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4819B1 - 검체 용기 - Google Patents
검체 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34819B1 KR101934819B1 KR1020180058704A KR20180058704A KR101934819B1 KR 101934819 B1 KR101934819 B1 KR 101934819B1 KR 1020180058704 A KR1020180058704 A KR 1020180058704A KR 20180058704 A KR20180058704 A KR 20180058704A KR 101934819 B1 KR101934819 B1 KR 1019348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p
- engaging means
- container
- slit
- side wal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1/00—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arts thereof
- A01N1/02—Preservation of living parts
- A01N1/0236—Mechanical aspects
- A01N1/0263—Non-refrigerated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or storing living parts whilst preserving, e.g. cool boxes, blood bags or "straws" for cryopreserv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16—Reagents, handling or storing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1—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 B01L2300/044—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pierceable, e.g. films, membra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6—Function or devices integrated in the closure
- B01L2300/047—Additional chamber, reservoi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72—Integrated piercing too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32—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cylindrical, tube shap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12—Specific details about materials
- B01L2300/123—Flexible; Elastomer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ntistr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상부가 개방된 검체 수용부; 및 상기 검체 수용부의 상측에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된 환형의 체결 바디를 포함하는 캡부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 바디의 내경은 상기 검체 수용부의 외경 보다 크고, 상기 검체 수용부는 제1 용기 결합 수단, 및 상기 제1 용기 결합 수단 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제2 용기 결합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 바디는 상기 제1 용기 결합 수단과 결합 구조를 형성하는 제1 캡부 결합 수단, 및 상기 제1 캡부 결합 수단 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용기 결합 수단과 결합 구조를 형성하는 제2 캡부 결합 수단을 포함하는 검체 용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검체 보존을 위한 검체 용기에 관한 것이다.
검체 용기는 세포학적 진단을 위해 피검자로부터 채취한 조직 또는 체액 등의 검체를 수용, 보관, 운반할 수 있도록 보존하는 용기이다. 채취된 검체는 검체 용기 내에 보관되거나, 또는 포르말린 용액 등의 보존액에 희석, 혼합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포르말린 용액은 휘발성이 있고 독성이 있어 사람에게 위험하므로 취급시 주의가 요구된다. 이러한 이유로 검체 용기에 포르말린 용액을 주입할 때 사용자는 방독면을 착용하여 휘발된 포르말린을 흡입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특허문헌 1은 캡부의 누름부에 외력을 가하여 절취 유닛을 하방 이동시킴으로써 밀봉 시트를 절개하고, 조직 보존액과 조직을 혼합할 수 있는 검체 용기를 개시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검체 용기는 절취 유닛이 밀봉 시트를 절개할 수 있을 정도로 강한 외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사용자로 하여금 불편함을 초래하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검체 및 보존액에 대한 보존 안정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보다 용이한 방법으로 검체와 보존액을 혼합할 수 있는 검체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용기는, 상부가 개방된 검체 수용부; 및 상기 검체 수용부의 상측에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된 환형의 체결 바디를 포함하는 캡부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 바디의 내경은 상기 검체 수용부의 외경 보다 크고, 상기 검체 수용부는 제1 용기 결합 수단, 및 상기 제1 용기 결합 수단 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제2 용기 결합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 바디는 상기 제1 용기 결합 수단과 결합 구조를 형성하는 제1 캡부 결합 수단, 및 상기 제1 캡부 결합 수단 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용기 결합 수단과 결합 구조를 형성하는 제2 캡부 결합 수단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용기는 보존액이 수용된 캡부 및 검체가 수용된 검체 수용부 간의 나사 조임을 통해 밀봉 시트를 절개할 수 있어 보다 용이한 방법으로 검체와 보존액을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검체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검체 용기의 단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슬릿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검체 용기의 캡부와 검체 수용부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검체 용기의 캡부와 검체 수용부가 클립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검체 용기의 캡부와 검체 수용부가 나사 조임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검체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검체 