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688U - 의료용 검체 보관 용기 - Google Patents

의료용 검체 보관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688U
KR20200002688U KR2020190002253U KR20190002253U KR20200002688U KR 20200002688 U KR20200002688 U KR 20200002688U KR 2020190002253 U KR2020190002253 U KR 2020190002253U KR 20190002253 U KR20190002253 U KR 20190002253U KR 20200002688 U KR20200002688 U KR 2020000268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pecimen
sieve
container body
sto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2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3749Y1 (ko
Inventor
김찬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니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니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니트
Priority to KR20201900022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749Y1/ko
Publication of KR202000026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6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7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7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96Casings for storing test samples

Abstract

본 실시예의 의료용 검체 보관 용기는, 고정액이 수용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개방된 일측으로 결합되는 용기 커버와,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수용가능하도록 구성되고, 검체를 지지하기 위한 검체 받침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검체 받침 수단은 복수의 홀이 형성된 거름망과, 상기 거름망의 상에 구성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의료용 검체 보관 용기{CONTAINER FOR PRESERVING SPECIMEN}
본 고안은 의료용 검체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매우 작은 조직의 검체라고 할지라도 안전하게 보관할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꺼낼 수 있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질병에 대한 임상적인 진단을 위해서는 생체조직의 일부를 채취하여 염색하고 분석하는 조직검사(biopsy)를 수행하게 된다.
채취된 조직은 고정액이 수용되어 있는 보관 용기에 담지되고, 검사실로 이송되어 검사자는 상기 조직을 대상으로 염색 및 분석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채취자는 채취된 조직을 용기에 담지하는 일만 수행하기 때문에 아무런 문제가 없으나, 검사자의 경우 조직 보관 용기를 개방하여 고정액에 고정된 조직을 꺼내 분석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고정액으로 발생되는 유해화학물질을 흡입하게 된다.
고정(fixation)은 생물 시료 또는 표본에 인위적인 조작을 하여 그 상태를 가능한 보존하여 변화하지 않도록 유지하는 처리법으로 열고정, 동결건조 등의 물리 고정도 있으나, 대부분 시약을 사용하는 화학고정이다. 특히 고정액으로 단백질의 응고작용과 중합작용을 가지고 있어 우수한 고정액 소재로 사용되는 포르말린은 인체에 대한 독성이 매우 강하여 사람이 기체상태의 포르말린에 노출될 경우 강력한 단백질 응고작용으로 피부나 점막을 침해하고, 다량의 포르말린을 흡입할 경우 중추신경계의 장애, 쇼크, 혼수상태에 빠지며, 다량복용 시 심장쇠약과 사망에 이를 수 있다.
그러나 대형병원에서 조직검사를 전담하는 검사자의 경우, 하루 수백개의 시료 용기를 처리해야 하므로 다량의 포르말린을 흡입함에 따라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위험성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조직검사를 수행하는 검사자의 건강을 고려한 조직의 고정 및 보관용기의 개발이 시급하다.
검체 용기에 담기는 조직 검체는 아주 작은 것부터 매우 큰 것까지 다양하다. 작은 조직의 경우 검체 용기에 담아 검사자에게 전달될 경우 조직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검체 용기에서 작은 조직을 꺼내는 과정에서 많은 불편함이 발생하며, 특히 포르말린 같은 유해 가스를 흡입함으로 인하여 건강에 치명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고안은 검체의 크기에 관계없이 보관하는 것이 용이하면서도, 고정액의 담겨져 있는 용기에서 검사자가 검체를 쉽게 꺼낼 수 있는 용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의 의료용 검체 보관 용기는, 고정액이 수용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개방된 일측으로 결합되는 용기 커버와,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수용가능하도록 구성되고, 검체를 지지하기 위한 검체 받침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검체 받침 수단은 복수의 홀이 형성된 거름망과, 상기 거름망의 상에 구성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해서, 채취자가 채취한 검체를 거름망에 올려놓은 뒤 고정액이 담겨 있는 용기 본체로 넣는 것이 쉬워지고, 특히, 검사자는 고정액에 손에 닿을 염려없이 거름망 상에 놓여진 검체를 용이하게 꺼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검체 보관 용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검체 보관 용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손잡이부의 다른 형상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개시하는 사항으로부터 본 실시예가 갖는 고안의 사상의 범위가 정해질 수 있을 것이며, 본 실시예가 갖는 고안의 사상은 제안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구성요소의 추가, 삭제, 변경 등의 실시변형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과 관련되는 설명에 사용되는 접미수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검체 보관 용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검체 보관 용기(100)는 고정액과 검체를 수용하기 위한 바디를 형성하는 용기 본체(120)와, 상기 용기 본체(120)의 개방된 일면에 결합되는 용기 커버(110)와, 상기 용기 본체(120) 내로 출입이 가능한 크기로 이루어지면서 검체를 지지하기 위한 검체 받침 수단(130)을 포함한다.
