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4317A - 크레인 메인 거더의 스플라이스 조인트 - Google Patents

크레인 메인 거더의 스플라이스 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4317A
KR20200134317A KR1020207031510A KR20207031510A KR20200134317A KR 20200134317 A KR20200134317 A KR 20200134317A KR 1020207031510 A KR1020207031510 A KR 1020207031510A KR 20207031510 A KR20207031510 A KR 20207031510A KR 20200134317 A KR20200134317 A KR 20200134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main girder
splice joint
tongu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1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하 페이포
키르시 칼리오코스키
Original Assignee
코네크레인스 글로벌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네크레인스 글로벌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코네크레인스 글로벌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00134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3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6/00Girders, or track-suppor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7/00Runways, tracks or trackways for trolleys or cranes
    • B66C7/12Devices for changing direction of travel or for transferring from one runway to another; Crossings; Combinations of tracks of different gauges
    • B66C7/14Runway interlock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09Hooks, dovetails or other interlocking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57Beam to beam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 E04C2003/0408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assembly or the cross-section
    • E04C2003/041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assembly or the cross-section being built up from several parts
    • E04C2003/0417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assembly or the cross-section being built up from several parts demoun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 E04C2003/0426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material distribution in cross section
    • E04C2003/043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material distribution in cross section the open cross-section free of enclosed cavi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 E04C2003/044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substantial shape of the cross-section
    • E04C2003/0452H- or I-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3/06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substantially solid, i.e. unapertured, we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Leg Units, Guards, And Driving Tracks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레인의 메인 거더(1)의 스플라이스 조인트(5)에 관한 것으로, 상기 메인 거더(1)는 그 단부들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적어도 두 개의 종 방향의 메인 거더 부재들(1a)을 포함하되, 그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웹 플레이트(2a), 중앙 웹(2)의 상부에 배열된 종 방향의 상부 플랜지(3) 또는 상부 플레이트, 및 중앙 웹(3)의 바닥 부분에 배치되고 중앙 웹(2)에서 그의 양 측면들로 돌출되는 종 방향의 하부 플랜지(4)를 포함하는 중앙 웹(2)을 갖는다. 상기 스플라이스 조인트(5)는, 상기 중앙 웹(2)의 양 외부 측면들 상에, 상기 스플라이스 조인트(5)의 전단력을 받는 플레이트형 텅-앤-그루브 조인트(6)로서, 각각의 경우에, 결합될 메인 거더 부재(1a)의 중앙 웹(2)에 고정된 텅(7), 및 결합될 제2 메인 거더 부재(1a)의 중앙 웹(2)에 고정된 홈(8)을 포함하는 텅-앤-그루브 조인트(6); 및 상기 스플라이스 조인트(5)의 굽힘 힘을 받는 하부 플랜지 조인트(9; 90)를 포함하되, 상기 웹(2)의 반대쪽 외부 측면 상의 텅-앤-그루브 조인트(6)는 서로에 대해 반대로 배열되고, 상기 웹(2)의 반대쪽 측면들 상의 텅 및 홈(7, 8)의 위치는 서로에 대해 반대이다.

Description

크레인 메인 거더의 스플라이스 조인트
본 발명은 크레인의 메인 거더(main girder: 큰보)의 스플라이스 조인트(splice joint)에 관한 것으로, 상기 메인 거더는 그 단부들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적어도 두 개의 종 방향의 메인 거더 부재들을 포함하되, 그 둘 모두 적어도 하나의 웹 플레이트(web plate), 상기 중앙 웹의 상부에 배열된 종 방향의 상부 플랜지 또는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중앙 웹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중앙 웹으로부터 그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종 방향의 하부 플랜지를 포함하는 중앙 웹을 가지는 구성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메인 거더의 스플라이스 조인트는 서로 대향하는 단부에서 메인 거더 부재들을 함께 용접하거나 이들 단부의 플랜지 조인트(flange joint) 또는 스트랩형(strapped joint) 조인트로서 구현되었다. 이것은 결합 요소들의 수가 종종 많기 때문에 그 조인트의 경제적인 구현에 어려움을 야기한다.
플랜지 조인트에서, 함께 결합되는 메인 거더 부재의 단부에는 적절하게 견고한 횡 단부 플레이트들이 제공되고 이들 단부에 의해 볼트로 함께 결합된다. 이러한 조인트에서 볼트의 기능을 보장하기 위해 전형적으로 플랜지의 두께는 크다. 모든 힘은 볼트의 수직의 힘/프리텐션(pretension)에 의해 지탱된다. 두꺼운 단부 플랜지를 용접하려면 추가로 예열이 필요할 수 있다. 단부 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방향과 관련한 횡단 힘은 z 플레이트 요건(라멜러 테어링(lamellar tearing)) 및 예열 요건을 야기할 수 있다. 프로파일형 또는 케이싱형의 메인 거더 부재들에 단부 플레이트를 용접하면 큰 국부적 열 입력을 야기하게 되고, 이것은 기계가공(machining)으로 보상되어야 할 변형으로 귀착될 수도 있다.
