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7119B1 - 마스크 - Google Patents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7119B1
KR102317119B1 KR1020200124450A KR20200124450A KR102317119B1 KR 102317119 B1 KR102317119 B1 KR 102317119B1 KR 1020200124450 A KR1020200124450 A KR 1020200124450A KR 20200124450 A KR20200124450 A KR 20200124450A KR 102317119 B1 KR102317119 B1 KR 102317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ing
piece
hanbok
filter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4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영
Original Assignee
김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영 filed Critical 김선영
Priority to KR1020200124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71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7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7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1D13/113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with a vertical fold or wel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20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개시된 마스크는, 한복지로 제작된 겉감부(100); 오가닉면(organic cotton)으로 제작되어 상기 겉감부(100)의 안쪽면에 결합되는 안감부(200); 및 상기 겉감부(10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결합된 귀걸이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겉감부(100)는 겉감 좌측피스(120a)와 겉감 우측피스(120b)를 포함하고, 상기 겉감 좌측피스(120a)와 상기 겉감 우측피스(120b)는, 전방 곡선 라인부들(122a, 122b)이 사람 얼굴의 정중선과 대응되는 중앙라인(110)을 형성하도록 재봉되되, 각각이 두겹 이상의 한복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마스크{mask}
본 발명은, 착용자의 코와 입을 가려 공기 중의 먼지, 바이러스, 세균 등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비말이 코와 입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본견 또는 인견과 같은 한복지를 마스크의 겉감으로 이용하여, 코와 입 주위를 덮는 부분이 버선코 모양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코로나 바이러스와 같은 감염병 유행으로 인해 마스크에 수요가 급격하게 늘어난 바 있으며, 이 때문에, 마스크 공급량이 수요량에 비해 크게 부족해지는 심각한 사태가 벌어진 바 있다. 또한, 감염병 유행이 단기간에 끝나지 않고 장기간 지속됨으로 인하여, 마스크를 착용하는 기간이 증가하고, 더 나아가, 마스크 착용이 생활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기존의 일반적인 황사 마스크는 통풍성이 좋지 않고 외관이 나빠 사람들이 착용을 꺼리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기존 황사 마스크는 금속 와이어 또는 금속 스트립을 이용하여 코 주위를 덮는 부분 형태를 유지시키는데, 금속 와이어 또는 금속 스트립이 착용자의 코 주변을 강하게 압박하여 아픔을 초래하는 경우가 많다. 한편, 천 마스크는 통풍성이 상대적으로 우수하지만, 착용자의 코 주위에 대응되는 부분에 오목한 형상을 형성하거나 유지하기 어렵고, 여전히 외관이 나빠 사람들이 잘 선호하지 않는다. 또한, 기존 마스크들은 착용자의 피부에 땀과 함께 달라 붙어 불쾌감을 초래할 우려가 컸다.
이에 대하여, 종래에는 인견 소재의 외측 커버부와 인견 소재의 내측 커버부를 결합하여 외측 커버부와 내측 커버부 사이에 필터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한 마스크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마스크는, 기존 황사 마스크와 마찬가지로 코를 덮는 부분에 금속와이어로 된 형상유지핀을 이용하므로, 형상유지핀에 의해 코 부분이 눌려 아픔을 초래하게 하는 기존 황사 마스크의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며, 피부와 닿는 부분이 까끌까끌하고 침에 의해 오염이 잘되고 재생이 쉽지 않은 인견 소재라는 단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2152324호(2020년 8월 31일 등록)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한복지로 형성된 겉감 좌측피스(piece)의 전방 곡선 라인부와 한복지로 형성된 겉감 우측피스(piece)의 전방 곡선 라인부를 사람 얼굴의 정중선과 대응되는 라인이 되도록 재봉하여, 마스크 겉감부를 