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9112A - 회전 커넥터 장치 및 회전 커넥터 장치의 조립 구조 - Google Patents

회전 커넥터 장치 및 회전 커넥터 장치의 조립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9112A
KR20200129112A KR1020207026771A KR20207026771A KR20200129112A KR 20200129112 A KR20200129112 A KR 20200129112A KR 1020207026771 A KR1020207026771 A KR 1020207026771A KR 20207026771 A KR20207026771 A KR 20207026771A KR 20200129112 A KR20200129112 A KR 20200129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fixed
connector device
rotation
gui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6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0425B1 (ko
Inventor
히로후미 우츠노미야
Original Assignee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후루카와 에이에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후루카와 에이에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29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between relatively movable parts of the vehicle, e.g. between steering wheel and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62D15/021Determination of steering angle
    • B62D15/0215Determination of steering angle by measuring on the steering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62D15/021Determination of steering ang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2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01R35/025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having a flexible conductor wound around a rotation axi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4Turnable line connectors with limited rotation angle with frictional contact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62D15/021Determination of steering angle
    • B62D15/0215Determination of steering angle by measuring on the steering column
    • B62D15/022Determination of steering angle by measuring on the steering column on or near the connection between the steering wheel and steering colum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02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adapted to specific functions
    • F16D3/04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adapted to specific functions specially adapted to allow radial displacement, e.g. Oldham coupl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전축과, 회전 커넥터 장치의 중심축이 편심되어 있는 경우라도, 상기 고정체의 일부에서의 회동부가 부드럽게 회전할 수 있는 회전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회전 커넥터 장치(1)는, 스테이터(30) 측에서의 스티어링 샤프트(200)의 삽통 방향 측에 가동부재(40)가 구비되고, 가동부재(40)는 스테이터(30)의 중심 축(Cx) 방향과 직교하는 제1 방향(X)에, 삽통 방향을 따라서 패인 제1 오목부(42)와, 제2 방향(Y)에, 제1 오목부(42)와 반대 방향으로 패인 제2 오목부(43)로 구성되고, 로테이터(10)에 제1 오목부(42)와 헐겁게 결합해서 안내하는 제1 안내부(23)가 설치되고, 스테이터(30)에 설치한 중심축(Cx)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동부(70)에, 제2 오목부(43)와 헐겁게 결합해서 안내하는 제2 안내부(74)가 설치되고, 제1 오목부(42)와 제2 오목부(43)가 각각,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Description

회전 커넥터 장치 및 회전 커넥터 장치의 조립 구조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자동차 등의 차량에 장착되는 회전 커넥터 장치, 및 상기 회전 커넥터 장치를 차체에 조립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의 조립 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 본체에 장착되는 회전 커넥터 장치는, 회전체와 고정체를 상대 회전 가능하게 조립해서 구성하고 있으며, 회전체와 고정체 사이에 형성된 환상(環狀)의 수용 공간에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lexible Flat Cable)이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서 감거나 되감도록 수용되어 있다.
이러한 회전 커넥터 장치의 하나로서, 예를 들면, 제1 회전체와, 제1 회전체와 함께 고정체를 사이에 끼고 고정체에 대해서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제2 회전체로 회전체를 구성하면서 동시에, 제1 회전체와 제2 회전체 사이에 지름방향을 따른 긴 구멍 및 노치(切欠)를 설치한 중계(中繼) 탄성 부재를 개재시킨 회전 커넥터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특허문헌1 참조).
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중계 탄성 부재에 설치한 긴 구멍에 대해서 제1 회전체에 설치된 돌기가 끼워넣어지면서 노치에 대해 제2 회전체에 설치된 돌기가 걸려 고정되므로, 제1 회전체의 회전에 의한 흔들림을 중계 탄성 부재가 흡수할 수 있고, 제1 회전체와 함께 고정체를 사이에 끼는 제2 회전체를 부드럽게 회전할 수 있다고 되어 있다.
그러나, 회전 커넥터 장치를 차체에 장착한 장착 상태에 있어서, 회전 커넥터 장치의 내부를 삽입 관통하는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전축과, 회전 커넥터 장치의 중심축이 편심(偏心)하는 경우가 있고, 이러한 경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회전 커넥터 장치라 해도, 상기 고정체의 일부에서의 회동부(回動部)를 부드럽게 회전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6-335318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전축과, 회전 커넥터 장치의 중심축이 편심되어 있는 경우에도, 상기 고정체의 일부인 회동부가 매끄럽게 회전할 수 있는 회전 커넥터 장치 및 회전 커넥터 장치의 조립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환상(環狀)의 고정측 링판(板) 및 그 고정측 링판의 외주연(外周緣)에 형성된 원통상(圓筒狀)의 외주(外周) 벽부(壁部)를 구비하고,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체와, 환상의 회전측 링판 및 그 회전측 링판의 내주연(內周緣)에 형성된 원통상의 내주(內周) 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체와 상대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 회전체와, 상기 고정체와 상기 회전체로 형성하는 수용 공간에 수용되고, 한쪽의 단부가 상기 고정체에 고정되고, 다른 쪽의 단부가 상기 회전체에 고정되는 도체(導體)를 갖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로 구성된 회전 커넥터 장치이며, 상기 고정체에서의 상기 내주 벽부를 삽입 관통하는 스티어링 샤프트의 삽통(揷通) 방향 측에,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상기 고정체에 전달하는 회전 전달 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 전달 기구는, 상기 고정체가 회전하는 회전축 방향과 직교하는 제1 방향에,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삽통 방향을 따라서 돌출한 볼록부 또는 패인 오목부로 형성된 제1 피안내부와, 상기 회전축 방향과 직교하면서 동시에,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 상기 제1 피안내부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한 볼록부 또는 패인 오목부로 형성된 제2 피안내부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체에, 상기 제1 피안내부와 헐겁게 결합(遊嵌)하는 제1 안내부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체에는 중심축을 중심으로서 회동하는 회동부(回動部)가 설치되면서 동시에, 상기 회동부에 상기 제2 피안내부와 헐겁게 결합하는 제2 안내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안내부와 헐겁게 결합한 상기 제1 피안내부 및 상기 제2 안내부와 헐겁게 결합한 상기 제2 피안내부가 각각, 상기 제1 안내부 및 상기 제2 안내부로 안내되어서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환상의 고정측 링판 및 그 고정측 링판의 외주연에 형성된 원통상의 외주 벽부를 구비하고,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체와, 환상의 회전측 링판 및 그 회전측 링판의 내주연에 형성된 원통상의 내주 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체와 상대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 회전체와, 상기 고정체와 상기 회전체로 형성하는 수용 공간에 수용되고, 한쪽 단부가 상기 고정체에 고정되고, 다른 쪽의 단부가 상기 회전체에 고정되는 도체를 갖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로 구성된 회전 커넥터 장치와, 상기 내주 벽부로 삽입 통과시켜서 상기 회전체와 일체로서 회전하는 스티어링 샤프트를 조립한 회전 커넥터 장치의 조립 구조이며, 상기 고정체 측에서의 상기 내주 벽부를 삽입 관통하는 스티어링 샤프트의 삽통 방향 측에,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상기 고정체에 전달하는 회전 전달 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 전달 기구는, 상기 고정체가 회전하는 회전축 방향과 직교하는 제1 방향에,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삽통 방향을 따라서 돌출한 볼록부 또는 패인 오목부로 형성된 제1 피안내부와, 상기 회전축 방향과 직교하면서 동시에,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 상기 제1 피안내부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한 볼록부 또는 패인 오목부로 형성된 제2 피안내부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체에, 상기 제1 피안내부와 헐겁게 결합하는 제1 안내부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체에는 중심축을 중심으로서 회동하는 회동부가 설치되면서 동시에, 상기 회동부에 상기 제2 피안내부와 헐겁게 결합하는 제2 안내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안내부와 헐겁게 결합한 상기 제1 피안내부 및 상기 제2 안내부와 헐겁게 결합한 상기 제2 피안내부가 각각, 상기 제1 안내부 및 상기 제2 안내부에 안내되어서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체는, 환상의 회전측 링판 및 그 회전측 링판의 내주연에 형성된 원통상의 회전측 내주 통부로 구성하는 로테이터만의 구성이나, 그 로테이터와 조립해서 일체로서 회전하는 슬리브를 상기 로테이터에 조립한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내주 벽부는, 예를 들면, 상기 회전체가 로테이터와 슬리브로 구성된 경우에 있어서, 로테이터의 내주 벽부뿐만 아니라 슬리브의 내주 벽부도 포함한다.
