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3558B1 - 고감성적이고 인체 유익성을 확보한 천연섬유인 실크 마스크 - Google Patents

고감성적이고 인체 유익성을 확보한 천연섬유인 실크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3558B1
KR102163558B1 KR1020200067489A KR20200067489A KR102163558B1 KR 102163558 B1 KR102163558 B1 KR 102163558B1 KR 1020200067489 A KR1020200067489 A KR 1020200067489A KR 20200067489 A KR20200067489 A KR 20200067489A KR 102163558 B1 KR102163558 B1 KR 102163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skin
outer skin
silk
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7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현
Original Assignee
박태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현 filed Critical 박태현
Priority to KR1020200067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35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3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3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92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with antimicrobial ag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30Antimicrobial, e.g. antibac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Closures using straps or 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감성적이고 인체 유익성을 확보한 천연섬유인 실크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마스크 내피 및 외피의 주원단으로 실크지를 사용토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안면 피부에 닿는 내피와의 촉감을 부드럽게 하여 착용감이 우수하도록 하고, 외부에 노출되는 외피에 실크지의 고유한 고급스러움과 함께 고감성을 부여토록 하며, 항균성 및 항습성이 뛰어난 실크지로 인해 호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뿐 아니라, 사용자의 호흡에 의한 습기가 상승되지 않고 실크지를 통해 전방향으로 직진되도록 함으로써 안경 착용자의 안경표면에 습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실크지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안면을 덮는 마스크본체 형태로 마련되는 외피(10); 실크지와 코튼지의 혼방지를 사용하여 상기 외피(10)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외피(10)의 내측에 배치되어 외피(10)의 테두리 전체에 대응되어 봉제되는 속원단(20); 실크지와 코튼지의 혼방지를 사용하여 상기 속원단(20)의 내측에 배치되어 봉제되는 내피(30); 상기 내피(30)는 속원단(20)의 상,하단 테두리부와 봉제되고, 속원단(20)의 좌,우측단 테두리부가 개방되게 하여 상기 속원단(20)과 내피(30) 사이에 측면 개방형 수용공간부(92)가 형성되며, 상기 외피(10) 및 속원단(20)의 양측단부에 띠 형태로 각각 연결되어 귀에 걸림고정되는 걸이밴드(61); 상기 외피(10) 및 속원단(20) 사이의 상단 중간부측에 고정 구비되어 사용자의 콧등에 밀착되게 하는 형상조절와이어(8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감성적이고 인체 유익성을 확보한 천연섬유인 실크 마스크{Silk mask of natural fiber that is highly sensitive and secures human benefits}
본 발명은 고감성적이고 인체 유익성을 확보한 천연섬유인 실크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스크 내피 및 외피의 주원단으로 실크지를 사용토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안면 피부에 닿는 내피와의 촉감을 부드럽게 하여 착용감이 우수하도록 하고, 외부에 노출되는 외피에 실크지의 고유한 고급스러움과 함께 고감성을 부여토록 하며, 항균성 및 항습성이 뛰어난 실크지로 인해 호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뿐 아니라, 사용자의 호흡에 의한 습기가 상승되지 않고 실크지를 통해 전방향으로 직진되도록 함으로써 안경 착용자의 안경표면에 습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고감성적이고 인체 유익성을 확보한 천연섬유인 실크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는 기침이나 감기 등의 호흡기질환 발생시나 먼지 및 악취 등이 발생하는 장소에서 외부공기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피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것으로서, 착용자의 코와 입을 막아주는 직사각형태의 전면커버천과, 상기 전면커버천의 양측에 연결되어 상기 전면커버천을 착용자의 양쪽 귀에 걸어주기 위한 연결끈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마스크의 전면커버천은 면직물로 제작되며 그에 따라 착용자의 호흡으로 인해 배출되는 공기가 면직물을 지나면서 냉각되어져 면직물에는 김서림 등의 성애가 발생되고, 이 때 발생된 수분이 면직물에 흡수되고 동시에 더운 공기가 외부의 찬 공기와 만나면서 온도차로 인해 생성되는 수분 및 입김 자체의 수분이 전면커버천의 순면사에 직접 흡수되어 상기 전면커버천에는 물막이 형성된다.
