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0266B1 - 생체조직 보관용 안전용기 - Google Patents

생체조직 보관용 안전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0266B1
KR102650266B1 KR1020230189136A KR20230189136A KR102650266B1 KR 102650266 B1 KR102650266 B1 KR 102650266B1 KR 1020230189136 A KR1020230189136 A KR 1020230189136A KR 20230189136 A KR20230189136 A KR 20230189136A KR 102650266 B1 KR102650266 B1 KR 102650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iological tissue
fixative
moving hole
diameter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89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거하
Original Assignee
황거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거하 filed Critical 황거하
Priority to KR1020230189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02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0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02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96Casings for storing test samp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8Ergonomic or safety aspects of handling devices
    • B01L2200/082Handling hazardou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8Ergonomic or safety aspects of handling devices
    • B01L2200/085Protection against injuring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32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cylindrical, tube shap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조직 보관용 안전용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부암나사(11)와 하부암나사(12) 사이에 원형 내부격리판(13)과 다수개의 고정액 이동홀(14)이 구비되어 있는 원통 형상의 커플링부재(10)와, 상기 상부암나사(11)에 체결되는 상부수나사(21)와 상기 고정액 이동홀(14)을 차단하는 이동홀 차단부(22)가 구비되어 있는 고정액용기(20)와, 상기 하부암나사(12)에 체결되는 하부수나사(31)가 구비되어 있는 생체조직용기(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조직 보관용 안전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생체조직 보관용 안전용기{Safety vessel for biological tissue}
본 발명은 생체조직 보관용 안전용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부암나사(11)와 하부암나사(12) 사이에 원형 내부격리판(13)과 다수개의 고정액 이동홀(14)이 구비되어 있는 원통 형상의 커플링부재(10)와, 상기 상부암나사(11)에 체결되는 상부수나사(21)와 상기 고정액 이동홀(14)을 차단하는 이동홀 차단부(22)가 구비되어 있는 고정액용기(20)와, 상기 하부암나사(12)에 체결되는 하부수나사(31)가 구비되어 있는 생체조직용기(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조직 보관용 안전용기에 관한 것이다.
임상적인 목적으로 환자의 몸에서 분리해 낸 생체조직은 다음 절차를 진행할 때까지 특수한 보관용기에 저장된 상태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보관용기에는 대체로 생체조직을 안전하게 보존해 주는 고정액, 구체적으로 포르말린 용액이 들어있다. 그래서 생체조직 보관용기는 의사나 간호사가 이를 취급하는 과정에서 독성물질인 포르말린 용액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특수한 구조를 가져야 한다.
종래에도 특허 제10-1744232호(2017년 05월 31일), 특허 제10-2223879호(2021년 02월 26일), 특허 제10-2380025호(2022년 03월 24일) 및 특허 제10-2597772호(2023년 10월 31일) 등에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의 생체조직 보관용기들이 소개되어 있다.
첨부 도 1은 이 중에서 상기 특허 제10-1744232호의 조직 보관용기(100)를 인용한 것으로, 고정액을 수용하는 제1 용기(115)와, 상기 제 1용기(115)의 상단을 밀폐하는 제 1마개(110), 상기 제1 용기(115)의 하단에 결합되어 생체 조직을 수용하는 제2 용기(132), 그리고 상기 제2 용기(132)의 하단을 밀폐하는 제2 마개(120)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용기(115)의 바닥 중앙에는 고정액이 통과하는 원형홀이 형성되어있고, 상기 제2 용기(132)에는 상기 원형홀을 대응하는 밀폐용 돌기(135)이 구비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제2 용기(132)의 나사산(138)을 따라 스크류 밸브(130)를 회전시키는 밀폐용 돌기(135)가 승강하면서 상기 원형홀을 개폐한다.
