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5580A - 치마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치마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5580A
KR20200125580A KR1020207019010A KR20207019010A KR20200125580A KR 20200125580 A KR20200125580 A KR 20200125580A KR 1020207019010 A KR1020207019010 A KR 1020207019010A KR 20207019010 A KR20207019010 A KR 20207019010A KR 20200125580 A KR20200125580 A KR 20200125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granules
silica
colored
dentifric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9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우타로우 이이이즈미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25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558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6Alumi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47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e.g. crotonic acid, (meth)acryl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6Optical properties
    • A61K2800/262Transparent; Transluc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착색 과립이 분산 배합되어 외관의 심미성(착색 과립의 균일감 및 색의 선명함)이 우수한 치마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A) 착색 과립, (B) 실리카, (C) 운모 티탄, 및 (D) 소르비톨 및 글리세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을 함유하고, (D)성분의 함유량이 40질량% 이하인 치마제 조성물.
(E) 하기의 (E-1) 및 (E-2)성분으로부터 선택되는 점결제를 더 함유하는 상기 치마제 조성물.
(E-1) 폴리아크릴산나트륨 및 카르복시비닐 폴리머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E-2) 크산탄검, 카라기난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

Description

치마제 조성물
본 발명은 착색 과립이 분산 배합되어 외관의 심미성(착색 과립의 균일감 및 색의 선명함)이 우수한 치마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치마제 조성물은 사용할 때에 튜브 용기로부터 치마제 조성물을 압출하여 칫솔에 얹어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 때 우선은 그 외관에 의해 품질의 좋고 나쁨이 판단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가 기호하는 심미성이 좋은 외관을 설계하는 것은 치마제 조성물을 사용 시의 만족감을 높일 뿐만 아니라 계속 사용으로도 이어지기 때문에 주요한 과제이다.
종래부터 외관의 아름다움을 연출하기 위해서 투명화, 광택감 부여, 스트라이프 형상 외관의 부여, 착색 입자의 배합에 의한 심미화를 실시한 치마제 조성물이 하기 특허문헌 1~4에 제안되어 있고, 심미성 개선을 위해서 착색 입자를 응용하는 것은 공지이다.
·특허문헌 1(일본특허공고 평7-59491호 공보): 연마 실리카, 연마 실리카와 동일한 굴절률을 갖는 비히클, 운모 티탄, 증점 실리카 및 지방산 알칸올아미드를 함유하는 펄감을 갖는 치마 조성물
·특허문헌 2(일본특허공개 평11-217320호 공보): 특정 투명도를 갖는 치약 조성물에 운모 티탄을 배합한 펄 광택을 갖는 치약 조성물
·특허문헌 3(일본특허공표 2002-526393호 공보): 습윤제로서 소르비톨, 글리세롤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특정 비율로 함유하는 투명 치마 겔에 착색 실리카 입자를 배합한 투명한 액체 치마 제제
·특허문헌 4(일본특허공표 2006-514117호 공보): 반투명 또는 투명 겔상에 줄무늬 모양의 외관을 만들어 내는 착색제 입자를 포함하는 제 1 층과 다른 제 2 층을 포함하는 다색 줄무늬 모양의 치마제 조성물
일본특허공고 평 7-59491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평 11-217320호 공보 일본특허공표 2002-526393호 공보 일본특허공표 2006-514117호 공보
그러나, 치마제 조성물에 착색 입자를 배합해도 만족스러운 심미성의 외관을 부여하는 것은 어렵고, 외관의 겉보기는 아직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착색 과립이 분산 배합되어 외관의 심미성(착색 과립의 균일감 및 색의 선명함)이 우수한 치마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를 행한 결과, 착색 입자로서 착색 과립과, 기제로서 실리카를 배합한 치마제 조성물에 운모 티탄과 특정량 이하의 특정 당알코올을 병용해서 배합하면 치마제 베이스가 적당한 반투명 외관이 되고, 상기 치마제 베이스에 착색 과립이 균일하게 분산 배합되어 그 균일감 및 색의 선명함이 향상되고, 외관의 심미성이 우수한 것을 지견했다. 