스트랩형 조인트는 메인 거더 부재의 중앙 웹의 양 측면들뿐만 아니라 하부 및 상부 플랜지에 고정되는 접합 플레이트에 의해 구현된다. 상기 웹의 볼트는 전단력(shear force)을 전달하고, 플랜지의 볼트는 굽힘 모멘트(bending moment)를 전달한다. 이 솔루션에는 정렬할 많은 결합 요소들(볼트)과 구멍들이 있고, 이들은 올바른 위치에 있어야 한다. 구멍이 정렬되도록 메인 거더 부재의 단부들을 정렬하는 것은 까다로운 절차이다. 통상적인 경험으로는 스트랩형 플레이트 조인트는 제조 및 설치가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 한 문제가 해결될 수 있도록 새로운 유형의 스플라이스 조인트(splice joint)를 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스플라이스 조인트가 중앙 웹의 양 외부 측면에 스플라이스 조인트의 전단력을 받는 플레이트형 텅-앤-그루브 조인트(tongue-and-groove joint: 홈 이음)를 포함하고, 상기 텅-앤-그루브 조인트는 각 경우에 결합될 메인 거더 부재의 중앙 웹에 고정되는 텅(tung) 및 결합될 제2 메인 거더 부재의 중앙 웹에 고정되는 홈(groove)을 포함하고; 및 상기 스플라이스 조인트의 굽힘 힘을 받아들이는 하부 플랜지 조인트를 포함하되, 이에 의해 웹의 반대쪽 외부 측면에 있는 텅-앤-그루브 조인트들은 서로에 대해 반대로 배열되고, 이에 따라 웹의 반대편 측면들에서 상기 텅 및 홈의 위치는 서로에 대해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스플라이스 조인트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한 텅 및 홈이 서로 대향 측면에서 서로에 대해 반대로 되어 있을 때, 이점은, 스플라이스 조인트의 나중의 개방과 조립이, 예를 들어, 텅이 동일한 메인 거더 부재의 개방된 단부에서 결합 영역 상에서 평행한 경우보다 더 간단한 경우에 달성된다. 실제로 이러한 경우의 메인 거더 부재의 단부들은 더 쉽게 제자리에 배열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종속항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이점을 달성한다.
텅-앤-그루브 조인트를 형성하는 부품들의 공차는 제조와 관련하여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텅-앤-그루브 구조는 조인트에서의 위치가 하나의 정의된 위치로 제한되지 않도록 한다. 텅-앤-그루브 조인트의 부품들이 바람직하게는 플레임 절단(flame cutting)에 의해 제조될 때, 그것들을 위한 최적의 형상을 설정하기가 용이하고 고비용의 가공 없이 조인트에 유격(play)이 없는 것을 보장한다. 중앙 웹이 받는 전단력(shear force)은 추가적인 결합 요소 없이 조인트를 통해 전달된다. 상기 텅-앤-그루브 조인트의 텅 및 홈이 제자리에 부착되었을 경우(아래 설명된 방식으로), 그들의 형상은 메인 거더 부재가 정확한 위치에서 정확하게 결합하도록 안내한다. 이것은 메인 거더의 최종 조립이 고객 측에서 이루어질 경우 특히 중요하다. 상기한 조인트는 또한 전술한 이유로 조립이 빠르다.
하부 플랜지 조인트에 하부 플랜지 아래에 배치된 커플링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경우, 고정 볼트를 배치하여 트롤리 바퀴의 주행 면으로 사용되는 하부 플랜지가 고가의 가공 없이도 충분히 매끄럽게 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는, 용접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텅-앤-그루브 조인트의 부품을 고정하기 위해서만 열이 필요하기 때문에 주요한 열 입력 중심(heat input centers)이 없다. 케이싱형 중앙 웹을 사용하면, 결합 볼트를 조이기 위해 그 안에 어떤 유형의 구멍도 만들 필요가 없다. 조인트에 필요한 모든 부품은, 레이저 또는 플라즈마 토치(plasma torch)에 의한 플레임 절단과 같은, 작업장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일반적인 제조 기술로 제조될 수 있다. 이것은 또한 작업 단계를 최소화한다. 더욱이, 작업대와 대상물이 외부에 있기 때문에 메인 거더 내부에서 작업할 필요가 없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조인트의 최종 결합 이전에 크레인의 메인 거더 상에 있는 본 발명의 스플라이스 조인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완성된 형태의 도 1에 따른 조인트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완성된 조인트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상부 플랜지의 커플링 플레이트가 없는 이전의 도면에 따른 조인트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완성된 형태의 크레인 메인 거더 상의 대안적인 스플라이스 조인트의 측면도이다.
