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0025B1 - 인체 조직의 안전 보존 용기 - Google Patents

인체 조직의 안전 보존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0025B1
KR102380025B1 KR1020210079637A KR20210079637A KR102380025B1 KR 102380025 B1 KR102380025 B1 KR 102380025B1 KR 1020210079637 A KR1020210079637 A KR 1020210079637A KR 20210079637 A KR20210079637 A KR 20210079637A KR 102380025 B1 KR102380025 B1 KR 102380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d
protrusion
cap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9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수미
마승범
Original Assignee
마수미
마승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수미, 마승범 filed Critical 마수미
Priority to KR1020210079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00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0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0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8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 B01L3/5082Test tubes per se
    • B01L3/50825Closing or opening means, corks, bu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1/00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arts thereof
    • A01N1/02Preservation of living parts
    • A01N1/0236Mechanical asp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89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8Ergonomic or safety aspects of handling devices
    • B01L2200/082Handling hazardou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8Ergonomic or safety aspects of handling devices
    • B01L2200/085Protection against injuring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1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 B01L2300/044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pierceable, e.g. films,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72Integrated piercing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81Fil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nt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직 검사를 위한 인체 조직을 안전하게 보존하도록 하여 사용자인 의료종사자가 사용과정에서 독성이 있는 포르말린에 노출되는 일이 없도록 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는 폐쇄된 상태의 요입홈을 갖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 외측둘레면에 형성된 본체 나사산을 포함하며 생리식염수가 채워짐과 함께 채취된 인체 조직이 담겨지는 본체부;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가 폐쇄된 상태의 체결홈을 갖는 뚜껑 본체와, 상기 뚜껑 본체의 체결홈 둘레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 나사산에 조임 및 풀림이 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뚜껑 나사산과, 상기 뚜껑 본체의 체결홈 내에 위치되도록 일체 형성되어 하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에 액상의 포르말린이 채워질 수 있게 공간을 갖는 액통과, 상기 액통의 하부 개방부분을 밀봉하여 액통의 공간에 채워진 포르말린이 외부적인 힘이 작용하지 않을 경우 유출되지 않도록 밀봉하는 밀봉박판을 포함하며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본체부에 나사조임되거나 나사조임 해제되는 뚜껑부; 상기 본체부의 용기 본체와 뚜껑부 뚜껑 본체에 걸쳐 구비되며 뚜껑 본체가 회전방향에 따라 용기 본체에 나사조임이 완료되었을 때 상기 뚜껑 본체의 밀봉박판을 강제로 파괴시켜 상기 뚜껑부의 액통에 담겨진 포르말린이 본체부의 요임홈 내로 흘러들어가도록 하는 밀봉 해제수단;으로 구성된 인체 조직의 안전 보존 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인체 조직의 안전 보존 용기{Safe preservation container for human tissue}
본 발명은 통상 질병이 있는 환자의 정확한 병명이나 병의 진행상태 등을 확보하기 위해서 채취한 생검 조직을 일정 기간 보존하기 위한 인체 조직의 안전 보존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 조직을 외부의 유해한 환경적 요인으로 부터 보호하기 위해 이용되는 포르말린이 사용과정에서 사용자에게 기체상태로 노출되는 일이 없도록 하여 사용상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인체 조직의 안전 보존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질병이 발생된 환자는 그 질병에 대한 정확한 병명이나 병의 진행상태 등을 진단하기 위해 의료전문가가 환자의 조직 일부를 채취하여 이에 대한 조직검사를 수행하고 있다.
의료전문가인 의사나 간호사가 채취한 환자의 조직은 바로 그 자리에서 검사를 진행할 수는 없고, 전문 장비가 갖추어진 검사실로 옮겨간 다음 검사실의 스케즐에 따라 전문가가 조직 검사를 수행하게 됨은 이해 가능한데, 이 과정에서 채취된 인체 조직을 주변 환경적 요인으로 부터 보호해야 만 부폐하거나 각종 세균 및 곰팡이로 부터 안전하게 되므로 채취된 인체 조직은 곧바로 보존 용기에 담아 보존하게 된다.
상기한 인체 조직의 보존을 위해서는 대부분 포르말린을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포르말린은 단백질의 응고작용과 중합작용을 가지고 있어 우수한 보존 화합물로 이용되지만, 인체에 대한 독성이 매우 강하여 사람이 기체상태의 포르말린에 노출될 경우 강력한 단밸질 응고작용으로 피부나 점막을 침해하고, 특히 사용자가 다량의 포르말린을 흡입할 경우 중추신경계의 장애, 쇼크, 혼수상태에 빠질 수 있으며, 심할 경우 사망에 이르게 되는 경우도 있게 된다.
따라서 채취된 환자의 인체 조직을 일정기간 보존하기 위한 현장에서는 의료인력들이 포르말린에 노출되는 일이 최소화되도록 상당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고, 이로 인해 채취된 인체 조직을 일정기간 안전한 상태로 보존하기 위한 보존 용기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통상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보존 용기는 상부가 개방된 상태의 요입부를 갖는 용기 본체가 있고,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에는 요입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뚜껑이 나사조임상태로 결합되어 있는 구조이다.