즉, 본 발명에서는 (A) 착색 과립, (B) 실리카를 배합한 치마제 조성물에 (C) 운모 티탄, 및 (D) 소르비톨, 글리세린으로부터 선택되는 당알코올을 배합하고, (D)성분의 배합량이 40질량% 이하임으로써 착색 과립이 분산 배합되어 착색 과립의 균일감 및 색의 선명함이 우수하고, 외관의 심미성이 향상된 치마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지견하고 본 발명을 이루기에 이르렀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특히 투명이나 반투명의 치마제 조성물에 착색 입자, 특히 착색 과립을 배합했을 경우, 착색 과립이 균일하게 분산 배합되어 있어도 제제의 표면과 내부의 착색 과립이 중복되어 보여 겉보기의 균일감이 결여된 경우가 있었다. 그런데, 착색 과립을 치마제 베이스의 치마 기제, 특히 물을 용매에 포함하는 수성 기제에 배합하는 경우는 착색용의 색소는 용출되기 어려운 안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일반적으로 안료는 수용성 염료와 비교해서 선명함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고, 또한 수성 기제에 배합해서 젖은 상태에서는 색의 톤이 떨어지는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A) 및 (B)성분에 (C) 및 (D)성분을 조합하고 (D)성분의 배합량이 특정량 이하이면, (A) 착색 과립의 겉보기의 균일감이 향상되고, 그 색의 선명함을 개선할 수도 있었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서는 치마제 베이스의 외관이 비쳐 보이는 것처럼 광택감이 있는 반투명 외관이 될 뿐만 아니라 착색 입자가 균일하게 분산되어 박힌 것처럼 보이는 균일감, 및 착색 입자의 색조가 선명하고 돋보이는 것처럼 보이는 색의 선명함을 주어 외관의 심미성이 우수한 치마제 조성물을 얻을 수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A), (B), (C) 및 (D)성분의 조합에 있어서 (B)성분을 기제로서 사용하고, 또한 (D)성분을 특정량 이하로 사용함으로써 (A)성분이 박힌 것처럼 보이는 제제 외관, 특히 적당한 반투명 외관을 설계할 수 있고, 또한 (C)성분을 첨가함으로써 제제 표면이 광택감을 발할 뿐만 아니라 (A)성분의 색이 선명하게 돋보여서 반투명 외관의 설계에도 기여하고, 특이적으로 상기 각별한 작용 효과를 부여할 수 있었다.
후술의 비교예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A)성분의 비교 성분인 무착색 과립이 배합된 비교예 1은 과립의 균일감이나 과립의 색의 선명함이 뒤떨어져 있었다(양쪽 모두에 ×). 또한, (C)성분이 결여된 비교예 3, 4는 착색 과립의 색의 선명함이 뒤떨어지고(×), 산화티탄이 배합된 비교예 3은 착색 과립의 균일감도 나빴다(×). (D)성분량이 특정값을 초과하여 지나치게 많은 비교예 2는 착색 과립의 균일감이 뒤떨어져 있었다(△). 이들에 대하여 본 발명의 치마제 조성물(실시예)은 착색 과립의 균일감 및 색의 선명함이 우수했다(양쪽 모두 ◎ 또는 ○).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의 치마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1〕(A) 착색 과립,
(B) 실리카,
(C) 운모 티탄, 및
(D) 소르비톨 및 글리세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을 함유하고, (D)성분의 함유량이 40질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마제 조성물.
〔2〕(A)성분이 실리카 및 제올라이트로부터 선택되는 수불용성 재료와 색소를 함유하는 착색 과립인 〔1〕에 기재된 치마제 조성물.
〔3〕(A)성분이 착색 실리카 과립인 〔1〕 또는 〔2〕에 기재된 치마제 조성물.
〔4〕(A)성분이 적색, 청색 또는 녹색의 과립인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치마제 조성물.
〔5〕(B)성분이 연마성 실리카 및 증점성 실리카로부터 선택되는 실리카인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치마제 조성물.
〔6〕(A)성분을 0.01~2질량%, (B)성분을 5~40질량%, (C)성분을 0.01~2질량%, 및 (D)성분을 5~40질량% 함유하는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치마제 조성물.
〔7〕 (E) 하기의 (E-1) 및 (E-2)성분으로부터 선택되는 점결제 0.1~3.5질량%를 더 함유하는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치마제 조성물.
(E-1) 폴리아크릴산나트륨 및 카르복시비닐 폴리머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E-2) 크산탄검, 카라기난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
〔8〕(A)성분을 제외한 치마제 베이스가 반투명인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치마제 조성물.
〔9〕반투명의 치마제 베이스에 (A) 착색 과립이 분산 배합된 치마제 조성물인 〔8〕에 기재된 치마제 조성물.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착색 과립이 분산 배합되어 외관의 심미성(착색 과립의 균일감 및 색의 선명함)이 우수한 치마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치마제 조성물은 (A) 착색 과립, (B) 실리카, (C) 운모 티탄, 및 (D) 소르비톨 및 글리세린으로부터 선택되는 당알코올을 함유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착색 과립의 균일감이란 제제의 치마제 베이스 전체에 착색 과립이 균일하게 분산되어 박혀져 있는 것처럼 인지되는 겉보기의 감각이다. 착색 과립의 색의 선명함이란 착색 과립의 색이 선명하고 돋보이고 있는 것처럼 인지되는 겉보기의 감각이다.