도 6은 텅-앤-그루브 조인트의 홈에 대한 대안적인 구현을 도시한다.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스플라이스 조인트를 형성하는 작업대 및 작업에 사용된 액세서리들을 도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크레인 메인 거더(1)가 도시되어 있는바, 이것은 그 단부들에 의해 함께 결합되는 적어도 2개의 종 방향의 메인 거더 부재들(1a)을 갖는다. 각각의 메인 거더 부재(1a)는 적어도 하나의 웹 플레이트, 본 예시의 경우, 서로 이격되어 있는 두 개의 웹 플레이트들(2a)을 포함하는 중앙 웹(2)을 갖는다. 중앙 웹(2)의 상단부에는, 종 방향의 상부 플랜지(3)가 양쪽 측면에서 그 중앙 웹(2)으로부터 돌출되어 고정되어 있다. 상응하게, 중앙 웹(2)의 바닥 부분에는, 종 방향의 하부 플랜지(4)가 고정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그의 양 측면에서 중앙 웹(2)으로부터 돌출된다. 이 하부 플랜지(4)의 모서리들은 전형적으로 트롤리(도시되지 않음)의 지지 및 주행 가이드로서 작용한다. 하부 플랜지(4)의 치수는 그 하부 플랜지(4) 상에서 주행하도록 구성된 트롤리의 바퀴가 그 하부 플랜지(4)에 적합한 볼트 조인트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고려한다. 메인 거더 부재(1a)의 단부는 프레임 절단에 후속하는 마무리 없이 플레임 절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
메인 거더 부재들(1a) 사이에는 크레인 메인 거더(1)의 스플라이스 조인트(5)가 배치되며, 이것은 한편으로는, 중앙 웹(2)의 양쪽 외부 측면에서 스플라이스 조인트(5)의 전단력을 받아들이는 플레이트형 텅-앤-그루브 조인트(6)를 포함하되, 이에 의해 텅-앤-그루브 조인트(6)는 각각의 경우에 결합될 메인 거더 부재(1a)의 중앙 웹에 고정된 텅(7), 및 결합될 제2 메인 거더 부재(1a)의 중앙 웹(2)에 고정된 홈(8)을 포함하고; 다른 한편으로, 스플라이스 조인트(5)의 굽힘 력을 받는 하부 플랜지 조인트(9)를 포함한다. 상기 스플라이스 조인트(5)는 여기서 메인 거더(1)와 관련하여 제공되지만, 또한 하나의 웹 플레이트(I-빔)를 포함하는 메인 거더와 관련하여 만들어질 수도 있다.
웹(2)의 반대쪽 외부 측면 상의 텅-앤-그루브 조인트(6)는, 바람직하게는, 서로에 대해 반대로 배열되며, 여기서 웹의 반대쪽에 있는 텅 및 홈(7, 8)의 위치는 서로에 대해 반대이다. 이것은 결합될 모든 메인 거더 부재들(1a)이 동일하게 만들어질 수 있지만, 스플라이스 조인트(5)가 만들어지고 있을 때 그것들을 반대로 돌린다는 것을 의미한다. 메인 거더(1)의 서로 다른 두 측면 상의 텅 및 홈(7, 8)은 그들이 플레이트 물질에서 분리될 때 그들 자신의 상호의 쌍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홈(8)은 거의 직사각형 형상의 오목한 절단부(recess cutout)(8a)를 가지며, 상기 텅(7)은 그 형상이 상기한 오목한 절단부(8a)와 일치하고 미리 정의된 어댑터로써 그 오목한 절단부(8a)에 들어맞는 결합 영역(7a)을 갖는다.
가장 바람직한 경우, 상기 홈(8)은 대체로 텅(7)을 향해 넓어지는 오목한 절단부(8a)를 가지며, 상기 텅(7)은 그 형상이 오목한 절단부(8a)에 대응하고 미리 정의된 어댑터로 상기 오목한 절단부(8a)에 들어맞는 결합 영역(7a)을 갖는다. 도면에 도시된 해결책은, 약간 넓어지는 오목한 절단부(8a) 및 약간 좁은 결합 영역(7a)을 갖는다. 상기 텅-앤-그루브 조인트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사다리꼴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그 종 방향의 중심선은 메인 거더(1)의 종축 방향에 있다. 그러나 상기 텅-앤-그루브 조인트(6)의 형상은 이들 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중요한 것은, 메인 거더 부재들(1a)이 서로 쉽게 연결될 수 있는 반면, 상기 텅-앤-그루브 조인트(6)의 텅-홈 쌍(tongue-groove pair)(7, 8)은 계획된 대로 조인트(5)의 전단력을 받아들인다는 것이다.
