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4132A - 내부에 생리 식염수가 수용된 검체 용기 - Google Patents

내부에 생리 식염수가 수용된 검체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4132A
KR20200134132A KR1020190122690A KR20190122690A KR20200134132A KR 20200134132 A KR20200134132 A KR 20200134132A KR 1020190122690 A KR1020190122690 A KR 1020190122690A KR 20190122690 A KR20190122690 A KR 20190122690A KR 20200134132 A KR20200134132 A KR 20200134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ontainer body
cutting unit
space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2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9681B1 (ko
Inventor
진영석
Original Assignee
진영석
주식회사 골든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영석, 주식회사 골든바이오텍 filed Critical 진영석
Publication of KR20200134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132A/ko
Priority to KR1020230066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5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9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9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1/00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arts thereof
    • A01N1/02Preservation of living parts
    • A01N1/0236Mechanical aspects
    • A01N1/0263Non-refrigerated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or storing living parts whilst preserving, e.g. cool boxes, blood bags or "straws" for cryopreservation
    • A01N1/0273Transport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89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8Ergonomic or safety aspects of handling devices
    • B01L2200/082Handling hazardou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8Ergonomic or safety aspects of handling devices
    • B01L2200/085Protection against injuring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1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 B01L2300/042Caps; Plu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6Function or devices integrated in the closure
    • B01L2300/047Additional chamber, reservo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32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cylindrical, tube 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61Configuration of multiple channels and/or chambers in a singl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87Laminated structure

Abstract

작업자가 유해 물질에 노출되는 위험을 줄여주고 밀봉 시트의 절개에 요구되는 힘이 감소된 검체 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검체 용기는 내부의 공간에 생리 식염수가 수용된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밀봉된 보존액을 포함하는 캡; 및 상기 캡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절개부를 포함하는 절개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내부에 생리 식염수가 수용된 검체 용기{CLINICAL SPECIMEN CONTAINER WITH NORMAL SALINE INSIDE}
본 발명은 검체 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내부에 생리 식염수가 수용된 검체 용기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내부에 생리 식염수가 수용되어 소량의 보존액만으로 검체의 보존이 가능하고, 보존액을 완전히 밀봉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검체 용기에 관한 것이다.
도말 검사(Smear test)는 세균 검사의 한가지 방법으로, 슬라이드 글라스에 검체를 도말한 후 표본을 염색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집균 도말 검사는 인간으로부터 채취된 세포, 조직 등의 검체를 슬라이드 글라스에 얇게 바르고 선택적으로 염색 처리한 후 현미경 관찰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종래의 세포진 검사(Papanicolaou)를 대체하여 채집된 세포 검체를 보존액에 보관하였다가 보존된 세포의 단층이 균일하게 분산된 세포 검체를 슬라이드 상에 올려놓고 검사하는 액상 세포 검사(liquid based cytology) 기법이 개발되기도 하였다. 액상 세포 검사는 종래의 세포진 검사에 비해 세포의 고정이 향상되고 불명료한 인자를 최소화하여 검사의 특이성(specificity)과 민감도(sensitivity)이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집균 도말 검사는 세균학적인 진단을 위한 간단한 염색만으로 신속하게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방법에 비해 활동성 결핵 환자를 신속히 발견 및 치료를 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환자의 병소 등에서 채취한 세포 조직은 질병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 검사 장비가 있는 장소로 운반된다. 이 경우 채취된 세포 조직의 이동은 상당히 장시간 동안 보존되어야 할 필요가 있고, 따라서 보존액(또는 고정액)에 담아 보관한다. 보존액은 인간으로부터 탈락한 세포 조직이 사멸하거나, 분해되거나, 형태가 변화하지 않도록 채취 당시의 상태를 유지 및 보존시켜 세포 조직의 구조를 관찰하거나, 분석하거나, 표본 제작 등에 적합한 상태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보존액으로는 통상적으로 포름알데히드를 포함하는 혼합 용액이 사용되고 있다.
포름알데히드는 단백질의 응고작용과 중합작용을 가져 보존액으로 가장 흔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포르말린(포름알데히드 용액)은 인체에 대한 독성이 매우 강할 뿐 아니라 휘발성이 있어 취급시 주의가 요구된다. 또한 휘발된 포르말린이 공기에 장시간 놓일 경우 1급 발암물질이 생성될 수 있다. 만일 사람이 기체 상태의 포르말린에 노출될 경우 포름알데히드가 피부나 점막을 통해 침투할 수 있다. 특히 지속적으로 포름알데히드를 흡입할 경우 중추신경계의 장애 내지는 심장 쇠약 등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포르말린의 취급에는 고도의 주의가 요구된다.
그러나 세포의 보존 과정에서 검사를 수행하는 임상의 또는 병리사 등의 검사자는 항상 포르말린에 노출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포르말린 취급시 검사자는 방독면을 착용하여 포르말린에 의한 유해성을 최소화하고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업자의 건강 상태는 유해 요소에 노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보존액을 밀폐시키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한국등록특허 제10-1880052호)은 용기본체, 커터부재, 보존액 수용부, 뚜껑 및 가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검체 보관 용기를 개시한다. 또, 특허문헌 2(한국등록특허 제10-1934819호)는 검체 수용부 및 캡부를 포함하는 검체 용기를 개시한다.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는 용기 본체와 뚜껑을 회전시켜 보존액을 밀폐하는 밀폐막을 절개하는 구조를 개시한다.
다른 예를 들어, 특허문헌 3(한국등록특허 제10-1874304호)는 수납하우징, 스크린망, 선별부재, 누름봉 및 알루미늄막을 포함하는 인체 조직 보존 장치를 개시한다. 또, 특허문헌 4(한국등록특허 제10-1736745호)는 캡부, 하우징, 슬릿부 및 지지턱을 포함하는 조직 보존을 위한 검체용기를 개시한다. 특허문헌 3 및 특허문헌 4는 뚜껑에 압력을 가하여 보존액을 밀폐하는 밀폐막을 절개하는 구조를 개시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80052호, (특허문헌 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34819호, (특허문헌 3)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74304호 (특허문헌 4)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36745호
전술한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4의 검체 용기는 밀폐막을 이용하여 보존액을 밀봉하고, 사용시 조작을 통해 밀폐막을 절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4에서 밀폐막을 절개하는 데에는 상당한 힘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들에 개시된 검체 용기 중 일부는 판매 중에 있으나 밀폐막의 절개에 상당한 힘, 예컨대 약 3atm 수준의 힘이 필요하다. 특히 실제 의료 현장에서 본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 중 상당수는 여성 인력이며, 한손으로는 밀폐막을 절개하지 못하여 두손으로 압력을 가하거나, 압력을 가하는 과정에서 검체 용기를 떨어뜨려 보존액에 거품이 발생하고 기포가 차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검사자가 포르말린에 노출되는 과정은 세포 검체를 검체 용기에 투입하는 과정 뿐 아니라, 세포 고정에 적합한 포르말린을 제조하는 과정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즉, 적절한 포름알데히드 농도를 가지고, 그 외 추가 성분을 포함하는 보존액을 제조하거나, 준비하는 등의 과정에서도 작업자는 포르말린에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작업자가 상대적으로 적은 힘을 가하더라도 손쉽게 밀봉 시트를 절개하고 보존액과 검체를 혼합할 수 있는 검체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동시에, 작업자가 포르말린 등의 유해 물질에 노출되는 시간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는 검체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용기는 내부의 공간에 생리 식염수가 수용된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밀봉된 보존액을 포함하는 캡; 및 상기 캡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절개부를 포함하는 절개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보존액은 포름알데히드를 35.0% 내지 40.0%로 함유하는 포르말린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생리 식염수와 상기 보존액이 혼합된 후 8% 내지 12%의 농도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캡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생리 식염수가 완전히 밀봉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캡과 상기 절개 유닛 간의 결합은 회전 비제한적인 결합일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체 용기는 내부의 공간에 제1 액체가 수용된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밀봉된 제2 액체를 포함하는 캡으로서, 상기 제2 액체를 밀봉하는 밀봉 시트를 더 포함하는 캡; 및 상기 캡의 하부에 결합되고, 절개부를 포함하는 절개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캡에 외력을 가할 경우, 상기 절개부가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상기 밀봉 시트를 절개하고, 상기 제1 액체와 상기 제2 액체가 혼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체 용기는 밀봉 시트를 포함하여 내부의 밀봉된 제1 공간을 갖는 캡; 상기 캡의 하부에 가역적으로 결합되고 제2 공간을 갖는 용기 본체로서, 상기 캡과 결합될 경우 상기 제2 공간이 밀폐되고, 상기 캡과 분리될 경우 상기 제2 공간이 개방되는 용기 본체; 상기 캡과 상기 용기 본체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캡과 상기 용기 본체 사이에 끼워지도록 배치된 블로킹 링; 및 상기 캡의 하부에 가역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캡과 상기 용기 본체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삽입 배치되는 절개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캡은, 천장부, 상기 천장부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고 내측면에 제1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 바디부, 상기 천장부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공간을 형성하는 제1 측벽부, 및 상기 제1 측벽부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공간을 밀봉하는 상기 밀봉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용기 본체는, 제1 바닥부, 상기 제1 바닥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고 외측면에 제2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공간을 형성하는 제2 측벽부, 상기 제1 바닥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측벽부 보다 낮은 높이를 형성하는 복수의 지지부, 및 상기 제2 측벽부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2 나사산 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링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개 유닛은, 복수의 개구가 형성된 제2 바닥부, 상기 제2 바닥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제3 측벽부, 및 상기 제2 바닥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3 측벽부 보다 낮은 높이를 형성하는 절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캡과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제1 나사산과 상기 제2 나사산를 통해 나사 조임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캡과 상기 절개 유닛은, 상기 제1 측벽부의 외측면과 상기 제3 측벽부의 내측면을 통해 억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또, 상기 블로킹 링은, 상기 체결 바디부의 하단면과 상기 링 지지부의 상면 사이에 끼워져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절개 유닛은, 상기 제2 바닥부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걸림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캡과 상기 용기 본체 및 상기 캡과 상기 절개 유닛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바닥부의 하면은 상기 지지부의 상면과 맞닿고, 상기 걸림턱의 하면은 상기 지지부의 상면 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 상기 캡과 상기 절개 유닛 간의 결합은, 회전 비제한적 결합일 수 있다.
