)의 좌측과 우측 사이에서 불연속적으로 마련되는 형태일 수 있다.
융착부(124)를 둠에 따라 본 실시예는, 입부(12)의 상부와 하부가 일정한 각도를 갖고 연결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본체부(10)가 입체적으로 펼쳐졌을 때 호흡 공간을 확보하면서 착용감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부(10)에서 사용자의 피부에 접하는 내면 부분이 천연섬유 부직포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착감을 높이면서도, 합성섬유 부직포의 평량 비율이 본체부(10)의 전체 평량 중 50중량부를 넘도록 하고 융착 크기를 한정하여, 천연섬유 부직포 간 융착에 의한 고정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제조 단가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는, 적어도 셋 이상의 레이어가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본체부(10)는, 외면(101), 필터(103), 소수성부(105). 내면(104)이 적층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앞선 제1 실시예와 대비할 때 소수성부(105)를 포함하며, 도면에서는 생략되었으나 본 실시예에 제1 실시예의 강성부(102)가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가 제1 실시예 대비 달라지는 점 위주로 설명하여, 설명을 생략한 부분은 앞선 내용으로 갈음한다.
본 실시예에서 필터(103)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구성으로서 정전처리된 필터(103)일 수 있다. 여기서 정전처리된 필터(103)에 수분이 유입되는 정전기능을 상실하여 필터링 효율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필터(103)는 내면(104)과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다.
후술하겠으나 내면(104)은 천연섬유 부직포를 포함하게 되어 수분을 잘 흡수하게 되며, 내면(104)에 흡수된 수분이 필터(103)로 이전되면 필터(103)의 정전기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필터(103)는, 필터(103)와 내면(104) 사이에 위치되는 소수성부(105)에 의하여 내면(104)과 이격됨에 따라, 내면(104)으로부터 수분이 전달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내면(104)은 사용자의 얼굴에 직접 맞닿을 수 있는 부분으로, 필터(103)로부터 이격되게 마련된다. 내면(104)은 감촉 향상을 위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천연섬유 부직포로 이루어지거나 천연섬유와 합성섬유가 혼섬(fiber blending)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면(104)은 스펀레이스를 제조하는 공법을 통해 제작되는 스펀레이스 부직포 등일 수 있는데, 스펀레이스 부직포는 고압의 물의 흐름으로 섬유를 엉키도록 하여 니트 제품과 조직이 유사하게 이루어진 일종의 부직포를 의미한다.
즉 내면(104)은 천연섬유와 합성섬유의 혼섬을 위해 스펀레이스가 제조되는 공법을 통해, 천연섬유 상에 합성섬유가 엉키도록 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천연섬유는 앞선 제1 실시예와 동일/유사하게 순면, 레이온, 텐셀, 모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합성섬유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등의 섬 군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천연섬유와 합성섬유의 종류는 공지된 일반적인 기술에 의해 제조된 섬유가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로 한정되지 않는다.
내면(104)이 합성섬유를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가 천연섬유에 대한 감촉을 인지할 수 있도록, 내면(104)의 천연섬유는 내면(104)의 전체 비중에서 일례로 40% 이상 포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내면(104)은 사용자에게 천연섬유의 감촉을 제공하면서도, 일정한 온도 이상의 열이 가해지는 경우 타버리는 100%의 천연섬유와 달리 합성섬유로 인해 내면(104)에 용융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앞서 설명한 융착과 동일/유사하게 내면(104)과 다른 부분간의 결합 시 또는 내면(104) 간의 결합 시 융착이 가능하므로 봉제 방법 대비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런데 내면(104)이 천연섬유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합성섬유 대비 수분을 흡수하는 능력이 높으므로, 본체부(10)에서 가장 먼저 수분을 흡수하게 된다. 이때 내면(104)의 수분 흡수량이 일정 이상 높아지면, 내면(104)으로부터 필터(103)로 수분이 이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소수성부(105)를 두어 내면(104)과 필터(103)를 이격시켜 필터(103)가 정전처리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소수성부(105)는, 필터(103)로 습기가 이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필터(103)에 맞닿게 구비된다. 이 경우 소수성부(105)에 의해 내면(104)이 필터(103)로부터 이격되게 마련된다.