여기에 개시된 홈(8)은 일체형이지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한 절단부(8a)를 함께 형성하는 2개의 부분(81, 82)을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어댑터 및 설치의 요건의 관점에서 상기 홈-텅 조인트(6)가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게 한다.
각각의 텅-앤-그루브 조인트(6)의 텅 및 홈(7, 8)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빔컷(beamcut) 방법에 의해 동일한 플레이트 재료로부터 한 번에 플레임 절단된 조각들이다. 이것은 자연스러운 피팅이 형성되는 치수로 정확한 조인트 쌍의 생성을 가능케 한다. 절단 빔의 폭을 갖는 절단 공정 중에 생성된 간격은 홈(8)의 오목한 절단부(8a)와 텅(7)의 결합 영역(7a) 사이의 수평 접촉점에 대해 적절한 각도를 선택함으로써, 즉, 상기에서 언급한 홈(8)의 확장 및 텅(7)의 좁아짐에 의해 보상될 수 있다. 상기 텅-앤-그루브 조인트(6)의 텅 및 홈(7, 8)은 용접에 의해 중앙 웹(2)에 고정되며, 그것을 수행하는 것(고정의 시점)은 아래에 설명된다. 완성된 조인트에서, 상기 텅 및 홈(7, 8)은, 바람직하게는, 경계 면에서 볼트(10)를 고정함으로써 서로 고정된다.
스플라이스 조인트(5)의 잡아당기는 힘뿐만 아니라 상기 전단력을 받기 위해, 하부 플랜지 조인트(9)는 중앙 웹(2)의 웹 플레이트들(2a)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 제1 커플링 플레이트(11), 및 하부 플랜지(4) 아래에 배치되고 대체로 하부 플랜지(4)의 폭에서 연장되는 제2 커플링 플레이트(12)를 포함하되, 이에 의해 상기 커플링 플레이트(11, 12)는 제2 커플링 플레이트(12) 아래의 고정 볼트(13, 14)에 의해 결합되도록 양쪽 메인 거더 부재들(1a)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커플링 플레이트(12)의 고정 볼트(14)는 하부 플랜지(4)의 측면으로 돌출된 플랜지 부분(4a)에 고정된다. 상기 제2 커플링 플레이트(12)가 충분히 두껍고 및/또는 웹 플레이트(2a) 사이의 공간이 작은 경우, 제1 커플링 플레이트(11)는 생략하여도 좋다. 그러나 상기 제1 커플링 플레이트(11)는 스플라이스 조인트(5)를 가로 방향으로 지지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도 5는 결합될 두 메인 거더 부재들(1a)의 하부 플랜지(4)의 바닥 면에 배치된 러그들(91), 대향 러그들(91)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부품 구성(92), 및 러그들(91) 및 중간 부품 구성(92)을 통과하는 고정 볼트들(93)를 포함하는 대안적인 하부 플랜지 조인트(90)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스플라이스 조인트(5)는 상부 플랜지(3) 위에 배치된 제3 커플링 플레이트(15)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것은 상기 제3 커플링 플레이트(15) 위의 고정 볼트(16)에 의해 결합되도록 메인 거더 부재들(1a) 모두에 고정된다(도 1 내지 3 참조).
스플라이스 조인트(5)의 압축력(compression force)은 상부 플랜지(3)와 중앙 웹(2), 및 가능한 제3 커플링 플레이트(15)의 접촉 영역 상에 전달된다.
상기 메인 거더 부재들(1a) 사이의 스플라이스 조인트(5)에는 스플라이스 조인트(5)의 하부 가장자리에만 맞대기 이음(butt joint)이 있도록 종단간 간격(end-to-end gap)이 존재할 수도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스플라이스 조인트(5)가 측면에서 볼 때 좁은 V 슬롯으로 위쪽으로 열릴 수 있다. 그 장점은 높은 메인 거더(1)(예컨대, 높이가 400mm 이상)의 어댑터 표면에, 하부 가장자리만 정밀하게 접촉하고 다른 표면은 정확한 피팅 요건 없이 남아 있고, 이들은 기계로 가공하거나, 연마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더 정확하게 적용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종단간 간격으로 인해 사전 상승 또는 사전 곡률이 만들어질 수 있으며, 이것은 나중에 조절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중앙 웹(2)을 통과하는 볼트의 구멍은 클리어런스 홀(clearance hole)과 관련하여 적절한 양의 유격(play)을 갖는다. 종단간 간격에서, 거더의 힘이 전달되어 하부 플랜지(4)에 추가된 커플링 플레이트(11, 12)가 끌어당기는 부분(pulling part)을 전달하도록 한다. 상부 플랜지(3)에 배치된 커플링 플레이트(15)는 압축을 전달한다. 웹 플레이트(2a)의 측면 상의 텅 및 홈 플레이트(7, 8)는 전단력을 전달한다. 상부 플랜지(3)의 커플링 플레이트(15)는 볼트 및 너트 나사 결합으로 조립되어, 상부 플랜지(3)를 통해 클리어런스 홀이 존재하고, 이것은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필요한 경우, 적절한 사전 상승을 설정할 수 있도록 충분한 유격을 가진다.
