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3638A -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3638A
KR20210053638A KR1020190139485A KR20190139485A KR20210053638A KR 20210053638 A KR20210053638 A KR 20210053638A KR 1020190139485 A KR1020190139485 A KR 1020190139485A KR 20190139485 A KR20190139485 A KR 20190139485A KR 20210053638 A KR20210053638 A KR 20210053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weight
cosmetic composition
water
skin cond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9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0170B1 (ko
Inventor
정현식
박준수
홍은미
김희영
박찬미
이경록
방은지
김경민
김수영
Original Assignee
아이큐어 주식회사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큐어 주식회사,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filed Critical 아이큐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9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0170B1/ko
Publication of KR20210053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3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1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95Liquid cryst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 상태를 개선할 수 있는 유효성분이 피부에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되어, 피부 상태를 개선할 수 있는 본 발명은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cond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 상태를 개선할 수 있는 유효성분이 피부에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되어, 피부 상태를 개선할 수 있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신체의 외부를 덮고 있는 하나의 막으로 여러 가지 외부의 자극, 장해, 건조 등의 환경요소로부터 신체를 보호해 주는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수행하여 내부 장기와 그 밖의 체내 기관을 보호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신진대사를 조절하는 각종 호르몬의 분비가 감소하고, 면역세포의 기능과 세포들의 활성이 저하되어 생체에 필요한 면역 단백질 및 생체 구성 단백질들의 생합성이 줄어들게 되고, 외적으로는 오존층 파괴와 같은 환경오염으로 인한 자외선, 자유 라디칼 및 활성산소의 증가로 인하여 발생하는 물리적, 화학적 자극 및 스트레스로 인한 피부의 정상기능이 약화되고 노화가 촉진되며 혈색이 나빠지고 피부가 주름지게 된다.
한편, 급속한 산업화, 자동차 배출가스, 중국으로부터 이동해온 공기덩어리에 의한 중금속 가루 및 미세먼지 등 외부 오염물이 사람들의 피부를 오염시키며, 피부 노화 및 트러블 발생의 큰 원인으로 손꼽히고 있다.
중금속은 납, 수은, 카드뮴, 아연, 니켈 등 비중 4 이상의 무거운 금속원소를 가리키며, 이러한 중금속은 미량이라도 체내에 축적되면 잘 배설되지 않고 체내에 존재하는 단백질에 쌓여 장기간에 걸쳐 부작용을 나타내기 때문에 매우 위험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중금속은 피부에서 대기와 화학반응을 일으켜 질소 산화물(NO)과 같은 유해물질을 추가로 생성해 피부의 염증, 아토피, 피부 트러블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미세먼지는 눈에 보이지 않는 지름 10㎛ 이하의 작은 먼지를 가리키며, 황산염, 질산염 등과 같은 독성 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세먼지는 자동차 매연과 공장 굴뚝에서 나온 유독물질 또는 중금속 등이 대기 중에서 광화학 반응을 일으켜 만들어지며, 고농도의 미세먼지 환경에 노출되는 경우, 기침, 안구 따가움, 피부 트러블, 폐·기도 세포에 염증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러나, 피부 모공 내에 축적되어 있는 중금속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은 존재하지 않으며, 미세먼지는 클렌징으로 어느 정도 제거할 수 있지만, 미세할수록 흡착력이 강하기 때문에 모공에 깊숙이 스며들어 일반 클렌징으로는 완벽하게 제거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화장품 업계에서는 여러 화학물질 등에 의한 피부 자극을 줄이기 위해 천연물을 사용한 제품이 다수 개발되고 있다. 천연 재료는 피부에 부작용이 적을 뿐 아니라, 피부 상태를 개선성이 우수하여, 최근 천연 재료를 이용한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호응이 높아짐에 따라 화장품 원료로서 개발가치가 한층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천연물을 사용한 제품은 천연물과 혼합되는 화장품 성분에 따라 피부 상태를 개선할 수 있는 유효성분이 피부에 용이하게 흡수될 수 있는 확률이 상이하게 차이날 수 있어,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생체 안정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피부 상태를 개선할 수 있는 유효성분이 피부에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되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한국 등록특허번호 제10-1992336호(공개일 : 2018.06.2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피부 흡수율이 좋을 뿐만 아니라, 피부 재생, 피부 보습, 피부 탄력 개선, 피부 주름 방지, 피부 주름 개선, 피부 염증 개선, 피부 미백 개선 또는 외부 자극에 의한 손상 피부 장벽 개선할 수 있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수상부 및 유상부를 포함하는 액정 유화물(liquid crystal emulsion)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식물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유상부는 다가알코올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식물 추출물은 적채(Brassica Oleracea Capitata; red cabbage) 발효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점도가 2,000 ~ 30,000 cps(25℃)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액정 유화물은 라멜라(LAMELLAR)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수상부는 정제수, 보습제, 유화제, 용제 및 수용성 점증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수상부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보습제 5 ~ 30 중량부, 유화제 0.5 ~ 10 중량부, 용제 0.5 ~ 5 중량부 및 수용성 점증제 0.01 ~ 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유상부의 다가알코올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 7.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식물 추출물의 적채 발효 추출물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3.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다가알코올은 세테아릴알코올 및 글리세릴베헤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다가알코올은 세테아릴알코올 및 글리세릴베헤네이트를 1 : 0.1 ~ 3.0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유상부는 보습제, 유화제 및 용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유상부의 보습제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 1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유상부의 유화제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 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유상부의 용제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 2.