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066506A1 -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 및 이를 포함하는 원심 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 및 이를 포함하는 원심 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066506A1
WO2021066506A1 PCT/KR2020/013307 KR2020013307W WO2021066506A1 WO 2021066506 A1 WO2021066506 A1 WO 2021066506A1 KR 2020013307 W KR2020013307 W KR 2020013307W WO 2021066506 A1 WO2021066506 A1 WO 202106650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eparation unit
unit
separation
chamber
ex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330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규상
박희철
최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클리노믹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클리노믹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클리노믹스
Priority to US17/764,726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20314238A1/en
Publication of WO202106650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06650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7/00Elements of centrifuges
    • B04B7/08Rotary bo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5/00Other centrifuges
    • B04B5/04Radial chamber apparatu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e.g. butyrometers

Definitions

  • the present embodiment relates to a chamber for a centrifugal separator and a centrifugal separator includ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mber for a centrifugal separation device that facilitates centrifugation of a sample and easily extracts a sample of a desired component from a sample separated for each component, and a centrifugal separat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 Whole blood or various biological liquids can be separated from their components or parts.
  • whole blood is composed of plasma, buffy coat, red blood cells, and the like, and may be separated for each component in a centrifugal separator or the like.
  • a main body including a separation unit in which each component of a centrifuged sample is separated and located, and an extraction unit for moving and receiving each component located in the separation unit, an injection port for injecting a sample for centrifugation, and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chamber for a centrifugal separation apparatus including an upper plate including an outlet for drawing out the separated components contained in the extraction unit to the outside, and a lower plate sealing the opening of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 a main body including a separation unit in which each component of a centrifuged sample is separated and located, and an extraction unit for moving and receiving each component located in the separation unit, and a first for injecting a sample for centrifugation
  • a centrifugal separator comprising an inlet, a second inlet for injecting a Ficoll solution, an upper plate including an outlet for drawing out the separated components contained in the extraction unit to the outside, and a lower plate for sealing the opening of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 an object is to provide a centrifugal separation device including at least two or more chambers for a centrifugal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 a chamber for a centrifugal separation device capable of easily separating a biological fluid and extracting the separated sample without cross contamination using a chamber for a centrifugal separation device including a separation unit and an extraction unit, and a centrifugal separat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are provided. I want to provide.
  • the chamber for a centrifugal separation apparatus includes a separation unit including a partially open partition wall, after centrifuging a biological fluid, the centrifuged component can be easily separated for each component without additional manual work. .
  • mixing between the separated components can be prevented even when the rotational motion is stopped after centrifugation.
  • the chamber for the centrifugal separator includes a valve, only a desired component can be selectively and easily extracted from among the separated components after centrifugation. Accordingly, user convenience can be remarkably increased, and each separated component of a sample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from cross-contamination during the extraction process.
  • FIG. 1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hamber for a centrifugal sepa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hamber for the centrifugal separator of FIG. 1.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 of the chamber for the centrifugal separator of FIG. 1.
  • FIG. 4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hamber for a centrifugal sepa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hamber for the centrifugal separator of FIG. 4.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 of the chamber for the centrifugal separator of FIG. 4.
  • FIG. 7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centrifugal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 a part such as a layer, film, region, plate, etc.
  • one part is “directly above” another part, it means that there is no other part in the middle.
  • the reference part means that it is located above or below the reference part, and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it is located “above” or “on”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gravitational force. .
  • FIG. 1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hamber for a centrifugal sepa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hamber for a centrifugal separation apparatus of FIG. 1.
  • a chamber 500 for a centrifugal separator includes an upper plate 100, a main body 200, and a lower plate 300.
  • the main body 200 includes a separating unit 210 in which a centrifuged sample is separated and positioned for each component, and an extraction unit 220 for moving and receiving a sample separated for each component in the separating unit 210.
  • the separation unit 210 includes a first separation unit 211, a second separation unit 212, and a third separation unit 213 positioned side by side in one direction.
  • each region of the first separation unit 211 and the second separation unit 212 is separated by a first partition wall 311 located in the separation unit 210.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 of the chamber for the centrifugal separator of FIG. 1.
  • the first partition wall 311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distance H1 with the upper plate 100.
  • the first partition wall 311 and the top plate 100 may be formed to have a height spaced apart from 0.1mm to 2mm, for example.
  • the first partition wall 311 and the upper plate 100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redetermined distance H1 is opened.
  • the path of each component moving up and down during centrifugation can maintain an appropriate distance. Different components can be effectively separated in the first separation unit 211 and the second separation unit 212. In addition, when the distance H1 between the first partition wall 311 and the upper plate 100 is 2 mm or less, the components separated by the first separation unit 211 and the second separation unit 212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fter centrifugation. It can effectively prevent mixing.
  • the second partition wall 312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distance H2 with the upper plate 100.
  • the second partition 312 and the upper plate 100 may be formed to have a height spaced apart from 0.1mm to 2mm, for example.
  • the height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312 is slightly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main body 200, the second partition wall 312 and the upper plate 100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redetermined distance is opened.
  • the path of each component moving up and down during centrifugation can maintain an appropriate distance. Different components can be effectively separated in the second separation unit 212 and the third separation unit 213. In addition, when the distance H2 between the second partition wall 312 and the upper plate 100 is 2 mm or less, the components separated by the second separation unit 212 and the third separation unit 213 after centrifugation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t can effectively prevent mixing.
  • the distance H1 between the first partition 311 and the upper plate 100 and the distance H2 between the second partition 312 and the upper plate 100 are not necessarily the same. . This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onent to be separated, for example, whether it is a solid component or a liquid component, and the amount of the component to be separated.
  • first partition wall 311 and the second partition wall 312 may have a structure protruding from the lower plate 300, for example, and protruding from the inner sidewall of the separating part 210 of the main body 200 It may have a structure of the form, the for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 the angle A1 formed by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eparation part 211 and the first partition wall 311 may be in the range of 91 degrees to 179 degrees, and more specifically 95 to 125 degrees or 97 degrees. It may range from degrees to 107 degrees.
  • the angle A1 formed by the lower plate of the first separation unit 211 and the first partition wall 311 is less than 91 degrees, the cells in the sample located in the first separation unit 211 among the samples injected for centrifuga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entrifugal separation efficiency is very low because it is difficult for solid components such as the back to move beyond the first partition 311 to the second separation unit.
  • the angle A1 exceeds 179 degrees, the thickness of the first partition wall 311 becomes too thick, and accordingly, the amount of separation components that can be accommodated in the first separation unit 211 is very small. . Accordingly, in the case of separating a certain amount or more of components through centrifugal separation, a large area is required to increase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first separating unit 211, so space efficiency is excessively deteriorated.
  • the angle A2 formed by the bottom surface of the area of the second separating part 212 and the first partition wall 311 may be in the range of 85° to 179°, and more specifically, 90° to 160°, or 90° to It can be in the 95 degree range.
  • the angle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separation unit 212 and the first partition wall 311 is less than 85 degrees, the liquid component in the sample located in the second separation unit 212 among the samples injected for centrifugation is It is difficult to move beyond the first partition 311 to the first separation unit.
  • the angle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separation unit 212 and the first partition wall 311 exceeds 179 degrees, it is difficult to secure sufficient space in the second separation unit 212 to accommodate the separated components. There is a problem with not enough space.
  • the angle A3 formed by the bottom surface of the area of the second separation part 212 and the second partition wall 312 may range from 91 degrees to 179 degrees, and more specifically 95 degrees to 125 degrees, or 97 degrees. It may range from degrees to 107 degrees.