형성함으로써, 금속와이어나 금속스트립과 같은 와이어 없이도, 코와 입 주변에 오목한 공간이 형성 및 유지되는,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마스크는, 한복지로 제작된 겉감부(100); 오가닉면(organic cotton)으로 제작되어 상기 겉감부(100)의 안쪽면에 결합되는 안감부(200); 및 상기 겉감부(10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결합된 귀걸이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겉감부(100)는 겉감 좌측피스(120a)와 겉감 우측피스(120b)를 포함하고, 상기 겉감 좌측피스(120a)와 상기 겉감 우측피스(120b)는, 전방 곡선 라인부들(122a, 122b)이 사람 얼굴의 정중선과 대응되는 중앙라인(110)을 형성하도록 재봉되되, 각각이 두겹 이상의 한복지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방 곡선 라인부들(122a, 122b)이 안쪽으로 접히는 것을 허용하도록 접힘선(9)이 형성되되, 상기 전방 곡선 라인부들(122a, 122b) 사이의 재봉은 상기 접힘선(9)을 따라 이루어지고, 상기 겉감부(100)의 상측 모서리 및 상기 겉감부(100)의 하측 모서리에는 안쪽으로 접혀진 상측 모서리 접힙부(140)와 하측 모서리 접힘부(150)가 구비되고, 상기 안감부(200)는 안감 좌측피스(220a)와 안감 우측피스(220b)를 포함하되, 상기 안감 좌측피스(220a)의 전방 곡선 라인부와 상기 안감 우측피스(220b)의 전방 곡선 라인부를 상기 겉감부(100)의 중앙라인(110)에 대응되는 중앙라인(210)을 형성하도록 재봉하여 형성되고, 상기 안감 좌측피스(220a)와 상기 안감 우측피스(220b) 각각은 두겹 이상의 오가닉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귀걸이부(300)는, 기다란 한복지가 두겹으로 접혀져, 두겹 한복지 사이에 개봉부(322)를 형성하는 한복지끈(320)과, 상기 한복지끈(320)의 양단 사이를 연결하는 신축성 연결끈(340)을 포함하며, 상기 겉감부(100)의 우측 모서리부 및 좌측 모서리부 각각은 상기 개봉부(322)를 통해 상기 두겹 한복지 사이에 끼워져 재봉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마스크는 상기 겉감부(100)과 상기 안감부(200) 사이에 교체 가능하게 배치된 필터(4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감부(200)의 양 측부 중 적어도 하나의 측부가 상기 겉감부(100)와 재봉되지 않음으로써 필터 삽입구(3)가 형성되며, 상기 필터(400)는 직선형 접힘선(410)에 의해 하부의 직사각형부(420)와 상부의 이등변 삼각형부(440)로 구분되며, 상기 필터(400)가 상기 필터 삽입구(3)를 통해 상기 안감부(200)와 상기 겉감부(100) 사이로 삽입될 때에는, 상기 직선형 접힘선(410)을 기준으로 상기 이등변 삼각형부(440)가 상기 직사각형부(420)에 포개지도록 접혀지고, 상기 필터(400)가 상기 안감부(200)와 상기 안감부(100) 사이로 완전히 삽입된 후에는 상기 직선형 접힘선(410)을 기준으로 상기 이등변 삼각형부(440)가 상기 직사각형부(420)로부터 펼쳐진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한복지로 형성된 겉감 좌측피스(piece)의 전방 곡선 라인부와 한복지로 형성된 겉감 우측피스(piece)의 전방 곡선 라인부를 사람 얼굴의 정중선과 대응되는 라인이 되도록 재봉하여, 마스크 겉감부를 형성함으로써, 금속와이어나 금속스트립과 같은 와이어 없이도, 코와 입 주변에 오목한 공간이 형성 및 유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전방을 보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후방을 보인 배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마스크의 분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겉감 좌측피스와 겉감 우측피스를 분리된 상태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a, 도 6 및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실제 사진들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후방을 보인 배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마스크의 필터 설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들 및 이에 관한 설명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로 하여금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의도로 제시된 것이다. 따라서, 도면들 및 설명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전방을 보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후방을 보인 배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마스크의 분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겉감 좌측피스와 겉감 우측피스를 분리된 상태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a, 도 6 및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실제 사진들이다.