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식물 추출물은 당광나무 추출물, 병풀 추출물, 마테잎 추출물, 블래더랙 추출물 및 꿀풀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수상부의 보습제는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판테놀, 알란토인, 글리세린 및 부틸렌글라이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수상부의 유화제는 폴리글리세릴-5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및 알지닌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수상부의 용제는 1,2-헥산다이올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수상부의 수용성 점증제는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유상부의 보습제는 스쿠알란,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에틸헥실글리세린, 세라마이드엔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유상부의 유화제는 폴리글리세릴-6옥타스테아레이트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유상부의 용제는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피부 상태 개선은 피부 재생, 피부 보습, 피부 탄력 개선, 피부 주름 방지, 피부 주름 개선, 피부 염증 개선, 피부 미백 개선 또는 외부 자극에 의한 손상 피부 장벽 개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화장수, 에센스, 로션, 크림, 팩, 파운데이션, 젤, 폼,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베이스, 파우더, 비누, 액체 세정료,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입욕제, 선스크린크림, 선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연고, 패치 또는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60 ~ 100℃의 온도에서 정제수, 보습제, 유화제, 용제 및 수용성 점증제를 혼합하여 수상부를 제조하는 제1단계, 65 ~ 105℃의 온도에서 다가알코올, 보습제, 유화제 및 용제를 혼합하여 유상부를 제조하는 제2단계, 상기 수상부와 상기 유상부를 혼합하여 라멜라(LAMELLAR) 구조를 가지는 액정 유화물을 제조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액정 유화물에 식물 추출물을 혼합하여 점도가 2,000 ~ 30,000 cps(25℃)인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4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은 피부 흡수율이 좋을 뿐만 아니라, 피부 재생, 피부 보습, 피부 탄력 개선, 피부 주름 방지, 피부 주름 개선, 피부 염증 개선, 피부 미백 개선 또는 외부 자극에 의한 손상 피부 장벽 개선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
본 발명에 기재된 "액정(liquid crystal)"이란 액체의 구조적 특성과 고체의 규칙적인 구조적 특성의 중간적 특성을 나타내는 준결정상으로, 분자간의 규칙적인 배향에 의하여 액체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분자 운동성을 가지는 물질을 말한다. 이로 인해, 빛의 산란과 같은 특성과 결정성의 물성을 나타내는 등 독특한 성질을 가지는 물질을 말한다.
본 발명의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수상부 및 유상부를 포함하는 액정 유화물(liquid crystal emulsion)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액정 유화물은 액정이 형성된 유화물이며,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액정 유화물은 유화공법으로 제조되어 친수부분과 친유부분을 동시에 지니고 있는 유기 분자들이 친수부분은 친수부분끼리 친유부분은 친유부분끼리 일정하게 배열하여 여러 층을 이루고 있는 피부 각질층의 세포간지질과 유사한 라멜라(lamellar)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2,000 ~ 30,000 cps(25℃), 바람직하게는 10,000 ~ 25,000 cps(25℃),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00 ~ 18,000 cps(25℃)의 점도를 가질 수 있으며, 만일 점도가 2,000 cps(25℃) 미만이면 안정성의 문제가 있을 수 있고, 30,000 cps(25℃)를 초과하면 용기 토출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상부는 물을 예로 들 수 있는 수상 성분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구성부로서, 정제수를 포함하고, 보습제, 유화제, 용제 및 수용성 점증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수상부의 보습제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 3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 ~ 2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상부의 보습제는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판테놀(Panthenol), 알란토인(Allantoin), 글리세린(Glycerin) 및 부틸렌글라이콜 (Butylene Glycol)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판테놀, 알란토인, 글리세린 및 부틸렌글라이콜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수상부의 보습제 중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 0.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 ~ 0.1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상부의 보습제 중 판테놀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 ~ 0.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상부의 보습제 중 알란토인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5 ~ 0.3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고, 만일 알란토인이 0.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한다면 피부 개선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한다면 저온에서 석출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상부의 보습제 중 글리세린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 2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0 ~ 1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고, 만일 글리세린이 1.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한다면 용해도 저하의 문제가 있을 수 있고, 3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한다면 사용시 끈적임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상부의 보습제 중 부틸렌글라이콜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 1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0 ~ 10.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수상부의 유화제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 ~ 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상부의 유화제는 폴리글리세릴-5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5 stearate),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및 알지닌(Arginin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글리세릴-5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및 알지닌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수상부의 유화제 중 폴리글리세릴-5스테아레이트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 3.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고, 만일 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한다면 액정 형성이 잘 되지 않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5.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한다면 점도가 높게 나오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상부의 유화제 중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 3.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고, 만일 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한다면 액정 형성이 잘 되지 않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5.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한다면 점도도 높게 나올 뿐만 아니라, 액정 형성이 안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상부의 유화제 중 알지닌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5 ~ 0.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수상부의 용제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 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 ~ 3.