상기 고정체는, 상기 고정측 링판 및 그 고정측 링판의 외주연에 형성된 원통상의 외주 벽부를 구비하고, 차체에 고정하는 스테이터나, 스테이터에 조립한 타각(舵角) 센서를 포함한 구성, 콤비네이션 스위치 등의 차체의 일부품을 포함한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피안내부는, 예를 들면, 상기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을 향해서 돌출한 볼록부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삽입 방향을 향해서 패인 오목부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상기 회동부는, 상기 중심축을 회전 중심으로 한 회전뿐만 아니라,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서 축 이동(樞動)하는 부분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상술한 헐겁게 결합한다(遊嵌)는 것은, 상기 제1 피안내부 및 상기 제2 피안내부가 각각 상기 제1 안내부 및 상기 제2 안내부로 안내되어서,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을 정도로 느슨하게 끼운 상태를 가리킨다.
본 발명에 의해,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전축과, 회전 커넥터 장치의 중심축이 편심해 있는 경우라도, 상기 고정체의 일부에서의 회동부가 매끄럽게 회전할 수 있다.
상술하면, 상기 회전체에 설치된 상기 제1 안내부와 헐겁게 결합한 상기 제1 피안내부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회전 커넥터 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회전체와 상기 회동부와의 제1 방향의 편심을 흡수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회동부에 설치된 상기 제2 안내부와 헐겁게 결합한 상기 제2 피안내부가 제2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회전 커넥터 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회전체와 상기 회동부와의 제2 방향의 편심을 흡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 커넥터 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회전체와 상기 고정체와의 편심을, 제1 피안내부 및 상기 제2 피안내부에서 흡수할 수 있는, 즉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전축과 상기 회동부의 중심축과의 편심을 흡수할 수 있고,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전을, 상기 중심축을 회전 중심으로 한 회전으로서 상기 회동부에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전축과 상기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의 중심축이 편심되어 있는 경우라도, 상기 고정체의 일부에서의 회동부가 매끄럽게 회전할 수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전을 정밀하게 상기 회동부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제1 피안내부가, 상기 회동부측을 향해서 패인 제1 오목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2 피안내부가, 상기 제1 피안내부의 패인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패인 제2 오목부로 구성되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해, 상기 회동부에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전을 더 정밀하게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하면, 상기 제1 오목부와 상기 제1 안내부가 헐겁게 결합함에 따라, 상기 회전체와 상기 회전 전달 기구가 접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 오목부와 상기 제2 안내부가 헐겁게 결합함에 따라, 상기 회동부와 상기 회전 전달 기구가 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부를, 볼록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제1 안내부 및 상기 제2 안내부로 지지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오목부와 상기 제1 안내부가 헐겁게 결합하는 것으로 인한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이동, 및 상기 제2 오목부와 상기 제2 안내부가 헐겁게 결합하는 것으로 인한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안정시킬 수 있으면서 동시에 상기 회전 전달 기구와 관련한 부하에 의해 상기 회전 전달 기구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동부에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전을 더 정밀하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구성에 의해, 상기 회전 전달 기구의 판 두께가 두꺼워지기 때문에 상기 회전 전달 기구의 강성이 높게 되어,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전축과 상기 회동부의 중심축의 편심을 흡수할 때에, 상기 회전 전달 기구에 관련한 부하에 대해서 충분한 강도를 갖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제1 피안내부가, 상기 고정측 링판을 향해서 돌출 하는 제1 볼록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2 피안내부가 상기 제1 피안내부의 돌출 방향 과는 역방향으로 돌출하는 제2 볼록부로 구성되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해, 상기 회전 커넥터 장치를 소형화 할 수 있다.
상술하면, 상기 제1 피안내부 및 상기 제2 피안내부가 각각 제1 볼록부 및 제2 볼록부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회전 전달 기구가 상기 회동부 및 상기 회전체와 접근시겼다 하더라도, 상기 회동부와 고정되는 상기 제1 볼록부가 상기 회전체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상기 회전체와 고정되는 상기 제2 볼록부가 상기 회동부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상기 회전 커넥터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제1 피안내부가, 상기 고정체의 회전축을 대칭축으로서 회전 대칭이 되는 위치에 설치되면서 동시에, 상기 제2 피안내부가, 상기 고정체의 회전축을 대칭축으로서 회전 대칭이 되는 위치에 설치되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해, 상기 제1 피안내부 및 상기 제2 피안내부를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2개씩 설치하기 때문에, 더 안정해서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전을 상기 고정체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이 직교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해, 상기 회전 전달 기구에 작용하는 부하를 직교하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분해할 수 있어서,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작용하는 부하를 효율적으로 분산할 수 있다. 따라서, 더 안정해서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전을 상기 회동부에 전달할 수 있으면서, 반면 부담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회전 전달 기구가 강성체인 링판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해, 상기 회전 전달 기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판는,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철, 알루미늄 등의 금속이나 세라믹 등으로 구성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서의 상기 회 전체 및 상기 고정체와 상기 회전 전달 기구 사이에, 틈새를 마련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해, 상기 제1 피안내부 및 상기 제2 피안내부가 각각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확실하게 이동할 수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와 상기 회동부의 편심을 확실하게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회전 전달 기구와 상기 고정체 사이에, 상기 회전 전달 기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구비되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를 통해서 상기 고정체에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전을 전달할 수 있어서, 기존의 고정체를 이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고정체는, 상기 고정측 링판 및 상기 외주 벽부를 구비한 제1 고정체와, 그 제1 고정체와 고정되면서 동시에, 상기 회동부를 갖는 제2 고정체로 구성되어도 좋다.
상기 제2 고정체는, 예를 들면 상기 회전 커넥터 장치를 설치하는 콤비네이션 스위치나, 턴 레버를 중립위치로 회동 복귀시키는 캔슬 캠(cancel cam)이나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전 각도를 검지하는 타각 센서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해,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매끄럽게 회전하는 상기 회동 부에서 상기 제2 고정체로 원활하게 회전을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제2 고정체를 캔슬 캠으로 한 경우에는, 캔슬 캠에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전을 정밀하게 전달할 수 있고, 턴 레버를 중립 위치에서 정밀하게 복귀시키거나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제2 고정체가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전 각을 검출하는 타각 센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전 각도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프론트 라이트의 조사 방향을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전 각도에 맞게 변경하는 차종에서는 프론트 라이트를 정밀하게 조사 방향으로 조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전축과, 회전 커넥터 장치의 중심축이 편심되어 있는 경우에도, 상기 고정체의 일부에서의 회동부가 부드럽게 회전할 수있는 회전 커넥터 장치 및 회전 커넥터 장치의 조립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회전 커넥터 장치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회전 커넥터 장치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슬리브 및 가동부재, 타각 장치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슬리브의 설명도이고,
도 5는, 타각 장치의 설명도이고,
도 6은, 가동부재의 설명도이고,
도 7은, 슬리브 및 타각 장치에 대한 가동부재의 조립 상태의 설명도이고,
도 8은, 슬리브 및 타각 장치에 대한 가동부재의 이동의 설명도이고,
도 9는, 가동부재의 다른 실시 형태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아래, 회전 커넥터 장치(1) 및 회전 커넥터 장치(1)에 스티어링 샤프트 (200)를 조립한 회전 커넥터 장치(1)의 조립 구조(2)에 관해서 도 1~도 6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은, 중립 상태에서의 회전 커넥터 장치(1)를 상방에서 본 개략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는 중립 상태에서의 회전 커넥터 장치(1)의 상방에서 본 개략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이때, 스테이터(30)에 대한 로테이터(10)의 방향을 상방(上方)으로 하고, 스테이터(30)에 대한 슬리브(20)의 방향을 하방(下方)으로 한다. 또한, 도 2의 도면 중에 있어서, 회전 커넥터 장치(1)의 중심축(Cx)을 회전축으로 한 우회전 방향을 시계방향(R)로 하고, 좌회전 방향을 반시계 방향(L)으로 한다.