(A) 착색 과립은 과립 기재 입자(코어)와 색소를 함유하고, 과립 기재 입자가 색소로 착색된 것이다. 과립 기재 입자, 색소는 각각 치마제 조성물에 배합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과립 기재 입자 성분으로서는 수불용성 재료를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색소는 유기계이며 물에 용해되지 않는 색소가 좋고, 안료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수불용성 재료는 실리카 및 제올라이트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1종류 단독이어도 2종류를 병용해도 좋다. 그 중에서도 실리카가 보다 바람직하다.
안료는 백색 이외의 것이 좋고, 특히 적색 안료, 청색 안료, 녹색 안료가 바람직하다. 이들 안료는 예를 들면, 하기의 시판 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적색 안료
C.I. Pigment Red 181(C.I. 73360)
C.I. Pigment Red 4(C.I. 12085)
C.I. Pigment Red 5(C.I. 12490)
C.I. Pigment Red 112(C.I. 12370)
C.I. Pigment Red 122(C.I. 73915)
C.I. Pigment Red 254(C.I. 56110)
청색 안료
C.I. Pigment Blue 15(C.I. 74160)
C.I. Pigment Blue 15:1(C.I. 74160)
C.I. Pigment Blue 15:3(C.I. 74160)
C.I. Pigment Blue 15:6(C.I. 74160)
C.I. Pigment Blue 80(C.I. 77007)
녹색 안료
C.I. Pigment Green 7(C.I. 74260)
C.I. Pigment Green 36(C.I. 74265)
착색 과립은 바람직하게는 착색 실리카 과립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색 실리카 과립, 청색 실리카 과립, 녹색 실리카 과립이다.
과립 기재 입자로서는 분쇄물 또는 조립물을 사용할 수 있고, 구성 성분에는 상기 재료에 추가하여 과립에 통상 배합될 수 있는 공지 성분이 첨가되어 있어도 좋고, 구체적으로는 향료 성분, 그 외 부형제, 약효 성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임의 성분은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립 기재 입자는 원료의 구성 성분을 이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조제할 수 있다.
상기 색소의 사용량은 과립 기재 입자 표면 전체를 피복할 수 있으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착색 과립의 과립 기재 입자 전체에 대하여 0.01%(질량%, 이하 동일)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02% 이상인 것이 본 발명의 효과의 발현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사용량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통상 10% 이하, 특히 5%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착색 과립의 양태로서 착색 과립 전체에 대한 색소의 함유량은 0.01~10%가 바람직하고, 0.02~5%가 보다 바람직하다.
착색 과립은 붕괴성 과립, 비붕괴성 과립 모두 사용할 수 있고, 붕괴성 과립을 사용하는 경우는 평균 붕괴 강도는 바람직하게는 10~100g/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15~50g/개이다. 이 범위 내의 붕괴성 과립을 사용하면, 양치 중의 과립에 의한 위화감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과립의 평균 붕괴 강도는 레오미터(Sun Scientific Co., Ltd.제의 SUN RHEOMETER CR-200D)에 의해 과립 30개에 대하여 1개씩 자동 파단 강도 측정값(과립 1개를 10㎜/분의 속도로 압축했을 시에 과립이 붕괴될 때의 하중)을 측정한 값의 평균값이다(이하 동일).
착색 과립의 평균 입경은 150~80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500㎛이다. 평균 입경이 클수록 과립의 시인화를 위해 적합하지만 800㎛ 이하이면, 양치 중의 과립에 의한 불쾌한 위화감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과립의 평균 입경은 질량 기준이며, JIS 체에 의해 체가름을 행한 후, 각 체에 잔존하는 과립의 질량을 측정하고, 이 질량 분포로부터 50% 입경을 산출한 값이다(이하 동일).
상기와 같은 착색 과립은 과립 기재 입자(코어)의 표면에 색소를 피복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고, 조제 방법은 통상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시판품을 이용할 수도 있다. 시판품으로서 구체적으로는 PQ Corporation사제의 착색 실리카 과립(상품명: Sorbosil BFG54, 적색 실리카 과립, 안료: C.I. Pigment Red 181, 상품명: Sorbosil BFG51, 청색 실리카 과립, 안료: C.I. Pigment Blue 15:1, 상품명: Sorbosil BFG52, 녹색 실리카 과립, 안료: C.I. Pigment Green 7)을 들 수 있다.
(A) 착색 과립의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의 0.01~2%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1%이다. 상기 범위 내이면, 착색 과립의 균일감이 충분히 우수하고, 또한 좋은 사용감을 충분히 유지할 수도 있다.