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수상부의 용제로서 1,2-헥산다이올(1,2-Hexanediol)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수상부의 수용성 점증제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5 ~ 0.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수상부의 수용성 점증제로서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수용점 점증제로서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가 단독으로 사용시에는 점증제의 충돌이 일어나지 않지만 복합적으로 점증제를 사용시 액정이 잘 형성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상부는 에멀젼 제형을 위한 성분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구성부로서, 다가알코올(Polyhydric alcohol), 보습제, 유화제 및 용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다가알코올, 보습제, 유화제 및 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유상부의 다가알코올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 7.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 ~ 5.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4.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상부의 다가알코올은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 및 글리세릴베헤네이트(Glyceryl Behenat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세테아릴알코올 및 글리세릴베헤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세테아릴알코올 및 글리세릴베헤네이트를 1 : 0.1 ~ 3.0 중량비,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1 : 0.2 ~ 1.8 중량비, 더더더욱 바람직하게는 1 : 0.3 ~ 0.8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세테아릴알코올 및 글리세릴베헤네이트의 중량비가 1 : 0.1 미만이면 점도가 너무 높아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1 : 3.0을 초과한다면 액정 형성이 되지 않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유상부의 보습제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 1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0 ~ 8.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상부의 보습제는 스쿠알란(squalene),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yglycerides), 에틸헥실글리세린 (Ethylhexylglycerin), 세라마이드엔피(Ceramide NP)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스쿠알란,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에틸헥실글리세린, 세라마이드엔피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유상부의 보습제 중 스쿠알란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 3.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상부의 보습제 중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 1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0 ~ 7.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상부의 보습제 중 에틸헥실글리세린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 ~ 0.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상부의 보습제 중 세라마이드엔피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 ~ 0.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유상부의 유화제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5 ~ 3.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상부의 유화제는 폴리글리세릴-6옥타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6 octastearate)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글리세릴-6옥타스테아레이트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유상부의 유화제 중 폴리글리세릴-6옥타스테아레이트 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 3.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고, 만일 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한다면 액정 형성이 잘 되지 않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5.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한다면 점도가 너무 높아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상부의 유화제 중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5 ~ 0.1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05 ~ 0.0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유상부의 용제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 2.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 ~ 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수상부의 용제로서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Coco-Caprylate/Caprate)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식물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은 식물에서 피부 개선 효과를 보이는 유효성분을 추출한 추출물로서, 적채(Brassica Oleracea Capitata; red cabbage) 발효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적채(Brassica Oleracea Capitata; red cabbage)는 붉은꽃 양배추 또는 빨간 양배추, 적양배추, 루비볼이라고도 불리우는 양배추의 한 종류로, 본 발명의 적채발효 추출물은 한국 등록특허번호 제10-1992336호에 기재된 적채 발효 추출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한국 등록특허번호 제10-1992336호의 제조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적채를 수세한 후 상온에서 완전히 건조시키고 분쇄하여 분쇄물을 100g 수득하고, 적채 분쇄물을 121℃에서 20분간 고압 멸균한 후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페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균사체(=발효 균주)를 접종하며, 발효 균주가 접종된 적채 분쇄물을 30℃ 에서 5일간, 80 내지 90%의 습도를 유지하며 배양하고, 발효된 적채에 대해 10배 부피의 70%(v/v)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80℃에서 2시간씩 2회 추출하고, 추출물을 250 메쉬 및 0.5㎛ 필터에 의해 여과하고, 40℃에서 감압 농축 후 동결 건조하여 수득된 물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의 적채 발효 추출물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3.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 ~ 2.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만일, 적채 발효 추출물이 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하면 피부 개성 효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3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하면 제형 안정성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은 병풀추출물(centella asiatica extract), 마테잎추출물(ilex paraguariensis leaf extract), 꿀풀추출물(prunella vulgaris extract), 블래더랙추출물(bladder wrack extract), 당광나무추출물 (Ligustrum Lucidum Extract)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당광나무 추출물, 병풀 추출물, 마테잎 추출물, 블래더랙 추출물 및 꿀풀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적채 발효 추출물 외에 식물 추출물로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추출물은 각각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5 ~ 2.