도 3은, 회전 커넥터 장치(1)를 구성하는 슬리브(20)와 가동부재(40)와 회동 부(70)를 하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4는 슬리브(20)의 설명도를 나타내고, 도 5는 회동부(70)의 설명도를 나타내고, 도 6은 가동부재(40)의 설명도를 나타낸다.
도 4~도 6에 관해서 상술하면, 도 4(a)는 슬리브(20)의 저면도를 나타내고, 도 4(b)는 도 4(a)에서의 A-A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5(a)는 회동부(70)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5(b)는 도 5(a)에서의 B-B 단면도를 나타낸준다. 도 6(a)는 가동부재(40)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6(b)는 도 6(a)에서의 C-C 단면도를 나타낸다.
조립 구조(2)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300)의 조작에 의한 회전을 스티어링 기어 박스(도시생략)에 전달하는 스티어링 샤프트(200)에 대해서, 회전 커넥터 장치(1)를 삽입 관통시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스티어링 샤프트(200)의 삽통 방향은 상하방향이며, 회전 커넥터 장치(1)에서의 스티어링 샤프트(200)의 삽통 방향 측이란 하방측이 된다.
이 스티어링 샤프트(200)는, 상단에 형성된 나사부(210)와, 나사부(210)와 스티어링 기어 박스를 연결하는 샤프트부(220)와 샤프트부(220)를 삽입 관통시켜서 보호하는 스티어링 칼럼(230)으로 구성되고, 샤프트부(220)의 차체측 선단은 스티어링 기어 박스와 연결되어 있다.
나사부(210)는, 스티어링 휠(300)의 삽통홀(孔)을 관통하면서 동시에 회전 자유롭게 고정하기 위한 나사 결합 부분이며, 상방에서 스티어링 휠(300)을 나사 결합에 의해 조립함으로써, 스티어링 휠(300)과 스티어링 샤프트(200)를 일체화 한다.
샤프트부(220)는, 나사부(210)보다도 지름이 확대된 중공상(中空狀)의 원기둥체이며, 스티어링 휠(300)의 회전 조작을 스티어링 기어 박스에 전달하기 위한 샤프트이다.
스티어링 칼럼(230)은, 샤프트부(220)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면서 동시에 보호하는 통 형상체(筒狀體)로 구성되어 있다.
회전 커넥터 장치(1)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테이터(10)와, 로테이터(10)의 하방에 위치해서 로테이터(10)와 조립하는 슬리브(20)와, 로테이터(10)와 슬리브(20)로 사이에 끼워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조립한 스테이터(30)와, 슬리브(20)의 내주측에 고정된 가동(可動)부재(40)와, 로테이터(10)와 슬리브(20)로 구성하는 수용 공간(S)에 감아돌려져 수용된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100)로 구성된다.
로테이터(1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중앙부분에 대략 원형의 관통홀을 갖는 대략 환상의 회전측 링판(11)과, 회전측 링판(11)의 내 주연에서 하방을 향해 형성되는 내주 벽부(12)로 일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회전측 링판(11)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돌출해서 커넥터로서 기능하는 로테이터측 커넥터 수용부(13)가 설치되어 있다.
내주 벽부(12)는, 원환상으로 형성된 회전측 링판(11)의 내경(內徑)보다 지름이 줄어든 원통체이며, 하단측에는 외경측(外徑側)으로 돌출한 로테이터측 내연부(內緣部)가 형성되어 있다(도시생략). 또한, 내주 벽부(12)의 내주면에는, 후술하는 슬리브(20)에 설치한 피걸림부(被係止部)(도시생략)에 걸려 고정 가능한 걸림부(係止部)(도시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로테이터측 커넥터 수용부(13)는, 수용 공간(S)에 수용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00)의 일단에 장착된 접속 커넥터를 수용하는 수용부이며, 스티어링 휠 (300)에 배치되는 혼 스위치, 에어백 유닛 등의 외부기기의 전기 회로에 접속된 케이블(도시생략)의 커넥터가 외부에서 접속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로테이터(10)와 조립되는 슬리브(20)는,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부 관통홀을 갖는 원환상의 링판으로 구성된 슬리브측 링판(21)과, 슬리브측 링판(21)의 내주연에서 하방을 향해 돌출하는 내벽부(22)로 구성되고, 슬리브측 링판(21)의 저면측에는 지름 외측을 향해서 연장하는 제1 안내부(23)가 2개 설치되어 있다(도 3, 4 참조).
슬리브측 링판(21)은, 내주 벽부(12)의 내경과 동등한 내경을 갖는 관통홀이 중앙에 설치된 링판이다.
내벽부(22)는, 슬리브측 링판(21)의 내주연에서 하방을 향해 연출된 원통체이며, 내벽부(22)에서의 외주면의 상면측에는, 내주 벽부(12)에 설치한 걸림부(도시생략)와 걸려 고정가능한 피걸림부(도시생략)가 설치되어 있고, 로테이터(10)와 슬리브(20)로 상하 방향에서 후술하는 스테이터(30)를 사이에 끼워넣고 걸림부와 피걸림부를 결합시킴으로써, 로테이터(10)를 스테이터(3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한다.
제1 안내부(23)는,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리브측 링 판(21)의 저면측에서의 내벽부(22)의 외주면에서 지름 외측을 향해서 돌출하는 돌출부이다. 환언하면, 제1 안내부(23)는, 슬리브측 링판(21)의 저면 내측에서 하방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 안내부(23)는, 슬리브(20)의 중심축을 회전축으로서 회전 대칭이 되는 위치에 2개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안내부(23)끼리는 서로 일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
로테이터(10)에 대해서 상대 회전 가능한 스테이터(3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 스테이터(50)와, 회동부(70)를 갖춘 타각 센서(60)로 구성되어 있다.
메인 스테이터(50)는, 상면이 개구된 바닥이 있는 대략 원통체이며, 하면을 구성하는 고정측 링판(51)과, 외주면을 구성하는 대략 원통상의 외주 벽부(52)와, 스테이터(30)에서 외측으로 돌출한 스테이터측 커넥터 수용부로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측 링판(51)은, 외경이 회전측 링판(11)의 외주 지름보다 약간 크고, 내경이 내주 벽부(12)의 내경과 대략 같은 원환 형상을 한 판상체이다. 또한, 고정측 링판(51)의 내주연부는, 내주 벽부(12)에 형성된 로테이터측 내연부와 슬리브측 링판(21)의 내주연부로 사이에 끼워지게 된다(도시생략).
외주 벽부(52)는, 고정측 링판(51)의 외주연에서는 상방으로 입설(立設)한 원통상의 외주벽이다.
스테이터측 커넥터 수용부(53)는, 스테이터(30)의 소정의 위치에서 지름 외측을 향해 튀어 나온 상하 방향으로 긴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스체이다. 이 스테이터측 커넥터 수용부(53)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00)의 타단측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이며, 도시하지 않은 스티어링 칼럼 커버 내에 있어서 차체측의 전기 회로에서 인출한 케이블에 접속되는 접속 커넥터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00)의 타단을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립 상태에 있어서, 로테이터측 커넥터 수용부(13)와 스테이터측 커넥터 수용부(53)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타각 센서(60)는, 상면이 개구(開口)되는 동시에 링모양의 저면을 갖는 통상체로, 원환상의 판상체로 구성된 센서 저면부(61)와, 외주벽을 형성하는 외주 보호벽(62)으로 구성되고, 외주 보호벽(62)에는 로테이터(1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각도 검출용 핀(75)을 검지하는 센서부(63)를 구비하고 있다.
센서 저면부(61)는 슬리브측 링판(21)의 외경보다도 큰 외경을 가지면서 동시에, 내벽부(22)의 내경과 대략 동일 내경의 관통홀을 갖는 원환상의 판상체이다.
외주 보호벽(62)은, 센서 저면부(61)의 외주연에서 상방을 향해 입설된 원통상의 벽이며, 내주면에는 센서부(63)가 2개 대향해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외주 보호벽(62)의 상면에는, 고정측 링판(51)의 저면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걸림부와 걸려 고정되는 피걸림부(도시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외주 보호벽(62)에 설치된 센서부(63)는, 회동부(70)를 타각 센서(60)의 내부에 갖춘 상태에 있어서, 각도 검출용 핀(75)과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오목부 형상의 검지 센서이며, 각도 검출용 핀(75)이 센서부(63)의 상하 방향에서의 중앙부 부분을 통과할 수 있도록 중앙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센서부(63)의 내부에 도시하지 않은 검출기가 내장되어 있다.