상기 전면커버천에 형성된 물막은 공기의 유동을 방지하여 마스크의 통기성을 저하시키고, 그로 인해 착용자가 호흡하는데 불편함을 느끼게 되어 착용을 기피하게 되며, 무엇보다 면직물 자체의 흡수성으로 인하여 전면커버천에는 수분이 많아지게 되고 그로 인해 쉽게 건조가 되지 않아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에는 호흡의 곤란성이 가중될 뿐만 아니라 위생에도 부정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특히, 사막과 같은 미세한 모래 알갱이들이 많은 환경에서 면직물로 이루어진 마스크를 착용할 경우에는 방습성 및 통기성이 불량하여 착용자가 불쾌감을 느낄뿐만 아니라, 호흡이 더욱 곤란해지고, 면직물 자체의 특성상 미세한 모래 알갱이들이 걸러지지 않고 입안에까지 들어가게 되므로 마스크로서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10-2020-0010551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마스크 내피 및 외피의 주원단으로 실크지를 사용토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안면 피부에 닿는 내피와의 촉감을 부드럽게 하여 착용감이 우수하도록 하고, 외부에 노출되는 외피에 실크지의 고유한 고급스러움과 함께 고감성을 부여토록 하며, 항균성 및 항습성이 뛰어난 실크지로 인해 호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뿐 아니라, 사용자의 호흡에 의한 습기가 상승되지 않고 실크지를 통해 전방향으로 직진되도록 함으로써 안경 착용자의 안경표면에 습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고감성적이고 인체 유익성을 확보한 천연섬유인 실크 마스크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위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감성적이고 인체 유익성을 확보한 천연섬유인 실크 마스크(A)를 구성함에 있어서, 실크지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안면을 덮는 마스크본체 형태로 마련되는 외피(10); 실크지와 코튼지의 혼방지를 사용하여 상기 외피(10)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외피(10)의 내측에 배치되어 외피(10)의 테두리 전체에 대응되어 봉제되는 속원단(20); 실크지를 사용하여 상기 속원단(20)의 내측에 배치되어 봉제되는 내피(30); 상기 내피(30)는 속원단(20)의 상,하단 테두리부와 봉제되고, 속원단(20)의 좌,우측단 테두리부가 개방되게 하여 상기 속원단(20)과 내피(30) 사이에 측면 개방형 수용공간부(92)가 형성되며, 상기 외피(10) 및 속원단(20)의 양측단부에 띠 형태로 각각 연결되어 귀에 걸림고정되는 걸이밴드(61); 상기 외피(10) 및 속원단(20) 사이의 상단 중간부측에 고정 구비되어 사용자의 콧등에 밀착되게 하는 형상조절와이어(8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속원단(20)과 내피(30) 사이에 형성된 측면 개방형 수용공간부(92) 내에 주변 대기환경에 대응하여 KF-94, KF-80 또는 필터용부직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필터원단(50)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끼워 사용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내피(30)의 양측단부는 속원단(20)의 양측단부 보다 10∼17㎜ 짧게 형성되게 하여 마스크(A)의 내측에서 관측시 속원단(20)의 양측단부가 10∼17㎜에 해당되는 이격간격부(w) 만큼 외부 노출되게 하고, 상기 필터원단(50)을 수용공간부(92) 내에 끼움 시 필터원단(50)의 초입단부를 이격간격부(w)에 안착시킨 후 밀어넣는 구조로 사용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수용공간부(92) 내에 필터원단(50)의 끼움 시, 상기 필터원단(50)의 가로방향 양단부가 이격간격부(w) 상에 노출되도록 필터원단(50)의 가로방향 길이를 설정하여 제조사용함으로써 수용공간부(92) 내에 필터원단(50)의 삽입유무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형상조절와이어(81)는 항균 기능을 갖는 동(Cu)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외피(10)의 외부표면에 라미네이팅 가공하여 주변인의 호흡기 비말(飛沫)이 외피(10)의 내측으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라미네이팅 가공 처리된 외피(10) 상의 하부측에 숨구멍용 통공(9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감성적이고 인체 유익성을 확보한 천연섬유인 실크 마스크를 제공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은, 