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6068B1 - 조직 보존 용기 - Google Patents

조직 보존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6068B1
KR102056068B1 KR1020180123279A KR20180123279A KR102056068B1 KR 102056068 B1 KR102056068 B1 KR 102056068B1 KR 1020180123279 A KR1020180123279 A KR 1020180123279A KR 20180123279 A KR20180123279 A KR 20180123279A KR 102056068 B1 KR102056068 B1 KR 102056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ssue
support
network
filter
preser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3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영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골든바이오텍
진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골든바이오텍, 진영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골든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180123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60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6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6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47Handling flowable solids, e.g. microscopic beads, cells,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89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8Ergonomic or safety aspects of handling devices
    • B01L2200/082Handling hazardou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8Ergonomic or safety aspects of handling devices
    • B01L2200/085Protection against injuring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16Reagents, handling or stor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6Function or devices integrated in the closure
    • B01L2300/047Additional chamber, reservo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81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32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cylindrical, tube 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48Specific forms of parts of containers
    • B01L2300/0858Side wa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상부가 개방된 조직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조직 수용부; 상기 조직 수용부의 상측에 가역적으로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된 보존액 수용부; 및 상기 조직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고, 상기 보존액 수용부와 이격 배치된 지지 망체를 포함하는 조직 보존 용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조직 보존 용기{CONTAINER FOR PRESERVING TISSUE}
본 발명은 조직 보존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작성이 향상된 조직 보존 용기에 관한 것이다.
조직 보존 용기는 세포학적 진단을 위해 피검자로부터 채취한 조직 등의 검체를 수용, 보관, 운반하는 과정에서 조직이 물리/화학적으로 손상되지 않도록 조직을 보존하기 위한 용기이다. 예를 들어, 채취된 조직은 보존액 내지는 고정액과 희석, 혼합되어 조직 보존 용기 내에 보관될 수 있다.
보존액은 검체 조직 내에 침투하여 검체의 분해 또는 부패를 방지함으로써 검체를 채취 상태로 보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검체 조직의 단백질을 변성(denaturation) 내지는 응고(coagulation)시켜 검체에 경도를 부여함으로써 추후 검체의 세포학적 진단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보존액의 예로는 포르말린 용액 등을 들 수 있다. 포르말린 용액은 포름알데히드를 물에 녹인 수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포르말린 용액은 휘발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 1급 발암물질이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포르말린 용액 등을 취급시에는 고도의 주의가 요구된다. 따라서 포르말린 용액을 공기 중에 노출시키지 않고도 조직 등의 검체와 포르말린 용액을 접촉시킬 수 있는 구조의 밀폐 용기가 개발되고 있다.
한편, 조직 보존 용기가 포르말린 용액을 공기 중에 노출시키지 않고 조직 등의 검체를 포르말린 용액에 침지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고 하더라도, 세포학적 진단을 위해 포르말린 용액에 침지되어 보존된 조직을 꺼내는 과정에서 병리사, 임상의 등의 검사자는 포르말린 용액에 장시간 노출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은 캡부의 누름부에 외력을 가하여 절취 유닛을 하방 이동시킴으로써 밀봉 시트를 절개하고, 조직 보존액과 조직을 혼합할 수 있는 검체 용기를 개시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36745 B1
포르말린 용액 등의 보존액에 침지되어 보관 및 운반된 조직 등의 검체는 세포학적 진단을 위해 병리사, 임상의 등의 검사자에 의해 직접 인출된다. 이 때 검사자는 바이옵시 포셉 내지는 바이옵시 핀셋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조직 보존 용기로부터 검체를 인출할 수 있다. 특히 조직 등의 검체 크기가 매우 미소할 경우, 검사자는 자신의 안면을 포르말린 용액이 수용된 용기에 가까이 대고, 용기를 들여다보며 장시간 동안 용기 내의 조직 검체를 색출해야 한다. 따라서 검사자가 포르말린 용액에 노출되는 위험이 있다.
뿐만 아니라, 바이옵시 포셉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피검자로부터 곧바로 채취한 조직 등의 검체는 점성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바이옵시 포셉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조직을 채취하고, 바이옵시 포셉에 의해 파지된 검체를 조직 보존 용기에 인입하는 과정에서 조직 검체가 바이옵시 포셉에 의도치 않게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검체를 원하는 위치에 안착시키기 위해서는 조직 검체에 물리적 힘을 가해야 하는 실정이다. 만일 조직 검체를 바이옵시 포셉으로부터 떼어놓는 과정에서 조직 검체가 뭉개지는 등 손상되거나, 조직 검체를 분실하는 경우 피검자로부터 다시금 조직을 채취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조직 검체의 인입과 인출이 용이하도록 조작성이 향상된 조직 보존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동시에 보다 용이한 방법으로 보존액을 용출시켜 조직 검체를 보존액에 침지시킬 수 있는 조직 보존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조직 및 보존액에 대한 보존 안정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보다 용이한 방법으로 조직과 보존액을 혼합할 수 있는 조직 보존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보존 용기는, 상부가 개방된 조직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조직 수용부; 상기 조직 수용부의 상측에 가역적으로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된 보존액 수용부; 및 상기 조직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고, 상기 보존액 수용부와 이격 배치된 지지 망체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 망체는, 망체 플레이트, 및 상기 망체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망체 측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직 보존 용기는 상기 보존액 수용부에 압력을 가하거나, 또는 상기 보존액 수용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보존액 수용부의 보존액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된 보존액이 상기 조직 수용 공간 측으로 쏟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지지 망체의 상기 망체 플레이트는, 상기 조직 수용 공간 측으로 쏟아진 상기 보존액에 완전히 침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존액 수용부는 보존액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보존액 수용 공간을 밀봉하는 밀봉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직 보존 용기는 상기 보존액 수용부의 보존액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된 보존액이 중력에 의해 상기 조직 수용 공간 측으로 흐르는 유체 경로 상에 위치하는 필터로서, 복수의 개구를 갖는 필터링 바디를 포함하는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직 수용부와 상기 보존액 수용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 망체는 상기 조직 수용부 및 상기 필터와 맞닿고, 상기 밀봉 시트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조직 수용부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측벽부, 및 상기 바닥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측벽부의 내측면과 맞닿으며, 상기 측벽부에 의해 둘러싸인 복수의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망체는 상기 복수의 지지부 및 상기 필터링 바디의 하면과 맞닿고, 상기 지지 망체는 상기 지지부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필터링 바디의 하면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상하 방향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제1 높이를 갖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높이 보다 작은 제2 높이를 갖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조직 수용부와 상기 보존액 수용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의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필터를 지지하고, 상기 지지부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지지 망체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망체는, 상기 제2 부분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상기 제1 부분의 측면에 의해 수평 방향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망체는, 복수의 개구를 갖는 망체 플레이트, 및 상기 망체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고, 복수의 개구를 갖는 망체 측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망체 플레이트의 하면은 상기 조직 수용부의 상기 바닥부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망체 측벽부는 단차를 갖는 형상일 수 있다.
또, 상기 지지 망체는, 상기 망체 측벽부의 상기 단차가 상기 조직 수용부의 상기 지지부 상에 놓인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망체 측벽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필터의 상기 필터링 바디의 상기 개구와 중첩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보존 용기는 조직 수용부 내에 배치된 지지 망체를 포함하되, 조직 검체를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조직 수용부 내에 인입하고 조직 수용부로부터 인출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적으로 조작이 용이한 지지 망체에 인입하고 지지 망체로부터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조작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보존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직 보존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조직 보존 용기의 단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지지 망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지지 망체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필터의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도 1의 조직 보존 용기를 사용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직 보존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조직 보존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조직 보존 용기의 단면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절개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5 내지 도 18은 도 11의 조직 보존 용기를 사용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직 보존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조직 보존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조직 보존 용기의 단면사시도이다.
도 22 내지 도 25는 도 19의 조직 보존 용기를 사용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방향(X)은 임의의 일 방향을 의미하고, 제2 방향(Y)은 제1 방향(X)에 수직한 방향을 의미한다. 또, 제3 방향(Z)은 제1 방향(X)과 제2 방향(Y)이 속하는 임의의 평면과 수직한 방향을 의미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평면'은 제1 방향(X)과 제2 방향(Y)이 속하는 평면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보존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직 보존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조직 보존 용기의 단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지지 망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지지 망체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필터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직 보존 용기(11)는 보존액 수용 공간(S1)을 갖는 보존액 수용부(101), 조직 수용 공간(S2)을 갖는 조직 수용부(201) 및 조직 수용부(201) 내에 삽입 배치된 지지 망체(301)를 포함하고, 필터(4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존액 수용부(101)는 그 내부에 보존액(500)이 수용된 상태일 수 있다. 보존액(500)은 포르말린 용액 등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보존액 수용부(101)의 보존액 수용 공간(S1)은 밀폐된 상태일 수 있다. 휘발성 및/또는 독성을 갖는 보존액(500)을 완전히 밀폐된 보존액 수용 공간(S1)에 수용함으로써 조직 검체(미도시)를 채취하여 조직 보존 용기(11)에 삽입하는 병리사, 또는 임상의 등의 검사자, 즉 조직 보존 용기(11)의 사용자가 보존액(500)에 노출되거나, 보존액(500)이 공기 중에 노출되어 발암 물질이 생성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보존액 수용부(101)는 대략 원형의 천정부(111), 천정부(111)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체결 바디(151), 천정부(111)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고, 평면 시점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체결 바디(151)에 의해 둘러싸인 제1 측벽부(130) 및 제1 측벽부(130)의 하측 말단에 배치되는 밀봉 시트(190)를 포함할 수 있다. 천정부(111)의 일부, 제1 측벽부(130) 및 밀봉 시트(190)는 함께 밀폐된 보존액 수용 공간(S1)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보존액 수용부(101)와 조직 수용부(201)가 결합한 상태에서, 보존액 수용부(101)의 제1 측벽부(130)의 적어도 일부, 및 밀봉 시트(190)는 조직 수용부(201)의 내부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천정부(111)는 보존액 수용부(101)의 외관 상면을 이루는 부분일 수 있다. 천정부(111)의 상면은 외측으로 노출되어 조직 보존 용기(11)의 외관을 이루고, 천정부(111)의 하면 일부는 보존액 수용 공간(S1) 형성에 기여할 수 있다. 또, 천정부(111)의 하면 다른 일부(체결 바디(151)와 제1 측벽부(130) 사이의 영역)는 노출될 수 있다.