  • the angle A4 formed by the bottom surface of the area of the third separating part 213 and the second partition wall 312 may range from 90 degrees to 179 degrees, and more specifically, from 91 degrees to 160 degrees or from 100 degrees to 110 degrees. May also be a range.
  • a buffy coat containing a large number of white blood cells is located in the second separation unit 212 after centrifugation, and the red blood cells in the third separation unit 213 Ingredients containing a plurality of are located.
  • the components of the blood located in the third separation unit 213 The component corresponding to the buffy coat moves to the area of the second separation unit 212 by riding the second partition 312, and the component containing a plurality of red blood cells among the components of blood located in the second separation unit 212 is removed. 2 It moves to the third separation part 213 by riding the partition wall 312.
  • the angle A3 formed by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separation unit 212 and the second partition wall 312 is less than 91 degrees, the third separation unit of the blood components located in the second separation unit 212 There is a problem that a component including a plurality of red blood cells moving toward (213) does not move smoothly due to friction with the second partition wall 312.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angle (A3) to 91 degrees or more.
  • angle (A3) exceeds 179 degrees, it is separated after centrifugation to effectively form a space to contain a component located in the second separation unit 212, for example, a component corresponding to a buffy coat. Is difficult.
  • angles A3 and A4 formed by the second partition 312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eparation unit may be greater than the angles A1 and A2 between the first partition 311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eparation unit. .
  • both sides of the first partition wall 311 are mainly through the liquid component during centrifugal separation, so that the friction force is less affected, but the second partition wall 312 is the side through which solid components such as cells pass, so the effect of the friction force is large. Because I receive.
  • angles A3 and A4 formed by the second partition 312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eparation unit are greater than the angles A1 and A2 between the first partition 311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eparation unit. It is desirable.
  • each component of the centrifuged sample is first separated for each component. It may be located within the unit 211, the second separation unit 212, and the third separation unit 213, respectively.
  • the main body 200 includes an injection port extension part 271, and the injection port extension part 271 is connected to the injection path 341 located under the main body 200. to be.
  • the separation unit includes a first separation unit to a third separation unit, but a separation unit may be further added if necessary.
  • the first vent hole 131 is preferably located in a region close to the rotation axis of the centrifugal separator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upper plate 100.
  • the sample injected for centrifugation such as blood
  • the region of the third separation unit located farthest from the center of the rotation axis of the centrifugal separation device.
  • the sample injection is smooth.
  • the sample can be quickly and easily injected into the chamber for a centrifugal separator without damaging the active ingredient, for example, cells, etc. contained in the sample.
  • the upper surface of the separating unit 210 may be an open shape, but the upper surface of the separating unit 210 may be closed as necessary.
  • a first vent hole extension (not shown)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vent hole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eparating unit.
  • the main body 200 includes an extraction unit 220, and the extraction unit 220 includes a first extraction unit 221, a second extraction unit 222, and a third extraction unit 223. .
  • the first extraction unit 221 is a space for moving and receiving the separated components in the first separation unit 211, and the second extraction unit 222 further separates the components moved to the first extraction unit 221 It is a space to move and accommodate additional separated components afterwards.
  • the first separating part 211 is connected to the first extraction path 321 located under the main body 200. After centrifugation, the components separated in the first separation unit 211 are moved through the first extraction furnace 321 connected to the first separation unit 211 and received in the first extraction unit 221.
  • the main body 200 includes a first valve unit 231 positioned to overlap with a partial region of the first extraction furnace 321.
  • a first valve is located in the first valve unit 231, and the first extraction path 321 is opened and closed by the first valve. Therefore, in order to extract the separated components in the first separation unit 211 after centrifugal separation, the first valve is operated to open the first extraction path 321 to first extract the separated components in the first separation unit. It can be moved to the unit 221.
  • the components contained in the first extraction unit 221 through the first extraction furnace 321 are further separated by performing centrifugation once more, and the first extraction unit ( It may be moved to the second extraction unit 222 through the second extraction path 322 connected to 221.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more reliably remove the contaminant from the components separated in the first separation unit by centrifugation.
  • the separated component located in the first separation unit 211 through centrifugation is plasma.
  • Such plasma is used for genomic analysis of free DNA (cell free DNA), which is used as a method of a liquid biopsy that performs diagnosis using a part of a specific tissue secreted into the blood without directly extracting the patient's tissue.
  • a method of increasing the accuracy of diagnosis by removing contaminants by centrifuging the plasma obtained after separating the components of whole blood is common.
  • the plasma is first separated in the first extraction unit 221, additional centrifugal separation is performed, and the supernatant separated in the first extraction unit 221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extraction unit 222.
  • additional centrifugal separation is performed, and the supernatant separated in the first extraction unit 221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extraction unit 222.
  • the first extraction part 221 includes a second vent hole extension part 252 on a sealed upper surface, and the second vent hole extension part 252 is a second vent hole 132 located in the upper plate 100. It is a structure that is integrated with ).
  • the second vent hole 132 moves the components separated by the first separation unit 211 to the first extraction unit 221, that is, when the first valve is opened, the second vent hole 132 is also It must be open.
  • the components additionally separated from the first extraction unit 221 are moved to the second extraction unit 222, that is, when the second valve is opened, the second vent hole 132 must also be opened.
  • the second vent hole 132 may also be closed.
  • the first extraction part 221 is connected to a second extraction path located under the main body 200.
  • the component further centrifuged in the first extraction unit 221 as described above is moved through the second extraction furnace 322 connected to the first extraction unit 221 and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extraction unit 222.
  • the second extraction part 222 includes a first withdrawal part 241.
  • the first withdrawal part 241 may be formed in a conical shape having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200 open and a hole having an upper surface larger than that of the lower surface.
  • the upper opening of the first withdrawal part 241 has a structure integrally with the first outlet 121 located on the upper plate 100.
  • the components that are additionally separated and accommodated in the second extraction unit 222 may be withdrawn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outlet 121.
  • withdrawal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outlet 121 may be performed using, for example, a pipette.
  • the second separating part 212 is connected to a third extraction furnace 323 located under the main body 200. After centrifugation, the components separated by the second separation unit 212 are moved through a third extraction furnace 323 connected to the second separation unit 212 and received in the third extraction unit 223.
  • the main body 200 includes a third valve unit 233 positioned to overlap with a partial region of the third extraction furnace 323. At this time, a third valve is located in the third valve unit 233, and the third extraction path 323 is opened and closed by the third valve. Therefore, in order to extract the separated components in the second separation unit 212 after centrifugal separation, the third valve is operated to open the third extraction furnace 323 to remove the separated components from the second separation unit 212. 3 It can be moved to the extraction unit 223.
  • the third extraction part 223 includes a second withdrawal part 242.
  • the second withdrawal part 242 may be formed in a conical shape having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200 open and having a diameter greater than that of the lower part.
  • the upper opening of the second withdrawal part 242 has a structure integrally with the second outlet 122 located on the upper plate 100.
  • the components contained in the third extraction unit 223 may be withdrawn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outlet 122.
  • withdrawal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outlet 122 may be performed using, for example, a pipette.
  • the components separated in the third separating unit 213 may be separately drawn to the outside if desired.
  • the separated component may be extracted to the outside.
  • the upper plate 100 is to prevent contamination when a sample is injected for centrifugation or when each centrifuged component is taken out. Includes.
  • the injection port 101 is for injecting a sample into the separation unit before centrifugation, and the outlet is for extracting each component of the centrifuged sample for each component.
  • the injection port may include a first stopper.
  • the first stopper is made of, for example,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surrounding an edge of the injection hole.
  • the outlet includes a first outlet 121 and a second outlet 122.
  • the first outlet 121 is for drawing out the components contained in the second extraction unit 222 among the components of the centrifuged sample.