도 1 내지 도 5와 도 6a, 도 6b 및 도 6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인견 또는 본견과 같은 한복지로 제작된 겉감부(100)와, 오가닉면(organic cotton)으로 제작되어 상기 겉감부(100)의 안쪽면에 결합되는 안감부(200)와, 상기 겉감부(10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결합된 귀걸이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겉감부(100)는 겉감 좌측피스(120a)와 겉감 우측피스(120b)를 포함하며, 한복지로 이루어진 겉감 좌측피스(120a)의 전방 곡선 라인부(122a)와 한복지로 이루어진 겉감 우측피스(120b)의 전방 곡선 라인부(122b)를 사람 얼굴의 정중선과 대응되는 라인이 되도록 재봉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겉감 좌측피스(120a)의 전방 곡선 라인부(122a)와 상기 겉감 우측피스(120b)의 전방 곡선 라인부(122b)를 재봉함으로써, 상기 겉감부는(100)는 중앙라인(110)과 상기 중앙라인(110)을 따라 사람의 코 윗부분(콧등)으로부터 사람의 턱 바로 아랫부분까지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오목한 공간을 갖게 된다.
상기 전방 곡선 라인부(122a, 122b) 및 상기 중앙라인(110) 각각은 상단으로부터 코끝에 대응되는 부분까지 점진적으로 높아져 코끝에 대응되는 부분에서 가장 높은 정점부를 형성하고, 상기 정점부로부터 점진전적으로 낮아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전방 곡선 라인부(122a, 122b) 및 상기 중앙라인(110) 각각은 상기 정점부를 기준으로 상측의 곡률반경(R1)이 하측의 곡률반경(r2)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방 곡선 라인부(122a, 122b)는 안쪽으로 접힘을 허용하는 접힘선(9)을 포함하며, 전술한 전방 곡선 라인부(122a, 122b)에 대한 재봉은 상기 접힘선(9)을 따라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겉감부(100)의 바깥쪽으로는 솔기가 보이지 않으며, 상기 겉감부(100)의 안쪽으로만 전방 곡선 라인부(122a, 122b)들로 이루어진 솔기(2)가 노출된다. 이때, 상기 겉감 좌측피스(120a)와 상기 겉감 우측피스(120b) 각각은 홑겹의 한복지를 두겹으로 겹쳐 이루어진 것이다. 두겹의 한복지가 겹쳐져서 상기 겉감 좌측피스(120a)와 상기 겉감 우측피스(120b)를 구성함으로써, 한복지의 망목이 겹쳐지고, 따라서, 망목 크기가 감소된다. 한복지들이 두겹으로 겹쳐져 형성된 겉감 부(100)는 통풍성을 거의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비말을 차단하는 1차 필터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겉감부(100)를 구성하는 한복지는 천연 염료로 염색된 한복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겉감 부(100)는, 콧등을 충분히 덮을 수 있도록 중앙라인(110)의 상단이 높게 형성되며, 이를 위해, 상기 겉감부(100)의 상측 모서리가 상기 겉감부(100)의 하측 모서리에 비해 큰 기울기로 경사져 있다. 또한, 상기 겉감부(100)의 상측 모서리 및 상기 겉감부(100)의 하측 모서리에는 각각이 안쪽으로 접혀진 상측 모서리 접힘부(140)와 하측 모서리 접힘부(150)가 구비된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안감부(200)가 상기 겉감부(100)의 안쪽에 결합되는데, 상기 안감부(200)와 상기 겉감 부(100)의 결합은 상기 안감부(200)의 상측 모서리 부분과 상기 하측 모서리 부분을 상기 겉감부(100)의 상측 모서리 접힘부(140) 및 상기 겉감부(100)의 하측 모서리 접힘부(150)에 재봉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재봉에 쓰이는 바늘이나 실이 상기 겉감부(100)의 외측 노출부에 도달됨 없이 상기 상측 모서리 접힘부(140) 및 상기 하측 모서리 접힘부(150)에만 재봉되므로, 외관이 나빠지거나, 바늘에 의해 겉감부(100)의 외측 노출부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안감부(200)는 사람의 피부에 직접 닿는 부분으로서, 착용감과 땀 흡수력이 좋은 오가닉면(organic cotton)으로 제작된다. 