용기의 단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슬릿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검체 용기의 캡부와 검체 수용부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검체 용기의 캡부와 검체 수용부가 클립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검체 용기의 캡부와 검체 수용부가 나사 조임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용기(1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검체 용기(1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검체 용기(10)의 단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슬릿부(300)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검체 용기(10)는 제1 내부 공간(S1)을 갖는 캡부(100), 제2 내부 공간(S2)을 갖는 검체 수용부(200) 및 캡부(100)와 검체 수용부(200) 사이에 위치하는 슬릿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캡부(100)의 제1 내부 공간(S1)은 밀폐된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부 공간(S1)은 비어 있거나, 또는 포르말린 용액 등의 보존액(400)이 수용된 상태일 수 있다. 휘발성 및/또는 독성을 갖는 보존액(400)을 완전히 밀폐된 제1 내부 공간(S1)에 수용함으로써 검체(미도시)와 보존액(400)의 혼합 과정에서 사용자가 보존액(400)에 노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캡부(100)는 대략 환형의 체결 바디(110), 환형의 체결 바디(110)의 내주면 상부측에 배치된 천정부(130), 천정부(130)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원통형의 측벽부(150) 및 측벽부(150)의 하단에 배치된 밀봉 시트(170)를 포함할 수 있다. 캡부(100)와 검체 수용부(200)가 체결된 상태에서 캡부(100)의 측벽부(150)의 적어도 일부 및 밀봉 시트(170)는 검체 수용부(20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체결 바디(110)는 검체 수용부(200)와 결합을 형성하는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환형의 체결 바디(110)는 검체 수용부(200)와 가역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제1 캡부 결합 수단(111) 및 제2 캡부 결합 수단(11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가역적 결합 수단'은 체결과 해제가 반복적으로 가능한 결합 수단을 의미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캡부 결합 수단(111)은 끼움 결합 내지는 클립 결합이 가능한 홈 내지는 트렌치를 포함하고, 제2 캡부 결합 수단(113)은 나사 조임 결합이 가능한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캡부 결합 수단(111) 및 제2 캡부 결합 수단(113)은 각각 체결 바디(110)의 내주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 제2 캡부 결합 수단(113)은 제1 캡부 결합 수단(111)에 비해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캡부 결합 수단(111) 및 제2 캡부 결합 수단(113)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후술한다.
천정부(130)는 체결 바디(110)의 내주면의 상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천정부(130)는 측벽부(150)의 상단에 배치되어 캡부(100)의 상단을 이루는 덮개를 형성할 수 있다.
측벽부(150)는 천정부(130)의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측벽부(150)는 체결 바디(110) 및 천정부(130)와 물리적 경계 없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측벽부(150), 체결 바디(110) 및 천정부(130)는 상대적으로 우수한 강성을 갖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측벽부(150)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측벽부(150)의 상단은 천정부(130)와 맞닿고 측벽부(150)의 하단은 개방된 상태일 수 있다.
또, 측벽부(15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체결 바디(110)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벽부(150)의 외경은 체결 바디(110)의 내경에 비해 작을 수 있다. 측벽부(150)의 외주면은 체결 바디(110)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측벽부(150)와 체결 바디(110)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해 천정부(130)의 하면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밀봉 시트(170)는 측벽부(150)의 하단에 배치되어 캡부(100)의 하단을 이루는 덮개를 형성할 수 있다. 밀봉 시트(170)는 액상의 보존액(400)이 투과하지 않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밀봉 시트(170)는 은박지나 합성 수지 박막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밀봉 시트(170), 천정부(130) 및 측벽부(150)는 함께 밀폐된 제1 내부 공간(S1)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검체 수용부(20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용기일 수 있다. 검체 수용부(200)의 제2 내부 공간(S2)은 비어있는 상태일 수 있다. 제2 내부 공간(S2)은 검체, 예컨대 인간의 객담이 보관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검체 수용부(200)는 캡부(100), 구체적으로 캡부(100)의 체결 바디(110)와 가역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제1 용기 결합 수단(211) 및 제2 용기 결합 수단(213)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용기 결합 수단(211)은 끼움 결합 내지는 클립 결합이 가능한 돌출 턱을 포함하고, 제2 용기 결합 수단(213)은 나사 조임 결합이 가능한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용기 결합 수단(211) 및 제2 용기 결합 수단(213)은 각각 검체 수용부(200)의 외주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 제2 용기 결합 수단(213)은 제1 용기 결합 수단(211)에 비해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용기 결합 수단(211) 및 제2 용기 결합 수단(213)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후술한다.
