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133095A1 - 검체 세포 도말용 용기 - Google Patents

검체 세포 도말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133095A1
WO2021133095A1 PCT/KR2020/019079 KR2020019079W WO2021133095A1 WO 2021133095 A1 WO2021133095 A1 WO 2021133095A1 KR 2020019079 W KR2020019079 W KR 2020019079W WO 2021133095 A1 WO2021133095 A1 WO 202113309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ample
opener
cell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907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찬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니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17601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16966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00027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42054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00081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42061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니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니트
Publication of WO202113309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13309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30Staining; Impregnating ; Fixation; Dehydration; Multistep processes for preparing samples of tissue, cell or nucleic acid material and the like for analysis
    • G01N1/31Apparatu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40Concentrating sampl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cimen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pecimen cell smearing container configured to automatically separate a specimen through centrifugation.
  • cells corresponding to the physical examination site are collected, the collected cells are stored in a sample container containing a cell preservative solution, and the cells are attached to a slide and then examined under a microscope. are doing
  • foreign substances other than the cells collected in the solution container may be contained, and in this case, it is not easy to separate th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cells, so a separate tool for separation is required.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earing apparatus that performs a series of smearing processes of collecting cells from a specimen container containing cells detected in a patient and smearing them on a slide. It relates to a vessel capable of continuously proceeding through an automated centrifuge devic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mple container in which cells are accommodated in an automated centrifugal separator, and is intended to propose a sample container that is condensed and collected on one side or under the container by automated centrifugation.
  • the container for specimen cell smearing includes a connecting part serving as an inlet through which specimen cells are moved, a body part coupled to the connecting part and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specimen cells are accommodated, and one side of the body par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ody part
  • a cell separation container including an extension connection part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space to serve as an outlet through which the sample cells accommodated therein are moved, an opener connection part which is formed to protrude and can be partially inserted into the cell separation container; and an opener comprising a slide to be adsorbed.
  • FIG.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automated smea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for specimen cell smea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and a cross-sectional view.
  •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specimen cell smearing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 4 to 6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components of the specimen storag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supporting the silicon pad in the specimen storag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and 9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ner body for fixing the silicone pad in the specimen storag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 connection insert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insert passes through the cutout of the silicon pad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viewed from above in a standing state to show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ell separation vessel of the present embodiment.
  •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oft pad in the cell separation vessel of this embodiment.
  •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viewed from above with the opener in an upright state to show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opener of the present embodiment.
  •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ner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a means for mounting the sample cells.
  • the container for specimen cell smea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ing part serving as an inlet through which specimen cells are moved, a body part coupled to the connecting part and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specimen cells are accommodated, and one side of the body part connected to a cell separation container including an extension connection part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space to serve as an outlet through which the sample cells accommodated in the body part move; an opener connection part which is formed to protrude and can be partially inserted into the cell separation container; and an opener including a slide onto which the sample cells are adsorbed.
  • It may further include a specimen storage container into which the connecting part of the cell separation container can be inserted or coupled.
  • FIG.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automated smea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 the plat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utomated device that separates only cells by centrifugation, and includes a sample cell smearing container 10 including a sample storage container and a cell separation container, and the sample cell smearing container ( 10) a smear chamber 3 is accommodated, and the smear chamber 3 is connected and includes a rotating unit 2 for rotating the connected smear chambers.
  • the shift means (5) for condensing the specimen, separating the cells, and adsorbing the cells on the slide in the plating chamber (3), and the shift means (5) is described later. It plays a role of coupling the cell separation container to the sample storage container, or coupling the cell separation container to the opener. To this end, the shift means 5 moves the cell separation vessel left and right or forward and backward while supporting the cell separation vessel.
  • the number of revolutions per minute (rpm) of the rotating part 2, the moving time of the shifting means 5, and the binding holding time of the shifting means 5 with the specimen storage container or opener are set. It is also important.
  • the filter paper 4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pener constituting the sample cell smearing container 10 , and a slide on which the cells to be tested is placed is plac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lter paper 4 .
  • a slide on which the cells to be tested is placed is plac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lter paper 4 .
  •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for sample cell smea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and a cross-sectional view
  •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constituting the container for sample cell smea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
  • the container 10 for sample cell smearing includes a sample storage container 100 , a cell separation container 200 , and an opener 300 .
  • the specimen storage container 100 , the cell separation container 200 , and the opener 300 are configured to be coupled or separated from each other, contacted or separated from each other.
  • the sample storage container 100 performs a basic role of storing the preservative solution and the cell sample together. Then, the cell sample is transferred to the cell separation vessel 200 that is coupled/separated from the lower side/rear side by using the centrifugal force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art 2 .
  • a density reagent is accommodated in the cell separation vessel 200 accommodating the cells and the sample, and the cell sample is stored together with the reagent having a predetermined density and viscosity.
  • centrifugal forc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unit 2 is used. That is, by centrifugal force, heavy cells move in the centrifugal force direction (outward direction of the smear device) and sink quickly, and light cells sink slowly.
  • the rate of sinking is different for each cell depending on the density and viscosity of the density reagent. If the density and viscosity of the density reagent are adjusted according to the specific gravity of the cells to be smeared, the cells to be separated are transferred to the bottom of the cell separation vessel 200 (outward direction of the plating apparatus in FIG. 1, left direction in FIG. 2) within a short time. will subside
  • the cell separation vessel 200 moves toward the opener 300 disposed at the rear.
  • the cell separation vessel 200 and the opener 300 communicate internally, and the separated cells are moved toward the opener 300 by centrifugal force. .
  • each of the sample storage container 100 , the cell separation container 200 , and the opener 300 constituting the sample cell smearing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 the sample storage container is not necessarily used, and since the sample can be transferred to the opener 300 using a smear device after putting the sample in the cell separation container 200, the cell separation container 200 and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only the opener 300 .
  • 4 to 6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components of the specimen storag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inclined wall 103 extend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body 101 and inclined downward where the silicon pad 130 is located is configured, and the inclined wall 103 is the outer body 101 . It is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have a cone shape.
  • a soft pad 130 is mounted on the inner body 120 , and the cell sample moving downward (left in FIG. 3 ) along the inclined wall 103 moves to the soft pad 130 .