상기 절개부는, 원형 배열되는 복수의 제1 절개부로서, 곡면인 측면을 가지고, 상단이 첨단(tip)을 형성하는 제1 절개부, 및 평면 시점에서 상기 제1 절개부에 둘러싸이는 제2 절개부로서, 평평한 측면을 가지고, 상기 제1 절개부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제2 절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절개부의 최대 높이는, 상기 제2 절개부의 최대 높이 보다 클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용기 본체를 기준으로 상기 캡을 90도 이상 회전시킬 경우, 최초 90도 미만의 제1 각도 범위에서, 상기 캡과 상기 절개 유닛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각도를 초과하는 제2 각도 범위에서, 상기 캡은 회전하되, 상기 절개 유닛은 상기 지지부와 상기 걸림턱 간의 간섭으로 인해 회전이 제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블로킹 링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 본체를 기준으로 상기 캡을 회전시킬 경우, 상기 제1 나사산과 상기 제2 나사산을 통해 나사 조임되며 상기 캡이 하방 이동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캡과 억지 끼움 결합된 상기 절개 유닛은 상기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며 하방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캡이 하방 이동함에 따라 상기 밀봉 시트와 상기 절개부 간의 이격 거리가 점차 가까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검체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검체 용기의 단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절개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절개 유닛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11은 도 1의 검체 용기를 이용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즉, 본 발명이 제시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 또는 소자와 다른 구성요소 또는 소자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 뿐만 아니라, 사용시에 구성요소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 또는 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내지'를 사용하여 나타낸 수치 범위는 그 앞과 뒤에 기재된 값을 각각 하한과 상한으로서 포함하는 수치 범위를 나타낸다. '약' 또는 '대략'은 그 뒤에 기재된 값 또는 수치 범위의 20% 이내의 값 또는 수치 범위를 의미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방향(X)은 평면 내 임의의 일 방향을 의미하고, 제2 방향(Y)은 상기 평면 내에서 제1 방향(X)과 교차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 제3 방향(Z)은 상기 평면에 수직한 방향을 의미한다. 다만 청구항에 기재된 사항이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평면'은 제1 방향(X)과 제2 방향(Y)이 속하는 평면을 의미한다. 또, '평면 시점'은 도면에 표현된 구성요소를 제3 방향(Z) 일측에서 바라보아 상기 구성요소를 상기 평면에 놓고 보는 시점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용기(1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검체 용기(1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검체 용기(10)의 단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절개 유닛(301)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절개 유닛(301)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검체 용기(10)는 밀폐된 제1 공간(S1)을 갖는 캡(101) 및 개방된 제2 공간(S2)을 갖는 용기 본체(201)를 포함한다. 또, 검체 용기(10)는 블로킹 링(401) 및 절개 유닛(30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검체 용기(10)는 생체 검사(biopsy) 내지는 액상 세포 검사(liquid based cytology)를 수행하기 위한 용기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캡(101)에 대하여 설명한다. 캡(101)은 밀폐된 제1 공간(S1)을 가질 수 있다. 제1 공간(S1)에는 액상의 물질(예컨대, 제1 액체(F))이 수용된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액상의 물질은 유해 성분을 포함하는 보존액(F)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존액(F)은 고농도의 포름알데히드를 포함하는 용액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보존액(F)의 포름알데히드 농도의 하한은 약 25.0%(v/v), 또는 약 26.0%(v/v), 또는 약 27.0%(v/v), 또는 약 28.0%(v/v), 또는 약 29.0%(v/v), 또는 약 30.0%(v/v), 또는 약 31.0%(v/v), 또는 약 32.0%(v/v), 또는 약 33.0%(v/v), 또는 약 34.0%(v/v), 또는 약 35.0%(v/v)일 수 있다.
보존액(F)은 포름알데히드 농도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약 50.0%(v/v), 또는 약 49.0%(v/v), 또는 약 48.0%(v/v), 또는 약 47.0%(v/v), 또는 약 46.0%(v/v), 또는 약 45.0%(v/v), 또는 약 44.0%(v/v), 또는 약 43.0%(v/v), 또는 약 42.0%(v/v), 또는 약 41.0%(v/v), 또는 약 40.0%(v/v)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캡(101)은 상단의 천장부(111), 천장부(111)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고 내측면에 제1 나사산(121s)이 형성된 체결 바디부(121) 및 천장부(111)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고 제1 공간(S1)을 형성하는 제1 측벽부(131)를 포함하고, 제1 측벽부(131)의 하단에 배치된 밀봉 시트(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천장부(111), 체결 바디부(121) 및/또는 제1 측벽부(131)는 서로 물리적 경계 없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캡(101)의 천장부(111), 체결 바디부(121) 및 제1 측벽부(131)는 합성 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상적인 인간의 악력(握力, 손아귀 힘), 예컨대 약 100kgf 이하, 또는 약 90kgf 이하, 또는 약 80kgf 이하, 또는 약 70kgf 이하, 또는 약 60kgf 이하, 또는 약 50kgf 이하의 힘을 가하였을 때 외관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 강도와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캡(101)은 통상적인 외력에 의해 깨지거나, 찌그러지거나, 압축되거나, 팽창되거나, 구부러지거나, 휘어지거나, 접어지거나, 또는 찢어지는 등의 외관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강도와 강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재질의 예로는 폴리카보네이트 계열 수지 등을 들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천장부(111)는 평면 시점에서 대략 원형일 수 있다. 천장부(111)는 캡(101)의 외관 상면을 이루는 부분일 수 있다. 또, 천장부(111)의 하면은 제1 공간(S1) 형성에 기여할 수 있다.
체결 바디부(121)는 천장부(111)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체결 바디부(121)는 대략 환 형상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체결 바디부(121)는 그 내주면에 후술할 용기 본체(201)와 가역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합 수단은 제1 나사산(121s)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가역적 결합'은 구성요소의 파괴나 변형 없이, 구성요소 간에 체결과 해제가 반복적으로 가능한 결합을 의미한다. 캡(101)과 용기 본체(201)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 체결 바디부(121)는 용기 본체(201)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체결 바디부(121)의 내경은 후술할 용기 본체(201)의 외경 보다 클 수 있다.
제1 측벽부(131)는 천장부(111)의 대략 중앙 측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측벽부(131)는 대략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일 수 있다. 또, 평면 시점에서, 제1 측벽부(131)는 체결 바디부(121)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제1 측벽부(131)의 돌출 길이는 체결 바디부(121)의 돌출 길이 보다 클 수 있다. 캡(101)과 용기 본체(201)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 제1 측벽부(131)는 용기 본체(201) 내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측벽부(131)의 외경은 후술할 용기 본체(201)의 내경 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측벽부(131)와 체결 바디부(121)은 서로 이격되고, 그 사이에 천장부(111)의 하면이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측벽부(131)의 외측면은 나사산 등을 갖지 않고 밋밋한 상태일 수 있다. 이를 통해 후술할 바와 같이 절개 유닛(301)과 회전 비제한적인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회전 비제한적 결합'은 구성요소 간의 상대적인 회전을 통해서 구성요소 간에 체결과 해제가 변경되지 않고, 동시에 어느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다른 구성요소의 회전이 자유로운 결합을 의미한다. 회전 비제한적인 결합의 예로는, 클립 결합, 억지 끼움 결합(또는 끼움 결합)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제1 측벽부(131)는 후술할 절개 유닛(301)과 상하 방향(즉, 제3 방향(Z))의 이동이 자유로운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밀봉 시트(150)는 대략 원 형상일 수 있다. 밀봉 시트(150)는 제1 측벽부(131)의 하단에 배치 내지는 접착되어 밀폐된 제1 공간(S1)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천장부(111)의 하면, 제1 측벽부(131)의 내측면 및 밀봉 시트(150)의 상면은 함께 제1 공간(S1)을 형성할 수 있다.