스플라이스 조인트(5)의 조립의 힘 및 방향은 주로 축 방향이다. 그 조립은 수평 면 상의 주로 평평한 표면에서 이루어지도록 의도되는바, 여기서부터 볼트에 의해 축 방향으로 조립을 수행하는 것이 가장 자연스러운 방식으로서, 텅 및 홈(7, 8)의 형상은 축 방향으로 서로의 옆으로 들어맞도록 하되, 달리 말하면, 맞대기 이음(버트 조인트)에 배치된 상기한 텅 및 홈(7, 8)의 종 방향의 측면에 대한 수(male) 표면과 암(female) 표면이 선형 운동에 의해 축 방향 설정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스플라이스 조인트(5)는, 메인 거더(1)가 두 부분으로 조립된 경우(메인 거더가 두 개 이상의 메인 거더 부재로 합쳐질 수 있는 경우), 메인 거더(1)의 종 방향으로 대체로 절반 거리에 있다. 다수의 메인 거더(1)가 평행으로 존재할 수도 있다. 메인 거더(1)는 단부 사이에 중간 지지가 없는 지지용 메인 거더(1)로서 그 단부에 의해 지지되기에 적합하다.
도 7a 및 7b를 참조하면, 도 1 내지 4에 따른 본 발명의 스플라이스 조인트(5)는 다음과 같이 구현된다.
하부 플랜지 조인트(9)의 제1 커플링 플레이트(11)(가능한) 및 제2 커플링 플레이트(12)는 고정 볼트(13, 14)에 의해 하나의 메인 거더 부재(1a)에 고정된다. 메인 거더 부재들(1a)은 서로에 대해 단단히 밀착된 후, 그것들 위에 놓일 수 있는 텅 및 홈(7, 8)과 L자형 설치 도구(17)가 볼트(10)를 중앙 웹(2)에 고정함으로써 스플라이스 조인트(5)의 양쪽에 고정된다. 이어서, 상기한 텅 및 홈(7, 8)들은 그 가장자리에 의해 중앙 웹(2)에 용접된다. 상기한 텅 및 홈(7, 8)들은 중앙 웹(2)에 용접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용접에 의해 상호 연결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스플라이스 조인트(5)는, 바람직하게는, 볼트 조인트에 의해 조립 및 분해 가능하다. L자형 고정 기구에는 고정 볼트(18)용 구멍이 제공되며, 이로써 미리 조립된 스플라이스 조인트(5)(텅 및 홈(7, 8)들)는, 메인 거더 부재들(1a)이 용접 후 서로 분리되고 스플라이스 조인트(5)가 거기에서 그때 완료되지 않았을 경우, 나중에 제자리에서 조여질 수 있다. 스플라이스 조인트(5)가 곧바로 완료되지 않는다면, 메인 거더 부재들(1a)의 단부들이 텅 및 홈(7, 8)들이 설치되고 있을 때 함께 단단히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면, 상기한 방식으로 하부 플랜지 조인트(9)를 준비할 필요가 없다.
스플라이스 조인트(5)가 이제 한 번에 완료되면, 설치 도구(17)가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으며, 이로써 상기 스플라이스 조인트(5)는 제1 및 제2 커플링 플레이트(11, 12)를 제2 메인 거더 부재(1a)에 고정시키고 추가로 가능한 제3 커플링 플레이트(15)를 상부 플랜지(3) 위에 설치함으로써 완료된다. 추가하여, 특히 스플라이스 조인트(5)가 한 번에 완성되면, 상기한 텅 및 홈(7, 8)도 용접을 위해 중앙 웹에 다른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고정 볼트(10)가 용접 및 설치 기구(17)를 위한 텅 및 홈(7, 8)의 고정에 사용된다면, 이들은 특히 고정 기구(17)가 제거된 후 상기 텅 및 홈(7, 8)을 서로 결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커플링)은 상기 텅 및 홈(7, 8)의 수직 결합 표면들이 서로 연결되는 곳의 도면에서 볼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볼트(18)를 사용하여 스플라이스 조인트(5)를 함께 잡아당길 경우 설치 기구(17)가 사용될 때, 상기 스플라이스 조인트(5) 상의 텅(7)의 전방 모서리는 수직 갭에 끼워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경우의 수직 간격은 설치 기구(17)와 메인 거더(1) 사이의 간격이다. 수직 간격의 두께는 텅 및 홈(7, 8)에 대해 사용된 재료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텅 및 홈(7, 8)의 적절한 두께와 함께, 고정 볼트(10)는 또한, 예를 들어, 텅 및 홈(7, 8)을 용접하는 동안 스플라이스 조인트(5)의 잠재적 변형에 대해 보상을 가능케 한다. 고정 볼트(18)를 활용하여, 상기 메인 거더 부재(1a)는, 예를 들어, 지게차 또는 유사한 것에 의해 조립 플랫폼에서 무거운 메인 거더 부재(1a)를 밀어줄 필요 없이 서로 제어 가능하게 접근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설치 작업자는 스플라이스 조인트(5)의 완성을 동시에 보고 동일한 작업 위치에서 고정 볼트(18)의 힘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것은 스플라이스 조인트를 제작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작업자 간의 상호 조정의 필요성을 줄여준다. 더욱이, 설치 조건에서 용접 작업 및 최종 검사를 피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상기한 텅 및 홈(7, 8)은 작업장에서의 제조 및 검사 장비에 의해 각 메인 거더 부재(1a)에 용접되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전술한 것의 결과로, 맞춤(matching)이 요구되는 조립 플랫폼에 대해 어떤 높은 요구 사항도 설정할 필요가 없다.