이 센서부(63)의 오목부의 상측을 형성하는 제1 벽부(63a)에는 발광(發光) 소자(도시생략)가 설치되고, 오목부의 하측을 형성하는 제2 벽부(63b)에는 수광(受光) 소자(도시생략)가 발광 소자와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내장된 검출기에 의해 발광 소자에서 조사(照射)된 빛의 신호를 읽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센서부(63)는, 타각 센서(60)의 중심축을 회전축으로서 회전 대칭이 되는 위치에 2개 배치되어 있다. 즉 센서부(63)는 외주 보호벽(62)의 내주면에 있어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타각 센서(6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회동부(70)는, 도 2, 도 3,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이 있는 원통체이며, 원환상의 회동부 저면(71)과, 회동 부 저면(71)의 외주연에서 상방으로 입설하는 벽부(72)로 구성되어 있다.
회동부 저면(71)은, 내경이 내벽부(22)의 외경(外俓)보다도 한층 크고, 외경이 슬리브측 링판(21)의 외경보다 한층 작은 원환상의 링판이며, 내주연에는 내경측(內徑側)으로 돌출하는 2개의 볼록부(73)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동부 저면(71)의 상면에서의 지름 외측에는, 2개의 제2 안내부(74)가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2 안내부(74)는, 회동부 저면(71)의 저면측에서의 벽부(72)의 내주면에서 지름 내측을 향해 연출된 돌출부이다. 또한, 제2 안내부(74)의 폭은 제1 안내부(23)의 폭과 동일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2 안내부(74)는, 회동부(70)의 중심축을 회전축으로서 회전 대칭이 되는 위치에 2개 배치되어 있다. 즉, 제2 안내부(74)끼리는 서로 일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대향 배치된 볼록부(73)끼리를 잇는 직선과, 대응 배치된 제2 안내부(74)끼리를 잇는 직선과는 직교한다.
벽부(72)는, 내경이 내벽부(22)의 외경보다 크고, 외경이 외주 보호벽(62)의 내경보다 약간 작게 구성된 원통체이며, 외주면의 중앙 부분에는 지름 외측으로 돌출하는 각도 검출용 핀(75)이 등간격으로 복수 배치되어 있다.
각도 검출용 핀(75)은, 회동부(70)가 타각 센서(60)에 구비되어 있는 상태에있어서, 센서부(63)에 설치된 오목부를 통과 가능한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회동부(70)는, 타각 센서(60)에 구비된 상태에 있어서, 각도 검출용 핀(75)이 제1 벽부(63a)와 제2 벽부(63b) 사이에 끼워지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타각 센서(60)로 회전한 회동부(70)의 회전각을 검출할 수 있다.
가동부재(40)는, 회전 커넥터 장치(1)에서의 하방측, 더 구체적으로는 슬리브(20)와 타각 센서(60)와의 사이(타각 센서(60)의 상부측으로서, 회전 커넥터 장치(1)에 대해서 스티어링 샤프트(200)을 삽입 관통시키는 삽통 방향측)에 배치된 금속제의 링판이며, 높은 강성을 가진다.
또한, 가동부재(40)는,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철, 알루미늄 등의 금속 외에, 세라믹이나 플라스틱 등의 수지로 구성해도 된다.
이 가동부재(40)는, 도 2 및 도 3,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의 판 두께를 갖는 링 형상의 링판(41)과, 링판(41)의 상면의 일부분을 회동부(70)측(즉 하방측)에 패이게 한 2개의 제1 오목부(42)와, 링판(41)의 하면의 일부분을 상방측에 패이게 한 2개의 제2 오목부(43)로 구성되어 있다.
링판(41)은, 내벽부(22)의 내경보다도 지름이 확대된 내경을 가지면서 동시에, 센서 저면부(61)의 내경보다도 작은 외경을 갖는 원환상의 기둥체(柱體)이다.
제1 오목부(42)는, 링판(41)의 상면의 일부분을 하방측으로 패이게 하여 형성된 패인 곳이며, 제1 오목부(42)의 둘레방향의 폭은 제1 안내부(23)의 폭보다도 약간 커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오목부(42)는, 링판(41)의 중심축을 회전축으로서 회전 대칭이 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즉, 링판(41)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2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오목부(42)는 홈의 깊이가 링판(41)의 판 두께의 절반보다 약간 짧아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제1 오목부(42)의 홈 바닥은, 평탄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오목부(43)는, 링판(41)의 하면의 일부분을 상방측으로 패이게 해서 형성된 패인 곳이며, 제1 오목부(42)의 폭은 제2 안내부(74)의 폭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오목부(43)는, 제1 오목부(42)와 마찬가지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2개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 오목부(42)와 제2 오목부(43)는, 둘레방향에 있어서 서로 같은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오목부(42)의 위치에서 시계방향(R) 및 반시계 방향(L)으로 90도의 회전시킨 위치에 제2 오목부(4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오목부(43)는, 제1 오목부(42)와 마찬가지로, 홈의 깊이가 링판(41)의 판 두께의 절반보다 약간 짧아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제2 오목부(43)의 홈 바닥은, 평탄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래, 이와 같이 설치된 제1 오목부(42)끼리를 이어서 형성된 직선이 연장되는 방향을 제1 방향(X)으로 하고, 제2 오목부(43)끼리를 이어서 형성된 직선이 연장되는 방향을 제2 방향(Y)으로 한다. 즉, 제1 방향(X)과 제2 방향(Y)은 서로 직교한다.
또한, 가동부재(40)에서의 제1 방향(X)은, 중립 상태에 있어서는 평면에서 보아 대향하는 로테이터측 커넥터 수용부(13)와 스테이터측 커넥터 수용부(53)를 잇는 직선방향과 일치하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로테이터(10) 및 슬리브(20), 스테이터(30)는, 고정측 링판(51)의 내주연을 내주 벽부(12)의 내주연부와 슬리브측 링판(21)으로 사이에 끼워 넣으면서 동시에, 슬리브(20)에 설치된 결합부(係合部)(도시생략)와 내주 벽부(12)에 설치한 피결합부(被係合部)(도시생략)를 결합함으로써, 로테이터(10) 및 슬리브(20)가 스테이터(3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한 회전 커넥터 장치(1)를 구성한다. 또한, 타각 센서(60)는 도시하지 않은 걸림부를 피걸림부(도시생략)에 걸리게 함으로써 메인 스테이터(50)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회전 커넥터 장치(1)는, 로테이터(10)의 회전측 링판(11) 및 내주 벽 부(12)와, 스테이터(30)의 고정측 링판(51) 및 외주 벽부(52)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00)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S)을 형성한다(도 2 참조).
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00)은, 수용 공간(S)에서의 감김(卷回)상태에 있어서 지름 외측에서 지름 내측을 향해서, 4개의 플랫 케이블(제1 더미 플랫 케이블, 쉴드 플랫 케이블, 전송로 플랫 케이블, 및 제2 더미 플랫 케이블)을 겹쳐서 구성하고, 스테이터(30)에 대한 로테이터(10)의 상대 회전에 맞춰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00)이 시계 방향(R) 및 반시계 방향(L)으로 감거나 되감도록,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00)은 수용 공간(S)에 감아 돌려져 수용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00)의 매수를 4장으로 하고 있지만, 4장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00)의 매수 및 구성은,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회전 커넥터 장치(1)는,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리브(20)와 가동부재(40)와, 타각 센서(60)에 구비되어 있는 회동부(70)는 상방에서부터 이 순서로 조립되어 있다. 이하, 이와 같이 구성된 회전 커넥터 장치(1)에서의 슬리브(20)와 가동부재(40)의 조립 상태 및 슬리브(20)와 회동부(70)의 조립 상태에 관해서, 도 7을 근거로 하여 설명한다.