상기한 일반적인 구조의 보존 용기는 사용시 먼저 용기 본체에 나사조임된 뚜껑을 열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요입부를 개방시킨 다음 이후 환자의 인체 조직을 채취한 의료종사자가 채취된 인체 조직을 핀셋 등의 도구를 사용해 용기 몸체의 상부 개방부를 통해 요입부 내로 투입시키고, 이후 상기 용기 본체의 개방부를 통해 요입부 내로 용액상태의 포르말린를 넣으면 인체 조직이 포르말린에 잠기면서 보존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용기 본체의 상부에 뚜껑을 나사결합시켜 폐쇄시키면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일반적인 인체 조직의 보존 용기는 작업 과정에서 포르말린이 기체상태로 인체에 노출되는 시간이 상당하고, 작업 과정에서 부주의에 의해 보존 용기가 넘어졌을 경우 포르말린이 외부로 흘러나오면서 안전사고가 발생됨은 물론 포르말린 자체의 고약한 냄새가 외부로 퍼지게 되어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일반적인 보존 용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여러가지 기술이 개발되었고, 그 중 하나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6-0156020호(명칭: 조직 보관 용기/2017.06.20. 공고)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상단은 개방이 되고, 하단은 제1나사산이 형성되고, 중앙에 원형 홀이 형성된 바닥을 구비한, 대상 조직을 고정하는 고정액을 수용하기 위한 원기둥 형상의 제1용기; 상기 제1용기의 상단을 밀폐하는 제1마개; 상기 제1나사산에 맞게 회전이 됨으로써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크류 밸브, 상기 스크류 밸브에 연결되어 상기 제1용기 내부에 수용되며 대상 조직을 지지하면서 고정액은 통과시키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배수부, 및 상기 배수부의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원형 홀에 수용되며 상기 스크류 밸브의 회전에 의해 상승 및 하강하면서 상기 원형 홀을 개폐하는 밀폐용 돌기를 구비한 제2용기; 및 상기 제2용기의 하단을 밀폐하는 제2마개를 포함하는 조직 보존용기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7-0028101호(명칭: 인체 조직 보존 장치/2018.07.06. 공고)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태로서 내주면 상단 둘레를 따라 암나사부(112)가 구비되며, 인체 조직이 수납되는 인체 조직 수납하우징(110)과; 중공의 원통 형태로서 하단에는 일정 크기 이상의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스크린망(122)이 구비되며, 포르말린 수용액중의 고형 이물질을 선별,분리하는 이물질 선별부재(120)와; 중공의 원통 형태를 갖는 누름봉(132)과, 이 누름봉 하단에 연설되어 상기 인체조직 수납하우징(110)의 암나사부(112)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134)와, 상기 수나사부(234)의 하단에 구비된 알루미늄(Al)막(136)을 포함하고 하단부에 상기 이물질 선별부재(120)가 끼움결합되는 누름부재(130)와; 이 누름부재에 수납되는 알루미늄(Al)막 파쇄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지되, 상기 알루미늄(Al)막 파쇄부재(140)는, 열 십자 형태를 갖는 본체(142)와, 이 본체 하단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누름판(144)과, 이 누름판의 밑면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된 쐐기 형태의 돌기(144a)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142)의 상단부에는 상기 누름부재(130)의 내부 상면과 접촉하는 날개부(146)가 방사상 형태로서 일체로 구비되어 지되, 이 날개부(146)는 일정 곡률로서 만곡진 형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조직 보존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9-0038296호(명칭: 일체형 세포조직보존용기/2020.09.01. 공고)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보존 용기(6)에 시료를 수용하고 보존용기 하부(7)에는 포르말린용액을 담을 수 있고 서로 분리가 되도록 중간에 밀폐형 판이 형성된 일체형 세포보존용기; 상부뚜껑 삼각돌기(20)와 개폐보조기구 상부 삼각돌기(21)가 체결되어 상부뚜껑(2)을 닫는 동작에 의하여 상부 뚜껑(2)과 개폐보조기구(3)와 밀폐판(4)이 같이 연동해서 동작하는 일체형 세포보존용기; 세포보존용기 중간에 밀폐판(4)이 부착되어 두 용액이 분리되도록 해주며 상부뚜껑(2)을 닫는 동작에 의하여 밀폐판(4)이 회전하면서 보존용기통 개폐구(26)와 밀폐판 개폐구(32)가 만나 용액이 서로 통과할 수 있는 용액통과 공간(33)이 형성되어 두 용액이 섞이도록 개폐동작이 이루어지는 밀폐판(4); 포르말린용액이 들어가는 세포보존용기 하부를 밀폐하는 하부뚜껑(5); 상부뚜껑(2)을 닫는 과정에서 상부뚜껑(2)을 돌리면 상부뚜껑 삼각돌기(20)가 상기 개폐보조기구 상부 삼각돌기(21)를 돌리게 되고 이 동작에 의하여 동시에 개폐보조기구 하부 삼각돌기(20)가 돌면서 밀폐판 삼각돌기(29)를 돌리게 되어 밀폐판(4)이 회전하면서 용액 통과 공간(33)이 생기게 되어 상부용액과 하부의 포르말린용액이 서로 섞이게 되는 일체형 세포조직 보존용기가 기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6-0156020호(2017.06.20. 공고)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7-0028010호(2018.07.06. 공고)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9-0038296호(2020.09.01. 공고)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인체 조직 보존 용기들은, 사용 과정에서 인체 조직의 부폐 및 오염을 방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액상의 포르말린이 쉽게 기체상태로 누출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사용상의 안전성이 확보되지 못해 사용중인 의료종사자들의 피부에 기체상태의 포르말린이 접촉되거나 호흡기를 통해 소량이라도 인체 내부로 들어가게 되어 심각한 냄새로 인한 거부반응과 함께 안전사고가 종종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일부 인체 조직 보존 용기에 있어서는 사용 과정이 너무 복잡하여 작업자가 사용중에 조작을 잘못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되고, 이 경우에도 구성요소의 일부가 기울어지거나 하면서 포르말린이 새어나오게 되어 안전사용에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채취된 인체 조직을 보존하는데 사용되는 포르말린이 본체부에 나사결합되는 뚜껑부에 밀폐된 상태로 보존되어 있도록 하여 상기 뚜껑부를 본체부에 완전하게 결합시키기 전까지는 뚜껑부에 보존되어 있던 포르말린이 본체부로 유입되는 일이 없도록 함에 따라 사용과정에서는 어떠한 경우에도 사용자가 포르말린에 노출되는 일이 없도록 하므로서 사용상의 안전성이 확보되도록 한 인체 조직의 안전 보존 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인체 조직의 안전 보존 용기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는 폐쇄된 상태의 요입홈을 