(B)성분의 실리카는 비착색의 실리카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연마성 실리카 및 증점성 실리카를 들 수 있다. (B)성분의 실리카의 평균 입경은 통상 연마성 실리카, 증점성 실리카에 의해 사용되는 범위이면 좋고,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3~30㎛가 바람직하고, 3~25㎛가 보다 바람직하다(레이저 산란 측정법, D50, 체적 기준).
연마성 실리카는 실리카 겔, 침강성 실리카, 지르코노실리케이트,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연마성 실리카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휴바사제의 연마성의 무수 규산, 상품명: Zeodent103을 사용할 수 있다.
증점성 실리카는 겔화성 실리카, 겔화성 알루미늄 실리카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증점성 실리카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휴바사제의 증점성의 무수 규산, 상품명: Zeodent165를 사용할 수 있다.
(B) 실리카의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의 5~4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35%, 더욱 바람직하게는 15~30%이다. 배합량이 5% 이상이면, 본 발명의 효과를 발현하고, 40% 이하이면, 제제 안정성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착색 과립의 균일감이 충분히 우수하다.
또한, 상기 (B)성분의 배합량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연마성 실리카를 배합하는 경우, 그 바람직한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의 5~3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25%이다. 증점성 실리카의 바람직한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의 0~10%, 특히 1~10%이다.
(C) 운모 티탄은 치마제 표면에 광택감을 부여함과 아울러 착색 과립의 색의 선명함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발휘하고, 과립의 균일감의 향상에도 관여한다.
운모 티탄은 평균 입경이 10~20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150㎛, 더욱 바람직하게는 80~120㎛이다. 상기 범위 내이면, 충분한 배합 효과가 얻어진다. 상기 운모 티탄의 평균 입경은 D50, 체적 기준이며, 레이저 산란 측정법에 의해 측정한 값이다(이하 동일).
상기 운모 티탄은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상품명: Timiron MP-115(Merck제, D50=100㎛)를 사용할 수 있다.
(C) 운모 티탄의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의 0.01~2%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2%, 특히 바람직하게는 0.05~1%이다. 배합량이 0.01% 이상이면, 착색 과립의 색의 선명함이 충분히 우수하고, 또한 착색 과립의 균일감이 향상된다. 2% 이하이면, 착색 과립의 색의 선명함이 우수하고, 제제 안정성도 양호하다.
(D)성분은 소르비톨 및 글리세린으로부터 선택되는 당알코올이며, 소르비톨 또는 글리세린이어도, 소르비톨 및 글리세린이어도 좋다. (D)성분은 치마제 베이스의 (B) 실리카에 의한 투명도를 조정하고, 착색 과립의 균일감의 향상에 기여한다.
상기 당알코올은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르비톨은 상품명; NEOSORB(로케트(주)제), 글리세린은 글리세린(Sakamoto Yakuhin kogyo Co., Ltd.제)을 사용할 수 있다.
(D)성분의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의 40%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5~4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35%이다. 배합량이 40%를 초과하면, 투명도가 지나치게 높아서 희구하는 반투명의 범위를 일탈하고, 착색 과립의 균일감이 나빠진다. 5% 이상이면, 치마제 베이스가 적당한 반투명이 되고, 착색 과립의 균일감이 충분히 우수하다.
본 발명의 치마제 조성물은 상기 성분에 추가하여 (E)성분으로서 하기의 (E-1) 및 (E-2)성분으로부터 선택되는 점결제를 더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E)성분을 배합하면, 제제의 보형성 및 외관이 보다 개선되고, 착색 과립의 균일감 및 색의 선명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E)성분은 하기의 (E-1) 및 (E-2)성분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며, 특히 (E-1) 및 (E-2)성분을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E-1) 폴리아크릴산나트륨 및 카르복시비닐 폴리머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E-2) 크산탄검, 카라기난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
(E-1)성분은 특히 폴리아크릴산나트륨이 바람직하고, 가교형 폴리아크릴산나트륨이 보다 바람직하다. (E-2) 성분은 특히 크산탄검이 바람직하다. (E-1) 및 (E-2)성분은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E-1)성분은 제제의 보형성을 향상시키고, 치마제 베이스에 적당한 반투명 외관을 확보하여 충분한 보형성을 부여한다. (E-2)성분은 제제 표면, 특히 겔 표면의 윤기를 개선하여 충분한 윤기를 부여한다. 상기 (E-1) 및 (E-2)성분을 병용하면, 양자가 상호작용해서 적당한 반투명 외관을 확보하면서 제제의 보형성 및 제제 표면이 보다 개선되고, 착색 과립의 균일감 및 색의 선명함이 더욱 향상된다.