특허 제10-1744232호(2017년 05월 31일) 특허 제10-2223879호(2021년 02월 26일) 특허 제10-2380025호(2022년 03월 24일) 특허 제10-2597772호(2023년 10월 31일)
첨부 도 1과 같은 종래의 생체조직 보관용기는 우선 전체적인 구조가 4-피스 구조로서 부품수가 많고, 특히 제2 용기(132)의 구조가 복잡해서 사출 성형이 까다로운 단점이 있다. 또한, 제2 용기(132) 내부에 고정액 속에 잠겨 있는 조직을 회수할 때는 보관용기(100)를 뒤집은 상태에서 스크류 밸브(130)를 조작하여 고정액을 다시 제2 용기(132)에서 제1 용기(115)로 이동시켜야 하는데, 이때 조직이 제2 용기(132)의 배수부(137)를 막을 수도 있고, 크기가 작은 조직은 배수부(137)를 통과할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러한 종래기술의 단점을 개선하는 것으로, 조작이 편리하고 사용이 안전하며, 나아가 제조과정에서 사출 및 조립이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생체조직 보관용 안전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생체조직 보관용 안전용기는,
상부 및 하부 내경면에 각각 상부암나사(11)와 하부암나사(12)가 구비되어 있는 원통형 구조로서, 상기 상부암나사(11)와 하부암나사(12) 사이에는 원형 내부격리판(13)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내부격리판(13)의 외곽에는 둘레방향으로 다수개의 고정액 이동홀(14)이 관통되어 있는 커플링부재(10)와;
하면이 개방된 원통형 구조로서 고정액을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하부 외경면에는 상기 상부암나사(11)에 체결되는 상부수나사(21)가 구비되어 있고, 하단 테두리에는 상부수나사(21)의 체결 위치에 따라 고정액 이동홀(14)을 차단 또는 개방하는 이동홀 차단부(22)가 구비되어 있는 고정액용기(20)와;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 구조로서 생체조직을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부 외경면에는 상기 하부암나사(12)에 체결되는 하부수나사(31)가 구비되어 있는 생체조직용기(3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체조직 보관용 안전용기는, 커플링부재(10)와 고정액용기(20) 및 생체조직용기(30)의 3-피스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조작이 편리하고 사용이 안전하며, 나아가 제조과정에서 사출 및 조립이 용이한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생체조직 보관용기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생체조직 보관용 안전용기의 사시도,
도 3은 상기 도 2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상기 도 2에서 커플링부재(10)의 평면도
도 5는 상기 도 2의 결합 단면도.
도 6은 상기 도 2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한 것이므로 이들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꼭 필요한 구성이라 하더라도 종래기술에 소개되어 있거나, 통상의 기술자가 공지기술로부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사항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는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도면을 기준으로 하여 ‘상부(상측)’와 ‘하부(하측)’을 구분하여 설명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명시된 구성요소에 더하여 필요에 따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체조직 보관용 안전용기는, 첨부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커플링부재(10)와 고정액용기(20) 및 생체조직용기(30)의 3-피스 구조로 이루어진다.
먼저 커플링부재(10)는 상부 및 하부 내경면에 각각 상부암나사(11)와 하부암나사(12)가 구비되어 있는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암나사(11)와 하부암나사(12) 사이에는 커플링부재(10)의 내부를 지름 방향으로 차단하는 원형 내부격리판(13)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내부격리판(13)의 외곽에는 도 4와 같이 둘레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고정액 이동홀(14)이 관통되어 있다. 상기 고정액 이동홀(14)은 내부격리판(13)의 외곽과 커플링부재(10)의 내경면 사이에 원형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한 줄로 배치될 수도 있고, 2~3 줄로 배치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고정액용기(20)는 도 5와 같이 상면이 폐쇄되고 하면은 개방된 원통형 구조로서 고정액, 예컨대 포르말린 용액을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갖는다. 또한 고정액용기(20)는 상기 상부암나사(11)에 체결되는 상부수나사(21)와, 상기 상부수나사(21)의 체결 위치에 따라 고정액 이동홀(14)을 차단 또는 개방하는 이동홀 차단부(22)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수나사(21)는 고정액용기(20)의 하부 외경면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이동홀 차단부(22)는 고정액용기(20)의 하단 테두리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이동홀 차단부(22)는 커플링부재(10)의 고정액 이동홀(14)과 지름이 동일한 원형 구조로 배치된다.
그래서 고정액용기(20)의 상부수나사(21)를 커플링부재(10)의 상부암나사(11)에 완전히 체결하면, 도 5와 같이 이동홀 차단부(22)가 고정액 이동홀(14)의 상측에 밀착되면서 고정액의 흐름을 차단한다. 그러나 상부암나사(11)에서 상부수나사(21)를 풀어주면, 고정액 이동홀(14)에서 이동홀 차단부(22)가 분리되면서 고정액 이동홀(14)이 개방된다.