갖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 외측둘레면에 형성된 본체 나사산을 포함하며 생리식염수가 채워짐과 함께 채취된 인체 조직이 담겨지는 본체부;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가 폐쇄된 상태의 체결홈을 갖는 뚜껑 본체와, 상기 뚜껑 본체의 체결홈 둘레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 나사산에 조임 및 풀림이 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뚜껑 나사산과, 상기 뚜껑 본체의 체결홈 내에 위치되도록 일체 형성되어 하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에 액상의 포르말린이 채워질 수 있게 공간을 갖는 액통과, 상기 액통의 하부 개방부분을 밀봉하여 액통의 공간에 채워진 포르말린이 외부적인 힘이 작용하지 않을 경우 유출되지 않도록 밀봉하는 밀봉박판을 포함하며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본체부에 나사조임되거나 나사조임 해제되는 뚜껑부; 상기 본체부의 용기 본체와 뚜껑부 뚜껑 본체에 걸쳐 구비되며 뚜껑 본체가 회전방향에 따라 용기 본체에 나사조임이 완료되었을 때 상기 뚜껑 본체의 밀봉박판을 강제로 파괴시켜 상기 뚜껑부의 액통에 담겨진 포르말린이 본체부의 요임홈 내로 흘러들어가도록 하는 밀봉 해제수단; 으로 구성하고, 상기 밀봉 해제수단은; 상기 용기 본체의 요입홈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등간격으로 3개가 연속해서 트랙을 이루는 수직걸림돌기와, 상기 각 수직걸림돌기의 하부에서 동일한 방향의 둘레를 따라 상부로 가면서 상향경사지게 형성되며 등간격으로 3개가 연속해서 트랙을 이루는 경사캠돌기와, 상기 각 경사캠돌기 부분중 각 수직걸림돌기 근접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등간격으로 3개가 연속해서 트랙을 이루는 수직걸림홈으로 구성된 고정캠부재; 링형태를 이루며 상기 용기 본체의 요입홈 내에서 둘레면을 따라 회전가능하면서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끼워진 회전링과, 상기 회전링의 하부에 등간격으로 3개가 연속해서 트랙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회전링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각 수직걸림돌기에 수직상태로 걸리거나 각 경사캠돌기의 안내를 받아 수직이동력을 부여받거나 각 수직걸림홈에 끼워져 걸리는 회전걸림돌기와, 상기 회전링의 상부에 등간격을 이루며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링돌기로 구성된 유동캠부재; 상기 뚜껑 본체에 형성된 액통을 감싼상태로 끼워져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함과 함께 원주방향으로 회전가능한 이동캡과, 상기 액통의 외측돌레면에 원주방향으로 빙둘러지게 수평상태로 형성된 수평돌기와, 상기 액통의 외측둘레면 중 수평돌기와 이격된 아래쪽에 원주방향으로 따라 빙둘러지게 수직상태로 형성된 복수개의 수직돌기와, 상기 이동캡의 내측둘레면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액통에 이동캡이 끼워진 상태에서는 적정 압력이 제공되지 않는 한 상기 수평돌기에 간섭되면서 이동캡의 상부이동을 제한하는 복수개의 수평돌기 걸림턱과, 상기 이동캡의 내측 둘레면 중 수평돌기 걸림턱과 이격된 아래쪽에 원주방향을 따라 빙둘러지게 수직상태로 형성되어 상기 액통에 이동캡이 끼워진 상태에서는 적정 압력이 제공되지 않는 한 상기 수직돌기에 간섭되면서 이동캡의 회전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복수개의 수직돌기 걸림턱과, 상기 이동캡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캡이 액통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이동캡의 내,외부를 연통시켜 주는 연통공과, 상기 이동캡의 하부면 외측에 하향상태로 형성되어 뚜껑본체가 조임방향으로 회전한 후 다시 풀림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회전링에 형성된 각 링돌기에 선택적으로 걸리면서 상기 회전링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이동캡돌기와, 상기 이동캡의 하부면 내측에 상향상태로 형성되어 뚜껑 본체의 회전링이 상부로 이동된 상태에서 뚜껑 본체가 조임방향으로 회전되어 완전히 조여질 때 상기 회전링의 간섭에 의해 상부이동력을 받는 과정에서 상기 액통을 밀봉하고 있는 밀봉박판을 가압시켜 강제로 파괴시켜 주는 복수개의 파괴돌기로 구성된 이동캡부재; 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한 이동캡부재를 구성하는 파괴돌기는 끝단이 뾰쪽하도록 삼각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동캡부재를 구성하는 이동캡에 형성된 연통공은 걸름망 형태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인체 조직의 안전 보존 용기는, 채취된 인체 조직을 보존하기 위해 사용자인 의료종사자에게 제품을 공급하는 과정, 실제 의료종사자가 채취된 인체 조직을 보존하기 위해 액상의 포르말린에 담지하는 과정, 채취된 인체 조직을 검사하기 위해 보존상태에서 이동하는 과정 중 어느 한 과정에서도 사용자인 의료종사자가 위험성이 있는 화학물질인 액상의 포르말린에 노출되는 일이 없게되어 사용상의 안전성이 확보됨은 물론 작업과정의 편리성으로 인해 시간대비 생산성 증대에도 기여하게 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인체 조직의 안전 보존 용기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인체 조직의 안전 보존 용기를 분해하여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인체 조직의 안전 보존 용기를 구성하는 고정캠부재와 유동캠부재 그리고 이동캡부재의 상호 연동상태를 펼친상태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용기 본체에 뚜껑 본체가 일차적으로 나사조임된 상태에서 고정캠부재의 수직걸림돌기에 유동캠부재의 회전걸림돌기가 걸려있는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인체 조직의 안전 보존 용기를 구성하는 고정캠부재와 유동캠부재 그리고 이동캡부재의 상호 연동상태를 펼친상태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용기 본체에 뚜껑 본체가 일차적으로 나사조임후 풀림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고정캠부재의 경사캠돌기에 유동캠부재의 회전걸림돌기가 안내되는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인체 조직의 안전 보존 용기를 구성하는 고정캠부재와 유동캠부재 그리고 이동캡부재의 상호 연동상태를 펼친상태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용기 본체에 뚜껑 본체가 일차적으로 나사조임된 상태에서 고정캠부재의 수직걸림홈으로 유동캠부재의 회전걸림돌기가 수용되어 걸려있는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인체 조직의 안전 보존 용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용기 본체에 뚜껑 본체가 일차적으로 나사조임된 상태에서 고정캠부재의 수직걸림돌기에 유동캠부재의 회전걸림돌기가 걸려있는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인체 조직의 안전 보존 용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용기 본체에 뚜껑 본체가 일차적으로 나사조임된 후 