  • the first outlet 121 may include a second stopper.
  • the second stopper is made of, for example,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surrounding the rim of the first outlet 121.
  • the second stopper includes a second stopper so that the first outlet 121 is opened only when the separated component is pressed with a pointed pipette tip to take out the separated component to the outside, and is normally closed. Accordingly, the function of preventing the separated components from splashing out due to unintended circumstances, and preventing contamination and mixing of contaminants in the outside air, except when the components separated in the second extraction unit 222 are drawn to the outside. Perform.
  • the component contained in the second extraction unit 222 is, for example, a component having a relatively low density after moving the component separated in the first separation unit to the first extraction unit 221 after centrifugation. It is a liquid component with high purity and moved to the second extraction unit 222 by additional separation.
  • the second outlet 122 is for drawing the components contained in the third extraction unit 223 among the components of the centrifuged sample to the outside.
  • the second outlet 122 may include a third stopper.
  • the third stopper may be made of, for example, a rubber material and may have a ring shape surrounding the rim of the second outlet 122.
  • the upper plate 100 includes a first vent hole 131 and a second vent hole 132 together with an injection port and an outlet.
  • the first vent hole 131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eparating part 211 located in the main body 200. If necessary,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separating unit 210 has a closed structure, a first vent hole extension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eparating unit 211.
  • the second vent hole 132 is connected to the second vent hole extension part 252 included in the first extraction part 221 located in the main body 200.
  • the upper plate 100 includes a first valve hole 111, a second valve hole 112, and a third valve hole 113.
  • the first valve hole 111 is connected to the first valve unit 231.
  • the first valve unit 231 is positioned to overlap with a partial region of the first extraction path 321 positioned in the main body 200.
  • the first valve located in the first valve unit 231 is driven through the first valve hole 111, and is separated from the first separation unit by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extraction path 321 through the first valve.
  • the movement of ingredients can be controlled.
  • the second valve hole 112 is connected to the second valve unit 232.
  • the second valve unit 232 is positioned to overlap with a partial region of the second extraction path 322 positioned in the main body 200.
  • the second valve located in the second valve unit 232 is driven through the second valve hole, and the components accommodated in the first extraction unit 221 by opening and closing the second extraction path 322 through the second valve Can control the movement of
  • the third valve hole 113 is connected to the third valve unit 233.
  • the third valve unit 233 is positioned to overlap with a partial region of the third extraction path 323.
  • the third valve located in the third valve unit 233 is driven through the third valve hole 113 and opens and closes the third extraction path 323 through the third valve, thereby the second separation unit 212 It can control the movement of separated components.
  • the lower plate 300 seals an opening partially formed under the main body 200.
  • first and second partition walls 311 and 312 are formed on the main body 200 .
  • first and second partition walls 311 and 312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plate 300 as necessary.
  • FIG. 4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hamber for a centrifugal sepa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hamber for a centrifugal separation apparatus of FIG. 4.
  • a chamber 500 for a centrifugal separator includes an upper plate 100, a main body 200, and a lower plate 300.
  • the upper plate 100 includes a first injection port 401 and a second injection port 402.
  • the main body 200 includes a first injection port extension part 411 and a second injection port extension part 412.
  • the first inlet 401 is for injecting a sample, for example, blood for centrifugation
  • the second inlet 402 is for injecting a specific component of the sample, for example, blood into a sample. It is for injecting Ficoll solution for separating only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PBMC).
  • PBMC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 a Ficoll solution was added to one test tube, and blood was carefully injected thereon to form two layers, followed by centrifugation.
  • a sample and a Ficoll solution can be conveniently and easily injected to obtain a desired component.
  • the sample injected through the first injection port 401 passes through the first injection port extension part 411 and then separates the second through a first injection path 421 connected to the second separation part 212 It moves to the secondary and the first separation section.
  • the Ficoll solution injected through the second injection port 402 passes through the second injection port extension part 412 and then moves to the third separation unit through a second injection path 422 connected to the third separation unit. do.
  • the Ficoll solution is positioned outside the blood based on the chamber for the centrifugal separator.
  • the Ficoll solution moves to the second separation unit due to the difference in specific gravity caused by the centrifugal force to form the PBMC layer.
  • FIGS. 4 and 5 the first injection hole 401, the second injection hole 402, the first injection hole extension 411, the second injection hole extension 412, the first injection path 421, and the second injection.
  • Other configurations other than the furnace 422 have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ose described above since the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chamber for the centrifugal separato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Accordingly, in FIGS. 4 and 5,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in FIGS. 1 and 2 are used.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 of the chamber for the centrifugal separator of FIG. 4.
  • the separation unit 210 includes a first separation unit 211, a second separation unit 212, and a third separation unit 213 positioned side by side in one direction.
  • each region of the first separation unit 211 and the second separation unit 212 is separated by a first partition wall 311 located in the separation unit 210.
  • first partition wall 311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distance H1 with the top plate 100, and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A1, A2 with the bottom surface.
  • the second partition wall 312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distance H2 with the upper plate 100, and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A3 and A4 with the bottom surface.
  • first and second partition walls as described above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in the chamber for a centrifugal separat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ccordingly, in FIG. 6,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FIG. 3 are used.
  • the remaining configurations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the chamber for a centrifugal separator of an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do.
  • the components centrifuged after injecting a sample can be easily separated for each component without requiring separate manual labor, and mixing between the separated components even when the rotational motion is stopped after centrifugation. Can be prevented.
  • each separated component can be easily obtained with high quality.
  • FIG. 7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centrifugal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centrifugal separation apparatus 1000 may include at least two or more chambers 500 for the centrifugal sepa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 the two or more centrifugal separator chambers 500 are positioned so as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about the rotation axis 600 in the centrifugal separator 1000.
  • FIG. 7 for convenience, only a case including two chambers 500 for a centrifugal separation device is illustrated, but if the chambers 500 for a centrifugal separation device are disposed as described above, the number of chambers 500 for a centrifugal separation device can be appropriately increased if necessary.

Landscapes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 및 이를 포함하는 원심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는, 원심 분리된 시료의 각 성분이 분리되어 위치하는 분리부 및 상기 분리부에 위치하는 각 성분을 이동시켜 수용하는 추출부를 포함하는 본체, 원심 분리를 위해 시료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 및 상기 추출부에 수용된 분리된 성분을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인출구를 포함하는 상부판, 그리고 상기 본체 하부의 개구를 밀폐하는 하부판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 및 이를 포함하는 원심 분리 장치
본 실시예는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 및 이를 포함하는 원심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시료의 원심 분리가 용이하고, 성분 별로 분리된 시료 중 원하는 성분의 시료를 쉽게 추출할 수 있는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 및 이를 포함하는 원심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혈(whole blood) 또는 다양한 생물학적 액체들은 그 구성 요소들 또는 부분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혈은, 플라즈마(plasma), 버피 코트(buffy coat) 및 적혈구 등으로 구성되는데, 원심 분리 장치 등에서 각 성분 별로 분리될 수 있다.
종래에는, 예를 들면, 전혈을 각 성분 별로 분리하기 위하여 단일 튜브 용기에 전혈을 투입한 후 이를 원심 분리 장치에 투입하여 비중을 기초로 분리하였다. 이와 같이 원심 분리된 시료는 비중에 기초하여 각 성분 별로 여러 개의 층으로 적층되며, 이와 같이 층을 이루며 적층된 각 성분은 수작업으로 회수하였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수작업으로 성분 별로 적층된 시료의 각 층을 분리할 경우에는, 작업 효율이 현저히 저하되고, 원심 분리된 각 성분들이 다시 혼합되는 현상이 발생하며 그 상태로 추출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특정 성분만 완벽히 추출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다양한 시료를 좁은 공간에서 동시에 처리하는 경우에는 교차 오염이 종종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원심 분리 장치를 이용하여 전혈 등 생물학적 유체를 분리하는 경우 상기 유체를 각 성분 별로 효과적으로 분리한 후 오염 없이 쉽게 추출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시급하다.