상기 커플링부재(10)의 내부격리판(13) 상면에는 커플링부재(10)의 상부 내경면과 고정액 이동홀(14) 사이에 소정의 높이로 상향둘레벽(15)이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액용기(20)의 하부 외경면과 이동홀 차단부(22) 사이에는 상기 상향둘레벽(15)이 밀착 삽입되는 누액차단벽(23)이 구비되어 있다.
그래서 커플링부재(10)의 상부암나사(11)에 고정액용기(20)의 상부수나사(21)를 체결하면, 상기 상향둘레벽(15)의 내경면(15a)이 누액차단벽(23)에 밀착되면서 고정액의 누액을 차단하다.
이때, 상기 상향둘레벽(15)의 외경면(15b)은 위쪽으로 갈수록 상향둘레벽(15)의 두께가 얇아지는 경사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되면, 상부암나사(11)와 상부수나사(21)를 깊게 체결할수록 양쪽 누액차단벽(23) 속으로 깊이 삽입되고, 상향둘레벽(15)이 깊게 삽입될수록 상향둘레벽(15)의 내경면(15a)이 경사면을 따라 누액차단벽(23)에 견고하게 밀착된다.
상기 내부격리판(13)의 상면에는 고정액 이동홀(14)을 따라 둘레 방향으로 이동홀 경사면(14a)이 형성될 수 있고, 고정액용기(20)의 이동홀 차단부(22)에는 상기 이동홀 경사면(14a)에 밀착되는 차단부 경사면(22a)이 구비될 수 있다. 그래서 상부암나사(11)와 상부수나사(21)를 완전히 체결하면 이동홀 경사면(14a)과 차단부 경사면(22a)이 서로 견고하게 밀착되면서 고정액의 누액을 차단한다.
상기 고정액용기(20)에서 상부수나사(21)가 구비되어 있는 하부 외경면에는 둘레 방향으로 따라 외향단턱부(24)가 돌출되어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향단턱부(24)에는 둘레 방향으로 살빼기 공간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살빼기 공간에는 보강리브(25)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커플링부재(10)의 내경면과 고정액용기(20)의 외경면에는 도 3과 같이 서로 대응하는 제1 스토퍼(17)와 제2 스토퍼(26)가 설치 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스토퍼(17,26)는 상부암나사(11)와 상부수나사(21)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즉, 상기 제1 및 제2 스토퍼(17,26)에 의해서 사용자가 상부암나사(11)와 상부수나사(21)가 서로 완전히 체결되는 위치와 서로 분리되는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생체조직용기(30)는 상면이 개방되고 하면은 폐쇄된 원통형 구조로서 생체조직을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갖는다. 생체조직용기(30)의 상부 외경면에는 상기 하부암나사(12)에 체결되는 하부수나사(3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생체조직용기(30)는 중간 부위에 내부공간을 폐쇄하는 용기바닥판(3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용기바닥판(32)의 하부에는 생체조직에 대한 정보가 기재된 라벨지를 부착할 수 있는 확장치마부(33)가 연장되어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바닥판(32)은 내부에 생체조직을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중간 부위가 오목하게 내려앉은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생체조직용기(30)의 기밀성을 높이기 위하여 커플링부재(10)의 내부격리판(13) 저면에는 커플링부재(10)의 하부 내경면에서 이격된 위치에 하향둘레벽(16)이 돌출되어 있고, 생체조직용기(30)의 상단 테두리가 커플링부재(10)의 하부 내경면과 상기 하향둘레벽(16) 사이로 밀착 삽입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생체조직 보관용 안전용기에 대한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커플링부재(10)와 고정액용기(20)를 분리한 상태에서 고정액용기(20)를 뒤집어서 적량의 고정액을 채운 다음, 커플링부재(10)와 생체조직용기(30)를 체결한다. 본 발명의 안전용기는 이 상태로 사용자, 즉 의사나 간호사에게 제공된다.