따라서, 도 7은 중심축이 일치한 상태에서의 슬리브(20)와 가동부재(40)와 회동부(70)의 조립 상태의 설명도를 나타낸다. 상술하면, 도 7(a)는 슬리브(20)와 가동부재(40)와 회동부(70)가 조립된 상태에서의 A-A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7(b)는 슬리브(20)와 가동부재(40)의 조립 상태의 저면도를 도시하고, 도 7(c)는 슬리브(20)와 회동부(70)의 조립 상태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또한, 슬리브(20)와 가동부재(40)와 회동부(70)의 조립 상태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회동부(70)를 구비한 타각 센서(60)에 관해서는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도 7에 있어서, 보이지 않는 위치에 있는 제1 오목부(42) 및 제2 오목 부(43)는, 그 위치를 명확히 하기 위해 파선으로 나타낸다.
슬리브(20)와 가동부재(40)와 회동부(70)는, 제2 안내부(74)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오목부(43)가 배치되도록 회동부(70)의 상방에 가동부재(40)를 배치하면서 동시에, 가동부재(40)의 제1 오목부(42)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1 안내부(23)가 배치되도록, 가동부재(40)의 상부에 슬리브(20)를 배치하고, 가동부재(40)에 대해서 슬리브(20) 및 회동부(70)를 상하 방향에서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조립할 수 있다.
이렇게 조립된 슬리브(20)와 가동부재(40)와 회동부(70)는,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방향(X)을 따라서 형성된 2개의 제1 오목부(42)가 제1 안내부(23)에 느슨하게 끼워져 있기 때문에, 제1 오목부(42)가 제1 안내부(23)에 안내되고, 가동부재(40)가 제1 방향(X)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2 방향(Y)을 따라서 형성된 2개의 제2 오목부(43)가 제2 안내부(74)에 느슨하게 끼워져 있기 때문에, 제2 오목부(43)가 제2 안내부(74)로 안내되어, 가동부재(40)가 제2 방향(Y)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링판(41)의 내경이 내벽부(22)의 내경보다도 크기 때문에,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판(41)의 내주면은 내벽부(22)에 대해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게 된다. 즉, 제1 오목부(42)의 내경측과 내벽부(22) 사이에는 소정의 제1 클리어런스(G1)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슬리브(20)에 대해서 가동부재(40)를 제1 방향(X)으로 상대 이동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벽부(72)의 외경이 링판(41)의 외경보다도 크기 때문에,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판(41)의 외주면은 벽부(72)의 내주면에 대해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게 된다. 즉, 제2 안내부(74)에 헐겁게 결합한 제2 오목부(43)의 지름 외측과 벽부(72) 사이에는 소정의 제2 클리어런스(G2)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회동부(70)에 대해서 가동부재(40)를 제2 방향(Y)으로 상대 이동시킬 수 있다.
이어서, 회전 커넥터 장치(1)를 스티어링 샤프트(200)에 조립한 조립 구조(2)에 있어서, 스티어링 샤프트(200)의 회전축(Rx)과, 회전 커넥터 장치(1)에서의 중심축(Cx)이 편심되어 있는 경우에서의 가동부재(40)의 이동에 관해서 도 8을 근거로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8은, 중립 상태인 회전 커넥터 장치(1)를 스티어링 샤프트(200)에 조립 한 조립 구조(2)에서의 가동부재(40)의 이동에 관한 설명도를 나타낸다. 상술하면,도 8(a)는 스티어링 샤프트(200)를 삽입 관통시킨 상태에서의 회전 커넥터 장치(1)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8(b)는 도 8(a)의 조립 구조(2)에서의 가동부재(40)를 조립한 슬리브(20)의 저면도를 나타내고, 도 8(c)는 도 8(b)에서의 A-A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8(d)는 도 8(a)의 조립 구조(2)에서의 가동부재(40)를 조립한 회동부(70)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8(e)는 도 8(d)에서의 B-B 단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8(b) 내지 (e)에 있어서, 보이지 않는 위치에 있는 제1 오목부(42) 및 제2 오목부(43)는, 그 위치를 명확히 하기 위해 파선으로 나타낸다.
또한, 도 8(a) 중에서 제1 방향(X)의 상측(로테이터측 커넥터 수용부(13) 측)를 +X측으로 하고, 제1 방향(X)의 하측(스테이터측 커넥터 수용부(53)측)을 -X측으로 하고, 도 8(a) 중의 좌측을 -Y측으로 하고, 우측을 +Y측 한다. 또한, 도 8 (b)~(e)에 있어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스티어링 샤프트(200)를 생략한다.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커넥터 장치(1)에 삽입 관통시킨 스티어링 샤프트(200)의 회전축(Rx)이 회전 커넥터 장치(1)의 중심축(Cx)에 대해 좌상방으로 편심한 상태에서 스티어링 샤프트(200)가 회전 커넥터 장치(1)에 조립되어 있는 경우, 회전축(Rx)은 제1 방향(X)에 대해서는 +X측에, 제2 방향(Y)에 대해서는 -Y측에 각각 편심되어 있다.
이때, 제1 오목부(42)가 헐겁게 결합하는 제1 안내부(23)에 안내됨으로써 가동부재(40)가 제1 방향(X)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어서, 도 8(b) 및 도 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리브(20)에 대해서 가동부재(40)는 -X측에 배치된다. 그러나, 제2 안내부(74)와 헐겁게 결합하고 있는 제2 오목부(43)는 제1 방향(X)을 따라서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제1 방향(X)에 있어서 회동부(70)는 가동부재(40)의 중앙에 배치되게 되고, 슬리브(20)의 중심축(회전축(Rx))과 회동부(70)의 중심축(Cx)의 제1 방향(X)에 대한 편심 상태를 가동부재(40)에서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제2 오목부(43)가 헐겁게 결합하는 제2 안내부(74)에 안내됨으로써 가동부재(40)가 제2 방향(Y)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어서, 도 8(d) 및 도 8(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동부(70)에 대해서 가동부재(40)는 -Y측에 배치된다. 그러나, 제1 안내부(23)와 헐겁게 결합하고 있는 제1 오목부(42)는 제2 방향(Y)을 따라서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제2 방향(Y)에 있어서 슬리브(20)는 가동부재(40)의 중앙에 배치되게 된다. 즉, 슬리브(20)의 중심축(회전축(Rx))과 회동부(70)의 중심축(Cx)의 제2 방향(Y)에 대한 편심을 가동부재(40)에서 흡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슬리브(20)의 중심축(회전축(Rx))과 회동부(70)의 중심축(Cx)과의 편심을 가동부재(40)가 흡수할 수 있어서, 가동부재(40)를 통해서 슬리브(20)의 회전을 전달할 수 있어 원활하게 회동부(70)을 매끄럽게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각도 검출용 핀(75)이 정밀하게 센서부(63) 사이를 통과하게 되고, 센서부(63)에 내장된 검출기에 의해 정확하게 회동부(70)의 회전 각도, 즉 스티어링 샤프트(200)의 회전 각도를 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환상의 고정측 링판(51) 및 그 고정측 링판(51)의 외주연에 형성된 원통상의 외주 벽부(52)를 구비하고, 차체에 고정되는 스테이터(30)와, 환상의 회전측 링판(11) 및 그 회전측 링판(11)의 내주연에 형성된 원통상의 내주 벽부(12)을 구비하고, 스테이터(30)와 상대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 로테이터(10)와, 스테이터(30)와 로테이터(10)로 형성하는 수용공간(S)에 수용되고, 한쪽 단부가 스테이터(30)에 고정되고, 다른 쪽 단부가 로테이터(10)에 고정되는 도체를 갖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00)로 구성된 회전 커넥터 장치(1)는, 스테이터(30) 측에서의 내주 벽부(12)를 삽입 관통하는 스티어링 샤프트(200)의 삽통 방향 측에, 로테이터(10)의 회전을 스테이터(30)에 전달하는 가동부재(40)가 구비되고, 가동부재(40)는, 스테이터(30)가 회전하는 중심축(Cx) 방향과 직교하는 제1 방향(X)에, 삽통방향을 따라서 패인 제1 오목부(42)와, 중심축(Cx) 방향과 직교하면서 동시에, 제1 방향(X)과 교차하는 제2 방향(Y)에, 제1 오목부(42)와 반대 방향에 패인 제2 오목부(43)로 구성되어, 로테이터(10)와 일체가 되어 회전하는 슬리브(20)에, 제1 오목부(42)와 헐겁게 결합하는 제1 안내부(23)가 설치되고, 스테이터(30)의 일부인 타각 센서(60)에는, 중심축(Cx)을 중심으로서 회동하는 회동부(70)가 설치되면서 동시에, 회동부(70)에 제2 오목부(43)와 헐겁게 결합하는 제2 안내부(74)가 설치되고, 제1 안내부(23)와 헐겁게 결합한 제1 오목부(42) 및 제2 안내부(74)와 헐겁게 결합한 제2 오목부(43)가 각각, 제1 안내부(23) 및 제2 안내부(74)에 안내되어서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스티어링 샤프트(200)의 회전축(Rx)과, 회전 커넥터 장치(1)의 중심축(Cx)이 편심되어 있는 경우에도, 스테이터(30)의 일부에서의 회동부(70)가 부드럽게 회전할 수 있다.