밀봉 시트(150)는 액상의 물질이 투과하지 않는 재료로 이루어지되, 캡(101)의 천장부(111) 등에 비해 강도와 강성이 약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밀봉 시트(150)는 통상적인 외력에 의해 부분적으로 절개되거나, 찢어지거나, 파손되거나, 개방될 수 있는 은박 등의 금속박막, 합성수지 박막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용기 본체(201)에 대하여 설명한다. 용기 본체(201)는 개방된 제2 공간(S2)을 가질 수 있다. 제2 공간(S2)에는 액상의 물질(예컨대, 제2 액체(W))이 수용된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액상의 물질은 물의 함유량이 약 95.0%(v/v) 이상, 또는 약 96.0%(v/v) 이상, 또는 약 97.0%(v/v) 이상, 또는 약 98.0%(v/v) 이상, 또는 약 99.0%(v/v) 이상인 액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순수한 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액체(W)는 염화나트륨(NaCl) 농도가 1.0% 이하, 또는 약 0.9%인 생리 식염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액체(W)로 생리 식염수를 이용할 경우 최초 검체가 투입 후, 보존액(F)(제1 액체)과 섞이기 전까지의 시간 동안 검체에 수분이 유입되는 등의 조직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액체(W)는 생리 식염수에 추가적인 성분, 예컨대 세포의 보존 내지는 고정에 유리한 다른 성분을 더 포함하는 상태일 수 있다. 즉, 제2 액체(W)는 0.1%(v/v) 내지 1.0%(v/v)의 염화나트륨이 용해된 용액일 수 있다. 또, 제2 액체(W)의 부피는 제1 액체(F)의 농도 및 부피를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으나, 예를 들어 약 3ml 내지 10ml, 또는 약 4ml 내지 6ml일 수 있다.
또한 제2 공간(S2)은 검체 용기(10)를 사용시에 피검자로부터 채취된 세포, 조직, 세포 조직 등의 검체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제2 액체(W)는 검체가 수용되는 공간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세포의 채취 과정 등에서 병리사, 임상의 등의 검사자는 바이옵시 포셉 내지는 바이옵시 핀셋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검체를 파지하여 용기 본체(201) 내에 인입할 수 있다. 이 때, 곧바로 채취된 조직 등의 검체는 점성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도구에 의해 파지된 검체를 용기 본체(201) 내에 인입하는 것이 쉽지 않다. 특히 조직의 색깔이 통상 옅은색, 백색 내지는 투명하기 때문에 검사자로 하여금 조직 세포가 올바르게 인입되었는지의 확인도 쉽지 않은 실정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검체 용기(10)는 용기 본체(201) 내에 액상의 물질, 즉 제2 액체(W)를 수용시킴으로써 조직 세포가 파지된 바이옵시 포셉을 제2 액체(W)에 넣고 휘저어 조직 세포 등의 검체를 손쉽게 인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검체를 도구로부터 떼어놓는 과정에서 물리적 힘을 가하지 않아도 되고, 따라서 검체가 뭉개지거나 손상되는 등의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용기 본체(201)와 캡(101)이 분리되어 있을 경우 제2 공간(S2)은 개방된 공간이되, 용기 본체(201)와 캡(101)이 결합을 형성할 경우 제2 공간(S2)은 외부로부터 완전히 밀폐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기 본체(201)는 하단의 제1 바닥부(211), 제1 바닥부(211)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고 외측면에 제2 나사산(221s)이 형성되며 제2 공간(S2)을 형성하는 제2 측벽부(221) 및 제1 바닥부(211)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지지부(251)를 포함하고, 제2 측벽부(221)의 외주면 상에 배치된 링 지지부(221k)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닥부(211), 제2 측벽부(221), 지지부(251) 및/또는 링 지지부(221k)는 서로 물리적 경계 없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용기 본체(201)의 제1 바닥부(211), 제2 측벽부(221), 지지부(251) 및 링 지지부(221k)는 합성 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상적인 인간의 악력, 예컨대 약 100kgf 이하, 또는 약 90kgf 이하, 또는 약 80kgf 이하, 또는 약 70kgf 이하, 또는 약 60kgf 이하, 또는 약 50kgf 이하의 힘을 가하였을 때 외관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 강도와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용기 본체(201)는 통상적인 외력에 의해 깨지거나, 찌그러지거나, 압축되거나, 팽창되거나, 휘어지거나, 접어지거나, 또는 찢어지는 등의 외관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강도와 강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용기 본체(201)는 전술한 캡(101)의 천장부(111) 등과 동일하거나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바닥부(211)는 평면 시점에서 대략 원형일 수 있다. 제1 바닥부(211)는 용기 본체(201)의 외관 저면을 이루는 부분일 수 있다. 또, 제1 바닥부(211)의 상면은 제2 공간(S2) 형성에 기여할 수 있다.
제2 측벽부(221)는 제1 바닥부(211)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측벽부(221)는 대략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제2 측벽부(221)의 외경은 체결 바디부(121)의 내경 보다 작고, 제2 측벽부(221)의 내경은 제1 측벽부(131)의 외경 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측벽부(221)는 부분적으로 전술한 체결 바디부(121)와 제1 측벽부(131)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캡(101)과 용기 본체(201)가 완전히 결합된 상태, 예컨대 완전히 나사 조임된 상태에서, 제2 측벽부(221)의 상단은 천장부(111)의 하면과 맞닿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용기 본체(201)는 그 외주면에 전술한 캡(101)과 가역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합 수단은 제2 나사산(221s)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검체 용기(10)를 액상 세포 검사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캡(101)과 용기 본체(201) 간의 복수 회에 걸친 결합과 해제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검체를 용기 본체(201)의 제2 공간(S2)에 인입하기 위해서 한번의 해제와 결합이 필요하고, 보존된 검체를 도말하기 위해서 검체를 꺼내기 위해 또 한번의 해제와 결합이 필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검체 용기(10)는 캡(101)과 용기 본체(201) 간의 결합으로서 나사 결합을 채택하여 가역적 결합이 가능하고 손쉬운 결합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 제1 나사산(121s)과 제2 나사산(221s)은 소정의 각도 관계로 나사 조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캡(101)과 용기 본체(201) 간에 완전한 결합을 형성하고, 나아가 내부에 수용된 액체의 누출 방지 측면에서 제1 나사산(121s)과 제2 나사산(221s)의 나사 조임 각도는 큰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검체 용기(10)는, 후술할 블로킹 링(401)이 제거된 상태에서, 제1 나사산(121s)과 제2 나사산(221s)이 완전히 나사 조임 되었을 때의 나사 조임 각도가 270도 이상, 또는 약 280도 이상, 또는 약 290도 이상, 또는 약 300도 이상, 또는 약 310도 이상, 또는 약 320도 이상, 또는 약 330도 이상, 또는 약 340도 이상, 또는 약 350도 이상, 또는 약 360도 이상의 각도로 결합될 수 있다. 즉, 분리된 캡(101)을 용기 본체(201) 상부에 놓고, 나사 조임 결합을 수행할 경우 최소 4분의 3바퀴 이상, 바람직하게는 최소 한 바퀴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또, 제1 나사산(121s)과 제2 나사산(221s)이 완전히 나사 조임 되었을 때의 나사 조임 각도의 상한은 약 400도, 또는 약 390도, 또는 약 380도, 또는 약 370도, 또는 약 360도, 또는 약 350도일 수 있다. 제1 나사산(121s)과 제2 나사산(221s) 간의 나사 조임 각도는 후술할 절개 유닛(301)의 걸림턱(371)과 소정의 관계에 있을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후술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후술할 블로킹 링(401)이 제거되지 않은 상태에서, 즉, 제2 나사산(221s)과 블로킹 링(401)이 중첩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제1 나사산(121s)과 제2 나사산(221s)이 완전히 나사 조임 되었을 때의 나사 조임 각도는 약 60도 이상, 또는 약 70도 이상, 또는 약 80도 이상, 또는 약 90도 이상일 수 있다.
지지부(251)는 제1 바닥부(211)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지지부(251)는 제1 바닥부(211)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바(bar) 형상일 수 있다. 또, 평면 시점에서 지지부(251)는 제2 측벽부(221)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지지부(251)의 돌출 길이는 제2 측벽부(221)의 돌출 길이 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지지부(251)의 상단은 제2 측벽부(221)의 상단 보다 낮은 높이를 형성할 수 있다.