체결 바디(151)는 천정부(111)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 바디(151)는 대략 원형의 천정부(111)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체결 바디(151)는 후술할 조직 수용부(201)와 가역적으로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 바디(151)는 그 내주면에 위치한 제1 결합 수단(151a) 및 제2 결합 수단(151b)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가역적 결합'은 체결과 해제가 반복적으로 가능한 결합을 의미한다. 체결 바디(151)는 천정부(111)와 물리적 경계 없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 수단(151a)은 압력에 의해 결합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결합 수단(151a)은 끼움 결합 내지는 클립 결합이 가능한 홈 내지는 트렌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제2 결합 수단(151b)은 회전에 의해 결합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결합 수단(151b)은 나사 조임 결합이 가능한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 바디(151)가 대략 원통 형상인 경우, 제1 결합 수단(151a) 및 제2 결합 수단(151b)은 각각 체결 바디(151)의 내주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결합 수단(151a)은 제2 결합 수단(151b)에 비해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측벽부(130)는 천정부(111)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측벽부(130)는 체결 바디(151)에 비해 내측에 위치하고, 제1 측벽부(13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체결 바디(151)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측벽부(130)의 외경은 체결 바디(151)의 내경 보다 작을 수 있다. 또, 제1 측벽부(130)의 외주면은 체결 바디(151)의 내주면과 이격될 수 있다. 제1 측벽부(130)와 체결 바디(151)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해 천정부(111)의 하면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제1 측벽부(130)는 하부가 개방된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측벽부(130)의 내측면은 보존액 수용 공간(S1)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측벽부(130)는 천정부(111) 및 체결 바디(151)와 물리적 경계 없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천정부(111), 체결 바디(151) 및 제1 측벽부(130)는 상대적으로 우수한 강성을 갖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밀봉 시트(190)는 제1 측벽부(130)의 하측 단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밀봉 시트(190)는 천정부(111)의 하면 및 제1 측벽부(130)의 내측면과 함께 보존액 수용 공간(S1)을 형성할 수 있다. 밀봉 시트(190)는 액상의 보존액(500)이 투과하지 않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밀봉 시트(190)는 제1 측벽부(130) 등에 비해 강도가 약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밀봉 시트(190)는 은박지나 합성 수지 박막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조직 수용부(201)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용기일 수 있다. 조직 수용부(201)는 피검자로부터 채취된 조직 등의 검체가 수용되는 공간, 즉 조직 수용 공간(S2)을 제공할 수 있다. 조직 수용부(201)는 대략 원형의 바닥부(210), 바닥부(210)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제2 측벽부(230), 및 바닥부(210) 상에 배치되고 평면 시점에서 제2 측벽부(230)에 의해 둘러싸인 지지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210)의 상면 및 제2 측벽부(230)의 내측면은 함께 상부가 개방된 조직 수용 공간(S2)을 형성할 수 있다.
바닥부(210)는 조직 수용부(201)의 외관 하면을 이루는 부분일 수 있다. 바닥부(210)의 하면은 외측으로 노출되어 조직 보존 용기(11)의 외관을 이루고, 바닥부(210)의 상면은 조직 수용 공간(S2) 형성에 기여할 수 있다.
제2 측벽부(230)는 바닥부(210)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측벽부(230)는 바닥부(210)와 물리적 경계 없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보존액 수용부(101)와 조직 수용부(201)가 결합한 상태에서, 보존액 수용부(101)의 제1 측벽부(130)는 조직 수용부(201)의 조직 수용 공간(S2)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즉, 보존액 수용부(101) 제1 측벽부(130)의 외경은 조직 수용부(201)의 제2 측벽부(230)의 내경 보다 작을 수 있다. 또, 보존액 수용부(101)와 조직 수용부(201)가 결합한 상태에서, 조직 수용부(201)의 제2 측벽부(23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존액 수용부(101)의 체결 바디(151)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즉, 보존액 수용부(101)의 체결 바디(151)의 내경은 조직 수용부(201)의 제2 측벽부(230)의 외경 보다 클 수 있다.
지지부(290)는 바닥부(210)의 상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 지지부(290)는 제2 측벽부(230)에 의해 둘러싸이며, 제2 측벽부(230)의 내측면과 맞닿아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290)는 복수개일 수 있다. 지지부(290)는 바닥부(210) 및 제2 측벽부(230)와 물리적 경계 없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어느 지지부(290)는 제1 높이(H1)를 형성하는 제1 부분(291) 및 제1 높이(H1) 보다 작은 제2 높이(H2)를 형성하는 제2 부분(29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291)과 제2 부분(292)은 수평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부분(291)과 제2 부분(292)을 포함하는 어느 지지부(290)는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 제1 부분(291)의 상면 부분, 제2 부분(292)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제1 부분(291)의 측면 부분, 및 제2 부분(292)의 상면 부분은 계단 형상의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지지부(290)의 제1 부분(291)의 상면은 필터(401)를 지지하고, 지지부(290)의 제2 부분(292)의 상면은 지지 망체(301)를 지지할 수 있다.
조직 수용부(201)는 제2 측벽부(230)의 외측면 상에 위치한 제3 결합 수단(250a) 및 제4 결합 수단(250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결합 수단(250a) 및 제4 결합 수단(250b)은 각각 제1 결합 수단(151a) 및 제2 결합 수단(151b)과 결합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제3 결합 수단(250a)은 압력에 의해 결합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결합 수단(250a)은 끼움 결합 내지는 클립 결합이 가능한 돌출 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제4 결합 수단(250b)은 회전에 의해 결합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결합 수단(250b)은 나사 조임 결합이 가능한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측벽부(230)가 대략 원통 형상인 경우, 제3 결합 수단(250a) 및 제4 결합 수단(250b)은 각각 제2 측벽부(230)의 외주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결합 수단(250a)은 제4 결합 수단(250b)에 비해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지지 망체(301)는 조직 수용부(201) 내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 망체(301)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직 수용부(201)의 조직 수용 공간(S2) 내에 놓일 수 있다. 지지 망체(301)는 피검자로부터 채취된 조직 등의 검체(미도시)를 지지하기 위한 조직 지지 망체일 수 있다. 지지 망체(301)는 망체 플레이트(311) 및 망체 플레이트(311)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망체 측벽부(331)를 포함할 수 있다. 밀봉 시트(190)가 절개되어 보존액 수용부(101)의 보존액 수용 공간(S1) 내에 수용된 보존액(500)이 중력에 의해 조직 수용 공간(S2) 측으로 쏟아지는 경우, 지지 망체(301)는 적어도 망체 플레이트(311)가 조직 수용 공간(S2) 내의 보존액(미도시)에 완전히 침지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망체 플레이트(311)는 조직 수용부(201)의 바닥부(210)와 상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망체 플레이트(311)는 대략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피검자로부터 채취된 검체 조직(미도시)는 망체 플레이트(311)의 상면 상에 안착될 수 있다.
망체 플레이트(311)는 복수의 제1 개구(311p)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망체 플레이트(311)의 복수의 제1 개구(311p)는 대략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슬릿 형상이고, 복수의 제1 개구(311p)들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망체 플레이트(311)의 제1 개구(311p)들은 조직 수용부(201) 측으로 쏟아진 보존액(미도시)이 제1 개구(311p)를 통과하여 조직 검체(미도시)를 침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반면, 조직 검체(미도시)는 제1 개구(311p)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개구(311p)가 대략 슬릿 형상인 경우, 슬릿의 최대 폭은 약 10mm 이하, 또는 약 5.0mm 이하, 또는 약 3.0mm 이하, 또는 약 1.0mm 이하, 또는 약 0.5mm 이하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조직 검체(미도시)가 보존액에 침지된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조직 검체(미도시)를 조직 수용부(201)의 바닥부(210)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망체 측벽부(331)는 망체 플레이트(311)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망체 측벽부(331)는 망체 플레이트(311)와 물리적 경계 없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망체 측벽부(331)는 단차를 갖는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망체 측벽부(331)는 망체 플레이트(311)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고, 망체 플레이트(311)와 직접 연결된 제1 수직 부분(331a), 제1 수직 부분(331a)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대략 환 형상을 갖는 수평 부분(331b) 및 수평 부분(331b)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제2 수직 부분(331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직 부분(331a), 수평 부분(331b) 및 제2 수직 부분(331c)은 서로 물리적 경계 없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망체 측벽부(331)의 단차 부분(예컨대, 수평 부분(331b))은 조직 수용부(201)의 지지부(290), 구체적으로 지지부(290)의 제2 부분(292)의 상면과 맞닿아 놓일 수 있다. 또, 망체 측벽부(331)의 제2 수직 부분(331c)은 조직 수용부(201)의 지지부(290), 구체적으로 지지부(290)의 제2 부분(292)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제1 부분(291)의 측면과 맞닿을 수 있다.
