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5046A - 차량용 패널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패널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5046A
KR20200125046A KR1020190048725A KR20190048725A KR20200125046A KR 20200125046 A KR20200125046 A KR 20200125046A KR 1020190048725 A KR1020190048725 A KR 1020190048725A KR 20190048725 A KR20190048725 A KR 20190048725A KR 20200125046 A KR20200125046 A KR 202001250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bar
robobeam
panel
suppor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8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9838B1 (ko
Inventor
정응섭
Original Assignee
정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응섭 filed Critical 정응섭
Priority to KR1020190048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9838B1/ko
Publication of KR20200125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5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9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9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2Transferring or handling sub-units or components, e.g. in work stations or between workstations and transport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차량용 패널 이송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패널 이송장치는 크로스바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면서 패널을 이송하는 복수의 로보빔 크로스바; 상기 로보빔 크로스바를 지지하는 크로스바 서포트; 및 상기 크로스바 서포트에 마련되며, 상기 로보빔 크로스바의 안착이상 또는 위치이탈을 감지하는 감지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패널 이송장치{Panel transferring apparatus for a car}
본 발명은, 차량용 패널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로보빔 크로스바의 안착이상 또는 위치이탈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로보빔 크로스바의 낙하로 인한 부품 파손과 고장 발생을 저지할 수 있는 차량용 패널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생산라인에는 자동화를 위해 다양한 형태의 이송장치(transferring apparatus)가 사용된다.
예컨대, 도어 프레임이나 도어 패널, 혹은 플로워 패널 등은 그에 적합한 이송장치를 통해 이웃 된 공정설비로 이송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자동차가 자동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역할을 담당하는 이송장치로서 종전에는 도 1과 같은 구조의 이송 컨베이어가 주로 적용됐다. 도 1은 예컨대, 도어 패널(11)을 이송하는 장치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이송장치는 도어 패널(11)을 안정되게 올려놓고서 차례로 전진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패널 지지대(12)와, 복수의 패널 지지대(12)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패널 지지대(12)를 전동으로 전진시키는 롤러(13)와, 롤러(13)의 진행을 안내함과 더불어 패널 지지대(12)와 롤러(13)를 하부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상하 이단으로 설치된 베이스 프레임(14)을 포함한다.
동작을 살펴본다. 이단으로 설치된 베이스 프레임(14) 중에 상부 베이스 프레임(14a) 위에 도어 패널(11)을 적재하고 있는 패널 지지대(12)와 롤러(13)는 일정 간격 전진하게 되면, 상 방향에서 행거(미도시)가 하강하여 도어 패널(11)을 취출하여 다른 공정으로 이송시킨다.
이렇게 도어 패널(11)이 취출된 패널 지지대(12)와 롤러(13)는 하부방향으로 회전되어 하부 베이스 프레임(14b)으로 되돌아감으로써 상/하부 베이스 프레임(14a, 14b)을 연속적으로 회전하게 되어 계속해서 도어 패널(11)을 자동으로 이송할 수 있다. 이때, 도어 패널(11)을 다른 공정으로 이송하기 위한 행거가 내려오기 직전에 작업자가 도어 패널(11)을 전방으로 기울여 스토퍼(15)에 멈추게 한 후, 뒤에서 잇따라 전진하는 도어 패널(11)과의 간섭을 피하여 행거가 용이하게 도어 패널(11)을 이송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만, 도 1과 같은 구조의 이송장치는 최종 단계에서 작업자가 도어 패널(11)사이의 공간을 확대하기 위하여 스토퍼(15)에 도어 패널(11)을 기울여주는 과정에서 도어 패널(11) 면에 손상이 생기는 경우가 빈번할 뿐만 아니라 수작업으로 인해 작업성의 저하로 품질이 나빠지는 등의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이에, 최근에는 도 1의 구조에서 벗어나 로보빔 크로스바 구동 방식의 자동 패널 이송장치의 적용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로보빔 크로스바 구동 방식의 패널 이송장치는 전술한 도 1의 이송장치보다 보다 정밀하면서도 안전하고 이송의 정확성이 높아서 여러 자동차 회사들에서 널리 사용되는 추세에 있다.