상기 오가닉면을 두겹 이상 겹쳐 안감부(200)를 구성함으로써 비말 차단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안감부(200)를 구성하는 오가닉면은 해독, 살균, 지혈 및 소염 효과가 좋은 탄닌성분이 염재된 천연염색의 오가닉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안감부(200)는 안감 좌측피스(220a)와 안감 우측피스(220b)를 포함하며, 오가닉면으로 이루어진 안감 좌측피스(220a)의 전방 곡선 라인부와 오가닉면으로 이루어진 안감 우측피스(220b)의 전방 곡선 라인부를 상기 겉감부(100)의 중앙라인(110)에 대응되는 라인(중앙라인; 210)이 형성되도록 재봉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안감 좌측피스(220a)의 전방 곡선 라인부와 상기 안감 우측피스(220b)의 전방 곡선 라인부를 재봉함으로써, 상기 안감부는(200)는 중앙라인(210)과 상기 중앙라인(210)을 따라 사람의 코 윗부분으로부터 사람의 턱 바로 아랫부분까지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오목한 공간을 갖게 된다. 이때, 상기 중앙라인(210)은 정점부를 기준으로 상측의 곡률반경이 하측의 곡률반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안감 좌측피스(220a)와 상기 안감 우측피스(220b) 각각은 홑겹의 오가닉면을 두겹으로 겹쳐 이루어진 것이다. 두겹의 오가닉면이 겹쳐져서 상기 안감 좌측피스(220a)와 상기 안감 우측피스(220b)를 구성함으로써, 오가닉면의 망목이 겹쳐지고, 따라서, 망목 크기가 감소된다. 오가닉면들이 두겹으로 겹쳐져 형성된 안감부(200)는 통풍성을 거의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비말을 차단하는 2차 필터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안감 부(200)는, 콧등을 충분히 덮을 수 있도록 중앙라인(210)의 상단이 높게 형성되며 이를 위해, 상기 안감부(200)의 상측 모서리가 상기 안감부(200)의 하측 모서리에 비해 큰 기울기로 경사져 있다. 또한, 상기 안감부(200)의 상측 모서리 및 상기 안감부(200)의 하측 모서리에는 각각이 안쪽으로 접혀진 상측 모서리 접힘부와 하측 모서리 접힘부가 구비된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안감부(200)가 상기 겉감부(100)의 안쪽에 결합되는데, 상기 안감부(200)의 결합은 상기 안감부(200)의 상측 모서리 접힘부와 과 상기 하측 모서리 접힘부를 상기 겉감부(100)의 상측 모서리 접힘부(140) 및 상기 겉감부(100)의 하측 모서리 접힘부(150)에 재봉함으로써 달성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귀걸이부(300)는 상기 겉감부(10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결합되어, 마스크 착용자가 착용한 마스크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귀걸이부(300) 각각은 기다란 한복지를 두겹으로 접어 형성되고 상기 겉감부(100)의 우측 모서리부 또는 좌측 모서리부가 끼워지는 개봉부(322)을 가지며, 상기 겉감부(100)의 우측 모서리부 또는 좌측 모서리부는 상기 개붕부(322)를 통해 두겹의 한복지 사이에 끼워져 재봉되는, 한복지끈(320)과, 상기 한복지끈(320)의 양단 사이를 연결하는 신축성 연결끈(340)을 포함한다. 한복지끈(320)은 상기 겉감부(100)와 같은 색상의 같은 한복지로 이루어져 상기 겉감부(200)과 일체화된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신축성 연결끈(340)은, 착용자의 귀 뒤에 위치하므로, 상기 귀걸이부(300)에 신축성을 제공하는 효과를 제공하면서도, 앞에 있는 사람에게 시각적으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미려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연결끈(340) 중간 부분을 매듭으로 구성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끈의 길이 조질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겉감부(100)의 우측 모서리부 또는 좌측 모서리부는 마감 재봉되지 않아 두겹의 한복지가 그대로 존재하는데 상기 좌측 모서리부 또는 우측 모서리부가 개봉부(322)를 통해 상기 한복지끈(320)의 두겹 한복지 사이로 들어가 마감되므로, 마감처리되지 않아 야기될 수 이는 실풀림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도 6a, 도 6 및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실물을 잘 보여준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후방을 보인 배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마스크의 필터 설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마스크는, 앞선 실시예의 마스크와 거의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겉감부(100)과 안감부(200) 사이에 배치된 필터(400)를 추가로 더 포함한다. 