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1381A - 개별 갯수의 사카라이드 단위로 이루어지는 백본으로 이루어지는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 - Google Patents
개별 갯수의 사카라이드 단위로 이루어지는 백본으로 이루어지는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21381A KR20200121381A KR1020207029334A KR20207029334A KR20200121381A KR 20200121381 A KR20200121381 A KR 20200121381A KR 1020207029334 A KR1020207029334 A KR 1020207029334A KR 20207029334 A KR20207029334 A KR 20207029334A KR 20200121381 A KR20200121381 A KR 2020012138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unctional group
- radical
- substituted
- compound
- backbon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5/00—Compounds containing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hetero atoms of saccharide radicals
- C07H15/02—Acyclic radicals, not substituted by cyclic structures
- C07H15/04—Acyclic radicals, not substituted by cyclic structures attached to an oxygen atom of the saccharide radica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22—Hormones
- A61K38/28—Insuli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1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nitrogen, e.g. nitro-, nitroso-, azo-compounds, nitriles, cyanates
- A61K47/18—Amines; Amides; Urea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Amino acids; Oligopeptides having up to five amino aci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1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nitrogen, e.g. nitro-, nitroso-, azo-compounds, nitriles, cyanates
- A61K47/18—Amines; Amides; Urea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Amino acids; Oligopeptides having up to five amino acids
- A61K47/183—Amino acids, e.g. glycine, EDTA or aspartam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sters, polyamino acids, polysiloxanes, polyphosphazines, copolymers of polyalkylene glycol or poloxam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5/00—Compounds containing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hetero atoms of saccharide radicals
- C07H15/18—Acyclic radicals, substituted by carbocyclic ring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5/00—Compounds containing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hetero atoms of saccharide radicals
- C07H15/26—Acyclic or carbocyclic radicals, substituted by hetero ring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Zo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Diabetes (AREA)
- Bio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일 또는 상이한 글리코시드 결합을 통해 연결된, 1 내지 8의 개별 갯수 u (1 ≤ u ≤ 8)의 동일 또는 상이한 사카라이드 단위로 구성된 백본으로 이루어지는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서, 상기 사카라이드 단위는 고리형 형태 또는 개방 환원된 형태의 펜토스, 헥소스, 우론산, N-아세틸헥소사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화합물이 랜덤으로 치환되는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간 또는 동물에 대한 활성 성분 또는 활성 성분들의 투여를 위한, 치료 및/또는 예방적 사용을 위해 의도되는 음이온성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백본이 카복실기를 포함하는 사카라이드 단위로 이루어져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그들의 구조 및 그들의 생체 적합성으로 인해 제약 산업에 있어, 특히 활성 성분, 예를 들어 단백질의 안정화에 있어 의심할 여지가 없이 관심의 대상이다.
활성 성분, 예를 들어 단백질과의 상호작용을 만들어내는 특성을 갖는 폴리사카라이드 및/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는 출원인 Adocia의 이름으로 출원된 특허 출원인 WO 2008/038111 및 WO 2010/041119로부터 공지된다.
상기 특허 출원에서, 중합체 또는 올리고머는 중합체 사슬 당 반복 단위(단량체)의 평균 개수인, 이들의 중합도(degree of polymerization: DP)의 관점에서 정의된다. 이것은 반복 단위의 평균 질량으로 수 평균 몰 질량을 나눔으로써 계산된다. 그들은 또한 다분산도 지수(polydispersity index: IP)라고 불리는, 사슬 길이 분포의 관점에서 정의된다.
상기 중합체는 따라서 단백질 활성 성분과의 상호작용의 가능한 부위가 매우 풍부한, 길이가 통계적으로 가변되는 사슬로 이루어진 화합물이다. 이러한 다중-상호작용 전위는 상호작용 측면에서 특이성 결핍을 가져올 수 있는 반면, 더욱 작고, 더욱 잘 정의된 분자는 이와 관련하여 더욱 특이적으로 만드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중합체 사슬은 단백질 성분 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부위와 상호작용할 수 있지만, 또한, 사슬 길이로 인해, 여러 단백질 성분과 상호작용할 수 있어, 가교 현상을 야기한다. 이러한 가교 현상은 예를 들어, 단백질의 응집 또는 점도 상승을 초래할 수 있다. 잘 정의된 백본을 가진 작은 분자를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가교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잘 정의된 백본을 가진 분자는, 일반적으로 질량 분석에서 높은 배경 잡음이 있는 매우 확산된 신호를 제공하는 중합체와 비교하여 약동학 또는 ADME (투여, 분포, 대사, 제거) 실험 동안 생물학적 매질에서 일반적으로 더욱 용이하게 추적가능(예를 들어, MS/MS)하다.
이와 반대로, 잘 정의되고 더 짧은 분자가 아마도 단백질 활성 성분과의 상호작용의 가능한 부위의 부족을 나타낸다는 것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그들의 완벽하게 정의된 구조에도 불구하고, 1 내지 8의 개별 갯수 u (1 ≤ u ≤ 8)의 동일 또는 상이한 사카라이드 단위로 구성된 백본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또한 활성 성분, 예를 들면, 단백질 활성 성분과 상호작용을 생성하는 특성을 갖는다.
이들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을 약학 제형을 제조하기 위해 선택되는 후보로 만드는 특정 활성 성분에 대한 특정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카복실기와 이러한 음이온성 화합물의 기능화(functionalization)는 유리하게는 음이온성 화합물과 활성 성분들 사이에 관여하는 상호작용력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백본의 정의된 구조에 의해, 기능화는 보다 쉽고 정확하고 따라서 수득되는 음이온성 화합물의 특성은 백본이 중합체 성질의 것일 때보다 더욱 균질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행하기가 비교적 간단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활성 성분의 안정화, 투여 및 전달을 위해 의도되는 음이온성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넓은 다양성의 활성 성분의 안정화, 투여 및 전달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음이온성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만성 및/또는 고-빈도 투여를 위해 의도되는 약제를 포함하여, 폭 넓은 범주의 약학 제형의 제조에서의 사용에 충분히 신속하고 적합한 생분해성을 나타낼 수 있는 음이온성 화합물을 수득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투여 후 조정될 수 있는 생분해성의 요건에 더하여, 본 발명은 특히 통상의 보존 및 보관 조건 하에서, 및 특히 용액에서 안정성의 관점에서 특히 약학 산업에 의해 설정된 제약 조건을 준수하는 음이온성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입증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특정한 중합체 화합물로는 불가능한 라이소자임과 같은 제형에 대한 특정 "모델" 단백질의 존재 하에서 탁해지지는 않지만(nonturbid), 그럼에도 불구하고 알부민과 같은 모델 단백질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용액을 제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이중성은 그들의 특성을 조정할 수 있게 하고 종래 기술에 기재된 일부 화합물에 의해 나타나는 단점 없이 단백질 활성 성분의 제형에 대한 좋은 부형제 후보를 얻을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동일 또는 상이한 글리코시드 결합을 통해 연결된, 1 내지 8의 개별 갯수 u (1 ≤ u ≤ 8)의 동일 또는 상이한 사카라이드 단위로 구성된 백본으로 이루어지는, 단리된 형태 또는 혼합물로서의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사카라이드 단위는 고리형 형태 또는 개방 환원된 형태로의 펜토스, 헥소스, 우론산, N-아세틸헥소사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화합물이 하기로 치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a)
하기 일반 식 I의 하나 이상의 치환기:
-[R1]a-[[Q]-[R2]n]m
식 I
●
2개 이상의 치환기가 있는 경우 치환기는 동일 또는 상이함, 상기 식에서:
●
n이 0인 경우, 라디칼 -[Q]-는 임의로 분지화된 또는 치환된, 임의로 불포화된 및/또는 임의로 하나 이상의 고리(들)을 포함하는 및/또는 O, N 및 S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 및 아민 및 알코올 관능기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관능기 L을 포함하는 C3 내지 C15 탄소계 사슬로부터 유도되고, 상기 라디칼 -[Q]-는 화합물이 관능기 T를 통해 결합되거나, 또는 관능기 G를 통해 백본에 직접 결합되는 링커(linker) 암(arm) R1에 의해 화합물의 백본에 부착됨,
●
n이 1 또는 2인 경우, 라디칼 -[Q]-는 임의로 분지화된 또는 치환된, 임의로 불포화된 및/또는 임의로 하나 이상의 고리(들)을 포함하는 및/또는 O, N 및 S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 및 아민 및 알코올 관능기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관능기 L을 포함하고 n개의 라디칼(들) R2를 갖는 C2 내지 C15 탄소계 사슬로부터 유도되고, 상기 라디칼 -[Q]-는 화합물이 관능기 T를 통해 결합되거나, 또는 관능기 G를 통해 백본에 직접 결합되는 링커 암 R1에 의해 화합물의 백본에 부착됨,
●
라디칼 -R1-은:
-
결합: 그러면 a = 0이고, 라디칼 -[Q]-는 관능기 G를 통해 백본에 직접 결합됨,
-
또는 C2 내지 C15 탄소계 사슬이고, 그러면 a = 1이고, 이것은 임의로 치환되고/거나 O, N 및 S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 및 라디칼 -[Q]-와 반응하기 전에 하나 이상의 산 관능기를 포함하고, 상기 사슬은 라디칼 -R1-의 산 관능기와 라디칼 -[Q]-의 전구체의 알코올 또는 아민 관능기의 반응으로부터 생성되는 관능기 T를 통해 라디칼 -[Q]-에 결합됨, 상기 라디칼 R1은 백본에 의해 발생되는 히드록실 관능기 또는 카복실산 관능기와 라디칼 -R1-의 전구체에 의해 발생되는 관능기 또는 치환기 사이의 반응으로부터 생성되는 관능기 F에 의해 백본에 부착됨,
●
라디칼 -R2는 임의로 분지화된 또는 치환된, 임의로 불포화된 및/또는 임의로 하나 이상의 고리(들) 및/또는 O, N 및 S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들)을 포함하는 C1 내지 C30 탄소계 사슬이고; 이것은 라디칼 -[Q]-와 함께, 라디칼 -R2 및 라디칼 -[Q]-의 전구체에 의해 발생되는 알코올, 아민 또는 산 관능기 사이의 반응으로부터 생성되는 관능기 Z을 형성하고,
●
F는 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 또는 카바메이트 관능기로부터 선택되는 관능기이고,
●
T는 아미드 또는 에스테르 관능기로부터 선택되는 관능기이고,
●
Z는 에스테르, 카바메이트, 아미드 또는 에테르 관능기로부터 선택되는 관능기이고,
●
G는 에스테르, 아미드 또는 카바메이트 관능기로부터 선택되는 관능기이고,
●
n은 0, 1 또는 2이고,
●
m은 1 또는 2이고,
●
사카라이드 단위의 치환도(degree of substitution), j는 -[R1]a-[[Q]-[R2]n]m이 0.01 내지 6인 것과 함께, 0.01 ≤ j ≤ 6임;
b)
및, 임의로, 하나 이상의 치환기 -R'1,
●
상기 치환기 -R'1은 임의로 치환된 및/또는 O, N 및 S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 및 알칼리 금속 양이온 염의 형태의 하나 이상의 산 관능기를 포함하는 C2 내지 C15 탄소계 사슬이고, 상기 사슬은 백본에 의해 발생되는 히드록실 관능기 또는 카복실산 관능기와 치환기 -R'1-의 전구체에 의해 발생되는 관능기 또는 치환기 사이의 반응으로부터 생성되는 관능기 F'를 통해 백본에 결합됨,
●
사카라이드 단위의 치환도, i는, -R'1이 0 내지 6-j인 것과 함께, 0 ≤ i ≤ 6-j이고,
●
n ≠ 0이고 백본이 치환 전에 음이온성 전하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 i ≠ 0이고,
●
-R'1은 -R1-과 동일 또는 상이하고,
●
-R'1-에 의해 발생되는 유리 염형성가능(salifiable) 산 관능기는 알칼리 금속 양이온 염의 형태이고,
●
F'는 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 또는 카바메이트 관능기로부터 선택되는 관능기이고,
●
F, F', T, Z 및 G는 동일 또는 상이하고,
●
i+j ≤ 6임.
일구현예에서, u는 3 내지 8이다.
일구현예에서, u는 3 내지 5이다.
일구현예에서, u는 3이다.
일구현예에서, L은 아민 관능기이다.
일구현예에서, L은 알코올 관능기이다.
일구현예에서, 0.05 ≤ j ≤ 6이다.
일구현예에서, 0.05 ≤ j ≤ 4이다.
일구현예에서, 0.1 ≤ j ≤ 3이다.
일구현예에서, 0.1 ≤ j ≤ 2이다.
일구현예에서, 0.2 ≤ j ≤ 1.5이다.
일구현예에서, 0.3 ≤ j ≤ 1.2이다.
일구현예에서, 0.5 ≤ j ≤ 1.2이다.
일구현예에서, 0.6 ≤ j ≤ 1.1이다.
일구현예에서, 0.25 ≤ i ≤ 3이다.
일구현예에서, 0.5 ≤ i ≤ 2.5이다.
일구현예에서, 0.6 ≤ i ≤ 2이다.
일구현예에서, 0.6 ≤ i ≤ 1.5이다.
일구현예에서, 0.6 ≤ i ≤ 1.1이다.
일구현예에서, 0.3 ≤ i + j ≤ 6이다.
일구현예에서, 0.5 ≤ i + j ≤ 4이다.
일구현예에서, 0.5 ≤ i + j ≤ 3이다.
일구현예에서, 0.5 ≤ i + j ≤ 2.5이다.
일구현예에서, 1 ≤ i + j ≤ 2이다.
일구현예에서, m = 2이다.
일구현예에서, m = 1이다.
일구현예에서, n = 2이다.
일구현예에서, n = 1이다.
일구현예에서, n = 0이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라디칼 -[Q]-가 알파-아미노산으로부터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라디칼 -[Q]-가 알파-아미노산으로부터 유도되고 n = 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알파-아미노산이 알파-메틸페닐알라닌, 알파-메틸티로신, O-메틸티로신, 알파-페닐글리신, 4-히드록시페닐글리신 및 3,5-디히드록시페닐글리신(이들의 L, D 또는 라세믹 형태로)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알파-아미노산이 천연 알파-아미노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천연 알파-아미노산이 트립토판, 류신, 알라닌, 이소류신, 글리신, 페닐알라닌, 티로신 및 발린(이들의 L, D 또는 라세믹 형태로)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소수성 아미노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천연 알파-아미노산이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리신, 세린 및 트레오닌(이들의 L, D 또는 라세믹 형태로)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극성 아미노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라디칼 -[Q]-의 전구체는 디아민으로부터 선택된다.
일구현예에서, 라디칼 -[Q]-의 전구체는 디아민으로부터 선택되고 n = 1 또는 n = 2이다.
일구현예에서, 디아민은 에틸렌디아민 및 리신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구현예에서, 디아민은 디에틸렌 글리콜 디아민 및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구현예에서, 라디칼 -[Q]-의 전구체는 아미노 알코올로부터 선택된다.
일구현예에서, 라디칼 -[Q]-의 전구체는 아미노 알코올로부터 선택되고 n = 1 또는 n = 2이다.
일구현예에서, 아미노 알코올은 에탄올아민, 2-아미노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아민, 3-아미노-1,2-프로판디올, 디에탄올아민, 디이소프로판올아민, 트로메타민 (Tris) 및 2-(2-아미노에톡시)에탄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구현예에서, 라디칼 -[Q]-의 전구체는 디알코올로부터 선택된다.
일구현예에서, 라디칼 -[Q]-의 전구체는 디알코올로부터 선택되고 n = 1 또는 n = 2이다.
일구현예에서, 디알코올은 글리세롤, 디글리세롤 및 트리글리세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구현예에서, 디알코올은 트리에탄올아민이다.
일구현예에서, 디알코올은 디에틸렌 글리콜 및 트리에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구현예에서, 디알코올은 폴리에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구현예에서, 라디칼 -[Q]-의 전구체는 트리알코올로부터 선택된다.
일구현예에서, 트리알코올은 트리에탄올아민이다.
일구현예에서, 라디칼 -[Q]-가 아미노산으로부터 선택되는 경우, 본 발명은 동일 또는 상이한 글리코시드 결합을 통해 연결된, 1 내지 8의 개별 갯수 u (1 ≤ u ≤ 8)의 동일 또는 상이한 사카라이드 단위로 구성된 백본으로 이루어지는, 단리된 형태 또는 혼합물로서의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사카라이드 단위는 고리형 형태 또는 개방 환원된 형태로의 펜토스, 헥소스, 우론산, N-아세틸헥소사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화합물이 하기로 치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a)
하기 일반 식 II의 하나 이상의 치환기:
-[R1]a-[[AA]-[R2]n]m
식 II
●
2개 이상의 치환기가 있는 경우 치환기는 동일 또는 상이함, 상기 식에서:
●
n이 0인 경우, 라디칼 -[AA]-는 관능기 G'를 통해 백본에 직접 결합되는 C3 내지 C15 탄소계 사슬을 포함하는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내고,
●
n이 1 또는 2인 경우, 라디칼 -[AA]-는 화합물이 아미드 관능기를 통해 결합되거나, 또는 관능기 G'를 통해 백본에 직접 결합되는 링커 암 R1에 의해 화합물의 백본에 부착된 n개의 라디칼(들) -R2를 갖는 C2 내지 C15 탄소계 사슬을 포함하는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내고,
●
라디칼 -R1-은:
-
결합: 그러면 a = 0이고, 아미노산 잔기 -[AA]-는 관능기 G'를 통해 백본에 직접 결합됨,
-
또는 C2 내지 C15 탄소계 사슬이고, 그러면 a = 1이고, 이것은 임의로 치환되고/거나 O, N 및 S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 및 아미노산과의 반응 전에 하나 이상의 산 관능기를 포함하고, 상기 사슬은 아미노산 잔기 -[AA]-와 함께 아미드 관능기를 형성함, 상기 라디칼 R1은 백본에 의해 발생되는 히드록실 관능기 또는 카복실산 관능기와 라디칼 -R1-의 전구체에 의해 발생되는 관능기 또는 치환기 사이의 반응으로부터 생성되는 관능기 F에 의해 백본에 부착됨,
●
라디칼 -R2는 임의로 분지화된 또는 치환된, 임의로 불포화된 및/또는 임의로 하나 이상의 고리(들) 및/또는 O, N 및 S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들)을 포함하는 C1 내지 C30 탄소계 사슬이고; 이것은 아미노산 잔기 -[AA]-와 함께, 라디칼 -R2의 전구체에 의해 발생되는 히드록실, 산 또는 아민 관능기와, 라디칼 -[AA]-의 전구체에 의해 발생되는 산, 알코올 또는 아민 관능기 사이의 반응으로부터 생성되는 관능기 Z'를 형성하고,
●
F는 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 또는 카바메이트 관능기로부터 선택되는 관능기이고,
●
G'는 에스테르, 아미드 또는 카바메이트 관능기로부터 선택되는 관능기이고,
●
Z'는 에스테르, 아미드 또는 카바메이트 관능기로부터 선택되는 관능기이고,
●
n은 0, 1 또는 2이고,
●
m은 1 또는 2이고,
●
사카라이드 단위의 치환도, j는 -[R1]a-[[AA]-[R2]n]m이 0.01 내지 6인 것과 함께, 0.01 ≤ j ≤ 6임;
b)
및, 임의로, 하나 이상의 치환기 -R'1,
●
상기 치환기 -R'1은 임의로 치환된 및/또는 O, N 및 S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 및 알칼리 금속 양이온 염의 형태의 하나 이상의 산 관능기를 포함하는 C2 내지 C15 탄소계 사슬임, 상기 사슬은 백본에 의해 발생되는 히드록실 관능기 또는 카복실산 관능기와 치환기 -R'1-의 전구체에 의해 발생되는 관능기 또는 치환기 사이의 반응으로부터 생성되는 관능기 F'를 통해 백본에 결합됨,
●
사카라이드 단위의 치환도, i는, -R'1이 0 내지 6-j인 것과 함께, 0 ≤ i ≤ 6-j이고,
●
n ≠ 0이고 백본이 치환 전에 음이온성 전하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 i ≠ 0이고,
●
-R'1은 -R1-과 동일 또는 상이하고,
●
치환기 -R'1-에 의해 발생되는 유리 염형성가능(salifiable) 산 관능기는 알칼리 금속 양이온 염의 형태이고,
●
F'는 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 또는 카바메이트 관능기이고,
●
F, F', G' 및 Z'는 동일 또는 상이하고,
●
i+j ≤ 6임.