풀림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고정캠부재의 경사캠돌기에 유동캠부재의 회전걸림돌기가 안내되는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인체 조직의 안전 보존 용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용기 본체에 뚜껑 본체가 일차적으로 나사조임된 후 풀림방향으로 회전완료한 상태에서 고정캠부재의 수직걸림홈으로 유동캠부재의 회전걸림돌기가 수용되어 걸려있는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인체 조직의 안전 보존 용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용기 본체에 뚜껑 본체가 다시 조임방향으로 완전히 조여짐이 완료되었을 때 이동캡부재의 이동캡이 상부로 이동하므로서 이동캡에 형성된 파괴돌기가 뚜껑부의 액통을 밀봉하고 있는 밀봉박판을 파괴시킨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인체 조직의 안전 보존 용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인체 조직의 안전 보존 용기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및 정면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인체 조직의 안전 보존 용기를 구성하는 고정캠부재와 유동캠부재 그리고 이동캡부재의 상호 연동상태를 펼친상태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인체 조직의 안전 보존 용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인체 조직의 안전 보존 용기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는 폐쇄된 상태의 요입홈(11)을 갖는 용기 본체(10)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 외측둘레면에 형성된 본체 나사산(12)을 포함하며 생리식염수가 채워짐과 함께 채취된 인체 조직이 담겨지는 본체부(1);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가 폐쇄된 상태의 체결홈(21)을 갖는 뚜껑 본체(20)와, 상기 뚜껑 본체의 체결홈(21) 둘레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 나사산(12)에 조임 및 풀림이 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뚜껑 나사산(22)과, 상기 뚜껑 본체(20)의 체결홈(21) 내에 위치되도록 일체 형성되어 하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에 액상의 포르말린이 채워질 수 있게 공간(23)을 갖는 액통(24)과, 상기 액통의 하부 개방부분을 밀봉하여 액통(24)의 공간(23)에 채워진 포르말린이 외부적인 힘이 작용하지 않을 경우 유출되지 않도록 밀봉하는 밀봉박판(25)을 포함하며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본체부(1)에 나사조임되거나 나사조임 해제되는 뚜껑부(2); 상기 본체부(1)와 뚜껑부(2)에 걸쳐 구비되며 상기 뚜껑부가 회전방향에 따라 본체부(1)에 나사조임이 완료되었을 때 상기 뚜껑 본체(20)의 밀봉박판(25)을 강제로 파괴시켜 상기 뚜껑 본체(20)의 액통(24)에 담겨진 포르말린이 용기 본체(10)의 요입홈(11) 내로 흘러들어가도록 하는 밀봉 해제수단; 으로 구성된다.
상기 밀봉 해제수단은, 용기 본체(10)의 요입홈(11) 내부 둘레에 일체 형성된 고정캠부재(30)와, 상기 용기 본체(10)의 요입홈(11) 내에서 회전운동과 수직이동을 동시에 수행하는 유동캠부재(40)와, 상기 뚜껑부(2)의 뚜껑 본체(20)에 구비되며 상기 뚜껑 본체(20)의 회전방향에 따라 액통(24)에 담겨진 포르말린이 흘러내려가도록 밀봉박판(25)을 파괴하는 이동캡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캠부재(30)는, 용기 본체(10)의 요입홈(11)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등간격으로 3개가 연속해서 트랙을 이루는 수직걸림돌기(31)와, 상기 각 수직걸림돌기의 하부에서 동일한 방향의 둘레를 따라 상부로 가면서 상향경사지게 형성되며 등간격으로 3개가 연속해서 트랙을 이루는 경사캠돌기(32)와, 상기 각 경사캠돌기 부분중 각 수직걸림돌기(31) 근접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등간격으로 3개가 연속해서 트랙을 이루는 수직걸림홈(33)으로 구성된다.
상기 유동캠부재(40)는, 링형태를 이루며 상기 용기 본체(10)의 요입홈(11) 내에서 둘레면을 따라 회전가능하면서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끼워진 회전링(41)과, 상기 회전링의 하부에 등간격으로 3개가 연속해서 트랙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회전링(41)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각 수직걸림돌기(31)에 수직상태로 걸리거나 각 경사캠돌기(32)의 안내를 받아 수직이동력을 부여받거나 상기 각 수직걸림홈(33)에 끼워져 걸리는 회전걸림돌기(42)와, 상기 회전링(41)의 상부에 등간격을 이루며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링돌기(43)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캡부재(50)는, 상기 뚜껑 본체(20)에 형성된 액통(24)을 감싼상태로 끼워져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함과 함께 원주방향으로 회전가능한 이동캡(51)과, 상기 액통(24)의 외측돌레면에 원주방향으로 빙둘러지게 수평상태로 형성된 수평돌기(52)와, 상기 액통(24)의 외측둘레면 중 수평돌기(52)와 이격된 아래쪽에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빙둘러지게 수직상태로 형성된 복수개의 수직돌기(53)와, 상기 이동캡(51)의 내측둘레면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액통(24)에 이동캡(51)이 끼워진 상태에서는 적정 압력이 제공되지 않는 한 상기 수평돌기(52)에 간섭되면서 이동캡(51)의 상부이동을 제한하는 복수개의 수평돌기 걸림턱(54)과, 상기 이동캡(51)의 내측 둘레면 중 수평돌기 걸림턱(54) 아래쪽에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빙둘러지게 수직상태로 형성되어 상기 액통(24)에 이동캡(51)이 끼워진 상태에서는 적정 압력이 제공되지 않는 한 상기 수직돌기(53)에 간섭되면서 이동캡(51)의 회전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복수개의 수직돌기 걸림턱(55)과, 상기 이동캡(51)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캡이 액통(24)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이동캡(51)의 내,외부를 연통시켜 주는 연통공(56)과, 상기 이동캡(51)의 하부면 외측에 하향상태로 형성되어 뚜껑 본체(20)가 조임방향으로 회전하거나 다시 풀림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회전링(41)에 형성된 각 링돌기(43)에 선택적으로 걸리면서 상기 회전링(41)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복수개의 이동캡돌기(57)와, 상기 이동캡(51)의 하부면 내측에 상향상태로 형성되어 용기 본체(10) 내의 회전링(41)이 상부로 이동된 상태에서 뚜껑 본체(20)가 조임방향으로 회전되어 완전히 조여질 때 상기 회전링(41)의 간섭에 의해 상부이동력을 받는 과정에서 상기 액통(24)을 밀봉하고 있는 밀봉박판(25)에 가압력을 제공하여 강제로 파괴시켜 주는 복수개의 파괴돌기(58)로 구성된다.