상기 필터(400)는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를 위해, 상기 안감부(200)의 양 측부 중 적어도 하나의 측부가 상기 겉감부(100)와 재봉되지 않음으로써, 상기 안감부(200)의 양 측부 중 어느 한 측부 부근에는 필터(400) 삽입을 위한 필터 삽입구(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안감부(200)는 양 측부의 폭이 가장 좁고 중앙 라인(210)과 가까워질수록 폭이 커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안감부(200)의 양 측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필터 삽입구(3)의 상하폭은 상기 안감부(200)의 양측부 측 제한된 폭으로 인해 작을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필터 삽입구(3)를 통해 삽입되는 필터(400)의 상하폭은 필터 삽입구(3)의 폭 이하로 제한된다. 이러한 제한을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필터(400)는 직선형 접힘선(410)에 의해 하부의 직사각형부(420)와 상부의 이등변 삼각형부(440)로 구분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400)는, 상기 필터 삽입구(3)를 통해 안감부(200) 후방으로 삽입될 때에는, 상기 접힘선(410)을 기준으로 상기 이등변 삼각형부(440)가 상기 직사각형부(420)에 포개지도록 접혀져 있다. 또한, 상기 필터(400)가 상기 안감부(200) 후방으로 완전히 삽입된 후에는 상기 접힘선(410)을 기준으로 상기 이등변 삼각형부(440)가 상기 직사각형부(420)로부터 펼쳐진다. 상기 필터(400)가 상기 안감부(200) 후방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이등변 삼각형부(440)를 펼치기 위해, 상기 겉감부(100)에 대한 상기 안감부(200)의 상측 재봉선 일부가 개봉되어 형성된 손가락 삽입구(5)가 상기 안감부(200)의 중앙 상측 부근에 제공된다. 착용자는 손가락을 손가락 삽입구(5)를 통해 안감부(200) 후방으로 넣어 상기 이등변 삼각형부(440)을 쉽게 펼칠 수 있다. 상기 이등변 삼각형부(440)는 착용자의 코 부분을 덮는 부분으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분이다.
한편, 상기 손가락 삽입구(5) 부분에서 상기 겉감부(100)와 상기 안감부(200) 사이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벨크로 테이프 등과 같은 탈부착수단(7)이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탈부착수단(7)을 이용하여, 상기 손가락 삽입구(5) 부분의 겉감부(100)와 안감부(200)를 부착하면, 상기 손가락 삽입구(5)가 폐쇄될 수 있다.
100...................겉감부
200...................안감부
300...................귀걸이부
400...................필터

Claims (3)

  1. 한복지로 제작된 겉감부(100);
    오가닉면(organic cotton)으로 제작되어 상기 겉감부(100)의 안쪽면에 결합되는 안감부(200); 및
    상기 겉감부(10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결합된 귀걸이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겉감부(100)는 겉감 좌측피스(120a)와 겉감 우측피스(120b)를 포함하고,
    상기 겉감 좌측피스(120a)와 상기 겉감 우측피스(120b)는, 전방 곡선 라인부들(122a, 122b)이 사람 얼굴의 정중선과 대응되는 중앙라인(110)을 형성하도록 재봉되되, 각각이 두겹 이상의 한복지로 구성되고,
    상기 전방 곡선 라인부들(122a, 122b)이 안쪽으로 접히는 것을 허용하도록 접힘선(9)이 형성되되, 상기 전방 곡선 라인부들(122a, 122b) 사이의 재봉은 상기 접힘선(9)을 따라 이루어지고, 상기 겉감부(100)의 상측 모서리 및 상기 겉감부(100)의 하측 모서리에는 안쪽으로 접혀진 상측 모서리 접힙부(140)와 하측 모서리 접힘부(150)가 구비되고, 상기 안감부(200)는 안감 좌측피스(220a)와 안감 우측피스(220b)를 포함하되, 상기 안감 좌측피스(220a)의 전방 곡선 라인부와 상기 안감 우측피스(220b)의 전방 곡선 라인부를 상기 겉감부(100)의 중앙라인(110)에 대응되는 중앙라인(210)을 형성하도록 재봉하여 형성되고, 상기 안감 좌측피스(220a)와 상기 안감 우측피스(220b) 각각은 두겹 이상의 오가닉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귀걸이부(300)는, 기다란 한복지가 두겹으로 접혀져, 두겹 한복지 사이에 개봉부(322)를 형성하는 한복지끈(320)과, 상기 한복지끈(320)의 양단 사이를 연결하는 신축성 