일구현예에서, u는 3 내지 8이다.
일구현예에서, u는 3 내지 5이다.
일구현예에서, u는 3이다.
일구현예에서, 0.05 ≤ j ≤ 6이다.
일구현예에서, 0.05 ≤ j ≤ 4이다.
일구현예에서, 0.1 ≤ j ≤ 3이다.
일구현예에서, 0.1 ≤ j ≤ 2이다.
일구현예에서, 0.2 ≤ j ≤ 1.5이다.
일구현예에서, 0.3 ≤ j ≤ 1.2이다.
일구현예에서, 0.5 ≤ j ≤ 1.2이다.
일구현예에서, 0.6 ≤ j ≤ 1.1이다.
일구현예에서, 0.25 ≤ i ≤ 3이다.
일구현예에서, 0.5 ≤ i ≤ 2.5이다.
일구현예에서, 0.6 ≤ i ≤ 2이다.
일구현예에서, 0.6 ≤ i ≤ 1.5이다.
일구현예에서, 0.6 ≤ i ≤ 1.1이다.
일구현예에서, 0.3 ≤ i + j ≤ 6이다.
일구현예에서, 0.5 ≤ i + j ≤ 4이다.
일구현예에서, 0.5 ≤ i + j ≤ 3이다.
일구현예에서, 0.5 ≤ i + j ≤ 2.5이다.
일구현예에서, 1 ≤ i + j ≤ 2이다.
일구현예에서, m = 2이다.
일구현예에서, m = 1이다.
일구현예에서, n = 2이다.
일구현예에서, n = 1이다.
일구현예에서, n = 0이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동일 또는 상이한 글리코시드 결합을 통해 연결된, 1 내지 8의 개별 갯수 u (1 ≤ u ≤ 8)의 동일 또는 상이한 사카라이드 단위로 구성된 백본으로 이루어지는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사카라이드 단위는 고리형 형태 또는 개방 환원된 형태로의 펜토스, 헥소스, 우론산, N-아세틸헥소사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화합물이 하기로 랜덤으로 치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a)
하기 일반 식 II의 하나 이상의 치환기:
-[R1]a-[[AA]-[R2]n]m
식 II
●
2개 이상의 치환기가 있는 경우 치환기는 동일 또는 상이함, 상기 식에서:
●
라디칼 -[AA]-는 링커 암 R1에 의해 화합물의 백본에 부착된, 또는 관능기 G'를 통해 백본에 직접적으로 결합된 n개의 라디칼(들) R2를 임의로 가지는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내고,
●
-R1-은 하기임:
-
결합: 그러면 a = 0이고,
-
또는 C2 내지 C15 탄소계 사슬이고, 그러면 a = 1이고, 이것은 임의로 치환되고/거나 O, N 및 S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 및 아미노산과의 반응 전에 하나 이상의 산 관능기를 포함하고, 상기 사슬은 아미노산 잔기 -[AA]-와 함께 아미드 결합을 형성함, 상기 라디칼 -R1-은 백본에 의해 발생되는 히드록실 관능기 또는 카복실산 관능기와 -R1-의 전구체에 의해 발생되는 관능기 사이의 반응으로부터 생성되는 관능기 F에 의해 백본에 부착됨,
●
라디칼 -R2는 임의로 분지화된 또는 치환된, 임의로 불포화된 및/또는 임의로 하나 이상의 고리(들) 및/또는 O, N 및 S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들)을 포함하는 C1 내지 C30 탄소계 사슬이고; 이것은 아미노산 잔기 -[AA]-와 함께, -R2에 의해 발생되는 관능기와 라디칼 -[AA]-의 전구체에 의해 발생되는 관능기 사이의 반응으로부터 생성되는 에스테르, 카바메이트, 아미드 또는 에테르 유형의 결합을 형성하고,
●
F는 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 또는 카바메이트 관능기이고,
●
G'는 에스테르, 아미드 또는 카바메이트 관능기이고,
●
n은 0, 1 또는 2이고,
●
m은 1 또는 2이고,
●
치환도, j는 -[R1]a-[[AA]-[R2]n]m이 0.01 내지 6인 것과 함께, 0.01 ≤ j ≤ 6임;
b)
및, 임의로, 하나 이상의 치환기 -R'1,
●
-R'1은 임의로 치환된 및/또는 O, N 및 S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 및 알칼리 금속 양이온 염의 형태의 하나 이상의 산 관능기를 포함하는 C2 내지 C15 탄소계 사슬임, 상기 사슬은 백본에 의해 발생되는 히드록실 관능기 또는 카복실산 관능기와 -R'1-의 전구체에 의해 발생되는 관능기 사이의 반응으로부터 생성되는 관능기 F'를 통해 백본에 결합됨,
●
치환도, i는, -R'1이 0 내지 6-j인 것과 함께, 0 ≤ i ≤ 6-j이고,
●
n ≠ 0이고 백본이 치환 전에 임의의 음이온성 전하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 i ≠ 0이고,
●
-R'1은 -R1-과 동일 또는 상이하고,
●
R'1에 의해 발생되는 유리 염형성가능(salifiable) 산 관능기는 알칼리 금속 양이온 염의 형태이고,
●
F'는 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 또는 카바메이트 관능기이고,
●
F 및 F'는 동일 또는 상이하고,
●
i+j ≤ 6임.
일구현예에서, u는 3 내지 5이다.
일구현예에서, u는 3이다.
일구현예에서, 0.05 ≤ j ≤ 6이다.
일구현예에서, 0.05 ≤ j ≤ 4이다.
일구현예에서, 0.1 ≤ j ≤ 3이다.
일구현예에서, 0.1 ≤ j ≤ 2이다.
일구현예에서, 0.2 ≤ j ≤ 1.5이다.
일구현예에서, 0.3 ≤ j ≤ 1.2이다.
일구현예에서, 0.5 ≤ j ≤ 1.2이다.
일구현예에서, 0.6 ≤ j ≤ 1.1이다.
일구현예에서, 0.25 ≤ i ≤ 3이다.
일구현예에서, 0.5 ≤ i ≤ 2.5이다.
일구현예에서, 0.6 ≤ i ≤ 2이다.
일구현예에서, 0.6 ≤ i ≤ 1.5이다.
일구현예에서, 0.6 ≤ i ≤ 1.1이다.
일구현예에서, 0.3 ≤ i + j ≤ 6이다.
일구현예에서, 0.5 ≤ i + j ≤ 4이다.
일구현예에서, 0.5 ≤ i + j ≤ 3이다.
일구현예에서, 0.5 ≤ i + j ≤ 2.5이다.
일구현예에서, 1 ≤ i + j ≤ 2이다.
일구현예에서, m = 2이다.
일구현예에서, m = 1이다.
일구현예에서, n = 2이다.
일구현예에서, n = 1이다.
일구현예에서, n = 0이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동일 또는 상이한 글리코시드 결합을 통해 연결된, 1 내지 8의 개별 갯수 u (1 ≤ u ≤ 8)의 동일 또는 상이한 사카라이드 단위로 구성된 백본으로 이루어지는, 단리된 형태 또는 혼합물로서의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사카라이드 단위는 고리형 형태 또는 개방 환원된 형태로의 헥소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화합물이 하기로 치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하기 일반 식 V의 하나 이상의 치환기:
-[R1]a-[AA]m
식 V
●
2개 이상의 치환기가 있는 경우 치환기는 동일 또는 상이함, 상기 식에서:
●
라디칼 -[AA]-는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내고,
●
라디칼 -R1-은:
-
결합: 그러면 a = 0이고, 아미노산 잔기 -[AA]-는 관능기 Ga를 통해 백본에 직접 결합됨,
-
또는 C2 내지 C15 탄소계 사슬이고, 그러면 a = 1이고, 이것은 임의로 치환되고/거나 O, N 및 S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 및 아미노산과의 반응 전에 하나 이상의 산 관능기를 포함하고, 상기 사슬은 아미노산 잔기 -[AA]-와 함께 아미드 관능기를 형성함, 상기 라디칼 -R1-은 백본에 의해 발생되는 히드록실 관능기와 라디칼 -R1-의 전구체에 의해 발생되는 관능기 또는 치환기 사이의 반응으로부터 생성되는 관능기 Fa에 의해 백본에 부착됨,
●
Fa는 에테르, 에스테르 또는 카바메이트 관능기로부터 선택되는 관능기이고,
●
Ga는 카바메이트 관능기이고,
●
m은 1 또는 2이고,
●
사카라이드 단위의 치환도, j는, -[R1]a-[AA]m이 0 초과 6이하인 것과 함께, 0 < j ≤ 6임;
b)
및, 임의로, 하나 이상의 치환기 -R'1,
●
치환기 -R'1은 임의로 치환된 및/또는 O, N 및 S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 및 알칼리 금속 양이온 염의 형태의 하나 이상의 산 관능기를 포함하는 C2 내지 C15 탄소계 사슬임, 상기 사슬은 백본에 의해 발생되는 히드록실 관능기 또는 카복실산 관능기와 치환기 -R'1의 전구체에 의해 발생되는 관능기 또는 치환기 사이의 반응으로부터 생성되는 관능기 F'a를 통해 백본에 결합됨,
●
F'a는 에테르, 에스테르 또는 카바메이트 관능기이고,
●
사카라이드 단위의 치환도, i는, -R'1이 0 내지 6-j인 것과 함께, 0 ≤ i ≤ 6-j이고,
●
Fa 및 Fa'는 동일 또는 상이하고,
●
Fa 및 Ga는 동일 또는 상이하고,
●
i+j ≤ 6이고,
●
-R'1은 -R1-과 동일 또는 상이하고,
●
치환기 -R'1에 의해 발생되는 유리 염형성가능(salifiable) 산 관능기는 알칼리 금속 양이온 염의 형태이고,
●
상기 동일 또는 상이한 글리코시드 결합은 알파 또는 베타 기하학으로의, (1,1), (1,2), (1,3), (1,4) 또는 (1,6) 유형의 글리코시드 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라디칼 -[AA]-가 알파-아미노산으로부터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알파-아미노산이 알파-메틸페닐알라닌, 알파-메틸티로신, O-메틸티로신, 알파-페닐글리신, 4-히드록시페닐글리신 및 3,5-디히드록시페닐글리신(이들의 L, D 또는 라세믹 형태로)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알파-아미노산이 천연 알파-아미노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천연 알파-아미노산이 트립토판, 류신, 알라닌, 이소류신, 글리신, 페닐알라닌, 티로신 및 발린(이들의 L, D 또는 라세믹 형태로)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소수성 아미노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천연 알파-아미노산이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리신, 세린 및 트레오닌(이들의 L, D 또는 라세믹 형태로)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극성 아미노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a가 0인 식 I, II 또는 V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G가 에스테르 관능기인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G가 아미드 관능기인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G가 카바메이트 관능기인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G'가 에스테르 관능기인 식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G'가 아미드 관능기인 식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G'가 카바메이트 관능기인 식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a가 1인 식 I, II 또는 V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F가 에테르 관능기인 식 I 또는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F가 에스테르 관능기인 식 I 또는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F가 아미드 관능기인 식 I 또는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F가 카바메이트 관능기인 식 I 또는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Fa가 에테르 관능기인 식 V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Fa가 에스테르 관능기인 식 V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Fa가 카라바메이트 관능기인 식 V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T가 아미드 관능기인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T가 에스테르 관능기인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T가 아미드 관능기이고 F가 에테르 관능기인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T가 아미드 관능기이고 F가 에스테르 관능기인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T가 아미드 관능기이고 F가 카바메이트 관능기인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T가 아미드 관능기이고 F가 아미드 관능기인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T가 에스테르 관능기이고 F가 에테르 관능기인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T가 에스테르 관능기이고 F가 에스테르 관능기인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T가 에스테르 관능기이고 F가 카라바메이트 관능기인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T가 에스테르 관능기이고 F가 아미드 관능기인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F'가 에테르 관능기인 식 I 또는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F'가 에스테르 관능기인 식 I 또는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F'가 아미드 관능기인 식 I 또는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F'가 카바메이트 관능기인 식 I 또는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Fa가 에테르 관능기인 식 I 또는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Fa가 에스테르 관능기인 식 I 또는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Fa가 카바메이트 관능기인 식 I 또는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Fa'가 에테르 관능기인 식 I 또는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Fa'가 에스테르 관능기인 식 I 또는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Fa'가 카바메이트 관능기인 식 I 또는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F 및 F'가 동일한 식 I 또는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F 및 F'가 에테르 관능기인 식 I 또는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F 및 F'가 에스테르 관능기인 식 I 또는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F 및 F'가 아미드 관능기인 식 I 또는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F 및 F'가 카바메이트 관능기인 식 I 또는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라디칼 -R1-이 탄소계 사슬인 경우, 이것이 임의로 O, N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식 I 또는 II 또는 V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라디칼 -R1-이 하기 식 III 및 IV의 라디칼로부터 선택되는 식 I 또는 II 또는 V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 III
식 IV
상기 식에서:
●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는 o 및 p는 1 이상 12 이하이고,
●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는 R3, R'3, R4 및 R'4는, 수소 원자, 포화 또는 불포화된, 선형, 분지형 또는 고리형 C1 내지 C6 알킬, 벤질, 및 C7 내지 C10 알킬-아릴로 이루어지고 O, N 및/또는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 또는 카복실산, 아민, 알코올 또는 티올 관능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관능기를 임의로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됨.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라디칼 -R1-이, 라디칼 -[AA]- 또는 라디칼 -[Q]-에 부착 전에 -CH2-COOH이고, 부착 후에 -CH2-인 식 I 또는 II 또는 V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라디칼 -R1-이, 라디칼 -[AA]- 또는 라디칼 -[Q]-에 부착 전에 카복실산 기를 가지는 C2 내지 C10 탄소계 사슬이고, 부착 후에 C2 내지 C10 탄소계 사슬인 식 I 또는 II 또는 V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라디칼 -R1-이, 라디칼 -[AA]- 또는 라디칼 -[Q]-에 부착 전에 카복실산 기를 가지는 C2 내지 C10 탄소계 사슬이고, 부착 후에 C2 내지 C10 탄소계 사슬인 식 I 또는 II 또는 V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라디칼 -R1-이, 라디칼 -[AA]- 또는 라디칼 -[Q]-에 부착 전에 카복실산 기를 가지는 C2 내지 C5 탄소계 사슬이고, 부착 후에 C2 내지 C5 탄소계 사슬인 식 I 또는 II 또는 V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라디칼 -R1-이, 라디칼 -[AA]- 또는 라디칼 -[Q]-에 부착 전에 카복실산 기를 가지는 C2 내지 C5 탄소계 사슬이고, 부착 후에 C2 내지 C5 탄소계 사슬인 식 I 또는 II 또는 V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라디칼 -R1-이, 라디칼 -[AA]- 또는 라디칼 -[Q]-에 부착 전에 하기 군(식 중 *는 F에 대한 부착 부위를 나타냄):
또는 Na+ 또는 K+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알칼리 금속 양이온의 이들의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식 I 또는 II 또는 V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라디칼 -R1-이, 라디칼 -[AA]- 또는 라디칼 -[Q]-에 부착 전에 시트르산으로부터 유도된 식 I 또는 II 또는 V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라디칼 -R1-이, 라디칼 -[AA]- 또는 라디칼 -[Q]-에 부착 전에 말산으로부터 유도된 식 I 또는 II 또는 V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I 또는 II 또는 V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고 치환기 -R'1을 가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치환기 -R'1이 탄소계 사슬인 경우, 이것이 임의로 O, N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식 I 또는 II 또는 V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치환기 -R'1이 하기 식 III 및 IV의 라디칼로부터 선택된 식 I 또는 II 또는 V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 III
식 IV
상기 식에서:
●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는 o 및 p는 1 이상 12 이하이고,
●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는 R3, R'3, R4 및 R'4는, 수소 원자, 포화 또는 불포화된, 선형, 분지형 또는 고리형 C1 내지 C6 알킬, 벤질, 및 알킬-아릴로 이루어지고 O, N 및/또는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 또는 카복실산, 아민, 알코올 또는 티올 관능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관능기를 임의로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됨.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라디칼 -R'1이 -CH2COOH인 식 I 또는 II 또는 V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라디칼 -R'1-이, 라디칼 -[AA]- 또는 라디칼 -[Q]-에 부착 전에 카복실산 기를 가지는 C2 내지 C10 탄소계 사슬이고, 부착 후에 C2 내지 C10 탄소계 사슬인 식 I 또는 II 또는 V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라디칼 -R'1-이, 라디칼 -[AA]- 또는 라디칼 -[Q]-에 부착 전에 카복실산 기를 가지는 C2 내지 C10 탄소계 사슬이고, 부착 후에 C2 내지 C10 탄소계 사슬인 식 I 또는 II 또는 V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라디칼 -R'1-이, 라디칼 -[AA]- 또는 라디칼 -[Q]-에 부착 전에 카복실산 기를 가지는 C2 내지 C5 탄소계 사슬이고, 부착 후에 C2 내지 C5 탄소계 사슬인 식 I 또는 II 또는 V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라디칼 -R'1-이, 라디칼 -[AA]- 또는 라디칼 -[Q]-에 부착 전에 카복실산 기를 가지는 C2 내지 C5 탄소계 사슬이고, 부착 후에 C2 내지 C5 탄소계 사슬인 식 I 또는 II 또는 V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치환기 -R'1-이 하기 군(식 중 *는 F에 대한 부착 부위를 나타냄):
또는 Na+ 또는 K+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알칼리 금속 양이온의 이들의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식 I 또는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치환기 -R'1-이 하기 군(식 중 *는 F에 대한 부착 부위를 나타냄):