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당광나무 추출물, 병풀 추출물, 마테잎 추출물, 블래더랙 추출물 및 꿀풀 추출물은 각각 당광나무, 병풀, 마테잎, 블래더랙 및 꿀풀을 추출 대상으로 하여 일반적인 추출방법으로 추출된 추출물을 일 수 있다. 일례로서, 추출 대상을 필요에 따라 건조, 세절, 파쇄, 압착, 자비 또는 발효 처리한 것을 냉수, 열수, 유기 용제 또는 물과 유기 용제의 혼합액 등의 추출 용매로 추출하거나 초음파 추출방법으로 추출된 추출물일 수 있으며, 추출에 사용되는 유기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아세톤, 아세트산에틸, 클로로포름, 펜탄, 헥산, 헵탄 등의 단독 혹은 2종 이상의 조합을 들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향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향료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향기를 가하기 위한 물질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향료를 포함할 수 있고, 일례로서 라벤더 오일, 제라늄 오일, 라임오일, 레몬껍질오일, 오렌지오일, 필리핀오렌지껍질오일, 일랑일랑꽃오일, 페퍼민트오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향료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 ~ 0.1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상태 개선은 피부 재생, 피부 보습, 피부 탄력 개선, 피부 주름 방지, 피부 주름 개선, 피부 염증 개선, 피부 미백 개선 또는 외부 자극에 의한 손상 피부 장벽 개선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피부 보습 또는 외부 자극에 의한 손상 피부 장벽 개선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화장수, 에센스, 로션, 크림, 팩, 파운데이션, 젤, 폼,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베이스, 파우더, 비누, 액체 세정료,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입욕제, 선스크린크림, 선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연고, 패치 또는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각 제형으로 이루어진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치는 마스크 팩, 아이패치, 네일패치, 립패치, 바디패치, 엘보우패치 또는 특정 부위에 적용하는 부분 패치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제1단계 내지 제4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의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의 제1단계는 60 ~ 100℃, 바람직하게는 70 ~ 90℃의 온도에서 정제수, 보습제, 유화제, 용제 및 수용성 점증제를 혼합하여 수상부를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수상부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성분들은 앞서 언급한 수상부에 포함할 수 있는 성분들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의 제2단계는 65 ~ 105℃, 바람직하게는 75 ~ 95℃의 온도에서 다가알코올, 보습제, 유화제 및 용제를 혼합하여 유상부를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유상부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성분들은 앞서 언급한 유상부에 포함할 수 있는 성분들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의 제3단계는 제1단계에서 제조한 수상부와 제2단계에서 제조한 유상부를 혼합하여 라멜라(LAMELLAR) 구조를 가지는 액정 유화물을 제조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의 제4단계는 제3단계에서 제조한 액정 유화물에 식물 추출물을 혼합하여 점도가 2,000 ~ 30,000 cps(25℃), 바람직하게는 10,000 ~ 25,000 cps(25℃),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00 ~ 18,000 cps(25℃)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구현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의 구현예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가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현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준비예 1 : 적채 발효 추출물의 제조
적채를 수세한 후 상온에서 완전히 건조시키고 분쇄하여 적채 분쇄물을 100g 수득하였다. 수득한 적채 분쇄물을 121℃에서 20분간 고압 멸균한 후, 상기 적채 분쇄물에 발효 균주인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페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균사체를 접종하였다. 발효 균주가 접종된 적채 분쇄물을 30℃ 에서 5일간, 80 내지 90%의 습도를 유지하며 배양하였다. 배양한 발효 균주가 접종된 적채 분쇄물에 대해 10배 부피의 70%(v/v)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80℃에서 2시간씩 2회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250 메쉬 및 0.5㎛ 필터에 의해 여과하고, 40℃에서 감압 농축 후 동결 건조하여 적채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1) 80℃의 온도에서 정제수, 보습제, 유화제, 용제 및 수용성 점증제를 혼합하여 수상부를 제조하였다. 이 때, 수상부의 보습제로서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판테놀, 알란토인,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을 사용하였고, 수상부의 유화제로서 폴리글리세릴-5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및 알지닌을 사용하였으며, 수상부의 용제로서 1,2-헥산다이올을 사용하였고, 수상부의 수용성 점증제로서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를 사용하였다. 또한, 수상부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성분들은 하기 표 1에 기재된 중량부로 혼합하였다.
(2) 85℃의 온도에서 다가알코올, 보습제, 유화제 및 용제를 혼합하여 유상부를 제조하였다. 이 때, 유상부의 다가알코올로서 글리세릴베헤네이트 및 세테아릴알코올을 사용하였고, 유상부의 보습제로서 스쿠알란,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에틸헥실글리세린, 세라마이드엔피를 사용하였으며, 유상부의 유화제로서 폴리글리세릴-6옥타스테아레이트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을 사용하였고, 유상부의 용제로서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를 사용하였다. 또한, 유상부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성분들은 하기 표 1에 기재된 중량부로 혼합하였다.
(3) 수상부와 유상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액정 유화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수상부에 유상부를 10분 동안 서서히 투입 및 교반하여 라멜라(lamellar) 구조를 가지는 액정 유화물을 제조하였다.
(4) 45℃의 온도에서 액정 유화물에 식물 추출물 및 향료를 하기 표 1에 기재된 중량부로 혼합하여 점도가 15,000 cps(25℃)인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식물 추출물로서 준비예 1에서 제조된 적채 발효 추출물, 당광나무 추출물, 병풀 추출물, 마테잎 추출물, 블래더랙 추출물 및 꿀풀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01
실시예 2 :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다만, 실시예 1과 달리 유상부의 다가알코올로서 글리세릴베헤네이트 및 세테아릴알코올을 하기 표 2에 기재된 중량부로 혼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2
실시예 3 :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다만, 실시예 1과 달리 유상부의 다가알코올로서 글리세릴베헤네이트 및 세테아릴알코올을 하기 표 3에 기재된 중량부로 혼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3
실시예 4 :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다만, 실시예 1과 달리 유상부의 다가알코올로서 글리세릴베헤네이트 및 세테아릴알코올을 하기 표 4에 기재된 중량부로 혼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4
실시예 5 :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다만, 실시예 1과 달리 유상부의 다가알코올로서 글리세릴베헤네이트 및 세테아릴알코올을 하기 표 5에 기재된 중량부로 혼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나, 제조과정에 있어서 층분리가 발생하여 원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없었다.