일 실시예에서는, 원심 분리된 시료의 각 성분이 분리되어 위치하는 분리부 및 상기 분리부에 위치하는 각 성분을 이동시켜 수용하는 추출부를 포함하는 본체, 원심 분리를 위해 시료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 및 상기 추출부에 수용된 분리된 성분을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인출구를 포함하는 상부판, 그리고 상기 본체 하부의 개구를 밀폐하는 하부판을 포함하는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원심 분리된 시료의 각 성분이 분리되어 위치하는 분리부 및 상기 분리부에 위치하는 각 성분을 이동시켜 수용하는 추출부를 포함하는 본체, 원심 분리를 위해 시료를 주입하기 위한 제1 주입구, 피콜 용액을 주입하기 위한 제2 주입구 및 상기 추출부에 수용된 분리된 성분을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인출구를 포함하는 상부판, 그리고 상기 본체 하부의 개구를 밀폐하는 하부판을 포함하는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를 적어도 둘 이상 포함하는 원심 분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분리부 및 추출부를 포함하는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를 이용하여 생물학적 유체를 쉽게 분리하고 분리된 시료를 교차 오염 없이 쉽게 추출할 수 있는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 및 이를 포함하는 원심 분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는, 부분적으로 개방된 격벽을 포함하는 분리부를 포함하기 때문에 생물학적 유체를 원심 분리한 후 원심 분리된 성분을 별도의 수작업을 거치지 않고도 쉽게 성분 별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원심 분리 후 회전 운동이 멈춘 상태에서도 분리된 성분 간 혼합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는 밸브를 포함하기 때문에 원심 분리 후 분리된 각 성분 중 원하는 성분만을 선택적으로 쉽게 추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편의를 획기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고, 추출 과정에서 시료의 분리된 각 성분이 교차 오염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를 I-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를 I-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기준이 되는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하는 것은 기준이 되는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고, 반드시 중력 반대 방향 쪽으로 "위에" 또는 "상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평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위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하며, "단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수직으로 자른 단면을 옆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500)는, 상부판(100), 본체(200) 및 하부판(300)을 포함한다.
본체(200)는 원심 분리 된 시료가 성분 별로 분리되어 위치하는 분리부(210) 및 상기 분리부(210)에 성분 별로 분리된 시료를 이동시켜 수용하는 추출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분리부(210)는 일 방향으로 나란히 위치하는 제1 분리부(211), 제2 분리부(212) 및 제3 분리부(21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분리부(211) 및 제2 분리부(212)는 분리부(210) 내에 위치하는 제1 격벽(311)에 의해 각 영역이 분리된다.
도 3은 도 1의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를 I-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제1 격벽(311)은 상부판(100)과 소정 간격(H1)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격벽(311) 및 상부판(100)은, 예를 들면, 0.1mm 내지 2mm 정도 이격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격벽(311)의 높이는 본체(200)의 높이 보다 약간 낮게 형성되기 때문에 제1 격벽(311)과 상부판(100) 사이가 소정 간격(H1) 개방된 형태의 구조를 갖는다.
제1 격벽(311) 및 상부판(100) 사이의 간격(H1)이 0.1mm 이상인 경우, 원심 분리가 진행되는 동안 상하로 이동하는 성분 별 경로가 적절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시료 내에 혼합되어 있던 서로 다른 성분이 제1 분리부(211) 및 제2 분리부(212)에 효과적으로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격벽(311) 및 상부판(100) 사이의 간격(H1)이 2mm 이하인 경우, 원심 분리 후 제1 분리부(211) 및 제2 분리부(212)에 분리된 각 성분이 서로 혼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제2 격벽(312)은 상부판(100)과 소정 간격(H2)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격벽(312) 및 상부판(100)은, 예를 들면, 0.1mm 내지 2mm 정도 이격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격벽(312)의 높이는 본체(200)의 높이 보다 약간 낮게 형성되기 때문에 제2 격벽(312)과 상부판(100) 사이가 소정 간격 개방된 형태의 구조를 갖는다.
제2 격벽(312) 및 상부판(100) 사이의 간격(H2)이 0.1mm 이상인 경우, 원심 분리가 진행되는 동안 상하로 이동하는 성분 별 경로가 적절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시료 내에 혼합되어 있던 서로 다른 성분이 제2 분리부(212) 및 제3 분리부(213)에 효과적으로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 격벽(312) 및 상부판(100) 사이의 간격(H2)이 2mm 이하인 경우, 원심 분리 후 제2 분리부(212) 및 제3 분리부(213)에 분리된 각 성분이 서로 혼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격벽(311) 및 상부판(100) 사이의 간격(H1)과 제2 격벽(312) 및 상부판(100) 사이의 간격(H2)는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다. 이는 분리하고자 하는 성분의 특징, 예를 들면, 고형 성분인지 액체 성분인지 등과 분리하고자 하는 성분의 양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 격벽(311) 및 제2 격벽(312)은, 예를 들면, 하부판(300)으로부터 돌출된 형태의 구조를 가질 수도 있고, 본체(200)의 분리부(210) 내 측벽으로부터 돌출된 형태의 구조를 가질 수도 있는 것으로, 그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다음, 상기 제1 분리부(211) 영역의 바닥면과 상기 제1 격벽(311)이 이루는 각도(A1)는, 91도 내지 179도 범위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95 도 내지 125도 또는 97도 내지 107도 범위일 수 있다. 제1 분리부(211) 영역의 하부판과 제1 격벽(311)이 이루는 각도(A1)가 91도 미만인 경우, 원심 분리를 위하여 투입한 시료 중 제1 분리부(211)에 위치하는 시료에서 세포 등의 고형 성분이 제1 격벽(311)을 넘어 제2 분리부로 이동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원심 분리 효율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각도(A1)가 179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1 격벽(311)의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워지고 이에 따라 제1 분리부(211)에 수용할 수 있는 분리 성분의 양이 매우 적어진다. 따라서, 원심 분리를 통해 일정 양 이상의 성분을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제1 분리부(211)의 수용 공간을 늘리기 위해 넓은 면적이 요구되므로 공간 효율이 지나치게 떨어진다.
상기 제2 분리부(212) 영역의 바닥면과 상기 제1 격벽(311)이 이루는 각도(A2)는 85도 내지 179도 범위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90도 내지 160도, 또는 90도 내지 95도 범위일 수 있다. 제2 분리부(212) 영역의 바닥면과 제1 격벽(311)이 이루는 각도가 85도 미만인 경우, 원심 분리를 위하여 투입한 시료 중 제2 분리부(212)에 위치하는 시료 내의 액체 성분이 제1 격벽(311)을 넘어 제1 분리부로 이동하기가 어렵다. 또한, 제2 분리부(212) 영역의 바닥면과 제1 격벽(311)이 이루는 각도가 179도를 초과하는 경우, 제2 분리부(212)에 충분한 공간 확보가 어려워 분리된 성분을 수용할 공간이 충분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다음, 상기 제2 분리부(212) 영역의 바닥면과 상기 제2 격벽(312)이 이루는 각도(A3)는 91도 내지 179도 범위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95도 내지 125도, 또는 97도 내지 107도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제3 분리부(213) 영역의 바닥면과 상기 제2 격벽(312)이 이루는 각도(A4)는 90도 내지 179도 범위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91도 내지 160도 또는 100도 내지 110도 범위일 수 있다.