또는 Na+ 또는 K+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알칼리 금속 양이온의 이들의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식 V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치환기 -R'1-이 시트르산으로부터 유도되는 식 I 또는 II 또는 V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치환기 -R'1-이 말산으로부터 유도되는 식 I 또는 II 또는 V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Z가 에스테르 관능기로부터 유도되는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Z가 아미드 관능기로부터 유도되는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Z가 카바메이트 관능기인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Z'가 에스테르 관능기인 식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Z'가 아미드 관능기인 식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Z'가 카바메이트 관능기인 식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Z가 에스테르 관능기이고, T가 아미드 관능기이고, F가 에테르 관능기인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Z가 에스테르 관능기이고, T가 아미드 관능기이고, F가 에스테르 관능기인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Z가 에스테르 관능기이고, T가 아미드 관능기이고, F가 카바메이트 관능기인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Z가 에스테르 관능기이고, T가 아미드 관능기이고, F가 아미드 관능기인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Z가 에스테르 관능기이고, T가 에스테르 관능기이고, F가 에테르 관능기인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Z가 에스테르 관능기이고, T가 에스테르 관능기이고, F가 에스테르 관능기인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Z가 에스테르 관능기이고, T가 에스테르 관능기이고, F가 카바메이트 관능기인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Z가 에스테르 관능기이고, T가 에스테르 관능기이고, F가 아미드 관능기인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Z가 아미드 관능기이고, T가 아미드 관능기이고, F가 에테르 관능기인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Z가 아미드 관능기이고, T가 아미드 관능기이고, F가 에스테르 관능기인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Z가 아미드 관능기이고, T가 아미드 관능기이고, F가 카바메이트 관능기인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Z가 아미드 관능기이고, T가 아미드 관능기이고, F가 아미드 관능기인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Z가 아미드 관능기이고, T가 에스테르 관능기이고, F가 에테르 관능기인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Z가 아미드 관능기이고, T가 에스테르 관능기이고, F가 에스테르 관능기인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Z가 아미드 관능기이고, T가 에스테르 관능기이고, F가 카바메이트 관능기인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Z가 아미드 관능기이고, T가 에스테르 관능기이고, F가 아미드 관능기인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Z가 카바메이트 관능기이고, T가 아미드 관능기이고, F가 에테르 관능기인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Z가 카바메이트 관능기이고, T가 아미드 관능기이고, F가 에스테르 관능기인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Z가 카바메이트 관능기이고, T가 아미드 관능기이고, F가 카바메이트 관능기인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Z가 카바메이트 관능기이고, T가 아미드 관능기이고, F가 아미드 관능기인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Z가 카바메이트 관능기이고, T가 에스테르 관능기이고, F가 에테르 관능기인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Z가 카바메이트 관능기이고, T가 에스테르 관능기이고, F가 에스테르 관능기인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Z가 카바메이트 관능기이고, T가 에스테르 관능기이고, F가 카바메이트 관능기인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Z가 카바메이트 관능기이고, T가 에스테르 관능기이고, F가 아미드 관능기인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G가 에스테르 관능기이고, Z가 에스테르 관능기인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G가 아미드 관능기이고, Z가 에스테르 관능기인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G가 카바메이트 관능기이고, Z가 에스테르 관능기인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G가 에스테르 관능기이고, Z가 아미드 관능기인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G가 아미드 관능기이고, Z가 아미드 관능기인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G가 카바메이트 관능기이고, Z가 아미드 관능기인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G가 에스테르 관능기이고, Z가 카바메이트 관능기인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G가 아미드 관능기이고, Z가 카바메이트 관능기인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G가 카바메이트 관능기이고, Z가 카바메이트 관능기인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G'가 에스테르 관능기이고, Z'가 에스테르 관능기인 식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G'가 아미드 관능기이고, Z'가 에스테르 관능기인 식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G'가 카바메이트 관능기이고, Z'가 에스테르 관능기인 식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G'가 에스테르 관능기이고, Z'가 아미드 관능기인 식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G'가 아미드 관능기이고, Z'가 아미드 관능기인 식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G'가 카바메이트 관능기이고, Z'가 아미드 관능기인 식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G'가 에스테르 관능기이고, Z'가 카바메이트 관능기인 식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G'가 아미드 관능기이고, Z'가 카바메이트 관능기인 식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G'가 카바메이트 관능기이고, Z'가 카바메이트 관능기인 식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라디칼 -R2가 벤질 라디칼인 식 I 또는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라디칼 -R2가 소수성 알코올로부터 유도되는 식 I 또는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소수성 알코올이 4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불포화된 및/또는 포화된, 분지형 또는 비분지형 알킬 사슬로 이루어지는 알코올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소수성 알코올이 6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불포화된 및/또는 포화된, 분지형 또는 비분지형 알킬 사슬로 이루어지는 알코올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소수성 알코올이 8 내지 16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불포화된 및/또는 포화된, 분지형 또는 비분지형 알킬 사슬로 이루어지는 알코올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소수성 알코올이 옥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소수성 알코올이 2-에틸부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소수성 알코올이 미리스틸 알코올, 세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세테아릴 알코올, 부틸 알코올 및 올레일 알코올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소수성 알코올이 콜레스테롤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소수성 알코올이 콜레스테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소수성 알코올이 멘톨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소수성 알코올이 그의 라세믹 형태로의 멘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소수성 알코올이 멘톨의 D 이성질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소수성 알코올이 멘톨의 L 이성질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소수성 알코올이 토코페롤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토코페롤이 알파-토코페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알파-토코페롤이 알파-토코페롤의 라세메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토코페롤이 알파-토코페롤의 D 이성질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토코페롤이 알파 토코페롤의 L 이성질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소수성 알코올이 아릴 기를 가지고 있는 알코올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아릴 기를 가지고 있는 알코올이 벤질 알코올 및 페네틸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라디칼 -R2가 소수성 산으로부터 유도되는 식 I 또는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소수성 산이 지방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지방산이 6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포화된 또는 불포화된, 분지형 또는 비분지형 알킬 사슬로 이루어지는 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지방산이 선형 지방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선형 지방산이 카프로산, 에난트산, 카피릴산, 카프르산, 노난산, 데칸산, 운데칸산, 도데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아라키드산, 베헨산, 트리코산산, 리그노세르산, 헵타코산산, 옥타코산산 및 멜리스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지방산이 불포화된 지방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불포화된 지방산이 미리스트올레산, 팔미트올레산, 올레산, 엘라이드산, 리놀레산, 알파-리놀레산, 아라키돈산, 에이코사펜타엔산, 에루크산 및 도코사헥사엔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지방산이 담즙산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담즙산 및 이들의 유도체가 콜산, 데히드로콜산, 데옥시콜산 및 케노데옥시콜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n이 0이고, 동일한 라디칼 -R1- 및 치환기 -R'1이 탄소계 사슬인 식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n이 0이고, 라디칼 -[AA]-가 아미노산 잔기인 식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n이 0이고, 동일한 라디칼 -R1- 및 치환기 -R'1이 탄소계 사슬이고, 라디칼 -[AA]-가 페닐알라닌 잔기인 식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n이 0이고, 동일한 라디칼 -R1- 및 치환기 -R'1이 에테르 관능기를 통해 백본에 결합된 탄소계 사슬이고, 라디칼 -[AA]-가 페닐알라닌 잔기인 식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n이 0이고, 동일한 라디칼 -R1- 및 치환기 -R'1이 카바메이트 관능기를 통해 백본에 결합된 탄소계 사슬이고, 라디칼 -[AA]-가 페닐알라닌 잔기인 식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n이 0이고, 동일한 라디칼 -R1- 및 치환기 -R'1이 에테르 관능기를 통해 백본에 결합된 탄소계 사슬이고, 라디칼 -[AA]-가 트립토판 잔기인 식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n이 0이고, 동일한 라디칼 -R1- 및 치환기 -R'1이 에테르 관능기를 통해 백본에 결합된 탄소계 사슬이고, 라디칼 -[AA]-가 류신 잔기인 식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n이 0이고, 동일한 라디칼 -R1- 및 치환기 -R'1이 에테르 관능기를 통해 백본에 결합된 탄소계 사슬이고, 라디칼 -[AA]-가 알파-페닐글리신 잔기인 식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n이 0이고, 동일한 라디칼 -R1- 및 치환기 -R'1이 에테르 관능기를 통해 백본에 결합된 탄소계 사슬이고, 라디칼 -[AA]-가 티로신 잔기인 식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n 및 a가 0인 식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n 및 a가 0이고, 라디칼 -[AA]-가 카바메이트 관능기를 통해 백본에 직접 결합된 페닐알라닌 잔기인 식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n이 1이고, 동일한 라디칼 -R1- 및 치환기 -R'1이 탄소계 사슬인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n이 1이고, 동일한 라디칼 -R1- 및 치환기 -R'1이 탄소계 사슬이고, 라디칼 -[Q]-가 디아민으로부터 유도되는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n이 1이고, 동일한 라디칼 -R1- 및 치환기 -R'1이 탄소계 사슬이고, 라디칼 -[Q]-가 디아민으로부터 유도되고, 라디칼 -R2가 선형 지방산으로부터 유도되는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n이 1이고, 동일한 라디칼 -R1- 및 치환기 -R'1이 에테르 관능기를 통해 백본에 결합된 탄소계 사슬이고, 라디칼 -[Q]-가 디아민으로부터 유도되고, 라디칼 -R2가 선형 지방산으로부터 유도되는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n이 1이고, 동일한 라디칼 -R1- 및 치환기 -R'1이 에테르 관능기를 통해 백본에 결합된 탄소계 사슬이고, 라디칼 -[Q]-가 에틸렌디아민으로부터 유도되고, 라디칼 -R2가 선형 지방산으로부터 유도되는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n이 1이고, 동일한 라디칼 -R1- 및 치환기 -R'1이 에테르 관능기를 통해 백본에 결합된 탄소계 사슬이고, 라디칼 -[Q]-가 에틸렌디아민으로부터 유도되고, 라디칼 -R2가 도데칸산으로부터 유도되는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n이 1이고, 동일한 라디칼 -R1- 및 치환기 -R'1이 에테르 관능기를 통해 백본에 결합된 탄소계 사슬이고, 라디칼 -[Q]-가 디아민으로부터 유도되고, 라디칼 -R2가 소수성 알코올로부터 유도되는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n이 1이고, 동일한 라디칼 -R1- 및 치환기 -R'1이 에테르 관능기를 통해 백본에 결합된 탄소계 사슬이고, 라디칼 -[Q]-가 디아민으로부터 유도되고, 라디칼 -R2가 콜레스테롤로부터 유도되는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n이 1이고, 동일한 라디칼 -R1- 및 치환기 -R'1이 에테르 관능기를 통해 백본에 결합된 탄소계 사슬이고, 라디칼 -[Q]-가 에틸렌디아민으로부터 유도되고, 라디칼 -R2가 콜레스테롤로부터 유도되는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n이 1이고, 동일한 라디칼 -R1- 및 치환기 -R'1이 탄소계 사슬이고, 라디칼 -[Q]-가 아미노 알코올로부터 유도되고, 라디칼 -R2가 선형 지방산으로부터 유도되는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n이 1이고, 동일한 라디칼 -R1- 및 치환기 -R'1이 에테르 관능기를 통해 백본에 결합된 탄소계 사슬이고, 라디칼 -[Q]-가 아미노 알코올로부터 유도되고, 라디칼 -R2가 선형 지방산으로부터 유도되는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n이 1이고, 동일한 라디칼 -R1- 및 치환기 -R'1이 에테르 관능기를 통해 백본에 결합된 탄소계 사슬이고, 라디칼 -[Q]-가 에탄올아민으로부터 유도되고, 라디칼 -R2가 선형 지방산으로부터 유도되는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n이 1이고, 동일한 라디칼 -R1- 및 치환기 -R'1이 에테르 관능기를 통해 백본에 결합된 탄소계 사슬이고, 라디칼 -[Q]-가 에탄올아민으로부터 유도되고, 라디칼 -R2가 도데칸산으로부터 유도되는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n이 1이고, 동일한 라디칼 -R1- 및 치환기 -R'1이 탄소계 사슬인 식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n이 1이고, 동일한 라디칼 -R1- 및 치환기 -R'1이 탄소계 사슬이고, 라디칼 -R2가 선형 지방산으로부터 유도되는 식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n이 1이고, 동일한 라디칼 -R1- 및 치환기 -R'1이 에테르 관능기를 통해 백본에 결합된 탄소계 사슬이고, 라디칼 -R2가 선형 지방산으로부터 유도되는 식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n이 1이고, 동일한 라디칼 -R1- 및 치환기 -R'1이 에테르 관능기를 통해 백본에 결합된 탄소계 사슬이고, 라디칼 -[AA]-가 리신 잔기이고, 라디칼 -R2가 선형 지방산으로부터 유도되는 식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n이 1이고, 동일한 라디칼 -R1- 및 치환기 -R'1이 에테르 관능기를 통해 백본에 결합된 탄소계 사슬이고, 라디칼 -[AA]-가 리신 잔기이고, 라디칼 -R2가 도데칸산으로부터 유도되는 식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n이 1이고, 동일한 라디칼 -R1- 및 치환기 -R'1이 탄소계 사슬이고, 라디칼 -R2가 소수성 알코올로부터 유도되는 식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n이 1이고, 동일한 라디칼 -R1- 및 치환기 -R'1이 에테르 관능기를 통해 백본에 결합된 탄소계 사슬이고, 라디칼 -R2가 소수성 알코올로부터 유도되는 식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n이 1이고, 동일한 라디칼 -R1- 및 치환기 -R'1이 에테르 관능기를 통해 백본에 결합된 탄소계 사슬이고, 라디칼 -[AA]-가 류신 잔기이고, 라디칼 -R2가 소수성 알코올로부터 유도되는 식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n이 1이고, 동일한 라디칼 -R1- 및 치환기 -R'1이 에테르 관능기를 통해 백본에 결합된 탄소계 사슬이고, 라디칼 -[AA]-가 류신 잔기이고, 라디칼 -R2가 콜레스테롤로부터 유도되는 식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n이 1이고, 동일한 라디칼 -R1- 및 치환기 -R'1이 에테르 관능기를 통해 백본에 결합된 탄소계 사슬이고, 라디칼 -[AA]-가 아스파르트산 잔기이고, 라디칼 -R2가 벤질 알코올로부터 유도되는 식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n이 1이고, 동일한 라디칼 -R1- 및 치환기 -R'1이 에테르 관능기를 통해 백본에 결합된 탄소계 사슬이고, 라디칼 -[AA]-가 글리신 잔기이고, 라디칼 -R2가 데칸올로부터 유도되는 식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n이 1이고, 동일한 라디칼 -R1- 및 치환기 -R'1이 에테르 관능기를 통해 백본에 결합된 탄소계 사슬이고, 라디칼 -[AA]-가 페닐알라닌 잔기이고, 라디칼 -R2가 3,7-디메틸옥탄올로부터 유도되는 식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n이 1이고, a가 0인 식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n이 1이고, a가 0이고, R2가 탄소계 사슬인 식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n이 1이고, a가 0이고, 라디칼 -[AA]-가 아미드 관능기를 통해 백본에 직접 결합된 페닐알라닌 잔기이고, R2가 탄소계 사슬인 식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n이 1이고, a가 0이고, 라디칼 -[AA]-가 아미드 관능기를 통해 백본에 직접 결합된 페닐알라닌 잔기이고, R2가 메탄올로부터 유도되는 식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n이 2이고, 동일한 라디칼 -R1- 및 치환기 -R'1이 탄소계 사슬인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n이 2이고, 동일한 라디칼 -R1- 및 치환기 -R'1이 에테르 관능기를 통해 백본에 결합된 탄소계 사슬이고, 라디칼 -[Q]-가 아미노산에 커플링된 디아민으로부터 유도되는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n이 2이고, 동일한 라디칼 -R1- 및 치환기 -R'1이 에테르 관능기를 통해 백본에 결합된 탄소계 사슬이고, 라디칼 -[Q]-가 아미노산에 커플링된 디아민으로부터 유도되고, R2가 선형 지방산으로부터 유도되는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n이 2이고, 동일한 라디칼 -R1- 및 치환기 -R'1이 탄소계 사슬이고, 라디칼 -[Q]-가 아미노산에 커플링된 에틸렌디아민으로부터 유도되고, 라디칼 R2가 선형 지방산으로부터 유도되는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n이 2이고, 동일한 라디칼 -R1- 및 치환기 -R'1이 에테르 관능기를 통해 백본에 결합된 탄소계 사슬이고, 라디칼 -[Q]-가 리신에 커플링된 에틸렌디아민으로부터 유도되고, 라디칼 R2가 선형 지방산으로부터 유도되는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n이 2이고, 동일한 라디칼 -R1- 및 치환기 -R'1이 에테르 관능기를 통해 백본에 결합된 탄소계 사슬이고, 라디칼 -[Q]-가 리신에 커플링된 에틸렌디아민으로부터 유도되고, 라디칼 R2가 도데칸산으로부터 유도되는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n이 2이고, 동일한 라디칼 -R1- 및 치환기 -R'1이 에테르 관능기를 통해 백본에 결합된 탄소계 사슬이고, 라디칼 -[Q]-가 리신에 커플링된 에틸렌디아민으로부터 유도되고, 라디칼 R2가 도데칸산으로부터 유도되는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n이 2이고, 동일한 라디칼 -R1- 및 치환기 -R'1이 에테르 관능기를 통해 백본에 결합된 탄소계 사슬이고, 라디칼 -[Q]-가 리신에 커플링된 에틸렌디아민으로부터 유도되고, 라디칼 R2가 옥탄산으로부터 유도되는 식 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n이 2이고, 동일한 라디칼 -R1- 및 치환기 -R'1이 탄소계 사슬인 식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n이 2이고, 동일한 라디칼 -R1- 및 치환기 -R'1이 에테르 관능기를 통해 백본에 결합된 탄소계 사슬이고, 라디칼 -R2가 소수성 알코올로부터 유도되는 식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n이 2이고, 동일한 라디칼 -R1- 및 치환기 -R'1이 에테르 관능기를 통해 백본에 결합된 탄소계 사슬이고, 라디칼 -[AA]-가 아스파르트산 잔기이고, 라디칼 -R2가 소수성 알코올로부터 유도되는 식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n이 2이고, 동일한 라디칼 -R1- 및 치환기 -R'1이 에테르 관능기를 통해 백본에 결합된 탄소계 사슬이고, 라디칼 -[AA]-가 아스파르트산 잔기이고, 라디칼 -R2가 도데칸올로부터 유도되는 식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n이 2이고, 동일한 라디칼 -R1- 및 치환기 -R'1이 에스테르 관능기를 통해 백본에 결합된 탄소계 사슬이고, 라디칼 -R2가 소수성 알코올로부터 유도되는 식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n이 2이고, 동일한 라디칼 -R1- 및 치환기 -R'1이 에스테르 관능기를 통해 백본에 결합된 탄소계 사슬이고, 라디칼 -[AA]-가 아스파르트산 잔기이고, 라디칼 -R2가 소수성 알코올로부터 유도되는 식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식 중 n이 2이고, 동일한 라디칼 -R1- 및 치환기 -R'1이 에스테르 관능기를 통해 백본에 결합된 탄소계 사슬이고, 라디칼 -[AA]-가 아스파르트산 잔기이고, 라디칼 -R2가 도데칸올로부터 유도되는 식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단리된 형태로의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일반 식 I 또는 II 또는 V의 치환기를 갖는다.