망체 측벽부(331)는 복수의 제2 개구(331p)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망체 측벽부(331)의 제1 수직 부분(331a)은 제2 개구(331p)들을 가지되, 수평 부분(331b) 및 제2 수직 부분(331c)은 개구를 갖지 않을 수 있다. 제2 개구(331p)들은 방사상으로 배열된 제1 개구(311p)의 연장 부분일 수 있다. 즉, 제1 개구(311p)와 제2 개구(331p)는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개구(331p)들은 제1 개구(311p)와 마찬가지로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2 개구(331p)가 대략 슬릿 형상인 경우, 슬릿의 최대 폭은 약 10mm 이하, 또는 약 5.0mm 이하, 또는 약 3.0mm 이하, 또는 약 1.0mm 이하, 또는 약 0.5mm 이하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2 개구(331p)들은 조직 수용부(201) 측으로 쏟아진 보존액(미도시)이 제2 개구(331p)를 통과하여 조직 검체(미도시)를 침지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지지 망체(301)가 조직 수용부(201)의 조직 수용 공간(S2) 내에 삽입 배치되되, 조직 수용부(201)의 지지부(290)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는 동시에, 지지 망체(301)가 조직 수용부(201)의 지지부(290) 상에 얹어진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조직 보존 용기(11)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독성을 갖는 보존액(500)이 수용된 조직 보존 용기(11)의 사용자는 그 사용이 무척 조심스러울 뿐만 아니라, 특히 보존액(500)이 조직 수용 공간(S2) 측으로 쏟아진 이후에 조직 보존 용기(11)에 강한 힘을 가할 경우 조직 수용 공간(S2) 내의 보존액(미도시)이 쏟아지는 등 취급에 고도의 주의가 요구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직 보존 용기(11)의 지지 망체(301)와 조직 수용부(201)는 서로 간의 강한 결합이 형성되지 않아 조직 수용부(201)로부터 지지 망체(301)를 분리 내지는 해제하는 것이 용이함과 동시에, 지지 망체(301)는 지지부(290)에 의해 위치가 고정될 수 있어 조직 보존 용기(11)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조직 보존 용기(11)는 필터(4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401)는 보존액 수용부(101)와 조직 수용부(20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터(401)는 보존액 수용 공간(S1)에 수용된 보존액(500)이 밀봉 시트(190)가 절개된 후에 중력에 의해 조직 수용 공간(S2) 측으로 흐르는 유체 경로 상에 위치할 수 있다. 필터(401)는 조직 역류 방지용 필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의 보존액 수용 공간(S1) 내의 보존액(500)이 하측으로 흐르는 것은 허용하는 반면, 하부의 조직 수용 공간(S2) 내의 조직 검체(미도시)가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밀봉 시트(190)가 절개된 후 조직 검체(미도시)가 개방된 보존액 수용 공간(S1)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조직 검체(미도시)의 유실 내지는 분실 가능성을 최소화하고, 보존액(500)에 침지된 조직 검체(미도시)가 건조되는 등의 검체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필터(401)는 필터링 바디(410), 필터링 바디(410)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필터 측벽부(430), 및 필터링 바디(410)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고, 평면 시점에서 필터 측벽부(430)에 의해 둘러싸인 복수의 절개 유닛(470)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존액 수용부(101)와 조직 수용부(201)가 결합되고, 보존액 수용부(101)와 필터(401)가 결합한 상태에서, 필터(401)는 조직 수용부(201)의 내부 공간 내에 위치할 수 있다.
필터링 바디(410)는 복수의 제3 개구(410p)를 가지고, 필터링을 수행하는 부분일 수 있다. 복수의 제3 개구(410p)들은 보존액 수용 공간(S1) 내의 보존액(500)이 조직 수용 공간(S2) 측으로 이동하는 경로 및 공기가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제3 개구(410p)는 대략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3 개구(410p)의 크기, 예컨대 제3 개구(410p)가 사각 형상인 경우 변의 길이는 약 10mm 이하, 또는 약 5.0mm 이하, 또는 약 3.0mm 이하, 또는 약 1.0mm 이하, 또는 약 0.5mm 이하일 수 있다. 제3 개구(410p)가 충분히 작은 크기를 갖도록 함으로써 조직 보존 용기(11)의 보관 및/또는 운반 과정에서 조직 수용 공간(S2) 내의 조직 검체(미도시)가 필터(401)의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조직 검체(미도시)의 유실 내지는 분실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고, 세포학적 진단을 수행하는 변리사 또는 임상의 등이 조직 보존 용기(11)를 개방하였을 때 조직 검체(미도시)의 발견을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병리사 등이 보존액(500)에 노출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필터(401)는 전술한 지지 망체(301)와 함께 조직 검체가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을 최소한으로 특정함으로써 조직 검체(미도시)가 보존액(500)에 침지되지 못한 상태로 보관되어 조직 검체(미도시)가 건조되는 등의 조직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복수의 제3 개구(410p)들은 제1 개구(311p) 등과 상이한 배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3 개구(410p)들의 적어도 일부는 매트릭스 배열될 수 있다. 즉, 제3 개구(410p)들은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을 따라 반복 배열되고, 복수의 제3 개구(410p)들의 적어도 일부는 규칙적 배열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개구(410p)들의 적어도 일부는 지지 망체(301)의 망체 측벽부(331)와 제3 방향(Z)으로 중첩할 수 있다.
필터 측벽부(430)는 필터링 바디(410)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 측벽부(430)는 대략 원형의 필터링 바디(410)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대략 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필터 측벽부(430)는 전술한 보존액 수용부(101)와 가역적으로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필터(401)의 필터 측벽부(430)의 내경은 보존액 수용부(101)의 제1 측벽부(130)의 외경보다 크거나 같고, 필터 측벽부(430)와 제1 측벽부(130)는 억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필터 측벽부(430)는 필터링 바디(410)와 물리적 경계 없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절개 유닛(470)은 필터링 바디(410)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보존액 수용부(101)와 조직 수용부(201)가 나사 조임 결합될 경우 절개 유닛(470)에 의해 밀봉 시트(190)가 절개될 수 있다.
절개 유닛(470)은 필터 측벽부(430)에 비해 내측에 위치하고, 평면 시점에서 복수의 절개 유닛(470)은 필터 측벽부(43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필터 측벽부(430)의 높이(H430)는 복수의 절개 유닛(470)들의 최대 높이(H470) 보다 클 수 있다. 절개 유닛(470)은 필터링 바디(410) 및 필터 측벽부(430)와 물리적 경계 없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복수의 절개 유닛(470)은 서로 이격된 제1 절개 유닛(471), 제2 절개 유닛(472), 제3 절개 유닛(473) 및 제4 절개 유닛(47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개 유닛(471) 내지는 제4 절개 유닛(474)의 내측면 및 외측면은 각각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평면 시점에서, 제1 절개 유닛(471) 내지 제4 절개 유닛(474)의 내측면 및 외측면들은 각각 원호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절개 유닛(471) 등의 내측면이 형성하는 원호의 원의 중심과 외측면이 형성하는 원호의 원의 중심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또, 제1 절개 유닛(471) 등의 내측면이 형성하는 원호의 중심각은 외측면이 형성하는 원호의 중심각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또, 제1 절개 유닛(471) 내지 제4 절개 유닛(474)은 임의의 원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즉, 평면 시점에서, 제1 절개 유닛(471) 내지 제4 절개 유닛(474)의 배열 형상은 대략 원 형상으로서, 단속적인 원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임의의 원의 중심은 원 형상의 필터링 바디(410)의 중심과 실질적으로 일치할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조직 보존 용기(11)의 사용자는 보존액 수용부(101)를 360도 이상 회전시킴으로써 복수의 절개 유닛(470)이 밀봉 시트(190)를 절개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존액 수용부(101)의 회전축은 제1 절개 유닛(471) 내지 제4 절개 유닛(474)이 배열된 상기 임의의 원의 중심과 실질적으로 일치할 수 있다. 즉, 제1 절개 유닛(471) 내지 제4 절개 유닛(474)을 임의의 원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열함으로써 보존액 수용부(101)가 한 바퀴 이상 회전하는 과정에서 밀봉 시트(190)의 균일한 절개를 유도할 수 있고, 보존액(500)을 원활하게 쏟아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사용자로 하여금 최소한의 힘으로 밀봉 시트(190)를 절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소정의 높이를 갖는 제1 절개 유닛(471) 내지 제4 절개 유닛(474)은 각각 격벽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절개 유닛(470)은 그 내측의 영역과 외측의 영역을 구분지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보존액(500)이 쏟아지는 순간에, 보존액(500)이 흐르는 경로 제공에 기여도가 큰 영역(예컨대, 절개 유닛(470) 내측의 제3 개구(410p))과 공기가 흐르는 경로 제공에 기여도가 큰 영역(예컨대, 절개 유닛(470) 외측의 제3 개구(410p))을 구분지어 조직 보존 용기(11)의 내압 상승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 제1 절개 유닛(471), 제2 절개 유닛(472), 제3 절개 유닛(473) 및 제4 절개 유닛(474)은 각각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절개 유닛(470)이 서로 이격 배치됨으로써, 보존액(500)이 보존액 수용 공간(S1)에서 조직 수용 공간(S2) 측으로 이동하는 순간에 보존액(500)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 등은 절개 유닛(470)이 4개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절개 유닛(470)은 3개, 또는 5개 이상일 수도 있다.
