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8063A - 오염 방지제 및 피부 외용제 - Google Patents

오염 방지제 및 피부 외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8063A
KR20200128063A KR1020207027396A KR20207027396A KR20200128063A KR 20200128063 A KR20200128063 A KR 20200128063A KR 1020207027396 A KR1020207027396 A KR 1020207027396A KR 20207027396 A KR20207027396 A KR 20207027396A KR 20200128063 A KR20200128063 A KR 20200128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l
skin
acid
external preparation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7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9553B1 (ko
Inventor
토모히로 스가하라
슈헤이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28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8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미소 입자상 물질 등의 대기 에어로졸 입자의 부착 방지 효과를 갖는 신규의 오염 방지제 및 해당 오염 방지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만노실에리트리톨리피드(MEL)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 대기 분진 부착 예방 효과를 갖는 오염 방지제 및 해당 오염 방지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Description

오염 방지제 및 피부 외용제
본 발명은 만노실에리트리톨리피드(MEL)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 방지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MEL을 유효 성분으로 한 미소 입자상 물질 등의 대기 오염 물질의 부착을 방지하는 데 유용한 오염 방지제 및 해당 오염 방지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피부나 모발은 항상 외적 환경에 노출되어 있어, 외적 환경으로부터 다양한 손상, 소위 외적 자극을 받고 있다. 외적 자극에는 건조나 태양 광선, 기온 등의 물리적 자극과, 환경 중에 부유하는 액체나 고체의 미립자인 대기 에어로졸 입자에 의한 화학적 자극으로 크게 구별된다. 근년, 대기 에어로졸 입자의 피부에 대한 영향이 주목받고 있고, 그 대기 에어로졸 입자의 대표로서는 다양한 화학 물질이나 생체 이물, 입자 등을 들 수 있으며, 자동차, 화력 발전소, 소각로, 공장 등으로부터의 배연, 화산 분화에 의한 분출물, 토양 입자 등을 유래로 하는 분진이나 황사와 같은 입자상 물질, 연소 등을 유래로 하는 일산화탄소, 황 산화물, 질소 산화물 등의 배출 가스, 탄화수소와 질소 산화물 등이 광화학 반응을 일으켜서 생기는 오존이나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 등의 광화학 옥시던트, 연소나 석유 제품으로부터의 휘발 등을 유래로 하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 등의 배출 가스나 미립자, 광물이나 공업 제품 등을 유래로 하는 석면 등의 미립자, 담배의 연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미소 입자상 물질, 소위 PM2.5에 대해서는, 근년 근린 제국으로부터 월경 수송되어 오는 것이 일본 주변에서 매우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이들 미소 입자상 물질이 피부나 모발에 부착되는 것에서 기인하는 생체에 대한 악영향이 널리 인식되어 오고 있으며, 요즘의 건강 의식의 고조도 더불어 관심을 모으고 있다. 미소 입자상 물질에 의한 피부에 대한 악영향으로서는, 미소 입자상 물질이 각질층의 안쪽까지 침입함으로써 생체 이물로서 면역계를 자극하고, 프로스타글란딘 E2(PGE2)나 히스타민과 같은 염증성 메디에이터의 생성을 촉진하여, 염증을 야기한다고 한 메커니즘이 제창되어 있다. 이들 외적 자극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손상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물질을 피부에 부착시키지 않는 것 및/또는 부착된 자극 원인 물질에 의한 악영향을 완화(산화 방지 또는 중화)시키는 것 등이 고려된다.
대기 오염 물질을 피부에 부착시키지 않는 접근으로서는, 대기 오염 물질에 의한 피부의 손상을 완화하는 안티폴루션(anti pollution)제 및 안티폴루션용 피부 외용 조성물로 서, 히알루론산 및/또는 그의 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안티폴루션제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한편, 피부에 부착된 자극 원인 물질에 의한 악영향을 완화하는 접근으로서는, 보리수나무과 히포파에속의 추출물이 입자상 대기 오염 물질 등의 대기 에어로졸 입자에서 기인하는 PGE2의 상승을 억제함으로써, 대기 에어로졸 입자에서 기인하는 피부 염증을 억제하는 작용을 발견하고 있다(특허문헌 2). 또한, 피부 내부에 침투한 오염 물질이 표피 세포에서 피부 염증을 야기하는 메커니즘에 주목하여, 아미노산류의 아연염 및/또는 아연 착체에 의한 세포 상해 완화 작용, CYP1 과잉 유도 작용, COX-2 과잉 유도 작용, IL-8 과잉 유도 작용 억제라고 한 현저한 유용성을 발견하고 있다(특허문헌 3).