그런데, 현존하는 로보빔 크로스바 구동 방식의 패널 이송장치의 경우, 로보빔 크로스바의 이탈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이 적용되지 않아 로보빔 크로스바의 안착이상 또는 위치이탈을 육안으로 검사해야만 했기 때문에 로보빔 크로스바의 안착이상 또는 위치이탈로 인한 낙하로 인해 부품 파손과 고장 발생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실제, 이와 같은 현상이 발생하면 라인을 정지시키고 이를 수리해야 하는데, 이러한 수리 기간에는 생산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생산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이를 개선하기 위한 신개념의 차량용 패널 이송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6-0102867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4-0029063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1-0061006호
본 발명의 목적은, 로보빔 크로스바의 안착이상 또는 위치이탈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로보빔 크로스바의 낙하로 인한 부품 파손과 고장 발생을 저지할 수 있는 차량용 패널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크로스바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면서 패널을 이송하는 복수의 로보빔 크로스바; 상기 로보빔 크로스바를 지지하는 크로스바 서포트; 및 상기 크로스바 서포트에 마련되며, 상기 로보빔 크로스바의 안착이상 또는 위치이탈을 감지하는 감지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패널 이송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크로스바 서포트의 상단부에는 상기 감지 모듈이 탑재되는 모듈 탑재대가 마련될 수 있다.
대차에서 상기 감지 모듈로 전력 또는 신호를 전송하도록 일단부는 상기 모듈 탑재대 영역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대차에 고정되되 탄성적으로 신축할 수 있게 마련되는 자바라 케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보빔 크로스바가 안착이상 또는 위치이탈 시 경고하는 경고 알람부; 및 상기 감지 모듈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경고 알람부의 동작을 실시간으로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로보빔 크로스바의 안착이상 또는 위치이탈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로보빔 크로스바의 낙하로 인한 부품 파손과 고장 발생을 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패널 이송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패널 이송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의 차량용 패널 이송장치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패널 이송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의 차량용 패널 이송장치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부여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패널 이송장치의 구조도, 도 3은 도 2의 A 영역의 확대도, 그리고, 도 4는 도 2의 차량용 패널 이송장치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패널 이송장치는 로보빔 크로스바(110)의 안착이상 또는 위치이탈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로보빔 크로스바(110)의 낙하로 인한 부품 파손과 고장 발생을 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패널 이송장치는 로보빔 크로스바(110), 크로스바 서포트(120) 및 감지 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로보빔 크로스바(110)는 패널을 이송하는 수단으로서 공정라인에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로보빔 크로스바(110)에 패널이 직접 적재될 수도 있고, 아니면 팔레트와 같은 별도의 보조 안착물에 결속된 상태로 패널이 로보빔 크로스바(110)에 결합할 수도 있다.
로보빔 크로스바(110)는 별도의 크로스바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이동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로보빔 크로스바(110)의 이동으로 패널이 원하는 장소로 이송될 수 있다. 크로스바 구동부는 서보 모터, 리니어 모터와 같은 동력수단일 수 있다. 로보빔 크로스바(110)의 하부에는 금형 대차(101)가 적용될 수 있다.
크로스바 서포트(120)는 로보빔 크로스바(110)를 지지한다. 로보빔 크로스바(110)의 양단부에 동일한 형태의 크로스바 서포트(120)가 마련되어 로보빔 크로스바(110)를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앞서도 기술한 것처럼 종래에는 로보빔 크로스바(110)의 안착이상 또는 위치이탈을 육안으로 검사해야만 했기 때문에 로보빔 크로스바(110)의 안착이상 또는 위치이탈로 인한 낙하로 인해 부품 파손과 고장 발생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했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감지 모듈(130)이 적용된다. 감지 모듈(130)은 크로스바 서포트(120)에 마련되며, 로보빔 크로스바(110)의 안착이상 또는 위치이탈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감지 모듈(130)의 설치를 위해 크로스바 서포트(120)의 상단부에는 감지 모듈(130)이 탑재되는 모듈 탑재대(140)가 마련된다.
모듈 탑재대(140)가 크로스바 서포트(120)의 상단부에 마련되고, 모듈 탑재대(140) 상에 감지 모듈(130)이 탑재되는 형태라서 감지 모듈(130)을 설치하기가 쉬울뿐더러 유지보수 역시 수월해질 수 있다.
감지 모듈(130)에는 자바라 케이블(150)이 연결된다. 즉 대차(101)에서 감지 모듈(130)로 전력 또는 신호를 전송하도록 자바라 케이블(150)이 마련된다. 자바라 케이블(150)은 그 일단부가 모듈 탑재대(140) 영역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대차(101)에 고정되되 탄성적으로 신축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이처럼 자바라 케이블(150)이 적용될 경우, 주변 구조물이 이동되더라도 그에 맞게 자바라 케이블(150)이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게 되어 케이블 손상을 저지할 수 있다.
한편, 로보빔 크로스바(110)의 안착이상 또는 위치이탈이 발생할 경우, 이를 외부로 알려 조치할 수 있도록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패널 이송장치에 경고 알람부(160)와 컨트롤러(170)가 더 갖춰진다.