도 5의 스플라이스 조인트(5)의 구현은 단지 하부 플랜지 조인트(90)의 제작과 관련해서만 도 1 내지 4의 스플라이스 조인트의 구현과 상이하다. 여기서, 하부 플랜지 조인트(90)는 도 1 내지 4에 따른 하부 플랜지 조인트(90)와 동일한 방식인 것으로 간주할 필요는 없지만, 텅 및 홈(7, 8)들을 고정하는 동안 가능하다면 활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기본 아이디어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의도된다. 따라서 본 발명 및 그 실시 예들은 상기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후술하는 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세부 사항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4)

  1. 크레인의 메인 거더(1)의 스플라이스 조인트(5)로서, 상기 메인 거더(1)는 그 단부들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적어도 두 개의 종 방향의 메인 거더 부재들(1a)을 포함하되, 그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웹 플레이트(2a), 중앙 웹(2)의 상부에 배열된 종 방향의 상부 플랜지(3) 또는 상부 플레이트, 및 중앙 웹(3)의 바닥 부분에 배치되고 중앙 웹(2)에서 그의 양 측면들로 돌출되는 종 방향의 하부 플랜지(4)를 포함하는 중앙 웹(2)을 갖는 스플라이스 조인트(5)에 있어서,
    상기 스플라이스 조인트(5)는,
    - 상기 중앙 웹(2)의 양 외부 측면들 상에, 상기 스플라이스 조인트(5)의 전단력을 받는 플레이트형 텅-앤-그루브 조인트(6)로서, 각각의 경우, 결합될 메인 거더 부재(1a)의 중앙 웹(2)에 고정된 텅(7), 및 결합될 제2 메인 거더 부재(1a)의 중앙 웹(2)에 고정된 홈(8)을 포함하는 텅-앤-그루브 조인트(6): 및
    - 스플라이스 조인트(5)의 굽힘 힘을 받는 하부 플랜지 조인트(9; 90)를 포함하되,
    - 웹(2)의 반대쪽 외부 측면 상의 텅-앤-그루브 조인트(6)는 서로에 대해 반대로 배열되고, 또한 상기 웹(2)의 반대쪽 측면들 상의 텅 및 홈(7, 8)의 위치는 서로에 대해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이스 조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8)은 대체로 직사각형의 오목한 절단부(8a)를 가지며, 상기 텅(7)은 그 형상이 오목한 절단부(8a)와 일치하고 미리 정의된 어댑터로써 상기 오목한 절단부(8a)에 들어맞도록 된 결합 영역(7a)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이스 조인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홈(8)은 상기 텅(7)을 향해 대체로 넓어지는 오목한 절단부(8a)를 가지며, 상기 텅(7)은 그 형상이 오목한 절단부(8a)에 대응하고 미리 정의된 어댑터로써 상기 오목한 절단부(8a)에 들어맞도록 된 결합 영역(7a)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이스 조인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8)은 하나의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이스 조인트.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오목한 절단부(8a)를 함께 형성하는 2개의 부분들(81, 8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이스 조인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텅-앤-그루브 조인트(6)의 텅 및 홈(7, 8)들은,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플레이트 재료로부터 한 번에 플레임 절단된 조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이스 조인트.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텅-앤-그루브 조인트(6)는 용접에 의해 상기 중앙 웹(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이스 조인트.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텅 및 홈(7, 8)들은 그들의 경계 면에서 고정 볼트(10)에 의해 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이스 조인트.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웹(2)은 서로 이격된 2개의 웹 플레이트들(2a)를 포함하되, 이에 의해 상기 하부 플랜지 조인트(9)는 웹 플레이트들(2a)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 제1 커플링 플레이트(11), 및 상기 하부 플랜지(4)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 플랜지(4)의 폭 상에서 대체로 연장되는 제2 커플링 플레이트(12)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상기 커플링 플레이트들(11,12)은 상기 제2 커플링 플레이트(12) 아래의 고정 볼트(13,14)에 의해 결합되도록 메인 거더 부들(1a) 양쪽에 체결되고, 상기 제2 커플링 플레이트(12)의 고정 볼트(14)는 상기 하부 플랜지(4)의 측면으로 돌출된 플랜지 부분들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이스 조인트.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랜지 조인트(90)는 결합될 양자의 메인 거더 부재들(1a)의 하부 플랜지(4)의 바닥 표면에 배치된 러그들(91), 대향하는 러그들(91)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부품 장치(92), 및 상기 러그들( 91 ) 및 중간 부품 장치(92)를 통과하는 고정 볼트들(9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이스 조인트.