상술한 바와 같이, 생체에 포함되는 고분자 화합물에 의한 미소 입자상 물질에 대한 보호 효과나, 식물 추출물이나 금속 착체를 포함하는 유기산에 의한 미소 입자상 물질에서 기인하는 생체 반응의 억제 효과가 제안되어 있다. 이들에 더하여, 오염 물질에 의한 피부에 대한 영향에 대하여 다른 메커니즘으로 효과를 발휘하는 신규 소재를 제안하는 것은, 미소 입자상 물질에 대한 오염 방지의 상승 효과가 예상된다고 하는 관점이나, 제제 처방의 다양화의 관점, 보다 안전한 미소 입자상 물질의 보호 효과를 갖는 성분을 제공한다고 하는 관점에서, 미소 입자상 물질에 대한 오염 방지 효과를 갖는 신규 소재를 제안할 것이 요구된다.
그러한 배경 하에서, 미생물이 생산하는 발효물을 스킨케어 소재로서 이용하기 위한 연구 개발도 근년 활발히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 상황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미소 입자상 대기 오염 물질에 대하여 충분한 효과를 갖는 소재에 관한 보고는 이루어져 있지 않다.
상술한 미생물이 생산하는 스킨케어 소재로서, 친수기와 친유기를 함께 갖는 양친매성 물질이며, 계면 활성능을 갖는 바이오 계면활성제를 일례로서 들 수 있다. 미생물 유래의 계면 활성제인 바이오 계면활성제는 안전성이 높고, 환경에 대한 부하가 적은 생분해성이 우수한 환경 선진형 계면 활성제로서 연구가 진행되어 있다. 현재, 바이오 계면활성제로서는 당형, 아실펩티드형, 인지질형, 지방산형 및 고분자 화합물형의 5개로 분류할 수 있는데, 그 중에서 당형 바이오 계면활성제가 가장 많이 연구되고 있고, 세균 및 효모에 의해 생산된 많은 종류의 물질이 보고되어 있다.
그러한 당형 바이오 계면활성제로서, 근년 만노실에리트리톨리피드(이하 「MEL」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가 스킨케어 분야에 있어서 고기능 완화제로서 사용되고 있다. MEL은 물에 접촉하는 것만으로 라멜라 구조를 용이하게 형성하는 점에서, 피부의 최외층에 있는 각질층과의 친화성이 높고, 각질층이 원래 갖는 배리어 기능을 수복 또는 강화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MEL의 미소 입자상 대기 오염 물질에 대한 오염 방지 효과에 관한 보고는 이루어져 있지 않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7-18627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6-21636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6-88929호 공보
본 발명은 우수한 오염 방지 효과를 갖고, 안전성이 높은 오염 방지 효과제, 그리고 상기 오염 방지제를 이용한 피부 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미생물이 생산하는 발효물인 만노실에리트리톨리피드(MEL)가 미소 입자상 물질에 대한 우수한 오염 방지 효과를 갖는 것을 알아내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지견에 기초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알아내고, 본 발명에 도달하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포함한다.
항 1. 만노실에리트리톨리피드(MEL)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 방지제.
항 2. 만노실에리트리톨리피드(MEL)가 MEL-B인 항 1에 기재된 오염 방지제.
항 3. MEL-B가 일반식 (2) 또는 일반식 (3)으로 표시되는 구조(일반식 (2) 및 일반식 (3) 중, 치환기 R1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되는 탄소수 4 내지 24의 지방족 아실기를 나타냄)를 갖는 항 1 또는 2에 기재된 오염 방지제.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항 4. R1의 탄소수가 8 내지 14개인 항 3에 기재된 오염 방지제.
항 5. 만노실에리트리톨리피드(MEL)가 용매 중에 분산ㆍ용해되어 이루어지는 조성물인 항 1 내지 4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오염 방지제.
항 6. 항 1 내지 5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오염 방지제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항 7. 만노실에리트리톨리피드(MEL)를 0.001 내지 10.0질량% 함유하는 항 6에 기재된 피부 외용제.
항 8. 항 1 내지 5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오염 방지제를 사용함으로써 대기 에어로졸 입자의 피부 또는 모발에 대한 부착을 억제하는 방법.
본 발명에 의해, MEL을 유효 성분으로 한 오염 방지제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MEL의 자기 조직화능을 이용하여, 피도포 물질 표면에 MEL을 포함하는 오염 방지층을 형성함으로써 피도포 물질에 대한 대기 에어로졸 입자의 흡착ㆍ침입을 방해하는 것이며, 피부의 손상을 완화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오염 방지제로서 유효하다.