원심 분리 시료로 예를 들어, 혈액을 투입하는 경우, 원심 분리 후에 제2 분리부(212) 내에는 백혈구를 다수 포함하는 버피 코트(buffy coat)가 위치하고, 제3 분리부(213) 내에는 적혈구를 다수 포함하는 성분이 위치한다.
따라서, 원심 분리를 위해 제3 분리부로 혈액을 주입하여 제2 분리부(212) 및 제1 분리부(211)를 채운 다음 원심 분리를 진행하면 제3 분리부(213) 내에 위치하는 혈액의 성분 중 버피 코트에 해당하는 성분은 제2 격벽(312)을 타고 제2 분리부(212) 영역으로 이동하고, 제2 분리부(212) 내에 위치하는 혈액의 성분 중 적혈구를 다수 포함하는 성분은 제2 격벽(312)을 타고 제3 분리부(213)로 이동한다.
이때, 제2 분리부(212) 영역의 바닥면과 제2 격벽(312)이 이루는 각도(A3)가 91도 미만인 경우, 제2 분리부(212) 내에 위치하는 혈액의 성분 중 제3 분리부(213)를 향해 이동하는 적혈구를 다수 포함하는 성분이 제2 격벽(312)과의 마찰로 인해 원활하게 이동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각도 (A3)는 91도 이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도 (A3)가 179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원심 분리 후 분리되어 제2 분리부(212) 내에 위치하는 성분, 예를 들면, 버피 코트에 해당하는 성분을 담을 공간을 효과적으로 형성하기가 어렵다.
아울러, 제3 분리부(213) 영역의 바닥면과 상기 제2 격벽(312)이 이루는 각도(A4)가 90도 미만인 경우, 제3 분리부(213) 내에 위치하는 혈액의 성분 중 제2 분리부(212)를 향해 이동하는 버피 코트에 해당하는 성분의 이동이 원활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각도(A4)가 179도 이상인 경우에는 제3 분리부(213)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기가 어려워 분리가 용이하지 않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격벽(311)이 분리부의 바닥면과 이루는 각도(A1, A2) 보다 제2 격벽(312)이 분리부의 바닥면과 이루는 각도(A3, A4)가 더 클 수 있다. 이는 제1 격벽(311)의 양 면은 원심 분리 중 주로 액체 성분이 지나가는 쪽이므로 마찰력의 영향을 적게 받으나, 제2 격벽(312)은 세포 등의 고형 성분이 지나가는 쪽이므로 마찰력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이다.
따라서, 원심 분리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제1 격벽(311)이 분리부의 바닥면과 이루는 각도(A1, A2) 보다 제2 격벽(312)이 분리부의 바닥면과 이루는 각도(A3, A4)가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분리부(210)가 제1 분리부(211), 제2 분리부(212) 및 제3 분리부(213)를 포함하기 때문에 원심 분리된 시료의 각 성분은, 성분 별로 제1 분리부(211), 제2 분리부(212) 및 제3 분리부(213) 내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체(200)는 주입구 연장부(271)을 포함하고, 상기 주입구 연장부(271)는 본체(200)의 하부에 위치하는 주입로(341)와 연결된 구조이다.
원하는 시료의 원심 분리를 위해 상부판(100)의 주입구(101)로 시료를 주입하면, 주입구 연장부(271) 및 주입로(341)를 통해 주입된 시료가 제3 분리부(213)로 이동한다.
이때, 제1 벤트홀(131)을 개방시키면 공기 순환에 의해 제3 분리부(213)로 주입된 시료가 제2 격벽(312)을 타고 제2 분리부(212)로 이동하고, 이후 제1 격벽(311)을 타고 제1 분리부(211)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분리부가 제1 분리부 내지 제3 분리부를 포함하나, 필요에 따라 분리부를 더 추가할 수 있다.
상기 제1 벤트홀(131)은 상부판(100)에서 후술할 원심 분리 장치의 회전축에 가까운 영역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원심 분리를 위하여 주입하는 시료, 예를 들면, 혈액은 원심 분리 장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가장 먼 곳에 위치하는 제3 분리부 영역부터 채우는 방식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주입되는 시료가 밀어내는 공기가 상부의 제1 벤트홀(131)을 통해 빠져 나가기 때문에 시료 주입이 원활하다. 또한, 시료에 거품이 생기지 않아 시료 내에 포함된 유효 성분, 예를 들면, 세포 등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신속하게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 내로 쉽고 신속하게 시료를 주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분리부(210)의 상면이 개구인 형태이나 필요에 따라 분리부(210) 상면은 밀폐된 형태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분리부가 밀폐된 상면을 갖는 경우 제1 분리부 상면에는 상기 제1 벤트홀과 일체를 이루는 제1 벤트홀 연장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200)는 추출부(220)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부(220)는 제1 추출부(221), 제2 추출부(222) 및 제3 추출부(223)를 포함한다.
제1 추출부(221)는 제1 분리부(211)에 분리된 성분을 이동시켜 수용하는 공간이고, 제2 추출부(222)는 제1 추출부(221)에 이동된 성분을 추가 분리한 후 추가 분리된 성분을 이동시켜 수용하는 공간이다.
구체적으로, 제1 분리부(211)는 본체(200)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 추출로(321)와 연결되어 있다. 원심 분리 후 제1 분리부(211)에 분리된 성분은, 제1 분리부(211)와 연결된 제1 추출로(321)를 통해 이동되어 제1 추출부(221)에 수용된다.
본체(200)는 상기 제1 추출로(321)의 일부 영역과 중첩하여 위치하는 제1 밸브 유닛(231)을 포함한다. 이때, 제1 밸브 유닛(231) 내에는 제1 밸브가 위치하고, 제1 추출로(321)는 상기 제1 밸브에 의해 개폐된다. 따라서, 원심 분리 후에 제1 분리부(211)에 분리된 성분의 추출을 위하여, 제1 밸브를 구동시켜 상기 제1 추출로(321)를 개방함으로써 제1 분리부에 분리된 성분을 제1 추출부(221)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분리부에 분리된 후 제1 추출로(321)를 통해 제1 추출부(221)에 수용된 성분은, 원심 분리를 한번 더 진행하는 방법으로 추가 분리되어 상기 제1 추출부(221)에 연결된 제2 추출로(322)를 통해 제2 추출부(222)로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원심 분리되어 제1 분리부에 분리된 성분 중 오염원을 보다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
시료로 예를 들어, 혈액을 주입하는 경우, 원심 분리를 통해 제1 분리부(211) 내에 위치하는 분리된 성분은 플라즈마이다.
이러한 플라즈마는 환자의 조직을 직접 적출하지 않고, 혈액으로 분비되어 나온 특정 조직의 일부를 활용하여 진단을 수행하는 액체 생검의 한가지 방법으로서 사용되는 유리 DNA (cell free DNA)의 유전체 분석에 이용된다. 즉, 유리 DNA의 유전체 분석에서는 전혈(whole blood)의 성분 분리 후 얻어진 플라즈마(plasma)를 2회 추가로 원심 분리를 하여 오염원을 제거함으로써 진단의 정확성을 높이는 방법이 일반화 되어 있다. 이 경우 여러 개의 튜브를 바꿔가며 혈액의 성분을 수작업으로 나눠 담고, 이를 다시 연속적으로 원심분리를 해야 하는 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고 수행인력의 숙련도가 진단 결과의 정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비용상승의 원인이 된다.
그런데 본 실시예와 같이 제1 추출부(221)에 1차적으로 플라즈마를 분리한 후 추가적인 원심 분리를 진행한 후 제1 추출부(221)에 분리된 상층액을 제2 추출부(222)에 수용함으로써 다른 DNA 성분에 의해 오염되지 않은 플라즈마를 얻을 수 있다.