상술하면, 슬리브(20)에 설치된 제1 안내부(23)와 헐겁게 결합한 제1 오목부 (42)가 제1 안내부(23)에 안내됨에 따라, 가동부재(40)가 제1 방향(X)으로 이동함으로써, 회전 커넥터 장치(1)를 구성하는 슬리브(20)(로테이터(10))와 회동부(70) (스테이터(30))의 제1 방향(X)의 편심을 흡수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회동부(70)에 설치된 제2 안내부(74)와 헐겁게 결합한 제2 오목부(43)가 제2 안내부(74)에 안내되어서 가동부재(40)가 제2 방향(Y)으로 이동함으로써, 회전 커넥터 장치(1)를 구성하는 슬리브(20)와 회동부(70)의 제2 방향(Y)의 편심을 흡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 커넥터 장치(1)를 구성하는 로테이터(10)와 함께 회전하는 슬리브(20)와 회동부(70)의 편심을, 제1 오목부(42) 및 제2 오목부(43)로 흡수할 수 있다. 즉, 스티어링 샤프트(200)의 회전축(Rx)과 회동부(70)의 중심축(Cx)의 편심을 흡수할 수 있어, 스티어링 샤프트(200)의 회전을 중심축(Cx)을 회전 중심으로 한 회전으로서 회동부(7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티어링 샤프트(200)의 회전축(Rx)과 회전 커넥터 장치(1)에서의 중심축(Cx)이 편심되어 있는 경우에도, 스티어링 샤프트(200)의 회전을 정밀하게 회동부(7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1 오목부(42)가, 회동부(70)측(하방측)을 향해서 패여 구성되고, 제2 오목부(43)가, 제1 오목부(42)의 패인 방향과는 역방향(상방측)으로 패여서 구성됨에 따라, 가동부재(40)에 스티어링 샤프트(200)의 회전을 더 정밀하게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하면, 제1 오목부(42)에 대해서, 제1 안내부(23)가 헐겁게 결합함으로써 로테이터(10)에 고정되는 슬리브(20)에서의 슬리브측 링판(21)의 저면과 가동부재 (40)에서의 링판(41)의 상면이 접한다(도 8(c) 및 도 8(e) 참조).
또한, 제2 오목부(43)에 대해서 제1 안내부(23) 및 제2 안내부(74)가 헐겁게 결합함으로써, 가동부재(40)에서의 링판(41)의 하면과 회동부(70)에서의 회동부 저면(71)의 상면이 접한다(도 8(c) 및 도 8(e) 참조). 이에 따라, 가동부재(40)는 안정적으로 배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오목부(42)와 제1 안내부(23)가 헐겁게 결합함에 따른 제1 방향 (X)으로의 이동, 및 제2 오목부(43)와 제2 안내부(74)가 헐겁게 결합함에 따른 제2 방향(Y)으로의 이동이, 볼록형상으로 형성된 제1 안내부(23) 및 제2 안내부(74)를 축으로서 기우는 일 없이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면서 동시에, 가동부재(40)에 관련한 부하에 의해 가동부재(40)(링판(41))가 비뚤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회동부(70)에 스티어링 샤프트(200)의 회전을 더 정밀하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가동부재(40)의 판 두께가 두꺼워짐에 따라 가동부재(40)의 강성이 높아져서 스티어링 샤프트(200)의 회전축(Rx)이 회전 커넥터 장치(1)의 중심축(Cx)과의 편심을 흡수할 때에, 회전시에 걸리는 부하에 대해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오목부(42)가, 스테이터(30)의 중심축(Cx)을 대칭축으로서 회전 대칭이 되는 위치에 설치되면서 동시에, 제2 오목부(43)가 스테이터(30)의 중심축(Cx)을 대칭축으로서 회전 대칭이 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제1 오목부(42) 및 제2 오목부(43)가 각각 대향하는 위치에 2개씩 설치하게 되므로 보다 안정적인 스티어링 샤프트(200)의 회전을 스테이터(3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1 방향(X)과 제2 방향(Y)이 직교함에 따라, 가동부재(40)에 작용하는 부하를 직교하는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으로 분해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방향(X) 또는 제2 방향(Y)으로 균등하게 부하가 걸린다. 따라서, 보다 안정적인 스티어링 샤프트(200)의 회전을 회동부(70)에 전달할 수 있으면서, 반면 부담이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에서의 로테이터(10) 및 스테이터(30)와 가동부재(40) 사이에, 제1 클리어런스(G1) 및 제2 클리어런스(G2)를 설치함으로써, 제1 오목부(42) 및 제2 오목부(43)가 각각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으로 확실하게 이동할 수 있어서, 스티어링 샤프트(200)와 회동부(70)의 편심을 확실하게 흡수할 수 있다.
또한, 가동부재(40)와 스테이터(30) 사이에, 가동부재(40)를 지지하는 회동 부(70)가 구비됨에 따라, 회동부(70)를 통해서 스테이터(30)에 스티어링 샤프트 (200)의 회전을 타각 센서(60)에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스테이터(30)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스테이터(30)는, 고정측 링판(51) 및 외주 벽부(52)을 갖춘 메인 스테이터(50)와, 메인 스테이터(50)와 고정되면서 동시에, 회동부(70)를 갖는 타각 센서(60)로 구성됨으로써, 슬리브(20)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동부(70)를 원활하게 회동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캔슬 캠에 스티어링 샤프트(200)의 회전을 정밀하게 전달할 수 있어서, 턴 레버를 중립 위치로 정밀하게 복귀시키거나 할 수 있다.
또한, 타각 센서(60)가, 스티어링 샤프트(200)의 회전각을 검지하는 구성임에 따라, 스티어링 샤프트(200)의 회전 각도를 정확하게 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프론트 라이트의 조사(照射) 방향을 스티어링 샤프트(200)의 회전 각도에 맞게 변경하는 차종(車種)에서는 프론트 라이트를 정밀하게 조사 방향으로 조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과, 상술한 실시 형태와의 대응에 있어서,
고정체는, 스테이터(30)에 대응하고,
회전체는, 로테이터(10)에 대응하고,
회전 전달 기구는, 가동부재(40)에 대응하고,
제1 방향은, 제1 방향(X)에 대응하고,
제1 피안내부는, 제1 오목부(42)에 대응하고,
제2 방향은, 제2 방향(Y)에 대응하고,
제2 피안내부는, 제2 오목부(43)에 대응하고,
틈새는, 제1 클리어런스(G1) 및 제2 클리어런스(G2)에 대응하고,
지지부재는, 회동부(70)에 대응하는데,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의 구성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많은 실시의 형태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전 커넥터 장치(1)에서의 로테이터(10)는, 슬리브(20)와 협력해서 스테이터(3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조립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환상의 회전측 링판(11) 및 회전측 링판(11)의 내주연에 형성된 원통상의 회전측 내주 통부로 구성하는 로테이터만의 구성으로 해도 좋다.
제1 오목부(42)는, 스티어링 샤프트(200)에 대해서 회전 커넥터 장치(1)를 삽입하는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을 향해 패인 오목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반드시 이 구성으로 해야 한다는 뜻이 아니라, 삽입 방향을 향해서 돌출된 볼록부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제1 오목부(42)의 구성에 맞춰서 제2 오목부(43)는 스티어링 샤프트(200)에 대해서 회전 커넥터 장치(1)를 삽입하는 삽입 방향을 향해서 패인 오목부뿐만 아니라,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을 향해서 돌출한 볼록부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제1 오목부(42)가, 고정측 링판(51)을 향해서 돌출하는 제1 볼록부 (42a)로 구성되고, 제2 오목부(43)가, 제1 볼록부(42a)의 돌출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돌출하는 제2 볼록부(43a)로 구성됨에 따라(도 9 참조), 회전 커넥터 장치(1)를 소형화할 수 있다. 이 경우, 대응하는 제1 안내부(23) 및 제2 안내부(74)는 각각 제1 볼록부(42a)와 제2 볼록부(43a)에 헐겁게 결합할 수 있는 오목형상으로 형성된다.