도 1은 실시예 2에서, MEL을 포함하는 것에 따른 바이오스킨을 사용한 오염 방지 평가를 행한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 2에서, MEL을 포함하는 것에 따른 바이오스킨에 대한 도시 대기 분진 오염 방지 효과로서, 도시 대기 분진의 제거율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오염 방지제는 MEL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주된 오염의 대상이 되는 대기 오염 물질로서는, 대기 중에 존재하는 유해 물질 또는 유해 물질군을 가리킨다. 구체적으로는, 대기 오염 방지법에 의해 규제 대상으로 되어 있는 매연, 분진, 자동차 배출 가스, 특정 물질, 유해 대기 오염 물질 및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 등을 들 수 있지만(독립 행정 법인 환경 재생 보전 기구 홈페이지; https://www.erca.go.jp/yobou/taiki/taisaku/01_01.html),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PM10이나 PM2.5와 같은 복수종의 유해 물질을 포함하는 부유 입자상 물질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오염 방지란, 미소 입자상 물질 등의 대기 에어로졸 입자가 피부나 모발에 대하여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나아가, 미소 입자상 물질 등의 대기 에어로졸 입자가 피부나 모발에 대하여 부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그들에서 기인하는 피부 장해를 방지하고, 피부의 손상을 완화하는 것이다.
대기 에어로졸 입자는 피부나 모발에 대한 외적 자극으로서 대표적인 것이며, 다양한 화학 물질이나 생체 이물, 입자 등을 들 수 있고, 자동차, 화력 발전소, 소각로, 공장 등으로부터의 배연, 화산 분화에 의한 분출물, 토양 입자 등을 유래로 하는 분진이나 황사와 같은 입자상 물질, 연소 등을 유래로 하는 일산화탄소, 황 산화물, 질소 산화물 등의 배출 가스, 탄화수소와 질소 산화물 등이 광화학 반응을 일으켜서 발생하는 오존이나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 등의 광화학 옥시던트, 연소나 석유 제품으로부터의 휘발 등을 유래로 하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 등의 배출 가스나 미립자, 광물이나 공업 제품 등을 유래로 하는 석면 등의 미립자, 담배의 연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미소 입자상 물질을 많이 포함하는 도시 대기 분진은 근린 제국으로부터 월경 수송되어 온다는 관점에서, 특히 아시아 지역에서 생체에 대한 악영향이 널리 인식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오염 방지제는 미소 입자상 물질 등의 대기 에어로졸 입자의 부착 방지 효과가 우수하기 때문에, 미소 입자상 물질 등의 대기 에어로졸 입자에서 기인하는 피부 장해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MEL 자신이 항염증 효과 및 배리어 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다는 점에서, 미소 입자상 물질 등의 대기 에어로졸 입자에서 기인하는 염증이나 피부 거칠음을 억제ㆍ개선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여러 가지 배합 성분을 첨가함으로써, 그의 효과 향상이 기대된다. 이 오염 방지제는 화장품, 의약부외품, 의료용품, 위생용품, 의약품으로서 제공할 수 있다.
(MEL)
MEL의 구조를 일반식 (1)에 나타낸다. 일반식 (1) 중, 치환기 R1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되는 탄소수 4 내지 24의 지방족 아실기이다. MEL은 만노오스의 4위치 및 6위치의 아세틸기의 유무에 기초하여, MEL-A, MEL-B, MEL-C 및 MEL-D의 4종류로 분류된다. MEL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지만, 2종 이상의 MEL을 병용할 수도 있다.
Figure pct00003
구체적으로는, MEL-A는 일반식 (1) 중, 치환기 R2 및 R3이 모두 아세틸기이다. MEL-B는 일반식 (1) 중, 치환기 R2가 아세틸기이며, 치환기 R3이 수소 원자이다. MEL-C는 일반식 (1) 중, 치환기 R2가 수소 원자이며, 치환기 R3이 아세틸기이다. MEL-D는 일반식 (1) 중, 치환기 R2 및 R3이 모두 수소 원자이다.
상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MEL에 있어서의 치환기 R1의 탄소수는, MEL 생산 배지에 함유시키는 유지류인 트리글리세라이드를 구성하는 지방산의 탄소수, 및 사용하는 MEL 생산균의 지방산의 자화(資化) 정도에 따라 변화한다. 또한, 상기 트리글리세라이드가 불포화 지방산 잔기를 갖는 경우, MEL 생산균이 상기 불포화 지방산의 이중 결합 부분까지 자화되지 않으면, 치환기 R1로서 불포화 지방산 잔기를 포함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얻어지는 MEL은 통상 치환기 R1의 지방산 잔기 부분이 다른 화합물의 혼합물의 형태이다.