경고 알람부(160)는 로보빔 크로스바(110)가 안착이상 또는 위치이탈 시 경고하는 역할을 한다. 경고 알람부(160)는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램프일 수도 있고, 청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부저일 수도 있으며, 터치판넬 에러 메세지 표시 방식일 수도 있다.
컨트롤러(170)는 감지 모듈(130)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경고 알람부(160)의 동작을 실시간으로 컨트롤한다.
이러한 역할을 하는 컨트롤러(170)는 중앙처리장치(171, CPU), 메모리(17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17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컨트롤러(170)는 PLC(PROGRAM LOGIC CONTROLLER) 제어, POWER SUPPLY, CPU, INPUT, OUTPUT CARD 등으로 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다.
PLC(PROGRAM LOGIC CONTROLLER)는 본 실시예에서 감지 모듈(130)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경고 알람부(160)의 동작을 실시간으로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17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71)와 연결된다. 메모리(17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
서포트 회로(173, SUPPORT CIRCUIT)는 PLC(PROGRAM LOGIC CONTROLLER)와 결합하여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7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70)는 감지 모듈(130)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경고 알람부(160)의 동작을 실시간으로 컨트롤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컨트롤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7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7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PLC나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전과 달리 감지 모듈(130)이 적용되기 때문에 로보빔 크로스바(110)의 안착이상 또는 위치이탈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로보빔 크로스바(110)의 낙하로 인한 부품 파손과 고장 발생을 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패널 이송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의 차량용 패널 이송장치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전술한 감지 모듈(130) 대신에 감지용 무빙 카메라(230)를 적용하는 구조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감지용 무빙 카메라(230)는 로보빔 크로스바(110)의 위치를 촬영하며, 이의 정보는 컨트롤러(270)로 전송되어 컨트롤러(270)에 의해서 로보빔 크로스바(110)의 안착이상 또는 위치이탈이 판독된다. 따라서, 컨트롤러(270)에는 영상 판독부(275)가 부속된다.
본 실시예처럼 감지용 무빙 카메라(230)를 이용해서 로보빔 크로스바(110)의 위치를 촬영하고 이의 정보를 통대로 로보빔 크로스바(110)의 안착이상 또는 위치이탈이 판독되기 때문에 육안 검사보다 정확하고 확실한 검사가 가능해질 수 있다.
한편, 앞서도 기술한 것처럼 로보빔 크로스바(110)는 설비에 복수 개가 적용되는데, 이 경우, 모든 로보빔 크로스바(110)에 하나씩 감지용 무빙 카메라(230)를 적용하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으나 비용적으로 볼 때, 본 실시예처럼 한 대의 감지용 무빙 카메라(230)를 이동식(moving)으로 적용하는 편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살펴본다. 감지용 무빙 카메라(230)에는 감지용 무빙 카메라(230)를 이동할 수 있게 지지하는 무빙 모듈(240, moving module)이 연결된다.
무빙 모듈(240)은 X축 및 Y축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X축 갠트리(210)와 Y축 갠트리(220)가 마련된다.
X축 갠트리(210)는 무빙 모듈(240)이 연결되며, 무빙 모듈(240)을 소정의 X축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고, Y축 갠트리(220)는 X축 갠트리(210)와 연결되며, X축 갠트리(210)를 X축에 교차하는 Y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무빙 모듈(240)과 감지용 무빙 카메라(230) 사이에는 업/다운 구동부(260)가 연결된다. 실린더 등으로 적용될 수 있는 업/다운 구동부(260)는 감지용 무빙 카메라(230)를 상하 방향인 Z축으로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업/다운 구동부(260)에는 카메라 지지부(235)가 연결된다. 카메라 지지부(235)는 일단부가 업/다운 구동부(260)에 연결되며, 타단부에서 감지용 무빙 카메라(230)가 착탈 가능하게 탑재되도록 감지용 무빙 카메라(23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업/다운 구동부(260)를 비롯해서 X축 갠트리(210)와 Y축 갠트리(220)가 적용되고 이에 무빙 모듈(240)이 동작됨에 따라 여러 개의 로보빔 크로스바(110)에 대하여 하나의 감지용 무빙 카메라(230)가 촬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종전과 달리 감지 모듈(130)이 적용되기 때문에 로보빔 크로스바(110)의 안착이상 또는 위치이탈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로보빔 크로스바(110)의 낙하로 인한 부품 파손과 고장 발생을 저지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1 : 금형 대차 110 : 로보빔 크로스바
120 : 크로스바 서포트 130 : 감지 모듈
140 : 모듈 탑재대 150 : 자바라 케이블
160 : 경고 알람부 170 : 컨트롤러

Claims (4)

  1. 크로스바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면서 패널을 이송하는 복수의 로보빔 크로스바;
    상기 로보빔 크로스바를 지지하는 크로스바 서포트; 및
    상기 크로스바 서포트에 마련되며, 상기 로보빔 크로스바의 안착이상 또는 위치이탈을 감지하는 감지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패널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바 서포트의 상단부에는 상기 감지 모듈이 탑재되는 모듈 탑재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패널 이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대차에서 상기 감지 모듈로 전력 또는 신호를 전송하도록 일단부는 상기 모듈 탑재대 영역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대차에 고정되되 탄성적으로 신축할 수 있게 마련되는 자바라 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패널 이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보빔 크로스바가 안착이상 또는 위치이탈 시 경고하는 경고 알람부; 및
    상기 감지 모듈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경고 알람부의 동작을 실시간으로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패널 이송장치.