소수성부(105)는 수분과의 친화력이 적은 성질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일례로 소수성부(105)는 합성섬유 부직포 등일 수 있다. 물론 소수성부(105)의 재질은 상기로 한정되지 않으며 소수성을 띠는 재질이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소수성부(105)는, 마스크(1)를 보관할 때 또는 마스크(1)를 사용할 때, 주변 환경의 습기가 내면(104)을 통해 필터(103)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소수성부(105)는, 필터(103)의 정전기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정전처리된 필터(103)와 감촉 향상 등을 위해 친수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내면(104)을 가지며, 필터(103)와 내면(104) 사이에 소수성부(105)를 마련하여 내면(104)이 흡수한 수분이 필터(103)로 이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필터(103)의 정전기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마스크(1)의 정화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상기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실시예와 공지기술을 조합하여 생성되는 새로운 실시예나, 둘 이상의 실시예들을 조합하여 생성되는 새로운 실시예 등을 모두 포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마스크 10: 본체부
101: 외면 102: 강성부
103: 필터 104: 내면
105: 소수성부 11: 코부
111: 강선 112: 레이어고정부
112a: 융착단위 113: 융착부
113a: 융착단위 12: 입부
121: 레이어고정부 121a: 융착단위
122: 융착부 122a: 융착단위
123: 융착부 123a: 융착단위
124: 융착부 124a: 융착단위
13: 턱부 131: 융착부
131a: 융착단위 132: 융착부
132a: 융착단위 133: 레이어고정부
133a: 융착단위 14: 레이어고정부
14a: 융착단위 20: 고정부
21: 연결부 22: 걸이부

Claims (10)

  1. 천연섬유 부직포와 합성섬유 부직포가 적층된 구조를 가지며, 사용자의 호흡기를 덮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마스크로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사용자의 코를 덮는 코부;
    상기 코부의 아래에 마련되며 상기 사용자의 입을 덮는 입부; 및
    상기 입부의 아래에 마련되며 상기 사용자의 턱을 감싸는 턱부를 포함하며,
    상기 턱부는 상하로 절개되었다가 상기 천연섬유 부직포가 서로 맞닿아 융착되는 융착부가 마련되며,
    상기 융착부는, 상기 천연섬유 부직포가 서로 맞닿는 부분이 상기 합성섬유 부직포의 일부가 용융되어 형성된 융착에 의해 고정되는 것인, 마스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적어도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내면이 상기 천연섬유 부직포를 포함하는 것인, 마스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부는,
    다수의 융착단위가 선의 형태로 배열되며, 선폭이 0.5mm 이상인, 마스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부는,
    다수의 융착단위가 배열되는 형태이며, 상기 융착단위의 면적이 0.25mm2 이상인, 마스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외부로 노출되는 외면, 상기 외면의 내측에 마련되는 필터, 및 상기 필터의 내측에 마련되어 상기 호흡기와 마주하는 내면이 적층되는 것인, 마스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정전처리된 필터인, 마스크.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외면과 상기 필터 사이 또는 상기 필터와 상기 내면 사이에 적층되는 강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강성부는,
    상기 사용자의 호흡기를 덮지만 상기 코부의 상변, 상기 입부의 좌우변 및 상기 턱부의 하변과는 이격되는 크기를 갖는 것인, 마스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외면, 상기 필터 및 상기 강성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합성섬유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것인, 마스크.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필터와 상기 내면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내면에 흡수된 수분이 상기 필터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소수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마스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섬유 부직포의 평량은,
    상기 본체부의 전체 평량 중에서 50중량부 이상을 차지하는 것인, 마스크.