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라이스 조인트(5)는 상부 플랜지(3) 위에 배열된 제3 커플링 플레이트(15)를 더 포함하되, 이것은 상기 제3 커플링 플레이트(15) 위의 고정 볼트들(16)로 결합되도록 양자의 메인 거더 부재들(1a)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이스 조인트.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라이스 조인트(5)는 볼트 조인트들(10, 13, 14, 16)을 개방함으로써 분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이스 조인트.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거더 부재들(1a) 사이의 스플라이스 조인트(5)에는 말단간 간격(end-to-end gap)이 존재하고, 이로써 상기 스플라이스 조인트(5)의 하단부 모서리만이 맞대기 이음(butt joint)을 가지며, 그렇지 않으면, 상기 스플라이스 조인트(5)가 측면에서 볼 때 좁은 V 슬롯처럼 위쪽으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이스 조인트.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스플라이스 조인트(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메인 거더.
KR1020207031510A 2018-04-20 2019-04-12 크레인 메인 거더의 스플라이스 조인트 KR202001343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185375 2018-04-20
FI20185375A FI128794B (fi) 2018-04-20 2018-04-20 Nosturin pääkannattajan jatkoliitos
PCT/FI2019/050299 WO2019202209A1 (en) 2018-04-20 2019-04-12 Splice joint of crane main gir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317A true KR20200134317A (ko) 2020-12-01

Family

ID=68239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1510A KR20200134317A (ko) 2018-04-20 2019-04-12 크레인 메인 거더의 스플라이스 조인트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1332348B2 (ko)
EP (1) EP3781511B1 (ko)
KR (1) KR20200134317A (ko)
CN (1) CN112004770B (ko)
AU (1) AU2019254735B2 (ko)
BR (1) BR112020021251A2 (ko)
CL (1) CL2020002673A1 (ko)
FI (1) FI128794B (ko)
MX (1) MX2020010979A (ko)
WO (1) WO2019202209A1 (ko)
ZA (1) ZA2020061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28776B (zh) * 2021-06-30 2023-03-28 珠海天力重工有限公司 一种起重机机梁
FI20226013A1 (en) * 2022-11-10 2024-05-11 Konecranes Global Oy Connection arrangement and procedure for connecting main beam parts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56055A (en) * 1945-11-08 1948-12-14 John R Farrar End connection for structural steel beams
GB1159560A (en) 1967-05-06 1969-07-30 Lifting & Engineering Services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Lifting Beams
DD125693A1 (ko) * 1976-05-03 1977-05-11
SU617352A1 (ru) 1977-01-05 1978-07-30 Дальневосточный Филиал Всесоюзного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ого И Проектно-Конструкторского Института Подъемнотранспортног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Погрузочноразгрузочного И Складск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И Контейнеров Узел сопр жени пролетной и концевой балок крана мостового типа
US4499697A (en) * 1981-02-09 1985-02-19 Donn Incorporated Suspended ceiling with removable tee sections
JPH07116684B2 (ja) 1992-08-31 1995-12-13 丸藤シートパイル株式会社 橋梁などにおける主桁の継手構造
CN1169764A (zh) 1994-12-13 1998-01-07 大卫·L·霍顿 抗力矩钢框架梁柱结合
US5680738A (en) 1995-04-11 1997-10-28 Seismic Structural Design Associates, Inc. Steel frame stress reduction connection
DE19704019A1 (de) * 1996-02-08 1997-12-18 Frank Zurheide Trägerelement für den Stahlhochbau
DE202005010108U1 (de) * 2005-06-28 2005-09-08 Obo Bettermann Gmbh & Co. Kg Anordnung zum Erstellen einer Verbindung zwischen zwei Kabeltragvorrichtungselementen sowie Verbindungselement
US20100192313A1 (en) * 2006-08-17 2010-08-05 Dae-Yong Lee Modular steel bridge
US7607273B2 (en) * 2006-09-08 2009-10-27 Henderson Andrew G Building member