상술하면, 제1 오목부(42) 및 각각 고정측 링판(51)을 향해서 돌출하도록 제1 볼록부(42a)로 구성되고, 제2 오목부(43)가 제1 볼록부(42a)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2 볼록부(43a)로 구성됨으로써, 링판(41)를 얇게 구성해도, 가동부재(40)가 회동부(70) 및 로테이터(10)와 접근시킨 경우에도, 제1 볼록부(42a)가 회동부(70)와, 제2 볼록부(43a)가 슬리브(20)와 각각 간섭하는 일이 없어서, 회전 커넥터 장치(1)를 소형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회동부(70)는 중심축(Cx)을 회전 중심으로서 회전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는데, 중심축(Cx)를 중심으로서 축 이동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타각 센서(60) 대신으로서, 회전 커넥터 장치(1)를 설치한 콤비네이션 스위치나, 턴 레버를 중립 위치로 회동 복귀시키는 캔슬 캠으로 해도 좋다.
1; 회전 커넥터 장치
10; 로테이터
11; 회전측 링판
12; 내주 벽부
23; 제1 안내부
30; 스테이터
40; 가동부재
42; 제1 오목부
43; 제2 오목부
50; 메인 스테이터
51; 고정측 링판
52; 외주 벽부
60; 타각 센서
70; 회동부
74; 제2 안내부
100;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200; 스티어링 샤프트
G1; 제1 클리어런스
G2; 제2 클리어런스
S; 수용 공간
X; 제1 방향
Y; 제2 방향

Claims (11)

  1. 환상(環狀)의 고정측 링판(板) 및 그 고정측 링판의 외주연(外周緣)에 형성된 원통상(圓筒狀)의 외주(外周) 벽부(壁部)를 구비하고,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체와,
    환상의 회전측 링판 및 그 회전측 링판의 내주연(內周緣)에 형성된 원통상의 내주(內周) 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체와 상대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 회전체와,
    상기 고정체와 상기 회전체로 형성하는 수용 공간에 수용되고, 한쪽의 단부(端部)가 상기 고정체에 고정되고, 다른 쪽 단부가 상기 회전체에 고정되는 도체(導體)를 갖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로 구성된 회전 커넥터 장치이며,
    상기 고정체에서의 상기 내주 벽부를 삽입 관통하는 스티어링 샤프트의 삽통(揷通) 방향측에,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상기 고정체에 전달하는 회전 전달 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 전달 기구는,
    상기 고정체가 회전하는 회전축 방향과 직교하는 제1 방향에,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삽통 방향을 따라서 돌출한 볼록부(凸部) 또는 패인 오목부(凹部)로 형성된 제1 피안내부와,
    상기 회전축 방향과 직교하면서 동시에,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 상기 제1 피안내부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한 볼록부 또는 패인 오목부로 형성된 제2 피안내부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체에, 상기 제1 피안내부와 헐겁게 결합(遊嵌)하는 제1 안내부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체에는, 중심축을 중심으로서 회동하는 회동부(回動部)가 설치되면서 동시에, 상기 회동부에 상기 제2 피안내부와 헐겁게 결합하는 제2 안내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안내부와 헐겁게 결합한 상기 제1 피안내부 및 상기 제2 안내부와 헐겁게 결합한 상기 제2 피안내부가 각각, 상기 제1 안내부 및 상기 제2 안내부에 안내되어서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회전 커넥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안내부가, 상기 회동부 측을 향해서 패인 제1 오목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2 피안내부가, 상기 제1 피안내부의 패인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패인 제2 오목부로 구성된
    회전 커넥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안내부가, 상기 고정측 링판을 향해서 돌출하는 제1 볼록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2 피안내부가, 상기 제1 피안내부의 돌출하는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돌출하는 제2 볼록부로 구성된
    회전 커넥터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안내부가, 상기 고정체의 회전축을 대칭축으로서 회전 대칭이 되는 위치에 설치되면서 동시에,
    상기 제2 피안내부가, 상기 고정체의 회전축을 대칭축으로서 회전 대칭이 되는 위치에 설치된
    회전 커넥터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이 직교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전달 기구가, 강성체인 링판(板)으로 구성된
    회전 커넥터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서의 상기 회전 전달 기구와 상기 고정체 사이에, 틈새를 마련한
    회전 커넥터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전달 기구와 상기 고정체 사이에, 상기 회전 전달 기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구비된
    회전 커넥터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상기 고정측 링판 및 상기 외주 벽부를 구비한 제1 고정체와,
    상기 제1 고정체와 고정되면서 동시에, 상기 회동부를 갖는 제2 고정체로 구성된
    회전 커넥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체가,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전각을 검지하는 타각(舵角) 센서를 갖는
    회전 커넥터 장치.
  11. 환상의 고정측 링판 및 그 고정측 링판의 외주연에 형성된 원통상의 외주 벽 부를 구비하고,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체와,
    환상의 회전측 링판 및 그 회전측 링판의 내주연에 형성된 원통상의 내주 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체와 상대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 회전체와,
    상기 고정체와 상기 회전체로 형성하는 수용 공간에 수용되고, 한쪽의 단부가 상기 고정체에 고정되고, 다른 쪽의 단부가 상기 회전체에 고정되는 도체를 갖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로 구성된 회전 커넥터 장치와,
    상기 내주 벽부에 삽입 통과시켜서 상기 회전체와 일체로서 회전하는 스티어링 샤프트를 조립한 회전 커넥터 장치의 조립 구조이며,
    상기 고정체에서의 상기 내주 벽부를 삽입 관통하는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삽통 방향측에,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상기 고정체에 전달하는 회전 전달 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 전달 기구는,
    상기 고정체가 회전하는 회전축 방향과 직교하는 제1 방향에,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삽통 방향을 따라서 돌출한 볼록부 또는 패인 오목부로 형성된 제1 피안내부와,
    상기 회전축 방향과 직교하면서 동시에,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 상기 제1 피안내부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한 볼록부 또는 패인 오목부로 형성된 제2 피안내부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체에, 상기 제1 피안내부와 헐겁게 결합하는 제1 안내부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체에는, 중심축을 중심으로서 회동하는 회동부가 설치되면서 동시에, 상기 회동부에 상기 제2 피안내부와 헐겁게 결합하는 제2 안내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안내부와 헐겁게 결합한 상기 제1 피안내부 및 상기 제2 안내부와 헐겁게 결합한 상기 제2 피안내부가 각각, 상기 제1 안내부 및 상기 제2 안내부에 안내되어서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회전 커넥터 장치의 조립 구조.