고감성적이고 인체 유익성을 확보한 천연섬유인 실크 마스크(A)를 구성함에 있어서, 실크지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안면을 덮는 마스크본체 형태로 마련되는 외피(10); 실크지와 코튼지의 혼방지를 사용하여 상기 외피(10)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외피(10)의 내측에 배치되어 외피(10)의 테두리 전체에 대응되어 봉제되는 속원단(20); 실크지와 코튼지의 혼방지를 사용하여 상기 속원단(20)의 내측에 배치되어 봉제되는 내피(30); 상기 내피(30)는 속원단(20)의 상,하단 테두리부와 봉제되고, 속원단(20)의 좌,우측단 테두리부가 개방되게 하여 상기 속원단(20)과 내피(30) 사이에 측면 개방형 수용공간부(92)가 형성되며, 상기 외피(10) 및 속원단(20)의 양측단부에 띠 형태로 각각 연결되어 귀에 걸림고정되는 걸이밴드(61); 상기 외피(10) 및 속원단(20) 사이의 상단 중간부측에 고정 구비되어 사용자의 콧등에 밀착되게 하는 형상조절와이어(8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속원단(20)과 내피(30) 사이에 형성된 측면 개방형 수용공간부(92) 내에 주변 대기환경에 대응하여 KF-94, KF-80 또는 필터용부직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필터원단(50)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끼워 사용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내피(30)의 양측단부는 속원단(20)의 양측단부 보다 10∼17㎜ 짧게 형성되게 하여 마스크(A)의 내측에서 관측시 속원단(20)의 양측단부가 10∼17㎜에 해당되는 이격간격부(w) 만큼 외부 노출되게 하고, 상기 필터원단(50)을 수용공간부(92) 내에 끼움 시 필터원단(50)의 초입단부를 이격간격부(w)에 안착시킨 후 밀어넣는 구조로 사용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수용공간부(92) 내에 필터원단(50)의 끼움 시, 상기 필터원단(50)의 가로방향 양단부가 이격간격부(w) 상에 노출되도록 필터원단(50)의 가로방향 길이를 설정하여 제조사용함으로써 수용공간부(92) 내에 필터원단(50)의 삽입유무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형상조절와이어(81)는 항균 기능을 갖는 동(Cu)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외피(10)의 외부표면에 라미네이팅 가공하여 주변인의 호흡기 비말(飛沫)이 외피(10)의 내측으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라미네이팅 가공 처리된 외피(10) 상의 하부측에 숨구멍용 통공(9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감성적이고 인체 유익성을 확보한 천연섬유인 실크 마스크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마스크 내피 및 외피의 주원단으로 실크지를 사용토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안면 피부에 닿는 내피와의 촉감을 부드럽게 하여 착용감이 우수하도록 하고, 외부에 노출되는 외피에 실크지의 고유한 고급스러움과 함께 고감성을 부여토록 하며, 항균성 및 항습성이 뛰어난 실크지로 인해 호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호흡에 의한 습기가 상승되지 않고 실크지를 통해 전방향으로 직진되도록 함으로써 안경 착용자의 안경표면에 습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고감성적이고 인체 유익성을 확보한 천연섬유인 실크 마스크의 전면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실크 마스크의 후면 사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실크 마스크의 적층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실크 마스크의 적층 구성을 나타낸 분리상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실크 마스크의 내피와 속원단 사이에 형성된 수용공간부의 예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실크 마스크의 수용공간부에 필터원단이 삽입된 상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실크 마스크의 다른 실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고감성적이고 인체 유익성을 확보한 천연섬유인 실크 마스크 제조방법의 순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마스크 내피 및 외피의 주원단으로 실크지를 사용토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안면 피부에 닿는 내피와의 