일구현예에서, 단리된 형태로의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일반 식 I 또는 II 또는 V의 2개의 치환기를 갖는다.
일구현예에서, 단리된 형태로의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일반 식 I 또는 II 또는 V의 3개의 치환기를 갖는다.
일구현예에서, 단리된 형태로의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일반 식 I 또는 II 또는 V의 4개의 치환기를 갖는다.
일구현예에서, 단리된 형태로의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일반 식 I 또는 II 또는 V의 5개의 치환기를 갖는다.
일구현예에서, 단리된 형태로의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일반 식 I 또는 II 또는 V의 6개의 치환기를 갖는다.
일구현예에서, 단리된 형태로의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사카라이드 단위 당 일반 식 I 또는 II 또는 V의 1개의 치환기를 갖는다.
일구현예에서, 단리된 형태로의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사카라이드 단위 당 일반 식 I 또는 II 또는 V의 2개의 치환기를 갖는다.
일구현예에서, 단리된 형태로의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사카라이드 단위 당 일반 식 I 또는 II 또는 V의 3개의 치환기를 갖는다.
일구현예에서, 단리된 형태로의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사카라이드 단위 당 일반 식 I 또는 II 또는 V의 4개의 치환기를 갖는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사카라이드 단위가 고리형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사카라이드 단위가 개방 환원된 또는 개방 산화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사카라이드 단위가 펜토스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펜토스가 아라비노스, 리불로오스, 자일룰로오스, 릭소오스, 리보오스, 자일로오스, 데옥시리보오스, 아라비톨, 자일리톨 및 리비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사카라이드 단위가 헥소스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헥소스가 만노오스, 글루코오스, 프룩토스, 소르보스, 타가토오스, 프시코오스, 갈락토오스, 알로오스, 알트로오스, 탈로스, 이도오스, 굴로오스, 푸코오스, 푸쿨로오스, 람노오스, 만니톨, 자일리톨, 소르비톨 및 갈락티톨(둘시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사카라이드 단위가 우론산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우론산이 글루쿠론산, 이두론산, 갈락투론산, 글루콘산, 점액산, 글루카르산 및 갈락톤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사카라이드 단위가 N-아세틸헥소사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N-아세틸헥소사민이 N-아세틸갈락토사민, N-아세틸글루코사민 및 N-아세틸만노사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백본이 개별 갯수 u = 1 의 사카라이드 단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사카라이드 단위가 고리형 형태 또는 개방 형태로의 헥소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사카라이드 단위가 글루코스, 만노오스, 만니톨, 자일리톨 또는 소르비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사카라이드 단위가 프룩토스 및 아라비노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사카라이드 단위가 N-아세틸글루코사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사카라이드 단위가 N-아세틸갈락토사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사카라이드 단위가 우론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사카라이드 단위가 글루코스, 만노오스, 만니톨, 자일리톨 또는 소르비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사카라이드 단위가 프룩토스 및 아라비노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사카라이드 단위 중 하나 이상이 N-아세틸글루코사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사카라이드 단위 중 하나 이상이 N-아세틸갈락토사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백본이 개별 갯수 2 ≤ u ≤ 8의 동일 또는 상이한 사카라이드 단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개별 갯수 2 ≤ u ≤ 8의 사카라이드 단위로 구성되는 백본으로 만들어진 동일 또는 상이한 사카라이드 단위가 고리형 형태 및/또는 개방 형태로의 펜토스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개별 갯수 2 ≤ u ≤ 8의 사카라이드 단위로 구성되는 백본으로 만들어진 동일 또는 상이한 사카라이드 단위가, 고리형 형태 및/또는 개방 형태로의 헥소스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개별 갯수 2 ≤ u ≤ 8의 사카라이드 단위로 구성되는 백본으로 만들어진 동일 또는 상이한 사카라이드 단위가 고리형 형태 및/또는 개방 형태로의 우론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개별 갯수 2 ≤ u ≤ 8의 사카라이드 단위로 구성되는 백본으로 만들어진 동일 또는 상이한 사카라이드 단위가 헥소스 및 펜토스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개별 갯수 2 ≤ u ≤ 8의 사카라이드 단위로 구성되는 백본으로 만들어진 동일 또는 상이한 사카라이드 단위가 헥소스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개별 갯수 2 ≤ u ≤ 8의 사카라이드 단위로 구성되는 백본으로 만들어진 동일 또는 상이한 사카라이드 단위가 글루코오스 및 만노오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헥소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백본이 개별 갯수 u = 2의 동일 또는 상이한 사카라이드 단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2개의 사카라이드 단위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2개의 사카라이드 단위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동일 또는 상이한 사카라이드 단위가 헥소스 및/또는 펜토스로부터 선택되고, (1,1) 유형의 글리코시드 결합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동일 또는 상이한 사카라이드 단위가 헥소스 및/또는 펜토스로부터 선택되고, (1,2) 유형의 글리코시드 결합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동일 또는 상이한 사카라이드 단위가 헥소스 및/또는 펜토스로부터 선택되고, (1,3) 유형의 글리코시드 결합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동일 또는 상이한 사카라이드 단위가 헥소스 및/또는 펜토스로부터 선택되고, (1,4) 유형의 글리코시드 결합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동일 또는 상이한 사카라이드 단위가 헥소스 및/또는 펜토스로부터 선택되고, (1,6) 유형의 글리코시드 결합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1,1) 유형의 글리코시드 결합을 통해 연결된 헥소스로부터 선택된 개별 갯수 u = 2의 동일 또는 상이한 사카라이드 단위로 구성된 백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헥소스로부터 선택되고, (1,1) 유형의 글리코시드 결합을 통해 연결되는 개별 갯수 u = 2의 상이한 사카라이드 단위로 구성된 백본이 트레할로오스 및 수크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1,2) 유형의 글리코시드 결합을 통해 연결된 헥소스로부터 선택된 개별 갯수 u = 2의 동일 또는 상이한 사카라이드 단위로 구성된 백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1,2) 유형의 글리코시드 결합을 통해 연결된 헥소스로부터 선택된 개별 갯수 u = 2의 동일 또는 상이한 사카라이드 단위로 구성된 백본이 코지비오스(kojibios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1,3) 유형의 글리코시드 결합을 통해 연결된 헥소스로부터 선택된 개별 갯수 u = 2의 동일 또는 상이한 사카라이드 단위로 구성된 백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1,3) 유형의 글리코시드 결합을 통해 연결된 헥소스로부터 선택된 개별 갯수 u = 2의 동일 또는 상이한 사카라이드 단위로 구성된 백본이 니게리오스(nigeriose) 및 라미나리비오스(laminaribios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1,4) 유형의 글리코시드 결합을 통해 연결된 헥소스로부터 선택된 개별 갯수 u = 2의 동일 또는 상이한 사카라이드 단위로 구성된 백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1,4) 유형의 글리코시드 결합을 통해 연결된 헥소스로부터 선택된 개별 갯수 u = 2의 동일 또는 상이한 사카라이드 단위로 구성된 백본이 말토오스, 락토오스 및 셀로비오스(cellobios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1,6) 유형의 글리코시드 결합을 통해 연결된 헥소스로부터 선택된 개별 갯수 u = 2의 동일 또는 상이한 사카라이드 단위로 구성된 백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1,6) 유형의 글리코시드 결합을 통해 연결된 헥소스로부터 선택된 개별 갯수 u = 2의 동일 또는 상이한 사카라이드 단위로 구성된 백본이 이소말토오스, 멜리비오스(melibiose) 및 젠티오비오스(gentiobios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1,6) 유형의 글리코시드 결합을 통해 연결된 헥소스로부터 선택된 개별 갯수 u = 2의 동일 또는 상이한 사카라이드 단위로 구성된 백본이 이소말토오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하나는 고리형 형태이고 다른 것은 개방 환원된 형태인 개별 갯수 u = 2의 사카라이드 단위로 구성된 백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하나는 고리형 형태이고 다른 것은 개방 환원된 형태인 개별 갯수 u = 2의 사카라이드 단위로 구성된 백본이 말티톨 및 이소말티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백본이 개별 갯수 3 ≤ u ≤ 8의 동일 또는 상이한 사카라이드 단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개별 갯수 3 ≤ u ≤ 8의 사카라이드 단위로 구성된 백본으로 만들어진 동일 또는 상이한 사카라이드 단위 중 하나 이상이 동일 또는 상이한 글리코시드 결합을 통해 연결된 헥소스 및/또는 펜토스 단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개별 갯수 3 ≤ u ≤ 8의 사카라이드 단위로 구성된 백본으로 만들어진 동일 또는 상이한 사카라이드 단위가 헥소스 및/또는 펜토스로부터 선택되고, (1,2) 유형의 하나 이상의 글리코시드 결합을 통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개별 갯수 3 ≤ u ≤ 8의 사카라이드 단위로 구성된 백본으로 만들어진 동일 또는 상이한 사카라이드 단위가 헥소스 및/또는 펜토스로부터 선택되고, (1,3) 유형의 하나 이상의 글리코시드 결합을 통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개별 갯수 3 ≤ u ≤ 8의 사카라이드 단위로 구성된 백본으로 만들어진 동일 또는 상이한 사카라이드 단위가 헥소스 및/또는 펜토스로부터 선택되고, (1,4) 유형의 하나 이상의 글리코시드 결합을 통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개별 갯수 3 ≤ u ≤ 8의 사카라이드 단위로 구성된 백본으로 만들어진 동일 또는 상이한 사카라이드 단위가 헥소스 및/또는 펜토스로부터 선택되고, (1,6) 유형의 하나 이상의 글리코시드 결합을 통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백본이 개별 갯수 u = 3의 동일 또는 상이한 사카라이드 단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고리형 형태로의 헥소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사카라이드 단위 및 개방 형태로의 헥소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사카라이드 단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3개의 사카라이드 단위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3개의 사카라이드 단위 중 2개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동일한 사카라이드 단위가 그 중 2개는 고리형 형태이고 그 중 1개는 개방 환원된 형태이며, 이들이 (1,4) 유형의 글리코시드 결합을 통해 연결되는 헥소스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동일한 사카라이드 단위가 그 중 2개는 고리형 형태이고 그 중 1개는 개방 환원된 형태이며, 이들이 (1,6) 유형의 글리코시드 결합을 통해 연결되는 헥소스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동일 또는 상이한 사카라이드 단위가 헥소스로부터 선택되고, 중심 헥소스가 (1,2) 유형의 글리코시드 결합을 통해 및 (1,4) 유형의 글리코시드 결합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동일 또는 상이한 사카라이드 단위가 헥소스로부터 선택되고, 중심 헥소스가 (1,3) 유형의 글리코시드 결합을 통해 및 (1,4) 유형의 글리코시드 결합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동일 또는 상이한 사카라이드 단위가 헥소스로부터 선택되고, 중심 헥소스가 (1,2) 유형의 글리코시드 결합을 통해 및 (1,6) 유형의 글리코시드 결합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동일 또는 상이한 사카라이드 단위가 헥소스로부터 선택되고, 중심 헥소스가 (1,2) 유형의 글리코시드 결합을 통해 및 (1,3) 유형의 글리코시드 결합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동일 또는 상이한 사카라이드 단위가 헥소스로부터 선택되고, 중심 헥소스가 (1,4) 유형의 글리코시드 결합을 통해 및 (1,6) 유형의 글리코시드 결합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백본이 에를로오스(erlos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3개의 동일 또는 상이한 사카라이드 단위가 만노오스 및 글루코오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헥소스 단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백본이 말토트리오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백본이 이소말토트리오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백본이 개별 갯수 u = 4의 동일 또는 상이한 사카라이드 단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4개의 사카라이드 단위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4개의 사카라이드 단위 중 3개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4개의 사카라이드 단위가 만노오스 및 글루코오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헥소스 단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백본이 말토테트라오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동일 또는 상이한 사카라이드 단위가 헥소스로부터 선택되며, 말단 헥소스가 (1,2) 유형의 글리코시드 결합을 통해 연결되고 나머지는 (1,6) 유형의 글리코시드 결합을 통해 서로에 대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동일 또는 상이한 사카라이드 단위가 헥소스로부터 선택되고, (1,6) 유형의 글리코시드 결합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백본이 개별 갯수 u = 5의 동일 또는 상이한 사카라이드 단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5개의 사카라이드 단위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5개의 사카라이드 단위가 만노오스 및 글루코오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헥소스 단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동일 또는 상이한 사카라이드 단위가 헥소스로부터 선택되고, (1,4) 유형의 글리코시드 결합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백본이 말토펜타오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백본이 개별 갯수 u = 6의 동일 또는 상이한 사카라이드 단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6개의 사카라이드 단위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동일 또는 상이한 사카라이드 단위가 헥소스로부터 선택되고, (1,4) 유형의 글리코시드 결합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6개의 동일 또는 상이한 사카라이드 단위가 만노오스 및 글루코오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헥소스 단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백본이 말토헥소오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백본이 개별 갯수 u = 7의 동일 또는 상이한 사카라이드 단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7개의 사카라이드 단위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동일 또는 상이한 사카라이드 단위가 헥소스로부터 선택되고, (1,4) 유형의 글리코시드 결합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7개의 사카라이드 단위가 만노오스 및 글루코오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헥소스 단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백본이 말토헵타오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백본이 개별 갯수 u = 8의 동일 또는 상이한 사카라이드 단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8개의 사카라이드 단위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동일 또는 상이한 사카라이드 단위가 헥소스로부터 선택되고, (1,4) 유형의 글리코시드 결합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8개의 사카라이드 단위가 만노오스 및 글루코오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헥소스 단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백본이 말토옥타오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개별 갯수의 사카라이드 단위를 포함하는 음이온성 화합물은 천연 화합물이다.
일구현예에서, 개별 갯수의 사카라이드 단위를 포함하는 음이온성 화합물은 합성 화합물이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폴리사카라이드의 효소적 분해 후 정제에 의해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폴리사카라이드의 화학적 분해 후 정제에 의해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저-분자량 전구체의 공유 커플링에 의해, 화학적으로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백본이 소포로오스(sophoros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백본이 수크로오스인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백본이 락툴로오스인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백본이 말툴로오스인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백본이 류크로오스인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백본이 N-아세틸락토스아민인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백본이 N-아세틸알로락토스아민인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백본이 루티노오스인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백본이 이소말툴로오스인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백본이 푸코실락토오스인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백본이 젠티아노오스인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백본이 라피노오스인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백본이 멜레지토오스인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백본이 파노오스인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백본이 케스토오스인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백본이 스타키요오스(stachyose)인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및 실시예 섹션에서 사용되는 명명법은 관능화된 화합물의 전구체를 다시 말하는 단순화된 명명법이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식 중 i = 1.0이고 j = 0.65인 L-페닐알라닌으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이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식 중 i = 0.65이고 j = 1.0인 L-페닐알라닌으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이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식 중 i = 0.35이고 j = 0.65인 L-페닐알라닌으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이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식 중 i = 0.65이고 j = 1.0인 L-트립토판으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이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식 중 i = 1.56이고 j = 0.09인 콜레스테릴 류시네이트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이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식 중 i = 0.8이고, j = 3.5인 L-페닐알라닌으로 개질화된 나트륨 N-메틸카복실레이트 만니톨 카바메이트이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식 중 i = 0.0이고, j = 6.0인 나트륨 N-페닐알라니네이트 만니톨 헥사카바메이트이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식 중 i = 1.25이고 j = 0.4인 L-페닐알라닌으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이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식 중 i = 0.8이고 j = 0.65인 L-페닐알라닌으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이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식 중 i = 2.65이고 j = 0.65인 L-페닐알라닌으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이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식 중 i = 1.0이고 j = 0.75인 L-페닐알라닌으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펜타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이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식 중 i = 1.0이고 j = 0.65인 L-페닐알라닌으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펜타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이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식 중 i = 1.76이고 j = 0.08인 콜레스테릴 류시네이트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이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식 중 i = 1.33이고 j = 0.29인 콜레스테릴 류시네이트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이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식 중 i = 3.01이고 j = 0.29인 콜레스테릴 류시네이트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이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식 중 i = 1.61이고 j = 0.14인 콜레스테릴 류시네이트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펜타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이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식 중 i = 1.11이고 j = 0.09인 콜레스테릴 류시네이트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옥타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이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식 중 i = 1.15이고 j = 0.53인 β-벤질 아스파르테이트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이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식 중 i = 2.37이고 j = 0.36인 디라우릴 아스파르테이트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이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식 중 i = 2.52이고 j = 0.21인 2-[(2-도데카노일아미노-6-도데카노일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에탄아민으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이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식 중 i = 1.37이고, j = 0.27인 N-(2-아미노에틸)도데칸아미드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이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식 중 i = 2.36이고, j = 0.41인 디라우릴 아스파르테이트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트리오숙시네이트이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식 중 i = 1.43이고, j = 0.21인 데카노일 글리시네이트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이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식 중 i = 1.06이고, j = 0.58인 L-류신으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이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식 중 i = 2.45이고, j = 0.28인 콜레스테릴 2-아미노에틸카바메이트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이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식 중 i = 1.12이고, j = 0.52인 알파-페닐글리신으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이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식 중 i = 1.36이고, j = 0.28인 2-[(2-옥타노일아미노-6-옥타노일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에탄아민으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이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식 중 i = 0.83이고, j = 0.81인 L-티로신으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이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식 중 i = 1.37이고, j = 0.27인 2-아미노에틸 도데카노에이트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이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식 중 i = 1.25이고, j = 0.39인 3,7-디메틸옥타노일 페닐알라니네이트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이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식 중 i = 0.28이고, j = 0.22인 메틸 페닐알라니네이트로 관능화된 나트륨 히알루로네이트 테트라사카라이드이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식 중 i = 1.43이고, j = 0.21인 2-[(2-데카노일아미노-6-데카노일-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에탄아민으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이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식 중 i = 1.27이고, j = 0.37인 ε-N-도데카노일-L-리신으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이다.
일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은 식 중 i = 0이고, j = 4인 나트륨 N-페닐알라니네이트 만니톨 2,3,4,5-테트라카바메이트이다.
본 발명은 또한 식 I 또는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단리된 형태 또는 혼합물로서의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구현예에서, 식 I 또는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사카라이드 백본 상의 치환기의 랜덤 그래프팅에 의해 수득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구현예에서, 식 I 또는 II의 치환기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은 이들이 백본에 의해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알코올 또는 카복실산 기의 보호/탈보호 단계를 이행하는 방법에 의해 사카라이드 단위 상의 정확한 위치에 치환기를 그래프팅함으로써 수득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략은 백본 상의 치환기의 선택적인, 특히 위치선택적인, 그래프팅을 야기한다. 보호기는 제한 없이 PGM Wuts, et al., Greene's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2007에 기재된 교과서에 있는 보호기들을 포함한다.