본 발명의 오염 방지제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MEL은 MEL-A, MEL-B 또는 MEL-C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일반식 (2) 또는 일반식 (3)으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MEL-B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일반식 (3)으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MEL-B이다. 또한, 일반식 (3) 중 치환기 R1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되는 탄소수 4 내지 24의 지방족 아실기이다. 치환기 R1의 탄소수는 상기 범위 내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8개 내지 14개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치환기 R1은 포화 지방족 아실기여도 되고 불포화 지방족 아실기여도 되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불포화 결합을 갖고 있는 경우, 예를 들어 복수의 이중 결합을 갖고 있어도 된다. 탄소쇄는 직쇄여도 되고 분지쇄상이어도 된다. 또한, 산소 원자 함유 탄화수소기의 경우, 포함되는 산소 원자의 수 및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일반식 (2) 및 일반식 (3) 중, 치환기 R1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되는 탄소수 4 내지 24의 지방족 아실기임)
MEL은 미생물을 사용하여 배양 생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seudozyma sp. 등을 배양하여 얻어진 MEL 혼합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정제하여, 각각의 MEL-A, MEL-B, MEL-C를 단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첨가하는 상기 MEL의 사용 형태는 임의이다. 예를 들어, MEL은 미생물 배양액으로부터의 추출물인 채로, 또는 정제된 고순도품을 사용한다. 또는 물에 현탁하거나, 또는 용매에 녹인 후 사용해도 된다. 적합한 MEL-B는 정제된 고순도품이며, 80% 내지 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00%의 순도로 정제된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오염 방지제는 MEL 그 자체, 또는 MEL을 용매 중에 분산ㆍ용해시켜 이루어지는 조성물을 가리킨다. 용매로서는 MEL을 분산ㆍ용해시킬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수용성 기제, 유용성 기제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수용성 기제로서는, 예를 들어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펜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유용성 기제로서는, 예를 들어 아보카도유, 올리브유, 오렌지유, 카밀레유, 쿠쿠이넛유, 홍화유, 대두유, 동백유, 옥수수유, 유채씨유, 피마자유, 면실유, 낙화생유, 터틀유, 밍크유, 난황유, 팜유, 팜핵유, 목랍, 야자유, 경화유, 경화 피마자유, 왁스류, 라놀린류, 유동 파라핀, 바셀린, 스쿠알란,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헨산, 올레산,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운데실렌산, 라놀린 지방산 등의 천연 지방산, 이소노난산, 카프로산, 2-에틸부탄산, 이소펜탄산, 2-메틸펜탄산, 2-에틸헥산산, 이소펜탄산, 라우릴알코올, 세탄올, 스테아릴알코올, 올레일알코올, 라놀린알코올, 바틸알코올,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팔미트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부틸, 라우르산헥실, 미리스트산미리스틸, 올레산올레일, 올레산데실,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디메틸옥탄산헥실데실 등을 들 수 있다.
오염 방지제에 있어서의 MEL의 배합량은 피부 외용제에 오염 방지 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범위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통상 0.001질량% 내지 100.0질량%가 바람직하고, 0.005질량% 내지 9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0.01질량% 내지 90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만노실에리트리톨리피드를 함유하는 오염 방지제 및 이것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인데, MEL의 배합량은 오염 방지 효과를 발휘하는 범위에서 첨가하면 된다. 피부 외용제 중에 있어서 통상 0.001 내지 10.0질량%가 바람직하고, 0.01 내지 1.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0.05 내지 0.5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0.001질량% 미만인 경우, 피도포 물질 표면에서 충분히 MEL의 층 구조가 형성되지 않고, 오염 방지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으며, 한편 10.0질량%를 초과하는 경우, 제제 시의 작업성의 저하가 우려된다.
또한, 상기 피부 외용제 중에 포함될 수 있는 상기 MEL 이외의 그 밖의 성분으로서도,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오염 방지제는 미소 입자상 물질 등의 대기 에어로졸 입자의 우수한 부착 방지 효과를 가짐과 함께, 안전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피부 외용제로의 이용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는 상기 본 발명의 오염 방지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고, 추가로 필요에 따라 그 밖의 성분을 함유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피부 외용제란, 피부에 적용되는 각종 약제를 의미하고, 그의 구분으로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피부 화장료, 의약부외품, 의약품 등을 폭 넓게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피부 외용제의 형태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연고, 크림, 유액, 미용액, 로션, 팩, 파운데이션, 립크림, 입욕제, 헤어 토닉, 헤어 로션, 비누, 바디 샴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그 밖의 성분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피부 외용제를 제조함에 있어서 통상 사용되는 성분, 예를 들어 유성 성분, 계면 활성제, 용제, 보습제, 증점제, 약효 성분, 방부제, 안료, 분체, pH 조정제, 자외선 흡수제, 항산화제, 향료 등을 적절하게 배합할 수 있다.