지지부(251)는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90도 간격으로 총 4개 배치될 수 있다. 도 3의 단면사시도 상 지지부(251)가 3개 표현되어 도면은 총 4개의 지지부(251)(단면사시도에 표현되지 않은 부분 포함)가 배치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 지지부(251)는 오직 한 개일 수도 있다. 다만, 지지부(251)와 후술할 걸림턱(371)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개일 수 있다.
지지부(251)는 제2 측벽부(221)의 내측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단차를 형성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캡(101)과 용기 본체(201) 간의 결합 과정에서 절개 유닛(301)의 하면을 중력 방향(예컨대, 제3 방향(Z))으로 지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후술한다.
링 지지부(221k)는 용기 본체(201)의 외주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링 지지부(221k)는 평면상 대략 환 형상일 수 있다. 링 지지부(221k)는 제2 나사산(221s)과 마찬가지로 용기 본체(201)의 외주면 상에 위치하되, 제2 나사산(221s) 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링 지지부(221k)는 후술할 블로킹 링(401)을 중력 방향(예컨대, 제3 방향(Z))으로 지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링 지지부(221k)의 수평 방향(예컨대, 제1 방향(X), 또는 제2 방향(Y), 또는 제1 방향(X)과 제2 방향(Y)이 속하는 평면 방향)으로의 돌출 길이는 제2 나사산(221s)의 수평 방향으로의 돌출 정도 보다 클 수 있다. 즉, 용기 본체(201)를 제3 방향(Z) 하측으로부터 바라볼 경우, 제2 나사산(221s)은 링 지지부(221k)에 가려져 보이지 않고, 제3 방향(Z) 상측으로부터 바라볼 경우 제2 나사산(221s) 및 링 지지부(221k)가 모두 시인될 수 있다.
다음으로 블로킹 링(401)에 대하여 설명한다. 블로킹 링(401)은 환 형상의 링 부재일 수 있다. 블로킹 링(401)은 제3 방향(Z)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블로킹 링(401)은 최초 상태에서 캡(101)과 용기 본체(201)의 링 지지부(221k) 사이에 삽입 배치되었다가, 검체 용기(10)의 사용 시에 제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블로킹 링(401)은 캡(101)과 용기 본체(201) 간의 소정 기준 이상의 결합을 방지(blocking)하여 후술할 절개 유닛(301)의 절개부(351)가 밀봉 시트(150)를 절개하지 못하도록 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블로킹 링(401)은 용기 본체(201)를 기준으로, 캡(101)이 소정 기준 이상으로 하방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블로킹 링(401)의 내경은 용기 본체(201)의 제2 측벽부(221)의 외경 보다 클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블로킹 링(401)의 내경은 제2 측벽부(221)의 외경과 제2 나사산(221s)의 돌출 길이의 두배의 합보다 클 수 있다. 최초 상태에서 블로킹 링(401)은 링 지지부(221k) 상에 배치되고, 용기 본체(201)는 블로킹 링(401)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로킹 링(401)의 상단은 캡(101)의 체결 바디부(121)의 하단과 맞닿고, 블로킹 링(401)의 하단은 용기 본체(201)의 링 지지부(221k)의 상면과 맞닿으며, 용기 본체(201)의 링 지지부(221k)와 캡(101)의 체결 바디부(121) 사이에 끼워져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용기 본체(201)와 캡(101)은 부분적인 나사 조임 결합을 통해 서로 간의 제3 방향(Z)으로의 거리가 고정된 상태일 수 있다. 또, 최초 상태에서 블로킹 링(401)은 제2 나사산(221s)과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으로 중첩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블로킹 링(401)의 제3 방향(Z)으로의 길이는, 링 지지부(221k)에서 제2 측벽부(221)의 상단까지의 길이 보다 작을 수 있다. 즉, 블로킹 링(401)이 링 지지부(221k) 상에 얹혀진 상태에서, 제2 나사산(221s)의 상부 일부는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블로킹 링(401)은 전술한 캡(101) 및/또는 용기 본체(201)와 동일하거나 상이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절개 유닛(301)에 대하여 설명한다. 절개 유닛(301)은 캡(101)의 하부, 구체적으로 제1 측벽부(131)의 하단에 가역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캡(101)과 절개 유닛(301)이 결합되고, 캡(101)과 용기 본체(201)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 절개 유닛(301)은 용기 본체(201) 내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절개 유닛(301)은 캡(101)과 용기 본체(201)의 사이, 구체적으로 제1 공간(S1)에 수용된 제1 액체(F)가 제2 공간(S2)의 제2 액체(W) 측으로 흐르는 유체 경로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밀봉 시트(150)가 절개된 후에 중력에 의해 제1 액체(F)가 제2 액체(W) 측으로 흐르는 경로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절개 유닛(301)은 상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절개부(351)를 포함하여 밀봉 시트(150)를 절개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검체 용기(10)는 절개 유닛(301)의 절개부(351)가 밀봉 시트(150)를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절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컨대 중력에 의해 제1 액체(F)는 제2 공간(S2) 측으로 쏟아지고, 제1 액체(F)와 제2 액체(W)는 혼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액체(F)가 포르말린이고 제2 액체(W)가 생리 식염수인 경우, 제1 액체(F)와 제2 액체(W)의 혼합액 내 포름알데히드의 농도는 약 6.0%(v/v) 내지 15.0%(v/v), 또는 약 7.0%(v/v) 내지 14.0%(v/v), 또는 약 8.0%(v/v) 내지 13.0%(v/v), 또는 약 8.0%(v/v) 내지 12.0%(v/v)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액체(F)로 상대적으로 고농도를 갖는 포르말린을 준비하여 캡(101) 내에 밀봉되는 포르말린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제2 액체(W)가 작업자에 의해 주입되어 준비될 경우, 제1 액체(F)만을 수용하는 검체 용기(10)는 그 무게가 상당히 경량화될 수 있다. 따라서 한번에 더 많은 양의 검체 용기(10)의 수송 및 운반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특히 포르말린과 같이 위험물로 분류되는 경우, 그 취급, 운송량, 보관량 등에 제한이 발생할 수 있고 포르말린의 부피와 무게를 최소화하는 것은 이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세포 고정에 적합하도록 적정 성분과 적정 농도를 갖는 보존액을 제조하거나 준비하는 과정에서도 임상의, 병리사 등의 검사자는 지속적으로 포르말린에 노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검체 용기(10)는 유해 성분을 포함하는 고농도의 포름알데히드를 갖는 제1 액체(F)는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되, 추가 성분의 혼합 내지는 농도 희석을 위한 제2 액체(W) 만을 작업자가 다루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포름알데히드에 노출되는 빈도와 시간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절개 유닛(301)은 절개 기능과 동시에 필터(여과)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절개 유닛(301)은 액상의 물질은 투과하되, 소정 이상의 크기를 갖는 세포 조직 등의 검체는 투과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 본체(201) 내에 수용된 세포 조직은 캡(101) 측으로 이동하지 못할 수 있다. 반면, 제1 액체(F) 및 제2 액체(W)는 절개 유닛(301)을 투과하여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절개 유닛(301)은 복수의 개구(311h)가 형성된 제2 바닥부(311), 제2 바닥부(311)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제3 측벽부(331) 및 제2 바닥부(311)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절개부(351)를 포함하고, 제2 바닥부(311)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된 걸림턱(37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닥부(311), 제3 측벽부(331), 절개부(351) 및/또는 걸림턱(371)은 서로 물리적 경계 없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절개 유닛(301)의 하단의 제2 바닥부(311), 제3 측벽부(331), 절개부(351) 및 걸림턱(371)은 합성 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절개 유닛(301)은 캡(101) 및/또는 용기 본체(201)에 비해 강성이 낮은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절개 유닛(301)은 캡(101) 및/또는 용기 본체(201)에 비해 탄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바닥부(311)는 평면 시점에서 대략 원형일 수 있다. 제2 바닥부(311)는 복수의 개구(311h)를 가질 수 있다. 개구(311h)는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을 따라 규칙적인 매트릭스 배열을 가지거나, 또는 원형 배열을 가지거나, 또는 비규칙적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개구(311h)는 방사상으로 배열된 슬릿(slit)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복수의 개구(311h)의 집합체는 대략 원형일 수 있다. 개구(311h)가 형성된 제2 바닥부(311)는 필터 플레이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개구(311h)의 크기는 검체의 크기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311h)의 제1 방향(X)(또는 제2 방향(Y))으로의 길이는 약 10mm 이하, 또는 약 5mm 이하, 또는 약 4mm 이하, 또는 약 3mm 이하, 또는 약 2mm 이하, 또는 약 1mm 이하, 또는 약 0.5mm 이하일 수 있다.