또한 어느 절개 유닛(470), 예컨대 제1 절개 유닛(471)은 몸통부(470a) 및 몸통부(470a)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블레이드부(470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통부(470a)의 높이(H470a)는 절개 유닛(470)의 최소 높이(H470a)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블레이드부(470b)는 첨단(tip)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레이드부(470b)가 형성하는 첨단의 레벨은 절개 유닛(470)의 최대 높이(H470)를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어느 절개 유닛(470), 예컨대 제1 절개 유닛(471)은 세 개의 블레이드부(470b)를 가지고, 각 블레이드부(470b)의 상단은 첨단을 형성할 수 있다. 절개 유닛(470)의 몸통부(470a) 및 블레이드부(470b)의 측면 각각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곡면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블레이드부(470b)의 외측면과 내측면은 각각 원호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블레이드부(470b)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이 형성하는 원호의 중심각은 1도 내지 20도일 수 있다. 또, 몸통부(470a)의 외측면과 블레이드부(470b)의 외측면, 및 몸통부(470a)의 내측면과 블레이드부(470b)의 내측면은 각각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밀봉 시트(190)가 하방 이동하여 절개 유닛(470)의 블레이드부(470b)의 첨단과 맞닿는 경우에, 복수의 블레이드부(470b)의 각 첨단들은 실질적으로 동시에 밀봉 시트(190)와 맞닿을 수 있다. 이 때, 절개 유닛(470)이 하나의 첨단을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절개 유닛(470)이 복수의 블레이드부(470b)에 의한 복수의 첨단을 형성하는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최소한의 힘으로 밀봉 시트(190)를 절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절개 유닛(470)이 하나의 첨단만을 가질 경우 밀봉 시트(190)의 절개에 필요한 힘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밀봉 시트(190)의 균일한 절개를 유도할 수 없다. 반면, 절개 유닛(470)이 복수의 첨단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첨단들이 동시에 밀봉 시트(190)에 침투할 경우, 보존액 수용부(101)의 회전에 따라 어느 첨단이 이동할 경로 상에 미리 다른 첨단이 타공을 하여 밀봉 시트(190)의 절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필터(401)는 필터링 바디(410)의 상면 상에 배치되고,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을 따라 연장된 대략 '+'자 형상의 돌출부(450), 제1 방향(X)을 따라 연장된 하나 이상의 제1 돌출 격벽(491a) 및 제2 방향(Y)을 따라 연장된 하나 이상의 제2 돌출 격벽(491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450)는 필터링 바디(410)의 상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450)는 제3 개구(410p) 들이 형성된 필터링 바디(410)의 상면 보다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450)는 복수의 절개 유닛(470)들, 즉 제1 절개 유닛(471), 제2 절개 유닛(472), 제3 절개 유닛(473) 및 제4 절개 유닛(474)과 비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 돌출부(450)의 돌출 두께는 절개 유닛(470), 예컨대 제1 절개 유닛(471)의 최소 높이(H470a) 보다 작을 수 있다. 후술할 제2 결합 수단(151b)과 제4 결합 수단(250b)이 결합 구조를 형성하여 절개 유닛(470)이 밀봉 시트(190)를 절개한 상태에서, 돌출부(450)는 밀봉 시트(190)와 이격된 상태일 수 있다. '+'자 형상의 돌출부(450)는 필터링 바디(410)를 대략 네 개의 영역으로 구획하여 조직 보존 용기(11)의 내압 상승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돌출부(450)는 필터링 바디(410), 필터 측벽부(430) 및 절개 유닛(470)과 물리적 경계 없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돌출 격벽(491a) 및 제2 돌출 격벽(491b)은 필터링 바디(410)의 상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돌출 격벽(491a)은 제1 방향(X)으로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 제1 돌출 격벽(491a)은 돌출부(450)의 제2 방향(Y)으로 연장된 부분의 양 말단에 한 개씩 배치되어 총 두 개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돌출 격벽(491b)은 제2 방향(Y)으로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 제2 돌출 격벽(491b)은 돌출부(450)의 제1 방향(X)으로 연장된 부분의 양 말단에 한 개씩, 총 두 개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돌출 격벽(491a) 및 제2 돌출 격벽(491b)은 복수의 절개 유닛(470)들, 즉 제1 절개 유닛(471), 제2 절개 유닛(472), 제3 절개 유닛(473) 및 제4 절개 유닛(474)과 비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돌출 격벽(491a) 및 제2 돌출 격벽(491b)의 돌출 두께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또, 제1 돌출 격벽(491a)의 돌출 두께는 돌출부(450)의 돌출 두께 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제1 돌출 격벽(491a) 및 제2 돌출 격벽(491b)의 돌출 두께는 절개 유닛(470)의 최소 높이(H470a) 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돌출 격벽(491a) 및 제2 돌출 격벽(491b)은 필터링 바디(410) 가장자리 일부 영역의 제3 개구(410p)들을 고립시킬 수 있다. 즉, 절개 유닛(470)이 밀봉 시트(190)를 절개하여 보존액(500)이 하측으로 쏟아지는 순간에 보존액(500)이 침범하지 않는 일부의 제3 개구(410p)들을 확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공기가 조직 수용 공간(S2) 측에서 필터(401)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3 개구(410p)들을 확보할 수 있고, 조직 보존 용기(11)의 내압이 상승하거나, 보존액(500)이 제3 개구(410p)에 맺혀 제3 개구(410p)가 폐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돌출부(450), 제1 돌출 격벽(491a) 및 제2 돌출 격벽(491b)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필터링 바디(410)의 하면은 평평 내지는 평탄한 상태일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10을 더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조직 보존 용기(11)의 분해 상태, 결합 상태 및 그 기능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10은 도 1의 조직 보존 용기를 사용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7은 피검자로부터 채취한 조직 검체를 조직 수용 공간에 삽입하는 단계에서의 조직 보존 용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지지 망체를 조직 수용부에 삽입 배치하는 단계에서의 조직 보존 용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조직 보존 용기의 보존액 수용부와 조직 수용부가 결합된 제1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보존액 수용부의 제1 결합 수단과 조직 수용부의 제3 결합 수단이 결합된 제1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조직 보존 용기의 보존액 수용부와 조직 수용부가 결합된 제2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보존액 수용부의 제2 결합 수단과 조직 수용부의 제4 결합 수단이 결합된 제2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더 참조하면, 조직 보존 용기(11)의 보존액 수용부(101), 조직 수용부(201), 지지 망체(301) 및 필터(401)는 서로 가역적으로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조직 수용부(201)의 상측, 구체적으로 조직 수용부(201)의 제2 측벽부(230)의 상단부에는 보존액 수용부(101)가 결합되고, 보존액 수용부(101)의 하측, 구체적으로 보존액 수용부(101)의 제1 측벽부(130)의 하단에는 필터(401)가 결합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조직 수용부(201)와 보존액 수용부(101)가 분리된 상태에서, 지지 망체(301)는 조직 수용부(201)의 지지부(290) 상에 놓인 상태이기 때문에 지지 망체(301)는 조직 수용부(201)로부터 손쉽게 분리 내지는 해제될 수 있다.