제1 추출부(221)는 밀폐된 상면에 제2 벤트홀 연장부(252)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벤트홀 연장부(252)는 상부판(100)에 위치하는 제2 벤트홀(132)과 일체를 이루는 구조이다. 상기 제2 벤트홀(132)은 제1 분리부(211)에서 분리된 성분을 제1 추출부(221)로 이동시키는 경우, 즉 제1 밸브가 개방되는 경우, 제2 벤트홀(132)도 개방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제1 추출부(221)에서 추가 분리된 성분을 제2 추출부(222)로 이동시키는 경우, 즉, 제2 밸브가 개방되는 경우, 제2 벤트홀(132)도 개방되어 있어야 한다. 제1 밸브의 폐쇄시에는 제2 벤트홀(132)도 닫혀있을 수 있다.
제1 추출부(221)는 본체(200)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추출로와 연결되어 있다. 제1 추출부(221)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추가 원심 분리된 성분은, 제1 추출부(221)와 연결된 제2 추출로(322)를 통해 이동되어 제2 추출부(222)에 수용된다.
상기 제2 추출부(222)는 제1 인출부(241)를 포함한다. 제1 인출부(241)는 본체(200)의 상부면 및 하부면이 개방된 통공된 형태이고 상부가 하부 보다 큰 지름을 갖는 원추 형상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인출부(241)의 상부 개구는 상부판(100)에 위치하는 제1 인출구(121)와 일체를 이루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추가 분리되어 제2 추출부(222)에 수용된 성분은 상기 제1 인출구(121)를 통해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이때, 제1 인출구(121)를 통한 외부로의 인출은 예를 들면, 피펫 등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다음, 제2 분리부(212)는 본체(200)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3 추출로(323)와 연결되어 있다. 원심 분리 후 상기 제2 분리부(212)에 분리된 성분은, 제2 분리부(212)와 연결된 제3 추출로(323)를 통해 이동되어 제3 추출부(223)에 수용된다.
본체(200)는 제3 추출로(323)의 일부 영역와 중첩하여 위치하는 제3 밸브 유닛(233)을 포함한다. 이때, 제3 밸브 유닛(233) 내에는 제3 밸브가 위치하고, 제3 추출로(323)는 상기 제3 밸브에 의해 개폐된다. 따라서, 원심 분리 후에 제2 분리부(212)에 분리된 성분의 추출을 위하여, 제3 밸브를 구동시켜 제3 추출로(323)를 개방함으로써 제2 분리부(212)에 분리된 성분을 제3 추출부(223)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3 추출부(223)는 제2 인출부(242)를 포함한다. 제2 인출부(242)는 본체(200)의 상부면 및 하부면이 개방된 통공된 형태이고 상부가 하부 보다 큰 지름을 갖는 원추 형상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인출부(242)의 상부 개구는 상부판(100)에 위치하는 제2 인출구(122)와 일체를 이루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제3 추출부(223)에 수용된 성분은 상기 제2 인출구(122)를 통해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이때, 제2 인출구(122)를 통한 외부로의 인출은 예를 들면, 피펫 등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3 분리부(213)에 분리된 성분도 원하는 경우 별도로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분리부(212)에 분리된 성분을 외부로 인출하는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밸브를 이용하여 제3 분리부(213)의 분리된 성분을 추출한 후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상부판(100)은 원심 분리를 위하여 시료를 주입하거나 원심 분리된 각 성분을 외부로 인출할 때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주입구(101) 및 인출구(121, 122)를 포함한다.
상기 주입구(101)는 원심 분리 전 분리부에 시료를 주입하기 위한 것이고, 인출구는 원심 분리된 시료의 각 성분을 성분 별로 추출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주입구는 제1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토퍼는, 예를 들면,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며, 주입구의 테두리를 감싸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스토퍼를 포함함으로써 원심 분리를 위하여 시료를 주입하는 경우 회전 등 원심 분리용 챔버를 조작하는 경우 의도하지 못한 상황에 의해 주입된 시료가 밖으로 튀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 공기 중의 오염물질의 혼입과 오염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인출구는 제1 인출구(121) 및 제2 인출구(12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인출구(121)는 원심 분리된 시료의 성분 중 제2 추출부(222)에 수용된 성분을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1 인출구(121)는 제2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토퍼는, 예를 들면,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며, 제1 인출구(121)의 테두리를 감싸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스토퍼는 분리된 성분을 외부로 인출하기 위해 뾰족한 형상의 피펫 팁(pipette tip)으로 누를 때에만 제1 인출구(121)가 개방되고, 평소에는 닫혀 있을 수 있도록 제2 스토퍼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2 추출부(222)에 분리된 성분을 외부로 인출할 때 외에는 분리된 성분이 의도하지 못한 상황에 의해 밖으로 튀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 공기 중의 오염물질의 혼입과 오염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추출부(222)에 수용된 성분은, 예를 들면, 원심 분리 후 제1 분리부에서 분리된 성분을 제1 추출부(221)로 이동시킨 후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은 성분을 추가 분리하여 제2 추출부(222)로 이동시킨 것으로 순도가 높은 액체 성분이다.
또한, 제2 인출구(122)는 원심 분리된 시료의 성분 중 제3 추출부(223)에 수용된 성분을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2 인출구(122)는 제3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스토퍼는, 예를 들면, 고무재질로 되어 제2 인출구(122)의 테두리를 감싸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스토퍼를 포함함으로써 제3 추출부(223)에 분리된 성분을 외부로 인출할 때 외에는 분리된 성분이 의도하지 못한 상황에 의해 밖으로 튀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 공기 중의 오염물질의 혼입과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상부판(100)은 주입구 및 인출구와 함께 제1 벤트홀(131) 및 제2 벤트홀(132)을 포함한다.
제1 벤트홀(131)은 본체(200)에 위치하는 제1 분리부(211)의 상면에 위치한다. 필요에 따라 분리부(210)의 상면이 밀폐된 구조를 가지는 경우 제1 분리부(211)의 상면에는 제1 벤트홀 연장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벤트홀(132)은 본체(200)에 위치하는 제1 추출부(221)에 포함되는 제2 벤트홀 연장부(252)와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상부판(100)은 제1 밸브홀(111), 제2 밸브홀(112), 제3 밸브홀(113)을 포함한다.
제1 밸브홀(111)은 제1 밸브 유닛(231)과 연결된다.
상기 제1 밸브 유닛(231)은, 본체(200)에 위치하는 제1 추출로(321)의 일부 영역과 중첩하여 위치한다. 제1 밸브 유닛(231) 내에 위치하는 제1 밸브는, 제1 밸브홀(111)을 통해 구동되며, 상기 제1 밸브를 통해 제1 추출로(321)를 개폐함으로써 제1 분리부에 분리된 성분의 이동을 통제할 수 있다.
제2 밸브홀(112)은 제2 밸브 유닛(232)과 연결된다.
상기 제2 밸브 유닛(232)은, 본체(200)에 위치하는 제2 추출로(322)의 일부 영역과 중첩하여 위치한다. 제2 밸브 유닛(232) 내에 위치하는 제2 밸브는, 제2 밸브홀을 통해 구동되며, 상기 제2 밸브를 통해 제2 추출로(322)를 개폐함으로써 제1 추출부(221)에 수용된 성분의 이동을 통제할 수 있다.
제3 밸브홀(113)은 제3 밸브 유닛(233)과 연결된다.
상기 제3 밸브 유닛(233)은, 제3 추출로(323)의 일부 영역과 중첩하여 위치한다. 제3 밸브 유닛(233) 내에 위치하는 제3 밸브는, 제3 밸브홀(113)을 통해 구동되며, 상기 제3 밸브를 통해 제3 추출로(323)를 개폐함으로써 제2 분리부(212)에 분리된 성분의 이동을 통제할 수 있다.