상기 유성 성분으로서는, 아보카도유, 올리브유, 오렌지유, 카밀레유, 쿠쿠이넛유, 홍화유, 대두유, 동백유, 옥수수유, 유채씨유, 피마자유, 면실유, 낙화생유, 터틀유, 밍크유, 난황유, 팜유, 팜핵유, 목랍, 야자유, 경화유, 경화 피마자유, 왁스류, 라놀린류, 유동 파라핀, 바셀린, 스쿠알란,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헨산, 올레산,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운데실렌산, 라놀린 지방산 등의 천연 지방산, 이소노난산, 카프로산, 2-에틸부탄산, 이소펜탄산, 2-메틸펜탄산, 2-에틸헥산산, 이소펜탄산, 라우릴알코올, 세탄올, 스테아릴알코올, 올레일알코올, 라놀린알코올, 바틸알코올,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팔미트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부틸, 라우르산헥실, 미리스트산미리스틸, 올레산올레일, 올레산데실,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디메틸옥탄산헥실데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유성 성분을 첨가함으로써, 본 발명의 오염 방지용 피부 외용제에 대하여 기재로서의 효과나 완화 효과가 기대된다.
상기 계면 활성제로서는 음이온 계면 활성제(카르복실산염, 술폰산염, 황산에스테르염, 인산에스테르염), 양이온 계면 활성제(아민염, 4급 암모늄염), 양성 계면 활성제(카르복실산형 양성 계면 활성제, 황산에스테르형 양성 계면 활성제, 술폰산형 양성 계면 활성제, 인산에스테르형 양성 계면 활성제), 비이온 계면 활성제(에테르형 비이온 계면 활성제, 에테르에스테르형 비이온 계면 활성제, 에스테르형 비이온 계면 활성제, 블록 중합체형 비이온 계면 활성제, 질소 함유형 비이온 계면 활성제), 그 밖의 계면 활성제(천연 계면 활성제,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유도체, 고분자 계면 활성제, 티타늄ㆍ규소를 포함하는 계면 활성제, 불화 탄소계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용제로서는,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펜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보습제로서는, 화장료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이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되고, 예를 들어 피롤리돈카르복실산, 락트산, 락트산나트륨, 아미노산,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황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보습제를 첨가함으로써, 본 발명의 오염 방지용 피부 외용제에 대하여 보습성 부여 등의 효과가 기대된다.
상기 증점제로서는, 화장료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이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되고, 예를 들어 구아검, 퀸스시드, 카라기난, 갈락탄, 아라비아검, 펙틴, 만난, 전분, 크산탄검, 커들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메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 구아검, 카르복시메틸 구아검, 덱스트란, 로커스트빈검, 숙시노글루칸, 카로닌산, 키틴, 키토산, 카르복시메틸키틴, 한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알킬 변성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폴리아크릴산나트륨, 벤토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증점제는 본 발명의 오염 방지용 피부 외용제에 대하여 안정성 향상, 사용감 개량 등의 효과가 기대된다.
상기 약효 성분으로서는, 화장료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이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되고, 예를 들어 비타민 A 또는 그의 유도체, 비타민 B6 또는 그의 유도체, 비타민 B2 또는 그의 유도체, 비타민 B12, 비타민 B15 또는 그의 유도체 등의 비타민 B류, α-토코페롤, β-토코페롤, γ-토코페롤, 비타민 E 아세테이트 등의 비타민 E류, 비타민 D류, 비타민 H, 판토텐산, 판테틴, 피롤로퀴놀린퀴논 등의 비타민류, 각종 동식물 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약효 성분을 첨가함으로써, 본 발명의 오염 방지용 피부 외용제에 대하여 항산화 작용이나 안티에이징 효과의 부여가 기대된다.
상기 방부제로서는, 화장료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이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되고, 예를 들어 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부틸파라벤 등의 파라벤류, 페녹시에탄올, 에틸헥실글리세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방부제를 첨가함으로써, 본 발명의 오염 방지용 피부 외용제에 대하여 방부성 향상의 효과가 기대된다.
상기 pH 조정제로서는, 화장료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이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되고, 예를 들어 시트르산, 시트르산Na, 락트산, 락트산Na, 수산화Na, 수산화K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pH 조정제를 첨가함으로써, 본 발명의 오염 방지용 피부 외용제에 대하여 안정성 향상 등의 효과가 기대된다.