사카라이드 백본은 고분자량 폴리사카라이드의 분해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분해 경로는 제한 없이, 화학적 분해 및/또는 효소적 분해를 포함한다.
사카라이드 백본은 또한 효소적 또는 화학적 커플링 전략을 사용하여 모노사카라이드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 분자 사이에 글리코시드 결합의 형성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커플링 전략은 공개문헌 JT Smooth et al., Advances in Carbohydrate Chemistry and Biochemistry 2009, 62, 162-236 및 교과서 TK Lindhorst, Essentials of Carbohydrate Chemistry and Biochemistry 2007, 157-209에 기재된 것들을 포함한다. 커플링 반응은 용액에서 또는 고체 지지체 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커플링 전의 사카라이드 분자는 관심의 치환기를 가질 수 있고/거나 일단 서로에 대해 랜덤으로 또는 위치선택적으로 커플링되면 관능화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하기 과정 중 하나에 따라 수득될 수 있다:
●
사카라이드 백본 상에 치환기의 랜덤 그래프팅;
●
치환기를 가지는 모노사카라이드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 분자 사이의 하나 이상의 글리코실화 단계;
●
치환기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모노사카라이드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 분자와 하나 이상의 모노사카라이드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 분자 사이의 하나 이상의 글리코실화 단계;
●
사카라이드 백본에 의해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알코올 또는 산 상에 보호기를 도입하는 하나 이상의 단계, 이후 하나 이상의 치환기 그래프팅 반응 및, 최종적으로 보호기의 제거 단계;
●
사카라이드 백본에 의해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알코올 또는 산 상에 보호기를 가지고 있는 하나 이상의 모노사카라이드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 분자 사이의 하나 이상의 글리코실화 단계, 수득된 백본 상의 치환기의 하나 이상의 그래프팅 단계, 이후 보호기의 제거 단계;
●
사카라이드 백본에 의해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알코올 또는 산 상에 보호기를 가지고 있는 하나 이상의 모노사카라이드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 분자 및 하나 이상의 모노사카라이드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 분자 사이의 하나 이상의 글리코실화 단계, 하나 이상의 치환기 그래프팅 단계, 및 이후 보호기의 제거 단계.
단리된 또는 혼합물로서의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이들이 특히 상기 기재된 방법에 의해 수득된 후 상이한 방식으로 분리 및/또는 정제될 수 있다.
특히 하기와 같은, 특히 "분취용"이라고 불리는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이 언급될 수 있다:
●
속성 크로마토그래피, 특히 실리카 상의 속성 크로마토그래피, 및
●
HPLC(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유형, 특히 RP-HPLH 또는 역상 HPLC의 크로마토그래피.
선택적인 침전 방법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약학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전에 기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 중 하나 및 하나 이상의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활성 성분이 단백질, 당단백질, 펩티드 및 비-펩티드 치료 분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용어 "활성 성분"은 단일 화학적 실재의 형태로의 및/또는 물리학적 활성을 갖는 조합의 형태로의 생성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상기 활성 성분은 외인성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의해 제공된다. 이것은 또한 예를 들어 내인성, 예를 들어 첫번째 치유 상 동안 상처 내로 분비될 것이고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의해 상기 상처 상에서 유지될 수 있는 성장 인자일 수 있다.
표적하는 병리학적 상태에 따라, 이것은 국부적 및/또는 전신적 처리에 대해 의도된다.
국부적 및 전신적 방출의 경우, 구상되는 투여 방식은 정맥 내, 피하, 피내, 경피, 근육 내, 경구, 비강, 질, 안구, 협측, 폐 등의 경로를 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액체 형태, 수용액, 또는 분말, 이식물 또는 필름의 형태이다. 이들은 또한 당업자에게 잘 공지된 통상의 약학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병리학적 상태 및 투여 방식에 따라, 약학 조성물은 유리하게는 이들을 젤, 스폰지, 주사가능 용액, 경구 용액, 경구 붕해되는 정제 등의 형태로 제형화하기 위해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스텐트, 이식가능한 생물학적물질의 필름 또는 코팅, 또는 이식물의 형태로 투여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원 실시예의 화합물 7의 질량 스펙트럼은 도 1에 제시된다.
실시예
A.
화합물 및 반대예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구조는 하기 표 1에 제시된다. 반대예의 구조는 하기 표 2에 제시된다.
화합물 1: L-페닐알라닌으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
0.6g(16 mmol)의 나트륨 보로히드라이드를 물에 용해된 8g(143 mmol의 히드록실 관능기)의 말토트리오스(CarboSynth)에 65℃에서 첨가한다. 30분 동안 교반 후, 28g(238 mmol)의 나트륨 클로로아세테이트를 첨가한다. 24 ml의 10N NaOH (240 mmol)를 이후 상기 용액에 적가한 다음, 혼합물을 65℃에서 90분 동안 가열한다. 16.6g(143 mmol)의 나트륨 클로로아세테이트를 이후 반응 매질에, 14 ml의 10N NaOH (140 mmol)와 같이 적가하여 첨가한다. 1시간 동안 가열 후,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아세트산으로 중화한 다음, 물에 대항하여 1 kDa PES 멤브레인 상에 초여과함으로써 정제한다. 최종 용액의 화합물 농도를 건조 추출에 의해 측정한 다음, 50/50(V/V) 물/아세톤 혼합물 중의 산/염기 어세이를 실시하여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를 측정한다.
건조 추출에 따르면: [화합물] = 32.9 mg/g.
산/염기 어세이에 따르면,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글루코시드 단위 당 1.65이다.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 용액을 Purolite(음이온성) 수지 상에서 산성화시켜,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산을 수득하고 이것을 이후 18시간 동안 동결건조한다.
10 g의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산(63 mmol의 메틸카복실산 관능기)을 DMF에 가용화시킨 다음, 0℃로 냉각시킨다. DMF 중의 에틸 페닐알라니네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염(5.7 g; 25 mmol)의 혼합물을 제조한다. 2.5 g의 트리에틸아민(25 mmol)을 상기 혼합물에 첨가한다. NMM(6.3 g; 63 mmol) 및 EtOCOCl(6.8 g, 63 mmol)의 용액을 이후 혼합물에 0℃에서 첨가한다. 에틸 페닐알라니네이트 용액을 이후 첨가하고, 혼합물을 10℃에서 교반한다. 이미다졸 수용액(340 g/l)을 첨가한 다음, 혼합물을 30℃로 가열한다. 매질을 물로 희석한 다음, 수득된 용액을 0.1N NaOH, 0.9% NaCl 및 물에 대항하여 1 kDa PES 멤브레인 상에 초여과함으로써 정제한다. 최종 용액의 화합물 농도는 건조 추출에 의해 결정된다. 용액의 샘플을 동결건조하고, D2O 중의 1H NMR에 의해 분석하여, 페닐알라닌으로 관능화된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를 측정한다.
건조 추출에 따르면: [화합물 1] = 28.7 mg/g
1H NMR에 따르면: 글리코시드 단위 당 페닐알라닌으로 관능화된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0.65이다.
글리코시드 단위 당 나트륨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1.0이다.
화합물 2: L-페닐알라닌으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
화합물 1의 제조에 사용된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페닐알라닌으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를 수득한다.
건조 추출에 따르면: [화합물 2] = 29.4 mg/g
1H NMR에 따르면: 글리코시드 단위 당 페닐알라닌으로 관능화된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1.0이다.
글리코시드 단위 당 나트륨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0.65이다.
화합물 3: L-페닐알라닌으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
0.6g(16 mmol)의 나트륨 보로히드라이드를 물에 용해된 8g(143 mmol의 히드록실 관능기)의 말토트리오스(CarboSynth)에 65℃에서 첨가한다. 30분 동안 교반 후, 15g(131 mmol)의 나트륨 클로로아세테이트를 첨가한다. 24 ml의 10N NaOH(240 mmol)를 이후 상기 용액에 적가한다. 65℃에서 90분 동안 가열 후,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아세트산을 첨가하여 중화한 다음, 물에 대항하여 1 kDa PES 멤브레인 상에 초여과함으로써 정제한다. 최종 용액의 화합물 농도를 건조 추출에 의해 측정한 다음, 50/50(V/V) 물/아세톤 혼합물 중의 산/염기 어세이를 실시하여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를 측정한다.
건조 추출에 따르면: [화합물] = 20.1 mg/g.
산/염기 어세이에 따르면,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글리코시드 단위 당 1.0이다.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 용액을 Purolite(음이온성) 수지 상에서 산성화시켜,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산을 수득하고 이것을 이후 18시간 동안 동결건조한다.
화합물 1의 제조에 사용된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페닐알라닌으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를 수득한다.
건조 추출에 따르면: [화합물 3] = 11.1 mg/g.
1H NMR에 따르면: 글루코시드 단위 당 페닐알라닌으로 관능화된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0.65이다.
글루코시드 단위 당 나트륨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0.35이다.
화합물 4: L-트립토판으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
화합물 1의 제조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글루코시드 단위 당 1.65의 메틸카복실산으로의 치환도를 갖는 10 g의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산을 수득한 다음 동결건조한다.
10 g의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산(63 mmol의 메틸카복실산 관능기)를 DMF에 가용화시킨 다음, 0℃로 냉각시킨다. 이후 NMM(7.0 g; 69 mmol) 및 EtOCOCl(7.5 g; 69 mmol)의 용액을 첨가한다. 이후 11.5 g의 L-트립토판(Ajinomoto) (57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0℃에서 교반한다. 이미다졸 수용액(340 g/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이후 30℃로 가열한다.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수득된 용액을 0.9% NaCl, 0.01N NaOH 및 물에 대항하여 1 kDa PES 멤브레인 상에 초여과함으로써 정제한다. 최종 용액의 화합물 농도는 건조 추출에 의해 결정된다. 용액의 샘플을 동결건조하고, D2O 중의 1H NMR에 의해 분석하여, 트립토판으로 관능화된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를 측정한다.
건조 추출에 따르면: [화합물 4] = 32.9 mg/g.
1H NMR에 따르면: 글루코시드 단위 당 트립토판으로 관능화된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1.0이다.
글루코시드 단위 당 나트륨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0.65이다.
화합물 5: 콜레스테릴 류시네이트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
화합물 1의 제조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글루코시드 단위 당 1.65의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를 갖는 10 g의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산을 수득한 다음 동결건조한다.
콜레스테릴 류시네이트, 파라-톨루엔설폰산 염은, 특허 US 4,826,818(Kenji M., et al.)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콜레스테롤 및 류신으로부터 제조된다.
10 g의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산(63 mmol의 메틸카복실산 관능기)을 DMF에 가용화시킨 다음, 0℃로 냉각시킨다. DMF 중의 콜레스테릴 류시네이트, 파라-톨루엔설폰산 염(2.3 g; 3 mmol)의 혼합물을 제조한다. 0.4 g의 트리에틸아민(3 mmol)을 혼합물에 첨가한다. 일단 혼합물이 0℃에 도달하면, NMM(1.9 g; 19 mmol) 및 EtOCOCl(2.1 g; 19 mmol)의 용액을 첨가한다. 10분 후, 콜레스테릴 류시네이트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0℃에서 교반한다. 혼합물을 이후 50℃로 가열한다. 이미다졸 수용액(340 g/l)을 첨가하고 매질을 물로 희석한다. 수득된 용액을 0.01N NaOH, 0.9% NaCl 및 물에 대항하여 1 kDa PES 멤브레인 상에 초여과함으로써 정제한다. 최종 용액의 화합물 농도는 건조 추출에 의해 결정된다. 용액의 샘플을 동결건조하고, D2O 중의 1H NMR에 의해 분석하여, 콜레스테릴 류시네이트로 그래프트된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를 측정한다.
건조 추출에 따르면: [화합물 5] = 10.1 mg/g.
1H NMR에 따르면: 글루코시드 단위 당 콜레스테릴 류시네이트로 그래프트된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0.09이다.
글루코시드 단위 당 나트륨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1.56이다.
화합물 6: L-페닐알라닌으로 개질된 나트륨 N-메틸카복실레이트 만니톨 카바메이트
8g(131 mmol의 히드록실 관능기)의 만니톨 (Fluka)을 DMF에 80℃에서 가용화한다. 30분 동안 교반 후, DABCO(1,4-디아자비시클로[2.2.2]옥탄, 2.0 g; 18 mmol) 및 9 ml의 톨루엔을 혼합물에 첨가하고, 이것을 교반하면서 120℃로 만들고 헤테로공비적으로(heteroazeotropically) 증류시킨다. 반응 혼합물의 온도를 80℃로 되돌린 후, 34g(263 mmol)의 에틸 이소시아네이토아세테이트를 점차적으로 도입한다. 1.5 h의 반응 후, 매질을 과량의 물로부터 침전시킨다. 고체를 여과제거하고, MeOH/THF 혼합물에서 사포닌화시키고, 여기에 265 ml의 1N NaOH를 주위 온도에서 첨가한다. 용액을 주위 온도에서 밤새 교반한 다음, 회전 증발기에서 농축한다. 수성 잔기를 Purolite(음이온성) 수지 상에서 산성화시켜, 만니톨 N-메틸카복실산을 수득한다. 최종 용액의 화합물 농도를 건조 추출에 의해 측정한 다음, 50/50(V/V) 물/아세톤 혼합물 중의 산/염기 어세이를 실시하여,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를 측정한다.
건조 추출에 따르면: [화합물] = 27.4 mg/g.
산/염기 어세이에 따르면, 만니톨의 분자 당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4.3이다.
만니톨 N-메틸카복실산 용액을 이후 18시간 동안 동결건조한다.
10 g의 만니톨 N-메틸카복실산(70 mmol의 메틸카복실산 관능기)을 DMF (14 g/l)에 가용화한 다음, 0℃로 냉각시킨다. DMF 중의 에틸 페닐알라니네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염(16 g; 70 mmol)의 혼합물을 제조한다(100 g/l). 7.1 g의 트리에틸아민 (70 mmol)을 상기 혼합물에 첨가한다. 일단 혼합물이 0℃에 도달하면, NMM (7.8 g; 77 mmol) 및 EtOCOCl(8.3 g; 77 mmol)의 용액을 첨가한다. 10분 후, 에틸 페닐알라니네이트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0℃에서 교반한다. 이미다졸 수용액 (340 g/l)을 첨가한다. 이후 용액을 30℃로 가열한 다음, 물을 첨가함으로써 희석한다. 수득된 용액을 0.01N NaOH, 0.9% NaCl 및 물에 대항하여 1 kDa PES 멤브레인 상에 초여과함으로써 정제한다. 최종 용액의 화합물 농도는 건조 추출에 의해 결정된다. 용액의 샘플을 동결건조하고, D2O 중의 1H NMR에 의해 분석하여 페닐알라닌으로 관능화된 N-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를 측정한다.
건조 추출에 따르면: [화합물 6] = 7.4 mg/g.
1H NMR에 따르면: 만니톨 분자 당 페닐알라닌으로 관능화된 N-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0.35이다.
만니톨 분자 당 나트륨 N-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3.95이다.
화합물 7: 나트륨 N-페닐알라니네이트 만니톨 헥사카바메이트
에틸 L-페닐알라니네이트 이소시아네이트를 공개문헌 Tsai, J.H. et al. Organic Syntheses 2004, 10, 544-545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에틸 L-페닐알라닌 히드로클로라이드(Bachem) 및 트리포스젠(Sigma)으로부터 수득한다.
0.91 g(5 mmol)의 만니톨(Fluka)을 톨루엔에 용해시킨 다음, 8.2 g(37 mmol)의 에틸 L-페닐알라니네이트 이소시아네이트 및 1 g(12.2 mmol)의 디아자비시클로[2.2.2]옥탄(DABCO)을 첨가한다. 혼합물을 90℃에서 밤새 가열한다. 진공 하에 농축 후, 매질을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한 다음, 1N HCl로 세척한다. 수성상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한 다음, 유기상을 조합하고,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한다. 에틸 N-페닐알라니네이트 만니톨 헥사카바메이트를 속성 크로마토그래피(시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단리한다.
수율: 4.34g(58%).
1H NMR (DMSO-d6, ppm): 0.75-1.25 (6H); 2.75-3.15 (12H); 3.7-4.4 (22H); 4.8-5.2 (4H); 7.1-7.35 (30H); 7.4-7.85 (6H).
MS (ESI): 1497.7 ([M+H]+); ([M+H]+ 계산됨: 1498.7).
22.1ml의 2N NaOH를 테트라히드로푸란(THF)/에탄올/물 혼합물에 용해된 10.7g(7.14 mmol)의 에틸 N-페닐알라니네이트 만니톨 헥사카바메이트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3 h 동안 교반한다. 진공 하에 THF 및 에탄올의 증발 후, 잔류 수성상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농축하고, 2N HCl로 산성화시킨다. 현탁액을 0℃로 냉각시키고 여과한 다음, 수득된 N-페닐알라닌 산 만니톨 헥사카바메이트의 백색 고체를 물로 전체적으로 세척한 다음 진공 하에 건조시킨다.
수율: 9.24g(97%).
1H NMR (DMSO-d6, TFA-d1, ppm): 2.6-3.25 (12H); 3.8-4.3 (10H); 4.75-5.0 (4H); 7.0-7.75 (36H).
MS (ESI): 1329.6 ([M+H]+); ([M+H]+ 계산됨: 1330.4).
N-페닐알라닌 산 만니톨 헥사카바메이트를 물(50 g/l)에 용해시키고 10N 수산화나트륨을 점차적으로 첨가함으로써 중화시켜, 나트륨 N-페닐알라니네이트 만니톨 헥사카바메이트의 수용액을 산출하고, 이후 이것을 동결건조한다.
1H NMR (D2O, ppm): 2.6-3.25 (12H); 3.8-4.3 (10H); 4.75-5.0 (4H); 6.9-7.5 (30H).
LC/MS (CH3CN/H2O/HCO2H (10 mM), ELSD, ESI, 네거티브 방식으로): 1328.4 ([M-1]); ([M-1] 계산됨: 1328.3). 상기 질량 스펙트럼은 도 1에 제시된다.
화합물 8: L-페닐알라닌으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
화합물 1의 제조에 사용된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페닐알라닌으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가 수득된다.
건조 추출에 따르면: [화합물 8] = 10.9 mg/g.
1H NMR에 따르면: 글루코시드 단위 당 페닐알라닌으로 관능화된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0.40이다.
글루코시드 단위 당 나트륨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1.25이다.
화합물 9: L-페닐알라닌으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
0.6g(16 mmol)의 나트륨 보로히드라이드를 물에 용해된 8 g(143 mmol의 히드록실 관능기)의 말토트리오스(CarboSynth)에 65℃에서 첨가한다. 30분 동안 교반 후, 28g(237 mmol)의 나트륨 클로로아세테이트를 첨가한다. 24 ml의 10N NaOH (240 mmol)를 이후 상기 용액에 적가한다. 65℃에서 90분 동안 가열 후,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아세트산을 첨가하여 중화한 다음, 물에 대항하여 1 kDa PES 멤브레인 상에 초여과함으로써 정제한다. 최종 용액의 화합물 농도를 건조 추출에 의해 측정한 다음, 50/50(V/V) 물/아세톤 혼합물 중의 산/염기 어세이를 실시하여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를 측정한다.