촉감을 부드럽게 하여 착용감이 우수하도록 하고, 외부에 노출되는 외피에 실크지의 고유한 고급스러움과 함께 고감성을 부여토록 하며, 항균성 및 항습성이 뛰어난 실크지로 인해 호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뿐 아니라, 사용자의 호흡에 의한 습기가 상승되지 않고 실크지를 통해 전방향으로 직진되도록 함으로써 안경 착용자의 안경표면에 습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고감성적이고 인체 유익성을 확보한 천연섬유인 실크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보면 외피(10), 속원단(20), 내피(30), 걸이밴드(61) 및 형상조절와이어(8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고감성적이고 인체 유익성을 확보한 천연섬유인 실크 마스크(A)를 구성하기 위해 먼저 도 1에서와 같이 외피(10)가 마련된다. 상기 외피(10)는 실크(silk)지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안면을 덮는 마스크본체 형태로 마련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외피(10)를 구성하는 실크(silk)지는 누에에서 얻어 내는 천연섬유로서 물과 단백질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는 친환경적 섬유이며, 광택섬유로서 외관이 미려하고 화려하여 주로 고급의류 소재로 사용되고 있고, 촉감이 우수하여 주로 속옷, 잠옷 등의 제작에 사용되고 있으며, 열을 전달하기 어렵고 피부에 따듯한 감을 느끼게 하므로 피부 보온성이 뛰어나다. 그리고, 항균 및 항습의 효과가 뛰어난 효과를 가지고 있다.
상기 외피(10)를 마련한 다음, 실크(silk)지와 코튼(cotton)지의 혼방지를 사용하여 상기 외피(10)와 동일한 크기로 속원단(20)을 마련한다. 상기 속원단(20)은 도 2에서와 같이 외피(10)의 내측에 배치되어 외피(10)의 테두리 전체에 대응되어 봉제된다.
이때, 상기 속원단(20)을 구성하는 코튼(cotton)지는 섬유 중에서 가장 대량으로 생산되며 튼튼하다. 특히 습할 때에 강도가 불어나므로 세탁에 강하고 보온성과 방서성에도 뛰어나며, 또한 수분이 증발할 때에 열을 빼앗으므로 여름 의류에 최적화 되어 있다.
상기 속원단(20)은 상기한 특성을 갖는 실크(silk)지와 코튼(cotton)지를 혼방(mixed spinning) 제조한 것이며, 이러한 속원단(20)은 내구성이 약한 실크지 만으로 된 외피(10)의 형태를 잡아주는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외피(10)와 함께 실크지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외피(10)와 속원단(20)이 마련되면,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내피(30)를 마련한다. 상기 내피(30)는 외피(10)와 동일한 실크지를 사용하여 상기 속원단(20)의 내측에 배치되어 봉제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내피(30)는 속원단(20)과 동일한 실크지와 코튼지의 혼방지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상기 내피(30)와 속원단(20)을 동일한 실크지와 코튼지의 혼방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속원단(20)은 내구성이 약한 실크지 만으로 된 외피(10)의 형태를 잡아주는 기능이 크게 기대되고, 상기 내피(30)는 외피(10)와 동일한 피부촉감, 보온성, 항균 및 항습의 효과의 기능이 크게 기대된다.
그러므로, 상기 속원단(20)의 실크지와 코튼지 혼합비율은 3:7∼4:6이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이와 반대로 상기 내피(30)의 실크지와 코튼지 혼합비율은 6:4∼7:3이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피(10), 속원단(20) 및 내피(40)에 모두 실크지를 사용하도록 하였다. 실크지는 항균성 및 항습성이 뛰어나 사용자의 호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뿐 아니라, 원단 자체에 항상 수분을 머금고 있어 사용자가 호흡을 하면서 숨을 뱉어 내면 이때 발생되는 수분을 실크지가 흡수하여 그 즉시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즉, 사용자의 호흡에 의한 습기가 상승되지 않고 실크지를 통해 전방향으로 직진되므로써 안경 착용자의 경우 안경표면에 습기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내피(40)의 경우 사용자의 안면 피부에 닿는 촉감을 부드럽게 함으로써 우수한 착용감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외피(10)의 경우에는 실크지 자체가 고급스러움을 지니고 있음과 아울러, 표면에 문양을 형성하면 고급스러움에 더하여 고감성을 느낄 수 있게 할 수 있다.