본 발명의 오염 방지제 그리고 피부 외용제에, 상술한 바와 같은 여러 가지 성분을 첨가함으로써, 그들 성분에 따라 보습 작용, 세포 활성 작용, 항노화 작용, 육모 작용 및 피부 거칠음 개선 작용 등의 효과를 부여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오염 방지제 그리고 피부 외용제는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유효 성분인 상기 MEL의 작용에 의해, 미소 입자상 물질 등 대기 에어로졸 입자의 피부에 대한 부착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오염 방지제 그리고 피부 외용제는 미소 입자상 물질 등의 대기 에어로졸 입자에서 기인하는 피부 장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MEL 자신의 항염증 효과에 의해, 미소 입자상 물질 등의 대기 에어로졸 입자에서 기인하는 염증을 억제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외적 환경으로부터 피부를 지키기 위해 사용되는 피부 외용제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나아가, 미소 입자상 물질의 부착 방지 효과, 항염증 효과에 더하여 MEL에는 배리어 기능 개선 효과가 확인되기 때문에, 각각 다른 메커니즘으로 피부에 대한 유용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기대할 수 있고, 피부 외용제로서 사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미소 입자상 물질에 의해 야기되는 염증에서 기인하는 건성 피부, 거친 피부, 아토피성 피부염, 건선 등, 다양한 피부 증상의 예방ㆍ개선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 기대된다.
본 발명의 오염 방지제 및 피부 외용제는 인간에 대하여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지만, 그의 작용 효과가 발휘되는 한 인간 이외의 동물(예를 들어, 마우스, 래트, 햄스터, 개, 고양이, 소, 돼지, 원숭이 등)에 대하여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오염 방지제는 미생물 발효에 의한 천연 유래의 MEL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것이며, 안전성이 우수한 점에서도 유리하다.
실시예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로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MEL-B의 제조
Pseudozyma tsukubaensis(NBRC 1940)를 500ml 용량 사카구치 플라스크를 사용하여, YM 배지에서 배양 온도 26℃에서 48시간 통기 교반 배양하였다. 얻어진 용액을 종 배양액으로 한다. 얻어진 종 배양액을 10L 용량 자 발효인을 사용하여, YM 배지(5% 올리브유를 포함함)에서 배양 온도 26℃에서 7일간 통기 교반 배양하였다. 배양액에 등량의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여 교반하고 분배를 행하였다. 아세트산에틸층에 무수 황산Na를 적량 첨가하여 30분간 정치시킨 후, 가온 농축하여 조(粗)MEL-B를 얻었다. 얻어진 조MEL-B를 실리카 겔 칼럼을 사용하여, 클로로포름:아세톤=1:0, 클로로포름:아세톤=9:1, 클로로포름:아세톤1:1, 클로로포름:아세톤=3:7, 클로로포름:아세톤=0:1로 용출하였다. MEL-B 분획을 분취ㆍ농축하여 정제MEL-B를 얻었다.
실시예 2 MEL-B에 의한 도시 대기 분진 오염 방지 시험
(시료)
피검 시료로서는, 표 1에 나타내는 조성으로 이하에 기재하는 조제 방법에 의해 조제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한 시료는 상술한 실시예 1에서 얻어진 MEL-B를 사용하였다.
처음에 표 1에 있어서의 A를 70℃까지 가온하고, B를 첨가하여 교반ㆍ용해하였다. 다음에, A+B상을 교반하면서, 미리 60℃로 가온 용해한 C+D상(비교예의 경우에는 D상)을 점차 첨가하여, MEL을 분산시킨 피검 시료를 조제하였다.
Figure pct00006
(바이오스킨을 사용한 오염 방지 평가)
인공 피부 모형 바이오스킨(뷰랙스제)에 대하여, 피검 시료를 2㎎/㎠가 되도록 균일하게 도포하고, 정치하여 건조시켰다(n=3). 도시 대기 분진(NIES CRM No.28) 10㎎을 폴리에틸렌 봉지(세이산 닛뽄사제)에 칭량하고, 덮개를 덮어서 폴리에틸렌 봉지를 흔들어, 도시 대기 분진이 비산하는 의사(疑似) 대기를 제작하였다. 도시 대기 분진을 비산시킨 폴리에틸렌 봉지에 피검 시료를 도포한 바이오스킨을 넣어서 흔드는 것으로, 바이오스킨에 도시 대기 분진을 부착시켰다. 도시 대기 분진을 부착시킨 바이오스킨을 마이크로스코프(오므론제)로 복수점 촬영하고, 부착 직후의 상태를 기록하였다. 그 후, 도시 대기 분진이 부착한 바이오스킨을 샤워형의 유수 200g에 노출하고, 표면의 수분을 문지르지 않도록 하여 제거하였다. 부착 직후에 촬영한 개소와 마찬가지의 개소를 다시 마이크로스코프로 촬영하고, 유수에 의한 도시 대기 분진의 탈락 후의 상태를 기록하였다(도 1 참조). 유수 처리 전후의 촬영 사진에 대하여, 화상 처리 소프트웨어 Image J(https://imagej.nih.gov/ij/)를 사용하여 흑백 변환하고, 흑색 부분의 면적값을 도시 대기 분진 부착 면적으로서 수치화하고, 유수 처리 전후의 도시 대기 분진 제거율을 산출하였다. 시험은 이중 맹검화하여 실시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도 2에 도시한다.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MEL-B를 포함하는 피검 시료를 도포한 경우에는, MEL-B를 포함하지 않는 피검 시료를 도포한 경우와 비교하여, 바이오스킨에 부착된 도시 대기 분진이 유의하게 적은 것이 밝혀졌다. 즉, 본 결과로부터 MEL-B를 포함하는 피검 시료에서는 미소 입자상 물질의 부착 방지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나타났다. 이것은 MEL-B가 바이오스킨 표면에서 자기 조직화하여, 친수기끼리, 소수기끼리가 정연하게 배열된 층 구조를 형성하여 미소 입자상 물질의 부착 예방 효과를 발휘하고, 유수 폭로시에 도시 대기 분진이 효율적으로 탈락된 것으로 생각된다.