상기 용기 본체(120)의 외주면에는 상기 용기 커버(110)의 결합 위치를 제한하기 위한 본체 턱(121)이 소정 두께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용기 본체(120) 내에 고정액과 검체가 함께 수용되는 경우에, 검체만을 검사자가 쉽게 꺼낼 수 있도록 상기 검체 받침 수단(130)에는 복수의 홀(131a)이 형성된다.
상기 검체 받침 수단(130)은 검체를 지지하면서 복수의 홀(131a)이 형성되어 고정액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거름망(131)과, 상기 거름망(131)의 상부면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부(132)를 포함한다.
상기 거름망(131)은 상기 용기 본체(12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120)의 단면이 원형일 경우에는 상기 거름망(131) 역시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용기 본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기 거름망의 모양 역시 결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의 변형에 의해 상기 용기 본체(12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충분히 가능하다.
또한, 상기 거름망(131)은 검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일부에 검체의 유동을 억제하기 위하여 홈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거름망은 전체적으로 오목한 형상이거나 오목부가 형성되어 검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홀을 통해 고정액이 통과할 수 있다.
상기 검체 받침 수단(130)은 상기 거름망(131)의 상부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부(132)를 포함하는데,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자가 검체 받침 수단(130)을 용기 본체(120)로부터 꺼내는 때에 고정액과 같은 화학 물질에 손이 닿지 않으면서 검체를 꺼낼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만, 상기 손잡이부(132)는 상기 거름망(131)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거름망(131) 상부면에 결합되는 구조로도 가능하다.
상기 손잡이부(132)의 경우, 다양한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며, 직선의 바(bar) 형상 뿐만 아니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된 부위를 갖는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내지 제 3 손잡이 바(132a,132b,132c)들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2개의 손잡이 바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132)는 검사자가 손잡이부를 잡고 거름망(131) 상에 놓여진 검체를 꺼내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용기 본체 내부에 수용가능한 정도의 크기와 형상이라면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검체 보관 용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채취자가 검체를 상기 거름망(131) 위에 올려 놓은 뒤 검체 받침 수단(130)을 본체 용기(120) 내에 집어 넣거나, 검사자가 검체를 꺼내기 위하여 상기 손잡이부(132)를 잡고 검체 받침 수단(130)을 본체 용기(120)로부터 꺼내는 때에 안정적으로 삽입과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용기 본체(120) 내벽에 소정 두께 돌출 형성된 삽입 가이드 돌출부(122)가 형성되고, 상기 거름망(133)에는 상기 삽입 가이드 돌출부(122)를 따라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삽입 가이드 홈(133)이 형성된다.
즉, 상기 거름망(131)에는 거름망 일부가 소정 크기 떨어진 것과 같은 삽입 가이드 홈(133)이 형성되고, 채취자와 검사자는 상기 삽입 가이드 홈(133)을 용기 본체(120) 내벽의 삽입 가이드 돌출부(122)에 맞추어 거름망(131)을 넣거나 빼는 때에 상하 슬라이딩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3에는 상기 삽입 가이드 돌출부(122)와 삽입 가이드 홈(133)이 각각 3개씩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예의 변형에 따라 그 개수와 모양은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해서, 채취자가 채취한 검체를 거름망에 올려놓은 뒤 고정액이 담겨 있는 용기 본체로 넣는 것이 쉬워지고, 특히, 검사자는 고정액에 손에 닿을 염려없이 거름망 상에 놓여진 검체를 용이하게 꺼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고정액이 수용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개방된 일측으로 결합되는 용기 커버와,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수용가능하도록 구성되고, 검체를 지지하기 위한 검체 받침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검체 받침 수단은 복수의 홀이 형성된 거름망과, 상기 거름망의 상에 구성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검체 보관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망은 일부가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일부가 소정 깊이 함몰된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검체 보관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거름망의 상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손잡이 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검체 보관 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손잡이 바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곡부를 갖도록 형성되어 ㄱ자 형상 또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검체 보관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 내벽에는 소정 두께 돌출된 삽입 가이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거름망에는 상기 삽입 가이드 돌출부에 대응되는 형상의 삽입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검체 보관 용기.
KR2020190002253U 2019-06-03 2019-06-03 의료용 검체 보관 용기 KR2004937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253U KR200493749Y1 (ko) 2019-06-03 2019-06-03 의료용 검체 보관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253U KR200493749Y1 (ko) 2019-06-03 2019-06-03 의료용 검체 보관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688U true KR20200002688U (ko) 2020-12-11
KR200493749Y1 KR200493749Y1 (ko) 2021-06-01