환자로부터 생체조직을 적출한 사용자는 커플링부재(10)에서 생체조직용기(30)를 분리하여 생체조직용기(30) 내부에 생체조직을 넣은 다음, 다시 커플링부재(10)에 체결한다.
이어 안전용기를 똑바로 세운 상태에서 도 6와 같이 커플링부재(10)에서 고정액용기(20)를 살짝 열어주면, 고정액 이동홀(14)에서 이동홀 차단부(22)가 분리되면서 상기 고정액 이동홀(14)이 개방된다. 그리고 고정액용기(20)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고정액이 생체조직용기(30) 속으로 흘러내려서 생체조직용기(30) 내에 넣어 둔 생체조직이 고정액 속에 잠긴다.
이렇게 하여 고정액용기(20) 내부의 고정액이 모두 생체조직용기(30)로 흘러내리면, 상기 고정액용기(20)를 다시 커플링부재(10)에 완전히 체결하여 고정액 이동홀(14)을 차단한다. 상기 생체조직은 다음 절차를 진행할 때까지 이 상태로 보관 및 이송된다.
본 발명의 안전용기에서 상기 생체조직을 회수하기 위해서는 먼저 고정액용기(20)가 밑으로 향하도록 안전용기를 뒤집은 상태에서 고정액용기(20)를 살짝 열어준다. 이렇게 하면, 고정액 이동홀(14)이 개방되면서 생체조직용기(30) 내부의 고정액이 모두 고정액용기(20) 속으로 흘러내리고, 생체조직용기(30)에는 생체조직만 남아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고정액용기(20)를 다시 커플링부재(10)에 체결하면 고정액과 생체조직이 서로 완전히 분리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고정액에 노출되지 않고 생체조직용기(30)에 남아 있는 생체조직을 안전하게 회수할 수 있다.
(10) 커플링부재 (11) 상부암나사
(12) 하부암나사 (13) 내부격리판
(14) 고정액 이동홀 (14a) 이동홀 경사면
(15,15a,15b) 상향둘레벽 (16) 하향둘레벽
(17) 제1 스토퍼 (20) 고정액용기
(21) 상부수나사 (22) 이동홀 차단부
(22a) 차단부 경사면 (23) 누액차단벽
(24) 외향단턱부 (25) 보강리브
(26) 제2 스토퍼 (30) 생체조직용기
(31) 하부수나사 (32) 용기바닥판
(33) 확장치마부

Claims (8)

  1. 상부 및 하부 내경면에 각각 상부암나사(11)와 하부암나사(12)가 구비되어 있는 원통형 구조로서, 상기 상부암나사(11)와 하부암나사(12) 사이에는 원형 내부격리판(13)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내부격리판(13)의 외곽에는 둘레방향으로 다수개의 고정액 이동홀(14)이 관통되어 있는 커플링부재(10)와;
    하면이 개방된 원통형 구조로서 고정액을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하부 외경면에는 상기 상부암나사(11)에 체결되는 상부수나사(21)가 구비되어 있고, 하단 테두리에는 상부수나사(21)의 체결 위치에 따라 고정액 이동홀(14)을 차단 또는 개방하는 이동홀 차단부(22)가 구비되어 있는 고정액용기(20)와;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 구조로서 생체조직을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부 외경면에는 상기 하부암나사(12)에 체결되는 하부수나사(31)가 구비되어 있는 생체조직용기(3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조직 보관용 안전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격리판(13)의 상면에는 커플링부재(10)의 상부 내경면과 고정액 이동홀(14) 사이에 소정의 높이로 상향둘레벽(15)이 돌출되어 있고, 상기 고정액용기(20)의 하부 외경면과 이동홀 차단부(22) 사이에는 상기 상향둘레벽(15)이 밀착 삽입되는 누액차단벽(23)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조직 보관용 안전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둘레벽(15)의 내경면(15a)은 상기 누액차단벽(23)에 밀착되고, 상기 상향둘레벽(15)의 외경면(15b)은 위쪽으로 갈수록 상향둘레벽(15)의 두께가 얇아지는 경사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조직 보관용 안전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격리판(13)의 상면에는 고정액 이동홀(14)을 따라 둘레 방향으로 이동홀 경사면(14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홀 차단부(22)에는 상기 이동홀 경사면(14a)에 밀착되는 차단부 경사면(22a)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조직 보관용 안전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수나사(21)가 구비되어 있는 고정액용기(20)의 하부 외경면에는 둘레 방향으로 따라 외향단턱부(24)와 살빼기 공간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살빼기 공간에는 보강리브(25)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조직 보관용 안전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부재(10)의 내경면과 고정액용기(20)의 외경면에는 상부암나사(11)와 상부수나사(21)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제1 스토퍼(17) 및 제2 스토퍼(26)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조직 