제3 측벽부(331)는 제2 바닥부(311)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3 측벽부(331)는 대략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제3 측벽부(331)의 외경은 체결 바디부(121)의 내경 보다 작고, 제3 측벽부(331)의 내경은 제1 측벽부(131)의 외경 보다 미세하게 작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또는 미세하게 클 수 있다. 즉, 제3 측벽부(331)의 내측면은 제1 측벽부(131)의 밋밋한 외측면과 맞물려 마찰력에 의해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억지 끼움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측벽부(331)의 내측면은 나사산 등을 갖지 않고 밋밋한 상태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캡(101)의 제1 측벽부(131)와 절개 유닛(301)의 제3 측벽부(331) 간에 억지 끼움 결합(또는 끼움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캡(101)과 절개 유닛(301)의 결합을 통해, 별도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사용자가 캡(101)을 회전시키면 절개 유닛(301) 또한 캡(101)과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며 일체화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함께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캡(101)과 절개 유닛(301) 간의 결합은 회전 비제한적인 결합일 수 있다. 즉, 예컨대 다른 구성요소 없이 캡(101)과 절개 유닛(301)만이 결합된 상태에서, 캡(101)을 기준으로 절개 유닛(301)이(또는 절개 유닛(301)을 기준으로 캡(101)이) 평면상 약 90도 이상, 또는 약 180도 이상, 또는 약 270도 이상 회전하더라도 캡(101)과 절개 유닛(301)은 서로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또, 캡(101)과 절개 유닛(301)이 결합을 형성한 상태에서 이들의 평면상 회전의 각도는 360도 이상의 각도로 무제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한편, 캡(101)과 절개 유닛(301)은 제3 방향(Z)으로의 삽입이 가능한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캡(101)과 절개 유닛(301)은 회전 없이도 제3 방향(Z)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캡(101)과 절개 유닛(301)의 삽입의 정도는 조절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캡(101)이 절개 유닛(301)에 상대적으로 조금 삽입된 경우에도 캡(101)과 절개 유닛(301)은 결합 관계를 형성하고, 캡(101)이 절개 유닛(301)에 상대적으로 많이 삽입된 경우에도 캡(101)과 절개 유닛(301)은 결합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3 방향(Z)으로의 외력을 가하는 것 만으로 캡(101)의 절개 유닛(301)에 대한 삽입 깊이를 조절할 수 있고, 나아가 후술할 절개부(351)와 밀봉 시트(150)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측벽부(331)의 제3 방향(Z)으로의 돌출 길이는 제1 측벽부(131)의 제3 방향(Z)으로의 돌출 길이보다 작고, 제1 측벽부(131)가 절개 유닛(301)에 완전히 끝까지 삽입된 경우 제1 측벽부(131)의 하단은 제2 바닥부(311)의 상면과 맞닿을 수 있다.
절개부(351)는 제1 절개부(351a) 및 제2 절개부(351b)를 포함할 수 있다. 평면 시점에서, 제1 절개부(351a)는 제2 절개부(351b)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절개부(351a) 및 제2 절개부(351b)의 제3 방향(Z)으로의 돌출 높이는 제3 측벽부(331)의 제3 방향(Z)으로의 돌출 높이 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절개부(351)가 형성하는 높이는 제3 측벽부(331)가 형성하는 높이 보다 작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절개부(351a)는 하나 이상의 첨단(또는 팁(tip))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 등은 4개의 제1 절개부(351a)가 구비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절개부(351a)는 오직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다. 제1 절개부(351a)는 상기 팁을 이용하여 밀봉 시트(150)를 절개할 수 있다. 도면으로 표현된 것과 달리, 하나의 제1 절개부(351a)는 하나의 팁이 아니라 이(teeth) 내지는 톱니 형태의 복수의 첨단을 가질 수도 있다.
또, 소정의 높이를 갖는 복수의 제1 절개부(351a)는 각각 격벽과 같은 기능을 할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절개부(351a)는 대략 원형 배열되되, 서로 간에 이격될 수 있다. 제1 절개부(351a) 간의 이격 공간을 통해 액상의 물질, 예컨대 제1 액체(F)는 원형 배열된 제1 절개부(351a)의 외측 또는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절개부(351a)는 각각 외측면 및 내측면을 가지되, 외측면 및 내측면은 각각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복수의 제1 절개부(351a)는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이되, 복수의 제1 절개부(351a)들은 가상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형 배열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제1 절개부(351a)들은 가상의 원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가상의 중심은 원 형상의 제2 바닥부(311)의 중심과 실질적으로 일치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로, 어느 제1 절개부(351a)는 평면 시점에서 원 호의 일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면에 예시된 것과 달리,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절개부(351a)는 2개, 또는 3개, 또는 5개 등일 수 있으나, 이 경우에도 복수의 제1 절개부(351a) 간의 원형 배열 각도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1 절개부(351a)는 가상의 중심으로 기준으로 원형 배열되되, 적어도 일부의 제1 절개부(351a)들은 서로 가상의 중심으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상이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검체 용기(10)의 절개 유닛(301)의 제1 절개부(351a)는 외측면과 내측면이 곡면을 형성하고, 가상의 중심으로 원형 배열되어 밀봉 시트(150)의 절개가 더욱 용이할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캡(101)을 회전시켜 밀봉 시트(150)를 절개할 경우에, 제1 절개부(351a)의 원형 배열의 중심과 상기 회전의 중심이 일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밀봉 시트(150)의 균일한 절개를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평면 시점에서, 제1 액체(F)를 대략 균일하게 쏟아지도록 할 수 있어 검체 용기(10)의 내압 상승을 최소화할 수 있고, 사용자로 하여금 최소한의 힘으로 밀봉 시트(150)를 절개하도록 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평면 시점에서, 복수의 제1 절개부(351a)들은 개구(311h)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원형 배열된 제1 절개부(351a)들은 그 외측의 영역과 그 내측의 영역으로 구획할 수 있고, 개구(311h)는 상기 내측의 영역에만 위치할 수 있다. 밀봉 시트(150)가 절개되는 순간에 제1 공간(S1)의 제1 액체(F)는 개구(311h)를 통해 제2 공간(S2)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검체 용기(10) 내부의 부피, 즉 제1 공간(S1)과 제2 공간(S2)의 부피가 크지 않기 때문에 제1 공간(S1)과 제2 공간(S2)이 순간적으로 유체 연통되면서 검체 용기(10) 내부(즉, 제1 공간(S1)과 제2 공간(S2)이 유체 연통하여 형성한 영역)의 내압이 상승할 수 있다. 이는 제1 액체(F)가 하측(제2 공간(S2) 측)으로 쏟아지는 반면, 하측(제2 공간(S2))의 공기가 상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일 수 있다. 내압 상승이 심할 경우 캡(101)과 용기 본체(201)의 결합 부위를 통해 포름알데히드를 포함하는 액체가 기포 형태로 누출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는 캡(101)과 용기 본체(201) 간의 결합이 비가역적 결합일 경우 완전한 밀봉이 가능하여 문제되지 않을 수 있으나, 캡(101)과 용기 본체(201) 간의 결합이 가역적인 결합일 경우 문제될 수 있다. 따라서 검체 용기(10)의 내압 상승을 최대한 억제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용기의 내압 상승이 제1 액체(F)의 균일한 투과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1 절개부(351a)는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밀봉 시트(150)를 절개하여 제1 액체(F)가 쏟아지게 구성할 수 있다. 즉, 밀봉 시트(150)에 형성되는 절개부 내지는 개구는 평면상 제1 절개부(351a)와 상응하는 위치이거나, 후술할 제2 절개부(351b)에 의해 절개되는 그 보다 내측의 위치이다. 이에 따라 평면 시점에서, 제1 액체(F)는 주로 제1 절개부(351a)가 배열된 가상의 원의 내측 영역을 통해 쏟아지게 된다.
따라서 개구(311h)를 제1 절개부(351a)의 내측 영역, 즉 주로 액체가 쏟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영역에만 형성하여 용기의 내압 상승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격벽 기능을 수행하는 제1 절개부(351a)를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미량의 액체 물질만이 쏟아지는 외측에는 개구를 형성하지 않고, 주된 액체 물질이 쏟아지는 내측에만 개구(311h)를 형성함으로써, 공기의 이동 경로 및 액체의 이동 경로를 중앙 측으로 집중시킬 수 있고, 예상치 못한 공기의 흐름으로 인한 용기의 내압 상승을 최소화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최초 제2 공간(S2) 내에 위치한 제2 액체(W) 또한 용기의 내압 상승 억제에 기여할 수 있다. 제2 공간(S2)은 제1 액체(F)와 제2 액체(W)의 혼합액이 수용될 수 있도록 충분한 부피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중력에 의해 제1 액체(F)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공기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밀봉 시트(150)가 절개되기 전의 제2 공간(S2)의 부피, 구체적으로 제2 공간(S2) 내 공기의 부피가 클 경우 용기 내압 상승의 정도가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액체(W)가 최초 상태에서 소정의 부피를 차지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제2 절개부(351b)는 평면 시점에서 대략 '+'자 형상일 수 있다. 제2 절개부(351b) 또한 하나 이상의 첨단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절개부(351b)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부분과 그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2 부분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의 교점이 첨단(팁)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절개부(351b)는 상기 팁을 이용하여 밀봉 시트(150)를 절개할 수 있다.