건조 추출에 따르면: [화합물] = 14.5 mg/g.
산/염기 어세이에 따르면, 글루코시드 단위 당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1.45이다.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 용액을 Purolite(음이온성) 수지 상에서 산성화시켜,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산을 수득하고 이것을 이후 18시간 동안 동결건조한다.
화합물 1의 제조에 사용된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페닐알라닌으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가 수득된다.
건조 추출에 따르면: [화합물 9] = 10.8 mg/g.
1H NMR에 따르면: 글루코시드 단위 당 페닐알라닌으로 관능화된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0.65이다.
글루코시드 단위 당 나트륨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0.8이다.
화합물 10: L-페닐알라닌으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
화합물 1의 제조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1.76의 나트륨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에 의해 특징화되는 8 g의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를 합성하고 동결건조한다.
8g(58 mmol의 히드록실 관능기)의 동결건조물 및 15g(129 mmol)의 나트륨 클로로아세테이트를 물에 65℃에서 용해한다. 13 ml의 10N NaOH (130 mmol)를 상기 용액에 적가한 다음, 혼합물을 65℃에서 90분 동안 가열한다. 9g(78 mmol)의 나트륨 클로로아세테이트를 이후 반응 매질에, 8 ml의 10N NaOH (80 mmol)와 같이 적가하여 첨가한다. 1시간 동안 가열 후,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아세트산으로 중화한 다음, 물에 대항하여 1 kDa PES 멤브레인 상에 초여과함으로써 정제한다. 최종 용액의 화합물 농도를 건조 추출에 의해 측정한 다음, 50/50(V/V) 물/아세톤 혼합물 중의 산/염기 어세이를 실시하여 나트륨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를 측정한다.
건조 추출에 따르면: [화합물] = 11.7 mg/g.
산/염기 어세이에 따르면, 나트륨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3.30이다.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 용액을 Purolite(음이온성) 수지 상에서 산성화시켜,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산을 수득하고 이것을 이후 18시간 동안 동결건조한다.
화합물 1의 제조에 사용된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페닐알라닌으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가 수득된다.
건조 추출에 따르면: [화합물 10] = 14.9 mg/g.
1H NMR에 따르면: 글루코시드 단위 당 페닐알라닌으로 관능화된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0.65이다.
글루코시드 단위 당 나트륨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2.65이다.
화합물 11: L-페닐알라닌으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펜타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
화합물 1의 제조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그러나 말토펜타오스(CarboSynth)와 함께 실시하여, 글루코시드 단위 당 1.75의 메틸카복실산으로의 치환도를 가진 10 g의 말토펜타오스메틸카복실산을 수득한 다음 동결건조한다.
화합물 1의 제조에 사용된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페닐알라닌으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펜타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가 수득된다.
건조 추출에 따르면: [화합물 11] = 7.1 mg/g.
1H NMR에 따르면: 글루코시드 단위 당 페닐알라닌으로 관능화된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0.75이다.
글루코시드 단위 당 나트륨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1.0이다.
화합물 12: L-페닐알라닌으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옥타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
화합물 1의 제조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그러나 말토옥타오스(CarboSynth)와 함께 실시하여, 글루코시드 단위 당 1.65의 메틸카복실산으로의 치환도를 가진 10 g의 말토옥타오스메틸카복실산을 수득한 다음 동결건조한다.
화합물 1의 제조에 사용된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페닐알라닌으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옥타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가 수득된다.
건조 추출에 따르면: [화합물 12] = 26.3 mg/g.
1H NMR에 따르면: 글루코시드 단위 당 페닐알라닌으로 관능화된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0.65이다.
글루코시드 단위 당 나트륨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1.0이다.
화합물 13: 콜레스테릴 류시네이트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
화합물 5의 제조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1.84의 나트륨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를 특징으로 하는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는 콜레스테릴 류시네이트로 관능화된다.
건조 추출에 따르면: [화합물 13] = 10.1 mg/g.
1H NMR에 따르면: 콜레스테릴 류시네이트로 관능화된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0.08이다.
글루코시드 단위 당 나트륨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1.76이다.
화합물 14: 콜레스테릴 류시네이트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
화합물 5의 제조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1.62의 나트륨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를 특징으로 하는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는 콜레스테릴 류시네이트로 관능화된다.
건조 추출에 따르면: [화합물 14] = 29.4 mg/g.
1H NMR에 따르면: 콜레스테릴 류시네이트로 관능화된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0.29이다.
글루코시드 단위 당 나트륨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1.33이다.
화합물 15: 콜레스테릴 류시네이트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
화합물 10의 제조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글루코시드 단위 당 3.30의 메틸카복실산으로의 치환도를 가진 10 g의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산을 수득한 다음 동결건조한다.
화합물 5의 제조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3.30의 나트륨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를 특징으로 하는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는 콜레스테릴 류시네이트로 관능화된다.
건조 추출에 따르면: [화합물 15] = 13.1 mg/g.
1H NMR에 따르면: 콜레스테릴 류시네이트로 관능화된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0.29이다.
글루코시드 단위 당 나트륨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3.01이다.
화합물 16: 콜레스테릴 류시네이트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펜타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
화합물 11의 제조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1.75의 메틸카복실산으로의 치환도를 특징으로 하는 10 g의 말토펜타오스메틸카복실산을 합성한 다음 동결건조한다.
화합물 5의 제조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콜레스테릴 류시네이트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펜타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가 수득된다.
건조 추출에 따르면: [화합물 16] = 10.9 mg/g.
1H NMR에 따르면: 콜레스테릴 류시네이트로 관능화된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0.14이다.
글루코시드 단위 당 나트륨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1.61이다.
화합물 17: 콜레스테릴 류시네이트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옥타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
화합물 12의 제조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1.2의 메틸카복실산으로의 치환도를 특징으로 하는 10 g의 말토옥타오스메틸카복실산을 합성한 다음 동결건조한다.
화합물 5의 제조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콜레스테릴 류시네이트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옥타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가 수득된다.
건조 추출에 따르면: [화합물 17] = 14.7 mg/g.
1H NMR에 따르면: 콜레스테릴 류시네이트로 관능화된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0.09이다.
글루코시드 단위 당 나트륨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1.11이다.
화합물 18: β-벤질 아스파르테이트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
화합물 1의 제조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글루코시드 단위 당 1.68의 메틸카복실산으로의 치환도를 가진 10 g의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산을 수득한 다음 동결건조한다.
6 g의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산(38 mmol의 메틸카복실산 관능기)을 DMF에 가용화시킨 다음, 0℃로 냉각하였다. β-벤질 아스파르테이트(Bachem, 3.5 g; 16 mmol) 및 트리에틸아민(16 mmol)의 혼합물을 물에서 제조한다. NMM(3.2 g; 32 mmol) 및 EtOCOCl(3.4 g, 32 mmol)의 용액을 이후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산 용액에 0℃에서 첨가한다. 이후 벤질 아스파르테이트 및 트리에틸아민의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30℃에서 교반한다. 이미다졸 수용액(340 g/l)을 90분 후 첨가한다. 매질을 물로 희석한 다음, 수득된 용액을 150 mM NaHCO3/Na2CO3 완충액, pH 10.4, 0.9% NaCl 및 물에 대항하여 1 kDa PES 멤브레인 상에 초여과함으로써 정제한다. 최종 용액의 화합물 농도는 건조 추출에 의해 결정된다. 용액의 샘플을 동결건조하고, D2O 중의 1H NMR에 의해 분석하여, β-벤질 아스파르테이트로 관능화된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를 측정한다.
건조 추출에 따르면: [화합물 18] = 15.0 mg/g.
1H NMR에 따르면: 글루코시드 단위 당 β-벤질 아스파르테이트로 관능화된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0.53이다.
글루코시드 단위 당 나트륨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1.15이다.
화합물 19: 디라우릴 아스파르테이트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
디라우릴 아스파르테이트, 파라-톨루엔설폰산 염을 특허 US 4,826,818 (Kenji M., et al.)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도데칸올 및 아스파르트산으로부터 제조한다.
화합물 10의 제조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글루코시드 단위 당 2.73의 메틸카복실산으로의 치환도를 가진 10 g의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산을 수득한 다음 동결건조한다.
화합물 5의 제조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2.73의 나트륨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를 특징으로 하는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를 DMF 중의 디라우릴 아스파르테이트로 관능화한다. 매질을 물로 희석한 다음, 수득된 용액을 150 mM NaHCO3/Na2CO3 완충액, pH 10.4, 0.9% NaCl 및 물에 대항하여 3.5 kDa 셀룰로오스 멤브레인 상에 투석함으로써 정제한다. 최종 용액의 화합물 농도를 건조 추출에 의해 측정한다. 용액의 샘플을 동결건조하고, D2O 중의 1H NMR에 의해 분석하여, 디라우릴 아스파르테이트로 관능화된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를 측정한다.
건조 추출에 따르면: [화합물 19] = 3.4 mg/g.
1H NMR에 따르면: 디라우릴 아스파르테이트로 관능화된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0.36이다.
글루코시드 단위 당 나트륨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2.37이다.
화합물 20: 2-[(2-도데카노일아미노-6-도데카노일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에탄아민으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
N,N-비스(도데카노일)리신의 메틸 에스테르는 공개문헌 Pal, A et al., Tetrahedron 2007, 63, 7334-7348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L-리신의 메틸 에스테르, 염산 염(Bachem) 및 도데칸산(Sigma)으로부터 수득된다. 2-[(2-도데카노일아미노-6-도데카노일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에탄아민은 특허 US 2,387,201 (Weiner et al.)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N,N-비스(도데카노일)리신의 메틸 에스테르 및 에틸렌디아민 (Roth)으로부터 수득된다.
화합물 10의 제조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글루코시드 단위 당 2.73의 메틸카복실산으로의 치환도를 가진 10 g의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산을 수득한 다음 동결건조한다.
화합물 19의 제조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2.73의 나트륨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를 특징으로 하는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는, 2-[(2-도데카노일아미노-6-도데카노일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에탄아민으로 관능화된다.
건조 추출에 따르면: [화합물 20] = 2.4 mg/g.
1H NMR에 따르면: 2-[(2-도데카노일아미노-6-도데카노일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에탄아민으로 관능화된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0.21이다.
글루코시드 단위 당 나트륨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2.52이다.
화합물 21: N-(2-아미노에틸)도데칸아미드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
N-(2-아미노에틸)도데칸아미드는 특허 US 2,387,201(Weiner et al.)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도데칸산의 메틸 에스테르(Sigma) 및 에틸렌디아민(Roth)으로부터 수득된다.
화합물의 제조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글루코시드 단위 당 1.64의 메틸카복실산으로의 치환도를 가진 10 g의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산을 수득한 다음 동결건조한다.
화합물 19의 제조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1.64의 나트륨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를 특징으로 하는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는, N-(2-아미노에틸)도데칸아미드로 관능화된다.
건조 추출에 따르면: [화합물 21] = 2.4 mg/g.
1H NMR에 따르면: N-(2-아미노에틸)도데칸아미드로 관능화된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0.27이다.
글루코시드 단위 당 나트륨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1.37이다.
화합물 22: 디라우릴 아스파르테이트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트리오석시네이트
25g(즉, 0.543 mol의 히드록실 관능기)의 말토트리오스를 62 ml의 DMSO에 60℃에서 가용화한 다음, 온도를 40℃에서 프로그래밍한다. 62 ml의 DMF 중의 용액으로의 59.3g(0.592 mmol)의 석신산 무수물 및 62 ml의 DMF에 희석된 59.9g(0.592 mmol)의 NMM을 상기 용액에 첨가한다. 3 h의 반응 후, 반응 매질을 물(67 ml)에 희석하고, 올리고사카라이드를 초여과에 의해 정제한다. 글루코시드 단위 당 형성된 석신 에스테르의 몰 분획은 D2O/NaOD 중의 1H NMR에 따라 2.77이다.
나트륨 말토트리오숙시네이트 용액을 Purolite(음이온성) 수지 상에서 산성화시켜, 말토트리오숙신산을 수득하고 이것을 이후 18시간 동안 동결건조한다.
화합물 19의 제조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2.77의 나트륨 석시네이트로의 치환도를 특징으로 하는 나트륨 나트륨 말토트리오석시네이트는 디라우릴 아스파르테이트로 관능화된다.
건조 추출에 따르면: [화합물 22] = 12.9 mg/g.
1H NMR에 따르면: 디라우릴 아스파르테이트로 관능화된 석시네이트로의 치환도는 0.41이다.
글루코시드 단위 당 나트륨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2.36이다.
화합물 23: 데카노일 글리시네이트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
데카노일 글리시네이트, 파라-톨루엔설폰산 염은 특허 US 4,826,818(Kenji M., et al.)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데칸올 및 글리신으로부터 제조된다.
화합물 21의 제조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1.64의 나트륨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를 특징으로 하는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는, 데카노일 글리시네이트로 관능화된다.
건조 추출에 따르면: [화합물 23] = 2.4 mg/g.
1H NMR에 따르면: 데카노일 글리시네이트로 관능화된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0.21이다.
글루코시드 단위 당 나트륨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1.43이다.
화합물 24: L-류신으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
화합물 18의 제조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그러나 L-류신(Roth)을 포함시켜, 1.64의 나트륨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를 특징으로 하는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를 L-류신으로 관능화시킨다.
건조 추출에 따르면: [화합물 24] = 2.3 mg/g.
1H NMR에 따르면: L-류신으로 관능화된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0.58이다.
글루코시드 단위 당 나트륨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1.06이다.
화합물 25: 콜레스테릴 2-아미노에틸카바메이트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
콜레스테릴 2-아미노에틸카바메이트, 염산 염은 특허 WO 2010/053140 (Akiyoshi, K et al.)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다.
화합물 19의 제조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2.73의 나트륨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를 특징으로 하는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는, 콜레스테릴 2-아미노에틸카바메이트로 관능화된다.
건조 추출에 따르면: [화합물 25] = 2.9 mg/g.
1H NMR에 따르면: 콜레스테릴 2-아미노에틸카바메이트로 관능화된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0.28이다.
글루코시드 단위 당 나트륨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2.45이다.
화합물 26: 알파-페닐글리신으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
화합물 18의 제조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그러나 알파-페닐글리신(Bachem)을 포함시켜, 1.64의 나트륨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를 특징으로 하는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를 알파-페닐글리신으로 관능화시킨다.
건조 추출에 따르면: [화합물 26] = 9.1 mg/g.
1H NMR에 따르면: 알파-페닐글리신으로 관능화된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0.52이다.
글루코시드 단위 당 나트륨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1.12이다.
화합물 27: 2-[(2-옥타노일아미노-6-옥타노일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에탄아민으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
N,N-비스(옥타노일)리신의 메틸 에스테르는 공개문헌 Pal, A et al., Tetrahedron 2007, 63, 7334-7348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L-리신의 메틸 에스테르, 염산 염(Bachem) 및 옥탄산(Sigma)으로부터 수득된다. 2-[(2-옥타노일아미노-6-옥타노일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에탄아민은 특허 US 2 387 201(Weiner et al.)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N,N-비스(옥타노일)리신의 메틸 에스테르 및 에틸렌디아민 (Roth)으로부터 수득된다.
화합물 21의 제조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1.64의 나트륨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를 특징으로 하는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는 2-[(2-옥타노일아미노-6-옥타노일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에탄아민으로 관능화된다.
건조 추출에 따르면: [화합물 27] = 3.8 mg/g.
1H NMR에 따르면: 2-[(2-옥타노일아미노-6-옥타노일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에탄아민으로 관능화된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0.28이다.
글루코시드 단위 당 나트륨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1.36이다.
화합물 28: L-티로신으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
화합물 1의 제조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그러나 메틸 티로시네이트를 포함시켜, 1.64의 나트륨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를 특징으로 하는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를 티로신으로 관능화시킨다.
건조 추출에 따르면: [화합물 28] = 9.1 mg/g.
1H NMR에 따르면: L-티로신으로 관능화된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0.81이다.
글루코시드 단위 당 나트륨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0.83이다.
화합물 29: 2-아미노에틸 도데카노에이트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
2-아미노에틸 도데카노에이트, 파라-톨루엔설폰산 염은 특허 US 4,826,818 (Kenji M et al.)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도데칸산(Sigma) 및 에탄올아민(Sigma)으로부터 수득된다.
화합물 21의 제조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1.64의 나트륨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를 특징으로 하는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를 2-아미노에틸 도데카노에이트로 관능화시킨다.
건조 추출에 따르면: [화합물 29] = 1.8 mg/g.
1H NMR에 따르면: 2-아미노에틸 도데카노에이트로 관능화된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0.27이다.
글루코시드 단위 당 나트륨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1.37이다.
화합물 30: 3,7-디메틸옥타노일 페닐알라니네이트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
3,7-디메틸옥타노일 페닐알라니네이트, 파라-톨루엔설폰산 염은 3,7-디메틸옥탄-1-올 및 L-페닐알라닌으로부터 특허 US 4,826,818(Kenji et al.)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다.
화합물 21의 제조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1.64의 나트륨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를 특징으로 하는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를 3,7-디메틸옥타노일 페닐알라니네이트로 관능화시킨다.
건조 추출에 따르면: [화합물 30] = 3.3 mg/g.
1H NMR에 따르면: 3,7-디메틸옥타노일 페닐알라니네이트로 관능화된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0.39이다.
글루코시드 단위 당 나트륨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1.25이다.
화합물 31: 메틸 페닐알라니네이트로 관능화된 나트륨 히알루로네이트 테트라사카라이드
4-량체 나트륨 히알루로네이트의 용액(Contipro Biotech) 30 g/l을 Purolite(음이온성) 수지 상에서 산성화하여 히알루론산 수용액을 수득하고 이의 pH를 수산화 테트라부틸암모늄(Sigma)의 수용액(40%)을 첨가함으로써 7.1로 맞춘다. 이후 용액을 18시간 동안 동결건조한다.
30 mg의 테트라부틸암모늄 히알루로네이트(48 μmol의 테트라부틸암모늄 카복실레이트 관능기)를 DMF에 가용화한다. 5 mg의 메틸 페닐알라니네이트(24 μmol), 6 mg의 트리에틸아민(60 μmol) 및 9 mg의 2-클로로-1-메틸피리디늄 요오다이드(Sigma, 36 μmol)를 0℃에서 첨가하고, 매질을 이후 2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다. 용액을 증발시키고, 잔기를 D2O 중의 1H NMR에 의해 분석하여 메틸 페닐알라니네이트로 관능화된 산 관능도(degree of acid function)를 측정한다.
1H NMR에 따르면: 사카라이드 단위 당 메틸 페닐알라니네이트로 관능화된 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0.22이다.
사카라이드 단위 당 나트륨 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0.28이다.