  • the specimen tissue When the specimen tissue is moved by centrifugal force, that is, during centrifugation, the specimen tissue may be guided to move downward toward the silicon pad 130 by the cone shape of the inclined wall 103 .
  • the size of the hole surrounded by the inclined wall 103 has a shape in which the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lower side, so that the position close to the silicon pad 130 is a sample passage hole having a small diameter ( 103a).
  • the mesh frame 140 to which the mesh 141 is coupled is seated on the inclined wall 103 .
  • a mesh frame guide groove 105 of a shape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in the inner wall of the outer body 101 so that the mesh frame 140 can maintain a fixed position within the outer body 101 .
  • the inclined wall 103 formed in a cone shape to guide the specimen tissue to the lower side (left side in FIG. 3, lower side in FIG. 5) of the specimen storage container is connected to the lower inner body 120 .
  • the silicon pad 130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body 120 of the wing, and the specimen tissue moving downward along the inclined wall 103 moves to the silicon pad 130 .
  • a cutout 131 of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oft pad 130 .
  • the cutout is preferably made of silicone, and has elasticity surrounding the connection insertion unit 220 even after the connection insertion unit 220 is inserted therein, thereby preventing the specimen cells from leaking.
  • the cell separation vessel 200 includes a guide outer wall 210 having a size and shape surrounding the inner body 120 , and the connection insertion part 220 is formed inside the guide outer wall 210 . Accordingly, when moving the connection insertion part 220 into the cutout 131 of the silicon pad 130 , the guide outer wall 210 first contacts the inner body 120 to guide the coupling position. .
  • FIGS. 8 and 9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ner body for fixing the silicone pad in the specimen storag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 FIG.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insertion part passes through the cutout of the silicon pad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inclined wall 103 extending down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inner wall of the specimen storage container 100 is connected to the lower inner body 120 . It is also possible that these components are integrally formed, and it is also possible to manufacture each separately.
  • the inner body 120 is formed in the lower groove 110 formed in the lower separation body of the outer body 101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fix the silicon pad 130 in which the cutout 131 is formed. It includes a downward protrusion 121 extending to the , and a bent protrusion 122 configured to b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In addition, a locking protrusion 123 for preventing the silicon pad 130 from being separated is further formed on the bent protrusion 122 .
  • the silicon pad 130 When the silicon pad 130 is inserted into the inner body 120 , the silicon pad 130 is prevented from being arbitrarily separated by the locking protrusion 123 , and the downward protrusion 121 and the bent protrusion 122 are prevented. ), since the silicon pad 130 is surrounded by this separation is further prevented.
  • the end 122a of the bent protrusion 122 moves to a position capable of pressing the silicon pad 130 .
  • the cell separation container 200 seated on the shift means 5 moves to the specimen storage container 100 side.
  • the connection insertion part 220 of the cell separation vessel 200 is inserted into the cutout 131 of the silicon pad 130 .
  • the specimen tissue passes through the specimen passage hole 103a formed by the inclined wall 103 and the inner body 120 , and then moves into the hole of the connection insertion unit 200 by centrifugation.
  • the sample is concentrated by the sample storage container 100 , and the cells are separated by centrifugation in the cell separation container 200 , and disposed at the rear of the cell separation container 200 .
  • the smear to the slide can be completed through the opener 300 that is used.
  • a cell separation vessel constituting the vessel for specimen cell smea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and FIGS. 11 and 12 together.
  •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viewed from above in a standing state to show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ell separation vessel of the present embodiment.
  • the cell separation vessel is combined in a lying state.
  • the sample is directly put into the cell separation vessel 200, and then, the cell separation vessel 200 and the opener 300 can be mounted on the plating apparatus to separate cells. That is, it is also possible to directly put the sample into the cell separation vessel 200 , then place the cell separation vessel 200 and the opener 300 in the plating apparatus, and operate the plating apparatus.
  • the cell separation vessel 200 includes a guide outer wall 210 having a size and shape surrounding the inner body 120 , a connection insert 220 formed inside the guide outer wall 210 , and the connection insert part ( 220 and includes a body portion 230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and an extension connection portion 240 connected to an end of the body portion 230 .
  • the guide outer wall 210 may have a diameter that covers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body 120 of the sample storage container 100, so that the sample cells moving from the sample storage container 100 do not leak to the outsid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ner body 120 has a diameter equal to a predetermined margin than the diameter of the inner body 120 . In addition, when moving the connection insertion part 220 into the cutout 131 of the soft pad 130 , the guide outer wall 210 first contacts the inner body 120 to guide the coupling position. can
  • connection insertion part 220 is formed by partially closing the inner space of the guide outer wall 210 and protruding a first through hol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in the center by a predetermined height.
  • the guide outer wall 210 and the connection insertion part 220 may be integrally formed and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lid.
  • a spiral protrus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23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groov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guide outer wall 210 in contact with the guide outer wall 210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ormed Accordingly, the connecting portion composed of the guide outer wall 210 and the connection insertion portion 220 may be attached or detached in a rotating manner while in contact with the separation body of the body portion 230 .
  • the body portion 230 is formed of a first separating body 231 made of a cylindrical shape, and a funnel-shaped second separating body 232 having a smaller diameter in one direction.
  • a second through-hole 250 is formed at an end of the second separation body 232 , and the second through-hole 250 is the final passage through which the sample cells moved to the inner space of the body 230 . becomes a passageway.
  • the extension connection part 240 may extend in one direction of the body part 230 and may have a shape that increases in diameter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second through hole 250 .
  • a first area 260 of a predetermined size is provided inside the extension connection part 240 , and a soft pad 270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first area 260 to close the exposed surface of the extension connection part 240 is included. do.
  • the first region 260 becomes a space in which the specimen cells flowing in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250 are finally stored, and when a part of the soft pad 270 is opened, the first region 260 is movement of the sample cells in the
  • the soft pad 270 has a cylindrical shape and a cutout 271 of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and the soft pad 130 may be preferably made of silicon.
  • connection insertion part provided in the opener 300 moves toward the soft pad 270 and is inserted into the cutout 271 of the soft pad 270, the sample cells are separated by centrifugation via the connection insertion part into the opener. It can be moved to (300).
  • the soft pad 270 may 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body 230 to close the exposed surface of the body 230 , and the extension connection 240 to fix the position of the soft pad 270 .