상기 외피(10)와 속원단(20)은 상술된 바처럼 테두리 전체에 대응되어 봉제되도록 구성되나, 도 3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내피(30)는 속원단(20)의 상,하단 테두리부와 봉제되고, 속원단(20)의 좌,우측단 테두리부가 개방되게 하여 상기 속원단(20)과 내피(30) 사이에 측면 개방형 수용공간부(92)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속원단(20)과 내피(30) 사이에 형성된 측면 개방형 수용공간부(92) 내에는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주변 대기환경에 대응하여 KF-94, KF-80 또는 필터용부직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필터원단(50)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끼워 사용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필터원단(50)의 사용예로서, 미세먼지가 있는 기후조건에서는 KF-94, KF-80 또는 필터용부직포 중 어느 하나를 끼워 외피(10), 속원단(20), 필터원단(50) 및 내피(40)의 4겹으로 마스크(A)를 사용하면 되며, 미세먼지 등이 없는 경우에는 필터원단(50)을 사용하지 않고 외피(10), 속원단(20) 및 내피(40)의 3겹으로 마스크(A)를 사용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원단(50)을 수용공간부(92)에 끼움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내피(30)의 양측단부는 속원단(20)의 양측단부 보다 10∼17㎜ 짧게 형성되게 하여 마스크(A)의 내측에서 관측시 속원단(20)의 양측단부가 10∼17㎜에 해당되는 이격간격부(w) 만큼 외부 노출되게 하고,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필터원단(50)을 수용공간부(92) 내에 끼움 시 필터원단(50)의 초입단부를 이격간격부(w)에 안착시킨 후 밀어넣는 구조로 사용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수용공간부(92) 내에 필터원단(50)의 끼움 시,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필터원단(50)의 가로방향 양단부가 이격간격부(w) 상에 노출되도록 필터원단(50)의 가로방향 길이를 설정하여 제조사용함으로써 수용공간부(92) 내에 필터원단(50)의 삽입유무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사용 편리성을 고려하였을때 바람직하다.
한편,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외피(10) 및 속원단(20)의 양측단부에 띠 형태로 각각 연결되어 귀에 걸림고정되는 걸이밴드(61)가 구비된다. 상기 걸이밴드(61)는 띠 형태로서 탄력을 가진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마스크(A)의 장시간 사용되어 걸림되는 사용자의 귀가 아프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면에 상세하게 표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외피(10) 및 속원단(20) 사이의 상단 중간부측에 고정 구비되어 사용자의 콧등에 밀착되게 하는 형상조절와이어(81)가 구비된다.