화합물 32: 2-[(2-데카노일아미노-6-데카노일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에탄아민으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
N,N-비스(데카노일)리신의 메틸 에스테르는 공개문헌 Pal, A et al., Tetrahedron 2007, 63, 7334-7348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L-리신의 메틸 에스테르, 염산 염(Bachem) 및 데칸산(Sigma)으로부터 수득된다. 2-[(2-데카노일아미노-6-데카노일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에탄아민은 특허 US 2,387,201(Weiner et al.)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N,N-비스(데카노일)리신의 메틸 에스테르 및 에틸렌디아민 (Roth)으로부터 수득된다.
화합물 21의 제조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1.64의 나트륨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를 특징으로 하는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는, 2-[(2-데카노일아미노-6-데카노일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에탄아민으로 관능화된다.
건조 추출에 따르면: [화합물 32] = 3.9 mg/g.
1H NMR에 따르면: 2-[(2-데카노일아미노-6-데카노일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에탄아민으로 관능화된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0.21이다.
글루코시드 단위 당 나트륨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1.43이다.
화합물 33: ε-N-도데카노일-L-리신으로 관능화된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
ε-N-도데카노일-L-리신의 에틸 에스테르, 염산 염은 도데칸산(Sigma) 및 L-리신의 에틸 에스테르, 염산 염(Bachem)으로부터, 특허 US 4,126,628(Paquet AM)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다.
화합물 1의 제조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1.64의 나트륨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를 특징으로 하는 나트륨 말토트리오스메틸카복실레이트는, ε-N-도데카노일-L-리신으로 관능화된다.
건조 추출에 따르면: [화합물 33] = 4.2 mg/g.
1H NMR에 따르면: ε-N-도데카노일-L-리신으로 관능화된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0.37이다.
글루코시드 단위 당 나트륨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1.27이다.
화합물 34: 나트륨 N-페닐알라니네이트 만니톨 2,3,4,5-테트라카바메이트
1,6-디트리이소프로필실릴 만니톨은 공개문헌 Bhaskar, V et al., Journal of Carbohydrate Chemistry 2003, 22(9), 867-879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수득된다.
화합물 7의 제조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1,6-디트리이소프로필실릴-2,3,4,5-테트라(나트륨 N-페닐알라니네이트 카바메이트)]만니톨이 수득된다.
공개문헌 PJ Edwards et al., Synthesis 1995, 9, 898-900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트리이소프로필실릴기가 탈보호되어 N-페닐알라닌 산 만니톨 2,3,4,5-테트라카바메이트가 산출된다.
화합물 7의 제조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나트륨 N-페닐알라니네이트 만니톨 2,3,4,5-테트라카바메이트가 이후 수득된다.
1H NMR (D2O, ppm): 2.6-3.25 (8H); 3.6-4.3 (8H); 4.75-5.0 (4H); 6.9-7.5 (24H).
반대예 A1: L-페닐알라닌으로 관능화된 나트륨 덱스트란메틸카복실레이트
L-페닐알라닌으로 관능화된 나트륨 덱스트란메틸카복실레이트를 출원 WO 2012/153070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법에 따라 1 kg/mol의 중량-평균 몰 질량(Pharmacosmos, 3.9의 평균 중합도)을 갖는 덱스트란으로부터 합성한다.
글루코시드 단위 당 나트륨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1.0이다.
글루코시드 단위 당 L-페닐알라닌으로 관능화된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0.65이다.
반대예 A2: L-페닐알라닌으로 관능화된 나트륨 덱스트란메틸카복실레이트
L-페닐알라닌으로 관능화된 나트륨 덱스트란메틸카복실레이트를 출원 WO 2010/122385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법에 따라 5 kg/mol의 중량-평균 몰 질량(Pharmacosmos, 19의 평균 중합도)을 갖는 덱스트란으로부터 합성한다.
글루코시드 단위 당 나트륨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0.98이다.
글루코시드 단위 당 L-페닐알라닌으로 관능화된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0.66이다.
반대예 B1: 콜레스테릴 류시네이트로 관능화된 나트륨 덱스트란메틸카복실레이트
콜레스테릴 류시네이트로 관능화된 나트륨 덱스트란메틸카복실레이트를 출원 WO 2012/153070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법에 따라 1 kg/mol의 중량-평균 몰 질량(Pharmacosmos, 3.9의 평균 중합도)을 갖는 덱스트란으로부터 합성한다.
글루코시드 단위 당 나트륨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1.64이다.
글루코시드 단위 당 콜레스테릴 류시네이트로 관능화된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0.05이다.
반대예 B2: 콜레스테릴 류시네이트로 관능화된 나트륨 덱스트란메틸카복실레이트
콜레스테릴 류시네이트로 관능화된 나트륨 덱스트란메틸카복실레이트를 출원 WO 2010/041119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법에 따라 5 kg/mol의 중량-평균 몰 질량(Pharmacosmos, 19의 평균 중합도)을 갖는 덱스트란으로부터 합성한다.
글루코시드 단위 당 나트륨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1.60이다.
글루코시드 단위 당 콜레스테릴 류시네이트로 관능화된 메틸카복실레이트로의 치환도는 0.04이다.
B. 탁도 측정 어세이
"모델" 단백질, 라이소자임 및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또는 반대예 화합물 중 하나가 함께 있는 용액의 탁도를 0, 0.1 및 0.5의 화합물/라이소자임 몰비에서 분석한다.
하기 용액을 미리 제조한다: 히스티딘 완충 용액, pH 6.2 ± 0.1, 194 mM (30 mg/ml), 염화나트륨 (NaCl) 용액, 5017 mM (293 mg/ml), 라이소자임의 용액 (Sigma-Aldrich, Ref L6876, CAS # 12650-88-3), 15 mg/ml (0.35 mM), 및 각각의 시험 생성물의 용액 (pH 6.2 ± 0.1), 즉, 발명예 및 반대예에 따른 화합물.
제조되는 화합물의 용액 각각에 대해, 3 ml의 화합물의 수용액을 50 ± 25 μl의 0.1N 염산(HCl) 용액을 사용하여 pH 6.2 ± 0.1로 조정한다.
시험된 화합물의 용액은 하기 표 3에 상세화된다.
시험된 생성물 | 화합물의 최종 농도 (mM) |
최종 용액의 pH |
화합물 1 | 6.8 | 6.3 |
반대예 A1 | 27.2 | 6.2 |
반대예 A2 | 5.4 | 6.3 |
화합물 13 | 9.6 | 6.3 |
반대예 B1 | 10.7 | 6.2 |
반대예 B2 | 5.3 | 6.3 |
화합물/라이소자임 몰 비: 0, 0.1 및 0.5에서의 시험 용액을 이후 하기와 같이 제조한다.
염화나트륨(NaCl) 용액(5017 mM), 히스티딘 완충 용액(194 mM) 및 이후 화합물의 용액을 연속으로 물에 첨가하면, 이것은 혼합물을 산출하고, 이것을 롤러 믹서(roller mixer)(Stuart Roller Mixer SRT9D)로 1분 동안 균질화한다.
라이소자임 용액을 최종적으로 첨가한 다음, 최종 혼합물을 롤러 믹서 상에서 1분 동안 균질화한다.
각각의 최종 시험 용액에 대한 탁도(NTU로 표현됨)를 HACH 2100AN 탁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화합물 1/라이소자임 용액의 탁도를 반대예 A1/라이소자임 및 반대예 A2/라이소자임 용액의 탁도와 비교하여 분석한다. 화합물 13/라이소자임 용액의 탁도를 반대예 B1/라이소자임 및 반대예 B2/라이소자임 용액의 탁도와 비교하여 분석한다. 결과를 하기 표 4에 제시한다.
몰 비 0에서의 용액의 탁도 (NTU) |
몰 비 0.1에서의 용액의 탁도 (NTU) |
몰 비 0.5에서의 용액의 탁도 (NTU) |
|
화합물 1 - 라이소자임 용액 | l 0 |
55 |
4.8 |
반대예 A1 - 라이소자임 용액 | 0 |
161 |
2480 |
반대예 A2 - 라이소자임 용액 | 0 |
1293 |
9386 |
화합물 13 - 라이소자임 용액 | 0 |
32 |
395 |
반대예 B1 - 라이소자임 용액 | 0 |
90 |
768 |
반대예 B2 - 라이소자임 용액 | 0 |
1824 |
포화 |
화합물 1/라이소자임 용액의 탁도는 반대예 화합물 A1/라이소자임과 반대예 화합물 A2/라이소자임 용액의 탁도보다, 어떠한 비율에서도 낮다.
화합물 13/라이소자임 용액의 탁도는 반대예 화합물 B1/라이소자임과 반대예 화합물 B2/라이소자임 용액의 탁도보다, 어떠한 비율에서도 낮다.
C. 알부민과의 상호작용
라이소자임을 이용하여 탁하지 않은 용액을 수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지 않는 선행 기술의 화합물은 단백질, 특히 알부민과 같은 "모델" 단백질과 상호 작용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라이소자임을 이용하는 시험(즉, 이전에 기재된 탁도 측정 어세이)에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로 수득된 결과에 이어,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이 상호작용할 수 있는 "모델" 단백질이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알부민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시험을 실시하였다.
수행된 시험은 알부민의 형광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상호작용이 시험된 화합물과 알부민 사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알부민을 이용하는 "형광" 시험이다.
화합물/알부민 용액은 1, 5 및 10의 0.5 ㎎/㎖ 및 화합물/혈청 알부민(BSA) 중량비로 고정된 BSA 농도를 수득하기 위해 적절한 부피를 혼합함으로써 화합물 및 혈청 알부민(BSA)의 스톡 용액으로부터 제조된다. 상기 용액은 PBS 완충액(pH 7.4)에서 제조된다.
200 μl의 다양한 화합물/BSA 용액을 96-웰 플레이트 내에 도입한다. 형광 측정은 실온(20℃)에서 EnVision® 형광 분광계(PerkinElmer)를 이용하여 실시한다. 여기 파장은 280 nm이고 방출 파장은 350 nm이다. 이것은 알부민의 트립토판 잔기의 형광에 상응한다(Ruiz-P. et al., M, A. Physico-chemical studies of molecular interactions between non-ionic surfactants and bovine serum albumin, Colloids Surf. B Biointerfaces 2009). F (화합물/BSA)/F0 (BSA 단독) 비는 화합물과 알부민 사이의 상호작용을 평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비가 1 미만인 경우, 이것은 화합물이 트립토판 잔기의 환경내 변화와 연결된 알부민 형광의 부분적인 켄칭(quenching)을 유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변화는 화합물과 알부민 사이의 상호 작용을 반영한다. 그것은 모든 시험된 화합물의 경우, 화합물 단독의 형광이 알부민의 형광을 고려할때 무시할만한 것으로(형광 (화합물) < 2% 형광 (알부민)), 대조군으로서 확인되었다. 결과를 표 5에 제시한다.
화합물 | 화합물/BSA 중량비 | 결과 F/F0 < 0.5 |
결과 F/F0 < 0.85 |
19 | 1 | 예 | - |
20 | 1 | 예 | - |
21 | 1 | 예 | - |
22 | 1 | 예 | - |
23 | 1 | 예 | - |
27 | 1 | 예 | - |
29 | 1 | 예 | - |
30 | 1 | 예 | - |
2 |
1 | 아니오 | 아니오 |
5 | 아니오 | 예 | |
10 | 아니오 | 예 |
결과는 모든 화합물이 알부민과 상호작용하는 것을 보여준다.
화합물 19 내지 30과 관련하여, 이들은 1의 화합물/BSA 중량비에서 F/F0 < 0.5 인 식으로 형광 비의 감소를 야기한다.
화합물 2와 관련하여, 이것은 5 및 10의 화합물/BSA 중량비에서 F/F0 < 0.85인 식으로 형광 비를 감소시킨다.
Claims (23)
- 동일 또는 상이한 글리코시드 결합을 통해 연결된, 1 내지 8의 개별 갯수(discrete number) u (1 ≤ u ≤ 8)의 동일 또는 상이한 사카라이드 단위로 구성된 백본으로 이루어지는, 단리된 형태 또는 혼합물로서의,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로서,
상기 사카라이드 단위는 고리형 형태 또는 개방 환원된 형태의 펜토스, 헥소스, 우론산, N-아세틸헥소사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화합물은 하기로 치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a) 하기 일반 식 I의 하나 이상의 치환기:
-[R1]a-[[Q]-[R2]n]m 식 I
● 2개 이상의 치환기가 있는 경우, 치환기는 동일 또는 상이함, 상기 식에서:
● n이 0인 경우, 라디칼 -[Q]-는 임의로 분지화된 또는 치환된, 임의로 불포화된 및/또는 임의로 하나 이상의 고리를 포함하는 및/또는 O, N 및 S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 및 아민 및 알코올 관능기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관능기 L을 포함하는 C3 내지 C15 탄소계 사슬로부터 유도됨, 이때 상기 라디칼 -[Q]-는 화합물이 관능기 T를 통해 결합되거나 또는 관능기 G를 통해 백본에 직접 결합되는 링커 암 R1에 의해 화합물의 백본에 부착됨,
● n이 1 또는 2인 경우, 라디칼 -[Q]-는 임의로 분지화된 또는 치환된, 임의로 불포화된 및/또는 임의로 하나 이상의 고리(들)을 포함하는 및/또는 O, N 및 S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 및 아민 및 알코올 관능기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관능기 L을 포함하고 n개의 라디칼 R2를 갖는 C2 내지 C15 탄소계 사슬로부터 유도됨, 이때 상기 라디칼 -[Q]-는 화합물이 관능기 T를 통해 결합되거나 또는 관능기 G를 통해 백본에 직접 결합되는 링커 암 R1에 의해 화합물의 백본에 부착됨,
● 라디칼 -R1-은 결합이거나 또는 C2 내지 C15 탄소계 사슬이고:
- 결합일 때, a = 0이고, 라디칼 -[Q]-는 관능기 G를 통해 백본에 직접 결합됨;
- C2 내지 C15 탄소계 사슬일 때, a = 1이고, 임의로 치환되거나 및/또는 O, N 및 S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 및 라디칼 -[Q]-와의 반응 전에 하나 이상의 산 관능기를 포함함, 이때 상기 사슬은 라디칼 -R1-의 산 관능기와 라디칼 -[Q]-의 알코올 또는 아민 관능기의 반응으로부터 생성되는 관능기 T를 통해 라디칼 -[Q]-에 결합됨, 그리고 상기 라디칼 R1은 백본에 의해 발생되는 히드록실 관능기 또는 카복실산 관능기와 라디칼 -R1-의 전구체 사이의 반응으로부터 생성되는 관능기 F에 의해 백본에 부착됨,
● 라디칼 -R2는 임의로 분지화된 또는 치환된, 임의로 불포화된 및/또는 임의로 하나 이상의 고리 및/또는 O, N 및 S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1 내지 C30 탄소계 사슬이고; 이것은 라디칼 -[Q]-와 함께, 라디칼 -R2 및 라디칼 -[Q]-의 전구체에 의해 발생되는 알코올, 아민 또는 산 관능기 사이의 반응으로부터 생성되는 관능기 Z을 형성하고,
● F는 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 또는 카바메이트 관능기로부터 선택되는 관능기이고,
● T는 아미드 또는 에스테르 관능기로부터 선택되는 관능기이고,
● Z는 에스테르, 카바메이트, 아미드 또는 에테르 관능기로부터 선택되는 관능기이고,
● G는 에스테르, 아미드 또는 카바메이트 관능기로부터 선택되는 관능기이고,
● n은 0, 1 또는 2이고,
● m은 1 또는 2이고,
● 사카라이드 단위의 치환도 j는, -[R1]a-[[Q]-[R2]n]m이 0.01 내지 6인 것과 함께, 0.01 ≤ j ≤ 6임; 및
b) 임의로, 하나 이상의 치환기 -R'1,
● 상기 치환기 -R'1은 임의로 치환된 및/또는 O, N 및 S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 및 알칼리 금속 양이온 염 형태의 하나 이상의 산 관능기를 포함하는 C2 내지 C15 탄소계 사슬임, 이때 상기 사슬은 백본에 의해 발생되는 히드록실 관능기 또는 카복실산 관능기와 치환기 -R'1-의 전구체 사이의 반응으로부터 생성되는 관능기 F'를 통해 백본에 결합됨,
● 사카라이드 단위의 치환도 i는, -R'1이 0 내지 6-j인 것과 함께, 0 ≤ i ≤ 6-j이고,
● n ≠ 0이고 백본이 치환 전에 음이온성 전하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 i ≠ 0이고,
● -R'1은 -R1-과 동일 또는 상이하고,
● -R'1-에 의해 발생되는 유리 염형성가능(salifiable) 산 관능기는 알칼리 금속 양이온 염의 형태이고,
● F'는 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 또는 카바메이트 관능기로부터 선택되는 관능기이고,
● F, F', T, Z 및 G는 동일 또는 상이하고,
● i+j ≤ 6임. - 제1항에 있어서,
라디칼 -[Q]-가 알파-아미노산으로부터 유도되는 화합물. - 제1항에 있어서,
라디칼 -[Q]-가 디아민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 제1항에 있어서,
라디칼 -[Q]-가 아미노 알코올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 제1항에 있어서,
라디칼 -[Q]-가 디알코올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 제2항에 있어서,
하기로 치환되는 화합물:
c) 하기 일반 식 II의 하나 이상의 치환기:
-[R1]a-[[AA]-[R2]n]m 식 II
● 2개 이상의 치환기가 있는 경우, 치환기는 동일 또는 상이함, 상기 식에서:
● n이 0인 경우, 라디칼 -[AA]-는 관능기 G'를 통해 백본에 직접 결합되는 C3 내지 C15 탄소계 사슬을 포함하는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내고,
● n이 1 또는 2인 경우, 라디칼 -[AA]-는 화합물이 아미드 관능기를 통해 결합되거나 또는 관능기 G'를 통해 백본에 직접 결합되는 링커 암 R1에 의해 화합물의 백본에 부착된 n개의 라디칼 -R2를 갖는 C2 내지 C15 탄소계 사슬을 포함하는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내고,
● 라디칼 -R1-은 결합이거나 또는 C2 내지 C15 탄소계 사슬이고:
- 결합일 때, a = 0이고, 아미노산 잔기 -[AA]-는 관능기 G'를 통해 백본에 직접 결합됨,
- C2 내지 C15 탄소계 사슬일 때, a = 1이고, 임의로 치환되거나 및/또는 O, N 및 S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 및 아미노산과의 반응 전에 하나 이상의 산 관능기를 포함함, 이때 상기 사슬은 아미노산 잔기 -[AA]-와 함께 아미드 관능기를 형성함, 그리고 상기 사슬은 백본에 의해 발생되는 히드록실 관능기 또는 카복실산 관능기와 라디칼 -R1-의 전구체 사이의 반응으로부터 생성되는 관능기 F에 의해 백본에 부착됨,
● 라디칼 -R2는 임의로 분지화된 또는 치환된, 임의로 불포화된 및/또는 임의로 하나 이상의 고리 및/또는 O, N 및 S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C1 내지 C30 탄소계 사슬이고; 이것은 아미노산 잔기 -[AA]-와 함께, 라디칼 -R2의 전구체에 의해 발생되는 히드록실, 산 또는 아민 관능기와, 라디칼 -[AA]-의 전구체에 의해 발생되는 산 관능기 사이의 반응으로부터 생성되는 관능기 Z'를 형성하고,
● F는 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 또는 카바메이트 관능기로부터 선택되는 관능기이고,
● G'는 에스테르, 아미드 또는 카바메이트 관능기로부터 선택되는 관능기이고,
● Z'는 에스테르, 아미드 또는 카바메이트 관능기로부터 선택되는 관능기이고,
● n은 0, 1 또는 2이고,
● m은 1 또는 2이고,
● 사카라이드 단위의 치환도 j는, -[R1]a-[[AA]-[R2]n]m이 0.01 내지 6인 것과 함께, 0.01 ≤ j ≤ 6임; 및
d) 임의로, 하나 이상의 치환기 -R'1,
● 상기 치환기 -R'1은 임의로 치환된 및/또는 O, N 및 S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 및 알칼리 금속 양이온 염 형태의 하나 이상의 산 관능기를 포함하는 C2 내지 C15 탄소계 사슬임, 이때 상기 사슬은 백본에 의해 발생되는 히드록실 관능기 또는 카복실산 관능기와 치환기 -R'1-의 전구체 사이의 반응으로부터 생성되는 관능기 F'를 통해 백본에 결합됨,
● 사카라이드 단위의 치환도 i는, -R'1이 0 내지 6-j인 것과 함께, 0 ≤ i ≤ 6-j이고,
● n ≠ 0이고 백본이 치환 전에 음이온성 전하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 i ≠ 0이고,
● -R'1은 -R1-과 동일 또는 상이하고,
● 치환기 -R'1에 의해 발생되는 유리 염형성가능 산 관능기는 알칼리 금속 양이온 염의 형태이고,
● F'는 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 또는 카바메이트 관능기이고,
● F, F', G' 및 Z'는 동일 또는 상이하고,
● i+j ≤ 6임.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라디칼 -R1-이 라디칼 [Q] 또는 라디칼 [AA]에 부착되기 전에 -CH2-COOH인 화합물.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라디칼 -R'1이 라디칼 -CH2COOH인 화합물. - 제1항, 제2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미노산이 알파-아미노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 제9항에 있어서,
알파-아미노산이 천연 알파-아미노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 제10항에 있어서,
천연 알파-아미노산이 트립토판, 류신, 알라닌, 이소류신, 글리신, 페닐알라닌, 티로신 및 발린의 L, D 또는 라세믹 형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소수성 아미노산 중에서 선택되는 화합물. - 제11항에 있어서,
천연 알파-아미노산이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리신 및 세린의 L, D 또는 라세믹 형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극성 아미노산 중에서 선택되는 화합물.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라디칼 -R2가 소수성 알코올로부터 유도되는 화합물.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라디칼 -R2가 소수성 산으로부터 유도되는 화합물. -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사카라이드 단위가 고리형 형태인 화합물. -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사카라이드 단위가 개방 환원된 또는 개방 산화된 형태인 화합물. -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사카라이드 단위가 헥소스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백본이 3 내지 5의 개별 갯수의 사카라이드 단위로 구성되는 화합물. -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백본이 개별 갯수 u = 3 사카라이드 단위로 구성되는 화합물. -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백본이 폴리사카라이드의 효소적 분해 후 정제에 의해 수득되는 화합물. -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백본이 폴리사카라이드의 화학적 분해 후 정제에 의해 수득되는 화합물. -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백본이 저-분자량 전구체의 공유 커플링에 의해 화학적으로 수득되는 화합물. -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음이온성 화합물 및 단백질, 당단백질, 펩티드 및 비-펩티드 치료 분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261725775P | 2012-11-13 | 2012-11-13 | |