조직 수용부(201)는 조직 검체를 침지시키기에 충분한 양의 보존액(500)을 수용하기 위해서 상대적으로 큰 깊이를 가질 수 있다. 만일 바이옵시 포셉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조직을 채취하는 과정에서 조직 검체가 바이옵시 포셉에 의도치 않게 부착될 경우, 채취된 조직 검체를 조직 보존 용기(11)에 인입하는 병리사 내지는 임상의 등의 사용자는 조직 검체를 원하는 위치에 안착시키기 위해 조직 검체에 물리적 힘을 가해야 한다. 특히 조직 수용부(201)가 상대적으로 큰 깊이를 갖기 때문에 바이옵시 포셉 등의 도구의 조작이 용이하지 않고, 조직 검체를 바이옵시 포셉으로부터 떼어놓기 위해 바이옵시 포셉을 흔들거나 조직 검체를 조직 수용부(201)의 제2 측벽부(230)의 내측면에 문대는 등의 동작을 해야 한다. 이 때 의도치 않게 조직 검체가 뭉개지거나, 조직 검체를 분실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직 보존 용기(11)는 조직 수용부(201)로부터 착탈이 용이하고, 상대적으로 낮은 깊이를 갖는 지지 망체(301)를 포함함으로써, 병리사 내지는 임상의 등의 사용자는 피검자로부터 채취된 조직 검체를 분리된 지지 망체(301) 내에 인입할 수 있다. 특히, 지지 망체(301)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을 뿐만 아니라 지지 망체(301)의 망체 플레이트(311) 및 망체 측벽부(331)에 제1 개구(311p) 및 제2 개구(331p)가 형성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쉬운 조작을 통해 채취된 조직 검체를 원하는 위치에 안착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8과 같이 지지 망체(301)를 조직 수용부(201)의 조직 수용 공간(S2) 내에 삽입 배치할 수 있다. 지지 망체(301)가 조직 수용부(201) 내에 삽입 배치된 상태에서, 지지 망체(301)의 망체 플레이트(311)의 하면은 조직 수용부(201)의 바닥부(210)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망체(301)의 망체 측벽부(331)의 제1 수직 부분(331a)의 길이는 조직 수용부(201)의 지지부(290)의 제2 부분(292)의 높이(H2) 보다 작을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 지지 망체(301)에 조직 검체(미도시)를 안착시키고, 지지 망체(301)를 조직 수용부(201) 내에 삽입함으로써 손쉽게 조직 검체(미도시)를 조직 수용 공간(S2) 내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9와 같이 조직 수용부(201)에 보존액 수용부(101)의 제1 측벽부(130)를 삽입하고 상하 방향의 압력을 가할 경우, 보존액 수용부(101)의 제1 결합 수단(151a), 예컨대 홈 내지는 트렌치와 조직 수용부(201)의 제3 결합 수단(250a), 예컨대 돌출 턱은 서로 끼움 결합 내지는 클립 결합될 수 있다.
보존액 수용부(101)의 제1 결합 수단(151a)과 조직 수용부(201)의 제3 결합 수단(250a)이 결합 구조를 형성한 제1 결합 상태에서, 보존액 수용부(101)의 제2 결합 수단(151b)과 조직 수용부(201)의 제4 결합 수단(250b)은 서로 결합 구조를 형성하지 않고 이격될 수 있다.
또, 제1 결합 상태에서 지지 망체(301)는 보존액 수용부(101)와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망체(301)의 망체 측벽부(331)는 보존액 수용부(101)의 제1 측벽부(130) 및 밀봉 시트(190)와 직접 맞닿지 않고 이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결합 상태에서 지지 망체(301)는 필터(401)의 필터링 바디(410)의 하면 및 조직 수용부(201)의 지지부(290)와 맞닿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지 망체(301)는 필터링 바디(410)의 하면과 지지부(290)의 상면 일부(예컨대, 지지부(290)의 제2 부분(292)의 상면)에 의해 상하 방향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동시에 필터(401)는 지지 망체(301)의 망체 측벽부(33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필터(401)는 조직 수용부(201)의 지지부(290)와 맞닿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401)는 지지부(290)의 제1 부분(291)의 상면과 맞닿을 수 있다. 이를 통해 필터(401)는 지지부(29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지지 망체(301)는 지지부(290)의 제2 부분(292)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제1 부분(291)의 측면들에 의해 수평 방향의 위치가 대략 고정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제1 결합 상태에서 보존액 수용부(101)의 밀봉 시트(190)와 필터(401)의 절개 유닛(470)은 이격되고, 조직 수용부(201)의 제2 측벽부(230)의 상단은 보존액 수용부(101), 구체적으로 보존액 수용부(101)의 천정부(111)와 이격될 수 있다. 즉, 밀봉 시트(190)는 절개 유닛(470)에 의해 절개되지 않고, 보존액(500)은 보존액 수용부(101) 내에 수용된 상태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직 보존 용기(11)는 피검자로부터 채취된 조직(미도시)을 조직 수용 공간(S2) 내에 삽입하고, 조직 수용 공간(S2)을 밀폐하는 과정에서 보존액(500)이 공기 중으로 노출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병리사 내지는 임상의 등의 검사자는 포르말린 용액 등으로부터 안전한 상태에서 조직이 수용된 조직 보존 용기(11)를 운반 및 조작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어느 절개 유닛(470), 예컨대 제1 절개 유닛(471)의 최대 높이(H470)는 제1 결합 상태에서 밀봉 시트(190)와 절개 유닛(470) 간의 최소 이격 거리(L0) 보다 클 수 있다. 절개 유닛(470)의 돌출 높이를 밀봉 시트(190)와 절개 유닛(470) 간의 이격 거리 보다 크게 구성함으로써, 후술할 제2 결합 상태에서 절개 유닛(470)의 밀봉 시트(190) 측으로의 침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밀봉 시트(190)가 완전히 절개되지 않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0과 같이 조직 수용부(201)가 고정된 상태에서, 즉 조직 수용부(201)를 기준으로 보존액 수용부(101)를 가압 및 회전시킬 경우, 제1 결합 수단(151a)과 제3 결합 수단(250a)의 결합 구조는 해제되고, 보존액 수용부(101)의 제2 결합 수단(151b)과 조직 수용부(201)의 제4 결합 수단(250b)은 서로 나사 조임 결합될 수 있다.
보존액 수용부(101)의 제2 결합 수단(151b)과 조직 수용부(201)의 제4 결합 수단(250b)이 결합 구조를 형성한 제2 결합 상태에서, 보존액 수용부(101)의 제1 결합 수단(151a)과 조직 수용부(201)의 제3 결합 수단(250a)은 서로 결합 구조를 형성하지 않고 이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결합 상태에서 지지 망체(301)는 여전히 필터(401)의 필터링 바디(410)의 하면 및 조직 수용부(201)의 지지부(290)와 맞닿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망체(301)는 지지부(290)의 제2 부분(292)과 맞닿고 제2 부분(292)에 의해 지지되며, 필터(401)는 지지부(290)의 제1 부분(291)과 맞닿고 제1 부분(29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즉, 보존액 수용부(101)와 조직 수용부(201)가 나사 조임되어 상대적으로 보존액 수용부(101)가 하방 이동한 경우에도 지지부(290)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 망체(301)와 필터(401)의 하방 이동은 저지될 수 있다.
제2 결합 수단(151b)과 제4 결합 수단(250b)이 나사 조임 결합됨에 따라 보존액 수용부(101)의 밀봉 시트(190)와 필터(401)의 절개 유닛(470) 간의 이격 거리는 점차 가까워지고, 제2 결합 수단(151b)과 제4 결합 수단(250b)이 완전히 체결된 상태, 즉 제2 결합 상태에서 필터(401)의 절개 유닛(470)은 보존액 수용부(101)의 밀봉 시트(19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절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존액 수용부(101)의 보존액 수용 공간(S1)에 수용되어 있던 보존액(500)은 조직 수용부(201)의 조직 수용 공간(S2) 측으로 쏟아질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 상태에서 조직 수용부(201)의 제2 측벽부(230)의 상단은 보존액 수용부(101), 구체적으로 보존액 수용부(101)의 천정부(111)와 맞닿아 더 이상의 나사 조임 이동이 방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조직 보존 용기(11)의 제1 결합 상태에서 천정부(111)와 바닥부(210) 간의 제1 이격 거리(L1)와, 제2 결합 상태에서 천정부(111)와 바닥부(210) 간의 제2 이격 거리(L2)의 차이(L1-L2)는, 제1 결합 상태에서 밀봉 시트(190)와 절개 유닛(470) 간의 최소 이격 거리(L0) 보다 클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직 보존 용기(11)는 보존액(500)을 완전히 밀봉한 상태로 유지하다가, 조직이 보관된 조직 수용 공간(S2)을 개방하거나, 또는 보존액(500)을 별도로 주입하는 등의 번거로움과 위험 없이도 조직을 보존액(500)에 침지 보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보존액 수용부(101) 및/또는 조직 수용부(201)를 단순히 한 바퀴 이상 회전시키는 동작 만으로 밀봉 시트(190)를 절개할 수 있고, 나아가 절개 유닛(470)들의 특유의 형상과 배열로 인해 밀봉 시트(190)의 보다 용이한 절개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나아가, 피검자로부터 채취된 검체 조직의 세포학적 진단을 위하여 보존액에 침지된 상태로 보관된 조직을 조직 보존 용기(11)로부터 인출하는 경우, 병리사 내지는 임상의 등의 검사자가 포셉 내지는 핀셋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직접 조직 검체를 찾아내고 파지하여 인출하여야 한다. 그러나 조직 등의 검체 크기가 매우 미소할 경우 검사자는 안면을 조직 검체가 침지되어 있는 포르말린 용액에 가까이 대고, 용기를 들여다보며 조직을 색출 및 인출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직 보존 용기(11)는, 도면으로 표현하지 않았으나, 검사자가 보존액과 조직 검체가 수용된 조직 수용부(201)를 들여다보지 않고 지지 망체(301)만을 분리함으로써 손쉽게 조직 검체를 회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직 보존 용기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직 보존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조직 보존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조직 보존 용기의 단면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절개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직 보존 용기(12)는 보존액 수용부를 회전시키는 것이 아니라, 보존액 수용부(102)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보존액(500)이 쏟아지도록 구성된 점이 도 1 등의 실시예에 따른 조직 보존 용기(11)와 상이한 점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보존액 수용부(102)는 천정부(112), 천정부(112)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체결 바디(152), 천정부(112)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고, 평면 시점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체결 바디(152)에 의해 둘러싸인 제1 측벽부(130) 및 제1 측벽부(130)의 하측 말단에 배치되는 밀봉 시트(190)를 포함하고, 누름부(122) 및 절개 유닛(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천정부(112)는 소정의 강도와 강성을 가지고, 보존액 수용부(102)의 외관 상면의 일부를 이루는 부분일 수 있다. 천정부(112)는 대략 환 형상일 수 있다. 환 형상의 천정부(112)의 중앙에는 탄성을 갖는 누름부(122)가 배치될 수 있다. 누름부(122)의 외주 가장자리는 천정부(112)와 결합될 수 있다.