하부판(300)은 본체(200) 하부에 일부 형성된 개구를 밀폐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격벽(311) 및 제2 격벽(312)이 본체(200)에 형성된 구조를 도시하였다. 그러나 제1 격벽(311) 및 제2 격벽(312)은 필요에 따라 하부판(300)으로부터 돌출된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500)는, 상부판(100), 본체(200) 및 하부판(30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에서 상부판(100)은, 제1 주입구(401) 및 제2 주입구(402)를 포함한다.
또한, 본체(200)는 제1 주입구 연장부(411) 및 제2 주입구 연장부(412)를 포함한다.
제1 주입구(401)는 원심 분리를 위해 시료, 예를 들면, 혈액을 주입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주입구(402)는 시료 중 특정 성분, 예를 들어, 시료로 혈액을 주입하는 경우 혈액 성분 중 말초 혈액 단핵세포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 PBMC)만을 분리하기 위한 피콜 용액을 주입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에는 이러한 PBMC만을 분리하기 위해서, 하나의 시험관에 피콜 용액을 투입한 후 그 위에 혈액을 조심스럽게 주입하여 두 층을 만든 후 원심 분리를 진행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주입구(401, 402)를 포함하는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를 이용하는 경우 시료와 피콜 용액을 편리하고 쉽게 주입하여 원하는 성분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주입구를 포함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주입구는 더 추가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주입구(401)를 통해 주입된 시료는, 상기 제1 주입구 연장부(411)를 통과한 후 상기 제2 분리부(212)와 연결된 제1 주입로(421)를 통해 상기 제2 분리부 및 제1 분리부로 이동된다.
상기 제2 주입구(402)를 통해 주입된 피콜 용액은, 상기 제2 주입구 연장부(412)를 통과한 후 상기 제3 분리부와 연결된 제2 주입로(422)를 통해 상기 제3 분리부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두 개의 주입구를 이용하여 시료, 예를 들면, 혈액 및 피콜 용액을 주입하는 경우, 피콜 용액은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를 기준으로 혈액 보다 바깥쪽이 위치 시킨다. 원심 분리가 수행되면 원심력에 의한 비중차에 의해 피콜 용액이 제2 분리부로 이동하면서 PBMC 층을 형성시킨다.
도 4 및 도 5에서 상기 제1 주입구(401), 제2 주입구(402), 제1 주입구 연장부(411), 제2 주입구 연장부(412), 제1 주입로(421) 및 제2 주입로(422)를 제외한 다른 구성은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와 동일한 구성인 바 전술한 것과 동일한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도 4 및 도 5에서도 도 1 및 도 2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내었다.
도 6은 도 4의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를 I-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분리부(210)는 일 방향으로 나란히 위치하는 제1 분리부(211), 제2 분리부(212) 및 제3 분리부(21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분리부(211) 및 제2 분리부(212)는 분리부(210) 내에 위치하는 제1 격벽(311)에 의해 각 영역이 분리된다.
또한, 제1 격벽(311)은 상부판(100)과 소정 간격(H1)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바닥면과 소정의 각도(A1, A2)를 갖도록 형성된다.
제2 격벽(312)은 상부판(100)과 소정 간격(H2)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바닥면과 소정의 각도(A3, A4)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제1 및 제2 격벽의 특징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에서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도 6에서는 도 3과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에서, 전술한 구성 외의 나머지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 일 실시예의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바,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에 의하면 시료를 주입한 후 원심 분리된 성분을 별도의 수작업을 거치지 않고도 쉽게 성분 별로 분리할 수 있고, 원심 분리 후 회전 운동이 멈춘 상태에서도 분리된 성분 간 혼합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분리된 각 성분을 고 품질로 쉽게 수득할 수 있다.
또한, 밸브를 이용하여 분리된 각 성분 중 원하는 성분만을 선택적으로 쉽게 추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편의를 획기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아울러,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주입구를 포함하기 때문에 시료, 예를 들면, 혈액 외에 원심 분리에 필요한 다른 재료의 투입이 필요한 경우 간편하게 투입하여 원하는 성분을 추출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1000)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500)를 적어도 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둘 이상의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500)는 원심 분리 장치(1000)에서 회전축(600)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위치한다. 도 7에서는 편의상 두 개의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500)를 포함하는 경우만을 도시하였으나, 상기한 바와 같이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한다면 필요에 따라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500)의 개수를 적절히 늘릴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부호의 설명]
1000: 원심 분리 장치
500: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
100: 상부판
200: 본체
300: 하부판
210: 분리부
211: 제1 분리부
212: 제2 분리부
213: 제3 분리부
220: 추출부
221: 제1 추출부
222: 제2 추출부
223: 제3 추출부
311: 제1 격벽
312: 제2 격벽
101: 주입구

Claims (39)

  1. 원심 분리된 시료의 각 성분이 분리되어 위치하는 분리부 및 상기 분리부에 위치하는 각 성분을 이동시켜 수용하는 추출부를 포함하는 본체;
    원심 분리를 위해 시료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 및 상기 추출부에 수용된 분리된 성분을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인출구를 포함하는 상부판; 그리고
    상기 본체 하부의 개구를 밀폐하는 하부판
    을 포함하는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일 방향으로 나란히 위치하는 제1 분리부, 제2 분리부 및 제3 분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심 분리된 시료의 각 성분은, 상기 제1 분리부, 제2 분리부 및 제3 분리부 내에 각각 위치하는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리부 및 제2 분리부는 제1 격벽에 의해 분리되는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격벽은 상기 상부판과 0.1mm 내지 2mm 정도 이격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리부 영역의 바닥면과 상기 제1 격벽이 이루는 각도는 91도 내지 179도 범위인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분리부 영역의 바닥면과 상기 제1 격벽이 이루는 각도는 85도 내지 179도 범위인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분리부 및 제3 분리부는 제2 격벽에 의해 분리되는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격벽은 상기 상부판과 0.1mm 내지 2mm 정도 이격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분리부 영역의 바닥면과 상기 제2 격벽이 이루는 각도는 91도 내지 179도 범위인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분리부 영역의 바닥면과 상기 제2 격벽이 이루는 각도는 90도 내지 179도 범위인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리부는 상기 본체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 추출로와 연결되고,
    원심 분리 후 상기 제1 분리부에 분리된 성분은, 상기 제1 추출로를 통해 이동되어 제1 추출부에 수용되는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추출로의 일부 영역과 중첩하여 위치하는 제1 밸브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추출로는, 상기 제1 밸브 유닛에 위치하는 제1 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것인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추출부는 상기 본체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추출로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분리부에 분리되어 상기 제1 추출부에 수용된 성분은, 추가 분리되어 상기 제2 추출부를 통해 이동되어 제2 추출부에 수용되는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2 추출로의 일부와 중첩하여 위치하는 제2 밸브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추출로는 상기 제2 밸브 유닛에 위치하는 제2 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것인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구는 제1 인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추출부는 상기 제1 인출구와 일체를 이루는 제1 인출구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추출부에 수용된 상기 추가 분리된 성분은, 상기 제1 인출구 연장부 및 상기 제1 인출구를 통해 외부로 인출되는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출구는 제2 스토퍼를 포함하는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
  1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분리부는 상기 본체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3 추출로에 연결되고,
    원심 분리 후 상기 제2 분리부에 분리된 성분는, 상기 제3 추출로를 통해 이동되어 제3 추출부에 수용되는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3 추출로의 일부 영역과 중첩하여 위치하는 제3 밸브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추출로는, 상기 제3 밸브 유닛 내에 위치하는 제3 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것인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구는 제2 인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추출부는 상기 제2 인출구와 일체를 이루는 제2 인출구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분리부에 분리되어 상기 제3 추출부에 수용된 성분은, 상기 제2 인출구 및 상기 제2 인출구 연장부를 통해 외부로 인출되는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출구는 제3 스토퍼를 포함하는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