US61/725,775 | 2012-11-13 | ||
FR1260808A FR2997952B1 (fr) | 2012-11-13 | 2012-11-13 | Composes anioniques substitues constitues d'un squelette forme d'un nombre discret d'unites saccharidiques |
FR12/60808 | 2012-11-13 | ||
US201261726349P | 2012-11-14 | 2012-11-14 | |
FR1260855A FR2997857B1 (fr) | 2012-11-14 | 2012-11-14 | Formulation a action rapide d'insuline comprenant un compose anionique substitue |
FR12/60855 | 2012-11-14 | ||
US61/726,349 | 2012-11-14 | ||
US201361763766P | 2013-02-12 | 2013-02-12 | |
FR1351199A FR3001895B1 (fr) | 2013-02-12 | 2013-02-12 | Solution injectable a ph7 comprenant au moins une insuline basale dont le point isoelectrique est compris en 5,8 et 8,5 et un compose anionique porteur de charges carboxylates et de radicaux hydrophobes |
US61/763,766 | 2013-02-12 | ||
FR1351199 | 2013-02-12 | ||
PCT/FR2013/052733 WO2014076422A1 (fr) | 2012-11-13 | 2013-11-13 | Composes anioniques substitues constitues d'un squelette forme d'un nombre discret d'unites saccharidiques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7015765A Division KR20150084056A (ko) | 2012-11-13 | 2013-11-13 | 개별 갯수의 사카라이드 단위로 이루어지는 백본으로 이루어지는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21381A true KR20200121381A (ko) | 2020-10-23 |
Family
ID=5073064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7015765A KR20150084056A (ko) | 2012-11-13 | 2013-11-13 | 개별 갯수의 사카라이드 단위로 이루어지는 백본으로 이루어지는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 |
KR1020207029334A KR20200121381A (ko) | 2012-11-13 | 2013-11-13 | 개별 갯수의 사카라이드 단위로 이루어지는 백본으로 이루어지는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7015765A KR20150084056A (ko) | 2012-11-13 | 2013-11-13 | 개별 갯수의 사카라이드 단위로 이루어지는 백본으로 이루어지는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 |
Country Status (15)
Country | Link |
---|---|
US (1) | US20140187499A1 (ko) |
EP (1) | EP2920200A1 (ko) |
JP (1) | JP2016505523A (ko) |
KR (2) | KR20150084056A (ko) |
CN (2) | CN111494638A (ko) |
AU (3) | AU2013346623A1 (ko) |
BR (1) | BR112015010797A2 (ko) |
CA (1) | CA2889345A1 (ko) |
EA (1) | EA201590937A1 (ko) |
HK (1) | HK1213907A1 (ko) |
IL (2) | IL238303B (ko) |
MX (1) | MX2015005423A (ko) |
SA (1) | SA515360426B1 (ko) |
SG (3) | SG10201703742SA (ko) |
WO (1) | WO2014076422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08934A (ko) * | 2012-11-13 | 2021-01-25 | 아도시아 |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속효성 인슐린 제형 |
WO2022060206A1 (ko) | 2020-09-21 | 2022-03-24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K2741765T3 (en) | 2011-08-10 | 2016-06-13 | Adocia | Injectable solution of at least one type of basal insulin |
BR112014016889A8 (pt) | 2012-01-09 | 2017-07-04 | Adocia | composição sob a forma de uma solução aquosa injetável, sujo ph está compreendido entre 6,0 e 8,0 e, formulação de dose unitária com ph compreendido entre 7 e 7,8 |
US20150314003A2 (en) | 2012-08-09 | 2015-11-05 | Adocia | Injectable solution at ph 7 comprising at least one basal insulin the isoelectric point of which is between 5.8 and 8.5 and a hydrophobized anionic polymer |
WO2018153506A1 (en) | 2017-02-22 | 2018-08-30 | Adocia | Fast-acting insulin composition comprising a citric acid salt |
BR112020011486A2 (pt) | 2017-12-07 | 2020-11-17 | Adocia | Solução injetável de ph 7 compreendendo pelo menos uma insulina basal comum pi de 5,8 a 8,5 e um copoliaminoácido contendo cargas de carboxilato e radicais hidrofóbicos |
CA3084688A1 (fr) | 2017-12-07 | 2019-06-13 | Adocia | Solution injectable a ph 7 comprenant au moins une insuline basale dont le pi est compris entre 5,8 et 8,5 et un co-polyaminoacide porteur de charges carboxylates et de radicaux hydrophobes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8038111A1 (fr) | 2006-09-26 | 2008-04-03 | Adocia | Dextran fonctionnalise par des amino-acides hydrophobes |
WO2010041119A1 (fr) | 2008-10-06 | 2010-04-15 | Adocia | Polysaccharides comportant des groupes fonctionnels carboxyles substitues par un derive d'alcool hydrophobe |
Family Cites Families (2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387201A (en) | 1942-01-12 | 1945-10-16 | Bonneville Ltd | Mono-acyl ethylene diamines |
US4006059A (en) * | 1974-07-29 | 1977-02-01 | Purdue Research Foundation | Hydrophobic noncovalent binding of proteins to support materials |
US4011137A (en) * | 1974-08-26 | 1977-03-08 | Standard Brands Incorporated | Process for producing dextrose using mixed immobilized enzymes |
US4126628A (en) | 1977-03-28 | 1978-11-21 | Canadian Patents And Development Limited | Acylation of amino acids |
US4438029A (en) * | 1978-01-19 | 1984-03-20 | Research Corporation | Synthetic peptides |
DE3482551D1 (de) | 1983-10-26 | 1990-07-26 | Kanebo Ltd | Proteinhaltiges emulgiermittel, dessen herstellung und dieses enthaltende emulgierte kosmetische zusammensetzung. |
JP2757252B2 (ja) * | 1995-11-27 | 1998-05-25 | 工業技術院長 | 重合性糖エステル及びその製造方法 |
JP3991240B2 (ja) * | 1997-03-10 | 2007-10-17 | 東洋紡績株式会社 | スフィンゴ糖脂質合成用高分子プライマーおよびその用途 |
FR2891149B1 (fr) * | 2005-09-26 | 2007-11-30 | Biodex Sarl | Composition pharmaceutique a action cicatrisante comprenant un derive de dextrane soluble et un facteur de croissance derive des plaquettes. |
FR2919188B1 (fr) * | 2007-07-27 | 2010-02-26 | Proteins & Peptides Man | Complexes entre un polymere amphiphile et une proteine osteogenique appartenant a la famille des bmps |
GB2458473A (en) * | 2008-03-17 | 2009-09-23 | Imuthes Ltd | 3'-O-allyl- and 3'-O-carboxymethyl- 2'-aminosaccharide derivatives, & amides thereof with peptides, as adjuvants |
FR2934999B1 (fr) * | 2008-08-13 | 2011-07-29 | Adocia | Polysaccharides fonctionnalises par des derives du tryptophane |
US8759322B2 (en) | 2008-11-05 | 2014-06-24 |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Tokyo Medical And Dental University | Hyaluronic acid derivativ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thereof |
FR2944448B1 (fr) * | 2008-12-23 | 2012-01-13 | Adocia | Composition pharmaceutique stable comprenant au moins un anticorps monodonal et au moins un polysacharide amphiphile comprenant des substituants derives d'alcools hydrofobes ou d'amines hydrophobes. |
FR2943538B1 (fr) | 2009-03-27 | 2011-05-20 | Adocia | Formulation a action rapide d'insuline recombinante humaine |
US9018190B2 (en) * | 2009-03-27 | 2015-04-28 | Adocia | Functionalized oligosaccharides |
US20120094902A1 (en) * | 2009-03-27 | 2012-04-19 | Adocia | Fast-acting insulin formulation |
JP2010235477A (ja) * | 2009-03-30 | 2010-10-21 | Asahi Kasei Chemicals Corp | 糖エステル化合物 |
FR2958646B1 (fr) * | 2010-04-07 | 2012-05-18 | Adocia | Polysaccharides comportant des groupes fonctionnels carboxyles substitues par un derive d'acide hydrophobe. |
JP2013517762A (ja) * | 2010-01-22 | 2013-05-20 | デュポン ニュートリション バイオサイエンシーズ エーピーエス | アミノ置換糖脂質化合物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
FR2958647B1 (fr) * | 2010-04-08 | 2013-08-23 | Adocia | Polysaccharides comportant des groupes fonctionnels carboxyles substitues par un derive hydrophobe porte par un spacer au moins trivalent. |
JP2011207798A (ja) * | 2010-03-29 | 2011-10-20 | Sumitomo Chemical Co Ltd | 樹脂用の加工安定化剤、該加工安定化剤を含む樹脂組成物、および樹脂の加工安定性を向上させる方法 |
US20120202890A1 (en) * | 2011-02-08 | 2012-08-09 | Nian Wu | Polymer-carbohydrate-lipid conjugates |
WO2012153070A1 (fr) | 2011-05-10 | 2012-11-15 | Adocia | Oligosaccharides fonctionnalisés |
WO2012153071A2 (fr) * | 2011-05-10 | 2012-11-15 | Adocia | Polysaccharides à degré de fonctionnalisation modulable |
EP2773675B1 (fr) * | 2011-11-02 | 2023-03-01 | Adocia | Formulation à action rapide d'insuline comprenant un oligosaccharide |
EP2919804B1 (fr) * | 2012-11-13 | 2018-01-31 | Adocia | Formulation à action rapide d'insuline comprenant un composé anionique substitué |
-
2013
- 2013-11-13 US US14/079,437 patent/US20140187499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3-11-13 CN CN202010210296.5A patent/CN111494638A/zh active Pending
- 2013-11-13 EP EP13801655.5A patent/EP2920200A1/fr not_active Withdrawn
- 2013-11-13 MX MX2015005423A patent/MX2015005423A/es unknown
- 2013-11-13 KR KR1020157015765A patent/KR2015008405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3-11-13 SG SG10201703742SA patent/SG10201703742SA/en unknown
- 2013-11-13 AU AU2013346623A patent/AU2013346623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3-11-13 CN CN201380059136.3A patent/CN104903341B/zh active Active
- 2013-11-13 SG SG10202112306UA patent/SG10202112306UA/en unknown
- 2013-11-13 KR KR1020207029334A patent/KR2020012138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3-11-13 JP JP2015542337A patent/JP2016505523A/ja active Pending
- 2013-11-13 SG SG11201503598QA patent/SG11201503598QA/en unknown
- 2013-11-13 CA CA2889345A patent/CA2889345A1/fr not_active Abandoned
- 2013-11-13 WO PCT/FR2013/052733 patent/WO2014076422A1/fr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3-11-13 EA EA201590937A patent/EA201590937A1/ru unknown
- 2013-11-13 BR BR112015010797-4A patent/BR112015010797A2/pt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5
- 2015-04-15 IL IL238303A patent/IL238303B/en active IP Right Grant
- 2015-05-12 SA SA515360426A patent/SA515360426B1/ar unknown
-
2016
- 2016-02-17 HK HK16101679.8A patent/HK1213907A1/zh unknown
-
2018
- 2018-06-29 AU AU2018204764A patent/AU2018204764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8-09-12 IL IL261726A patent/IL261726A/en unknown
-
2020
- 2020-05-10 AU AU2020203078A patent/AU2020203078A1/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8038111A1 (fr) | 2006-09-26 | 2008-04-03 | Adocia | Dextran fonctionnalise par des amino-acides hydrophobes |
WO2010041119A1 (fr) | 2008-10-06 | 2010-04-15 | Adocia | Polysaccharides comportant des groupes fonctionnels carboxyles substitues par un derive d'alcool hydrophob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08934A (ko) * | 2012-11-13 | 2021-01-25 | 아도시아 |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속효성 인슐린 제형 |
WO2022060206A1 (ko) | 2020-09-21 | 2022-03-24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MX2015005423A (es) | 2015-08-05 |
CN104903341B (zh) | 2020-04-21 |
US20140187499A1 (en) | 2014-07-03 |
JP2016505523A (ja) | 2016-02-25 |
AU2013346623A1 (en) | 2015-05-14 |
SG11201503598QA (en) | 2015-06-29 |
SG10201703742SA (en) | 2017-06-29 |
BR112015010797A2 (pt) | 2018-05-15 |
SA515360426B1 (ar) | 2017-07-08 |
CA2889345A1 (fr) | 2014-05-22 |
KR20150084056A (ko) | 2015-07-21 |
CN104903341A (zh) | 2015-09-09 |
WO2014076422A1 (fr) | 2014-05-22 |
IL238303A0 (en) | 2015-06-30 |
AU2018204764A1 (en) | 2018-07-19 |
IL261726A (en) | 2018-10-31 |
WO2014076422A9 (fr) | 2014-10-16 |
EA201590937A1 (ru) | 2016-04-29 |
HK1213907A1 (zh) | 2016-07-15 |
CN111494638A (zh) | 2020-08-07 |
SG10202112306UA (en) | 2021-12-30 |
IL238303B (en) | 2018-10-31 |
EP2920200A1 (fr) | 2015-09-23 |
AU2020203078A1 (en) | 2020-05-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70143835A1 (en) | Substituted anionic compounds consisting of a backbone made up of a discrete number of saccharide units | |
KR20200121381A (ko) | 개별 갯수의 사카라이드 단위로 이루어지는 백본으로 이루어지는 치환된 음이온성 화합물 | |
CA2826468C (en) | Polymer-carbohydrate-lipid conjugates | |
EP2516473B1 (fr) | Polysaccharides anioniques fonctionnalises par un derive d'acide hydrophobe | |
RU2321412C2 (ru) | Новый твердый препарат, содержащий блок-сополимер и антрациклиновый противоопухолевый препарат,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 |
KR20110067157A (ko) | 소수성 알코올 유도체에 의해 치환된 카복실 관능기를 포함하는 폴리사카라이드 | |
WO2005095464A1 (ja) | ヒアルロン酸-メトトレキサート結合体 | |
EP2956128A1 (fr) | Solution injectable a ph7 comprenant au moins une insuline basale dont le point isoelectrique est compris entre 5,8 et 8,5 et un compose anionique porteur de charges carboxylates et de radicaux hydrophobes | |
US20160015814A1 (en) | Fast-acting insulin formulation comprising a substituted anionic compound and a polyanionic compound | |
ES2905606T3 (es) | Conjugados de hialuronano con sustancias farmacéuticamente activas, métodos y composiciones | |
KR101128450B1 (ko) | 안정화제로서 β-싸이클로덱스트린 유도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 |
FR2980796A1 (fr) | Oligosaccharides fonctionnalises | |
ES2874075T3 (es) | Nuevos hidrogeles de estructura sililada y procedimiento de obtención | |
WO2002072860A1 (fr) | Procede de production d'un acide hyaluronique ou de son derive | |
EP1016409B1 (en) | Freeze dried composition comprising glycosphingolipids | |
EP3101064A1 (en) | Diamine crosslinking agent, acidic polysaccharide crosslinked body, and medical material | |
RU2726415C2 (ru) |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полимерное производное камптотецина | |
US20230340165A1 (en) | Cross-lynked hyaluronic acid synthesis process | |
US20170079928A1 (en) | Copolymers of formula (i) and uses | |
FR2997952A1 (fr) | Composes anioniques substitues constitues d'un squelette forme d'un nombre discret d'unites saccharidiques | |
Sturabotti | Functionalization of hyaluronic acid with a chondroprotective molecule and preparation of sulfonated HA-based material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