(E)성분을 배합하는 경우, 그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의 0.1~3.5%, 특히 0.4~3%, 특히 0.5~2%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E)성분의 배합량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E-1)성분을 배합하는 경우, 그 바람직한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의 0.05~1.5%, 특히 0.2~1%이며, (E-2)성분을 배합하는 경우, 그 바람직한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의 0.05~2%, 특히 0.2~1.5%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E)성분((E-1), (E-2)성분) 이외의 유기 점결제를 더 첨가해도 좋다. 유기 점결제는 예를 들면, 알긴산 유도체, 평균 분자량 20만 이상(의약 부외품 원료 규격 2006 기재의 평균 분자량)의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비닐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임의의 유기 점결제를 배합하는 경우는 (E)성분과의 합계량이 3%를 초과하지 않고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할 수 있다. 임의의 유기 점결제는 배합하지 않아도 좋다.
본 발명의 치마제 조성물은 치약으로서 조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에 추가하여 필요에 따라 임의 성분을 배합할 수 있고, 상기 이외의 공지 성분을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치약에서는 (A), (B) 및 (C)성분 이외에 특히 실리카 이외의 규산염계의 연마제, (D)성분 이외의 습윤제, 계면활성제, 또한 필요에 따라 감미료, 방부제, 향료, 유효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또한, 착색 과립을 제외한 치마제 베이스에는 착색제는 배합하지 않아도 좋다.
조제 방법은 통상의 방법을 채용하고, 배합 성분을 물 등의 용매와 혼합해서 얻을 수 있고, 상법에 의해 (A)성분 이외의 성분을 배합한 치마제 베이스에 (A) 착색 과립을 분산 배합해서 조제할 수 있다.
연마제는 상기와 같은 규산염, 예를 들면 제올라이트를 들 수 있고, 그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의 5% 이하가 바람직하고, 무배합(배합량 0%)이어도 좋다. 연마제로서 규산염 이외의 탄산칼슘이나 인산칼슘은 본 발명의 효과에 악영향을 줄 우려가 있기 때문에 배합하지 않는 편이 좋다.
습윤제는 (D)성분 이외의 것, 예를 들면 크실리톨, 에리스리톨, 평균 분자량 160~400(의약 부외품 원료 규격 2006 기재의 평균 분자량)의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을 들 수 있다. 이들 (D)성분 이외의 습윤제의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의 0~8%, 특히 0~5%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D)성분도 습윤제로서 작용한다.
계면활성제는 치마제용으로서 일반적인 라우릴황산나트륨 등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베타인형인 지방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 등의 양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배합량은 통상 조성물 전체의 0.001~10%, 특히 0.1~5%이다.
감미료는 사카린나트륨을 들 수 있고, 방부제는 파라옥시벤조산에스테르, 벤조산 또는 그 염을 들 수 있다.
향료는 치마제용의 공지의 향료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페퍼민트유, 스페어민트유, 아니스유, 유칼리유, 원터그린유, 카시아유, 클로브유, 타임유, 세이지유, 레몬유, 오렌지유, 박하유, 카르다몬유, 코리앤더유, 만다린유, 라임유, 라벤더유, 로즈마리유, 로렐유, 캐모마일유, 캐러웨이유, 마조람유, 베이유, 레몬그라스유, 오리가남유, 파인니들유, 네롤리유, 로즈유, 자스민유, 그레이프프루트유, 스위티유, 유자유, 이리스 콘크리트, 앱솔루트 페퍼민트, 앱솔루트 로즈, 오렌지 플라워 등의 천연 향료나, 이들 천연 향료의 가공 처리(전류부 컷트, 후류부 컷트, 분별 증류, 액액 추출, 에센스화, 분말 향료화 등)한 향료, 및 멘톨, 카르본, 아네톨, 시네올, 살리실산메틸, 신나믹알데히드, 오이게놀, 3-l-멘톡시프로판-1,2-디올, 티몰, 리날로올, 리날릴아세테이트, 리모넨, 멘톤, 멘틸아세테이트, N-치환-파라멘탄-3-카르복사미드, 피넨, 옥틸알데히드, 시트랄, 풀레곤, 카르빌아세테이트, 아니스알데히드, 에틸아세테이트, 에틸부티레이트, 알릴시클로헥산프로피오네이트, 메틸안트라닐레이트, 에틸메틸페닐글리시데이트, 바닐린, 운데카락톤, 헥사날, 부탄올, 이소아밀알코올, 헥센올, 디메틸술파이드, 시클로텐, 푸르푸랄, 트리메틸피라진, 에틸락테이트, 에틸티오아세테이트 등의 단품 향료, 또한 스트로베리 플레이버, 애플 플레이버, 바나나 플레이버, 파인애플 플레이버, 그레이프 플레이버, 망고 플레이버, 버터 플레이버, 밀크 플레이버, 프루트믹스 플레이버, 트로피컬프루트 플레이버 등의 조합 향료라고 한 공지의 향료 소재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실시예 기재의 향료에 한정되지 않는다.