Figure pat00005
실시예 6 :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다만, 실시예 1과 달리 유상부의 다가알코올로서 글리세릴베헤네이트 및 세테아릴알코올을 하기 표 6에 기재된 중량부로 혼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6
실시예 7 :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다만, 실시예 1과 달리 유상부의 다가알코올로서 글리세릴베헤네이트 및 세테아릴알코올을 하기 표 7에 기재된 중량부로 혼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7
실시예 8 :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다만, 실시예 1과 달리 유상부의 다가알코올로서 글리세릴베헤네이트 및 세테아릴알코올을 하기 표 8에 기재된 중량부로 혼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8
실시예 9 :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다만, 실시예 1과 달리 유상부의 다가알코올로서 글리세릴베헤네이트 및 세테아릴알코올을 하기 표 9에 기재된 중량부로 혼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나, 제조과정에 있어서 층분리가 발생하여 원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없었다.
Figure pat00009
실시예 10 :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다만, 실시예 1과 달리 유상부의 다가알코올로서 세테아릴알코올만 하기 표 10에 기재된 중량부로 혼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10
실시예 11 :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다만, 실시예 1과 달리 유상부의 다가알코올로서 글리세릴베헤네이트만 하기 표 11에 기재된 중량부로 혼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11
비교예 1 :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1) 80℃의 온도에서 정제수, 보습제, 유화제, 용제 및 수용성 점증제를 혼합하여 수상부를 제조하였다. 이 때, 수상부의 보습제로서 알란토인,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을 사용하였고, 수상부의 유화제로서 알지닌을 사용하였으며, 수상부의 용제로서 1,2-헥산다이올을 사용하였고, 수상부의 수용성 점증제로서 카보머를 사용하였다. 또한, 수상부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성분들은 하기 표 12에 기재된 중량부로 혼합하였다.
(2) 85℃의 온도에서 다가알코올, 보습제, 유화제 및 용제를 혼합하여 유상부를 제조하였다. 이 때, 유상부의 다가알코올로서 세테아릴알코올을 사용하였고, 유상부의 보습제로서 스쿠알란,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에틸헥실글리세린, 세라마이드엔피를 사용하였으며, 유상부의 유화제로서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솔비탄스테아레이트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을 사용하였고, 유상부의 용제로서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를 사용하였다. 또한, 유상부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성분들은 하기 표 12에 기재된 중량부로 혼합하였다.
(3) 수상부와 유상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액정 유화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수상부에 유상부를 10분 동안 서서히 투입 및 교반하여 유화물을 제조하였다.
(4) 45℃의 온도에서 유화물에 식물 추출물 및 향료를 하기 표 12에 기재된 중량부로 혼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식물 추출물로서 준비예 1에서 제조된 적채 발효 추출물, 당광나무 추출물, 병풀 추출물, 마테잎 추출물, 블래더랙 추출물 및 꿀풀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12
실험예 1 : 피부 흡수율 평가
실시예 1 ~ 4, 실시예 6 ~ 8, 실시예 10 ~ 1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각각의 피부 흡수율을 평가하기 위하여, 프란츠 확산 셀(Franz-type diffusion cell: 유효면적 0.64㎠, 수용상 부피 5 ㎖) 장치를 사용해서 피부에 대한 흡수 실험을 실시하였다.
돼지 피부에서 획득한 표피를 프란츠 확산 셀에 장착하고 프란츠 확산 셀의 리셉터(receptor) 용기(5 ㎖)에 50 mM 인산염 완충액(pH 7.4, 0.1M NaCl)을 넣어준 후, 확산 셀(diffusion cell)을 32±0.5℃, 600 rpm으로 혼합 및 분산시켜 주었으며, 실시예 1 ~ 4, 실시예 6 ~ 8, 실시예 10 ~ 1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50 ㎕을 각각 도너(donor) 용기에 넣어 주었다. 예정한 시간에 따라 흡수 확산시켜 주었으며, 흡수 확산이 일어나는 피부는 0.64 cm가 되게하였다. 활성 성분의 흡수확산이 끝난 후에는 건조된 킴와이프스(kimwipes) 및 10 ㎖의 에탄올로 흡수되지 못하고 피부에 남아 있는 유화물을 씻어주고, 팁-타입 균질기(homogenizer)를 사용하여 활성성분이 흡수 확산되어 있는 피부를 갈아준 후, 피부 내부로 흡수된 활성성분(유리딘)을 다음 조건의 HPLC법으로 함량을 측정한 후에 그 결과를 하기 표 13에 나타내었다.