누름부(122)는 천정부(112)에 비해 강도와 강성이 작고, 탄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누름부(122)는 고무 등의 천연 또는 합성 수지를 포함하고, 누름부(122)는 천정부(112)의 상면에 비해 볼록하게 돌출되어 탄성 돔을 형성할 수 있다. 누름부(122)는 중앙이 가장자리에 비해 더 두꺼운 형상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누름부(122)는 외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또, 상기 외력이 제거될 경우 다시 원래 형태로 변형되는 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누름부(122)는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원 리브(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천정부(112), 제1 측벽부(130) 및 밀봉 시트(190)는 함께 밀폐된 보존액 수용 공간(S1)을 형성하고, 절개 유닛(170)은 보존액 수용 공간(S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개 유닛(170)은 누름부(122)의 하부에 배치되고, 누름부(122)에 외력이 가해져 누름부(122)가 하방 이동할 경우 절개 유닛(170)에 그 외력이 전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3 등은 누름부(122)와 절개 유닛(170)이 각각 형성되고, 누름부(122)에 가해지는 압력이 절개 유닛(170)에 전달되도록 배치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누름부(122)와 절개 유닛(170)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절개 유닛(170)은 제3 방향(Z)으로 연장된 형상의 몸통부(171) 및 몸통부(171)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어 연장되고 복수의 블레이드부(173a)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날개부(173)를 포함할 수 있다. 누름부(122)에 압력이 가해질 경우 절개 유닛(170)은 하방 이동되고, 이에 따라 절개 유닛(170)에 의해 밀봉 시트(190)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절개될 수 있다.
기둥 형상의 몸통부(171)는 소정의 깊이를 갖는 보존액 수용 공간(S1)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몸통부(171)는 외력에 의해 하방 이동이 용이하고, 손실 없이 외력이 온전히 전달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강도와 강성을 갖는 재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날개부(173)는 몸통부(171)의 하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날개부(173)는 몸통부(171)로부터 제1 방향(X) 및/또는 제2 방향(Y)으로 연장되어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날개부(173)는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의 일측과 타측으로 연장되어 네 개일 수 있다. 날개부(173)는 보존액 수용부(102)의 제1 측벽부(130)의 내측면과 맞닿아 그 수평 방향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날개부(173)의 하면에는 복수의 블레이드부(173a)가 배치될 수 있다. 블레이드부(173a)의 하측 단부는 첨단을 형성하여 밀봉 시트(190)의 절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체결바디(152)는 천정부(112)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 바디(152)는 대략 환형의 천정부(112)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체결 바디(152)는 후술할 조직 수용부(202)와 가역적으로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 바디(152)는 그 내주면에 위치한 상측 결합 수단(152a)을 포함할 수 있다. 상측 결합 수단(152a)은 회전에 의해 결합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측 결합 수단(152a)은 나사 조임 결합이 가능한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 바디(152)가 대략 원통 형상인 경우, 상측 결합 수단(152a)은 체결 바디(152)의 내주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실시예로서, 체결 바디(152)는 압력에 의해 결합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결합 수단은 불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제1 측벽부(130) 및 밀봉 시트(190)는 도 1 등의 실시예와 함께 설명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조직 수용부(202)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용기일 수 있다. 조직 수용부(202)는 피검자로부터 채취된 조직 등의 검체가 수용되는 공간, 즉 조직 수용 공간(S2)을 제공할 수 있다.
조직 수용부(202)는 바닥부(210), 바닥부(210)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제2 측벽부(230) 및 바닥부(210) 상에 배치되고 제2 측벽부(230)에 의해 둘러싸인 복수의 지지부(290) 및 하측 결합 수단(252a)을 포함할 수 있다.
하측 결합 수단(252a)은 상측 결합 수단(152a)과 결합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즉, 하측 결합 수단(252a)은 상측 결합 수단(152a)과 함께 회전에 의해 결합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측 결합 수단(252a)은 나사 조임 결합이 가능한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측벽부(230)가 대략 원통 형상인 경우, 하측 결합 수단(252a)은 제2 측벽부(230)의 외주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실시예로서, 조직 수용부(202)는 압력에 의해 결합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결합 수단은 불포함할 수 있다.
그 외 바닥부(210), 제2 측벽부(230) 및 지지부(290)에 대해서는 도 1 등의 실시예와 함께 설명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지지 망체(301)는 조직 수용부(202) 내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 망체(301)는 지지부(290)에 의해 지지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직 수용부(202)의 조직 수용 공간(S2) 내에 놓일 수 있다. 지지 망체(301)는 피검자로부터 채취된 조직 등의 검체(미도시)를 지지하기 위한 조직 지지 망체일 수 있다. 지지 망체(301)는 망체 플레이트(311) 및 망체 플레이트(311)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망체 측벽부(331)를 포함할 수 있다. 망체 측벽부(331)는 부분적으로 단차를 가질 수 있다. 지지 망체(301)에 대해서는 도 1 등의 실시예와 함께 설명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필터(402)는 필터링 바디(410) 및 필터링 바디(410)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필터 측벽부(430)를 포함하고, 돌출부(450), 제1 돌출 격벽(491a) 및 제2 돌출 격벽(491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조직 보존 용기(12)의 필터(402)는 밀봉 시트(190)의 절개가 가능한 별도의 절개 유닛 등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보존액 수용부(102)와 조직 수용부(202)가 결합되고, 보존액 수용부(102)와 필터(402)가 결합한 상태에서, 필터(402)는 조직 수용부(202)의 내부 공간 내에 위치하고, 보존액 수용 공간(S1)에 수용된 보존액(500)이 밀봉 시트(190)가 절개된 후에 중력에 의해 조직 수용 공간(S2) 측으로 흐르는 유체 경로 상에 위치할 수 있다. 필터(402)는 조직 역류 방지용 필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402)는 상부의 보존액 수용 공간(S1) 내의 보존액(500)이 하측으로 흐르는 것은 허용하는 반면, 하부의 조직 수용 공간(S2) 내의 조직 검체(미도시)가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절개 유닛을 불포함하는 점을 제외하고 필터(402)에 대해서는 도 1 등의 실시예와 함께 설명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15 내지 도 18을 더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조직 보존 용기(12)의 분해 상태, 결합 상태 및 그 기능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5 내지 도 18은 도 11의 조직 보존 용기를 사용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15는 피검자로부터 채취한 조직 검체를 조직 수용 공간에 삽입하는 단계에서의 조직 보존 용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6은 지지 망체를 조직 수용부에 삽입 배치하는 단계에서의 조직 보존 용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7은 조직 보존 용기의 보존액 수용부와 조직 수용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보존액 수용부의 상측 결합 수단과 조직 수용부의 하측 결합 수단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8은 보존액 수용부의 누름부에 압력이 가해지고 밀봉 시트가 절개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8을 더 참조하면, 조직 보존 용기(12)의 보존액 수용부(102), 조직 수용부(202), 지지 망체(301) 및 필터(402)는 서로 가역적으로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조직 수용부(202)의 상측, 구체적으로 조직 수용부(202)의 제2 측벽부(230)의 상단부에는 보존액 수용부(102)가 결합되고, 보존액 수용부(102)의 하측, 구체적으로 보존액 수용부(102)의 제1 측벽부(130)의 하단에는 필터(402)가 결합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조직 수용부(202)와 보존액 수용부(102)가 분리된 상태에서, 지지 망체(301)는 조직 수용부(202)의 지지부(290) 상에 놓인 상태이기 때문에 지지 망체(301)는 조직 수용부(202)로부터 손쉽게 분리 내지는 해제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6과 같이 지지 망체(301)를 조직 수용부(202)의 조직 수용 공간(S2) 내에 삽입 배치할 수 있다. 지지 망체(301)가 조직 수용부(202) 내에 삽입 배치된 상태에서, 지지 망체(301)의 망체 플레이트(311)의 하면은 조직 수용부(202)의 바닥부(210)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7과 같이 조직 수용부(202)에 보존액 수용부(102)의 제1 측벽부(130)를 삽입하고, 조직 수용부(202)가 고정된 상태에서 보존액 수용부(102)를 회전시킬 경우 상측 결합 수단(152a)과 하측 결합 수단(252a)은 서로 나사 조임 결합되며 조직 수용 공간(S2)은 밀폐될 수 있다.