향료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의 향료 소재는 조성물 중에 0.000001~1%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향료 소재를 사용한 부향용 향료는 조성물 중에 0.000001~2%, 특히 0.1~2%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효 성분은 치마제용으로서 공지의 약효 성분, 예를 들면 살균제, 항염증제, 효소, 불화나트륨, 모노플루오로인산나트륨 등의 불소 함유 화합물, 피로인산염, 트리폴리인산염 등의 축합 인산염, 식물 추출물, 치석 방지제, 치구 방지제를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유효량 배합할 수 있다.
용매는 물이 바람직하고, 치마제 조성물 중의 수분 함량은 20~50%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치마제 조성물은 치마제 베이스가 반투명인 것이 바람직하고, 반투명의 치마제 베이스에 (A) 착색 과립이 분산 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A)성분을 제외한 치마제 베이스(치마제 조성물로부터 (A)성분을 제외한 조성물)는 하기와 같은 조건 중 적어도 (2)를 만족하는 반투명이면 보다 바람직하고, 2개 이상을 만족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백지 위에 3개의 약 1㎜ 폭의 흑선을 2㎜ 간격으로 긋고, 그 선 위에 선을 걸치도록 해서 수용 용기로부터 치마제 조성물을 압출하여 얹어 바로 위로부터 육안으로 보았을 때의 선의 보이는 정도가,
(1) 백지 위에 압출된 치마제 조성물의 두께가 4㎜ 미만, 특히 3㎜ 이하인 경우, 선이 뚜렷하게 보인다.
(2) 치마제 조성물의 두께가 4㎜ 이상 9㎜ 이하인 경우, 선이 뿌옇지만 보인다.
(3) 치마제 조성물의 두께가 9㎜를 초과하고, 특히 10㎜ 이상인 경우, 선이 보이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치마제 조성물, 특히 치마제 베이스의 성상은 (B), (C) 및 (D)성분을 조합하고, 바람직하게는 (C) 및 (D)성분의 배합량을 각각 상기 범위로 조정해서 얻을 수 있다.
또한, (A), (B) 및 (C)성분 이외의 수불용성 입자나, (D)성분 이외의 습윤제는 각각 상기 성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 처방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예에 있어서 %는 모두 질량%이다.
[실시예, 비교예]
표 1~4에 나타내는 조성의 치마제 조성물을 상법에 의해 조제하고, 하기 방법으로 제제 외관에 대해서 평가했다. 결과를 표 1~4에 병기했다.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 1, 2의 치마제 조성물은 모두 치마제 베이스가 하기 조건을 만족하는 반투명이며, 치마제 베이스에 착색 과립이 분산 배합되어 있었다. 비교예 3의 치마제 조성물은 투명이며, 비교예 4의 치마제 조성물은 불투명이었다.
백지 위에 3개의 약 1㎜ 폭의 흑선을 2㎜ 간격으로 긋고, 그 선 위에 선을 걸치도록 해서 수용 용기로부터 치마제 조성물을 압출하여 두께가 4~9㎜가 되도록 얹어 바로 위로부터 육안으로 보았을 때의 선의 보이는 정도가 뿌옇지만 보이는 치마제 조성물이 반투명이다.
제제 외관(착색 과립의 균일감, 색의 선명함)의 평가 방법
피험자로서 전문 패널리스트 10명을 채용하여 치마제 조성물을 관능 평가했다.
라미네이트 튜브에 충전한 치마제 조성물을 칫솔 위에 1cm 압출하여 얹어 외관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착색 과립의 균일감 및 착색 과립의 색의 선명함에 대해서 각각 하기의 평점 기준으로 판정했다. 각각의 평균값을 구하여 하기에 나타내는 평가 기준으로 평가했다. ◎ 및 ○의 평가가 확보되는 것을 합격이라고 판단했다.
또한, 착색 과립의 균일감이란 제제의 치마제 베이스 전체에 착색 과립이 균일하게 분산되어 박혀 있는 것처럼 인지되는 겉보기의 감각이다. 착색 과립의 색의 선명함이란 착색 과립의 색이 선명하고 돋보이고 있는 것처럼 인지되는 겉보기의 감각이다.