또, '+'자 형상의 제2 절개부(351b)는 원형 배열된 제1 절개부(351a)와 맞닿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개구(311h)가 위치한 원형 영역(제1 절개부(351a)의 내측 영역)은 대략 4개의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제2 절개부(351b)에 의해 '+'자 형상의 격벽을 형성함으로써, 각 4개의 영역 간에 액체 물질이 투과하는 양을 대략 균일하게 할 수 있고, 내압 상승을 최소화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절개부(351b)는 개구(311h)와 제3 방향(Z)으로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2 절개부(351b)가 형성된 위치에는 개구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검체 용기(10)의 절개 유닛(301)은 원형 배열된 제1 절개부(351a) 뿐 아니라 평평한 측면을 갖는 제2 절개부(351b)를 포함하여 밀봉 시트(150)를 더욱 용이하게 절개할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밀봉 시트(150)의 절개는 절개 유닛(301)과 캡(101) 간의 상대적인 회전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1 절개부(351a)는 회전축과 일치하는 중심을 기준으로 원형 배열되어 용이한 절개를 유도하되, 평평한 측면을 갖는 제2 절개부(351b)는 그 첨단을 이용하여 밀봉 시트(150)에 침투하고 그 다음 그 측면을 이용하여 절개된 밀봉 시트(150)를 밀어 젖히며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밀봉 시트(150)의 절개에 요구되는 힘을 더욱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절개부(351b)의 최대 높이는 제1 절개부(351a)의 최대 높이 보다 작고, 밀봉 시트(150)와 절개부(351)가 가까워지는 순간에 제2 절개부(351b)가 아닌 제1 절개부(351a)가 먼저 밀봉 시트(150)와 맞닿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밀어 젖히며 밀봉 시트(150)를 절개하는 제2 절개부(351b) 보다 첨단을 이용하여 밀봉 시트(150)를 절개하는 제1 절개부(351a)가 밀봉 시트(150)에 먼저 침투하는 것이 요구되는 힘의 감소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한편, 제2 바닥부(311)의 하면 상에는 복수의 걸림턱(371)이 배치될 수 있다. 걸림턱(371)은 제2 바닥부(311)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도 5는 걸림턱(371)이 대략 90도로 원형 배열되어 4개 배치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걸림턱(371)은 오직 하나 구비될 수도 있으나, 지지부(251)와 걸림턱(371) 중 하나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걸림턱(371)의 개수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후술한다.
걸림턱(371)은 지지부(251)와의 간섭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지지부(251) 상에 절개 유닛(301)이 놓인 상태에서, 지지부(251)의 상면은 제2 바닥부(311)의 하면과 맞닿고, 지지부(251)의 상면은 걸림턱(371)의 하면 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걸림턱(371)과 지지부(251)는 함께, 용기 본체(201)를 기준으로 절개 유닛(301)이 소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걸림턱(371)이 4개 배치된 경우, 용기 본체(201)를 기준으로 절개 유닛(301)이 90도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즉, 캡(101)과 절개 유닛(301)이 이미 결합되고, 캡(101)과 용기 본체(201)를 나사 조임하는 과정에서, 전술한 것과 같이 용기 본체(201)를 기준으로 캡(101)을 약 360도 회전시키더라도, 용기 본체(201)를 기준으로 절개 유닛(301)은 약 270도 이하의 범위로 회전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캡(101)을 회전 시킬 경우 절개 유닛(301)은 최초 소정 각도 동안은 캡(101)과 함께 회전하되, 그 이후 소정 각도 동안은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최초의 소정 각도의 하한은 약 20도 이상, 또는 약 30도 이상, 또는 약 40도 이상일 수 있다. 또, 상기 최초의 소정 각도의 상한은 약 270도 미만, 또는 약 180도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90도 미만일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용기 본체(201)를 기준으로 할 때, 캡(101)을 360도 회전시킬 경우 최초 소정의 각도(예컨대, 약 89도) 동안은 캡(101)과 절개 유닛(301)이 결합 상태를 유지하며 절개 유닛(301)이 캡(101)과 함께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절개 유닛(301) 또한 약 89도를 회전할 수 있다.
반면, 그 이후의 소정의 각도(예컨대, 약 271도) 동안은 용기 본체(201)와의 상대적 위치에 있어서 캡(101)만이 271도 회전하고 절개 유닛(301)은 걸림턱(371)과 지지부(251)의 간섭으로 인해 더 이상의 회전을 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르게 표현하면, 캡(101)을 기준으로 할 때, 캡(101)을 360도 회전시킬 경우 상기 최초 소정의 각도(약 89도) 동안은 절개 유닛(301)은 캡(101)과 함께 연동되어 캡(101)과 절개 유닛(301) 간의 상대적 위치에 있어서 절개 유닛(301)은 위치가 변화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그 이후의 소정의 각도(약 271도) 동안은 캡(101)과의 상대적 위치에 있어서 절개 유닛(301)은 캡(101)을 기준으로 약 271도 회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검체 용기(10)는 완전한 밀봉을 위해 캡(101)을 충분히 회전시킴에도 절개 유닛(301)은 그보다 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용기 본체(201)에 대한 캡(101)의 최대 회전 각도와 절개 유닛(301)의 회전 각도 허용 범위의 차이는 360도 미만일 수 있다.
캡(101)의 최대 회전 각도는 제1 나사산(121s)과 제2 나사산(221s)의 연장 길이를 통해 조절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캡(101)의 최대 회전 각도는 제1 나사산(121s)과 제2 나사산(221s)이 완전히 나사 조임되었을 때의 회전 각도를 의미한다.
또 절개 유닛(301)의 회전 각도 허용 범위는 걸림턱(371)과 지지부(251)의 배열 각도 및/또는 개수를 통해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걸림턱(371) 및 지지부(251)가 모두 균일한 각도로 원형 배열되었을 경우, 절개 유닛(301)의 회전 각도 허용 범위는 걸림턱(371)의 개수와 지지부(251)의 개수 중 큰 개수에 대한 360도의 수치값 미만이 될 수 있다. 만일 걸림턱이 4개이고 지지부가 4개이거나, 걸림턱이 4개이고 지지부가 1개이거나, 또는 걸림턱이 1개이고 지지부가 4개인 경우 절개 유닛(301)의 회전 각도 허용 범위는 90도 미만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걸림턱이 3개이고 지지부가 1개일 경우 절개 유닛(301)의 회전 각도 허용 범위는 120도 미만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걸림턱이 2개이고 지지부가 1개일 경우 절개 유닛(301)의 회전 각도 허용 범위는 180도 미만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검체 용기(10)는 밀봉 시트(150)의 절개에 요구되는 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용기 본체(201)를 파지하고 캡(101)을 회전시킬 경우, 최초 소정의 각도(절개 유닛(301)의 회전 각도 허용 범위) 동안은 절개 유닛(301)도 캡(101)과 함께 회전(즉, 캡(101)을 기준으로 절개 유닛(301)이 회전하지 않음)하되, 상기 회전 각도 허용 범위를 넘어설 경우 캡(101)을 기준으로 절개 유닛(301)이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처음부터 절개 유닛(301)이 캡(101)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비해, 본 발명과 같이 캡(101)에 회전 관성을 형성할 수 있어 밀봉 시트(150)의 더욱 용이한 절개가 가능해진다.
뿐만 아니라, 절개부(351)에 의해 밀봉 시트(150)가 절개되는 것을 넘어 완전히 절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용기 본체(201)에 대한 캡(101)의 최대 회전 각도와 절개 유닛(301)의 회전 각도 허용 범위의 차이를 360도 미만을 형성함으로써 밀봉 시트(150)가 2개 이상의 부분으로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부분적으로만 절개되어 제1 액체(F)가 유출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만일 밀봉 시트(150)가 부분적으로 절단될 경우 제1 측벽부(131)의 하단으로부터 자유로워진 절단된 부분이 개구(311h)를 막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이는 용기 내압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절개부(351)의 개수, 형상, 배열 등과 함께 상기 회전 각도 제어를 통해 밀봉 시트(150)가 완전히 절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11을 더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검체 용기(10)의 구조, 결합 관계, 배치 관계 및 기능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11은 도 1의 검체 용기(10)를 이용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6은 검체 용기(10)의 최초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검체 용기(10)에 검체(SP)를 주입하는 단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또, 도 8은 검체(SP)를 밀봉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용기 본체(201)와 절개 유닛(301) 간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배면사시도이다. 또한 도 10은 밀봉 시트(150)를 절개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서 용기 본체(201)와 절개 유닛(301) 간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배면사시도이다.