본 상태에서 지지 망체(301)는 보존액 수용부(102)와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망체(301)의 망체 측벽부(331)는 보존액 수용부(102)의 제1 측벽부(130) 및 밀봉 시트(190)와 직접 맞닿지 않고 이격될 수 있다. 또, 지지 망체(301)는 필터(402)의 필터링 바디(410)의 하면 및 조직 수용부(202)의 지지부(290)와 맞닿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지 망체(301)는 필터링 바디(410)의 하면과 지지부(290)의 상면 일부(예컨대, 지지부(290)의 제2 부분(292)의 상면)에 의해 상하 방향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동시에 필터(402)는 지지 망체(301)의 망체 측벽부(33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필터(402)는 조직 수용부(202)의 지지부(290)와 맞닿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402)는 지지부(290)의 제1 부분(291)의 상면과 맞닿을 수 있다. 이를 통해 필터(402)는 지지부(29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지지 망체(301)는 지지부(290)의 제2 부분(292)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제1 부분(291)의 측면들에 의해 수평 방향의 위치가 대략 고정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상태에서, 보존액 수용부(102)의 절개 유닛(170)과 밀봉 시트(190)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즉, 밀봉 시트(190)는 절개 유닛(170)에 의해 절개되지 않고, 보존액(500)은 보존액 수용부(102) 내에 수용된 상태일 수 있다.
이어서, 도 18과 같이 보존액 수용부(102)의 누름부(122)에 압력을 가하면 절개 유닛(170)이 밀봉 시트(19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절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존액 수용부(102)의 보존액 수용 공간(S1)에 수용되어 있던 보존액(500)은 조직 수용부(202)의 조직 수용 공간(S2) 측으로 쏟아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직 보존 용기(12)는 보존액(500)을 완전히 밀봉한 상태로 유지하다가, 조직이 보관된 조직 수용 공간(S2)을 개방하거나, 또는 보존액(500)을 별도로 주입하는 등의 번거로움과 위험 없이도 조직을 보존액(500)에 침지 보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보존액 수용부(102)의 누름부(122)를 단순히 누르는 동작 만으로 밀봉 시트(190)를 절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직 보존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조직 보존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조직 보존 용기의 단면사시도이다.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직 보존 용기(13)의 상측 결합 수단(153a)은 체결 바디(153)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하측 결합 수단(253a)은 제2 측벽부(230)의 내주면에 배치된 점이 도 11 등의 실시예에 따른 조직 보존 용기(12)와 상이한 점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보존액 수용부(103)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대략 원통 형상의 제3 측벽부(133), 제3 측벽부(133)의 상단에 배치된 누름부(123), 제3 측벽부(133)의 하단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체결 바디(153), 체결 바디(153)의 하측 말단에 배치되는 밀봉 시트(190) 및 절개 유닛(17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측벽부(133)의 내측면은 보존액 수용 공간(S1)을 형성할 수 있다. 누름부(123)는 제3 측벽부(133)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누름부(123)는 제3 측벽부(133)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도와 강성이 약한 재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누름부(123)는 볼록하게 돌출되어 탄성 돔을 형성할 수 있다. 절개 유닛(170)은 제3 측벽부(133)가 형성하는 보존액 수용 공간(S1) 내에 배치되고, 누름부(123)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누름부(123)에 외력이 가해져 누름부(123)가 하방 이동할 경우 절개 유닛(170)에 그 외력이 전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누름부(123) 및 절개 유닛(170)에 대해서는 도 11 등의 실시예와 함께 설명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체결 바디(153)는 제3 측벽부(133)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체결 바디(153)는 대략 환 형상일 수 있다. 체결 바디(153)의 하부는 개방된 상태일 수 있다. 개방된 체결 바디(153)의 하측에는 밀봉 시트(190)가 배치될 수 있다. 체결 바디(153)는 후술할 조직 수용부(203)와 가역적으로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 바디(153)는 그 외주면에 위치한 상측 결합 수단(153a)을 포함할 수 있다. 상측 결합 수단(153a)은 회전에 의해 결합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측 결합 수단(153a)은 나사 조임 결합이 가능한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 바디(153)가 대략 원통 형상인 경우, 상측 결합 수단(153a)은 체결 바디(153)의 외주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실시예로서, 체결 바디(153)는 압력에 의해 결합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결합 수단은 불포함할 수 있다.
한편, 조직 수용부(203)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용기일 수 있다. 조직 수용부(203)는 피검자로부터 채취된 조직 등의 검체가 수용되는 공간, 즉 조직 수용 공간(S2)을 제공할 수 있다.
조직 수용부(203)는 바닥부(210), 바닥부(210)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제2 측벽부(230) 및 바닥부(210) 상에 배치되고, 제2 측벽부(230)에 의해 둘러싸인 복수의 지지부(290) 및 하측 결합 수단(253a)을 포함할 수 있다.
하측 결합 수단(253a)은 상측 결합 수단(153a)과 결합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즉, 하측 결합 수단(253a)은 상측 결합 수단(153a)과 함께 회전에 의해 결합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측 결합 수단(253a)은 나사 조임 결합이 가능한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측벽부(230)가 대략 원통 형상인 경우, 하측 결합 수단(253a)은 제2 측벽부(230)의 외주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 제2 측벽부(230)의 내경은 체결 바디(153)의 외경 보다 클 수 있다. 즉, 보존액 수용부(103)의 체결 바디(153)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직 수용부(203)의 제2 측벽부(230)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실시예로서, 조직 수용부(203)는 압력에 의해 결합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결합 수단은 불포함할 수 있다.
그 외 바닥부(210), 제2 측벽부(230) 및 지지부(290)에 대해서는 도 1 등의 실시예 및/또는 도 11 등의 실시예와 함께 설명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지지 망체(303)는 조직 수용부(203) 내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 망체(303)는 지지부(290)에 의해 지지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직 수용부(203)의 조직 수용 공간(S2) 내에 놓일 수 있다. 지지 망체(303)는 피검자로부터 채취된 조직 등의 검체(미도시)를 지지하기 위한 조직 지지 망체일 수 있다. 지지 망체(303)는 망체 플레이트(313) 및 망체 플레이트(313)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망체 측벽부(333)를 포함할 수 있다. 망체 측벽부(333)는 부분적으로 단차를 가질 수 있다. 보존액 수용부(103), 조직 수용부(203), 지지 망체(303) 및 필터(403)가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 망체(303)의 망체 측벽부(333)의 상단은 필터(403)의 필터링 바디(410)와 맞닿을 수 있도록 충분한 높이를 형성할 수 있다. 지지 망체(303)에 대해서는 도 1 등의 실시예 및/또는 도 11 등의 실시예와 함께 설명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필터(403)는 필터링 바디(410) 및 필터링 바디(410)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필터 측벽부(430)를 포함하고, 돌출부(450), 제1 돌출 격벽(493a) 및 제2 돌출 격벽(493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조직 보존 용기(13)의 필터(403)는 밀봉 시트(190)의 절개가 가능한 별도의 절개 유닛 등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보존액 수용부(103)와 조직 수용부(203)가 결합되고, 보존액 수용부(103)와 필터(403)가 결합한 상태에서, 필터(403)는 조직 수용부(203)의 내부 공간 내에 위치하고, 보존액 수용 공간(S1)에 수용된 보존액(500)이 밀봉 시트(190)가 절개된 후에 중력에 의해 조직 수용 공간(S2) 측으로 흐르는 유체 경로 상에 위치할 수 있다. 필터(403)는 조직 역류 방지용 필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403)는 상부의 보존액 수용 공간(S1) 내의 보존액(500)이 하측으로 흐르는 것은 허용하는 반면, 하부의 조직 수용 공간(S2) 내의 조직 검체(미도시)가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보존액 수용부(103)와 조직 수용부(203)가 결합되고, 보존액 수용부(103)와 필터(403)가 결합한 상태에서, 필터(403)의 제1 돌출 격벽(493a) 및 제2 돌출 격벽(493b)은 밀봉 시트(190)와 맞닿을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필터(403)에 대해서는 도 11 등의 실시예와 함께 설명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22 내지 도 25를 더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조직 보존 용기(13)의 분해 상태, 결합 상태 및 그 기능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2 내지 도 25는 도 19의 조직 보존 용기를 사용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22는 피검자로부터 채취한 조직 검체를 조직 수용 공간에 삽입하는 단계에서의 조직 보존 용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3은 지지 망체를 조직 수용부에 삽입 배치하는 단계에서의 조직 보존 용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4는 조직 보존 용기의 보존액 수용부와 조직 수용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보존액 수용부의 상측 결합 수단과 조직 수용부의 하측 결합 수단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5는 보존액 수용부의 누름부에 압력이 가해지고 밀봉 시트가 절개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2 내지 도 25를 더 참조하면, 조직 보존 용기(13)의 보존액 수용부(103), 조직 수용부(203), 지지 망체(303) 및 필터(403)는 서로 가역적으로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상측 결합 수단(153a)이 보존액 수용부(103)의 체결 바디(153)의 외주면 상에 배치되고, 하측 결합 수단(253a)이 조직 수용부(203)의 제2 측벽부(230)의 내주면 상에 배치된 점이 도 11 등의 실시예에 따른 조직 보존 용기(12)와 상이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어서, 도 23과 같이 지지 망체(303)를 조직 수용부(203)의 조직 수용 공간(S2) 내에 삽입 배치할 수 있다. 지지 망체(303)가 조직 수용부(203) 내에 삽입 배치된 상태에서, 지지 망체(303)의 망체 플레이트(313)의 하면은 조직 수용부(203)의 바닥부(210)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어서, 도 24와 같이 조직 수용부(203)에 보존액 수용부(103)의 체결 바디(153)를 삽입하고, 조직 수용부(203)가 고정된 상태에서 보존액 수용부(103)를 회전시킬 경우 상측 결합 수단(153a)과 하측 결합 수단(253a)은 서로 나사 조임 결합되며 조직 수용 공간(S2)은 밀폐될 수 있다.