또, 검체 수용부(200)는 제2 내부 공간(S2) 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지지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230)는 검체 수용부(200)의 내측벽으로부터 돌출되어 소정의 높이를 형성하고, 후술할 슬릿부(300)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230)의 기능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후술한다.
한편, 캡부(100)와 검체 수용부(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캡부(100)와 검체 수용부(200) 사이에는 슬릿부(300)가 위치할 수 있다. 슬릿부(300)는 캡부(100)의 제1 내부 공간(S1)에 수용된 보존액(400)이 중력에 의해 제2 내부 공간(S2) 측으로 이동하는 경로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슬릿부(300)는 대략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슬릿(310s)들을 갖는 슬릿 플레이트(310), 슬릿 플레이트(310)의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슬릿 측벽부(330) 및 슬릿 플레이트(310)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35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슬릿 플레이트(310), 슬릿 측벽부(330) 및 돌출부(350)들은 서로 물리적 경계 없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슬릿 플레이트(310)는 대략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슬릿(310s)들을 가질 수 있다. 슬릿 플레이트(310)의 슬릿(310s)들은 제1 내부 공간(S1) 내의 보존액(400) 및 공기가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슬릿(310s)들을 방사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슬릿(310s)의 일부를 통해 제1 내부 공간(S1) 내의 보존액(400)이 제2 내부 공간(S2) 측으로 유입되도록 하고, 슬릿(310s)의 다른 일부를 통해 제2 내부 공간(S2) 내의 공기가 제1 내부 공간(S1) 측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검체 용기(10) 내부의 내압이 부분적으로 상승하거나 슬릿(310s)들이 보존액(400) 등에 의해 순간적으로 폐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검체 수용부(200) 내에 보관되는 검체(미도시)가 인간의 객담과 같이 점성을 가질 경우 객담과 보존액(400)이 접촉하여도 보존액(400) 내에 객담이 완전히 희석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검체 용기(10)는 슬릿(310s)에 의해 객담과 보존액(400)의 혼합 및 분산이 더욱 용이해질 수 있다.
슬릿 측벽부(330)는 캡부(100), 구체적으로 캡부(100)의 측벽부(150)와 맞닿아 결합되는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릿 측벽부(330)의 내경은 캡부(100)의 측벽부(150)의 외경보다 크거나 같고, 슬릿부(300)와 캡부(100)는 가역적인 끼움 결합이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슬릿 측벽부(330)는 단차부(330s)를 갖는 형상일 수 있다. 단차부(330s)의 기능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후술한다.
돌출부(350)는 슬릿 플레이트(31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후술할 것과 같이 캡부(100)와 검체 수용부(200)가 나사 조임될 경우 돌출부(350)에 의해 밀봉 시트(170)가 부분적으로 절개될 수 있다. 도 3 등은 돌출부(350)가 대략 원뿔 형상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밀봉 시트(170)를 절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면 돌출부(350)의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평면 시점에서 돌출부(350)의 배열은 실질적으로 불규칙할 수 있다. 밀봉 시트(170) 측으로 침투하여 밀봉 시트(170)를 절개하는 돌출부(350)의 배열이 불규칙적일 경우 절개된 밀봉 시트(170)의 형상을 다변화할 수 있고 보존액(400)의 원활한 흐름을 기대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더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검체 용기(10)의 기능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검체 용기의 캡부(100)와 검체 수용부(200)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를 더 참조하면, 검체 용기(10)의 캡부(100)와 검체 수용부(200)는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또, 검체 수용부(200)의 내경(D200a)은 슬릿부(300)의 슬릿 측벽부(330)의 외경(D330)보다 크고, 검체 수용부(200)의 외경(D200b)은 캡부(100)의 체결 바디(110)의 내경(D110) 보다 작을 수 있다.