상기 뚜껑부(2)의 체결홈(21)에는 뚜껑 본체(20)의 내측 상부면 바깥쪽에 위치된 상태로 빙둘러지게 외측실링돌기(26)가 형성됨과 함께 뚜껑 본체(20)의 내측 상부면 안쪽에 위치된 상태로 빙둘러지게 내측실링돌기(27)가 형성되어 상기 뚜껑부(2)가 본체부(1)에 완전히 닫힘상태로 나사조임 완료되었을 때 상기 본체부(1)의 용기 본체(10) 상단 둘레면이 외측실링돌기(26)와 내측실링돌기(27) 사이로 끼워져 기밀접촉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이동캡부재(50)의 구성요소인 이동캡(51)에 형성된 각 파괴돌기(58)는 끝부분인 상단이 뾰쪽한 상태로 삼각형태를 이루도록 하여 상기 이동캡(51)이 상부로 이동됨에 따라 액통(24) 내에 채워진 상태의 포르말린을 밀봉하고 있는 밀봉팍판(25)이 상기 파괴돌기(58)의 가압에 의해 파괴할 때 그 파괴가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캡(51)에 형성된 연통공(56)은 걸름망 형태로 함이 바람직 한데, 이는 채취 후 용기 본체(10)의 요입홈(11)에 담지된 인체 조직이 사용과정에서 상기 연통공(56)을 통해 상기 요임홈(11) 외부인 이동캡(51) 내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에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인체 조직의 안전 보존 용기를 이용하여 채취된 인체 조직을 안전한 상태로 보존하는 일련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의료종사자가 사용하기 전인 생산단계에서는 뚜껑부(2)의 구성요소인 액통(24) 내부로 액상의 포르말린을 적정량(용기 본체에 채워질 생리식염수와 혼합되었을 때 인체 조직의 이 가능할 농도의 량) 채운 후 상기 채워진 포르말린이 외부적인 조건없이 상기 액통(24)을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밀봉박판(25)에 의해 밀봉되어 있는데, 이로 인해 운반 과정에서나 사용직전까지는 독성이 있는 포르말린으로 부터 취급자 또는 사용자인 의료종사자의 안전성이 확보됨은 이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뚜껑부(2)의 액통(24)에 액상의 포르말린이 채워져 밀봉박판(25)에 의해 밀봉된 상태에서는 밀봉 해제수단의 이동캡부재(50) 구성요소인 이동캡(51)을 상기 액통(24)에 끼워 결합시키고, 계속해서 상기 이동캡(51)를 감싸도록 뚜껑부(2)를 본체부(1)에 조임상태로 나사결합시키면 본 발명 인체 조직의 안전 보존 용기가 유통이 가능한 상태로 조립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이동캡부재(50)의 구성요소인 이동캡(51) 내측둘레면 상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수평돌기 걸림턱(54)이 상기 뚜껑부(2)의 구성요소인 액통(24) 외측돌레면에 원주방향으로 빙둘러지게 수평상태로 형성된 수평돌기(52)에 간섭되어 있게 되므로 상기 이동캡(51)을 큰 힘으로 밀어 올리지 않는 한 상기 이동캡은 그 상태에 머물러 있게 되고, 상기 이동캡(51)의 내측둘레면 중 수평돌기 걸림턱(54)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수직돌기 걸림턱(55)이 상기 액통(24)의 외측둘레면 중 수평돌기(52)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수직돌기(53)에 간섭되어 있게되므로 뚜껑부(2)의 뚜껑본체(20)가 회전함에 따라 액통(24)이 함께 회전할 경우 상기 이동캡(51)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한 조립 과정에서 뚜껑부(2)를 본체부(1)에 나사조임 상태로 일차 결합시킬 때 상기 일차 결합완료 직전에는 밀봉 해제수단인 이동캡부재(50)의 이동캡(51) 하부면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각 이동캡돌기(57)가 유동캠부재(40)의 회전링(41)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각 링돌기(43)와의 걸림력을 이기고 넘어가 도 3과 같이 상기 각 링돌기(43)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회전링(41)에 형성되어 있는 각 링돌기(43)의 상부는 얇은 두께를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뚜껑부(2)의 뚜껑본체(20)가 조임방향으로 일차 회전하는 과정에서 이동캡(51)이 함께 회전할 때 상기 이동캡에 형성되어 있는 각 이동캡돌기(57)가 회전링(41)에 형성되어 있는 각 링돌기(43)에 접촉되는 순간 상기 각 링돌기 상부는 합성수지 자체의 재질상 탄성력에 의해 휘어짐에 따라 가능함은 이해 가능하다.
또한 조립이 완료된 상태인 뚜껑부(2)가 본체부(1)에 조임방향으로 일차 회전한 상태에서는 밀봉 해제수단인 유동캠부재(40)가 고정캠부재(30)에 간섭되게 하부로 완전히 이동되어 있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는 상기 유동캠부재(40)의 구성요소인 회전링(41)에 형성된 각 회전걸림돌기(42)가 고정캠부재(30)의 구성요소인 각 수직걸림돌기(31)에 걸려있으므로 상기 회전링(43)은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만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상태는 본 발명 실시예의 인체 조직의 안전 보존 용기를 인체 조직의 보존 작업을 실시하는 의료기관에 납품하는 상태로서, 첨부된 도 3 및 도 6과 같다.