  • the extension connection 240 may be formed with 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to partially cover the lower surface of the soft pad 270 . Accordingly, the soft pad 270 may be firmly fixed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extension connection part 240 by the locking protrusion.
  • a soft pad protrusion prevention guide attached to cover the soft pad may b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extension connection part to prevent the soft pad 270 from being separated.
  • the soft pad protrusion prevention guide is formed and attached to a circular or annular shape to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soft pad 270 on the lower surface of the extension connection part, thereby preventing the soft pad 27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extension connection part. can be prevented
  • the cell separation vessel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of a predetermined size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respectively,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target sample cells separated by centrifugal force can be accommodated, and the opener is connected It plays a mediating role in which the sample cells are provided to the user.
  • the connection insertion part 220 of the cell separation vessel 200 is inserted into the cutout 131 of the soft pad 130 .
  • the cell sample passes through the sample passage hole 103a formed by the inclined wall 103 and the inner body 120 , and then moves into the hole of the connection insertion unit 200 by centrifugation.
  • the sample is concentrated by the sample storage container 100 , and the cells are separated by centrifugation in the cell separation container 200 , and disposed at the rear of the cell separation container 200 .
  • the smear to the slide can be completed through the opener 300 that is used.
  • FIGS. 3, 13 and 14 An opener constituting the container for specimen cell smea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13 and 14 .
  •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viewed from above with the opener in an upright state to show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opener of the present embodiment.
  • the opener 300 includes a guide body 310 having a size and shape surrounding the extension connection part 240 formed in the cell separation vessel 200 , and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guide body 310 to provide the guide body 310 . It includes a support 320 for supporting the.
  • the guide body 310 has a cylindrical shape, and the opener connection part 330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upport part 320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guide body 310 .
  • the opener connection part 330 has a structure in which an area of a predetermined size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support part 320 protrudes by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opener connection part 330 is cut to form a through hole 340,
  • the through hole 340 serves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sample cells pass.
  • the sample cells may be moved to the opener 300 via the opener connection part 330 by centrifugation.
  • the cell separation vessel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of a predetermined size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respectively,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target sample cells separated by centrifugal force can be accommodated, and the opener is connected It plays a mediating role in which the sample cells are provided to the user.
  • the sample cells accommodated in the cell separation vessel 200 may be finally extrac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er 300 .
  • the opener connection part 330 is inserted along the cutout formed in the soft pad 270 . do.
  • the opener connection part 330 is inserted by a predetermined length, the sample cell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ell separation container 200 are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opener 300 through the opener connection part 330 .
  • the opener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unit 400 and a slide 500 which are means for smearing specimen cells moving through the opener connection unit 330 .
  • the slide 500 is a means on which the final sample cells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opener 300 are seated.
  • a fixing part 400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lide 500 in which a target hole 410 of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in a portion opposite to the opener 300 while covering the front surface of the slide 500 .
  • the target hole 410 corresponds to a portion on which the sample cells moved through the opener 300 are seated, and is preferably made of a non-woven fabric so that the sample cells moved to the slide 500 can easily enter the area. It serves as a guide to settling.
  • the center of the target hole 410 is formed to coincide with the center of the opener connection part 330 , and the sample cells moved through the opener connection part 330 are transferred from the slide 500 to the target hole 410 . It is preferentially seated in the corresponding area, and when the amount is large, the peripheral portion is absorbed by the fixing unit 400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ample cells from flowing down to the outside of the slide 500 .
  • the user can inspect the sample cells stably seated in a partial area of the slide 500 .
  • connection insert 220 of the cell separation vessel 200 is inserted into the cutout 131 of the soft pad 130 .
  • the cell sample passes through the sample passage hole formed by the inclined wall 103 and the inner body 120 , and then moves into the hole of the connection insertion unit 220 by centrifugation.
  • the sample is concentrated by the sample storage container 100 , and the cells are separated by centrifugation in the cell separation container 200 .
  • the smear on the slide can be completed through the opener 300 disposed at the rear of the cell separation vessel 200 .
  • a specimen smear device used in the medical field such as pathology diagnosis.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technical field of specimen smear used in indus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검체 세포 도말용 용기는 검체 세포가 이동되는 입구의 역할을 하는 커넥팅부와, 상기 커넥팅부와 결합되며 상기 검체 세포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수용된 검체 세포가 이동되는 출구의 역할을 하도록 소정의 공간이 마련된 연장 접속부를 포함하는 세포 분리 용기와, 돌출 형성되어서 상기 세포 분리 용기에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오프너 접속부와, 상기 검체 세포가 흡착되는 슬라이드를 포함하는 오프너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검체 세포 도말용 용기
본 발명은 검체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심분리를 통해 검체를 자동으로 분리해낼 수 있도록 구성된 검체 세포 도말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체 이상 유무를 검사하기 위해 신체 검사 부위에 해당하는 세포를 채취하고, 채취된 세포를 세포보존액이 담겨진 검체용기에 보존한 후에, 세포를 슬라이드에 부착시킨 후에 현미경으로 검사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기존의 도말과정은, 검솔에 묻은 세포를 액에 분산시키기 위한 솔루션통이 별도로 존재하고, 솔루션통을 흔들어서 세포들이 충분히 액중에 퍼진 상태에서 액을 다른 용기에 부어넣고 필터의 아래에 흡입기구를 밀착하여 액을 흡입하고, 필터에 걸러진 세포들을 슬라이드에 문질러 채취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세포가 걸러진 채취막을 슬라이드에 접근시키기 위해 용기와 본체를 분리하면 용기에 남겨진 혼합액들이 중력에 의해 아래로 쏟아져서 소실된다. 그런데, 솔루션통으로부터 슬라이드로 세포를 옮기는 과정이 일일이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슬라이드로 오염물질이나 불순물이 옮겨질 수 있어서 세포 검사의 정확성을 떨어뜨릴 수 있었다.