KR1020190048725A 2019-04-25 2019-04-25 차량용 패널 이송장치 KR102189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725A KR102189838B1 (ko) 2019-04-25 2019-04-25 차량용 패널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725A KR102189838B1 (ko) 2019-04-25 2019-04-25 차량용 패널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5046A true KR20200125046A (ko) 2020-11-04
KR102189838B1 KR102189838B1 (ko) 2020-12-11

Family

ID=73571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8725A KR102189838B1 (ko) 2019-04-25 2019-04-25 차량용 패널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98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28042A (zh) * 2021-12-29 2022-03-25 江苏智石科技有限公司 一种注塑机的换模台车安全监控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550Y1 (ko) * 1995-07-25 2001-04-02 이구택 벨트 콘베어 사행 자동제어장치
KR20010061006A (ko) 1999-12-28 2001-07-07 이정숙 인터넷 사이트상의 경품 제공 운영 방법
KR20040029063A (ko) 2001-08-29 2004-04-03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광 저장매체와 그 제조방법
KR20060102867A (ko) 2005-03-25 2006-09-28 (주)크린파워 스팀 세차 장치
KR20080010139A (ko) * 2006-07-26 2008-01-3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패널 이송용 크로스바의 지지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550Y1 (ko) * 1995-07-25 2001-04-02 이구택 벨트 콘베어 사행 자동제어장치
KR20010061006A (ko) 1999-12-28 2001-07-07 이정숙 인터넷 사이트상의 경품 제공 운영 방법
KR20040029063A (ko) 2001-08-29 2004-04-03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광 저장매체와 그 제조방법
KR20060102867A (ko) 2005-03-25 2006-09-28 (주)크린파워 스팀 세차 장치
KR20080010139A (ko) * 2006-07-26 2008-01-3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패널 이송용 크로스바의 지지 어셈블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28042A (zh) * 2021-12-29 2022-03-25 江苏智石科技有限公司 一种注塑机的换模台车安全监控系统
CN114228042B (zh) * 2021-12-29 2023-08-22 江苏智石科技有限公司 一种注塑机的换模台车安全监控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9838B1 (ko) 2020-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811337B (zh) 检查结果通报装置
US10281899B2 (en) Mechanical bar conveying device
JP2011000668A (ja) 自動組立システム及び機械製品の製造方法
CN207142147U (zh) 一种用于agv的对接装置及一种agv对接系统
US20130082169A1 (en) Direct vehicle body locking sensor apparatus and method
KR102189838B1 (ko) 차량용 패널 이송장치
KR20190094767A (ko) 이종볼트 스크류 체결 및 검사 자동화 장치
CN105397382A (zh) 双支承定位器及其驱动监视方法
TW201302372A (zh) 工具機
JP2006284545A (ja) 回路欠陥検査補修装置及び方法
KR20100031666A (ko) 부품 실장 상태 검사 방법
US2005012142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pecting and repairing a circuit defect
KR101998582B1 (ko) 멀티 트레이 무인 반송대차 시스템
US7260441B2 (en) Method of inspecting a workpiece during a production run in which workpieces are supplied to workstations by an autoloader
CN107876967A (zh) 激光加工系统
CN108946007B (zh) 一种产线工件缓存设备
KR20040102290A (ko) 실린더 헤드 누수시험용 플러그 검출장치
CN203592218U (zh) 漏焊检测装置及应用其的螺柱焊枪、漏焊随行跟踪系统
JP7282007B2 (ja) 実装ライン、実装ラインの基板検査方法
KR102651439B1 (ko) 레이저 비전 센서를 이용한 카울크로스 부품 용접 갭 및 추적선 보상 시스템
JP3070774B2 (ja) ワークの表面状態監視方法
JP5550255B2 (ja) ペースト塗布装置及び塗布方法
KR102651442B1 (ko) 카울크로스 부품 용접선 보상 시스템
KR20160139629A (ko) 도크시설의 자동개폐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개폐방법
JP6962658B2 (ja) 外観検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