캡부(100)의 측벽부(150)의 하단에는 슬릿부(300)가 결합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캡부(100)의 측벽부(150)와 슬릿부(300)의 슬릿 측벽부(330)는 서로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캡부(100)의 밀봉 시트(170)와 슬릿부(300)의 슬릿 측벽부(330)의 단차부(330s)는 이격되고, 캡부(100)의 밀봉 시트(170)와 슬릿부(300)의 돌출부(350)는 이격될 수 있다. 밀봉 시트(170)와 단차부(330s) 간의 이격 거리(L1)는 밀봉 시트(170)와 돌출부(350) 간의 이격 거리(L2) 보다 클 수 있다. 즉, 슬릿 플레이트(31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부(350)의 돌출 높이는 슬릿 플레이트(310)의 하면으로부터 단차부(330s)가 형성하는 높이 보다 클 수 있다. 또, 슬릿 측벽부(330)의 돌출 높이는 돌출부(350)의 돌출 높이 보다 클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검체 용기의 보존액(400)은 캡부(100)의 밀폐된 제1 내부 공간(S1)에 수용된 상태일 수 있다. 채취된 검체, 예컨대 인간의 객담(미도시) 등은 캡부(100)와 검체 수용부(200)가 완전히 분리된 상태에서 검체 수용부(200)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검체 용기의 캡부(100)와 검체 수용부(200)가 1차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을 더 참조하면, 검체 용기(10)의 캡부(100)와 검체 수용부(200)는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캡부(100)에 하방 압력을 가하거나, 및/또는 검체 수용부(200)에 상방 압력을 가함으로써 캡부(100)와 검체 수용부(200)는 결합될 수 있다. 검체 수용부(200)는 캡부(100)의 체결 바디(110)와 측벽부(150)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캡부(100)의 제1 캡부 결합 수단(111)(예컨대, 홈)과 검체 수용부(200)의 제1 용기 결합 수단(211)(예컨대, 돌출 턱)은 끼움 결합 내지는 클립 결합될 수 있다. 제1 캡부 결합 수단(111)과 제1 용기 결합 수단(211)이 결합 구조를 형성한 상태에서, 제2 캡부 결합 수단(113)과 제2 용기 결합 수단(213)은 서로 결합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캡부 결합 수단(111)과 제2 캡부 결합 수단(113) 간의 수직 최단 거리(L3)는 제1 용기 결합 수단(211)과 제2 용기 결합 수단(213) 간의 수직 최단 거리(L4) 보다 클 수 있다.
제1 캡부 결합 수단(111)과 제1 용기 결합 수단(211)이 결합 구조를 형성한 상태에서, 검체 수용부(200)의 지지부(230)의 상단은 슬릿부(300)의 슬릿 플레이트(310)의 하면과 맞닿을 수 있다. 즉, 지지부(230)는 슬릿부(300)의 하강을 방지하며 슬릿부(300)를 지지할 수 있다.
또, 제1 캡부 결합 수단(111)과 제1 용기 결합 수단(211)이 결합 구조를 형성한 상태에서, 캡부(100)의 밀봉 시트(170)와 슬릿부(300)의 슬릿 측벽부(330)의 단차부(330s)는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고, 캡부(100)의 밀봉 시트(170)와 슬릿부(300)의 돌출부(350)는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캡부 결합 수단(111)과 제1 용기 결합 수단(211)이 결합 구조를 형성한 상태에서, 캡부(100)의 천정부(130)의 하면과 검체 수용부(200)는 이격된 상태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검체 용기는 캡부(100)의 측벽부(150)의 외주면과 검체 수용부(200)의 내주면이 가능한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검체 수용부(200) 내에 수용된 검체(미도시)와 외부를 실질적으로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즉, 검체가 수용된 검체 용기(10)를 보관, 운반하고, 검체를 검사하는 과정에서 병균 등이 존재할 것으로 의심되는 검체가 외부의 공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검체 용기의 캡부(100)와 검체 수용부(200)가 나사 조임되어 2차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을 더 참조하면, 검체 용기(10)의 캡부(100)와 검체 수용부(200)는 더욱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캡부(100) 및/또는 검체 수용부(200)를 회전시켜 캡부(100)와 검체 수용부(200)를 나사 조임할 수 있다.