이하 의료기관에서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인체 조직의 안전 보존 용기를 사용하여 인체 조직을 보존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6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본체부(1)의 용기 본체(10)를 한손으로 잡고 다른 한손으로는 뚜껑부(2)의 뚜껑 본체(20)를 잡은 다음 상기 뚜껑 본체를 풀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뚜껑 본체(20)의 체결홈(21) 내측에 형성된 뚜껑나사산(22)이 용기본체(10)의 상단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본체나사산(12)을 따라 풀리게 되는데, 이때 뚜껑 본체(20)에 형성된 액통(24)에 끼워져 있는 이동캡부재(50)의 이동캡(51)도 함께 풀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이 과정에서 상기 이동캡(51)의 바닥면 외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각 이동캡돌기(57)가 어느 순간 유동캡부재(40)의 회전링(41)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각 링돌기(43)에 걸리면서 상기 링돌기를 통해 회전링(41)에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력을 부여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회전링이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뚜껑부(2)의 뚜껑 본체(20)가 풀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유동캡부재(50)의 회전링(41)이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밀봉 해재수단인 고정캡부재(30)의 각 수직걸림돌기(31)에서 유동캡부재(40)의 각 회전걸림돌기(42)가 이격되기 시작하면서 상기 각 회전걸림돌기(42)는 고정캡부재(30)의 각 경사캠돌기(32)에 안내되는데, 상기 각 경사캠돌기는 하부에서 동일한 방향의 둘레를 따라 상부로 가면서 상향경사지게 형성되며 등간격으로 3개가 연속해서 트랙을 이루고 있으므로 도 4 및 도 7과 같이 결국 회전링(41)은 도면상 반시계방향 회전과 동시에 하부에서 상부로 수직이동을 하게 되고, 상기 회전링(41)이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어느 순간 상기 각 경사캠돌기(32) 부분중 각 수직걸림돌기(31) 근접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수직걸림홈(33)이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상기 유동캡부재(40)의 각 회전걸림돌기(42)가 도 5 및 도 8과 같이 상기 수직걸림홈(33)으로 끼워져 들어가 걸리게 되므로 이후에는 아무리 뚜껑 몸체(20)의 풀림방향 회전력이 제공되더라도 상기 회전링(41)이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계속해서 뚜껑부(2)의 뚜껑 본체(20)를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어느 순간 상기 뚜껑부(2)는 본체부(1)에서 완전 분리되므로 상기 본체부인 용기 본체(10)의 요입홈(11)이 개방된 상태가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용기 본체(10)의 요입홈(11) 내로 채취된 인체 조직을 집어 넣어 보존할 수 있게 되는데, 이하에서 채취된 인체 조직을 안전한 상태로 검사전까지 보존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의료종사자가 검사를 위해 환자에게서 채취한 인체 조직을 용기 본체(10)의 요입홈(11) 내로 집어 넣기 전에 상기 요임홈 내로 적당량의 생리식염수를 채워 넣는데, 상기 생리식염수의 채움량은 용기 본체(10)에 미리 표시선으로 표시되어 있고, 상기 채워질 생리식염수의 량은 이후 과정에서 상기 생리식염수에 혼합될 액상의 포르말린 량과 비례하여 결정될 것임은 이해 가능하다.
상기 과정에 의해 용기 본체(10)의 요입홈(11)으로 생리식염수가 채워지고 나면, 채취된 인체 조직을 핀셋 등을 이용하여 파지한 다음 상기 용기 본체(10)의 요입홈(11)으로 넣고 흔들면서 핀셋의 파지력을 제거하면 상기 인체 조직은 생리식염수로 인해 자연스럽게 핀셋에서 분리되고, 상기 인체 조직은 생리식염수에 잠긴상태로 용기 본체(10)의 요입홈(11)에 담지되어 일차 보존되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본체부(1)를 한손으로 잡고 다른 한손으로는 뚜껑부(2)를 잡은 다음 상기 뚜껑부(2)의 뚜껑 본체(20)를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뚜껑 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뚜껑 나사산(22)이 상기 용기 본체(10)에 형성되어 있는 본체 나사산(12)을 따라 조여지므로 상기 뚜껑 본체(20)는 액통(24)과 함께 도면상 시계방향인 조임방향 회전과 동시에 하부로 수직방향 이동을 하게 되는데, 상기 뚜껑 본체(20)가 조임방향 회전과 동시에 하부로 수직방향 이동을 할 때는 이동캡부재(50)의 이동캡(51)이 상기 뚜껑 본체(20)에 형성된 액통(24)에 끼워져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액통(24)의 외측둘레면 중 수평돌기(52)와 이격된 아래쪽에 원주방향으로 따라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빙둘러지게 복수개의 수직돌기(5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캡(51)의 내측 둘레면 중 수평돌기 걸림턱(54) 아래쪽에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빙둘러지게 복수개의 수직돌기 걸림턱(55)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뚜껑 본체(20)와 함께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액통(24)의 회전력이 수직돌기 걸림턱(55)과 수직돌기(53)를 거쳐 상기 이동캡(51)으로 전달되고, 이에 따라 상기 이동캡도 조임방향인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과정에서와 같이 뚜껑 본체(20)가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용기 본체(10)에 나사조임이 되면, 그 어느 순간 상기 이동캡(51)의 하단에 형성된 각 이동캡돌기(57)가 회전링(41)의 상단에 접촉되면서 상기 회전링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각 링돌기(43)에 걸리게 되므로 이때부터는 상기 뚜껑 본체(20)는 나사조임이 완료될 때까지 계속해서 조임방향인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지만 이동캡(51)은 회전링(41)에 도면상 시계방향으로의 회전력만 부여할 뿐 실제로는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못하게 되고, 이후 계속해서 뚜껑 본체(20)가 조임방향인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계속 하게 되더라도 상기 이동캡(51)은 실제로 회전은 못하면서 회전링(41)의 지지력을 받게되므로 결국 상기 이동캡(51)은 뚜껑 본체(20)가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액통(24)에 끼워진상태에서 상부로 수직이동을 하게 된다.
한편 뚜껑 본체(20)가 용기 본체(10)에 나사조임 완료될때 까지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뚜껑 본체(20)에 형성된 액통(24)에 끼워져 있는 이동캡(51)이 상부로 수직이동하는 어느 순간 상기 이동캡(51)의 내측둘레면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각 수평돌기 걸림턱(54)이 상기 액통(24)의 외측돌레면에 원주방향으로 빙둘러지게 수평상태로 형성된 수평돌기(52)의 걸림력을 이기고 넘어가게 되므로 상기 뚜껑 본체(20)가 용기 본체(10)에 완전히 조여질 때까지 상기 이동캡(51)은 상부로 수직이동을 하게 됨은 이해 가능한데, 상기 이동캡(51)이 상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이동캡의 하부면 내측에 상향상태로 형성되어 그 끝단이 뾰쪽하게 삼각형 모양을 하고 있는 파괴돌기(58)가 상기 액통(24)을 밀봉하고 있는 밀봉박판(25)을 도 9와 같이 파괴하게 되므로 상기 액통(24) 내에서 밀봉박판(25)에 의해 밀봉되어 있는 액상의 포르말린이 자중에 의해 중력방향으로 흘러내려가게 되고, 이 흘러내려가는 포르말린은 계속해서 상기 이동캡(51)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연통공(56)을 통해 용기 본체(10) 내부인 요입홈(11)으로 흘러들어가 채워지게 되며, 이 채워진 포르말린이 이미 초기에 채워져 있던 생리식염수와 혼합되면서 인체 조직을 안전한 상태로 보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과정에서 이동캡(51)이 상부로 수직 이동이 완료되었을 때는 상기 뚜껑부(2)가 본체부(1)에 완전하게 닫힘상태로 조임완료된 상태인데, 상기 뚜껑부(2)의 체결홈(21)에는 뚜껑 본체(20)의 내측 상부면 바깥쪽에 위치된 상태로 빙둘러지게 외측실링돌기(26)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뚜껑 본체(20)의 내측 상부면 안쪽에 위치된 상태로 빙둘러지게 내측실링돌기(27)가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본체부(1)의 용기 본체(10) 상단 둘레면이 외측실링돌기(26)와 내측실링돌기(27) 사이로 끼워져 기밀접촉되고, 이에 따라 사용과정에서 뚜껑부(2)가 본체부(1)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상의 부주의로 인해 기울어지거나 떨어뜨리는 일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액상의 포르말린이 상기 본체부(1)의 용기 본체(10)와 뚜껑부(2)의 뚜껑 본체(20) 사이를 통해 외부로 새어나가가지 않게되어 안전사용이 가능하게 됨은 물론 상기 용기 본체(10)와 뚜껑 본체(20) 사이로 외부의 공기 등이 스며들지 못하게 됨에 따라 상기 용기 본체(10)의 요입홈(11) 내에 담지되어 보존중인 인체 조직이 세균에 감염되거나 하는 일도 없게 됨은 이해 가능하다.