* HPLC법 조건 *
① 컬럼: C18(4.6 × 250 mm, 5 ㎛)
② 이동상: 0.1% 아세트산이 첨가된 물, 메탄올 gradient profile
③ HPLC gradient profile condition(표 21)
Time(min) A buffer
(H20 + 0.1% acetic acid)
B buffer
(methanol)
0 -> 5 70% 30%
5 -> 30 70% -> 0% 30% -> 100%
30 -> 35 0% 100%
④ 검출기: UV 280 nm
Figure pat00013
표 1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기준으로 실시예 1 ~ 4, 실시예 6 ~ 8 및 실시예 10 ~ 11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흡수율을 각각 평가하였으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이 가장 우수하게 활성성분(유리딘)을 피부 내로 전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 실시예 10 ~ 11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에 대한 흡수율을 비교하면, 다가 알코올을 단독으로 사용할 때보다 혼합하여 사용할 때 가장 우수하게 활성성분(유리딘)을 피부 내로 전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 ~ 4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중 실시예 4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에 대한 흡수율이 가장 저조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 6 ~ 8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중 실시예 8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에 대한 흡수율이 가장 저조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 수분 보유량 측정
실시예 1 ~ 4, 실시예 6 ~ 8, 실시예 10 ~ 1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각각의 수분 보유량을 측정하기 위해서 피부 체온과 비슷한 36℃의 항온기에 실시예 1 ~ 4, 실시예 6 ~ 8, 실시예 10 ~ 1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페트리디쉬에 적당량을 도포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수분 보유량(%)을 측정하여 하기 표 14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14
표 1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이 장시간동안 시간이 경과하여도 가장 우수하게 수분을 보유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 실시예 10 ~ 11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에 대한 흡수율을 비교하면, 다가 알코올을 단독으로 사용할 때보다 혼합하여 사용할 때 장시간동안 시간이 경과하여도 가장 우수하게 수분을 보유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 ~ 4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중 실시예 4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이 장시간동안 시간이 경과후에 수분 보유량이 가장 적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 6 ~ 8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중 실시예 8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이 장시간동안 시간이 경과후에 수분 보유량이 가장 적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 외부자극에 의한 진정 및 보습효과 평가
실시예 1 ~ 4, 실시예 6 ~ 8, 실시예 10 ~ 1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각각이 외부자극에 의한 진정 및 보습 효과가 있는지 본 시험 진행하였다. 본 시험은 만 19 ~ 60세의 성인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시험대상자가 시험제품(=실시예 1 ~ 4, 실시예 6 ~ 8, 실시예 10 ~ 1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전박 부위에 2주간 사용하는 동안 경피수분손실량(TEWL)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5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15
표 1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시험제품 사용 후 외부 자극에 의한 손상 피부 개선 측정 결과, 시험제품 사용 부위의 경표피수분손실량 측정값이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이 사용 14일 후, 통계적으로 가장 유의한 값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 실시예 10 ~ 11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비교하면, 다가 알코올을 단독으로 사용할 때보다 혼합하여 사용할 때, 외부 자극에 의한 손상 피부 개선 효과가 가장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 ~ 4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중 실시예 4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이 외부 자극에 의한 손상 피부 개선 효과가 가장 좋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 6 ~ 8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중 실시예 8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이 외부 자극에 의한 손상 피부 개선 효과가 가장 좋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조예 1 : 아이패치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에 점증제를 하기 표 16에 기재된 중량부로 혼합하여 아이패치를 제조하였다. 점증제로서 아이리쉬모스가루, 캐럽검, 구아검, 아가, 포타슘클로라이드 및 글루코오스를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16
제조예 2 : : 화장수의 제조
(1) 80℃의 온도에서 정제수, 보습제, 유화제 및 용제를 혼합하여 수상부를 제조하였다. 이 때, 수상부의 보습제로서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판테놀, 알란토인,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을 사용하였고, 수상부의 유화제로서 알지닌을 사용하였으며, 수상부의 용제로서 1,2-헥산다이올을 사용하였다. 또한, 수상부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성분들은 하기 표 17에 기재된 중량부로 혼합하였다.
(2) 80℃의 온도에서 보습제 및 유화제를 혼합하여 가용화부를 제조하였다. 이 때, 가용화부의 보습제로서 부틸렌글라이콜 및 에틸헥실글리세린를 사용하였고, 가용화부의 유화제로서 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를 사용하였다. 가용화부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성분들은 하기 표 17에 기재된 중량부로 혼합하였다.
(3) 수상부, 가용화부 및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혼합하여 액정 유화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수상부에 가용화부 및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10분 동안 서서히 투입 및 교반하여 라멜라(lamellar) 구조를 가지는 액정 유화물을 제조하였다.
(4) 45℃의 온도에서 액정 유화물에 식물 추출물 및 향료를 하기 표 17에 기재된 중량부로 혼합하여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식물 추출물로서 준비예 1에서 제조된 적채 발효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17
제조예 3 : 로션(에센스)의 제조
(1) 80℃의 온도에서 정제수, 보습제, 유화제, 용제 및 수용성 점증제를 혼합하여 수상부를 제조하였다. 이 때, 수상부의 보습제로서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판테놀, 알란토인,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을 사용하였고, 수상부의 유화제로서 폴리글리세릴-5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및 알지닌을 사용하였으며, 수상부의 용제로서 1,2-헥산다이올을 사용하였고, 수상부의 수용성 점증제로서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를 사용하였다. 또한, 수상부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성분들은 하기 표 18에 기재된 중량부로 혼합하였다.