실시예 3
이하에, 본 발명에 있어서의 피부 외용제로서의 처방예를 나타낸다.
(1) 화장수
하기 조성에 따라, 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ㆍ정제수: 90.70g
ㆍ글리세린: 3.00g
ㆍ페녹시에탄올: 0.20g
ㆍ부틸렌글리콜: 5.00g
ㆍ펜틸렌글리콜: 1.00g
ㆍMEL-B: 0.10g
(2) 젤
하기 조성에 따라, 젤을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ㆍ정제수: 88.80g
ㆍ카보머: 0.30g
ㆍ크산탄검: 0.10g
ㆍ아르기닌: 0.40g
ㆍ글리세린: 5.00g
ㆍ페녹시에탄올: 0.20g
ㆍ부틸렌글리콜: 5.00g
ㆍMEL-B: 0.2g
(3) 크림
하기 조성에 따라, 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ㆍ정제수: 58.50g
ㆍ부틸렌글리콜: 10.00g
ㆍ글리세린: 5.00g
ㆍ페녹시에탄올: 0.20g
ㆍ에틸헥실글리세린: 0.20g
ㆍ스쿠알란: 10.00g
ㆍ올리브유: 10.00g
ㆍ베헤닐알코올: 2.50g
ㆍ펜타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10: 1.90g
ㆍ스테아로일락트산Na: 0.60g
ㆍ팔미트산세틸: 1.00g
ㆍMEL-B: 0.10g
이들 제제는 모두 미소 입자상 물질 등의 대기 에어로졸 입자의 부착 방지 효과가 기대되며, 미소 입자상 물질에 대한 피부의 보호에 유효하다.
본 발명의 오염 방지제 그리고 피부 외용제는 미소 입자상 물질 등의 대기 에어로졸 입자의 피부나 모발에 대한 부착을 방지함으로써, 대기 오염 물질에 의한 피부에 대한 염증 등의 장해를 방지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나아가, MEL의 항염증 효과, 배리어 기능 개선 효과에 의해 상승적으로 피부의 장해를 억제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피부 외용제에 적합하게 이용 가능하다.

Claims (8)

  1. 만노실에리트리톨리피드(MEL)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 방지제.
  2. 제1항에 있어서, 만노실에리트리톨리피드(MEL)가 MEL-B인, 오염 방지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MEL-B가 일반식 (2) 또는 일반식 (3)으로 표시되는 구조(일반식 (2) 및 일반식 (3) 중, 치환기 R1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되는 탄소수 4 내지 24의 지방족 아실기를 나타냄)를 갖는, 오염 방지제.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4. 제3항에 있어서, R1의 탄소수가 8 내지 14개인, 오염 방지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만노실에리트리톨리피드(MEL)가 용매 중에 분산ㆍ용해되어 이루어지는 조성물인, 오염 방지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오염 방지제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7. 제6항에 있어서, 만노실에리트리톨리피드(MEL)를 0.001 내지 10.0질량%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오염 방지제를 사용함으로써 대기 에어로졸 입자의 피부 또는 모발에 대한 부착을 억제하는, 방법.