우선 도 6을 더 참조하면, 용기 본체(201)의 링 지지부(221k) 상에 블로킹 링(401)을 배치하고, 캡(101)의 하단에 절개 유닛(301)을 결합하며, 캡(101)의 제1 나사산(121s)과 용기 본체(201)의 제2 나사산(221s)을 이용하여 캡(101)과 용기 본체(201)를 결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블로킹 링(401)은 캡(101)의 체결 바디부(121)와 링 지지부(221k)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고, 캡(101)의 제1 측벽부(131)와 절개 유닛(301)의 제3 측벽부(331)는 서로 맞물려 억지 끼움 결합되며, 캡(101)과 용기 본체(201)는 나사 조임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블로킹 링(401)에 의해 제1 나사산(121s)과 제2 나사산(221s)은 부분적으로만 결합된 상태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절개 유닛(301)의 제2 바닥부(311)의 하면은 용기 본체(201)의 지지부(251)의 상면과 맞닿는 상태일 수 있다. 또, 제1 공간(S1)에는 포름알데히드를 포함하는 제1 액체(F)(즉, 보존액)가 수용된 상태이고, 캡(101)에 의해 밀폐된 용기 본체(201)의 제2 공간(S2)에는 염화나트륨을 포함하는 제2 액체(W)(예컨대, 생리 식염수)가 수용된 상태일 수 있다. 본 단계에서 절개 유닛(301)의 절개부(351)(단면도 상 제2 절개부(351b)만 표현)는 밀봉 시트(150)와 제3 방향(Z)으로 이격된 상태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절개 유닛(301)은 캡(101)의 하단에 결합되지 않고 지지부(251) 상에 얹혀진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후술할 바와 같이 캡(101)을 회전시켜 하방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캡(101)과 절개 유닛(301)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절개 유닛(301)은 캡(101)의 하단에 결합되되, 지지부(251)와 제3 방향(Z)으로 이격된 상태일 수도 있다. 이 경우 후술할 바와 같이 캡(101)을 회전시켜 캡(101)과 절개 유닛(301)을 하방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절개 유닛(301)이 지지부(251)와 맞닿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더 참조하면, 캡(101)과 용기 본체(201)의 나사 조임 결합을 풀고, 용기 본체(201)의 개방된 제2 공간(S2)에 검체(SP)를 인입한다. 검체(SP)는 인간의 세포, 조직, 객담, 구강 세정액 등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2 공간(S2) 내에 이미 제2 액체(W)가 수용되어 있어 바이옵시 포셉 등을 이용하여 검체(SP)를 주입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본 단계에서, 절개 유닛(301)은 여전히 캡(101)과 결합된 상태이고, 블로킹 링(401)은 링 지지부(221k) 상에 놓인 상태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 및 도 9를 더 참조하면, 블로킹 링(401)을 제거하고 캡(101)과 용기 본체(201)를 부분적으로 결합시킨다. 본 단계에서 상기 결합은 제1 나사산(121s)과 제2 나사산(221s)의 회전으로 인한 나사 조임 결합일 수 있다. 또 검체(SP)는 캡(101)에 의해 밀폐된 용기 본체(201)의 제2 공간(S2)에 수용 및 보관되며 외부로부터 완전히 격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나사산(121s)과 제2 나사산(221s)이 부분적으로 결합되는 과정, 즉 용기 본체(201)를 기준으로 캡(101)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절개 유닛(301)은 캡(101)과 함께 일체화되어 이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밀봉 시트(150)와 절개부(351) 사이의 이격 거리는 실질적으로 변화하지 않고, 캡(101)과 절개 유닛(301)은 함께 하방 이동되며, 캡(101)과 절개 유닛(301) 간의 상대적인 회전은 없을 수 있다. 또한, 도 9에 표현된 것과 같이 절개 유닛(301)의 걸림턱(371)과 용기 본체(201)의 지지부(251)는 최초 이격되어 있다가, 캡(101)과 절개 유닛(301)의 회전에 따라 걸림턱(371)과 지지부(251)가 점차 가까워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 및 도 11을 더 참조하면, 캡(101)과 용기 본체(201)를 완전히 결합시킨다. 본 단계에서 상기 결합은 제1 나사산(121s)과 제2 나사산(221s)의 회전으로 인한 나사 조임 결합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나사산(121s)과 제2 나사산(221s)이 완전히 결합되는 과정, 즉 용기 본체(201)를 기준으로 캡(101)이 더욱 회전되는 과정에서, 절개 유닛(301)과 캡(101)의 상대적인 위치와 회전 상태는 달라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캡(101)은 나사 조임을 통해 점차 하방 이동하는 반면 절개 유닛(301)의 하면이 지지부(251)와 맞닿아 하방 이동이 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밀봉 시트(150)와 절개부(351) 사이의 이격거리는 점차 가까워지다가 절개부(351)는 밀봉 시트(150)에 침투하여 부분적으로 절개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표현된 것과 같이 절개 유닛(301)의 걸림턱(371)과 용기 본체(201)의 지지부(251) 간의 간섭으로 인해 용기 본체(201)를 기준으로 절개 유닛(301)은 회전하지 못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캡(101)과 절개 유닛(301)은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하고, 이를 통해 밀봉 시트(150)의 절개에 요구되는 힘을 줄일 수 있다.
밀봉 시트(150)가 절개됨에 따라 제1 공간(S1)과 제2 공간(S2)은 유체 연통되며, 제1 공간(S1)에 수용되어 있던 제1 액체(F)는 절개 유닛(301)의 개구(311h)를 통해 제2 공간(S2) 측으로 쏟아질 수 있다. 제1 액체(F)와 제2 액체(W)는 서로 혼합되어 혼합액(FW)을 형성하고, 검체(SP)는 혼합액(FW)에 의해 고정 내지는 보존될 수 있다. 혼합액(FW) 내 포름알데히드의 농도는 약 6.0%(v/v) 내지 15.0%(v/v), 또는 약 7.0%(v/v) 내지 14.0%(v/v), 또는 약 8.0%(v/v) 내지 13.0%(v/v), 또는 약 8.0%(v/v) 내지 12.0%(v/v)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검체 용기(10)는 서로 분리된 제1 공간(S1)과 제2 공간(S2)에 각각 서로 상이한 액체를 수용시켜 작업자가 포름알데히드 등의 유해 물질에 노출되는 빈도와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 캡(101), 절개 유닛(301) 및 용기 본체(201) 간의 회전 관계를 특정한 범위 내에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밀봉 시트(150)의 절개에 요구되는 힘을 최소화할 수 있고, 용기 내부의 내압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상에서 예시된 기술 사상의 변경물, 균등물 내지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1: 캡
111: 천장부
121: 체결 바디부
121s: 제1 나사산
131: 제1 측벽부
150: 밀봉 시트
201: 용기 본체
211: 제1 바닥부
221: 제2 측벽부
221k: 링 지지부
221s: 제2 나사산
251: 지지부
301: 절개 유닛
311: 제2 바닥부
311h: 개구
331: 제3 측벽부
351: 절개부
401: 블로킹 링
S1: 제1 공간
S2: 제2 공간
F: 제1 액체
W: 제2 액체

Claims (10)

  1. 내부의 공간에 생리 식염수가 수용된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밀봉된 보존액을 포함하는 캡; 및
    상기 캡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절개부를 포함하는 절개 유닛을 포함하는 검체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존액은 포름알데히드를 35.0% 내지 40.0%로 함유하는 포르말린이고,
    상기 생리 식염수와 상기 보존액이 혼합된 후 8% 내지 12%의 농도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검체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캡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생리 식염수가 완전히 밀봉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캡과 상기 절개 유닛 간의 결합은 회전 비제한적인 결합인 검체 용기.
  4. 내부의 공간에 제1 액체가 수용된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밀봉된 제2 액체를 포함하는 캡으로서, 상기 제2 액체를 밀봉하는 밀봉 시트를 더 포함하는 캡; 및
    상기 캡의 하부에 결합되고, 절개부를 포함하는 절개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캡에 외력을 가할 경우, 상기 절개부가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상기 밀봉 시트를 절개하고, 상기 제1 액체와 상기 제2 액체가 혼합되도록 구성된 검체 용기.