(2) 85℃의 온도에서 다가알코올, 보습제, 유화제 및 용제를 혼합하여 유상부를 제조하였다. 이 때, 유상부의 다가알코올로서 글리세릴베헤네이트 및 세테아릴알코올을 사용하였고, 유상부의 보습제로서 스쿠알란,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에틸헥실글리세린, 세라마이드엔피를 사용하였으며, 유상부의 유화제로서 폴리글리세릴-6옥타스테아레이트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을 사용하였고, 유상부의 용제로서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를 사용하였다. 또한, 유상부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성분들은 하기 표 18에 기재된 중량부로 혼합하였다.
(3) 수상부와 유상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액정 유화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수상부에 유상부를 10분 동안 서서히 투입 및 교반하여 라멜라(lamellar) 구조를 가지는 액정 유화물을 제조하였다.
(4) 45℃의 온도에서 액정 유화물에 식물 추출물 및 향료를 하기 표 18에 기재된 중량부로 혼합하여 로션을 제조하였다. 식물 추출물로서 준비예 1에서 제조된 적채 발효 추출물, 당광나무 추출물, 병풀 추출물, 마테잎 추출물, 블래더랙 추출물 및 꿀풀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18
제조예 4 : 크림의 제조
(1) 80℃의 온도에서 정제수, 보습제, 유화제, 용제 및 수용성 점증제를 혼합하여 수상부를 제조하였다. 이 때, 수상부의 보습제로서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판테놀, 알란토인,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을 사용하였고, 수상부의 유화제로서 폴리글리세릴-5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및 알지닌을 사용하였으며, 수상부의 용제로서 1,2-헥산다이올을 사용하였고, 수상부의 수용성 점증제로서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를 사용하였다. 또한, 수상부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성분들은 하기 표 19에 기재된 중량부로 혼합하였다.
(2) 85℃의 온도에서 다가알코올, 보습제, 유화제 및 용제를 혼합하여 유상부를 제조하였다. 이 때, 유상부의 다가알코올로서 글리세릴베헤네이트 및 세테아릴알코올을 사용하였고, 유상부의 보습제로서 스쿠알란,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에틸헥실글리세린, 세라마이드엔피를 사용하였으며, 유상부의 유화제로서 폴리글리세릴-6옥타스테아레이트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을 사용하였고, 유상부의 용제로서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를 사용하였다. 또한, 유상부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성분들은 하기 표 19에 기재된 중량부로 혼합하였다.
(3) 수상부와 유상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액정 유화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수상부에 유상부를 10분 동안 서서히 투입 및 교반하여 라멜라(lamellar) 구조를 가지는 액정 유화물을 제조하였다.
(4) 45℃의 온도에서 액정 유화물에 식물 추출물 및 향료를 하기 표 19에 기재된 중량부로 혼합하여 크림을 제조하였다. 식물 추출물로서 준비예 1에서 제조된 적채 발효 추출물, 당광나무 추출물, 병풀 추출물, 마테잎 추출물, 블래더랙 추출물 및 꿀풀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19
실험예 4 : 안정성 평가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아이패치, 제조예 2에서 제조된 화장수, 제조예 3에서 제조된 로션, 제조예 4에서 제조된 크림 각각을 실온(25℃), 냉장(4℃) 및 항온(50℃)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실내, 냉장고 및 인큐베이터에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12주 동안 보관하면서, 변색, 변취 및 분리 등의 변화 여부를 관찰하여 안정성을 평가하여 하기 표 20에 기재하였다. 이 때, 변화가 없으면 O, 미세한 변화가 관찰되면 1, 변화가 관찰되면 2, 극심한 변화가 관찰되면 3으로 기재하였다.
Figure pat00020
표 20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아이패치, 제조예 2에서 제조된 화장수, 제조예 3에서 제조된 로션, 제조예 4에서 제조된 크림은 안정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이나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5)

  1. 수상부 및 유상부를 포함하는 액정 유화물(liquid crystal emulsion); 및 식물 추출물; 을 포함하고,
    상기 유상부는 다가알코올을 포함하며,
    상기 식물 추출물은 적채(Brassica Oleracea Capitata; red cabbage)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점도가 2,000 ~ 30,000 cps(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유화물은 라멜라(LAMELLAR)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부는 정제수를 포함하고,
    상기 유상부의 다가알코올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 7.0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부는 정제수를 포함하고,
    상기 식물 추출물의 적채 발효 추출물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3.0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가알코올은 세테아릴알코올 및 글리세릴베헤네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가알코올은 세테아릴알코올 및 글리세릴베헤네이트를 1 : 0.1 ~ 3.0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부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보습제 5 ~ 30 중량부, 유화제 0.5 ~ 10 중량부, 용제 0.5 ~ 5 중량부 및 수용성 점증제 0.01 ~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부는 보습제, 유화제 및 용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상부의 보습제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 15.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상부의 유화제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 5.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상부의 용제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당광나무 추출물, 병풀 추출물, 마테잎 추출물, 블래더랙 추출물 및 꿀풀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제는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판테놀, 알란토인, 글리세린 및 부틸렌글라이콜을 포함하고,
    상기 유화제는 폴리글리세릴-5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및 알지닌을 포함하며,
    상기 용제는 1,2-헥산다이올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성 점증제는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제는 스쿠알란,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에틸헥실글리세린, 세라마이드엔피를 포함하고,
    상기 유화제는 폴리글리세릴-6옥타스테아레이트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을 포함하며,