그리고 솔루션통 내에 채취된 세포 외에 이물질이 함유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물질과 세포를 분리하기 쉽지 않으므로, 분리를 위한 별도의 도구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환자에서 검출한 세포가 수용된 검체용기로부터 세포를 채취하여 슬라이드에 도말하는 일련의 도말 공정을 수행하는 도말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검체의 농축, 세포의 분리, 세포의 도말 과정을 자동화된 원심분리장치를 통해 연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자동화된 원심분리형 도말장치에서, 세포가 수용된 검체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화 원심분리에 의하여 용기의 일측 또는 아래에 응축되어 모이도록 하는 검체 용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원하는 세모만을 분리하여 도말함으로써 검체의 상태에 무관하게 양질의 도말 품질을 일관되게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자동 도말장치의 검체 용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검체 세포 도말용 용기는 검체 세포가 이동되는 입구의 역할을 하는 커넥팅부와, 상기 커넥팅부와 결합되며 상기 검체 세포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수용된 검체 세포가 이동되는 출구의 역할을 하도록 소정의 공간이 마련된 연장 접속부를 포함하는 세포 분리 용기와, 돌출 형성되어서 상기 세포 분리 용기에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오프너 접속부와, 상기 검체 세포가 흡착되는 슬라이드를 포함하는 오프너를 포함한다.
원심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장치를 이용하여, 용기의 일측 또는 아래에 응축되어 모여서 선택적으로 다른 용기로 검체를 이동시킬 수 있어 안전하면서도 자동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자동화 도말 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력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검체 세포 도말용 용기를 분리한 상태와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검체 세포 도말용 용기를 구성하는 각 구성들 사이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검체 보관 용기에 구성되는 부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검체 보관 용기에서 실리콘 패드를 지지하는 구성을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검체 보관 용기에서 실리콘 패드를 고정시키는 내측 바디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리콘 패드의 절개부를 접속 삽입부가 통과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실시예의 세포 분리 용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세운 상태에서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실시예의 세포 분리 용기에서 연질 패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실시예의 오프너 내부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상기 오프너를 세워둔 상태에서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실시예의 오프너와 검체 세포가 안착되는 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검체 세포 도말용 용기는 검체 세포가 이동되는 입구의 역할을 하는 커넥팅부와, 상기 커넥팅부와 결합되며 상기 검체 세포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수용된 검체 세포가 이동되는 출구의 역할을 하도록 소정의 공간이 마련된 연장 접속부를 포함하는 세포 분리 용기와, 돌출 형성되어서 상기 세포 분리 용기에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오프너 접속부와, 상기 검체 세포가 흡착되는 슬라이드를 포함하는 오프너를 포함한다.
상기 세포 분리 용기의 커넥팅부가 삽입 또는 결합될 수 있는 검체 보관 용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검체 세포 도말용 용기에 대해서 설명하며, 상기 도말용 용기가 사용되는 도말 장치도 함께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자동화 도말 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력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도말 장치(1)는 원심분리를 이용하여 세포만을 분리해내는 자동화 장치로서, 검체 보관 용기와 세포 분리 용기를 포함하는 검체 세포 도말용 용기(10)와, 상기 검체 세포 도말용 용기(10)가 수용되는 도말 챔버(3)와, 상기 도말 챔버(3)가 연결되고 연결된 도말 챔버들을 회전시키는 회전부(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도말 챔버(3) 내에서 검체의 응축과, 세포의 분리 및 슬라이상에 세포를 흡착시키는 일련의 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쉬프트 수단(5)을 포함하고, 상기 쉬프트 수단(5)은 후술하는 세포 분리 용기를 검체 보관 용기에 결합시키거나, 세포 분리 용기를 오프너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쉬프트 수단(5)은 상기 세포 분리 용기를 지지하면서 좌우 또는 전후방으로 세포 분리 용기를 이동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회전부(2)의 분당회전수(rpm)와, 상기 쉬프트 수단(5)의 이동시기와, 쉬프트 수단(5)이 검체 보관 용기 또는 오프너와의 결합 유지 시간을 설정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
한편, 상기 검체 세포 도말용 용기(10)를 구성하는 오프너에는 필터 페이퍼(4)가 밀착되고, 상기 필터 페이퍼(4) 후면에는 검사 대상의 세포가 놓여지는 슬라이드가 놓여진다. 본 발명의 도말 장치를 통한 자동화 도말이 완료되면, 상기 도말 챔버(3)로부터 검사 대상의 세포만이 슬라이드에 흡착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검체 세포 도말용 용기를 분리한 상태와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검체 세포 도말용 용기를 구성하는 각 구성들 사이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검체 세포 도말용 용기(10)는 검체 보관 용기(100), 세포 분리 용기(200) 및 오프너(300)를 포함한다.
검체 보관 용기(100), 세포 분리 용기(200) 및 오프너(300)는 상호간에 결합 또는 분리되거나, 접촉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검체 보관 용기(100)는 보존액과 세포 검체를 함께 보관하는 기본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회전부(2)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하측/후방에서 결합/분리되는 세포 분리 용기(200)로 세포 검체를 전달한다.
그리고, 세포와 검체를 수용하게 된 세포 분리 용기(200) 내에는 밀도 시약(density reagent)이 수용되어 있으며, 기설정된 밀도와 점도를 갖는 시약과 함께 세포 검체가 보관된다.
상기 세포 분리 용기(200)가 후방(회전부가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후방에 배치된 오프너(300)와 결합하기 전에, 회전부(2)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을 이용한다. 즉, 원심력에 의하여, 무거운 세포는 원심력방향(도말 장치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빨리 가라앉게 되고, 가벼운 세포는 천천히 가라앉게 된다.
상기 밀도 시약이 갖는 밀도와 점도에 의해 가라앉는 속도가 세포마다 다르다. 도말하는 세포의 비중에 따라 밀도 시약의 밀도와 점도를 조절하면, 분리해내고자 하는 세포는 세포 분리 용기(200)의 바닥(도 1에서는 도말 장치 외측 방향, 도 2에서는 좌측 방향)으로 빠른 시간 내에 가라앉게 된다.
한편, 분리하고자 하는 세포 검체가 세포 분리 용기(200)의 바닥으로 이동 및 수집되었다고 판단되는 시간에, 상기 세포 분리 용기(200)는 후방에 배치되어 있는 오프너(300)를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상기 세포 분리 용기(200)와 오프너(300)가 접촉 및 결합하게 되면, 세포 분리 용기(200)와 오프너(300)가 내통하게 되고, 분리된 세포가 상기 오프너(300)측으로 원심력에 의해 이동된다.