상기 형상조절와이어(81)는 종래에 주로 1회 용도로 사용되는 마스크(A)의 특성을 고려하여 가격이 저렴하면서 제조 사용이 간편한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을 사용하여 왔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실크지를 사용한 고급스럽고 고감성적인 마스크(A)를 제조하기 위해 상기 형상조절와이어(81)는 항균 기능을 갖는 동(Cu) 재질로 형성되도록 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외피(10)의 외부표면에 라미네이팅 가공하여 주변인의 호흡기 비말(飛沫)이 외피(10)의 내측으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피(10)에 라미네이팅 가공 처리되면 사용자의 호흡이 곤란하게 되므로 외피(10) 상의 하부측에 숨구멍용 통공(95)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숨구멍용 통공(95)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도 8의 (a)에서와 같이 외피(10) 상의 하부측에 다수개의 숨구멍용 통공(95)을 상호 이격되게 형성할 수 있고, 도 8의 (b)에서와 같이 외피(10)를 상부체(10a)와 하부체(10b)와 구획한 다음, 상부체(10a)가 하부체(10b)의 상부로 포개지도록 하여 그 사이에 숨구멍용 통공(95)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고감성적이고 인체 유익성을 확보한 천연섬유인 실크 마스크의 제조방법은 도 8을 참고하여 살펴 보면, 실크지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안면을 덮는 마스크본체 형태로 외피(10)를 마련하는 단계(S1); 실크지와 코튼지의 혼방지를 사용하여 상기 외피(10)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외피(10)의 내측에 배치되어 외피(10)의 테두리 전체에 대응되어 봉제되는 속원단(20)을 마련하는 단계(S2); 실크지, 또는 실크지와 코튼지의 혼방지를 사용하여 상기 속원단(20)의 내측에 배치되어 봉제되는 내피(30)를 마련하는 단계(S3); 상기 내피(30)는 속원단(20)의 상,하단 테두리부와 봉제되고, 속원단(20)의 좌,우측단 테두리부가 개방되게 하여 상기 속원단(20)과 내피(30) 사이에 측면 개방형 수용공간부(92)가 형성되게 하며, 상기 외피(10) 및 속원단(20)의 양측단부에 띠 형태로 각각 연결되어 귀에 걸림고정되는 걸이밴드(61)를 마련하는 단계(S4); 상기 외피(10) 및 속원단(20) 사이의 상단 중간부측에 고정 구비되어 사용자의 콧등에 밀착되게 하며, 항균 기능을 갖는 동(Cu) 재질로 형성되는 형상조절와이어(81)를 마련하는 단계(S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속원단(20)과 내피(30) 사이에 형성된 측면 개방형 수용공간부(92) 내에 주변 대기환경에 대응하여 KF-94, KF-80 또는 필터용부직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필터원단(50)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끼워 사용하도록 하고, 상기 내피(30)의 양측단부는 속원단(20)의 양측단부 보다 10∼17㎜ 짧게 형성되게 하여 마스크(A)의 내측에서 관측시 속원단(20)의 양측단부가 10∼17㎜에 해당되는 이격간격부(w) 만큼 외부 노출되게 하고, 상기 필터원단(50)을 수용공간부(92) 내에 끼움 시 필터원단(50)의 초입단부를 이격간격부(w)에 안착시킨 후 밀어넣는 구조로 사용하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부(92) 내에 필터원단(50)의 끼움 시, 상기 필터원단(50)의 가로방향 양단부가 이격간격부(w) 상에 노출되도록 필터원단(50)의 가로방향 길이를 설정하여 제조사용함으로써 수용공간부(92) 내에 필터원단(50)의 삽입유무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고감성적이고 인체 유익성을 확보한 천연섬유인 실크 마스크에 의하면 마스크 내피 및 외피의 주원단으로 실크지를 사용토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안면 피부에 닿는 내피와의 촉감을 부드럽게 하여 착용감이 우수하도록 하고, 외부에 노출되는 외피에 실크지의 고유한 고급스러움과 함께 고감성을 부여토록 하며, 항균성 및 항습성이 뛰어난 실크지로 인해 호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뿐 아니라, 사용자의 호흡에 의한 습기가 상승되지 않고 실크지를 통해 전방향으로 직진되도록 함으로써 안경 착용자의 안경표면에 습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외피 20 : 속원단
30 : 내피 61 : 걸이밴드
81 : 형상조절와이어 92 : 수용공간부

Claims (10)

  1. 고감성적이고 인체 유익성을 확보한 천연섬유인 실크 마스크(A)를 구성함에 있어서,
    실크지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안면을 덮는 마스크본체 형태로 마련되는 외피(10);