캡부(100)의 제2 캡부 결합 수단(113)(예컨대, 나사산)과 검체 수용부(200)의 제2 용기 결합 수단(213)(예컨대, 나사산)은 나사 조임 결합될 수 있다. 제2 캡부 결합 수단(113)과 제2 용기 결합 수단(213)이 결합 구조를 형성한 상태에서, 제1 캡부 결합 수단(111)과 제1 용기 결합 수단(211)은 서로 결합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용기 결합 수단(211)은 제1 캡부 결합 수단(111)과 제2 캡부 결합 수단(11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 제1 캡부 결합 수단(111)과 제1 용기 결합 수단(211)은 수직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캡부 결합 수단(111)과 제1 용기 결합 수단(211) 간의 결합 구조가 해제되고, 제2 캡부 결합 수단(113)과 제2 용기 결합 수단(213)이 결합 구조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캡부(100)와 검체 수용부(200)가 나사 조임됨에 따라 캡부(100)는 전체적으로 하방 이동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검체 수용부(200)의 지지부(230)의 상단은 슬릿부(300)의 슬릿 플레이트(310)의 하면과 맞닿으며 슬릿부(300)의 하강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캡부(100)와 검체 수용부(200)가 나사 조임됨에 따라 캡부(100)의 측벽부(150)와 슬릿부(300)의 단차부(330s) 간의 이격 거리는 점차 감소하고, 제2 캡부 결합 수단(113)과 제2 용기 결합 수단(213)이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 밀봉 시트(170)와 단차부(330s)는 맞닿을 수 있다. 또, 제2 캡부 결합 수단(113)과 제2 용기 결합 수단(213)이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 슬릿부(300)의 돌출부(350)는 밀봉 시트(170)를 부분적으로 절개하여 보존액(400)이 검체 수용부(200) 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제2 캡부 결합 수단(113)과 제2 용기 결합 수단(213)이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 캡부(100)의 천정부(130)의 하면과 검체 수용부(200)는 맞닿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검체 용기(10)는 밀봉 시트(170)에 의해 밀폐된 제1 내부 공간(S1) 내에 보존액(400)을 보관할 수 있다. 따라서 인체에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은 보존액(400)을 밀봉한 상태로 유지하다가, 보존액(400)을 별도로 주입하는 등의 번거로움 없이도 검체와 보존액(400)을 혼합할 수 있다.
또한 검체와 보존액(400)을 혼합하는 과정에 있어서도 검체가 보관된 검체 수용부(200)의 제2 내부 공간(S2)을 개방하지 않고서도 검체와 보존액(400)을 혼합할 수 있다. 즉, 환자로부터 채취되어 제2 내부 공간(S2)에 한번 수용된 검체는 보관, 운반 과정에서 외부 공기와 완전히 차단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병균이 공기 중으로 전파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캡부(100) 및/또는 검체 수용부(200)를 회전시켜 캡부(100)와 검체 수용부(200)를 나사 조임하는 동작만으로 밀봉 시트(170)를 절개할 수 있어 검체 용기(10)의 사용자의 용이한 조작을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캡부
200: 검체 수용부
300: 슬릿부
400: 보존액
200: 검체 수용부
300: 슬릿부
400: 보존액
Claims (6)
- 상부가 개방된 검체 수용부; 및
상기 검체 수용부의 상측에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된 체결 바디를 포함하는 캡부를 포함하되,
상기 검체 수용부는 제1 용기 결합 수단, 및 상기 제1 용기 결합 수단 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제2 용기 결합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 바디는 상기 제1 용기 결합 수단과 결합 구조를 형성하는 제1 캡부 결합 수단, 및 상기 제1 캡부 결합 수단 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용기 결합 수단과 결합 구조를 형성하는 제2 캡부 결합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캡부 결합 수단과 상기 제1 용기 결합 수단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캡부 결합 수단과 상기 제2 용기 결합 수단은 결합 구조를 형성하지 않고, 상기 제2 캡부 결합 수단은 상기 제2 용기 결합 수단 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검체 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기 결합 수단 및 상기 제2 용기 결합 수단은 각각 상기 검체 수용부의 외주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캡부 결합 수단 및 상기 제2 캡부 결합 수단은 각각 상기 체결 바디의 