한편, 이동캡부재(50)인 이동캡(51)에 형성된 연통공(56)은 걸름망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채취 후 용기 본체(10)의 요입홈(11)에 담지된 인체 조직이 사용과정에서 상기 연통공(56)을 통해 상기 요임홈(11) 외부인 이동캡(51) 내부로 빠져나가는 일은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안전한 상태로 보존된 인체 조직을 검사실로 옮긴 다음 조직 검사를 위해서는 조직 검사를 수행하는 의료종사자가 용기 본체(10)에 나사조임상태로 결합되어 있는 뚜껑 본체(20)의 나사조임을 해제하여 분리한 다음 상기 용기 본체(10)의 요입홈(11) 내에 담지되어 있는 인체 조직을 꺼내서 검사를 수행하면 되는데, 상기 용기 본체(10)에서 뚜껑 본체(20)를 분리하는 과정은 결합시와 역으로 수행하면 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고,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본체부 2 : 뚜껑부
10 : 용기 본체 11 : 요입홈
12 : 본체 나사산 20 : 뚜껑 본체
21 : 체결홈 22 : 뚜껑 나사산
23 : 공간 24 : 액통
25 : 밀봉박판 26 : 외측실링돌기
27 : 내측실링돌기 30 : 고정캠부재
31 : 수직걸림돌기 32 : 경사캠돌기
33 : 수직걸림홈 40 : 유동캠부재
41 : 회전링 42 : 회전걸림돌기
43 : 링돌기 50 : 이동캡부재
51 : 이동캡 52 : 수평돌기
53 : 수직돌기 54 : 수평돌기 걸림턱
55 : 수직돌기 걸림턱 56 : 연통공
57 : 이동캡돌기 58 : 파괴돌기

Claims (5)

  1.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는 폐쇄된 상태의 요입홈을 갖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 외측둘레면에 형성된 본체 나사산을 포함하며 생리식염수가 채워짐과 함께 채취된 인체 조직이 담겨지는 본체부;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가 폐쇄된 상태의 체결홈을 갖는 뚜껑 본체와, 상기 뚜껑 본체의 체결홈 둘레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 나사산에 조임 및 풀림이 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뚜껑 나사산과, 상기 뚜껑 본체의 체결홈 내에 위치되도록 일체 형성되어 하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에 액상의 포르말린이 채워질 수 있게 공간을 갖는 액통과, 상기 액통의 하부 개방부분을 밀봉하여 액통의 공간에 채워진 포르말린이 외부적인 힘이 작용하지 않을 경우 유출되지 않도록 밀봉하는 밀봉박판을 포함하며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본체부에 나사조임되거나 나사조임 해제되는 뚜껑부; 및 상기 본체부의 용기 본체와 뚜껑부 뚜껑 본체에 걸쳐 구비되며 뚜껑 본체가 회전방향에 따라 용기 본체에 나사조임이 완료되었을 때 상기 뚜껑 본체의 밀봉박판을 강제로 파괴시켜 상기 뚜껑부의 액통에 담겨진 포르말린이 본체부의 요임홈 내로 흘러들어가도록 하는 밀봉 해제수단; 으로 구성하고,
    상기 밀봉 해제수단은;
    상기 용기 본체의 요입홈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등간격으로 3개가 연속해서 트랙을 이루는 수직걸림돌기와, 상기 각 수직걸림돌기의 하부에서 동일한 방향의 둘레를 따라 상부로 가면서 상향경사지게 형성되며 등간격으로 3개가 연속해서 트랙을 이루는 경사캠돌기와, 상기 각 경사캠돌기 부분중 각 수직걸림돌기 근접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등간격으로 3개가 연속해서 트랙을 이루는 수직걸림홈으로 구성된 고정캠부재;
    링형태를 이루며 상기 용기 본체의 요입홈 내에서 둘레면을 따라 회전가능하면서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끼워진 회전링과, 상기 회전링의 하부에 등간격으로 3개가 연속해서 트랙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회전링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각 수직걸림돌기에 수직상태로 걸리거나 각 경사캠돌기의 안내를 받아 수직이동력을 부여받거나 각 수직걸림홈에 끼워져 걸리는 회전걸림돌기와, 상기 회전링의 상부에 등간격을 이루며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링돌기로 구성된 유동캠부재; 및
    상기 뚜껑 본체에 형성된 액통을 감싼상태로 끼워져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함과 함께 원주방향으로 회전가능한 이동캡과, 상기 액통의 외측돌레면에 원주방향으로 빙둘러지게 수평상태로 형성된 수평돌기와, 상기 액통의 외측둘레면 중 수평돌기와 이격된 아래쪽에 원주방향을 따라 빙둘러지게 수직상태로 형성된 복수개의 수직돌기와, 상기 이동캡의 내측둘레면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액통에 이동캡이 끼워진 상태에서는 적정 압력이 제공되지 않는 한 상기 수평돌기에 간섭되면서 이동캡의 상부이동을 제한하는 복수개의 수평돌기 걸림턱과, 상기 이동캡의 내측 둘레면 중 수평돌기 걸림턱과 이격된 아래쪽에 원주방향을 따라 빙둘러지게 수직상태로 형성되어 상기 액통에 이동캡이 끼워진 상태에서는 적정 압력이 제공되지 않는 한 상기 수직돌기에 간섭되면서 이동캡의 회전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복수개의 수직돌기 걸림턱과, 상기 이동캡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캡이 액통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이동캡의 내,외부를 연통시켜 주는 연통공과, 상기 이동캡의 하부면 외측에 하향상태로 형성되어 뚜껑본체가 조임방향으로 회전한 후 다시 풀림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회전링에 형성된 각 링돌기에 선택적으로 걸리면서 상기 회전링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이동캡돌기와, 상기 이동캡의 하부면 내측에 상향상태로 형성되어 뚜껑 본체의 회전링이 상부로 이동된 상태에서 뚜껑 본체가 조임방향으로 회전되어 완전히 조여질 때 상기 회전링의 간섭에 의해 상부이동력을 받는 과정에서 상기 액통을 밀봉하고 있는 밀봉박판을 가압시켜 강제로 파괴시켜 주는 복수개의 파괴돌기로 구성된 이동캡부재; 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조직의 안전 보존 용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이동캡부재를 구성하는 파괴돌기는 끝단이 뾰쪽하도록 삼각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조직의 안전 보존 용기.