    실크지와 코튼지의 혼방지를 사용하여 상기 외피(10)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외피(10)의 내측에 배치되어 외피(10)의 테두리 전체에 대응되어 봉제되는 속원단(20);
    실크지를 사용하여 상기 속원단(20)의 내측에 배치되어 봉제되는 내피(30); 상기 내피(30)는 속원단(20)의 상,하단 테두리부와 봉제되고, 속원단(20)의 좌,우측단 테두리부가 개방되게 하여 상기 속원단(20)과 내피(30) 사이에 측면 개방형 수용공간부(92)가 형성되며,
    상기 외피(10) 및 속원단(20)의 양측단부에 띠 형태로 각각 연결되어 귀에 걸림고정되는 걸이밴드(61);
    상기 외피(10) 및 속원단(20) 사이의 상단 중간부측에 고정 구비되어 사용자의 콧등에 밀착되게 하는 형상조절와이어(8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속원단(20)과 내피(30) 사이에 형성된 측면 개방형 수용공간부(92) 내에 주변 대기환경에 대응하여 KF-94, KF-80 또는 필터용부직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필터원단(50)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끼워 사용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내피(30)의 양측단부는 속원단(20)의 양측단부 보다 10∼17㎜ 짧게 형성되게 하여 마스크(A)의 내측에서 관측시 속원단(20)의 양측단부가 10∼17㎜에 해당되는 이격간격부(w) 만큼 외부 노출되게 하고, 상기 필터원단(50)을 수용공간부(92) 내에 끼움 시 필터원단(50)의 초입단부를 이격간격부(w)에 안착시킨 후 밀어넣는 구조로 사용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수용공간부(92) 내에 필터원단(50)의 끼움 시, 상기 필터원단(50)의 가로방향 양단부가 이격간격부(w) 상에 노출되도록 필터원단(50)의 가로방향 길이를 설정하여 제조사용함으로써 수용공간부(92) 내에 필터원단(50)의 삽입유무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형상조절와이어(81)는 항균 기능을 갖는 동(Cu)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외피(10)의 외부표면에 라미네이팅 가공하여 주변인의 호흡기 비말(飛沫)이 외피(10)의 내측으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라미네이팅 가공 처리된 외피(10) 상의 하부측에 숨구멍용 통공(9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감성적이고 인체 유익성을 확보한 천연섬유인 실크 마스크.
  2. 고감성적이고 인체 유익성을 확보한 천연섬유인 실크 마스크(A)를 구성함에 있어서,
    실크지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안면을 덮는 마스크본체 형태로 마련되는 외피(10);
    실크지와 코튼지의 혼방지를 사용하여 상기 외피(10)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외피(10)의 내측에 배치되어 외피(10)의 테두리 전체에 대응되어 봉제되는 속원단(20);
    실크지와 코튼지의 혼방지를 사용하여 상기 속원단(20)의 내측에 배치되어 봉제되는 내피(30); 상기 내피(30)는 속원단(20)의 상,하단 테두리부와 봉제되고, 속원단(20)의 좌,우측단 테두리부가 개방되게 하여 상기 속원단(20)과 내피(30) 사이에 측면 개방형 수용공간부(92)가 형성되며,
    상기 외피(10) 및 속원단(20)의 양측단부에 띠 형태로 각각 연결되어 귀에 걸림고정되는 걸이밴드(61);
    상기 외피(10) 및 속원단(20) 사이의 상단 중간부측에 고정 구비되어 사용자의 콧등에 밀착되게 하는 형상조절와이어(8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속원단(20)과 내피(30) 사이에 형성된 측면 개방형 수용공간부(92) 내에 주변 대기환경에 대응하여 KF-94, KF-80 또는 필터용부직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필터원단(50)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끼워 사용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내피(30)의 양측단부는 속원단(20)의 양측단부 보다 10∼17㎜ 짧게 형성되게 하여 마스크(A)의 내측에서 관측시 속원단(20)의 양측단부가 10∼17㎜에 해당되는 이격간격부(w) 만큼 외부 노출되게 하고, 상기 필터원단(50)을 수용공간부(92) 내에 끼움 시 필터원단(50)의 초입단부를 이격간격부(w)에 안착시킨 후 밀어넣는 구조로 사용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수용공간부(92) 내에 필터원단(50)의 끼움 시, 상기 필터원단(50)의 가로방향 양단부가 이격간격부(w) 상에 노출되도록 필터원단(50)의 가로방향 길이를 설정하여 제조사용함으로써 수용공간부(92) 내에 필터원단(50)의 삽입유무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형상조절와이어(81)는 항균 기능을 갖는 동(Cu)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외피(10)의 외부표면에 라미네이팅 가공하여 주변인의 호흡기 비말(飛沫)이 외피(10)의 내측으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라미네이팅 가공 처리된 외피(10) 상의 하부측에 숨구멍용 통공(9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감성적이고 인체 유익성을 확보한 천연섬유인 실크 마스크.