착색 과립의 균일감
평점 기준:
4점: 착색 과립이 균일하게 박힌 것처럼 보임
3점: 착색 과립이 거의 균일하게 박힌 것처럼 보임
2점: 착색 과립이 약간 불균일하게 박힌 것처럼 보임
1점: 착색 과립이 불균일하게 박힌 것처럼 보임
평가 기준:
◎: 평균점 3.5점 이상 4.0점 이하
○: 평균점 3.0점 이상 3.5점 미만
△: 평균점 2.0점 이상 3.0점 미만
×: 평균점 1.0점 이상 2.0점 미만
착색 과립의 색의 선명함
평점 기준:
4점: 착색 과립이 매우 선명하고 잘 돋보여 보임
3점: 착색 과립이 약간 선명하고 돋보여 보임
2점: 착색 과립이 약간 어두워 색이 그다지 돋보인 것처럼 보이지 않음
1점: 착색 과립이 어두워 색이 돋보인 것처럼 보이지 않음
평가 기준:
◎: 평균점 3.5점 이상 4.0점 이하
○: 평균점 3.0점 이상 3.5점 미만
△: 평균점 2.0점 이상 3.0점 미만
×: 평균점 1.0점 이상 2.0점 미만
사용 원료의 상세를 하기에 나타낸다.
(A)성분
적색 실리카 과립;
PQ Corporation사제의 착색 실리카 과립(상품명: Sorbosil BFG54, 적색 실리카 과립, 안료: C.I. Pigment Red 181, 평균 입경 350㎛(질량 기준, JIS 체에 의한 체가름에 의해 50% 입경을 산출))
청색 실리카 과립;
PQ Corporation사제의 착색 실리카 과립(상품명: Sorbosil BFG51, 청색 실리카 과립, 안료: C.I. Pigment Blue 15:1, 평균 입경 350㎛(질량 기준, JIS 체에 의한 체가름에 의해 50% 입경을 산출))
녹색 실리카 과립;
PQ Corporation사제의 착색 실리카 과립(상품명: Sorbosil BFG52, 녹색 실리카 과립, 안료: C.I. Pigment Green 7, 평균 입경 350㎛(질량 기준, JIS 체에 의한 체가름에 의해 50% 입경을 산출))
무착색 실리카 과립(비교 성분):
PQ Corporation사제의 무착색 실리카 과립(상품명: Sorbosil BFG50, 무착색 실리카 과립, 평균 입경 350㎛(질량 기준, JIS 체에 의한 체가름에 의해 50% 입경을 산출))
(B)성분
무수 규산 B1;
휴바사제의 연마성 실리카, 상품명: Zeodent103, 평균 입경 10㎛)
무수 규산 B2:
휴바사제의 증점성 실리카, 상품명: Zeodent165, 평균 입경 12㎛)
(C)성분
운모 티탄;
상품명: Timiron MP-115, Merk(주)제, 평균 입경 100㎛(D50, 체적 기준, 레이저 산란 측정법에 의해 측정)
산화티탄(비교 성분);
상품명: 산화티탄, ISHIHARA SANGYO KAISHA, LTD.제, 평균 입경 0.25㎛(D50, 체적 기준, 레이저 산란 측정법에 의해 측정)
(D)성분
소르비톨;
상품명: NEOSORB, 로케트(주)제(70% 소르비톨, 표 중의 배합량을 나타내는 수치는 순분량)
글리세린; 상품명: 글리세린, Sakamoto Yakuhin kogyo Co., Ltd.제 (85% 글리세린, 표 중의 배합량을 나타내는 수치는 순분량)
(E)성분
(E-1)성분
폴리아크릴산나트륨;
상품명: RHEOGIC, 가교형, TOAGOSEI CO., LTD.제
(E-2)성분
크산탄검;
상품명: KELDENT, CP Kelco사제
향료 A
Givaudan사제, 사쿠라민트 플레이버
향료 B
Takasago International Corporation제, 로즈민트 플레이버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이하, 처방예를 나타낸다. 표 5에 나타내는 조성의 치마제 조성물을 상기와 마찬가지로 조제하고 마찬가지로 평가한 결과, 착색 과립의 균일감 및 색의 선명함이 모두 우수했다.
Figure pct00005

Claims (9)

  1. (A) 착색 과립,
    (B) 실리카,
    (C) 운모 티탄, 및
    (D) 소르비톨 및 글리세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을 함유하고, (D)성분의 함유량이 40질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마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A)성분이 실리카 및 제올라이트로부터 선택되는 수불용성 재료와 색소를 함유하는 착색 과립인 치마제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A)성분이 착색 실리카 과립인 치마제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성분이 적색, 청색 또는 녹색의 과립인 치마제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B)성분이 연마성 실리카 및 증점성 실리카로부터 선택되는 실리카인 치마제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성분을 0.01~2질량%, (B)성분을 5~40질량%, (C)성분을 0.01~2질량%, 및 (D)성분을 5~40질량% 함유하는 치마제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E) 하기의 (E-1) 및 (E-2)성분으로부터 선택되는 점결제 0.1~3.5질량%를 더 함유하는 치마제 조성물.
    (E-1) 폴리아크릴산나트륨 및 카르복시비닐 폴리머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E-2) 크산탄검, 카라기난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성분을 제외한 치마제 베이스가 반투명인 치마제 조성물.