  5. 밀봉 시트를 포함하여 내부의 밀봉된 제1 공간을 갖는 캡;
    상기 캡의 하부에 가역적으로 결합되고 제2 공간을 갖는 용기 본체로서, 상기 캡과 결합될 경우 상기 제2 공간이 밀폐되고, 상기 캡과 분리될 경우 상기 제2 공간이 개방되는 용기 본체;
    상기 캡과 상기 용기 본체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캡과 상기 용기 본체 사이에 끼워지도록 배치된 블로킹 링; 및
    상기 캡의 하부에 가역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캡과 상기 용기 본체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삽입 배치되는 절개 유닛을 포함하는 검체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천장부, 상기 천장부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고 내측면에 제1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 바디부, 상기 천장부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공간을 형성하는 제1 측벽부, 및 상기 제1 측벽부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공간을 밀봉하는 상기 밀봉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본체는, 제1 바닥부, 상기 제1 바닥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고 외측면에 제2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공간을 형성하는 제2 측벽부, 상기 제1 바닥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측벽부 보다 낮은 높이를 형성하는 복수의 지지부, 및 상기 제2 측벽부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2 나사산 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링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개 유닛은, 복수의 개구가 형성된 제2 바닥부, 상기 제2 바닥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제3 측벽부, 및 상기 제2 바닥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3 측벽부 보다 낮은 높이를 형성하는 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과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제1 나사산과 상기 제2 나사산를 통해 나사 조임 결합되고,
    상기 캡과 상기 절개 유닛은, 상기 제1 측벽부의 외측면과 상기 제3 측벽부의 내측면을 통해 억지 끼움 결합되고,
    상기 블로킹 링은, 상기 체결 바디부의 하단면과 상기 링 지지부의 상면 사이에 끼워져 배치되는 검체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 유닛은, 상기 제2 바닥부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걸림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캡과 상기 용기 본체 및 상기 캡과 상기 절개 유닛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바닥부의 하면은 상기 지지부의 상면과 맞닿고, 상기 걸림턱의 하면은 상기 지지부의 상면 보다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캡과 상기 절개 유닛 간의 결합은, 회전 비제한적 결합인 검체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원형 배열되는 복수의 제1 절개부로서, 곡면인 측면을 가지고, 상단이 첨단(tip)을 형성하는 제1 절개부, 및
    평면 시점에서 상기 제1 절개부에 둘러싸이는 제2 절개부로서, 평평한 측면을 가지고, 상기 제1 절개부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제2 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절개부의 최대 높이는, 상기 제2 절개부의 최대 높이 보다 큰 검체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를 기준으로 상기 캡을 90도 이상 회전시킬 경우,
    최초 90도 미만의 제1 각도 범위에서, 상기 캡과 상기 절개 유닛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각도를 초과하는 제2 각도 범위에서, 상기 캡은 회전하되, 상기 절개 유닛은 상기 지지부와 상기 걸림턱 간의 간섭으로 인해 회전이 제한되도록 구성된 검체 용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킹 링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 본체를 기준으로 상기 캡을 회전시킬 경우, 상기 제1 나사산과 상기 제2 나사산을 통해 나사 조임되며 상기 캡이 하방 이동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캡과 억지 끼움 결합된 상기 절개 유닛은 상기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며 하방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캡이 하방 이동함에 따라 상기 밀봉 시트와 상기 절개부 간의 이격 거리가 점차 가까워지도록 구성된 검체 용기.
KR1020190122690A 2019-05-21 2019-10-03 내부에 생리 식염수가 수용된 검체 용기 KR102539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6895A KR20230075387A (ko) 2019-05-21 2023-05-24 검체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59374 2019-05-21
KR1020190059374 2019-05-2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6895A Division KR20230075387A (ko) 2019-05-21 2023-05-24 검체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132A true KR20200134132A (ko) 2020-12-01
KR102539681B1 KR102539681B1 (ko) 2023-06-08

Family

ID=72707751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2690A KR102539681B1 (ko) 2019-05-21 2019-10-03 내부에 생리 식염수가 수용된 검체 용기
KR1020190123073A KR20200134133A (ko) 2019-05-21 2019-10-04 블로킹 링을 구비하여 회전 운동에 의해 밀봉 시트가 절개되도록 구성된 검체 용기 및 그 취급 방법
KR1020190123452A KR102159936B1 (ko) 2019-05-21 2019-10-05 캡을 눌러서 복수 종류의 액체를 혼합하도록 구성된 검체 바이알 용기
KR1020190124174A KR20200134134A (ko) 2019-05-21 2019-10-07 캡을 회전시켜서 검체를 고정하도록 구성된 검체 바이알 용기
KR1020200120296A KR20200134182A (ko) 2019-05-21 2020-09-18 복수 종류의 액체가 수용된 검체 바이알 용기
KR1020230066895A KR20230075387A (ko) 2019-05-21 2023-05-24 검체 용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3073A KR20200134133A (ko) 2019-05-21 2019-10-04 블로킹 링을 구비하여 회전 운동에 의해 밀봉 시트가 절개되도록 구성된 검체 용기 및 그 취급 방법
KR1020190123452A KR102159936B1 (ko) 2019-05-21 2019-10-05 캡을 눌러서 복수 종류의 액체를 혼합하도록 구성된 검체 바이알 용기
KR1020190124174A KR20200134134A (ko) 2019-05-21 2019-10-07 캡을 회전시켜서 검체를 고정하도록 구성된 검체 바이알 용기
KR1020200120296A KR20200134182A (ko) 2019-05-21 2020-09-18 복수 종류의 액체가 수용된 검체 바이알 용기
KR1020230066895A KR20230075387A (ko) 2019-05-21 2023-05-24 검체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6) KR1025396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0025B1 (ko) * 2021-06-18 2022-03-29 마수미 인체 조직의 안전 보존 용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19587A (ja) * 2008-04-17 2011-07-14 ペロヴィッチ,フィリップ 保存していた有効成分を即座に調製して投与する装置
JP2012245986A (ja) * 2011-05-25 2012-12-13 Japan Crown Cork Co Ltd カートリッジ
WO2018008672A1 (ja) * 2016-07-06 2018-01-11 ニプロ株式会社 検体採取チップ、検体調製容器および検体調製キット
KR101880052B1 (ko) 2017-09-18 2018-07-20 김호동 검체 보관 용기
KR101934819B1 (ko) * 2018-05-24 2019-01-03 주식회사 골든바이오텍 검체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6719A (ja) * 2005-04-20 2006-11-02 Olympus Corp 培養容器
KR101624962B1 (ko) * 2014-07-25 2016-05-27 (주)메디포유 조직검체 운반용기
EP3220832B1 (en) * 2014-11-17 2019-01-09 Traces S.r.l. Container for collection and preservation of biopsy samples
KR101736745B1 (ko) * 2016-11-16 2017-05-29 김종민 조직 보존을 위한 검체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19587A (ja) * 2008-04-17 2011-07-14 ペロヴィッチ,フィリップ 保存していた有効成分を即座に調製して投与する装置
JP2012245986A (ja) * 2011-05-25 2012-12-13 Japan Crown Cork Co Ltd カートリッジ
WO2018008672A1 (ja) * 2016-07-06 2018-01-11 ニプロ株式会社 検体採取チップ、検体調製容器および検体調製キット
KR101880052B1 (ko) 2017-09-18 2018-07-20 김호동 검체 보관 용기
KR101934819B1 (ko) * 2018-05-24 2019-01-03 주식회사 골든바이오텍 검체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134A (ko) 2020-12-01
KR20200134133A (ko) 2020-12-01
KR102539681B1 (ko) 2023-06-08
KR102159936B1 (ko) 2020-09-25
KR20230075387A (ko) 2023-05-31
KR20200134182A (ko) 202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20505U (ja) サンプル収集のためのデバイス及びシステム
KR101880052B1 (ko) 검체 보관 용기
US7456024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eparing a sample of biological origin in order to determine at least one constituent contained therein
EP2413989B1 (en) All-in-one means of separating blood components
JP2022133435A (ja) 血液サンプルを取得するための装置
US7257991B2 (en) Sample testing device
ES2200345T3 (es) Dispositivo y procedimiento de aislamiento de material celular en una envuelta de tejido y/o un liquido.
JP6466946B2 (ja) 人間工学的な便検体容器及び封入ホルダシステム、方法並びにキット
JP7244662B2 (ja) 回転して接続する毛細管収集器
ES2622897T3 (es) Disposición para detección de hemólisis
KR20110047239A (ko) 샘플 수용 장치
KR20150057271A (ko) 절취수단을 구비한 시료채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료채취 방법
JP2019503792A (ja) 流体の流れから組織試料を収集する試料カセットであって、複数の試料を留める複数の捕捉トレイを備える試料カセット
KR102380025B1 (ko) 인체 조직의 안전 보존 용기
KR20230075387A (ko) 검체 용기
CN109562874A (zh) 用于自动临床分析仪中使用的试剂容器的试剂组分分配盖
JP2011107080A (ja) 検体採取器具セット
KR200490214Y1 (ko) 절개 유닛을 포함하는 세포학적 진단용 필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검체 용기
KR102056068B1 (ko) 조직 보존 용기
KR20200002688U (ko) 의료용 검체 보관 용기
KR20230086975A (ko) 검체 용기
US20230060633A1 (en) Testing System For Pathogens and Analytes
SE2050749A1 (en) Collection device for bodily fluid samp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