도 3와 함께, 본 발명의 검체 세포 도말용 용기를 구성하는 검체 보관 용기(100), 세포 분리 용기(200) 및 오프너(300) 각각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여 본다.
본 발명은 검체 보관 용기가 반드시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세포 분리 용기(200) 내에 검체를 넣은 다음, 도말 장치를 이용해 오프너(300)로 검체를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세포 분리 용기(200)와 오프너(300)만으로 구성되는 것 역시 가능하다.
검체 보관 용기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검체 보관 용기에 구성되는 부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검체 보관 용기(100)의 구성을 자세히 살펴보면, 몸체를 형성하면서 내부에 검체가 수용될 수 있는 외측 바디(101)와, 상기 외측 바디(101)의 일측 개방부위를 개폐하는 뚜껑(102)과, 상기 외측 바디(101) 내에 형성되고 작은 사이즈로 이루어진 내측 바디(120)와, 상기 외측 바디(101)와 내측 바디(120)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 또는 하측홈(110)과, 상기 내측 바디(120)의 일면에 배치된 연질 패드(1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외측 바디(101)의 내주면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상기 실리콘 패드(130)가 위치한 하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경사벽(103)이 구성되고, 상기 경사벽(103)은 상기 외측 바디(101)의 내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콘(cone) 형상을 갖는다.
상기 내측 바디(120)에는 연질 패드(130)가 장착되고, 상기 경사벽(103)을 따라 하측(도 3에서는 좌측)으로 이동되는 세포 검체는 상기 연질 패드(130)까지 이동한다.
원심력에 의한 검체 조직의 이동시, 즉, 원심분리시 상기 경사벽(103)이 갖는 콘 모양에 의해 검체 조직이 아래방향의 상기 실리콘 패드(130)측으로 이동하도록 안내될 수 있다. 상기 경사벽(103)에 의해 둘러싸이는 홀의 크기는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그 직경이 작아지는 모양을 갖게 되고, 그로 인해 상기 실리콘 패드(130)측에 가까운 위치는 작은 크기의 직경을 갖는 검체 통과홀(103a)을 갖는다.
상기 경사벽(103) 상에는 메쉬(141)가 결합된 메쉬 프레임(140)이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메쉬 프레임(140)이 상기 외측 바디(101) 내에서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외측 바디(101) 내벽에는 소정 깊이 함몰된 형상의 메쉬 프레임 가이드 홈(105)이 형성된다. 상기 메쉬 프레임(140)의 단부가 상기 메쉬 프레임 가이드 홈(105) 내에 일부 삽입되는 것에 의해, 위치가 쉽게 이탈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콘 형상으로 이루어져 검체 조직을 검체 보관 용기의 하측(도 3에서는 좌측, 도 5에서는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경사벽(103)은 하부의 내측 바디(120)로 연결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익 내측 바디(120) 내에는 실리콘 패드(130)가 수용되며, 상기 경사벽(103)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되는 검체 조직은 상기 실리콘 패드(130)까지 이동한다.
상기 연질 패드(130)의 중심에는 소정 길이의 절개부(131)가 형성된다. 세포 분리 용기(200)의 접속 삽입부(220)가 상기 연질 패드(130)측으로 이동하여 연질 패드(130)의 절개부(131)로 삽입되면, 원심분리에 의해 세포 검체가 상기 접속 삽입부(220)를 경유하여 상기 세포 분리 용기(200)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절개부는 바람직하게 실리콘으로 형성되며, 상기 접속 삽입부(220)가 내부로 삽입된 후에도 상기 접속 삽입부(220)를 감싸는 탄력성을 가짐으로써 검체 세포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세포 분리 용기(200)는 상기 내측 바디(120)를 감싸는 크기와 형상을 갖는 가이드 외벽(210)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외벽(210)의 내측에 상기 접속 삽입부(220)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접속 삽입부(220)를 상기 실리콘 패드(130)의 절개부(131)내로 이동시키는 때에, 상기 가이드 외벽(210)이 먼저 상기 내측 바디(120)와 접촉하여 결합 위치의 안내가 이루어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검체 보관 용기에서 실리콘 패드를 지지하는 구성을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검체 보관 용기에서 실리콘 패드를 고정시키는 내측 바디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리콘 패드의 절개부를 접속 삽입부가 통과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검체 보관 용기(100)의 내벽으로부터 기설정된 각도로 하향 연장되는 경사벽(103)은 하측의 내측 바디(120)와 연결된다. 이들 구성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각각 별도로 제조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상기 내측 바디(1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측 바디(101)의 하분리 몸체에 형성된 하측홈(110) 내에 형성되는데, 절개부(131)가 형성되어 있는 실리콘 패드(130)를 고정하기 위하여 하측으로 연장되는 하향 돌출부(121)와, 소정 각도 절곡되도록 구성된 절곡 돌출부(122)를 포함하다. 그리고, 상기 실리콘 패드(1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 돌기(123)가 상기 절곡 돌출부(122)에 더 형성된다.
상기 실리콘 패드(130)를 상기 내측 바디(120) 내에 끼웠을 때, 실리콘 패드(130)가 임의로 이탈되는 것은 상기 걸림 돌기(123)에 의해 방지되고, 상기 하향 돌출부(121) 및 절곡 돌출부(122)에 의해 실리콘 패드(130)가 둘러싸이기 때문에 이러한 이탈이 더욱 방지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 돌출부(122)의 단부를 높은 온도를 갖는 열 융착기로 가압하게 되면, 우측의 도면과 같이 그 절곡 돌출부(122)의 휨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열 융착공정을 수행하게 된다면, 실리콘 패드(130)의 위치 고정은 더욱 견고히 이루어질 수 있다.
만약, 이러한 열 융착 공정을 진행하게 된다면, 상기 절곡 돌출부(122)의 단부(122a)는 실리콘 패드(130)를 가압할 수 있는 위치까지 이동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도말 장치(1)에서 회전부(2)의 회전으로 원심력이 발생하는 상태에서, 상기 쉬프트 수단(5)에 안착되어 있는 세포 분리 용기(200)가 검체 보관 용기(100)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세포 분리 용기(200)의 접속 삽입부(220)가 상기 실리콘 패드(130)의 절개부(131) 내로 삽입된다. 이때, 경사벽(103)과 내측 바디(120)에 의해 형성되는 검체 통과홀(103a)을 검체 조직이 통과한 다음, 원심분리에 의해 접속 삽입부(200)의 홀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검체 보관 용기(100)에 의한 검체의 농축이 이루어지며, 상기 세포 분리 용기(200)에서는 원심분리를 통한 세포의 분리가 수행되며, 상기 세포 분리 용기(200)의 후방에 배치되는 오프너(300)를 통해서 슬라이드로의 도말이 완성될 수 있다.