KR1020207026771A 2018-03-19 2019-03-18 회전 커넥터 장치 및 회전 커넥터 장치의 조립 구조 KR1024504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50898 2018-03-19
JP2018050898 2018-03-19
PCT/JP2019/011144 WO2019181841A1 (ja) 2018-03-19 2019-03-18 回転コネクタ装置及び回転コネクタ装置の組付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112A true KR20200129112A (ko) 2020-11-17
KR102450425B1 KR102450425B1 (ko) 2022-10-06

Family

ID=67986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6771A KR102450425B1 (ko) 2018-03-19 2019-03-18 회전 커넥터 장치 및 회전 커넥터 장치의 조립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325545B2 (ko)
EP (1) EP3754795B1 (ko)
JP (1) JP7129470B2 (ko)
KR (1) KR102450425B1 (ko)
CN (1) CN111819739B (ko)
WO (1) WO20191818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202318B4 (de) * 2018-02-15 2023-01-05 Robert Bosch Gmbh Lenksensorvorrichtung mit Steck-Drehverbindung
WO2020075559A1 (ja) * 2018-10-11 2020-04-16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及び回転コネクタ装置の組立方法
WO2022230816A1 (ja) 2021-04-28 2022-11-0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およびステアリング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89050A1 (fr) * 1998-09-22 2000-03-29 Sc2N Système à capteur d'angle, notamment pour colonne de direction de véhicule automobile
JP2000159037A (ja) * 1998-11-27 2000-06-13 Bosch Braking Systems Co Ltd 舵角センサ及び舵角センサ組み込み式回転コネクタ装置
WO2003021125A1 (en) * 2001-08-31 2003-03-13 Cts Corporation Eccentricity compensator with low hysteresis for use between two non-coaxial rotating shafts
JP2006335318A (ja) 2005-06-06 2006-12-14 Alps Electric Co Ltd 回転コネクタと舵角センサの連結構造
JP2010129187A (ja) * 2008-11-25 2010-06-10 Toyota Motor Corp 回転コネクタ装置
DE102008063951A1 (de) * 2008-12-19 2010-06-24 Leopold Kostal Gmbh & Co. Kg Winkelsensor
JP2010177039A (ja) * 2009-01-29 2010-08-12 Yazaki Corp 回転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8866Y2 (ja) * 1991-11-15 1997-06-18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
JP2826006B2 (ja) * 1991-12-13 1998-11-1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ケーブルリール
US5409389A (en) * 1991-12-24 1995-04-25 Furukawa Electric Co., Ltd. Transmission apparatus between rotatable body and fixed body
US5674082A (en) * 1995-02-21 1997-10-07 Niles Parts Co., Ltd. Rotary connector device
KR100295231B1 (ko) * 1996-06-28 2001-09-17 스즈키 다케토시 회전 코넥터장치
US6155106A (en) * 1997-10-29 2000-12-05 Alps Electric Co., Inc. Steering angle sensor unit
JP3425070B2 (ja) * 1997-10-29 2003-07-0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舵角センサユニット
JP3482333B2 (ja) * 1997-12-25 2003-12-2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角度検出機能付き回転コネクタ
JP2000223229A (ja) * 1999-01-28 2000-08-11 Yazaki Corp ハンドルとステアリングコラム間の電気的接続装置
JP3821978B2 (ja) * 1999-02-22 2006-09-13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舵角センサユニット
JP3676146B2 (ja) * 1999-10-22 2005-07-27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
JP4716541B2 (ja) * 2000-04-14 2011-07-06 ナイルス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US6367337B1 (en) * 2000-05-03 2002-04-09 Cts Corporation Non-contacting sensor for measuring relative displacement between two rotating shafts
US20050155830A1 (en) * 2004-01-16 2005-07-21 Huang Yea Y. Multi-functional rolling apparatus
KR100732221B1 (ko) * 2004-02-12 2007-06-27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회전커넥터
JP4602176B2 (ja) * 2005-07-01 2010-12-22 矢崎総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JP2008007075A (ja) * 2006-06-30 2008-01-17 Yazaki Corp 舵角センサ組み込み式回転コネクタ装置
JP5097364B2 (ja) * 2006-06-30 2012-12-12 矢崎総業株式会社 舵角センサ組み込み式回転コネクタ装置
DE102006046413A1 (de) * 2006-09-20 2008-04-03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Lenkstockmodul
KR100856749B1 (ko) * 2006-11-15 2008-09-05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조향휠 각도 감지장치
JP2009217974A (ja) * 2008-03-07 2009-09-24 Alps Electric Co Ltd 回転コネクタ
JP4519927B2 (ja) * 2008-05-20 2010-08-0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角検出装置
CN101465505B (zh) * 2008-12-31 2011-11-16 周法勇 一种可转动的同轴连接器
US20100235054A1 (en) * 2009-03-11 2010-09-16 Kostal Of America Steering angle sensor
CN102823096B (zh) * 2010-05-10 2015-11-25 古河电气工业株式会社 旋转连接器装置
KR20120007418A (ko) * 2010-07-14 2012-01-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클럭스프링의 오토록 기구
CN102790334A (zh) * 2011-05-18 2012-11-21 上海盈智汽车电子有限公司 一种带旋转锁定机构的时钟弹簧
JP4974196B1 (ja) * 2011-09-29 2012-07-1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JP5890258B2 (ja) * 2012-06-11 2016-03-22 矢崎総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
EP2879248B1 (en) * 2012-07-26 2018-03-21 Furukawa Electric Co., Ltd. Rotary connector device
JP2014037210A (ja) 2012-08-20 2014-02-27 Alps Electric Co Ltd 回転コネクタ
WO2014112361A1 (ja) * 2013-01-15 2014-07-24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センサ組込回転コネクタ
FR3007707B1 (fr) * 2013-06-27 2015-07-17 Sc2N Sa Contacteur tournant pour une colonne de direction de vehicule automobile
JP6442173B2 (ja) * 2014-06-30 2018-12-19 矢崎総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
JP2016081636A (ja) * 2014-10-14 2016-05-1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テアリングロールコネクタ
JP6293088B2 (ja) * 2015-05-11 2018-03-1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の製造方法
CN110268586B (zh) * 2017-02-10 2020-12-08 古河电气工业株式会社 旋转连接器装置
CN207080518U (zh) * 2017-07-07 2018-03-09 埃克科林机械(上海)有限公司 联轴器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89050A1 (fr) * 1998-09-22 2000-03-29 Sc2N Système à capteur d'angle, notamment pour colonne de direction de véhicule automobile
JP2000159037A (ja) * 1998-11-27 2000-06-13 Bosch Braking Systems Co Ltd 舵角センサ及び舵角センサ組み込み式回転コネクタ装置
WO2003021125A1 (en) * 2001-08-31 2003-03-13 Cts Corporation Eccentricity compensator with low hysteresis for use between two non-coaxial rotating shafts
JP2006335318A (ja) 2005-06-06 2006-12-14 Alps Electric Co Ltd 回転コネクタと舵角センサの連結構造
JP2010129187A (ja) * 2008-11-25 2010-06-10 Toyota Motor Corp 回転コネクタ装置
DE102008063951A1 (de) * 2008-12-19 2010-06-24 Leopold Kostal Gmbh & Co. Kg Winkelsensor
JP2010177039A (ja) * 2009-01-29 2010-08-12 Yazaki Corp 回転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819739A (zh) 2020-10-23
JPWO2019181841A1 (ja) 2021-04-08
EP3754795A4 (en) 2021-04-14
EP3754795A1 (en) 2020-12-23
EP3754795B1 (en) 2023-11-29
US20210001789A1 (en) 2021-01-07
JP7129470B2 (ja) 2022-09-01
KR102450425B1 (ko) 2022-10-06
WO2019181841A1 (ja) 2019-09-26
CN111819739B (zh) 2022-06-10
US11325545B2 (en) 202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29112A (ko) 회전 커넥터 장치 및 회전 커넥터 장치의 조립 구조
EP1732181B1 (en) Connecting structure of rotary connector and steering angle sensor
EP1732182B1 (en) Connecting structure of rotary connector and steering angle sensor
US20080003853A1 (en) Rotary connector device equipped with built-in steering angle sensor
KR20120014780A (ko) 스티어링 휠 각도 센서 유니트
US8808008B2 (en) Rotatable connector device
US20150375787A1 (en) Rotating connector
US20080277178A1 (en) Steering wheel assembly with centrally located stationary support member
CN103376122A (zh) 旋转式编码器
KR20140114807A (ko) 센서 장착 회전 커넥터
KR101896060B1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전자제어장치
JP7028638B2 (ja) 回転コネクタ装置及び回転コネクタ装置の組付構造
BG67216B1 (bg) Хидравлична кормилна уредба
JP6498893B2 (ja) 回転コネクタ装置
CN113631892A (zh) 绝对式编码器
JP3518661B2 (ja) 舵角センサ付き回転コネクタユニット
KR200496907Y1 (ko) 자동차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EP3882739B1 (en) Rotation detection device and vehicle pedal arrangement comprising said rotation detection device
US11244796B2 (en) Switch device and assembly method of switch device
WO2019111676A1 (ja) 車両のシフト装置
KR20100004374A (ko) 스티어링 감지 유닛
JP2019184490A (ja) 回転検出装置
KR20130048840A (ko) 조향컬럼의 튜브 록킹장치
JP2006339108A (ja) 回転コネクタと舵角センサの連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