  9. 제 8 항에 있어서,
    반투명의 치마제 베이스에 (A) 착색 과립이 분산 배합된 치마제 조성물인 치마제 조성물.
KR1020207019010A 2018-02-26 2019-01-31 치마제 조성물 KR202001255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162422 2018-02-26
CN201810162422.7 2018-02-26
PCT/JP2019/003307 WO2019163460A1 (ja) 2018-02-26 2019-01-31 歯磨剤組成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5580A true KR20200125580A (ko) 2020-11-04

Family

ID=67688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9010A KR20200125580A (ko) 2018-02-26 2019-01-31 치마제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264146B2 (ko)
KR (1) KR20200125580A (ko)
CN (1) CN110192986A (ko)
WO (1) WO2019163460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9491A (ja) 1993-08-23 1995-03-07 Daiwa Seiko Inc 大物用釣竿
JPH11217320A (ja) 1998-01-29 1999-08-10 Kao Corp 練歯磨組成物
JP2002526393A (ja) 1998-10-01 2002-08-20 ヘンケル・コマンディットゲゼルシャフト・アウフ・アクチエン 液体歯磨ゲル
JP2006514117A (ja) 2002-11-26 2006-04-27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多色縞模様の歯磨剤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9491B2 (ja) * 1986-09-08 1995-06-28 ライオン株式会社 歯磨組成物
JP4926490B2 (ja) * 2006-02-16 2012-05-09 花王株式会社 歯磨剤
JP5320776B2 (ja) 2008-03-07 2013-10-23 ライオン株式会社 歯磨製品
JP2010150146A (ja) * 2008-12-24 2010-07-08 Lion Corp 歯磨剤組成物
JP5597969B2 (ja) * 2009-11-06 2014-10-01 ライオン株式会社 歯磨剤組成物
JP2014125440A (ja) 2012-12-26 2014-07-07 Lion Corp 口腔用組成物
JP5516796B2 (ja) 2013-05-23 2014-06-11 ライオン株式会社 歯磨組成物
JP6206169B2 (ja) * 2013-12-25 2017-10-04 ライオン株式会社 歯磨剤組成物
RU2016142513A (ru) 2014-04-30 2018-05-30 Колгейт-Палмолив Компани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содержащая диоксид кремния и цитрат цинка
RU2677886C2 (ru) 2014-12-19 2019-01-22 Колгейт-Палмолив Компани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предназначенная для отбеливания зубов
JP2016124787A (ja) 2014-12-26 2016-07-11 ライオン株式会社 歯磨剤組成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9491A (ja) 1993-08-23 1995-03-07 Daiwa Seiko Inc 大物用釣竿
JPH11217320A (ja) 1998-01-29 1999-08-10 Kao Corp 練歯磨組成物
JP2002526393A (ja) 1998-10-01 2002-08-20 ヘンケル・コマンディットゲゼルシャフト・アウフ・アクチエン 液体歯磨ゲル
JP2006514117A (ja) 2002-11-26 2006-04-27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多色縞模様の歯磨剤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192986A (zh) 2019-09-03
JPWO2019163460A1 (ja) 2021-02-04
JP7264146B2 (ja) 2023-04-25
WO2019163460A1 (ja) 2019-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76762A (en) Functional agglomerated speckles, dentifrices containing such speckle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such speckles and dentifrices containing them
JP5320776B2 (ja) 歯磨製品
JP2014125440A (ja) 口腔用組成物
CA1191093A (en) Functional agglomerated speckles,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and dentifrices containing such speckles
US4663152A (en) Functional agglomerated speckles,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and dentifrices containing such speckles
US20020031481A1 (en) Stable herbal dentrifice
US4443564A (en) Packaged speckled dentifrice
US4444570A (en) Functional agglomerated speckles and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US4440877A (en) Functional agglomerated speckle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such speckles
KR20200125580A (ko) 치마제 조성물
JP5573120B2 (ja) 練歯磨剤組成物
JP6206169B2 (ja) 歯磨剤組成物
JP6409618B2 (ja) 歯磨組成物
JP5516796B2 (ja) 歯磨組成物
KR102404937B1 (ko) 다색 치마 제제
WO2018230325A1 (ja) 口腔用組成物
JP7371351B2 (ja) 口腔用組成物
Mangulkar Review on dental care preparation
JP2012193150A (ja) ゼリー状口腔用組成物
WO2019026696A1 (ja) 歯磨剤組成物
JP5716649B2 (ja) 歯磨剤組成物
JP7000823B2 (ja) 練歯磨剤組成物
JP7120087B2 (ja) 口腔用組成物
WO2016136719A1 (ja) 歯磨剤組成物
JP6040600B2 (ja) 歯磨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