KR1020200164030A 2016-12-26 2020-11-30 마스크 KR1022909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541 2016-12-26
KR20160179541 2016-12-26
KR1020200008117A KR102186937B1 (ko) 2016-12-26 2020-01-21 마스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8117A Division KR102186937B1 (ko) 2016-12-26 2020-01-21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8118A true KR20200138118A (ko) 2020-12-09
KR102290997B1 KR102290997B1 (ko) 2021-08-20

Family

ID=6291277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5461A KR102071041B1 (ko) 2016-12-26 2017-04-07 마스크
KR1020200008117A KR102186937B1 (ko) 2016-12-26 2020-01-21 마스크
KR1020200164030A KR102290997B1 (ko) 2016-12-26 2020-11-30 마스크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5461A KR102071041B1 (ko) 2016-12-26 2017-04-07 마스크
KR1020200008117A KR102186937B1 (ko) 2016-12-26 2020-01-21 마스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3) KR102071041B1 (ko)
CN (1) CN11007259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6701A (ko) 2021-02-15 2022-08-23 조상원 탈부착 차단커버가 구비된 비말 차단 마스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5804B1 (ko) * 2019-05-24 2019-11-04 주식회사 서울세미텍 길이 조절부가 구비된 기능성 마스크
KR102124279B1 (ko) * 2019-06-10 2020-06-17 김태식 걸이끈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마스크 및 마스크에 걸이끈을 장착하는 장치
KR102335602B1 (ko) * 2019-10-02 2021-12-03 강필식 귀걸이부 길이조절이 가능한 마스크
KR200497543Y1 (ko) * 2019-10-28 2023-12-08 이원석 일체형 자외선 차단 마스크
KR102163558B1 (ko) 2020-06-04 2020-10-08 박태현 고감성적이고 인체 유익성을 확보한 천연섬유인 실크 마스크
IT202000017491A1 (it) * 2020-07-17 2022-01-17 Gent S R L Mascherina sanitaria richiudibile, particolarmente per il filtraggio di polveri, smog, aerosol, agenti patogeni, virus e similari, e suo metodo di chiusura
KR102259546B1 (ko) * 2020-09-08 2021-06-02 코스텔(주) 입체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102557276B1 (ko) * 2020-09-25 2023-07-18 조인환 마스크의 위생보관을 위한 마스크 고정수단
KR102317119B1 (ko) * 2020-09-25 2021-10-22 김선영 마스크
KR20220099925A (ko) * 2022-06-17 2022-07-14 위드클린 주식회사 세로형 본체 패드를 가진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9493A (ja) * 1999-07-16 2001-02-06 Kanai Hiroaki マスク用蒸れ防止具
JP2004024620A (ja) * 2002-06-26 2004-01-29 Sekisui Plastics Co Ltd 布地製立体形状マスク
JP3125945U (ja) * 2006-07-27 2006-10-05 株式会社ダイセン マスク
KR101292161B1 (ko) * 2011-07-07 2013-08-08 (주)씨앤투스이지스 방진 마스크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5945B2 (ja) * 1991-09-24 2001-01-22 矢口 正満 鋼棒連結用工具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鋼棒連結方法
JP2007089797A (ja) * 2005-09-28 2007-04-12 Aroma Space:Kk 芳香発生マスク
US9770611B2 (en) * 2007-05-03 2017-09-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aintenance-free anti-fog respirator
KR20090033054A (ko) * 2007-09-27 2009-04-01 센터 헬스케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얼굴 마스크 구조
CN101889739A (zh) * 2009-05-21 2010-11-24 刘双 预防流感、保健、高能量型口罩
CN103587175B (zh) * 2013-10-16 2016-05-18 山东俊富非织造材料有限公司 口罩主体材料及口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9493A (ja) * 1999-07-16 2001-02-06 Kanai Hiroaki マスク用蒸れ防止具
JP2004024620A (ja) * 2002-06-26 2004-01-29 Sekisui Plastics Co Ltd 布地製立体形状マスク
JP3125945U (ja) * 2006-07-27 2006-10-05 株式会社ダイセン マスク
KR101292161B1 (ko) * 2011-07-07 2013-08-08 (주)씨앤투스이지스 방진 마스크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6701A (ko) 2021-02-15 2022-08-23 조상원 탈부착 차단커버가 구비된 비말 차단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072597A (zh) 2019-07-30
CN110072597B (zh) 2021-05-25
KR20180075355A (ko) 2018-07-04
KR20200010551A (ko) 2020-01-30
KR102290997B1 (ko) 2021-08-20
KR102071041B1 (ko) 2020-01-29
KR102186937B1 (ko) 2020-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6937B1 (ko) 마스크
JP7142632B2 (ja) マスク
JP4594182B2 (ja) 立体マスク
US6394090B1 (en) Flat-folded personal respiratory protection devices and processes for preparing same
US20060201513A1 (en) Flat-foldable face-mask and process of making same
JP2007021031A5 (ko)
JP2014128387A (ja) マスク
JP2014501157A (ja) 流体跳ね保護フィルタ式顔面装着呼吸マスク
KR20230155403A (ko) 마스크
JP2008093285A (ja) マスク
JP4635129B1 (ja) マスク
CN113208207B (zh) 口罩
TWI789049B (zh) 口罩
KR20170115830A (ko) 마스크
KR102379237B1 (ko) 3중 마스크
JP2016073444A (ja) マスク
JP3161074U (ja) マスク
JP3150339U (ja) マスク用液剤含浸シート及びマスク
CN212088207U (zh) 一种口罩
JP3179917U (ja) 衛生マスク
KR20180054008A (ko) 마스크
KR102541052B1 (ko) 마스크
WO2021261534A1 (ja) マスク
KR20180080861A (ko) 마스크
JP3101186U (ja) 衛生マス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