DE102006058422A1 (de) * 2006-12-08 2008-06-26 Stahl Cranesystems Gmbh Schienenstoßverbinderanordnung
DE102006061700A1 (de) 2006-12-28 2008-07-03 Robert Bosch Gmbh Getriebe-Antriebseinheit,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US8171856B1 (en) * 2008-12-16 2012-05-08 Lockheed Martin Corporation Rail transport system having a modular reconfigurable rail assembly
ES2403234T3 (es) * 2009-10-01 2013-05-16 Protektorwerk Florenz Maisch Gmbh & Co. Kg Elemento perfilado de construcción ligera conformado en frío de pared delgada y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ón de un elemento perfilado de este tipo
CN201560055U (zh) 2009-10-19 2010-08-25 河南省中原矿山设备有限公司 起重机上主梁与端梁间的连接结构
CN201610348U (zh) 2010-03-08 2010-10-20 南通润邦重机有限公司 设有起吊工装的起重机大梁
US20140083042A1 (en) * 2012-09-27 2014-03-27 Best Nature Co., Ltd. Junction structure between structures and beam junction method
WO2014144212A1 (en) * 2013-03-15 2014-09-18 Green James E Self-supporting and load bearing structural joint
FI126525B (fi) 2013-06-27 2017-01-31 Konecranes Global Oy Nosturi
DE102014107323A1 (de) * 2014-05-23 2015-11-26 Terex Mhps Gmbh Kranträger für einen Kran, insbesondere für einen Brücken- oder Portalkran, und einen Kran hiermit
US10711450B2 (en) * 2015-09-15 2020-07-14 James E Green Self-supporting and load bearing structural joint
CN105236276A (zh) * 2015-10-20 2016-01-13 常州工学院 一种可升降、可折叠的龙门起重装置
FI129769B (en) * 2018-04-18 2022-08-15 Konecranes Global Corp Box girder, in particular a crane girder, and crane provided therewith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110318467B (zh) * 2019-07-10 2020-09-22 中元国际(海南)工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钢结构横梁
US10900215B1 (en) * 2020-03-24 2021-01-26 King Saud University Reinforced joint for beam-column conn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9254735A1 (en) 2020-12-10
EP3781511A4 (en) 2022-03-30
CN112004770B (zh) 2022-10-28
FI128794B (fi) 2020-12-15
US20210163269A1 (en) 2021-06-03
EP3781511B1 (en) 2024-07-03
MX2020010979A (es) 2020-11-09
AU2019254735B2 (en) 2021-12-23
WO2019202209A1 (en) 2019-10-24
BR112020021251A2 (pt) 2021-02-02
EP3781511A1 (en) 2021-02-24
FI20185375A1 (fi) 2019-10-21
CN112004770A (zh) 2020-11-27
CL2020002673A1 (es) 2021-01-29
US11332348B2 (en) 2022-05-17
ZA202006191B (en) 202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31343C (en) Modular conveyor track connection
CA2945725C (en) Hopper transportable in parts and assembly method
KR20200134317A (ko) 크레인 메인 거더의 스플라이스 조인트
US4091594A (en) Structure for convecting paralled spaced vertical supports
KR102415544B1 (ko) 정렬불량 조정 지그
KR101904958B1 (ko) 철골보 강접합 구조
JP7237668B2 (ja) デッキ用受け材及び該デッキ用受け材の取付方法
JP5241425B2 (ja) 木造軸組の接合構造および接合金物
JPH11280148A (ja) 鋼製柱,梁の接合構造
CN111989286A (zh) 箱形梁、特别是起重机梁、以及起重机及其制造方法
JPH08311989A (ja) 鉄骨建築用シグチ構造
US9376798B1 (en) W-column for on-site erection of steel framed high rise buildings, and methods of use
US11326338B2 (en) Structural member
JP2629442B2 (ja) 梁部材の接続構造
JPH06117019A (ja) 梁鉄骨の位置決め接続工法
JP4713291B2 (ja) 大型鉄骨h型梁の分割構造と組み立て方法
JP6844640B2 (ja) 乗客コンベアのトラックレール接続構造
KR102111240B1 (ko) 에스컬레이터의 개보수용 일체형 측면 가이드레일 및 그 조립방법
JP2002070315A (ja) 通り合せ治具
JP6991531B2 (ja) H鋼の連結構造
US20220388575A1 (en) Bolt-on front bolster for intermodal chassis
JP2562570Y2 (ja) 梁部材の接続装置
JPH0650002A (ja) 鉄骨の位置決め接続工法
JP2000027295A (ja) 鋼構造物の柱と梁の接合方法
JP2002294864A (ja) 横梁の取付工法とその工法に用いるウェヴプレ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