본 상태에서, 보존액 수용부(103)의 절개 유닛(170)과 밀봉 시트(190)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즉, 밀봉 시트(190)는 절개 유닛(170)에 의해 절개되지 않고 보존액(500)은 보존액 수용부(103) 내에 수용된 상태일 수 있다.
이어서, 도 25와 같이 보존액 수용부(103)의 누름부(123)에 압력을 가하면 절개 유닛(170)이 밀봉 시트(19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절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존액 수용부(103)의 보존액 수용 공간(S1) 내에 수용되어 있던 보존액(500)은 조직 수용부(203)의 조직 수용 공간(S2) 측으로 쏟아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직 보존 용기(13)는 보존액(500)을 완전히 밀봉한 상태로 유지하다가, 조직이 보관된 조직 수용 공간(S2)을 개방하거나, 또는 보존액(500)을 별도로 주입하는 등의 번거로움과 위험 없이도 조직을 보존액(500)에 침지 보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보존액 수용부(103)의 누름부(123)를 단순히 누르는 동작 만으로 밀봉 시트(190)를 절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 조직 보존 용기
101: 보존액 수용부
201: 조직 수용부
301: 지지 망체
401: 필터
500: 보존액

Claims (7)

  1. 상부가 개방된 조직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조직 수용부로서, 바닥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측벽부 및 상기 바닥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측벽부에 의해 둘러싸인 복수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조직 수용부;
    상기 조직 수용부의 상측에 가역적으로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밀봉 시트를 포함하는 보존액 수용부로서, 보존액이 수용되는 보존액 수용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밀봉 시트에 의해 상기 보존액 수용 공간이 밀봉된 보존액 수용부;
    상기 보존액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된 보존액이 중력에 의해 상기 조직 수용 공간 측으로 흐르는 유체 경로 상에 위치하고, 복수의 개구를 갖는 필터링 바디를 포함하는 필터; 및
    상기 조직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고, 상기 보존액 수용부와 이격 배치되며, 망체 플레이트 및 상기 망체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망체 측벽부를 포함하는 지지 망체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는 제1 높이를 갖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높이보다 작은 제2 높이를 갖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조직 수용부와 상기 보존액 수용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의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필터를 지지하고, 상기 지지부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지지 망체를 지지하고,
    상기 지지 망체는, 상기 제2 부분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상기 제1 부분의 측면에 의해 수평 방향의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지지 망체는, 상기 지지부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필터링 바디의 하면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상하 방향의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지지 망체는 상기 조직 수용부의 지지부 및 상기 필터의 필터링 바디의 하면과 맞닿고,
    상기 지지 망체는 상기 밀봉 시트와 이격되고,
    상기 보존액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된 보존액이 상기 조직 수용 공간 측으로 쏟아질 경우, 상기 지지 망체의 망체 플레이트는 상기 보존액에 완전히 침지되도록 구성된 조직 보존 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상부가 개방된 조직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조직 수용부로서, 바닥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측벽부 및 상기 바닥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측벽부에 의해 둘러싸인 복수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조직 수용부;
    상기 조직 수용부의 상측에 가역적으로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밀봉 시트를 포함하는 보존액 수용부로서, 보존액이 수용되는 보존액 수용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밀봉 시트에 의해 상기 보존액 수용 공간이 밀봉된 보존액 수용부;
    상기 보존액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된 보존액이 중력에 의해 상기 조직 수용 공간 측으로 흐르는 유체 경로 상에 위치하고, 복수의 개구를 갖는 필터링 바디를 포함하는 필터; 및
    상기 조직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고, 상기 보존액 수용부와 이격 배치되며, 망체 플레이트 및 상기 망체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망체 측벽부를 포함하는 지지 망체를 포함하되,
    상기 조직 수용부와 상기 보존액 수용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 망체는, 상기 지지부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필터링 바디의 하면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상하 방향의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지지 망체는 상기 조직 수용부의 지지부 및 상기 필터의 필터링 바디의 하면과 맞닿고,
    상기 지지 망체는 상기 밀봉 시트와 이격되고,
    상기 망체 플레이트의 하면은 상기 조직 수용부의 상기 바닥부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망체 측벽부는 단차를 갖는 형상이고,
    상기 지지 망체는, 상기 망체 측벽부의 상기 단차가 상기 조직 수용부의 상기 지지부 상에 놓여진 상태이며,
    상기 보존액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된 보존액이 상기 조직 수용 공간 측으로 쏟아질 경우, 상기 지지 망체의 망체 플레이트는 상기 보존액에 완전히 침지되도록 구성된, 조직 보존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망체 측벽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필터의 상기 필터링 바디의 상기 개구와 중첩하는 조직 보존 용기.
KR1020180123279A 2018-10-16 2018-10-16 조직 보존 용기 KR102056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279A KR102056068B1 (ko) 2018-10-16 2018-10-16 조직 보존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279A KR102056068B1 (ko) 2018-10-16 2018-10-16 조직 보존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6068B1 true KR102056068B1 (ko) 2019-12-16

Family

ID=69052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3279A KR102056068B1 (ko) 2018-10-16 2018-10-16 조직 보존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606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966B1 (ko) * 2019-12-27 2020-05-29 주식회사 바이오니트 검체 용기
WO2021133095A1 (ko) * 2019-12-27 2021-07-01 주식회사 바이오니트 검체 세포 도말용 용기
KR102338231B1 (ko) * 2020-07-10 2021-12-10 정은희 개선된 인체 조직 보존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6719A (ja) 2005-04-20 2006-11-02 Olympus Corp 培養容器
WO2016079611A1 (en) 2014-11-17 2016-05-26 Traces S.R.L. Container for collection and preservation of biopsy samples
KR101736745B1 (ko) * 2016-11-16 2017-05-29 김종민 조직 보존을 위한 검체용기
KR101880052B1 (ko) 2017-09-18 2018-07-20 김호동 검체 보관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6719A (ja) 2005-04-20 2006-11-02 Olympus Corp 培養容器
WO2016079611A1 (en) 2014-11-17 2016-05-26 Traces S.R.L. Container for collection and preservation of biopsy samples
KR101736745B1 (ko) * 2016-11-16 2017-05-29 김종민 조직 보존을 위한 검체용기
KR101880052B1 (ko) 2017-09-18 2018-07-20 김호동 검체 보관 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966B1 (ko) * 2019-12-27 2020-05-29 주식회사 바이오니트 검체 용기
WO2021133095A1 (ko) * 2019-12-27 2021-07-01 주식회사 바이오니트 검체 세포 도말용 용기
KR102338231B1 (ko) * 2020-07-10 2021-12-10 정은희 개선된 인체 조직 보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0214Y1 (ko) 절개 유닛을 포함하는 세포학적 진단용 필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검체 용기
KR102056068B1 (ko) 조직 보존 용기
KR101880052B1 (ko) 검체 보관 용기
JP6799090B2 (ja) 組織サンプル容器及び方法
JP2023030206A (ja) 生物体液の極微標本管理装置
ES2691535T3 (es) Dispositivo, procedimiento y estuche para muestreo de fluidos para el examen de la sangre
AU2009329486B2 (en) Device for sampling tissue from an animal and corresponding storage means
US9726585B2 (en) Container assembly and associated method
DE212018000019U1 (de) Vorrichtungen und Systeme zur Probenentnahme
JP2011502254A (ja) 破損し易い膜を組み込んだ分子的及び組織的診断のための組織容器
EP3451934B1 (en) Container assembly
JP4010812B2 (ja) 表面要素に成分を適用するためのシステム
KR200490307Y1 (ko) 조직 역류 방지용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조직 보존 용기
KR20230075387A (ko) 검체 용기
US11576596B2 (en) Hand-held applicator
US11951473B2 (en) Vial device for storing and smearing exfoliative cells
JP2023530940A (ja) 生検材料用容器アセンブリ
WO2017051448A1 (ja) 生検試料容器
JP2733639B2 (ja) 検体容器
JP7138328B2 (ja) 採便容器
KR200494298Y1 (ko) 검체 보관 용기
JP2016113193A (ja) 混合容器
KR20230086975A (ko) 검체 용기
CN212213762U (zh) 用于收集和保存活检样本的容器
KR102175587B1 (ko)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