  5. 제 1항에 있어서,
    이동캡부재를 구성하는 이동캡에 형성된 연통공은 걸름망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조직의 안전 보존 용기.
KR1020210079637A 2021-06-18 2021-06-18 인체 조직의 안전 보존 용기 KR102380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637A KR102380025B1 (ko) 2021-06-18 2021-06-18 인체 조직의 안전 보존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637A KR102380025B1 (ko) 2021-06-18 2021-06-18 인체 조직의 안전 보존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0025B1 true KR102380025B1 (ko) 2022-03-29

Family

ID=80997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9637A KR102380025B1 (ko) 2021-06-18 2021-06-18 인체 조직의 안전 보존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002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5241B1 (ko) 2024-02-05 2024-03-07 황거하 생체조직 보관용 안전용기
KR102650266B1 (ko) 2023-12-22 2024-03-21 황거하 생체조직 보관용 안전용기
KR102651597B1 (ko) * 2023-09-05 2024-03-26 마수미 인체 조직의 안전 보존 용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3397A (ko) * 2004-12-23 2006-06-28 장왕종 음료용기의 뚜껑 구조
JP2007276787A (ja) * 2004-10-25 2007-10-25 Coca Cola Co:The 収納室付きキャップ
KR20140091063A (ko) * 2011-11-21 2014-07-18 가부시키가이샤 Csi 재팬 탄산음료 충전 용기용 합성 수지제 캡, 밀봉 장치, 및 음료가 든 밀봉 장치
KR20170028010A (ko) 2015-09-03 2017-03-13 (주)케이클라우드 가상 주소를 이용한 택배 처리시스템 및 방법
KR20190038296A (ko) 2017-09-29 2019-04-08 포브, 아이엔씨. 화상 표시 시스템, 화상 표시 방법 및 화상 표시 프로그램
KR20200134182A (ko) * 2019-05-21 2020-12-01 주식회사 골든바이오텍 복수 종류의 액체가 수용된 검체 바이알 용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6787A (ja) * 2004-10-25 2007-10-25 Coca Cola Co:The 収納室付きキャップ
KR20060073397A (ko) * 2004-12-23 2006-06-28 장왕종 음료용기의 뚜껑 구조
KR20140091063A (ko) * 2011-11-21 2014-07-18 가부시키가이샤 Csi 재팬 탄산음료 충전 용기용 합성 수지제 캡, 밀봉 장치, 및 음료가 든 밀봉 장치
KR20170028010A (ko) 2015-09-03 2017-03-13 (주)케이클라우드 가상 주소를 이용한 택배 처리시스템 및 방법
KR20190038296A (ko) 2017-09-29 2019-04-08 포브, 아이엔씨. 화상 표시 시스템, 화상 표시 방법 및 화상 표시 프로그램
KR20200134182A (ko) * 2019-05-21 2020-12-01 주식회사 골든바이오텍 복수 종류의 액체가 수용된 검체 바이알 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1597B1 (ko) * 2023-09-05 2024-03-26 마수미 인체 조직의 안전 보존 용기
KR102650266B1 (ko) 2023-12-22 2024-03-21 황거하 생체조직 보관용 안전용기
KR102645241B1 (ko) 2024-02-05 2024-03-07 황거하 생체조직 보관용 안전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0025B1 (ko) 인체 조직의 안전 보존 용기
KR101880052B1 (ko) 검체 보관 용기
US10376247B2 (en) Container assembly and associated method
EP3328286B1 (en) Disposable container of 30 or 90 ml for the storage and transportation of human tissue samples or organs to be subjected to histological examination
KR20200011802A (ko) 파손 가능한 밀폐막을 구비한 생체조직 보관용기
KR20200021035A (ko) 생체조직 보관용기
KR101823438B1 (ko) 고정액의 충전 및 외부노출방지 구조를 갖는 조직검체 운반용기
KR102135659B1 (ko) 파손 가능한 밀폐막을 구비하는 미세 생체조직 보관용기
KR102432136B1 (ko) 파열부재를 갖는 검체용기
KR20200002146A (ko) 검체 보관 용기
KR102539681B1 (ko) 내부에 생리 식염수가 수용된 검체 용기
KR102651597B1 (ko) 인체 조직의 안전 보존 용기
EP2793569B1 (en) Dispensing unit
EP4069091B1 (en) Container for biologic samples and method for their preservation
KR200494298Y1 (ko) 검체 보관 용기
KR102671153B1 (ko) 검체 용기
WO2018078516A1 (en) Container for collection and preservation of biopsy samples
RU2809436C1 (ru) Одноразовый контейнер для хранения биологического материала, используемого в микрохирургии глаза, с устройством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одноразовости использования
KR20240077489A (ko) 캡의 회전 중에 캡과 용기 본체가 간섭되는 검체 용기
KR102267435B1 (ko) 조직 고정용 용기
IT201600120864A1 (it) Contenitore monouso per esame istologico.
BE416372A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