Family

ID=73787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253U KR200493749Y1 (ko) 2019-06-03 2019-06-03 의료용 검체 보관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74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0301B1 (ko) * 2022-08-25 2023-03-14 김종옥 조직 보존 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69327A (ja) * 2006-03-30 2007-10-18 Japan Tissue Engineering:Kk 培養組織の包装容器、これに使用する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使用した培養組織の包装体
KR20080003947U (ko) * 2007-03-13 2008-09-19 티피엘 주식회사 펌프형 껌 배출용기
US20150140681A1 (en) * 2013-11-18 2015-05-21 Ellen Q. Meng Liquid specimen cup including movable caddy and translucent adulteration panel
KR20160012632A (ko) * 2014-07-25 2016-02-03 (주) 메디포유 조직검체 운반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69327A (ja) * 2006-03-30 2007-10-18 Japan Tissue Engineering:Kk 培養組織の包装容器、これに使用する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使用した培養組織の包装体
KR20080003947U (ko) * 2007-03-13 2008-09-19 티피엘 주식회사 펌프형 껌 배출용기
US20150140681A1 (en) * 2013-11-18 2015-05-21 Ellen Q. Meng Liquid specimen cup including movable caddy and translucent adulteration panel
KR20160012632A (ko) * 2014-07-25 2016-02-03 (주) 메디포유 조직검체 운반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0301B1 (ko) * 2022-08-25 2023-03-14 김종옥 조직 보존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749Y1 (ko) 202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4232B1 (ko) 조직 보관 용기
JP7368555B2 (ja) 血液サンプルを取得するための装置
ES2691527T3 (es) Dispositivo de recogida de fluidos biológicos y sistema de separación y de análisis de fluidos biológicos
JP7090690B2 (ja) 生物学的流体収集デバイス
ES2964805T3 (es) Dispositivo y procedimiento para tratar líquidos, en particular líquidos corporales
KR101624962B1 (ko) 조직검체 운반용기
CA2909176C (en) Blood sampling transfer device and blood separation and testing system
KR102135659B1 (ko) 파손 가능한 밀폐막을 구비하는 미세 생체조직 보관용기
EP3321676B1 (en) Blood test kit and blood analysis method
KR20110006453U (ko) 검체 보존용기
DK3148699T3 (en) STERILE CLOSED DEVICE AND PROCEDURE FOR COLLECTION, TRANSPORT AND TREATMENT IN A COMPLETE STERILE CHAIN
BR112015026156B1 (pt) Cartucho de separação de fluido biológico e sistema de teste e separação de fluido biológico
KR102006349B1 (ko) 생체조직 검체 장치
KR20200002688U (ko) 의료용 검체 보관 용기
US20050197596A1 (en) Umbilical cord sampling system and method
Liu et al. A standardized method for measuring internal lung surface area via mouse pneumonectomy and prosthesis implantation
CN110114671B (zh) 血液分析方法及血液检查试剂盒
US10739361B2 (en) Blood analysis method and blood test kit
EP3321679B1 (en) Blood analysis method
EP3338644A1 (en) Top for cutting samples
CN110114670B (zh) 血液分析方法及血液检查试剂盒
KR20200134182A (ko) 복수 종류의 액체가 수용된 검체 바이알 용기
Wang et al. Comparative study of two vitreous humor sampling methods in rabbits
KR102338231B1 (ko) 개선된 인체 조직 보존 장치
Forrest Toxicological and biochemical analy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