세포 분리 용기
본 발명의 검체 세포 도말용 용기를 구성하는 세포 분리 용기에 대해서 도 3과, 도 11 및 도 1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실시예의 세포 분리 용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세운 상태에서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말 장치에서는 세포 분리 용기가 눕혀진 상태로 결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변형하면, 세포 분리 용기(200)에 곧바로 검체를 집어 넣고, 그 다음, 세포를 분리하기 위하여 세포 분리 용기(200)와 오프너(300)를 도말 장치에 장착할 수 있다. 즉, 세포 분리 용기(200)에 직접 검체를 넣은 다음, 도말 장치에 세포 분리 용기(200)와 오프너(300)를 위치시키고, 도말 장치를 동작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세포 분리 용기(200)는 상기 내측 바디(120)를 감싸는 크기와 형상을 갖는 가이드 외벽(210), 상기 가이드 외벽(210)의 내측에 형성되는 접속 삽입부(220), 상기 접속 삽입부(220)와 결합되며 소정의 공간이 마련되는 몸체부(230), 상기 몸체부(230)의 단부와 연결되는 연장 접속부(240)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외벽(210)은 검체 보관 용기(100)의 내측 바디(120)의 외측면을 커버하는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검체 보관 용기(100)로부터 이동되는 검체 세포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상기 내측 바디(120)의 직경보다 소정의 마진만큼의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속 삽입부(220)를 상기 연질 패드(130)의 절개부(131) 내로 이동시키는 때에, 상기 가이드 외벽(210)이 먼저 상기 내측 바디(120)와 접촉하여 결합 위치의 안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접속 삽입부(220)는 상기 가이드 외벽(210)의 내측공간을 일부 폐쇄하면서 중심부에 소정의 직경으로 이루어진 제1 관통홀이 일정 높이만큼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접속 삽입부(220)가 검체 보관 용기(100)와 결합하면, 검체 보관 용기(100)의 내부에 있는 검체 세포 중에서 타겟이 되는 검체 세포가 상기 제1 관통홀을 통해 세포 분리 용기(200)의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 외벽(210)과 접속 삽입부(220)는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뚜껑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230)의 일측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나선형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외벽(210)의 외측으로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 외벽(210)에 접촉하며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홈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외벽(210)과 접속 삽입부(220)로 이루어진 커넥팅부는 상기 몸체부(230)의 분리 몸체에 접촉한 상태로 회전시키는 형태로 부착 또는 탈착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23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제1 분리 몸체(231)와, 일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깔대기 형상의 제2 분리 몸체(232)로 형성된다. 상기 제2 분리 몸체(232)의 단부에는 제2 관통홀(250)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관통홀(250)은 몸체부(230)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한 검체 세포가 최종적으로 통과하게 되는 이동통로가 된다.
상기 연장 접속부(240)는 상기 몸체부(230)의 일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관통홀(250)의 위치를 기준으로 직경이 갈수록 커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장 접속부(240)의 내부에는 소정 크기의 제1 영역(260), 상기 제1 영역(260)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연장 접속부(240)의 노출면을 폐쇄하는 연질 패드(27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영역(260)은 상기 제2 관통홀(250)을 통해 흘러들어온 검체 세포가 최종적으로 저장되는 공간이 되며, 상기 연질 패드(270)의 일부분이 오픈되는 때에 상기 제1 영역(260)에 있는 검체 세포의 이동이 이루어진다.
도 12는 본 실시예의 세포 분리 용기에서 연질 패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연질 패드(270)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심부에 소정 길이의 절개부(271)가 형성되며, 상기 연질 패드(130)는 바람직하게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오프너(300)에 마련된 접속 삽입부가 상기 연질 패드(270)측으로 이동하여 연질 패드(270)의 절개부(271)로 삽입되는 경우에, 원심분리에 의해 검체 세포가 상기 접속 삽입부를 경유하여 상기 오프너(300)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연질 패드(270)는 상기 몸체부(230)의 노출면을 폐쇄하도록 상기 몸체부(230)의 내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연질 패드(27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연장 접속부(240)의 내부에는 상기 연질 패드(270)의 하면을 일부 커버하도록 돌출된 걸림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연질 패드(270)는 상기 걸림 돌기에 의해 상기 연장 접속부(240)를 이탈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질 패드(27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연장 접속부의 하면에는 상기 연질 패드를 커버하도록 부착된 연질 패드 돌출방지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질 패드 돌출방지 가이드는 상기 연장 접속부의 하면에 상기 연질 패드(270)의 적어도 일부분을 가리도록 원형 또는 고리형으로 형성되어 부착됨으로써, 상기 연질 패드(270)가 상기 연장 접속부로부터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세포 분리 용기(200)는 일측과 타측에 각각 소정 크기의 관통홀이 마련되며, 원심력에 의해 분리된 타겟 검체 세포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오프너의 접속에 의해 사용자에게 검체 세포가 제공되는 매개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도말 장치(1)에서 회전부(2)의 회전으로 원심력이 발생하는 상태에서, 상기 쉬프트 수단(5)에 안착되어 있는 세포 분리 용기(200)가 검체 보관 용기(100)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세포 분리 용기(200)의 접속 삽입부(220)가 상기 연질 패드(130)의 절개부(131) 내로 삽입된다. 이때, 경사벽(103)과 내측 바디(120)에 의해 형성되는 검체 통과홀(103a)을 세포 검체가 통과한 다음, 원심분리에 의해 접속 삽입부(200)의 홀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검체 보관 용기(100)에 의한 검체의 농축이 이루어지며, 상기 세포 분리 용기(200)에서는 원심분리를 통한 세포의 분리가 수행되며, 상기 세포 분리 용기(200)의 후방에 배치되는 오프너(300)를 통해서 슬라이드로의 도말이 완성될 수 있다.