    상기 용제는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상태 개선은 피부 재생, 피부 보습, 피부 탄력 개선, 피부 주름 방지, 피부 주름 개선, 피부 염증 개선, 피부 미백 개선 또는 외부 자극에 의한 손상 피부 장벽 개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화장수, 에센스, 로션, 크림, 팩, 파운데이션, 젤, 폼,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베이스, 파우더, 비누, 액체 세정료,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입욕제, 선스크린크림, 선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연고, 패치 또는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5. 60 ~ 100℃의 온도에서 정제수, 보습제, 유화제, 용제 및 수용성 점증제를 혼합하여 수상부를 제조하는 제1단계;
    65 ~ 105℃의 온도에서 다가알코올, 보습제, 유화제 및 용제를 혼합하여 유상부를 제조하는 제2단계;
    상기 수상부와 상기 유상부를 혼합하여 라멜라(LAMELLAR) 구조를 가지는 액정 유화물을 제조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액정 유화물에 식물 추출물을 혼합하여 점도가 2,000 ~ 30,000 cps(25℃)인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4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90139485A 2019-11-04 2019-11-04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10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485A KR102310170B1 (ko) 2019-11-04 2019-11-04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485A KR102310170B1 (ko) 2019-11-04 2019-11-04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3638A true KR20210053638A (ko) 2021-05-12
KR102310170B1 KR102310170B1 (ko) 2021-10-08

Family

ID=75918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9485A KR102310170B1 (ko) 2019-11-04 2019-11-04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017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52272A (zh) * 2021-06-23 2022-01-21 云南杰美灵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祛斑除皱润肤乳液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4848534A (zh) * 2022-03-11 2022-08-05 北京淡适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透明质酸酵母莹润面霜及其制备方法
KR102513929B1 (ko) * 2022-10-12 2023-03-27 정영진 피부탄력을 위한 조성 및 조성비를 가지는 기능성 화장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8608B1 (ko) 2023-02-07 2023-12-04 주식회사 유어초이스바이씨랩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7468B1 (ko) * 2005-08-30 2007-02-27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면역증강 및 보습 효능을 가지는 새싹채소 발효 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9275017A (ja) * 2008-05-16 2009-11-26 Toyobo Co Ltd バイオサーファクタント含有水中油型乳化化粧品組成物
KR101992336B1 (ko) 2018-11-16 2019-06-26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적채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7468B1 (ko) * 2005-08-30 2007-02-27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면역증강 및 보습 효능을 가지는 새싹채소 발효 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9275017A (ja) * 2008-05-16 2009-11-26 Toyobo Co Ltd バイオサーファクタント含有水中油型乳化化粧品組成物
KR101992336B1 (ko) 2018-11-16 2019-06-26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적채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52272A (zh) * 2021-06-23 2022-01-21 云南杰美灵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祛斑除皱润肤乳液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3952272B (zh) * 2021-06-23 2024-01-12 云南东兴实业集团有限公司 一种祛斑除皱润肤乳液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4848534A (zh) * 2022-03-11 2022-08-05 北京淡适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透明质酸酵母莹润面霜及其制备方法
KR102513929B1 (ko) * 2022-10-12 2023-03-27 정영진 피부탄력을 위한 조성 및 조성비를 가지는 기능성 화장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0170B1 (ko) 2021-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0170B1 (ko)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0024703A1 (zh) 一种水溶性富勒烯外用组合物
CN109157453B (zh) 一种亲肤缓释组合物及其化妆品
CN111700853B (zh) 一种具有抗敏修复功效的化妆品组合物及其应用
TW202114621A (zh) 一種雙劑型精華及其製備方法
CN110638707A (zh) 一种眼部护理霜及其制备方法
KR102171133B1 (ko) 병풀 추출물 및 개양귀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13398016A (zh) 一种皮肤舒缓修护组合物及化妆品组合物
KR101352363B1 (ko) 현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외용제조성물
CN111228196A (zh) 一种基于小麦胚芽提取液的组合物、舒缓婴童面霜及其制备方法
CN110946784A (zh) 一种具有提升皮肤屏障功能、加强皮肤健康的护肤组合物
CN113116755A (zh) 一种促渗透的护肤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908977B1 (ko) 렌즈콩, 캐럽콩, 연꽃씨 및 퀴노아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공 수축 및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CN110693778A (zh) 一种面霜及其生产工艺
CN110801412B (zh) 一种皮脂仿生组合物及其应用和化妆品
KR20190021083A (ko) 고량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53676B1 (ko) 악마의 발톱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N103006477A (zh) 一种山茶油滋润霜
KR101843976B1 (ko) 흑효모 발효 발아녹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47589B1 (ko) 모루셀라 추출물 및 께묵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20015665A (ja) 皮膚外用剤
KR102291590B1 (ko) 유리딘 함량이 증가된 적채 발효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32633B1 (ko)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항염증효과, 피부보호효과와피부탄력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33132B1 (ko) 프랜지패니 오일 또는 프랜지패니 오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8127407A (ja) 表皮正常化剤並びにこれを含有する外用剤及び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