연결끈(340)을 포함하며, 상기 겉감부(100)의 우측 모서리부 및 좌측 모서리부 각각은 상기 개봉부(322)를 통해 상기 두겹 한복지 사이에 끼워져 재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겉감부(100)과 상기 안감부(200) 사이에 교체 가능하게 배치된 필터(4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감부(200)의 양 측부 중 적어도 하나의 측부가 상기 겉감부(100)와 재봉되지 않음으로써 필터 삽입구(3)가 형성되며, 상기 필터(400)는 직선형 접힘선(410)에 의해 하부의 직사각형부(420)와 상부의 이등변 삼각형부(440)로 구분되며, 상기 필터(400)가 상기 필터 삽입구(3)를 통해 상기 안감부(200)와 상기 겉감부(100) 사이로 삽입될 때에는, 상기 직선형 접힘선(410)을 기준으로 상기 이등변 삼각형부(440)가 상기 직사각형부(420)에 포개지도록 접혀지고, 상기 필터(400)가 상기 안감부(200)와 상기 겉감부(100) 사이로 완전히 삽입된 후에는 상기 직선형 접힘선(410)을 기준으로 상기 이등변 삼각형부(440)가 상기 직사각형부(420)로부터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KR1020200124450A 2020-09-25 2020-09-25 마스크 KR102317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450A KR102317119B1 (ko) 2020-09-25 2020-09-25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450A KR102317119B1 (ko) 2020-09-25 2020-09-25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7119B1 true KR102317119B1 (ko) 2021-10-22

Family

ID=78275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4450A KR102317119B1 (ko) 2020-09-25 2020-09-25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711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569Y1 (ko) * 2003-05-06 2003-07-28 김기택 실크마스크
KR20200010551A (ko) * 2016-12-26 2020-01-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마스크
KR102152324B1 (ko) 2020-05-08 2020-09-04 신승봉 기능성 인견 마스크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569Y1 (ko) * 2003-05-06 2003-07-28 김기택 실크마스크
KR20200010551A (ko) * 2016-12-26 2020-01-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마스크
KR102152324B1 (ko) 2020-05-08 2020-09-04 신승봉 기능성 인견 마스크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88939B2 (en) Earless filter mask
US10449398B2 (en) Earless filter mask
KR101134604B1 (ko) 개선된 얼굴 마스크
KR101650167B1 (ko) 다기능 마스크
KR100769488B1 (ko) 자외선 차단용 황토 마스크
KR20170093560A (ko) 마스크
KR102317119B1 (ko) 마스크
KR102165908B1 (ko) 공기기층이 형성된 이중구조를 갖는 마스크 제조방법
WO2010047290A1 (ja) 耳までカバーするマスク
JP3116947U (ja) マスク
JP6960551B1 (ja) マスクおよび鼻カバー
JP6920768B1 (ja) マスク
KR200493073Y1 (ko) 마스크 고정끈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KR102288859B1 (ko) 공기기층이 형성된 이중구조를 갖는 마스크
WO2020163064A1 (en) Earless filter mask
KR20100008250U (ko) 보안경 겸용 마스크
JP3230513U (ja) 衛生マスク用補助具及び前記衛生マスク用補助具を備える衛生マスク
JP3230556U (ja) マスク
JP3234859U (ja) マスクカバー
EP3944780B1 (en) Clothing accessory with airway protection devices
KR101348257B1 (ko) 다기능 손수건
KR102640783B1 (ko) 안경김서림방지패드를 갖는 마스크
KR200383933Y1 (ko) 기능성 마스크
CN215224951U (zh) 一种壳聚糖口罩
KR20220000521U (ko) 마스크 필터 결합용 클립 및 이 결합용 클립을 포함한 필터 교체형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