오프너
본 발명의 검체 세포 도말용 용기를 구성하는 오프너에 대해서 도 3,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실시예의 오프너 내부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상기 오프너를 세워둔 상태에서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상기 오프너(300)는 상기 세포 분리 용기(200)에 형성된 연장 접속부(240)를 감싸는 크기와 형상을 갖는 가이드 바디(310), 상기 가이드 바디(3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바디(310)를 지지하는 지지부(320)를 포함한다.
즉, 실시예의 오프너(300)에서 가이드 바디(31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 바디(310)의 중심부에 해당되는 상기 지지부(320)의 표면에는 오프너 접속부(330)가 형성된다. 상기 오프너 접속부(330)는 상기 지지부(320)의 중심에 해당하는 소정 크기의 영역이 일정 높이만큼 돌출된 구조이며, 상기 오프너 접속부(330)의 상면은 절개되어 관통홀(340)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340)은 검체 세포가 지나가는 통로가 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오프너(300)에 마련된 오프너 접속부(330)가 세포 분리 용기(200)에 마련된 연질 패드(270)측으로 이동하여 연질 패드(270)의 절개부로 삽입되는 경우에, 원심분리에 의해 검체 세포가 상기 오프너 접속부(330)를 경유하여 상기 오프너(300)로 이동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세포 분리 용기(200)는 일측과 타측에 각각 소정 크기의 관통홀이 마련되며, 원심력에 의해 분리된 타겟 검체 세포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오프너의 접속에 의해 사용자에게 검체 세포가 제공되는 매개 역할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세포 분리 용기(200)에 수용된 검체 세포는 최종적으로 오프너(300)를 통해 외부로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오프너(300)에 마련된 가이드 바디(310)가 상기 세포 분리 용기(200)의 접속 삽입부(240)를 가이드하면서 접촉하면 상기 오프너 접속부(330)는 연질 패드(270)에 형성된 절개부를 따라 삽입된다. 상기 오프너 접속부(330)가 일정 길이만큼 삽입되면 상기 세포 분리 용기(20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검체 세포는 상기 오프너 접속부(330)를 통해 오프너(300)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14는 본 실시예의 오프너와 검체 세포가 안착되는 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오프너(300)는 상기 오프너 접속부(330)를 통해 이동하는 검체 세포를 도말하기 위한 수단인 픽싱부(400)과 슬라이드(500)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드(500)는 오프너(300)를 통과한 최종적인 검체 세포가 안착되는 수단으로, 사용자는 검체 세포에 대한 원심분리가 완료되면 슬라이드(500)만을 도말 장치에서 분리하여, 검체 세포의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500)의 전면에는 상기 슬라이드(500)의 전면을 커버하면서, 상기 오프너(300)와 대향되는 부분에 일정 크기의 타겟홀(410)이 형성된 픽싱부(400)이 마련된다. 상기 타겟홀(410)은 상기 오프너(300)를 통해 이동되는 검체 세포가 안착되는 부분에 해당되며, 바람직하게는 부직포의 재질로 형성되어 슬라이드(500)로 이동되는 검체 세포가 해당 영역에 용이하게 안착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타겟홀(410)의 중심은 상기 오프너 접속부(330)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오프너 접속부(330)를 통해 이동된 검체 세포는 슬라이드(500)에서 상기 타겟홀(410)에 해당되는 영역에 우선적으로 안착되며, 양이 많을 경우 주변부는 상기 픽싱부(400)에 흡수된다. 따라서, 검체 세포가 슬라이드(500)의 외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최종적으로 상기 픽싱부(400)을 슬라이드(500)로부터 제거함으로써, 슬라이드(500)의 일부 영역에 안정적으로 안착된 검체 세포에 대한 검수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말 장치(1)에서 회전부(2)의 회전으로 원심력이 발생하는 상태에서, 상기 쉬프트 수단(5)에 안착되어 있는 세포 분리 용기(200)가 검체 보관 용기(100)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세포 분리 용기(200)의 접속 삽입부(220)가 상기 연질 패드(130)의 절개부(131) 내로 삽입된다. 이때, 경사벽(103)과 내측 바디(120)에 의해 형성되는 검체 통과홀을 세포 검체가 통과한 다음, 원심분리에 의해 접속 삽입부(220)의 홀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검체 보관 용기(100)에 의한 검체의 농축이 이루어지며, 상기 세포 분리 용기(200)에서는 원심분리를 통한 세포의 분리가 수행된다. 검체 세포의 분리가 수행되면, 최종적으로 상기 세포 분리 용기(200)의 후방에 배치되는 오프너(300)를 통해서 슬라이드로의 도말이 완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병리 진단 등의 의료 분야에서 사용되는 검체 도말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산업상 이용하는 검체 도말 기술 분야 등에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0)

  1. 검체 세포가 이동되는 입구의 역할을 하는 커넥팅부와, 상기 커넥팅부와 결합되며 상기 검체 세포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수용된 검체 세포가 이동되는 출구의 역할을 하도록 소정의 공간이 마련된 연장 접속부를 포함하는 세포 분리 용기와,
    돌출 형성되어서 상기 세포 분리 용기에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오프너 접속부와, 상기 검체 세포가 흡착되는 슬라이드를 포함하는 오프너를 포함하는 검체 세포 도말용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 분리 용기의 커넥팅부가 삽입 또는 결합될 수 있는 검체 보관 용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체 보관 용기는 몸체를 형성하면서 내부에 검체 세포가 수용될 수 있는 외측 바디와, 상기 외측 바디의 일측 개방부위를 개폐하는 뚜껑과, 상기 외측 바디 내에 구성되는 내측 바디(120)와, 상기 외측 바디와 내측 바디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 또는 하측홈과, 상기 내측 바디의 일면에 장착된 연질 패드를 포함하는 검체 세포 도말용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바디의 내주면으로부터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도록 연장되면서 상기 내측 바디에 연결되는 경사벽을 더 포함하는 검체 세포 도말용 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벽에 안착되고, 메쉬가 구성되어 있는 메쉬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검체 세포 도말용 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돌출부는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향 돌출부와, 상기 하향 돌출부로부터 소정 각도 절곡되도록 형성된 절곡 돌출부를 포함하는 검체 세포 도말용 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접속부의 내측에는 상기 연장 접속부의 일면을 폐쇄하며, 중심부에 절개부가 형성된 연질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팅부는 커넥팅 위치를 가이드하는 원통형의 가이드 외벽과, 상기 가이드 외벽의 내측공간을 일부 폐쇄하면서 중심부에 제1 관통홀이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된 접속 삽입부를 포함하는 검체 세포 도말용 용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제1 분리 몸체와, 일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깔대기 형상의 제2 분리 몸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분리 몸체의 단부에는 상기 연장 접속부와 연결되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되는 검체 세포 도말용 용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접속부에는 상기 연질 패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연질 패드 일면을 일부 커버하도록 돌출형성된 걸림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 접속부의 하면에는 상기 연질 패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연질 패드를 커버하도록 부착된 연질 패드 돌출방지 가이드가 형성되는 검체 세포 도말용 용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너는 소정 크기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내부 공간에 상기 세포 분리 용기와의 접촉시에 접촉 부위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바디와, 상기 가이드 바디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바디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프너 접속부는 상기 지지부의 중심에서 소정 크기의 영역이 일정 높이만큼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이고,
    상기 접속부의 상면은 절개되어 상기 세포 분리 용기의 내부로 일부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검체 세포가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검체 세포 도말용 용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의 전면을 커버하면서 접촉되고, 상기 오프너와 대향되는 영역에 일정 크기의 타겟홀이 형성된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타겟홀의 중심은 상기 접속부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접속부를 통해 이동된 검체 세포는 상기 슬라이드에 안착되면서 일부는 상기 고정수단에 흡수되는 검체 세포 도말용 용기.