보관용 안전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조직용기(30)는 중간 부위에 내부공간을 폐쇄하는 용기바닥판(3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용기바닥판(32)의 하부에는 생체조직에 대한 정보가 기재된 라벨지를 부착할 수 있는 확장치마부(33)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조직 보관용 안전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격리판(13)의 저면에는 커플링부재(10)의 하부 내경면에서 이격된 위치에 하향둘레벽(16)이 돌출되어 있고, 생체조직용기(30)의 상단 테두리가 커플링부재(10)의 하부 내경면과 상기 하향둘레벽(16) 사이로 밀착 삽입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조직 보관용 안전용기
KR1020230189136A 2023-12-22 2023-12-22 생체조직 보관용 안전용기 KR102650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89136A KR102650266B1 (ko) 2023-12-22 2023-12-22 생체조직 보관용 안전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89136A KR102650266B1 (ko) 2023-12-22 2023-12-22 생체조직 보관용 안전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0266B1 true KR102650266B1 (ko) 2024-03-21

Family

ID=90472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89136A KR102650266B1 (ko) 2023-12-22 2023-12-22 생체조직 보관용 안전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026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4232B1 (ko) 2016-11-22 2017-06-20 이은혜 조직 보관 용기
KR102223879B1 (ko) 2018-08-19 2021-03-05 주식회사 알엠생명과학 생체조직 보관용기
KR102380025B1 (ko) 2021-06-18 2022-03-29 마수미 인체 조직의 안전 보존 용기
KR102597772B1 (ko) 2023-07-28 2023-11-03 (주) 메디포유 조직검체 운반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4232B1 (ko) 2016-11-22 2017-06-20 이은혜 조직 보관 용기
KR102223879B1 (ko) 2018-08-19 2021-03-05 주식회사 알엠생명과학 생체조직 보관용기
KR102380025B1 (ko) 2021-06-18 2022-03-29 마수미 인체 조직의 안전 보존 용기
KR102597772B1 (ko) 2023-07-28 2023-11-03 (주) 메디포유 조직검체 운반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59312B2 (en) Press in bottle adapter
US11344475B2 (en) Connection equipment and equipment connector
US5036992A (en) Medicine vial cap for needleless syringe
US4187893A (en) Combined additive and administration port for a container
US5295599A (en) Multiple cap seal for containers
RU2214216C2 (ru) Устройство соединения между сосудом и емкостью и система, содержащая такое устройство
US3905368A (en) Pierceable access port assembly
JPH09104461A (ja) 膜及びプッシャを持つコネクタアッセンブリを備えた再シール可能なバイアル
US20120103993A1 (en) Closure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
CA2610284A1 (en) Sample container, more particularly milk sample bottle, and method for taking a sample, more particularly for taking a milk sample
KR200443795Y1 (ko) 넌 피브이씨 재질의 수액백용 포트
CN114632006A (zh) 用于保护管状物的方法
KR102650266B1 (ko) 생체조직 보관용 안전용기
KR200392852Y1 (ko) 약제 용기
KR102645241B1 (ko) 생체조직 보관용 안전용기
KR200440084Y1 (ko) 위조방지 기능을 갖는 넌 피브이씨 재질의 수액용 포트
JPH0415219Y2 (ko)
JP3070044B2 (ja) 連通手段を備えた輸液容器
KR100620319B1 (ko) 약제 용기
JP2014100316A (ja) 薬剤カートリッジ
KR20090007179U (ko) 넌 피브이씨 재질의 수액백용 포트
EP3673890A1 (en) Medical infusion bag
WO2008047980A1 (en) Disposable blood sampling container
JPH0310999Y2 (ko)
US20030201239A1 (en) Radially compressed self-sealing sept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