내주면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캡부 결합 수단과 상기 제1 용기 결합 수단은 클립 결합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캡부 결합 수단과 상기 제2 용기 결합 수단은 나사 조임 결합 구조를 형성하는, 검체 용기. -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슬릿을 갖는 슬릿 플레이트, 상기 슬릿 플레이트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슬릿 측벽부, 및 상기 슬릿 플레이트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슬릿 측벽부에 의해 둘러싸인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슬릿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슬릿 측벽부는 단차부를 갖는 형상이고,
상기 캡부는 상기 체결 바디의 내주면에 배치된 천정부, 상기 천정부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원통형의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의 하단에 배치된 밀봉 시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체 수용부는 그 내부 공간에 배치된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캡부의 상기 측벽부의 외경은 상기 캡부의 상기 체결 바디의 내경 보다 작고,
상기 슬릿부의 상기 슬릿 측벽부의 내경은 상기 캡부의 상기 측벽부의 외경 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슬릿 측벽부의 돌출 높이는 상기 돌출부의 돌출 높이 보다 큰, 검체 용기. - 제3항에 있어서,
평면 시점에서, 상기 슬릿부의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불규칙한 배열을 갖는 검체 용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검체 수용부의 상기 지지부는 상기 슬릿부의 상기 슬릿 플레이트와 맞닿고,
상기 캡부의 상기 밀봉 시트와 상기 슬릿부의 상기 슬릿 측벽부의 상기 단차부는 이격되고,
상기 캡부의 상기 밀봉 시트와 상기 슬릿부의 상기 돌출부는 이격되고,
상기 검체 수용부와 상기 캡부의 상기 천정부는 이격되도록 구성된, 검체 용기. - 상부가 개방된 검체 수용부;
상기 검체 수용부의 상측에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된 체결바디를 포함하고,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밀봉 시트를 더 포함하는 캡부; 및
상기 캡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복수의 개구를 갖는 슬릿 플레이트 및 상기 슬릿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슬릿부를 포함하되,
상기 검체 수용부는 제1 용기 결합 수단, 및 상기 제1 용기 결합 수단 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제2 용기 결합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 바디는 상기 제1 용기 결합 수단과 결합 구조를 형성하는 제1 캡부 결합 수단, 및 상기 제1 캡부 결합 수단 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용기 결합 수단과 결합 구조를 형성하는 제2 캡부 결합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캡부 결합 수단과 상기 제2 용기 결합 수단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캡부 결합 수단과 상기 제1 용기 결합 수단은 결합 구조를 형성하지 않고,
상기 제2 캡부 결합 수단과 상기 제2 용기 결합 수단이 나사 조임 결합 되는 과정에서, 상기 슬릿부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캡부의 상기 밀봉 시트를 절개하도록 구성된, 검체 용기.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8704A KR101934819B1 (ko) | 2018-05-24 | 2018-05-24 | 검체 용기 |
KR1020180170859A KR102436698B1 (ko) | 2018-05-24 | 2018-12-27 | 검체 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8704A KR101934819B1 (ko) | 2018-05-24 | 2018-05-24 | 검체 용기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70859A Division KR102436698B1 (ko) | 2018-05-24 | 2018-12-27 | 검체 용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34819B1 true KR101934819B1 (ko) | 2019-01-03 |
Family
ID=65021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58704A KR101934819B1 (ko) | 2018-05-24 | 2018-05-24 | 검체 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34819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9217Y1 (ko) * | 2019-01-31 | 2019-05-17 | (주) 메디포유 | 조직검체 용기 |