PCT/KR2020/019079 2019-12-27 2020-12-24 검체 세포 도말용 용기 WO202113309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019 2019-12-27
KR1020190176019A KR102116966B1 (ko) 2019-12-27 2019-12-27 검체 용기
KR10-2020-0000279 2020-01-02
KR1020200000279A KR102142054B1 (ko) 2020-01-02 2020-01-02 검체 세포 분리 용기
KR10-2020-0000819 2020-01-03
KR1020200000819A KR102142061B1 (ko) 2020-01-03 2020-01-03 검체 세포를 분리하기 위한 오프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33095A1 true WO2021133095A1 (ko) 2021-07-01

Family

ID=76573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9079 WO2021133095A1 (ko) 2019-12-27 2020-12-24 검체 세포 도말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1133095A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0239B2 (ja) * 1991-11-05 2000-07-10 ウエスコー インク. 細胞遠心分離器具、装置及び方法
KR20050111724A (ko) * 2005-10-11 2005-11-28 김홍곤 세포 고정 및 채취용 시료 용기
KR20130131714A (ko) * 2012-05-24 2013-12-04 주식회사 대홍바이오텍 검체 용기
KR20160130149A (ko) * 2016-03-11 2016-11-10 이은혜 피펫이 포함된 시료용기를 이용한 자동 도말장치
KR102056068B1 (ko) * 2018-10-16 2019-12-16 주식회사 골든바이오텍 조직 보존 용기
KR102116966B1 (ko) * 2019-12-27 2020-05-29 주식회사 바이오니트 검체 용기
KR102142054B1 (ko) * 2020-01-02 2020-08-06 주식회사 바이오니트 검체 세포 분리 용기
KR102142061B1 (ko) * 2020-01-03 2020-08-06 주식회사 바이오니트 검체 세포를 분리하기 위한 오프너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0239B2 (ja) * 1991-11-05 2000-07-10 ウエスコー インク. 細胞遠心分離器具、装置及び方法
KR20050111724A (ko) * 2005-10-11 2005-11-28 김홍곤 세포 고정 및 채취용 시료 용기
KR20130131714A (ko) * 2012-05-24 2013-12-04 주식회사 대홍바이오텍 검체 용기
KR20160130149A (ko) * 2016-03-11 2016-11-10 이은혜 피펫이 포함된 시료용기를 이용한 자동 도말장치
KR102056068B1 (ko) * 2018-10-16 2019-12-16 주식회사 골든바이오텍 조직 보존 용기
KR102116966B1 (ko) * 2019-12-27 2020-05-29 주식회사 바이오니트 검체 용기
KR102142054B1 (ko) * 2020-01-02 2020-08-06 주식회사 바이오니트 검체 세포 분리 용기
KR102142061B1 (ko) * 2020-01-03 2020-08-06 주식회사 바이오니트 검체 세포를 분리하기 위한 오프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71353A2 (ko) 원심분리관
WO2011052948A2 (ko) 재생성 세포 추출유닛 및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
WO2019151705A1 (ko) 원심분리용 피스톤
WO2011049267A1 (ko) 정량인출이 가능한 스포이드와 이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
WO2016167515A1 (ko) 액상검체 도말 처리장치
WO2014073822A1 (ko) 커피캡슐 장탈착 구조
WO2013094819A1 (ko) 혈액 분리 장치
WO2020027566A1 (ko) 핵산 추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0036435A1 (ko) 진단 스트립 점적 및 유전자 단편 추출용 튜브 조립체
WO2019209072A1 (ko) 검체튜브 홀더
WO2011136606A2 (ko) 버피코트 추출 키트 및 방법
WO2017213305A1 (ko) 원심 분리기용 용기 및 이를 이용한 svf 분리 방법
WO2021133095A1 (ko) 검체 세포 도말용 용기
CN111420812B (zh) 一种离心机
KR101046833B1 (ko) 액상세포의 도말방법
WO2017099357A1 (ko) 피펫이 포함된 시료 채취용 용기 조립체
KR102168826B1 (ko) 검체 분리 장치 및 방법
WO2010085050A2 (en) Dust separa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WO2015163688A1 (ko) 세포 도말 장치 및 세포 도말 방법
WO2021066506A1 (ko)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 및 이를 포함하는 원심 분리 장치
KR102142061B1 (ko) 검체 세포를 분리하기 위한 오프너
WO2018093155A1 (ko) 검체 검사에 사용되는 자가 검체 채취 기구
WO2023287082A1 (ko) 복잡 시료 추출용 카트리지 시스템 및 복잡 시료 추출 방법
WO2021172655A1 (en) Cleaner
WO2023140479A1 (ko) 밀폐식 일체형 표적검사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90446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90446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