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00067489A 2020-06-04 2020-06-04 고감성적이고 인체 유익성을 확보한 천연섬유인 실크 마스크 KR102163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489A KR102163558B1 (ko) 2020-06-04 2020-06-04 고감성적이고 인체 유익성을 확보한 천연섬유인 실크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489A KR102163558B1 (ko) 2020-06-04 2020-06-04 고감성적이고 인체 유익성을 확보한 천연섬유인 실크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3558B1 true KR102163558B1 (ko) 2020-10-08

Family

ID=72897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7489A KR102163558B1 (ko) 2020-06-04 2020-06-04 고감성적이고 인체 유익성을 확보한 천연섬유인 실크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35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368Y1 (ko) * 2020-10-30 2021-09-27 김형욱 항균 마스크
KR20220045100A (ko) 2020-10-04 2022-04-12 공석태 안경서림방지 및 호흡 반사방지 마스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569Y1 (ko) * 2003-05-06 2003-07-28 김기택 실크마스크
KR100907991B1 (ko) * 2008-07-25 2009-07-16 오화숙 자외선 차단을 위한 마스크를 포함하는 가리개
KR20200010551A (ko) 2016-12-26 2020-01-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마스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569Y1 (ko) * 2003-05-06 2003-07-28 김기택 실크마스크
KR100907991B1 (ko) * 2008-07-25 2009-07-16 오화숙 자외선 차단을 위한 마스크를 포함하는 가리개
KR20200010551A (ko) 2016-12-26 2020-01-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마스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5100A (ko) 2020-10-04 2022-04-12 공석태 안경서림방지 및 호흡 반사방지 마스크
KR200494368Y1 (ko) * 2020-10-30 2021-09-27 김형욱 항균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10690U (ja) モジュール式フェイスマスク
US5701892A (en) Multipurpose face mask that maintains an airspace between the mask and the wearer's face
KR100614184B1 (ko) 다기능 헤어웨어
KR102163558B1 (ko) 고감성적이고 인체 유익성을 확보한 천연섬유인 실크 마스크
KR101114539B1 (ko) 이중 헤어웨어
CN208558477U (zh) 一种新型竹节纱面料
KR20150047776A (ko) 형상 유지 기능을 가진 기능성 마스크
KR20170098047A (ko) 헤어웨어
KR200449026Y1 (ko) 땀 흡수 패드 및 이를 부착한 상의
JP2001037894A (ja) マスク
KR101937168B1 (ko) 수면 안대
KR20210109811A (ko) 부직포와 스탬플러를 이용한 간편 일회용 마스크 제조 방법
CN205588705U (zh) 一种服装材料
CN212021856U (zh) 一种舒适型抗菌仿兔绒面料
CN210248402U (zh) 一种透气抗菌衬衫及制作该衬衫的麻棉磨毛衬衫布
CN218535849U (zh) 一种轻薄透气功能面料
CN210970155U (zh) 一种保暖透气透湿的面料
CN212472685U (zh) 一种高弹性防水面料
CN220966460U (zh) 一种凉爽抗菌的定制服装
CN211616924U (zh) 一种防紫外线透气仿水貂绒面料
CN211106018U (zh) 一种透气耐磨性弹性面料
CN216400747U (zh) 一种具有防水功能的麂皮绒面料
CN214854422U (zh) 一种透气抗菌的多功能短袖t恤
CN213307491U (zh) 一种具有吸湿排汗和抗菌除臭功能的毛衫
CN209749843U (zh) 一种便于散热透气的服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