KR20200134132A (ko) * | 2019-05-21 | 2020-12-01 | 진영석 | 내부에 생리 식염수가 수용된 검체 용기 |
KR20230137728A (ko) * | 2022-03-22 | 2023-10-05 | 주식회사 마크로젠 | 샘플링 키트 |
KR102597772B1 (ko) * | 2023-07-28 | 2023-11-03 | (주) 메디포유 | 조직검체 운반용기 |
WO2024185952A1 (ko) * | 2023-03-06 | 2024-09-12 | 주식회사 골든바이오텍 | 의도치 않은 액체 이동이 감소된 검체 용기 |
KR102714472B1 (ko) * | 2019-05-21 | 2024-10-08 | 진영석 | 캡을 회전시켜서 검체를 고정하도록 구성된 검체 바이알 용기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29422Y1 (ko) * | 2006-08-08 | 2006-10-20 | 신도공업 주식회사 | 소아개방 방지용 계량컵이 구비된 용기 |
KR101736745B1 (ko) * | 2016-11-16 | 2017-05-29 | 김종민 | 조직 보존을 위한 검체용기 |
-
2018
- 2018-05-24 KR KR1020180058704A patent/KR10193481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29422Y1 (ko) * | 2006-08-08 | 2006-10-20 | 신도공업 주식회사 | 소아개방 방지용 계량컵이 구비된 용기 |
KR101736745B1 (ko) * | 2016-11-16 | 2017-05-29 | 김종민 | 조직 보존을 위한 검체용기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9217Y1 (ko) * | 2019-01-31 | 2019-05-17 | (주) 메디포유 | 조직검체 용기 |
KR20200134132A (ko) * | 2019-05-21 | 2020-12-01 | 진영석 | 내부에 생리 식염수가 수용된 검체 용기 |
KR20230075387A (ko) * | 2019-05-21 | 2023-05-31 | 진영석 | 검체 용기 |
KR102539681B1 (ko) * | 2019-05-21 | 2023-06-08 | 진영석 | 내부에 생리 식염수가 수용된 검체 용기 |
KR102671153B1 (ko) * | 2019-05-21 | 2024-05-31 | 진영석 | 검체 용기 |
KR102714472B1 (ko) * | 2019-05-21 | 2024-10-08 | 진영석 | 캡을 회전시켜서 검체를 고정하도록 구성된 검체 바이알 용기 |
KR20230137728A (ko) * | 2022-03-22 | 2023-10-05 | 주식회사 마크로젠 | 샘플링 키트 |
KR102685993B1 (ko) | 2022-03-22 | 2024-07-17 | 주식회사 마크로젠 | 샘플링 키트 |
WO2024185952A1 (ko) * | 2023-03-06 | 2024-09-12 | 주식회사 골든바이오텍 | 의도치 않은 액체 이동이 감소된 검체 용기 |
KR102597772B1 (ko) * | 2023-07-28 | 2023-11-03 | (주) 메디포유 | 조직검체 운반용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34819B1 (ko) | 검체 용기 | |
KR101736745B1 (ko) | 조직 보존을 위한 검체용기 | |
JP5936088B2 (ja) | 容器アセンブリおよび関連する方法 | |
KR102436698B1 (ko) | 검체 용기 | |
US6367622B1 (en) | Container with separate storage spaces | |
WO2014069150A1 (ja) | 薬剤容器収容装置、薬剤容器収容システム、及び薬剤の吸引方法 | |
US6766903B1 (en) | Container having separate storage chambers | |
US8136660B2 (en) | Multi compartment container system | |
KR102478408B1 (ko) | 휘산 용기 | |
JP2010105668A (ja) | 試薬容器のキャップ構造および試薬の分取方法 | |
JP2003252362A (ja) | 二剤混合滴下容器 | |
US20050167295A1 (en) | Portion closure and method of using | |
KR20180023521A (ko) | 액체용 소분용기 | |
KR20210000767U (ko) | 분리된 공간에 액상 물질이 수용된 검체 용기 | |
EP3452144A1 (en) | Syringe apparatus for transferring liquids into and out of a vial having a septum | |
KR101973555B1 (ko) | 검체 용기에 사용되는 거름 부재 | |
KR20220028602A (ko) | 이종물질 혼합장치 | |
KR101518700B1 (ko) | 내용물을 정교하게 따를 수 있는 용기 | |
JP2024022412A (ja) | 容器の蓋体 | |
KR101403358B1 (ko) | 시약 흘러내림 및 휘산 방지 기능이 있는 시약병캡 | |
JP5451585B2 (ja) | 揮散装置 | |
KR20190042514A (ko) | 돌출부를 포함하는 세포학적 진단용 거름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검체 용기 | |
JP2003226334A (ja) | 二剤混合滴下容器 | |
JP2005323828A (ja) | 試薬容器キャップ構造及び試薬の分取方法 | |
CN111659307A (zh) | 混合药剂用容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