  2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하로 관통하는 통공된 형태의 주입구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판에 위치하는 상기 주입구는 상기 주입구 연장부와 일체를 이루는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를 통해 주입된 시료는 상기 주입구 연장부을 통과한 후 상기 제3 분리부와 연결된 주입로를 통해 상기 제3 분리부, 제2 분리부 및 제1 분리부로 이동되는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
  2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은 제1 벤트홀을 포함하는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는 제1 스토퍼를 포함하는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
  25. 원심 분리된 시료의 각 성분이 분리되어 위치하는 분리부 및 상기 분리부에 위치하는 각 성분을 이동시켜 수용하는 추출부를 포함하는 본체;
    원심 분리를 위해 시료를 주입하기 위한 제1 주입구, 피콜 용액을 주입하기 위한 제2 주입구 및 상기 추출부에 수용된 분리된 성분을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인출구를 포함하는 상부판; 그리고
    상기 본체 하부의 개구를 밀폐하는 하부판
    을 포함하는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일 방향으로 나란히 위치하는 제1 분리부, 제2 분리부 및 제3 분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심 분리된 시료의 각 성분은, 상기 제1 분리부, 제2 분리부 및 제3 분리부 내에 각각 위치하는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리부 및 제2 분리부는 제1 격벽에 의해 분리되는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격벽은 상기 상부판과 0.1mm 내지 2mm 정도 이격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리부 영역의 바닥면과 상기 제1 격벽이 이루는 각도는 91도 내지 179도 범위인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
  30. 상기 2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분리부 영역의 바닥면과 상기 제1 격벽이 이루는 각도는 85도 내지 179도 범위인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
  31.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분리부 및 제3 분리부는 제2 격벽에 의해 분리되는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격벽은 상기 상부판과 0.1mm 내지 2mm 정도 이격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분리부 영역의 바닥면과 상기 제2 격벽이 이루는 각도는 91도 내지 179도 범위인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
  3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분리부 영역의 바닥면과 상기 제2 격벽이 이루는 각도는 90도 내지 179도 범위인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
  35.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하로 관통하는 통공된 형태의 제1 주입구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판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주입구는 상기 제1 주입구 연장부와 일체를 이루는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입구를 통해 주입된 시료는, 상기 제1 주입구 연장부를 통과한 후 상기 제2 분리부와 연결된 제1 주입로를 통해 상기 제2 분리부 및 제1 분리부로 이동되는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
  3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하로 관통하는 통공된 형태의 제2 주입구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판에 위치하는 상기 제2 주입구는 상기 제2 주입구 연장부와 일체를 이루는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입구를 통해 주입된 피콜 용액은, 상기 제2 주입구 연장부를 통과한 후 상기 제3 분리부와 연결된 제2 주입로를 통해 상기 제3 분리부로 이동되는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
  39. 제1항 내지 제38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를 적어도 둘 이상 포함하는 원심 분리 장치.
PCT/KR2020/013307 2019-10-02 2020-09-29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 및 이를 포함하는 원심 분리 장치 WO2021066506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764,726 US20220314238A1 (en) 2019-10-02 2020-09-29 Chamber for centrifuge and centrifuge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201A KR102091124B1 (ko) 2019-10-02 2019-10-02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 및 이를 포함하는 원심 분리 장치
KR10-2019-0122201 2019-10-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66506A1 true WO2021066506A1 (ko) 2021-04-08

Family

ID=69957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3307 WO2021066506A1 (ko) 2019-10-02 2020-09-29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 및 이를 포함하는 원심 분리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314238A1 (ko)
KR (1) KR102091124B1 (ko)
WO (1) WO20210665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1124B1 (ko) * 2019-10-02 2020-03-19 주식회사 클리노믹스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 및 이를 포함하는 원심 분리 장치
KR102453701B1 (ko) * 2020-06-30 2022-10-12 주식회사 클리노믹스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 및 이를 포함하는 원심 분리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2674A (ja) * 2006-03-03 2007-09-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遠心分離デバイス及び遠心分離方法
KR100818290B1 (ko) * 2006-12-11 2008-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성분 분리 장치 및 성분 분리 방법
JP2014103966A (ja) * 2012-11-28 2014-06-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微小流体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標的細胞濃縮方法
KR20140071814A (ko) * 2012-12-04 2014-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미세유동장치 및 이를 채용한 생물학적 시료 내의 표적 물질 농축방법
KR102091124B1 (ko) * 2019-10-02 2020-03-19 주식회사 클리노믹스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 및 이를 포함하는 원심 분리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2674A (ja) * 2006-03-03 2007-09-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遠心分離デバイス及び遠心分離方法
KR100818290B1 (ko) * 2006-12-11 2008-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성분 분리 장치 및 성분 분리 방법
JP2014103966A (ja) * 2012-11-28 2014-06-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微小流体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標的細胞濃縮方法
KR20140071814A (ko) * 2012-12-04 2014-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미세유동장치 및 이를 채용한 생물학적 시료 내의 표적 물질 농축방법
KR102091124B1 (ko) * 2019-10-02 2020-03-19 주식회사 클리노믹스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 및 이를 포함하는 원심 분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14238A1 (en) 2022-10-06
KR102091124B1 (ko) 2020-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66506A1 (ko)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 및 이를 포함하는 원심 분리 장치
WO2011071353A2 (ko) 원심분리관
US7578975B2 (en) Device and method for separating components of a fluid sample
JP4398033B2 (ja) 流体サンプルの成分分離用アセンブリ
WO2019103313A2 (ko) 혈액 성분 원심분리 장치
WO2011052910A2 (ko) 원심분리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원심분리 방법
WO2014112794A1 (ko) 재생성 세포 추출장치, 재생성 세포 추출 시스템, 이를 이용한 재생성 세포 추출방법
WO2019132406A1 (ko) 카트리지를 이용한 핵산 추출 방법
WO2011052948A2 (ko) 재생성 세포 추출유닛 및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
JP2000199760A (ja) 流体サンプルの成分分離用アセンブリおよび方法
WO2010131880A2 (ko) 분리가능한 원심분리기용 시험관
WO2011112023A2 (ko) 혈구 분리 칩
WO2011155707A2 (en) Stopper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
WO2013180495A1 (ko) 다-채널 하향 액체 주입 장치, 이를 포함하는 핵산 추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핵산 추출 방법
EP0669855B1 (en) Device for collection and processing of biological samples
WO2015163688A1 (ko) 세포 도말 장치 및 세포 도말 방법
WO2023018109A1 (ko) 유체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원심 분리 방법
WO2015056876A1 (ko) 자동 세포 도말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21172792A1 (ko) 원심력을 이용한 유체 제어 장치
WO2017051969A1 (ko) 지방조직 유래 기질혈관분획 분리용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지방조직 유래 기질혈관분획의 분리 방법
WO2011055873A1 (ko) 생물학적 시료로부터의 생화학적 물질의 추출장치
KR102508907B1 (ko) 원심 분리 장치용 챔버 및 이를 포함하는 원심 분리 장치
WO2013176400A1 (ko) 지속적인 입자/층 분리를 위한 분리 용기 및 이를 이용한 입자/층 분리 방법
WO2020222417A1 (ko) 가압식 검체 샘플링 장치
JP2006280318A (ja) 分離回収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87082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87082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