KR1020207027396A 2018-02-28 2019-01-17 오염 방지제 및 피부 외용제 KR1025195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34242 2018-02-28
JPJP-P-2018-034242 2018-02-28
PCT/JP2019/001209 WO2019167458A1 (ja) 2018-02-28 2019-01-17 汚染防止剤及び皮膚外用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8063A true KR20200128063A (ko) 2020-11-11
KR102519553B1 KR102519553B1 (ko) 2023-04-10

Family

ID=67805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7396A KR102519553B1 (ko) 2018-02-28 2019-01-17 오염 방지제 및 피부 외용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3) JPWO2019167458A1 (ko)
KR (1) KR102519553B1 (ko)
CN (1) CN111787904B (ko)
WO (1) WO2019167458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3163A (ja) * 2007-06-06 2009-01-22 Nippon Shokubai Co Ltd 化粧品添加剤
JP2012001458A (ja) * 2010-06-15 2012-01-05 Pola Chemical Industries Inc 皮膚外用組成物
JP2016088929A (ja) 2014-10-30 2016-05-23 日光ケミカルズ株式会社 汚染防止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汚染防止用化粧料又は汚染防止用皮膚外用剤
JP2016216366A (ja) 2015-05-14 2016-12-22 オリザ油化株式会社 大気エアロゾル粒子に起因する皮膚炎症抑制剤
KR20170103698A (ko) * 2016-03-03 2017-09-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바이오셀룰로오스 미세섬유 수분산체 네트워크 조성물
JP2017186276A (ja) 2016-04-06 2017-10-12 キユーピー株式会社 アンチポリューション剤およびアンチポリューション用皮膚外用組成物
JP2018503671A (ja) * 2015-02-02 2018-02-08 アイ.ビー.アール.イスラエリ バイオテクノロジー リサーチ リミテッド アステリスクスグラベオレンス抽出物及びその使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9567A (ja) * 2007-12-21 2009-07-09 Toyobo Co Ltd バイオサーファクタントを含有する化粧品組成物
JP2009275017A (ja) * 2008-05-16 2009-11-26 Toyobo Co Ltd バイオサーファクタント含有水中油型乳化化粧品組成物
WO2017150950A1 (ko) * 2016-03-03 2017-09-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바이오셀룰로오스 미세섬유 수분산체 네트워크 조성물
JP2018016595A (ja) * 2016-07-29 2018-02-01 東洋紡株式会社 動物用洗浄剤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3163A (ja) * 2007-06-06 2009-01-22 Nippon Shokubai Co Ltd 化粧品添加剤
JP2012001458A (ja) * 2010-06-15 2012-01-05 Pola Chemical Industries Inc 皮膚外用組成物
JP2016088929A (ja) 2014-10-30 2016-05-23 日光ケミカルズ株式会社 汚染防止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汚染防止用化粧料又は汚染防止用皮膚外用剤
JP2018503671A (ja) * 2015-02-02 2018-02-08 アイ.ビー.アール.イスラエリ バイオテクノロジー リサーチ リミテッド アステリスクスグラベオレンス抽出物及びその使用
JP2016216366A (ja) 2015-05-14 2016-12-22 オリザ油化株式会社 大気エアロゾル粒子に起因する皮膚炎症抑制剤
KR20170103698A (ko) * 2016-03-03 2017-09-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바이오셀룰로오스 미세섬유 수분산체 네트워크 조성물
JP2017186276A (ja) 2016-04-06 2017-10-12 キユーピー株式会社 アンチポリューション剤およびアンチポリューション用皮膚外用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101683A (ja) 2023-07-21
CN111787904A (zh) 2020-10-16
WO2019167458A1 (ja) 2019-09-06
CN111787904B (zh) 2023-12-15
JP2023101682A (ja) 2023-07-21
KR102519553B1 (ko) 2023-04-10
JPWO2019167458A1 (ja) 2021-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1702B1 (ko) 신규 유사세라마이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JP5284345B2 (ja) しわ抑制方法
JP2007332088A5 (ko)
WO2019234635A1 (zh) 包含金钗石斛的组合物及其使用方法
JP2001172176A (ja) 皮膚改善剤
WO2018185408A1 (fr) Ingredient protecteur de l'equilibre de la flore microbienne cutanee et/ou mucosale
KR20210053638A (ko)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30081357A1 (en) Topical composition comprising cannabidiol
JP2024037887A (ja) 空気中微粒子付着防止用組成物
KR102519553B1 (ko) 오염 방지제 및 피부 외용제
WO2018084112A1 (ja) アクネ菌株選択的抗菌剤
JP6721310B2 (ja) 汚染防止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汚染防止用化粧料又は汚染防止用皮膚外用剤
JP7130910B2 (ja) 新規な方法
US4160844A (en) Composition for treating skin mast cells and/or delayed cellular hypersensitivity reactions
JP2005289912A (ja) 植物性抗菌組成物
JP2004075579A (ja) 外用鎮痒剤
JP2019019104A (ja) セラミド合成促進剤及び皮膚外用剤
JP6399545B2 (ja) 微細藻類由来の抗酸化剤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又は皮膚外用剤
JP2003034644A (ja) ヒアロニダーゼ阻害剤及び皮膚外用組成物
CN113925817A (zh) 具有抗污染功效的护肤精华及其制备方法
JP2023098541A (ja) 鼻内用の油性外用組成物
KR20210076566A (ko) 미세먼지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FR3085845A1 (fr) Utilisation d'eau de reotier pour limiter la penetration cutanee des polluants
JP2019006696A (ja) 活性酸素消去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